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349A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gistics Service based on Interlocking Between Delivery Robot and Elevator system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gistics Service based on Interlocking Between Delivery Robot and Elevato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349A
KR20230149349A KR1020220047516A KR20220047516A KR20230149349A KR 20230149349 A KR20230149349 A KR 20230149349A KR 1020220047516 A KR1020220047516 A KR 1020220047516A KR 20220047516 A KR20220047516 A KR 20220047516A KR 20230149349 A KR20230149349 A KR 20230149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elevator
information
delivery robo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5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상영
안대영
이순형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 김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 김천시 filed Critical 경상북도 김천시
Priority to KR1020220047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9349A/en
Publication of KR2023014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3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6Recipient pick-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15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before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53Call registering systems 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using portabl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Robot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배송로봇 및 엘리베이터 간 연계 기반 물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건물 내 엘리베이터 시스템과의 연동 기반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배송로봇에 있어서, 목적층, 목적지점 및 수령인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배송로봇의 현재층, 현재 위치, 주변 물체 및 주변 환경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배송로봇의 현재층 및 상기 목적층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명령을, 엘리베이터 유닛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에 전송하는 통신부; 및 기 저장된 실내 지도정보 및 상기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송로봇의 이동을 제어하되,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배송로봇을 상기 목적층의 상기 목적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목적지점에서 물품을 수령인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송로봇을 제공한다.
Disclose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gistics services based on linkage between delivery robots and elevator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livery robot that provides a delivery service based on interworking with an elevator system in a building, comprising: an input unit that receives delivery information including destination floor, destination point, and recipient information; A sensing unit that senses the current floor, current location, surrounding object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elivery robot;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 elevator call command including the current floor of the delivery robot and the destination floor to an elevator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levator unit;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delivery robot based on the previously stored indoor map information and the sensing information, moving the delivery robot to the destination point of the destination floor using the elevator unit, and delivering the goods to the recipient at the destination point. Provides a delivery robot including a control unit provided to.

Description

배송로봇 및 엘리베이터 간 연계 기반 물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gistics Service based on Interlocking Between Delivery Robot and Elevator system}{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gistics Service based on Interlocking Between Delivery Robot and Elevator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송 로봇을 이용한 물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특히 배송로봇 및 엘리베이터 간 연계 기반 물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gistics services using delivery robots,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gistics services based on linkage between delivery robots and elevators.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below simp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is embodiment and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전세계적으로 전자상거래가 급속하게 발전하고, 온라인 또는 비대면 배송 기술이 성장함과 동시에 디지털 기반의 소비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류 산업이 대두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IoT, 빅데이터, AI, 5G 등의 데이터 기반 핵심기술을활용한 융복합 추세가 가속화되면서, 물류 산업은 물류 4.0(Logistics 4.0)으로 패러다임 전환을 겪고 있다. 여기서, 물류 4.0은 물류의 기계화와 자동화를 뛰어넘어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블록체인, 로봇, 자율주행차 등의 첨단 ICT기술을 적용하여 물류센터의 무인화와 공급사슬의 물류기능 표준화를 실현하는 것을 의미한다.As e-commerce is developing rapidly around the world and online or non-face-to-face delivery technology is growing, a logistics industry that provides digital-based consumer convenience services is emerging.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ccelerates the convergence trend utilizing data-based core technologies such as IoT, big data, AI, and 5G, the logistics industry is undergoing a paradigm shift to Logistics 4.0. Here, Logistics 4.0 goes beyond mechanization and automation of logistics and applies cutting-edge ICT technologies such as IoT,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blockchain, robots, and self-driving cars to realize unmanned logistics centers and standardization of logistics functions in the supply chain. It means to do.

물류 4.0은 완전통합된 공급망(Fully Integrated supply chain), 상호 연계된 시스템(Interconnected Systems), 완벽한 조정-관리(Perfect coordination) 등의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AGV(Automated guided vehicle, 자동안내 차량), 무인 운반 로봇, 또는 드론 등을 이용한 물류의 자동화, 무인화가 필요하고, 데이터 기반으로 상품의 입고부터 고객주문 및 배송까지 제공하는 일괄처리서비스인 풀필먼트가 요구된다.Logistics 4.0 has characteristics such as a fully integrated supply chain, interconnected systems, and perfect coordina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se features, it is necessary to automate and unmanned logistics using AGV (Automated guided vehicle), unmanned transport robots, or drones, and provide data-based services from product warehousing to customer ordering and delivery. Fulfillment, a batch processing service, is required.

현재 물류 서비스의 문제점들을을 고려하면, 물류 4.0은 물류 산업의 발전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 물류 서비스의 문제점으로서, 물류 서비스에 대한 수요 급증으로 인해, 물품을 배송하는 배송인, 물품 배송을 신청한 발송인, 그리고 물품을 배송 받는 수령인 간 이해관계의 충돌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아파트 단지 내 배송기사의 출입 금지와 같이, 라스트 마일(last mile) 배송 구간에서 배송 장소 문제, 불법 주정차 문제, 배송 오류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 외에, 배송인들이 산간 도서 지역 및 고층 건물에 대한 배송 서비스를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다. 배송인들이 이동하기 까다로운 지역이나 배송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장소를 기피하는 현상으로 인해, 물류 서비스의 품질이 고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Considering the problems of current logistics services, Logistics 4.0 i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industry. As a problem with current logistics services,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demand for logistics services, conflicts of interest occur between the shipper who delivers the goods, the sender who applied for delivery of the goods, and the recipient who receives the goods. For example, delivery drivers are prohibited from entering apartment complexes, and various problems such as delivery location problems, illegal parking problems, and delivery errors occur in the last mile delivery sectio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delivery people avoid providing delivery services to mountainous islands and high-rise buildings. The problem of uneven quality of logistics services arises as delivery people avoid areas that are difficult to move to or places that take a long time to deliver.

따라서, AGV, 무인 운반 로봇, 또는 드론 등을 이용하여 물류 서비스를 자동화하고 무인화하여 라스트 마일 배송 구간에서 효율적인 물품 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나아가, 원활한 배송을 위해, 배송 물품뿐만 아니라 물품을 운송하는 기기들의 이동 동선을 추적, 수집 및 분석하여 지역 단위로 물류 서비스 관련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함께 필요하다.Therefore, research is needed to enable efficient delivery of goods in the last mile delivery section by automating and unmanning logistics services using AGVs, unmanned transport robots, or drones. Furthermore, for smooth delivery, research is also needed on ways to build big data related to logistics services on a regional basis by tracking,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movement paths of not only the delivered goods but also the devices that transport the good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율주행 로봇을 기반으로 배송 물품의 적재부터 배송 장소까지 물류 배송이 이루어지고 다양한 지역에서 적용 가능한 라스트 마일 디지털 물류 서비스 표준안에 관한 물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inly about providing a logistics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method related to the last mile digital logistics service standard applicable to various regions, in which logistics delivery is performed from the loading of delivery items to the delivery location based on an autonomous robot.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실내 자율주행 로봇이 건물 내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계하여 여러 층들을 오감으로써, 수령인이 위치한 곳까지 물품을 배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ork to provide a logistics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n indoor autonomous robot to deliver goods to the location of the recipient by moving between various floors in connection with the elevator system in the building.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자율주행 로봇을 실내 전용로봇과 실외 전용로봇으로 구분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적절한 전용로봇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ork to provide a logistics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method for dividing autonomous robots into indoor-only robots and outdoor-only robots and providing efficient logistics services using appropriate dedicated robots in various situations.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건물 내 엘리베이터 시스템과의 연동 기반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배송로봇에 있어서, 목적층, 목적지점 및 수령인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배송로봇의 현재층, 현재 위치, 주변 물체 및 주변 환경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배송로봇의 현재층 및 상기 목적층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명령을, 엘리베이터 유닛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에 전송하는 통신부; 및 기 저장된 실내 지도정보 및 상기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송로봇의 이동을 제어하되,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배송로봇을 상기 목적층의 상기 목적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목적지점에서 물품을 수령인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송로봇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livery robot that provides a delivery service based on interworking with an elevator system in a building, comprising: an input unit that receives delivery information including destination floor, destination point, and recipient information; A sensing unit that senses the current floor, current location, surrounding object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elivery robot;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 elevator call command including the current floor of the delivery robot and the destination floor to an elevator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levator unit;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delivery robot based on the previously stored indoor map information and the sensing information, moving the delivery robot to the destination point of the destination floor using the elevator unit, and delivering the goods to the recipient at the destination point. Provides a delivery robot including a control unit provided to.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건물 내 엘리베이터 시스템과의 연동 기반 배송로봇의 배송 방법에 있어서, 목적층, 목적지점 및 수령인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배송로봇의 현재층, 현재 위치, 주변 물체 및 주변 환경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배송로봇의 현재층 및 상기 목적층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명령을, 엘리베이터 유닛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 기 저장된 실내 지도정보 및 상기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배송로봇을 상기 목적층의 상기 목적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목적지점에서 물품을 수령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송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a delivery method of a delivery robot based on interworking with an elevator system in a building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delivery information including destination floor, destination point, and recipient information; Sensing the current floor, current location, surrounding object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elivery robot; transmitting an elevator call command including the current floor of the delivery robot and the destination floor to an elevator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levator unit; moving the delivery robot to the destination point of the destination floor using the elevator unit, based on pre-stored indoor map information and the sensing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goods to the recipient at the destination point.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배송로봇과 엘리베이터 시스템 기반 디지털 물류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 내 복수의 층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층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로봇이 탑승 가능하게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유닛; 및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과 접속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을 승하강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층들 간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을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목적층 및 목적지점을 포함하는 배송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배송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부; 주행 중 주변 물체 및 주변 환경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목적층으로 상기 배송로봇을 이동시키고, 기 저장된 실내 지도정보 및 상기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점까지 상기 배송로봇을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송로봇을 포함하는 디지털 물류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a digital logistics system based on a delivery robot and an elevator system includes: an elevator unit configured to enable boarding of at least one delivery robot that provides a service on at least one floor among a plurality of floors in a building; and an elevator system connected to the elevator unit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moves the elevator unit between the plurality of floors by raising and lowering the elevator unit. and an input unit that receives delivery information including the destination floor and destination point.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elevator system based on the delivery information; A sensing unit that senses surrounding object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ile driving; and a digital delivery robot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moves the delivery robot to the destination floor using the elevator system and moves the delivery robot to the destination point using pre-stored indoor map information and the sensing information. Provides a logistics system.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물류 배송 동선이 비효율적이고 외곽지인 비도심 지역을 대상으로 드론 및 로봇의 라스트마일 물류 서비스를 통해서 물류 서비스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지역편차 해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logistics services and resolve regional differences through last-mile logistics services of drones and robots for non-urban areas where logistics delivery routes are inefficient and are located on the outskirts. there i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배송지에 배송 대상 물건의 수령자가 부재 중인 경우에도 수령자의 차량을 이용하여 배송 대상 물건을 안전하게 수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recipient of the product to be delivered is absent at the delivery location, it is possible to safely receive the product to be delivered using the recipient's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실내를 포함하는 라스트마일에 있어서 물류 서비스를 완전 무인화함으로써, 택배 차량으로부터 수령자의 주소까지 물건을 전달하기 위한 비용 및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t and labor for delivering goods from the delivery vehicle to the recipient's address can be reduced by completely unmanning the logistics service in the last mile including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물류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물류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로봇 연계 기반 디지털 물류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로봇 기반 배송 시나리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엘리베이터 연동 배송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Figure 1 shows a digital logistic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components of a digital logistic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li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digital logistics service process based on drone-robot lin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5b, and 5c are diagrams showing delivery robot-based delivery scenario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vator-linked deliver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lowchart of a delivery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exemplary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sign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symbols such as first, second, i), ii), a), and b) may be used. These code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code. In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or 'have'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explicitly stated to the contrary. .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방법의 각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기능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각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Each component of the device o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Additionally,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and a microprocessor may be implemented to execute the function of the software corresponding to each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물류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1 shows a digital logistic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도심 지역(100), 외곽 지역(102), 디지털 물류센터(110), 복수의 드론들(120, 122, 124) 및 복수의 자율주행로봇들(130, 132)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n urban area 100, a suburban area 102, a digital logistics center 110, a plurality of drones 120, 122, 124, and a plurality of autonomous robots 130, 132 are shown. It is done.

디지털 물류센터(110)는 디지털 물류서비스의 시작지점으로서, 배송 물품들의 대량으로 하역되는 장소이다. 디지털 물류센터(110)에 하역된 배송 물품들은 택배 기사와 같은 배송인에 의해 배송차량에 적재되고, 배송차량을 통해 수령인에게 배송된다. The digital logistics center 110 is the starting point of digital logistics services and is a place where large quantities of delivered goods are unloaded. Delivery items unloaded at the digital logistics center 110 are loaded onto a delivery vehicle by a delivery person, such as a delivery driver, and delivered to the recipient through the delivery vehicle.

이때, 라스트 마일(last-mile) 단계에서 배송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심 지역(100) 내에서는 배송 장소 문제, 불법 주정차 문제 등으로 인해 물품 배송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외곽 지역(102)에서는 도로와 같은 인프라스트럭처가 잘 갖춰지지 않아 배송 과정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delivery is not efficient at the last-mile stage. Within the urban area (100), delivery of goods may not be smooth due to issues with delivery locations, illegal parking, etc. Likewise, in outlying areas 102, the delivery process may be inefficient due to lack of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따라서, 라스트 마일 단계에서 배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물류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물류 시스템은 드론 및 자율주행로봇을 이용한다.Therefore, a logistics system that can efficiently perform delivery at the last mile stage is required. To this end, the digital logistic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drones and autonomous robots.

도 1에서, 복수의 드론들(120, 122, 124)과 복수의 자율주행로봇들(130, 132)은 배송 서비스 제공이 어렵거나 불편한 지역에서 효율적인 배송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제3 드론(124)은 디지털 물류센터(110)로부터 외곽 지역(102)까지 빠르게 물품을 배송할 수 있다. 배송인이 디지털 물류센터(110)로부터 드론 거점까지 물품을 운송하는 경우에는, 제3 드론(124)은 드론 거점으로부터 외곽 지역(102)까지 물품을 배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드론(122)은 디지털 물류센터(110) 또는 드론 거점으로부터 제1 자율주행로봇(130)의 대기 장소까지 물품을 배송하고, 자율주행로봇(130)이 대기 장소부터 수령인의 위치까지 배송할 수 있다. 또한, 자율주행로봇(130)은 다층 건물 내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동하여 물품을 배송할 수 있다.In Figure 1, a plurality of drones 120, 122, 124 and a plurality of autonomous robots 130, 132 enable efficient delivery in areas where it is difficult or inconvenient to provide delivery services. For example, the third drone 124 can quickly deliver goods from the digital logistics center 110 to the outskirts 102. When the delivery person transports goods from the digital logistics center 110 to the drone base, the third drone 124 can deliver the goods from the drone base to the outlying area 102. 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drone 122 delivers goods from the digital logistics center 110 or the drone base to the waiting location of the first autonomous robot 130, and the autonomous robot 130 delivers the goods from the waiting location to the recipient. It can be delivered to your location. Additionally, the autonomous robot 130 can deliver goods in conjunction with an elevator system within a multi-story building.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물류 시스템은 드론 및 자율주행로봇을 이용하여 라스트 마일 단계에서 배송을 위한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함으로써, 라스트 마일 단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여 도심 지역(100) 및 외곽 지역(102)에서 배송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digital logistic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drones and autonomous robots to minimize human intervention for delivery at the last mile stage, thereby solving various problems that occur at the last mile stage in urban areas ( Delivery efficiency can be increased in 100) and outlying areas (10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물류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components of a digital logistic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물류 시스템은 물류 관리 서버(210), 관제 서버(220),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서버(230), 배송드론(240), 또는 배송로봇(2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digital logistics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of a logistics management server 210, a control server 220, a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TS) server 230, a delivery drone 240, or a delivery robot 250. Includes.

디지털 물류 시스템에서 배송드론(240) 및 배송로봇(250)은 무선통신망을 통해 디지털 물류 시스템은 물류 서버(210), 관제 서버(220) 및 ITS 서버(230)와 통신한다. 배송드론(240) 및 배송로봇(250)은 배송 목적지까지 운행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서버들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In the digital logistics system, the delivery drone 240 and the delivery robot 250 communicate with the logistics server 210, the control server 220, and the ITS server 23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delivery drone 240 and the delivery robot 250 can receive various information from servers for driving to the delivery destination.

구체적으로, 배송드론(240) 및 배송로봇(250)은 물류 서버(210)와 통신하여 배송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배송정보는 발송인 정보, 배송인 정보, 수령인 정보, 수령 장소, 수령 시간, 물품 종류 등을 포함한다. 발송인은 물품을 보내려는 사람이고, 배송인은 물품을 배송하는 사람이며, 수령인은 물품을 받고자 하는 사람이다.Specifically, the delivery drone 240 and the delivery robot 250 can communicate with the logistics server 210 to transmit and receive delivery information. Here, delivery information includes sender information, delivery person information, recipient information, pickup location, pickup time, product type, etc. The sender is the person who wants to send the goods, the shipper is the person who delivers the goods, and the recipient is the person who wants to receive the goods.

배송드론(240)은 관제 서버(220)와 교신을 통해 배송드론(240)의 위치, 방향, 및 경로를 공유하고, 다른 배송드론의 이동을 고려하여 충돌하지 않도록 배송 목적지까지 물품을 배송할 수 있다. 이때 관제 서버(220)는 드론 관제 시스템일 수 있다.The delivery drone 240 shares the location, direction, and route of the delivery drone 240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server 220, and can deliver goods to the delivery destination to avoid collision by taking into account the movement of other delivery drones. there is. At this time, the control server 220 may be a drone control system.

배송로봇(250)은 ITS 서버(230)로부터 주변 교통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배송로봇(250)의 실외 주행 시, 배송로봇(250)은 ITS 서버(230)를 통해 주변 신호 정보, 주변 차량 정보 등을 수신하고, 수신 정보를 기반으로 배송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배송로봇(250)의 실내 주행 시, 배송로봇(250)은 관제 서버(220)로부터 건물의 실내 지도정보, 엘리베이터 정보, 각종 시설 정보 등을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물품을 배송할 수 있다.The delivery robot 250 can receive surrounding traffic information from the ITS server 230. When the delivery robot 250 is driven outdoors, the delivery robot 250 receives surrounding signal information, surrounding vehicle information, etc. through the ITS server 230, and can safely drive to the delivery destination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When the delivery robot 250 drives indoors, the delivery robot 250 receives the building's indoor map information, elevator information, and various facility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server 220, and uses this to deliver goods.

이 외에도, 배송드론(240) 및 배송로봇(250)은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livery drone 240 and the delivery robot 250 can share various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3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li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배송 장치(300)는 통신부(310), 센싱부(320), 저장부(330), 구동부(340), 입력부(350), 표시부(360) 또는 제어부(3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elivery device 300 includes at least a communication unit 310, a sensing unit 320, a storage unit 330, a driving unit 340, an input unit 350, a display unit 360, or a control unit 370. It can contain one.

배송 장치(300)는 다양한 장소에서 물품을 운반하는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된다.The delivery device 300 is used to provide a delivery service that transports goods to various locations.

배송 장치(300)는 배송드론 또는 배송로봇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배송드론은 공중 이동을 이용하여 물품을 배송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배송로봇은 내부에 전원 및 센서가 탑재되어 자율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장치를 의미한다. 배송로봇은 실외주행 및 실내주행을 통해 배송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The delivery device 300 may be implemented as either a delivery drone or a delivery robot. Here, a delivery drone refers to a device that delivers goods using aerial movement. A delivery robot is a device that is equipped with a power source and sensors and can move autonomously. Delivery robots can perform delivery tasks through outdoor and indoor driving.

이하에서는, 배송 장치(300)가 배송로봇인 것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livery device 300 will be described as a delivery robot.

통신부(3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서버, 발송인 단말기, 배송인 단말기, 수령인 단말기, 다른 배송 장치(300)들 또는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is a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s. Here,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server, sender terminal, delivery terminal, recipient terminal, other delivery devices 300, or an elevator control system.

통신부(31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ransmitting antenna, a receiving antenna, a radio frequency (RF) circuit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and an RF element to perform communication.

통신부(31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GPS 신호 수신, V2X 통신, 광통신, 방송 송수신 및 ITS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can perform short range communication, GPS signal reception, V2X communication, optical communication, broadcast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ITS communication functions.

근거리 통신으로서, 통신부(31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As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310 includ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Wi-Fi ( At least one of Wireless-Fidelity (V2X) communication, V2X (Vehicle-to-Everything) communication, and WAVE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communication technology can be used.

통신부(310)는 배송 장치(3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배송 장치(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위치확인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서, 배송 장치(300)는 주변에 설치된 다수의 노변장치에서 송출된 신호를 기반으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무선송신기는 주변의 넓이, 정확도 등을 고려하여 WiFi, 블루투스, 지그비, UWB 등과 같은 공지된 통신규격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현장의 천정이나 벽면에 설치된 마커를 카메라로 인식하거나 RF태그 등을 인식한 후 현장의 맵과 대비하여 자신의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or a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DGPS) module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device 300. The communication unit 310 can confirm the location of the delivery device 300, and the location confirmation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an example, the delivery device 300 can confirm its own location based on signal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roadside devices installed nearby. At this time, the wireless transmitter can be selected from known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WiFi, Bluetooth, Zigbee, UWB, etc., considering the surrounding area, accuracy, etc. As another example, you can recognize a marker installed on the ceiling or wall of a site with a camera or recognize an RF tag, etc. and then compare it with the map of the site to determine your location.

통신부(310)는, 교통 시스템과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를 교환하는 ITS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ITS 통신 모듈은, 교통 시스템에 획득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ITS 통신 모듈은, 교통 시스템으로부터,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ITS 통신 모듈은, 교통 시스템으로부터 도로 교통 정보, 즉,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37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TS 통신 모듈은, 교통 시스템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70) 또는 내부 구비된 프로세서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an ITS communication module that exchanges information, data, or signals with the transportation system. The ITS communication module can provide acquired information and data to the transportation system. The ITS communication module may receive information, data or signals from the transportation system. For example, the ITS communication module may receive road traffic information, that is,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from the traffic system and provide it to the control unit 370. For example, the ITS communication module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transportation system and provide it to the control unit 370 or an internal processor.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310)의 각 모듈은 통신부(310) 내에 구비된 별도의 프로세서에 의해 전반적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복수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부(310)에 프로세서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신부(310)는,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3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module of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be controlled by a separate processor provided within the communication unit 310.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may not include any processors. When the communication unit 310 does not include a processor,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be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a processor of another device or the control unit 370.

센싱부(320)는 주변 물체 또는 주변 환경에 관한 정보를 센싱한다. The sensing unit 320 senses information about surrounding objects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센싱부(320)는 내부환경 및 외부환경을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320)는 배송 장치(300) 내부에 안착된 배송 물품의 상태 및 배송 장치(300)에 탑재된 각종 장비들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320)는 배송 장치(300) 외부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하며, 물체의 존재, 물체의 위치 및 거리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물체는 장애물, 도로, 차선, 보행자, 교통신호, 표지판, 차량, 구조물 등일 수 있다.The sensing unit 320 can sense the internal environment and external environment. The sensing unit 320 can detect the status of the delivery item placed inside the delivery device 300 and the status of various equipment mounted on the delivery device 300. The sensing unit 320 detects an object located outside the delivery device 300 and can detect the presence of the object, the location and distance of the object, etc. At this time, the object may be an obstacle, road, lane, pedestrian, traffic signal, sign, vehicle, structure, etc.

센싱부(320)는 카메라, 뎁스카메라, 레이다, 라이다,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비전 센서 등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 센싱부(320)는 자세 센서(예를 들면, 요 센서(yaw sensor), 롤 센서(roll sensor), 피치 센서(pitch sensor)),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온도 센서, 조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320 may include various sensors such as a camera, depth camera, radar, lidar, ultrasonic sensor, infrared sensor, and vision sensor.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320 includes a posture sensor (e.g., yaw sensor, roll sensor, pitch sensor), collision sensor, wheel sensor, and speed sensor. , an inclination sensor, a weight sensor, a heading sensor, a gyro sensor, a position module, a battery sensor, a fuel sensor, a tire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 illumination sensor, etc. .

저장부(330)는 위치확인 기능, 경로탐색 기능, 추종주행 기능 등을 포함하는 자율주행 프로그램, 서버로부터 수신한 맵 정보, 물류서비스를 이용할 사용자 정보 등이 저장된다.The storage unit 330 stores an autonomous driving program including a location confirmation function, a route search function, and a following driving function, map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user information to use logistics services.

저장부(330)는 배송 장치(300)의 식별 정보로서, ID(identification),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30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device 300 and can store ID (identification), MAC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etc.

저장부(330)는 서비스 지역의 지도정보, 건물의 실내 지도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정밀지도(High Definition map; HD map) 정보 및 인프라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지도)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 경로 상의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정밀지도 정보는 배송 장치(300)의 운행이 가능한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프라 정보는 교통정보, 날씨정보, 통행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30)는 센싱부(320)에 의해 감지된 센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30)에 저장된 정보들 중 일부는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기 저장된 일부 정보뿐 아니라 추가적인 정보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실시간 업데이트되며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30 stores at least one of map information of the service area, indoor map information of the building, navigation information, high definition map (HD map) information, and infrastructure information. Here, the navig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ap information, set destination information, rou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stination setting, information on various objects on the route, lane information,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precise map information may include a route on which the delivery device 300 can travel. Infrastructure information may include traffic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and passengers. Additionally, the storage unit 330 may store sens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320. Some of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330 may be pre-stored, and additi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o some of the pre-stor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from an external server, updated in real time, and stored.

구동부(340)는 배송 장치(300)의 이동에 필요한 속도 제어 유닛 및 조향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340)는 배송 장치(300)의 이동에 필요한 구성들로서, 모터, 바퀴 등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송 장치(300)가 배송드론인 경우, 구동부(340)는 프로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340 may include a speed control unit and a steering control unit necessary for movement of the delivery device 300.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340 is a component necessary for moving the delivery device 300 and includes a motor, wheels, etc.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delivery device 300 is a delivery drone, the driving unit 340 may include a propeller.

바퀴는 회전을 목적으로 축에 장치한 둥근 테 모양의 물체를 말하는 것이나, 본 발명에서 바퀴의 형상을 한정한 것은 아니며, 회전을 목적으로 축에 장치한 다각형 모양 등 다양한 형상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A wheel refers to a round-shaped object installed on an axle for the purpose of rotation, but the shape of the wheel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al shape installed on an axle for the purpose of rotation are of course applicable. .

또한, 바퀴가 직접 바닥에 닿아 배송 장치(300)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나, 캐터필러나 궤도 등 다른 구성을 회전시켜 배송 장치(300)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ve the delivery device 300 by touching the wheels directly to the floor, but it is also possible to move the delivery device 300 by rotating other components such as caterpillars or tracks.

아울러, 모터는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바퀴를 직접 회전시킬 수도 있으나, 기어 등을 이용해 간접적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는 등 상기 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motor is configured to rotate the wheel, and can directly rotate the wheel, but can also rotate indirectly using gears, etc. If it can rotate the wheel, of course, various structures can be applied.

입력부(350)는 발송인 또는 배송인이 배송 정보를 입력 받거나, 수령인이 배송완료정보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이다. 입력부(350)는 터치스크린, 키패드, 버튼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input unit 350 is a part of the user interface through which the sender or deliverer inputs delivery information, or the recipient inputs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The input unit 350 may use a touch screen, keypad, buttons, etc.

표시부(360)는 배송 장치(300)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평판표시장치, 7-세그먼트, LED 등의 발광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60)는 배송 장치(300)의 현재 상태(임무 중, 대기, 충전, 고장 등)를 나타낸다. 또한, 표시부(360)는 맵 정보, 각 로봇의 위치정보, 상태정보 등을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배송 장치(300)의 표시부(360)를 통해서 배송 장치(300)의 작업현황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60 displays the status of the delivery device 300 and may include a flat panel display, a 7-segment display, or a light emitting device such as an LED. The display unit 360 indicates the current status of the delivery device 300 (on duty, on standby, charging, malfunction, etc.). Additionally, the display unit 360 may serve to receive map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robot, status information, etc. and display them on the screen. The user can intuitively check the work status of the delivery device 300 through the display unit 360 of the delivery device 300.

제어부(370)는 배송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70)는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이 목적지까지 배송되도록 배송 장치(300)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3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livery device 300.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370 controls the delivery device 300 so that the product is delivered to the destination based on delivery information.

목적지가 입력되면, 제어부(370)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최적 경로를 산출하고, 배송 장치(300)가 최적 경로를 따라 목적지에 도착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370)는 배송 장치(300)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수시로 확인한다. When the destination is input, the control unit 370 calculates the optimal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and controls the delivery device 300 to arrive at the destination along the optimal rout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70 frequently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delivery device 300.

제어부(370)는 센싱 정보, 수신 정보, 저장 정보들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행경로를 추출한다. 이때, 주행경로는 배송 장치(300)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경로 즉, 출발 지점부터 도착 지점까지의 경로를 의미한다. 제어부(370)는 배송 장치(300)가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배송 장치(300)의 위치와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 경로를 산출하는 한편, 주행 중 장애물을 만났을 때 회피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70 extracts at least one driving path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information, and stored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driving path refers to the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delivery device 300 to the destination, that is, the path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point. The control unit 370 may control the delivery device 300 to move along a path. The control unit 370 calculates an optimal route using the loc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device 300, and can also calculate an avoidance route when an obstacle is encountered while driving.

제어부(370)는 경로에 따른 이동 제어 대신 추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추종 제어는 배송 장치(300)가 추종대상의 위치를 추종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배송 장치(300)는 추종대상과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추종대상을 따라다닐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370)는 추종대상으로부터 1m 거리를 유지하면서 추종대상을 따라다니도록 배송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370)는 추종대상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추적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70 may perform tracking control instead of movement control according to the path. Tracking control controls the delivery device 300 to follow the location of the tracking target. The delivery device 300 can follow the follower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ollower. 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370 may control the delivery device 300 to follow the tracking target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of 1 m from the tracking target.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370 may calculate the tracking path by checking the location of the tracking target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제어부(370)는 경로를 산출한 이후에 해당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예상 도착시간을 산출하여 수령인의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After calculating the route, the control unit 370 may calculate the expected arrival time required to travel along the route and transmit it to the recipient's terminal or server.

제어부(370)는 통신부(310)를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교통정보 및 인프라 정보 등을 기존에 결정된 최적경로에 반영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교통상황에 따른 최적경로 및 최적경로 주행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70 reflects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and infrastruct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on the previously determined optimal route, thereby updating the optimal route and optimal route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raffic conditions that change in real time. You can control each configuration so that you can

제어부(370)는 센싱부(320)를 통해 감지된 주행 환경이 최적경로 주행정보와 상이할 경우, 센싱부(32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배송 장치(3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If the driving environment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320 is different from the optimal route driving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37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livery device 300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from the sensing unit 320. .

한편, 배송 장치(300)의 효율적인 이동 및 충돌방지를 위해, 제어부(370)는 센싱부(320)로부터 획득된 바탕으로 장애물을 포함한 환경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정적장애물과 동적장애물에 관한 환경을 인식할 수 있다. 즉, 각각의 개체를 구분하고, 각각의 객체가 기둥 등과 같이 움직이지 않는 정적장애물인지 사람 등과 같이 움직이는 동적장애물인지 인식이 가능하다. 정적장애물의 구분에는 미리 입력된 지도정보 등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고, 동적장애물의 구분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가 검출 되었는지 등의 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efficiently move the delivery device 300 and prevent collisions, the control unit 370 can recognize the environment including obstacles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nsing unit 320. The control unit 370 can recognize the environment regarding static and dynamic obstacle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each object and recognize whether each object is a static obstacle that does not move, such as a pillar, or a dynamic obstacle that moves, such as a person. Classification of static obstacles can be confirmed by comparison with pre-entered map information, etc. Classification of dynamic obstacles can be confirmed with information such as whether information about movement has been detec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송 장치(300)는 인공지능 기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livery device 300 can provide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voice service.

머신 러닝(기계 학습, Machine Learning)은 인공 지능 분야에서 다루는 다양한 문제를 정의하고 그것을 해결하는 방법론을 연구하는 분야를 의미한다. 인공 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은 머신 러닝에서 사용되는 모델로서, 시냅스의 결합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한 인공 뉴런(노드)들로 구성되는,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지는 모델 전반을 의미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입력층(Input Layer), 출력층(Output Layer), 그리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은닉층(Hidde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에서 각 뉴런은 시냅스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들, 가중치, 편향에 대한 활성 함수의 함수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의 학습의 목적은 손실 함수를 최소화하는 모델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손실 함수는 인공 신경망의 학습 과정에서 최적의 모델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Machine Learning refers to a field that defines various problems dealt with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tudies methodologies to solve them.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is a model used in machine learning and can refer to an overall model with problem-solving capabilities that is composed of artificial neurons (nodes) that form a network through the combination of synapse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include an input layer, an output layer, and optionally one or more hidden layers. I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each neuron can output the function value of the activation function for the input signals, weight, and bias input through the synapse. The purpose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learning can be seen as determining model parameters that minimize the loss function. The loss function can be used as an indicator to determine optimal model parameters in the learning process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학습되는 모델은 심층 신경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신경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출 모델은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또는 RNN과 CNN의 결합구조 등과 같이 영상 처리 기법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 다양한 신경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model being learned may be composed of a deep neural network and may have various neural network structures. For example, the detection model can have various neural network structures that can implement image processing techniques, such as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or a combined structure of RNN and CNN. there is.

머신 러닝은 학습 방식에 따라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으로 분류할 수 있다.Machine learning can be classified into 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 and reinforcement learning depending on the learning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장치(300)는 기 정의된 로봇 라스트 마일 서비스의 프로세스에서 각 단계별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최적의 AI음성 서비스를 제공하여 물류배송 효율화와 배송 안전강화 및 유용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배송 장치(300)의 배달, 수령 등 배송 관계자와 만나는 포인트에서는 배송로봇 AI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동구간에서는 안전배송 AI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며, 모든 영역에서 AI음성 안내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로봇 라스트 마일 서비스 전반과 연계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elivery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timal AI voice service that can create synergy at each stage in the process of a predefined robot last mile service to improve logistics delivery efficiency, enhance delivery safety,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services. can be provided. Delivery robot AI voice service is provided at points where delivery personnel meet such as delivery and receipt of the delivery device 300, safe delivery AI voice service is provided in the moving section, and the robot last is provided so that AI voice guidance service can be used in all areas. It can be configured in conjunction with the overall mile service.

배송로봇 AI음성 서비스는 로봇배송의 효율성이 개선되도록 음성 명령으로 처리 가능한 배송 기능들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서비스다. 예를 들면, 배송인이 배송 장치(300)에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명령을 음성으로 입력하면, 배송 장치(300)는 수신한 배송 정보를 배송인에게 음성으로 제공한 후에 배송을 시작한다. 다른 예로서, 수령인으로부터 음성으로 수령 완료를 확인 받을 수 있다.The delivery robot AI voice service is a service implemented to make it easy to use delivery functions that can be processed through voice command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obot delivery. For example, when the delivery person inputs a delivery command including delivery information into the delivery device 300 by voice, the delivery device 300 provides the received delivery information to the delivery person by voice and then starts delivery. As another example, completion of receipt can be confirmed by voice from the recipient.

안전배송 AI음성 서비스는 위험이 있는 요소들을 사전 음성 안내하고, 자율주행 로봇의 안전운행 기능과 접목하여 음성으로 안전을 기하는 서비스다. 예를 들면, 배송 장치(300)는 이동 중 장애물 또는 사람을 인식하는 경우 음성으로 인지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임의의 음성으로 배송 장치(300)에 보안 범위 내에서 배송 관련 질문이 입력되면, 배송 장치(300)는 안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The safe delivery AI voice service is a service that provides advance voice guidance on risky elements and ensures safety through voice by combining it with the safe operation function of self-driving robots. For example, when the delivery device 300 recognizes an obstacle or person while moving, it may output a recognition guidance message through voice. As another example, when a delivery-related question is input to the delivery device 300 within a security range using a random voice, the delivery device 300 may output a guidance voice.

정보형 AI음성 서비스는 시민들에게 친절하게 인사를 건네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배송 장치(300)는 날씨, 대화 등 임의의 사람과 소통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formational AI voice service is a service that greets citizens kindly and provides necessary information. The delivery device 300 can provide services for communicating with random people, such as weather and convers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로봇 연계 기반 디지털 물류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digital logistics service process based on drone-robot lin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지털 물류 시스템은 드론 또는 로봇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물품을 배송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론과 로봇의 연계를 기반으로 물품을 배송할 수도 있다. The digital logistics system may deliver goods using either drones or robots, but may also deliver goods based on the linkage between drones and robo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0에서, 배송인은 물품을 디지털 물류센터로부터 드론 이륙지까지 배송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지털 물류센터에 드론이 구비된 경우, 배송인의 배송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step S400, the delivery person delivers the goods from the digital logistics center to the drone takeoff point. In another embodiment, if a digital logistics center is equipped with a drone, the delivery process by the shipper can be omitted.

단계 S402에서, 배송인은 물품을 드론에 적재하고, 물류통합 관리시스템에 배송 요청을 전송한다. 여기서, 물류통합 관리시스템은 배송인, 드론, 로봇 및 수령인 간 배송 과정들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 물품의 적재는 배송인에 의해 수행되거나 적재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배송인은 배송인 단말 또는 드론에 구비된 단말을 이용하여 물류통합 관리시스템에 해당 드론으로 해당 물품을 배송할 것을 요청한다. 단말은 물류통합 관리시스템에 송장번호, 발송인 이름, 발송인 주소, 발송인 연락처, 수령인 이름, 수령인 주소, 수령인 연락처, 등을 포함하는 배송 정보를 전달한다. 단말은 물품의 종류, 취급주의 정보 등 물품에 관한 정볼르 더 전달할 수 있다. 물류통합 관리시스템은 배송 요청에 따라 물품의 배송에 드론을 배정한다. 이때, 물류통합 관리시스템은 드론의 불량 여부, 배터리 충전 상태, 운행 가능 여부 등 상태를 확인하고, 물품 배송에 배정할 수 있다. 물류통합 관리시스템은 드론 중앙 관제 시스템에 드론의 목적지인 착륙지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드론 중앙 관제 시스템으로 하여금 드론을 목적지까지 운행시킬 수 있다. In step S402, the delivery person loads the goods into the drone and transmits a delivery request to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Here,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is a system that manages delivery processes between shippers, drones, robots, and recipients. Specifically, loading of goods may be performed by a deliverer or automatically by a loading device. Afterwards, the delivery person requests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to deliver the goods to the drone using the delivery terminal or a terminal provided on the drone. The terminal transmits delivery information including invoice number, sender's name, sender's address, sender's contact information, recipient's name, recipient's address, recipient's contact information, etc. to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The terminal can further deliver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such as the type of product and handling precautions.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ssigns drones to deliver goods according to delivery requests. At this time,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can check the status of the drone, such as whether it is defective, battery charging status, and whether it can be operated, and assign it to product delivery.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landing site, which is the destination of the drone, to the drone central control system, allowing the drone central control system to operate the drone to its destination.

단계 S404에서, 드론은 물품을 싣고 드론 착륙지까지 이동한다. 이때, 드론 중앙 관제 시스템은 도착지 정보에 기초하여 항로를 생성하고, 드론이 항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드론은 드론 중앙관제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도착지 정보, 항로 정보, 항로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운항 중 수집하는 정보를 전송한다. In step S404, the drone carries the goods and moves to the drone landing site. At this time, the drone central control system creates a route based 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drone to move along the route. The drone receives destination information, route information, and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the route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drone central control system, and transmits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operation.

단계 S406에서, 드론 착륙지에서 드론에 적재되어 있던 물품이 배송로봇에 적재된다. 단계 S402와 마찬가지로, 물품의 적재 과정은 보조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사람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물품은 버티포트(vertiport)를 통해 적재될 수 있다.In step S406, the goods loaded on the drone at the drone landing site are loaded into the delivery robot. Similar to step S402, the loading process of articles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by an auxiliary device or manually by a pers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oods may be loaded through a vertiport.

단계 S408에서, 배송로봇은 물류통합 관리시스템에 해당 물품에 관한 배송 정보를 요청한다. 물류통합 관리시스템은 배송 정보 요청을 확인한 후 배송로봇에게 배송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물류통합 관리시스템은 배송 정보와 함께 수령인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408, the delivery robot requests delivery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from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confirms the request for delivery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s the delivery information to the delivery robot. At this time,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can transmit recipient information along with delivery information.

단계 S410에서, 배송로봇은 물품이 적재된 상태로 배송 목적지까지 이동한다. 배송로봇은 직접 수집한 센싱정보, ITS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교통정보, 환경정보 등을 이용하여 배송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다.In step S410, the delivery robot moves to the delivery destination with the goods loaded. Delivery robots can move to the delivery destination using directly collected sensing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TS server.

단계 S412에서, 배송로봇은 배송 목적지 도착 후 수령인에게 물품수령 안내메시지를 발송한다. 물품수령 안내메시지는 수령인에게 물품이 도착했음을 알림과 함께 물품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메시지이다. 물품수령 안내메시지는 수령인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고, 배송로봇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In step S412, the delivery robot sends a product receipt information message to the recipient after arriving at the delivery destination. The product receipt information message is a message that notifies the recipient that the product has arrived and informs the recipient of the location of the product. The product receipt information message can be transmitted to the recipient's terminal or output using the display and speaker provided in the delivery robot.

단계 S414에서, 수령인은 배송로봇에 적재된 물품을 수령하고, 물류통합 관리시스템에 수령 사실을 알린다. 수령인은 배송로봇에 구비된 입력부 또는 수령인 단말을 이용하여 물품을 수령하였음을 물류통합 관리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414, the recipient receives the goods loaded on the delivery robot and notifies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of the receipt. The recipient can transmit the receipt of the goods to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put unit provided in the delivery robot or the recipient terminal.

단계 S416에서, 배송로봇은 대기 장소로 복귀하고 다음 배송을 준비한다. 실외주행이 가능한 로봇일 때, 배송로봇은 단계 S406의 드론 착륙지로 이동할 수 있다. 실내주행 전용 로봇일 때, 배송로봇은 건물의 대기 장소로 이동한다. 배송로봇은 대기장소에서 충전될 수 있다.In step S416, the delivery robot returns to the waiting area and prepares for the next delivery. When the robot is capable of outdoor driving, the delivery robot can move to the drone landing site in step S406. When the robot is designed exclusively for indoor driving, the delivery robot moves to the waiting area of the building. Delivery robots can be charged in waiting areas.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로봇 기반 배송 시나리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s 5a, 5b, and 5c are diagrams showing delivery robot-based delivery scenario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배송 시나리오에서는,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이 이용된다.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은 물류 리스트 관리, 이적재 거점 관리, 상하역 관리, 로봇 배송 명령 등 물류 서비스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은 배송 이력을 관리할 수 있고, 나아가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과 단말/배송장치 간 인터페이스들을 관리할 수 있다.In each delivery scenario, an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is used.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manages the logistics service process in an integrated manner, including logistics list management, transfer and loading base management, loading and unloading management, and robot delivery orders.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can manage delivery history and further manage interfaces between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nd terminals/delivery devices.

도 5a를 참조하면, 실외를 주행하는 배송로봇 기반 배송 시나리오가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5A, a delivery scenario based on a delivery robot traveling outdoors is shown.

배송인이 디지털 물류센터에서 물품을 배송 차량에 적재하고, 배송 차량을 이용하여 이적재 거점까지 물품을 운송한다. 여기서, 이적재 거점은 물품이 어느 한 운송 수단에서 다른 운송 수단으로 적재되는 지점을 의미한다.The delivery person loads the goods into the delivery vehicle at the digital logistics center and uses the delivery vehicle to transport the goods to the transfer and loading base. Here, the transfer and loading base refers to the point where goods are loaded from one means of transport to another means of transport.

이적재 후, 배송인은 배송인 단말을 이용하여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에 송장 번호, 발송인 정보 및 수취인 정보를 전송한다. 배송인은 물품을 배송 로봇으로 옮겨 싣는다.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은 배송로봇에 물품이 적재된 것을 확인한다.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은 배송인 단말로부터 적재 완료 메시지를 받거나 배송로봇에 구비된 적재 확인 장치로부터 적재 완료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은 배송인 단말로 해당 송장 번호에 대해 배송인의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배송 완료 통지를 전송한다. 또한,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은 배송로봇으로 배송 정보를 전송한다.After transfer, the shipper transmits the invoice number, sender information, and recipient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hipper terminal. The delivery person transfers the goods to the delivery robot.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confirms that goods are loaded on the delivery robot.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can receive a loading completion message from a delivery terminal or a loading completion message from a loading confirmation device installed in a delivery robot.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transmits a delivery completion notification to the deliverer's terminal indicating that the delivery has been completed for the corresponding invoice number. Additionally,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transmits delivery information to delivery robots.

배송로봇은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목적지까지 물품을 배송한다. 배송로봇은 실외 이동뿐만 아니라 실내 이동을 통해 수령 장소 또는 수령인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송로봇은 건물 내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계하여 여러 층을 오가며 물품을 배송할 수 있다.Delivery robots deliver goods to the delivery destination based on delivery information. Delivery robots can move not only outdoors but also indoors to the pickup location or recipient's loc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livery robot can deliver goods to and from multiple floors in conjunction with an elevator system in a building.

수령인이 물품을 수령할 때,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은 배송로봇 또는 수령인 단말로부터 해당 송장 번호에 대한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통지 받는다. 일 예로서,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은 배송로봇으로부터 적재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령인의 단말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전송하고, 수령인은 URL에 접속하여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에 수령 사실을 알려줄 수 있다.When the recipient receives the goods,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receives notification from the delivery robot or the recipient terminal that delivery for the corresponding invoice number has been completed. As an example,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receives a loading completion message from the delivery robot, transmits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formation to the recipient's terminal, and the recipient can access the URL to notify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of receipt. there is.

한편, 도 5b를 참조하면, 추종주행하는 배송로봇 기반 배송 시나리오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5b, a delivery scenario based on a delivery robot that follows the driving path is shown.

배송로봇의 추종주행은 배송로봇이 추종대상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 방식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보조 배송인이 요구된다.The tracking driving of a delivery robot refers to a driving method in which the delivery robot moves along the target to be followed. For this purpose, an assistant courier is required.

이적재 거점에서 물품이 배송로봇에 적재된 후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은 보조 배송인을 배송로봇의 추종대상으로 배정한다. 배송로봇은 보조 배송인의 음성 또는 이미지를 기반으로 추종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배송로봇은 보조 배송인의 단말 또는 단말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을 이용하여 추종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After the goods are loaded onto the delivery robot at the transfer and loading base,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ssigns an auxiliary delivery person to be followed by the delivery robot. Delivery robots can perform follow-up driving based on the voice or image of the assistant delivery person. Otherwise, the delivery robot may perform follow-up driving using the auxiliary delivery person's terminal or the terminal's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보조 배송인은 단말을 이용하여 배송로봇에 물품이 적재되는 것을 확인하고,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에 보고할 수 있으며, 수령인에 의해 물품이 수령되는 것을 확인하고 보고할 수도 있다.The auxiliary delivery person can use the terminal to check that the goods are loaded on the delivery robot and report it to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nd can also confirm and report that the goods are being received by the recipient.

도 5c를 참조하면, 드론-로봇 연계 기반 배송 시나리오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5c, a delivery scenario based on drone-robot linkage is shown.

드론은 물품을 드론 이륙장에서 드론 하역장까지 운송하고, 배송로봇은 드론 하역장부터 수령 장소까지 배송한다. 이때, 배송로봇은 자율주행할 수도 있고, 아니면 보조 배송인을 추종주행할 수 있다.Drones transport goods from the drone take-off point to the drone loading dock, and delivery robots deliver them from the drone loading dock to the pickup location. At this time, the delivery robot may drive autonomously or follow an auxiliary delivery person.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은 드론과 배송로봇의 배송 이력, 배송 과정 등을 추적하여 관리할 수 있다.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can track and manage the delivery history and delivery process of drones and delivery robot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엘리베이터 연동 배송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vator-linked deliver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배송로봇(610), 중계기(620), 엘리베이터 유닛(630), 및 엘리베이터 제어부(640)가 도시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중계기(620), 엘리베이터 유닛(630) 및 엘리베이터 제어부(6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a delivery robot 610, a repeater 620, an elevator unit 630, and an elevator control unit 640 are shown. The elevator system includes a repeater 620, an elevator unit 630, and an elevator control unit 640.

배송로봇(610)은 중계기(620)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부(640)와 통신하고, 엘리베이터 제어부(640)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유닛(630)을 호출한다. 배송로봇(610)은 엘리베이터 유닛(630)을 이용하여 건물 내 여러 층들로 이동할 수 있다. 배송로봇(610)은 드론 착륙지에서 물품을 적재하여 건물로 이동할 수도 있고, 건물 위치에서 물품을 적재할 수도 있다.The delivery robot 610 communicates with the elevator control unit 640 through the repeater 620 and calls the elevator unit 630 ba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elevator control unit 640. The delivery robot 610 can move to various floors in the building using the elevator unit 630. The delivery robot 610 can load goods at the drone landing site and move to the building, or it can load goods at the building location.

엘리베이터 제어부(640)는 엘리베이터 유닛(6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엘리베이터 유닛(630)을 승하강시킴으로써 복수의 층들 간에서 엘리베이터 유닛(630)을 이동시킨다. 엘리베이터 유닛(630)은 건물 내 복수의 층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층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로봇이 탑승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elevator control unit 6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vator unit 630 and moves the elevator unit 630 between a plurality of floors by raising and lowering the elevator unit 630. The elevator unit 63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at least one delivery robot that provides services on at least one floor among a plurality of floors in the building.

구체적으로, 먼저 배송로봇(610)은 물품을 적재한 상태로 건물로 진입하거나 건물 내에서 물품을 적재한다. 배송로봇(610)은 목적층, 목적지점 및 수령인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정보를 입력 받는다. 이때, 목적층 또는 목적지점은 배송인 또는 외부 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Specifically, first, the delivery robot 610 enters the building with loaded goods or loads the goods within the building. The delivery robot 610 receives delivery information including destination, destination, and recipient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destination floor or destination point may be received from either the delivery person or an external server.

배송로봇(610)은 실내 지도정보, 센싱정보 및 통신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여기서, 실내 지도정보는 정밀지도일 수 있다. 목적지점이 배송로봇(610)의 현재 층에 있는 경우, 배송로봇(610)은 실내 지도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점까지 경로를 설정하고, 이동한다. 목적지점은 당해 층 내에서 배송 장소 또는 수령인 단말의 위치이다. 반면, 목적지점이 다른 층에 있는 경우, 배송로봇(610)은 엘리베이터 유닛(630)에 탑승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The delivery robot 610 creates a movement path based on indoor map information, sen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and moves along the created movement path. Here, the indoor map information may be a precision map. If the destination point is on the current floor of the delivery robot 610, the delivery robot 610 sets a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point based on indoor map information and moves. The destination point is the location of the delivery location or recipient terminal within the relevant floor. On the other hand, if the destination point is on a different floor, the delivery robot 610 moves to a position where it can board the elevator unit 630.

배송로봇(610)은 중계기(620)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부(640)에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는 배송로봇(610)의 목적층 또는 목적지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는 사람이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에 의해 엘리베이터 제어부(640)에 전송되는 신호와 동일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부(640)는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 유닛(630)을 배송로봇(610)이 위치한 층으로 이동시킨다.The delivery robot 610 transmits an elevator call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640 through the repeater 620. Here, the elevator call signal includes one or more of the destination floor or destination point of the delivery robot 610. The elevator call signal may be the same as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640 by a person pressing an elevator call button. The elevator control unit 640 moves the elevator unit 630 to the floor where the delivery robot 610 is located according to the elevator call signal.

배송로봇(610)은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 대신 엘리베이터 탑승 위치에 도착했음을 알리기 위한 도착 알림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부(640)에 전송할 수도 있다.The delivery robot 610 may transmit an arrival notification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640 to notify that it has arrived at the elevator boarding location instead of an elevator call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는 긴급 정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로봇(610)의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의 긴급 정도가 높은 경우,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 또는 다른 배송로봇에 의한 호출 신호보다 배송로봇(610)의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의 처리가 우선한다. 즉, 먼저 수신된 다른 호출 신호들이 있더라도, 엘리베이터 제어부(640)는 배송로봇(610)의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 유닛(630)을 배송로봇(610)의 층으로 이동시킨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call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regarding the degree of urgency. When the urgency level of the elevator call signal of the delivery robot 610 is high, processing of the elevator call signal of the delivery robot 610 takes priority over the elevator call button or the call signal by another delivery robot. That is, even if there are other call signals received first, the elevator control unit 640 moves the elevator unit 630 to the floor of the delivery robot 610 according to the elevator call signal of the delivery robot 610.

배송로봇(610)은 엘리베이터 유닛(630)에 탑승하여 목적층까지 이동한다. 배송로봇(610)은 엘리베이터 유닛(630) 내 탑승자들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배송로봇(610)은 음성 또는 영상을 통해 배송로봇(610)의 목적층을 탑승자들에게 알릴 수 있다.The delivery robot 610 boards the elevator unit 630 and moves to the destination floor. The delivery robot 610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passengers within the elevator unit 630. The delivery robot 610 can inform the passengers of the destination floor of the delivery robot 610 through voice or video.

이때, 배송로봇(610)은 엘리베이터 유닛(630) 내에서 지정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제어부(640)는 배송로봇(610)에게 엘리베이터 유닛(630) 내 위치를 지정해 줄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livery robot 610 can move to a designated location within the elevator unit 630. Otherwise, the elevator control unit 640 may specify a location within the elevator unit 630 to the delivery robot 610.

엘리베이터 유닛(630)이 배송로봇(610)의 목적층에 도착한 후, 배송로봇(610)이 하차한다. After the elevator unit 630 arrives at the destination floor of the delivery robot 610, the delivery robot 610 gets of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송로봇(610)이 하차하는 동안 엘리베이터 유닛(630)의 문이 닫히지 않도록, 배송로봇(610)은 엘리베이터 제어부(640)에게 하차 미완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아니면, 엘리베이터 유닛(630) 내에 배송로봇(610)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엘리베이터 제어부(640)는 배송로봇(610)으로부터 하차 완료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엘리베이터 유닛(630)의 문이 닫히지 않도록 엘리베이터 유닛(630)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livery robot 610 may transmit an unloading incomplete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640 so that the door of the elevator unit 630 does not close while the delivery robot 610 is getting off. Alternatively,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delivery robot 610 in the elevator unit 630, the elevator control unit 640 prevents the door of the elevator unit 630 from closing until it receives an unloading completion signal from the delivery robot 610. The unit 630 can be controlled.

배송로봇(610)의 하차 후. 배송로봇(610)은 실내 지도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층 및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점까지 경로를 설정하고, 이동한다.After disembarking the delivery robot (610). The delivery robot 610 sets a route from the current floor and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point based on indoor map information and moves.

배송로봇(610)은 목적지점까지 이동하면서 수령인 단말로 도착 예정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목적지점 도착 후 도착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The delivery robot 610 can transmit an arrival information message to the recipient terminal while moving to the destination point, and can transmit an arrival information message after arriving at the destination point.

수령인은 기 지정된 목적지점 또는 배송로봇(61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배송로봇(610)에 적재된 물품을 수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송로봇(610)은 수령인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로봇(610)은 수령인의 모바일 인증 절차, 생체 정보 인증 절차 등을 이용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배송로봇(610)은 인증 절차 완료 후 수령인으로 하여금 물품을 가져갈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배송로봇(610)이 잠금 장치를 구비한 경우, 배송로봇(610)은 물품을 수납 공간에 잠금 상태로 배송하고, 인증 완료 후 물품을 탈착 가능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배송로봇(610)이 잠금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인증 절차 완료 전 누군가 물품을 가져가는 경우, 배송로봇(610)은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 수령인 등에게 경고 알림을 전송한다.The recipient confirms the pre-designated destination point o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delivery robot 610 and receives the goods loaded on the delivery robot 6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livery robot 610 can perform a recipient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example, the delivery robot 610 may perform an authentication procedure using the recipient's mobile authentication procedure, biometric information authentication procedure, etc. The delivery robot 610 allows the recipient to take the goods after completing the authentication process. For example, if the delivery robot 610 is equipped with a locking device, the delivery robot 610 can deliver the goods to the storage space in a locked state and make the goods detachable after completion of authentication. As another example, if the delivery robot 610 is not equipped with a locking device and someone takes the item before completing the authentication process, the delivery robot 610 sends a warning notification to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the recipient, etc.

수령인은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에 수령 완료 메시지를 보낸다.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은 배송로봇(610)에게 복귀 신호를 전송한다. The recipient sends a receipt completion message to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transmits a return signal to the delivery robot 610.

배송로봇(610)은 복귀 신호에 따라 대기 장소로 복귀한다. The delivery robot 610 returns to the waiting area according to the return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송로봇(610)이 복귀하는 상태에 있는 경우, 배송로봇(610)의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의 긴급 정도는 낮게 설정된다. 이처럼, 배송로봇(610)의 배송 단계와 복귀 단계에서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의 긴급 정도를 다르게 취급함으로써, 물품을 빠르게 배송하되, 엘리베이터 운행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livery robot 610 is in a returning state, the urgency level of the elevator call signal of the delivery robot 610 is set low. In this way, by treating the urgency level of the elevator call signal differently in the delivery stage and the return stage of the delivery robot 610, goods can be delivered quickly without deteriorating elevator operation efficienc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물품이 보조 수령인에 의해 수령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이 배송 요청을 접수할 때, 수령인 정보와 함께 보조 수령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조 수령인 정보는 발송인 또는 수령인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배송로봇(610)이 목적지점에 도달한 후 외부 입력으로 인해 인증 절차 트리거가 발생하면, 배송로봇(610)은 수령인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수령인 인증 절차에서 물품을 수령하고자 하는 사람이 수령인이 아닌 경우, 배송로봇(610)은 보조 수령인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물품을 수령하고자 하는 사람이 보조 수령임이 확인된 경우, 배송로봇(610)은 보조 수령인에게 물품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령인이 물품을 수령할 수 없는 경우, 보조 수령인이 물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령인을 기다리는 시간을 줄여 물품을 효율적으로 배송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oods may be received by a secondary recipient. Specifically, when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receives a delivery request, it may receive auxiliary recipient information along with recipient information. Secondary recipient information can be entered by either the sender or the recipient. When the authentication process is triggered due to an external input after the delivery robot 610 reaches the destination, the delivery robot 610 performs the recipient authentication process. At this time, in the recipient authentication process, if the person who wishes to receive the goods is not the recipient, the delivery robot 610 performs the auxiliary recipient authentication process. If it is confirmed that the person who wishes to receive the goods is a secondary recipient, the delivery robot 610 provides the goods to the secondary recipient. In this embodiment, if the recipient is unable to receive the product, the product can be delivered efficiently by allowing an auxiliary recipient to receive the product, thereby reducing the waiting time for the recipi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수령인이 물품을 수령할 수 없는 경우, 배송로봇(610)은 목적지점 주변에 위치한 사람과의 소정의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인증된 사람에게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송로봇(610)은 목적지점으로 이동한다. 목적지점에서 수령인이 물품을 소정의 시간동안 물품을 수령하지 않을 때, 배송로봇(610)은 목적지점 주변에 위치한 사람(이하, 대리 수령인)에게 물품의 대리 수령 여부에 관한 회신을 요청한다. 이때, 수령인 단말에 대리 수령을 진행함을 알린다. 대리 수령인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리 수령 의사를 배송로봇(610)에게 전송하는 경우, 배송로봇(610)은 대리 수령인에게 대리 수령 인증 절차를 제공한다. 대리 수령 인증 절차는 다양하게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리 수령인으로부터 수령인의 이름, 나이, 주소 등 수령인의 정보를 입력 받으면, 배송로봇(610)은 대리 수령인이 인증된 것으로 결정한다. 다른 예로서, 수령인 단말로부터 대리 수령을 진행할 것을 회신 받거나, 수령인과 대리 수령인으로부터 동일한 질문에 대한 대답을 수신 및 비교함으로써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recipient is unable to receive the product, the delivery robot 610 may provide the product to the authenticated person after going through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procedure with a person located near the destination point. . Specifically, the delivery robot 610 moves to the destination point. When the recipient does not receive the product at the destination poi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delivery robot 610 requests a person located around the destination poi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xy recipient) to respond regarding whether or not the product will be received on behalf of the recipient. At this time, the recipient terminal is notified that proxy receipt is in progress. When the proxy recipient transmits the proxy recipient's intention to receive the product to the delivery robot 610 through the interface, the delivery robot 610 provides a proxy receipt authentication procedure to the proxy recipient. The proxy receipt authentication process can proce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when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recipient, such as the recipient's name, age, and address, from the proxy recipient, the delivery robot 610 determines that the proxy recipient is authenticated. As another example,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can be performed by receiving a reply from the recipient terminal to proceed with proxy receipt, or by receiving and comparing answers to the same question from the recipient and proxy recipient.

이 외에, 배송로봇은 상태정보, 도착예정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수령인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livery robot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status information, estimated arrival time, etc. and transmit it to the recipient terminal.

이상에서는, 배송로봇(610)이 직접 엘리베이터 제어부(640)와 통신하고, 주변 정보를 센싱하고, 자체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로봇 제어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로봇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배송 과정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배송인이 물품을 배송로봇(610)에 적재하고,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에 적재 완료 및 배송 정보를 전송한다.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은 로봇 제어 시스템에 배송 정보를 전송하고, 로봇 제어 시스템은 수신한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로봇(610)을 제어한다. 배송로봇(610)은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를 산출하고, 산출된 경로를 따라 자율주행 방식으로 이동하며, 목적지에서 수령인이 화물을 수령하면 설정된 대기위치로 이동한 후 다음 호출을 대기한다. 배송로봇(610)이 실내에 있을 때, 목적지까지 이동하기 위해 배송로봇(610)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In the above, it has been explained that the delivery robot 610 directly communicates with the elevator control unit 640, senses surrounding information, and moves on its own,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erformed by a robot control system. . The delivery process using the robot control system is as follows. For example, a delivery person loads goods into the delivery robot 610 and transmits loading completion and delivery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The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transmits delivery information to the robot control system, and the robot control system controls the delivery robot 610 based on the received delivery information. The delivery robot 610 calculates the driving route to the set destination, moves autonomously along the calculated route, and when the recipient receives the cargo at the destination, it moves to the set waiting position and waits for the next call. When the delivery robot 610 is indoors, the delivery robot 610 can use an elevator system to move to the destina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Figure 7 is a flowchart of a delivery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배송로봇은 목적층, 목적지점 및 수령인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정보를 입력 받는다(S700).Referring to Figure 7, the delivery robot receives delivery information including destination floor, destination point, and recipient information (S700).

배송로봇은 배송로봇의 현재층, 현재 위치, 주변 물체 및 주변 환경을 센싱한다(S702).The delivery robot senses the delivery robot's current floor, current location, surrounding object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S702).

배송로봇은 배송로봇의 현재층 및 목적층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명령을, 엘리베이터 유닛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에 전송한다(S704).The delivery robot transmits an elevator call command including the current floor and destination floor of the delivery robot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levator unit (S704).

배송로봇은 기 저장된 실내 지도정보 및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유닛을 이용하여 배송로봇을 목적층의 목적지점으로 이동시키킨다(S706).The delivery robot uses the elevator unit to move the delivery robot to the destination point of the destination floor based on pre-stored indoor map information and sensing information (S706).

배송로봇은 목적지점에서 물품을 수령인에게 제공한다(S708).The delivery robot provides the goods to the recipient at the destination point (S70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송로봇은 목적지점에서 수령인과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배송로봇은 인증 결과에 따라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정된 수령인이 아닌 다른 사람에 의해 물품이 도난 당하거나 잘못 배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livery robot performs an authentication process with the recipient at the destination point, and the delivery robot can provide goods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items from being stolen or incorrectly delivered by someone other than the designated recipi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송로봇은 배송로봇이 엘리베이터 유닛으로부터 하차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제어부에게 문닫힘 방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송로봇이 엘리베이터 유닛의 문과 충돌하여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livery robot may transmit a door closing prevention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before the delivery robot gets off from the elevator uni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livery robot from colliding with the door of the elevator unit and breaking dow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송로봇은 수령인 단말에게 물품 도착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배송로봇은 물품 도착 메시지의 응답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을 때 주변인들 중 한 사람에게 대리 수령을 요청한다. 배송로봇은 대리 수령인과의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배송로봇은 대리 수령인의 모바일 인증 절차, 생체 정보 인증 절차 등을 이용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배송로봇은 인증 결과에 따라 물품을 대리 수령인에게 제공한다. 이에 따라, 수령인이 수령하기로 되어 있는 상황에서 돌발적인 상황으로 수령인이 수령하지 못할 때, 대리 수령을 진행함으로써 배송로봇의 대기 시간을 줄이고 물류 서비스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livery robot can transmit a product arrival message to the recipient terminal. When a response to the product arrival message is not received within a preset time, the delivery robot requests one of the nearby people to receive the product on its behalf. The delivery robot performs an authentication process with the proxy recipient. The delivery robot can perform the authentication process using the proxy recipient's mobile authentication procedure, biometric information authentication procedure, etc. The delivery robot provides goods to proxy recipients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s. Accordingly, when the recipient is unable to receive the product due to an unexpected situation when the recipient is scheduled to receive the device, the waiting time of the delivery robot can be reduced and the efficiency of the logistics service can be increased by proceeding with the proxy pickup.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시스템들 및 기법들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집적회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 상에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은,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들을 수신하고 이들에게 데이터 및 명령들을 전송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이것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혹은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음)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이것은 또한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혹은 코드로서 알려져 있음)은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에 대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다.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systems and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digital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circuit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computer hardware, firmware, software, and/or these. It can be realized through combination. These various implementations may include being implemented as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executable on a programmable system. The programmable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mable processor (which may be a special purpose processor) coupled to receive data and instructions from and transmit data and instructions to a storage system, at least one input device, and at least one output device. or may be a general-purpose processor). Computer programs (also known as programs,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s or code) contain instructions for a programmable processor and are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의 비휘발성(non-volatile) 또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일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전송 매체(data transmission medium)와 같은 일시적인(transitory) 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Thes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are non-volatile or non-transitory such as RO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memory card,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and storage device. It may be a medium, and may further include a transitory medium such as a data transmission medium. Additionally,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and the computer-readable code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본 명세서의 흐름도/타이밍도에서는 각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흐름도/타이밍도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들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흐름도/타이밍도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flowchart/timing diagram of this specification, each process is described as being executed sequentially, but this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other word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may change the order described in the flowchart/timing diagram and execute one of the process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ince the above processes can be applied i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y executing them in parallel, the flowchart/timing diagram is not limited to a time series order.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is embodiment.

300: 배송 장치
310: 통신부
320: 센싱부
330: 저장부
340: 구동부
350: 입력부
380: 표시부
370: 제어부
300: delivery device
310: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320: Sensing unit
330: storage unit
340: driving unit
350: input unit
380: display unit
370: control unit

Claims (9)

건물 내 엘리베이터 시스템과의 연동 기반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배송로봇에 있어서,
목적층, 목적지점 및 수령인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배송로봇의 현재층, 현재 위치, 주변 물체 및 주변 환경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배송로봇의 현재층 및 상기 목적층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명령을, 엘리베이터 유닛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에 전송하는 통신부; 및
기 저장된 실내 지도정보 및 상기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송로봇의 이동을 제어하되,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배송로봇을 상기 목적층의 상기 목적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목적지점에서 물품을 수령인에게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배송로봇.
In a delivery robot that provides delivery services based on linkage with the elevator system in the building,
An input unit that receives delivery information including destination, destination, and recipient information;
A sensing unit that senses the current floor, current location, surrounding object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elivery robot;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 elevator call command including the current floor of the delivery robot and the destination floor to an elevator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levator unit; and
The movement of the delivery robot is controlled based on the previously stored indoor map information and the sensing information, the delivery robot is moved to the destination point of the destination floor using the elevator unit, and the goods are delivered to the recipient at the destination point. Control unit provided
Delivery robots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적지점에서 수령인과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물품을 제공하는 것인 배송로봇.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A delivery robot that performs an authentication process with the recipient at the destination point and provides the goods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으로부터 하차하기 전에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에게 문닫힘 방지 신호를 전송하는 것인 배송로봇.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A delivery robot that transmits a door closing prevention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before getting off from the elevato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령인 단말에게 물품 도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물품 도착 메시지의 응답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을 때 주변인들 중 한 사람에게 대리 수령을 요청하고, 대리 수령인과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물품을 상기 대리 수령인에게 제공하는 것인 배송로봇.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Send a product arrival message to the recipient terminal, request proxy pickup from one of the nearby people when a response to the product arrival message is not received within a preset time, perform an authentication procedure with the proxy recipient, and submit the authentication result. A delivery robot that provides the goods to the proxy recipient.
건물 내 엘리베이터 시스템과의 연동 기반 배송로봇의 배송 방법에 있어서,
목적층, 목적지점 및 수령인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배송로봇의 현재층, 현재 위치, 주변 물체 및 주변 환경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배송로봇의 현재층 및 상기 목적층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명령을, 엘리베이터 유닛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
기 저장된 실내 지도정보 및 상기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배송로봇을 상기 목적층의 상기 목적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목적지점에서 물품을 수령인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송 방법.
In the delivery method of the delivery robot based on linkage with the elevator system in the building,
A step of receiving delivery information including destination, destination, and recipient information;
Sensing the current floor, current location, surrounding object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elivery robot;
transmitting an elevator call command including the current floor of the delivery robot and the destination floor to an elevator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levator unit;
moving the delivery robot to the destination point of the destination floor using the elevator unit, based on pre-stored indoor map information and the sensing information; and
Providing goods to the recipient at the destination point
Shipping method includ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점에서 수령인과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물품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송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he steps provided above are:
performing an authentication procedure with the recipient at the destination point; and
Step of providing the goods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s
Shipping method includ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로봇이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으로부터 하차하기 전에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에게 문닫힘 방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배송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ransmitting a door closing prevention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before the delivery robot gets off from the elevator unit.
Shipping methods includ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수령인 단말에게 물품 도착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물품 도착 메시지의 응답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을 때 주변인들 중 한 사람에게 대리 수령을 요청하는 단계;
대리 수령인과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물품을 상기 대리 수령인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송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he steps provided above are:
Transmitting a product arrival message to the recipient terminal;
When a response to the product arrival message is not received within a preset period of time, requesting one of the people nearby to receive the product on behalf of the user;
performing authentication procedures with a representative payee; and
Providing the goods to the representative recipient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Shipping method including.
배송로봇과 엘리베이터 시스템 기반 디지털 물류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 내 복수의 층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층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로봇이 탑승 가능하게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유닛; 및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과 접속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을 승하강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층들 간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을 이동시키는 제어부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목적층 및 목적지점을 포함하는 배송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배송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부;
주행 중 주변 물체 및 주변 환경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목적층으로 상기 배송로봇을 이동시키고, 기 저장된 실내 지도정보 및 상기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점까지 상기 배송로봇을 이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배송로봇;
을 포함하는 디지털 물류 시스템.
In a digital logistics system based on delivery robots and elevator systems,
An elevator unit configured to enable boarding of at least one delivery robot that provides services on at least one floor among a plurality of floors in the building;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elevator unit and moving the elevator unit between the plurality of floors by raising and lowering the elevator unit.
an elevator system comprising; and
An input unit that receives delivery information including the destination floor and destination point;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elevator system based on the delivery information;
A sensing unit that senses surrounding object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ile driving; and
A control unit that moves the delivery robot to the destination floor using the elevator system and moves the delivery robot to the destination point using pre-stored indoor map information and the sensing information.
Delivery robots including;
Digital logistics system including.
KR1020220047516A 2022-04-18 2022-04-18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gistics Service based on Interlocking Between Delivery Robot and Elevator system KR202301493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516A KR20230149349A (en) 2022-04-18 2022-04-18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gistics Service based on Interlocking Between Delivery Robot and Elevato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516A KR20230149349A (en) 2022-04-18 2022-04-18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gistics Service based on Interlocking Between Delivery Robot and Elevato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349A true KR20230149349A (en) 2023-10-27

Family

ID=88514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516A KR20230149349A (en) 2022-04-18 2022-04-18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gistics Service based on Interlocking Between Delivery Robot and Elevato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934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151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Utility Service Execution
US10139817B2 (en) Unmanned aircraft systems and methods to interact with specifically intended objects
US11609578B2 (en) Traffic management for materials handling vehicles in a warehouse environment
US20190034877A1 (en) Unmanned mobile control point product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US11669783B2 (en) Identifying unassigned passengers for autonomous vehicles
Flämig Autonomous vehicles and autonomous driving in freight transport
CN112875578B (en) Unmanned forklift control system
US11565420B2 (en) Teleoperation in a smart container yard
JP6840369B2 (en) Automated guided vehicle and transportation work method using it
WO2019054208A1 (en) Mobile body and mobile body system
CN116670735A (en) Method for navigating an autonomous vehicle to a passenger pick-up/drop-off position
US11964672B2 (en) Passenger transportation system, method of passenger transportation, and vehicle controller
KR1020451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to Shipping by using Autonomous Vehicle
KR20230149349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gistics Service based on Interlocking Between Delivery Robot and Elevator system
KR20230149351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gistics Service
KR102433595B1 (en) Unmanned transportation apparatus based on autonomous driving for smart maintenance of railroad vehicles
CN114296464B (en) AGV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two-dimensional code navigation
KR20230148882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gistics Service
US20220146685A1 (en)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Assembly Using a Dichroic Optic to Widen a Field of View
KR20230149350A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Simulation based on Digital Twin Virtual Space
Nivas et al. Automated guided car (agc) for industrial automation
US202401521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traffic flow through intersections with conditional convoying based on path network analysis
US20230185314A1 (en) Logistics system, method for operating a logistics system and for transporting an industrial truck in a logistics system, upgrade kit,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21024726A1 (en)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220270490A1 (en) Autonomous vehicle, autonomous vehicle dispatch system, and mobile termi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