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059A -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059A
KR20230148059A KR1020220050660A KR20220050660A KR20230148059A KR 20230148059 A KR20230148059 A KR 20230148059A KR 1020220050660 A KR1020220050660 A KR 1020220050660A KR 20220050660 A KR20220050660 A KR 20220050660A KR 20230148059 A KR20230148059 A KR 20230148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attery
cell
energy storage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태구
박재환
성주경
박민구
김혜정
김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산에스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산에스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산에스앤테크
Publication of KR20230148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05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7Stationary installation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5H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에너지 저장장치의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가 가열될 경우 냉각시키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은 하우징과, 복수의 배터리 셀이 보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구비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보관된 상기 배터리 셀의 과열을 냉각시킨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은 셀 가스센서와, 레프런스 가스센서와, 온도센서와, 냉각수단과,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셀 가스센서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내부에서 상기 배터리 셀에서 발생된 가스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배터리 모듈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레프런스 가스센서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외부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가스를 감지할 수 잇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각각의 배터리 셀에 장착된다. 상기 냉각수단은 냉각액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냉각액을 저장한 냉각액탱크와, 상기 냉각액탱크의 냉각액을 상기 배터리 셀에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액탱크에서 나와서 상기 각각의 배터리 모듈 내부로 유입되도록 분지된 배관과, 상기 배관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액탱크에서 나오는 배관에 장착된 메인밸브와, 상기 각각의 배터리 모듈으로 공급되는 배관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모듈으로 분지된 각각의 배관에 장착된 복수의 모듈밸브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셀 가스센서보다 상기 레프런스 가스센서에서 가스가 먼저 감지되고, 상기 가스가 감지된 상기 레프런스 가스센서가 장착된 배터리 모듈에 장착된 상기 온도센서에서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감지되면 강기 가스가 감지된 배터리 모듈으로 유입되는 배관에 장착된 모듈밸브와, 상기 메인밸브를 개방시킨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Cooling system for energy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에너지 저장장치의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 셀이 과열될 경우 냉각시키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는 전기를 저장했다가 전력이 필요할 때 공급하는 장치로,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배터리 모듈에는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저장된다.
에너지 저장장치에 수용된 배터리 셀이 반복적으로 충전 및 방전되면 배터리 셀 내부의 결함 때문에 배터리 셀에서 이상 가스(Off-gas)가 발생되고 온도가 상승된다. 이를 방지하면 배터리 셀은 고온으로 열폭주되어 화재로 진행된다.
그래서 배터리 셀에서 이상 가스(off-gas)가 발생하여 고온으로 상승되었을 때 배터리 셀이 열폭주 현상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2162417호(등록일자 2020년 09월 25일) 등록특허 제10-2134707호(등록일자 2020년 07월 10일) 공개특허 제10-2021-0114354호(공개일자 2021년 09월 23일) 등록특허 제10-2197092호(등록일자 2020년 12월 23일)
종래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은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가스 및 온도 상승을 감지하여 배터리 셀을 냉각시켰다. 이 경우 배터리 셀에서 발생되는 이상 가스를 감지하여 배터리 셀을 냉각시켜야 하지만, 외부에서부터 에너지 저장장치의 내부로 가스가 유입될 경우, 유입된 가스를 배터리 셀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오인하여 배터리가 과열된 것으로 잘못 감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은 배터리 셀의 이상 가스(Off-gas)를 감지하기 위하여 일반 화재시 발생되는 가스탐지기를 사용하였다. 이 경우 불필요한 가스를 탐지하는 센서를 사용하므로 감지 반응이 늦고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비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과열을 감지할 때 감지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과열시 발생되는 이상 가스(Off-gas)를 특정하여 감지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은 하우징과, 복수의 배터리 셀이 보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구비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보관된 상기 배터리 셀의 과열을 냉각시킨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은 셀 가스센서와, 레프런스 가스센서와, 냉각수단과,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셀 가스센서는 상기 배터리 셀에서 발생된 가스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배터리 셀에 장착된다. 상기 레프런스 가스센서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외부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가스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냉각수단은 냉각액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냉각액을 저장한 냉각액탱크와, 상기 냉각액탱크의 냉각액을 상기 각각의 배터리 셀에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액탱크에서 나와서 상기 각각의 배터리 모듈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각각의 배터리 셀로 분지된 배관과, 상기 배관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액탱크에서 나오는 배관에 장착된 메인밸브와, 상기 각각의 배터리 모듈으로 공급되는 배관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모듈으로 분지된 각각의 배관에 장착된 복수의 모듈밸브와, 상기 배터리 모듈에서 상기 각각의 배터리 셀로 공급되는 각각의 배관에 장착된 복수의 셀밸브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레프런스 가스센서보다 상기 셀 가스센서에서 가스가 먼저 감지되면 상기 가스가 감지된 배터리 셀로 유입되는 배관에 장착된 상기 셀밸브와, 상기 모듈밸브와, 상기 메인밸브를 개방시킨다.
또한, 상기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은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각각의 배터리 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가스가 감지된 셀 가스센서가 장착된 배터리 셀에 장착된 온도센서에서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감지되어야만 상기 가스가 감지된 배터리 모듈로 유입되는 배관에 장착된 상기 셀밸브와, 상기 모듈밸브와, 상기 메인밸브를 개방시킨다.
또한, 상기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프런스 가스센서 및 상기 셀 가스센서는 수소가스와 일산화탄소가스를 감지하는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모듈 내부의 각각의 배터리 셀에 셀 가스센서가 장착되고 배터리 모듈의 외부에서 하우징의 내부에 레프런스 가스센서가 장착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가스에 의한 배터리 셀의 과열 감지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배터리 셀의 과열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배터리 셀을 냉각시킬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레프런스 가스센서 및 셀 가스센서가 수소 가스와 일산화탄소 가스를 감지하므로 배터리 셀에서 발생되는 이상 가스(off-gas)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그래서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의 반응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작동의 개념도,
도 3은 배터리 셀의 과열시 발생되는 가스의 종류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은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된 배터리 셀(5)이 과열시 이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저장장치는 하우징(1)에 복수의 랙(2)이 구비되고, 각각의 랙(2)에 복수의 배터리 모듈(3)이 수용되며, 배터리 모듈(3)은 복수의 배터리 셀(5)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우징(1)의 2개의 랙(2)이 구비되며, 각각의 랙(2)에는 4개의 배터리 모듈(3)이 수용된다. 에너지 저장장치가 사용되면 배터리 모듈(3)에 저장된 배터리 셀(5)이 충전 및 방전을 반복한다. 배터리 셀(5)이 충전 및 방전을 반복하게 되면 과열되어 이상 가스(off-gas)가 발생되고, 계속 진행되면 열폭주 현상이 발생되어 화재로 이어진다. 그래서 배터리 셀(5)에서 이상 가스(off-gas)가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열폭주 현상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냉각시켜야 한다.
본 실시예의 냉각시스템은 이를 위해서 셀 가스센서(10)와, 레프런스 가스센서(20)와, 온도센서(30)와, 냉각수단(40) 및 제어수단(50)을 포함한다.
셀 가스센서(10)는 배터리 모듈(3)의 내부에 저장된 배터리 셀(5)에서 이상 가스(off-gas) 발생시 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배터리 셀(5)에 장착된다.
도 3은 배터리 셀(5)에서 발생되는 이상 가스(off-gas)의 종류이다. 배터리 셀(5)의 과열(overtemperature), 과충전(overcharge) 및 관통(nail-penetration)의 경우 이상 가스(off-gas)가 발생되며, 이때 수소 가스(H2), 일산화탄소 가스(CO) 및 이산화탄소 (CO2)가 다른 가스에 비하여 월등히 많이 발생됨을 할 수 있다. 그래서 배터리 셀(5)에서 수소 가스, 일산화탄소 가스 및 이산화탄소 가스를 감지하면 이상 가스(off-gas)가 발생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셀 가스센서(10)는 수소 가스 및 일산화탄소 가스 만을 감지한다.
레프런스 가스센서(20)는 배터리 모듈(3)이 마련된 하우징(1) 내부에서 이상 가스(off-gas)를 감지한다. 이때 레프런스 가스센서(20)는 배터리 모듈(3)의 외부에 장착된다. 레프런스 가스센서(20)도 셀 가스센서(10)와 동일하게 수소 가스 및 일산화탄소 가스 만을 감지한다.
하우징(1)의 내부에서 작업자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유지 및 보수 등을 위하여 용접작업 등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가스가 발생된다.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외부에서 발생한 가스가 하우징(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먼저 레프런스 가스센서(20)에서 가스가 감지된다. 그리고 하우징(1) 내부로 유입되거나 하우징(1)의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는 배터리 모듈(3)의 내부로 유입되어 셀 가스센서(10)에서 가스가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레프런스 가스센서(20)에서 가스가 먼저 감지되고 셀 가스센서(10)에서 나중에 가스가 감지될 경우에는 하우징(1)의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된 경우이거나 하우징(1)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된 가스이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배터리 셀(5)의 과열 때문에 발생된 이상 가스(off-gas)가 아니다. 즉 레프런서 가스센서(20)는 셀 가스센서(1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가 배터리 셀(5)의 과열로 발생된 이상 가스(off-gas)를 감지한 신호인지 아니면 하우징(1)이나 외부에서 유입된 가스를 감지한 신호인지를 판별하기 위함이다.
온도센서(30)는 각각의 배터리 셀(5)에 장착되어 배터리 셀(5)이 과열되었는지를 감지한다.
냉각수단(40)은 배터리 셀(5)이 과열되면 과열된 배터리 셀(5)을 냉각시킨다. 이를 위해서 냉각수단(40)은 냉각액탱크(41)와, 배관(43)과, 메인밸브(45)와 복수의 모듈밸브(47)와, 복수의 셀밸브(49)를 구비한다.
냉각액탱크(41)는 배터리 셀(5)을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액이 분사될 수 있게 냉각액을 저정한다. 배관(43)은 냉각액탱크(41)에서 냉각액이 분사되면 각각의 배터리 셀(5)로 분사될 수 있도록 냉각액탱크(41)에서 나와서 각각의 배터리 모듈(3)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분지된 후, 배터리 모듈(3)에서 각각의 배터리 셀(5)로 다시 분지된다.
메인밸브(45)는 배관(43)을 개폐할 수 있도록 냉각액탱크(41)에서 나오는 배관(43a)에 장착된다. 모듈밸브(47)는 각각의 배터리 모듈(3)으로 공급되는 배관(43)을 개폐할 수 있도록 배터리 모듈(3)으로 분지된 각각의 배관(43b)에 장착된다. 셀밸브(49)는 배터리 모듈(3)에서 각각의 배터리 셀(5)로 유입되는 배관에 장착된다.
제어수단(50)은 배터리 셀(5)의 과열이 감지되면 과열된 배터리 셀(5)에 냉각액탱크(41)에 저장된 냉각액을 분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제어수단(50)은 셀 가스센서(10)과, 레프런스 가스센서(20) 및 온도센서(30)의 데이터를 받아들인다. 그래서 동일한 배터리 셀(5)에 장착된 셀 가스센서(10)에서 가스가 감지되고, 온도센서(30)에서 일정한 온도 이상 감지되면 배터리 셀(5)의 과열로 판단하여 과열로 판단된 배터리 셀(5)에 연결되는 배관에 장착된 셀밸브(49), 모듈밸브(47) 및 메인밸브(45)를 개방시킨다. 그러면 냉각액탱크(41)에 저장된 냉각액은 배터리 모듈(3)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 셀(5) 중 과열된 배터리 셀(5)에 분사되어 배터리 셀(5)을 냉각시킨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내부에서 작업자가 용접작업 등을 하거나 외부에서 에너지 저장장치의 내부로 가스가 유입되면 먼저 레프런스 가스센서(20)에서 가스가 먼저 감지되고 그리고 셀 가스센서(10)에서 가스가 감지된다. 즉, 레프런스 가스센서(20)에서 먼저 가스가 감지될 경우에는 배터리 셀(5)이 과열된 경우가 아니다. 그래서 제어수단(50)은 셀 가스센서(10)에서 가스가 감지되더라도 레프런스 가스센서(20)에서 가스가 먼저 감지된 경우에는 메인밸브(45), 모듈밸브(47) 및 셀밸브(49)를 개방시키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 셀 가스센서(10) 및 레프런스 가스센서(20)는 수소 가스 및 일산화탄소 가스만을 감지한다. 센서는 검출할 수 있는 가스의 범위가 많아지면 많아질 수록 비용이 증가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소 가스 및 일산화탄소 가스만을 검출하므로 적은 비용으로 센서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셀(5)의 과열시 수소 가스 및 일산화탄소 가스가 가장 많이 배출되므로 검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셀 가스센서(10) 및 레프런스 가스센서(20)가 장착되므로 배터리 셀(5)에서 발생된 이상 가스(off-gas) 이외에 가스가 하우징(1) 내부에서 발생하거나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경우 레프런스 가스센서(20)에 의해 걸러지므로 배터리 셀(5) 과열의 오감지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동일한 배터리 셀(5)에 장착된 셀 가스센서(10) 및 온도센서(30)에서 모두 감지된 경우에 메인밸브(45), 모듈밸브(47) 및 셀밸브(49)를 개방하였지만, 온도센서(30)에서 일정한 온도 이상 감지되지 않고 모듈밸브(47)에서만 가스가 감지된 경우에도 배터리 셀(5)의 과열로 인지하여 메인밸브(45), 모듈밸브(47) 및 셀밸브(49)를 개방할 수 있다.
1 : 하우징 2 : 랙
3 : 배터리 모듈 5 : 배터리 셀
10 : 셀 가스센서 20 : 레프런스 가스센서
30 : 온도센서 40 : 냉각수단
41 : 냉각액탱크 43 : 배관
45 : 메인밸브 47 : 모듈밸브
49 : 셀밸브 50 : 제어수단

Claims (3)

  1. 하우징과, 복수의 배터리 셀이 보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구비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보관된 상기 배터리 셀의 과열을 냉각시키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에서 발생된 가스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배터리 셀에 장착된 셀 가스센서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외부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가스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 레프런스 가스센서와,
    냉각액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냉각액을 저장한 냉각액탱크와, 상기 냉각액탱크의 냉각액을 상기 각각의 배터리 셀에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액탱크에서 나와서 상기 각각의 배터리 모듈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각각의 배터리 셀로 분지된 배관과, 상기 배관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액탱크에서 나오는 배관에 장착된 메인밸브와, 상기 각각의 배터리 모듈으로 공급되는 배관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모듈으로 분지된 각각의 배관에 장착된 복수의 모듈밸브와, 상기 배터리 모듈에서 상기 각각의 배터리 셀로 공급되는 각각의 배관에 장착된 복수의 셀밸브를 구비한 냉각수단과,
    상기 레프런스 가스센서보다 상기 셀 가스센서에서 가스가 먼저 감지되면 상기 가스가 감지된 배터리 셀로 유입되는 배관에 장착된 상기 셀밸브와, 상기 모듈밸브와, 상기 메인밸브를 개방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배터리 셀에 장착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가스가 감지된 셀 가스센서가 장착된 배터리 셀에 장착된 온도센서에서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감지되어야만 상기 가스가 감지된 배터리 모듈로 유입되는 배관에 장착된 상기 셀밸브와, 상기 모듈밸브와, 상기 메인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프런스 가스센서 및 상기 셀 가스센서는 수소가스와 일산화탄소가스를 감지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
KR1020220050660A 2022-04-14 2022-04-25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 KR202301480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46222 2022-04-14
KR1020220046222 2022-04-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059A true KR20230148059A (ko) 2023-10-24

Family

ID=8851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660A KR20230148059A (ko) 2022-04-14 2022-04-25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805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707B1 (ko) 2019-05-02 2020-07-17 주식회사 이에스텍 화재 예방 에너지저장 시스템
KR102162417B1 (ko) 2019-02-01 2020-10-07 주식회사 벤텍 화재 조기차단 에너지저장 시스템
KR102197092B1 (ko) 2020-03-10 2020-12-31 주식회사 태희에볼루션 에너지저장장치 화재예방 시스템
KR20210114354A (ko) 2020-03-10 2021-09-23 주식회사 물꼬방재기술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예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417B1 (ko) 2019-02-01 2020-10-07 주식회사 벤텍 화재 조기차단 에너지저장 시스템
KR102134707B1 (ko) 2019-05-02 2020-07-17 주식회사 이에스텍 화재 예방 에너지저장 시스템
KR102197092B1 (ko) 2020-03-10 2020-12-31 주식회사 태희에볼루션 에너지저장장치 화재예방 시스템
KR20210114354A (ko) 2020-03-10 2021-09-23 주식회사 물꼬방재기술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예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9811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の保護装置
KR101091661B1 (ko) 연료전지용 캐소드의 카본 부식억제방법
EP2053680B1 (en) Fuel cell system
US20230361372A1 (en) Battery system having structure in which coolant can be fed into battery module
US20130073234A1 (en) Response to Low Voltage Electrolysis in a Battery Pack
US20230124972A1 (en) Thermal runaway detection system for batteries within enclosures
CA2720704A1 (en) Liquid cooling apparatus for a fuel cell device and fuel cell system
KR102614135B1 (ko) 연료전지의 공기 공급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JP2023545632A (ja) 筐体内の電池用熱暴走検出システム及びその使用方法
US202302536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attery cell swelling
WO2023065951A1 (zh) 一种储能单元热失控实验平台及其控制方法
KR20230148059A (ko) 에너지 저장장치의 냉각시스템
CN110501644B (zh) 二次电池的热失控监控及防护方法、系统
CN113611946A (zh) 储能电池簇的热管理方法及装置
CN115911622B (zh) 一种电池包、用电装置和电池包的热失控检测与控制方法
US11408776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opening of exhaust valve of power supply device
JP5890039B2 (ja) 燃料電池基盤の熱回収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US7892683B2 (en) Fuel cell system
CN211374662U (zh) 过温保护的烟尘烟气采样检测设备
JP2529006B2 (ja) 据置型高温電池の保護方法および保護装置
JP2006140005A (ja) 燃料電池冷却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保護方法
CN217656821U (zh) 浸没液冷式服务器系统
EP4361984A1 (en) Fir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KR102524560B1 (ko) 배터리팩 화재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213636094U (zh) 梯次电池包安全检测结构及梯次电池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