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528A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528A
KR20230147528A KR1020230044121A KR20230044121A KR20230147528A KR 20230147528 A KR20230147528 A KR 20230147528A KR 1020230044121 A KR1020230044121 A KR 1020230044121A KR 20230044121 A KR20230044121 A KR 20230044121A KR 20230147528 A KR20230147528 A KR 20230147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polarizer
wavelength
ligh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미츠루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7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528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3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100) comprises: an organic EL element (70) ha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75) between a pair of electrodes (73, 77); and a circular polarizing plate (10) arranged on a first surface of the organic EL element. The organic EL element has R_410 / R_510 of 0.6 or less, which is a ratio of a reflectance R_410 of a wavelength of 410 nm and a reflectance R_510 of a wavelength of 510 nm, in a reflection spectrum for incident light from a first main surface.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includes a polarizer (11) and at least one phase difference layer (13). The polarizer has T_410 / T_510 of 7 or more, which is a ratio of an orthogonal transmittance T_410 of a wavelength 410 nm and an orthogonal transmittance T_510 of a wavelength 510 n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with less coloring of reflected light.

Description

유기 EL 표시 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Organic EL display device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EL 소자의 표면에 원편광판을 구비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including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on the surface of an organic EL element.

유기 EL 소자를 표시체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는, 유기 EL 소자(유기 EL 셀)의 시인 측 표면에 원편광판을 배치함으로써, 금속 전극 등에 의해 반사된 외광이 재출사하여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An organic EL display device using an organic EL element as a display body prevents external light reflected by a metal electrode or the like from being re-emitted and viewed by arranging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on the surface of the organic EL element (organic EL cell) on the viewing side.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9-211761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9-21176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20-3520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20-3520

원편광판에 의해 반사광을 완전히 차폐하는 것은 곤란하고, 일부의 반사광은 원편광판을 투과하여 외부로부터 시인된다. 유기 EL 소자의 구성에 따라서는, 원편광판으로 차폐되지 않고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반사광이 착색되어 보이는 경우가 있어, 화면의 시인성 저하나, 디바이스의 의장성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반사광의 착색이 적은 유기 EL 표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block reflected light with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some of the reflected light passes through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is visible from the outside.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organic EL element, reflected light that is not shielded by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is visible from the outside may appear colored, causing a decrease in the visibility of the screen and a decrease in the design of the device. In view of thes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with less coloring of reflected light.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는,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는 유기 EL 소자와, 유기 EL 소자의 광 취출면인 제1 주면에 배치된 원편광판을 구비한다. 원편광판은 편광자와 적어도 1층의 위상차층을 포함한다.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rganic EL element including an organic light-emitting layer between a pair of electrodes, and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disposed on a first main surface that is a light extraction surface of the organic EL element.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includes a polarizer and at least one retardation layer.

유기 EL 소자는, 제1 주면으로부터의 입사광에 대한 반사 스펙트럼에서, 파장 410nm의 반사율 R410과 파장 510nm의 반사율 R510의 비 R410/R510, 0.6 이하이다. 편광자는 파장 410nm의 직교 투과율 T410 파장 510nm의 직교 투과율 T510의 비 T410/T510 7 이상이다.In the organic EL element, in the reflection spectrum for incident light from the first main surface, the ratio R 410 /R 510 between the reflectance R 410 at a wavelength of 410 nm and the reflectance R 510 at a wavelength of 510 nm is 0.6 or less. The polarizer has an orthogonal transmittance T 410 of wavelength 410 nm and Ratio of the orthogonal transmittance T 510 with a wavelength of 510 nm T 410 /T 510 It is 7 or more.

유기 EL 소자는, 제1 주면으로부터의 입사광에 대한 반사 스펙트럼에서, 파장 410nm의 반사율 R410이 35% 이하이어도 되고, 파장 510nm의 반사율 R510이 40% 이상이어도 된다.In the organic EL element, in the reflection spectrum for incident light from the first main surface, the reflectance R 410 at a wavelength of 410 nm may be 35% or less, and the reflectance R 510 at a wavelength of 510 nm may be 40% or more.

유기 EL 표시 장치는, 원편광판 측으로부터의 반사광의 CIELAB 표색계의 크로마틱네스 지수 b*가 -1.0 이하이어도 되고, 크로마틱네스 지수 a*가 0 이상이어도 된다.In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the chromaticity index b * of the CIELAB colorimetric system of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side may be -1.0 or less, and the chromaticity index a * may be 0 or more.

유기 EL 소자의 반사 스펙트럼에서, 가시광선의 단파장의 반사율이 낮은 경우에는, 반사광이 착색되어 보이지만, 유기 EL 소자의 표면에 배치되는 원편광판에서, 편광자의 파장 410nm에서의 직교 투과율 T410 상대적으로 큰 것에 의해,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반사광(원편광판을 투과하는 반사광)의 b*가 작아지고, 착색이 저감된다.In the reflection spectrum of the organic EL element, when the reflectance of short wavelengths of visible light is low, the reflected light appears colored, but in the circular polarizer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organic EL element, the orthogonal transmittance T 410 at the wavelength of the polarizer is 410 nm. By being relatively large, b * of the reflected light of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reflected light that passes through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becomes small, and coloring is reduced.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편광판의 직교 투과 스펙트럼이다.
도 3은 유기 EL 셀의 반사 스펙트럼이다.
도 4는 유기 EL 셀의 반사 스펙트럼과 편광판의 직교 투과 스펙트럼의 곱으로부터 산출한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반사 스펙트럼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 is an orthogonal transmission spectrum of a polarizer.
Figure 3 is a reflection spectrum of an organic EL cell.
Figure 4 shows the reflection spectrum of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calculated from the product of the reflection spectrum of the organic EL cell and the orthogonal transmission spectrum of the polarizing plate.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유기 EL 소자(70)의 시인 측에 원편광판(10)이 배치되어 있는 유기 EL 표시 장치(100)를 나타내고 있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mage display device of one embodiment, and shows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100 in which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0 is disposed on the viewing side of an organic EL element 70.

[유기 EL 소자][Organic EL device]

유기 EL 소자는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유기 발광층을 구비한다. 도 1에서는, 유기 EL 소자(70)(이하, ‘유기 EL 셀’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로서, 톱 에미션형의 유기 EL 셀을 나타내고 있다. 톱 에미션 형의 유기 EL 셀은 기판(71) 위에 음극(73), 유기 발광층(75) 및 양극(77)을 순서대로 구비하고, 양극(77) 측으로부터 광을 취출하는 구성이다. 양극(77) 위에는 봉지재(79)가 적층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봉지재(79)는 전극(73, 77) 및 유기 발광층(75)의 측면을 덮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n organic EL device has an organic light-emitting layer between a pair of electrodes. In Fig. 1, a top emission type organic EL cell is shown as an organic EL element 70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n “organic EL cell”). The top emission type organic EL cell has a cathode 73, an organic light-emitting layer 75, and an anode 77 in that order on a substrate 71, and light is extracted from the anode 77 side. An encapsulant 79 is laminated on the anode 77. Although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encapsulant 79 is provided to cover the side surfaces of the electrodes 73 and 77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75.

기판(71)으로서는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이 이용된다. 톱 에미션형의 유기 EL 셀에서는, 기판(71)은 투명할 필요는 없고, 기판(71)으로서 폴리이미드 필름 등의 고내열성 필름을 이용하여도 된다. 음극(73)은 일반적으로는 금속 전극이다. 유기 발광층(75)은, 그 자신이 발광층으로서 기능하는 유기층 외에, 전자 수송층, 정공 수송층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양극(77)은 금속 산화물층 또는 금속 박막이고, 유기 발광층(75)으로부터의 광을 투과한다. 기판(71)의 이면 측에는 기판의 보호나 보강을 목적으로 하여 백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A glass substrate or a plastic substrate is used as the substrate 71. In a top emission type organic EL cell, the substrate 71 does not need to be transparent, and a highly heat-resistant film such as a polyimide film may be used as the substrate 71. The cathode 73 is generally a metal electrode.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75 may include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etc. in addition to the organic layer that itself functions as a light-emitting layer. The anode 77 is a metal oxide layer or a metal thin film, and transmits light from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75. A back shee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substrate 71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or reinforcing the substrate.

유기 EL 셀은, 기판 위에, 양극(투명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음극(금속 전극)을 순서대로 적층한 보텀 에미션형이어도 된다. 보텀 에미션형의 유기 EL 셀은, 기판 측으로부터 광을 취출하는 구성이고, 투명 기판이 이용된다.The organic EL cell may be a bottom emission type in which an anode (transparent electrode), an organic light-emitting layer, and a cathode (metal electrode) are sequentially laminated on a substrate. A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EL cell is configured to extract light from the substrate side, and a transparent substrate is used.

상기한 바와 같이, 유기 EL 셀(70)의 음극(73)은 일반적으로 금속 전극이고, 광 반사성이다. 유기 발광층(75)은, 두께가 10nm 정도로 극히 얇기 때문에, 외광이 유기 EL 셀의 내부로 입사하면, 유기 발광층을 투과하여 이면 전극인 음극(금속 전극)에 도달하고, 전극에서 반사한 외광이 시인 측(광 취출 측)으로 재출사하기 때문에, 화면이 경면처럼 보인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기 EL 셀(70)의 시인 측 표면에 원편광판(10)을 배치함으로써, 전극에서의 반사광을 차폐하여 화면의 시인성이나 의장성을 향상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cathode 73 of the organic EL cell 70 is generally a metal electrode and is light reflective. Since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75 is extremely thin, with a thickness of about 10 nm, when external light enters the inside of the organic EL cell, it passes through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and reaches the cathode (metal electrode), which is the back electrode, and the external light reflected by the electrode is visible. Since the light is re-emitted from the side (light extraction side), the screen appears mirror-like. As will be described later, by disposing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0 on the viewing side surface of the organic EL cell 70, the visibility and design of the screen can be improved by shielding reflected light from the electrode.

본 발명에서, 유기 EL 셀(70)은, 시인 측(도 1의 상측)으로부터 광을 입사하였을 때의 반사 스펙트럼에서, 파장 410nm의 반사율 R410과 파장 510nm의 반사율 R510의 비 R410/R510이 0.6 이하이다. 반사 스펙트럼은 입사각 8°로 광을 입사하였을 때의 파장 380nm~780nm의 범위의 8° 반사광의 절대 반사율을 측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EL cell 70 has a ratio of the reflectance R 410 at a wavelength of 410 nm and the reflectance R 510 at a wavelength of 510 nm in the reflection spectrum when light is incident from the viewing side (upper side in FIG. 1). R 410 /R 510 is 0.6 or less. The reflection spectrum can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absolute reflectance of 8° reflected light in the wavelength range of 380 nm to 780 nm when light is incident at an incident angle of 8°.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유기 EL 셀에서는, 음극의 금속 재료로서 Ag나 Al이 이용되는 경우가 많고, 반사광의 R410/R510은 0.8 정도이며, 착색이 적고, 반사광은 은색(무채색)으로 보인다. 한편, 음극 재료의 선택이나, 소자의 구성에 따라서는, 가시광선 단파장의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R410/R510 0.6 이하가 되는 경우가 있다. R410/R510이 0.6 이하인 경우, 백색광이 입사하여도, 가시광선 단파장(청색·자색)의 반사가 적기 때문에, 유기 EL 셀(70)로부터의 반사광은 황색으로 착색되어 보인다.In organic EL cells used in image display devices, Ag or Al is often used as a metal material for the cathode, R 410 /R 510 of reflected light is about 0.8, and coloring is There is little , and the reflected light appears silver (achromatic). 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choice of cathode material or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the reflectance of short wavelengths of visible light is relatively low, and R 410 /R 510 is relatively low. There are cases where it is less than 0.6. When R 410 /R 510 is 0.6 or less, even if white light is incident, there is little reflection of visible light short wavelengths (blue and purple), so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organic EL cell 70 appears colored yellow.

유기 EL 셀의 R410/R510 0.55 이하 또는 0.5 이하일 수 있다. R410/R510 작을수록 유기 EL 셀의 반사광의 b* 커지는 경향이 있다. R410/R510 일반적으로 0.1 이상이고, 0.2 이상, 0.25 이상, 또는 0.3 이상이어도 된다. R 410 /R 510 of organic EL cell is It may be 0.55 or less or 0.5 or less. R 410 /R 510 The smaller the b * of the reflected light of the organic EL cell. tends to grow larger. R 410 /R 510 silver It is generally 0.1 or more, and may be 0.2 or more, 0.25 or more, or 0.3 or more .

b*는 CIELAB 표색계의 크로마틱네스 지수이고, b*가 작으면 광은 청색으로 착색되어 시인되며, b*가 크면 광은 황색으로 착색되어 시인된다. 또한, CIELAB 표색계의 다른 하나의 크로마틱네스 지수 a*가 작으면 광은 녹색으로 착색되어 시인되고, a*가 크면 광은 적색으로 착색되어 시인된다.b * is the chromaticity index of the CIELAB color system. If b * is small, the light is colored blue and visible, and if b * is large, the light is colored yellow and visible. In addition, if the other chromaticity index a * of the CIELAB color system is small, the light is colored green and viewed, and if a * is large, the light is colored red and viewed.

유기 EL 셀(70)의 파장 410nm의 반사율 R410은 35% 이하, 30% 이하, 25% 이하 또는 20% 이하이어도 되고, 5% 이상, 10% 이상 또는 15% 이상이어도 된다. 유기 EL 셀(70)의 파장 510nm의 반사율(R510)은 40% 이상 또는 45% 이상이어도 되고, 80% 이하, 70% 이하 또는 60% 이하이어도 된다.The reflectance R 410 of the organic EL cell 70 at a wavelength of 410 nm may be 35% or less, 30% or less, 25% or less, or 20% or less, and may be 5% or more, 10% or more, or 15% or more. The reflectance (R 510 ) of the organic EL cell 70 at a wavelength of 510 nm may be 40% or more or 45% or more, and may be 80% or less, 70% or less, or 60% or less.

[원편광판][Circular polarizer]

유기 EL 셀(70)의 시인 측 표면에는 원편광판(10)이 배치된다. 원편광판(10)은, 편광자(11)의 한쪽 면에 위상차층(13)을 구비하고, 위상차층(13)이 편광자(11)보다도 유기 EL 셀(70)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다.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0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organic EL cell 70 on the viewing side.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0 has a retardation layer 13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11, and the retardation layer 13 is disposed on a side closer to the organic EL cell 70 than the polarizer 11.

원편광판(10)은, 시인 측(도 1의 상측)으로부터 입사하는 외광을, 원편광으로서 유기 EL 셀(70) 측(도 1의 하측)으로 사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외광이 편광자(11)를 투과할 때에, 편광자(11)의 흡수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이 흡수되기 때문에, 직선 편광이 되어 위상차층(13)으로 입사한다. 위상차층(13)은 전형적으로는 1/4 파장판이고, 위상차층(13)을 투과할 때에, 위상차층(13)의 지상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의 위상이 진상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의 위상보다도 π/2 지연된다. 그 때문에, 편광자(11)의 흡수축 방향과 위상차층(13)(1/4 파장판)의 지상축 방향이 이루는 각이 45°인 경우, 편광자(11)로부터의 직선 편광은 위상차층(13)에 의해 원편광으로 변환된다.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0 emits external light incident from the viewer's side (the upper side in FIG. 1) to the organic EL cell 70 side (the lower side in FIG. 1) as circularly polarized light. Specifically, when external light passes through the polarizer 11, the light vibra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11 is absorbed, and thus becomes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enters the retardation layer 13. The retardation layer 13 is typically a quarter wave plate, and when it passes through the retardation layer 13, the phase of the light vibrating in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layer 13 is greater than the phase of the light vibrating in the fast axis direction. It is delayed by π/2. Therefore, when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11 and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layer 13 (1/4 wave plate) is 45°,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from the polarizer 11 is ) is converted to circularly polarized light.

원편광판(10)에 의해 원편광으로 변환된 외광은 유기 EL 셀(70)로 입사한다. 유기 EL 셀에서의 반사광은 다시 원편광판(10)에 도달하고, 위상차층(13)에 의해 원편광이 직선편광으로 변환된다. 유기 EL 셀에서의 반사광(주로 이면 전극인 음극(73)에서 반사된 광)은 반사 시에 위상이 π반전되어 있기 때문에 입사 시와는 역 방향의 원편광이 되어 있다. 따라서, 반사광은 위상차층(13)에서 원편광으로부터 직선 편광으로 변환될 때에 입사 시와는 진동 방향이 직교하는 직선 편광이 되어 편광자(11)에 의해 흡수된다. 이와 같이, 유기 EL 셀(70)의 시인 측 표면에 원편광판(10)을 배치함으로써 유기 EL 셀(70)에서의 반사광이 원편광판(10)에 의해 차폐되기 때문에 표시 장치의 화면의 시인성 및 의장성이 향상된다.External light converted into circularly polarized light by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0 enters the organic EL cell 70.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organic EL cell again reaches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plate 10, and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is converted into linearly polarized light by the retardation layer 13. The reflected light in the organic EL cell (mainly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cathode 73, which is the back electrode) is circularly polariz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at at the time of incidence because the phase is inverted by π when reflected. Therefore, when the reflected light is converted from circularly polarized light to linearly polarized light in the retardation layer 13, it becomes linearly polarized light whose vibration direction is orthogonal to that at the time of incidence and is absorbed by the polarizer 11. In this way, by disposing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0 on the viewing side surface of the organic EL cell 70,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organic EL cell 70 is shielded by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0, thereby improving the visibility and design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Sexuality improves.

<편광자><Polarizer>

편광자(11)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二色性)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의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높은 편광도를 실현 가능한 점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를 흡착시킨 편광자가 바람직하다.As the polarizer 11, for example, a hydrophilic polymer film such as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 partially formalized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nd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based partially saponified film, and iodine or a dichroic dye, etc. Examples include polyene-based oriented films such as those obtained by adsorbing dichroic substances and uniaxially stretching, polyvinyl alcohol dehydrated products, and polyvinyl chloride dehydrochloric acid treated products. Among them, a polarizer in which iodine is adsorbed on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realize a high degree of polarization.

편광자의 제조 공정에서는, 필요에 따라 수세, 팽윤, 가교 등의 처리가 행하여져도 된다. 연신은 요오드 염색 전후 어느 때에 행하여져도 되고, 염색하면서 연신이 행하여져도 된다. 연신은, 공중에서의 연신(건식 연신), 혹은, 수중이나, 붕산, 요오드화 칼륨 등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의 연신(습식 연신)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이들을 병용하여도 된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1~50㎛ 정도이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olarizer, treatments such as washing with water, swelling, and crosslinking may be performed as needed. Stretching may be performed at any time before or after iodine dyeing, or may be performed while dyeing. Stretching may be either stretching in the air (dry stretching), stretching in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oric acid, potassium iodide, etc. (wet stretching), or a combination of these.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generally about 1 to 50 μm.

편광자(11)는 두께가 10㎛ 이하인 박형 편광자이어도 된다. 박형의 편광자로서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1-06964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338329호, WO2010/100917호, 일본 특허 제4691205호, 일본 특허 제475148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73580호에 기재되어 있는 편광자를 들 수 있다. 박형 편광자는, 예컨대 연신용 수지 기재 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형성한 적층체를, 요오드 염색 및 연신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제법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이 얇더라도, 연신용 수지 기재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연신에 의한 파단 등의 문제 없이 연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polarizer 11 may be a thin polarizer with a thickness of 10 μm or less. As a thin polarizer,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1-06964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338329, WO2010/100917, Japanese Patent No. 4691205, Japanese Patent No. 475148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2 -The polarizer described in No. 73580 can be mentioned. A thin polarizer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iodine dyeing and stretching a laminate in which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is formed on a resin substrate for stretching. In this manufacturing method, even i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is thin, stretching is possible without problems such as breakage during stretching because it is supported by the resin substrate for stretching.

편광자(11)는 파장 410nm의 직교 투과율 T410과 파장 510nm의 직교 투과율 T510의 비 T410/T510이 7 이상이다. 직교 투과율은, 동일한 편광자 2매를 크로스니콜로 배치하였을 때의 광 투과율이고, 직교 투과율이 작을수록 편광도가 높아진다. 편광자가 단독의 필름으로서 취급이 곤란한 경우(예컨대, 편광자의 두께가 작은 경우)는,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편광자 보호 필름(투명 필름)을 첩합한 편광판을 크로스니콜로 배치하여 투과 스펙트럼(직교 투과율)을 측정하면 된다.The polarizer 11 has an orthogonal transmittance T 410 and a wavelength of 410 nm. Ratio of orthogonal transmittance T 510 of 510 nm T 410 /T 510 is 7 or more. The orthogonal transmittance is the light transmittance when two identical polarizers are arranged in cross nicol, and the smaller the orthogonal transmittance, the higher the degree of polarization. If the polarizer is difficult to handle as a single film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small), a polarizer with a polarizer protective film (transparent film) bonded to on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is placed with CrossNicol to obtain a transmission spectrum (orthogonal transmittance). ) can be measured.

일반적으로는, 편광자는 가시광선의 넓은 파장 범위에 걸쳐 직교 투과율이 작고 투과광의 색상이 뉴트럴인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T410/T510이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유기 EL 셀(70)의 시인 측에 배치되는 원편광판(10)의 편광자(11)로서, 파장 410nm의 직교 투과율 T410이 크고 T410/T510 7 이상인 것을 이용한다.In general, a polarizer is required to have a small orthogonal transmittance over a wide wavelength range of visible light and to have a neutral color of transmitted light, so the smaller T 410 /T 510 is. desirable. 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er 11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0 disposed on the viewing side of the organic EL cell 70 has a large orthogonal transmittance T 410 at a wavelength of 410 nm and T 410 /T 510 . Use one that is 7 or higher.

상기한 바와 같이, 유기 EL 셀(70)은 가시광선 단파장의 반사율이 낮고 반사광이 황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편광자(11)의 T410이 상대적으로 큰 것에 의해, 원편광판(10)에 의한 가시광선 단파장의 반사광의 차폐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원편광판(10)으로 차폐되지 않고 외부로 누설되는 반사광의 색상이 뉴트럴화된다. 또한, T510 상대적으로 작고, 비시감도가 높은 파장 영역의 반사광의 차폐율이 높기 때문에, 유기 EL 표시 장치는 반사광의 시감 반사율이 낮고 시인성이 우수하다.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EL cell 70 has a low reflectance of short wavelengths of visible light, and the reflected light is colored yellow. Because the T 410 of the polarizer 11 is relatively large, the shielding rate of reflected light of short wavelength visible light by the circular polarizer 10 is lowered, so th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that is not shielded by the circular polarizer 10 and leaks to the outside is reduced. becomes neutral. Additionally, the T 510 Because it is relatively small and has a high shielding rate of reflected light in a wavelength range with high visible sensitivity,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has a low luminous reflectance of reflected light and excellent visibility.

편광자(11)의 T410/T510 8 이상, 9 이상 또는 10 이상이어도 된다. T410/T510 클수록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반사광의 b*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편광자(11)의 T410/T510 과도하게 큰 경우에는 반사광이 청색으로 강하게 착색되어 시인되어 시감이 저하된다. 따라서, 편광자(11)의 T410/T510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20 이하, 17 이하 또는 15 이하이어도 된다.T 410 /T 510 of polarizer 11 is It may be 8 or more, 9 or more, or 10 or more. T 410 /T 510 The larger the b * of reflected light of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tends to get smaller. Meanwhile, T 410 /T 510 of polarizer 11 is If it is excessively large, the reflected light is viewed as strongly colored blue, thereby deteriorating visibility. Therefore, T 410 /T 510 of polarizer 11 is 30 or less is preferable, 25 or less is more preferable, and 20 or less, 17 or less, or 15 or less may be sufficient.

편광자(11)의 파장 410㎚와 파장 510㎚의 직교 투과율의 비 T410/T510은, 편광자의 제조 조건 등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를 흡착시킨 편광자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의 분자쇄와 착체를 형성하고 있는 폴리요오드 이온의 비율에 의해 T410/T510 변화한다.The ratio T 410 /T 510 of the orthogonal transmittance of the wavelength 410 nm and the wavelength 510 nm of the polarizer 11 can be within the above range by adjusting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of the polarizer, etc. For example, in a polarizer in which iodine is adsorbed on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T 410 /T 510 is determined by the ratio of polyiodine ions forming a complex with the molecular chain of polyvinyl alcohol. It changes.

편광자에서, 요오드는 요오드 이온(I-), 요오드 분자(I2), 폴리요오드 이온(I3 - 및 I5 -) 등의 형태로 존재한다. 이들 중, 폴리요오드 이온인 I3 - 및 I5 -가 폴리비닐알코올(PVA)의 폴리머쇄와 착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색성의 발현에 기여하고 있다.In the polarizer, iodine exists in the form of iodine ions (I - ), iodine molecules (I 2 ), polyiodine ions (I 3 - and I 5 - ), etc. Among these, polyiodine ion I 3 - and I 5 - forms a complex with the polymer chain of polyvinyl alcohol (PVA), contributing to the expression of dichroism.

PVA와 3요오드화물 이온(I3 -)의 착체는 470nm 부근에 흡광 피크를 갖고, PVA와 5요오드화물 이온(I5 -)의 착체는 600nm 부근에 흡광 피크를 갖는다. 그 때문에, 편광자는 가시광선의 넓은 파장 영역에서 이색성을 나타내지만, 직교 투과 스펙트럼은 410nm 부근 및 510nm 부근에 투과율의 극대(흡광도의 극소)를 갖는다. 편광자에서의 I3 -와 I5 - 비율에 따라 직교 투과율의 스펙트럼 형상이 변화하고, I3 -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커지면 가시광선의 단파장 측의 직교 투과율이 작아지며, 편광자의 T410/T510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I5 - 비율이 상대적으로 커지면 가시광선의 장파장 측의 직교 투과율이 작아지고, 편광자의 T410/T510은 커지는 경향이 있다.The complex of PVA and triiodide ions (I 3 - ) has an absorption peak around 470 nm, and the complex of PVA and pentaiodide ions (I 5 - ) has an absorption peak around 600 nm. It has a peak. Therefore, although the polarizer exhibits dichroism in a wide wavelength range of visible light, the orthogonal transmission spectrum has maximum transmittance (minimum absorbance) around 410 nm and 510 nm. I 3 - and I 5 - in the polarizer in proportion The spectral shape of the orthogonal transmittance changes accordingly, and when the ratio of I 3 - becomes relatively large, the orthogonal transmittance on the short wavelength side of visible light becomes small, Polarizer T 410 /T 510 is tends to get smaller. I 5 - of As the ratio becomes relatively large, the orthogonal transmittance on the long wavelength side of visible light decreases, and the T 410 /T 510 of the polarizer increases. There is a tendency.

편광자에서의 I3 -와 I5 - 비율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요오드 염색 조건의 조정, 연신 조건의 조정, 환원 처리, 가열 처리 등이 알려져 있고, 상세에 대해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34150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9181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1175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3-10130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3-2105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6-148830호, WO2016/11765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7-1675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9-53279호 등을 참조할 수 있다.I 3 - and I 5 - in the polarizer Methods for adjusting the ratio include adjustment of iodine dyeing conditions, adjustment of stretching conditions, reduction treatment, heat treatment, etc. It is known, and for details,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341503,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9181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117516,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3-10130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Please refer to Publication No. 2013-210516,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6-148830, WO2016/117659,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7-167517,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9-53279, etc.

편광자(11)는 파장 470nm의 직교 투과율 T470 파장 600nm의 직교투과율 T600의 비 T470/T600 23 이하, 20 이하 또는 18 이하이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장 470nm는 PVA와 I3 -의 착체의 흡수 극대(투과율의 극소)이고, 파장 600nm는 PVA와 I5 -의 착체의 흡수 극대이다. 따라서, I5 - 비율이 상대적으로 크면 T470/T600 커지는 경향이 있다. The polarizer 11 has an orthogonal transmittance T 470 of a wavelength of 470 nm and The ratio of the orthogonal transmittance T 600 at a wavelength of 600 nm is T 470 / T 600 . It may be 23 or less, 20 or less, or 18 or less . As mentioned above, the wavelength of 470 nm is the maximum absorption (minimum transmittance) of the complex of PVA and I 3 - , and the wavelength of 600 nm is the maximum absorption of the complex of PVA and I 5 - . Therefore, I 5 - s If the ratio is relatively large, T 470 /T 600 It tends to get bigger .

편광자(11)의 편광도는 95% 이상이 바람직하고, 98%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99%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99.9% 이상이어도 된다. 편광도 P는, 평행 투과율 Tp 및 직교 투과율 Tc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의 평행 투과율 Tp 및 직교 투과율 Tc는, 평행 투과 스펙트럼 및 직교 투과 스펙트럼으로부터, JIS Z8701의 2도 시야(C 광원)에 의한 시감도 보정을 행한 Y값이다.The polarization degree of the polarizer 11 is preferably 95% or more, more preferably 98%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99% or more, and may be 99.9% or more. The polarization degree P can be obtained from the parallel transmittance Tp and the orthogonal transmittance Tc by the following formula. In addition, the parallel transmittance Tp and the orthogonal transmittance Tc here are Y values obtained by performing visibility correction by the 2-degree field of view (C light source) of JIS Z8701 from the parallel transmission spectrum and the orthogonal transmission spectrum.

P(%)=100×{(Tp-Tc)/(Tp+Tc)}/2P(%)=100×{(Tp-Tc)/(Tp+Tc)}/2

<위상차층><Phase difference layer>

상기한 바와 같이, 편광자(11)의 한쪽 면에 위상차층(13)을 배치함으로써 원편광판(10)이 구성된다. 위상차층(13)은, 1층의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0 is constructed by disposing the retardation layer 13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11. The phase difference layer 13 may include one layer of the phase difference layer, or may include two or more layers.

위상차층(13)은 바람직하게는 1/4 파장판이다. 1/4 파장판은 파장 550nm에서의 정면 리타데이션 Re(550)가 100~180nm이다. 1/4 파장판의 Re(550)는 110nm~165nm가 바람직하고, 120nm~155nm가 보다 바람직하며, 127.5nm~147.5nm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retardation layer 13 is preferably a quarter wave plate. The 1/4 wave plate has a frontal retardation Re(550) of 100 to 180 nm at a wavelength of 550 nm. The Re(550) of the quarter wave plate is preferably 110 nm to 165 nm, more preferably 120 nm to 155 nm, and even more preferably 127.5 nm to 147.5 nm.

위상차층(13)은 장파장일수록 큰 리타데이션을 갖는 특성(소위 ‘역파장 분산’)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위상차층(13)이 역파장 분산을 갖는 경우, 가시광선의 넓은 파장 범위에 걸쳐 위상차층의 정면 리타데이션과 1/4 파장의 차가 작기 때문에, 원편광판이 광대역화되어 우수한 반사 방지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The phase difference layer 13 may have a characteristic of having greater retardation the longer the wavelength (so-called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When the retardation layer 13 has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retardation of the retardation layer and the 1/4 wavelength is small over a wide wavelength range of visible light, so the circular polarizer can be broadened and excellent anti-reflection properties can be realized. .

역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층은 파장 450nm에서의 정면 리타데이션 Re(450)와 파장 550nm에서의 정면 리타데이션 Re(550)의 비 Re(450)/Re(550)가 1 미만이다. Re(450)/Re(550)는 0.65~0.99가 바람직하고, 0.70~0.95가 보다 바람직하며, 0.75~0.90이 더욱 바람직하고, 0.80~0.85이어도 된다.The retardation layer with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s has a ratio Re(450)/Re(550) of the front retardation Re(450) at a wavelength of 450 nm and the front retardation Re(550) at a wavelength of 550 nm, Re(450)/Re(550). Re(450)/Re(550) is preferably 0.65 to 0.99, more preferably 0.70 to 0.95, further preferably 0.75 to 0.90, and may be 0.80 to 0.85.

특히, Re(450)/Re(550)가 0.80~0.85인 경우에는, 파장 λ가 450~550nm의 범위에서 Re(λ)와 λ/4의 차가 작기(이상적인 1/4 파장에 가깝기) 때문에 당해 파장 범위의 누광이 적다. 따라서,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비시감도가 높은 파장 450~550nm의 반사율이 낮고, 반사광의 시감 반사율이 낮기 때문에 시인성이 우수하다. 한편, 파장 λ가 450nm보다도 단파장인 범위에서는, Re(λ)<λ/4이고, 당해 파장 범위의 누광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편광자(11)의 T410/T510 큰 것과 더불어,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반사광의 b*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위상차층(13)의 Re(450)/Re(550)는 0.80~0.84, 또는 0.81~0.83이어도 된다.In particular, when Re(450)/Re(550) is 0.80 to 0.85, the difference between Re(λ) and λ/4 is small (close to the ideal 1/4 wavelength) when the wavelength λ is in the range of 450 to 550 nm. There is less light leakage in the wavelength range. Therefore, in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the reflectance of the wavelength of 450 to 550 nm, which has high visible sensitivity, is low, and the luminous reflectance of reflected light is low, so visibility is excellent. On the other hand, in the range where the wavelength λ is shorter than 450 nm, Re(λ) < λ/4, and light leakage in that wavelength range is likely to occur. Therefore, T 410 /T 510 of the polarizer 11 is In addition to being large, b * of the reflected light of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tends to become small. Re(450)/Re(550) of the phase difference layer 13 may be 0.80 to 0.84, or 0.81 to 0.83.

위상차층은 예컨대 연신 필름이다. 필름의 수지 재료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환상 올레핀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페닐말레이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층은 액정 화합물이 소정 방향으로 배향된 배향 액정층이어도 된다. 위상차층의 두께는 예컨대 1~300㎛ 정도이다.The retardation layer is, for example, a stretched film. Resin materials for the film include polycarbonate-based resin, cyclic olefin-based resin, cellulose-based resin, polyester-based resin,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polyamide-based resin, polyimide-based resin, polyether-based resin, polystyrene-based resin, Acrylic resin, phenylmaleimide resin, etc. are mentioned. The phase contrast layer may be an aligned liquid crystal layer in which the liquid crystal compound is orien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thickness of the phase contrast layer is, for example, about 1 to 300 μm.

상기한 바와 같이 위상차층(13)은 2 이상의 위상차층의 적층체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컨대 복수의 위상차층을 적층함으로써 1/4 파장판의 리타데이션의 파장 분산을 조정하여 원편광판을 광대역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위상차층을 적층하여 3차원의 굴절률 이방성(굴절률 타원체)을 조정함으로써 시인 방향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를 저감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hase difference layer 13 may be configured as a laminate of two or more phase difference layers. For example, by stacking a plurality of retardation layers, the wavelength dispersion of the retardation of the quarter wave plate can be adjusted to increase the bandwidth of the circular polarizer plate. Additionally, the change in retardation depending on the viewing direction can be reduc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retardation layers to adjust the three-dimensional refractive index anisotropy (refractive index ellipsoid).

편광자(11)와 위상차층(13)의 적층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편광자(11)의 표면에 편광자 보호 필름이 첩합되고, 편광자 보호 필름을 개재하여 위상차층(13)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위상차층(13)이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어도 된다. 편광자(11)와 위상차층(13)은 반드시 적층 일체화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이간되어 배치되어도 있어도 된다.The stacking form of the polarizer 11 and the retardation layer 1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 polarizer protective film may be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11, and the retardation layer 13 may be laminated through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dditionally, the retardation layer 13 may also function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The polarizer 11 and the retardation layer 13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laminated and integrated, and may be arranged apart from each other.

편광자(11)의 흡수축 방향과 위상차층(13)으로서의 1/4 파장판의 지상축 방향이 이루는 각은, 예컨대 35°~55°이고, 바람직하게는 40°~50°, 보다 바람직 하게는 43°~47°, 더욱 바람직하게는 44°~46°이다. 또한, 복수의 위상차층을 적층하여 1/4 파장판의 리타데이션의 파장 분산을 조정하는 경우(예컨대, 1/4 파장판과 1/2 파장판을, 평행도 직교도 아닌 각도로 적층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지상축을 관념할 수 없기 때문에, 편광자와 위상차층의 배치 각도는 상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편광자와 위상차층의 적층체가 원편광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각 광학층의 배치 각도를 설정하면 된다.The angle formed by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11 and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quarter wave plate as the retardation layer 13 is, for example, 35° to 55°, preferably 40° to 50°, more preferably 43° to 47°, more preferably 44° to 46°. In addition, when stacking a plurality of retardation layers to adjust the wavelength dispersion of the retardation of the 1/4 wave plate (for example, when 1/4 wave plate and 1/2 wave plate are stacked at an angle that is neither parallel nor perpendicular) Since a constant slow axis cannot be considered,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the arrangement angle of each optical layer can be set so that the laminate of the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can function as a circular polarizer.

<편광자 보호 필름><Polarizer protection film>

편광자(11)의 시인 측 표면(위상차층(13)이 배치되어 있는 면의 반대 측의 면)에는,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투명 필름(15)이 첩합되어 있어도 된다. 투명 필름(15)의 두께는 1~300㎛ 정도이다. 투명 필름(15)의 수지 재료의 예로서는, 위상차층(13)의 수지 재료로서 전술한 것을 들 수 있다.A transparent film 15 may be bonded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to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11 on the viewing side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retardation layer 13 is disposed).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film 15 is approximately 1 to 300 μm. Examples of the resin material of the transparent film 15 include those described above as the resin material of the retardation layer 13.

[유기 EL 표시 장치][Organic EL display device]

유기 EL 셀(70)의 시인 측 표면에 원편광판(10)을 배치함으로써 유기 EL 표시 장치(100)가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기 EL 셀(70)과 원편광판(10)은 적절한 점접착제층(21)을 개재하여 첩합되어 있어도 된다. 점접착제층(21)으로서는 경화형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감압 접착제)가 이용된다. 점접착제층의 두께는 예컨대 0.1~500㎛ 정도이다.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100 is formed by disposing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0 on the viewing side surface of the organic EL cell 70. As shown in FIG. 1, the organic EL cell 70 and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0 may be bonded together through an appropriate adhesive layer 21. As the adhesive layer 21, a hardening type adhesive or adhes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use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for example, about 0.1 to 500 μm.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점접착제층(21)으로서는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점착제로서는, 아크릴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 폴리머, 고무계 폴리머 등을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나 고무계 점착제 등의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젖음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을 나타내며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한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컨대 5~500㎛ 정도이다.An adhesive is preferable as the adhesive layer 21 from the viewpoint of handling properties and the like. As the adhesive, a base polymer such as acrylic polymer, silicone polymer, polyester, polyurethane, polyamide, polyether, fluorine polymer, rubber polymer, etc.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In particular, adhesives such as acrylic adhesives or rubber adhesives that have excellent transparency, exhibit appropriate wettability, cohesiveness, and adhesiveness, and have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are preferre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for example, about 5 to 500 μm.

유기 EL 표시 장치(100)에서는, 유기 EL 셀(70)의 전극 등에 의해 반사된 외광이 원편광판(10)에 의해 차폐되기 때문에 화면의 시인성이 우수함과 함께, 화면이 경면과 같이 시인되지 않고 의장성이 우수하다. 단, 유기 EL 셀의 시인 측 표면에 원편광판을 배치한 경우에도 원편광판에 의해 반사광을 완전히 차폐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일부의 반사광은 원편광판을 투과한다.In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100, external light reflected by the electrodes of the organic EL cell 70, etc. is shielded by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0, so the visibility of the screen is excellent, and the screen is not viewed as a mirror surface and has a clear design. The castle is excellent. However, even when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is placed on the viewing side surface of an organic EL cell, the reflected light cannot be completely shielded by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so some of the reflected light passes through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유기 EL 셀(70)은 파장 410nm의 반사율 R410 파장 510nm의 반사율 R510의 비 R410/R510이 0.6 이하이기 때문에, 원편광판을 마련하지 않은 상태에서 유기 EL 셀(70)에 외광(백색광)이 입사하면 반사광은 황색으로 착색되어 보인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장 410nm의 직교 투과율 T410이 큰(즉, 가시광선 단파장의 누광이 큰) 편광자(11)를 포함하는 원편광판(10)을 유기 EL 셀(70)의 시인 측에 배치하고 의도적으로 가시광선 단파장의 반사광의 누광을 크게 함으로써 유기 EL 표시 장치(100)의 반사광의 b*가 작아지고 색상이 뉴트럴화된다.The organic EL cell 70 has a reflectance R 410 at a wavelength of 410 nm and The ratio R 410 /R 510 of the reflectance R 510 at a wavelength of 510 nm is 0.6 Because of the following, when external light (white light) is incident on the organic EL cell 70 without providing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the reflected light appears colored yellow. As described above, the circular polarizer 10 including the polarizer 11 with a large orthogonal transmittance T 410 of a wavelength of 410 nm (i.e., with a large leakage of visible light short wavelength) is placed on the viewing side of the organic EL cell 70 and intentionally By increasing the leakage of reflected light in the short wavelength of visible light, b * of the reflected light of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100 becomes small and the color becomes neutral.

색상의 뉴트럴화의 관점에서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반사광은 이상적으로는 크로마틱네스 지수 a* 및 b* 0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정면의 반사광이 a*≒0, b*≒0인 경우, 경사 방향의 반사광의 컬러 시프트에 의한 색감의 변화가 복잡하고, 특히 a*<0, b*>0이 되었을 경우에 녹색의 착색이 강하게 시인되어 시감이 손상되기 쉽다.From the viewpoint of color neutralization, the reflected light of an organic EL display ideally has chromaticity indices a * and b * . Close to 0 is desirable.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front is a * ≒0, b * ≒0, the color change due to the color shift of the oblique reflected light is complicated, especially when a * < 0, b * > 0, the color of green The coloring is strongly visible and the visual perception is easily impaired.

경사 방향의 반사광의 컬러 시프트에 의한 색상 변화가 생겼을 때에도, 색감(시감)의 변화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유기 EL 셀(70) 위에 원편광판(10)을 구비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100)의 반사광(정면의 반사광)의 b*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반사광의 b*는 -1.1 이하 또는 -1.2 이하이어도 된다. 반사광의 b*가 과도하게 작은 경우에는 청색의 착색이 강하고 시감이 손상되기 때문에,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반사광의 b*는 -3.0 이상이 바람직하고, -2.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2.2 이상, -2.1 이상 또는 -2.0 이상이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편광자(11)의 T410/T510 클수록 유기 EL 표시 장치(100)의 반사광의 b*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Even when a color change occurs due to a color shift of reflected light in an oblique direction, in order to reduce the change in color (visibility), the reflected light of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100 including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0 on the organic EL cell 70 ( It is preferable that b * of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front is -1.0 or less. b * of the reflected light of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may be -1.1 or less or -1.2 or less. If b * of the reflected light is excessively small, the blue coloring is strong and the visual perception is impaired. Therefore, the b * of the reflected light of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is preferably -3.0 or more, more preferably -2.5 or more, -2.2 or more, It may be -2.1 or more or -2.0 or more. As described above, T 410 /T 510 of the polarizer 11 is The larger it is, the smaller b * of the reflected light of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100 tends to be.

컬러 시프트에 의한 반사광의 녹색의 착색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반사광의 a*는 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보다 큰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사광의 a*는 0.1 이상, 0.3 이상, 0.4 이상 또는 0.5 이상이어도 된다. 반사광의 a*가 과도하게 큰 경우에는 적색의 착색이 강하고 시감이 손상되기 때문에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반사광의 a*는 2.5 이하가 바람직하고, 2.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2.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8 이하 또는 1.6 이하이어도 된다.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green coloration of reflected light due to color shift, a * of the reflected light of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is preferably 0 or more, and more preferably greater than 0. a * of the reflected light may be 0.1 or more, 0.3 or more, 0.4 or more, or 0.5 or more. If a * of the reflected light is excessively large, red coloring is strong and visibility is impaired, so a * of the reflected light of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is preferably 2.5 or less, more preferably 2.2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2.0 or less. It may be 1.8 or less or 1.6 or less.

유기 EL 표시 장치는 유기 EL 셀(70) 및 원편광판(10)에 더하여 임의의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컨대, 원편광판(10)의 시인 측 표면에는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방오층, 표면 보호층(커버 윈도우) 등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유기 EL 표시 장치는 터치 패널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터치 패널 센서는, 유기 EL 셀(70)의 이면, 유기 EL 셀(70)의 내부, 유기 EL 셀(70)과 원편광판(10)과의 사이, 원편광판(10)보다도 시인 측의 어느 쪽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may include an arbitrary optical member in addition to the organic EL cell 70 and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0. For example, a hard coat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n antifouling layer, a surface protection layer (cover window), etc. may be provided on the viewer side surface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0. Additionally,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touch panel sensor. The touch panel sensor is located on the back of the organic EL cell 70, inside the organic EL cell 70, between the organic EL cell 70 and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0, and on the viewer side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0. It may be placed.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구체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xamples.

[편광판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er]

<편광판 A><Polarizer A>

두께 100㎛의 비정질 폴리에스테르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유리전이온도 75℃)의 편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중합도 4200, 비누화도 99.2몰%) 및 아세토아세틸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일본합성화학공업 제조 ‘고세파이머 Z410’)을 9:1의 중량비로 혼합한 수지 100중량부에 요오드화 칼륨 13 중량부를 첨가하여 PVA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이 수용액을 비정질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에 도포하고 60℃에서 건조하여, 비정질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 위에 두께 13㎛의 PVA계 수지층이 마련된 적층체를 제작하였다.Corona treatment was performed on one side of an amorphous polyester film (polyethylene-terephthalate/isophthalat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75°C) with a thickness of 100 μm. Potassium iodide 13 in 100 parts by weight of resin mixed with polyvinyl alcohol (degree of polymerization 4200, degree of saponification 99.2 mol%) and acetoacetyl-modified polyvinyl alcohol ('Gosephimer Z410' manufactured by Japa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 at a weight ratio of 9:1. A PVA aqueous solution was prepared by adding parts by weight. This aqueous solution was applied to the corona-treated side of the amorphous polyester film and dried at 60°C to produce a laminate in which a PVA-based resin layer with a thickness of 13 μm was provided on the amorphous polyester film substrate.

이 적층체를 130℃의 오븐 내에서의 공중 보조 연신에 의해 긴 방향으로 3.0배로 자유단 1축 연신한 후, 롤 반송하면서 40℃의 4% 붕산 수용액에 30초간, 40℃의 염색액(0.2% 요오드, 1.4% 요오드화칼륨 수용액)에 60초간 순차 침지하였다. 이어서, 적층체를 롤 반송하면서, 40℃의 가교액(요오드화칼륨 3%, 붕산 5% 수용액)에 30초간 침지하여 가교 처리를 행하고, 70℃의 붕산 4%, 요오드화 칼륨 5% 수용액에 침지하면서, 총 연신 배율이 5.5배가 되도록 긴 방향으로 자유단 1축 연신하였다. 그 후, 적층체를 20℃의 세정액(4% 요오드화칼륨 수용액)에 침지하였다.This laminate was uniaxially stretched at the free ends 3.0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ir-assisted stretching in an oven at 130°C, then dyed in a 4% aqueous boric acid solution at 40°C for 30 seconds while being rolled back, followed by a dyeing solution (0.2%) at 40°C. % iodine, 1.4% potassium iodide aqueous solution) for 60 seconds. Next, while conveying the laminate by roll, crosslinking treatment is performed by immersing it in a crosslinking solution (3% potassium iodide, 5%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at 40°C for 30 seconds, and then immersing it in an aqueous solution of 4% boric acid and 5% potassium iodide at 70°C. , the free end was stretched uniaxi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total stretching ratio was 5.5 times. Afterwards, the laminate was immersed in a cleaning solution (4% aqueous potassium iodide solution) at 20°C.

적층체를 60℃의 오븐 내에서 1분간 반송하여 건조를 행하였다. 이 사이에, 오븐 내에 배치된 표면 온도가 75℃인 SUS제 가열 롤에 약 2초간 접촉시켰다. 상기의 공정에 의해 비정질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 위에 두께 약 5㎛의 PVA계 편광자가 마련된 적층체를 얻었다.The laminate was transported in an oven at 60°C for 1 minute and dried. In the meantime, it wa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SUS heating roll placed in the oven and having a surface temperature of 75°C for about 2 seconds. Through the above process, a laminate in which a PVA-based polarizer with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5 μm was provided on an amorphous polyester film substrate was obtained.

편면에 하드 코트층이 형성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두께 32㎛)의 하드 코트층 비형성면을 상기의 적층체의 편광자 측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개재하여 첩합하였다. 그 후, 편광자로부터 비정질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를 박리하여 편광자의 편측에 하드 코트 필름이 첩합된 편광판 A를 얻었다.The non-hard coat layer side of a triacetylcellulose film (thickness 32 µm) with a hard coat layer formed on one side was bonded to the polarizer side of the above laminate through an ultraviolet curing adhesive. After that, the amorphous polyester film base material was peeled from the polarizer to obtain polarizing plate A in which a hard coat film was bonded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편광판 B><Polarizer B>

편광자(적층체)의 건조 시의 오븐의 온도를 60℃에서 80℃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에는 편광판 A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자의 편측에 하드 코트 필름이 첩합된 편광판 B를 얻었다.The temperature of the oven during drying of the polarizer (laminated body) was changed from 60°C to 80°C. Other than that, it was similar to the production of polarizing plate A to obtain polarizing plate B in which a hard coat film was bonded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편광판의 직교 투과 스펙트럼][Orthogonal transmission spectrum of polarizer]

상기의 편광판 A 및 편광판 B에 대하여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니혼분코 제조 ‘V-7100’)에 의해 직교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스펙트럼을 도 2에 나타낸다. 편광판 A 및 편광판 B의 파장 410nm, 470nm, 510nm 및 600nm에서의 직교 투과율 T410, T470, T510 T600, 이들의 비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The orthogonal transmission spectra of the above polarizer A and polarizer B were measured using an ultraviolet/visible spectrophotometer ('V-7100' manufactured by Nippon Bunko). The spectrum is shown in Figure 2. Orthogonal transmittance T 410 , T 470 , T 510 and T 600, and of these The ratio was as shown in Table 1.

[표 1][Table 1]

[유기 EL 셀][Organic EL cell]

<유기 EL 셀 A><Organic EL cell A>

참고예의 유기 EL 셀로서 삼성 제조의 스마트 폰(GALAXY S5)의 유기 EL 셀의 표면에 첩부되어 있는 원편광판을 박리한 것을 준비하였다.As an organic EL cell in the reference example,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ffixed to the surface of an organic EL cell of a Samsung smartphone (GALAXY S5) was peeled off.

<유기 EL 셀 B><Organic EL cell B>

유기 EL 셀의 반사광을 의사적으로 재현한 시료로서 하드 코트 필름 위에 금속 산화물 박막이 형성된 가식 필름을 제작하였다. 편면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의 UV 경화에 의해 형성된 하드 코트층을 구비하는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스퍼터 성막 장치에 셋팅하였다. 스퍼터 성막 장치에 Nb 타겟(다이도특수강 제조)을 장착하고 Ar 가스와 O2 가스를 도입하면서, 교류 스퍼터(AC: 40Hz)에 의해 하드 코트 필름의 하드 코트층 형성면에 두께 60nm의 산화니오브 박막을 형성하여 가식 필름을 얻었다.As a sample that simulated the reflected light of an organic EL cell, a decorative film in which a metal oxide thin film was formed on a hard coat film was produced. A 50-μm-thick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having a hard coat layer formed on one side by UV curing of urethane acrylate resin was set in a sputter film forming device. An Nb target (manufactured by Daido Special Steel) was mounted on the sputter film deposition device, and while introducing Ar gas and O 2 gas, a 60 nm thick niobium oxide thin film was formed on the hard coat layer formation surface of the hard coat film by alternating current sputtering (AC: 40 Hz). A decorative film was obtained by forming it.

[유기 EL 셀의 반사 스펙트럼][Reflection spectrum of organic EL cell]

상기의 유기 EL 셀 A 및 유기 EL 셀 B에 대하여 입사각 8°로 광을 입사시키고 파장 380nm~780nm의 범위의 절대 반사율을 측정함으로써 반사 스펙트럼을 구하였다. 반사 스펙트럼을 도 3에 나타낸다. 유기 EL 셀 A 및 유기 EL 셀 B의 파장 410nm 및 510nm에서의 반사율 R410과 R510 및 그의 비는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Light was incident on the organic EL cell A and organic EL cell B above at an incident angle of 8°, and the reflection spectrum was obtained by measuring the absolute reflectance in the range of wavelength 380 nm to 780 nm. The reflection spectrum is shown in Figure 3. Reflectance R 410 and R 510 at wavelengths 410 nm and 510 nm of organic EL cell A and organic EL cell B and their The ratio was as shown in Table 2.

[표 2][Table 2]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반사 스펙트럼][Reflection spectrum of organic EL display device]

유기 EL 셀 A의 반사 스펙트럼에서의 각 파장의 반사율에 편광판 A의 직교 투과 스펙트럼에서의 각 파장의 투과율을 곱하여 반사 스펙트럼을 구하였다. 이 반사 스펙트럼은 유기 EL 셀 A의 표면에 편광판 A를 구비하는 원편광판을 배치한 유기 EL 표시 장치의 의사 반사 스펙트럼에 상당한다. 마찬가지로, 유기 EL 셀 B와 편광판 A의 조합 및 유기 EL 셀 B와 편광판 B의 조합에 대해서, 유기 EL 셀의 반사율과 편광판의 직교 투과율을 곱하여 의사 반사 스펙트럼을 구하였다. 각각의 의사 반사 스펙트럼을 도 4에 나타낸다. 각 유기 EL 셀과 편광판의 조합에 대하여 파장 410nm 및 510nm에서의 반사율 R410 R510 그의 비는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The reflection spectrum wa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reflectance of each wavelength in the reflection spectrum of organic EL cell A by the transmittance of each wavelength in the orthogonal transmission spectrum of polarizer A. This reflection spectrum corresponds to the pseudo-reflection spectrum of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in which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polarizing plate A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organic EL cell A. Similarly, for the combination of organic EL cell B and polarizer A and the combination of organic EL cell B and polarizer B, a pseudo-reflection spectrum wa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reflectance of the organic EL cell and the orthogonal transmittance of the polarizer. Each pseudo-reflection spectrum is shown in Figure 4. For each combination of organic EL cell and polarizer, the reflectance R 410 at wavelengths of 410 nm and 510 nm and R 510 and His ratio was as shown in Table 3.

[표 3][Table 3]

도 3 및 표 2로부터, 유기 EL 셀 B는 유기 EL 셀 A에 비해 반사율이 낮고, 특히 500nm보다도 단파장의 영역에서의 반사율의 저하가 현저하기 때문에, R410/R510 작고 반사광은 황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From Figure 3 and Table 2, organic EL cell B has a lower reflectance than organic EL cell A, and the decrease in reflectance i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the region of shorter wavelength than 500 nm, so R 410 /R 510 It can be seen that it is small and the reflected light is colored yellow.

이 유기 EL 셀 B와 편광판 A의 조합에서는, 반사 스펙트럼에서의 R410/R510 2 미만이었다. 유기 EL 셀 B와 T410/T510 큰 편광판 B의 조합에서는, 유기 EL 셀 A와 편광판 A의 조합과 마찬가지로, 반사 스펙트럼에서의 R410/R510이 4 이상이고 반사광의 b*가 작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기 EL 셀 B와 편광판 B의 조합에서는, 유기 EL 셀 A와 편광판 A의 조합을 비교하여, 가시광선의 넓은 파장 범위에 걸쳐 반사율이 낮고 화면의 시인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In this combination of organic EL cell B and polarizer A, R in the reflection spectrum410/R510this It was less than 2. Organic EL cells B and T410/T510this In the combination of large polarizer B, similar to the combination of organic EL cell A and polarizer A, R in the reflection spectrum410/R510is 4 or more and b of the reflected light*You can see that has become smaller.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in the combination of organic EL cell B and polarizer B, by comparing the combination of organic EL cell A and polarizer A, it can be seen that the reflectance is low and the screen visibility is excellent over a wide wavelength range of visible light. there is.

10: 원편광판
11: 편광자
13: 위상차층
15: 투명 필름
21: 점접착제층
70: 유기 EL 소자(유기 EL 셀)
71: 기판
73: 음극(금속 전극)
75: 유기 발광층
77: 양극(투명 전극)
79: 봉지재
10: circular polarizer
11: Polarizer
13: Phase contrast layer
15: transparent film
21: Adhesive layer
70: Organic EL element (organic EL cell)
71: substrate
73: Cathode (metal electrode)
75: Organic light-emitting layer
77: Anode (transparent electrode)
79: Encapsulation material

Claims (5)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는 유기 EL 소자와, 상기 유기 EL 소자의 제1 주면에 배치된 원편광판을 구비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로서,
상기 원편광판은 편광자와 적어도 1층의 위상차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 EL 소자는, 제1 주면으로부터의 입사광에 대한 반사 스펙트럼에서 파장 410nm의 반사율 R410과 파장 510nm의 반사율 R510의 비 R410/R510이 0.6 이하이며,
상기 편광자는 파장 410nm의 직교 투과율 T410과 파장 510nm의 직교 투과율 T510의 비 T410/T510이 7 이상인,
유기 EL 표시 장치.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organic EL element having an organic light-emitting layer between a pair of electrodes, and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disposed on a first main surface of the organic EL element,
The circular polarizer includes a polarizer and at least one retardation layer,
The organic EL device has a ratio R 410 /R 510 of the reflectance R 410 at a wavelength of 410 nm and the reflectance R 510 at a wavelength of 510 nm in the reflection spectrum for incident light from the first main surface, R 410 /R 510 of 0.6 or less,
The polarizer has an orthogonal transmittance T 410 of a wavelength of 410 nm and a wavelength of The ratio T 410 /T 510 of orthogonal transmittance T 510 of 510 nm is 7 Lee Sang-in,
Organic EL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EL 소자는, 제1 주면으로부터의 입사광에 대한 반사 스펙트럼에서 파장 410nm의 반사율 R410이 35% 이하인, 유기 EL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has a reflectance R 410 of 35% or less at a wavelength of 410 nm in a reflection spectrum for incident light from the first main surfa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EL 소자는, 제1 주면으로부터의 입사광에 대한 반사 스펙트럼에서 파장 510nm의 반사율 R510이 40% 이상인, 유기 EL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has a reflectance R 510 of 40% or more at a wavelength of 510 nm in a reflection spectrum for incident light from the first main surfa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편광판 측으로부터의 반사광의 CIELAB 표색계의 크로마틱네스 지수 b* -1.0 이하인, 유기 EL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hromaticity index b * of the CIELAB colorimetric system of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circular polarizer side is -1.0 or less, organic EL display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편광판 측으로부터의 반사광의 CIELAB 표색계의 크로마틱네스 지수 a*가 0 이상인, 유기 EL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wherein the chromaticity index a * of the CIELAB colorimetric system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side is 0 or more.


KR1020230044121A 2022-04-14 2023-04-04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2023014752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67011A JP2023157234A (en) 2022-04-14 2022-04-14 Organic el display
JPJP-P-2022-067011 2022-04-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528A true KR20230147528A (en) 2023-10-23

Family

ID=8835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121A KR20230147528A (en) 2022-04-14 2023-04-04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157234A (en)
KR (1) KR20230147528A (en)
CN (1) CN116916681A (en)
TW (1) TW202346924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11761A (en) 2018-05-31 2019-12-12 住友化学株式会社 Anti-reflection polarizing plate, optical lamin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laminate
JP2020003520A (en) 2018-06-25 2020-01-09 住友化学株式会社 Lamin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11761A (en) 2018-05-31 2019-12-12 住友化学株式会社 Anti-reflection polarizing plate, optical lamin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laminate
JP2020003520A (en) 2018-06-25 2020-01-09 住友化学株式会社 Lami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57234A (en) 2023-10-26
TW202346924A (en) 2023-12-01
CN116916681A (en)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3072B1 (en) Polarizing plate with optical compensation layer and organic EL panel using the same
US7203002B2 (en) Polarizer,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and image display,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polarizer
JP5745686B2 (en) ORGANIC EL DISPLAY ELEMENT HAVING OPTICAL LAMINATE
TWI296065B (en)
JP2010152374A (en) Polarizer, optical film us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m
US20130141787A1 (en) Polarizer having high durabilit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7072970B2 (en) Phase difference plate, polarizing plate with optical compensation layer,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CN106023822B (en) OLE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0454052C (en)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is film
JP4198559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film and optical film using the same
US20160154159A1 (en) Compensation film, and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7157330A (en) Image display apparatus
WO2005096040A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obtained thereby and image display appratus utilizing the same
US11029557B2 (en) Optical laminate film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2669108B1 (en) Polarizer with optical compensation layer and organic EL panel using the same
JP4975236B2 (en) Polarizer, optical film us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O2017154447A1 (en) Polarizing plate with optical compensation layer, and organic el panel using said polarizing plate
CN111542770B (en) Retardation film, polarizing plate with optical compens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TWI753138B (en) image display device
KR20230147528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JP2004021145A (en) Polarizing plate with antireflection function, and picture display device
TW202131031A (en) Retardation plate, and circularly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and organic el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20210023001A (en) Polarizing Plate
JP7500531B2 (en) Phase difference film, polarizing plate with optical compensation layer,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JP2023118722A (en) Retardation film, polarizing plate with optical compensation layer,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