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472A - Connected vinyl-house having photovoltaic panel - Google Patents

Connected vinyl-house having photovoltaic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472A
KR20230149472A KR1020220048724A KR20220048724A KR20230149472A KR 20230149472 A KR20230149472 A KR 20230149472A KR 1020220048724 A KR1020220048724 A KR 1020220048724A KR 20220048724 A KR20220048724 A KR 20220048724A KR 20230149472 A KR20230149472 A KR 20230149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inner anchor
house structure
bucket plate
interlocking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7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인영
Original Assignee
에너플러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너플러스(주) filed Critical 에너플러스(주)
Priority to KR1020220048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9472A/en
Publication of KR20230149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47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3Collecting 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은: 너비방향(W)으로 설정간격만큼 유격되게 배치되고 길이방향(L)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단일층 또는 복수층의 비닐막을 연결 지지하는 사이드앵커빔, 너비방향으로 한 쌍의 사이드앵커빔 사이에 설정간격만큼 유격되는 단수 또는 복수 개로 배치되고 길이방향(L)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비닐막을 연결 지지하는 이너앵커빔, 사이드앵커빔과 이너앵커빔에 지지된 채 비닐막 상에 설치되어 태양빛의 조사를 통해 집광하는 태양광발전구조물, 및 태양광발전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이너앵커빔 각각에 대응되도록 태양광발전구조물의 수직빔을 연결되게 설치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for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is disclosed.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the disclosed solar panels includes: side anchor beams that are spaced apart at a set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are arranged in plural pie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o connect and support a single-layer or multiple-layer vinyl membrane; , an inner anchor beam, a side anchor beam and an inner anchor beam, which are arranged in single or plural pieces spaced at a set interval between a pair of side anchor beams in the width direction and are arranged in plural pie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o connect and support the vinyl membrane. The vertical beams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are connect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inner anchor beams to support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which is installed on a vinyl film and is supported by solar power generation and collects light through irradiation of sunligh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nstallation part that does.

Description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CONNECTED VINYL-HOUSE HAVING PHOTOVOLTAIC PANEL} Connected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CONNECTED VINYL-HOUSE HAVING PHOTOVOLTAIC PANEL}

본 발명은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호 형상의 비닐막 위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나 이물질을 담아 배출 안내하는 받이부재 부위에 태양광발전구조물의 수직빔을 지지하여 설치함으로써, 넓은 평면적의 연동형 하우스의 상부에 태양광발전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하도록 하고, 태양광발전구조물의 태양광패널로 그늘을 형성함으로 인해 연동형 하우스의 내부에 음지식물을 재배시 작물생육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a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installed on the receiving member that contains rainwater or foreign substances flowing down from the arc-shaped vinyl film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and guides the discharge. By supporting and installing the vertical beam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tably install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on the upper part of the interlocking house with a large flat area, and by forming a shade with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s solar panel, it can be installed inside the interlocking house. This relates to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that can help with crop growth when cultivating shade plants.

비닐하우스는 온실의 내부를 일정 온도로 유지시킴으로써 필요로 하는 작물을 재배하거나 가축을 사육하게 된다. 특히,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는 온도 조절의 편익 및 외부 병충해로부터 보호기능 등 취약한 자연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안되어 있으며, 편리에 따른 여러 유용함에 근거하여 그 설치 농가의 수는 증가 추세에 있다.Green greenhouses grow crops or raise livestock by maintaining the interior of the greenhouse at a constant temperature. In particular, growing crops using greenhouses has been proposed as a way to overcome the vulnerable natural environment, including the convenience of temperature control and protection from external pests and diseases, and the number of farms installing greenhouses is increasing based on convenience and various usefulness. It is in

또한, 계절에 무관하게 각종의 과일 및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비닐하우스의 경작이 보다 효과적임이 사실이다. 최근 농약 사용을 배제한 수경 재배법이 확산되면서 전술한 비닐하우스 재배는 농토를 사용한 단순 재배를 벗어나 무공해 공법으로 씨앗의 발아에서부터 성장까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여러 기능을 갖게 되었다.In addition, it is true that cultivation in greenhouses is more effective in producing various fruits and agricultural products regardless of the season. Recently, as hydroponic cultivation methods that exclude the use of pesticides have spread, the above-mentioned greenhouse cultivation has gone beyond simple cultivation using agricultural soil and has a variety of functions, including from seed germination to growth, using a pollution-free method.

그리고,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기상재해의 계절적 편중화, 집중화는 물론 그 강도가 증가되는 추세임에 따라, 연동형 하우스는 이웃한 하우스가 이어지는 골 부분에 빗물이 흘러내리고 모여 많은 양의 물을 배출 처리해야 함으로써 이웃한 하우스를 잇는 골 부분을 따라서 하측에 이너앵커빔 및 커넥팅빔을 설치하고, 이에 대응되는 상측에 방수성을 갖는 강성 또는 연성의 받이부재를 구비하여 빗물 등 이물질이 이동되어 흘러내리도록 안내한다.In addition, as weather disasters are becoming more seasonal and concentrated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as well as increasing their intensity, interconnected houses discharge a large amount of water as rainwater flows and collects in valleys where neighboring houses are connected. In order to do so, an inner anchor beam and a connecting beam ar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along the valley connecting neighboring houses, and a rigid or flexible receiving member with waterproofing properties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to guide foreign substances such as rainwater to move and flow down. do.

아울러, 최근 석유 등 화석에너지의 고갈과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로 인하여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대규모로 생산하는 태양광발전이 각광받고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recent depletion of fossil energy such as oil and concerns about environmental pollution, interest in alternative energy is increasing, and among them, solar power generation, which produces electricity on a large scale using solar cells, is receiving attention.

태양광발전은 무한정, 무공해의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므로 전기 생산 과정 중 연료비가 들지 않고, 대기오염이나 폐기물 발생이 없다는 장점이 있으며, 최근 농가소득 향상과 작물 재배시 일조량 조절을 위해 농지에 태양광패널의 설치가 시도되고 있다.Solar power generation uses infinite, pollution-free solar energy, so it has the advantage of no fuel costs during the electricity production process and no air pollution or waste generation. Recently, solar power generation has been installed on farmland to improve farm household income and control sunlight when growing crops. Installation of panels is being attempted.

특히, 최근에는 태양전지 패널을 비닐하우스 상에 설치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In particular, attempts to install solar cell panels on greenhouses are increasing recently.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6358호에는 비닐하우스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의 설치방법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16358 discloses a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using a greenhous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is background technology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at it is widely known prior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비닐하우스는 대규모 농작이나 경작을 위해 대형화 추세임에 따라, 연동형 비닐하우스의 축조가 증가하고 있다. As greenhouses are becoming larger for large-scale farming or cultivation, the construction of interconnected greenhouses is increasing.

연동형 비닐하우스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 우측 끝에 사이드앵커빔과 커넥팅빔이 설치되며 각 동이 연결되는 골부분에 이너앵커빔과 커넥팅빔이 반복적으로 설치되는 주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주 구조물에 결합하여 비닐고정용 구조물을 설치하게 되어있다.When looking at an interlocking greenhouse from the front, it consists of a main structure in which side anchor beams and connecting beams are install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and inner anchor beams and connecting beams are repeatedly installed in the valley where each building is connected. It is designed to be combined to install a vinyl fixing structure.

여기에 더하여 각 동과 동이 연결되는 부분의 커넥팅빔 상측에는 비닐하우스 지붕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의 흘러내림을 안내하는 받이부재가 설치 되어있고 상기 받이 부재는 일반적으로 도색강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 등을 사용하므로 일정기간에 한번씩 교체를 해야만 한다.In addition, a receiv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beam where each building is connected to guide the flow of rainwater flowing down from the greenhouse roof. The receiving member is generally made of painted steel plate or transparent plastic, so it has a certain stability. It must be replaced once a period.

이런 구조를 갖는 연동형 비닐하우스의 상부에 태양광발전설비를 설치하기 위해서 비닐하우스 상부에 구조물을 설치해야 할 때 태양광발전설비를 지지하는 수직빔이 필요하며 연동형 하우스의 최 좌측과 최 우측의 경우는 기존의 비닐하우스용 구조물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동과 동이 연결된 부분은 비닐하우스 구조물에 연결하여 태양광발전설비를 지지하는 구조물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태양광발전설비 구조물이 받이 부재를 관통하거나 받이 부재위에 덧대어 결합해야 하고, 이 때 받이부재의 방수성의 문제와 교체 용이성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In order to install solar power generation equipment on top of an interlocking greenhouse with this structure, a vertical beam is needed to support the solar power generation equipment when a structure must b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greenhouse, and the extrem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terlocking greenhouse are required. In the case of , it can be used by connecting to an existing greenhouse structure, but in order to construct a structure that supports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by connecting the copper to the greenhouse structure, the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y structure must penetrate the support member or It must be combined by adding a layer on top of the receiving member, and at this time, problems of waterproofness of the receiving member and ease of replacement are encountered.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호 형상의 비닐막 위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나 이물질을 담아 배출 안내하는 받이부재의 설치구조를 개선하고 비닐하우스 구조물에 태양광발전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수직빔을 지지하여 설치함으로써, 필요시 받이부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넓은 평면적의 연동형 하우스의 상부에 태양광발전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mproves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receiving member that contains and guides discharge of rainwater or foreign substances flowing down from the arc-shaped vinyl membrane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and provides solar energy to the greenhouse structure. By supporting and installing the vertical beam for installing the power generation structure, it is easy to replace the support member when necessary, and solar panels are installed to enable the stable installation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on the upper part of the interlocking house with a large floor area.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본 발명은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내부에 음지식물을 재배시 태양광발전구조물의 태양광패널로 그늘을 형성함으로 인해 차광막을 설치하지 않아도 작물의 증산효과가 있음에 따라 태양광패널을 통해 발전하거나 전기를 판매하여 추가 수익을 창출하고, 차양막의 불필요로 인한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crop production even without installing a shading film by forming shade with the solar panel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when cultivating shade plants inside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thereby generating power or electricity through the solar panel.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to generate additional profits by selling and to reduc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due to the need for sunshades.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은: 너비방향(W)으로 설정간격만큼 유격되게 배치되고, 길이방향(L)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단일층 또는 복수층의 비닐막을 연결 지지하는 사이드앵커빔; 너비방향으로 한 쌍의 상기 사이드앵커빔 사이에 설정간격만큼 유격되는 복수 개로 배치되고, 길이방향(L)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비닐막을 연결 지지하는 이너앵커빔; 상기 사이드앵커빔과 상기 이너앵커빔에 지지된 채 상기 비닐막 상에 설치되어, 태양빛의 조사를 통해 집광하는 태양광패널을 지지하는 태양광발전구조물; 및 상기 태양광발전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이너앵커빔에 대응되도록 상기 태양광발전구조물의 수직빔을 연결되게 설치하는 설치부를 포함한다.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at a set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W), multiple piece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of vinyl membrane are connected. supporting side anchor beams; A plurality of inner anchor beams are arranged at a set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side anchor beams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inner anchor beam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o connect and support the vinyl membrane; A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installed on the vinyl film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side anchor beam and the inner anchor beam, and supporting a solar panel that condenses light through irradiation of sunlight; And to support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it includes an installation unit that connects the vertical beam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to correspond to the inner anchor beam.

너비방향으로 이웃한 상기 사이드앵커빔과 상기 이너앵커빔, 및 이웃한 상기 이너앵커빔끼리를 연결하는 비닐막은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호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을 유지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 anchor beam and the inner anchor beam adjacent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vinyl film connecting the adjacent inner anchor beam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provided to maintain an arc shape or an inclined shape convex upward.

상기 이너앵커빔은 상기 받이부재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빔과 연결되거나, 상기 받이부재의 하부로 연장되는 상기 수직빔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수직빔의 하측과 접하는 상기 받이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anchor beam extends to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beam,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beam exte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member, or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beam.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길이방향(L)으로 이웃한 상기 이너앵커빔은 커넥팅빔에 의해 연결되어 측방향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anchor beam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beam and are supported in the lateral direction.

제 1예로서, 상기 설치부는, 길이방향(L)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상기 이너앵커빔에 걸쳐지게 구비되고, 경질로 이루어진 버킷플레이트; 대응되는 상기 이너앵커빔 또는 상기 수직빔을 축 삽입 허용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버킷플레이트에 통공되는 삽입홀부; 및 길이방향(L)을 따라 상기 버킷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비닐막에서 흘러내린 이물질의 이동을 안내하고, 경질 또는 연질로 이루어진 받이부재를 포함한다.As a first example, the installation portion includes a bucket plate made of hard material and provided to span the inner anchor beam, which is disposed in plural pie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 insertion hole portion perforated in the bucket plate to allow shaft insertion and coupling of the corresponding inner anchor beam or the vertical beam; and a receiving member made of hard or soft,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both edges of the bucket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guides the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flowing down from the vinyl film.

상기 버킷플레이트는 하부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편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체결??ㄴ은 상기 이너앵커빔의 둘레면에 접한 채 고정될 수 있다.The bucket plate extends one or more fastening pieces in a downward direction, and the fastening pieces can be fix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anchor beam.

제 2예로서, 상기 설치부는, 길이방향(L)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상기 이너앵커빔의 상부에 지지된 채 고정되게 구비되고, 경질로 이루어진 버킷플레이트; 길이방향(L)을 따라 상기 버킷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비닐막에서 흘러내린 이물질의 이동을 안내하고, 경질 또는 연질로 이루어진 받이부재; 및 상기 수직빔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 개가 대향하게 배치되어 이물질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버킷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거나 또는 고정되게 결합되는 조인트플레이트를 포함한다.As a second example, the installation part includes a bucket plate made of hard and supported while being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ner anchor beam, where a plurality of piece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 receiving memb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both edges of the bucket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guides the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flowing down from the vinyl film, and is made of hard or soft material; and a joint plat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beam, is arranged in plural pieces to face each other to guide the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and is detachably or fixedly coupled to the bucket plate.

상기 버킷플레이트는 하부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편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체결??ㄴ은 상기 이너앵커빔의 둘레면에 접한 채 고정될 수 있다.The bucket plate extends one or more fastening pieces in a downward direction, and the fastening pieces can be fix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anchor beam.

제 3예로서, 상기 설치부는, 길이방향(L)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상기 이너앵커빔 각각 또는 다수 개의 상부에 지지된 채 고정되게 구비되고, 경질로 이루어진 버킷플레이트; 길이방향(L)을 따라 상기 버킷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비닐막에서 흘러내린 이물질의 이동을 안내하고, 경질 또는 연질로 이루어진 받이부재; 상기 수직빔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 개가 대향하게 배치되어 이물질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버킷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인트플레이트; 및 상기 이너앵커빔의 상부 가장자리에 연장되어 상기 버킷플레이트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 채 대응되는 상기 버킷플레이트와 분리 가능하거나 또는 고정되게 결합되는 앵커엣지를 포함한다.As a third example, the installation part includes: a bucket plate made of hard and supported and fixed on the upper part of each or a plurality of inner anchor beam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 receiving memb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both edges of the bucket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guides the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flowing down from the vinyl film, and is made of hard or soft material; A joint plat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beam, a plurality of joint plates arranged oppositely to guide the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bucket plate; and an anchor edge that extends to the upper edge of the inner anchor beam and is detachably or fixedly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bucket plate while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bucket plate.

상기 버킷플레이트는 하부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편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체결??ㄴ은 상기 이너앵커빔의 둘레면에 접한 채 고정될 수 있다.The bucket plate extends one or more fastening pieces in a downward direction, and the fastening pieces can be fix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anchor beam.

제 4예로서, 상기 설치부는, 길이방향(L)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상기 이너앵커빔의 상부에 지지된 채 고정되게 구비되고, 경질로 이루어진 버킷플레이트; 길이방향(L)을 따라 상기 버킷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비닐막에서 흘러내린 이물질의 이동을 안내하고, 경질 또는 연질로 이루어진 받이부재; 하측이 상기 버킷플레이트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이 상기 수직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인트블록; 상기 조인트블록에 통공 형성되어 이물질의 이동을 안내하는 개구홀부; 및 상기 이너앵커빔의 상부에 연장되어 상기 버킷플레이트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 채 대응되는 상기 버킷플레이트와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앵커엣지를 포함한다.As a fourth example, the installation part includes a bucket plate made of hard material and supported and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ner anchor beam, where a plurality of piece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 receiving memb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both edges of the bucket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guides the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flowing down from the vinyl film, and is made of hard or soft material; A joint block whose lower side is integrally provided or separably coupled to the bucket plate and whose upper side is separably coupled to the vertical beam; An opening hole formed in the joint block to guide the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And an anchor edge that extends to the upper part of the inner anchor beam and is integrally provided with or detachably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bucket plate while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bucket plate.

상기 비닐막은 대응되는 상기 받이부재 또는 아치빔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nyl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parab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receiving member or arch beam.

상기 버킷플레이트는, 버킷패드, 및 상기 버킷패드의 양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버킷윙을 포함한다.The bucket plate includes a bucket pad and bucket wings that extend upwardly to both sides of the bucket pad.

상기 받이부재는, 대응되는 상기 버킷패드의 가장자리에 연결 고정되는 받이패드, 및 상기 받이패드의 양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채 대응되는 상기 버킷윙에 연결되는 받이윙을 포함한다.The receiving member includes a receiving pad connected to and fixed to an edge of the corresponding bucket pad, and a receiving wing extending upwardly to both sides of the receiving pad and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bucket wing.

상기 받이부재는 상기 커넥팅빔에서 양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서포팅앵글 및 커넥팅빔에 지지되고, 상기 서포팅앵글은 상기 비닐막을 지지하는 아치빔을 양측 가장자리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ceiving member is supported by a supporting angle and a connecting beam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beam to both sides, and the supporting angle connects the arch beam supporting the vinyl film to both edges.

상기 버킷플레이트는 하부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편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체결편은 상기 이너앵커빔 또는 상기 수직빔의 둘레면에 접한 채 고정될 수 있다.The bucket plate extends one or more fastening pieces in a downward direction, and the fastening pieces may be fix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a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anchor beam or the vertical beam.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은 종래 기술과 달리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호 형상의 비닐막 위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나 이물질을 담아 배출 안내하는 받이부재의 설치구조를 개선하고 비닐하우스 구조물에 태양광발전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수직빔을 지지하여 설치함으로써, 필요시 받이부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넓은 평면적의 연동형 하우스의 상부에 태양광발전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is installed with a receiving member that collects and guides the discharge of rainwater or foreign substances flowing down from the arc-shaped vinyl film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By improving the structure and supporting the vertical beam for installing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in the greenhouse structure, it is easy to replace the support member when necessary, and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can be installed stably on the upper part of the interlocking house with a large floor area. It can be installed with .

본 발명은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내부에 음지식물을 재배시 태양광발전구조물의 태양광패널로 그늘을 형성함으로 인해 차광막을 설치하지 않아도 작물의 증산효과가 있음에 따라 태양광패널을 통해 발전하거나 전기를 판매하여 추가 수익을 창출하고, 차양막의 불필요로 인한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crop production even without installing a shading film by forming shade with the solar panel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when cultivating shade plants inside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thereby generating power or electricity through the solar panel. You can generate additional revenue by selling and reduc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due to the need for sunshade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front view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main portion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main parts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ront view of the main portion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main parts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front view of the main part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3 and 1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main parts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front view of the main part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front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측면도이다.Figure 1 is a front view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side view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main front view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umbar reg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Figures 5 and 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main parts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86)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은 사이드앵커빔(20), 이너앵커빔(30), 커넥팅빔(70), 태양광발전구조물(80) 및 설치부(100)를 포함한다.1 to 6,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equipped with a solar panel 86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anchor beam 20, an inner anchor beam 30, and a connecting beam. It includes a beam 70, a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80, and an installation unit 100.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은 사이드앵커빔(20), 이너앵커빔(30), 아치빔(40), 루프빔(50), 비닐막(60), 받이부재(130) 및 커넥팅빔(70)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anchor beam 20, an inner anchor beam 30, an arch beam 40, a roof beam 50, a vinyl membrane 60, and a receiving member 130. ) and a connecting beam 70.

사이드앵커빔(20)은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의 너비방향(W)으로 설정간격만큼 유격되게 배치된다. 즉, 사이드앵커빔(20)은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의 너비방향(W)방향으로 양쪽 최외측에 배치되어, 바닥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사이드앵커빔(20)은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바닥에 고정 설치된다.The side anchor beams 20 are spaced apart at a set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That is, the side anchor beams 20 are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s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are fixed to the floor. In addition, a plurality of side anchor beams 20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and are fixed to the floor.

아울러, 이너앵커빔(30)은 너비방향으로 한 쌍의 사이드앵커빔(20) 사이에 설정간격만큼 유격되는 복수 개로 배치되어 바닥에 고정 설치되고, 길이방향(L)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바닥에 고정 설치된다.In addition, the inner anchor beam 30 is arranged in plural pieces spaced apart by a set interval between a pair of side anchor beams 20 in the width direction and fixed to the floor, and is arranged in plural pie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n the floor. It is installed fixedly.

그리고,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의 너비방향(W) 및 길이방향(L)으로, 이웃한 사이드앵커빔(20)과 이너앵커빔(30), 및 이웃한 이너앵커빔(30)끼리는 커넥팅빔(70)으로 연결되며 사이드앵커빔(20)간을 길이방향(L)으로 연결하는 커넥팅빔(70)들과 이너앵커빔(30)을 길이방향(L)으로 연결하는 커넥팅빔(70)들은 너비방향(W)으로 아치빔(40)에 의하여 연결된다. And,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the adjacent side anchor beams 20 and inner anchor beams 30, and the adjacent inner anchor beams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beams 70 that are connected to the beam 70 and connect the side anchor beams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connecting beams 70 that connect the inner anchor beam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hey are connected by an arch beam 40 in the width direction (W).

아치빔(40)은 비닐막(60)으로 덮여지게 된다. 이때, 비닐막(60)이 단층일 경우, 아치빔(40)은 단층으로 이루어져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으로 복수 개가 배치된다. 비닐막(60)이 복층일 경우, 아치빔(40)은 복층으로 이루어져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으로 복수 개가 배치된다. 편의상, 본 발명에 따른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은 복층의 비닐막(60)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The arch beam 40 is covered with a vinyl film 60. At this time, when the vinyl film 60 is a single layer, a plurality of arch beams 40 are made of a single layer and ar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When the vinyl film 60 is a double layer, the arch beam 40 is made of a double layer and a plurality of arch beams 40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For convenience,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ulti-layer vinyl film 60.

특히, 아치빔(40)이 소정간격을 유지하며 비닐막(6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으로 배치되는 아치빔(40)은 복수 개의 루프빔(50)에 의해 지지된다. In particular, the arch beams 40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are formed of a plurality of roof beams so that the arch beams 40 can support the vinyl membrane 60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spacing. Supported by (50).

또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으로 배치되는 사이드앵커빔(20)끼리는 커넥팅빔(70)으로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고,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으로 배치되는 이너앵커빔(30)끼리 및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의 너비방향(W)으로 배치되는 이너앵커빔(30)끼리는 각각 대응되는 커넥팅빔(70)으로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de anchor beams 20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can be connected and supported by the connecting beam 7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 and the inner anchor beams 30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can be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corresponding connecting beams 70. .

이때, 커넥팅빔(70)은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되는 사이드앵커빔(20)과 이너앵커빔(30)에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beam 70 can be installed on the corresponding side anchor beam 20 and inner anchor beam 30 in various ways.

한편, 태양광발전구조물(80)의 태양광패널(86)은 최상층의 비닐막(60)의 상부에 배치되어, 태양광발전을 위해 태양빛의 조사를 통해 집광한다.Meanwhile, the solar panel 86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80 is disposed on the uppermost layer of the vinyl film 60 and collects sunlight through irradiation for solar power generation.

태양광발전구조물(80)은 다양한 형상 및 구성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80 can be installed in various shapes and configurations.

예로서, 태양광발전구조물(80)은 수직빔(82), 수평빔(84), 태양광패널(86) 및 반사판(88)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80 may include a vertical beam 82, a horizontal beam 84, a solar panel 86, and a reflector 88.

수직빔(82)은 전체 또는 특정한 사이드앵커빔(20), 전체 또는 특정한 이너앵커빔(30), 및 특정한 커넥팅빔(70)에 지지된 채, 수평빔(8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vertical beam 82 serves to support the horizontal beam 84 while being supported on all or a specific side anchor beam 20, all or a specific inner anchor beam 30, and a specific connecting beam 70.

수평빔(84)은 복수 개의 수직빔(82)에 걸쳐 지지된 채 태양광패널(86)을 연결하여 지지 고정한다.The horizontal beam 84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vertical beams 82 and connects the solar panel 86 to support and fix it.

아울러, 태양광패널(86)은 수평빔(84), 또는 수평빔(84)과 수직빔(82)에 연결 지지된 채, 집광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solar panel 86 is connected and supported to the horizontal beam 84, or the horizontal beam 84 and the vertical beam 82, and serves to collect light.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반사판(88)은 태양광발전구조물(80) 및 대응되는 태양광패널(8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 설치되어, 태양광패널(86)에 의하여 발생되는 하우스 내의 그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의 내부에서 경작되거나 농작되는 농작물로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The reflector 88, which may be optionally provided, is fixedly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80 and the corresponding solar panel 86 to reduce the effect of shade within the house caused by the solar panel 86. It serves to reflect crops being cultivated or farmed inside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to reduce .

한편, 설치부(100)는 태양광발전구조물(80)을 지지하기 위해, 특정한 이너앵커빔(30) 각각에 대응되도록 태양광발전구조물(80)의 수직빔(82)을 연결되게 설치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태양광발전구조물(80)은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의 상부로 부상한 채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그래서, 태양광발전구조물(80)의 수직빔(82)이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의 외측의 바닥에 설치됨에 따른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Meanwhile, the installation unit 100 serves to connect and install the vertical beams 82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80 to correspond to each specific inner anchor beam 30 in order to support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80. Do it. Through this,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80 is firmly fixed and installed while floating to the upper part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Therefore, since the vertical beam 82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80 is installed on the floor outside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no separate space is required.

특히, 너비방향으로 이웃한 사이드앵커빔(20)과 이너앵커빔(30), 및 이웃한 이너앵커빔(30)끼리를 연결하는 비닐막(60)은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호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을 유지하게 구비됨에 따라, 비닐막(60)은 이너앵커빔(30)의 상부에 해당되는 위치를 따라 골을 형성하게 되고, 물이나 눈 등의 이물질이 이 골을 따라 설치되는 받이부재(130)를 통하여 배출 안내한다.In particular, the side anchor beams 20 and inner anchor beams 30 adjacent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vinyl film 60 connecting the adjacent inner anchor beams 30 have an arc shape or an inclined shape convex toward the top. As it is provided to maintain the plastic film 60, a valley is formed along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inner anchor beam 30,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ter or snow are installed along this valley. ) to guide the discharge.

한편, 실시예로서, 설치부(100)는 버킷플레이트(110), 삽입홀부(120) 및 받이부재(130)를 포함한다.Meanwhile, as an example, the installation unit 100 includes a bucket plate 110, an insertion hole 120, and a receiving member 130.

이때, 이너앵커빔(30)은 복층일 경우 상대적으로 최상층에 위치한 비닐막(60)의 빗물 등 이물질을 받아내는 받이부재(130)의 상부로 연장되어 수직빔(82)과 일대일 연결되거나, 또는 받이부재(130)의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빔(82)에 일대일 연결된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a double layer, the inner anchor beam 30 extends to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member 130, which catches foreign substances such as rainwater of the vinyl membrane 60 located on the relatively uppermost layer, and is connected one to one with the vertical beam 82, or It is connected one-to-one to the vertical beam 82 exte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member 130.

편의상, 본 실시예에서, 해당 이너앵커빔(30)이 받이부재(130)의 상부로 연장되어 수직빔(82)과 일대일로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For convenience,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anchor beam 30 extends to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member 130 and is connected one to one with the vertical beam 82.

그리고, 버킷플레이트(110)는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이너앵커빔(30)에 구비되고, 경질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bucket plate 110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inner anchor beams 30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and is made of hard material.

삽입홀부(120)는 대응되는 이너앵커빔(30)을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축 삽입 허용하기 위해 버킷플레이트(110)에 통공된다. 이때, 이너앵커빔(30)은 대응되는 버킷플레이트(110)의 삽입홀부(120)에 삽입 후, 버킷플레이트(110)와 일체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이너앵커빔(30)은 대응되는 삽입홀부(120)의 내측면을 따라 버킷플레이트(110)와 용접이나 볼팅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고, 버킷플레이트(110)가 대응되는 이너앵커빔(30)을 축 삽입 후 대응되는 커넥팅빔(7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The insertion hole portion 120 is perforated in the bucket plate 110 to allow axial insertion of the corresponding inner anchor beam 30 from the bottom to the top. At this time, the inner anchor beam 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0 of the corresponding bucket plate 110 and then integrally coupled or separably coupled to the bucket plate 110. In particular, the inner anchor beam 30 may be coupled to the bucket plate 110 by welding or bolt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insertion hole portion 120, and the bucket plate 110 may b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inner anchor beam 30. )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connecting beam 70 after inserting the axis.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버킷플레이트(110)는 하부에 브라켓을 구비하여 이너앵커빔(30)의 상부와 볼트로 결합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bucket plate 110 may have a bracket at the bottom and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ner anchor beam 30 with a bolt.

아울러, 받이부재(130)는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을 따라 버킷플레이트(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래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을 따라, 받이부재(130)와 버킷플레이트(110)가 순서대로 번갈아 배치된다. 이때, 받이부재(130)는 대응되는 커넥팅빔(70)을 따라 지지된다.In addition, the receiving member 130 is detachably coupled to both edges of the bucket plate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Therefo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the receiving members 130 and bucket plates 110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at order. At this time, the receiving member 130 is supported along the corresponding connecting beam 70.

그래서, 최상층의 비닐막(60)에서 흘러내린 이물질은 서로 연결된 받이부재(130)와 버킷플레이트(110)를 따라 이동되며 배출 안내된다.Therefore, foreign mat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most vinyl film 60 moves along the interconnected receiving member 130 and bucket plate 110 and is guided to discharge.

특히, 받이부재(130)는 자중을 줄이고, 제조단자를 저감하기 위해, 플라스틱 등 연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금속판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receiving member 130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plastic to reduce its own weight and manufacturing terminals, or may be made of a metal plate to maintain rigidity.

한편, 삽입홀부(120)를 통해 버킷플레이트(110)의 상부로 연장되는 이너앵커빔(30)은 상부플랜지(32)를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는 수직빔(82)은 하부플랜지(83)를 구비한다.Meanwhile, the inner anchor beam 30 exte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bucket plate 110 through the insertion hole 120 has an upper flange 32, and the corresponding vertical beam 82 has a lower flange 83. Equipped with

대응되는 상부플랜지(32)와 하부플랜지(83)가 면접된 후 볼트에 의해 볼팅됨으로써 결합된다. 이때, 상부플랜지(32)와 하부플랜지(83)가 버킷플레이트(110)에 면접될 수도 있다.The corresponding upper flange 32 and lower flange 83 are interviewed and then joined by bolting. At this time, the upper flange 32 and lower flange 83 may be connected to the bucket plate 110.

그리고, 버킷플레이트(110)는 삽입홀부(120)를 통공하는 평판 형상의 버킷패드(112), 및 버킷패드(112)의 양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버킷윙(114)을 포함한다. 버킷윙(114)은 최상층의 비닐막(60)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이물질을 받아주는 역할을 한다.Additionally, the bucket plate 110 includes a flat bucket pad 112 penetrating the insertion hole 120, and bucket wings 114 extending upwardly to both sides of the bucket pad 112. The bucket wing 114 serves to catch foreign substances flowing down from the top layer vinyl film 60.

이에 대응하여, 버킷플레이트(110)의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에 각각 연결되는 받이부재(130)는 버킷패드(112)에 포개진 채 볼트 또는 리벳 등 결합부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평판 형상의 받이패드(132), 및 받이패드(132) 각각의 양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채 버킷윙(114)에 면접되어 볼트 또는 리벳 등 결합부재에 의해 대응되는 버킷윙(11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이윙(134)을 포함한다. In response to this, the receiving members 130, respectively connected to one edge and the other edge of the bucket plate 110, have a flat plate shape that is overlapped on the bucket pad 112 and detachably coupled by a coupling member such as a bolt or rivet. The receiving pad 132 and the receiving pad 132 extend upwardly on both sides and are in contact with the bucket wing 114, and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bucket wing 114 by coupling members such as bolts or rivets. Includes a receiving wing (134).

한편, 받이부재(130) 특히 받이윙(134)이 하부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받이부재(130)는 이너앵커빔(30)들을 연결하는 커넥팅빔(70)에서 양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서포팅앵글에 지지된다. 서포팅앵글은 다양한 형상의 앵글브라켓으로써, 커넥팅빔(70)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데, 커넥팅빔(7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볼트 등에 의해 커넥팅빔(7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order to prevent the receiving member 130, especially the receiving wing 134, from b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receiving member 130 is provided to extend on both sides from the connecting beam 70 connecting the inner anchor beams 30. It is supported at the supporting angle. The supporting angle is an angle bracket of various shapes, which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eam 70. It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ng beam 70, o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beam 70 with a bolt, etc. It may be possible.

이때, 아치빔(40)은 대응되는 서포팅앵글을 가장자리에 축 삽입하여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접속 연결된 서포팅앵글과 아치빔(40)은 볼트에 의해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rch beam 40 can be connected by inserting the corresponding supporting angle at the edge. In addition, the connected supporting angle and arch beam 40 can be firmly coupled with bolts.

특히, 커넥팅빔(70)의 축 방향에 대해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서포팅앵글(190)은 결속부재(192)에 의해 상호 결속된다. 결속부재(192)는 대응되는 한 쌍의 서포팅앵글(190)을 결속하는 U볼트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In particular, a pair of supporting angles 190 extending to both sid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eam 70 are bound to each other by a binding member 192. The binding member 192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such as a U bolt for binding a corresponding pair of supporting angles 190.

또한, 비닐막(60)은 대응되는 받이부재(130), 아치빔(40) 및 버킷플레이트(110) 등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In addition, the vinyl film 6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receiving member 130, arch beam 40, and bucket plate 110, respectively.

예로서, 홀더(180)가 볼트에 의해 대응되는 버킷플레이트(110)와 받이부재(130) 및 아치빔(40)에 함께 결합 고정된다. 이때, 받이부재(130)의 받이윙(134)은 대응되는 아치빔(40)에 접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해당 홀더(180)에 대응되는 비닐막(60)의 가장자리는 홀더(180)의 내측에 삽입된다. 이 후, 탄성고정부재(182)가 홀더(180)의 내측에서 비닐막(6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한다. 물론, 홀더(180)와 탄성고정부재(18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As an example, the holder 180 is coupled and fixed to the corresponding bucket plate 110, the receiving member 130, and the arch beam 40 by bolts. At this time, the receiving wing 134 of the receiving member 130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arch beam 40. Then, the edge of the vinyl film 60 corresponding to the holder 18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180. Afterwards, the elastic fixing member 182 prevents the vinyl film 6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holder 180. Of course, the holder 180 and the elastic fixing member 182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홀더(180)는 대응되는 아치빔(40)에 접한 채 볼트에 의해 볼팅 결속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holder 180 may be bolted to the corresponding arch beam 40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arch beam 40.

따라서, 이너앵커빔(30)이 금속 재질의 버킷플레이트(110)를 고정연결한 채 버킷플레이트(110)의 상부로 연장되어 대응되는 수직빔(82)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태양광발전구조물(80)이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Therefore, the inner anchor beam 30 extends to the upper part of the bucket plate 110 while fixedly connected to the bucket plate 110 made of metal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vertical beam 82, thereby forming a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80) is firmly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그리고, 홈통 역할을 하는 받이부재(130)가 버킷플레이트(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받이부재(130)는 태양광발전구조물(80)이 설치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교체나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In addition, as the receiving member 130, which acts as a gutter, is detachably coupled to both edges of the bucket plate 110, the receiving member 130 can be easily replaced or maintained while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80 is installed. Repair is possible.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main front view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front view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and Figures 9 and 10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main part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86)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은 사이드앵커빔(20), 이너앵커빔(30), 커넥팅빔(70), 태양광발전구조물(80) 및 설치부(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7 to 10,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equipped with a solar panel 86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anchor beam 20, an inner anchor beam 30, and a connecting beam. It includes a beam 70, a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80, and an installation unit 100.

여기서, 사이드앵커빔(20), 이너앵커빔(30), 커넥팅빔(70) 및 태양광발전구조물(80)은 제 1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Here, the side anchor beam 20, inner anchor beam 30, connecting beam 70, and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80 are replaced with those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그리고, 설치부(100)는 버킷플레이트(110), 받이부재(130) 및 조인트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And, the installation unit 100 includes a bucket plate 110, a receiving member 130, and a joint plate 140.

특히, 버킷플레이트(1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대응되는 이너앵커빔(30)의 상측면에 접하여 고정된다.In particular, the bucket plate 11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corresponding inner anchor beam 30.

조인트플레이트(140)는 일측이 수직빔(82) 각각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버킷플레이트(110)의 버킷패드(112)에 고정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조인트플레이트(14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이물질의 이동을 안내하고, 복수 개가 어퍼패드(142)에 상측이 일체로 연결되며 로어패드(144)의 하측이 버킷패드(112)에 볼트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조인트플레이트(140)의 하측이 버킷패드(112)에 일체로 결합된다.One side of the joint plate 1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each vertical beam 82, and the other side is fixed or detachably coupled to the bucket pad 112 of the bucket plate 110. At this time, a plurality of joint plates 140 in the shape of plates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o guide the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joint plates 14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ad 142, and the lower side of the lower pad 144 is a bucket pad ( 11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ucket pad 112, or the lower side of the joint plate 14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bucket pad 112.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버킷플레이트(110)는 하부에 브라켓을 구비하여 이너앵커빔(30)의 상부와 볼트로 결합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bucket plate 110 may have a bracket at the bottom and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ner anchor beam 30 with a bolt.

그리고, 수직빔(82)은 어퍼패드(142)에 면접되는 면적을 확장하기 위해 하부플랜지(83)를 구비한다. 그래서, 어퍼패드(142)와 하부플랜지(83)가 면접된 채 볼팅되어 견고하게 결속된다.In addition, the vertical beam 82 is provided with a lower flange 83 to expand the area covered by the upper pad 142. Therefore, the upper pad 142 and the lower flange 83 are tightly coupled by being bolted together.

받이부재(130)는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을 따라 버킷플레이트(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비닐막(60)에서 흘러내린 이물질의 이동을 안내하고, 경질 또는 연질로 이루어진다.The receiving member 130 is detachably coupled to both edges of the bucket plate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and guides the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flowing down from the vinyl film 60. , consists of hard or soft.

이때, 비닐막(60)은 받이부재(130)에 고정된 홀더(180)에 가장자리가 고정되게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vinyl film 60 is connected to the holder 180 fixed to the receiving member 130 so that its edges are fixed.

아울러, 조인트플레이트(140)는 버킷패드(112)에 접한 채 용접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버킷패드(112)는 이너앵커빔(30)에 용접 또는 볼팅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joint plate 140 may be welded and fixed while in contact with the bucket pad 112. Additionally, the bucket pad 112 may be fixed to the inner anchor beam 30 by various methods such as welding or bolting.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제 1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Reference symbols not described are replaced with those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11 is a main front view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2 is a front view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and Figures 13 and 14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86)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은 사이드앵커빔(20), 이너앵커빔(30), 커넥팅빔(70), 태양광발전구조물(80) 및 설치부(100)를 포함한다.11 to 14,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equipped with a solar panel 86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anchor beam 20, an inner anchor beam 30, and a connecting beam. It includes a beam 70, a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80, and an installation unit 100.

여기서, 사이드앵커빔(20), 이너앵커빔(30), 커넥팅빔(70) 및 태양광발전구조물(80)은 제 2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Here, the side anchor beam 20, inner anchor beam 30, connecting beam 70, and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80 are replaced with those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그리고, 설치부(100)는 버킷플레이트(110), 받이부재(130), 조인트플레이트(140) 및 앵커엣지(150)를 포함한다.And, the installation part 100 includes a bucket plate 110, a receiving member 130, a joint plate 140, and an anchor edge 150.

여기서, 버킷플레이트(110), 받이부재(130) 및 조인트플레이트(140)는 제 2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Here, the bucket plate 110, receiving member 130, and joint plate 140 are replaced with those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또한, 앵커엣지(150)는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이너앵커빔(30) 각각의 상부에 지지된 채 고정되게 구비되고, 경질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앵커엣지(150)는 대응되는 버킷플레이트(110)의 하측면을 접하여 지지하는데, 지지 면적을 증가시켜 안정적으로 지지한다.In addition, the anchor edge 150 is provided to be supported and fixed on the upper par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ner anchor beams 30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and is made of hard material. Therefore, the anchor edge 150 contacts and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corresponding bucket plate 110, and is stably supported by increasing the support area.

아울러, 대응되는 로어패드(144), 버킷플레이트(110) 및 앵커엣지(150)가 볼트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거나, 또는 조인트플레이트(140), 버킷플레이트(110) 및 앵커앳지(150)가 일체로 결합된다.In addition, the corresponding lower pad 144, bucket plate 110, and anchor edge 150 are separably bound to each other by bolts, or the joint plate 140, bucket plate 110, and anchor edge 150 are combined as one.

특히, 조인트플레이트(140)는 버킷패드(112)에 접한 채 용접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버킷패드(112) 또는 앵커엣지(150)는 이너앵커빔(30)에 용접 또는 볼팅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joint plate 140 may be welded and fixed while in contact with the bucket pad 112. Additionally, the bucket pad 112 or anchor edge 150 may be fixed to the inner anchor beam 30 by various methods such as welding or bolting.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엣지앵커(150)는 하부 방향으로 브라켓을 연장 형성하여 이너앵커빔(30)과 볼팅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edge anchor 150 may be bolted to the inner anchor beam 30 by forming a bracket extending downward.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Reference numbers not described are replaced with those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정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15 is a front view of the main part of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6 is a front view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and Figure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86)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은 사이드앵커빔(20), 이너앵커빔(30), 커넥팅빔(70), 태양광발전구조물(80) 및 설치부(100)를 포함한다.15 to 17,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equipped with a solar panel 86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anchor beam 20, an inner anchor beam 30, and a connecting beam. It includes a beam 70, a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80, and an installation unit 100.

여기서, 사이드앵커빔(20), 이너앵커빔(30), 커넥팅빔(70) 및 태양광발전구조물(80)은 제 1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Here, the side anchor beam 20, inner anchor beam 30, connecting beam 70, and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80 are replaced with those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그리고, 설치부(100)는 버킷플레이트(110), 받이부재(130), 조인트블록(160), 개구홀부(170) 및 앵커엣지(150)를 포함한다.And, the installation part 100 includes a bucket plate 110, a receiving member 130, a joint block 160, an opening hole part 170, and an anchor edge 150.

버킷플레이트(110) 및 받이부재(130)는 제 1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The bucket plate 110 and the receiving member 130 are replaced with those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그리고, 조인트블록(160)은 하측이 볼트에 의해 버킷플레이트(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이 볼트에 의해 수직빔(8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Additionally, the lower side of the joint block 16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ucket plate 110 with bolts, and the upper sid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vertical beam 82 by bolts.

이때, 조인트블록(160)은 하부에 로어패드(144)를 구비한다. 그래서, 로어패드(144), 버킷플레이트(110)가 볼트에 의해 결속된다.At this time, the joint block 160 is provided with a lower pad 144 at the bottom. So, the lower pad 144 and the bucket plate 110 are connected by bolts.

특히, 앵커엣지(150)는 버킷플레이트(110)의 하측면을 접하여 지지한다.In particular, the anchor edge 150 contacts and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bucket plate 110.

또한, 개구홀부(170)는 조인트블록(160)에 통공 형성되어 이물질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opening hole portion 170 is formed through a hole in the joint block 160 and serves to guide the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아울러, 조인트블록(160)은, 제 2실시예의 어퍼패드(142) 및 로어패드(144)와 마찬가지로, 상부에 어퍼패드(142)를 구비하여 수직빔(82)의 하부플랜지(83)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로어패드(144)를 구비하여 버킷플레이트(110) 및 버킷플레이트(110)의 하측면에 접하는 앵커엣지(150)와 분리 가능하게 결속된다.In addition, the joint block 160, like the upper pad 142 and the lower pad 144 of the secon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n upper pad 142 at the top to separate it from the lower flange 83 of the vertical beam 82. It is reliably coupled, and has a lower pad 144 at the bottom, so that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ucket plate 110 and the anchor edge 150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bucket plate 110.

특히, 앵커엣지(150)는 이너앵커빔(30)의 상부에 연장되어 버킷플레이트(110)의 하측면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 채 대응되는 버킷플레이트(110)와 볼트로써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In particular, the anchor edge 150 extends to the upper part of the inner anchor beam 30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bucket plate 110 with a bolt while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lower side of the bucket plate 110. .

그리고, 대응되는 수직빔(82)과 조인트블록(160)은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nd, the corresponding vertical beam 82 and joint block 160 can be separably coupled in various ways.

아울러, 조인트블록(160)은 버킷패드(112)에 접한 채 용접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버킷패드(112)는 이너앵커빔(30) 또는 앵커엣지(150)에 용접 또는 볼팅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joint block 160 may be welded and fixed while in contact with the bucket pad 112. Additionally, the bucket pad 112 may be fixed to the inner anchor beam 30 or the anchor edge 150 by various methods such as welding or bolting.

또한, 조인트블록(160)과 버킷플레이트(110) 또는, 조인트블록(160)과 버킷플레이트(110) 및 앵커엣지(15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joint block 160 and the bucket plate 110, or the joint block 160, the bucket plate 110, and the anchor edge 150 may be integrated.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제 1실시예,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Reference symbols not described are replaced with those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정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의 요부 사시도이다.Figure 18 is a front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9 is a front view of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solar panel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umbar region.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86)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10)은 사이드앵커빔(20), 이너앵커빔(30), 커넥팅빔(70), 수직빔(82)에 지지되는 태양광발전구조물(80) 및 설치부(100)를 포함한다.18 and 19, th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10 equipped with a solar panel 86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anchor beam 20, an inner anchor beam 30, and a connecting beam. It includes a beam 70, a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80 supported on a vertical beam 82, and an installation unit 100.

여기서, 사이드앵커빔(20), 이너앵커빔(30), 커넥팅빔(70), 수직빔(82)에 지지되는 태양광발전구조물(80) 및 설치부(100)은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에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Here,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80 and the installation unit 100 supported on the side anchor beam 20, the inner anchor beam 30, the connecting beam 70, and the vertical beam 82 are the first to second embodiments. Replaced with the one described above in Example 4.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앵커빔(30)과 수직빔(82)은 단부끼리 맞대어지고, 고정결합판(90)이 하나 이상 구비되어 이너앵커빔(30)과 수직빔(82)의 동일측 둘레면에 걸쳐 접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결합판(90)과 이너앵커빔(30), 및 고정결합판(90)과 수직빔(82)은 고정결합볼트(92)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고정결합판(90)은 수직빔(82) 또는 이너앵커빔(30)의 어느 한 부재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삽입홀부(120)에 축 삽입되는 이너앵커빔(30) 또는 수직빔(82)의 평면적을 줄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ends of the inner anchor beam 30 and the vertical beam 8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re abutted against each other, and one or more fixed coupling plates 90 are provided so that the inner anchor beam 30 and the vertical beam 82 are identical. It touches across the side perimeter. And, the fixed coupling plate 90 and the inner anchor beam 30, and the fixed coupling plate 90 and the vertical beam 82 are coupled by fixed coupling bolts 92. At this time, the fixed coupling plate 90 may be welded to any one member of the vertical beam 82 or the inner anchor beam 30. As a result, the planar area of the inner anchor beam 30 or the vertical beam 82 axial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0 can be reduced.

또한, 본 실시예는,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에 기재된, 버킷패드(112)가 하부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편(115)을 연장하는 것으로 한다.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the bucket pad 112 described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extends one or more fastening pieces 115 in the downward direction.

체결편(115)은 이너앵커빔(30) 또는 수직빔(82)의 둘레면에 접한 채 체결볼트(117)에 의해 대응되는 이너앵커빔(30) 또는 수직빔(82)에 결합된다. 이로써, 버킷플레이트(110)는 이너앵커빔(30) 또는 수직빔(8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fastening piece 115 is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inner anchor beam 30 or vertical beam 82 by a fastening bolt 117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anchor beam 30 or vertical beam 82. As a result, the bucket plate 110 can be firmly fixed to the inner anchor beam 30 or the vertical beam 82.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0: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 20: 사이드앵커빔
30: 이너앵커빔 32: 상부플랜지
60: 비닐막 70: 커넥팅빔
80: 태양광발전구조물 82: 수직빔
83: 하부플랜지 86: 태양광패널
88: 반사판 100: 설치부
110: 버킷플레이트 112: 버킷패드
114: 버킷윙 120: 삽입홀부
130: 받이부재 132: 받이패드
134: 받이윙 140: 조인트플레이트
142: 어퍼패드 144: 로어패드
150: 앵커엣지 160: 조인트블록
170: 개구홀부
10: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20: Side anchor beam
30: Inner anchor beam 32: Upper flange
60: Vinyl membrane 70: Connecting beam
80: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82: Vertical beam
83: Lower flange 86: Solar panel
88: Reflector 100: Installation part
110: bucket plate 112: bucket pad
114: bucket wing 120: insertion hole part
130: receiving member 132: receiving pad
134: Receiving wing 140: Joint plate
142: Upper pad 144: Lower pad
150: Anchor edge 160: Joint block
170: Opening hole part

Claims (9)

너비방향(W)으로 설정간격만큼 유격되게 배치되고, 길이방향(L)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단일층 또는 복수층의 비닐막을 연결 지지하는 사이드앵커빔;
너비방향으로 한 쌍의 상기 사이드앵커빔 사이에 설정간격만큼 유격되는 복수 개로 배치되고, 길이방향(L)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비닐막을 연결 지지하는 이너앵커빔;
상기 사이드앵커빔과 상기 이너앵커빔에 지지된 채 상기 비닐막 상부에 설치되고, 태양빛의 조사를 통해 집광하는 태양광패널을 지지하는 태양광발전구조물; 및
상기 태양광발전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이너앵커빔에 대응되도록 상기 태양광발전구조물의 수직빔을 연결되게 설치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
Side anchor beams arranged at a set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arranged in plural pie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o connect and support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of vinyl membrane;
A plurality of inner anchor beams are arranged at a set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side anchor beams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inner anchor beam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o connect and support the vinyl membrane;
A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installed on top of the vinyl film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side anchor beam and the inner anchor beam, and supporting a solar panel that condenses light through irradiation of sunlight; and
In order to support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with a solar panel, comprising an installation part that connects the vertical beam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to correspond to the inner anchor bea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앵커빔은 상기 비닐막이 골을 이루는 부분에 설치되는 받이부재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빔과 연결되거나, 상기 받이부재의 하부로 연장되는 상기 수직빔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수직빔의 하측과 접하는 상기 받이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
According to clause 1,
The inner anchor beam extends to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member installed in the portion where the vinyl film forms the valley and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beam,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beam exte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member, or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beam.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a solar pane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member in contact wit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길이방향(L)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상기 이너앵커빔에 걸쳐지게 구비되고, 경질로 이루어진 버킷플레이트;
대응되는 상기 이너앵커빔 또는 상기 수직빔을 축 삽입 허용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버킷플레이트에 통공되는 삽입홀부; 및
길이방향(L)을 따라 상기 버킷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비닐막에서 흘러내린 이물질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질 또는 연질로 이루어진 받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킷플레이트는 상기 삽입홀부에 축 삽입되는 상기 이너앵커빔 또는 상기 수직빔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
According to clause 1,
The installation portion includes a bucket plate made of hard material and provided to span the inner anchor beam, where a plurality of piece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 insertion hole portion perforated in the bucket plate to allow shaft insertion and coupling of the corresponding inner anchor beam or the vertical beam; and
It includes a receiving member made of hard or soft,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both edges of the bucket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guides the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flowing down from the vinyl film,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with a solar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bucket plate is fixedly connected to the inner anchor beam or the vertical beam that is axial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길이방향(L)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상기 이너앵커빔의 상부에 지지된 채 고정되게 구비되고, 경질로 이루어진 버킷플레이트;
길이방향(L)을 따라 상기 버킷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비닐막에서 흘러내린 이물질의 이동을 안내하고, 경질 또는 연질로 이루어진 받이부재; 및
상기 수직빔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거나 또는 고정되게 결합되고, 복수 개가 대향하게 배치되어 이물질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버킷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거나 고정되게 결합되는 조인트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stallation unit,
A bucket plate made of hard material and supported and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ner anchor beam, where a plurality of them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 receiving memb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both edges of the bucket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guides the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flowing down from the vinyl film, and is made of hard or soft material; and
Solar pow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joint plate that is detachably or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beam, is arranged oppositely to guide the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and is detachably or fixedly coupled to the bucket plat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with panel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이너앵커빔의 상부 가장자리에 연장되어 상기 버킷플레이트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 채 대응되는 상기 버킷플레이트와 분리 가능하거나 또는 고정되게 결합되는 앵커엣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
According to clause 4,
The installation part extends to the upper edge of the inner anchor beam and includes an anchor edge that is detachable or fixedly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bucket plate while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bucket plate.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with panel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길이방향(L)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상기 이너앵커빔의 상부에 지지된 채 고정되게 구비되고, 경질로 이루어진 버킷플레이트;
길이방향(L)을 따라 상기 버킷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비닐막에서 흘러내린 이물질의 이동을 안내하고, 경질 또는 연질로 이루어진 받이부재;
하측이 상기 버킷플레이트에 일체형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이 상기 수직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인트블록;
상기 조인트블록에 통공 형성되어 이물질의 이동을 안내하는 개구홀부; 및
상기 이너앵커빔의 상부에 연장되어 상기 버킷플레이트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 채 대응되는 상기 버킷플레이트와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앵커엣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stallation unit,
A bucket plate made of hard material and supported and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ner anchor beam, where a plurality of them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 receiving memb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both edges of the bucket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guides the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flowing down from the vinyl film, and is made of hard or soft material;
A joint block whose lower side is integrally installed or separably coupled to the bucket plate and whose upper side is separably coupled to the vertical beam;
An opening hole formed in the joint block to guide the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and
A solar panel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nchor edge that extends to the upper part of the inner anchor beam and is integrated with or detachably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bucket plate while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bucket plate.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플레이트는, 버킷패드, 및 상기 버킷패드의 양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버킷윙을 포함하고,
상기 받이부재는, 대응되는 상기 버킷패드의 가장자리에 연결 고정되는 받이패드, 및 상기 받이패드의 양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채 대응되는 상기 버킷윙에 연결되는 받이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The bucket plate includes a bucket pad and bucket wings extending upwardly to both sides of the bucket pad,
The receiving member includes a receiving pad connected to and fixed to an edge of the corresponding bucket pad, and a receiving wing extending upwardly to both sides of the receiving pad and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bucket wing.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with panels.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플레이트는 하부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편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체결편은 상기 이너앵커빔 또는 상기 수직빔의 둘레면에 접한 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7,
The bucket plate has one or more fastening pieces extending downward,
The fastening piece is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a solar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iece is fixed while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anchor beam or the vertical beam.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빔과 상기 이너앵커빔, 상기 조인트플레이트 또는 상기 조인트블럭은 하나 이상의 고정결합판에 의하여 수직빔의 둘레면에 접한 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패널을 구비한 연동형 하우스 구조물.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 interlocking house structure equipped with a solar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beam, the inner anchor beam, the joint plate or the joint block are fixed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beam by one or more fixed joint plates.
KR1020220048724A 2022-04-20 2022-04-20 Connected vinyl-house having photovoltaic panel KR202301494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724A KR20230149472A (en) 2022-04-20 2022-04-20 Connected vinyl-house having photovoltaic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724A KR20230149472A (en) 2022-04-20 2022-04-20 Connected vinyl-house having photovoltaic pa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472A true KR20230149472A (en) 2023-10-27

Family

ID=8851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724A KR20230149472A (en) 2022-04-20 2022-04-20 Connected vinyl-house having photovoltaic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947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o et al. Energy sustainable greenhouse crop cultivation using photovoltaic technologies
JP5683733B2 (en) Farm and photovoltaic system
KR100740364B1 (en) Modular shade system with solar tracking panels
JP2017029120A (en) Soil cultivation system with solar panel
Kumar et al. Survey and evaluation of solar technologies for agricultural greenhouse application
KR20160086729A (en) The sunbeam module and method in which I installed in the rice paddy
EP2294910A1 (en) Photovoltaic greenhouse with improved efficiency
EP3982713B1 (en) Greenhouse with photovoltaic system
KR102162117B1 (en) Facility structrue for cultivation of farm products and solar power generation
US20220151163A1 (en) Photovoltaic structures for use in agriculture farms
KR102452128B1 (en) the sunlight constructed in the agricultural land, and the solar energy generating plate for the strong wind induction
KR101161308B1 (en) Variable assembling type ginseng field assembly using a solar cell pannel
JP2013175520A (en) Photovoltaic generation device
KR20230149472A (en) Connected vinyl-house having photovoltaic panel
EP0440755A1 (en) Tent roof
KR102114528B1 (en) Energy collection device for air purification in planted water
KR20140030645A (en) Shading of ginseng field using solar panel
CN109275456A (en) A kind of photovoltaic heliogreenhouse system
KR20190074007A (en) Rural type solar generating apparatus solving problem of shadow
TWM584414U (en) Mobile solar panel support
CN217217593U (en) Arch photovoltaic ecological greenhouse
CN209676966U (en) A kind of photovoltaic structure of adjustable inclination angle
KR20230150453A (en) Vinyl-house structure included photovoltaic panel
US20230318523A1 (en) Electrical energy production plant that can be installed on structures and/or agricultural grounds
CN219421712U (en) Agricultural greenhouse combined with photovoltaic pa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