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964A - Apparatus for sens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n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964A
KR20230149964A KR1020220049326A KR20220049326A KR20230149964A KR 20230149964 A KR20230149964 A KR 20230149964A KR 1020220049326 A KR1020220049326 A KR 1020220049326A KR 20220049326 A KR20220049326 A KR 20220049326A KR 20230149964 A KR20230149964 A KR 20230149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ollector
value
plat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3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9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9964A/en
Publication of KR20230149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9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8/00Testing or calibra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provided for in groups G01D1/00 - G01D15/00
    • G01D18/001Calibrating enco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8/00Testing or calibra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provided for in groups G01D1/00 - G01D15/00
    • G01D18/008Testing or calibra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provided for in groups G01D1/00 - G01D15/00 with calibration coefficients stored in memo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01D5/24471Error correction
    • G01D5/2448Correction of gain, threshold, offset or phase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실시예는, 로터; 상기 로터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상측에 배치된 제1 콜렉터와 상기 스테이터 하측에 배치된 제2 콜렉터;및 상기 제1 콜렉터와 상기 제2 콜렉터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콜렉터는 제1 단위 콜렉터와 제2 단위 콜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콜렉터로 전달되는 상기 제1 센서의 센싱값과 상기 제2 단위 콜렉터로 전달되는 상기 제2 센서의 센싱값의 차이값에 보상계수를 곱한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값을 보상하되,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복수 개의 상기 오프셋 중 최신의 오프셋과,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복수 개의 상기 오프셋의 평균값의 차이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최신의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값을 보상하고, 상기 최신의 오프셋과, 상기 평균값의 차이값이 기준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평균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값을 보상하는 센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Examples include rotors; A stator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rotor; A first collector disposed above the stator and a second collector disposed below the stator; and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llector and the second collector, wherein the first collector is It includes a first unit collector and a second unit collector, and a compensation coefficien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ransmitted to the first unit collector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ransmitted to the second unit collector Compensates the sensing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based on the offset multiplied by the offset of the latest offset among the plurality of sequentially input offsets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plurality of sequentially input offsets. If the dif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sensing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is compensated based on the latest offset, and if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latest offset and the average value is not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A sensing device that compensates for the sensing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based on the average value may be provided.

Description

센싱 장치{APPARATUS FOR SENSING}Sensing device {APPARATUS FOR SENSING}

실시예는 센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relate to sensing devices.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Electronic Power System, 이하, 'EPS'라 한다.)은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모터를 구동하여 선회 안정성을 보장하고 신속한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The power steering system (Electronic Power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EPS') drives a motor from an electronic control unit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to ensure turning stability and provide rapid restoration, thereby ensuring driver safety. Makes driving possible.

EPS는 적절한 토크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향축의 토크, 조향각 등을 측정하는 센서 장치를 포함한다. 센서 장치는 토션바의 비틀림 정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토션바는 조향축은 핸들에 연결되는 입력축, 바퀴측의 동력전달구성과 연결되는 출력축 및 입력축과 출력축을 연결하는 부재이다.EPS includes a sensor device that measures steering shaft torque and steering angle to provide appropriate torque. The sensor device is a device that measures the degree of twist of the torsion bar. The torsion bar's steering shaft is an input shaft connected to the handle, an output shaft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component on the wheel side, and a member connecting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센서 장치는 하우징, 로터, 스테이터 투스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및 콜렉터를 포함한다. 이때, 콜렉터는 스테이터 투스의 외측에 배치된다. 때문에 외부의 자기장이 생성될 때, 콜렉터가 외부 자기장의 통로 역할을 수행하여, 센서의 자속 값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센서가 영향을 받으면, 센서 장치의 출력값에 변화가 발생하여 토션바의 비틀림 정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The sensor device includes a housing, a rotor, a stator including stator teeth, and a collector. At this time, the collector is placed outside the stator tooth. Therefore, when an external magnetic field is gen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llector acts as a path for the external magnetic field, affecting the magnetic flux value of the sensor. If the sensor is affected in this way, the output value of the sensor device changes, causing a problem in which the degree of twist of the torsion bar cannot be accurately measured.

실시예는 외부 자기에 의한 센서의 출력값의 변화량을 보상할 수 있는 센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sensing device that can compensate fo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output value of the sensor due to external magnetism.

실시예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상측에 배치된 제1 콜렉터와 상기 스테이터 하측에 배치된 제2 콜렉터 및 상기 제1 콜렉터와 상기 제2 콜렉터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콜렉터는 제1 단위 콜렉터와 제2 단위 콜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콜렉터로 전달되는 상기 제1 센서의 센싱값과 상기 제2 단위 콜렉터로 전달되는 상기 제2 센서의 센싱값의 차이값에 보상계수를 곱한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값을 보상하되,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복수 개의 상기 오프셋 중 최신의 오프셋과,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복수 개의 상기 오프셋의 평균값의 차이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최신의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값을 보상하고, 상기 최신의 오프셋과, 상기 평균값의 차이값이 기준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평균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값을 보상하는 센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embodiment includes a rotor, a stator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rotor, a first collector disposed above the stator, a second collector disposed below the stator,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llector and the second collector. Includes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wherein the first collector includes a first unit collector and a second unit collector, and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unit collector are transmitted to the first unit collector. The sensing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is compensated based on an offset obtained by multiplying the difference value of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ransmitted by a compensation coefficient, and among the plurality of offsets that are sequentially input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latest offset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plurality of sequentially input offsets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sensing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is compensated based on the latest offset, 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latest offset and the average value is not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a sensing device can be provided that compensates for the sensing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based on the average value.

실시예는, 콜렉터의 자기 저항을 다르게 하여, 외부 자기에 의한 출력값의 변화량을 보상함으로써, 센서 장치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securing the performance of the sensor device by varying the magnetic resistance of the collector and compensating for the change in output value due to external magnetism.

실시예는, 외부 자기가 크게 증가하여도, 콜렉터 간 자속값의 차이값을 활용하기 때문에 보상값의 크기를 줄이는 이점이 있다.The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size of the compensation value because it utilizes the difference in magnetic flux values between collectors even if the external magnetism greatly increases.

실시예는, 기존의 콜렉터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외부 자기에 의한 출력값의 변화량을 보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mpensate for the change in output value due to external magnetism without significantly changing the existing collector structure.

실시예는, 외부 자기에 의한 출력값의 변화량을 보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이점이 있다.The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mpensating for the change in output value due to external magnetism.

실시예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상 시간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compensation time delay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removing noise.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센싱 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센싱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제1 단위 콜렉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제2 단위 콜렉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제3 단위 콜렉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제4 단위 콜렉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제1 단위 콜렉터와, 제2 단위 콜렉터와, 제3 단위 콜렉터 및 제4 단위 콜렉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1 단위 콜렉터와 제2 단위 콜렉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서 도시한 제1 단위 콜렉터와 제2 단위 콜렉터와 제3 단위 콜렉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외부 자기가 없는 조건에서 제1 센서의 민감도와 제2 센서의 민감도를 보상하는 과정을 도시한 그래프,
도 14는 외부 자기가 있는 조건에서 제1 센서의 민감도와 제2 센서의 민감도를 보상하는 과정을 도시한 그래프,
도 15는 외부 자기가 없는 경우, 제1 센서의 센싱값과 제2 센서의 센싱값을 비교한 그래프,
도 16는 외부 자기(1500A/m)가 있는 경우, 제1 센서의 센싱값과 제2 센서의 센싱값을 비교한 그래프,
도 17는 상대적으로 강한 외부 자기(4500A/m)가 있는 경우, 제1 센서의 센싱값과 제2 센서의 센싱값을 비교한 그래프,
도 18은 제3 갭의 변화와 콜렉터의 형상에 대응한 보상계수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외부 자기에 의한 출력값의 변화량을 보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오프셋의 평균값을 나타낸 표,
도 21은 비교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출력전압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출력전압을 비교한 그래프,
도 22는 오프셋의 평균값을 적용함에 따른 지연 현상을 도시한 표,
도 23은 오프셋의 평균값을 적용함에 따른 지연 현상을 도시한 그래프,
도 24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보상 지연을 줄이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보상 지연을 줄인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sensing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sensing device shown in Figure 1;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unit collector;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unit collector;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unit collector;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unit collector;
8 and 9 are diagrams showing a first unit collector, a second unit collector, a third unit collector, and a fourth unit collector;
10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unit collector and a second unit collector;
11 is a diagram showing a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2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unit collector, second unit collector, and third unit collector shown in FIG. 11;
Figure 13 is a graph showing the process of compensating the sensitivity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nsitivity of the second sensor in the absence of external magnetism;
Figure 14 is a graph showing the process of compensating the sensitivity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nsitivity of the second sensor in the presence of external magnetism;
Figure 15 is a graph comparing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when there is no external magnetism;
Figure 16 is a graph comparing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when there is external magnetism (1500A/m);
Figure 17 is a graph comparing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when there is relatively strong external magnetism (4500A/m);
Figure 18 is a diagram showing the compensation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the third gap and the shape of the collector;
Figure 19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mpensating for the change in output value due to external magnetism;
20 is a table showing the average value of offset,
21 is a graph compa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22 is a table showing the delay phenomenon according to application of the average value of the offset;
23 is a graph showing the delay phenomenon according to application of the average value of the offset;
Figure 24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for reducing compensation delay in the process of removing noise;
Figure 25 is a 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compensation delay is reduced.

이하, 센싱 장치의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반경 방향이라 하고, 축중심으로 반경 방향의 반지름을 갖는 원을 따라가는 방향을 원주 방향이라 부른다.Hereinafter,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nsing device is called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along a circle with a radial radius centered on the axis is calle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센싱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센싱 장치의 정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sensing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sensing device shown in FIG.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는 스테이터(100), 스테이터(100)에 일부가 배치되는 로터(200), 제1 콜렉터(300)와, 제2 콜렉터(400)와 제1 센서(T1)와 제2 센서(T2)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stator 100, a rotor 200 partially disposed on the stator 100, a first collector 300, a second collector 400, and It may include a first sensor (T1) and a second sensor (T2).

여기서, 스테이터(100)는 출력축(미도시)과 연결되고, 스테이터(100)에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200)는 입력축(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로터(200)는 스테이터(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내측이라 함은 상기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을 향하여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이라 함은 내측과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stator 100 may be connected to an output shaft (not shown), and the rotor 200,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stator 100, may be connected to an input shaft (not show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t this time, the rotor 200 may be arranged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stator 100. Hereinafter, the inside refers to a direction disposed toward the center based o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outside may refer to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ide.

스테이터(100)와 제1 콜렉터(300)와, 제2 콜렉터(400)는 별도의 홀더나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The stator 100, the first collector 300, and the second collector 400 may be fixed to separate holders or housings.

스테이터(100)는 제1 스테이터 투스(110)와 제2 스테이터 투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ator 100 may include a first stator tooth 110 and a second stator tooth 120.

로터(200)는 마그넷(210)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210)은 스테이터(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넷(210은 별도의 홀더를 통해 입력축과 연결될 수 있다.The rotor 200 may include a magnet 210. The magnet 210 may be placed inside the stator 100. The magnet 210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through a separate holder.

제1 센서(T1)와 제2 센서(T2)는 각각 스테이터(100)와 로터(200) 사이에 발생한 자기장의 변화를 검출한다. 제1 센서(T1) 및 제2 센서(T2)는 Hall IC일 수 있다. 검출된 자기장의 변화를 기반으로 센싱 장치는 토크를 측정한다.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cond sensor T2 detect changes in the magnetic field that occur between the stator 100 and the rotor 200, respectively.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cond sensor (T2) may be Hall ICs. Based on the detected change in magnetic field, the sensing device measures torque.

제1 콜렉터(300)는 스테이터(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콜렉터(400)는 스테이터(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T1)는 제1 콜렉터(300) 및 제2 콜렉터(400)와 대응되게 배치된다. 제2 센서(T2)도 제1 콜렉터(300) 및 제2 콜렉터(400)에 대응되게 배치된다.The first collector 300 may be placed above the stator 100. The second collector 400 may be placed below the stator 100 . The first sensor T1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llector 300 and the second collector 400. The second sensor T2 is also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llector 300 and the second collector 400.

제1 콜렉터(300)는 제1 단위 콜렉터(310)와 제2 단위 콜렉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위 콜렉터(310)는 외부 자기에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콜렉터이며, 제2 단위 콜렉터(320)는 외부 자기에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받는 콜렉터이다. 이러한 제1 단위 콜렉터(310)와 제2 단위 콜렉터(420)에 의한 센싱값의 차이는 외부 자기장에 의한 센싱값의 변화량을 보상하는데 사용된다.The first collector 300 may include a first unit collector 310 and a second unit collector 320. The first unit collector 310 is a collector that is relatively less affected by external magnetism, and the second unit collector 320 is a collector that is relatively more affected by external magnetism. The difference in the sensed value between the first unit collector 310 and the second unit collector 420 is used to compensate for the change in the sensed value due to the external magnetic field.

제1 단위 콜렉터(310)는 제1 플레이트(311)와 제1 레그(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그(312)는 제1 플레이트(311)에서 돌출되어 제1 콜렉터(3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1 레그(312)는 제1 센서(T1)와 대응되게 배치된다.The first unit collector 310 may include a first plate 311 and a first leg 312. The first leg 312 protrudes from the first plate 311 and is disposed to exten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llector 300. The first leg 312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sensor T1.

제2 단위 콜렉터(320)는 제2 플레이트(321)와 제2 레그(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21)는 축방향으로 제1 플레이트(311)와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제2 플레이트(321)는 제1 플레이트(3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레그(322)는 제2 플레이트(321)에서 돌출되어 제2 콜렉터(4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2 레그(322)는 제2 센서(T2)와 대응되게 배치된다.The second unit collector 320 may include a second plate 321 and a second leg 322. The second plate 321 is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plate 311 in the axial direction. The second plate 321 may be placed above the first plate 311. The second leg 322 protrudes from the second plate 321 and is disposed to extend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collector 400 . The second leg 322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sensor T2.

제2 콜렉터(400)는 제3 단위 콜렉터(410)와 제4 단위 콜렉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단위 콜렉터(410)는 외부 자기에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콜렉터이며, 제4 단위 콜렉터(420)는 외부 자기에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받는 콜렉터이다. 이러한 제3 단위 콜렉터(410)와 제4 단위 콜렉터(420)에 의한 센싱값의 차이는 외부 자기장에 의한 센싱값의 변화량을 보상하는데 사용된다.The second collector 400 may include a third unit collector 410 and a fourth unit collector 420. The third unit collector 410 is a collector that is relatively less affected by external magnetism, and the fourth unit collector 420 is a collector that is relatively more affected by external magnetism. The difference in the sensed value between the third unit collector 410 and the fourth unit collector 420 is used to compensate for the change in the sensed value due to the external magnetic field.

제3 단위 콜렉터(410)는 제3 플레이트(411)와 제3 레그(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레그(412)는 제3 플레이트(411)에서 돌출되어 제1 콜렉터(3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3 레그(412)는 제1 센서(T1)와 대응되게 배치된다.The third unit collector 410 may include a third plate 411 and a third leg 412. The third leg 412 protrudes from the third plate 411 and is disposed to exten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llector 300 . The third leg 412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sensor T1.

제4 단위 콜렉터(420)는 제4 플레이트(421)와 제4 레그(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플레이트(421)는 축방향으로 제3 플레이트(411)와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제3 플레이트(411)는 제4 플레이트(42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레그(422)는 제4 플레이트(421)에서 돌출되어 제1 콜렉터(3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4 레그(422)는 제2 센서(T2)와 대응되게 배치된다.The fourth unit collector 420 may include a fourth plate 421 and a fourth leg 422. The fourth plate 421 is arranged to overlap the third plate 411 in the axial direction. The third plate 411 may be disposed below the fourth plate 421. The fourth leg 422 protrudes from the fourth plate 421 and is disposed to exten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llector 300 . The fourth leg 422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sensor T2.

도 4는 제1 단위 콜렉터(3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unit collector 310.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위 콜렉터(310)는, 제1 플레이트(311)와 제1 레그(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11)는 평판형 부재로서, 제1 바디(311a)와 제1 연장부(3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311a)는 내면이 곡면일 수 있다. 제1 바디(311a)는 제1 단위 콜렉터(31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홀(H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311b)는 제1 바디(311a)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제1 플레이트(311)는 별도의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레그(312)는 제1 연장부(311b)에서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그(312)는 제1 레그바디(312a)와, 제1 팁(3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그바디(312a)는 제1 연장부(311b)에서 하향하여 절곡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제1 팁(312b)은 제1 레그바디(312a)에 원주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센서(T1)와 대향하여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4 , the first unit collector 310 may include a first plate 311 and a first leg 312. The first plate 311 is a flat member and may include a first body 311a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311b. The first body 311a may have a curved inner surface. The first body 311a may include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H1 for fixing the first unit collector 310.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11b is dispos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first body 311a. This first plate 311 may be fixed to a separate housing. The first leg 312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11b. The first leg 312 may include a first leg body 312a and a first tip 312b. The first leg body 312a is arranged to be bent downward from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11b. And the first tip 312b is be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first leg body 312a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sensor T1.

도 5는 제2 단위 콜렉터(3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unit collector 320.

도 5를 참조하면, 제2 단위 콜렉터(320)는, 제2 플레이트(321)와 제2 레그(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21)는 평판형 부재로서, 제2 바디(321a)와 제2 연장부(3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321a)는 내면이 곡면일 수 있다. 제2 바디(321a)는 제2 단위 콜렉터(32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홀(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부(322b)는 제2 바디(321a)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제2 플레이트(321)는 별도의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레그(322)는 제2 연장부(322b)에서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레그(322)는 제2 레그바디(322a)와, 제2 팁(3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레그바디(322a)는 제2 연장부(322b)에서 하향하여 절곡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제2 팁(322b)은 제2 레그바디(322a)에 절곡되어 제2 센서(T2)와 대향하여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5 , the second unit collector 320 may include a second plate 321 and a second leg 322. The second plate 321 is a flat member and may include a second body 321a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322b. The second body 321a may have a curved inner surface. The second body 321a may include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H2 for fixing the second unit collector 320.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22b is dispos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second body 321a. This second plate 321 may be fixed to a separate housing. The second leg 322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22b. The second leg 322 may include a second leg body 322a and a second tip 322b. The second leg body 322a is disposed to be bent downward from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22b. And the second tip 322b is bent to the second leg body 322a and disposed to face the second sensor T2.

도 6은 제3 단위 콜렉터(4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hird unit collector 410.

도 6을 참조하면, 제3 단위 콜렉터(410)는, 제3 플레이트(411)와 제3 레그(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411)는 평판형 부재로서, 제3 바디(411a)와 제3 연장부(4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바디(411a)는 내면이 곡면일 수 있다. 제3 바디(411a)는 제3 단위 콜렉터(41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홀(H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장부(411b)는 제3 바디(411a)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제3 플레이트(411)는 별도의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레그(412)는 제3 연장부(411b)에서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레그(412)는 제3 레그바디(412a)와, 제3 팁(4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레그바디(412a)는 제3 연장부(411b)에서 상향하여 절곡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제3 팁(412b)은 제3 레그바디(412a)에 원주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센서(T1)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제3 단위 콜렉터(410)는 제1 단위 콜렉터(310)와 형상과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third unit collector 410 may include a third plate 411 and a third leg 412. The third plate 411 is a flat member and may include a third body 411a and a third extension portion 411b. The third body 411a may have a curved inner surface. The third body 411a may include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H3 for fixing the third unit collector 410. The third extension portion 411b is dispos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third body 411a. This third plate 411 may be fixed to a separate housing. The third leg 412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third extension portion 411b. The third leg 412 may include a third leg body 412a and a third tip 412b. The third leg body 412a is disposed to be bent upward from the third extension portion 411b. And the third tip 412b is be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third leg body 412a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sensor T1. This third unit collector 410 may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first unit collector 310.

도 7은 제4 단위 콜렉터(4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urth unit collector 420.

도 7을 참조하면, 제4 단위 콜렉터(420)는, 제4 플레이트(421)와 제4 레그(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플레이트(421)는 평판형 부재로서, 제4 바디(421a)와 제4 연장부(4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바디(421a)는 내면이 곡면일 수 있다. 제4 바디(421a)는 제4 단위 콜렉터(42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홀(H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연장부(421b)는 제4 바디(421a)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제4 플레이트(421)는 별도의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제4 레그(422)는 제4 연장부(421b)에서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 레그(422)는 제4 레그바디(422a)와, 제4 팁(4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레그바디(422a)는 제4 연장부(421b)에서 상향하여 절곡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제4 팁(422b)은 제4 레그바디(422a)에 원주방향으로 절곡되어 제2 센서(T2)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제4 단위 콜렉터(420)는 제2 단위 콜렉터(320)와 형상과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fourth unit collector 420 may include a fourth plate 421 and a fourth leg 422. The fourth plate 421 is a flat member and may include a fourth body 421a and a fourth extension portion 421b. The fourth body 421a may have a curved inner surface. The fourth body 421a may include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H4 for fixing the fourth unit collector 420. The fourth extension portion 421b is dispos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fourth body 421a. This fourth plate 421 may be fixed to a separate housing. The fourth leg 422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fourth extension portion 421b. The fourth leg 422 may include a fourth leg body 422a and a fourth tip 422b. The fourth leg body 422a is disposed to be bent upward from the fourth extension portion 421b. And the fourth tip 422b is be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fourth leg body 422a and disposed to face the second sensor T2. This fourth unit collector 420 may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second unit collector 320.

도 8 및 도 9는 제1 단위 콜렉터(310)와, 제2 단위 콜렉터(320)와, 제3 단위 콜렉터(410) 및 제4 단위 콜렉터(420)를 도시한 도면이다.8 and 9 are diagrams showing a first unit collector 310, a second unit collector 320, a third unit collector 410, and a fourth unit collector 420.

도 1,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축방향으로, 제1 콜렉터(300)는 제1 센서(T1) 및 제2 센서(T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콜렉터(400)는 제1 센서(T1) 및 제2 센서(T2)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축“‡향으로, 제1 콜렉터(300)의 제1 레그(312)와 제2 콜렉터(400)의 제3 레그(412) 사이는 제1 갭(G1)을 두고 배치된다. 제1 레그(312)와 제3 레그(412)는 축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축방향으로 제1 콜렉터(300)의 제2 레그(322)와 제2 콜렉터(400)의 제4 레그(422) 사이는 제2 갭(G2)을 두고 배치된다. 제2 레그(322)와 제4 레그(422)는 축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제1 갭(G1)과 제2 갭(G2)은 각각 자기 저항으로 작용한다.Referring to FIGS. 1, 8, and 9, the first collector 30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cond sensor T2 in the axial direction. The second collector 40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cond sensor T2. In the axial direction, a first gap G1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leg 312 of the first collector 300 and the third leg 412 of the second collector 400. The first leg 312 and the third leg 412 are arranged to overlap in the axial direction. Additionally, a second gap G2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leg 322 of the first collector 300 and the fourth leg 422 of the second collector 400 in the axial direction. The second leg 322 and the fourth leg 422 are arranged to overlap in the axial direction. The first gap G1 and the second gap G2 each act as magnetic resistance.

제1 단위 콜렉터(310)의 제1 플레이트(311)와 제2 단위 콜렉터(320)의 제2 플레이트(321)는 축방향으로 오버랩 영역(A1)을 형성한다. 제2 플레이트(321)는 제1 플레이트(311)의 상측에 배치되어 외부 자기가 제1 플레이트(311) 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자기를 제1 레그(312)로 안내한다. 제1 플레이트(311)와 제2 플레이트(321)는 축방향으로 제3 갭(G3)을 두고 배치된다. 이러한 갭은 제1 단위 콜렉터(310)에서는 자기 저항으로 작용한다.The first plate 311 of the first unit collector 310 and the second plate 321 of the second unit collector 320 form an overlap area A1 in the axial direction. The second plate 321 is disposed above the first plate 311 to block external magnetism from flowing toward the first plate 311 and guides the external magnetism to the first leg 312. The first plate 311 and the second plate 321 are arranged with a third gap G3 in the axial direction. This gap acts as magnetic resistance in the first unit collector 310.

제3 단위 콜렉터(410)의 제3 플레이트(411)와 제4 단위 콜렉터(420)의 제4 플레이트(421)는 축방향으로 오버랩 영역(A2)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플레이트(421)는 제3 플레이트(411)의 하측에 배치되어 외부 자기가 제3 플레이트(411) 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자기를 제4 레그(422)로 안내한다. 제3 플레이트(411)와 제4 플레이트(421)는 축방향으로 제4 갭(G4)을 두고 배치된다. 이러한 갭은 제3 단위 콜렉터(410)에서는 자기 저항으로 작용한다.The third plate 411 of the third unit collector 410 and the fourth plate 421 of the fourth unit collector 420 may form an overlap area A2 in the axial direction. The fourth plate 421 is disposed below the third plate 411 to block external magnetism from flowing toward the third plate 411 and guides the external magnetism to the fourth leg 422. The third plate 411 and the fourth plate 421 are disposed with a fourth gap G4 in the axial direction. This gap acts as magnetic resistance in the third unit collector 410.

외부 자기가 발생하면, 제2 플레이트(321), 제2 레그(322), 제2 센서(T2), 제4 레그(422)를 거치는 제1 경로(P1)를 따라 외부 자기가 흐른다. 또한. 제2 플레이트(321), 제1 플레이트(311), 제1 레그(312), 제1 센서(T1), 제3 레그(412)를 거치는 제2 경로(P2)를 따라 외부 자기가 흐른다.When external magnetism is generated, the external magnetism flows along the first path (P1) passing through the second plate (321), the second leg (322), the second sensor (T2), and the fourth leg (422). also. External magnetism flows along the second path P2 that passes through the second plate 321, the first plate 311, the first leg 312, the first sensor T1, and the third leg 412.

제1 경로(P1)는 제2 갭(G2)에 의한 자기 저항만이 있는 반면에, 제2 경로(P2)는 제1 갭(G1)과 더불어 제3 갭(G3)에 의한 자기 저항이 추가적으로 존재한다.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1 경로(P1)를 통해 많은 자속이 흐르게 된다. 따라서, 외부 자기에 대응하여, 제1 센서(T1)에서 측정된 센싱값과 제2 센서(T2)에서 측정된 센싱값에 차이가 발생한다.While the first path (P1) has only magnetic resistance due to the second gap (G2), the second path (P2) has magnetic resistance in addition to the first gap (G1) due to the third gap (G3). exist. Therefore,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magnetic flux flows through the first path (P1). Therefore, in response to external magnetism, a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sensing value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ing value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T2).

도면에는 도시하진 않았으나, 외부 자기가 제2 콜렉터(400) 측에서 흐르는 경우, 제1 콜렉터(300)측에서 흐르는 경우와 동일하게. 자속의 흐름이 형성되어, 제1 센서(T1)에서 측정된 센싱값과 제2 센서(T2)에서 측정된 센싱값에 차이가 발생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external magnetism flows from the second collector 400 side, it is the same as when it flows from the first collector 300 side. A magnetic flux flow is formed, causing a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value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ing value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T2).

이러한 제1 콜렉터(300)는 첫째로 제2 플레이트(321)가 제1 플레이트(311)를 덮어, 제1 레그(312) 측으로 흐르는 외부 자기를 제2 레그(322)측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고, 둘째로, 제1 플레이트(311)와 제2 플레이트(321) 사이에 형성되는 제3 갭(G3)을 통해, 외부 자기에 대한 저항을 형성함으로써, 제1 센서(T1)에서 측정된 센싱값과 제2 센서(T2)에서 측정된 센싱값의 차이를 만든다. 이는 제2 콜렉터(400)도 동일하다.In this first collector 300, first, the second plate 321 covers the first plate 311, and guides the external magnetism flowing toward the first leg 312 to flow toward the second leg 322, and secondly, By forming resistance to external magnetism through the third gap G3 formed between the first plate 311 and the second plate 321, the sensing value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T1 and the 2 Creates a difference in the sensing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T2). This is the same for the second collector 400.

제3 갭(G3)의 크기는 2.0mm 내지 3.5mm일 수 있다. 제3 갭(G3)의 크기가 2.0mm 이내인 경우, 제3 갭(G3)에 대한 자기 저항이 충분하지 않고, 제3 갭(G3)의 크기가 3.5mm 보다 큰 경우, 보상계수에 한계가 있으며, 센싱 장치의 축방향 길이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The size of the third gap G3 may be 2.0 mm to 3.5 mm. If the size of the third gap G3 is less than 2.0 mm, the magnetic resistance for the third gap G3 is not sufficient, and if the size of the third gap G3 is larger than 3.5 mm, there is a limit to the compensation coeffici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xial length of the sensing device increases.

한편, 제2 레그(322)의 축방향 길이(L2)는 제1 레그(312)의 축방향 길이(L1)보다 길다. 그리고 제3 레그(412)의 축방향 길이(L3)는 제4 레그(422)의 축방향 길이(L4)보다 길다. 예를 들어, 제1 레그(312)의 축방향 길이(L1)와 제2 레그(322)의 축방향 길이(L2)의 비는 1:1.1 내지 1:1.2 일 수 있다. 그리고 축방향으로 제3 길이와 제4 레그(422)의 길이의 비도 1:1.1 내지 1:1.2 일 수 있다.Meanwhile, the axial length L2 of the second leg 322 is longer than the axial length L1 of the first leg 312. And the axial length L3 of the third leg 412 is longer than the axial length L4 of the fourth leg 422. For example, the ratio of the axial length L1 of the first leg 312 and the axial length L2 of the second leg 322 may be 1:1.1 to 1:1.2. Additionally, the ratio of the third length to the fourth leg 422 in the axial direction may be 1:1.1 to 1:1.2.

도 10은 제1 단위 콜렉터(310)와 제2 단위 콜렉터(320)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unit collector 310 and a second unit collector 320.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단위 콜렉터(310)의 크기는 제2 단위 콜렉터(320)와의 오버랩 영역 및 위치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어, 축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플레이트(311)와 제2 플레이트(321)의 오버랩 영역(A1)의 면적은 제1 플레이트(311)의 면적의 50% 내지 100% 이내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11)와 제2 플레이트(321)의 오버랩 영역(A1)이 제1 플레이트(311)의 면적의 적어도 50% 이상이 되어야 제1 센서(T1)에서 측정된 센싱값과 제2 센서(T2)에서 측정된 센싱값의 의미 있는 차이값을 도출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하진 않았으나, 축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3 플레이트(411)와 제4 플레이트(421)의 오버랩 영역의 면적도 제3 플레이트(411)의 면적의 50% 내지 100% 이내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size of the first unit collector 310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overlap area and position with the second unit collector 320. For example,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area of the overlap area A1 of the first plate 311 and the second plate 321 may be within 50% to 100% of the area of the first plate 311. there is. The overlap area (A1) of the first plate 311 and the second plate 321 must be at least 50% of the area of the first plate 311 in order for the sensing value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cond sensor to be calculated. In (T2), a meaningful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measured sensing values can be deriv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area of the overlap area of the third plate 411 and the fourth plate 421 may also be within 50% to 100% of the area of the third plate 411. .

한편, 제1 플레이트(311)의 내면의 원주방향 길이(K1)와 제2 플레이트(321)의 내면의 원주방향 길이(K2)의 비는 1:1.3 내지 1:1.7 이내일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진 않았으나, 제3 플레이트(411)의 내면의 원주방향 길이와 제4 플레이트(421)의 내면의 원주방향 길이의 비도 1:1.3 내지 1:1.7 이내일 수 있다.Meanwhile, the ratio of the circumferential length K1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1 and the circumferential length K2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321 may be within 1:1.3 to 1:1.7.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atio of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plate 411 to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ourth plate 421 may be within 1:1.3 to 1:1.7.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도시한 제1 단위 콜렉터(310)와 제2 단위 콜렉터(320)와 제3 단위 콜렉터(410)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showing a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2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unit collector 310, the second unit collector 320, and the third unit collector 410 shown in FIG. 11. It is a drawing.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는 제1 콜렉터(300)로서, 제1 단위 콜렉터(310)와 제2 단위 콜렉터(320)를 포함하고, 제2 콜렉터(400)로서, 제3 단위 콜렉터(41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외부 자기에 대응한 콜렉터가 스테이터(100)의 일측에만 배치되어 실시될 수 있다.11 and 12, a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a first collector 300, including a first unit collector 310 and a second unit collector 320, and a second collector 400. As such, it may include only the third unit collector 410. That is, the collector corresponding to external magnetism may be disposed on only one side of the stator 100.

예를 들어, 스테이터(100)의 하측에는 제3 단위 콜렉터(410)만이 배치되고, 제3 단위 콜렉터(410)는 제3 플레이트(411)와, 제3 레그(412)와 제5 레그(4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레그(412)는 제3 플레이트(411)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제5 레그(413)는 제3 플레이트(411)의 타측에서 연장된다.For example, only the third unit collector 41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ator 100, and the third unit collector 410 includes a third plate 411, a third leg 412, and a fifth leg 413. ) may include. The third leg 412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third plate 411, and the fifth leg 413 extends from the other side of the third plate 411.

축“‡향으로 제1 콜렉터(300)의 제2 레그(322)와 제2 콜렉터(400)의 제5 레그(413) 사이는 제2 갭(G2)을 두고 배치된다. 제2 레그(322)와 제5 레그(413)는 축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된다.A second gap G2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leg 322 of the first collector 300 and the fifth leg 413 of the second collector 400 in the axial direction. The second leg 322 and the fifth leg 413 are arranged to overlap in the axial direction.

외부 자기가 발생하면, 제2 플레이트(321), 제2 레그(322), 제2 센서(T2), 제5 레그(413)를 거치는 제1 경로(P1)를 따라 외부 자기가 흐른다. 또한. 제2 플레이트(321), 제1 플레이트(311), 제1 레그(312), 제1 센서(T1), 제3 레그(412)를 거치는 제2 경로(P2)를 따라 외부 자기가 흐른다.When external magnetism is generated, the external magnetism flows along the first path (P1) passing through the second plate (321), the second leg (322), the second sensor (T2), and the fifth leg (413). also. External magnetism flows along the second path P2 that passes through the second plate 321, the first plate 311, the first leg 312, the first sensor T1, and the third leg 412.

이러한 센싱 장치에서, 외부 자기에 대응한 제1 센서(T1)의 센싱값과 제2 센서(T2)의 센싱값을 보상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In this sensing device, the process of compensating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corresponding to external magnetism is as follows.

제1 센서(T1)의 센싱값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보상된다.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is compensated by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T1c는 제1 센서(T1)의 보상된 센싱값이며, T1o은 제1 센서(T1)의 보상전 센싱값이며, T2o는 제2 센서(T2)의 보상전 센싱값이며, a는 제1 센서(T1)에서 상기 제1 단위 콜렉터(310)와 상기 제2 단위 콜렉터(320)의 축방향 이격 거리(제3 갭(G3))에 대응한 보상계수다.Here, T1c is the compensated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T1o is the sensing value before compensation of the first sensor (T1), T2o is the sensing value before compensation of the second sensor (T2), and a is the sensing value before compensation of the first sensor (T1). 1 It is a compensation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axial separation distance (third gap G3) between the first unit collector 310 and the second unit collector 320 in the sensor T1.

그리고 제2 센서(T2)의 센싱값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보상된다.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is compensated by Equation 2 below.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서, T2c는 상기 제2 센서(T2)의 보상된 센싱값이며, T1o는 제2 센서(T2)의 보상전 센싱값이며, T2o는 제2 센서(T2)의 보상전 센싱값이며, b는 제2 센서(T2)에서 상기 제1 단위 콜렉터(310)와 상기 제2 단위 콜렉터(320)의 축방향 이격 거리(제3 갭(G3))에 대응한 보상계수다.Here, T2c is the compensated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T1o is the sensing value before compensation of the second sensor (T2), T2o is the sensing value before compensation of the second sensor (T2), and b is It is a compensation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axial separation distance (third gap G3) between the first unit collector 310 and the second unit collector 320 in the second sensor T2.

a와, b는 제3 갭(G3)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a와, b는 제2 단위 콜렉터(320)나 제3 단위 콜렉터(410)의 형상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a and b may be preset values corresponding to the third gap G3. a and b may also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econd unit collector 320 or the third unit collector 410.

이하, a가 2.72이고, b가 3.72일 때 기준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based on the case where a is 2.72 and b is 3.72.

도 13은 외부 자기가 없는 조건에서 제1 센서(T1)의 민감도와 제2 센서(T2)의 민감도를 보상하는 과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에서 (a)와 같이, 외부 자기가 없는 조건에서 제1 센서(T1)와 제2 센서(T2)는 자속에 대응한 민감도(sensitivity)에 차이가 있다. 제2 센서(T2)의 민감도가 제1 센서(T1)의 민감도보다 낮다. 외부 자기가 없는 조건에서는 제1 센서(T1)의 민감도와 제2 센서(T2)의 민감도를 도 13에서 (b)와 같이, 제1 센서(T1)의 센싱값(출력 각도)과 제2 센서(T2)의 센싱값(출력 각도)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바로 보상할 수 있다.Figure 13 is a graph showing the process of compensating the sensitivity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itivity of the second sensor (T2) in the absence of external magnetism. As shown in (a) in FIG. 13, there is a difference in sensitivity between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cond sensor T2 in the absence of external magnetism in response to magnetic flux. The sensitivity of the second sensor (T2)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sensor (T1). In the absence of external magnetism, the sensitivity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itivity of the second sensor (T2) are as shown in (b) in FIG. 13, the sensing value (output angle)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cond sensor Compensation can be made immediately in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sensing value (output angle) of (T2).

도 14는 외부 자기가 있는 조건에서 제1 센서(T1)의 민감도와 제2 센서(T2)의 민감도를 보상하는 과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Figure 14 is a graph showing the process of compensating the sensitivity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itivity of the second sensor (T2) in the presence of external magnetism.

도 14에서 (a)와 같이, 외부 자기가 있는 경우, 제1 센서(T1)와 제2 센서(T2)가 외부 자기에 영향을 받는다. 이에 제1 센서(T1)에 옵셋(G1)이 발생하고, 제2 센서(T2)에서 상대적으로 큰 옵셋(G2)이 발생한다. 따라서, 외부 자기가 있는 조건에서는 도 14에서 (b)와 같이, 제1 센서(T1)의 민감도와 제2 센서(T2)의 민감도를 보상 한 후에도 제1 센서(T1)의 센싱값(T1o)과 제2 센서(T2)의 센싱값(T2o)에 각각 옵셋이 발생한다.As shown in (a) of FIG. 14, when there is external magnetism,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cond sensor (T2) are affected by the external magnetism. Accordingly, an offset (G1) occurs in the first sensor (T1), and a relatively large offset (G2) occurs in the second sensor (T2). Therefore, in the condition of external magnetism, as shown in (b) in FIG. 14, the sensing value (T1o) of the first sensor (T1) even after compensating for the sensitivity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itivity of the second sensor (T2) An offset occurs in the sensing value (T2o) of the and second sensor (T2), respectively.

이러하 옵셋에 의해, 각도의 전 구간에서 제1 센서(T1)의 센싱값(T1o)과 제2 센서(T2)의 센싱값(T2o)은 일정한 차이값(T1o-T2o)을 가진다.Due to this offset, the sensing value (T1o)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ing value (T2o) of the second sensor (T2) have a constant difference value (T1o-T2o) in the entire angle range.

도 15는 외부 자기가 없는 경우, 제1 센서(T1)의 센싱값과 제2 센서(T2)의 센싱값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5에서 (a)는 보상 전 제1 센서(T1)의 센싱값과 제2 센서(T2)의 센싱값을 도시한 것이고, 도 15에서 (b)는 보상 후 제1 센서(T1)의 센싱값과 제2 센서(T2)의 센싱값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15 is a graph comparing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when there is no external magnetism. In Figure 15, (a) shows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before compensation, and (b) in Figure 15 shows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after compensation. It shows the value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외부 자기가 없는 경우, 수학식1,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1 센서(T1)의 센싱값과 제2 센서(T2)의 센싱값이 같기 때문에, 즉, T2o-T1o가 0이 되어, 보상 전 제1 센서(T1)의 센싱값과 보상 후 제1 센서(T1)의 센싱값이 동일하다. 그리고 보상 전 제2 센서(T2)의 센싱값과 보상 후 제2 센서(T2)의 센싱값이 동일하다.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external magnetism, as can be seen in Equations 1 and 2,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are the same, that is, T2o-T1o becomes 0, so compensation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before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after compensation are the same.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before compensation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after compensation are the same.

도 16는 외부 자기(1500A/m)가 있는 경우, 제1 센서(T1)의 센싱값과 제2 센서(T2)의 센싱값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6에서 (a)는 보상 전 제1 센서(T1)의 센싱값과 제2 센서(T2)의 센싱값을 도시한 것이고, 도 16에서 (b)는 보상 후 제1 센서(T1)의 센싱값과 제2 센서(T2)의 센싱값을 도시한 것이다. 외부 자기(1500A/m)가 있는 경우, 제1 센서(T1)의 센싱값과 제2 센서(T2)의 센싱값의 차이값(T2o-T1o)이 0.54로 검출된다. a가 2.72이고, b:3.72인 경우, 수학식1을 통해, 제1 센서(T1)의 보상된 센싱값을 구하고, 수학식2를 통해 제2 센서(T2)의 보상된 센싱값을 구하면 도 16에서 (b)와 같이, 제1 센서(T1)의 보상된 센싱값과 제2 센서(T2)의 보상된 센싱값이 일치하여 옵셋이 발생하지 않고 보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Figure 16 is a graph comparing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when there is external magnetism (1500 A/m). In FIG. 16, (a) shows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before compensation, and (b) in FIG. 16 shows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after compensation. It shows the value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When there is external magnetism (1500A/m), the difference value (T2o-T1o) between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is detected as 0.54. When a is 2.72 and b:3.72, the compensated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is obtained through Equation 1, and the compensated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is obtained through Equation 2. As shown in (b) in Figure 16,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mpensated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compensated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match, so that offset does not occur and is compensated.

도 17은 상대적으로 강한 외부 자기(4500A/m)가 있는 경우, 제1 센서(T1)의 센싱값과 제2 센서(T2)의 센싱값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7에서 (a)는 보상 전 제1 센서(T1)의 센싱값과 제2 센서(T2)의 센싱값을 도시한 것이고, 도 17에서 (b)는 보상 후 제1 센서(T1)의 센싱값과 제2 센서(T2)의 센싱값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17 is a graph comparing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when there is relatively strong external magnetism (4500A/m). In FIG. 17, (a) shows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before compensation, and (b) in FIG. 17 shows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after compensation. It shows the value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상대적으로 강한 외부 자기(4500A/m)가 있는 경우, 제1 센서(T1)의 센싱값과 제2 센서(T2)의 센싱값의 차이값(T2o-T1o)이 1.62로 검출된다. a가 2.72이고, b:3.72인 경우, 수학식1을 통해, 제1 센서(T1)의 보상된 센싱값을 구하고, 수학식2를 통해 제2 센서(T2)의 보상된 센싱값을 구하면 도 17에서 (b)와 같이, 작은 옵셋(0.002deg)이 발생하지만. 제1 센서(T1)의 보상된 센싱값과 제2 센서(T2)의 보상된 센싱값이 거의 일치함을 수 있다.When there is a relatively strong external magnetism (4500A/m), the difference value (T2o-T1o) between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is detected as 1.62. When a is 2.72 and b:3.72, the compensated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is obtained through Equation 1, and the compensated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is obtained through Equation 2. As shown in (b) in Fig. 17, a small offset (0.002deg) occurs. It can be seen that the compensated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compensated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are almost identical.

도 18은 제3 갭(G3)의 변화와 콜렉터의 형상에 대응한 보상계수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8 is a diagram showing the compensation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the third gap G3 and the shape of the collector.

도 18에서 (a)는 제3 갭(G3)을 3.15mm로 설정한 센싱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18에서 (b)는 제3 갭(G3)을 2.15mm로 설정한 센싱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에서 (c)는 제3 갭(G3)을 2.15mm로 하여 (b)와 동일하게 설정하고, (c)의 M과 같이 콜렉터의 일부를 제거하여 콜렉터의 크기를 (a)나 (b)보다 작게 설정한 것이다.In FIG. 18 (a) shows a sensing device with the third gap G3 set to 3.15 mm, and in FIG. 18 (b) shows a sensing device with the third gap G3 set to 2.15 mm. In Figure 18, (c) is set the same as (b) with the third gap (G3) set to 2.15 mm, and a part of the collector is removed like M in (c) to change the collector size to (a) or (b). ) is set smaller than that.

(b)와 (c)를 비교해 보면, 보상계수의 차이가 거의 없어, 콜렉터의 형상은 보상계수에 영향을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a)와 (b)를 비교해 보면, 보상계수의 차이가 커, 제3 갭(G3)의 차이가 보상계수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Comparing (b) and (c),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in compensation coefficient,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hape of the collector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ompensation coefficient. However, when comparing (a) and (b), the difference in compensation coefficient is larg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in the third gap G3 greatly affects the compensation coefficient.

한편, 제1 센서(T1)의 자체 노이즈 또는 제2 센서(T2)의 자체 노이즈로 인하여, 이와 같이, 보상된 제1 센서(T1)의 센싱값의 노이즈 또는 보상된 제2 센서(T2)의 센싱값의 노이즈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 Meanwhile, due to the self-noise of the first sensor (T1) or the self-noise of the second sensor (T2), noise in the sensing value of the compensated first sensor (T1) or the self-noise of the compensated second sensor (T2) Noise in sensing values may increase significantly.

도 19는 외부 자기에 의한 출력값의 변화량을 보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오프셋의 평균값을 나타낸 표이다.FIG.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rocess of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mpensating for the change in output value due to external magnetism, and FIG. 20 is a table showing the average value of the offset.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는, 이러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복수 개의 오프셋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제1 센서(T1)의 센싱값 또는 제2 센서(T2)의 센싱값을 보상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9 and 20, in order to remove such noise, th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tects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or the second sensor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a plurality of sequentially input offsets. The sensing value of (T2) can be compensated.

오프셋이란. 제1 단위 콜렉터(310)로 전달되는 제1 센서(T1)의 센싱값과, 제2 단위 콜렉터(320)로 전달되는 제2 센서(T2)의 센싱값의 차이값에 보상계수를 곱한 값으로서, 수학식 1의 a*(T2o-T1o) 또는 수학식 2의 b*(T2o-T1o)가 각각 나타내는 값이다.What is offset? As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transmitted to the first unit collector 310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transmitted to the second unit collector 320 by the compensation coefficient , is the value represented by a*(T2o-T1o) in Equation 1 or b*(T2o-T1o) in Equation 2, respectively.

이러한 오프셋은 일정한 주기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제1 센서(T1)의 센싱값과 제2 센서(T2)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순서1,2,3…. 대로 일정한 주기로 오프셋들이 산출될 수 있다. 순서1의 오프셋은 0.003V이고, 순서2의 오프셋은 0.0051V이고, 순서3의 오프셋은 0.0051V일 수 있다.This offset can be calculated at regular interval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0, based on the input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the order 1, 2, 3... . Offsets can be calculated at regular intervals. The offset of order 1 may be 0.003V, the offset of order 2 may be 0.0051V, and the offset of order 3 may be 0.0051V.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n번째 오프셋에서, n-(m-1)번째 오프셋까지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제1 센서(T1)의 센싱값 또는 제2 센서(T2)의 센싱값을 보상할 수 있다. m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n은 m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오프셋 중 가장 최신의 m개의 오프셋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제1 센서(T1)의 센싱값 또는 제2 센서(T2)의 센싱값을 보상할 수 있다.In order to remove noise,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or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can be compensated based on the average value from the nth offset to the n-(m-1)th offset. there is. m is a positive integer greater than 1. n is a positive integer greater than m. For example,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or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may be compensated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the most recent m offsets among the plurality of offsets.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specific process for removing noise is as follows.

오프셋이 순차적으로 산출되어 입력된다.(S10)Offsets are calculated and input sequentially (S10).

오프셋의 개수가 m보다 큰지 확인한다.(S20)Check whether the number of offsets is greater than m. (S20)

오프셋의 개수가 m보다 크면, 예를 들어, m이 4이면, 오프셋 개수가 4가 되면, 가장 최신의 4개의 오프셋의 평균값을 산출한다.(S30) 예를 들어, 현재 오프셋이 순서4의 오프셋이면, 순서1의 오프셋, 순서2의 오프셋, 순서3의 오프셋, 순서4의 오프셋의 평균값인 0.0047V를 오프셋으로 선정할 수 있다.If the number of offsets is greater than m, for example, if m is 4 and the number of offsets becomes 4, the average value of the four most recent offsets is calculated. (S30) For example, the current offset is the offset of order 4. If so, 0.0047V, which is the average value of the offset in order 1, the offset in order 2, the offset in order 3, and the offset in order 4, can be selected as the offset.

그리고 현재 오프셋이 순서5의 오프셋이면, 순서2의 오프셋, 순서3의 오프셋, 순서4의 오프셋, 순서5의 오프셋의 평균값인 0.0051V를 오프셋으로 선정할 수 있다.And if the current offset is the offset of order 5, 0.0051V, which is the average value of the offset of order 2, the offset of order 3, the offset of order 4, and the offset of order 5, can be selected as the offset.

이처럼 평균값으로 산출된 (예를 들어, 0.0047V, 0.0051V)을 오프셋으로 하여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를 통해, 각각 제1 센서(T1)의 센서값을 보상하고 제2 센서(T2)의 센서값을 보상할 수 있다.(S40)Using the average value calculated in this way (e.g., 0.0047V, 0.0051V) as an offset, the sensor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is compensated and the sensor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is compensated through Equation 1 or Equation 2, respectively. Sensor values can be compensated (S40).

도 21은 비교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출력전압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출력전압을 비교한 그래프이다.Figure 21 is a graph compa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1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출력전압은, 평균값을 적용하지 않고, 제1 센서(T1)의 센서값과 제2 센서(T2)의 센서값을 보상한 것이며,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출력전압은, 최신의 4개의 오프셋의 평균값을 적용한 오프셋을 통해 제1 센서(T1)의 센서값과 제2 센서(T2)의 센서값을 보상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21, the output voltage of th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is obtained by compensating the sensor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or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without applying an average value, and in the embodiment The output voltage of the corresponding sensing device is obtained by compensating the sensor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or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through an offset obtained by applying the average value of the four latest offsets.

5000개 정도의 오프셋에 측정한 결과, 비교예의 경우, 수학식 1, 수학식 2를 통해 각각 제1 센서(T1)의 센서값과 제2 센서(T2)의 센서값이 보상되는 과정에는 보상계수가 곱해지는 상태에서, 오프셋이 수학식 1, 수학식 2에 그대로 적용하기 때문에 출력전압의 진폭이 크게 나타나 노이즈가 증폭됨을 확인할 수 있다.As a result of measuring about 5000 offsets,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the process of compensating the sensor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and the sensor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through Equation 1 and Equation 2, respectively, involves a compensation coefficient In the multiplied state, since the offset is applied as is in Equation 1 and Equation 2,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mplitude of the output voltage appears large and the noise is amplified.

반면에, 실시예의 경우, 최신의 4개의 오프셋의 평균값을 적용한 오프셋을 수학식 1, 수학식 2에 적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출력전압의 진폭이 작게 나타나 노이즈가 증폭이 방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ince the offset obtained by applying the average value of the latest four offsets is applied to Equation 1 and Equation 2,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mplitude of the output voltage appears relatively small and noise amplification is prevented.

도 22는 오프셋의 평균값을 적용함에 따른 지연 현상을 도시한 표이고, 도 23은 오프셋의 평균값을 적용함에 따른 지연 현상을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22 is a table showing the delay phenomenon according to application of the average value of the offset, and FIG. 23 is a graph showing the delay phenomen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average value of the offset.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제1 센서(T1)의 센싱값 또는 제2 센서(T2)의 센싱값을 보상하는데 있어서, 오프셋의 평균값을 사용하는 경우, 실제 오프셋 값에 도달하는데 지연이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Referring to FIGS. 22 and 23, when the average value of the offset is used to compensate for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or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there is a delay in reaching the actual offset value. A phenomenon occurs.

예를 들어, 외부자계에 의해 순서 12에 오프셋이 적용되는 경우, 최신 5개의 오프셋에 대한 평균값을 적용할 때, 순서 16에 도달할 때, 보상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보상이 될 때가지 시간이 지연된다.For example, when an offset is applied in order 12 by an external magnetic field, when applying the average value of the latest 5 offsets, when order 16 is reached, compensation is performed normally, so the time until compensation is It is delayed.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는, 보상을 하는데 있어서, 오프셋과, 오프셋의 평균값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eeks to solve this problem by selectively applying the offset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offset when making compensation.

도 24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보상 지연을 줄이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5는 보상 지연을 줄인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24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for reducing compensation delay in the process of removing noise, and FIG. 25 is a 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compensation delay is reduced.

도 24를 참조하면, 오프셋이 순차적으로 산출되어 입력되고(S10), 오프셋의 개수가 m보다 큰지 확인한다.(S20) 오프셋의 개수가 m보다 크면, 가장 최신의 m개의 오프셋의 평균값을 산출한다.(S30)Referring to FIG. 24, offsets are sequentially calculated and input (S10), and it is checked whether the number of offsets is greater than m (S20). If the number of offsets is greater than m, the average value of the most recent m offsets is calculated. .(S30)

그리고, 가장 최신의 오프셋과 가장 최신의 m개의 오프셋의 평균값의 차이값이 기준값(R)보다 큰지 비교한다.(S50) 기준값(R)은 미리 설정된 값이다. 예를 들어, 기준값은 0.003일 수 있다.Then, it is compared to see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st recent offset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most recent m offsets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R) (S50). The reference value (R) is a preset value. For example, the reference value may be 0.003.

가장 최신의 오프셋과 가장 최신의 m개의 오프셋의 평균값의 차이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보상 지연이 발생한 것으로 보아, 보상을 하는데 있어서 평균값을 적용하지 않고, 해당 최신의 오프셋을 적용하여, 제1 센서(T1)의 센서값 또는 제2 센서(T2)의 센서값을 보상한다.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st recent offset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most recent m offsets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considered that compensation delay has occurred, and the average value is not applied for compensation, but the latest offset is applied, and the first sensor ( The sensor value of T1) or the sensor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is compensated.

예를 들어, 기준값이 0.003이라 할 때, 도 2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순번 12에서, 가장 최신의 오프셋인 10.0과 가장 최신의 5개의 오프셋의 평균값인 2.0의 차이값이 8.0이기 때문에 순번 12에서는 오프셋의 평균값인 2.0을 적용하지 않고, 순번 12의 오프셋인 10.0을 적용하여, 제1 센서(T1)의 센서값 또는 제2 센서(T2)의 센서값을 보상한다.For example, when the reference value is 0.003, as shown in FIG. 22, at number 12, the difference between 10.0, the most recent offset, and 2.0, the average value of the five most recent offsets, is 8.0, so at number 12 Instead of applying 2.0, which is the average value of the offset, 10.0, which is the offset of sequence number 12, is applied to compensate for the sensor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or the sensor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반면에, 가장 최신의 오프셋과 가장 최신의 m개의 오프셋의 평균값의 차이값이 기준값보다 크지 않으면, 보상 지연이 없는 것으로 보아, 보상을 하는데 있어서 평균값을 적용하여 제1 센서(T1)의 센서값 또는 제2 센서(T2)의 센서값을 보상한다. 보상 지연이 없는 구간에서는 평균값을 적용하여 보상이 진행되기 때문에 노이즈가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st recent offset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most recent m offsets is not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no compensation delay, and the average value is applied to compensate for the sensor value of the first sensor (T1) or The sensor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 is compensated. In sections where there is no compensation delay, compensation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average value, which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noise.

도 2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V1은 평균값을 적용하여 노이즈를 개선하는 과정없이 오프셋만을 통해 보상을 적용한 출력변화량을 나타낸다. 도 25의 V1을 통해 출력변화량의 진폭이 크게 나타나 노이즈가 증폭됨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5, V1 represents the output change amount obtained by applying compensation only through offset without the process of improving noise by applying the average value. Through V1 in Figure 25, it can be seen that the amplitude of the output change appears large and the noise is amplified.

V2는 평균값을 적용하여 노이즈를 개선한 출력변화량을 나타낸다. V1과 달리 출력변화량의 진폭이 크게 줄어들어 노이즈가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20m/s을 시작점으로 하는 구간에서와 같이, 외부자계에 의해 출력이 크게 변동하는 경우, 노이즈를 개선하기 위하여 평균값을 적용하는 경우, 35ms지점이 되어야 출력변화량이 보상된 값으로 수렴하기 때문에 지연보상이 발생함으로 확인할 수 있다.V2 represents the output change amount with noise improved by applying the average value. Unlike V1, it can be seen that the amplitude of the output change is greatly reduced and the noise is improved. However, when the output fluctuates significantly due to an external magnetic field, such as in the section with 20m/s as the starting point, and when applying the average value to improve noise, the output change converges to the compensated value only at the 35ms point. This can be confirmed by the occurrence of delayed compensation.

이러한 지연보상 구간에서는 평균값을 적용하지 않고, 오프셋을 적용하여 보상함으로써, V3와 같이 출력변화량을 바로 보상할 수 있다. 그리고 지연보상 구간이 끝나는 시점에서는 평균값을 적용하여 노이즈를 개선한 출력변화량을 얻을 수 있다.In this delay compensation section, the output change can be directly compensated like V3 by applying offset instead of applying the average value. And at the end of the delay compensation section, the average value can be applied to obtain the output change with noise improved.

전술된 실시예는 차량용 또는 가전용 등 다양한 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us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vehicles or home appliances.

100: 스테이터
200: 로터
210: 마그넷
300: 제1 콜렉터
310: 제1 단위 콜렉터
311: 제1 플레이트
312: 제1 레그
320: 제2 단위 콜렉터
321: 제2 플레이트
322: 제2 레그
400: 제2 콜렉터
410: 제3 단위 콜렉터
411: 제3 플레이트
412: 제3 레그
420: 제4 단위 콜렉터
421: 제4 플레이트
422: 제4 레그
410: 제3 플레이트
420: 제3 단위 콜렉터
421: 제3 레그
430: 제4 플레이트
440: 제4 단위 콜렉터
441: 제4 레그
100: Stater
200: rotor
210: Magnet
300: first collector
310: first unit collector
311: first plate
312: first leg
320: second unit collector
321: second plate
322: second leg
400: second collector
410: Third unit collector
411: third plate
412: Third leg
420: Fourth unit collector
421: fourth plate
422: 4th leg
410: third plate
420: Third unit collector
421: Third leg
430: fourth plate
440: Fourth unit collector
441: 4th leg

Claims (10)

로터;
상기 로터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상측에 배치된 제1 콜렉터와 상기 스테이터 하측에 배치된 제2 콜렉터;및
상기 제1 콜렉터와 상기 제2 콜렉터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콜렉터는 제1 단위 콜렉터와 제2 단위 콜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콜렉터로 전달되는 상기 제1 센서의 센싱값과 상기 제2 단위 콜렉터로 전달되는 상기 제2 센서의 센싱값의 차이값에 보상계수를 곱한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값을 보상하되,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복수 개의 상기 오프셋 중 최신의 오프셋과,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복수 개의 상기 오프셋의 평균값의 차이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최신의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값을 보상하고,
상기 최신의 오프셋과, 상기 평균값의 차이값이 기준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평균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값을 보상하는 센싱 장치.
rotor;
A stator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rotor;
A first collector disposed above the stator and a second collector disposed below the stator; And
Comprising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llector and the second collector,
The first collector includes a first unit collector and a second unit collector,
Based on an offset obtained by multipl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ransmitted to the first unit collector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ransmitted to the second unit collector,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2 Compensate the sensing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sensors,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latest offset among the plurality of sequentially input offsets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plurality of sequentially input offsets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is based on the latest offset. Compensating for one sensing value,
A sensing device that compensates for the sensing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based on the average valu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latest offset and the average value is not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값은 n번째 상기 오프셋에서, n-(m-1)번째 상기 오프셋까지의 평균값이고, 상기 m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고, 상기 n은 상기 m보다 큰 양의 정수인 센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verage value is an average value from the nth offset to the n-(m-1)th offset, where m is a positive integer greater than 1, and n is a positive integer greater than m.
제2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오프셋 중 가장 최신의 m개의 상기 오프셋의 평균값인 센싱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A sensing device that is the average value of the most recent m offsets among a plurality of offse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의 센싱값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보상값으로 보상하는 센싱 장치.
수학식1
T1c= T1o-a*(T2o-T1o)
여기서, T1c는 상기 제1 센서의 보상된 센싱값이며, T1o은 제1 센서의 보상전 센싱값이며, T2o는 제2 센서의 보상전 센싱값이며, a는 상기 제1 단위 콜렉터와 상기 제2 단위 콜렉터의 축방향 이격 거리에 대응한 보상계수다.
According to claim 1,
A sensing device in which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is compensated with a compensation value calculated by Equation 1 below.
Equation 1
T1c=T1o-a*(T2o-T1o)
Here, T1c is the compensated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1o is the pre-compensated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T2o is the pre-compensated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and a is the first unit collector and the second sensor. It is a compensation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axial separation distance of the unit collector.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의 센싱값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되는 보상값으로 보상하는 센싱 장치.
수학식2
T2c= T2o-b*(T2o-T1o)
여기서, T2c는 상기 제2 센서의 보상된 센싱값이며, T1o는 제2 센서의 보상전 센싱값이며, T2o는 제2 센서의 보상전 센싱값이며, b는 상기 제1 단위 콜렉터와 상기 제2 단위 콜렉터의 축방향 이격 거리에 대응한 보상계수다.
According to clause 4,
A sensing device that compensates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with a compensation value calculated by Equation 2 below.
Equation 2
T2c=T2o-b*(T2o-T1o)
Here, T2c is the compensated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1o is the pre-compensated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T2o is the pre-compensated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and b is the first unit collector and the second sensor. It is a compensation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axial separation distance of the unit collec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콜렉터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콜렉터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위 콜렉터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콜렉터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서로 이격된 센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unit collector includes a first plate and a first leg protruding from the first plat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collector,
The second unit collector includes a second plate and a second leg protruding from the second plat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collector,
A sensing device wherei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축 방향으로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오버랩되는 센싱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A sensing device in which the first plate overlaps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plate in the axial direction.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그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제1 레그의 축방향 길이보다 긴 센싱 장치.
According to clause 7,
A sensing device wherein the axial length of the second leg is longer than the axial length of the first leg.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콜렉터는 제3 단위 콜렉터와 제 단위 콜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위 콜렉터는 제3 플레이트와 상기 제3 플레이트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콜렉터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단위 콜렉터는 제4 플레이트와 상기 제4 플레이트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콜렉터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플레이트와 상기 제4 플레이트는 서로 이격된 센싱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second collector includes a third unit collector and a first unit collector,
The third unit collector includes a third plate and a third leg protruding from the third plat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llector,
The fourth unit collector includes a fourth plate and a fourth leg protruding from the fourth plat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llector,
The third plate and the fourth plat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축 방향으로 상기 제4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오버랩되는 센싱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third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plate in the axial direction and overlaps.
KR1020220049326A 2022-04-21 2022-04-21 Apparatus for sensing KR2023014996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326A KR20230149964A (en) 2022-04-21 2022-04-21 Apparatus for sen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326A KR20230149964A (en) 2022-04-21 2022-04-21 Apparatus for sens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964A true KR20230149964A (en) 2023-10-30

Family

ID=88558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326A KR20230149964A (en) 2022-04-21 2022-04-21 Apparatus for sen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996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3648B1 (en) Magnetic sensor
KR20160063998A (en) Magnetic detection device and torque sensor including the same
JP5790205B2 (en) Torque sensor
US7076352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nd angle compensating method therefor
US6591699B2 (en) Temperature compensator of torque sensor
US6958620B1 (en) Resolver malfunction diagnostic circuit
KR20230149964A (en) Apparatus for sensing
EP1298032A3 (en) Device for measuring torque with high accuracy
KR20220147482A (en) Apparatus for sensing
US20050237016A1 (en) Rotating angle detecting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EP1707932A3 (en) Torque sensor and electric steer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230152352A (en) Apparatus for sensing
KR20230049999A (en) Apparatus for sensing
KR20230049998A (en) Apparatus for sensing
EP1167939B1 (en) Abnormal state detecting apparatus of torque sensor
US20060284627A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electrical signals
CN118076860A (en) Sensing device
KR20230038874A (en) Apparatus for sensing
US20040144183A1 (en) Temperature compensator of torque sensor
WO2018180526A1 (en) Torque sensor
CN117222867A (en) Sensing device
KR102582436B1 (en) Apparatus for sensing
US6901817B2 (en) Neutral point voltage regulator of torque sensor
KR100388105B1 (e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steering of vehicle
JP2007069741A (en) Car-mounted electronic control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