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404A - 기능성 빗 - Google Patents

기능성 빗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404A
KR20230147404A KR1020220046382A KR20220046382A KR20230147404A KR 20230147404 A KR20230147404 A KR 20230147404A KR 1020220046382 A KR1020220046382 A KR 1020220046382A KR 20220046382 A KR20220046382 A KR 20220046382A KR 20230147404 A KR20230147404 A KR 20230147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comb
frequency
pla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향희
Original Assignee
박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향희 filed Critical 박향희
Priority to KR1020220046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7404A/ko
Publication of KR20230147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2Electromedical brushes, combs, massa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2Curry-combs;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Abstract

본 발명은 후면판에 결합되는 빗살몸체의 구성을 통하여 반려동물의 털을 손질할 수 있는 빗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전면판의 전면으로 빗살 형태를 이루도록 돌출되는 복수개의 저주파니들을 통하여 반려동물의 털을 손질하는 과정에서 반려동물의 피부에 저주파 자극 요법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빗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전면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나사산을 갖는 제1결합바가 돌출 구비되며, 외경 테두리와 인접한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결합공에 체결되는 볼트가 결합되게 복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 부위에는 개방공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나사산을 갖는 제2결합바가 돌출 구비되어 상기 전면판의 후면을 가리도록 탈착 결합되는 후면판과,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이 결합 될 시, 상기 제1결합바와 제2결합바의 연결 부위를 감싸 고정 시키며 일측면에는 복수개의 스위치가 구비된 손잡이와, 상기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저주파기판과, 상기 저주파기판과 마주보도록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사이에 설치되며, 후면에는 상기 개방공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빗살이 구비된 빗살몸체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저주파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의 전면으로 빗살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저주파기판을 통하여 미세전류가 인가되는 복수개의 저주파니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기능성 빗{Functional comb}
본 발명은 기능성 빗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면판에 결합되는 빗살몸체의 구성을 통하여 반려동물의 털을 손질할 수 있는 빗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전면판의 전면으로 빗살 형태를 이루도록 돌출되는 복수개의 저주파니들을 통하여 반려동물의 털을 손질하는 과정에서 반려동물의 피부에 저주파 자극 요법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빗에 관한 것이다.
빗이란, 사람의 머리털을 빗거나 반려동물의 털을 빗을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빗살이 구비된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빗은, 사용을 이루고자 하는 대상이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빗살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목재, 금속재와 같이 재질 또한 다양하게 변경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사람의 머리털이나 반려동물의 털을 빗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람이나 동물의 피부를 자극하여 신경을 촉진 시키거나 근육을 마사지할 수 있는 빗이 제공된 바 있으며, 빗살에 미세한 전류가 통하도록 하여 두피를 자극할 수 있는 빗이 제공된 바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레이저 방사수단을 구비한 탈모방지용 빗이 제공되어 전기 자극봉이 사람의 두피를 자극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 바 있으며, 문헌(2)에서와 같이, 사람의 두피에 저주파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저주파 머리빗이 제공되어 두피의 치료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빗이 제공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 문헌(2)와 같은 종래의 기능성 빗들은 사람의 두피에 자극을 가할 수는 있으나, 반려동물의 털을 빗는 과정에서 반려동물의 신체를 일정하게 자극하도록 사용하기는 어렵고, 반려동물의 털을 빗는 과정에서 빗살에 털이 끼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문헌(1), 문헌(2)와 같은 기능성 빗의 전기적 기능을 끈 상태에서 반려동물의 털을 빗을 수 있는 일반적인 빗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문헌(1), 문헌(2)와 같은 종래의 기능성 빗은 빗살 형태를 이루는 부분이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됨으로써, 반려동물의 신체에 빗살의 단부가 일정하게 접촉되도록 하며 사용을 이루기는 어려운 문제가 발생 될 수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1284호(2007.12.27)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83467호(2005.04.2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반려동물의 털을 빗는 일반적인 빗과, 반려동물의 신체에 저주파 자극을 가할 수 있는 기능성 빗의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반려동물의 털을 빗으며 반려동물의 신체에 저주파 자극을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반려동물의 신체에 빗살을 이루는 저주파니들의 단부가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반려동물의 털을 빗는 과정에서 반려동물의 근육에 저주파니들을 통한 미세한 전기(저주파)를 전달하여 근육의 마사지와, 신경 진정효과는 물론이고, 혈행 촉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저주파니들을 통하여 반려동물의 피부를 자극하도록 사용하는 경우에도 저주파니들에 반려동물의 털이 끼어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결합, 분리 가능한 간단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면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나사산을 갖는 제1결합바가 돌출 구비되며, 외경 테두리와 인접한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결합공에 체결되는 볼트가 결합되게 복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 부위에는 개방공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나사산을 갖는 제2결합바가 돌출 구비되어 상기 전면판의 후면을 가리도록 탈착 결합되는 후면판과,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이 결합 될 시, 상기 제1결합바와 제2결합바의 연결 부위를 감싸 고정 시키며 일측면에는 복수개의 스위치가 구비된 손잡이와, 상기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저주파기판과, 상기 저주파기판과 마주보도록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사이에 설치되며, 후면에는 상기 개방공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빗살이 구비된 빗살몸체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저주파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의 전면으로 빗살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저주파기판을 통하여 미세전류가 인가되는 복수개의 저주파니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면판은 상기 개방공과 인접한 내측부에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빗살몸체는 외경 테두리와 인접한 부위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주파기판은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부위에 저주파니들이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저주파기판과 빗살몸체의 사이에는 방열판이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주파니들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핀 형상으로 후면 테두리 부위에는 관통공의 후면에 밀착되는 밀착판이 구비된 전면니들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게 전면니들의 후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후면니들과, 상기 후면니들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니들은 스프링의 탄성을 통하여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상태가 변경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주파기판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살균램프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전면판에는 상기 살균램프가 노출되는 복수개의 노출공이 더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의 전면에는 덮개판이 더 결합되며, 상기 덮개판은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전면공이 형성되고, 상기 노출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반려동물의 털을 빗는 일반적인 빗과, 반려동물의 신체에 저주파 자극을 가할 수 있는 기능성 빗의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반려동물의 털을 빗으며 반려동물의 신체에 저주파 자극을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반려동물의 신체에 빗살을 이루는 저주파니들의 단부가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셋째, 반려동물의 털을 빗는 과정에서 반려동물의 근육에 저주파니들을 통한 미세한 전기(저주파)를 전달하여 근육의 마사지와, 신경 진정효과는 물론이고, 혈행 촉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저주파니들을 통하여 반려동물의 피부를 자극하도록 사용하는 경우에도 저주파니들에 반려동물의 털이 끼어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다섯째, 결합, 분리 가능한 간단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빗이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빗이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빗이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빗이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전면판과 후면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결합을 이룬 전면판과 후면판이 손잡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후면판의 방향에서 전면판의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전면이라 하고, 전면판에서 후면판의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후면이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에 복수개의 관통공(1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나사산(12a)을 갖는 제1결합바(12)가 돌출 구비되며, 외경 테두리와 인접한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13)이 형성된 전면판(10)과, 상기 전면판(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결합공(13)에 체결되는 볼트(P)가 결합되게 복수개의 고정공(21)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 부위에는 개방공(22)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나사산(23a)을 갖는 제2결합바(23)가 돌출 구비되어 상기 전면판(10)의 후면을 가리도록 탈착 결합되는 후면판(20)과, 상기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결합 될 시, 상기 제1결합바(12)와 제2결합바(23)의 연결 부위를 감싸 고정 시키며 일측면에는 복수개의 스위치(31)가 구비된 손잡이(30)와, 상기 스위치(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저주파기판(40)과, 상기 저주파기판(40)과 마주보도록 상기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사이에 설치되며, 후면에는 상기 개방공(22)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빗살(51)이 구비된 빗살몸체(50)와, 상기 관통공(11)에 삽입되도록 상기 저주파기판(40)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10)의 전면으로 빗살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저주파기판(40)을 통하여 미세전류가 인가되는 복수개의 저주파니들(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판(10)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내 바와 같이, 전면에 복수개의 관통공(11)을 가지며, 내측으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저주파기판(4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1)은 상기 저주파기판(40)에 복수개의 저주파니들(60)이 결합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저주파니들(60)이 관통공(11)에 삽입되어 전면판(10)의 전면으로 빗살 형태를 이룰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바(12)는 전면판(10)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나사산(12a)이 형성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후면판(20)의 제2결합바(23)와 밀착된 상태에서 손잡이(30)의 상부에 결합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절단된 단면이 반원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상기 저주파기판(40)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전선(L)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13)은 상기 전면판(10)의 외경 테두리와 인접한 부위에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3)에 체결되는 볼트(P)가 후면판(20)의 고정공(21)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결합이 볼트(P)를 통하여 지지 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면판(2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10)의 후면을 가리도록 탈착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에 복수개의 고정공(2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3)에 체결되는 볼트(P)가 고정공(21)에 견고한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후면판(20)은 상기 전면판(10)과 결합을 이루는 경우,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빗살몸체(5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내측에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빗살몸체(50)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경우, 빗살몸체(50)의 후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개방공(22)이 내측 중심 부위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후면판(20)의 내측으로 빗살몸체(50)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경우, 빗살몸체(50)의 후면이 후면판(20)의 개방공(22)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후면판(20)의 하단에는 나사산(23a)을 갖는 제2결합바(23)가 돌출 구비되되, 상기 제1결합바(13)와 밀착을 이룬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30)의 상부에 제1결합바(13)와 제2결합바(23)가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절단된 단면이 반원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내측으로는 상기 저주파기판(40)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전선(L)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결합을 이루는 경우, 제1결합바(12)와 제2결합바(23)가 밀착되어 하나의 원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제1결합바(12)와 제2결합바(23)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32)에 삽입되게 구성됨으로써, 손잡이(30)를 통하여 제1결합바(10)와 제2결합바(23)의 밀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결합을 견고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홈(32)의 내측에는 상기 나사산(13a,23a)과 대응되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제1결합바(12)와 제2결합바(23)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유지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30)의 일측면에 구비된 스위치(31)는 상기 저주파기판(40)과 연결되는 전선(L)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저주파기판(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스위치(31)의 구성은 상기 저주파기판(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종래의 스위치(31)와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저주파기판(40)은 상기 스위치(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31)의 조절에 따라 저주파를 발생시키게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저주파니들(60)이 저주파기판(40)에 복수개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저주파니들(60)로 미세전류(저주파)를 인가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빗살몸체(50)는 상기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후면판(2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후면에 복수개의 빗살(51)이 구비되게 구성되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면판(20)의 개방공으로 빗살몸체(50)의 후면이 삽입되어 노출을 이루는 경우, 상기 빗살(51)이 후면판(20)의 후면으로 노출되어 일반적인 반려동물의 빗으로 사용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후면판(20)은 상기 개방공(22)과 인접한 내측부에 복수개의 고정돌기(24)가 돌출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빗살몸체(50)에는 외경 테두리와 인접한 부위에 상기 고정돌기(24)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고정홈(52)이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후면판(20)과 빗살몸체(5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저주파니들(6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저주파기판(40)에 결합 되어 상기 전면판(10)의 전면으로 빗살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저주파기판(40)은 상기 관통공(11)과 대응되는 부위에 저주파니들(60)이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공(41)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저주파니들(60)은 상기 관통공(11)에 삽입되는 핀 형상으로 후면 테두리 부위에는 관통공(11)의 후면에 밀착되는 밀착판(61a)이 구비된 전면니들(61)과, 상기 삽입공(41)에 삽입되게 전면니들(61)의 후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후면니들(62)과, 상기 후면니들(62)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스프링(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상기 저주파기판(40)에 저주파니들(60)이 복수개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전면판(10)의 관통공(11)으로 전면니들(61)이 삽입을 이루되, 밀착판(61a)의 전면이 관통공(11)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관통공(11)에 삽입된 전면니들(61)이 관통공(11)의 전면 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저주파기판(40)의 삽입공(11)에 후면니들(62)이 삽입되게 결합을 이루되, 후면니들(62)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스프링(62)이 상기 밀착판(61a)의 후면과 저주파기판(4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전면니들(61)의 전면으로 압력이 전달되어 전면니들(61)이 관통공의 후면 방향으로 이동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스프링(63)의 탄성을 통하여 상기 삽입공(41)에 삽입된 후면니들(62)이 삽입공(41)의 후면 방향으로 이동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은 즉, 상기 저주파기판(40)에 설치되는 저주파니들(60)이 상기 전면판(10)의 관통공(11)으로 결합되어 전면판(10)의 전면으로 전면니들(61)이 빗살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11)에 결합된 전면니들(61)을 통하여 반려동물의 피부를 자극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반려동물의 피부에 접촉되는 전면니들(61)이 상기 후면니들(62)과 스프링(63)의 구성을 통하여 관통공(11)의 내측에서 이동되게 구성됨으로써, 반려동물의 피부 굴곡에 따라 전면니들(61)의 밀착상태가 조절되며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하여, 저주파니들(60)을 통한 반려동물의 저주파 자극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주파기판(40)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살균램프(42)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전면판(10)에는 상기 살균램프(42)가 노출되는 복수개의 노출공(14)이 더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손잡이(30)에 구비된 스위치(31)를 사용자가 조절하여 상기 살균램프(42)를 점등시키는 경우, 상기 노출공(14)을 관통하는 살균램프(42)의 빛을 통하여 반려동물의 털을 빗질하는 과정에서도 반려동물의 피부를 살균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저주파기판(40)과 빗살몸체(50)의 사이에는 방열판(70)이 더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저주파기판(40)의 후면으로 저주파니들(60)이 과다하게 이동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저주파기판(40)으로 인하여 빗살몸체(5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전면판(10)의 전면에는 덮개판(80)이 더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덮개판(80)은 상기 관통공(11)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전면공(81)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노출공(14)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관통공(8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전면판(10)의 전면으로 덮개판(80)을 끼움 결합하여 전면판(10)의 관통공(11)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저주파니들(60)이 덮개판(80)의 전면공(81)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노출공(14)을 관통하는 살균램프(42)의 빛이 관통공(82)을 통하여 덮개판(80)의 전면으로 노출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은, 상기 전면판(10)의 전면으로 저주파니들(60)이 위치되게 하여 사용을 이루는 경우, 전면판(10)과 저주파니들(60)의 연결 부위로 동물의 털이 끼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판(10)의 전면으로 덮개판(80)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을 이룸으로써, 덮개판(80)의 전면공(81)과 저주파니들(60)의 연결 부위로 동물의 털이 끼는 경우에도 전면판(10)과 덮개판(80)을 분리하는 간단한 과정을 통하여, 반려동물의 털을 손쉽게 제거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전면판 11: 관통공
12: 제1결합바 12a, 23a: 나사산
13: 결합공 14: 노출공
20: 후면판 21: 고정공
22: 개방공 23: 제2결합바
24: 고정돌기 30: 손잡이
31: 스위치 32: 결합홈
40: 저주파기판
41: 삽입공 42: 살균램프
50: 빗살몸체 51: 빗살
52: 고정홈 60: 저주파니들
61: 전면니들 61a: 밀착판
62: 후면니들 63: 스프링
70: 방열판 80: 덮개판
81: 전면공 82: 관통공
P: 볼트 L: 전선

Claims (6)

  1. 전면에 복수개의 관통공(1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나사산(12a)을 갖는 제1결합바(12)가 돌출 구비되며, 외경 테두리와 인접한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13)이 형성된 전면판(10)과,
    상기 전면판(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결합공(13)에 체결되는 볼트(P)가 결합되게 복수개의 고정공(21)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 부위에는 개방공(22)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나사산(23a)을 갖는 제2결합바(23)가 돌출 구비되어 상기 전면판(10)의 후면을 가리도록 탈착 결합되는 후면판(20)과,
    상기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결합 될 시, 상기 제1결합바(12)와 제2결합바(23)의 연결 부위를 감싸 고정 시키며 일측면에는 복수개의 스위치(31)가 구비된 손잡이(30)와,
    상기 스위치(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저주파기판(40)과,
    상기 저주파기판(40)과 마주보도록 상기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사이에 설치되며, 후면에는 상기 개방공(22)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빗살(51)이 구비된 빗살몸체(50)와,
    상기 관통공(11)에 삽입되도록 상기 저주파기판(40)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10)의 전면으로 빗살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저주파기판(40)을 통하여 미세전류가 인가되는 복수개의 저주파니들(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빗.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20)은
    상기 개방공(22)과 인접한 내측부에 복수개의 고정돌기(24)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빗살몸체(50)는
    외경 테두리와 인접한 부위에 상기 고정돌기(24)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고정홈(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빗.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기판(40)은
    상기 관통공(11)과 대응되는 부위에 저주파니들(60)이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공(41)이 형성되고,
    상기 저주파기판(40)과 빗살몸체(50)의 사이에는 방열판(7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빗.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니들(60)은
    상기 관통공(11)에 삽입되는 핀 형상으로 후면 테두리 부위에는 관통공(11)의 후면에 밀착되는 밀착판(61a)이 구비된 전면니들(61)과,
    상기 삽입공(41)에 삽입되게 전면니들(61)의 후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후면니들(62)과,
    상기 후면니들(62)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스프링(63)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니들(62)은 스프링(63)의 탄성을 통하여 상기 삽입공(41)에 삽입되는 상태가 변경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빗.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기판(40)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살균램프(4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전면판(10)에는 상기 살균램프(42)가 노출되는 복수개의 노출공(1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빗.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의 전면에는 덮개판(80)이 더 결합되며,
    상기 덮개판(80)은
    상기 관통공(11)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전면공(81)이 형성되고, 상기 노출공(14)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관통공(8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빗.

KR1020220046382A 2022-04-14 2022-04-14 기능성 빗 KR202301474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382A KR20230147404A (ko) 2022-04-14 2022-04-14 기능성 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382A KR20230147404A (ko) 2022-04-14 2022-04-14 기능성 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404A true KR20230147404A (ko) 2023-10-23

Family

ID=8850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382A KR20230147404A (ko) 2022-04-14 2022-04-14 기능성 빗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740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467Y1 (ko) 2005-02-11 2005-05-03 이용식 기능성 머리빗(저주파 머리빗)
KR100791284B1 (ko) 2006-12-14 2008-01-04 주식회사 썸텍 전기자극봉 및 레이저방사수단을 구비한 탈모방지용 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467Y1 (ko) 2005-02-11 2005-05-03 이용식 기능성 머리빗(저주파 머리빗)
KR100791284B1 (ko) 2006-12-14 2008-01-04 주식회사 썸텍 전기자극봉 및 레이저방사수단을 구비한 탈모방지용 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92755B2 (en) Medical treatment apparatus for applying sparks to the skin from bipolar electrodes
EP3003481B1 (en) Self-administrable system for non-invasive neurostimulation therapy of the brain
US8914123B2 (en) Apparatus for electro-inhibition of facial muscles
JP5496042B2 (ja) 頭皮用施療装置
US20070282400A1 (en) Combination medical therapy device that integrates: electrical stimulation, light therapy, heat, pressure, and vibration
WO2012156052A2 (de) Stimulationsvorrichtung
WO2007096344A1 (en) Instrument for treating scalp affections
KR102160299B1 (ko) Ems와 led의 혼합된 분사기능을 갖는 복부 벨트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03052B1 (ko) 수중 헬스케어용 저주파 자극기
KR20160000788U (ko) 접이식의 가변형 탈모방지 복합 기능 물리 치료기
KR102170281B1 (ko) 저주파 자극 마스크
KR102140081B1 (ko) 반려동물용 저주파 치료기
KR20230147404A (ko) 기능성 빗
KR200415359Y1 (ko) 두피치료용 빗
KR100889464B1 (ko) 피부 혈액순환 활성기
KR20100132336A (ko) 두피 맛사지기
JP2018166568A (ja) ガンマ波誘発装置およびガンマ波誘発方法
WO1997004731A3 (en) Massage device
KR102208601B1 (ko) 두피 마사지 전용 자기장 전동 머리빗
KR200383467Y1 (ko) 기능성 머리빗(저주파 머리빗)
KR102208599B1 (ko) 전류 자극형 두피 마사지 전동기구
DE19929713B4 (de) Physiotherapiematte
NL1021021C2 (nl) Massage-inrichting.
KR200388350Y1 (ko) 고주파 의료기용 일렉트로드 홀더
JP3245079U (ja) 微電流育毛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