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685A - Table system - Google Patents

Tabl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685A
KR20230148685A KR1020220047781A KR20220047781A KR20230148685A KR 20230148685 A KR20230148685 A KR 20230148685A KR 1020220047781 A KR1020220047781 A KR 1020220047781A KR 20220047781 A KR20220047781 A KR 20220047781A KR 20230148685 A KR20230148685 A KR 20230148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makase
plate
sushi
cooking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7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기
Original Assignee
이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기 filed Critical 이동기
Priority to KR1020220047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8685A/en
Publication of KR20230148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68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47B77/022Work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60B33/0081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acting on tire t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2031/002Catering trolle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2031/003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drawers, trays or shelves

Abstract

오마카세 테이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오마카세 테이블 시스템은 손님이 착석하는 복수 개의 메인 테이블; 및 상기 메인 테이블 각각에 연결되게 마련되며, 해당 메인 테이블에 착석한 손님에게 오마카세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오마카세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오마카세 테이블은, 사각 형상의 함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초밥을 만들 수 있도록 요리판이 설치되고, 상기 요리판의 일측 상부에는 초밥용 밥이 수용된 밥용기가 안착되도록 상부안착부가 제공되며, 내부에는 초밥용 생선과 조리용 칼 및 식기류, 조리용 행주가 분리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부들이 형성되는 테이블 본체; 및 상기 테이블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블 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This is an invention about the omakase table system. The omakase tabl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ain tables where guests are seated; and a plurality of omakase table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main tables and provide omakase service to guests seated at the main tables, wherein the omakase tables are formed in a square-shaped enclosure. A cooking plate is installed at the top to make sushi, and an upper seating par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oking plate to seat a rice container containing sushi rice, and inside is sushi fish, cooking knives and tableware, and cooking plates. A table body in which storage spaces are formed so that dishcloths can be stored separately; and a transfer unit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able body to enable the table body to move.

Description

오마카세 테이블 시스템{Table system}Omakase table system {Table system}

본 발명은, 오마카세 테이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음식을 먹기 위하여 손님이 착석하는 메인 테이블 각각에 오마카세 서비스를 위한 오마카세 테이블을 연결해서 하나의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손님으로서는 예컨대 오마카세 스시를 위한 최고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식당으로서는 서비스를 위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오마카세 테이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makase table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by implementing one system by connecting an omakase table for omakase service to each of the main tables where guests sit to eat food, so that guests can enjoy, for example, omakase. It is about an omakase table system that allows you to receive the best service for kase sushi and increases convenience for service as a restaurant.

일본의 대표적 음식의 하나로 알려진 초밥은 식초를 섞어 맛을 낸 밥에 어패류 등을 첨가해 시식 가능한 형태로 제공토록 한 일품요리의 일종이며, 이와 같은 초밥은 일본어로 "스시" 라 명칭 되기도 한다.Sushi, known as one of Japan's representative foods, is a type of a la carte dish made by adding fish and shellfish to rice seasoned with vinegar and served in a tasteable form. This kind of sushi is also called "sushi" in Japanese.

또한, 초밥은 통상 고기를 소금에 절인 후 자연 발효시켜 산미(酸味)를 내도록 한 나레즈시와, 밥에 식초를 넣어 조미한 하야즈지, 이렇게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뉘어짐을 알 수 있는 것인바, 이에 여기서 일반적으로 말하는 한국의 초밥이라 함은 하야즈지 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하야즈지에는 김초밥(노리마끼), 생선초밥(니기리즈시), 유부초밥(이나리즈시) 등이 널리 알려져 있음이 주지의 사실이다.In addition, sushi is generally divided into two types: narezushi, which is made by marinating meat in salt and then naturally fermenting it to give it an acidic taste, and hayazushi, which is rice seasoned with vinegar. Accordingly, the general term Korean sushi here refers only to Hayazu-ji, and such Hayazu-ji includes seaweed sushi (norimaki), fish sushi (nigirizushi), and tofu sushi (inari-zushi), etc. It is a well-known fact.

한편, 상기 다양한 형태의 재료를 이용한 초밥 중, 특히 생선초밥은 생선 본래의 맛과 영양을 그대로 지니게 한 음식으로써, 익히지 않은 회(膾) 형태의 생선을 고추냉이와 함께 둥글게 뭉쳐진 밥 위에 얹어서 먹게 되는 것인 바, 이때 밥의 온도는 보통 36~37℃, 상기 밥위에 올려지는 생선 온도는 5~10℃일 때, 가장 좋은 맛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eanwhile, among the various types of sushi mentioned above, fish sushi, in particular, is a food that retains the original taste and nutrition of the fish, and is eaten by placing uncooked fish in the form of raw fish on a round ball of rice with wasabi. It is known that the best taste is achiev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ice is usually 36 to 37 ℃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sh placed on the rice is 5 to 10 ℃.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초밥은 익히지 않은 어패류를 주재료로 이용함에 따라 취급되는 재료의 위생적인 관리와 신선도 유지, 그리고 조리된 초밥의 용이한 보관관계가 최상의 조건이라 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conventional sushi as described above uses uncooked fish and shellfish as the main ingredient, hygienic management and freshness of the ingredients handled, and easy storage of the cooked sushi can be said to be the best conditions.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초밥은 일련의 재료 취급 및 기타 조리된 상태에서의 보관 문제로 인하여 주로 전문 음식점을 통해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특히 생선 초밥의 경우에 있어서는 살아있는 생선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얇게 회를 쳐서 조리해야 해서 다년간의 조리경력이나 기타 자격을 취득한 전문요리사(셰프)에 의해서만 제대로 된 초밥의 맛을 낼 수 있다.Therefore, conventional sushi as described above is generally sold mainly through specialty restaurants due to problems with handling a series of ingredients and storing other items in a cooked stat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ish sushi, live fish is not used as is. Since the raw fish must be thinly sliced and cooked, only a professional chef (chef) with many years of cooking experience or other qualifications can create the perfect taste of sushi.

한편, 초밥을 완성한 후 장시간 보관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 관계로 전문 음식점에서도 주문이 있을 때 즉시 만들어 제공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더 발전된 형태로는 "오마카세 스시"라고 하는 형태로서, 초밥의 조리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테이블(스시 바)을 사이에 두고 셰프와 구매자가 마주 보는 상태에서 초밥을 제공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sushi is rarely stored for a long time after completion, even professional restaurants prepare and serve it immediately upon order. A more developed form is called "omakase sushi," which refers to the cooking process of sushi. Sushi is served with the chef and buyer facing each other across a table (sushi bar) so that customers can check the quality.

이러한 오마카세 스시의 매력은, 뭐니 뭐니 해도 셰프와 교감하면서 최고의 스시를 마주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예전부터 밥을 같이 먹으면 아무리 처음 만나는 사람이라도 '식구'라는 표현을 써가며 금방 친해지게 마련이며, 오마카세 스시 바는 단순히 음식을 먹는다는 차원을 뛰어넘는 장소이자 공간이 되고 있다.The appeal of omakase sushi is that you can experience the best sushi while interacting with the chef. In other words, if you eat together for a long time, even if you are meeting people for the first time, you will quickly become friends and use the expression 'family', and omakase sushi bars are becoming a place and space that goes beyond simply eating food.

특히, 같은 생선이라도 상황(손질이나 조리)에 따라 천차만별의 맛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오마카세는 그 경험을 잊지 못하고, 사람들이 자꾸만 찾게 만드는 묘한 매력을 가지고 있다.In particular, because even the same fish can taste ver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tuation (preparation or cooking), omakase has a strange charm that makes the experience unforgettable and keeps people coming back for more.

우리나라에서도 스시에 대한 이미지는 고급스럽고 정성이 가득한 요리이자 문화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나 아내나 친구한테도 하지 못하는 비밀 이야기를 셰프와는 자연스레 공유하면서 스시 바에 대한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Even in Korea, the image of sushi is recognized as a luxurious and elaborate cuisine and culture, and in particular, the popularity of sushi bars is increasing day by day as people naturally share secrets with chefs that they cannot tell even to their wives or friends.

다만, 기존의 오마카세 스시를 위한 테이블 시스템은 일반 테이블로 이동식 테이블이 이동하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여서 때에 따라 서비스를 위한 편의성에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기존과 차별화된 테이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However, the existing table system for omakase sushi is a regular table with a mobile table that moves around to provide service, so the convenience of service is inevitably lacking at times, so the need for a table system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 is emerging.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08-0035234호, 이동식 초밥 제공시스템.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35234, mobile sushi serving system.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10-0081274호, 회전 초밥 카운터.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81274, conveyor belt sushi counter.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을 먹기 위하여 손님이 착석하는 메인 테이블 각각에 오마카세 서비스를 위한 오마카세 테이블을 연결해서 하나의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손님으로서는 예컨대 오마카세 스시를 위한 최고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식당으로서는 서비스를 위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오마카세 테이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system by connecting an omakase table for omakase service to each of the main tables where guests sit to eat food, so that guests can receive the best service for omakase sushi, for example, and the restaurant The goal is to provide an omakase table system that can increase convenience for service.

상기 목적은, 손님이 착석하는 복수 개의 메인 테이블; 및 상기 메인 테이블 각각에 연결되게 마련되며, 해당 메인 테이블에 착석한 손님에게 오마카세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오마카세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오마카세 테이블은, 사각 형상의 함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초밥을 만들 수 있도록 요리판이 설치되고, 상기 요리판의 일측 상부에는 초밥용 밥이 수용된 밥용기가 안착되도록 상부안착부가 제공되며, 내부에는 초밥용 생선과 조리용 칼 및 식기류, 조리용 행주가 분리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부들이 형성되는 테이블 본체; 및 상기 테이블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블 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마카세 테이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purpose is to include a plurality of main tables where guests are seated; and a plurality of omakase table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main tables and provide omakase service to guests seated at the main tables, wherein the omakase tables are formed in a square-shaped enclosure. A cooking plate is installed at the top to make sushi, and an upper seating par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oking plate to seat a rice container containing sushi rice, and inside is sushi fish, cooking knives and tableware, and cooking plates. A table body in which storage spaces are formed so that dishcloths can be stored separately; And it is achieved by the omakase table system, which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able main body and includes a transfer part that allows the table main body to move.

상기 메인 테이블과 상기 오마카세 테이블이 영문자 T자형 배치 구조를 이루며, 상기 메인 테이블에는 착석을 위한 의자(chair)가 부속되어 한 세트를 이룰 수 있다.The main table and the omakase table form an English letter T-shaped arrangement structure, and a chair for seating is attached to the main table to form a set.

상기 테이블 본체의 수납공간부들은, 상기 테이블 본체의 내부 중앙 부위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좌측 및 우측으로 수납공간부를 구획하는 수직 구획판; 상기 수직 구획판에 의해 구획되는 좌측 수납공간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좌측 수납공간부를 다시 상측 및 하측으로 수납공간부를 구획하는 수평 구획판; 상기 수평 구획판에 의해 구획되는 상측 수납공간부에 전방으로 슬라이딩도록 설치되어 상측 수납공간부를 다시 상하로 구획하는 제1 서랍; 및 상기 수직 구획판에 의해 구획되는 우측 수납공간부에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우측 수납공간부를 다시 상하로 구획하는 제2 서랍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서랍은 제1 서랍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The storage space portions of the table main body include: a vertical partition plate installed vertically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table main body to partition the storage space portions into left and right sides; a horizontal partition plate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left storage space partitioned by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to divide the left storage space into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 first drawer installed to slide forward in the upper storage space divided by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and dividing the upper storage space up and down again; and a second drawer that is installed to slide forward in the right storage space partitioned by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and divides the right storage space up and down again, wherein the second drawer may be formed deeper than the first drawer. .

상기 테이블 본체의 어느 일측 벽면에는 초밥용 생선을 요리하기 위한 조리용 칼을 꽃아 보관할 수 있도록 상부만이 개구되는 칼 수납부가 설치되며, 상기 테이블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요리판의 후단으로 소정 높이의 단턱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On one wall of the table main body, a knife storage part is installed that is open only at the top so that a cooking knife for cooking sushi fish can be stored there, and a step of a predetermined height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table main body at the rear end of the cooking plate.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상기 이송부는, 상기 테이블 본체의 하단 모서리 부위에 각각 브래킷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브래킷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 및 상기 바퀴의 이동을 제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바퀴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브레이크판을 설치하고, 그 브레이크판을 바퀴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바퀴의 회전을 제동하여 이동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브레이크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브래킷의 일측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외측으로는 상하부돌기가 소정 간격을 이루게 돌출 형성된 작동판; 상기 작동판을 상하부로 작동시킬 수 있게 하여 상기 브레이크판이 바퀴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하부돌기의 사이에 설치되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상하부돌기를 상하부로 각각 밀어줄 수 있게 하는 작동캠면을 구비함과 아울러 양단에는 각각 누름편들이 형성된 조작레버; 상기 조작레버의 작동에 의해 상하부로 작동되는 작동판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판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돌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가 위치되도록 상기 브래킷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includes brackets rotatably installed at each lower edge of the table body, and wheel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rackets to enable movement; and installing a brake pla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to brake the movement of the wheel, and bringing the brake plat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to brake the rotation of the wheel and stop the movement. It includes a brake unit, wherein the brake unit includes an operation plate tha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rake plate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and has upper and lower protrusions protruding to the out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 operating cam surface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so that the operating plate can be operated up and down so that the brake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and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to push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up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In addition to being provided with an operating lever having push pieces formed on both ends, respectively; a guide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side the operating plate to guide the operating plate operate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And it may include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bracket to guide the guide projection so that the guide projection is positioned.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을 먹기 위하여 손님이 착석하는 메인 테이블 각각에 오마카세 서비스를 위한 오마카세 테이블을 연결해서 하나의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손님으로서는 예컨대 오마카세 스시를 위한 최고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식당으로서는 서비스를 위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is implemented by connecting an omakase table for omakase service to each of the main tables where guests sit to eat food, so that guests can receive the best service for, for example, omakase sushi, and as a restaurant, Thi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convenience for servi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마카세 테이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실제 시공 이미지이다.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오마카세 테이블에 대한 여러 각도의 이미지들이다.
도 7은 오마카세 테이블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오마카세 테이블에 구비되는 이송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이송부의 브레이크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브레이크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3은 브레이크부에 대한 단면도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마카세 테이블 시스템의 요부 확대 구성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시스템에 적용된 단위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개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makase tab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ure 1.
Figure 3 is an actual construction image of Figure 2.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3.
Figure 5 is a usage state diagram of Figure 2.
Figures 6A to 6D are images of the omakase table from various angles.
Figure 7 is a front view of the omakase table.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ure 7.
Figure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transfer unit provided on the omakase table.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rake part of the transfer part.
11 and 12 ar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rake unit.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ake unit.
Figure 14 is an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of main parts of the omakase tabl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n exploded view of the unit base plate applied to the system of Figure 14.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or example,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take on various forms, so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that can realize the technical idea.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s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ed thereby.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n this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mbiguous interpretation of the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ctionary meaning and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also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s exist in between. Meanwhil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them.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e existence of a combina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t excluding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All term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in some cases,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omitted.

(일 실시예)(one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마카세 테이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3은 도 2에 대한 실제 시공 이미지,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도 2의 사용상태도, 도 6a 내지 도 6d는 오마카세 테이블에 대한 여러 각도의 이미지들, 도 7은 오마카세 테이블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오마카세 테이블에 구비되는 이송부의 확대도, 도 10은 이송부의 브레이크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브레이크부의 작동 상태도, 도 13은 브레이크부에 대한 단면도이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makase tab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ure 1, Figure 3 is an actual construction image for Figure 2, Figure 4 is a diagram of Figure 3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Figure 5 is a state of use of Figure 2, Figures 6a to 6d are images of the omakase table from various angles, Figure 7 is a front view of the omakase table, Figure 8 is on line I-I of Figure 7 Figure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transfer unit provided on the omakase table,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rake unit of the transfer unit, Figures 11 and 12 are operating state diagrams of the brake unit, and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ake unit. .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오마카세 테이블 시스템은 음식을 먹기 위하여 손님이 착석하는 메인 테이블(10) 각각에 오마카세 서비스를 위한 오마카세 테이블(20)을 연결해서 하나의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손님으로서는 예컨대 오마카세 스시를 위한 최고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식당으로서는 서비스를 위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omakase table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mplements a system by connecting the omakase table 20 for omakase service to each of the main tables 10 where guests sit to eat food. By doing so, customers can receive the best service for, for example, omakase sushi, and restaurants can increase convenience for service.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오마카세 테이블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손님이 착석하는 복수 개의 메인 테이블(10)과, 메인 테이블(10) 각각에 연결되게 마련되며, 해당 메인 테이블(10)에 착석한 손님에게 오마카세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오마카세 테이블(20)을 포함한다. 도 1에서 오마카세 테이블(20)의 주변 공간은 손님이나 주방장, 혹은 서빙하는 사람이 이동하는 공간, 즉 복도에 해당한다.The omakase tab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can provide such effects,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main tables 10 where guests are seated, and to each of the main tables 10, as shown in FIGS. 1 to 5, , It includes a plurality of omakase tables (20) that provide omakase service to guests seated at the main table (10). In Figure 1, the space around the omakase table 20 corresponds to a space where guests, chefs, or servers move, that is, a hallway.

본 실시예에서 메인 테이블(10)과 오마카세 테이블(20)은 영문자 T자형 배치 구조를 이룬다.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즉 도 6처럼 메인 테이블(10)에 착석한 손님에게 주방장 혹은 요리사가 오마카세 테이블(20)을 이용해서 오마카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때문에, 만족도가 매우 높아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ain table 10 and the omakase table 20 form an English letter T-shaped arrangement structure. Therefore, convenience in use can be increased. That is, as shown in Figure 6, a chef or chef can provide omakase service to guests seated at the main table 10 using the omakase table 20. Therefore, satisfaction can be very high.

메인 테이블(10)에는 착석을 위한 의자(chair, 20)가 부속되어 한 세트를 이룬다. 본 실시예의 경우, 메인 테이블(10) 1개와, 의자(20) 4개가 한 세트를 이루는 것을 도시했으나, 의자(20)의 개수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A chair (20) for seating is attached to the main table (10) to form a set.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one main table 10 and four chairs 20 are shown forming a set, but the number of chairs 20 can be changed.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drawings.

한편, 오마카세 테이블(20)은 앞서 기술한 것처럼 메인 테이블(10) 각각에 연결되게 마련되며, 해당 메인 테이블(10)에 착석한 손님에게 오마카세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단이다.Meanwhile, the omakase table 2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main tables 10 as described above, and is a means of providing omakase service to guests seated at the main table 10.

이러한 오마카세 테이블(20)은 테이블 본체(100)와, 테이블 본체(100)에 마련되는 이송부(200)를 포함한다. 테이블 본체(100)에 이송부(200)가 마련되기 때문에, 오마카세 테이블(20)을 메인 테이블(10) 각각에 연결되게 설치하기가 좋고, 또한 청소 시 위치 이동하기에 유리하다.This omakase table 20 includes a table body 100 and a transfer unit 200 provided on the table body 100. Since the transfer unit 200 is provided on the table body 100, it is easy to install the omakase table 20 connected to each of the main tables 10, and it is also advantageous to move the position during cleaning.

테이블 본체(100)는 사각 형상의 함체형으로 이루어진다. 테이블 본체(100)의 상부에는 초밥을 만들 수 있도록 요리판(110)이 설치되고, 요리판(110)의 일측 상부에는 초밥용 밥이 수용된 밥용기가 안착되도록 상부안착부(114)가 제공되며, 내부에는 초밥용 생선과 조리용 칼 및 식기류, 조리용 행주가 분리 수납될 수 있도록 분리된 수납공간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테이블 본체(100)의 상단에는 요리판(110)의 후단으로 소정 높이의 단턱(112)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table main body 100 is made of a square-shaped enclosure. A cooking plate 11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table main body 100 to make sushi, and an upper seating part 11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oking plate 110 so that a rice container containing sushi rice is seated, and an internal Separated storage spaces may be formed so that sushi fish, cooking knives and tableware, and cooking cloths can be stored separately. A step 112 of a predetermined height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table main body 100 to protrude from the rear end of the cooking plate 110.

테이블 본체(100)의 수납공간부들은 테이블 본체(100)의 내부 중앙 부위에 수직 구획판(120)이 수직하게 설치되어 좌측 및 우측으로 수납공간부를 구획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 구획판(120)에 의해 구획되는 좌측 수납공간부에 수평 구획판(130)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좌측 수납공간부를 다시 상측 및 하측으로 수납공간부를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vertical partition plate 120 is installed vertically in the inner center of the table body 100 to divide the storage space into left and right sides.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130 is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left storage space partitioned by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120 to divide the left storage space into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gain.

이처럼 좌측 및 우측으로 수납공간부가 구획되는 각각의 수납공간부에는 제1 서랍(140)과 제2 서랍(15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서랍(140)은 좌측 수납공간부에서 수평 구획판(130)에 의해 구획되는 상측 수납공간부에 전방으로 슬라이딩도록 설치되어 제1 서랍(140)에 의해 상측 수납공간부를 다시 상하로 구획할 수 있다.In this way, a first drawer 140 and a second drawer 150 may be installed in each storage spac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t this time, the first drawer 140 is installed to slide forward from the left storage space to the upper storage space partitioned by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130, so that the upper storage space is moved up and down again by the first drawer 140. It can be divided.

제2 서랍(150)은 우측 수납공간부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제2 서랍(150)에 의해 우측 수납공간부를 다시 상하로 구획할 수 있다. 이때, 제2 서랍(150)은 제1 서랍(140)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drawer 150 is installed to slide forward in the right storage space, and the right storage space can be divided up and down again by the second drawer 150. At this time, the second drawer 150 may be formed deeper than the first drawer 140.

이처럼 테이블 본체(100)에는 서랍들의 깊이(공간)가 상호 다름과 아울러 수납공간부들의 깊이(공간) 역시 상호 다르게 구비되어 각 필요한 공간에 적절하게 초밥용 재료 및 도구 등을 수납할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table body 100, the depths (spaces) of the drawe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depths (spaces) of the storage spaces are also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sushi ingredients and tools, etc. can be stored appropriately in each necessary space.

테이블 본체(100)의 일측 벽면에는 초밥용 생선을 요리하기 위한 조리용 칼을 꽃아 보관할 수 있도록 상부만이 개구되는 칼 수납부(160)가 설치된다.A knife storage unit 160 is installed on one wall of the table main body 100, with only the top opening open so that a cooking knife for cooking sushi fish can be stored there.

테이블 본체(100)에 형성되는 수납공간부들에 초밥을 만들기 위한 초밥용 생선과 조리용 칼 및 식기류, 조리용 행주 등을 수납공간부들에 분리 수납하여 테이블 본체(100)만 있으면 용이하게 초밥을 만들 수 있게 할 수 있다.Sushi fish, cooking knives, tableware, and dishcloths for making sushi are stored separately in the storage spaces formed in the table main body 100, so that sushi can be easily made using only the table main body 100. It can be done.

테이블 본체(100)는 목재(원목)로 제작할 수 있는데, 오마카세 테이블(20)은 테이블 본체(100)의 하단에 설치되어 테이블 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able body 100 can be made of wood (solid wood). The omakase table 20 may include a transfer unit 20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able body 100 to move the table body 100. You can.

이송부(200)는 테이블 본체(100)의 하단 각 모서리부에 각각 브래킷(212)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브래킷(212)에 축(214)을 이용하여 회전되게 바퀴(210)를 설치하여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200 has brackets 212 rotatably installed at each lower corner of the table body 100, and wheels 210 are installed on the brackets 212 to rotate using an axis 214. It can be made portable.

이송부(200)는 바퀴(210)의 이동을 제동할 수 있도록 바퀴(210)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브레이크판(222)을 설치하고, 그 브레이크판(222)을 바퀴(210)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바퀴(210)의 회전을 제동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브레이크부(2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200 installs a brake plate 222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210 to brake the movement of the wheel 210, and attaches the brake plate 222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210.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brake unit 220 that prevents movement by braking the rotation of the wheel 210 by ensuring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heel.

브레이크부(220)는 테이블 본체(100)의 이동을 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바퀴(210)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브레이크판(222)을 설치하고, 그 브레이크판(222)을 바퀴(210)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바퀴(210)의 회전을 제동하여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The brake unit 220 is used to brake the movement of the table main body 100. A brake plate 222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210 to be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brake plate 222 is applied to the wheel.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210, the rotation of the wheel 210 can be braked to prevent movement.

이러한 브레이크부(220)에 의해 테이블 본체(100)를 이동시킨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함에 의해, 외력에 의해서도 테이블 본체(100)가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셰프가 테이블 본체(100)에서 안정적으로 초밥을 만들 수 있다.This brake unit 220 allows the table main body 100 to be fixed in a stationary state at the moved position, so that the table main body 100 is not moved even by external force, so the chef can move the table main body 100. You can make sushi reliably.

브레이크부(220)는 브레이크판(222)에 일체로 형성되어 브래킷(212)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작동판(224)을 구비하고, 작동판(224)의 외측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상하부돌기(224a,224b)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작동판(224)을 상하부로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조작레버(226)가 설치된다.The brake unit 2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rake plate 222 and has an operation plate 224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212, and upper and lower protrusions 224a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side of the operation plate 224. ,224b) is formed to protrude. In addition, an operation lever 226 is installed to operate the operation plate 224 up and down.

조작레버(226)는 브레이크판(222)이 바퀴(2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조작하는 것으로, 상하부돌기(224a,224b)의 사이에 설치되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하부돌기(224a,224b)를 상하 방향으로 각각 밀어줄 수 있게 하는 작동캠면(226a,226b)을 구비된다. The operating lever 226 operates so that the brake plate 2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210. It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rojections 224a and 224b and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to cause the upper and lower projections 224a and 224b. ) is provided with operating cam surfaces (226a, 226b) that can push the machin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respectively.

또한, 조작레버(226)의 양단에는 각각 누름편(225a,225b)들이 형성되어 조작레버(226)의 작동을 편리하게 한다. 이러한 작동판(224)과 조작레버(226)는 바퀴(210)가 설치되는 축(214)에 설치되는데, 작동판(224)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장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축(214)에 설치된다.In addition, push pieces 225a and 225b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operation lever 226, respectively, to conveniently operate the operation lever 226. The operating plate 224 and the operating lever 226 are installed on the shaft 214 on which the wheel 210 is installed. The operating plate 224 is formed in a long hole shape so that it can be mov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o that it can move on the shaft 214. is installed in

작동판(224)이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작동판(224)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가이드돌기(228)를 형성하고, 가이드돌기(228)가 위치되도록 브래킷(212)에 가이드홈(229)을 형성하여, 작동판(224)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가이드돌기(228)가 가이드홈(229)을 따라 이동되면서 안내하게 된다.In order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plate 224 in the vertical direction, a guide protrusion 228 is formed to protrude inside the operation plate 224, and a guide groove (228) is formed in the bracket 212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228 is positioned. 229) is formed so that when the operating plate 224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guide protrusion 228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229 to guide it.

이러한 구성으로 테이블 본체(100)를 이동한 후, 원하는 임의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게 제동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동은 브레이크부(220)에 의해 제동된다. 즉, 도 11처럼 조작레버(226)의 우측 끝단에 형성되는 누름편(225a,225b)을 하부로 눌러주게 되면 조작레버(226)는 회전되면서 조작레버(226)에 구비되는 작동캠면(226a,226b)이 작동판(224)에 돌출되게 형성된 하부돌기(224b)를 눌러주게 되므로 작동판(224)이 하부로 이동되면서 브레이크판(222)이 바퀴(2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게 되어 바퀴(210)를 제동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table body 100 can be moved and then braked to stop at any desired position, and this braking is performed by the brake unit 220. That is, when the pressing pieces 225a and 225b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operation lever 226 are pressed downward as shown in FIG. 11, the operation lever 226 rotates and the operating cam surface 226a, 226b) presses the lower protrusion 224b protruding from the operating plate 224, so that the operating plate 224 moves downward and pressurizes the brake plate 222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210. (210) can be braked.

또한, 도 12처럼 조작레버(226)의 좌측 끝단에 형성되는 누름편(225a,225b)을 하부로 눌러주게 되면 조작레버(226)는 위의 설명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조작레버에 구비되는 작동캠면(226a,226b)이 작동판(224)에 돌출되게 형성된 상부돌기(224a)를 상부로 밀어주게 되므로 작동판(224)이 상부로 이동되면서 브레이크판(222)이 바퀴(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되어 바퀴(210)를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2, when the pressing pieces 225a and 225b formed at the left end of the operating lever 226 are pressed downward, the operating lever 226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operating lever 226 is provided on the operating lever. The operating cam surfaces 226a and 226b push the upper protrusion 224a protruding from the operating plate 224 upward, so that the operating plate 224 moves upward and the brake plate 222 move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 210. It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wheel 210 so that it can rotate freely.

이처럼 조작레버(226)의 조작으로 작동판(224)이 이동될 때에는 가이드돌기(228)가 가이드홈(229)을 따라 이동되면서 작동판(224)을 안내하게 되어 정확한 작동이 가능하게 한다.In this way, when the operation plate 224 is moved by manipulating the operation lever 226, the guide protrusion 228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229 to guide the operation plate 224, thereby enabling accurate opera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을 먹기 위하여 손님이 착석하는 메인 테이블(10) 각각에 오마카세 서비스를 위한 오마카세 테이블(20)을 연결해서 하나의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손님으로서는 예컨대 오마카세 스시를 위한 최고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식당으로서는 서비스를 위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ich operates based on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an omakase table 20 for omakase servic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main tables 10 where customers sit to eat food, thereby creating a system. By implementing this, customers can receive the best service for, for example, omakase sushi, and restaurants can increase convenience for service.

(다른 실시예)(Other Embodiments)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마카세 테이블 시스템의 요부 확대 구성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시스템에 적용된 단위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개도이다.Figure 14 is an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ain part of the omakase tabl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5 is an expanded view of the unit base plate applied to the system of Figure 14.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오마카세 테이블 시스템 역시, 손님이 착석하는 복수 개의 의자(20)를 구비하는 메인 테이블(10)과, 메인 테이블(10) 각각에 연결되게 마련되며, 해당 메인 테이블(10)에 착석한 손님에게 오마카세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오마카세 테이블(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omakase table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lso provided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main table 10 and the main table 10,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chairs 20 on which guests sit. It includes a plurality of omakase tables (20) that provide omakase service to guests seated at the main table (10).

한편, 앞서 기술한 것처럼 메인 테이블(10)과 오마카세 테이블(20)은 한 세트로 이루어진다. 때문에, 본 시스템의 경우, 한 세트로 된 메인 테이블(10)과 오마카세 테이블(20)의 시공의 편의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단위 베이스 플레이트(50)를 포함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main table 10 and the omakase table 20 are made up of one set. Therefore, in the case of this system, a unit base plate 50 is included as a means for convenience of construction of the main table 10 and the omakase table 20 as a set.

단위 베이스 플레이트(50)는 복수 개의 의자(20)를 구비하는 메인 테이블(10)과 오마카세 테이블(20)을 쉽게 설치할 수 있게끔 하는 것으로서, 판상체로 된 베이스 플레이트(60)와, 베이스 플레이트(6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단부벽체(61)와, 베이스 플레이트(60) 및 단부벽체(61)에 형성되되 이들을 지면에 고정하는 복수 개의 앵커 고정 브래킷(70)을 포함한다.The unit base plate 50 allows easy installation of the main table 10 and the omakase table 20 having a plurality of chairs 20, and includes a plate-shaped base plate 60 and a base plate ( It includes an end wall 61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late 60 and a plurality of anchor brackets 70 formed on the end wall 61 and fixing them to the ground.

이에, 도 15와 같은 구조의 단위 베이스 플레이트(50)를 미리 설치해둔 상태에서, 단위 베이스 플레이트(50)를 이용해서 도 14처럼 복수 개의 의자(20)를 구비하는 메인 테이블(10)과 오마카세 테이블(20)을 배치하면 되기 때문에, 시공이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Accordingly, with the unit base plate 50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15 installed in advance, the main table 10 and the omakase table having a plurality of chairs 20 as shown in FIG. 14 are formed using the unit base plate 50. Since the table 20 can be placed,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can be increased.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음식을 먹기 위하여 손님이 착석하는 메인 테이블(10) 각각에 오마카세 서비스를 위한 오마카세 테이블(20)을 연결해서 하나의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손님으로서는 예컨대 오마카세 스시를 위한 최고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식당으로서는 서비스를 위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Even if this embodiment is applied, a single system is implemented by connecting the omakase table 20 for omakase service to each of the main tables 10 where guests sit to eat food, so that guests can provide the best service for omakase sushi, for example. can be received, and convenience for service can be increased for restaurants.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메인 테이블 20 : 의자
30 : 오마카세 테이블 100 : 테이블 본체
110 : 요리판 120 : 수직 구획판
130 : 수평 구획판 140 : 제1 서랍
150 : 제2 서랍 160 : 칼 수납부
200 : 이송부 210 : 바퀴
220 : 브레이크부
10: main table 20: chair
30: Omakase table 100: Table body
110: cooking plate 120: vertical partition plate
130: horizontal partition plate 140: first drawer
150: second drawer 160: knife storage unit
200: transfer unit 210: wheel
220: brake unit

Claims (5)

손님이 착석하는 복수 개의 메인 테이블; 및
상기 메인 테이블 각각에 연결되게 마련되며, 해당 메인 테이블에 착석한 손님에게 오마카세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오마카세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오마카세 테이블은,
사각 형상의 함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초밥을 만들 수 있도록 요리판이 설치되고, 상기 요리판의 일측 상부에는 초밥용 밥이 수용된 밥용기가 안착되도록 상부안착부가 제공되며, 내부에는 초밥용 생선과 조리용 칼 및 식기류, 조리용 행주가 분리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부들이 형성되는 테이블 본체; 및
상기 테이블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블 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마카세 테이블 시스템.
a plurality of main tables at which guests are seated; and
It is connected to each of the main table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omakase tables that provide omakase service to guests seated at the main table,
The omakase table is,
It is made of a square-shaped enclosure, and a cooking plate is installed at the top to make sushi. An upper seating par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oking plate to seat a rice container containing sushi rice, and inside is a cooking plate with fish for sushi and cooking. A table body in which storage spaces are formed so that knives, tableware, and cooking cloths can be stored separately; and
An omakase tab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ransfer unit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able main body to allow the table main body to m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테이블과 상기 오마카세 테이블이 영문자 T자형 배치 구조를 이루며,
상기 메인 테이블에는 착석을 위한 의자(chair)가 부속되어 한 세트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마카세 테이블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ain table and the omakase table form an English letter T-shaped arrangement structure,
An omakase tab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table is equipped with a chair for seating to form a s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본체의 수납공간부들은,
상기 테이블 본체의 내부 중앙 부위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좌측 및 우측으로 수납공간부를 구획하는 수직 구획판;
상기 수직 구획판에 의해 구획되는 좌측 수납공간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좌측 수납공간부를 다시 상측 및 하측으로 수납공간부를 구획하는 수평 구획판;
상기 수평 구획판에 의해 구획되는 상측 수납공간부에 전방으로 슬라이딩도록 설치되어 상측 수납공간부를 다시 상하로 구획하는 제1 서랍; 및
상기 수직 구획판에 의해 구획되는 우측 수납공간부에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우측 수납공간부를 다시 상하로 구획하는 제2 서랍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서랍은 제1 서랍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마카세 테이블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orage space portions of the table main body are,
A vertical partition plate installed vertically in the inner center of the table body to divide the storage space into left and right sides;
a horizontal partition plate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left storage space divided by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to divide the left storage space into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 first drawer installed to slide forward in the upper storage space divided by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and dividing the upper storage space up and down again; and
A second drawer is installed to slide forward in the right storage space partitioned by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and divides the right storage space up and down again,
The omakase table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drawer is formed deeper than the first dra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본체의 어느 일측 벽면에는 초밥용 생선을 요리하기 위한 조리용 칼을 꽃아 보관할 수 있도록 상부만이 개구되는 칼 수납부가 설치되며,
상기 테이블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요리판의 후단으로 소정 높이의 단턱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마카세 테이블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On one wall of the table main body, a knife storage part is installed with only the upper part open so that cooking knives for cooking sushi fish can be stored,
An omakase tab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of the table main body is formed so that a step of a predetermined height protrudes toward the rear end of the cook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테이블 본체의 하단 모서리 부위에 각각 브래킷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브래킷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 및
상기 바퀴의 이동을 제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바퀴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브레이크판을 설치하고, 그 브레이크판을 바퀴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바퀴의 회전을 제동하여 이동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브레이크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브래킷의 일측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외측으로는 상하부돌기가 소정 간격을 이루게 돌출 형성된 작동판;
상기 작동판을 상하부로 작동시킬 수 있게 하여 상기 브레이크판이 바퀴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하부돌기의 사이에 설치되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상하부돌기를 상하부로 각각 밀어줄 수 있게 하는 작동캠면을 구비함과 아울러 양단에는 각각 누름편들이 형성된 조작레버;
상기 조작레버의 작동에 의해 상하부로 작동되는 작동판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판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돌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가 위치되도록 상기 브래킷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마카세 테이블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ransfer unit,
Brackets are rotatably installed at the lower corners of the table body, and wheels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brackets to enable movement; and
A brake plate i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to brake the movement of the wheel, and the brake plat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thereby braking the rotation of the wheel and stopping the movement. includes wealth,
The brake unit,
an operating plate tha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rake plate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and has upper and lower protrusions protruding on the out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 operating cam surface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so that the operating plate can be operated up and down so that the brake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and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to push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up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In addition to being provided with an operating lever having push pieces formed on both ends, respectively;
a guide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side the operating plate to guide the operating plate operate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and
An omakase table system comprising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bracket to guide the guide projection so that the guide projection is positioned.
KR1020220047781A 2022-04-18 2022-04-18 Table system KR2023014868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781A KR20230148685A (en) 2022-04-18 2022-04-18 Tabl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781A KR20230148685A (en) 2022-04-18 2022-04-18 Tabl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685A true KR20230148685A (en) 2023-10-25

Family

ID=88515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781A KR20230148685A (en) 2022-04-18 2022-04-18 Tabl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8685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5234A (en) 2006-10-19 2008-04-23 이동균 Transferring type system for providing sushi
KR20100081274A (en) 2007-10-31 2010-07-14 다모츠 이시카와 Belt-conveyor sushi coun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5234A (en) 2006-10-19 2008-04-23 이동균 Transferring type system for providing sushi
KR20100081274A (en) 2007-10-31 2010-07-14 다모츠 이시카와 Belt-conveyor sushi coun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2249A (en) Multi-purpose cooker
CN102413746A (en) Combined tray and bowl system for food preparation sink
US9635980B2 (en) Fajita meal serving apparatus
KR20230148685A (en) Table system
US20060162250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fried plantains for filling or topping
Handy My favourite recipes
US20170143163A1 (en) Cooking pan
CN206808995U (en) It is roasting to rinse special chuck in a row
KR20200113494A (en) table steamer in a row
Levy Great britain: Wales
CN210407599U (en) Dining table and tray using same
KR200297371Y1 (en) A cook-pot
TW201731427A (en) Side dish compartment tray
CN209252339U (en) Complete crossing-over bridge rice noodles bowl frame lifts disk
Egan Improving the food experience
US8926306B2 (en) Food product press
Samuelsson Getting creative with less. Recipe lessons from the Australian Women's Weekly during wartime
Guerreiro et al. Fermented food
Rosero Hernandez et al. Catering and cooking
Morozova et al. ENGLISH BREAKFAST DIVERSITY
JPH0641470Y2 (en) table
Nguyen Cooking Vietnamese food in America used to require a trip to an Asian market. No more
Shukurov et al. AMERICAN VIEW OF RESTARAUNT SERVICE
Taylor What Shall We Have For Dinner Today?: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Misses Carew's Menu Book 1880 to 1883
Murni et al. Bali, Indone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