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500A - Embedded waffle slab system with light weight body on a deckplate - Google Patents

Embedded waffle slab system with light weight body on a deck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500A
KR20230149500A KR1020220048780A KR20220048780A KR20230149500A KR 20230149500 A KR20230149500 A KR 20230149500A KR 1020220048780 A KR1020220048780 A KR 1020220048780A KR 20220048780 A KR20220048780 A KR 20220048780A KR 20230149500 A KR20230149500 A KR 20230149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weight body
embedded
deck plate
lightweight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7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모
박준혁
임태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티산업
김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티산업, 김상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티산업
Priority to KR1020220048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9500A/en
Publication of KR20230149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500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방형의 큰 경량체를 가지는 매립형 와플슬래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ㄱ형 또는 I형 또는 T형의 리브를 갖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대형의 매립형 경량체를 설치하여 와플슬래브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슬래브에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거푸집공사를 줄이는 장점과 격자형의 리브드 슬래브(와플슬래브)를 형성하여 무량판대비 자중을 줄이면서 강성을 확보하는 장점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대형의 매립형 경량체를 이용하면서도 중앙개구부를 통해 콘크리트가 충진될 수 있으므로 매립형 경량체의 하부에 위치되는 리브 사이에 콘크리트가 빈 틈이 없이 밀실하게 채워질 수 있으며, 매립형 경량체의 중앙 개구부를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상기 매립형 경량체를 관통하는 콘크리트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대형 매립형 경량체 상부의 얇은 슬래브가 외부의 집중하중 또는 충격에 의해 자칫 발생하기 쉬운 경량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bedded waffle slab system having a large square lightweight body. Since a large embedded lightweight body can be installed using a deck plate having an A-shaped, I-shaped, or T-shaped rib, it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 waffle slab. , both the advantage of reducing formwork by using a deck plate on the slab and the advantage of securing rigidity while reducing self-weight compared to a mass plate by forming a grid-shaped ribbed slab (waffle slab) can be applied. In addition, since concrete can be filled through the central opening while using a large embedded lightweight body, concrete can be tightly filled without any gaps between the rib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uried lightweight body, and the central opening of the buried lightweight body can be filled with concrete. Since a concrete layer penetrating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is formed by the concrete poured through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the thin slab on top of the large buried lightweight body can prevent damage to the lightweight body, which can easily occur due to external concentrated loads or impacts. there is.

Description

데크플레이트 위에 대형 경량체를 가지는 매립형 와플슬래브 시스템{EMBEDDED WAFFLE SLAB SYSTEM WITH LIGHT WEIGHT BODY ON A DECKPLATE}Embedded waffle slab system with a large lightweight body on a deck plate {EMBEDDED WAFFLE SLAB SYSTEM WITH LIGHT WEIGHT BODY ON A DECKPLATE}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 위에 정방형의 대형 경량체를 가지는 매립형 와플슬래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거푸집공사를 줄이고 정방형의 큰 경량체를 설치하여 격자형 리브를 갖는 와플슬래브의 구조를 실현하는 것으로 콘크리트를 슬래브의 하부까지 안전하게 충진할 수 있게 중앙에 개구부를 갖는 큰 경량체를 ㄱ자형 또는 T형의 리브를 갖는 데크플레이트에 시공할 수 있는 매립형 와플슬래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ied waffle slab system having a large square lightweight body on a deck plat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waffle slab system having grid-shaped ribs by reducing formwork using a deck plate and installing a large square lightweight body. This relates to a buried waffle slab system that can construct a large lightweight body with an opening in the center on a deck plate with L-shaped or T-shaped ribs so that concrete can be safely filled to the bottom of the slab by realizing the structure.

최근 건물의 높은 층고나 넓은 거실 공간의 확보를 위해 슬래브(slab)의 두께를 늘려 강성을 높이는 무량판구조 형식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슬래브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건물의 자중이 증가하는 현상을 줄이기 위해 와플구조 형식이 오래 전부터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와플형상의 거푸집을 만드는 가설 거푸집공사의 부담으로 경량체를 슬래브 내부에 설치하여 중공화하는 공법이 여러 가지 실용화되어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 현장의 노동력문제와 폐기물 등의 환경문제로 합판거푸집 대신에 데크플레이트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secure high ceilings or spacious living spaces in buildings, the massless plate structure type is often applied to increase rigidity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lab. The waffle structure type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to reduce the phenomenon of the building's self-weight increasing as the thickness of the slab increases. However, due to the burden of temporary formwork to create a waffle-shaped form, various methods of installing a lightweight body inside the slab to make it hollow have been put into practical use. 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use of deck plates instead of plywood formwork has been increasing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on-site labor issues and waste.

이러한 중공 슬래브(hollow core slab)는 중앙에 중공체 또는 경량체를 구비한 구조로서 패널중량을 감소시킴에 따라 슬래브 자중을 줄이고 비교적 우수한 단면성능을 가지며, 이러한 중공 슬래브는 장경간(long span)과 무량판(flatslab)의 장점 구현은 물론 층간 소음저감에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These hollow core slabs are structured with a hollow or lightweight body in the center. By reducing the panel weight, the slab's self-weight is reduced and it has relatively excellent cross-sectional performance. These hollow slabs are designed for long spans and In addition to realizing the advantages of a flatslab,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이러한 중공슬래브에 설치되는 경량체로서, 구형 형상의 경량체가 제시되고 있는데, 이 경우 구형 경량체가 격자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경량체를 중심으로 하여 인접한 경량체와의 사이의 4면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구조이므로, 슬래브 내에서 경량체가 차지하는 체적이 작아질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중공률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lightweight body installed in such a hollow slab, a spherical lightweight body is proposed. In this case, since the spherical lightweight bodies are arranged in a grid form, concrete is placed on four sides between adjacent lightweight bodies with one lightweight body as the center. Since it is a filled structure, the volume occupied by the lightweight body within the slab is inevitably reduc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rosity decreases accordingly.

또한, 작은 경량체들을 일일이 배치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거나 별도의 판넬구성을 하기 위한 조립망을 사용하여 조립하는 등의 추가적인 공장가공이 필요하였다.In addition, additional factory processing was required, such as efforts to place small lightweight bodies one by one or assembling them using an assembly net to form separate panels.

또한, 1방향 중공슬래브에 설치되는 원통형상 또는 막대형상의 경량체가 제시되고 있는데, 중공율은 다소 높아지지지만, 슬래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어려워 밀실하게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아 공극이 발생하거나 전선관 또는 설비배관 등이 어렵게 되고, 콘크리트의 타설 또는 배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량체의 간격을 늘리면 중공 슬래브의 중공율이 낮아져서 슬래브의 자중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a cylindrical or bar-shaped lightweight body installed in a one-way hollow slab has been proposed. Although the hollowness ratio is somewhat higher, it is difficult to pour concrete into the slab, so the concrete is not filled tightly, resulting in voids or conduit or facility piping.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f the spacing of lightweight bodies was increased to facilitate concrete pouring or piping, the porosity of the hollow slab was lowered and the self-weight of the slab increased.

한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국특허 제 122012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경량체를 연결하는 연결모듈과, 경량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철근과 경량체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전선배관용 모듈을 구비하며, 전선배관용 모듈은, 경량체의 중공부를 덮는 덮개부의 상부에 체결되는 복수의 본체부와, 복수의 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다리부를 구비하여, 복수개의 경량체를 연결모듈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전선관이나 설비배관의 배관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량체 모듈이 제안되고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220128, a connection module connecting a plurality of lightweight bodies and a wire distribution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ghtweight body to form a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upper reinforcing bar and the lightweight body It is equipped with a pipe module, and the wire piping module has a plurality of body part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that covers the hollow part of the lightweight body, and a connecting leg part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ody parts, and connects the plurality of lightweight bodies using the connection module. A lightweight module is being proposed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is designed to facilitate piping of conduits or facility piping.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에 의한 중공슬래브용 경량체들은 특히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근을 일체로 한 슬래브에 적용할 경우, 트러스 철근에 직교하는 방향의 하부철근을 현장에서 트러스철근의 사재 사이로 끼워서 배근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고 하부근을 배근하고 난 후 중공체를 배치하고 상부철근을 배근해야 하는 공정간의 간섭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the lightweight bodies for hollow slab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re applied to a slab in which a deck plate and a truss bar are integrated, the lower reinforcing bar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uss reinforcing bars must be placed between the sills of the truss reinforcing bars at the site. There was a problem of interference between the processes of placing the hollow body and placing the upper reinforcement after placing the lower reinforcement.

또한, 리브를 갖는 데크플레이트 위에 설치하는 중공슬래브의 경우에는 길쭉한 형태의 경량체나, 날개형상을 갖는 경량체로 양방향으로 일정하게 하중을 전달하는 이방향슬래브 구조에 적합한 형태로 보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으며, 경량체의 크기가 작아 현장에서 일일이 배치해야 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내민 날개부분이 파손되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hollow slab installed on a deck plate with ribs, it is difficult to view it as a form suitable for a two-way slab structure that transmits load uniformly in both directions with an elongated lightweight body or a wing-shaped lightweight body. The small size of the lightweight body required effort to place it one by one in the field, and there were problems in that the protruding wing portion was often damaged.

막대형 경량체의 경우, 트러스근 사이에 배치하기는 용이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배관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부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연결재를 설치하여야 하거나 부력방지장치의 설치에 상당한 시공공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ase of bar-type lightweight bodies, it is easy to place them between truss roots, but as described above, piping work is not easy, and a separate connection material must be installed to prevent buoyancy due to concrete placement, or a buoyancy prevention device must be installed. There was a problem that a significant amount of construction work was required.

한국특허 제1220128호(중공슬래브용 경량체 모듈)Korean Patent No. 1220128 (Lightweight module for hollow slab) 한국특허 제1569707호(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방지구조)Korean Patent No. 1569707 (Improved buoyancy prevention structure of lightweight molding material)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브형 데크플레이트와 정방형의 대형 경량체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거푸집 설치 작업을 줄이고 대형 경량체를 간단히 설치하여 경량체가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슬래브를 와플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formwork installation work on site by using a rib-type deck plate and a square large lightweight body and to simply install the large lightweight body so that the lightweight body can be made into concrete. It is embedded in the slab so that it can be easily formed into a waffle shap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를 데크플레이트의 ㄱ형, I형 또는 T형 리브 사이 및 슬래브의 하부까지 안전하게 충진할 수 있는 정방형의 큰 경량체를 사용하여 데크플레이트에 매립하는 와플슬래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ffle slab system that is embedded in a deck plate using a large, square lightweight body that can safely fill concrete between the A-shaped, I-shaped or T-shaped ribs of the deck plate and to the bottom of the slab. It is don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데크플레이트 위에 대형 경량체를 가지는 매립형 와플슬래브 시스템은,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리브를 가지는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정방형 형상을 갖는 경량체와, 상기 리브에 체결되고 상기 매립형 경량체를 관통하여 상기 매립형 경량체를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부력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매립형 경량체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상기 리브에 걸쳐지는 큰 폭을 가지는 정방형 대형 경량체이고, 슬래브 하부 바닥면까지 콘크리트를 충진하도록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중앙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embedded waffle slab system having a large lightweight body on the deck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ck plate having a rib protruding upward, and a deck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eck plate and having a square shape. It includes a lightweight body and a buoyancy prevention member that is fastened to the ribs and penetrates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to secure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to the deck plate, wherein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has a large width spanning at least three or more of the ribs. It is a square large lightweight body and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central opening that penetrates up and down in the center to fill concrete up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lab.

여기서, 상기 중앙개구부는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리브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중앙개구부의 길이방향의 내측면과 상기 매립형 경량체의 폭방향 외주면 사이의 길이는 인접한 상기 리브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central opening is formed by cutting lo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b of the deck plate, and the length between the longitudinal inner surface of the central opening and the widthwis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is the adjac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ribs.

여기서, 상기 매립형 경량체의 저면에는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리브가 안착되는 리브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a rib seating groove in which the rib of the deck plate is seated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여기서, 상기 매립형 경량체의 저면에는, 상기 리브안착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경량체 하부의 상기 리브에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채워지도록 상기 리브안착홈보다 더 깊게 형성되는 제 2 홈이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a second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ib seating groove and is deeper than the rib seating groove so that the ribs at the bottom of the lightweight body are tightly filled with concret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여기서, 상기 매립형 경량체는 서로 맞물려 체결되는 상부 경량체와 하부경량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경량체와 상기 하부경량체는 평면이 정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is formed of an upper lightweight body and a lower lightweight body that are engag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and the upper lightweight body and the lower lightweight body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e is formed in a square shape.

여기서, 상기 상부 경량체는내부에 복수의 상부 중공부를 가지고, 상기 하부 경량체는 내부에 상기 상부 중공부에 상응하는 하부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경량체와 상기 하부경량체의 체결시에 상기 상부 중공부와 상기 하부중공부는 상기 매립형 경량체의 내부중공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upper lightweight body has a plurality of upper hollow portions inside, and the lower lightweight body has a lower hollow portion inside corresponding to the upper hollow portion, and when the upper lightweight body and the lower lightweight body are fastened, The upper hollow portion and the lower hollow por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form an internal hollow portion of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여기서, 상기 리브는 ㄱ형 또는 I형 또는 T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브의 돌출길이는 슬래브의 피복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ribs are formed in an A-shape, I-shape, or T-shape, and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ribs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overing thickness of the slab.

여기서, 상기 매립형 경량체는 상기 부력방지부재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buoyancy prevention member is inserted.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와플슬래브 시스템에 의하면, ㄱ형 또는 I형 또는 T형의 리브를 갖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대형의 매립형 경량체를 설치하여 와플슬래브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슬래브에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거푸집공사를 줄이는 장점과 격자형의 리브드 슬래브(와플슬래브)를 형성하여 무량판대비 자중을 줄이면서 강성을 확보하는 장점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edded waffle slab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large embedded lightweight body can be installed using a deck plate having A-shaped, I-shaped, or T-shaped ribs to form a waffle slab, so that the slab Both the advantage of reducing formwork by using a deck plate and the advantage of securing rigidity while reducing self-weight compared to a mass plate by forming a grid-shaped ribbed slab (waffle slab) can be appli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데크플레이트의 인접한 리브 길이 정도의 소형 경량체를 대체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리브에 걸쳐 형성되는 대형의 매립형 경량체를 이용하면서도 중앙개구부를 통해 콘크리트가 충진될 수 있으므로 매립형 경량체의 하부에 위치되는 리브 사이에 콘크리트가 빈 틈이 없이 밀실하게 채워질 수 있다. 이로써, 대형 매립형 경량체를 적용하여 슬래브 설치에 소요되는 시공인력을 절감하고 중공율을 향상시키면서도, 대형 경량체의 설치시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콘크리트의 공극발생을 해소하여 슬래브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embedded lightweight body formed over at least two or more ribs can be used instead of a small lightweight body about the length of an adjacent rib of the deck plate, and concrete can be filled through the central opening, so the embedded type Concrete can be tightly filled without any gaps between the rib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lightweight body. As a result, by applying a large embedded lightweight body, the construction manpower required for slab installation can be reduced and the hollowness ratio improved, while the quality of the slab can be improved by eliminating the generation of voids in concrete that inevitably accompany the installation of a large lightweight body. .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립형 경량체의 중앙 개구부를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상기 매립형 경량체를 관통하는 콘크리트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대형 매립형 경량체의 경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자칫 발생하기 쉬운 경량체의 파손을 방지하고, 경량체의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켜 경량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crete layer penetrating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is formed by concrete poured through the central opening of the buried lightweight body, so in the case of a large embedded lightweight body, it is easy to be caused by external shock. It is designed to prevent damage to the lightweight body and improv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lightweight body so that the lightweight body can be stably suppor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형 매립형 경량체가 데크플레이트의 리브에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브의 길이를 슬래브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매립형 경량체와 데크플레이트 사이에 충진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화재 등의 경우 매립형 경량체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a large embedded lightweight body be easily and stably seated on the ribs of the deck plate, but the length of the ribs is form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covering thickness of the slab concrete, so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and the deck plate. The filled concrete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maximum protection to the buried lightweight body in case of fire, etc.

또한, 상기 매립형 경량체의 저면에 리브안착홈과 하부근 안착홈을 형성하여, 대형 매립형 경량체를 설치하면서도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위치를 설정하고 슬래브의 경우에 따라 배근될 수 있는 하부근을 간편하게 배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a rib seating groove and a lower bar seating groove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uried lightweight body, allowing for simple and stable positioning while installing a large embedded lightweight body and easy placement of a lower bar that can be placed depending on the case of the slab. It is structured so that it can be don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와플슬래브용 경량체가 데크플레이트에 설치된 상태를 데크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와플슬래브용 경량체가 데크플레이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부력방지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매립형 경량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그 사시도, 도 4b는 중앙개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매립형 경량체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매립형 경량체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매립형 경량체 중 상부 경량체를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6b는 하부경량체를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매립형 경량체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ightweight body for a buried waffle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eck plate, viewed from the top of the deck plate.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ghtweight body for a buried waffle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eck plate.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buoyancy preven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se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opening.
FIG. 5A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Figure 6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lightweight body among the embedded lightweight bodi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bottom, and Figure 6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lightweight body seen from the top.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an embedded lightweight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와플슬래브용 경량체를 가지는 데크플레이트 중공슬래브 시스템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deck plate hollow slab system having a lightweight body for a buried waffle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an example.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매립형 와플슬래브용 경량체를 가지는 데크플레이트 중공슬래브 시스템(1)은 데크플레이트(2)와, 부력방지부재(3)와, 매립형 경량체(1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7, the deck plate hollow slab system (1) having a lightweight body for an embedded waffle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ck plate (2), an anti-buoyancy member (3), and an embedded lightweight body ( 10) Includes.

상기 데크플레이트(2)는 일정 폭을 가지는 스틸 플레이트(21)에 의해 형성되고, 복수의 스틸플레이트에는 일정간격으로 리브(22)가 형성되며, 상기 리브(22)는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The deck plate 2 is formed by a steel plate 21 having a certain width, ribs 22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plurality of steel plates, and the ribs 22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2)는, 상기 리브(22)가 돌출된 상부끝단이 절곡되어 ㄱ형상 또는 T형상으로 형성되는 데크플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deck plate 2 is preferably a deck plate in which the upper end where the rib 22 protrudes is bent to form an L-shape or T-shap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22)의 돌출길이는 슬래브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슬래브 콘크리트의 피복두께가 4 ~ 5cm일 때에 상기 리브의 돌출길이는 6cm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it is desirable that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ribs 22 be slightly larger than the covering thickness of the slab concrete. For example, when the covering thickness of slab concrete is 4 to 5 cm,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ribs is about 6 cm.

상기 리브의 길이를 슬래브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화재 등의 경우 매립형 경량체와 데크플레이트 사이에 충진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매립형 경량체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ribs can be form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covering thickness of the slab concrete, so that the buried lightweight body can be protected as much as possible by the concrete filled between the buried lightweight body and the deck plate in the event of a fire, etc.

상기 리브(22)에는 상기 부력방지부재(3)가 체결된다. The buoyancy prevention member 3 is fastened to the rib 22.

상기 부력방지부재(3)는, 상기 매립형 경량체(10)를 관통하여 상기 매립형 경량체를 상기 데크플레이트(2)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The buoyancy prevention member 3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10 and fix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to the deck plate 2.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력방지부재(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력방지 본체부(31)와, 리브걸림부(32)와, 상부고정부(33)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anti-buoyancy member 3 includes an anti-buoyancy main body portion 31, a rib engaging portion 32, and an upper fixing portion 33, as shown in FIG. 3.

상기 부력방지 본체부(31)는, 대략 띠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매립형 경량체에 형성된 삽입홀(14)에 삽입된다. 상기 부력방지 본체부(31)의 상부에는 고정홀(31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는 상부고정부(33)가 삽입된다. The anti-buoyancy main body portion 31 is formed as a substantially strip-shaped plate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4 formed in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A fixing hole (31a)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anti-buoyancy main body part 31, and an upper fixing part 33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상기 부력방지 본체부(31)의 하부끝단에는 상기 리브걸림부(32)가 양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리브걸림부(32)는 대략 상기 리브(22) 사이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스틸플레이트(21)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위치된 후 상기 리브 끝단의 절곡부분에 걸림고정되도록 구성된다. The rib locking portion 3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nti-buoyancy main body portion 31 extending to both sides. The rib locking portion 32 is formed to have a length approximately corresponding to the length between the ribs 22, is positioned while mov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21 of the deck plate, and is then positioned at a bent portion of the end of the rib. It is configured to be locked.

상기 상부고정부(33)는 ㄴ자 형상의 앵글바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에 삽입된다. The upper fixing part 33 is formed as an L-shaped angle bar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상기 부력방지 본체부(31)는 하나의 상기 매립형 경량체에 4개소에 삽입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상기 부력방지 본체부의 상기 고정홀에는 상기 상부고정부(33)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고정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매립형 경량체가 부상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The anti-buoyancy main body part 31 is inserted at four locations in one of the embedded lightweight bodies, and the upper fixing part 33 is installed in the fixing hole of the anti-buoyancy main body part inser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b of the deck plate. ) is inserted to fix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dispos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fixing part so that it does not float.

여기서, 상기 상부고정부(3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매립형 경량체에 삽입된 부력방지 본체부의 고정홀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할 수도 있지만, 인접한 매립형 경량체에 삽입된 부력방지 본체부의 고정홀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하여, 상기 매립형 경량체의 상부에 배근되는 슬래브 상부철근의 배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 1, the upper fixing part 33 may be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fixing holes of the anti-buoyancy main body inserted in one embedded lightweight body, but the upper fixing part 33 may be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fixing holes of the anti-buoyancy main body inserted in one embedded lightweight body. By inserting and fixing between the fixing holes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reinforcement of the upper slab reinforcement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리브 상부에는 매립형 경량체(10)가 배치된다. An embedded lightweight body 1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ib of the deck plate.

상기 매립형 경량체(1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리브에 걸쳐지는 폭을 가지는 대형 경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립형 경량체(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상기 리브에 걸쳐 안착되는 크기를 갖는 대형 경량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리브 사이의 거리가 200mm라 할 때, 상기 매립형 경량체(10)는 대략 640 * 640 mm의 크기를 갖는 정방형의 대형 경량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10 is characterized as a large lightweight body having a width spanning over at least two of the ribs. As shown in FIG. 1,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10 is formed as a large lightweight body having a size that is seated across the four ribs.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ribs of a general deck plate is 200 mm,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10 may be formed as a square large lightweight body with a size of approximately 640 * 640 mm.

상기 매립형 경량체(10)의 중앙에는 중앙개구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중앙개구부(13)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매립형 경량체(10)를 두께방향으로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A central opening 13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10. As shown in FIG. 4B, the central opening 13 is formed to penetrate vertically through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10 in the thickness direction.

상기 중앙개구부(13)는 상기 리브(2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개구부(13)의 길이방향의 내측면과 상기 매립형 경량체(10)의 폭방향 외주면 사이의 길이는, 인접한 상기 리브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entral opening 13 is formed by being cut lo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b 22.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between the longitudinal inner surface of the central opening 13 and the widthwis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10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ribs.

예를 들어, 상기 리브 사이의 거리가 200mm이고, 상기 매립형 경량체(10)는 대략 640 * 640 mm의 크기를 가지면, 상기 중앙개구부(13)의 길이는 대략 230 ~ 440mm의 범위로 형성되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래브 콘크리트의 타설시, 상기 중앙개구부(13)를 통해 유입되는 콘크리트가 매립형 경량체의 하부에 위치되는 리브 사이에 빈틈이 없이 밀실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For exampl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ribs is 200 mm and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10 has a size of approximately 640 * 640 mm, the length of the central opening 13 is formed in a range of approximately 230 to 440 mm, As shown in Figure 4b, when pouring slab concrete, the concrete flowing through the central opening 13 is configured to tightly fill the rib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uried lightweight body without any gaps.

종래에는 데크플레이트와 중공 경량체를 동시에 설치하는 경우, 데크플레이트의 리브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실하게 타설하기 어려워, 소형의 경량체만을 이용하여야 하거나 데크플레이트의 리브를 없애거나 최대한 작게 할 수 밖에 없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중공슬래브를 설치하면서 대형의 매립형 경량체를 이용하여 와플슬래브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슬래브에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는 장점과 와플형상의 리브드 슬래브를 형성하는 장점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Conventionally, when installing a deck plate and a hollow lightweight body at the same time, it was difficult to faithfully pour concrete between the ribs of the deck plate, so only small lightweight bodies had to be used, or the ribs of the deck plate had to be eliminated or made as small as possi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installing a hollow slab using a deck plate, it can be formed into a waffle slab shape using a large embedded lightweight body, and has the advantage of using a deck plate on the slab and the advantage of forming a waffle-shaped ribbed slab. All can be applied.

본 발명에 의하면, 데크플레이트의 인접한 리브 길이 정도의 소형 경량체를 대체하여, 대형의 매립형 경량체를 이용하면서도 중앙개구부를 통해 콘크리트가 충진될 수 있으므로 매립형 경량체의 하부에 위치되는 리브 사이에 콘크리트가 빈 틈이 없이 밀실하게 채워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crete can be filled through the central opening while using a large embedded lightweight body by replacing a small lightweight body about the length of the adjacent rib of the deck plate, so that concrete is placed between the rib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buried lightweight body. can be filled tightly without any gaps.

또한, 상기 매립형 경량체의 중앙 개구부를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상기 매립형 경량체를 관통하는 콘크리트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대형 매립형 경량체의 경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자칫 발생하기 쉬운 경량체의 파손을 방지하고, 경량체의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켜 경량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since the concrete poured through the central opening of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forms a concrete layer penetrating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damage to the lightweight body is likely to occur due to external impact in the case of large embedded lightweight bodies. It is designed to prevent and improv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lightweight body so that the lightweight body can be stably supported.

또한, 상기 리브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더라도 상기 매립형 경량체의 저면과 데크플레이트 사이에 콘크리트를 밀실하게 충진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에 의해 화재 등의 경우 매립형 경량체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length of the rib is formed, concrete can be tightly filled between the bottom of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and the deck plate, so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can be configured to maximize protection in case of fire, etc. by concrete. .

한편, 상기 매립형 경량체(10)의 저면에는 리브안착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리브안착홈(122)은 상기 매립형 경량체의 저면(121)으로부터 상부측으로 오목하게 절개되어 형성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리브안착홈에는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리브(22)가 안착된다. Meanwhile, a rib seating groove 122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10. The rib seating groove 122 is formed by cutting concavely from the bottom surface 121 of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toward the upper side, and as shown in FIG. 2, the rib 22 of the deck plate is seated in the rib seating groove. do.

또한, 상기 리브안착홈(122)은 상기 리브(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상기 중앙개구부(13)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리브안착홈(122)은 상기 리브의 간격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rib seating groove 122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opening 13 so as to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b 220. The rib seating groove 122 corresponds to the spacing of the ribs. It is formed at intervals of

또한, 상기 저면(121)에는 상기 리브안착홈(12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로방향의 안착홈(123)이 더욱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horizontal seating groove 123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2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ib seating groove 122.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매립형 경량체의 저면(121a)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매립형 경량체의 저면(121a)에는 제 2 홈(123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surface 121a of an embedded lightweight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a second groove 123a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21a of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상기 제 2 홈(123a)은 상기 리브안착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리브안착홈보다 더 깊게 형성되어, 슬래브 콘크리트의 타설시 콘크리트가 상기 제 2 홈과 상기 리브사이의 공극을 통해 상기 리브를 타고 넘어가 밀실하게 채워질 수 있으므로 슬래브 콘크리트를 보다 밀실하게 타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홈은 슬래브의 하부철근이 배근되는 경우 배근되는 슬래브의 하부철근이 상기 하부근 안착홈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슬래브의 하부철근으로 인해 상기 매립형 경량체의 설치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The second groove 123a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ib seating groove, but is deeper than the rib seating groove, so that when pouring slab concrete, the concrete passe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second groove and the rib. Since it can be filled tightly by going over the ribs, slab concrete can be placed more tightly. In addition, the second groove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lower reinforcement of the slab in the lower reinforcement seating groove when the lower reinforcement of the slab is reinforced, prevent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from increasing due to the lower reinforcement of the slab. It is configured to do so.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매립형 경량체(10)는 정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후좌후 네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방향 중공슬래브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10 is formed in a square shape and is applied to a two-directional hollow slab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four directions, front, rear, left and right.

상기 매립형 경량체(10)는 속이 꽉 찬 발포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발포 플라스틱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일정 두께를 가지는 하나의 경량체로 형성할 수 있지만, 도 5a 내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맞물려 체결되는 상부 경량체(11)와 하부경량체(12)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10 may be formed of a solid foam plastic material, or may be formed of a single lightweight body having a certain thickness as a foam plastic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as shown in FIGS. 5A to 6B. It may be formed of an upper lightweight body 11 and a lower lightweight body 12 that are engag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상기 상부경량체(11)와 상기 하부경량체(12)는 평면이 정방형으로 형성되고, 각각 하부끝단과 상부끝단에 단차가 형성되어, 절단면에서 단차면를 이루면서 연결될 수 있다. The upper lightweight body 11 and the lower lightweight body 12 are formed in a square plane, and steps are formed at the lower and upper ends, respectively,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by forming a step surface at the cut surface.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경량체(11)는 내부에 복수의 상부 중공부(115)를 가진다. 상기 상부 경량체(11)에는 상기 중앙개구부(13)가 형성되고, 4개소에서 상기 삽입홀(14)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6A, the upper lightweight body 11 has a plurality of upper hollow portions 115 therein. The central opening 13 is formed in the upper lightweight body 11, and the insertion holes 14 are formed at four locations.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경량체(12)는 내부에 상기 상부 중공부에 상응하는 하부중공부(125)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경량체(12)에는 상기 중앙개구부(13)가 형성되고, 4개소에서 상기 삽입홀(14)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ure 6b, the lower lightweight body 12 has a lower hollow portion 125 corresponding to the upper hollow portion therein, and the central opening 13 is formed in the lower lightweight body 12. And the insertion holes 14 are formed at four locations.

상기 상부경량체와 상기 하부경량체의 체결시에 상기 상부 중공부와 상기 하부중공부는 상기 매립형 경량체의 내부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개구부(13)가 형성되고, 4개소에서 상기 삽입홀(14)이 상기 매립형 경량체(10)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When the upper lightweight body and the lower lightweight body are fastened, the upper hollow portion and the lower hollow portion form an inner hollow portion of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the central opening 13 is formed, and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at four points. A hole 14 is formed to penetrate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10 vertically.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매립형 경량체 시스템에 의해, 슬래브의 거푸집 대용 데크플레이트에 중공경량체를 적용할 때에, 종래와 같은 소형 경량체를 사용하지 않고 대형의 매립형 경량체를 이용하면서도 중앙개구부를 통해 콘크리트가 충진될 수 있으므로 매립형 경량체의 하부에 위치되는 리브 사이에 콘크리트가 빈 틈이 없이 밀실하게 채워질 수 있고, 중앙개구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y using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pplying a hollow lightweight body to a deck plate as a formwork for a slab, a large embedded lightweight body is used instead of a conventional small lightweight body, and the central opening is provided. Since concrete can be filled through, concrete can be tightly filled without any gaps between the rib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uried lightweight body, and structural safety can be improved by concrete poured into the central opening.

또한, 상기 구조에 의해 중공슬래브에 적용되는 데크플레이트의 리브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고, 이로써 콘크리트에 의해 화재 등의 경우 매립형 경량체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above structure, the length of the ribs of the deck plate applied to the hollow slab can be formed to be long, and thus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can be protected as much as possible in case of fire due to concret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s common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 : 데크플레이트 중공슬래브 시스템
2 : 데크플레이트
3 : 부력방지부재
10 : 매립형 경량체
13 : 중앙개구부
14 : 삽입홀
122 : 리브안착홈
123a : 제 2 홈
1: Deck plate hollow slab system
2: Deck plate
3: Buoyancy prevention member
10: Buried lightweight body
13: central opening
14: Insertion hole
122: Rib seating groove
123a: second groove

Claims (8)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리브를 가지는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량체와,
상기 리브에 체결되고 상기 매립형 경량체를 관통하여 상기 매립형 경량체를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부력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매립형 경량체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상기 리브에 걸쳐지는 큰 폭을 가지는 대형 경량체이고, 슬래브 하부 바닥면까지 콘크리트를 충진하도록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중앙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위에 대형 경량체를 가지는 매립형 와플슬래브 시스템.
A deck plate having ribs protruding upward,
A lightweight bod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eck plate,
It includes a buoyancy prevention member fastened to the rib and penetrating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to secure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to the deck plate,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is a large lightweight body with a large width spanning over at least three of the ribs, and is provided with a central opening penetrating up and down in the center to fill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lab with concrete. A buried waffle slab system with a large lightweight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경량체은 평면이 정방형 형상인 정방형 경량체이고,
상기 중앙개구부는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리브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중앙개구부의 길이방향의 내측면과 상기 매립형 경량체의 폭방향 외주면 사이의 길이는 인접한 상기 리브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위에 대형 경량체를 가지는 매립형 와플슬래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is a square lightweight body with a square plane,
The central opening is formed by being cut lo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b of the deck plate,
A buried waffle slab system having a large lightweight body on a deck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between the longitudinal inner surface of the central opening and the widthwis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rib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경량체의 저면에는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리브가 안착되는 리브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와플슬래브용 경량체를 가지는 데크플레이트 중공슬래브 시스템.데크플레이트 위에 대형 경량체를 가지는 매립형 와플슬래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A deck plate hollow slab system having a lightweight body for an embedded waffle slab, characterized in that a rib seating groove in which the rib of the deck plate is seated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Embedded waffle slab having a large lightweight body on the deck plate system.
제 3 항에 있어서,
여기서, 상기 매립형 경량체의 저면에는, 상기 리브안착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경량체 하부의 상기 리브에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채워지거나 슬래브 하부철근이 안착되도록 상기 리브안착홈보다 더 깊게 형성되는 제 2 홈이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위에 대형 경량체를 가지는 매립형 와플슬래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Here, on the bottom of the buried lightweight body, it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ib seating groove, but is formed deeper than the rib seating groove so that the rib at the bottom of the lightweight body is tightly filled with concrete or the slab lower reinforcement is seated. A buried waffle slab system having a large lightweight body on a deck plat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groov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ㄱ형 또는 I형 또는 T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브의 돌출길이는 슬래브의 피복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위에 대형 경량체를 가지는 매립형 와플슬래브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 embedded waffle slab system having a large lightweight body on a deck plate, wherein the ribs are formed in an A-shaped, I-shaped, or T-shaped shape, and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ribs is formed larger than the covering thickness of the slab.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경량체는 상기 부력방지부재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위에 대형 경량체를 가지는 매립형 와플슬래브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buried waffle slab system having a large lightweight body on a deck plate, wherein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has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buoyancy prevention member is inserted.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경량체는 서로 맞물려 체결되는 상부 경량체와 하부경량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경량체와 상기 하부경량체는 평면이 정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위에 대형 경량체를 가지는 매립형 와플슬래브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is formed of an upper lightweight body and a lower lightweight body that are engag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An embedded waffle slab system having a large lightweight body on a deck plate, wherein the upper lightweight body and the lower lightweight body are formed in a square plan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경량체는내부에 복수의 상부 중공부를 가지고, 상기 하부 경량체는 내부에 상기 상부 중공부에 상응하는 하부중공부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경량체와 상기 하부경량체의 체결시에 상기 상부 중공부와 상기 하부중공부는 상기 매립형 경량체의 내부중공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위에 대형 경량체를 가지는 매립형 와플슬래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upper lightweight body has a plurality of upper hollow portions therein, and the lower lightweight body has a lower hollow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hollow portion therein,
An embedded waffle slab system having a large lightweight body on a deck plate, wherein when the upper lightweight body and the lower lightweight body are fastened, the upper hollow portion and the lower hollow portion form an internal hollow portion of the embedded lightweight body. .


KR1020220048780A 2022-04-20 2022-04-20 Embedded waffle slab system with light weight body on a deckplate KR202301495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780A KR20230149500A (en) 2022-04-20 2022-04-20 Embedded waffle slab system with light weight body on a deck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780A KR20230149500A (en) 2022-04-20 2022-04-20 Embedded waffle slab system with light weight body on a deck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500A true KR20230149500A (en) 2023-10-27

Family

ID=88514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780A KR20230149500A (en) 2022-04-20 2022-04-20 Embedded waffle slab system with light weight body on a deck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9500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128B1 (en) 2012-04-27 2013-02-05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Module for wire arrangement in light weight body for hollow slab
KR101569707B1 (en) 2014-07-10 2015-11-18 (주)광장브이디에스 the improved buoyancy protection structure of the light weight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128B1 (en) 2012-04-27 2013-02-05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Module for wire arrangement in light weight body for hollow slab
KR101569707B1 (en) 2014-07-10 2015-11-18 (주)광장브이디에스 the improved buoyancy protection structure of the light weight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649B1 (en) Precast Tall Pier for Bridge
KR101152270B1 (en) Precast concrete slab system for building which have long span and require high design load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is system
KR101527716B1 (en) The buoyancy protection device of hollow form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wo-way hollow core slab using the same
US4799348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making a rigid slab enabling to carry a building
SG185173A1 (en) A prefabricated element of a multi-storey building and a semi-prefabricating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3026993B (en) Assembly type combined connecting beam window opening componen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method
KR20090068536A (en) Concrete-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s of slab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01323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rainwater storage bath
KR101229263B1 (en) Slab-type box girder with a vertical connecting structure made by precast concrete and method constructing the bridge thereof
KR101178168B1 (en) Inverted multi tee slab
KR20230149500A (en) Embedded waffle slab system with light weight body on a deckplate
CN215594604U (en) Bolt connection assembly type prefabricated transfer beam
KR101677431B1 (en) Large concrete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1641837B1 (en) Section formation method for weight reduction at section building of bridge lower structure
KR200395627Y1 (en) Concrete composite Crossbeam
KR20240000170U (en) Embedded waffle slab system with light weight body and a insulator
CN113550474A (en) Assembled beam-slab integrated composite floo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301305B1 (en) Composite floor structure of high-rise build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WO2000053858A1 (en) Construction element
KR100984248B1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trength connector detail for curing pannel of upper strength reinforcing block
KR200203661Y1 (en) A mesh for preventing cracks on concrete slab
KR101101741B1 (en) Coner standing unit
CN219365095U (en) Connection structure of assembled precast floor slab
KR20200053193A (en) Mold assembly having compound insulator
CN219753696U (en) Skeleton texture and prefabricated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