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523A - 다양한 너비의 도어 호완 가능한 다중도어 연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문 - Google Patents

다양한 너비의 도어 호완 가능한 다중도어 연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523A
KR20230149523A KR1020220048828A KR20220048828A KR20230149523A KR 20230149523 A KR20230149523 A KR 20230149523A KR 1020220048828 A KR1020220048828 A KR 1020220048828A KR 20220048828 A KR20220048828 A KR 20220048828A KR 20230149523 A KR20230149523 A KR 20230149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ing
door
frame
body portion
lin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배
Original Assignee
(주)인익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익스 filed Critical (주)인익스
Priority to KR1020220048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9523A/ko
Publication of KR20230149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도어 연동 장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는 제1 라인 상에 연결되며 제1 도어가 연결되는 제1 연동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라인과 이격되는 제2 라인 상에 연결되며, 제2 도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일측연동부 및 상기 제2 도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2 매개연동부를 구비하는 제2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매개연동부는, 상기 제2 일측연동부와 연결되는 제2 매개연동본체부 및 상기 제2 도어의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제2 매개연동본체부 상에 형성되는 제2 매개연동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너비의 도어 호완 가능한 다중도어 연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문 {A MULTI-DOOR INTERLOCKING DEVICE COMPATIBLE WITH DOORS OF VARIOUS WIDTHS AND A JUNGMU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종의 도어가 적용되고 장착될 수 있는 다중도어 연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문에 대한 것이다.
실내 인테리어의 관심 증가에 힘입어, 최근에 아파트 내부에 중문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중문은 실내의 신발장과 내부를 서로 구분시켜, 실내의 아늑함과 편안함을 향상시키고, 공간적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중문은 미닫이 방식, 슬라이드 방식으로 구분되며, 슬라이드 방식은 단일 도어, 다중 도어 방식으로 구분되고 있다. 다중 도어 방식 중에서 가장많이 활용되는 방식은 3중 도어 방식으로서, 3개의 도어가 서로 연동되어, 열리고 닫히는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다.
기존의 3중 도어 방식의 중문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중문의 도어와 프레임을 주문 제작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야 했다. 이는 설치되는 장소의 공간이 미세하게 모두 상이하여, 설치되는 장소마다 도어의 너비가 달라지게 되며, 도어의 너비가 달라질 경우, 도어가 결합되는 프레임의 체결 구조 (일례로, 삽입 부분 간의 거리)가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에는 작업자가 1차적으로 설치되는 장소를 계측한 후에, 계측 값에 따라 중문을 설계하고 제작한 후에, 2차적으로 설치되는 장소에서 중문을 설치해야 했다. 이러한, 주문 제작 형식의 생산 방식은 제품의 생산성과 설치 효율성이 매우 낮은 문제가 야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너비의 도어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여, 미리 대량 생산 가능한 다중도어 연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문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도어 연동 장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는 제1 라인 상에 연결되며 제1 도어가 연결되는 제1 연동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라인과 이격되는 제2 라인 상에 연결되며, 제2 도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일측연동부 및 상기 제2 도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2 매개연동부를 구비하는 제2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매개연동부는, 상기 제2 일측연동부와 연결되는 제2 매개연동본체부 및 상기 제2 도어의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제2 매개연동본체부 상에 형성되는 제2 매개연동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매개연동체결부는, 함입된 상기 제2 매개연동본체부의 내측 하면과 이격되게 상기 제2 매개연동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1 매개연동체결부 및 상기 제2-1 매개연동체결부와 마주보게 함입된 상기 제2 매개연동본체부의 내측 하면과 이격되면서 상기 제2 매개연동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2 매개연동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일측연동부는, 상기 제2 라인 상에서 상기 프레임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일측연동본체부 및 상기 제2 일측연동부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도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일측연동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일측연동연장부는, 상기 제2 도어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는 제2 일측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일측연동연장부는, 상기 제2 매개연동체결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매개연동체결부를 향하여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동부는, 상기 제1 도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 일측연동부 및 상기 제1 도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1 타측연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타측연동부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될 경우, 상기 프레임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되고,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지 않을 경우, 상기 프레임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타측연동부는, 상기 제1 도어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는 제1 타측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타측연동부는, 상기 제1 일측연동부를 향하여 상기 제1 타측홀에서부터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도어 연동 장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는 제2 라인 상에 연결되며, 제2 도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일측연동부 및 상기 제2 도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2 매개연동부를 구비하는 제2 연동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라인과 이격되는 제3 라인 상에 연결되며, 제3 도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3 연동본체부를 구비하는 제3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매개연동부는, 상기 제2 일측연동부와 연결되는 제2 매개연동본체부 및 상기 제2 도어의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제2 매개연동본체부 상에 형성되는 제2 매개연동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연동본체부는, 상기 제3 라인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3 도어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는 제3 연동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동부는, 상기 제2 일측연동부와 대향되게 상기 제2 매개연동부에 연결되는 제2 타측연동부 및 상기 제2 일측연동부, 상기 제2 매개연동부와 상기 제2 타측연동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벨트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연동부는, 상기 벨트 모듈에 연결된 상기 제3 연동본체부가 이동되는 것에 따라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벨트 모듈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제3 연동이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연동이동부는, 상기 제2 연동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3 연동본체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도어 연동 장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는 제1 라인 상에 연결되며 제1 도어가 연결되는 제1 연동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라인과 이격되는 제2 라인 상에 연결되며, 제2 도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일측연동부 및 상기 제2 도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2 매개연동부를 구비하는 제2 연동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라인과 이격되는 제3 라인 상에 연결되며, 제3 도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3 연동본체부를 구비하는 제3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매개연동부는, 상기 제2 일측연동부와 연결되는 제2 매개연동본체부 및 상기 제2 도어의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제2 매개연동본체부 상에 형성되는 제2 매개연동체결부를 구비할 수 잇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중문은, 건물의 벽에 고정되는 다중도어 연동 장치; 및 제1 도어부, 제2 도어부 및 제3 도어부로 이루어진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가 상기 다중도어 연동장치에 결합되도록, 상기 도어부와 상기 다중도어 연동장치를 서로 매개하는 매개 수단을 구비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도어 연동 장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는 제1 라인 상에 연결되며 제1 도어가 연결되는 1 연동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라인과 이격되는 제2 라인 상에 연결되며, 제2 도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일측연동부 및 상기 제2 도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2 매개연동부를 구비하는 제2 연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매개연동부는, 상기 제2 일측연동부와 연결되는 제2 매개연동본체부 및 상기 제2 도어의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제2 매개연동본체부 상에 형성되는 제2 매개연동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너비의 도어 호완 가능한 다중도어 연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문은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설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조 단가를 감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보수 및 관리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도어로 이루어진 중문에 대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도어로 이루어진 중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도어 연동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도어 연동 장치의 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도어 연동 장치의 제1 연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도어 연동 장치의 제2 연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도어 연동 장치의 제3 연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도어 연동 장치에 도어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도어 연정 장치의 전체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도어로 이루어진 중문에 대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도어로 이루어진 중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도어(100)로 이루어진 중문은 건물의 벽에 고정되는 다중도어 연동 장치(1000) 및 제1 도어부(111), 제2 도어부(112) 및 제3 도어부(113)로 이루어진 도어부(110)와 상기 도어부(110)가 상기 다중도어 연동장치에 결합되도록, 상기 도어부(110)와 상기 다중도어 연동장치를 서로 매개하는 매개 수단(120)을 구비하는 도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중도어(100)로 이루어진 중문은 건물벽에 고정되는 틀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중도어(100)로 이루어진 중문은 가정 내의 출입구를 이루는 통로 상에 설치되어, 실내의 쾌적함을 증진 시킬 수 있다.
일례로, 다중도어 연동장치는 체결 수단에 의해 건물 천장에 직접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도어부(110)는 투명한 창, 투명한 창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프레임의 하단에 배치되는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어부(110)는 총 3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를 제1 도어부(111), 제2 도어부(112) 및 제3 도어부(113)로 명명할 수 있다.
매개 수단(120)은 도어부(110)가 다중도어 연동 장치(1000)와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하는 수단일 수 있다.
일례로, 매개 수단(120)은 원 기둥 형상의 매개 본체부(121), 상기 매개 본체부(121)를 기준으로 상하로 위치 이동 가능한 매개 삽입부(122) 및 매개 본체부(121)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매개 삽입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매개 탄성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매개 본체부(121)는 상기 도어부(110)의 상단부에 인입될 수 있고, 상기 매개 삽입부는 후술하는 다중도어 연동 장치(1000)에 형성된 홀에 인입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부(110)가 다중도어 연동 장치(100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매개 삽입부의 일부는 매개 본체부(121)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매개 수단(120)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틀부(200)는 체결 수단에 의해 건물의 측면과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다중도어 연동 장치(1000)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도어 연동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도어 연동 장치의 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도어 연동 장치의 제1 연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도어 연동 장치의 제2 연동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도어 연동 장치의 제3 연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도어 연동 장치(1000)는 프레임부(1400), 상기 프레임부(1400)에 형성되는 제1 라인(L10) 상에 연결되며 제1 도어(100)가 연결되는 제1 연동부(1100) 및 상기 프레임부(1400)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라인(L10)과 이격되는 제2 라인(L20) 상에 연결되며, 제2 도어(10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일측연동부(1210) 및 상기 제2 도어(100)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2 매개연동부(1220)를 구비하는 제2 연동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중도어 연동 장치(1000)는 상기 프레임부(1400)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라인(L20)과 이격되는 제3 라인(L30) 상에 연결되며, 제3 도어(10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3 연동본체부(1310)를 구비하는 제3 연동부(1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400)는 건물 내 천장에 체결 수단에 의해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부(1400)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프레임부(1400)에는 제1 라인(L10), 제2 라인(L20) 및 제3 라인(L30)이라 정의되는 각각의 레일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400)는 제4 라인(L40)이라 정의되는 레일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라인(L40)은 제1 라인(L10)과 제2 라인(L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연동부(1100)는 상기 제1 도어(10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 일측연동부(1110) 및 상기 제1 도어(100)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1 타측연동부(11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일측연동부(1110)는 내측에 하측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일측연동부(1110)의 하단부는 걸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일측연동부(1110)는 제1 라인(L10)에 삽입되고, 제1 라인(L10)에 형성된 돌출 형상에 상기 제1 일측연동부(1110)의 하단부가 걸려질 수 있다.
제1 일측연동부(1110)의 상면은 함입되어 상기 매개 수단(120)의 매개 삽입부가 인입되는 제1 일측홀(h11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일측홀(h1110)의 길이는 매개 삽입부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제1 타측연동부(1120)는 내측에 하측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타측연동부(1120)의 하단부는 걸림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타측연동부(1120)는 제1 라인(L10)에 삽입되고, 제1 라인(L10)에 형성된 돌출 형상에 상기 제2 타측연동부(1230)의 하단부가 걸려질 수 있다.
상기 제1 타측연동부(1120)는 상기 제1 도어(100)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는 제1 타측홀(h112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타측홀(h1120)에는 상기 매개 삽입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타측홀(h1120)의 내면 직경은 상기 매개 삽입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상기 제1 타측연동부(1120)는 상기 제1 일측연동부(1110)를 향하여 상기 제1 타측홀(h1120)에서부터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타측연동부(1120)는 상기 제1 일측연동부(1110)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1 타측홀(h1120)에서부터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타측연동부(1120)의 경사면은 제1 도어(100)에 연결된 매개 삽입부가 제1 타측홀(h1120)로 용이하게 가이드되기 위함일 수 있다.
제2 연동부(1200)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2 라인(L20)에 연결되는 제2 일측연동부(1210), 상기 제2 일측연동부(1210)에 연결되며 제2 도어(100)가 체결되는 제2 매개연동부(1220) 및 상기 제2 매개연동부(122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2 라인(L20)에 연결되는 제2 타측연동부(12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동부(1200)는 상기 제2 일측연동부(1210), 상기 제2 매개연동부(1220)와 상기 제2 타측연동부(123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벨트 모듈(12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동부(1200)는 댐퍼 모듈에 접촉되는 접촉부(1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일측연동부(1210)는 상기 제2 라인(L20) 상에서 상기 프레임부(14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일측연동본체부(1211) 및 상기 제2 일측연동부(1210)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도어(10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일측연동연장부(121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일측연동본체부(1211)의 하단에 벨트 모듈(1240)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일측연동본체부(1211)는 하단 측면이 함입되어, 상기 제2 일측연동본체부(1211)의 하단부는 제2 라인(L20)에 돌출 형상에 끼워질 수 있다.
제2 일측연동본체부(1211)의 상면은 함입되어 상기 접촉부(1250)가 삽입되고 결합될 수 있는 함입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촉부(1250)는 상기 제2 일측연동본체부(1211)의 함입 부분에 삽입되고, 나사 못과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일측연동본체부(12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일측연동본체부(1211)의 하단부에는 상기 벨트 모듈(1240)의 회전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일측연동연장부(1212)는 후술하는 제2 매개연동체결부(1222)에 인입되며, 상기 제2 일측연동본체부(1211)로부터 제2 타측연동부(12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일측연동연장부(1212)는 상기 제2 도어(10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는 제2 일측홀(h12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일측연동연장부(1212)는 상기 제2 매개연동체결부(1222)에 삽입되고, 제2 일측홀(h1212)에서부터 상기 제2 매개연동체결부(1222)를 향하여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일측연동연장부(1212)는 제2 타측연동부(1230)를 향하여 상기 제2 일측홀(h1212)에서부터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매개연동부(1220)는 상기 제2 일측연동부(1210)와 연결되는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 및 상기 제2 도어(100)의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 상에 형성되는 제2 매개연동체결부(122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매개연동부(1220)는 제2 도어(100)의 타단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매개이동부(122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 일측연동본체부(1211)가 연결되고, 상기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의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 타측연동본체부(1231)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는 막대 형상으로서 상면에 제2 매개연동체결부(1222)가 위치될 수 있다.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의 길이는 제2 도어(100)의 폭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제2 도어(100)의 폭을 고려하여 작업자는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을 절단하여,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일측연동본체부(1211)와 제2 타측연동본체부(1231)는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에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매개연동체결부(1222)는 함입된 상기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의 내측 하면과 이격되게 상기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1 매개연동체결부(1222a) 및 상기 제2-1 매개연동체결부(1222a)와 마주보게 함입된 상기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의 내측 하면과 이격되면서 상기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2 매개연동체결부(122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2 매개연동체결부와 상기 제2-2 매개연동체결부(1222b)는 서로 이격되어 후술하는 제2 매개이동부(1223)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 매개이동부(1223)는 상기 제2 매개연동체결부(1222)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매개연동체부를 기준으로 슬라이딩되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매개이동부(1223)는 상기 제2-1 매개연동체결부(1222a)와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의 내측 하면 사이와 제2-2 매개연동체결부(1222b)와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의 내측 하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제2-1 매개이동부(1223a), 상기 제2-1 매개연동체결부(1222a)와 상기 제2-2 매개연동체결부(1222b)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1 매개이동부(1223a)의 상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2 매개이동부(1223b) 및 상기 제2-2 매개이동부(1223b)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3 매개이동부(1223c)를 구비할 수 있다.
제2-1 매개이동부(1223a)의 중앙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P1223a-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P1223a-1)에는 제2 매개이동부(1223)이 제2 매개연동체결부(1222)에 고정되기 위한 너트가 인입될 수 있다.
제2-2 매개이동부(1223b)는 상기 제2-1 매개이동부(1223a)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2 매개이동부(1223b)의 중앙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P1223a-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P1223a-2)에는 제2-1 매개이동부(1223a)에 인입된 너트와 체결될 볼트의 중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3 매개이동부(1223c)는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3 매개이동부(1223c)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2-3 매개이동부(1223c)의 상면에는 제2 매개홀(h1223c-1, h1223c-2)이 형성되어, 중공(P1223a-1, P1223a-2)에 삽입되는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다.
제2 타측연동부(1230)는 상기 제2 라인(L20) 상에서 상기 프레임부(14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타측연동본체부(1231) 및 상기 제2 타측연동부(1230)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도어(10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타측연동연장부(123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타측연동본체부(1231)의 하단에 벨트 모듈(1240)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타측연동본체부(1231)는 하단 측면이 함입되어, 상기 제2 타측연동본체부(1231)의 하단부는 제2 라인(L20)에 돌출 형상에 끼워질 수 있다.
제2 타측연동본체부(1231)의 상면은 함입되어 접촉부(1250)가 삽입되고 결합될 수 있는 함입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촉부(1250)는 상기 제2 타측연동본체부(1231)의 함입 부분에 삽입되고, 나사 못과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타측연동본체부(12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타측연동본체부(1231)의 하단부에는 상기 벨트 모듈(1240)의 회전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타측연동연장부(1232)는 후술하는 제2 매개연동체결부(1222)에 인입되며, 상기 제2 타측연동본체부(1231)로부터 제2 일측연동부(1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타측연동연장부(1232)는 상기 제2 도어(100)의 타탄부가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는 제2 타측홀(h12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타측연동연장부(1232)는 상기 제2 매개연동체결부(1222)에 삽입되고, 제2 타측홀(h1232)에서부터 상기 제2 매개연동체결부(1222)를 향하여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타측연동연장부(1232)는 제2 일측연동부(1210)를 향하여 상기 제2 타측홀(h1232)에서부터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벨트 모듈(1240)은 제2 일측연동본체부(1211)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회전부(1241), 제2 타측연동본체부(1231)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회전부(1242) 및 상기 제1 회전부(1241)의 측면과 상기 제2 회전부(1242)의 측면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벨트부(124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회전부(1241)의 측면 및/또는 제2 회전부(1242)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함임부가 형성되어 벨트부(1243)의 측면에 형성된 톱니 형상이 인입될 수 있다.
제3 연동부(1300)는 제3 연동본체부(1310) 및 제3 도어(100)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제3 라인(L30) 상의 프레임부(1400)에 삽입되는 제3 연동롤러부(13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3 연동부(1300)는 상기 벨트 모듈(1240)에 연결된 상기 제3 연동본체부(1310)가 이동되는 것에 따라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벨트 모듈(1240)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부(1400)에 연결되는 제3 연동이동부(1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3 연동본체부(1310)는 상기 제3 라인(L3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부(14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연동본체부(1310)는 상면이 함입되어 상기 제3 도어(10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는 제3 연동홀(h1311)이 형성되어 있는 제3-1 연동본체부(1311), 상기 제3-1 연동본체부(1311)의 일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2 연동본체부(1312), 상기 제3-2 연동본체부(13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3-1 연동본체부(1311)의 슬라이딩 동작을 구현하는 제3-3 연동본체부(1313), 상기 제3-1 연동본체부(1311)의 타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4 연동본체부(1314) 및 상기 제3-4 연동본체부(13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3-1 연동본체부(1311)의 슬라이딩 동작을 구현하는 제3-5 연동본체부(1315)를 구비할 수 있다.
제3-1 연동본체부(1311)의 하단부는 걸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3-1 연동본체부(1311)는 제1 라인(L10)에 삽입되고, 제1 라인(L10)에 형성된 돌출 형상에 상기 제3-1 연동본체부(1311)의 하단부가 걸려질 수 있다.
상기 제3-3 연동본체부(1313)의 상면에는 상기 제3 도어(10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는 제3 연동홀(h13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3-3 연동본체부(1313) 및 상기 제3-5 연동본체부(1315)는 상기 제3 라인(L30)을 이루는 프레임부(140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제3-1 연동본체부(1311)가 위치 이동되는 것에 의해 회전되어, 프레임부(1400)와 제3 연동본체부(1310) 간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3 연동본체부(1310)는 제3-1 연동본체부(13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벨트부(1243)에 결합되는 제3 연동연장부(131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3 연동연장부(1316)는 상기 제3-1 연동본체부(1311)의 측면을부터 돌출되어 제3 라인(L30)과 제2 라인(L20) 사이의 프레임부(1400)에 이웃되는 제3-1 연동연장부(1316a) 및 상기 제3-2 연동연장부(1316b)로부터 돌출되어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의 하측에 존재하는 벨트부(1243)와 연결되는 제3-2 연동연장부(1316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2 연동연장부(1316b)는 너비 방향으로 관통되어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2 연동연장부(1316b)의 내측 공간에는 벨트부(124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2 연동연장부(1316b)의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함입부가 형성되어 있어, 벨트부(1243)의 돌출 형상이 인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3-2 연동연장부(1316b)의 내측 공간에 벨트부(1243)가 억지 끼움 될 수 도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벨트부(1243)가 제3-2 연동연장부(1316b)에 고정되는 방식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벨트부(1243)가 제3-2 연동연장부(1316b)에 인입된 상태에서 초음파 접착 방식으로 벨트부(1243)는 제3-2 연동연장부(1316b)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연동롤러부(1320)는 상기 제3 도어(10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3 연동프레임부(1321), 상기 제3 연동프레임부(13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연동회전부(1322), 상기 제3 연동회전부(1322)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3 라인(L30)에 인입되는 제3 바퀴부(1323) 및 상기 제3 연동회전부(1322)가 상기 제3 연동프레임부(13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하는 제3 연동탄성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연동이동부(1330)는 제4 라인(L40)에 연결되어 상기 제4 라인(L40)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3 연동이동부(1330)는 상기 제2 연동부(1200)를 기준으로 상기 제3 연동본체부(1310)와 대향되도록 상기 프레임부(14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연동이동부(1330)는 상기 제4 라인(L40)에 결합되는 제3-1 연동이동부(1331) 및 상기 제3 연동이동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벨트부(1243)와 연결되는 제3-2 연동이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2 연동이동부는 너비 방향으로 관통되어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2 연동이동부의 내측 공간에는 벨트부(124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2 연동이동부의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함입부가 형성되어 있어, 벨트부(1243)의 돌출 형상이 인입될 수 있다.
벨트부(1243)가 위치 이동되면, 제3-2 연동연장부(1316b)와 제3-2 연동이동부가 함께 프레임부(1400)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제3-2 연동이동부가 제1 회전부(1241) 및/또는 제2 회전부(1242)에 접촉되는 것에 의해, 제2 도어(10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3-2 연동연장부(1316b)가 제1 회전부(1241) 및/또는 제2 회전부(1242)에 접촉되는 것에 의해 제2 도어(10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하, 다중 도어 연동 장치에 도어(100)를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도어 연동 장치에 도어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제1 도어부(111)의 폭을 고려하고 동시에 제1 도어부(111)에 연결되는 매개 수단의 거리를 고려하여 제1 타측연동부(112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도어부(111)에 연결되는 매개 수단의 거리와 제1 일측홀(h1110)과 제1 타측홀(h1120)의 거리가 동일한 지점의 제1 타측연동부(1120)를 프레임부(1400)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타측연동부(1120)가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1400)에 결합될 경우, 상기 제1 타측연동부(1120)는상기 프레임부(140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 타측연동부(1120)가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1400)에 결합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타측연동부(1120)는 상기 프레임부(140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작업자는 제1 일측홀(h1110)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제1 도어부(111)의 일단부에 연결된 매개 삽입부(X11)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을 경우, 제1 도어부(111)의 타단부에 연결된 매개 삽입부(X12)는 제1 타측연동부(1120)의 경사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제1 도어부(111)를 제1 타측연동부(112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1 일측홀(h1110)에 삽입된 매개 삽입부(X11)는 제1 일측홀(h1110) 상에서 제1 타측연동부(1120)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 도어부(111)의 타단부에 연결된 매개 삽입부(X12)는 제1 타측연동부(112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1 타측홀(h112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2 도어부(112)의 타단부에 연결된 매개 수단의 매개 삽입부(X22)는 제2 매개연동체결부(1222)와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개 삽입부(X22)는 제2-1 매개연동체결부(1222a)와 제2-2 매개연동체결부(1222b) 사이로 삽입되어,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의 내측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2 도어부(112)의 일단부에 연결된 매개 수단의 매개 삽입부(X21)는 제2 일측연동연장부(1212)의 경사면 혹은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의 내측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제2 도어부(112)를 제2 일측연동부(121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2 도어부(112)의 일단부에 연결된 매개 수단의 매개 삽입부(X21)는 제2 일측연동연장부(121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어 제2 일측홀(h1212)에 삽입되며, 제2 도어부(112)의 타단부에 연결된 매개 수단의 매개 삽입부(X22)는 제2-1 매개연동체결부(1222a)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제2 도어부(112)의 일단부에 연결된 매개 수단의 매개 삽입부(X21)가 제2 일측홀(h12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매개이동부(1223)가 제2 도어부(112)의 타단부에 접촉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매개이동부(1223)은 제2 도어부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체결 수단(일례로, 볼트)가 제2 매개이동부(1223)에 삽입되어, 제2 매개이동부(1223)가 제2 매개연동본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제3 연동롤러부(1320)는 제3 도어부(113)의 타단부에 제3 연동롤러부(1320)를 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도어부(113)의 타단부에 연결된 매개 수단의 매개 삽입부(X31)는 제3 연동홀(h13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제3 연동롤러부(1320)는 제3 라인(L30)에 인입되어 자동적으로 제3 라인(L3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도어 연정 장치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프레임부(1400)는 제1 라인(L10), 제2 라인(L20), 제3 라인(L30) 및 제4 라인(L40)의 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은 함입 형상 및 함입형상의 개구부를 일부 막는 돌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동부 내지 제3 연동부는 제1 라인에 인입되기 위하여 하단부가 걸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걸림 형상은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제1 일측연동부(1110)의 하단부와 제1 타측연동부의 하단부의 걸림 형상은 삼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일측연동본체부(1211)의 하단부 및 제2 타측연동본체부의 하단부의 걸림 형상은 삼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연동본체부(1310)의 하단부의 걸림 형상은 삼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프레임부에 연동부의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도어(100)가 다중도어 연동 장치(1000)에 삽입됨으써, 다양한 너비의도어(100)를 다중도어 연동 장치(100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다중도어 연동장치를 도어 너비에 따라 개별적으로 미리 제작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상술한 다중도어 연동장치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손쉽게 도어를 탈 부탁할 수 있어, 보수, 유지, 관리에 용이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11 : 제1 도어부 112 : 제2 도어부
113 : 제3 도어부 1000 : 다중도어 연동 장치

Claims (13)

  1.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는 제1 라인 상에 연결되며 제1 도어가 연결되는 제1 연동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라인과 이격되는 제2 라인 상에 연결되며, 제2 도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일측연동부 및 상기 제2 도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2 매개연동부를 구비하는 제2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매개연동부는,
    상기 제2 일측연동부와 연결되는 제2 매개연동본체부(1221) 및 상기 제2 도어의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제2 매개연동본체부 상에 형성되는 제2 매개연동체결부(1222)를 구비하는,
    다중도어 연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매개연동체결부(1222)는,
    함입된 상기 제2 매개연동본체부의 내측 하면과 이격되게 상기 제2 매개연동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1 매개연동체결부(1222a) 및 상기 제2-1 매개연동체결부와 마주보게 함입된 상기 제2 매개연동본체부의 내측 하면과 이격되면서 상기 제2 매개연동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2 매개연동체결부(1222b)를 구비하는,
    다중도어 연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일측연동부는,
    상기 제2 라인 상에서 상기 프레임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일측연동본체부(1211) 및 상기 제2 일측연동부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도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일측연동연장부(1212)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일측연동연장부는,
    상기 제2 도어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는 제2 일측홀이 형성되어 있는,
    다중도어 연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일측연동연장부는,
    상기 제2 매개연동체결부(1222)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매개연동체결부를 향하여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다중도어 연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동부는,
    상기 제1 도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 일측연동부(1110) 및 상기 제1 도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1 타측연동부(112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타측연동부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될 경우, 상기 프레임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되고,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지 않을 경우, 상기 프레임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한,
    다중도어 연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측연동부는,
    상기 제1 도어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는 제1 타측홀이 형성되어 있는,
    다중도어 연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측연동부는,
    상기 제1 일측연동부를 향하여 상기 제1 타측홀에서부터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다중도어 연동장치.
  8.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는 제2 라인 상에 연결되며, 제2 도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일측연동부 및 상기 제2 도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2 매개연동부를 구비하는 제2 연동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라인과 이격되는 제3 라인 상에 연결되며, 제3 도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3 연동본체부를 구비하는 제3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매개연동부는,
    상기 제2 일측연동부와 연결되는 제2 매개연동본체부 및 상기 제2 도어의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제2 매개연동본체부 상에 형성되는 제2 매개연동체결부를 구비하는,
    다중도어 연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동본체부는,
    상기 제3 라인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3 도어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는 제3 연동홀이 형성되어 있는,
    다중도어 연동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동부는,
    상기 제2 일측연동부와 대향되게 상기 제2 매개연동부에 연결되는 제2 타측연동부 및 상기 제2 일측연동부, 상기 제2 매개연동부와 상기 제2 타측연동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벨트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연동부는,
    상기 벨트 모듈에 연결된 상기 제3 연동본체부가 이동되는 것에 따라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벨트 모듈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제3 연동이동부(1330)를 더 구비하는,
    다중도어 연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동이동부는,
    상기 제2 연동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3 연동본체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다중도어 연동 장치.
  12.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는 제1 라인 상에 연결되며 제1 도어가 연결되는 제1 연동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라인과 이격되는 제2 라인 상에 연결되며, 제2 도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일측연동부 및 상기 제2 도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2 매개연동부를 구비하는 제2 연동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라인과 이격되는 제3 라인 상에 연결되며, 제3 도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3 연동본체부를 구비하는 제3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매개연동부는,
    상기 제2 일측연동부와 연결되는 제2 매개연동본체부 및 상기 제2 도어의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제2 매개연동본체부 상에 형성되는 제2 매개연동체결부를 구비하는,
    다중도어 연동 장치.
  13. 건물의 벽에 고정되는 다중도어 연동 장치; 및
    제1 도어부, 제2 도어부 및 제3 도어부로 이루어진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가 상기 다중도어 연동장치에 결합되도록, 상기 도어부와 상기 다중도어 연동장치를 서로 매개하는 매개 수단을 구비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도어 연동 장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는 제1 라인 상에 연결되며 제1 도어가 연결되는 제1 연동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라인과 이격되는 제2 라인 상에 연결되며, 제2 도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일측연동부 및 상기 제2 도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2 매개연동부를 구비하는 제2 연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매개연동부는,
    상기 제2 일측연동부와 연결되는 제2 매개연동본체부 및 상기 제2 도어의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제2 매개연동본체부 상에 형성되는 제2 매개연동체결부를 구비하는,
    다중도어로 이루어진 중문.
KR1020220048828A 2022-04-20 2022-04-20 다양한 너비의 도어 호완 가능한 다중도어 연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문 KR20230149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828A KR20230149523A (ko) 2022-04-20 2022-04-20 다양한 너비의 도어 호완 가능한 다중도어 연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828A KR20230149523A (ko) 2022-04-20 2022-04-20 다양한 너비의 도어 호완 가능한 다중도어 연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523A true KR20230149523A (ko) 2023-10-27

Family

ID=88514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828A KR20230149523A (ko) 2022-04-20 2022-04-20 다양한 너비의 도어 호완 가능한 다중도어 연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95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70409B (zh) 设置有多个调节件的门以及衣柜门用滑动装置
EP2728094B1 (en) Roller assembly with damper
US3334375A (en) Caster for sliding panel
US9863178B2 (en) Two-way soft clos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and soft closing activation trigger assembly thereof
US4271652A (en) Facing
KR100873334B1 (ko) 현수식 교실출입문 및 그 교실출입문의 제작 방법
US724641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KR20170054590A (ko) 댐퍼 내장형 3연동 도어
KR102133783B1 (ko) 3중 슬라이드 도어의 연동 와이어 브라켓 어셈블리
KR20230149523A (ko) 다양한 너비의 도어 호완 가능한 다중도어 연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문
AU2021201432B2 (en) Window Shade
CN215405735U (zh) 平移闸结构
KR101338694B1 (ko) 붙박이장용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드 개폐를 위한 하부프레임 구조
KR200496011Y1 (ko) 연동도어용 완충장치
CN105492714A (zh) 淋浴门组件及淋浴门
US20080073038A1 (en) Window covering
US20230349229A1 (en) A cover arrangement
JP5035851B2 (ja) 建具
KR20120001176A (ko) 미닫이 도어
AU2012231790B2 (en) Track radius structure
KR102421686B1 (ko) 탈거방지를 위한 조립식 결로방지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브라켓
KR102025185B1 (ko) 연동 도어 장착용 도어 수직 프레임
CN220566007U (zh) 下垂杆、底梁、导轨侧梁及其遮阳窗
KR102057409B1 (ko) 가변 높이 액츄에이터
KR100717085B1 (ko) 무레일 미닫이창의 창문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