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701A - 시야 검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야 검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701A
KR20230148701A KR1020220047829A KR20220047829A KR20230148701A KR 20230148701 A KR20230148701 A KR 20230148701A KR 1020220047829 A KR1020220047829 A KR 1020220047829A KR 20220047829 A KR20220047829 A KR 20220047829A KR 20230148701 A KR20230148701 A KR 20230148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disease
test
subject
visio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세웅
김윤택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220047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8701A/ko
Priority to PCT/KR2023/004941 priority patent/WO2023204516A1/ko
Publication of KR20230148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70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2Devices for presenting test symbols or characters, e.g. test chart pro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33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user inpu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41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야 검사장치를 이용한 안질환 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준선에 의해 복수 개의 검사영역으로 구획되는 시력검사이미지가 도시되고, 검사 영역에 시력검사패턴이 도시되는 디스플레이; 시력검사패턴에 대한 피검자의 패턴인식값이 입력되는 입력장치; 패턴인식값과 기설정값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안질환영역을 도출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야 검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CENTRAL VISUAL FIELD EXAMING EYE DISEASE}
본 발명은 시야 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각능력의 평가는 시력 검사에 의존한다. 그러나, 시력검사는 시야의 결손을 측정하지 못하기에, 황반변성, 녹내장 등 질환의 조기발견에는 민감도가 떨어진다.
암슬러 그리드 등 중심시야에 대한 검사방법이 개발되어 왔으나, 민감도가 낮은 문제가 있으며, 기존의 시야검사는 검사시간이 길고 단조로운 패턴에 의존하므로 피검자(특히 노인인구)의 집중이 저하되어 검사결과가 정확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방법 및 장치는 시야를 평가함에 있어 검사방법을 단순화하여 측정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점 패턴으로 피검자의 시야를 검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준선에 의해 복수 개의 검사영역으로 구획되는 시력검사이미지가 도시 되고, 검사 영역에 시력검사패턴이 도시 되는 디스플레이; 시력검사패턴에 대한 피검자의 패턴인식값이 입력되는 입력장치; 패턴인식값과 기설정값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안질환영역을 도출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질환영역이 출력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검사 영역은 기준선이 상호 교차되어 형성되는 사분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시력검사패턴은 기준선이 교차되어 형성되는 중앙점; 사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도시 되는 검사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시력검사패턴은 무채색 또는 유채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패턴인식값은 피검자가 인지한 시력검사패턴의 개수 또는 색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력검사장치는 상기 피검자의 눈을 촬영하여 상기 피검자의 눈 이미지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사람의 신체정보에 따른 각막의 크기를 표준화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눈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피검자의 각막의 크기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안질환 검사장치와 상기 피검자의 눈 사이의 거리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산출된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안질환 테스트를 위한 적정 거리를 가이드할 수 있다.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준선에 의해 복수 개의 검사영역으로 구획되는 시력검사이미지를 도시하는 단계; 검사 영역에 시력검사패턴을 도시하는 단계; 시력검사패턴에 대한 피검자의 패턴인식값이 입력되는 단계; 패턴인식값과 기설정값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안질환영역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검사 영역에 시력검사패턴을 도시하는 단계는 기준선이 상호 교차되어 형성되는 중앙점을 점멸하는 단계; 기준선에 의해 사분면으로 구획되는 검사 영역의 각각에 검사점을 도시하는 단계; 사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도시 되는 검사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질환영역을 도출하는 단계는 패턴인식값과 기설정값이 미일치 시, 사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도시 되는 검사점을 제거하는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질환영역을 도출하는 단계는 패턴인식값과 기설정값이 일치 시, 피검자의 시력을 정상으로 판단하거나, 사분면 중 검사점이 마지막으로 제거된 면을 안질환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야 검사 장치 및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 피검자가 인지하기 용이한 점 타입의 시력검사패턴이 도시되고, 영역별로 피검자가 인지하지 못한 영역을 도출할 수 있어서 시력검사 결과의 정확성을 높여줄 수 있고, 검사 시간을 줄여줄 수 있어서 피검자에게 가중되는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검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순차적으로 도 1의 디스플레이에 도시되는 시력검사 패턴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순차적으로 도 1의 디스플레이에 도시되는 시력검사 패턴의 제2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순차적으로 도 1의 디스플레이에 도시되는 시력검사 패턴의 제3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시력검사장치를 이용한 시력검사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시력검사패턴 도시 단계를 시계열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안질환영역 도출 단계를 시계열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장치의 블록도이다.
먼저 본 개시의 실시 에에 따른 '시력'은 물체의 존재나 형상을 인식하는 눈의 능력 또는 눈으로 두 광점을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며, 넓은 의미로서 대비감도(Contrast), 주변시력, 주변시야, 빛감지능력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개시의 '시력검사'는 안과나 안경원 혹은 신체검사 등에서 측정하는 눈이 얼마만 한 크기의 물체를 볼 수 있는지 검사하여 도출된 '1.0', '0.8' 등의 수치를 일컫는 시력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막, 수정체, 안저 및 시신경 이상 증후를 감지할 수 있는 시야검사, 안질환검사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시력검사장치(100)는 안질환 검사 장치 또는 시야검사장치 등 검사대상자의 시력 또는 시야검사를 통한 질환을 검출할 수 있는 장비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시력검사장치(100)는 기준선에 의해 복수 개의 검사 영역(11)으로 구획되는 시력검사이미지(10)가 도시 되고, 상기 검사 영역(11)에 시력검사패턴(20)이 도시 되는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력검사장치(100)는 상기 시력검사패턴(20)에 대한 피검자의 패턴인식값이 입력되는 입력장치(120), 상기 패턴인식값과 기설정값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안질환영역을 도출하는 제어장치(130), 상기 안질환영역이 출력되는 단말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110) 상에 피검자가 인지하기 용이한 점 타입의 상기 시력검사패턴(20)이 도시 되고, 영역별로 피검자가 인지하지 못한 영역을 도출할 수 있어서 시력검사 결과의 정확성을 높여줄 수 있고, 검사 시간을 줄여줄 수 있어서 피검자에게 가중되는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0)는 led와 같은 공지에 디스플레이(110)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마트폰과 같이 디스플레이(110)가 포함된 공지의 단말기(140)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0)는 피검자와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고, 별도의 거치대에 고정되며, 지면 상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턴인식값은 피검자가 인지한 상기 시력검사패턴(20)의 개수, 위치(검사영역(11)의 좌표값으로 이하 생략), 색상이 해당될 수 있고, 상기 입력장치(120)는 상기 패턴인식값이 입력되는 구성으로서, 키 패드(key pad), 터치 패드(touch pad) 등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입력 수단일 수 있다.
상기 패턴인식값은 피검자가 직접 상기 입력장치(120)에 입력하거나, 검사자가 피검자의 육성으로 전달받아 상기 입력장치(120)에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40)는 피검자 또는 검사자의 단말기로써,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거치형PC, 노트북과 같은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기설정값은 상기 검사 영역(11)에 도시 되는 상기 시력검사패턴(20)의 개수, 위치, 색상에 해당될 수 있으며, 검사자에 의해 상기 제어장치(130)에 입력되어 기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장치(130)는 상기 시력검사이미지(10), 시력검사패턴(20), 패턴인식값, 기설정값이 저장되는 메모리부(131), 상기 패턴인식값과 기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안질환영역을 도출하는 분석부(132), 상기 기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10)에 상기 시력검사패턴(20)을 도시하는 출력부(133), 상기 안질환영역을 상기 단말기(140)로 전송하는 통신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4)는 네트워크를 매개로 상기 디스플레이(110), 입력장치(120), 단말기(140)를 비롯한 상기 시력검사장치(100)에 이루는 구성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네트워킹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말하는 통신망은 전 세계의 국가 간에 서로 연결된 인터넷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순차적으로 도 1의 디스플레이에 도시 되는 시력검사패턴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순차적으로 도 1의 디스플레이에 도시 되는 시력검사패턴의 제2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c는 순차적으로 도 1의 디스플레이에 도시 되는 시력검사패턴의 제3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 내지 5c를 참조하면, 상기 검사 영역(11)은 상기 기준선이 상호 교차되어 형성되는 사분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시력검사패턴(20)은 상기 기준선이 교차되어 형성되는 중앙점(21), 상기 사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도시 되는 검사점(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점(21)은 점멸 되도록 상기 제어장치(130)에 기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점(21)의 점에 의해 피검자의 시선이 집중되어 시력검사 결과의 정확성을 높여줄 수 있다.
상기 시력검사패턴(20)의 제1 실시 예는,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2 사분면에 두 개의 점, 제3 사분면에 한 개의 점이 도시될 수 있고, 이에 대해 피검자가 두 개의 점을 인지하면 상기 안질환영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후, 제2 사분면에 있는 두 개의 점 중 하나가 제거되고, 제4 사분면에 한 개의 점이 추가로 도시될 수 있고, 이에 대해 피검자가 두 개의 점을 인지하면 제2 사분면이 상기 안질환영역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보다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제2 사분면에 도시된 한 개의 점이 제거되고, 제4 사분면에 두 개의 점이 추가로 도시될 수 있고, 이에 대해 피검사가 세 개의 점을 인지하면 제2 사분면이 상기 안질환영역인 것을 보다 명확하게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시력검사패턴(20)의 제2 실시 예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사분면의 각각 분면에 한 개의 점이 도시될 수 있고, 이에 대해 피검자가 세 개의 점을 인지하면 상기 안질환영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후, 제1 사분면에 있는 한 개의 점이 제거되고, 이에 대해 피검자가 세 개의 점을 인지하면 제1 사분면이 상기 안질환영역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보다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제2 사분면에 도시된 한 개의 점이 제거되고, 이에 대해 피검자가 두 개의 점으로 인지하면 제1 사분면이 안질환영역인 것을 보다 명확하게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시력검사패턴(20)은 무채색 또는 유채색으로 이루어질 있으며, 상기 시력검사패턴(20)의 제3 실시 예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분면에 복수 개의 점이 각각 다른 색상으로 도시될 수 있다.
색상이 상이할 경우, 피검자의 질환 정도에 따라 컬러 민감도가 다를 것으로 예상됨으로써 피검자가 인지한 점의 개수, 색상과 실제 점의 개수, 색상을 비교하여 황반변성과 같은 변시증 및 이색시가 의심되는 상기 안질환영역도 판단될 수 있다.
피검자의 상기 안질환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상기 제어장치(130)는 예보부(13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보부(135)는 일정기간을 기준하여 상기 안질환영역, 미인식된 상기 시력검사패턴(20)의 좌표값을 추출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학습하여 피검자의 안질환에 대한 패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예보부(135)는 일정기간별로 검사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안질환영역, 미인식된 상기 시력검사패턴(20)의 좌표값을 추출하여 검사구간별로 나눈다.
일 예로, 피검자의 상기 안질환패턴을 추출하기 위해 1년을 일정기간별로 구분하여 검사 구간을 설정하고 검사 구간 별로 상기 안질환영역, 미인식된 상기 시력검사패턴(20)의 좌표값의 추출을 반복한다.
즉, 일정기간동안 추출된 상기 안질환영역, 미인식된 상기 시력검사패턴(20)의 좌표값을 파악하고 반복적으로 학습하고, 학습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안질환패턴을 추론하여 패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턴 정보와,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상기 안질환영역, 미인식된 상기 시력검사패턴(20)의 좌표값을 비교하여 추후 안질환이 발생 가능한 시점, 영역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상되는 상기 안질환영역에 미리 시력 보정을 진행하여 상태의 악화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피검자의 검사 일자를 미리 예약할 수 있다.
이하, 전술된 시력검사장치를 이용한 시력검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시력검사장치를 이용한 시력검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시력검사패턴 도시 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6,7을 참조하면, 시력검사방법(S100)은 우선, 상기 제어장치(130)가 상기 디스플레이(110)에 상기 시력검사이미지(10)를 도시하고(S110), 상기 검사 영역(11)에 상기 시력검사패턴(20)을 도시한다(S12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장치(130)가 피검자의 시선이 집중되도록 상기 중앙점(21)을 점멸하고(S121), 상기 사분면 상 적어도 2이상의 분면에 상기 검사점(22)을 도시한다(S122).
이후, 상기 입력장치(120)가 상기 시력검사패턴(20)에 대한 상기 패턴인식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S130).
이후, 상기 제어장치(130)가 상기 패턴인식값과 기설정값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S140),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안질환영역을 도출한다(S150).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안질환영역 도출 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장치(130)가 상기 패턴인식값과 기설정값이 일치 시, 피검자의 시력을 정상으로 판단한다(S151).
또는, 상기 패턴인식값과 기설정값이 미일치 시, 상기 사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분면에 도시되는 상기 검사점(22)을 제거하고(S123), 상기 입력장치(120)가 다시 상기 패턴인식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S130).
상기 검사점(22)을 제거 후 상기 검사점(22)이 제거된 분면과 다른 분면에 검사점을 추가하고, 상기 제어장치(130)가 다시 상기 패턴인식값과 기설정값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S140),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안질환영역을 도출한다(S150).
즉, 상기 패턴인식값과 기설정값이 일치 시, 상기 사분면 중 상기 검사점(22)이 마지막으로 제거된 면을 상기 안질환 영역으로 판단한다.
또는, 상기 패턴인식값과 기설정값이 미일치 시, 상기 검사점(22)을 제거하고, 상기 패턴인식값을 입력 받는 과정을 재진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장치(130)가 상기 패턴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패턴 정보와,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상기 안질환영역, 미인식된 상기 시력검사패턴(20)의 좌표값을 비교하여 추후 안질환이 발생 가능한 시점, 영역을 예상한다(S160).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안질환 검사장치 또는 시력검사장치는 단말기(140) 자체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시력검사장치(100)가 단말기(140)로 구현되는 경우 도 1의 디스플레이(110), 입력장치(120) 및 제어장치(130)는 단말기(140)를 이루는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안질환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피검자의 눈과 시력검사장치는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어야 한다. 이때, 안과와 같이 전문 의료진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장소의 경우, 검사자에게 눈과 시력검사장치의 거리 및 배치를 가이드 할 수 있으나, 검사자가 스스로 자가진단을 통한 시력검사장치를 사용할 경우 일정거리에 대한 가이드가 필요하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시력검사장치는 사용자의 눈과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피검자의 얼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는 피검자의 얼굴 중 눈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는 사람의 신체정보(나이, 성별 등을 포함한다.)에 따른 각막의 크기를 표준화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된 피검자의 정보 및 촬영된 눈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각막의 크기를 비교하여 현재 검사장치와 검사자의 눈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각막의 크기라 함은 눈의 WTW(white to white distance 또는 cornea(l) distance)를 의미하는 것으로 막 윤부 경계 사이에서 측정한 수평 각막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제어장치는 수집된 사용자의 시력, 인지능력, 나이 등을 활용하여 적정거리를 계산하고, 현재 검사장치와 검사자의 눈 사이의 거리가 적정거리와 상이한 경우 적정한 거리를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검자 또는 검사자의 단말기 일 수 있으며, 피검자 또는 검사자에 해당하는 사용자는 스스로 적당한 거리에서 시력검사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안구질환에 대한 자가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자가진단은 시력검사장치 내부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장치 및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 피검자가 인지하기 용이한 점 타입의 시력검사패턴이 도시되고, 영역별로 피검자가 인지하지 못한 영역을 도출할 수 있어서 시력검사 결과의 정확성을 높여줄 수 있고, 검사 시간을 줄여줄 수 있어서 피검자에게 가중되는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시력검사장치 110: 디스플레이
120: 입력장치 130: 제어장치
140: 단말기

Claims (16)

  1. 기준선에 의해 복수 개의 검사영역으로 구획되는 시력검사이미지가 도시되고, 상기 검사영역에 시력검사패턴이 도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시력검사패턴에 대한 피검자의 패턴인식값이 입력되는 입력장치; 및
    상기 패턴인식값과 기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의 안질환영역을 도출하는 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안질환 검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질환영역이 출력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안질환 검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영역은,
    상기 기준선이 상호 교차되어 형성되는 사분면으로 이루어지는 안질환 검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력검사패턴은,
    상기 기준선이 교차되어 형성되는 중앙점; 및
    상기 사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도시되는 검사점;
    을 포함하는 안질환 검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력검사패턴은,
    무채색 또는 유채색으로 이루어지는 안질환 검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인식값은,
    상기 피검자가 인지한 상기 시력검사패턴의 개수 또는 색상인 안질환 검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눈을 촬영하여 상기 피검자의 눈 이미지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사람의 신체정보에 따른 각막의 크기를 표준화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눈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피검자의 각막의 크기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안질환 검사장치와 상기 피검자의 눈 사이의 거리정보를 산출하는,
    안질환 검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산출된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안질환 테스트를 위한 적정 거리를 가이드하는,
    안질환 검사장치.
  9. 기준선에 의해 복수 개의 검사영역으로 구획되는 시력검사이미지를 도시하는 단계;
    상기 검사 영역에 시력검사패턴을 도시하는 단계;
    상기 시력검사패턴에 대한 피검자의 패턴인식값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패턴인식값과 기설정값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의 안질환영역을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안질환 검사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영역에 시력검사패턴을 도시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선이 상호 교차되어 형성되는 중앙점을 점멸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선에 의해 구획되는 사분면 상에 적어도 2이상의 분면에 검사점을 도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안질환 검사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영역에 시력검사패턴을 도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분면에 도시되는 상기 검사점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질환 검사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영역에 시력검사패턴을 도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사점을 제거 후 상기 검사점이 제거된 분면과 다른 분면에 검사점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질환 검사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질환 영역을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인식값과 기설정값이 미일치 시, 상기 사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도시되는 상기 검사점을 제거하는 단계로 회귀하는 안질환 검사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질환영역을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인식값과 기설정값이 일치 시, 상기 피검자의 시력을 정상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사분면 중 상기 검사점이 마지막으로 제거된 면을 상기 안질환 영역으로 판단하는 안질환 검사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자의 눈을 촬영하여 상기 피검자의 눈 이미지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사람의 신체정보에 따른 각막의 크기를 표준화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눈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피검자의 각막의 크기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안질환 검사장치와 상기 피검자의 눈 사이의 거리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질환 검사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안질환 테스트를 위한 적정 거리를 가이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질환 검사방법.
KR1020220047829A 2022-04-18 2022-04-18 시야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230148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829A KR20230148701A (ko) 2022-04-18 2022-04-18 시야 검사 장치 및 방법
PCT/KR2023/004941 WO2023204516A1 (ko) 2022-04-18 2023-04-12 시야 검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829A KR20230148701A (ko) 2022-04-18 2022-04-18 시야 검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701A true KR20230148701A (ko) 2023-10-25

Family

ID=8842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829A KR20230148701A (ko) 2022-04-18 2022-04-18 시야 검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8701A (ko)
WO (1) WO202320451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3524B2 (en) * 2002-02-08 2010-07-13 Novavision, Inc. Process and device for treating blind regions of the visual field
GB0625912D0 (en) * 2006-12-22 2007-02-07 Bid Instr Ltd Method for visual field testing
WO2013078406A1 (en) * 2011-11-21 2013-05-30 Icheck Health Connection, Inc. Video game to monitor retinal diseases
KR102208508B1 (ko) * 2017-10-18 2021-01-27 주식회사 씨엠랩 복합적인 안과 진료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155309B1 (ko) * 2020-05-08 2020-09-11 주식회사 창 헬스케어 인지 장애 예측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04516A1 (ko)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80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refractive error of an eye based on subjective distance metering
Marsden et al. How to measure distance visual acuity
US7661820B2 (en) Ophthalmologic instrument
US91491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eye conditions
JP4148947B2 (ja) 検眼装置およびレンズ度数決定方法
Ramos et al. Variability of subjective classifications of corneal topography maps from LASIK candidates
Chin et al. Automatic fovea location in retinal images using anatomical priors and vessel density
Sousa de Almeida et al. Computer-aided methodology for syndromic strabismus diagnosis
CN111344222A (zh) 执行眼睛检查测试的方法
US20070236666A1 (en) Device and Method to Determine the Contrast Sensitivity of an Individual's Visual System
CN105962885A (zh) 一种利用软件硬件结合检测视力的方法
EP3925518A1 (en) Detecting and tracking macular degeneration
KR20230148701A (ko) 시야 검사 장치 및 방법
Paglinawan et al. Detection of three visual impairments: Strabismus, blind spots, and blurry vision in rural areas using Raspberry PI by implementing hirschberg, visual field, and visual acuity tests
KR20230148702A (ko) 중심 시야의 결손 및 변형 검사 방법 및 장치
CN115331282A (zh) 一种智能视力测试系统
WO2002039754A1 (en) Visual screening tests by means of computers
CN110287797B (zh) 一种基于手机的屈光筛选方法
Calandra et al. Smartphone based pupillometry: an empirical evaluation of accuracy and safety
JP3728279B2 (ja) 検眼システムおよび検眼プログラム
US20210330181A1 (en) Computerized behavioral method for eye-glasses prescription
JP5955349B2 (ja) 分析方法
JP7315501B2 (ja) 視覚検査装置、視覚検査プログラムおよび視覚検査方法
CN110287796B (zh) 一种基于手机与外部设备的屈光筛查方法
CN113854952A (zh) 一种利用具有摄像功能通用设备的视力检测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