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398A -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398A
KR20230149398A KR1020220048559A KR20220048559A KR20230149398A KR 20230149398 A KR20230149398 A KR 20230149398A KR 1020220048559 A KR1020220048559 A KR 1020220048559A KR 20220048559 A KR20220048559 A KR 20220048559A KR 20230149398 A KR20230149398 A KR 20230149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elfare
life cycle
serv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연
Original Assignee
김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연 filed Critical 김지연
Priority to KR1020220048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9398A/ko
Publication of KR20230149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생애주기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부문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생애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정보에 매칭되는 생활복지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생활복지정보를 상기 서비스부문과 관련된 업체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업체 단말로부터 상품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상품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생애주기는 사용자의 결혼 및 출산 여부와 자녀의 연령, 독립여부 및 결혼여부 중 적어도 하나가 반영된 복수의 단계로 기 분류되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WELFARE AND DAILY NECESSITIES SERVICES FOR EACH LIFE CYCLE}
본 발명은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현재 생애주기에 매칭되는 복지 및 상품 정보를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생애주기(life cycle)란, 사람의 생애를 개인이나 가족의 생활에서 발생하는 커다란 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단계로 구분한 과정으로서, 개별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각 단계의 진행 순서는 일반적으로 비슷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생애주기는, 가족의 규모나 생활의 변화에 따라 가족 형성기, 자녀 양육기, 자녀 교육기, 자녀 독립기, 노후기 등의 단계 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사람은 생애주기를 거치면서 각 단계 별로 기대되는 역할이 존재하며, 이를 발달 과업이라 한다. 예를 들어, 가족 형성기인 경우, 일반적으로 결혼과 출산이라는 과업이 있으며, 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야 자녀 양육과 같은 다음 과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이처럼, 만족스러운 삶의 영위를 위하여, 생애주기에 따른 각 단계 별 발달 과업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진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현대 사회에서는, 각 생애주기 별 발달 과업을 보조하는 다양한 공공, 민간 서비스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각 과업에 활용되는 무수한 상품들이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다.
따라서, 개인 및 가정으로서는, 최대한 많은 복지 서비스를 신청하여 지원 받고, 상황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품을 구입하는 등 자본과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 속에서 필요한 복지 서비스나 상품을 캐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심지어는 자신의 생애주기가 어디에 해당되는지 잊고 생활하는 경우 또한 태반이다.
예를 들어, 복지 사업 별로 서로 다른 기관이 주관하고 있고, 정책이 도입되거나 변경되는 시기도 계속적으로 변하며, 개인 상황에 따라 요구되는 절차가 상이하기 때문에, 스스로 필요한 서비스를 인지하거나 선택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신혼부부와 같이 특정 단계를 막 시작하는 경우, 필요한 서비스나 물품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존재하며, 동일한 종류의 물품이라도 업체에 따라 가격이나 품질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가계에 부담이 생기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곤 한다.
한편, 최근에는 개인의 상태나 니즈를 파악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이 도입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기술적 사상에 대해서는 다수의 선행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이를 토대로, 생애주기 별 매칭되는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여 삶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되,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반영하여 최적의 서비스나 상품을 파악하는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107079 호 (공개일: 2016.09.13)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생애주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에 입각한 생활복지정보를 파악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부문에 대한 상품정보를 업체 측으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생애주기 별 매칭되는 복지 서비스 및 상품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생애주기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부문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생애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정보에 매칭되는 생활복지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생활복지정보를 상기 서비스부문과 관련된 업체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업체 단말로부터 상품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상품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생애주기는 사용자의 결혼 및 출산 여부와 자녀의 연령, 독립여부 및 결혼여부 중 적어도 하나가 반영된 복수의 단계로 기 분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서비스부문에 따라 상기 개인정보 이외 더 필요한 부가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요청하거나 기 설정된 방식으로 자체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단계는, 상기 생애주기 및 상기 서비스부문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정보를 전처리하고, 상기 서버에 기 수집되어 있는 생활복지정보 중 전처리된 개인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단계는, 상기 서비스부문을 기초로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생활복지정보를 가공 및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서버에 기 등록된 업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업체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단계는, 상기 생애주기, 상기 서비스부문 및 상기 생활복지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상품정보를 정렬하거나 필터링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단계인, 상기 기 설정된 방식으로 자체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라이프로그(lifelog)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라이프로그정보 중 비정형정보에 대한 정형화를 수행하여 상기 라이프로그정보를 서비스부문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단계; 분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서비스부문에 속하는 라이프로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라이프로그정보를 통계 분석하여 상기 서비스부문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영역이나 취향을 파악하고 부가정보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프로그정보가 텍스트 형태인 경우, 상기 라이프로그정보를 서비스부문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문장분석, 단어분석 및 형태소분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텍스트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라이프로그정보에서 문장단위 또는 단어단위의 문자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문자열정보에 대한 카테고리화를 수행하는 단계; 각 카테고리와 매칭되는 서비스부문을 파악하고 상기 각 카테고리에 포함된 문자열정보마다 파악된 서비스부문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프로그정보가 텍스트 형태인 경우, 상기 부가정보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서비스부문에 매칭된 문자열정보를 모두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문자열정보 별 또는 카테고리 별로 반복된 개수를 합산하고 높은 순서대로 파악하는 단계; 파악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관심영역이나 취향을 파악하고 부가정보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프정보가 이미지 또는 영상 형태인 경우, 상기 라이프로그정보를 서비스부문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서비스부문 분류모델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라이프로그정보를 상기 서비스부문 분류모델에 입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부문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부문 분류모델은, 특정 이미지 또는 영상이 입력되면 특정 서비스부문이 출력되도록 기 설정된 기계학습 모델을 통해 미리 학습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프정보가 이미지 또는 영상 형태인 경우, 상기 부가정보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서비스부문에 분류되어 있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모두 추출하는 단계; 기 설정된 탐색 기법으로 추출된 이미지 또는 영상 각각이 표시되어 있던 페이지를 탐색하는 단계; 탐색된 각 페이지에 대한 로그 및 트래픽을 추적하고 추적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관심영역이나 취향을 파악하고 부가정보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단계는, 상기 생애주기 및 서비스부문에 기초하여 복지서비스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유형에 기초하여 1차 필터링의 기준이 되는 개인정보를 파악하고 기 저장되어 있는 생활복지정보 중 상기 기준에 대응하는 생활복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1차 필터링에 의해 추출된 생활복지정보 중 상기 유형에 대응하는 생활복지정보를 스크래핑하는 2차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생애주기 및 상기 유형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준의 수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각 수치정보 또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조합된 수치정보를 상기 2차 필터링에 의해 추출된 생활복지정보에 포함된 수치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개인정보와 매칭되는 생활복지정보를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단계는, 기 설정된 기계학습을 통해 특정 사용자가 특정 군집코드와 매칭되도록 하는 업체 선정 모델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개인정보, 서비스부문 및 생활복지정보를 가공, 분석하여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업체 선정 모델에 적용시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군집코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군집코드는 상기 서버에 등록된 업체 중 적어도 하나의 업체가 포함되도록 기 설정된 방법으로 군집화되어 설정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군집코드를 설정하는 방법은, 하나의 축이 서비스부문이고 다른 하나의 축이 생애주기인 제1그래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그래프에 상기 서버에 등록된 업체들을 매핑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축 상 같은 범위에 속하는 업체들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축의 위치가 가까운 업체들끼리 연결하여 각 업체들을 제1군집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군집마다 제2그래프를 형성하고 각 제1군집별 포함되는 업체들을 상기 제2그래프마다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그래프는 서비스부문 및 생애주기를 제외한 기 설정된 서브기준이며, 상기 서브기준의 개수에 따라 군집화의 횟수가 결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체 선정 모델을 구축하는 방법은,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 항목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부문 별로 정규화를 수행하여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생활복지정보를 분석하여 각 생활복지정보 별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 또는 서비스 품목을 결정하고 결정한 품목을 훈련 데이터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생성되거나 설정된 각각의 훈련 데이터들을 서로 다르게 조합하여 훈련 데이터들의 세트인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기 설정된 기계학습 모델을 통하여 특정 입력 데이터가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군집코드가 출력되도록 학습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단계는, 상기 수신한 상품정보 중 상기 생애주기와 관련 없는 상품정보를 제거하는 단계; 제거 후 남은 상품정보 중 상기 생활복지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품정보 중 상기 서비스부문에 포함되는 않는 상품정보를 제거한 후 포함되는 서비스부문의 개수가 많은 상품정보의 순서대로 정렬하는 단계; 정렬된 상품정보마다 생애주기를 제외한 나머지 개인정보 별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 정렬된 상품정보마다 산출된 유사도를 합산하여 매칭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매칭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정렬하거나, 상기 매칭점수가 기 설정된 기준점수 이상인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생애주기 별로 이용 가능한 복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종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생애주기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복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추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특정 서비스부문에 대하여 생애주기에 따른 다양한 상품을 종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특정 서비스부문에 대하여 생애주기에 따른 사용자 ?춤형 상품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는 현재 생애주기에 적합한 복지 서비스 및 그와 관련된 상품들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 본인에게 최적화된 서비스 및 상품을 향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의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내부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VR HMD(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GearVR, DayDream, PSVR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R HMD 는 PC용 (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FOVE, Deepon 등)과 모바일용(예를 들어, GearVR, DayDream, 폭풍마경, 구글 카드보드 등) 그리고 콘솔용(PSVR)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Stand Alone 모델(예를 들어, Deepon, PICO 등) 등을 모두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 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활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스템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10) 및 업체 단말(20)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은, 서버(100)가 공급하는 웹사이트,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생애주기 별 사용자 맞춤형 복지 서비스를 소비하는 사용자들이 주체인 단말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은, 메모리(미도시), 프로세서(미도시) 및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하며, 통신모듈은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서버(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에는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에 대한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들을 처리한다.
전반적인 동작의 예로,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고객정보 및 서비스부문을 서버(100)로 전달한 후, 서버(100)로부터 그에 따른 생활복지정보 및 상품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생애주기 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한다.
업체 단말(20)은, 생애주기 별 과업을 달성하는 데 활용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단말을 의미하며, 하나의 사용자 단말(10)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생애주기가 가족 형성기(결혼)이고 요청하는 서비스부문이 결혼인 경우, 업체 단말(20)은 결혼식 업체, 스튜디오 업체, 메이크업 업체, 드레스 업체, 그 외 신혼부부와 관련된 각 종 용품 업체 등의 단말일 수 있으며, 업체의 종류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체 단말(20)은, 메모리(미도시), 프로세서(미도시) 및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하며, 통신모듈은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서버(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에는 생애주기 별 상품정보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생애주기 별 상품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한다.
전반적인 동작의 예로, 업체 단말(20)은 서버(100)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생활복지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상품정보를 서버(10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생애주기에 적합한 상품의 추천을 유도한다.
서버(100)는,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의 운영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 서버로 그 용어를 정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통신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10)은, 사용자 단말(10) 및 업체 단말(20)과 각각 데이터 통신을 처리한다.
메모리(120)에는,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은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10) 및 업체 단말(20)로 제공하는 웹사이트,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등과 연동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내 각 종 프로세스를 처리한다.
프로세스에 대한 간략한 예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개인정보 및 서비스부문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개인정보에 매칭되는 생활복지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며, 개인정보와 생활복지정보를 입력된 서비스부문의 업체 단말(20)로 제공하여 그로부터 상품정보를 수신하고, 상품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자 단말(10)로 추천한다.
데이터베이스(140)에는, 사용자들의 개인정보가 저장되며 생애주기 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0)에 등록된 업체들의 업체정보가 저장되며 서비스부문 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기 수집된 생활복지정보가 생애주기 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업체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품정보가 업체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며 생애주기 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외, 서버(100)가 수행한 각 종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이다.
단계 S310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의 생애주기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부문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서비스부문 선택영역(41) 및 생애주기 선택영역(4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부문은 사람의 생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생활적인 요소에 기초하여 서버(100)에 의해 미리 카테고리화된 것으로, 서버(100)에 기 분류되어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도 4를 통해 예시된 바와 같이, 건강, 주거, 금융, 직업, 문화, 여가, 결혼, 임신, 출산, 경조, 보육, 교육, 보호, 지원, 의료 등의 부문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기 분류된 서비스부문을 서비스부문 선택영역(41)에 표시하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애주기는 복수의 단계로 미리 분류되어 서버(100)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각 단계는 미혼, 결혼, 임신출산기, 영유아기, 자녀교육기, 미혼자녀동거, 기혼자녀동거, 자녀독립, 노년기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기 설정된 기준으로 단계를 나누고 각 단계마다 생애주기를 나타내는 명칭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은, 사용자의 결혼 및 출산 여부와 자녀의 연령, 독립여부 및 결혼여부 중 적어도 하나가 반영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기 분류된 생애주기의 단계를 생애주기 선택영역(42)에 표시하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표시된 생애주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생애주기에 따라 서비스부문 선택영역(41)에 표시되는 서비스부문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생애주기가 노년기인 경우, 서버(100)는 서버(100)에 저장된 전체 서비스부문에서 임신, 출산, 보육과 같이 노년과 관계도가 떨어지는 부문을 필터링하거나, 전체 서비스부문에서 건강, 보호, 지원, 의료와 같이 노년과 관계도가 높은 부문만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관계도는, 각 서비스부문 마다 생애주기 별 관계점수의 형태로 서버(100)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생애주기에 대응하여 관계점수가 기 설정된 기준범위에 속하는 서비스부문만을 추출하고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개인정보 입력영역(43)을 포함하며, 도 4와 같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의 서비스부문 및 생애주기의 입력에 응답하여 개인정보 입력영역(43)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식별 기준이 되는 정보로서, 생애주기를 비롯하여 나이, 직업, 혼인여부, 자녀(출산)여부, 성별, 지역 등의 항목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부문에 따라 이미 수신한 개인정보 이외에 더 필요한 부가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입력해야 하는 개인정보의 항목은 서버(100)에 기 설정될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부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출산"의 서비스부문을 선택한 경우, 서버(100)는 디폴트로 설정된 개인정보의 입력항목에서 자녀(출산)여부의 입력항목이 없는 경우 이를 추가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입력항목에서 자녀여부의 입력항목이 있는 경우, 이를 더 세분화한 세부항목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 때 세부항목은 자녀수, 임신상태, 출산시기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부문에 따라 이미 수신한 개인정보 이외에 더 필요한 부가정보를 기 설정된 방식으로 자체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버(100)는 사용자의 라이프로그(lifelog)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부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먼저, 단계 S310전에,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라이프로그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라이프로그정보는 검색정보, 이벤트정보, GPS정보, 이미지정보, 영상정보, 운동정보, 건강정보, 소셜네트워크(SNS)정보, 수면정보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정형, 비정형정보를 가리지 않으며, 그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100)는 수집한 라이프로그정보 중 비정형정보에 대한 정형화를 수행하고 이에 기초하여 각각의 라이프로그정보가 어느 서비스부문을 나타내는지 파악한다. 즉, 서버(100)는 각각의 라이프로그정보를 서비스부문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텍스트 형태의 라이프로그정보인 경우, 서버(100)는 문장분석, 단어분석 및 형태소분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텍스트 분석)을 수행하여, 라이프로그정보에서 문장단위 또는 단어단위의 문자열정보를 추출한다. 이 후, 서버(100)는 추출한 문자열정보에 대하여 카테고리화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예약", "경기", "티켓", "야구", "타율", "축구", "테니스"와 같은 문자열정보가 추출된 경우, 이들을 "스포츠"라는 상위개념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이 후, 서버(100)는 카테고리와 매칭되는 서비스부문을 파악한다. 예를 들어, 추출된 문자열정보에 기초하여 형성된 카테고리가 "스포츠", "영화", "게임"인 경우, 추출된 각각의 문자열정보는 "문화"의 서비스부문과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미지 또는 영상 형태의 라이프로그정보인 경우, 서버(100)는 서비스부문 분류모델을 통하여, 라이프로그정보를 서비스부문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부문 분류모델은 이미지 또는 영상프레임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부문으로 분류되도록 서버(100)에 미리 구축된 것이다.
서비스부문 분류모델은 기 설정된 기계학습 모델을 활용한 훈련데이터의 학습에 의해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혼식장, 피로연장, 웨딩촬영, 드레스, 청첩장, 혼수용품 등과 관련된 객체를 포함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이 입력되면, "결혼"의 서비스부문이 출력되도록, 이에 도달할 수 있는 함수를 도출하고, 훈련데이터를 이용한 함수의 검증을 반복하여 분류 알고리즘을 최적화할 수 있다.
여기서 기계학습 모델의 종류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분류"를 목적으로 하는 바, 인공신경망 계열이 바람직하며, 특히 이미지, 영상 처리에 최적화된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훈련데이터에 관한 실시예로서,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는 각 종 이미지 및 영상의 일부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훈련을 위한 입력데이터로 설정하고, 이를 관리자 단말(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는, 이들을 확인하고, 각 이미지 및 영상에 대하여 서비스부문을 매칭하는 라벨링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이미지 또는 영상이 입력데이터로, 이에 대응하여 라벨링된 서비스부문이 출력데이터로 설정된 훈련데이터들이 서버(100)에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입력데이터가 영상인 경우, 영상 전체가 아닌 프레임 단위로 라벨링될 수 있다. 모든 프레임에 대하여 라벨링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프레임 스킵을 통해 이들 중 특징적인 프레임만을 추출하여 라벨링의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훈련데이터가 확보된 후, 서버(100)는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면 라벨링된 출력데이터가 정확히 출력되도록, 훈련데이터를 통한 학습을 반복하여 서비스부문 분류모델을 구축한다.
한편 학습 과정에서, 서버(100)는 이미지 또는 프레임의 특징을 추출하는 입력데이터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기 설정된 합성곱 필터를 통해 입력데이터를 대표하는 객체를 특정함으로써, 처리량을 최소화하여 보다 신속한 훈련을 도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이와 같이 구축된 서비스부문 분류모델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집된 이미지 또는 영상 형태의 라이프로그정보들을 입력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이미지 또는 영상 형태의 라이프로그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부문으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라이프로그정보가 서비스부문 별로 분류되면, 단계 S310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부문에 속하는 라이프로그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후, 서버(100)는 추출된 라이프로그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해당 서비스부문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관심영역이나 취향을 파악하고 이를 부가정보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특정 서비스부문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서버(100)는 이에 매칭되어 있는 문자열정보를 모두 추출할 수 있다. 서버(100)는 추출한 문자열정보 별로 개수를 파악하고 높은 순서대로 나열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 별로 문자열정보의 개수를 합산하여 높은 순서대로 나열할 수 있다. 서버(100)는 기 설정된 범위의 상위 문자열정보 또는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관심영역과 같은 부가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화"의 서비스부문이 입력되어 추출된 문자열정보 중 가장 많이 반복된 것이 "티켓", "야구", "경기장", "예매"인 경우, 사용자의 문화적인 관심영역이 "야구관람"인 것으로 서버(100)는 인지하고 이를 사용자의 부가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가장 많이 반복된 것이 "경기장", "공연장", "야구", "힙합", "막걸리" 등과 같이 문자열정보 단위로 부가정보의 파악이 어려운 경우, 서버(100)는 카테고리 별 문자열정보를 종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스포츠"의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문자열정보가 가장 많은 경우, "스포츠"를 사용자의 주된 관심영역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특정 서비스부문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서버(100)는 분류모델을 통해 해당 서비스부문으로 분류되어 있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모두 추출할 수 있다. 서버(100)는 크롤링 기법 등으로 추출된 이미지 또는 영상들이 표시되어 있던 페이지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각 페이지에 대한 로그 및 트래픽을 추적하고 추적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관심영역이나 취향을 파악하고 이를 부가정보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310에서, 서버(100)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제공에 대한 응답으로 기 설정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보상은,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에 대한 포인트나 수수료 적립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보상의 형태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단계 S320에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생애주기에 기초하여 개인정보에 매칭되는 생활복지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활복지정보는 특정 생애주기에서 개인 또는 가정에 물리적, 심리적, 신체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공공 또는 민간의 복지정책, 복지사업 및 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로, 생애주기가 가족 형성기인 결혼인 경우, 생활복지정보는 신혼부부 특별공급,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및 전세대출금 이자지원, 신혼부부 건강검진 지원, 결혼장려금 지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시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활복지정보는 서버(100)에 미리 수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크롤링, RSS, 스크래핑, OPEN API 등의 기법으로, 인터넷 상에 분산되어 있는 각 종 생활복지정보를 반복적으로 수집하고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생활복지정보를 제공하는 각 종 공공기관 서버 또는 민간기관 서버와 연계하여,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생활복지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신하고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수집한 각각의 생활복지정보를 그에 대응하는 생애주기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생활복지정보는 생애주기를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서버(100)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단계 S320에서 추출한 생활복지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한 서비스부문과 관련된 업체 단말(20)로 제공한다.
이 후, 각 업체는 서버(100)로부터 얻은 정보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에 대한 상품정보를 업체 단말(20)을 통하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수신한 각 상품정보를 각 업체 단말(20)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정보는 상품 및 서비스를 총괄하는 것으로, 상품(서비스)명, 가격, 수량, 지역, 배송 등 상품을 나타내는 정보라면 족하고, 그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업체 단말(20)로 정보의 판매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업체는 소정의 이용료를 납부하고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업체는 서버(100)에 회원 가입시 소정 기간의 정보 제공료를 한번에 결제하거나 특정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받을 때마다 개별적으로 결제를 수행 수 있다. 서버(100)는 결제가 확인된 업체 단말(20)로 개인정보 및 생활복지정보를 제공한다.
단계 S340에서, 서버(100)는 단계 S330을 통해 수집된 상품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단말(10)로 추천한다. 즉, 서버(100)는 각 업체가 제시한 상품 또는 서비스 중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최적의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생애주기 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집한 정보들을 처리, 분석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를 참조하면, 각 기능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생활복지정보 추출부(131), 업체 선정부(132) 및 상품 추천부(133)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활복지정보 추출부(131)는, 사용자의 생애주기 및 서비스부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전처리하고, 저장되어 있는 생활복지정보 중 전처리된 개인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활복지정보 추출부(131)는, 생애주기 및 서비스부문을 조합하여 조합 결과에 대응되는 복지서비스의 유형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생애주기가 "임신"이고, 서비스부문이 "건강"인 경우, 유형으로 "산모 및 신생아를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로 결정될 수 있다.
생활복지정보 추출부(131)는 결정된 유형에 기초하여 1차 필터링의 기준이 되는 개인정보를 파악하고 저장되어 있는 생활복지정보 중 해당 기준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한다. 위의 예시에서, 건강관리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관할 지자체의 소관이므로, 개인정보 중 "지역"정보가 가장 먼저 파악되어야 한다. 위의 예시에서 사용자의 지역이 "서초구"인 경우, 서초구에 해당되는 생활복지정보만이 추출되고 나머지는 제거되는 1차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생활복지정보 추출부(131)는, 1차 필터링된 생활복지정보 중 결정된 유형에 대응하는 정보를 스크래핑하는 2차 필터링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140)에서 스크래핑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미리 수집되지 않은 경우로 판단된 경우, 대응하는 웹사이트에서 실시간으로 스크래핑할 수도 있다. 위의 예시에서, 2차 필터링된 생활복지정보는 "서초구에서 시행하는 산모 및 신생아를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의 공고문"을 의미할 수 있다.
생활복지정보 추출부(131)는, 개인정보 중 생애주기 및 결정된 유형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준의 수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위의 예시에서, "임신"의 생애주기에 기초하여 "자녀수", "출산일(또는 예정일)", "임신기간" 등의 수치정보가 추출될 수 있다. 또한, "건강관리 서비스"의 유형에 기초하여, "가구원수", "건강보험료", "소득분위", "장애등록된 가족 구성원수" 등의 수치정보가 추출될 수 있다.
생활복지정보 추출부(131)는, 추출된 각 수치정보 또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조합된 수치정보를 2차 필터링된 생활복지정보에 포함된 수치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전처리된 개인정보와 매칭되는 생활복지정보를 최종적으로 특정한다. 위의 예시에서, 공고문에 포함된 수치정보 중 "출산일(또는 예정일)이나 "임신기간"과 가장 유사한 값의 수치정보가 파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복지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는 기간이 특정될 수 있다. 또는, 공고문에 포함된 수치정보 중 "자녀수", "가구원수", "건강보험료", "소득분위"와 가장 유사한 값의 수치정보가 파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지서비스의 기간이나 제공대상 여부가 특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체 선정부(132)는 입력된 서비스부문을 기초로 개인정보 및 생활복지정보를 가공 및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기 등록된 업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업체를 선정할 수 있다. 즉, 업체 선정부(132)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업체를 선정하여 사용자 맞춤형 상품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먼저, 서버(100)에 등록되는 업체는 특정 군집에 속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서버(100)는 각 업체의 업체정보를 기초로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한다. 여기서, 군집분석 알고리즘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위 군집이 다른 하위 군집들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계층적 군집분석(Hierarchical Clustering)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하나의 축이 서비스부문(y축)이고 다른 하나의 축이 생애주기(x축)인 제1그래프를 형성하고, 해당 그래프에 등록된 업체들을 각각 매핑한다. 여기서, 각 서비스부문이 축에 나열되는 순서는 임의로 결정될 수 있으며 각 서비스부문이 y축에서 차지하는 범위는 균등하게 분할될 수 있다. 또한, 각 생애주기는 서버(100)에 미리 분류된 단계 순으로 x축 상에 나열될 수 있다.
서버(100)는 서비스부문을 기준으로 각 업체들 간 생애주기의 유사도를 측정한다. 즉, 서버(100)는 y축 상 같은 범위에 속하는 업체들 중 x축 위치가 가까운 업체들끼리 연결하며, 이를 반복함으로써 각 업체들을 제1군집으로 분류한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제1군집 마다 제2그래프를 형성하고, 해당 제1군집에 속하는 업체들을 매핑한다. 여기서 제2그래프의 각 축은 서비스부문 및 생애주기를 제외한 기 설정된 서브기준일 수 있으며, 지역 및 대표품목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100)는 모든 업체가 하나의 군집에 포함되는 상태부터 하향식 방법으로 각각의 업체들을 계층적으로 군집화 할 수 있으며 서브기준의 개수에 따라 n(n은 1보다 큰 자연수)번의 군집화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업체는 "1-3-11-,,-,,-(-은 n-1개)"와 같이 제1군집부터 제n군집까지를 나타내는 군집코드가 설정될 수 있다.
업체들의 군집화가 수행되면, 업체 선정부(132)는 기 설정된 기계학습을 통해 특정 사용자가 특정 군집코드와 매칭되도록 하는 업체 선정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업체 선정부(132)는 업체 선정 모델 구축을 위한 훈련 데이터를 수집한다. 먼저 업체 선정부(132)는 소정 항목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부문 별로 기 설정된 범위로 정규화를 수행하고 이를 훈련 데이터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생애주기는 분류된 단계 별로, 연령은 5세 구간 별로, 지역은 시군구 단위 별로, 정규화 될 수 있다.
또한, 업체 선정부(132)는 서버(100)에 저장된 생활복지정보를 분석하여 각 생활복지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품목으로 가공한 후 이를 훈련 데이터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신혼부부 건강검진 비용 지원 사업의 공고문"의 생활복지정보인 경우, "건강검진 센터, 건강검진 상품, 병원"과 같은 훈련 데이터가 설정될 수 있다.
이 후, 업체 선정부(132)는, 훈련 데이터들을 서로 다르게 조합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상태를 반영하는 입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입력 데이터는 "결혼(생애주기), 35세, 여자, 서초구, 사무직, 주거(서비스부문), 청약상품(생활복지정보), 담보대출상품(생활복지정보)"와 같은 훈련 데이터의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업체 선정부(132)는 특정 입력 데이터가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군집코드가 출력되도록 기 설정된 기계학습 모델을 통한 학습을 반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기계학습 모델은 K-Means Clustering, Mean-Shift Clustering, DBSCAN(DensityBased Spatial Clustering of Applications with Noise) 등 군집 기반의 비지도 학습 모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기계학습 모델은, Decision Tree, KNN(K-Nearest Neighbors), Naive Bayes, SVM(Support Vector Machine), Random Forest, Neural Network 등의 기법이 적용되는 분류 기반의 지도 학습 모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입력 데이터 마다 군집코드를 라벨링하는 작업이 선행될 수 있다.
여기서, Neural Network은, DNN(Deep Neural Network), CNN(Convoul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LSTM(Long Short Term Memory),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업체 선정 모델이 구축되면, 단계 S330에서, 업체 선정부(132)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서비스부문 및 생활복지정보를 가공, 분석하여 입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데이터는 "결혼, 35세, 여자, 서초구, 사무직, 주거, 청약상품, 담보대출상품"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업체 선정부(132)는 생성된 입력 데이터를 업체 선정 모델에 적용시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군집코드를 출력한 후, 출력된 군집코드에 속하는 업체를 파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체 선정부(132)는 파악된 업체들로 개인정보 및 생활복지정보를 제공하는데, 이 때 제공하는 정보들의 비식별화가 선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업체 선정부(132)는 개인정보, 서비스부문 및 생활복지정보를 가공, 분석한 입력 데이터를 각 업체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추천부(133)는 수집한 상품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으로 정렬하거나 필터링한 후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인에게 더 최적화된 상품을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추천부(133)는 사용자의 생애주기를 기초로 상품정보를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추천부(133)는 각 업체 단말(20)로부터 수신한 상품정보 중 사용자의 생애주기와 관련이 없는 상품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상품 추천부(133)는 사용자의 생애주기를 시작으로 하여 생애주기의 단계 순으로 상품정보를 정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추천부(133)는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부문을 기초로 상품정보를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추천부(133)는 수신한 상품정보 중 서비스부문과 관련이 없는 상품정보가 파악되는 경우 이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부문 별로 상품정보를 분류한 후 생애주기 또는 생활복지정보를 기준으로 각 서비스부문 별 상품정보를 정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추천부(133)는 각 상품정보 별 대응되는 서비스부문의 개수를 파악하고 개수가 많은 순서대로 정렬하거나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이 "산후조리원 서비스"의 품목인 경우, "출산", "교육", "지원", "보호"와 등 4개 이상의 서비스부문과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추천부(133)는 사용자 단말(10)로 제공된 생활복지정보를 기초로 상품정보를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추천부(133)는 수신한 상품정보 중 생활복지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만을 추출하거나 이를 최우선으로 배치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활복지정보가 "신혼부부 전세대출금 이자지원 사업"인 경우, 전세대출상품, 담보대출상품, 청약상품 등 부동산 관련 금융상품만으로 구성되거나 이들이 최상단으로 정렬된 상품정보로 가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 관련 최종적으로, 상품 추천부(133)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상품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추천할 수 있다.
먼저, 상품 추천부(133)는 수신한 상품정보 중 사용자의 생애주기와 관련 없는 상품정보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남은 상품정보 중 사용자 단말(10)로 제공된 생활복지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만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추출된 상품정보 중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부문에 포함되지 않는 상품정보는 제거한 후 포함되는 서비스부문의 개수가 많은 상품정보의 순서대로 정렬한다.
위와 같은 과정이 완료된 후 남아있는 상품정보를 대상으로, 상품 추천부(133)는 생애주기를 제외한 나머지 개인정보 별 유사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유사도는 개인정보의 각 항목마다 기 설정된 범위 별 점수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소득"항목인 경우, 사용자의 지역과 상품제공 지역이 동단위로 유사한 경우 5점, 시군구 단위로 유사한 경우 3점, 기타 지역인 경우 0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추천부(133)는 하나라도 0점의 유사도가 확인되는 상품정보는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추천부(133)는 개인정보에 더하여 단계 S310에서 수집된 부가정보에 대한 매칭점수를 추가로 산출할 수 있다.
이 후, 상품 추천부(133)는 상품정보 별 각 유사도를 합산한 매칭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품 추천부(133)는 매칭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정렬하거나, 매칭점수가 기 설정된 기준점수 이상인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사용자 단말
20: 업체 단말
100: 서버
130: 프로세서

Claims (6)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생애주기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부문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생애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정보에 매칭되는 생활복지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생활복지정보를 상기 서비스부문과 관련된 업체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업체 단말로부터 상품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상품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생애주기는 사용자의 결혼 및 출산 여부와 자녀의 연령, 독립여부 및 결혼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이 반영된 복수의 단계로 기 분류되어 있는 것인,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서비스부문에 따라 상기 개인정보 이외 더 필요한 부가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요청하거나 기 설정된 방식으로 자체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생애주기 및 상기 서비스부문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정보를 전처리하고, 상기 서버에 기 수집되어 있는 생활복지정보 중 전처리된 개인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서비스부문을 기초로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생활복지정보를 가공 및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서버에 기 등록된 업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업체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생애주기, 상기 서비스부문 및 상기 생활복지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상품정보를 정렬하거나 필터링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라이프로그(lifelog)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라이프로그정보 중 비정형정보에 대한 정형화를 수행하여 상기 라이프로그정보를 서비스부문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단계;
    분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서비스부문에 속하는 라이프로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라이프로그정보를 통계 분석하여 상기 서비스부문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영역이나 취향을 파악하고 부가정보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20048559A 2022-04-20 2022-04-20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KR20230149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559A KR20230149398A (ko) 2022-04-20 2022-04-20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559A KR20230149398A (ko) 2022-04-20 2022-04-20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398A true KR20230149398A (ko) 2023-10-27

Family

ID=88514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559A KR20230149398A (ko) 2022-04-20 2022-04-20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939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079A (ko)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이에쓰씨컴퍼니 사용자의 웹에서의 활동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형 상품 추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079A (ko)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이에쓰씨컴퍼니 사용자의 웹에서의 활동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형 상품 추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 et al. Fusion of EEG response and sentiment analysis of products review to predict customer satisfaction
US113415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sor data analysis through machine learning
US1094990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ep learning model based product matching using multi modal data
CN111784455B (zh) 一种物品推荐方法及推荐设备
Brady et al. Hierarchical encoding in visual working memory: Ensemble statistics bias memory for individual items
CN112131393A (zh) 一种基于bert和相似度算法的医疗知识图谱问答系统构建方法
Li et al. Dynamic mapping of design elements and affective responses: a machine learning based method for affective design
Bashari et al. Influential post identification on Instagram through caption and hashtag analysis
KR102227552B1 (ko) 상황인지 알고리즘 기반 리뷰 카테고리를 이용한 음식점 노출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ember Face recognition and the emergence of smart photography
CN110175297A (zh) 馈送中的个性化的每成员模型
CN111429161A (zh) 特征提取方法、特征提取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0427564A (zh) 将深度学习集成到广义加性混合效应(game)框架中
Clark et al. Unsupervised dimensionality reduction versus supervised regularization for classification from sparse data
Hill et al. Creating body shapes from verbal descriptions by linking similarity spaces
Bagwari et al. Cbir-dss: Business decision oriented content-based recommendation model for e-commerce
Zhang et al. Garment recommendation in an e-shopping environment by using a Markov Chain and Complex Network integrated method
Wang et al. An explainable sentiment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portraits of users sharing representative opinions in social sensors
Rust et al. Identifying objects and remembering images: insights from deep neural networks
Chen et al. Application of SVM model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hybrid algorithm in e-commerce recommendation
Omodunbi et al. Drug Recommender Systems: A Review of State-of-the-Art Algorithms
Nguyen et al. Estimating county health indices using graph neural networks
KR20230149398A (ko) 생애주기 별 맞춤형 복지 및 생활 서비스 제공방법
Hang et al. Machine learning applied to pack classification
Han et al. Uncovering research topics of academic communities of scientific collaboration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