KR20230150582A - High-capacity recycling system and method for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 Google Patents

High-capacity recycling system and method for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582A
KR20230150582A KR1020220050136A KR20220050136A KR20230150582A KR 20230150582 A KR20230150582 A KR 20230150582A KR 1020220050136 A KR1020220050136 A KR 1020220050136A KR 20220050136 A KR20220050136 A KR 20220050136A KR 20230150582 A KR20230150582 A KR 20230150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rasives
abrasive
primary
waterjet
s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1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0830B1 (en
Inventor
염선해
서석준
남중근
Original Assignee
염선해
서석준
남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선해, 서석준, 남중근 filed Critical 염선해
Priority to KR1020220050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830B1/en
Publication of KR20230150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5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8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24C9/006Treatment of used abrasiv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4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treating only selected parts of a surface, e.g. for carving stone or glass
    • B24C1/045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treating only selected parts of a surface, e.g. for carving stone or glass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1/00Selection of abrasive materials or additives for abrasive blasts

Abstract

본 발명은 워터젯 가공시스템을 이용한 피가공물의 가공 시 사용된 연마재를 높은 회수율로 대량 회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양질의 연마재 제품으로 재생 처리할 수 있는,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방법은, 워터젯 가공시스템을 이용한 가공 대상물의 절삭가공 후 발생된 연마재(폐연마재)를 1차 선별기로 투입하여 연마재 중에 포함된 입자크기가 큰 절삭모재 및 이물질을 걸러내어 선별하는 1차 선별단계와, 상기 1차 선별기를 통해 선별된 연마재를 1차 세척기에 투입하여 연마재를 상방으로 회전 이송시키면서 세척용수를 이용하여 연마재를 세척하는 1차 세척단계와, 상기 1차 세척기를 통해 세척이 완료된 연마재를 2차 세척기에 투입하여 세척용수로 세척하는 동시에 세척된 연마재에 진동을 인가하여 탈수하는 2차 세척단계와, 상기 2차 세척기를 통해 세척 및 탈수가 완료된 연마재를 건조기에 투입하여 연마재를 전방으로 회전 이송시키면서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기를 통해 건조된 연마재를 2차 선별기에 투입하여 연마재로부터 이물질 및 절삭모재를 걸러내는 동시에 워터젯 가공시스템에 재사용이 가능한 조립질의 연마재와 재사용이 불가능한 세립질의 연마재를 각각 구분하여 선별하는 2차 선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rge-capacity recycling system and method for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which can recover a large amount of abrasives used when processing a workpiece using a waterjet processing system at a high recovery rate and regenerate them into high-quality, reusable abrasive products. to provide. The large-capacity regeneration method of abrasives used in waterjet mach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volves inputting abrasives (waste abrasives) generated after cutting of a processing object using a waterjet machining system into a primary sorter to remove the large particle size contained in the abrasives. A first sorting step in which the base material and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out and selected, and the abrasives selected through the first sorter are put into the first washing machine and the abrasives are rotated upward and the abrasives are washed using washing water. and a secondary washing step of putting the abrasives that have been cleaned through the first washing machine into the secondary washing machine and washing them with washing water while simultaneously applying vibration to the cleaned abrasives to dehydrate them, and washing and dehydrating the abrasives through the secondary washer. A drying step in which the completed abrasive is put into a dryer and the abrasive is rotated forward and dried using hot air, and the abrasive dried through the dryer is put into a secondary sorter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and cutting materials from the abrasive, while waterjet processing. The system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condary screening step in which reusable coarse-grained abrasives and non-reusable fine-grained abrasives are separated and selected.

Figure P1020220050136
Figure P1020220050136

Description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 및 방법{High-capacity recycling system and method for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High-capacity recycling system and method for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본 발명은 워터젯 가공시스템을 이용하여 가공 대상물을 절삭 또는 절단 가공을 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연마재(폐연마재)를 재활용이 가능한 연마재로 재생시킬 수 있는 연마재 재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워터젯 가공작업에서 사용된 연마재를 높은 회수율로 회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양질의 연마재 제품으로 대량으로 재생시킬 수 있는,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 대용량 재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rasive regeneration system that can regenerate abrasives (waste abrasives) used in the process of cutting or cutting a processing object using a waterjet processing system into recyclable abrasives.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waterjet processing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capacity recycling system and method for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which can recover abrasives used in processing at a high recovery rate and regenerate them in large quantities into high-quality, reusable abrasive products.

일반적으로 워터젯 가공시스템은 초고압으로 증압된 물을 피가공물(가공 대상물)의 절단부위에 높은 압력으로 집중 분사하여 피가공물의 절삭 또는 절단 가공에 사용되는 가공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워터젯 가공시스템에서 물과 함께 사용되는 연마재로는 가넷(garnet; 석류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가넷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In general, a waterjet processing system refers to a processing system used for cutting or cutting processing of a workpiece by intensively spraying water increased at ultra-high pressure onto the cutting area of the workpiece (processing object) at high pressure. The main abrasive used with water in this waterjet processing system is garnet (garnet), and this garnet is entirely dependent on imports.

이와 같이, 물을 활용하여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워터젯 가공기술은 열에 의한 변형이나 산화물의 생성 없이 거의 모든 종류의 금속 또는 비금속을 추가적인 2차 가공 없이도 절단할 수 있고 가공 중에 유독가스나 분진 등이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절단부위에 버어(burr) 발생이 없는 등의 많은 장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 그 기술의 적용이 다양한 산업분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In this way, waterjet processing technology, which processes workpieces using water, can cut almost all types of metals or non-metals without additional secondary processing without thermal deformation or creation of oxides, and does not generate toxic gases or dust during processing. In addition, there are many advantages such as no burrs at the cutting area, so the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 has recently been gradually expanding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종래기술에 따른 워터젯 가공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연마재를 포함한 물을 높은 압력으로 분사하여 피가공물(가공 대상물)을 가공하는 가공유닛인 워터젯 노즐은 컴퓨터에 의해 프로그램 처리된 소정의 절단궤도를 따라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철 등의 금속이나 비철금속, 또는 대리석 등의 경질(硬質)의 가공소재를 절삭 또는 절단하기 위한 연마재를 별도로 투입할 수 있도록 연마재 공급탱크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Looking briefly at the waterjet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waterjet nozzle, which is a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the workpiece (object to be processed) by spraying water containing abrasives at high pressure, follows a predetermined cutting trajectory programmed by a computer. It is installed so that the position can be moved,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brasive supply tank is connected so that abrasives for cutting or cutting hard materials such as metals such as iron, non-ferrous metals, or marble can be separately introduced.

그리고 워터젯 가공시스템 내에 있는 집수조의 상면으로는, 가공소재의 안착, 배치 및 가공작업을 가능하게 하면서 워터젯 노즐로부터 분사된 물이 집수조 측으로 원활하게 빠질 수 있도록 격자모양의 배수 구조를 갖는 작업테이블이 설치된다. In add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mp within the waterjet processing system, a work table with a grid-shaped drainage structure is installed to enable seating, placement, and processing of processing materials and to allow water sprayed from the waterjet nozzle to drain smoothly into the sump. do.

또한, 워터젯 가공시스템의 집수조 내에는 워터젯 가공시스템을 이용한 가공소재의 절삭 또는 절단 가공시, 워터젯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의 물이 피가공물인 가공소재의 가공에 사용된 후 자동 저장되어 보관되며, 이후 집수조 외부로 오버플로우(overflow)되어 자동 폐수처리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in the sump of the waterjet processing system, when cutting or cutting processing of the processing material using the waterjet processing system, the high-pressur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jet nozzle is automatically stored and stored after being used for processing the processing material. 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treat wastewater by overflowing outside the sump.

이 경우, 집수조 내에 저장되는 물은 워터젯 가공작업에 의해 오염된 폐수이며, 집수조 내에는 가공소재의 절삭 또는 절단 가공시 생성되는 가공소재의 절삭모재가 쌓이게 된다. 아울러, 연마재가 워터젯 노즐 측에 투입되어 가공소재의 워터젯 가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가공소재와의 충돌에 의해 발생된 입자가 쪼개진 형태의 연마재가 집수조 내부 바닥면에 쌓이게 된다.In this cas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mp is wastewater contaminated by waterjet processing, and the cutting base material of the work material generated during cutting or cutting of the work material accumulates in the water sump. In addition, abrasives in the form of broken particles generated by collision with the workpiece during the process of performing waterjet processing of the workpiece by injecting the abrasive into the waterjet nozzle side accumulate on the floor inside the water sump.

이와 같이 워터젯 가공시 워터젯 가공작업에 사용된 연마재와, 가공소재의 가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절삭모재가 집수조 내부에서 침전되어 집수조 내 바닥면에 쌓여서 물과 혼합된 상태의 슬러리(slurry)가 되며, 워터젯 가공시 발생되는 폐수(상등수)는 오버플로우(overflow) 처리되어 별도의 폐수처리 시스템을 거쳐 재사용 되지만, 침전물에는 입자가 작은 분진형태의 연마재 및 절삭모재가 부유물(이물질)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In this way, during waterjet machining, the abrasives used in the waterjet machining operation and the cutting base material generated during the machining process of the machining material precipitate inside the sump and accumulate on the bottom of the sump, forming a slurry mixed with water. The wastewater (supernatant) generated during processing is treated as an overflow and reused through a separat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However, in the sediment, abrasives and cutting base materials in the form of small dust particles exist in suspended solids (foreign substances). It may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또한, 워터젯 가공 과정에서 집수조 내에 쌓이게 되는 슬러리의 양은 가공소재의 가공작업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에 이를 주기적으로 제거하거나 수시로 제거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집수조에 저장된 폐수를 모두 배수 처리한 후 작업자가 집수조의 안으로 들어가 슬러리를 일일이 퍼내어 제거하는 작업을 하였고, 슬러리에서 고가의 연마재를 비롯한 절삭모재를 회수하여 충분히 재활용할 수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고가의 연마재를 모두 폐기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워터젯 가공 과정에서 집수조 내에 쌓인 고가의 연마재가 포함된 슬러리를 작업자가 일일이 퍼내어 폐기처리하기 때문에 슬러리의 폐기처리에 따른 번거로움 및 불편함으로 인해 작업성과 작업효율이 저하되고, 슬러리에 포함된 고가의 연마재를 그대로 폐기처리 함에 따라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amount of slurry accumulated in the sump during the waterjet processing process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processing time of the processed material, so it must be removed periodically or at any time. Conventionally, after all wastewater stored in the sump is drained and treated, the operator cleans the sump. The process was to go into the machine and scoop out and remove the slurry one by one, and even though cutting materials, including expensive abrasives, could be recovered from the slurry and fully recycled, it was common to discard all of the expensive abrasives. In this way, conventionally, during the waterjet processing process, workers manually scoop out and dispose of the slurry containing expensive abrasives accumulated in the water sump. Therefore, workability and work efficiency are reduced due to the in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of slurry disposal, and the slurry There was a problem of low economic feasibility as the expensive abrasives included were disposed of as is.

이는 종래의 워터젯 가공시스템들이 전부 수입에 의존하는 것들로서, 워터젯 가공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설치자재, 즉, 규격품 형태의 설치자재만을 국내에 들여와 조립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에 그 1차적인 원인이 있으며, 절삭모재와 연마재인 가넷(garnet)을 재활용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처리시스템의 도입이 전무(全無)한 상태에 있다.This is primarily due to the fact that conventional waterjet processing systems are all dependent on imports, and only installation materials for building waterjet processing systems, that is, installation materials in the form of standard products, are imported into the country, assembled, and used. , there is no introduction of a separate processing system for recycling garnet, which is a cutting material and abrasive material.

즉, 종래의 워터젯 가공시스템은 수입제품이면서 다양한 입자 크기로 적용되는 가넷(garnet; 연마재)을 회수하고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설비구축이 없었기 때문에, 한번 사용된 연마재는 전부 수입에 의존하는 고가의 수입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전부 폐기 처분하고 있기 때문에 경제성을 떨어뜨리고 환경오염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waterjet processing system was an imported product and did not have separate facilities to recover and recycle garnet (abrasives) applied in various particle sizes, so once used abrasives were all expensive and depended on imports. Even though it is an imported product, it is all disposed of, which reduces economic feasibility and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한편, 워터젯 가공시스템에 있어, 위에서 언급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그 일 예로서 특허공개번호 제10-2001-0113616호("워터젯에 사용된 연마재의 회수와 재생시스템"; 이하 "제1기술"이라 한다.), 특허등록번호 제10-0865958호("워터젯용 슬러지 회수장치 및 방법"; 이하 "제2기술"이라 한다.), 특허등록번호 제10-1305936호("친환경 워터젯 가공시스템"; 이하 "제3의기술"이라 한다.)의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 제안된 여러기술들은 연마재의 재생처리에 있어 효율이 떨어지고 실용성도 떨어지므로 현재에는 현장에서 전혀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Meanwhile, in the waterjet processing system,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One example is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113616 (“Recovery and regeneration system of abrasives used in waterjet”) ;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Technology”), Patent Registration No. 10-0865958 (“Sludge recovery device and method for water j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Technology”), Patent Registration No. 10-1305936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eco-friendly waterjet processing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rd technology”). However, the various technologies proposed above are less efficient and less practical in recycling abrasives, so they are currently not used in the field. The reality is that it is not being utilized at all.

즉, 상기 언급된 제1기술은 연마재를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기술이기는 하나, 연마재를 회수하는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과, 연마재를 스크류를 통해 이송 처리하므로 연마재가 이송 과정중에 훼손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2기술은 거름망을 이용하여 물과 슬러지를 단순 분리하고, 슬러지가 분리 저장된 거름망을 폐기물 처리하는 기술로서, 상기 제2기술은 단순히 슬러지를 물과 분리하여 회수 및 폐기 처리하는 기술에 해당될 뿐 고가의 연마재를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제3기술은 워터젯 가공에 사용되는 연마재를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나, 워터젯 가공에 소모한 수준으로 연마재를 높은 회수율로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아니며, 연마재 재활용 시스템을 개별로 구축하는 비용이 높아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기술이다. 따라서,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고가의 연마재를 높은 회수율로 회수하여 재활용 가능한 양질의 연마재 제품으로 대량 재생시킬 수 있는 연마재 재생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ther words, the first technology mentioned above is a technology for recovering and recycling abrasives, but i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less efficient in recovering abrasives and the abrasives are damaged during the transfer process because the abrasives are transported through a screw. In addition, the second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simply separates water and sludge using a filter and disposes of the filter in which the sludge is stored separately. The second technology corresponds to a technology that simply separates the sludge from water and recovers and disposes of it. However, it is not a technology that can recycle expensive abrasives. In addition, the third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can recover and recycle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but is not a technology that can recover and recycle abrasives at a high recovery rate at the level consumed in waterjet processing, and requires an individual abrasive recycling system. It is a technology that is practically unusable in the field due to its high construction cost.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n abrasive recycling method that can recover expensive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at a high recovery rate and regenerate them in large quantities into high-quality, recyclable abrasive products.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1-0113616호(2001.12.2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113616 (December 28, 200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65958호(2008.10.23)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865958 (2008.10.2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05936호(2013.09.03)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305936 (2013.09.03)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워터젯 가공에서 사용된 연마재의 원활한 회수 및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며, 워터젯 가공시 사용된 연마재와 가공 과정에서 발생된 절삭모재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회수 및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smooth recovery and recycling of abrasives used in waterjet machining, and to effectively separate, recover and recycle abrasives used in waterjet machining and cutting materials generated during machin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a high-capacity recycling system for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워터젯 가공설비에 대한 운용효율을 높여주고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발생을 현격히 줄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waterjet processing equipment, pursue economic feasibility, and use waterjet processing to minimize environmental pollution by significantly reducing waste generated during the processing proces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large-capacity recycling system for used abrasive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은, 워터젯 가공시스템을 이용한 가공 대상물의 절삭가공 후 발생된 연마재(폐연마재)를 저장하는 1차 저장탱크와, 상기 1차 저장탱크로부터 이송 후 투입된 연마재로부터 입자크기가 큰 절삭모재 및 이물질을 걸러내어 재활용 가능한 연마재를 선별하는 1차 선별기와, 상기 1차 선별기로부터 투입된 연마재를 상방으로 회전 이송시키면서 외부에서 공급된 세척용수로 1차 세척하여 상기 연마재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 세척기와, 상기 1차 세척기로부터 배출 후 투입된 연마재를 세척용수로 2차 세척 및 탈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2차 세척기와, 상기 2차 세척기로부터 이송 후 투입된 연마재를 저장하는 2차 저장탱크와, 상기 2차 저장탱크에서 배출 후 투입된 연마재를 회전 이송시키면서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기로부터 이송 후 투입된 연마재로부터 이물질 및 절삭모재를 걸러내는 동시에 워터젯 가공시스템에 재사용 가능한 조립질의 연마재와 재사용이 불가능한 세립질의 연마재를 구분하여 선별하는 2차 선별기와, 상기 2차 선별기에서 최종 선별 처리된 재활용 가능한 연마재를 저장하고, 저장된 연마재를 최종 제품 형태의 포장을 위해 배출하는 3차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arge-capacity recycling system for abrasives used in waterjet mach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 primary storage system for storing abrasives (waste abrasives) generated after cutting of a processing object using a waterjet machining system. A tank, a primary sorter for selecting recyclable abrasives by filtering out cutting materials and foreign substances with large particle sizes from the abrasives input after being transferred from the primary storage tank, and rotating the abrasives input from the primary sorter upward while rotating them to the outside. A primary washing machine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adsorbed on the abrasives by first washing them with washing water supplied from , a secondary washing machine that secondarily washes and dehydrates the abrasives input after discharge from the primary washing machine with washing water and discharges them to the outside; A secondary storage tank that stores the abrasives introduced after being transferred from the secondary washing machine, a dryer that rotates and transfers the abrasives introduced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secondary storage tank while drying them using hot air, and foreign matter from the abrasives introduced after being transferred from the dryer. and a secondary sorter that filters the cutting base material while simultaneously sorting the coarse-grained abrasives that can be reused in the waterjet processing system from the fine-grained abrasives that cannot be reused, and stores the recyclable abrasives that are finally sorted in the secondary sorter, and stores the stored recyclable abrasive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tertiary storage tank for discharging the abrasive material for packaging in the form of a final product.

여기서, 상기 연마재 대용량 재생 시스템은, 상기 1차 및 2차 세척기에서 사용된 세척용수 중에 포함된 부유성 이물질을 여과하여 사용 가능한 재생수를 생성하는 여과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abrasive large-capacity recycl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filtration tank that filters float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used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washing machines to generate usable recycled water.

또한, 상기 1차 내지 3차 저장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장탱크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V'자형 단면구조를 갖는 연마재 저장통과, 상기 연마재 저장통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모터에는 상기 연마재 저장통에 투입된 연마재의 점성에 따라 타이머 시간을 다르게 설정하여 연마재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듀얼타이머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primary to tertiary storage tanks includes an abrasive storage tank having a 'V'-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with open upper and lower ends, and a vibration motor for applying vibration to the abrasive storage tank. , A dual timer may be installed in the vibration motor to control the amount of abrasive discharged by setting the timer time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iscosity of the abrasive added to the abrasive storage tank.

그리고, 상기 1차 세척기는, 내부에 채워진 세척용수의 수면 아래로 하단 일부분이 잠긴 상태에서 연마재를 회전하는 스크류를 통해 상부로 회전 이송시키면서 세척 및 배출할 수 있도록 내부에서 외부로 상향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경사형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imary cleaner is inclined upwardly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so that it can be cleaned and discharged while rotating and transferring the abrasive to the top through a rotating screw with the lower part submerged below the water surface of the cleaning water filled inside. It may include an inclined screw to be installed.

또한, 상기 2차 선별기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 복수의 메쉬 플레이트가 다단식 구조로 설치되되, 하부에 위치한 메쉬 플레이트는 상부에 위치한 메쉬 플레이트보다 메쉬(mesh)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side the secondary sorter, a plurality of mesh plates are installed in a multi-stage structu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mesh plate located at the bottom has a smaller mesh size than the mesh plate located at the top. It can b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방법은, 워터젯 가공시스템을 이용한 가공 대상물의 절삭가공 후 발생된 연마재(폐연마재)를 1차 선별기로 투입하여 연마재 중에 포함된 입자크기가 큰 절삭모재 및 이물질을 걸러내어 선별하는 1차 선별단계와, 상기 1차 선별기를 통해 선별된 연마재를 1차 세척기에 투입하여 연마재를 상방으로 회전 이송시키면서 세척용수를 이용하여 연마재를 세척하는 1차 세척단계와, 상기 1차 세척기를 통해 세척이 완료된 연마재를 2차 세척기에 투입하여 세척용수로 세척하는 동시에 세척된 연마재에 진동을 인가하여 탈수하는 2차 세척단계와, 상기 2차 세척기를 통해 세척 및 탈수가 완료된 연마재를 건조기에 투입하여 연마재를 전방으로 회전 이송시키면서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기를 통해 건조된 연마재를 2차 선별기에 투입하여 연마재로부터 이물질 및 절삭모재를 걸러내는 동시에 워터젯 가공시스템에 재사용이 가능한 조립질의 연마재와 재사용이 불가능한 세립질의 연마재를 각각 구분하여 선별하는 2차 선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large-capacity regeneration method of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volves feeding abrasives (waste abrasives) generated after cutting processing of a processing object using a waterjet processing system into a primary sorter to determine the particle size contained in the abrasives. A first sorting step in which large cutting materials and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out and sorted, and the abrasives selected through the first sorter are put into the first washing machine and the abrasives are rotated upward and the abrasives are washed using cleaning water. A cleaning step, a secondary cleaning step of putting the abrasives that have been cleaned through the first washing machine into a secondary washing machine and washing them with washing water, and applying vibration to the cleaned abrasives to dehydrate them, and washing and A drying step in which the dehydrated abrasive is put into a dryer and the abrasive is rotated forward and dried using hot air, and the abrasive dried through the dryer is put into a secondary sorter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and cutting materials from the abrasive. The waterjet processing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ary selection step in which coarse-grained abrasives that can be reused and fine-grained abrasives that cannot be reused are separated and selected.

여기서, 상기 1차 선별단계에서는, 연마재의 점성에 따라 상기 1차 선별기로 투입되는 연마재의 투입량이 조절될 수 있다.Here, in the first sorting step, the amount of abrasive input into the first sorter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viscosity of the abrasive.

그리고, 상기 1차 세척단계에서는, 1차 세척기 내부 세척용수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연마재를 경사형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방으로 회전 이송시키면서 연마재를 세척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cleaning step, the abrasive located below the surface of the cleaning water inside the first washing machine can be washed by rotating and transferring the abrasive material upward using an inclined screw.

또한, 상기 2차 선별단계에서는, 2차 선별기 내부에 다단식 구조로 설치된 복수의 메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워터젯 가공시스템에 재사용 가능한 조립질의 연마재와 재사용이 불가능한 세립질의 연마재를 각각 구분하여 선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ary sorting step, a plurality of mesh plates installed in a multi-stage structure inside the secondary sorter can be used to separate coarse-grained abrasives that can be reused in the waterjet processing system and fine-grained abrasives that cannot be reused.

본 발명에 따른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고가의 연마재를 일련의 연속된 공정을 통해 높은 회수율로 원활하고 용이하게 회수하여 재활용 처리할 수 있으며, 워터젯 가공시 발생하는 절삭모재와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높은 회수율로 회수할 수 있는 유용함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large-capacity recycling system and method for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pensive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can be smoothly and easily recovered and recycled at a high recovery rate through a series of continuous processes, It is useful to effectively separate the cutting materials generated during waterjet processing from the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and recover them at a high recovery rate.

또한,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한번 사용된 고가의 연마재를 폐기처리하지 않고 재사용 및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워터젯 가공설비에 대한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오염수와 연마재를 각각 회수하여 재활용 함으로써 폐기물의 발생을 현격히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자원 리싸이클에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ursue economic efficiency for waterjet processing equipment by allowing expensive abrasives used once to be reused and recycled without discarding them as in the past, and the contaminated water and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recovering and recycling, the generation of wast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making it useful for resource recycling.

또한, 본 발명은 워터젯 가공시스템에서 실제 재사용 가능한 연마재를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대용량의 연마재 재생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연마재의 재활용도를 높여 경제성 및 실용성을 추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ursuing economic efficiency and practicality by increasing the recyclability of abrasives because it can build a large-capacity abrasive recycling system that can actually supply a large amount of reusable abrasives in a waterjet processing system.

또한,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선별과정과 세척과정을 보다 세분화하여 연마재의 크기별로 재사용이 가능한 우수한 품질의 연마재를 얻을 수 있으며, 재생된 연마재의 절삭력을 사용전 수준으로 회복하여 기존에 제안된 제1,제3기술보다 우월한 절삭능력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further subdividing the selection process and cleaning process of the abrasive used in waterjet processing, excellent quality abrasives that can be reus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brasive can be obtained, and the cutting power of the regenerated abrasive is restored to the level before use,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previously proposed abrasive. It has the advantage of achieving superior cutting ability over the first and third technologies.

또한,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로부터 입자 크기별로 재활용이 가능한 조립 및 세립질의 연마재로 분류하여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회수된 조립질의 연마재는 워터젯 가공에 재사용하고, 세립질의 미세한 연마재는 워터젯 가공 이외의 가공공정, 예를 들어, 반도체 가공공정이나, 유리 가공공정 등에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연마재의 세척공정에서 사용된 세척용수를 별도 마련된 여과조를 통해 여과하여 재활용 가능한 재생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제안된 제1,제3기술보다 자원의 재활용도를 보다 높일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can be classified and recovered into coarse and fine-grained abrasives that can be recycled by particle size, the recovered coarse-grained abrasives can be reused in waterjet processing, and the fine-grained abrasives can be used for use other than waterjet processing.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recyclable in processing processes, such as semiconductor processing or glass processing. In addition, since the cleaning water used in the cleaning process of abrasives can be filtered through a separately provided filtration tank to obtain recyclable reclaimed wat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egree of recycling of resources can be increased more than the first and third technologies proposed previously. .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에 대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의 1차 저장탱크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3은 1차 저장탱크의 진동 모터에 연결된 듀얼타이머 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의 1차 선별기 및 1차 세척기 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5는 도 4의 1차 선별기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6은 도 5의 1차 선별기 내부에 장착되는 메쉬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도 4의 1차 세척기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에서 2차 세척기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에서 2차 저장탱크 및 건조기 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건조기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에서 2차 선별기 및 3차 저장탱크 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2차 선별기의 싱세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of a large-capacity recycling system for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primary storage tank of the large-capacity recycling system for abrasi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dual timer structure connected to the vibration motor of the primary storage tank.
Figure 4 is an enlarged detailed view of the primary sorter and primary washer portion of the large-capacity recycling system for abrasi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primary sorter of Figure 4.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 mesh plate mounted inside the primary sorter of Figure 5.
Figure 7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primary washing machine of Figure 4.
Figure 8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econdary cleaner in the large-capacity recycling system for abrasi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nlarged detailed view of the secondary storage tank and dryer portion in the large-capacity recycling system for abrasi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dryer shown in Figure 9.
Figure 11 is an enlarged detailed view of the secondary sorter and the tertiary storage tank in the large-capacity recycling system for abrasi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syntax structure of the secondary sorter shown in Figure 11.
Figure 13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a large-capacity regeneration method of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발명의 태양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그러나 이하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기술된 실시 예들로만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The foregoing and additional inventive aspects are embodied through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merely illustrativ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또한, 각 실시 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 예 내에서 또는 실시 예 상호 간에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in various ways within or between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or contradictory to each other, and 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mponents are required. If it is judged that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들과는 상관없이 이 구성요소를 반드시 포함한다는 의미이지 다른 구성 요소들의 포함 가능성을 배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And,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necessarily includes this component regardless of other components, and does not mean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including other components.

또한, 도면에 도시된 전체 공정도는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에 불과하며, 다른 공정들이 더 추가되거나 일부 공정들이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overall process diagram shown in the drawings is merely an example to obtain the most desirable results in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of course, other processes may be added or some processes may be deleted.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Through this detailed description, the purpose an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haracteristics will be better understood.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젯 가공시스템을 이용한 가공 대상물(가공소재)의 절삭 또는 절단 가공에서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에 대한 전체 설비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First, Figure 1 shows the overall equipment configuration for a large-capacity recycling system for abrasives used in cutting or cutting processing of a processing object (processing material) using a waterjet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100)은, 워터젯 가공시스템을 이용하여 가공 대상물의 절삭 또는 절단 가공 과정에서 사용된 연마재(폐연마재)를 재활용이 가능한 대용량의 연마재 제품 형태로 대량으로 재생산할 수 있는 연마재 재생 시스템으로서, 1차 저장탱크(110), 1차 컨베이어(115), 1차 선별기(120), 1차 세척기(130), 2차 세척기(140), 2차 컨베이어(145), 2차 저장탱크(150), 건조기(160), 3차 컨베이어(165), 2차 선별기(170), 4차 컨베이어(175), 3차 저장탱크(180)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가공 대상물의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폐연마재)를 입자 크기별로 선별하고, 세척 및 건조 과정 등을 거쳐 재활용이 가능한 양질의 연마제 제품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large-capacity recycling system 100 for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ycle abrasives (waste abrasives) used in the cutting or cutting process of a processing object using a waterjet processing system. It is an abrasive regeneration system that can be reproduced in large quantities in the form of abrasive products of as large a capacity as possible, including a primary storage tank (110), a primary conveyor (115), a primary sorter (120), a primary cleaner (130), and a secondary cleaner. (140), 2nd conveyor (145), 2nd storage tank (150), dryer (160), 3rd conveyor (165), 2nd sorter (170), 4th conveyor (175), 3rd storage tank ( 180) are arranged sequentially, and the abrasives (waste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of processing objects are selected by particle size, and through a washing and drying process, can be mass-produced as high-quality, recyclable abrasive products. There is a characteristic in that it has been made so.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재 대용량 재생 시스템(100)에 있어서, 워터젯 가공작업에서 사용된 연마재(폐연마재)가 저장되는 1차 저장탱크(110)의 상세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도 3은 1차 저장탱크(110) 내부에 설치된 진동모터(112)와 연결되는 듀얼타이머(114)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primary storage tank 110 in which abrasives (waste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are stored in the large-capacity abrasive recycl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the dual timer 114 connected to the vibration motor 112 installed inside the primary storage tank 110.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1차 저장탱크(110)는 워터젯 가공시스템을 이용한 가공 대상물(가공소재)의 절삭 또는 절단 가공에서 사용된 연마재와 가공 대상물의 가공 시 발생하는 절삭모재 등이 포함된 폐연마재가 가공업체로부터 회수된 후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1차 저장탱크(110)는 상부 개방구조를 갖는 'V'자 형상의 단면구조를 갖는 연마재 저장통(111)과, 연마재 저장통(111)의 하부에 배치되며 연마재가 배출되는 배출구(111a)와, 연마재 저장통(111)의 하부 일측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연마재 저장통(111)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모터(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primary storage tank 110 contains abrasives used in cutting or cutting processing of a processing object (processing material) using a waterjet processing system and cutting materials generated during processing of the processing object. As a part where waste abrasives are temporarily stored after being recovered from a processing company, the primary storage tank 110 includes an abrasive storage tank 111 having a 'V'-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with an open top structure, and an abrasive storage tank. It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111) and includes an outlet 111a through which abrasives are discharged, and a vibration motor 112 installed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abrasive storage tank 111 to apply vibration to the abrasive storage tank 111. It can be.

연마재 저장통(111)에는 가공 대상물의 워터젯 가공시 사용된 연마재(폐연마재) 및 가공과정에서 발생되는 절삭모재가 포함된 혼합물이 투입되며, 상기 연마재 저장통(111)에 투입된 연마재는 하부에 위치한 배출구(111a)를 통해 배출되어 1차 컨베이어(115)를 통해 이송된 후 1차 선별기(120) 내부로 투입된다.A mixture containing abrasives (waste abrasives) used during waterjet processing of a processing object and cutting base material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ing process is introduced into the abrasive storage tank 111, and the abrasives introduced into the abrasive storage tank 111 are discharged from the outlet located at the bottom ( It is discharged through 111a), transported through the primary conveyor 115, and then input into the primary sorter 120.

여기서, 연마재 저장통(111)에 투입되는 연마재는 워터젯 가공시 사용된 폐연마재로서, 상기 폐연마재에는 가공 대상물의 절삭 또는 절단 가공시 발생되는 절삭모재 및 그 밖의 이물질들이 포함된 혼합물을 말하며, 후술되는 본 발명의 연마재 대용량 재생 시스템(100)의 상세 설명에서 언급하는 연마재는 절삭모재 및 이물질들이 포함되어 있는 폐연마재를 의미함을 사전에 밝혀둔다.Here, the abrasive input into the abrasive storage tank 111 is waste abrasive used during waterjet processing. The waste abrasive refers to a mixture containing cutting base material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during cutting or cutting of the processing objec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should be noted in advance that the abrasive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arge-capacity abrasive regene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 to waste abrasives containing cutting base materials and foreign substances.

한편, 연마재 저장통(111)의 하부 일측에는 연마재가 투입된 연마재 저장통(111)에 진동을 인가하여 배출구(111a)를 통해 배출되는 연마재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타이머 기능을 갖는 진동모터(112)가 설치된다. Meanwhile, a vibration motor 112 with a timer function is installed on one lower side of the abrasive storage tank 111 to apply vibration to the abrasive storage tank 111 into which the abrasive material is inserted, thereby controlling the amount of abrasiv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1a. do.

상기 진동모터(112)에는 연마재 저장통(111)에 투입된 연마재의 배출량(처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형태와 같은 듀얼타이머(11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듀얼타이머(114)는 진동모터(112)에 부착되거나 또는 진동모터(112) 외부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듀얼타이머(114)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듀얼타이머(114)는 진동모터(112)의 작동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마재 저장통(111)에 저장된 연마재의 점도에 따라 듀얼타이머(112)를 통해 진동모터(112)의 작동시간을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개별적으로 카운트하며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연마재 저장통(111)에서 배출되는 연마재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A dual timer 114 as shown in FIG. 3 may be connected to the vibration motor 112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processing amount) of abrasives introduced into the abrasive storage tank 111. The dual timer 114 can be attached to the vibration motor 112 or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vibration motor 112 to control the dual timer 114 from the outside. This dual timer 114 is connected to the vibration motor 112. The operating time can be counted. In this way, the operating time of the vibration motor 112 is individually counted at regular time intervals through the dual timer 112 according to the viscosity of the abrasive stored in the abrasive material storage container 111, and the abrasive material is discharged from the abrasive storage container 111 by operating. The amount of abrasive discharged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의 연마재 대용량 재생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연마재의 선별 및 세척 작업을 수행할 때에 가공업체로부터 회수된 연마재의 점도가 다 다르기 때문에 1차 저장탱크(110)에서 이후의 선별공정에 투입되는 연마재의 정량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세척공정에서도 연마재의 세척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When sorting and cleaning abrasives using the large-capacity abrasive regene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cosity of the abrasives recovered from the processing company is different, so the abrasives are input into the subsequent sorting process in the primary storage tank 110. Problems may aris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quantity of abrasives, and problems may also arise in the cleaning process where it is not easy to clean the abrasive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1차 저장탱크(110)에 구비된 진동모터(112)에 듀얼타이머(114)를 설치하여 투입된 연마재의 점도에 따라 타이머 시간을 다르게 설정하여 진동모터(112)의 작동시간이 듀얼타이머(112)에 의해 개별 카운트되도록 구성함으로써, 1차 저장탱크(110)에 회수된 연마재의 점도에 맞게 이후의 선별공정 및 세척공정으로 투입되는 연마재의 투입량을 정량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연마재 재생시스템의 설비운용을 안정적이면서 효율적으로 가져갈 수 있는 동시에 점도가 높은 세립질의 연마재의 경우에도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연마재의 회수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ual timer 114 is installed on the vibration motor 112 provided in the primary storage tank 110, and the timer time is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iscosity of the injected abrasive, so that the operating time of the vibration motor 112 is increased. By configuring individual counting by the dual timer 112, it is possible to quantitatively adjust the amount of abrasive input to the subsequent selection process and clea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viscosity of the abrasive recovered in the primary storage tank 110. It is designed to ensure stable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abrasive regeneration system and to maximize the recovery rate of abrasives by making it easy to clean even fine-grained abrasives with high viscosity.

한편, 1차 저장탱크(110)의 하부 배출구(111a)를 통해 배출되는 연마재는 1차 컨베이어(115)를 통해 이송되어 1차 선별기(120)의 상부로 투입된다. 이 경우 1차 컨베이어(115)는 1차 저장탱크(110)의 하부에서 배출돤 연마재를 소분할된 형태로 이송되도록 하여 연마재의 무게를 절감시켜 연마재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고, 1차 선별기(120)에 소분할된 연마재를 연속적으로 정량 투입함으로써 이후 공정에서 수행되는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작업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한다.Meanwhile, the abrasives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discharge port 111a of the primary storage tank 110 are transported through the primary conveyor 115 and input into the upper part of the primary sorter 120. In this case, the primary conveyor 115 transports the abrasives discharg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primary storage tank 110 in small portions to reduce the weight of the abrasives and facilitate the transfer of the abrasives, and the primary sorter (120) ) by continuously adding a fixed amount of small-divided abrasives to ensure that the large-capacity regeneration of abrasives performed in the subsequent process is performed smoothly.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100)에서 1차 선별기(120) 및 1차 세척기(130) 부분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도 4의 1차 선별기(120)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도 6은 1차 선별기(120) 내부에 장착된 메쉬 플레이트(123)의 상세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1차 세척기(130)의 상세구조를 보여주고 있다.Figure 4 shows in detail the primary sorter 120 and primary cleaner 130 in the large-capacity recycling system 100 for abrasi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shows details of the primary sorter 120 in Figure 4. Figure 6 shows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mesh plate 123 mounted inside the primary sorter 120, and Figure 7 shows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primary washer 130.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1차 저장탱크(110)의 하부에서 배출된 연마재는 1차 컨베이어(115)를 통해 이송된 후 1차 선별기(120)의 상부로 투입된다. 그리고, 1차 선별기(120)에서는 상기 1차 저장탱크(110)로부터 배출된 후 1차 컨베이어(115)를 통해 이송 후 투입된 연마재(폐연마재)로부터 입자크기가 큰 절삭모재 및 이물질 등을 걸러내어 재활용이 가능한 연마재를 1차 선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to 7 , the abrasives discharg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primary storage tank 110 are transported through the primary conveyor 115 and then input into the upper part of the primary sorter 120. In addition, the primary sorter 120 filters out cutting materials and foreign substances with large particle sizes from the abrasives (waste abrasives) that are discharged from the primary storage tank 110, transferred through the primary conveyor 115, and then introduced. Recyclable abrasives can be first selected.

구체적으로, 1차 선별기(1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일측에 내부에서 선별작업이 완료된 연마재가 배출되는 연마재 배출구(12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1차 선별기(120) 내부로 투입된 연마재로부터 걸러진 입자 크기가 큰 절삭모재 및 이물질 등이 배출되는 이물질 배출구(122)가 구비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the primary sorter 120 is provided with an abrasive discharge port 121 on one upper side through which the abrasives that have been sorted inside are discharged, and on the other side, an abrasive discharge port 121 inside the primary sorter 120. A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122 is provided through which large-sized cutting base materials and foreign matter filtered out from the abrasive input into the abrasive are discharged.

그리고, 1차 선별기(120)의 내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쉬(mesh) 망 구조를 갖는 메쉬 플레이트(123)가 장착되며, 상기 메쉬 플레이트(123)를 통해 연마재 중에 포함된 입자크기가 큰 절삭모재 및 이물질 등이 걸러져 이물질 배출구(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메쉬 플레이트(123)를 통과한 연마재는 메쉬 플레이트(123)의 하부 측에 위치한 연마재 배출구(121)를 통해 배출되어 다음 공정의 1차 세척기(130)로 투입될 수 있다. And, inside the primary sorter 120, a mesh plate 123 having a mesh network structure as shown in FIG. 6 is installed, and the particle size contained in the abrasive is determined through the mesh plate 123. Large cutting materials and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out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oreign matter outlet 122, and the abrasive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mesh plate 123 are discharged through the abrasive outlet 121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mesh plate 123. It can be put into the first washer 130 of the process.

이때, 1차 선별기(120)에서 메쉬 플레이트(123)의 하부 측에는 절삭모재 및 이물질이 걸러진 연마재가 중앙에 쌓이지 않고 연마재 배출구(121) 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로 볼록한 형태의 만곡면을 형성하는 안내판(124)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판(124)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하부 측에는 1차 선별기(120)에 진동을 인가할 수 있는 진동모터(125)가 설치되어, 1차 선별기(120) 내부로 투입된 연마재에 진동모터(125)를 통해 진동을 인가하여 메쉬 플레이트(123)에 의한 연마재의 선별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rimary sorter 120, the lower side of the mesh plate 123 is provided with a curved surface that is convex upward so that the abrasive material containing the cutting base material and foreign substances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ward the abrasive discharge port 121 without accumulating in the center. A guide plate 124 may be installed. In addition, a vibration motor 125 capable of applying vibration to the primary sorter 120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guide plate 124, and the vibration motor 125 is used to apply vibration to the abrasive input into the primary sorter 120. ) By applying vibration through the mesh plate 123, the selection of abrasives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이 경우, 1차 선별기(120) 내부에 장착되는 메쉬플레이트(123)는 입자크기가 큰 조각형태의 절삭모재 및 이물질 등을 걸러내어 연마재와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메쉬플레이트(123)의 메쉬 크기는 10mm x 10mm 이상의 크기를 갖는 절삭모재 및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크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hat the mesh plate 123 mounted inside the primary sorter 120 be configured to filter out cutting materials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form of pieces with large particle sizes so that they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abrasive. The mesh size of the mesh plate 123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size that allows removal of cutting base materials and foreign substances having a size of 10 mm x 10 mm or more.

한편, 1차 선별기(120) 내에서 1차 선별된 연마재는 연마재 배출구(121)를 통해 배출된 이후. 이와 인접한 하부측에 위치하는 1차 세척기(130)의 상부로 투입된다. 그리고, 1차 세척기(130)에서는 상기 1차 선별기(120)로부터 투입된 연마재를 상향 경사진 형태로 배치된 경사형 스크류(134)를 통해 회전 이송시키면서 내부에 채워진 세척용수를 이용하여 세척하게 됨으로써 연마재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Meanwhile, the abrasives first sorted in the primary sorter 120 are discharged through the abrasive discharge port 121. It is put into the upper part of the primary washer 130 located on the lower side adjacent to it. In addition, in the primary cleaner 130, the abrasives input from the primary sorter 120 are rotated and transferred through an inclined screw 134 disposed in an upwardly inclined form, and are cleaned using the cleaning water filled therein. Foreign substances adsorbed on can be removed.

구체적으로, 1차 세척기(13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펌프(미도시)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용수가 일정 높이로 채워질 수 있는 수조가 내부에 갖추어져 있으며, 1차 세척기(130)의 상부에서 투입된 연마재는 수조 내부에 채워진 세척용수 수면 아래로 잠길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the primary washer 130 is equipped with a water tank inside that can be filled to a certain height with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pump (not shown), and the primary washer 130 The abrasive added from the top may be submerged below the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filled inside the water tank.

그리고, 1차 세척기(130)의 내부에는 1차 세척기(130)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구조로 배치된 경사형 스크류(134)가 설치된다. 이때, 경사형 스크류(134)의 하단 일부분은 1차 세척기(130) 내부에 채워진 세척용수의 수면 아래로 잠긴 상태로 유지되고, 경사형 스크류(134)의 상단 일부분은 1차 세척기(13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유지된다.Additionally, an inclined screw 134 is installed inside the primary washer 130 in an upwardly slanted structure from the inside of the primary washer 130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lower part of the inclined screw 134 is maintained in a state submerged below the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filled inside the primary washer 130, and the upper part of the inclined screw 134 is held in the primary washer 130. It remains exposed to the outside.

이에 따라, 1차 세척기(130) 내부에서 세척용수의 수면 아래에 잠겨 있는 경사형 스크류(134) 하단 부분으로 투입된 연마재가 경사형 스크류(134) 내부에 구비된 회전 스크류를 통해 상부방향으로 회전 이송되는 과정에서 세척용수의 수면 아래에서는 세척용수에 의한 연마재의 세척이 이루어지고, 세척된 연마재가 경사형 스크류(134)를 타고 세척용수 수면 위로 회전 이송되는 과정에서 연마재에 흡착된 일정량의 물이 분리된 후 경사진 스크류(134)를 따라 하부로 낙하되어 연마재의 탈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사형 스크류(134) 구조를 이용하여 연마재를 세척하는 경우, 단위시간 당 연마재의 세척 처리용량을 기존 대비 약 1.5배 이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abrasives introduc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inclined screw 134, which is submerged below the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primary washing machine 130, are rotated and transferred upward through the rotating screw provided inside the inclined screw 134. In the process, the abrasive is washed with the cleaning water below the surface of the cleaning water, and while the cleaned abrasive is rotated and transferred above the surface of the cleaning water via the inclined screw 134, a certain amount of water adsorbed on the abrasive is separated. After that, the abrasive can be dehydrated by falling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crew 134. When cleaning abrasives using this inclined screw 134 structure, the cleaning processing capacity of abrasives per unit time can be increased to about 1.5 times or more compared to the existing one.

또한, 1차 세척기(130)의 상부 측에는 세척용수를 이용한 연마재의 세척과정에서 발생된 오염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132)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32)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수는 여과조(미도시) 내부로 투입되어 침전 과정을 거친 후 부유물질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필터 등으로 제거되어 재생수로 만들어진 후 다시 세척공정에 투입되어 세척용수로 재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n outlet 13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imary cleaner 130 through which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during the cleaning process of abrasives using cleaning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32 is After being put into a filtration tank (not shown) and going through a sedimentation process,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suspended solids are removed through a filter, etc. to create recycled water, and then put back into the washing process to be recycled as washing water.

그리고, 상기 1차 세척기(130)에서 세척 및 탈수 작업이 완료된 상태의 연마재는 경사형 스크류(134)의 최상단 부분에서 배출되어 2차 세척기(140)의 상부로 투입될 수 잇다. In addition, the abrasive after the cleaning and dehydration work has been completed in the primary washer 130 can be discharged from the uppermost part of the inclined screw 134 and introduc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ary washer 140.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100)에서 1차 세척기(130)로부터 배출된 연마재를 2차 세척하는 2차 세척기(140)의 상세구조가 나타나 있다.Meanwhile, Figure 8 shows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econdary cleaner 140, which secondarily cleans the abrasives discharged from the primary cleaner 130 in the large-capacity abrasive re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세척기(140)에는 내부로 투입된 연마재가 외부에서 공급되는 세척용수에 의해 세척되는 사각형 형태의 수조(146)가 구비되며, 상기 사각형 수조(146)의 내에서는 펌프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세척용수를 통해 연마재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2차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secondary washer 140 is provided with a square-shaped water tank 146 in which the abrasives introduced inside are washed with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within the square water tank 146 Secondary cleaning can be perform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dsorbed on the abrasive using clean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pump.

그리고, 2차 세척기(140)의 상부 측에는 사각형 수조(146)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진동모터(141)가 설치되어, 진동모터(141)에서 인가되는 진동력에 의해 내부에 투입된 연마재가 진동하면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세척용수에 의해 연마재의 세척이 이루어지고, 사각형 수조(146)의 바닥면에는 연마재의 세척과정에서 발생된 오염수를 하방으로 배수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 후 연마재에 흡착된 물이 진동모터(141)를 통해 인가되는 진동력에 의해 연마재로부터 분리되어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공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면서 연마재의 탈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one or more vibration motors 141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in the square water tank 146 a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ary washing machine 140, and the abrasive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are generated by the vibration force applied from the vibration motor 141. While the abrasive is vibrated, the abrasive is cleaned by externally supplied cleaning water, and the bottom of the square water tank 146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not shown) to drain the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during the abrasive cleaning process downward. This can be formed. Accordingly, the water adsorbed on the abrasive after cleaning is separated from the abrasive by the vibration force applied through the vibration motor 141 and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drain hol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by allowing dehydration of the abrasive.

이 경우, 2차 세척기(140)에서 하부에 위치한 베이스(144)와 상부에 위치한 사각형 수조(146)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그 이격된 베이스(144)와 사각형 수조(146) 사이에 고무패드 또는 스프링 등의 완충부재(142)가 설치됨으로써, 진동모터(141)를 통해 사각형 수조(146) 부분에 인가되는 진동을 상기 완충부재(142)를 통해 감쇄시켜 하부의 베이스(144)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secondary washing machine 140, the base 144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square water tank 146 located at the top are spaced apart at a certain interval, and a rubber pad is placed between the spaced base 144 and the square water tank 146. Alternatively, by installing a buffer member 142 such as a spring,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square water tank 146 through the vibration motor 141 is attenuated through the buffer member 142 and transmitted to the lower base 144. This can be minimized.

그리고, 본 발명의 연마재 대용량 재생 시스템(100)에서는 상기 1차 및 2차 세척기(130,140)에서 연마재의 세척 후 발생된 오염수를 배출시켜 별로 마련된 여과조(미도시) 내부로 공급하고, 여과조 내부에서 일정시간 동안 오염수를 침전시켜서 오염수 중에 포함된 부유성 이물질을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사용 가능한 형태의 재생수로 생성할 수 있고, 이렇게 생성된 재생수를 다시 1차 및 2차 세척기(130,140)로 투입하여 연마재의 세척작업에 재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arge-capacity abrasive regene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after cleaning the abrasive in the first and second washers 130 and 140 is discharged and supplied into a separately provided filtration tank (not shown), and inside the filtration tank By allowing the contaminated water to sett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loat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water are filtered through a filter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usable reclaimed water can be created, and the reclaimed water thus produced can be used again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washers ( 130,140) and can be recycled for cleaning abrasive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마재 대용량 재생 시스템(100)에서는 연마재의 세척후 발생되는 오염수까지도 여과조를 통해 여과하여 연마재의 세척공정이나 또 다른 용도로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오염된 세척용수를 모두 폐기처리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환경 오염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As such, in the large-capacity abrasive recycl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the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after cleaning the abrasive can be filtered through the filtration tank and recycled for the abrasive cleaning process or other purposes, so all contaminated cleaning water is discarded.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that may occur through treatment can be minimized.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100)에서 2차 저장탱크(150) 및 건조기(160) 부분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것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건조기(16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Meanwhile, Figure 9 shows in detail the secondary storage tank 150 and the dryer 160 in the large-capacity recycling system 100 for abrasi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 shows the dryer 160 shown in Figure 9. It shows the structure in detail.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전술된 2차 세척기(140)에서 2차 세척 및 탈수가 완료된 연마재는 2차 세척기(140)의 배출구(143)를 통해 배출된 후 2차 컨베이어(145)를 통해 2차 저장탱크(150)로 이송되어 2차 저장탱크(150)의 상부로 투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the abrasives that have undergone secondary cleaning and dehydration in the secondary washing machine 140 ar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43 of the secondary washing machine 140 and then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conveyor 145. It can be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storage tank 150 and put in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ary storage tank 150.

2차 저장탱크(150)는 연마재가 투입되는 상부 개방구조를 갖는 'V'자형의 연마재 저장통(151)과, 연마재 저장통(151)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연마재 저장통(151)에 진동을 인가하는 듀얼타이머가 구비된 진동모터(15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ary storage tank 150 is a 'V' shaped abrasive storage tank 151 with an open upper structure into which the abrasive is introduced,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abrasive storage tank 151 to apply vibration to the abrasive storage tank 151.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vibration motor 152 equipped with a dual timer.

여기서, 상기 2차 저장탱크(150)는 그 기본적인 구성이 전술된 1차 저장탱크(110)와 동일하고, 상기 2차 컨베이어(145) 역시 전술된 1차 컨베이어(115)와 기본적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 2차 저장탱크(150) 및 2차 컨베이어(145)에 대한 상세한 구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 the secondary storage tank 150 has the same basic configuration as the primary storage tank 110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ary conveyor 145 also has the same basic configuration as the primary conveyor 115 described above. Therefore, detailed structural description of these secondary storage tanks 150 and secondary conveyors 145 will be omitted.

2차 저장탱크(150)와 인접한 하부 측에는 2차 저장탱크(150)의 하부에서 배출된 연마재를 회전 이송시키면서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기(160)가 설치될 수 있다.A dryer 16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adjacent to the secondary storage tank 150 to dry the abrasives discharg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condary storage tank 150 using hot air while rotating them.

즉, 2차 저장탱크(150)에서 배출된 연마재는 건조기(160)의 일측에 마련된 투입구(161)를 통해 건조기(160) 내부에 설치된 드럼형의 건조챔버(162) 내부로 유입되고, 건조챔버(162)의 내주면에 마련된 스크류 구조를 통해 전방 측으로 회전 이송되면서 건조챔버(162) 외측에 구비된 버너(164)로부터 방출되는 열풍을 이용하여 연마재에 흡착된 수분을 건조시킬 수 있다.That is, the abrasive discharged from the secondary storage tank 150 flows into the drum-shaped drying chamber 162 installed inside the dryer 160 through the inlet 16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yer 160, and is Moisture adsorbed on the abrasive can be dried using hot air emitted from the burner 164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drying chamber 162 while being rotated and transported forward through a screw structur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brasive (162).

이때, 버너(164)는 가스나 석유를 사용하여 건조챔버(162)의 내부 공간으로 화력을 방출시킬 수 있으며, 건조챔버(162) 내부로 투입된 연마재는 건조챔버(162)의 회전에 의해 전방 측으로 회전 이송되면서 버너(162)에서 방출되는 화력 또는 열풍에 의해 연마재 중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하는 킬른 건조기(Kiln drier)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urner 164 can use gas or oil to release thermal power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drying chamber 162, and the abrasives introduced into the drying chamber 162 are moved toward the front by the rotation of the drying chamber 162. It may be configured as a kiln drier method in which moisture contained in the abrasive is evaporated and dried by thermal power or hot air emitted from the burner 162 while being rotated.

상기 건조기(160)에서 건조작업이 완료된 연마재는 건조기(160)의 전방 측에 마련된 연마재 배출구(167)를 통해 배출된 이후 3차 컨베이어(165)를 통해 이송되어 2차 선별기(170)의 상부로 투입된다. 이때, 3차 컨베이어(165)는 전술된 1차 및 2차 컨베이어(115,145)와 그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 설명은 생략한다. 미설명 부호 166은 건조챔버(16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이다.The abrasives that have completed the drying process in the dryer 160 are discharged through the abrasive discharge port 167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dryer 160 and then transferred through the tertiary conveyor 165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ary sorter 170. It is invested. At this time, since the basic structure of the 3rd conveyor 165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1st and 2nd conveyors 115 and 145, detailed structur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unexplained symbol 166 is a driving motor that rotates the drying chamber 162.

한편,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100)에서 2차 선별기 및 3차 저장탱크(180) 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2차 선별기(170)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이다.Meanwhile, Figure 11 is an enlarged detailed view of the secondary sorter and the tertiary storage tank 180 in the large-capacity recycling system 100 for abrasi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2 is a detailed view of the secondary sorter shown in Figure 11 ( This is a detailed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170).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2차 선별기(170)는 건조기(160)로부터 배출된 후 3차 컨베이어(165)를 통해 이송되어 상부로 투입되는 연마재로부터 특정 입자 크기를 갖는 이물질 및 절삭모재를 걸러내는 동시에, 워터젯 가공시스템에 재사용 가능한 조립질의 연마재와 재사용이 불가능한 세립질의 연마재를 구분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ures 11 and 12, the secondary sorter 170 is discharged from the dryer 160 and then transferred through the tertiary conveyor 165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and cutting base materials having a specific particle size from the abrasives introduced to the top. At the same time as filtering,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coarse-grained abrasives that can be reused in the waterjet processing system and fine-grained abrasives that cannot be reused.

구체적으로, 2차 선별기(170)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 복수의 메쉬 플레이트(174,175)가 다단식 구조로 설치된다. 이 경우, 하부 측에 위치한 메쉬 플레이트(175)는 상부 측에 위치한 메쉬 플레이트(174)보다 메쉬(mesh) 크기가 작게 형성됨으로써, 메쉬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상부 측의 메쉬 플레이트(174)를 이용하여 워터젯 가공시스템에 재사용이 가능한 조립질의 연마재를 선별할 수 있고, 메쉬 크기가 작은 하부 측의 메쉬 플레이트(175)를 통해 워터젯 가공에 재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세립질의 미세한 구조를 갖는 연마재를 구분하여 선별할 수 있다.Specifically, inside the secondary sorter 170, a plurality of mesh plates 174 and 175 are installed in a multi-stage structu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mesh plate 175 located on the lower side is formed to have a smaller mesh size than the mesh plate 174 locat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mesh plate 174 on the upper side, which has a relatively large mesh size, can be used. It is possible to select coarse-grained abrasives that can be reused in the waterjet processing system, and through the mesh plate 175 on the lower side with a small mesh size, abrasives that have a fine-grained and fine structure that cannot be reused in waterjet processing can be classified and selected. there is.

그리고, 2차 선별기(170)는 내부에 메쉬 플레이트와 안내판 및 진동모터가 포함된 구성으로, 그 기본적인 장치 구성은 전술된 1차 선별기(120)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상기 1차 선별기(120)와 차이가 있는 구성만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ary sorter 170 is comprised of a mesh plate, a guide plate, and a vibration motor inside, and since its basic devic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primary sorter 120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primary sorter 120 ) will be explained by specifically mentioning only the configurations that are different from ).

2차 선별기(170)에는 내부에서 선별된 조립질의 연마재가 배출될 수 있는 상측 배출구(171)와, 내부에서 선별된 세립질의 연마재가 배출될 수 있는 하측 배출구(172)가 각각 구비되며, 연마재의 선별작업을 거쳐 조립질의 연마재보다 입자크기가 작으면서 세립질의 연마재보다 입자크기가 큰 절삭모재 및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 배출구(173)가 구비된다.The secondary sorter 170 is provided with an upper outlet 171 through which the internally selected coarse-grained abrasives can be discharged, and a lower outlet 172 through which the internally selected fine-grained abrasives can be discharged. A foreign matter outlet 173 is provided through which cutting materials and foreign substances, which have a particle size smaller than that of a coarse-grained abrasive and larger than that of a fine-grained abrasive, are discharged through the selection process.

이와 같이, 2차 선별기(170)에서는 내부에 다단식 구조로 설치되는 복수의 메쉬 플레이트(174,175)를 통해 상부에서 투입된 연마재로부터 연마재보다 큰 이물질과 절삭모재를 걸러낼 수 있고, 또한, 투입된 연마재로부터 워터젯 가공에 재사용 가능한 적정 크기를 갖는 조립질의 연마재만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동시에 워터젯 가공에 재사용할 수 없는 미세한 세립질의 연마재를 별도로 구분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다단식 선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secondary sorter 170 can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and cutting base materials larger than the abrasive from the abrasive input from the top through a plurality of mesh plates 174 and 175 installed in a multi-stage structure inside, and also filters out cutting materials and foreign substances larger than the abrasive from the input abrasive. It can be configured with a multi-stage sorting structure that can separate and discharge only coarse-grained abrasives of an appropriate size that can be reused for processing, while also separately separating and discharging fine-grained abrasives that cannot be reused in waterjet processing.

이 경우, 2차 선별기(170) 내부에 장착되는 메쉬플레이트(174,175)는 조각형태의 절삭모재를 재활용 가능한 연마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측의 메쉬플레이트(174)는 대략 30~40개의 메쉬(mesh)가 형성 것으로 구비되고, 하측의 메쉬플레이트(175)는 대략 120~200개의 메쉬가 형성된 메쉬 플레이트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하부 측에 설치되는 각 메쉬플레이트(174,175)의 메쉬 크기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이 변경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메쉬플레이트의 설치 개수도 2개 이상의 다단식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hat the mesh plates 174 and 175 mounted inside the secondary sorter 170 be configured so that the piece-shaped cutting base material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recyclable abrasive. To this end, the upper mesh plate 174 is provided with approximately 30 to 40 meshes, and the lower mesh plate 175 may have a mesh plate structure with approximately 120 to 200 meshes. However, the mesh size and number of each mesh plate (174, 175)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nd applied as needed, and also, if necessary, the number of mesh plates installed is configured to have a multi-stage structure of two or more. It would also be possible.

한편, 입자 크기가 작은 미세 연마재는 워터젯 가공시 미세 연마재가 워터젯 노즐 구멍을 막아 가공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미세 연마재로 인해 워터젯 노즐 구멍이 막히는 고장이 자주 발생하여 정밀가공품인 워터젯 노즐의 유지보수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입자 크기가 작은 미세 연마재의 경우 연마재의 세척, 분류작업이 어렵고 그에 따라 회수율도 현저히 낮아지기 때문에 기존 연마재 처리설비에서는 미세 연마재를 재활용하지 않고 그대로 폐기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On the other hand, when using fine abrasives with small particle sizes, the processing equipment may not operate properly by blocking the waterjet nozzle hole during waterjet processing. In other words, failures in which waterjet nozzle holes are blocked due to fine abrasives frequently occur, which can increase maintenance costs for waterjet nozzles, which are precision-processed products. In addition, in the case of fine abrasives with small particle sizes, it is difficult to clean and classify the abrasives, and the recovery rate is significantly lower as a result, so it is common in existing abrasive processing facilities to dispose of fine abrasives as is rather than recycling them.

그러나, 본 발명의 2차 선별기(170)에서는 워터젯 가공에 재활용 가능한 적정 크기를 갖는 조립질의 연마재와 워터젯 가공에 재사용할 수 없는 미세한 세립질의 연마재를 별도로 구분하여 선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차 선별기(170)에서 최종 선별 처리된 워터젯 가공에 재활용이 가능한 조립질의 연마재 또는 워터젯 가공에 재활용이 불가능한 세립질의 연마재는 상측 및 하측 배출구(171,172)를 통해 각각 개별적으로 배출된 후, 4차 컨베이어(175)를 통해 3차 저장탱크(180)로 투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3차 저장탱크(180)는 전술된 1,2차 저장탱크(110,150)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장치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3차 저장탱크(180) 상세구조와 관련된 별도의 중복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However, in the secondary sorter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coarse-grained abrasives with an appropriate size that can be recycled for waterjet processing and fine-grained abrasives that cannot be reused in waterjet processing can be separately separated and processed. In addition, the coarse-grained abrasives that can be recycled for waterjet processing or the fine-grained abrasives that cannot be recycled for waterjet processing that are finally sorted in the secondary sorter 170 are individually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outlets 171 and 172, It can be stored by being put into the 3rd storage tank 180 through the 4th conveyor 175. Since the 3rd storage tank 180 has the same basic device configuration as the 1st and 2nd storage tanks 110 and 150 described above, no separate or redundant explanation regard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3rd storage tank 180 will be given.

그리고, 3차 저장탱크(180)에서는 2차 선별기(170)에서 최종 선별 처리된 각 연마재를 연마재 저장통에 일시적으로 저장 및 보관한 후, 연마재 저장통의 하부에 연결된 배출튜브(미도시)를 통해 완제품 형태로 포장할 수 있는 포장설비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튜브를 통해 최종 배출되는, 워터젯 가공에 재활용 가능한 조립질의 연마재와, 재활용이 불가능한 세립질의 연마재를, 각각 포장 설비로 공급하여 연마재를 최종 완제품 형태로 소분할 포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워터젯 가공에 재활용이 불가한 세립질의 미세 연마재는 별도의 제품 형태로 소분할 포장된 후 미세 연마재가 필요한 반도체 공정이나 유리 가공 공정 등에 재사용되도록 제품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3rd storage tank 180, each abrasive that has been finally sorted in the secondary sorter 170 is temporarily stored and stored in an abrasive storage tank, and then is discharged into the finished product through a discharge tube (not shown)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abrasive storage tank. It can be supplied with packaging equipment that can be packaged in any form. That is, the coarse-grained abrasives that can be recycled for waterjet processing and the fine-grained abrasives that cannot be recycled, which are final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tube, can be supplied to packaging facilities, respectively, and the abrasives can be packaged in small portions in the form of final finished products. In this case, fine-grained fine abrasives that cannot be recycled in waterjet processing can be packaged in small portions as separate products and then supplied in product form to be reused in semiconductor processes or glass processing processes that require fine abrasives.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연마재 대용량 재생시스템(100)을 이용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공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large-capacity regeneration process of abrasives using the large-capacity abrasive regene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공정을 순차적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방법은, 먼저, 워터젯 가공업체에서 사용된 연마재(폐연마재)를 회수하여 1차 저장탱크(110)에 저장한다.(S210)Figure 13 sequentially shows a large-capacity regeneration process of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large-capacity regeneration of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companies ( Waste abrasives) are recovered and stored in the primary storage tank 110 (S210).

그리고, 상기 1차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연마재는 하부의 배출구(111a)를 통해 정량 배출된 후, 1차 컨베이어(115)를 통해 소분할된 형태로 이송되어 1차 선별기(120)의 상부로 투입된다.In addition, the abrasives stored in the primary storage tank 110 are discharged in a fixed quantity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1a at the bottom, and are then transferred in small pieces through the primary conveyor 115 to the upper part of the primary sorter 120. It is put into.

이때, 1차 저장탱크(110)에서는 투입된 연마재의 점도에 따라 진동모터(112)에 부착된 듀얼타이머(114)의 타이머 시간을 달리 설정하여 진동모터(112) 작동시간이 개별적으로 카운트되도록 함으로써, 1차 저장탱크(110)에 투입된 연마재의 점도에 맞게 1차 선별기(120)로 투입되는 연마재의 투입량을 정량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primary storage tank 110, the timer time of the dual timer 114 attached to the vibration motor 112 is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iscosity of the input abrasive, so that the operating time of the vibration motor 112 is individually counted, The amount of abrasive input to the primary sorter 120 can be quantita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viscosity of the abrasive input to the primary storage tank 110.

그런 다음, 1차 선별기(120)에서는 상부에서 투입된 연마재 중에서 입자크기가 큰 절삭모재 및 이물질들을 걸러내어 재활용 가능한 연마재를 1차 선별한다.(S210)Then, the primary sorter 120 filters out cutting materials and foreign substances with large particle sizes from the abrasives input from the top to first select recyclable abrasives (S210).

그리고, 1차 선별기(120)에서 1차 선별 과정을 거친 연마재는 1차 세척기(130) 내부로 투입되며, 상기 1차 세척기(130) 내부에서 세척용수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연마재가 경사형 스크류(134)를 통해 상부로 회전 이송되면서 내부에 채워진 세척용수를 통해 세척되는 동시에 상부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연마재에 흡착된 물이 하방으로 낙하되어 탈수된다.(S230)Then, the abrasives that have gone through the first sorting process in the primary sorter 120 are introduced into the primary cleaner 130, and the abrasives located below the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primary cleaner 130 are used by an inclined screw. As it is rotated and transported upward through (134), it is washed through the cleaning water filled inside, and at the same time, during the upward transport process, the water adsorbed on the abrasive falls downward and is dehydrated (S230).

이어서, 상기 1차 세척기(130)에서 1차 세척 및 탈수된 연마재는 2차 세척기(140)로 투입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세척용수를 통해 2차 세척된 후, 진동모터(141)를 통해 인가되는 진동력에 의해 탈수가 이루어진다.(S240)Subsequently, the abrasives that have been first cleaned and dehydrated in the first washer 130 are input into the second washer 140 and are secondarily washed with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n the abrasive is applied through the vibration motor 141. Dehydration is achieved by vibration force. (S240)

다음으로, 상기 2차 세척기(140)에서 2차 세척 및 탈수가 완료된 연마재는 2차 컨베이어(145)를 통해 이송되어 2차 저장탱크(150)로 투입되어 저장되고(S250),이후, 건조기(160) 내부로 투입되어 건조기(160) 내부에서 전방으로 회전 이송되면서 열풍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건조된다.(S260)Next, the abrasives on which secondary washing and dehydration have been completed in the secondary washing machine 140 are transferred through the secondary conveyor 145 and stored in the secondary storage tank 150 (S250), and then in the dryer ( 160) It is put inside and rotated forward inside the dryer 160 and dri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using hot air (S260).

그리고, 건조기(160)에서 건조가 완료된 연마재는 3차 컨베이어(165)를 통해 2차 선별기(170)로 투입되며, 상기 2차 선별기(170)에서는 내부에 구비된 다단식 구조를 갖는 복수의 메쉬 플레이트(174,175)를 통해 투입된 연마재로부터 이물질 및 절삭모재를 걸러내는 동시에, 워터젯 가공에 재활용이 가능한 조립질의 연마재와 워터젯 가공에 재활용이 불가능한 세립질의 연마재를 구분 선별한 후 외부로 배출된다.(S270)Then, the abrasives that have been completely dried in the dryer 160 are fed into the secondary sorter 170 through the tertiary conveyor 165, and in the secondary sorter 170, a plurality of mesh plates having a multi-stage structure are provided inside. (174,175) Foreign substances and cutting materials are filtered out from the input abrasives, and coarse-grained abrasives that can be recycled for waterjet processing and fine-grained abrasives that cannot be recycled for waterjet processing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S270).

그런 다음, 상기 2차 선별기(170)에서 입자 크기별로 구분 선별된 연마재는 4차 컨베이어(175)를 통해 3차 저장탱크(180)로 이송되어 상기 3차 저장탱크(180)에 일시적으로 저장 및 보관된다.(S280)Then, the abrasives sorted by particle size in the secondary sorter 170 are transferred to the tertiary storage tank 180 through the 4th conveyor 175 and temporarily stored in the tertiary storage tank 180. It is stored. (S280)

그리고, 상기 3차 저장탱크(180)에 저장 및 보관된 연마재는 포장설비로 공급되어 완제품 형태로 최종 포장됨으로써 연마재 재생공정이 모두 완료된다.(S290)Then, the abrasives stored and stored in the tertiary storage tank 180 are supplied to packaging equipment and finally packaged in the form of finished products, thereby completing the abrasive recycling process (S29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고가의 연마재를 일련의 연속된 공정을 통해 높은 회수율로 용이하게 회수하여 재활용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워터젯 가공시 발생하는 절삭모재와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높은 회수율로 회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cover and recycle expensive abrasives used in waterjet machining at a high recovery rate through a series of continuous processes, and also allows the cutting base material generated during waterjet machining and the abrasives used in waterjet machining to be recycled. It has the advantage of effectively separating abrasives and recovering them at a high recovery rate.

특히, 본 발명의 연마재 대용량 재생 공정에 따르면, 하루 10톤 이상의 연마재를 대용량으로 재생 처리할 수 있으며, 기존에 사용 후 폐기되던 고가의 연마재를 70% 이상의 높은 회수율로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재사용되지 못하고 전량 폐기처분 함에 따라 발생되던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연마재의 세척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수를 여과조로 투입하여 침전작용 및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킨 후 다시 세척공정에 투입하여 연마재 세척을 위한 재생수로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수의 방출에 따른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면서 자원 리싸이클 측면에서 한층 유용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large-capacity abrasive recycl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than 10 tons of abrasives per day can be recycled in large quantities, and expensive abrasives that were previously discarded can be recovered and reused with a high recovery rate of 70% or m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conomic loss that occurred when existing materials were not reused and were entirely disposed of. In addition, the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during the cleaning process of abrasives can be put into a filtration tank, filtered using sedimentation and a filter, and then put back into the cleaning process to be recycled as reclaimed water for cleaning abrasives. Therefore, the environment is affected by the discharge of contaminated water. It can have a more useful effect in terms of resource recycling while minimizing pollution.

또한, 연마재의 1차 세척공정에 있어서, 물과 연마재가 함께 채워져 있는 있는 수조 내부에 경사형 스크류(134)의 일부분이 잠긴 상태에서 연마재의 상향 회전 이송이 이뤄지는 과정을 통해 미세한 연마재 및 이물질은 물 위에서 부유하여 분리되고, 물 위에 부유하지 않을 정도 크기의 연마재만 경사형 스크류(134)를 통해 회전 이송되면서 세척 및 탈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연마재의 세척시간이 단축되고, 세척효율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cleaning process of the abrasive, fine abrasives and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from the water through a process in which the abrasive is rotated upward while a portion of the inclined screw 134 is submerged inside a water tank filled with water and abrasive. The abrasives are separated by floating from above, and only the abrasives of a size that do not float on the water are rotated and transferred through the inclined screw 134, and cleaning and dewatering are carried out continuously, which has the advantage of shortening the cleaning time of the abrasives and increasing cleaning efficiency. there is.

또한, 기존 방식의 연마재 재활용 장치는 입자 크기가 큰 연마재만을 회수하고, 일정 크기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갖는 연마재는 세척 불량으로 모두 폐기처리함에 따라 연마재의 회수율이 낮고 경제성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2차 선별기로 투입되는 연마재의 크기에 따라 다단식 구조의 메쉬 플레이트로 연마재를 입자 크기별로 구분하여 분류하고, 워터젯 가공에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정 크기 이하의 미세한 세립질 연마재도 반도체 공정이나 유리 가공 등에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abrasive recycling device only recovers abrasives with large particle sizes, and all abrasives with particle sizes below a certain size are discarded due to poor cleaning, resulting in a low recovery rate of abrasives and lower economic efficiency. In the invention, the abrasives are classified by particle size using a multi-stage mesh plat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brasives fed into the secondary sorter, and fine-grained abrasives below a certain size that cannot be reused in waterjet processing are also used in semiconductor processing or glass processing.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recyclab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필수적 특징을 유지한 채로 다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while maintaining the technical idea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규정되어질 것이지만, 특허청구범위 기재사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도출되는 구성은 물론 그와 등가인 구성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ut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configurations equivalent to the configurations directly derived from the claim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100 : 연마재 대용량 재생 시스템
110 : 1차 저장탱크
111,151 : 연마재 저장통
112,125,141,152 : 진동모터
114 : 듀얼타이머
115,145,165,175 : 1,2,3,4차 컨베이어
120 : 1차 선별기
123,174,175 : 메쉬 플레이트
124 : 안내판
130 : 1차 세척기
134 : 경사형 스크류
140 : 2차 세척기
142 : 완충부재
144 : 베이스
146 : 사각형 수조
150 : 2차 저장탱크
160 : 건조기
162 : 건조챔버
164 : 버너
170 : 2차 선별기
180 : 3차 저장탱크
100: Abrasive large-capacity regeneration system
110: Primary storage tank
111,151: Abrasive storage bin
112,125,141,152: Vibration motor
114: Dual timer
115,145,165,175: 1st, 2nd, 3rd, 4th conveyor
120: primary sorter
123,174,175: Mesh plate
124: Information board
130: 1st washing machine
134: inclined screw
140: secondary washing machine
142: Buffer member
144: base
146: square water tank
150: Secondary storage tank
160: dryer
162: Drying chamber
164: burner
170: secondary sorter
180: tertiary storage tank

Claims (9)

워터젯 가공시스템을 이용한 가공 대상물의 절삭가공 후 발생되는 연마재(폐연마재)를 저장하는 1차 저장탱크;
상기 1차 저장탱크로부터 이송 후 투입된 연마재로부터 입자크기가 큰 절삭모재 및 이물질을 걸러내어 재활용 가능한 연마재를 선별하는 1차 선별기;
상기 1차 선별기로부터 투입된 연마재를 상방으로 회전 이송시키면서 외부에서 공급된 세척용수로 1차 세척하여 상기 연마재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 세척기;
상기 1차 세척기로부터 배출 후 투입된 연마재를 세척용수로 2차 세척 및 탈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2차 세척기;
상기 2차 세척기로부터 이송 후 투입된 연마재를 저장하는 2차 저장탱크;
상기 2차 저장탱크에서 배출 후 투입된 연마재를 회전 이송시키면서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건조기;
상기 건조기로부터 이송 후 투입된 연마재로부터 이물질 및 절삭모재를 걸러내는 동시에 워터젯 가공시스템에 재사용 가능한 조립질의 연마재와 재사용이 불가능한 세립질의 연마재를 구분하여 선별하는 2차 선별기;
상기 2차 선별기에서 최종 선별 처리된 재활용 가능한 연마재를 저장하고, 저장된 연마재를 최종 제품 형태의 포장을 위해 배출하는 3차 저장탱크;
를 포함하는,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
A primary storage tank that stores abrasives (waste abrasives) generated after cutting processing objects using a waterjet processing system;
A primary sorter for selecting recyclable abrasives by filtering out cutting materials and foreign substances with large particle sizes from the abrasives introduced after being transferred from the primary storage tank;
A primary washing machine that rotates and transports the abrasive input from the primary sorter upward while performing primary washing with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dsorbed on the abrasive;
A secondary washing machine that secondary washes and dehydrates the abrasives input after discharge from the primary washing machine with washing water and discharges them to the outside;
a secondary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abrasives introduced after being transferred from the secondary washing machine;
A dryer that rotates and transports the abrasives introduced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secondary storage tank and dries them using hot air;
A secondary sorter that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and cutting base materials from the abrasives fed after being transferred from the dryer, and simultaneously separates coarse-grained abrasives that can be reused in the water jet processing system from fine-grained abrasives that cannot be reused;
A tertiary storage tank that stores the recyclable abrasives that have been finally sorted in the secondary sorter and discharges the stored abrasives for packaging in the form of a final product;
A large-capacity recycling system for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includ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세척기에서 사용된 세척용수 중에 포함된 부유성 이물질을 여과하여 사용 가능한 재생수를 생성하는 여과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
The abrasive used in waterjet processing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ltration tank that filters float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used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washing machines to generate usable recycled water. High-capacity playback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내지 3차 저장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장탱크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V'자형 단면구조를 갖는 연마재 저장통과,
상기 연마재 저장통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모터에는 상기 연마재 저장통에 투입된 연마재의 점성에 따라 타이머 시간을 다르게 설정하여 연마재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듀얼타이머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storage tanks is,
An abrasive storage passage with a 'V' 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pen,
It includes a vibration motor that applies vibration to the abrasive reservoir,
A large-capacity regeneration system for abrasives used in waterjet machi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vibration motor is connected to a dual timer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abrasives by setting the timer time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iscosity of the abrasives added to the abrasive reservo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세척기는, 내부에 채워진 세척용수의 수면 아래로 하단 일부분이 잠긴 상태에서 연마재를 회전하는 스크류를 통해 상부로 회전 이송시키면서 세척 및 배출할 수 있도록 내부에서 외부로 상향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경사형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imary cleaner rotates and transfers the abrasives upward through a rotating screw while the lower part is submerged below the surface of the cleaning water filled inside, and moves upwar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so that the abrasives can be cleaned and discharged. A large-capacity recycling system for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comprising an inclined screw installed in an inclined 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선별기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 복수의 메쉬 플레이트가 다단식 구조로 설치되되,
하부에 위치한 메쉬 플레이트는 상부에 위치한 메쉬 플레이트보다 메쉬(mesh)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mesh plate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installed in a multi-stage structure inside the secondary sorter,
A large-capacity recycling system for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wherein the mesh plate located at the bottom has a smaller mesh size than the mesh plate located at the top.
워터젯 가공시스템을 이용한 가공 대상물의 절삭가공 후 발생되는 연마재(폐연마재)를 1차 선별기로 투입하여 연마재 중에 포함된 입자크기가 큰 절삭모재 및 이물질을 걸러내어 선별하는 1차 선별단계;
상기 1차 선별기를 통해 선별된 연마재를 1차 세척기에 투입하여 연마재를 상방으로 회전 이송시키면서 세척용수를 이용하여 연마재를 세척하는 1차 세척단계;
상기 1차 세척기를 통해 세척이 완료된 연마재를 2차 세척기에 투입하여 세척용수로 세척하는 동시에 세척된 연마재에 진동을 인가하여 탈수하는 2차 세척단계;
상기 2차 세척기를 통해 세척 및 탈수가 완료된 연마재를 건조기에 투입하여 연마재를 전방으로 회전 이송시키면서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기를 통해 건조된 연마재를 2차 선별기에 투입하여 연마재로부터 이물질 및 절삭모재를 걸러내는 동시에 워터젯 가공시스템에 재사용이 가능한 조립질의 연마재와 재사용이 불가능한 세립질의 연마재를 각각 구분하여 선별하는 2차 선별단계;
를 포함하는,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방법.
A primary sorting step in which abrasives (waste abrasives) generated after cutting of a processing object using a waterjet processing system are fed into a primary sorter to filter out cutting materials and foreign substances with large particle sizes contained in the abrasives;
A primary cleaning step of putting the abrasives selected through the primary sorter into the primary washing machine and rotating the abrasives upward while washing the abrasives using washing water;
A secondary washing step of putting the abrasives that have been cleaned through the first washing machine into a secondary washing machine and washing them with washing water while simultaneously applying vibration to the cleaned abrasives to dehydrate them;
A drying step of putting the abrasives that have been cleaned and dehydrated through the secondary washing machine into a dryer and drying them using hot air while rotating the abrasives forward;
The abrasives dried through the dryer are put into a secondary sorter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and cutting materials from the abrasives, while simultaneously sorting out coarse-grained abrasives that can be reused in the waterjet processing system and fine-grained abrasives that cannot be reused. step;
A large-capacity regeneration method of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includ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선별단계에서는, 연마재의 점성에 따라 상기 1차 선별기로 투입되는 연마재의 투입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in the first sorting step, the amount of abrasives fed into the first sorte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viscosity of the abrasiv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세척단계에서는, 상기 1차 세척기 내부 세척용수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연마재를 경사형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방으로 회전 이송시키면서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in the first cleaning step, the abrasive located below the water surface of the cleaning water inside the first washer is cleaned by rotating and transferring it upward using an inclined screw. Method for recycling large quantities of used abrasiv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선별단계에서는, 상기 2차 선별기 내부에 다단식 구조로 설치된 복수의 메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워터젯 가공시스템에 재사용 가능한 조립질의 연마재와 재사용이 불가능한 세립질의 연마재를 각각 구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가공에 사용된 연마재의 대용량 재생 방법.

According to claim 6, in the secondary sorting step, a plurality of mesh plates installed in a multi-stage structure inside the secondary sorter are used to separate and select coarse-grained abrasives that can be reused in the waterjet processing system and fine-grained abrasives that cannot be reused. A large-capacity regeneration method of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20050136A 2022-04-22 2022-04-22 High-capacity recycling system and method for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KR1026408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136A KR102640830B1 (en) 2022-04-22 2022-04-22 High-capacity recycling system and method for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136A KR102640830B1 (en) 2022-04-22 2022-04-22 High-capacity recycling system and method for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582A true KR20230150582A (en) 2023-10-31
KR102640830B1 KR102640830B1 (en) 2024-02-23

Family

ID=88543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136A KR102640830B1 (en) 2022-04-22 2022-04-22 High-capacity recycling system and method for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83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936B1 (en) 1997-07-16 2001-11-05 포만 제프리 엘 Method of making a memory device fault tolerant using a variable domain redundancy replacement configuration
KR20010113616A (en) 2001-12-06 2001-12-28 박길순 system reproduction and collect abrasives use water-jet
KR100865958B1 (en) 2007-06-20 2008-10-30 윤원식 Sludge retrieval apparatus and a method for waterjet device
KR101725946B1 (en) * 2016-09-23 2017-04-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Blast decontamination system using recoverable abrasive material
KR101928748B1 (en) * 2018-04-11 2018-12-13 조재용 Shot Blast System with Continuance Belt Conveyor Type
KR102212418B1 (en) * 2020-04-24 2021-02-04 (주)제일알루미늄 Apparatus for recycling water-jet abrasiv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936B1 (en) 1997-07-16 2001-11-05 포만 제프리 엘 Method of making a memory device fault tolerant using a variable domain redundancy replacement configuration
KR20010113616A (en) 2001-12-06 2001-12-28 박길순 system reproduction and collect abrasives use water-jet
KR100865958B1 (en) 2007-06-20 2008-10-30 윤원식 Sludge retrieval apparatus and a method for waterjet device
KR101725946B1 (en) * 2016-09-23 2017-04-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Blast decontamination system using recoverable abrasive material
KR101928748B1 (en) * 2018-04-11 2018-12-13 조재용 Shot Blast System with Continuance Belt Conveyor Type
KR102212418B1 (en) * 2020-04-24 2021-02-04 (주)제일알루미늄 Apparatus for recycling water-jet abras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830B1 (en) 2024-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975B1 (en) Multistage sorting and circulation aggregate recovery system of suspended matter in construction waste
JPH0663867A (en) Recovery and purification system for blasting medium
US8764513B1 (en) Media recycling apparatus and process for wet media blast operations
US20060049112A1 (en) Coolant fluid cleaning method, system, and apparatus
KR101067584B1 (en) System to regenerate waste plastics and method to recycle water used there
KR102141236B1 (en) Various dredged soil purification system
KR100789054B1 (en) Environmentally freindly blast apparatus
JP2019042724A (en) Soil purification system
KR199900873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and treating renewable waste materials
KR102111034B1 (en) Dredged soil processing device
KR100574675B1 (en) Separating method for remaking building waste
KR102640830B1 (en) High-capacity recycling system and method for abrasives used in waterjet processing
JP4697719B2 (en) Method for purifying contaminated soil and separation apparatus used therefor
KR100987198B1 (en) Contaminated soil washing sorting system loaded in the vehicle
CN210231430U (en) Scouring sand production system and waste sand recycling system
KR101305936B1 (en) Eco-friendly water jet processing system
EA036141B1 (en) Method for recycling abrasive used for high pressure waterjet cutting from cutting sludge and equipment for application of this method
KR100633765B1 (en) Separating method for remaking building waste
JP2019107635A (en) Soil purification system
RU2728001C1 (en) Process scheme of spent garnet sand regeneration from hydro-abrasive cutting
JP2019107638A (en) Soil purification system
KR101269213B1 (en) Method for removing hydro carbon from contaminated soil
JP7136451B2 (en) Hazardous waste recovery method, recycled material recovery method, and hazardous waste recovery system
KR100432683B1 (en) Environmental reproduction equipment for waste concrete and waste asphalt and its method
JP6618039B2 (en) Decontamination soil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