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577A -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 및 그의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 및 그의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577A
KR20230150577A KR1020220050128A KR20220050128A KR20230150577A KR 20230150577 A KR20230150577 A KR 20230150577A KR 1020220050128 A KR1020220050128 A KR 1020220050128A KR 20220050128 A KR20220050128 A KR 20220050128A KR 20230150577 A KR20230150577 A KR 20230150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content
neck
pain relief
sonic vib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주)에보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보소닉 filed Critical (주)에보소닉
Priority to KR1020220050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0577A/ko
Publication of KR20230150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57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1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 A61H23/0236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using sonic waves, e.g. using loud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 및 그의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는, 사용자 목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목 지지부, 목 지지부의 후면에 장착되는 음파 치료부를 포함하고, 음파 치료부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오디오 콘텐츠를 입력받는 근거리통신 수신부, 입력받은 오디오 콘텐츠로부터 저주파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 필터링된 오디오 콘텐츠를 이용하여 음파진동을 발생시키는 음파진동 발생부, 및 입력받은 오디오 콘텐츠, 및 상기 발생된 음파진동을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 및 그의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 {DEVICE FOR RELIEVING NECK PAIN USING SOUND WAVE VIBRATION AND OPERATING METHDO FOR PLAYING MUSIC THEREOF}
본 발명은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 및 그의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에 의해 음파 진동 마사지를 함과 동시에 음악 듣기가 가능한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 및 그의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학교, 직장 등에서 정해진 자리에 앉아 있는 시간이 많고,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의 사용이 많다. 이러한 이유로, 경직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통증에 시달리고 있다.
더불어, 웰빙 열풍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경직된 자세로 인한 통증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압, 마사지와 같은 자극 요법이 관심 받고 있다.
자극 요법은 통증 전문 병원에서도 물리치료와 같은 형태로 행해지기도 하고, 마사지를 전문으로 하는 업소에서 행해지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치료를 원하는 사람이 직접 통증 전문 병원, 혹은 마사지 전문 업소를 방문하여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시간을 할애하여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예약이 어려워 더욱 곤란한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마사지를 받기 위해 해당 장소를 방문하여야 하는 노고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안마의자가 등장하였다. 안마의자는 구매 혹은 렌탈의 형태 중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는데, 그 비용이 만만치 않다. 또한, 안마의자는 설치장소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층간소음을 유발하는 등 여러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안마의자는 전신을 마사지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많은 현대인의 경우 장시간 경직된 자세로 인해 척추와 연결된 목 건강이 가장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안마의자를 설치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목 건강을 위한 마사지가 가능한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안마의자를 포함하여 진동에 의해 마사지를 제공하는 대부분의 기기들은 제품 출시 당시에 설정된 형태로 진동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진동 제공 방식은 사용자로 하여금 지루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어떤 좋은 기능을 가진 기기일지라도,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79244호(2021. 07. 20. 등록)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에 의해 음파 진동을 생성하여 목 마사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음파 진동을 제공할 수 있고, 목 마사지를 받으면서 동시에 원하는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 및 그의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는, 사용자 목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목 지지부, 목 지지부의 후면에 장착되는 음파 치료부를 포함하고, 음파 치료부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오디오 콘텐츠를 입력받는 근거리통신 수신부, 입력받은 오디오 콘텐츠로부터 저주파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 필터링된 오디오 콘텐츠를 이용하여 음파진동을 발생시키는 음파진동 발생부, 및 입력받은 오디오 콘텐츠, 및 상기 발생된 음파진동을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필터링부는, 150Hz 이하의 저주파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음파 치료부는, 음파진동 발생을 위한 음원을 저장하는 저장부, 음원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음파진동 발생부에서 입력받은 음원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음원에 의해 음파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음원 선택신호는,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 및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콘텐츠를 선택하는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오디오 출력부는, 오디오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근거리통신 송신 모듈, 오디오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유선 오디오 출력 모듈을 포함하며, 제어부는, 외부 오디오 출력장치의 연결 상태에 따라, 근거리통신 송신 모듈, 및 유선 오디오 출력 모듈 중 어느 하나로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의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은, 사용자 목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목 지지부, 및 목 지지부의 후면에 장착되는 음파 치료부를 포함하는 음파진동을 위한 목 통증 완화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오디오 콘텐츠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오디오 콘텐츠로부터 저주파를 필터링하는 단계, 필터링된 오디오 콘텐츠를 이용하여 음파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입력받은 오디오 콘텐츠, 및 발생된 음파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필터링하는 단계는, 150Hz 이하의 저주파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음원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음파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입력받은 음원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음원에 의해 음파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음원 선택신호는, 기저장된 음원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 및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콘텐츠를 선택하는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장치와의 근거리통신을 통해 전송받는 오디오 콘텐츠를 이용하여 음파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자체 내장된 음원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음원에 의한 음파진동으로 마사지가 가능한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 및 그의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목 통증 완화 장치에 근거리 무선 통신의 수신부 및 송신부가 각각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가 목 통증 완화 장치와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무선 오디오 출력 기기를 통해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의 외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파 치료부의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오디오 출력부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제1 엘리먼트 (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시스템은, 목 통증 완화 장치(100), 사용자 단말장치(200), 및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목 통증 완화 장치(100)를 이용하여 목 마사지를 받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장치이다. 사용자 단말장치에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가진 기기는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자체 메모리(미도시)에 다수의 오디오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인터넷을 통한 통신이 가능하여, 다양한 음악 콘텐츠를 제공하는 음악 서버(미도시)로부터 오디오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를 통해, 목 통증 완화 장치(100)로 자신이 원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콘텐츠가 목 통증 완화 장치(100)에서 음파 진동을 위한 음원으로도 사용되고, 더불어 사용자는 오디오 콘텐츠를 청취할 수도 있다.
목 통증 완화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장치(200) 및 오디오 출력 장치(300)와의 통신이 가능하고,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오디오 콘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목 통증 완화 장치(100)는 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목에 마사지 효과를 제공한다. 음파 진동은, 공기나 특성 물질이 발음체의 진동을 받아서 전달되어지는 소리의 파동을 말하는 것으로, 자연스러운 소리의 진동이 인체에 전달됨으로써 기혈순환 및 세포 활성화를 도와 인체의 통증 완화는 물론 노화된 피부 및 손상된 근육, 인대, 뼈, 관절의 회복을 유도할 수 있으며, 체성감각의 자극을 통해 신경계의 활성화와 스트레스 감소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목 통증 완화 장치(100)에 의해 목의 통증을 완화함은 물론 목의 건강을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목 통증 완화 장치(100)는 자체적으로 생성한 음원을 이용해 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기도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오디오 콘텐츠를 이용해 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목 통증 완화 장치(100)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목 통증 완화 장치(100)에 연결되어 목 통증 완화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콘텐츠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장치로, 유선 이어폰(310), 및 무선 이어폰(320)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선 이어폰(310), 및 무선 이어폰(320)만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는 유선 헤드셋, 무선 헤드셋, 유선 스피커, 및 무선 스피커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사용자들은 기본적으로 일인 일대의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휴대가 가능한 컴퓨팅 장치들은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사용자는 블루투스를 통해 무선 기기와 페어링하여 무선 기기를 사용하게 된다. 블루투스 기능에 의해, 사용자는 유선의 한계를 벗어나 자유롭게 활동하면서 무선 기기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으나, 블루투스는 동시에 여러 기기를 연결할 수는 없다. 즉, 사용자가 무선 키보드, 무선 이어폰, 및 무선 프린터 등 다양한 블루투스 연결 기능을 갖는 무선 기기를 보유하고 있더라도, 한 번에 한 가지 무선 기기만을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장치(200)도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다. 이때,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기본적으로 목 통증 완화 장치(100)와 페어링 되어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콘텐츠를 목 통증 완화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목 통증 완화 장치(100)를 이용하여 목 마사지를 진행하는 중에 무선 이어폰(320)을 이용하여 음악을 청취하고 싶더라도, 무선 이어폰(320)을 사용자 단말장치(200)와 연결할 수 없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목 통증 완화 장치(100)에서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및 오디오 출력 장치(300)와의 통신 기능을 모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장치(200)가 목 통증 완화 장치(100)와 연결되어 있는 중에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콘텐츠를 청취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동작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목 통증 완화 장치(100)는 목 지지부(110)와 음파 치료부(120)를 포함한다.
목 지지부(110)는 사용자 목의 측면와 후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침대에 누운 상태 혹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목의 후면을 잘 받쳐줄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목 지지부(110)는 목의 전체를 포함하여 뒤통수의 하단까지 음파 진동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목 지지부(110)는 사용자가 목 통증 완화 장치(100)에 기대었을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푹신한 소재를 사용하되, 원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견고함도 가지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파 치료부(120)는 목 지지부(110)의 후면에 장착되며, 음원 혹은 오디오 콘텐츠에 의한 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목에 마사지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음파 치료부(120)에서 발생한 음파 진동이 목 지지부(110)를 거쳐 사용자의 목 부위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파 치료부(120)가 목 지지부(110)의 후면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되어 외부로는 돌출되지 않는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음파 치료부(120)와 목 지지부(110)의 연결 위치 및 상태는 마사지 효과를 극대화시키거나, 혹은 마사지에 악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면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파 치료부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오디오 출력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100)의 음파 치료부(120)는 근거리통신 수신부(121), 필터링부(122), 음파진동 발생부(123), 저장부(124), 사용자 입력부(125), 오디오 출력부(126), 및 제어부(127)를 포함한다.
근거리통신 수신부(121)는 목 통증 완화 장치(100)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것으로, 통상의 블루투스 수신부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근거리통신 수신부(121)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오디오 콘텐츠를 전송받는다.
필터링부(122)는 근거리통신 수신부(121)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전송받은 오디오 콘텐츠로부터 150Hz 이하의 저주파를 필터링한다. 여기서, 오디오 콘텐츠로부터 저주파를 필터링하는 것은 음파 진동의 음원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음파진동 발생부(123)는 소정 음원을 이용하여 음파진동을 발생시킨다. 음파진동 발생부(123)에서 음파진동 발생의 음원으로 사용되는 것은, 저장부(124)에 저장된 음원 혹은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전송받은 오디오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음파진동 발생부(123)에서 음파진동은, 음파진동 발생시 사용하는 음원의 종류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음파진동 발생부(123)에서 사용하는 음원이 다양할수록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음파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24)는 본 목 통증 완화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 일 예로, 저장부(124)는 음파진동 발생부(123)의 동작에 필요한 음원을 저장한다. 여기서, 음원은 목 마사지를 위해 최적화된 전용 음원과, 파도소리, 빗소리, 시냇물소리, 및 새소리와 같이 수면 도움 효과를 주는 음원과, 일반적인 음악에 의한 음원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5)는 사용자와 목 통증 완화 장치(10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소정 입력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음파 치료부(12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소정 버튼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는 경우에 사용자 입력부(125)는 조작된 버튼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음파 치료부(120)에 구비되는 버튼으로는 전원 온/오프 버튼, 진동 세기 조절 버튼, 음원 선택 버튼, 및 출력모드 선택 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6)는 음파진동 발생부(123)에 의해 발생된 음파진동과 음원을 출력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오디오 출력부(126)는 음파진동 출력 모듈(126a), 근거리통신 송신 모듈(126b), 및 유선 오디오 출력 모듈(126c)을 포함한다.
음파진동 출력 모듈(126a)은 음파진동 발생부(123)에 의해 발생된 음파진동을 출력한다. 음파진동 출력 모듈(126a)은 근거리통신 송신 모듈(126b), 및 유선 오디오 출력 모듈(126c)이 동작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마사지를 원하는 경우에 항상 동작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 송신 모듈(126b)은 사용자가 오디오 출력으로 무선 이어폰(320)과 같은 무선 장치를 사용하여 음악을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오디오 콘텐츠 혹은 음원을 출력한다. 이를 위해, 근거리통신 송신 모듈(126b)은 블루투스 송신부일 수 있다.
유선 오디오 출력 모듈(126c)은 사용자가 유선 이어폰(310)과 같은 유선 장치를 사용하여 음악을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으로, 오디오 콘텐츠 혹은 음원을 출력한다. 유선 오디오 출력 모듈(126c)은 하드웨어적으로 오디오 단자 예를 들면, 3.5파이 이어폰 잭 혹은 마이크로 C 잭이 연결되는 단자와 연동될 수 있다.
본 목 통증 완화 장치(100)가 마사지를 진행하는 동안, 음파진동 출력 모듈(126a)은 항상 동작하게 되지만, 근거리통신 송신 모듈(126b)과 유선 오디오 출력 모듈(126c)은 선택한 하나의 모듈만 동작하거나 혹은 두 모듈 모두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27)는 근거리통신 수신부(121), 필터링부(122), 음파진동 발생부(123), 저장부(124), 사용자 입력부(125), 및 오디오 출력부(126)들 간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한다.
제어부(127)는 사용자 입력부(125)를 통해 음원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음원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음원을 이용하여 음파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음파진동 발생부(123)를 제어한다. 이때, 음원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음원이 저장부(124)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일 경우, 제어부(127)는 저장부(124)로부터 해당 음원을 추출하여 음파진동 발생부(123)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7)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연결 상태에 따라, 근거리통신 송신 모듈(126b), 및 유선 오디오 출력 모듈(126c) 중 어느 하나가 음원 혹은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목 통증 완화 장치(100)의 무선 동작을 위해, 음파 치료부(120)에 전원 공급을 위한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미도시)가 음파 치료부(120) 혹은 목 지지부(110)의 일측에 내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목 통증 완화 장치(100)로 오디오 콘텐츠를 전송하여, 오디오 콘텐츠를 통해 음파 진동을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의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목 통증 완화 장치(100)를 목에 착용한 후, 사용자 단말장치(200)와 목 통증 완화 장치(100)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한다. 이에 의해, 근거리통신 수신부(121)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오디오 콘텐츠를 입력받는다(S410).
근거리통신 수신부(121)를 통해 오디오 콘텐츠가 입력되면, 필터링부(122)는 오디오 콘텐츠로부터 저주파를 필터링한다(S420). 이때, 필터링되는 저주파는 150Hz 이하이다.
음파진동 발생부(123)에서는 필터링부(122)에 의해 필터링된 오디오 콘텐츠를 이용하여 음파진동을 발생시키고(S430), 오디오 출력부(126)는 음파진동과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한다(S440).
이러한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 예를 들면,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콘텐츠를 이용하여 발생된 음파진동에 의해 목 마사지를 받을 수 있음은 물론, 목 통증 완화 장치(100)에 무선 이어폰(320)의 연결이 가능하여 오디오 콘텐츠를 청취할 수 있다.
목 통증 완화 장치(100)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음원은 한정적인 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20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음원은 무궁무진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목 통증 완화 장치(100)는 블루투스를 통해 오디오 콘텐츠를 전송하면서도, 무선 이어폰(320)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음파진동과 오디오 컨텐츠의 동시 출력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마사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오디오 콘텐츠를 입력받는 것이 아니라, 목 통증 완화 장치(100)에 자체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음원을 이용하여 음파진동을 생성하는 경우의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25)를 조작하여 목 통증 완화 장치(100)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여러 음원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음원 선택신호가 입력된다(S510).
사용자에 의해 음원이 선택되면, 제어부(127)는 저장부(124)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을 추출하여 음파진동 발생부(123)로 제공하고, 음파진동 발생부(123)에서는 해당 음원을 이용하여 음파진동을 발생한다(S520).
이후, 오디오 출력부(126)는 해당 음원과 음파진동을 출력한다(S530).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음원과 음파진동이 모두 출력될 수도 있고, 음원은 출력되지 않고 음파진동만이 출력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서는, 사용자가 오디오 콘텐츠를 전송하지 않더라도 목 통증 완화 장치(100)에서 자체적으로 내장하고 있는 음원에 의해 음파진동을 발생시켜 마사지를 받을 수 있다. 목 통증 완화 장치(100)에서 내장하고 있는 음원은 실험적으로 마사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개발된 음원으로, 목 통증 완화를 위한 최적의 음파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목 통증 완화 장치
200 : 사용자 단말장치
300 : 오디오 출력 장치

Claims (9)

  1. 사용자 목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목 지지부;
    상기 목 지지부의 후면에 장착되는 음파 치료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파 치료부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오디오 콘텐츠를 입력받는 근거리통신 수신부;
    상기 입력받은 오디오 콘텐츠로부터 저주파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
    상기 필터링된 오디오 콘텐츠를 이용하여 음파진동을 발생시키는 음파진동 발생부; 및
    상기 입력받은 오디오 콘텐츠, 및 상기 발생된 음파진동을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는, 150Hz 이하의 저주파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치료부는,
    음파진동 발생을 위한 음원을 저장하는 저장부;
    음원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음파진동 발생부에서 상기 입력받은 음원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음원에 의해 음파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선택신호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콘텐츠를 선택하는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근거리통신 송신 모듈;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유선 오디오 출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외부 오디오 출력장치의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근거리통신 송신 모듈, 및 상기 유선 오디오 출력 모듈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
  6. 사용자 목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목 지지부, 및 상기 목 지지부의 후면에 장착되는 음파 치료부를 포함하는 음파진동을 위한 목 통증 완화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오디오 콘텐츠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오디오 콘텐츠로부터 저주파를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오디오 콘텐츠를 이용하여 음파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입력받은 오디오 콘텐츠, 및 상기 발생된 음파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의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하는 단계는, 150Hz 이하의 저주파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의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음원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파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음원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음원에 의해 음파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의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선택신호는, 상기 기저장된 음원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콘텐츠를 선택하는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의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
KR1020220050128A 2022-04-22 2022-04-22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 및 그의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 KR20230150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128A KR20230150577A (ko) 2022-04-22 2022-04-22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 및 그의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128A KR20230150577A (ko) 2022-04-22 2022-04-22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 및 그의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577A true KR20230150577A (ko) 2023-10-31

Family

ID=88543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128A KR20230150577A (ko) 2022-04-22 2022-04-22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 및 그의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057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244B1 (ko) 2020-02-07 2021-07-2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안마 목베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244B1 (ko) 2020-02-07 2021-07-2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안마 목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8045B2 (en) Sound and vibration transmission pad and system
US20100320819A1 (en) Chair and System for Transmitting Sound and Vibration
US1091291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multisensory stimulation
US8027491B2 (en) Contact speaker
JP3151302U (ja) 精神状態誘導機能付き按摩椅子
US20070223771A1 (en) Simulated Wave Massage
EP1614321B1 (en) Sound and vibration transmission pad and system
US202001381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vibroacoustic stimulation
KR101441820B1 (ko) 주파수 추종 반응을 이용한 감성조절 장치
CN105012128A (zh) 骨传导智能音乐椅及其控制方法
CN219579662U (zh) 一种音疗系统、设备
KR20170136742A (ko) 맥놀이를 이용하는 뇌 상태 조절 방법 및 장치
JP2005252449A (ja) 携帯通信端末及び低周波パルス電圧制御方法
US20190269880A1 (en) Bone conduction body support system
KR20230150577A (ko) 음파진동을 이용한 목 통증 완화 장치 및 그의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
CA2668217A1 (en) Therapy devices and domestic/commercial therapy system
KR101014234B1 (ko) 오디오 기기에서의 맥동 잡음 발생장치 및 방법
KR20240105694A (ko) 음파진동을 이용하여 신경세포에 영향을 주는 통증 완화 장치 및 그의 음악재생에 관한 동작 방법
KR100395301B1 (ko) 인터넷을 통한 뇌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3545976A (zh) 一种便携式合成波体感音乐蒲团
CN118767289A (zh) 一种利用音波振动影响神经细胞的疼痛缓解装置及方法
KR20110009761U (ko) 소리 진동 기능이 내장된 기능성 침대
JP2020043393A (ja) 骨振動体感装置及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CN214855820U (zh) 具有全景声触感功能的音乐助眠枕帽
CN214129851U (zh) 一种基于云平台和总线结构的体感共振音乐理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