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405A -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 Google Patents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405A
KR20230148405A KR1020220047244A KR20220047244A KR20230148405A KR 20230148405 A KR20230148405 A KR 20230148405A KR 1020220047244 A KR1020220047244 A KR 1020220047244A KR 20220047244 A KR20220047244 A KR 20220047244A KR 20230148405 A KR20230148405 A KR 20230148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tent
hub
button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희
Original Assignee
장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준희 filed Critical 장준희
Priority to KR1020220047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8405A/ko
Publication of KR20230148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40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2Supporting means, e.g. frames external type, e.g. frame outside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에 관한 것으로 텐트 천장에 위치하여, 텐트의 골조를 이루는 복수의 폴대를 고정하는 중심축 역할을 하는 허브와, 허브의 하부에서 캡조작구의 회동에 의해 수직으로 왕복 운동하여 폴대의 결합구에 위치한 스프링버튼을 일괄로 가압하여 눌러서 폴대를 허브몸체에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이동판과, 이동판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판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캠조작구를 포함하여, 텐트 설치 시 허브에 버튼식 폴대를 삽입하기만 하면, 스프링버튼이 자동으로 눌리면서 정위치에 결합되므로, 텐트 설치 작업이 쉽고 간편하고,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텐트 해체 시 한 번의 조작으로 허브에 복수 설치된 버튼식 폴대의 스프링버튼을 일괄로 눌러준 상태에서 버튼식 폴대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텐트 해체 작업이 매우 쉽고 간편하고, 해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Hub Assembly for Supporting Tent Poles and Ten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텐트 설치 시 허브에 버튼식 폴대를 삽입하면 스프링버튼이 자동으로 눌리면서 정위치에 결합되고, 텐트 해체 시 한 번의 조작으로 허브에 설치된 전체 버튼식 폴대의 스프링버튼을 일괄로 눌러준 상태에서 버튼식 폴대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텐트의 설치/해체 작업이 간편하고, 설치/해체 시간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튼식 폴대를 허브에 삽입 시 임시로 걸칠 수 있고, 분리 시 이탈을 방지하여 버튼식 폴대를 멀리서 잡아도 정위치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폴대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와 설치 시간 허비를 방지할 수 있는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에 관한 것이다.
텐트는 산ㆍ들ㆍ물가 따위에서 야영을 할 때, 눈ㆍ비ㆍ바람 따위를 막거나 볕을 가리기 위하여 기둥을 세우거나 말뚝을 박고 포장 천으로 막처럼 지어 놓은 것으로, 복수의 폴대가 텐트의 용도와 구조에 따른 골조를 이루고, 골조의 외부를 감싸는 스킨으로 구성된다.
텐트는 사용 계절, 외피 역할을 하는 스킨의 구성 성분, 사용 인원 수, 형태, 자립/비자립, 무게, 사용 환경, 폴대의 고정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텐트의 형태 구분에 있어서, 돔, 리빙쉘, 터널형 텐트가 주로 많이 사용된다. 이중에서 돔 텐트는 설치가 비교적 쉽고, 부피가 작을 뿐만 아니라 가격도 비교적 저렴하여 오토용 혹은 백패킹용으로써, 캠핑 입문 초보자가 선호하는 타입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돔 텐트는 골조 역할을 하는 복수의 폴대가 텐트의 천장 중앙에서 시작되어 방사상으로 아치 형상을 이루면서 끝단이 바닥에 고정되는 형태로, 중앙에는 복수의 폴대를 고정하기 위한 허브가 위치한다.
허브에 폴대의 시작단을 결합하기 위한 방식으로 크게 두 가지 방식이 통용되고 있다. 첫 번째는 아치 구조를 이루은 복수의 폴대 중 일부가 고무줄을 통해 허브와 미리 연결되어 서로 이탈이 방지된 상태에서 텐트를 설치할 수 있게 한 방식(이하 '고무줄식' 이라 칭함)이고, 두 번째는 폴대의 시작단에 스프링 버튼이 설치되어, 스프링 버튼을 통해 허브에 쉽게 결합하면서 텐트를 설치할 수 있게 한 방식(이하 '버튼식' 이라 칭함)이다.
그러나 고무줄식의 경우 허브에 폴대를 결합/해제하는 과정에서 고무줄의 내구성이 감소하여 고무줄이 예기치 않게 끊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복수의 폴대 중 일부가 허브에 계속 연결된 채로 있기 때문에 부피가 커서 텐트 휴대 시 불편함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폴대의 시작단이 허브에 헐거운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골조의 견고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버튼식의 경우 허브에 삽입할 경우에는 폴대 시작단에 위치한 버튼을 하나씩 누르면서 허브에 삽입 및 결합해야 하고, 허브에서 폴대를 분리할 경우 천장에 위치한 버튼을 일일이 눌러준 상태에서 분리를 진행해야하는 불편이 있다. 그에 따라 텐트 설치 및 해체 작업 시간도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8330호에는 허브체에 텐트의 지지폴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소켓이 형성되고, 소켓에는 관공으로 된 삽입부가 형성되며, 삽입부의 내주면 하부 측에 삽입공 방향으로 지지폴의 탄성질 결합편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소켓의 삽입공에 텐트의 지지폴의 상단부를 끼워 지지폴에 구비된 결합편이 소켓에 구비된 결합공에 록킹되도록 하여 대형의 텐트나 캐노피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텐트 지지폴의 지지용 허브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텐트를 해체할 경우 천장에 위치한 지지폴의 결합편을 일일이 눌러줘야만 각 지지폴을 허브에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불편하고, 텐트 해체 작업도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KR 10-2013-0058330 A
본 발명의 목적은 텐트 설치 시 허브에 버튼식 폴대를 삽입하기만 하면, 스프링버튼이 자동으로 눌리면서 정위치에 결합되므로, 텐트 설치 작업이 쉽고 간편하고,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텐트 해체 시 한 번의 조작으로 허브에 복수 설치된 버튼식 폴대의 스프링버튼을 일괄로 눌러준 상태에서 버튼식 폴대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텐트 해체 작업이 매우 쉽고 간편하고, 해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버튼식 폴대를 허브에 삽입할 때 임시로 걸친 후 밀어서 삽입할 수 있으므로, 길이가 긴 버튼식 폴대를 멀리서 잡아도 정위치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버튼식 폴대를 허브에 삽입할 때 위치를 잘 못 잡은 경우 폴대의 탄력에 의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폴대의 낙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와 텐트 설치 시간 허비를 방지해줄 수 있는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허브 하단에 위치하여 텐트 설치 또는 해체시 사용자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조작하는 조작구에 랜턴이나 캠핑용품 또는 의복을 걸어 놓고 활용할 수 있는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허브몸체(110)와, 상기 허브몸체(11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가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폴대(10)의 끝단이 결합되는 폴대삽입구(120)와, 상기 폴대삽입구(120)의 입구에 선단이 상기 폴대(10)의 관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후단은 상기 폴대(10)의 관경과 동일하도록 경사진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경사테이퍼(130)와, 상기 폴대삽입구(120)의 하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폴대(10)의 스프링버튼(14)이 결합되는 버튼결합공(140)과, 상기 허브몸체(110)의 하부 중앙측에 원판 형상으로 파여지도록 형성된 중앙홈(150)과, 상기 허브몸체(110)의 하부 외측에서 링 형상으로 상기 중앙홈(150)보다 얕게 파여지도록 형성된 외측홈(160)이 구비된 허브(100);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허브몸체(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중심축이 상기 중앙홈(150)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삽설되는 중앙돌출구(210)와, 상기 중앙돌출구(21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결판(220)과, 상기 연결판(220)의 끝단을 하나로 이어주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 가압판(230)이 구비된 이동판(200); 및 상기 중앙돌출구(210)에 삽설되는 스프링(310)과, 상기 허브몸체(110)의 상부 중앙에서 상기 중앙홈(150)과 상기 중앙돌출구(210)의 중심축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결합핀(320)와, 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핀(320)의 끝단에서 상기 중앙돌출구(210)의 하부와 접촉되도록 횡 방향으로 축결합되는 캠회동턱(330)과, 상기 캠회동턱(330)의 상부측과 상기 결합핀(320)를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회동핀(340)과, 상기 캠회동턱(330)의 하부에서 C형상의 고리 모양으로 연장되는 고리부(350)가 구비된 캠조작구(300);를 포함하되, 상기 고리부(350)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조작함에 따라 상기 캠회동턱(330)의 회전 운동이 상기 결합핀(320)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 변환되어 상기 가압판(230)이 상기 스프링버튼(14)을 일괄 가압하여 상기 폴대삽입구(120)에 결합된 상기 폴대(10)를 손쉽게 분리되도록 하거나, 상기 스프링버튼(14)에 대한 상기 가압판(230)의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폴대삽입구(120)에 결합되는 상기 폴대(10)의 상기 스프링버튼(14)이 상기 버튼결합공(140)에 원활히 결합되어 상기 폴대(10)가 상기 허브몸체(110)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허브(100)는, 상기 허브몸체(110)의 외주면 둘레 하부에서 외측으로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폴대(10)를 상기 폴대삽입구(120)에 삽입 또는 분리할 때 하부를 지지해주며, 상기 폴대(10)가 상기 폴대삽입구(120)에 정위치로 삽입되도록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인입가이드턱(170)을 더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이동판(200)은, 상기 연결판(220)의 끝단과 상기 가압판(230)의 내측 사이를 상기 가압판(230)이 상기 연결판(220)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굴곡지게 연결해주어 상기 이동판(200)의 상승 시 상기 가압판(230)이 상기 스프링버튼(14)에 더욱 밀착되게 가압 해주는 절곡판(240)을 더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허브(100)는, 상기 허브몸체(110)의 외주면 둘레 상부에서 외측으로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폴대(10)를 상기 폴대삽입구(120)에 삽입 시 외부로 이탈을 방지해주는 이탈방지턱(180)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캠조작구(300)는, 상기 고리부(350)의 끝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리부(350)에 걸이에 건 물건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370)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텐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텐트(2)의 설치 시 폴대삽입구(120)의 입구에 경사테이퍼(130)가 형성되어 폴대(10)의 결합구(12)를 폴대삽입구(120)를 향해 밀어 넣기만 하면 스프링버튼(14)이 자동으로 눌려진 상태로 손쉽게 폴대(10)를 정위치에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텐트(2)의 설치 작업이 쉽고 간편하고,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텐트(2)의 해체 시 캠조작구(300)의 고리부(350)를 수평으로 접어주는 한 번의 조작을 통해 이동판(200)이 상승하여 링 형상의 가압판(230)이 전체 폴대(10)의 스프링버튼(14)이 들어가도록 일괄 가압해주어 스프링버튼(14)이 계속해서 폴대(10)의 결합구(12) 내부로 들어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폴대삽입구(120)에서 폴대(10)를 외측으로 잡아 당기기만 하면 손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텐트(2)의 해체 작업이 매우 쉽고 간편하고, 각 폴대(10)의 스프링버튼(14)을 일일이 손으로 눌러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해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허브몸체(110)의 하부 외측에 링 형상으로 돌출된 인입가이드턱(170)이 형성되어 폴대(10)를 폴대삽입구(12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임시로 걸쳐 놓고 조립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길이가 긴 폴대(10)를 멀리서 잡은 상태에서도 폴대삽입구(120)의 정위치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허브몸체(110)의 상부 외측에 링 형상으로 돌출된 이탈방지턱(180)이 형성되어 폴대(10)를 폴대삽입구(12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폴대(10)의 탄력에 의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폴대(10)의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텐트(2)의 설치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텐트(2)의 설치 시간 허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판(200)의 연결판(220)의 끝단과 가압판(230)의 내측 사이에는 가압판(230)이 연결판(220)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굴곡지게 연결해주는 절곡판(240)이 형성되어, 캠조작구(300)에 의해 이동판(200)이 상승 시 가압판(230)이 폴대(10)의 스프링버튼(14)을 더욱 밀착되게 가압해주어 스프링버튼(14)을 더욱 확실하고 강하게 눌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캠조작구(300)의 고리부(350)를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랜턴이나 캠핑용품 또는 의복 등의 물건을 걸어 놓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고리부(350)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370)이 물건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의 이등각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의 상부 기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의 하부 기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에서 캠조작구(300)의 고리부(350)가 수평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하부 기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에서 캠조작구(300)의 고리부(350)가 수평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 기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가 설치된 텐트(2)를 나타낸 이등각 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의 이등각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의 상부 기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의 하부 기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허브(100)의 내부 구조 도시를 위해 일부 폴대(1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먼저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로써 폴대(10)는 끝단에 후술할 폴대삽입구(120)에 끼워맞춤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12)를 형성하였고, 결합구(12)에 스프링버튼(14)이 설치된 형태를 나타내었지만, 결합구(12)가 생략되어 폴대(10)의 끝단에 스프링버튼(14)이 바로 설치된 형태의 폴대(10)도 적용이 가능하다.
허브(100)는 텐트 천장에 위치하여, 텐트의 골조를 이루는 복수의 폴대(10)를 고정하는 중심축 역할을 한다. 허브(100)는 몸체를 이루는 허브몸체(110)와, 허브몸체(110)에 복수 형성된 폴대삽입구(120)와, 폴대삽입구(120)의 입구에 형성된 경사테이퍼(130)와, 폴대삽입구(120)의 내부에 형성된 버튼결합공(140)과, 허브몸체(11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중앙홈(150)과, 허브몸체(110)의 하부 외측에 형성된 외측홈(160)이 구비된다.
허브몸체(11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진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허브몸체(110)의 두께는 폴대(10)의 끝단에 형성된 결합구(12)의 관경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나아가 허브몸체(110)의 중심축에는 허브핀홀(112)이 관통형성된다. 허브핀홀(112)에는 후술할 캠조작구(300)의 결합핀(320)이 설치된다.
폴대삽입구(120)는 허브몸체(110)의 외주면 전체 둘레를 따라 복수가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내측을 향해 원기둥 형상으로 파여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폴대삽입구(120)는 복수가 허브몸체(110)의 외측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폴대삽입구(120)의 직경은 폴대(10)의 결합구(12)보다 크게 형성되되, 폴대(10)의 결합구(12)가 폴대삽입구(120)에 헐거운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는 공차를 가진다.
경사테이퍼(130)는 폴대삽입구(120)의 입구에 형성되는 것으로, 폴대삽입구(120)에 폴대(10)의 결합구(12)가 결합될 때, 결합구(12)에 위치한 스프링버튼(14)이 경사테이퍼(130)에 접촉되면서 자동으로 눌리도록 해준다.
경사테이퍼(130)는 선단이 폴대(10)의 결합구(12)의 관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후단은 폴대(10)의 결합구(12)의 관경과 동일하도록 폴대삽입구(120)의 중심을 향해 경사진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폴대삽입구(120)에 폴대(10)의 결합구(12)를 삽입하면, 결합구(12)가 폴대삽입구(120)를 향해 전진하면서 스프링버튼(14)이 경사테이퍼(130)와 먼저 접촉하게 되고, 경사테이퍼(130)와 접촉된 스프링버튼(14)이 폴대(10)가 전진함에 따라 자동으로 눌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폴대삽입구(120)가 폴대(10)를 삽입하기 위하여 스프링버튼(14)을 일일이 손으로 눌러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텐트 설치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설치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버튼결합공(140)은 폴대삽입구(120)의 내측 하부에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버튼결합공(140)의 직경은 스프링버튼(1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되, 스프링버튼(14)이 헐거운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는 공차를 가진다. 이때 버튼결합공(140)의 위치는 폴대삽입구(120)의 하부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홈(150)은 허브몸체(110)의 하부 중앙측에 원판 형상으로 파여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중앙홈(150)의 파여지는 깊이는 허브몸체(110)의 두께에서 절반 정도를 차지하도록 형성되며, 허브몸체(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파여지는 반경은 폴대삽입구(120)의 끝단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즉 중앙홈(150)은 폴대삽입구(12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만큼의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외측홈(160)은 허브몸체(110)의 하부 외측에 링 형상으로 파여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외측홈(160)의 파여지는 깊이는 폴대삽입구(120)의 하부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외측홈(160)과 중앙홈(150)은 허브몸체(110)의 하부에서 계단식으로 파여진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외측홈(160)과 중앙홈(150)에는 후술할 이동판(200)이 삽설된다.
한편, 허브(100)에는 허브몸체(110)의 외주면 둘레의 하부측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인입가이드턱(170)과, 허브몸체(110)의 외주면 둘레의 상부측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이탈방지턱(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입가이드턱(170)은 허브몸체(110)의 외주면 둘레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인입가이드턱(170)은 링 형상으로 허브몸체(110)의 외주면 둘레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인입가이드턱(170)은 하부는 평탄면을 이루며 상부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인입가이드턱(170)은 경사테이퍼(130)의 선단과 이어지도록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인입가이드턱(170)은 폴대(10)의 결합구(12)를 폴대삽입구(120)에 삽입 또는 빼낼 때 결합구(12)의 하부를 임시로 걸쳐지게 지지해주는 역할과, 인입가이드턱(170)에 걸쳐진 결합구(12)를 폴대삽입구(120)로 전진시켜주면 경사면을 통해 결합구(12)가 미끄러지면서 폴대삽입구(120)의 정위치에 원활히 삽입되도록 가이드해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복수의 폴대(10)로 텐트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결합구(12)의 중심을 폴대삽입구(120)의 중심에 정확히 맞춰줄 필요없이, 인입가이드턱(170)에 폴대(10)의 결합구(12)를 걸친 상태에서 전방으로 밀어주기만 하면 결합구(12)가 폴대삽입구(120)에 정위치되면서 끼워 맞춤 삽입되므로, 길이가 긴 폴대(10)를 사용자가 멀리서 잡아도 천장 쪽에 위치한 허브(100)의 폴대삽입구(120)에 정위치를 용이하게 잡아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텐트 설치 시간도 대폭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탈방지턱(180)은 허브몸체(110)의 외주면 둘레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탈방지턱(180)은 링 형상으로 허브몸체(110)의 외주면 둘레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이탈방지턱(180)은 상부는 평탄면을 이루며 하부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이탈방지턱(180)은 경사테이퍼(130)의 선단과 이어지도록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이탈방지턱(180)은 폴대삽입구(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술한 인입가이드턱(170)과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이탈방지턱(180)은 폴대(10)의 결합구(12)를 폴대삽입구(120)에 끼워 맞춤 삽입 시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이탈방지턱(180)은 폴대(10)의 결합구(12)를 인입가이드턱(170)에 걸친 상태에서 폴대삽입구(120)를 향해 삽입할 때 위치를 잘 못 잡은 경우 폴대(10)의 탄력에 의해 튕기거나, 폴대(10)의 결합구(12)를 폴대삽입구(120)에 삽입하기 위해 위치를 잡는 과정에서 폴대(10)가 상부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로써 이탈방지턱(180)은 폴대(10)의 결합구(12)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줌으로써, 폴대(10)의 이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폴대(10)의 이탈로 인한 텐트 설치 시간의 허비를 방지해주게 된다.
이동판(200)은 허브(100)의 하부에서 후술할 캠조작구(300)의 회동에 의해 수직으로 왕복 운동하여 폴대(10)의 결합구(12)에 위치한 스프링버튼(14)을 일괄로 가압하여 눌러서 폴대(10)를 허브몸체(110)에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하거나, 허브(100)의 하부에서 스프링버튼(14)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스프링버튼(14)이 허브몸체(110)의 버튼결합공(140)에 원활히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판(200)은 원기둥 형상의 중앙돌출구(210)와, 중앙돌출구(210)를 중심으로 외측을 향하여 방사형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결판(220)과, 연결판(220)의 끝단을 하나로 이어주는 링 형상의 가압판(230)이 구비된다.
중앙돌출구(210)는 허브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중앙홈(150)과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삽설된다. 중앙돌출구(210)의 중앙에는 중앙핀홀(212)이 관통형성된다. 중앙핀홀(212)에는 후술할 캠조작구(300)의 결합핀(320)이 설치된다.
연결판(220)은 얇은 판 형상으로 중앙돌출구(210)의 하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복수 형성된다. 연결판(220)은 중앙돌출구(210)를 중심으로 적어도 3 내지 5개가 형성되어 이동판(200)의 무게를 경량화 시켜주며, 이동판(200)에 가해지는 힘을 균등하게 가압판(230) 전체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연결판(220)은 넓이가 선단은 얇고, 후단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연결판(220)의 길이는 허브몸체(110)의 하부에서 스프링버튼(14)과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된다.
가압판(230)은 얇은 판 형상으로 연결판(220)의 끝단을 하나로 이어주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가압판(230)은 외측단이 허브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외측홈(160)과 헐거운 끼워맞춤 되도록 형성된다. 가압판(230)은 외측홈(160)의 내주면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수직 왕복 운동하게 된다.
가압판(230)은 이동판(200)이 상승하게 되면 허브몸체(110)의 버튼결합공(140)에서 돌출된 복수의 스프링버튼(14)과 일괄 접촉하여, 스프링버튼(14)이 버튼결합공(140)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일괄 가압해준다. 그에 따라 가압판(230)은 링 형상의 넓이가 버튼결합공(140)보다 넓게 형성된다.
한편, 이동판(200)에는 연결판(220)과 가압판(230) 사이를 연결해주는 절곡판(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곡판(240)은 가압판(230)이 연결판(220)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연결해준다. 절곡판(240)은 얇은 판 형상으로 연결판(220)의 끝단에서 가압판(230)의 내측 사이를 굴곡지게 연결해주도록 절곡 형성된다.
절곡판(240)은 이동판(200)의 상승 시 가압판(230)이 스프링버튼(14)에 더욱 밀착되도록 해준다. 즉 가압판(230)이 절곡판(240)에 의해 연결판(22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가압판(230)에 더 많은 힘이 가해져서 스프링버튼(14)을 더욱 밀착되어 일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즉 절곡판(240)에 의해 가압판(230)이 스프링버튼(14)을 더욱 확실하고 강하게 눌러줄 수 있게 된다.
캠조작구(300)는 이동판(200)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판(200)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캠조작구(300)는 이동판(200)의 중앙돌출구(210)에 삽설되는 스프링(310)과, 허브(100)의 허브몸체(110)의 중심축에 형성되는 허브핀홀(112) 및 이동판(200)의 중앙돌출구(210)의 중심축에 형성되는 중앙핀홀(212)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결합핀(320)과, 결합핀(320)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캠회동턱(330)과, 캠회동턱(330)과 결합핀(320)의 끝단을 횡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회동핀(340)과, 캠회동턱(33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리부(350)를 구비한다.
스프링(310)은 압축스프링으로 중앙돌출구(210)에 헐거운 끼워 맞춤으로 설치된다. 스프링(310)은 이동판(200)의 상승 시 수축되고, 팽창에 의해 이동판(200)이 하강되도록 하방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결합핀(320)은 상부에 머리가 형성된 평행 핀으로 허브몸체(110)의 허브핀홀(112)과 중앙돌출구(210)의 중앙핀홀(212)을 가로지르도록 헐거운 끼워 맞춤 설치된다. 결합핀(320)은 끝단에 후술할 캠회동턱(33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결합핀(320)의 끝단에는 결합핀홀(322)이 관통형성된다.
캠회동턱(330)은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화시켜주는 캠(cam)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한 쌍의 얇은 판이 결합핀(320)의 직경 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캠회동턱(330)의 상부측에는 회동핀고정홀(332)이 관통 형성된다. 캠회동턱(330)은 회동핀고정홀(332)을 중심으로 상부측은 거리가 짧게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면은 상대적으로 거리가 멀게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룬다. 이때 캠회동턱(330)은 양측면이 대칭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래서 후술할 고리부(350)를 양방향으로 조작하여 캠회동턱(330)을 수직 또는 수평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캠회동턱(330)은 결합핀(320)의 하부에서 이동판(2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헐거운 끼워 맞춤으로 설치된다. 즉 캠회동턱(330)은 결합핀(320)의 끝단에서 횡방향으로 축결합되게 된다. 이때 회동핀고정홀(332)은 결합핀(320)의 끝단에 형성된 결합핀홀(322)과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캠회동턱(330)의 상부는 스프링(310)의 팽창하려는 성질에 의해 이동판(200)의 중앙돌출구(210) 하부와 계속적으로 접촉되게 된다.
회동핀(340)은 평행 핀으로 회동핀고정홀(332)과 결합핀(320)의 끝단에 형성된 결합핀홀(322)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이때 회동핀(340)은 회동핀고정홀(332)과는 억지 끼움 결합으로 설치되며, 결합핀홀(322)과는 헐거운 끼워 맞춤으로 설치된다.
그에 따라 캠회동턱(330)은 회동핀(340)을 축으로하여 결합핀홀(32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캠회동턱(330)의 수직 또는 수평 상태가 되는 회동에 의해 이동판(200)이 결합핀(320)에 가이드되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직선 왕복운동이 이루어진다.
고리부(350)은 캠회동턱(330)의 하부에서 일측면이 개구된 C형상의 고리 모양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고리부(350)와 캠회동턱(330)은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고리부(350)에는 캠핑 중 사용하는 물건인 랜턴이나 캠핑용품 또는 의복 등을 걸어 놓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캠조작구(300)는 캠회동턱(330)의 상부와 이동판(200)의 중앙돌출구(210) 하부 사이에는 윤활와셔(360)가 설치될 수 있다. 윤활와셔(360)는 평와셔로 얇은 금속판으로 둥글고 납작하며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윤활와셔(360)는 캠회동턱(330)의 표면과 중앙돌출구(210)의 하부 표면을 보호하며, 캠회동턱(330)의 회동 시 중앙돌출구(210)의 하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해주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캠조작구(300)는 고리부(350)의 끝단에 돌출된 걸림턱(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370)은 고리부(350)의 끝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고리부(350)에 걸려 있는 물건이 외부로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즉 걸림턱(370)이 없는 경우 고리부(350)의 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고리부(350)에 걸려 있는 물건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경우 고리부(350)의 내측 표면을 따라 쉽게 이탈 되게 된다. 그러나 고리부(350)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370)에 의해 고리부(350)에 걸려 있는 물건이 전후좌우 흔들리는 경우 걸림턱(370)에 먼저 걸리기 때문에 외부로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의 사용을 텐트의 설치와 해체를 통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에서 캠조작구(300)의 고리부(350)가 수평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하부 기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에서 캠조작구(300)의 고리부(350)가 수평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 기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가 설치된 텐트(2)를 나타낸 이등각 투시도이다.
도 8에서는 텐트(2)의 외피 역할을 하는 스킨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3은 캠조작구(300)의 고리부(35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고리부(350)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텐트(2)의 폴대(10)를 조립 및 설치하게 된다. 텐트 설치시 고리부(350)를 캠핑에 사용되는 랜턴, 캠핑용품 또는 의복을 거는 용도로 활용해야 하기 때문에 고리부(350)를 수직으로 세워줄 수 밖에 없게 된다. 고리부(350)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만 텐트(2)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텐트(2)의 설치/해체에 따른 고리부(350)의 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혼동이 방지할 수 있다.
캠회동턱(33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스프링(310)의 팽창하는 탄성에 의해 이동판(200)의 중앙돌출구(210)를 계속해서 아래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그에 따라 가압판(230)은 폴대(10)의 스프링버튼(14)에 인접한 위치에 있을 뿐 가압하지 않게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폴대(10)의 결합구(12)를 허브몸체(110)에 형성된 각각의 폴대삽입구(120)에 밀어 넣게 되면, 경사테이퍼(130)에 의해 스프링버튼(14)이 자동으로 눌리면서 결합구(12)가 폴대삽입구(120)의 내부로 원활히 들어가게 된다. 결합구(12)의 끝단이 폴대삽입구(120)에 다다르게 되면, 스프링버튼(14)의 팽창하는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버튼결합공(140)으로 결합되게 된다. 즉 폴대(10)의 결합구(12)가 허브몸체(110)에 형성된 폴대삽입구(120)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때 스프링버튼(14)에 의해 딸각하는 소리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폴대(10)가 폴대삽입구(120)에 견고히 고정된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이때 사용자는 인입가이드턱(170)에 폴대(10)의 결합구(12)를 임시로 걸친 상태에서 결합구(12)를 폴대삽입구(120)에 정위치를 잡아 편리하게 넣을 수 있으며, 이탈방지턱(180)에 의해 텐트(2)의 프레임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폴대(10)가 본 발명의 허브조립체(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지면에서 2~3개의 폴대(10)의 결합구(12)를 폴대삽입구(120)에 삽입하여 결합한 이후, 허브조립체(1)를 윗방향으로 향해 들어 올리고 바닥 쪽 폴대(10)를 바닥에 위치한 핀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허브조립체(1)는 천장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폴대(10)의 결합구(12)를 폴대삽입구(120)와 인접한 인입가이드턱(170)에 걸친 후 폴대삽입구(120)를 향해 밀어 넣는 동작과, 바닥에 고정하는 동작만 반복하게 되면 손쉽게 텐트(2)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사용자는 이렇게 각각의 폴대삽입구(120)에 폴대(10)를 간편하게 삽입하여 텐트(2)의 설치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설치 시간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는 고리부(350)에 캠핑 중 사용하는 랜턴 또는 캠핑용품 및 의복을 걸어 놓을 수 있다. 고리부(350)의 끝단에는 걸림턱(37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려 있는 물건이 외부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도 6 및 도 7은 캠조작구(300)의 캠회동턱(330) 및 고리부(350)가 수평으로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캠핑을 마친 후 텐트(2)를 해체할 때는 천장에 위치한 본 발명의 허브조립체(1)를 향해 손을 뻗어 고리부(350)를 잡고, 고리부(350)를 수평으로 회전시켜 준다.
그러면 캠회동턱(330)이 도 2와 같이 회전하면서 스프링(310)이 수축하게 되고, 중앙돌출구(210)가 결합핀(320)에 가이드되면서 이동판(200)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게 되고, 링 형상의 가압판(230)이 전체 폴대(10)의 스프링버튼(14)을 일괄 가압해주게 된다. 이때 각각의 스프링버튼(14)은 버튼결합공(140)을 지나 폴대(10)의 결합구(12)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즉 캠회동턱(330)이 수평으로 접혀진 상태에서는 가압판(230)이 폴대(10)의 스프링버튼(14)을 계속해서 가압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는 고리부(350)를 수평으로 회전시켜주는 한 번의 간편한 조작으로 전체 폴대(10)의 스프링버튼(14)을 일괄로 눌러 줄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분리하고자 하는 폴대(10)를 잡고 외측으로 당겨주기만 하면, 결합구(12)가 폴대삽입구(120)에서 아무런 걸림 없이 미끄러지 듯이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체 폴대(10)의 스프링버튼(14)을 일일이 손으로 직접 눌러줄 필요없이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텐트(2)의 해체 작업을 매우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고, 해체 시간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1 : 허브조립체 2: 텐트
10 : 폴대
12 : 결합구 14 : 스프링버튼
100 : 허브
110 : 허브몸체 112 : 허브핀홀
120 : 폴대삽입구 130 : 경사테이퍼
140 : 버튼결합공
150 : 중앙홈 160 : 외측홈 170 : 인입가이드턱
180 : 이탈방지턱
200 : 이동판
210 : 중앙돌출구 212 : 중앙핀홀
220 : 연결판 230 : 가압판 240 : 절곡판
300 : 캠조작구
310 : 스프링
320 : 결합핀 322 : 결합핀홀
330 : 캠회동턱 332 : 회동핀고정홀
340 : 회동핀 350 : 고리부 360 : 윤활와셔
370 : 걸림턱

Claims (6)

  1.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허브몸체(110)와, 상기 허브몸체(11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가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폴대(10)의 끝단이 결합되는 폴대삽입구(120)와, 상기 폴대삽입구(120)의 입구에 선단이 상기 폴대(10)의 관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후단은 상기 폴대(10)의 관경과 동일하도록 경사진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경사테이퍼(130)와, 상기 폴대삽입구(120)의 하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폴대(10)의 스프링버튼(14)이 결합되는 버튼결합공(140)과, 상기 허브몸체(110)의 하부 중앙측에 원판 형상으로 파여지도록 형성된 중앙홈(150)과, 상기 허브몸체(110)의 하부 외측에서 링 형상으로 상기 중앙홈(150)보다 얕게 파여지도록 형성된 외측홈(160)이 구비된 허브(100);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허브몸체(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중심축이 상기 중앙홈(150)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삽설되는 중앙돌출구(210)와, 상기 중앙돌출구(21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결판(220)과, 상기 연결판(220)의 끝단을 하나로 이어주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 가압판(230)이 구비된 이동판(200); 및
    상기 중앙돌출구(210)에 삽설되는 스프링(310)과, 상기 허브몸체(110)의 상부 중앙에서 상기 중앙홈(150)과 상기 중앙돌출구(210)의 중심축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결합핀(320)와, 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핀(320)의 끝단에서 상기 중앙돌출구(210)의 하부와 접촉되도록 횡 방향으로 축결합되는 캠회동턱(330)과, 상기 캠회동턱(330)의 상부측과 상기 결합핀(320)를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회동핀(340)과, 상기 캠회동턱(330)의 하부에서 C형상의 고리 모양으로 연장되는 고리부(350)가 구비된 캠조작구(300);를 포함하되,

    상기 고리부(350)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조작함에 따라 상기 캠회동턱(330)의 회전 운동이 상기 결합핀(320)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 변환되어 상기 가압판(230)이 상기 스프링버튼(14)을 일괄 가압하여 상기 폴대삽입구(120)에 결합된 상기 폴대(10)를 손쉽게 분리되도록 하거나, 상기 스프링버튼(14)에 대한 상기 가압판(230)의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폴대삽입구(120)에 결합되는 상기 폴대(10)의 상기 스프링버튼(14)이 상기 버튼결합공(140)에 원활히 결합되어 상기 폴대(10)가 상기 허브몸체(110)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100)는,
    상기 허브몸체(110)의 외주면 둘레 하부에서 외측으로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폴대(10)를 상기 폴대삽입구(120)에 삽입 또는 분리할 때 하부를 지지해주며, 상기 폴대(10)가 상기 폴대삽입구(120)에 정위치로 삽입되도록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인입가이드턱(170)을 더 포함하는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200)은,
    상기 연결판(220)의 끝단과 상기 가압판(230)의 내측 사이를 상기 가압판(230)이 상기 연결판(220)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굴곡지게 연결해주어 상기 이동판(200)의 상승 시 상기 가압판(230)이 상기 스프링버튼(14)에 더욱 밀착되게 가압 해주는 절곡판(240)을 더 포함하는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100)는,
    상기 허브몸체(110)의 외주면 둘레 상부에서 외측으로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폴대(10)를 상기 폴대삽입구(120)에 삽입 시 외부로 이탈을 방지해주는 이탈방지턱(180)을 더 포함하는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조작구(300)는,
    상기 고리부(350)의 끝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리부(350)에 걸이에 건 물건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370)을 더 포함하는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텐트.
KR1020220047244A 2022-04-17 2022-04-17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KR202301484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244A KR20230148405A (ko) 2022-04-17 2022-04-17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244A KR20230148405A (ko) 2022-04-17 2022-04-17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405A true KR20230148405A (ko) 2023-10-24

Family

ID=8851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244A KR20230148405A (ko) 2022-04-17 2022-04-17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840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8330A (ko) 2011-11-25 2013-06-04 배진산업주식회사 텐트 지지폴의 지지용 허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8330A (ko) 2011-11-25 2013-06-04 배진산업주식회사 텐트 지지폴의 지지용 허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0660U (ja) センターロック及びテント
CN102224310B (zh) 遮篷
CA2228469C (en) Foldable tent frame for coupling tent cloth with tent frame in integral form
US10455912B2 (en) Canopies and canopy support structures
US20040123891A1 (en) Umbrella strut connection to hub
US9303427B1 (en) Canopies and canopy support structures
US9901149B2 (en) Canopies and canopy support structures
US6523558B1 (en) Pole connector for flexible structure
KR20230148405A (ko) 텐트 폴대 지지용 허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JP3122941B2 (ja) 折畳み式テント
KR101334809B1 (ko) 텐트 지지폴의 지지용 허브장치
CN112227818B (zh) 一种便于学生进行组装的野外露营防风帐篷
KR100946076B1 (ko) 캐노피 텐트용 폴대
US6443599B1 (en) Lamp cover structure for easy assembly
KR100643157B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KR100587832B1 (ko) 원터치 절첩식 텐트
KR200314973Y1 (ko) 텐트폴 커넥터
AU723616B2 (en) Improved clevis assembly and fly adaptor assembly for collapsible umbrella tent and frame therefor
US6513957B2 (en) Self-supported lamp structure
CN205688938U (zh) 便携式帐篷
CN215764688U (zh) 一种套接式灯具
KR100693830B1 (ko) 채화경
CN218001391U (zh) 一种组装方便的舞台照明设备
CN218117426U (zh) 一种帐篷支架用伸缩连接件
KR200373088Y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