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807A - Air purification device with plants - Google Patents

Air purification device with pl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807A
KR20230147807A KR1020220046532A KR20220046532A KR20230147807A KR 20230147807 A KR20230147807 A KR 20230147807A KR 1020220046532 A KR1020220046532 A KR 1020220046532A KR 20220046532 A KR20220046532 A KR 20220046532A KR 20230147807 A KR20230147807 A KR 20230147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air
hollow
paragraph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5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9355B1 (en
Inventor
이승섭
정지훈
채지환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투어스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투어스,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투어스
Priority to KR1020220046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355B1/en
Publication of KR20230147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8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3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8Plant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16Arrangements for su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05D1/04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involving the use of an electrostatic fie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24F2221/125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mounted on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식물이 배치된 중공의 기둥 형상을 가지는 벽부; 상기 벽부의 상기 중공에 배치된 분무부; 상기 벽부의 상단과 결합된 커버; 상기 벽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와 상기 벽부를 연결하고, 상기 배출부에서 상기 벽부로 갈수록 수평단면적이 증가하도록 경사면을 포함하는 연결부; 및 상기 배출부 상단에 배치된 흡입팬;을 포함하고, 상기 분무부는, 살균 효과를 가지는 액적을 상기 중공으로 정전분무하는 정전분무 노즐 필름을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를 개시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ll portion having a hollow pillar shape on which plants are placed; a spray unit disposed in the hollow of the wall portion; a cover coupled to the top of the wall portion; an exhaust porti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wall portion and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a connecting portion that connects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wall portion and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such that a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from the discharge portion to the wall portion; and a suction fan disposed at the top of the discharge unit, wherein the spray unit includes an electrostatic spray nozzle film that electrostatically sprays droplets having a sterilizing effect into the hollow.

Description

공기 정화 장치{Air purification device with plants}Air purification device with plants}

본 발명은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을 포함한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ying device including plants.

현대인들은 한정된 실내 공간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된다. 이처럼 실내 공간에서 오랫동안 생활할 때, 실내 공기를 주기적으로 환기 시켜주지 않으면 두통과 현기증을 느끼게 되거나 목과 눈이 따끔거리는 이른바 빌딩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빌딩증후군은 맑은 공기를 마시면 바로 호전되지만, 호흡기 관련 질환이 있거나 만성 질병이 있는 경우에는 치명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에 실내의 미세먼지 및 냄새 등의 실내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Modern people spend a lot of time in limited indoor spaces. When living in an indoor space for a long time, if the indoor air is not ventilated regularly, symptoms such as headaches, dizziness, or tingling in the neck and eyes, so-called sick building syndrome, may appear. Building syndrome improves as soon as you breathe in clean air, but if you have a respiratory disease or chronic disease, it can be fatal. Accordingly, great efforts are being made to purify indoor air by removing indoor harmful substances such as indoor fine dust and odor.

공기청정기는 외기를 흡입하여 외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걸러낸 후 배출시키는 장치이지만, 공기 중의 세균을 살균하지는 못한다. 이에 반해, 공기정화기는 외기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을 살균한다는 점에 있어서 공기청정기와 구별될 수 있다. 공기정화기는 오존, 이온, 자외선, 광촉매 등을 이용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An air purifier is a device that draws in outside air, filters out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and then discharges them, but it cannot sterilize germs in the air. On the other hand, air purifiers can be distinguished from air purifiers in that they sterilize bacteria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Air purifiers can sterilize air brought in from outside using ozone, ions, ultraviolet rays, and photocatalysts.

그러나, 공기의 살균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 동안 공기의 살균이 지속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이 천천히 이루어져야 하는데, 공기의 흐름이 느릴수록 공기 중의 먼지 등을 제거하는 필터링 효과는 떨어지게 된다. 반대로 공기의 흐름이 빠르면 필터링 효과는 증가하나, 공기의 살균 효과는 떨어지게 된다.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sterilization effect of the air, the sterilization of the air must continu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the air flow must be slow. The slower the air flow, the lower the filtering effect of removing dust in the air. Conversely, if the air flow is fast, the filtering effect increases, but the air sterilization effect decrease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빠른 속도로 공기를 순환시키며 우수한 살균효과를 가질 수 있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air purification device that circulates air at high speed and has excellent sterilizing eff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식물이 배치된 중공의 기둥 형상을 가지는 벽부; 상기 벽부의 상기 중공에 배치된 분무부; 상기 벽부의 상단과 결합된 커버; 상기 벽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와 상기 벽부를 연결하고, 상기 배출부에서 상기 벽부로 갈수록 수평단면적이 증가하도록 경사면을 포함하는 연결부; 및 상기 배출부 상단에 배치된 흡입팬;을 포함하고, 상기 분무부는, 살균 효과를 가지는 액적을 상기 중공으로 정전분무하는 정전분무 노즐 필름을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를 개시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ll portion having a hollow pillar shape on which plants are placed; a spray unit disposed in the hollow of the wall portion; a cover coupled to the top of the wall portion; an exhaust porti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wall portion and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a connecting portion that connects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wall portion and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such that a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from the discharge portion to the wall portion; and a suction fan disposed at the top of the discharge unit, wherein the spray unit includes an electrostatic spray nozzle film that electrostatically sprays droplets having a sterilizing effect into the hollow.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부무는 중앙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분무 노즐 필름은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pray mist includes a central body, and the electrostatic spray nozzle film may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전분무 노즐 필름에는 전압이 인가되는 초순수가 공급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ultrapure water to which a voltage is applied may be supplied to the electrostatic spray nozzle film.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하단의 폭이 상단의 폭보다 클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width of the bottom of the discharge part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top.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밑면에는 상기 중공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이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light source that irradiates ultraviolet rays into the hollow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cov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는 정전분무된 상기 액적을 수용하는 수조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water tank that accommodates the electrostatically sprayed droplets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par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중공의 기둥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단위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wall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s separably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hollow pillar shap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메쉬 형상의 금속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은 접지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wall portion includes a mesh-shaped metal layer, and the metal layer may be groun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유입된 공기를 정전분무에 의해 살균하여, 공기가 빠른 속도로 순환하더라도 우수한 살균효과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roduced air is sterilized by electrostatic spraying, so that an excellent sterilizing effect can be achieved even if the air circulates at a high speed.

또한, 필터 역할을 하는 벽부에 식물이 자라므로, 식물에 의한 산소 공급 및 정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plants grow on the wall that acts as a filter, it can provide oxygen supply and purification functions through pla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벽부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 단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I-I' 단면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n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wall portion of Figure 1.
Figure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pray unit of Figure 1.
Figure 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portion A of Figure 3.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cross-section II' of Figure 4.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cross-section II' of Figure 4.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not in a limiting sense but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singular terms include plural te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a part of a film, region, component, etc. is said to be on or on another part, it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top of the other part, but also when another film, region, component, etc. is interposed between them. Also includes cases where there are.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the sizes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shown arbitrari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벽부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n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wall portion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0)는 중공(V)의 기둥 형상을 가지는 벽부(100), 벽부(100)의 중공(V)에 배치된 분무부(200), 벽부(100)의 상단과 결합된 커버(300), 벽부(100)의 하단에 위치하고 외부로 정화된 공기(air')를 배출하는 배출부(400), 배출부(400)와 벽부(100)를 연결하는 연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ll portion 100 having a hollow (V) pillar shape, and a wall portion (V) disposed in the hollow (V) of the wall portion (100). Spray unit 200, cover 300 coupled to the top of the wall unit 100, discharge unit 40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wall unit 100 and discharging purified air (air') to the outside, discharge unit 400 ) and a connection portion 500 connecting the wall portion 100.

벽부(100)는 내부에 빈공간인 중공(V)을 포함한다. 중공(V)에는 분무부(200)가 배치된다. 분무부(200)는 살균 효과를 가지는 미세한 액적(M)을 중공(V)으로 정전분무할 수 있다.The wall portion 100 includes a hollow space (V) inside. A spray unit 200 is disposed in the hollow V. The spray unit 200 can electrostatically spray fine droplets (M) having a sterilizing effect into the hollow (V).

벽부(100)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둥 형상은 삼각기둥, 사각기둥,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일 수 있다. 벽부(100)에는 식물(P)이 위치할 수 있다. The wall portion 100 may have a pillar shape. The pillar shape may be a triangular pillar, square pillar, cylinder or polygonal pillar. A plant (P) may be located on the wall portion 100.

식물(P)은 벽부(100)에 뿌리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벽부(100)는 메쉬 형태를 가지는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고, 식물(P)의 뿌리는 메쉬 사이사이에 위치하여 식물(P)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The plant (P) may have its roots fixed to the wall portion (100). As an example, the wall portion 100 may include a metal layer having a mesh shape, and the roots of the plant P may be located between the meshes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lant P may be fixed.

또한, 벽부(100)는 통기성의 흙을 더 포함하고, 식물은 흙에 뿌리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흙은 중공(V) 내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천 주머니 등에 담겨 있을 수 있다. Additionally, the wall portion 100 further includes breathable soil, and the plant can anchor its roots to the soil. At this time, the soil may be contained in a cloth bag or the like to prevent it from flowing down into the hollow (V).

다른 예로, 벽부(100)는 인공토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인공토양은 퓨리라이트(purilite)를 포함할 수 있다. 퓨리라이트는 제올라이트(zeolite)를 약 1,000

Figure pat00001
의 고온으로 소성하여 내부에 많은 기공이 형성된 다공질의 바이오 세라믹 담체로서, 물을 흡수하더라도 부스러짐과 부서짐이 없는바, 중공(V) 내로 파티클이 떨어져 중공(V)을 오염시키지 않을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wall portion 100 may include artificial soil. As an example, artificial soil may include purilite. Purilite uses about 1,000 zeolites.
Figure pat00001
It is a porous bioceramic carrier that is fired at a high temperature and has many pores formed inside, and does not crumble or break even if it absorbs water, so particles may not fall into the hollow (V) and contaminate the hollow (V).

외부의 공기(air)는 벽부(100)를 통과해 중공(V)으로 유입된다. 한편, 벽부(100)는 메쉬 형태를 가지는 금속층을 포함하고, 식물(P)의 뿌리는 메쉬 사이사이에 위치하므로, 공기(air)가 중공(V)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공기(air)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벽부(100)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또한, 벽부(100)의 금속층은 접지상태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식물(P)의 뿌리 역시 접지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air)가 유입될 때, 공기(air)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메쉬 형태의 금속층 및 식물의 뿌리에 용이하게 집진될 수 있다. External air passes through the wall portion 100 and flows into the hollow V. Meanwhile, the wall portion 100 includes a metal layer in the form of a mesh, and the roots of the plant (P) are located between the meshes, so in the process of air flowing into the hollow (V), th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may be filtered by the wall portion 100. Additionally, the metal layer of the wall portion 100 may be in a grounded state. As a result, the roots of the plant (P) may also be in a grounded state. Therefore, when external air flows in,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can be easily collected in the mesh-shaped metal layer and the roots of the plant.

또한, 벽부(100)가 통기성의 흙을 포함하는 경우, 중공(V)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air)는 흙을 통과하게 되므로, 흙에 의해 친환경적으로 공기(air)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all portion 100 includes breathable soil, the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hollow V passes through the soil, so that pollutants contained in the air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due to the soil. It can be filtered out.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부(100)는 중공의 기둥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단위체들(110, 120, 130, 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단위체(110), 제2 단위체(120), 제3 단위체(130) 및 제4 단위체(140)가 서로 결합하여 원통형의 벽부(100)를 구성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단위체들(110, 120, 130, 140)의 개수 및 벽부(10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wall portion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s 110, 120, 130, and 140 that are separably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hollow pillar shape. Figure 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unit 110, the second unit 120, the third unit 130, and the fourth unit 140 are combined to form a cylindrical wall portion 100.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number of units 110, 120, 130, and 140 and the shape of the wall portion 100 may vary.

복수의 단위체들(110, 120, 130, 140)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단위체들(110, 120, 130, 140) 각각은 메쉬 형태를 가지는 금속층을 포함하는데, 이때 각 단위체들(110, 120, 130, 140)의 금속층은 접지된 상태일 수 있다. The plurality of units 110, 120, 130, and 140 may be separably bonded to each other. Additionally, each of the units 110, 120, 130, and 140 includes a metal layer having a mesh shape. In this case, the metal layer of each unit 110, 120, 130, and 140 may be in a grounded state.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무부(200)에서 분무하는 액적(M)은 전하를 띄게 된다. 또한, 외부에서 공기(air)와 함께 유입되는 미세입자 등과 같은 이물질은 분무된 액적(M)에 의해 대전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각 단위체들(110, 120, 130, 140)의 금속층이 접지된 상태를 가짐으로써, 대전된 미세입자 등과 같은 이물질은 단위체들(110, 120, 130, 140)에 의해 용이하게 집진될 수 있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roplets M sprayed from the spray unit 200 are charged. In addition,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particl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with air may be charged by the sprayed droplets M. Therefore, since the metal layer of each unit (110, 120, 130, and 140) is in a grounded state, foreign substances such as charged fine particles can be easily collected by the units (110, 120, 130, and 140). there is.

또한, 복수의 단위체들(110, 120, 130, 140)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단위체들(110, 120, 130, 140) 각각은 분리가 가능하여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units 110, 120, 130, and 140 are separably bonded to each othe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s 110, 120, 130, and 140 can be separated, making it easy to clean and maintain. there is.

식물(P)은 허브류, 관엽류, 자생식물, 다육식물, 이끼류 등 다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식물(P)은 벽부(100)의 외측면을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공기 정화 장치(10)에 관상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실내공간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식물(P)은 향, 음이온 등을 배출하고, 공기(air)를 정화하며, 공기 정화 장치(10)가 배치된 공간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Plants (P) can be diverse, including herbs, foliage, native plants, succulents, and mosses. Such plants (P) are form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portion 100, thereby providing an ornamental function to the air purifying device 10 and supplying oxygen to the indoor space. In addition, the plant P can emit fragrance, negative ions, etc., purify the air, and supply moisture to the space where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 is placed.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중공(V) 내에 배치된 분무부(200)는 살균 효과를 가지는 미세 액적(M)을 중공(V)으로 정전분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무부(200)는 정전분무 노즐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정전분무 노즐 필름에 대해서는 도 3 이하에서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spray unit 200 disposed in the hollow V may electrostatically spray fine droplets M having a sterilizing effect into the hollow V. For this purpose, the spray unit 200 may include an electrostatic spray nozzle film. The electrostatic spray nozzle fil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Figure 3 and below.

분무부(200)가 중공(V) 내로 균일하게 액적(M)을 분무하기 위해, 분무부(200)는 벽부(10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벽부(100)가 원통형일 경우, 분무부(200)도 원통형일 수 있다.In order for the spray unit 200 to uniformly spray the droplets M into the hollow V, the spray unit 20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wall portion 100. For example, when the wall portion 100 is cylindrical, the spray portion 200 may also be cylindrical.

분무부(200)에 의해 물(H2O)이 정전분무되면, 물(H2O)은 이온화되어 수산기(Hydroxyl radical), 과산화기(Superoxide radical)와 같은 반응성이 강한 음이온들을 가지는 물 미세 액적(M)이 분무되는데, 이러한 음이온들은 환원성이 매우 강하여 공기(air)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세포막이나 바이러스 내의 수소 양이온을 빼앗아 물로 환원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중공(V) 내로 유입된 공기(air)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과 바이러스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When water (H 2 O) is electrostatically sprayed by the spray unit 200, the water (H 2 O) is ionized into water fine droplets having highly reactive anions such as hydroxyl radical and superoxide radical. (M) is sprayed, and these anions are very reductive and can be reduced to water by taking away hydrogen cations from the cell membranes of microorganisms or viruses present in the air. Through this process, microorganisms and viruses present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avity (V) can be inactivated.

또한, 분무부(200)에서 분사되는 액적(M)은 중공(V) 내로 유입된 공기(air)를 빠르게 정화시킴과 동시에, 식물(P)에 수분을 공급하여 식물(P)이 자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quid droplets (M) sprayed from the spray unit (200) quickly purif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llow (V) and at the same time supply moisture to the plants (P) so that the plants (P) can grow. can do.

한편, 분무부(200)로 공급되는 물은 초순수일 수 있다. 초순수는 낮은 전기 전도도를 가짐에 따라 정전분무에 유리하며, 이물질 또는 이온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정전분무 노즐 필름의 노즐(도 3의 112)의 막힘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water supplied to the spray unit 200 may be ultrapure water. Ultrapure water is advantageous for electrostatic spraying because it has low electrical conductivity, and does not contain foreign substances or ions, so it can prevent problems such as clogging of the nozzle (112 in FIG. 3) of the electrostatic spray nozzle film.

따라서, 상수가 파이프(20) 등을 통해 분무부(200)로 공급될 때, 상수는 정화/멸균장치(40)를 거쳐 초순수로 바뀔 수 있다. 이때, 파이프(20)에는 펌프(30)가 장착되어 초순수는 원활하게 분무부(200)로 공급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constant water is supplied to the spray unit 200 through the pipe 20, etc., the constant water can be changed into ultrapure water through the purification/sterilization device 40. At this time, the pipe 20 is equipped with a pump 30 so that ultrapure water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spray unit 200.

한편, 물을 정전분무하기 위해서는 물에 전압을 가하여야 하는데,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파이프(20)에 전압을 인가하여 별도의 전극을 구비하지 않고, 분무부(200)로 공급되는 물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electrostatically spray water, a voltage must be applied to the water, and an electrode for applying the voltage may be separately provided. As another example, voltage can be applied to the pipe 20 to apply the voltage to the water supplied to the spray unit 200 without a separate electrode.

커버(300)는 외부의 이물질이 공기 정화 장치(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300)의 하면에는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310)이 위치할 수 있다. 광원(310)은 LED, 형광램프 등일 수 있다. 이때, 커버(300)는 광원(310)에서 발생한 자외선이 공기 정화 장치(10)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광차단성을 가질 수 있다. The cover 300 can prevent external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 Additionally, a light source 310 capable of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300. The light source 310 may be an LED, a fluorescent lamp,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cover 300 may have light blocking properties to prevent ultraviolet rays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310 from leaking out of the air purifying device 10 .

한편, 분무부(200)에 의해 정전분무된 액적(M)에는 수산기(Hydroxyl radical) 등과 같은 음이온과 과산화수소(H2O2)가 함께 포함될 수 있는데, 광원(310)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과산화수소(H2O2)를 분해하여 수산기(Hydroxyl radical)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적(M)에 의해 살균효과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roplets M electrostatically sprayed by the spray unit 200 may contain anions such as hydroxyl radicals and hydrogen peroxide (H 2 O 2 ).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310 may contain hydrogen peroxide ( H 2 O 2 ) can be decomposed to form hydroxyl radical. Therefore, the sterilization effect can be further improved by the droplet (M).

액적(M)에 의해 정화된 공기(air')는 배출부(400)를 통해 공기 정화 장치(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배출부(400)와 벽부(100) 사이에는 배출부(400)와 벽부(100) 연결하는 연결부(500)가 위치할 수 있다.The air (air') purified by the droplets (M)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 through the discharge unit 400, and there is a discharge unit 400 between the discharge unit 400 and the wall 100. ) and a connection portion 500 connecting the wall portion 100 may be located.

연결부(500)는, 배출부(400)에서 벽부(100)로 갈수록 수평단면적이 증가하는 경사면(5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액적에 의해 형성된 물방울이 경사면(510)을 타고 아래로 흐를 수 있으며, 연결부(500)의 하단에는 정전분무된 액적(M)을 수용하는 수조(520)가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500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510 whos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from the discharge part 400 to the wall part 100. As a result, water droplets formed by droplets can flow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510, and a water tank 520 that accommodates the electrostatically sprayed droplets M can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part 500.

일 예로, 수조(520)는 연결부(500)의 하단부가 2번 절곡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경사면(510)을 타고 흐른 물은 수조(520) 내로 모일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water tank 520 may have a concave shap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500 is bent twice. As a result, water flowing along the slope 510 can be collected into the water tank 520.

수조(520)는 경사면(51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조(520)에 채워진 물을 용이하게 버릴 수 있다. 또한, 수조(520)에는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The water tank 5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clined surface 510. Therefore,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520 can be easily discarded. Additionally,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water level may be placed in the water tank 520.

배출부(400)는 하단의 폭이 상단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정화 장치(10)가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으며, 폭이 좁은 상단 부분에서 유속이 증가하여 정화된 공기(air')가 배출부(400)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bottom of the discharge unit 400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top. Accordingly,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 can be stably erected, and the flow rate increases at the narrow upper portion, so that the purified air (air') can easily move to the discharge unit 400.

배출부(400)의 상단은 연결부(500)와 결합된다. 일 예로, 배출부(400)의 상단은 수조(520)에 의해 에워싸일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art 40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500. As an example, the top of the discharge unit 400 may be surrounded by the water tank 520.

배출부(400)의 상단에는 흡입팬(410)이 위치할 수 있다. 흡입팬(410)은 중공(V) 내에서 액적(M)에 의해 정화된 공기(air')를 강제로 배출구(400)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공기 정화 장치(10)가 놓여진 실내의 공기(air)가 빠른 속도로 순환할 수 있다. 한편, 중공(V) 내로 유입된 공기(air)는 살균 효과를 가지는 미세 액적(M)에 의해 빠르게 정화될 수 있기에,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0)는 공기가 빠른 속도로 순환하더라도 우수한 살균효과를 가질 수 있다.A suction fan 410 may be located at the top of the discharge unit 400. The suction fan 410 can forcibly move the air (air') purified by the liquid droplets (M) within the hollow (V) to the outlet 400, thereby moving the air in the room where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 is placed. Air can circulate at high spe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air flowing into the cavity (V) can be quickly purified by fine droplets (M) having a sterilizing effect,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air quality even if the air circulates at a high speed. It may have a sterilizing effect.

배출부(400)의 측면에는 정화된 공기(air')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부(400)의 내측면에는 정화된 공기(air')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을 최종적으로 거를 수 있도록 필터가 더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purified air (air') can pass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discharge unit 400. Additionally, a filter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unit 400 to finally filter out fine dust contained in the purified air (air').

배출부(400) 내에는 정화된 공기(air')의 흐름을 배출부(400)의 측면으로 유도할 수 있는 가이드부(42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420)는 배출부(40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420)의 상단은 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배출부(400)로 유입된 정화된 공기(air')는 가이드부(420)에 의해 배출부(400)의 측면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정화된 공기(air')가 더욱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A guide unit 420 that can guide the flow of purified air (air') to the side of the discharge unit 400 may be further disposed within the discharge unit 400. The guide part 42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art 400. Additionally, the top of the guide portion 420 may have a horn shape. Therefore, the purified air (air') flowing into the discharge unit 400 moves to the side of the discharge unit 400 by the guide unit 420, and thereby the purified air (air') is discharged more easily. It can be.

이러한 가이드부(420)는 금속, 세라믹재 등 무게가 무거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화된 공기(air')의 배출 효과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공기 정화 장치(10)의 무게중심을 낮추어 공기 정화 장치(1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is guide portion 420 may include heavy materials such as metal and ceramic materials. Accordingly, the discharge effect of the purified air (air') can be improved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air purifying device 10 can be lowered to prevent the air purifying device 10 from falling over.

공기 정화 장치(10)는 배출부(400)가 위치하는 받침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600)는 복수 개의 바퀴(610)를 포함하여 공기 정화 장치(10)는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pedestal 600 on which the discharge unit 400 is located. The stand 6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wheels 610 so that the air purifying device 10 can be moved.

도 3은 도 1의 분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의 I-I' 단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4의 I-I' 단면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pray unit of FIG. 1, FIG. 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part A of FIG.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II′ cross-section of FIG. 4,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II' cross-section of FIG. 4.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분무부(200)는 중앙의 본체(201)와 본체(201)의 외주면을 감싸는 정전분무 노즐 필름(202)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3, the spray unit 200 may include a central body 201 and an electrostatic spray nozzle film 202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201.

본체(201)는 공기 정화 장치(도 1의 10)의 동작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체(201)는 벽부(도 1의 1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벽부(도 1의 100)가 원통형일 경우, 본체(201)도 원통형일 수 있으며, 이러한 본체(201)의 외주면을 정전분무 노즐 필름(202)이 감쌀 수 있다. The main body 201 may hav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 in FIG. 1). Additionally, the main body 20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wall portion (100 in FIG. 1). For example, when the wall portion (100 in FIG. 1) is cylindrical, the main body 201 may also be cylindrical, and the electrostatic spray nozzle film 202 may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201.

정전분무 노즐 필름(201)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필름(210), 제2 필름(220) 및 제3 필름(23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필름(210)은 물을 분무하는 복수의 노즐(212)들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정전분무 노즐 필름(200)의 저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The electrostatic spray nozzle film 201 may include a first film 210, a second film 220, and a third film 230 that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the first film 210 is a plurality of water spraying devices. of nozzles 212 may be provided.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electrostatic spray nozzle film 200.

구체적으로, 제1 필름(210)은 제1 베이스층(211) 및 제1 베이스층(211)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복수의 노즐(212)들을 구비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film 210 may include a first base layer 211 and a plurality of nozzles 212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base layer 211.

제1 베이스층(211)은 투명한 필름일 수 있다. 제1 베이스층(211)은 폴리이미드,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술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일 수 있다. The first base layer 211 may be a transparent film. The first base layer 211 may be polyimide, acrylic, polycarbon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sulfone, polymethyl methacrylate, triacetylcellulose, polydimethylsiloxane, etc.

복수의 노즐(212)들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층(21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노즐(212)들 각각은 다각 뿔대, 원뿔대 등의 뿔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노즐(212)의 가운데에 형성된 제1 개구(OP1)는 일정한 폭을 가지고 제1 베이스층(211)을 관통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each of the plurality of nozzles 212 may have a shape whose width gradually narrows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base layer 211. Each of the plurality of nozzles 212 may have a cone shape, such as a polygonal cone or truncated cone. Additionally, the first opening OP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nozzle 212 may have a constant width and extend to penetrate the first base layer 211.

일 예로, 노즐(212)은 사각 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베이스층(211)의 표면과 접하는 사각 뿔대의 밑변의 길이는 가로 150㎛ 이하, 세로 150㎛ 이하이고, 높이는 50㎛ 이상이며, 노즐(212) 내부의 제1 개구(OP1)의 지름은 약 50㎛일 수 있다. 이처럼, 노즐(212)들 각각이 마이크로 크기를 가지며, 뿔대 형상을 가짐에 따라 정전분무 개시전압이 감소할 수 있고, 미립화된 액적을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분무가 가능하다. As an example, the nozzle 212 may have a square cone shape.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base of the square pyramid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irst base layer 211 is 150 ㎛ or less in width and 150 ㎛ in length, and the height is 50 ㎛ or more, and the The diameter may be about 50㎛. In this way, as each of the nozzles 212 has a micro size and a cone shape, the electrostatic spraying start voltage can be reduced, and atomized droplets can be easily sprayed, enabling more stable spraying.

복수의 노즐(212)들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노즐(212)들 간의 간격은 1 mm 내지 3 mm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plurality of nozzles 212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s 212 may be 1 mm to 3 mm.

제2 필름(220)은 복수의 노즐(212)들과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추출전극(2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필름(220)은 제2 베이스층(221)을 포함하고, 복수의 추출전극(222)들은 제2 베이스층(22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econd film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zzles 212 and a plurality of extraction electrodes 222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second film 220 includes a second base layer 221, and a plurality of extraction electrodes 222 may be located on the second base layer 221.

제2 베이스층(221)은 투명한 필름일 수 있다. 제2 베이스층(221)은 폴리이미드,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술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일 수 있다. The second base layer 221 may be a transparent film. The second base layer 221 may be polyimide, acrylic, polycarbon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sulfone, polymethyl methacrylate, triacetylcellulose, polydimethylsiloxane, etc.

복수의 추출전극(222)들은 제2 베이스층(221)의 표면에 인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베이스층(221)의 표면과 복수의 추출전극(222)들의 표면은 동일면을 이룰 수 있으며, 복수의 추출전극(222)들은 제2 베이스층(221) 및 제1 베이스층(211) 사이에서 이들과 접할 수 있다.A plurality of extraction electrodes 222 may be inserted into and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base layer 221. For example, the surface of the second base layer 221 and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extraction electrodes 222 may form the same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extraction electrodes 222 may be formed on the second base layer 221 and the first base layer ( 211), you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m.

한편,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복수의 추출전극(222)들은 복수의 노즐(212)들을 각각 에워싸도록 배치된다. 일 예로, 추출전극(222)은 직경이 약 2mm인 원형 또는 도넛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추출전극(222)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연결배선(224)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전위를 가질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extraction electrodes 222 are arranged to surround each of the plurality of nozzles 212 in a plan view. As an example, the extraction electrode 222 may have a circular or donut shape with a diameter of about 2 mm. The plurality of extraction electrodes 22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u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connection wires 224 and have the same potential.

복수의 추출전극(222)들과 연결배선(224)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추출전극(222)들과 연결배선(224)은, 복수의 추출전극(222)들과 연결배선(224)이 형성될 위치에 대응하도록 제2 베이스층(221)에 홈을 형성한 후, 홈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추출전극(222)들과 연결배선(224)은 제2 베이스층(221)에 형성된 홈에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베이스층(221)에 형성된 홈에는 스크린 인쇄 등에 의해 추출전극(222)들과 연결배선(224)의 증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드층이 선행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extraction electrodes 222 and the connection wiring 224 may be formed as one body. As an example, the plurality of extraction electrodes 222 and the connection wiring 224 are formed by forming a groove in the second base layer 221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extraction electrodes 222 and the connection wiring 224 are to be formed. After forming, it can be formed by screen printing conductive paste in the groove. As another example, the plurality of extraction electrodes 222 and the connection wiring 224 may be formed in the groove formed in the second base layer 221 by a method such as deposition. At this time, a seed layer to facilitate deposition of the extraction electrodes 222 and the connection wires 224 may be formed in advance in the groove formed in the second base layer 221 by screen printing or the like.

한편, 복수의 추출전극(222)들과 연결배선(224)에는 일정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추출전극(222)들에 전압이 인가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212)의 끝단을 중심으로 전기장(EF)이 집중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액적을 분무할 수 있고, 정전분무 개시전압이 감소하여 정전분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예로, 추출전극(222)이 없는 경우는 정전분무를 위해 물에 인가되는 전압이 9kV인 반면, 추출전극(222)에 5V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는 정전분무를 위해 물에 인가되는 전압은 1 내지 2kV로 감소할 수 있다. Meanwhile, a constant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extraction electrodes 222 and the connection wiring 224. In this way,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extraction electrodes 222, as shown in FIG. 5, the electric field EF is concentrated around the end of the nozzle 212, allowing droplets to be sprayed more stably, Electrostatic spray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electrostatic spraying start voltage.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extraction electrode 222, the voltage applied to the water for electrostatic spraying is 9 kV, whereas in the case where a voltage of 5 V is applied to the extraction electrode 222, the voltage applied to the water for electrostatic spraying is It can be reduced to 1 to 2 kV.

또한, 복수의 추출전극(222)에 전압이 인가되면, 추출전극(222)의 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하여, 노즐(212)을 통과하는 물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물의 온도가 상승하면, 액적의 기화속도가 증가하여 미립화에 유리하고, 물의 표면장력이 감소하여 정전분무 개시전압이 감소함으로써, 노즐(212)의 분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extraction electrodes 222, heat is generated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extraction electrodes 222,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nozzle 212 may increas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creases, the evaporation rate of the droplets increases, which is advantageous for atomization, and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decreases, thereby reducing the electrostatic spraying start voltage, thereby improving the spraying efficiency of the nozzle 212.

제2 필름(220) 상에는 제3 필름(230)이 적층될 수 있다. 제3 필름(230)은 제3 베이스층(232) 및 제3 베이스층(232)에 형성된 유로(FP)를 포함할 수 있다.A third film 230 may be laminated on the second film 220. The third film 230 may include a third base layer 232 and a flow path FP formed in the third base layer 232.

제3 베이스층(232)은 투명한 필름일 수 있다. 제3 베이스층(232)은 폴리이미드,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술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일 수 있다. The third base layer 232 may be a transparent film. The third base layer 232 may be polyimide, acrylic, polycarbon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sulfone, polymethyl methacrylate, triacetylcellulose, polydimethylsiloxane, etc.

유로(FP)는 정전분무를 위한 물(H2O)이 흐를 수 있는 통로로서, 제2 필름(220)을 향하는 제3 베이스층(232)의 표면에 형성된 홈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유로는 제3 베이스층(232)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FP)는 복수의 노즐(212)들을 연결한 형상 즉, 매쉬 패턴을 가질 수 있다. The flow path FP is a passage through which water (H 2 O) for electrostatic spraying can flow, and may be a groov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hird base layer 232 facing the second film 220. As another example, the flow path may be formed inside the third base layer 232. This flow path FP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nozzles 212 are connected, that is, a mesh pattern.

제3 필름(230)의 유로(FP)를 흐르는 물(H2O)은 노즐(212)로 공급되고, 정전분무를 위한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노즐(212)에 의해 분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필름(220)은 복수의 노즐(212)들과 중첩하는 위치에, 복수의 노즐(212)들과 유로(FP)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개구(OP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개구(OP2)의 폭은 노즐(212)의 중앙에 형성된 제1 개구(OP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에 의해 제1 개구(OP1)를 통과하는 물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추출전극(222)들은 제2 개구(OP2)들을 각각 에워싸도록 위치함으로써, 제2 개구(OP2)를 통과하는 물(H2O)을 가열할 수 있다.Water (H 2 O)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FP of the third film 230 is supplied to the nozzle 212, and can be sprayed by the nozzle 212 by applying a voltage for electrostatic spraying. To this end, the second film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OP2 connecting the plurality of nozzles 212 and the flow path FP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plurality of nozzles 212. there is.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second opening (OP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opening (OP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nozzle 212, thereby increasing the speed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OP1).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extraction electrodes 222 are positioned to surround each of the second openings OP2, so that water (H 2 O) passing through the second opening OP2 can be heated.

도 6은 도 4의 I-I' 단면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ross-section taken along line II' of Figure 4.

도 6은 설명의 편의상 제1 필름(210)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베이스층(211)의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214)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214)들은 노즐(212)의 주변에 배치된다.FIG. 6 shows only the first film 21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Referring to FIG. 6,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4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base layer 211.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4 are disposed around the nozzle 212.

복수의 돌기(214)들은 노즐(212)보다 짧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돌기(214)들은 20㎛ 이하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기(214)들은 소수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돌기(214)들은 액적이 노즐(212)에 맺혀 방울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정전분무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14 are formed shorter than the nozzle 212.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14 may have a height of 20 μm or less.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14 may have hydrophobicity. These protrusions 214 can prevent droplets from forming on the nozzle 212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electrostatic spray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Claims (8)

식물이 배치된 중공의 기둥 형상을 가지는 벽부;
상기 벽부의 상기 중공에 배치된 분무부;
상기 벽부의 상단과 결합된 커버;
상기 벽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와 상기 벽부를 연결하고, 상기 배출부에서 상기 벽부로 갈수록 수평단면적이 증가하도록 경사면을 포함하는 연결부; 및
상기 배출부 상단에 배치된 흡입팬;을 포함하고,
상기 분무부는, 살균 효과를 가지는 액적을 상기 중공으로 정전분무하는 정전분무 노즐 필름을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A wall portion having the shape of a hollow pillar on which plants are placed;
a spray unit disposed in the hollow of the wall portion;
a cover coupled to the top of the wall portion;
an exhaust porti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wall portion and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a connecting portion that connects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wall portion and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such that a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from the discharge portion to the wall portion; and
Including a suction fan disposed at the top of the discharge unit,
The spray unit is an air purifying device including an electrostatic spray nozzle film that electrostatically sprays droplets having a sterilizing effect into the holl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부무는 중앙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분무 노즐 필름은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pray arm includes a central body,
The electrostatic spray nozzle film is an air purification device that surroun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분무 노즐 필름에는 전압이 인가되는 초순수가 공급되는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bove,
An air purification device in which ultrapure water to which a voltage is applied is supplied to the electrostatic spray nozzle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하단의 폭이 상단의 폭보다 큰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ir purifying device in which the discharge portion has a lower width greater than an upper wid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밑면에는 상기 중공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이 배치된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ir purifying device in which a light source that irradiates ultraviolet rays into the hollow is disposed on the underside of the cover.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는 정전분무된 상기 액적을 수용하는 수조가 형성된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bove,
An air purification device in which a water tank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portion to accommodate the electrostatically sprayed drople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중공의 기둥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단위체들을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all portion is an air purifying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s separably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hollow pillar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메쉬 형상의 금속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은 접지된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all portion includes a mesh-shaped metal layer,
An air purification device wherein the metal layer is grounded.
KR1020220046532A 2022-04-14 2022-04-14 Air purification device with plants KR1026593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532A KR102659355B1 (en) 2022-04-14 2022-04-14 Air purification device with pl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532A KR102659355B1 (en) 2022-04-14 2022-04-14 Air purification device with pl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807A true KR20230147807A (en) 2023-10-24
KR102659355B1 KR102659355B1 (en) 2024-04-23

Family

ID=88515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532A KR102659355B1 (en) 2022-04-14 2022-04-14 Air purification device with pla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35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1919A (en) * 1993-04-30 1994-11-08 Fujita Corp Bench with air purifying device
KR101527175B1 (en) * 2013-12-12 2015-06-09 (주) 세아그린텍 Waste gas scrubber with fine atomization nozzle
KR20210008748A (en) * 2019-07-15 2021-01-25 한국과학기술원 A apparatus for cleaning the air using electrostatic spray system
JP2021171698A (en) * 2020-04-24 2021-11-01 アマノ株式会社 Particle collection device, particle measuring apparatus, and particle collection method
KR20210151505A (en) *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삼마테크 Water injection type air cleaner apparatus having air cleaning and sterillizat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1919A (en) * 1993-04-30 1994-11-08 Fujita Corp Bench with air purifying device
KR101527175B1 (en) * 2013-12-12 2015-06-09 (주) 세아그린텍 Waste gas scrubber with fine atomization nozzle
KR20210008748A (en) * 2019-07-15 2021-01-25 한국과학기술원 A apparatus for cleaning the air using electrostatic spray system
JP2021171698A (en) * 2020-04-24 2021-11-01 アマノ株式会社 Particle collection device, particle measuring apparatus, and particle collection method
KR20210151505A (en) *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삼마테크 Water injection type air cleaner apparatus having air cleaning and sterillizat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355B1 (en) 202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75200A1 (en) Composite air sterilization purifier
KR101773371B1 (en) Air cleaner comprising function of air sterilization and fine dust removal
US20180147523A1 (en) Wet air purifier
JP5149473B2 (en) Deodorization device
KR101978028B1 (en) Plasma Air-Purifier Using the Water-Filter
KR101791677B1 (en) Wet air cleaner
KR100719788B1 (en) Naturally humidifying air cleaner using water filtering method and activated carbon filtering method
JP2006305321A (en) Air purifier, and air cleaner and humidifier using the same
KR20080059959A (en) Air disinfector
CN111068093A (en) High-voltage electrostatic atomization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and method
KR20130106997A (en) Humidifier having sterilization function using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KR102659355B1 (en) Air purification device with plants
KR20110001637A (en) An air cleaner
KR102617907B1 (en) Air cleaner
KR102532254B1 (e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electrostatic spray
KR100533589B1 (en) The disinfection humidifier applied photocatalyst
KR102091526B1 (en) A dust collector
KR200355965Y1 (en) Water tank for fancy goods combining an air-cleaning device and humidification device
KR102610138B1 (en) The device of air purication added sanitization as the way of using ultraviolet and making moisture with ultrasonic brushing
KR200357824Y1 (en) Air sterilizer
KR100544028B1 (en) Imitation flowerpot with air purifier and perfume
KR100209822B1 (en) Humidifi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JPS6269033A (en) Dust and germ removing device for gas
KR100725156B1 (en) Air cleaner filter and air cleaner and air cleaner filtering method
KR20040078740A (en) An air cleaner with water-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