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575A - Seat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seat - Google Patents

Seat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s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575A
KR20230148575A KR1020220047495A KR20220047495A KR20230148575A KR 20230148575 A KR20230148575 A KR 20230148575A KR 1020220047495 A KR1020220047495 A KR 1020220047495A KR 20220047495 A KR20220047495 A KR 20220047495A KR 20230148575 A KR20230148575 A KR 20230148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eat
frame
side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4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진정
Original Assignee
(주)서연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연인테크 filed Critical (주)서연인테크
Priority to KR1020220047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8575A/en
Publication of KR20230148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575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54Cushion movements by translation only
    • B60N2/3056Cushion movements by translation only along longitun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되, 전방 양측 내면에 상향으로 절곡된 면에 한 쌍의 제1 결합 홀이 형성되고, 양측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후방 상측에 한 쌍의 제2 결합 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등을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방 양측에 한 쌍의 제1 링크 홀이 형성되며, 제1 링크 홀 상측에 한 쌍의 제2 링크 홀이 형성되어 제2 결합 홀에 회동 가능하도록 축 결합되는 백 프레임 및 착좌면이 형성되되, 전방 양측에 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형태의 장홀이 형성되고, 양측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며, 후방 상면 외측에 원기둥의 형태로 돌출되되 내부가 중공인 한 쌍의 링크돌기가 형성되고, 회동 가능하도록 링크돌기와 제1 링크 홀이 축 결합되는 쿠션 프레임을 포함하고, 제1 결합 홀과 장홀이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되, 쿠션 프레임은 장홀을 따라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is formed in an open form, and a pair of first coupling holes are formed on the upwardly bent surfaces of the inner surfaces of both front sides and the rear surfaces of both sides. A base frame is bent upward and has a pair of second coupling holes formed on the upper rear side, and is formed to support the back, and has a pair of first link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an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ink hole. A pair of second link holes are formed to form a back frame and a seating surface that are axially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hole so as to be rotatable, and long holes slanted forward and upwar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slant upwards at the rear on both sides. It is bent, and a pair of link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ar upper surface in the form of a cylinder but are hollow on the inside, and include a cushion frame in which the link protrusions and the first link hole are axially coupled so as to be rotatable, and a first coupling hole and A seat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can be provided, wherein the long hole is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and the cushion frame is guided along the long hole and fastened to enable sliding movement.

Description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Seat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seat}Seat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Seat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seat}

본 발명은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차량용 시트의 백 프레임과 쿠션 프레임을 링크 조립하여, 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닝 동작시 쿠션 프레임의 틸팅 동작이 연동되는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eat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in which the back frame and the cushion frame of a vehicle seat are linked and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cushion frame is linked during the reclining operation of the back frame. It's about.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 앞쪽과 뒤쪽으로 시트가 설치된다. 시트는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 백과, 탑승자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으로 구성된다. 시트는 탑승객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여러 가지 편의 기능을 갖추게 된다.Generally, seats are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interior. The seat consists of a seat back that supports the rider's back, and a seat cushion that supports the rider's hips and thighs. The seats will be equipped with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to provide convenience to passengers.

이러한 편의 기능으로서, 탑승객의 체형에 따라 시트 쿠션을 앞뒤로 밀고 당겨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 (sliding) 기능이나, 시트 백을 시트 쿠션에 대해 각도 조절할 수 있는 리클라이닝(reclining) 기능 등이 있다. 리클라이닝 기능은 시트 쿠션과 시트 백의 힌지 결합 부위에 장착된 리클라이너에 의해 제공된다.These convenience functions include a sliding function that can adjust the seat cushion by pushing and pulling it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passenger's body type, and a reclining function that can adjust the angle of the seat back with respect to the seat cushion. The reclining function is provided by a recliner mounted on the hinged joint of the seat cushion and seat back.

앞서 말했듯이, 시트는 앞, 뒤로 설치되는데 상술한 기능들로 인해 뒤쪽에 위치한 시트에 탑승한 탑승객은 좌석과 좌석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어 탑승에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As mentioned earlier, the seats are installed front and back, and due to the above-mentioned functions, passengers riding on seats located at the back may experience discomfort while boarding because the gap between the seats is reduced.

또한, 리클라이너 설치로 인해 시트 백 및 시트 쿠션을 이루는 프레임에 다수의 홀을 가공해야 하여, 프레임의 강성이 떨어지게 되고,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차량부품 경량화에 있어서, 리클라이너 설치로 인하여 그 중량이 증가하게 된다.In addition, due to the installation of a recliner, a large number of holes must be machined in the frame that forms the seat back and seat cushion, which reduces the rigidity of the frame. In lightening vehicle parts, which has recently become an issue, the weight of the recliner increases. It increases.

더불어, 대형 차량의 시트와 연동하는 리클라이너의 경우에는 고가의 전동 방식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시트 제조 원가의 상승을 야기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recliners that work with the seats of large vehicles, they are implemented using an expensive electric system, which causes an increase in seat manufacturing costs.

따라서, 좌석과 좌석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여 탑승객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리클라이너 설치 없이 슬라이딩, 리클라이닝 등의 기능을 갖춘 시트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eat that relieves passengers' discomfort by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seats and has functions such as sliding and reclining without installing a recliner.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32345호 "차량 시트백 리클라이너 및 조립체"가 있다.The prior art include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32345, “Vehicle Seatback Recliner and Assembly.”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시트를 이루는 백 프레임과 쿠션 프레임의 구조를 연동하고, 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닝 각도 및 쿠션 프레임의 슬라이딩 길이, 틸팅 각도를 제한하여 리클라이너 설치 없이 시트 동작이 가능하게 하고, 뒷좌석 탑승객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는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links the structures of the back frame and cushion frame that make up the seat, and limits the reclining angle of the back frame and the sliding length and tilting angle of the cushion frame, allowing seat operation without installing a reclin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eat with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that can relieve the discomfort of rear seat passenger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는 전방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되, 전방 양측 내면에 상향으로 절곡된 면에 한 쌍의 제1 결합 홀이 형성되고, 양측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후방 상측에 한 쌍의 제2 결합 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등을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방 양측에 한 쌍의 제1 링크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링크 홀 상측에 한 쌍의 제2 링크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결합 홀에 회동 가능하도록 축 결합되는 백 프레임 및 착좌면이 형성되되, 전방 양측에 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형태의 장홀이 형성되고, 양측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며, 후방 상면 외측에 원기둥의 형태로 돌출되되 내부가 중공인 한 쌍의 링크돌기가 형성되고,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링크돌기와 상기 제1 링크 홀이 축 결합되는 쿠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A seat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 is formed in an open front shape, and a pair of first coupling holes are formed on the upwardly bent surfaces of the inner surfaces of both front sides, A base frame is formed in a shape that supports the back and is bent obliquely upward at the rear on both sides to form a pair of second coupling holes on the upper rear side, and a pair of first link holes are formed on both lower sides, and the first link A pair of second link 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le to form a back frame and a seating surface that are pivotably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hole, and long holes that are inclined forward and upwar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It is bent upward at the rear, and a pair of link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ar upper surface in the form of a cylinder but are hollow on the inside, and include a cushion frame in which the link protrusions and the first link hole are axially coupled so as to be rotatable. You can.

여기서, 상기 제1 결합 홀과 상기 장홀이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쿠션 프레임은 상기 장홀을 따라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Here,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long hole are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and the cushion frame may be guided along the long hole and fastened to enable sliding movement.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양측 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백 프레임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제한 플레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ase frame may be bent inward from both rear surfaces to form a limiting plate that limits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 frame.

또한, 상기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양측 내면에 구비되되, 후단이 상기 백 프레임의 하단 양측과 결합되는 한 쌍의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 having the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may be provid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base frame and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dampers whose rear ends are coupled to both lower ends of the back frame.

또한, 상기 쿠션 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속되는 제1 기어 치가 형성된 상기 장홀이 전방에 구비되고, 후단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후단 상면 외측으로 상기 링크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쿠션 플레이트, 한 쌍의 상기 제1 쿠션 플레이트 후방 내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2 쿠션 플레이트, 상기 제2 쿠션 플레이트 전면에 형성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되, 후단이 상향으로 절곡되는 제3 쿠션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쿠션 플레이트 후면에 양측에 형성되되, 상기 장홀 방향으로 원기둥 형태의 돌기가 상기 장홀 및 상기 제1 결합 홀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홀 내면에 맞닿는 돌기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기어 치와 맞물리는 제2 기어 치가 형성된 한 쌍의 기어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shion frame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ng hole in which continuous first gear teeth are formed is provided at the front, and the rear end is inclined upward and the link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A plate, a second cushion plate formed to connect the rear inner side of the pair of the first cushion plates, a third cushion plate formed on the front of the second cushion plate and extending forward, the rear end of which is bent upward, and the third cushion plate I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cushion plate, and a cylindrical protrusion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hole to penetrate the long hole and the first coupling hole, and engages with the first gear tooth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trusion abut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ong hole. It may include a pair of gear bodies on which second gear teeth are formed.

또한, 상기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는 상기 쿠션 프레임의 양측 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굴곡면이 형성된 굴곡체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 상면의 중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굴곡체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굴곡체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굴곡면과 맞닿는 쐐기가 형성된 이동 조절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 having the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middle of both sides of the cushion frame, extends upward from the middle of the upp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curved body with a curved surface and the base frame,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curved body. It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control body that is bent and has a wedg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curved body that contacts the curved surface.

또한, 상기 장홀은 상기 쿠션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되, 내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부재의 외주면 형태와 대응하는 굴곡부가 연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ng hole extends rear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shion frame, and a curv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는 시트 쿠션의 이동시 이와 연동되어 시트 백의 각도가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시트 쿠션과 시트 백의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seat having the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interlocked with the seat cushion when it is moved so that the angle of the seat back changes, allowing the seat cushion and the seat back to operate simultaneously.

특히, 별도의 리클라이너 설치 없이 리클라이닝, 틸팅 동작이 가능하여 전동식 시트 대비 프레임 강성을 높일 수 있고, 경량화를 이룰 수 있으며, 제조 원가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particular, reclining and tilting operations are possible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recliner, which can increase frame rigidity compared to electric seats, achieve weight reduction, and reduce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costs.

또한, 회동하는 각도를 제한하여 뒷좌석 탑승객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scomfort of rear seat passengers can be alleviated by limiting the turning angle.

또한, 시트 쿠션이 급격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at cushion from moving suddenly.

또한, 시트 쿠션의 틸팅 동작에 따라 시트 쿠션 전단의 각도가 변화되어 착석자의 다리가 지면으로부터 떠올라 발이 바닥에 닿지 않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ngle of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changes according to the tilting motion of the seat cushion, thereby preventing the discomfort of the seated person's legs rising from the ground and the feet not touching the flo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베이스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백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쿠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도 1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댐퍼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의 쿠션 프레임에 기어체 및 장홀에 제1 기어 치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쿠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 쿠션 플레이트 및 제2 쿠션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제3 쿠션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의 (a) 및 (b)는 도 9이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에 굴곡체 및 이동 조절체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의 장홀이 연장되어 굴곡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쿠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t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e frame of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frame of Figure 1.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ushion frame of Figure 1.
Figures 6 (a) and (b)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Figure 1.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amper provided in Figure 1.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irst gear teeth formed in the gear body and long hole in the cushion frame of the seat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ushion frame of Figure 8.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cushion plate and the second cushion plate of Figure 9.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hird cushion plate of Figure 9.
Figures 12 (a) and (b)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Figure 9.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t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a bending body and a movement adjusting body.
Figure 14 is a plan view of Figure 13.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rved portion formed by extending a long hole of a sheet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ushion frame of Figure 15.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tak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 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 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 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a combina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components,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limited to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combinations of steps, components, etc. is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Here, repeated descriptions, known func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ar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6.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베이스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백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쿠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의 (a) 및 (b)는 도 1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도 1에 댐퍼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t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e frame of Figure 1, and Figure 4 is a view of Figure 1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fram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ushion frame of Figure 1, Figures 6 (a) and (b)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Figure 1, and Figure 7 is provided with a damper in Figure 1. This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what has happen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1)는 차량에 설치되는 시트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버스, 트럭, 승합차 등의 상용차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at 1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seat installed in a vehicle, and can preferably be installed in a commercial vehicle such as a bus, truck, or va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1)는 베이스 프레임(100), 백 프레임(200) 및 쿠션 프레임(3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seat 1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may include a base frame 100, a back frame 200, and a cushion frame 300.

베이스 프레임(100)은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1)의 전체 틀을 잡아주는 프레임으로, 차량 내부 바닥과 결합될 수 있다.The base frame 100 is a frame that holds the entire frame of the seat 1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and can be coupled to the floor inside the vehicle.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100)은 전방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되, 전방 양측 내면에 상향으로 절곡된 면에 한 쌍의 제1 결합 홀(131)이 형성되고, 양측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후방 상측에 한 쌍의 제2 결합 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the base frame 100 is formed in an open front shape, with a pair of first coupling holes 131 formed on the upwardly bent surfaces of the inner surfaces of both front sides and the rear surfaces of both sides. It may be bent obliquely upward to form a pair of second coupling holes 132 on the upper rear side.

더욱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00)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 및 제3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ase frame 100 may include a first base plate 110, a second base plate 120, and a third base plate.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양측 한 쌍으로 차량의 내부 바닥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base plate 110 is formed to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can be coupled to the interior floor of the vehicle as a pair on both sides.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마주보는 내면으로 수직 절곡되어 하면과 차량의 내부 바닥이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base plate 110 may be vertically bent toward the facing inner surface to couple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late 110 to the inner floor of the vehicle.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전방이 개방된 'ㄷ'형태로 형성되어, 양 측면이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base plate 120 is formed in a 'ㄷ' shape with an open front, so that both sides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late 110.

제3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양측 상면을 따라 연장되어, 양측 한 쌍으로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base plate 130 extends along both upper surfaces of the second base plate 120 and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plate 120 as a pair on both sides.

또한, 제3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전방 양측 내면이 상향으로 절곡되어 내측 절곡면이 형성되고, 내측 절곡면에 한 쌍의 제1 결합 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nner surfaces of both front sides of the third base plate 130 are bent upward to form an inner curved surface, and a pair of first coupling holes 131 may be formed on the inner bent surface.

이렇게 형성된 제1 결합 홀(131)은 후술할 장홀(311)과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hole 131 formed in this way can be fastened to the long hole 31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제3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양측 외면에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ㄴ'자 형태의 절곡면이 형성되고, 'ㄴ'자 형태의 절곡면의 후방 상측에 제2 결합 홀(132)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base plate 130 is formed with an 'ㄴ' shaped bending surface that is inclined backward and upward on both outer surfaces, and a second coupling hole 132 is formed on the rear upper side of the 'ㄴ' shaped bending surface. can be formed.

이렇게 형성된 제2 결합 홀(132)은 후술할 제2 링크 홀(202)과 체결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hole 132 formed in this way can be fastened to the second link hole 20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베이스 프레임(100)은 양측 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백 프레임(20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제한 플레이트(140)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ase frame 100 may be bent inward from both rear surfaces to form a limiting plate 140 that limits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 frame 200.

구체적으로, 제한 플레이트(140)는 백 프레임(200)의 회동 각도를 0 ° 내지 40 °의 각도로 제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mit plate 140 may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 frame 200 to an angle of 0° to 40°.

또한, 제한 플레이트(140)는 백 프레임(200)과 이격공간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백 프레임(200)에 시트 커버(미도시)가 장착되었을 경우, 시트 커버의 두께를 고려한 것이다.Additionally, the limit plate 140 may have a space separated from the back frame 200,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thickness of the seat cover (not shown) when the back frame 200 is mounted.

이에,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1)는 백 프레임(200)이 회동되는 각도가 제한하여 뒷좌석 탑승객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seat 1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limits the angle at which the back frame 200 is rotated, thereby relieving discomfort for rear seat passengers.

백 프레임(200)은 등을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ck frame 200 may be formed to support the back.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백 프레임(200)은 하방 양측에 한 쌍의 제1 링크 홀(201)이 형성되며, 제1 링크 홀(201) 상측에 한 쌍의 제2 링크 홀(202)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4, the back frame 200 has a pair of first link holes 201 formed on both lower sides, and a pair of second link holes 202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ink hole 201. ) can be formed.

이때, 백 프레임(200)은 제2 링크 홀(202)과 제2 결합 홀(132)이 나사, 핀 등에 의해 체결되어 베이스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축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ck frame 200 may be pivot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100 by fastening the second link hole 202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132 using screws, pins, etc.

이에, 백 프레임(200)은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면서,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등을 지지하는 각도가 변화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back frame 200 supports the back of the seated person and rotates around its axis to change the angle at which it supports the back.

쿠션 프레임(300)은 착좌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cushion frame 300 may be formed as a seating surface.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쿠션 프레임(300)은 전방 양측에 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형태의 장홀(311)이 형성되고, 양측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며, 후방 상면 외측에 원기둥의 형태로 돌출되되 내부가 중공인 한 쌍의 링크돌기(312)가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ure 5, the cushion frame 300 is formed with long holes 311 inclined forward and upward on both front sides, bent upward at the rear on both sides, and protruding in the form of a cylinder on the outer side of the rear upper surface. However, a pair of link protrusions 312 that are hollow on the inside may be formed.

이때, 사용자는 장홀(311)의 형태를 변경하여, 쿠션 프레임(300)의 틸팅 각도 및 이와 연동된 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닝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can change the shape of the long hole 311 to limit the tilting angle of the cushion frame 300 and the reclining angle of the back frame linked thereto.

더욱 구체적으로, 쿠션 프레임(300)은 제1 쿠션 플레이트(310), 제2 쿠션 플레이트(320) 및 제3 쿠션 플레이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ushion frame 300 may include a first cushion plate 310, a second cushion plate 320, and a third cushion plate 330.

이때, 제1 쿠션 플레이트(310), 제2 쿠션 플레이트(320) 및 제3 쿠션 플레이트(330)는 용접 결합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ushion plate 310, the second cushion plate 320, and the third cushion plate 330 are welded to form one frame, but they are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combined in various ways.

제1 쿠션 플레이트(31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 양측과 수평선상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단이 상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ushion plate 310 is formed to be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0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formed with the rear end bent upward.

여기서, 제1 쿠션 플레이트(310)는 전방 양측에 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형태의 장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cushion plate 310 may have long holes 311 formed on both front sides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이러한 제1 쿠션 플레이트(310)는 제1 결합 홀(131)과 장홀(311)이 나사, 핀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베이스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This first cushion plate 310 can be coupled to the base frame 100 by fastening the first coupling hole 131 and the long hole 311 wit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or pin.

이때, 제1 쿠션 플레이트(310)는 장홀(311)을 따라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ushion plate 310 may be guided along the long hole 311 and fastened to enable sliding movement.

또한, 제1 쿠션 플레이트(310)는 후방 상면 외측에 원기둥의 형태로 돌출되되 내부가 중공인 링크돌기(312)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cushion plate 310 may have a link protrusion 312 that protrudes in the form of a cylinder but is hollow on the outside of the rear upper surface.

이러한 제1 쿠션 플레이트(310)는 링크돌기(312)와 제1 링크 홀(201)이 나사, 핀 등에 의해 체결되어 백 프레임(2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축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ushion plate 310 may be pivotably coupled to the back frame 200 by fastening the link protrusion 312 and the first link hole 201 using screws, pins, etc.

구체적으로, 쿠션 플레이트(310)는 제1 링크 홀(201)을 관통하고, 링크돌기(312) 내부에 삽입되는 나사, 핀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ushion plate 310 passes through the first link hole 201 and may be fastened with a screw, pin, etc. inserted into the link protrusion 312.

이에, 쿠션 프레임(300)은 백 프레임(200)의 각도 변화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장홀(311)을 따라 가이드되어 전방 상향 또는 후방 하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ushion frame 300 may slide in the front-back direc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angle of the back frame 200, and may be guided along the long hole 311 and tilted forward upward or backward downward.

또한, 제1 쿠션 플레이트(310)는 후술할 제3 쿠션 플레이트(330)가 결합되고, 착석자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하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된 받침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ushion plate 310 may be coupled to the third cushion plate 3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may have a support surface bent from the lower side to the front so as to withstand the weight of the seated person.

제2 쿠션 플레이트(320)는 한 쌍의 제1 쿠션 플레이트(310) 후방 내측을 연결할 수 있다.The second cushion plate 320 may connect the rear inner side of the pair of first cushion plates 310.

제3 쿠션 플레이트(330)는 한 쌍의 제2 쿠션 플레이트(320)를 연결하도록 전면에 형성되며, 전방으로 연장되되, 후단이 상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cushion plate 33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o connect the pair of second cushion plates 320, extends forward, and may be formed with the rear end bent upward.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쿠션 플레이트(310), 제2 쿠션 플레이트(320) 및 제3 쿠션 플레이트(330)는 서로 결합되어 착좌면을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ushion plate 310, the second cushion plate 320, and the third cushion plate 330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seating surface.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여,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1)의 동작을 설명하자면, 도 6의 (a)는 백 프레임(200)이 기립한 상태이다.Referring to Figures 6 (a) and (b),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seat 1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Figure 6 (a) shows the back frame 200 in an upright state.

이때, 쿠션 프레임(300)은 지면과 수평을 이룬 상태이며, 장홀(311)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의 위치는 장홀(311)의 전방 상측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ushion frame 300 is in a horizontal state with the ground, and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e long hole 311 can be confirmed to be locat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long hole 311.

도 6의 (b)는 백 프레임(200)이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각도가 변화된 상태이다.In (b) of FIG. 6, the back frame 200 is rotated around its axis and the angle is changed.

구체적으로, 백 프레임(200)은 제2 링크 홀(202)과 제2 결합 홀(132)이 체결된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다.Specifically, the back frame 200 is tilted backward by rotating around the axis where the second link hole 202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132 are fastened.

더욱 구체적으로, 백 프레임(200)은 제2 링크 홀(202)의 상측 부분은 후방으로, 제2 링크 홀(202)의 하측 부분은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 frame 200 of the second link hole 202 may be tilted rearwar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link hole 202 may be tilted forward.

이때, 쿠션 프레임(300)은 백 프레임(200)이 회동되면서 장홀(3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전방 상향으로 틸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ushion frame 300 slides along the long hole 311 as the back frame 200 rotates, and is tilted forward and upward.

여기서, 장홀(311)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의 위치는 장홀(311)의 후방 하측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Here,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e long hole 311 is located on the rear lower side of the long hole 311.

구체적으로, 쿠션 프레임(300)은 백 프레임(200)의 제1 링크 홀(201) 즉, 제2 링크 홀(202) 보다 하측에 결합되기 때문에,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Specifically, since the cushion frame 300 is coupled lower than the first link hole 201, that is, the second link hole 202, of the back frame 200, it can slide forward.

이때, 쿠션 프레임(300)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장홀(311)을 따라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때문에, 전방 상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cushion frame 300 slides forward, it is guided along the long hole 311 and slides, so it can be tilted forward and upward.

이렇듯,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1)는 시트 쿠션과 시트 백의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seat 1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the seat cushion and the seat back can operate simultaneously.

특히,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1)는 별도의 리클라이너 설치 없이 리클라이닝, 틸팅 동작이 가능하여 전동식 시트 대비 프레임 강성을 높일 수 있고, 경량화를 이룰 수 있으며, 제조 원가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eat (1) with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allows reclining and tilting operations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recliner, which can increase frame rigidity compared to an electric seat, achieve weight reduction, and reduce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costs. You can.

도 7을 참조하면,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1)는 베이스 프레임(100) 양측 내면에 구비되되, 후단이 백 프레임(200)의 하단 양측과 결합되는 한 쌍의 댐퍼(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eat 1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is provid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base frame 100, and further includes a pair of dampers 400 whose rear ends are coupled to both lower sides of the back frame 200. can do.

구체적으로, 댐퍼(400)는 전단이 제3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내면에 결합되고, 후단이 백 프레임(200)의 최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축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ront end of the damper 40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base plate 130, and the rear end may be pivotably coupled to the lowermost end of the back frame 200.

이때, 댐퍼(400)는 바람직하게 유압식 댐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백 프레임(200)이 급격하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양한 종류의 댐퍼(400)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amper 400 may preferably be a hydraulic damper,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of dampers 400 that prevent the back frame 200 from rotating rapidly.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의 쿠션 프레임에 기어체 및 장홀에 제1 기어 치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쿠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제1 쿠션 플레이트 및 제2 쿠션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제3 쿠션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의 (a) 및 (b)는 도 9이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gear teeth formed in the gear body and the long hole in the cushion frame of the seat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ushion frame of Figure 8.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and second cushion plates of Figure 9,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hird cushion plate of Figure 9, and Figures 12 (a) and (b) show the operation of Figure 9. This is an example diagram.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1)의 쿠션 프레임(300)은 기어체(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 and 9 , the cushion frame 300 of the seat 1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ear body 340.

이때, 제1 쿠션 플레이트(310)의 받침면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surface of the first cushion plate 310 is not formed.

또한, 제3 쿠션 플레이트(330)는 별도의 용접 결합 없이, 기어체(340)에 의해 제1 쿠션 플레이트(310)에 결합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hird cushion plate 3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ushion plate 310 through the gear body 340 without separate welding.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장홀(311)은 내면에 연속되는 제1 기어 치(311a)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ure 10, the long hole 311 may have continuous first gear teeth 311a formed on its inner surface.

여기서, 제1 기어 치(311a)는 기어체(340)가 맞물려 회동될 수 있도록 장홀(311)의 상면 또는 하면 중 하나의 면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gear teeth 311a are preferably formed on only one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s of the long hole 311 so that the gear body 340 can engage and rotate.

도 11을 참조하면, 기어체(340)는 제3 쿠션 플레이트(330) 후면 양측에 형성되되, 장홀(311) 방향으로 원기둥 형태의 돌기가 장홀(311)및 제1 결합 홀(131)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gear body 34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third cushion plate 330, and a cylindrical protrusion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hole 311 penetrates the long hole 311 and the first coupling hole 131. It can be formed to do so.

구체적으로, 기어체(340)는 제1 쿠션 플레이트(310)보다 내면에 형성되어,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장홀(311) 및 제1 결합 홀(131)을 관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gear body 340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cushion plate 310 and can penetrate the long hole 311 and the first coupling hole 131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또한, 기어체(340)는 장홀(311)을 관통하는 끝 단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에 의해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조립될 수 잇다.In addition, the gear body 34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threa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penetrating the long hole 311 and is assembled with a nut,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assembled in various ways.

또한, 기어체(340)는 장홀(311) 내면에 맞닿는 외주면을 따라 제1 기어 치(311a)와 맞물리는 제2 기어 치(341)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ear body 340 may be formed with second gear teeth 341 engaged with the first gear teeth 311a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but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ong hole 311.

구체적으로, 제2 기어 치(341)는 돌기의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gear teeth 341 may be formed inside the protrusion.

또한, 돌기는 제2 기어치(341)가 형성되는 부분의 굵기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의 굵기보다 굵게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gear teeth 341 are formed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gear teeth 341 are not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쿠션 프레임(300)의 제3 쿠션 플레이트(330)는 쿠션 프레임(300) 전체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장홀(311)에 가이드 되어 틸팅될 때, 기어체(340)가 장홀(311)의 제2 기어치(341)와 맞물려 회동되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hird cushion plate 330 of the cushion frame 300 is guided to the long hole 311 and tilted according to the slide movement of the entire cushion frame 300, the gear body 340 moves through the long hole ( The angle can be adjusted by engaging and rotating with the second gear tooth 341 of 311).

구체적으로, 도 12의 (a) 및 (b)를 참조하여, 제3 쿠션 플레이트(330)의 기어체(340) 회동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자면, 도 12의 (a)는 쿠션 프레임(300)의 전체 구성이 지면과 수평을 이룬 상태이다.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ures 12 (a) and (b), to describe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ear body 340 of the third cushion plate 330, Figure 12 (a) shows the cushion frame 300 The entire structure is level with the ground.

이때, 설계자의 요구에 따라, 제3 쿠션 플레이트(330)의 각도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쿠션 프레임(300)이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은 경우에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designer's request, the angle of the third cushion plate 33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but when the cushion frame 300 does not slid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horizontal with the ground.

도 12의 (b)는 쿠션 프레임(300)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전방 상향으로 틸팅된 것을 상태이다.Figure 12(b) shows the cushion frame 300 sliding and tilting forward and upward.

이때, 제3 쿠션 프레임(330)은 하측으로 회동되어 기울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hird cushion frame 330 is rotated downward and tilted.

또한, 장홀(311)을 관통하는 기어체(340)의 위치가 장홀(311)의 후방 하측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osition of the gear body 340 penetrating the long hole 311 is located on the rear lower side of the long hole 311.

구체적으로, 제1 쿠션 프레임(310)이 장홀(311)을 따라 가이드되어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 기어체(340)는 장홀(311)의 제1 기어 치(311a)에 맞물린 제2 기어치(341)에 의해 회동하고, 회동하는 기어체(340)에 의해 제3 쿠션 프레임(330) 또한 회동하여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Specifically, when the first cushion frame 310 is guided along the long hole 311 and moves forward, the gear body 340 is a second gear tooth 341 engaged with the first gear tooth 311a of the long hole 311. ), and the third cushion frame 330 is also rotated and tilted downward by the rotating gear body 340.

이에,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진 시트(1)는 시트 쿠션의 틸팅 동작에 따라 시트 쿠션 전단의 각도가 변화되어 착석자의 다리가 지면으로부터 떠올라 발이 바닥에 닿지 않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at 1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changes the angle of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according to the tilting motion of the seat cushion, thereby preventing the discomfort of the seated person's legs rising from the ground and the feet not touching the floor.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에 굴곡체 및 이동 조절체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이다.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t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a bending body and a movement control body, and Figure 14 is a plan view of Figure 13.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1)는 굴곡체(500) 및 이동 조절체(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3 and 14, the seat 1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urved body 500 and a movement adjusting body 600.

굴곡체(500)는 쿠션 프레임(300)의 양측 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굴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curved body 500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middle of both sides of the cushion frame 300, and may have a curved surface.

구체적으로, 굴곡체(500)는 제1 쿠션 프레임의 외측면 중단에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urved body 500 may be formed at the middl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ushion frame.

또한, 굴곡체(500)의 굴곡면은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ved surface of the curved body 500 is formed gently.

이동 조절체(60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양측 상면의 중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되, 굴곡체(500) 방향으로 절곡되고, 굴곡체(500)와 마주보는 면에 굴곡면과 맞닿는 쐐기(610)가 형성될 수 있다.The movement control body 600 extends upward from the middle of the upp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100,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urved body 500, and has a wedge 610 in contact with the curved surface on the surface facing the curved body 500. ) can be formed.

구체적으로, 이동 조절체(600)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vement control body 60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late 110.

또한, 쐐기(610)는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소재로 형성되고, 이동 조절체(60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edge 61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rubber, and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ovement control body 600.

구체적으로 쐐기(610)는 굴곡체(500)와 맞닿는 타면에 끼움 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이동 조절체(600)의 쐐기(610)가 형성되는 면에 끼움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edge 610 has a fitting groove (not shown)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at contacts the curved body 500, and a fitting protrusion (not show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ovement control body 600 where the wedge 610 is formed. It can be inserted through interference fit.

이에, 쐐기(610)는 굴곡체(500)와 맞닿아 마찰에 의해 마모될 경우, 용의하게 교체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wedge 610 is worn due to friction in contact with the curved body 500, it can be easily replaced.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1)는 굴곡체(500)와 이동 조절체(600)를 구비함으로써, 시트 쿠션이 급격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댐퍼(400) 적용 대비 경량화를 이룰 수 있으며, 제조 원가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 seat 1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curved body 500 and a movement control body 600, thereby preventing the seat cushion from moving rapidly and achieving weight reduction compared to the application of the damper 400. Cost and maintenance costs can be reduced.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의 장홀이 연장되어 굴곡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쿠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rved portion formed by extending a long hole of a seat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ushion frame of Figure 15.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1)의 장홀(311)은 쿠션 프레임(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5 and 16, the long hole 311 of the seat 1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may extend rear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shion frame 300.

구체적으로, 장홀(311)은 제1 쿠션 플레이트(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ng hole 311 may extend rear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ushion plate 310.

이때, 제한 플레이트(140)는 백 프레임(200)가 회동할 수 있는 각도 범위를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miting plate 140 forms a large angular range over which the back frame 200 can rotate.

또한, 장홀(311)은 내면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부재의 외주면 형태와 대응하는 굴곡부(311b)가 연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ng hole 311 may have curved portions 311b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이에, 쿠션 프레임(300)은 최대 틸팅 각도를 유지하면서도, 전방으로 더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ushion frame 300 can slide further forward while maintaining the maximum tilting angle.

또한, 쿠션 프레임(300)은 슬라이딩 이동시, 체결부재가 장홀(311)의 굴곡부(311b)에 걸림으로써,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ushion frame 300 is sliding, the position of the cushion frame 300 can be fixed by being caught by the fastening member on the curved portion 311b of the long hole 311.

구체적으로, 쿠션 프레임(300)의 슬라이딩 이동 후 착석했을 경우, 하측으로 형성되는 압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착석 후 시트의 각도, 위치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eat is seated after sliding the cushion frame 300, the pressure formed on the lower side fixes the seat so that it does not move further, thereby preventing the angle and position of the seat from changing after seatin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를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 그 장치에 포함된 구성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devices, but may also be implemented through devices for realizing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included in the devices, etc., and such implementation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n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또한,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can also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invention rights.

1 :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
100 : 베이스 프레임
110 : 제1 베이스 플레이트
120 : 제2 베이스 플레이트
130 : 제3 베이스 플레이트
131 : 제1 결합 홀
132 : 제2 결합 홀
140 : 제한 플레이트
200 : 백 프레임
201 : 제1 링크 홀
202 : 제2 링크 홀
300 : 쿠션 프레임
310 : 제1 쿠션 플레이트
311 : 장홀
311a : 제1 기어 치
311b : 굴곡부
312 : 링크돌기
320 : 제2 쿠션 플레이트
330 : 제3 쿠션 플레이트
340 : 기어체
341 : 제2 기어 치
400 : 댐퍼
500 : 굴곡체
600 : 이동 조절체
610 : 쐐기
1: Sheet with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100: base frame
110: first base plate
120: second base plate
130: third base plate
131: first coupling hole
132: second coupling hole
140: limit plate
200: back frame
201: 1st link hole
202: 2nd link hole
300: Cushion frame
310: first cushion plate
311: Janghol
311a: first gear tooth
311b: bend part
312: Link projection
320: second cushion plate
330: Third cushion plate
340: gear body
341: 2nd gear tooth
400: damper
500: curved body
600: movement controller
610: wedge

Claims (6)

전방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되, 전방 양측 내면에 상향으로 절곡된 면에 한 쌍의 제1 결합 홀이 형성되고, 양측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후방 상측에 한 쌍의 제2 결합 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등을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방 양측에 한 쌍의 제1 링크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링크 홀 상측에 한 쌍의 제2 링크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결합 홀에 회동 가능하도록 축 결합되는 백 프레임 및
착좌면이 형성되되, 전방 양측에 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형태의 장홀이 형성되고, 양측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며, 후방 상면 외측에 원기둥의 형태로 돌출되되 내부가 중공인 한 쌍의 링크돌기가 형성되고,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링크돌기와 상기 제1 링크 홀이 축 결합되는 쿠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홀과 상기 장홀이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쿠션 프레임은 상기 장홀을 따라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
The front is formed in an open shape, and a pair of first coupling holes are formed on the upwardly bent surfaces of the inner surfaces of both front sides, and the rear sides of both sides are obliquely bent upward to form a pair of second coupling holes on the upper rear sides. base frame;
It is formed in a shape to support the back, a pair of first link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and a pair of second link 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ink hole so that the axis can be rotated in the second coupling hole. combined back frame and
A seating surface is formed, with long holes sloping forward and upward on both front sides, bent upward at the rear on both sides, and a pair of link protrusions that protrude in the form of a cylinder but are hollow on the inside on the outside of the rear upper surface. and a cushion frame in which the link protrusion and the first link hole are axially coupled so as to be rotatable,
A seat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wherein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long hole are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and the cushion frame is guided along the long hole and fastened to enable sliding move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양측 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백 프레임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제한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
According to clause 1,
The base frame is,
A seat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limiting plate is formed by bending inward from both rear surfaces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양측 내면에 구비되되, 후단이 상기 백 프레임의 하단 양측과 결합되는 한 쌍의 댐퍼를 더 포함하는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
According to clause 1,
The seat having the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A seat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dampers provid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base frame, the rear ends of which are coupled to both lower sides of the back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속되는 제1 기어 치가 형성된 상기 장홀이 전방에 구비되고, 후단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후단 상면 외측으로 상기 링크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쿠션 플레이트;
한 쌍의 상기 제1 쿠션 플레이트 후방 내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2 쿠션 플레이트;
상기 제2 쿠션 플레이트 전면에 형성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되, 후단이 상향으로 절곡되는 제3 쿠션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쿠션 플레이트 후면에 양측에 형성되되, 상기 장홀 방향으로 원기둥 형태의 돌기가 상기 장홀 및 상기 제1 결합 홀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홀 내면에 맞닿는 돌기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기어 치와 맞물리는 제2 기어 치가 형성된 한 쌍의 기어체를 포함하는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
According to clause 1,
The cushion frame is,
A pair of first cushion plat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ing the long hole formed with continuous first gear teeth at the front, and having the rear end bent upward to form the link protrusion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a second cushion plate formed to connect rear inner sides of the pair of first cushion plates;
A third cushion plate formed on the front of the second cushion plate and extending forward, the rear end of which is bent upward;
I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third cushion plate, and a cylindrical protrusion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hole to penetrate the long hole and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first gear tooth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trusion abut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ong hole. A seat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including a pair of gear bodies formed with second gear teeth that engage wit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는,
상기 쿠션 프레임의 양측 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굴곡면이 형성된 굴곡체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 상면의 중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굴곡체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굴곡체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굴곡면과 맞닿는 쐐기가 형성된 이동 조절체를 더 포함하는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
According to clause 1,
The seat having the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A curved bod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cushion frame and having a curved surface, and
It extends upward from the middle of the upp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urved body, and has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movement adjuster having a wedg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curved body and abutting the curved surface. She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홀은,
상기 쿠션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되, 내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부재의 외주면 형태와 대응하는 굴곡부가 연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
According to clause 1,
The Janghol,
A seat having a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rear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shion frame and has a curved portion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KR1020220047495A 2022-04-18 2022-04-18 Seat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seat KR202301485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495A KR20230148575A (en) 2022-04-18 2022-04-18 Seat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495A KR20230148575A (en) 2022-04-18 2022-04-18 Seat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se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575A true KR20230148575A (en) 2023-10-25

Family

ID=8851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495A KR20230148575A (en) 2022-04-18 2022-04-18 Seat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se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857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686B1 (en) Seating part of a vehicle seat
US7637571B2 (en) Vehicle seat assembly
US9061621B2 (en) Seat-cushion shell unit and shell seat for vehicle
US8414055B2 (en) Vehicle seat
JP4990893B2 (en) Vehicle seat
AU2012319835C1 (en) Vehicle seat
JP2018127082A (en) Center folding seat back
JP2009500224A5 (en)
KR102644560B1 (en) Seat back for vehicle
CN110435506B (en) Zero-gravity seat and automobile comprising same
US20060103211A1 (en) Seat assembly with inner seat back movable with a seat cushion
JP2000025503A (en) Load transmission structural member for seat assembly
KR20230148575A (en) Seat cushion interlocking structure seat
CN211244442U (en) Frame and massager
KR102242928B1 (en) Seat Recling Device for Automobile
CN114394043A (en) Framework of adjustable seat and adjustable seat
JP7364938B2 (en) vehicle seat
JP2021066437A (en) Vehicle seat
JP5499870B2 (en) seat
KR102032781B1 (en) Reclining chair
CN101795889A (en) Vehicle seat, in particular motor vehicle seat
KR100551769B1 (en) Seat-tilt device for working together seat-track in automobile
KR102366118B1 (en) Seat-back having Shoulder Adjuster
WO2018020767A1 (en) Vehicle seat
JP6860801B2 (en) Vehic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