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075A - 수막구균 b 재조합 백신 - Google Patents

수막구균 b 재조합 백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075A
KR20230147075A KR1020237027927A KR20237027927A KR20230147075A KR 20230147075 A KR20230147075 A KR 20230147075A KR 1020237027927 A KR1020237027927 A KR 1020237027927A KR 20237027927 A KR20237027927 A KR 20237027927A KR 20230147075 A KR20230147075 A KR 20230147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se
protein
fhbp
amino acid
seq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7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데주 아르노-바브
비노드 발하라
라파엘라 이앙토마시
마리-피에르 카제크-뒤레
재클린 맥클러스키
로랑스 케메뇌르
바크라 록비
존 쉬버
Original Assignee
사노피 파스퇴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노피 파스퇴르 인크 filed Critical 사노피 파스퇴르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147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0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095Neiss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1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C07K14/22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Neisseriaceae (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05Inorganic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70Multivalent vacc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36Neisser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적어도 1종의 인자 H 결합 단백질(fHBP) A 단백질, 적어도 1종의 fHBP B 단백질, 적어도 1종의 네이세리아 부착소 A(NadA) 단백질 및 적어도 1종의 세정제-추출 외막 소포(dOMV)를 포함하는 수막구균 항원의 조합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막구균 항원은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혈청군 B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항원의 조합은 박테리아 균주의 넓은 유효범위를 제공하였다. 추가로, 본 개시내용은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방법에서의 면역원성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막구균 B 재조합 백신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21년 2월 19일자로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제21305211.1호, 및 2021년 4월 9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일련 번호 제63/172,885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전문은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백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수막구균 감염, 예컨대,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Neisseria meningitidis)(엔. 메닌기티디디스(N. meningitidis) 또는 Nm) 혈청군 B(MenB)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면역원성 조성물 및 백신에 관한 것이다.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는 유일하게 알려진 천연 숙주가 인간인 그램-음성 쌍구균이다. 엔. 메닌기티디디스는 인간 비인두- 및 구강인두의 빈번한 상재균(colonizer)이지만, 항문 점막, 결막 및 비뇨 생식로와 같은 신체의 다른 영역에서 발견될 수 있다(Rouphael et al., Methods Mol Biol. 2012;799:1-20; Stephens, Vaccine. 2009;27 Suppl 2:B71-7; Batista et al., Asian Pac J Trop Med. 2017;10(11):1019-29).
적어도 12종의 상이한 수막구균 혈청군은 협막다당(capsular polysaccharide: PS)의 면역화학에 기반하여 분류되었다. 일부 균주는 다른 균주보다 감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더 높다. 전세계적으로, 수막구균 질환의 대부분의 사례는 혈청군 A, B, C, W, X 및 Y에 의해 야기된다. 혈청군 B는 엔데믹 질환 및 일부 발병을 초래한다(Harrison et al., [ed.] Orenstein WA, Offit PA, Edwards KM Plotkin SA. Vaccines. 7. Philadelphia (PA): Elsevier; 2018. p. 619-43; Borrow et al., Expert Rev Vaccines. 2017;16(4):313-28; Harrison et al., Emerg Infect Dis. 2013;19(4):566-73, Pollard, Pediatr Infect Dis J. 2004;23(12 Suppl):S274-9; Kvalsvig et al., J Clin Pathol. 2003;56(6):417-22).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B는 환경에서 생존할 수 없는 (비말을 통한) 호흡기 전염 박테리아이며, 이는 효과적인 전염을 위해 긴밀하고 장기적인 접촉, 또는 직접적인 신체 접촉(예컨대, 키스)을 필요로 한다. 5세 미만 아동의 2% 미만 및 청소년 및 젊은 성인의 20% 내지 25%에 존재하는 무증상 보균자는, 유행병 기간 동안에도, 병원균 전염 경로의 주요 구성요소이고, 사실상 유지된다(Christensen et al., Lancet Infect Dis. 2010;10(12):853-61; Batista et al., Asian Pac J Trop Med. 2017;10(11):1019-29).
일반적으로, 가장 높은 보균율을 갖는 그룹은 청소년 및 젊은 성인이며, 이들은 보균의 위험 인자로 인식되는 행동 및 이에 따른 침습성 수막구균성 질환(IMD)의 발생에 관여하기 쉽다((Christensen et al., Lancet Infect Dis. 2010;10(12):853-61; Stephens, Vaccine. 2009;27 Suppl 2:B71-7; Bruce et al., JAMA. 2001;286(6):688-93; Germinario et al., Hum Vaccin. 2010;6(12):1025-7; MacLennan et al., Emerg Infect Dis. 2006;12(6):950-7). 따라서, 이런 연령 그룹의 백신접종은 다른 연령 그룹에서 IMD의 발병률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혈청군 C 접합 백신을 이용한 백신접종 캠페인이 백신접종을 받지 않은 연령 그룹의 무리 보호로 이어진, 다수의 유럽 국가에서 입증되었다(Maiden et al., J Infect Dis. 2008;197(5):737-43; Trotter et al., Lancet. 2004;364(9431):365-7; Bijlsma et al., Clin Infect Dis. 2014;59(9):1216-21).
침습성 수막구균성 질환(IMD)은 엔. 메닌기티디디스(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B 포함)에 의해 야기된 심각한 질환이며, 증상은 극심한 두통, 발열, 구역, 구토, 광선 공포증, 경부 강직, 무기력증, 근육통 및 특징적인 점상 발진을 포함할 수 있다(Harrison et al., [ed.] Orenstein WA, Offit PA, Edwards KM Plotkin SA. Vaccines. 7. Philadelphia (PA): Elsevier; 2018. p. 619-43). IMD는 수막구균 뇌수막염 및 수막구균혈증을 야기할 수 있다. 수막구균혈증은 인간에게 가장 빠르게 치명적인 감염성 질환일 가능성이 있고, 약 90%의 사망이 입원의 처음 2일 이내에 보고된다. 염증 증후군은 주로 협막다당, 특정 면역글로불린 및 보체 분획 C3으로 구성된 항원-항체 복합체의 침착으로 인해 IMD 환자의 6% 내지 15%에서 발생될 수 있다. 이런 반응들은 일반적으로 질환 발병 후 4 내지 12일에 발생되며, 관절염, 대부분 단일 관절(환자의 7% 내지 14%), 피부혈관염, 홍채염, 상공막염, 늑막염 및 심막염을 포함한다. 동시에, 발열, 백혈구 증가증 및 증가된 혈청 C-반응성 단백질의 재발이 일어날 수 있다. IMD 환자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른 합병증은 단순포진 감염, 대칭적 원위 괴사, 혈관 구조 상의 광범위한 궤양, 소화기 출혈, 경막하삼출액, 심근염, 횡문근융해증, 성인 호흡 곤란 증후군, 산-염기 하이드로전해질 장애, 뇌경색증 및 두개내 화농의 활성화를 포함한다.
후유증은 IMD 생존자에서 발생될 수 있다. 신경학적 후유증 발생의 위험은 7% 내지 12%이며(폐렴구균성 수막염보다 더 적은 비율), 주로 영아에서 발생된다. 난청(지속적 또는 일시적)은 가장 통상적인 합병증이며, 사례의 대략 4%에서 발생된다. 다른 후유증은 특히 시야결손, 수두증, 운동실조, 실어증, 운동 결손, 발달 지연, 관절염, 경직, 경련, 신부전, 골괴사증, 위축성 흉터, 사지의 부분적 상실, 학습장애 및 행동장애를 포함한다(Batista et al., Asian Pac J Trop Med. 2017;10(11):1019-29; Stephens et al., Neisseria meningitidis. [ed.] J.E. Bennett, R. Dolin and M.J. Blaser. Philadelphia: Elsevier Saunders; 2015. p. 2425-45; Campsall et al., Crit Care Clin. 2013;29(3):393-409; Pace et al., Vaccine. 2012;30 Suppl 2:B3-9).
혈청군 B는 엔데믹 질환의 중요한 원인이며, 쿠바(Rodriguez et al., Mem Inst Oswaldo Cruz. 1999;94(4):433-40), 노르웨이(Fredriksen et al., NIPH Ann. 1991;14(2):67-79; discussion -80) 및 뉴질랜드(Martin et al., J Infect Dis. 1998;177(2):497-500; Dyet et al., Epidemiol Infect. 2006;134(2):377-83)를 비롯한 여러 선진 공업국에서 다수의 장기간의 유행병을 초래한다(Vuocolo et al., Hum Vaccin Immunother. 2018;14(5):1203-15). 단일 균주로 인한 보다 소규모의 발병도 프랑스(2000 내지 2003)(Grodet et al., Microbiol Infect. 2004;10(9):845-8; Caron et al., Lancet Infect Dis. 2011;11(6):455-63) 및 미국(2013 내지 2017)과 같은 다른 국가에서 보고되었고, 이 중 일부는 대학 및 대학교와 연합되었다(Folaranmi et al., 2015. MMWR Morb Mortal Wkly Rep. 2015;64(22):608-12; Atkinson et al., Pharmacotherapy. 2016;36(8):880-92).
엔. 메닌기티디디스 그룹 B를 표적화하는 2종의 광범위 보호 단백질 기반 백신이 최근에 허가되었고: 1) 4-구성성분 MenB 단백질 백신(4CMenB; GlaxoSmithKline, Inc.[GSK]로부터의 BEXSERO® 백신)은 미국(US)에서 10 내지 25세의 개체에서, 그리고 유럽, 호주, 캐나다 및 남미의 일부 국가에서 2개월령 내지 최대 50세의 개체에서 사용에 대해 2회 용량 스케줄로서 허가되고; 2) 2가 재조합 fHBP 단백질 기반(rLP2086) 백신(Pfizer의 TRUMENBA® 백신)은 미국 및 유럽에서 10 내지 25세의 개체에서 2 내지 3회 용량 스케줄로서 허가되어 있다.
이런 허가된 백신 둘 다에 의한 임상 시험은 발열이 소아 집단에 대해 특별한 우려가 있는 이상 반응이었다는 것을 나타냈다. 일상적인 백신과 함께 BEXSERO 백신을 투여받는 영아의 최대 70%에서 38℃ 초과의 발열이 보고되었고(6 내지 12%에서 39℃ 초과의 발열), BEXSERO 백신 면역화 시(그리고 백신접종의 처음 24시간 이내에) 예방적 파라세타몰의 사용을 권장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소아 집단에서의 TRUMENBA 백신 I/IIb상 연구 동안에, 발열(대부분 39.0℃ 미만)은 각각 20- 또는 60-㎍ rLP2086 용량을 투여 받고 있는 참가자의 64% 및 90%에서 보고되었고, 연구는 조기에 종결되었다(Martinon-Torres et al., Vaccine. 2014;32(40):5206-11).
이런 백신으로 면역화된 인간은 보체-매개 혈청 살균 항체(serum bactericidal antibody: SBA) 반응이 발생된다. 그러나, TRUMENBA 및 BEXSERO 백신의 경우, 특히 유아 및 영아에서, 일부 MenB 균주에 대해 낮은 fHBP-관련 SBA 활성 및 유효범위(coverage)가 입증되었다(Brunelli et al., Vaccine. 2011;29(5):1072-81; Marshall et al., Pediatr Infect Dis J. 2012;31(10):1061-8). 백신 항원에 대한 숙주 분자의 결합은 중요한 에피토프에 대해 유효하게 작용하거나 백신 흡수를 감소시킴으로써 면역원성을 감소시킬 수 있었고, 이는 감소된 항원 처리 및 제시를 야기할 수 있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Meri et al., Vaccine. 2008;26 Suppl 8:I113-7). 전임상 연구는 야생형 재조합 fHBP 항원에 대한 인자 H(fH)의 결합이 인간 fH 유전자이식 마우스 및 영아 레서스 마카크에서 보호 혈청 항-fHBP 항체 반응을 손상시켰다는 것을 입증하였다(Costa et al., mBio. 2014;5(5):e01625-14; Granoff et al., Clin Vaccine Immunol. 2013;20(8):1099-107).
따라서,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에 대한 백신과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 예컨대 MenB가 박테리아 균주 측면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될 필요가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BEXSERO 또는 TRUMENBA보다 더 광범위한 MenB 균주 유효범위를 갖는 면역원성 조성물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양호한 반응원성(reactogenic) 프로파일을 갖는 면역원성 조성물을 가질 필요가 있다.
영아 및 소아용으로 양호한 반응원성 및 안전성 프로파일을 갖는 면역원성 조성물을 가질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TRUMENBA에 비해 개선된 반응원성 프로파일을 갖는 면역원성 조성물을 가질 필요가 있다.
BEXSERO에 비해 개선된 반응원성 프로파일을 갖는 면역원성 조성물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ACWY 항원, 예를 들어, 디프테리아 또는 파상풍 톡소이드에 접합된 ACWY 다당류와 같은 다른 항원과 용이하게 조합될 수 있는 MenB에 대한 면역원성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개시내용은 해당 요구의 모두 또는 일부를 충족시키기 위한 의도를 위한 것이다.
일 양상에서, 적어도 4종의 항원을 포함하고 영아 적응증에 대해 허용 가능한 안전성 프로파일로 MenB에 의해 야기되는 수막구균 감염, 예를 들어 침습성 수막구균성 질환(IMD)에 대해 광범위한 보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다중성분 수막구균 면역원성 조성물이 개시된다. 이는 엔. 메닌기티디디스 발병에서의 중요한 역할뿐만 아니라 상동성 및 이종성 MenB 균주에 대해 혈청 살균 항체(SBA)를 유도하는 능력에 기반하여 3종의 주요 표면 노출 재조합 네이세리아(Neisseria) 단백질(Pizza et al., Science. 2000;287(5459):1816-20)(서브패밀리 A 및 B로부터의 2종의 비-지질화 인자 H 결합 단백질(fHBP) 및 네이세리아 부착소 A(NadA) 단백질)로 구성된다. 다중성분 MenB 백신의 면역원성 및 잠재적 균주 유효범위를 개선시키기 위해, 세정제 추출(세정제 추출된 OMV, dOMV, 외막 단백질 복합체(Outer Membrane Protein Complex: OMPC)로도 지칭됨)에 의해 얻어진 외막 소포(OMV)가 제형에 첨가되었다. dOMV는 MenB 균주, 예를 들어, PorA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균주, 예컨대, PorA VR2 P1.2로부터 유래되었다. dOMV 효능은 박테리아 표면 상에서 상당히 흔한 주로 상동성 PorA로 향한 살균 항체와 연관된다.
예상치 못하게, 본 발명자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에서 MenB 항원의 조합은 낮은 반응원성 및 전염증 효과를 유도하면서 면역 반응이 유발될 수 있는 MenB 균주의 측면에서 조성물에 광범위한 유효범위를 부여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실시예 부문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면역원성 조성물, 예컨대, 백신은 TRUMENBA 또는 BEXSERO보다 더 광범위한 MenB 균주 유효범위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 개시된 면역원성 조성물은 BEXSERO가 유효하지 않은 6종의 MenB 균주에 대해 보호 면역 반응을 유발하였다.
유리하게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면역원성 조성물의 항원은 우세한 IMD-유발 MenB 균주 중에서 상호 보호(cross-protection)를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면역원성 조성물은 2종의 비-지질화 fHBP 재조합 항원, A05(Pfizer 분류에 따름, Novartis 명명법에서 변이체 3.45 또는 PubMLST 명명법에 따라 펩타이드 ID45라고도 함) 및 B01(Pfizer 분류에 따름, Novartis 명명법에서 변이체 1.55 또는 PubMLST 명명법에 따라 펩타이드 ID55라고도 함)을 포함하며, 이는 모든 MenB 균주에 대한 광범위한 보호를 보장하고 6주 이후부터 유아 적응증을 허용할 수 있는 fHBP의 2종의 유전적 및 면역학적으로 다양한 서브패밀리 각각으로부터의 1종의 변이체 항원을 나타낸다.
추가적인 이점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면역원성 조성물이 상동성 PorA, 예컨대, PorA VR2 균주, 예를 들어, PorA VR2 P1.2 균주를 발현시키는 균주에 대한 특이적 보호 반응뿐만 아니라 이종성 균주에 대한 보호 교차 반응성을 유도할 수 있는 dOMV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면역원성 조성물의 추가적인 이점은 이것이 ST-41/44, ST-32, ST-269, ST-213, ST-35, ST-461, ST-11 및 ST-461 클론 복합체로부터의 MenB 균주에 대해 면역 반응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다른 이점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면역원성 조성물이 최근에 생겨난 고병독성 클론 복합체인 ST-11 클론 복합체에 대해 면역 반응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 부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면역원성 조성물은 TRUMENBA에 비해 개선된(즉, 덜 반응원성인) BEXSERO 중 하나와 비슷하고, 심지어 전반적으로 덜 반응원성인, 반응원성 프로파일을 제시한다. 특히,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은 TRUMENBA보다 더 약한 전염증 사이토카인 반응을 제시한다. 더 나아가, 이들은 세포 생존도에 대해 최소 효과를 갖는다.
이의 양상 중 하나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은 수막구균 항원의 조합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합은 적어도 1종의 인자 H 결합 단백질(fHBP) A 단백질, 적어도 1종의 fHBP B 단백질, 적어도 1종의 네이세리아 부착소 A(NadA) 단백질 및 1종의 세정제-추출 외막 소포(dOMV)를 포함한다. 항원은 면역학적 유효량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수막구균 항원은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혈청군 B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이의 양상 중 다른 하나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은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혈청군 B 항원의 조합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합은 적어도 1종의 인자 H 결합 단백질(fHBP) A 단백질, 적어도 1종의 fHBP B 단백질, 적어도 1종의 네이세리아 부착소 A(NadA) 단백질 및 1종의 세정제-추출 외막 소포(dOMV)를 포함한다. fHBP A 단백질 및/또는 fHBP B 단백질은 비-지질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지질화 또는 비-지질화 단백질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비-지질화 단백질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fHBP B 단백질은 지질화 또는 비-지질화 단백질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비-지질화 단백질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 및/또는 fHBP B 단백질은 비-지질화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과 fHBP B 단백질은 둘 다 비-지질화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비-자연 발생적 fHBP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B 단백질은 비-자연 발생적 fHBP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및/또는 fHBP B 단백질은 비-자연 발생적 fHBP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및/또는 fHBP B 단백질은 돌연변이된 fHBP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및/또는 fHBP B 단백질은 돌연변이된 비-지질화 fHBP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1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동일성을 포함하는 돌연변이 단백질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a) 115번 아미노산에서의 아스파라긴의 아미노산 치환(N115); b) 121번 아미노산에서의 아스파르트산의 아미노산 치환(D121); c) 128번 아미노산에서의 세린의 아미노산 치환(S128); d) 130번 아미노산에서의 류신의 아미노산 치환(L130); e) 131번 위치에서의 발린의 아미노산 치환(V131); f) 133번 위치에서의 글리신의 아미노산 치환(G133); g) 219번 위치에서의 리신의 아미노산 치환(K219); 및 h) 220번 위치에서의 글리신의 아미노산 치환(G2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1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동일성을 포함하고,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a) 115번 아미노산에서의 아스파라긴의 아미노산 치환(N115); b) 121번 아미노산에서의 아스파르트산의 아미노산 치환(D121); c) 128번 아미노산에서의 세린의 아미노산 치환(S128); d) 130번 아미노산에서의 류신의 아미노산 치환(L130); e) 131번 위치에서의 발린의 아미노산 치환(V131); f) 133번 위치에서의 글리신의 아미노산 치환(G133); g) 219번 위치에서의 리신의 아미노산 치환(K219); 및 h) 220번 위치에서의 글리신의 아미노산 치환(G2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돌연변이 단백질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적어도 아미노산 치환 G220S를 포함할 수 있다.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1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동일성을 포함하는 비지질화된 단백질일 수 있고,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적어도 아미노산 치환 G220S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G220S, L130R 및 G133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상기 적어도 3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3개의 아미노산 치환 G220S, L130R 및 G133D만을 포함할 수 있다.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1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동일성을 포함하고,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G220S, L130R 및 G133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3개의 아미노산 치환 또는 3개의 아미노산 치환만을 포함하는, 돌연변이 단백질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2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3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동일성을 포함하는 돌연변이 단백질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a) 38번 아미노산에서의 글루타민의 아미노산 치환(Q38); b) 92번 아미노산에서의 글루탐산의 아미노산 치환(E92); c) 130번 아미노산에서의 아르기닌의 아미노산 치환(R130); d) 223번 아미노산에서의 세린의 아미노산 치환(S223); 및 e) 248번 아미노산에서의 히스티딘의 아미노산 치환(H248)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3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동일성을 포함하고,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a) 38번 아미노산에서의 글루타민의 아미노산 치환(Q38); b) 92번 아미노산에서의 글루탐산의 아미노산 치환(E92); c) 130번 아미노산에서의 아르기닌의 아미노산 치환(R130); d) 223번 아미노산에서의 세린의 아미노산 치환(S223); 및 e) 248번 아미노산에서의 히스티딘의 아미노산 치환(H248)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돌연변이 단백질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적어도 아미노산 치환 H248L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아미노산 치환 H248L만을 포함할 수 있다.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3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동일성을 포함하는 돌연변이된 단백질일 수 있고,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적어도 아미노산 치환 H248L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것만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4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 및/또는 fHBP B는 약 2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40 ㎍/용량 내지 약 14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12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또는 그 밖에 약 100 ㎍/용량 범위의 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용량"은 개체에게 투여되는 조성물의 총량 또는 용적을 지칭한다. 용량은 약 0.1 ㎖ 내지 약 1 ㎖, 예를 들어, 약 0.2 ㎖ 내지 약 0.8 ㎖, 약 0.4 ㎖ 내지 약 0.6 ㎖의 범위일 수 있거나, 또는 약 0.5 ㎖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NadA 단백질은 NadA1 단백질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NadA 단백질은 서열번호 5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동일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NadA 단백질은 서열번호 5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NadA는 약 2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40 ㎍/용량 내지 약 14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12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또는 그 밖에 약 100 ㎍/용량 범위의 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NadA 단백질은 약 50 ㎍/용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dOMV는 외막 단백질 포린 A(Por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dOMV는 외막 단백질 포린 B(Por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dOMV는 외막 단백질 포린 A(PorA) 및 외막 단백질 포린 B(Por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dOMV는 외막 단백질 포린 A(PorA) 및/또는 외막 단백질 포린 B(PorB)를 포함할 수 있다. dOMV는 포린 A(혈청아형(Serosubtype) PorA VR2 P1.2), 포린 B(혈청형 PorB P2.2a) 및 선택적으로는 면역유형 LOS L3,7을 포함할 수 있다. PorA 및 PorB는 dOMV의 단백질의 약 50%를 나타낼 수 있다.
PorA는 상기 dOMV에 존재하는 총 단백질에 대해 약 3% 내지 약 15% 범위의 양, 또는 약 5% 내지 약 9 또는 약 10%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PorB는 dOMV 중 존재하는 총 단백질에 대해 약 30% 내지 약 70%, 또는 약 35% 내지 약 65%, 또는 약 38% 내지 약 58%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dOMV는 포린 A(Por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PorA는 VR2 패밀리의 PorA일 수 있다. 예에서, dOMV는 PorA VR2 P1.2 아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dOMV는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 99M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dOMV는 PorA VR2 P1.2 및 PorB P2.2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dOMV는 적어도 데옥시콜레이트 처리 단계를 이용한 세정제-추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dOMV는 약 5 ㎍/용량 내지 약 400 ㎍/용량, 또는 약 10 ㎍/용량 내지 약 3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250 ㎍/용량, 또는 약 35 ㎍/용량 내지 약 2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100 ㎍/용량 내지 약 150 ㎍/용량, 또는 약 110 ㎍/용량 내지 약 125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또는 약 125 ㎍/용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아쥬반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아쥬반트는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는 수산화알루미늄 아쥬반트,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황산알루미늄 염 아쥬반트, 수산화인산 알루미늄 황산염 아쥬반트, 황산알루미늄 칼륨 아쥬반트, 수산화탄산 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마그네슘의 조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아쥬반트는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완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완충제는 Tris 완충제, 아세테이트 완충제, 시트레이트 완충제, 포스페이트 완충제, HEPES 완충제, 또는 히스티딘 완충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완충제는 아세테이트 완충제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아세테이트 완충제는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제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제는 약 10 mM 내지 약 300 mM 범위, 또는 약 10 mM 내지 약 250 mM 범위, 또는 약 20 mM 내지 약 250 mM 범위, 또는 약 20 mM 내지 약 150 mM 범위, 또는 약 20 mM 내지 약 130 mM, 또는 약 30 mM 내지 약 120 mM, 또는 약 40 mM 내지 약 100 mM, 또는 약 50 mM 내지 약 80 mM, 또는 약 50 mM 내지 약 60 mM의 농도, 또는 예를 들어, 약 50 mM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나트륨염, 칼슘 염 또는 마그네슘염과 같은 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나트륨염은,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나트륨염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나트륨염은 염화나트륨일 수 있다. 칼슘염은 염화칼슘염일 수 있다. 마그네슘염은 염화마그네슘염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나트륨염은 약 10 mM 내지 약 300 mM, 또는 약 30 mM 내지 약 280 mM, 또는 약 50 mM 내지 약 250 mM, 또는 약 60 mM 내지 약 220 mM, 또는 약 80 mM 내지 약 200 mM, 또는 약 100 mM 내지 약 180 mM, 또는 약 120 mM 내지 약 160 mM 범위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약 150 mM의 농도일 수 있다. 칼슘 또는 마그네슘염은 약 1 mM 내지 약 15 mM, 또는 약 5 mM 내지 약 10 mM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약 4.0 내지 약 9.0 범위의 pH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의 pH는 약 4.5 내지 약 8.5, 또는 약 4.8 내지 약 8.2,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5.2 내지 약 7.5, 또는 약 5.4 내지 약 7.0, 또는 약 5.5 내지 약 6.8, 또는 약 5.7 내지 약 6.5, 또는 약 5.8 내지 약 6.2의 범위일 수 있거나, 또는 약 6.0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2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NadA 단백질 및 MenB 발현 PorA 단백질로부터의 dOMV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성물에서, NadA는 NadA1일 수 있거나 또는 서열번호 5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지고/지거나, dOMV는 PorA VR2 아형 또는 PorA VR2 P1.2 및 선택적으로 PorB P2.2a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MenB 균주 99M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1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동일성을 포함하는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3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99%, 또는 적어도 약 99.5% 동일성을 포함하는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B 단백질, NadA 단백질 및 MenB 발현 PorA 단백질로부터의 dOMV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성물에서, NadA는 NadA1일 수 있거나 또는 서열번호 5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지고/지거나, dOMV는 PorA VR2 아형 또는 PorA VR2 P1.2 및 선택적으로 PorB P2.2a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MenB 균주 99M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1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동일성을 포함하고,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a) 115번 아미노산에서의 아스파라긴의 아미노산 치환(N115); b) 121번 아미노산에서의 아스파르트산의 아미노산 치환(D121); c) 128번 아미노산에서의 세린의 아미노산 치환(S128); d) 130번 아미노산에서의 류신의 아미노산 치환(L130); e) 131번 위치에서의 발린의 아미노산 치환(V131); f) 133번 위치에서의 글리신의 아미노산 치환(G133); g) 219번 위치에서의 리신의 아미노산 치환(K219); 및 h) 220번 위치에서의 글리신의 아미노산 치환(G2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3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동일성을 포함하고,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a) 38번 아미노산에서의 글루타민의 아미노산 치환(Q38); b) 92번 아미노산에서의 글루탐산의 아미노산 치환(E92); c) 130번 아미노산에서의 아르기닌의 아미노산 치환(R130); d) 223번 아미노산에서의 세린의 아미노산 치환(S223); 및 e) 248번 아미노산에서의 히스티딘의 아미노산 치환(H248)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B 단백질, NadA 단백질 및 MenB 발현 PorA 단백질로부터의 dOMV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성물에서, NadA는 NadA1일 수 있거나 또는 서열번호 5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지고/지거나, dOMV는 PorA VR2 아형 또는 PorA VR2 P1.2 및 선택적으로 PorB P2.2a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MenB 균주 99M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1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동일성을 포함하고,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G220S, L130R 및 G133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3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동일성을 포함하고,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적어도 아미노산 치환 H248L을 포함하는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B 단백질, NadA 단백질 및 MenB 발현 PorA 단백질로부터의 dOMV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성물에서, NadA는 NadA1일 수 있거나 또는 서열번호 5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지고/지거나, dOMV는 PorA VR2 아형 또는 PorA VR2 P1.2 및 선택적으로 PorB P2.2a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MenB 균주 99M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1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동일성을 포함하고,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G220S, L130R 및 G133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상기 적어도 3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3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동일성을 포함하고,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적어도 아미노산 치환 H248L을 포함하는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B 단백질, NadA 단백질 및 MenB 발현 PorA 단백질로부터의 dOMV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성물에서, NadA는 NadA1일 수 있거나 또는 서열번호 5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지고/지거나, dOMV는 PorA VR2 아형 또는 PorA VR2 P1.2 및 선택적으로 PorB P2.2a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MenB 균주 99M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1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동일성을 포함하고,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G220S, L130R 및 G133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3개의 아미노산 치환만을 포함하는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3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동일성을 포함하고,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아미노산 치환 H248L만을 포함하는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B 단백질, NadA 단백질 및 MenB 발현 PorA 단백질로부터의 dOMV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성물에서, NadA는 NadA1일 수 있거나 또는 서열번호 5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지고/지거나, dOMV는 PorA VR2 아형 또는 PorA VR2 P1.2 및 선택적으로 PorB P2.2a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MenB 균주 99M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2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NadA 단백질, MenB 발현 PorA VR2 P1.2 및 선택적으로 PorB P2.2a로부터의 또는 MenB 균주 99M으로부터 얻은 dOMV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NadA 단백질, MenB 발현 PorA VR2 P1.2 및 선택적으로 PorB P2.2a로부터의 또는 MenB 균주 99M으로부터 얻은 dOMV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NadA 단백질, MenB 발현 PorA VR2 P1.2 및 선택적으로 PorB P2.2a로부터의 또는 MenB 균주 99M으로부터 얻은 dOMV,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2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fHBP A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mRNA, 서열번호 4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fHBP B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mRNA, 서열번호 5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NadA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mRNA 및 PorA를 발현시키는 MenB로부터의 dOMV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PorA는 PorA VR2 아형 또는 PorA VR2 P1.2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2를 포함하는 약 25 내지 약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를 포함하는 약 25 내지 약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를 포함하는 약 25 내지 약 100 ㎍/용량의 NadA 단백질,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의 약 20 내지 약 150 ㎍/용량의 dOMV, 약 100 내지 약 600 ㎍/용량의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약 25 내지 약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약 25 내지 약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약 25 내지 약 100 ㎍/용량의 NadA 단백질,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의 약 20 내지 약 150 ㎍/용량의 dOMV, 약 100 내지 약 600 ㎍/용량의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포함하는 백신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의약으로서, 특히 백신으로서의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수막구균 감염에 대한,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B 감염에 대한 보호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수막구균 박테리아에 대한,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B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ST-41/44, ST-32, ST-269, ST-213, ST-35, ST-461, ST-11 및/또는 ST-461 클론 복합체로부터의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B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ST-11 클론 복합체로부터의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B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수막구균 감염에 대해 개체,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B 감염에 대해 개체를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백신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개체에서 수막구균 감염에 의해 야기되고,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B 감염에 대한 침습성 수막구균성 질환의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백신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개체에서 수막구균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반응,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B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백신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ST-41/44, ST-32, ST-269, ST-213, ST-35, ST-461, ST-11 및/또는 ST-461 클론 복합체로부터의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B 박테리아에 대해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백신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ST-11 클론 복합체로부터의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B 박테리아에 대해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백신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백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수막구균 항원 및 선택적으로 알루미늄 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항원은 적어도 1종의 인자 H 결합 단백질(fHBP) A 단백질, 적어도 1종의 fHBP B 단백질, 적어도 1종의 네이세리아 부착소 A(NadA) 단백질, 및 적어도 1종의 세정제-추출 외막 소포(dOMV)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혼합하는 단계는 AlPO4 상에 선택적으로 흡착된 적어도 1종의 인자 H 결합 단백질(fHBP) A 단백질과 AlPO4 염 상에 선택적으로 흡착된 적어도 1종의 fHBP B 단백질의 제1 혼합물 및 AlPO4 상에 선택적으로 흡착된 적어도 1종의 NadA 단백질과 dOMV의 제2 혼합물의 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혼합하는 단계는 AlPO4 상에 흡착된 적어도 1종의 인자 H 결합 단백질(fHBP) A 단백질과 AlPO4 염 상에 흡착된 적어도 1종의 fHBP B 단백질의 제1 혼합물 및 AlPO4 상에 흡착된 적어도 1종의 NadA 단백질과 dOMV의 제2 혼합물의 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항원 및 알루미늄 염은 완충제 중에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복수의 용기를 포함하는 부품 키트(kit-of-part)에 관한 것이되, 용기 각각은 적어도 2종의 수막구균 항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항원은 fHBP A 단백질, fHBP B 단백질, NadA 단백질, 및 세정제-추출 외막 소포(dOMV)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부품 키트의 항원 중 적어도 하나는 건조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항원 중 적어도 하나는 동결건조되거나 건조 마이크로펠릿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키트는 선택적으로 생리적으로 주사 가능한 비히클을 포함하는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D0, D28 및 D56에 TRUMENBA로 또는 제형 F1 내지 F6 또는 MENQUADFI와 공동 투여한 F1로 면역화시킨 토끼로부터 D0(속이 빈/백색 기호) 및 D42(속이 찬/검정 기호)에 수집한 혈청에서 ELISA에 의해 측정한 특이적 항-A05tmN(도 1a) 또는 항-B01smN(도 1b) IgG 역가를 나타낸다(LLOQ는 정량하한을 의미함).
도 2a 및 2B. 도 2a는 BEXSERO로 또는 제형 F1 내지 F5 및 MENQUADFI와 공동 투여한 F1로 D0 및 D28에 면역화된 토끼로부터 D0(속이 빈/백색 기호) 및 D42(속이 찬/검정 기호)에 수집한 혈청에서 ELISA에 의해 측정한 특이적 항-NadA IgG 역가를 나타낸다. 도 2b는 D0, D28 및 D56에 제형 F1 내지 F5 및 MENQUADFI와 공동 투여한 F1로 면역화된 토끼로부터 D0 및 D42에 수집한 혈청에서 ELISA에 의해 측정한 특이적 항-dOMV IgG를 나타낸다.
도 3 D0, D28 및 D56에 TRUMENBA, BEXSERO 또는 제형 F1 내지 F6 또는 MENQUADFI와 공동 투여한 F1로 면역화시킨 토끼로부터 D0(속이 빈/백색 기호) 및 D42(속이 찬/검정 기호)에 정제된 IgG에서 밀접하게 관련된 MenB B44 균주(균주 번호 3)에 대해 측정한 hSBA를 나타낸다.
도 4 D0, D28 및 D56에 TRUMENBA, BEXSERO 또는 제형 F1 내지 F6 또는 MENQUADFI와 공동 투여한 F1로 면역화시킨 토끼로부터 D0(속이 빈/백색 기호) 및 D42(속이 찬/검정 기호)에 정제된 IgG에서 이종성 MenB B24 균주(균주 번호 4)에 대해 측정한 hSBA를 나타낸다.
도 5 D0, D28 및 D56에 TRUMENBA, BEXSERO 또는 제형 F1 내지 F6 또는 MENQUADFI와 공동 투여한 F1로 면역화시킨 토끼로부터 D0(속이 빈/백색 기호) 및 D42(속이 찬/검정 기호)에 정제된 IgG에서 이종성 MenB B24 균주(균주 번호 18)에 대해 측정한 hSBA를 나타낸다.
도 6 D0, D28 및 D56에 TRUMENBA, BEXSERO 또는 제형 F1 내지 F6 또는 MENQUADFI와 공동 투여한 F1로 면역화시킨 토끼로부터 D0(속이 빈/백색 기호) 및 D42(속이 찬/검정 기호)에 정제된 IgG에서 밀접하게 관련된 MenB A56 균주(균주 번호 1)에 대해 측정한 hSBA를 나타낸다.
도 7 D0, D28 및 D56에 TRUMENBA, BEXSERO 또는 제형 F1 내지 F6 또는 MENQUADFI와 공동 투여한 F1로 면역화시킨 토끼로부터 D0(속이 빈/백색 기호) 및 D42(속이 찬/검정 기호)에 정제된 IgG에서 이종성 MenB A22 균주(균주 번호 2)에 대해 측정한 hSBA를 나타낸다.
도 8 D0, D28 및 D56에 TRUMENBA, BEXSERO 또는 제형 F1 내지 F6 또는 MENQUADFI와 공동 투여한 F1로 면역화시킨 토끼로부터 D0(속이 빈/백색 기호) 및 D42(속이 찬/검정 기호)에 정제된 IgG에서 MenB NadA1 균주(균주 번호 6)에 대해 측정한 hSBA를 나타낸다.
도 9 D0, D28 및 D56에 TRUMENBA, BEXSERO 또는 제형 F1 내지 F6 또는 MENQUADFI와 공동 투여한 F1로 면역화시킨 토끼로부터 D0(속이 빈/백색 기호) 및 D42(속이 찬/검정 기호)에 정제된 IgG에서 MenB OMV PorA 1.2 균주(균주 번호 5)에 대해 측정한 hSBA를 나타낸다.
도 10은 상이한 용량의 BEXSERO 및 TRUMENBA로 처리한 성인 PTE 유래 수지상 세포(DC) 사이토카인 생산(IL-6, TNFα, MIP-1β 및 IL-1β)을 나타내며: PTE로부터의 배양물 상청액을 처리 후 48시간에 채취하고, 다중복합 어레이를 이용하여 사이토카인 분비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래프는 수지상 세포(DC)에서 IL-6, TNFα, IL-1β 및 MIP-1β의 사이토카인 생산의 기하평균 값(GMV)을 나타낸다. 처리는 인간 용량의 10배 희석이었다(n=20 공여자). N/A는 항원이 없는 모의 대조군이다.
도 11은 상이한 용량의 BEXSERO 및 TRUMENBA로 처리한 신생아 PTE 유래 수지상 세포(DC) 사이토카인 생산(IL-6, TNFα, MIP-1β 및 IL-1β)을 나타내며: PTE로부터의 배양물 상청액을 처리 후 48시간에 채취하고, 다중복합 어레이를 이용하여 사이토카인 분비에 대해 평가하였고, 그래프는 DC에서 IL-6, TNFα, IL-1β 및 MIP-1β의 사이토카인 생산의 GMV를 나타낸다. 처리는 인간 용량의 10배 희석이었다(n=20 공여자).
도 12a 및 도 12b 1:10000의 희석에서 TRUMENBA보다 더 성인 및 신생아 PTE에서 BEXSERO에 의해 촉발된 사이토카인 분비의 95% 신뢰구간에 의한 기하평균값 비의 포레스트 플롯(Forest plot)을 나타낸다. 점선은 1의 값으로 설정되고, 1 미만의 값 및 신뢰 구간은 BEXSERO가 TRUMENBA보다 열등하며, 1 초과의 값 및 신뢰 구간의 경우, BEXSERO가 TRUMENBA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성인 PTE 모듈에서 F1 내지 F5 제형에 의해 유도되는 사이토카인(IL-6, TNFα, MIP-1β 및 IL-1β) 분비를 나타낸다. MIMIC 성인 PTE는 상이한 용량의 F1 내지 F5 제형 및 대조군(BEXSERO)으로 처리되었다. 이후에, 배양물 상청액을 수집하였고, 다중복합 어레이를 통해 사이토카인의 분비에 대해 평가하였다. IL-6, TNFα, IL-1β, 및 MIP-1β의 평균 값 ± 95% CI; n=16 내지 24.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1:10000의 희석으로 성인 PTE에서 제형 F1, F2, F3, F4 및 F5에 대해 BEXSERO에 의해 유도되는 사이토카인 분비의 95% 신뢰구간에 의한 기하평균값 비의 포레스트 플롯을 나타낸다. 점선은 1의 값으로 설정되고, 1 미만의 값 및 신뢰 구간은 BEXSERO가 처리보다 열등하며, 1 초과의 값 및 신뢰 구간의 경우, BEXSERO가 처리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4a는 F2 및 F3 제형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나타내고, 도 14b도 14c F1, F4 및 F5 제형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나타낸다.
도 15는 성인 MIMIC PTE에서 F1 내지 F5 제형, 및 BEXSERO에 의한 처리 후의 면역세포독성(또는 처리 후 생세포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신생아 PTE 모듈에서 BEXSERO에 비한 F1 내지 F5 제형의 사이토카인(IL-6, TNFα, MIP-1β 및 IL-1β) 분비 수준의 증가를 나타낸다. MIMIC 신생아 PTE는 상이한 용량의 F1 내지 F5 제형 및 대조군(BEXSERO)으로 처리되었다. 이후에, 배양물 상청액을 수집하였고, 다중복합 어레이를 통해 사이토카인의 분비에 대해 평가하였다. IL-6, TNFα, IL-1b 및 MIP-1b의 평균 ± 95% CI(n=16 내지 24). N/A는 항원이 없는 모의 대조군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1:10000의 희석으로 신생아 PTE에서 제형 F1, F2, F3, F4 및 F5에 대해 BEXSERO에 의해 유도되는 사이토카인 분비의 95% 신뢰구간에 의한 기하평균값 비의 포레스트 플롯을 나타낸다. 점선은 1의 값으로 설정되고, 1 미만의 값 및 신뢰 구간은 Bexsero®가 처리보다 열등하며, 1 초과의 값 및 신뢰 구간의 경우, Bexsero®가 처리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7a는 F2 및 F3 제형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나타내고, 도 17b F1, F4 및 F5 제형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나타낸다.
도 18는 신생아 MIMIC PTE에서 F1 내지 F5 제형, 및 BEXSERO에 의한 처리 후의 면역세포독성(또는 처리 후 생세포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도 19는 시험한 상이한 제형이 유효하게 작용하거나 유효하지 않은 상이한 클론 복합체를 도시하는 hSBA 결과의 요약을 나타낸다: 상이한 클론 복합체로부터의 18종의 MenB 균주에 대한 F3, TRUMENBA 및 BEXSERO. 검정 원호: BEXSERO. 점선 원호: TRUMENBA. 회색 원호: F3 제형. 원호 내의 숫자는 클론 복합체당 시험한 MenB 균주의 총 수 중 제형이 유효하게 작용한 MenB 균주의 수를 나타낸다.
[서열설명]
서열번호 1은 지질화를 초래한 신호 펩타이드가 없는 fHBP A05 야생형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는 지질화를 초래하는 신호 펩타이드가 없고 돌연변이 G220S, L130R, G133D(넘버링은 서열번호 6의 서열(fHBP B24)에 대해서 결정됨)가 있는 돌연변이된 fHBP A05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3은 지질화를 초래한 신호 펩타이드가 없는 fHBP B01 야생형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4는 지질화를 초래하는 신호 펩타이드가 없고 돌연변이 H248L(넘버링은 서열번호 6(fHBP B24)의 서열에 대해서 결정됨)이 있는 돌연변이된 fHBP B01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5는 N-말단에서 신호 펩타이드의 23개의 아미노산 및 C-말단의 마지막 55개의 아미노산이 결실된 MenB MC58 균주로부터의 NadA1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6은 A05 및 B01의 돌연변이 위치의 넘버링이 결정되는 기준이 되는 fHBP B24 야생형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7은 MenB MC58 균주로부터의 야생형 NadA1 서열을 나타낸다.
정의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은 달리 문맥에서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는 한 복수의 대상을 포함한다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항원"에 대한 언급은 복수의 이러한 항원을 포함하고, "단백질"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의 단백질에 대한 언급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 또는 "대략"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알려진 각각의 값에 대한 일반 오차 범위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대략적인" 값, 또는 파라미터에 대한 언급은 그 값, 또는 파라미터 그 자체에 대한 실시형태를 포함(및 설명)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용어 "약"은 주어진 값의 ±10%, ±9%, ±8%, ±7%, ±6%, ±5%, ±4%, ±3%, ±2%, ±1%를 지칭한다. 그러나 당해 값이 나눌 수 없는 대상, 예컨대 분자 또는 세분화되면 동일성을 상실하는 다른 대상을 언급할 때마다, "약"은 나눌 수 없는 대상의 ±1을 나타낸다.
용어 "항원"은 면역 반응을 유발하고/하거나 면역 반응이 유도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임의의 분자, 예를 들어, 펩타이드, 단백질, 다당류 또는 당접합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항원은, 선택적으로 처리 후에, 예를 들어 항원 또는 항원을 발현시키는 세포에 특이적인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분자이다. 처리 후에, 항원은 MHC 분자에 의해 제시될 수 있으며 T 림프구(T 세포)와 특이적으로 반응한다. 따라서, 항원 또는 이의 단편은 T 세포 수용체에 의해 인식 가능해야 하고, 적절한 공동 자극 신호의 존재 하에 항원 또는 단편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T 세포 수용체를 지닌 T 세포의 클론 확장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항원 또는 항원을 발현하는 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면역 반응을 위한 후보인 임의의 적합한 항원이 구상될 수 있다. 항원은 자연 발생 항원에 상응하거나 자연 발생 항원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양상 및 실시형태는 양상 및 실시형태를 "갖는", 이를 "포함하는", 이로 "이루어진" 및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갖다" 및 "포함하다"라는 용어 또는 "갖고 있다", "갖고 있는", "포함하고 있다" 또는 "포함하는"과 같은 변형은 언급된 요소(들)(예컨대 물질의 조성물 또는 방법 단계)의 포함을 의미하며 임의의 다른 요소의 배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이 이해될 것이다. "~로 이루어진"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추가 요소를 제외하고 언급된 요소(들)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요소 및 가능하게는 다른 요소(들)(여기서, 상기 다른 요소(들)는 본 발명의 기본적이고 신규한 특성(들)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의 포함을 의미한다. 용어 "포함하는"을 이용한 개시내용의 상이한 실시형태 또는 균등물은 이 용어가 "~으로 이루어진" 또는 "~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으로 대체된 실시형태를 아우르는 것으로 이해된다.
어구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균주에 의해 야기된 질환"은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에 의한 인간 감염에 존재하는 임의의 임상 증상 또는 임상 증상의 조합을 포괄한다. 이런 증상들은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의 병원성 균주에 의한 상기도(예를 들어, 비인두 및 편도의 점막)의 콜로니 생성, 점막 내로의 박테리아 침투 및 점막하 혈관상, 패혈증, 패혈증, 염증, 출혈성 피부 병변, 섬유소 용해 현상 및 혈액 응고의 활성화, 신장, 폐 및 심부전과 같은 장기부전, 부신 출혈 및 근육 경색, 모세관 누출, 부종, 말초 하지 허혈, 호흡곤란 증후군, 심막염 및 뇌수막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개체" 또는 "대상체" 또는 "환자"는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되고, 포유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포유류는 가축(예를 들어, 소, 양, 고양이, 개, 및 말), 영장류(예를 들어, 인간 및 비-인간 영장류, 예를 들어, 원숭이), 토끼, 및 설치류(예를 들어, 마우스 및 래트)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개체 또는 대상체는 인간이다.
본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표현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의 생리학적 활성, 즉, 낮은 반응원성 효과와 함께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능력을 보유하면서 포유류, 예컨대, 인간에 대한 투여를 위한 생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비히클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질환 또는 장애와 관련하여 "예방하다", "예방하는" 또는 "~의 진행을 지연시키다"(및 이의 문법적 변형)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질환에 걸린 것으로 의심되거나 질환 발생 위험이 있는 개체에서의 질환 또는 장애의 예방적 치료에 관한 것이다. 예방은 질환의 발병 또는 진행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키는 것 및/또는 질환 또는 장애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목적하는 수준으로 유지하거나 병리학적 수준 미만으로 유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방"이라는 용어는 사건의 발생 확률 또는 가능성을 100% 제거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조성물 또는 방법의 존재 하에 사건의 발생 가능성이 감소되었음을 나타낸다.
용어 "보호 면역"은 포유류에게 투여되는 백신 또는 면역화 스케줄이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질환 발생을 지연시키거나, 질환의 중증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질환 증상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질환의 증상을 완전히 제거하는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호 면역은 살균 항체의 생산을 수반할 수 있다.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에 대한 살균 항체의 생산은 인간에서의 백신 보호 효과의 예측으로서 해당 분야에서 허용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Goldschneider et al. (1969) J. Exp. Med. 129:1307).
본 명세서 내에서, 변화와 관련하여 사용된 "유의미하게"라는 용어는 관찰된 변화가 뚜렷하고/하거나 통계적 의미를 가짐을 의미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 내에서, 본 발명의 특징과 함께 사용되는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대체로 이 특징과 유사하지만 완전히 유사한 것은 아닌 이 특징과 관련된 일련의 실시형태를 규정하고자 한다. 주어진 특징과 관련된 실시형태의 세트와 주어진 특징 사이의 차이는 실시형태의 세트에서, 주어진 특징의 특성 및 기능이 실질적으로 영향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항원 또는 항원의 조합 및 아쥬반트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어구 "면역 반응을 유발하기 위한 충분한 양으로" 또는 "면역학적 유효량"은 대상체에게 투여될 때,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데 효과적인 양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런 양은 대상체의 건강상태 또는 신체 상태, 대상체의 연령, 항체를 생산하는 대상체의 면역계의 능력, 목적하는 보호 정도, 항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형, 치료하는 의사의 의학적 상황 평가와 같은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 양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일상적인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면역 반응 지표는 효소-결합 면역분석(ELISA), 살균 분석, 유세포분석, 면역침전, 오크터로니 면역확산(Ouchterlony immunodiffusion); 예를 들어, 스팟, 웨스턴 블롯 또는 항원 어레이의 결합 검출 분석; 세포독성 분석 등과 같은 분석에 의해 검출되는 바와 같은, 항체 역가 또는 특이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면역 반응 유발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치료하다" 또는 "치료" 또는 "요법" 등의 용어는 병태의 증상, 질환 또는 장애를 고치거나, 치료하거나, 완화시키거나, 경감시키거나, 변경하거나, 해소하거나, 좋아지게 하거나, 개선하거나, 또는 영향을 주거나, 또는 증상, 합병증의 발병을 예방 또는 지연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방식으로 장애의 추가 발생을 저지하거나 억제할 목적으로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투여하거나 소비하는 것을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용어 "치료하다", "치료" 등은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감염에 의해 매개되는 병리학적 과정으로부터의 경감 또는 완화를 지칭한다. 본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인용된 임의의 다른 병태와 관련되는 한, "치료하다", "치료" 등의 용어는 이러한 병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을 경감시키거나 완화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백신"은 병원균 제제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으로부터 대상체를 보호하거나 치료하려는 의도로 면역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병원균 제제와 관련된 면역원성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백신은 초기(및/또는 재발) 감염을 예방하거나 이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의도로, 감염 전에 대상체에 대한 투여를 위한 방지적(예방적) 백신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전령 RNA" 또는 "mRNA"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타이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mRNA는 변형 RNA와 비변형 RNA를 둘 다 포괄한다. mRNA는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및 비암호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 영역은 대안적으로 오픈 리딩 프레임(open reading frame: ORF)으로 지칭된다. mRNA에서 비암호화 영역은 5' 캡, 5' 비번역 영역(UTR), 3' UTR 및 폴리(A) 꼬리를 포함한다. mRNA는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정제될 수 있고, 재조합 발현 시스템(예를 들어, 시험관내 전사)을 이용하여 생성되고, 선택적으로 정제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mRNA는 변형 및 비변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mRNA는 적어도 하나의 화학적 변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mRNA는 전형적으로 RNA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하나 이상의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변형은 골격 변형, 당 변형, 또는 염기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mRNA는 자연 발생 뉴클레오타이드 및/또는 퓨린(아데닌(A) 및 구아닌(G)) 또는 피리미딘(티민(T), 시토신(C), 및 우라실(U))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뉴클레오타이드 유사체(변형된 뉴클레오타이드)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mRNA는 퓨린 및 피리미딘의 변형된 뉴클레오타이드 유사체 또는 유도체, 예컨대, 예를 들어, 1-메틸-아데닌, 2-메틸-아데닌, 2-메틸티오-N-6-이소펜테닐-아데닌, N6-메틸-아데닌, N6-이소펜테닐-아데닌, 2-티오-시토신, 3-메틸-시토신, 4-아세틸-시토신, 5-메틸-시토신, 2,6-디아미노퓨린, 1-메틸-구아닌, 2-메틸-구아닌, 2,2-디메틸-구아닌, 7-메틸-구아닌, 이노신, 1-메틸-이노신, 슈도우라실(5-우라실), 디하이드로-우라실, 2-티오-우라실, 4-티오-우라실, 5-복카시메틸아미노메틸-2-티오-우라실, 5-(복카시하이드록시메틸)-우라실, 5-플루오로-우라실, 5-브로모-우라실, 5-복카시메틸아미노메틸-우라실, 5-메틸-2-티오-우라실, 5-메틸-우라실, N-우라실-5-옥시 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5-메틸아미노메틸-우라실, 5-메톡시아미노메틸-2-티오-우라실, 5'-메톡시카보닐메틸-우라실, 5-메톡시-우라실, 우라실-5-옥시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우라실-5-옥시아세트산(v), 1-메틸-슈도우라실, 퀘오신, β-D-만노실-퀘오신, 포스포라미데이트,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펩타이드 뉴클레오타이드, 메틸포스포네이트, 7-데아자구아노신, 5-메틸시토신 및 이노신으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mRNA는 슈도우리딘, N1-메틸슈도우리딘, 2-티오우리딘, 4'-티오우리딘, 5-메틸시토신, 2-티오-l-메틸-1-데아자-슈도우리딘, 2-티오-l-메틸-슈도우리딘, 2-티오-5-아자-우리딘, 2-티오-디하이드로슈도우리딘, 2-티오-디하이드로우리딘, 2-티오-슈도우리딘, 4-메톡시-2-티오-슈도우리딘, 4-메톡시-슈도우리딘, 4-티오-l-메틸-슈도우리딘, 4-티오-슈도우리딘, 5-아자-우리딘, 디하이드로슈도우리딘, 5-메틸우리딘, 5-메틸우리딘, 5-메톡시우리딘, 및 2'-O-메틸 우리딘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화학적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개별 실시형태의 맥락에서 기재되는 본 발명의 소정의 특징은 또한 단일 실시형태와 조합하여 제공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간략화를 위하여, 단일 실시형태의 맥락에서 기재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은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하위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임의의 방법 및 물질이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간행물은 간행물이 인용되는 것과 관련된 방법 및/또는 물질을 개시하고 기재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이하에 기술된 바와 같은 공급원, 성분 및 구성요소의 목록은 이들의 조합 및 혼합물이 또한 고려되고 본 명세서의 범주 내에 있도록 열거되어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 수치 한계치는 마치 모든 수치 하한치가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처럼 이러한 모든 수치 하한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 수치 한계치는 마치 모든 수치 상한치가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처럼 이러한 모든 수치 상한치를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범위는 마치 모든 더 좁은 수치 범위가 모두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처럼 그러한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더 좁은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어 성분 목록과 같은 모든 항목 목록은 마쿠쉬 그룹으로 해석하고자 하며 그렇게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모든 목록은 항목의 목록 "및 이들의 조합 및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항목으로 판독되고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는 구성성분에 대한 상표명이 본 명세서에 언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자들은 임의의 특정 상표명 하의 물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는다. 상표명으로 언급된 것과 동등한 물질(예를 들어, 다른 명칭 또는 참조번호로 하에서 상이한 공급원으로부터 얻은 것)이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대체 및 이용될 수 있다.
항원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은 적어도 수막구균 항원의 조합을 포함한다. 항원의 조합은 적어도 1종의 인자 H 결합 단백질(fHBP) A 단백질, 적어도 1종의 fHBP B 단백질, 적어도 1종의 네이세리아 부착소 A(NadA) 단백질, 및 적어도 1종의 세정제-추출 외막 소포(dOMV)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수막구균 항원은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혈청군 B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fHBP
수막구균 fHBP는 또한 당업계에서 지질단백질 2086(LP2086), ORF2086, 게놈-유래 네이세리아 항원(GNA) 1870, 또는 "741"로도 지칭되고, 거의 모든 침습성 수막구균 단리물의 박테리아 표면에서 발현되는 지질단백질이다. fHBP는 대안의 보체 경로의 음성 조절제인 인간 보체 인자 H(fH)에 결합하기 때문에 중요한 발병 인자이다(Seib et al., Expert Rev Vaccines. 2015;14(6):841-59). 인간 fH에 대한 fHBP의 결합은 병원균이 숙주 선천성 면역계에 의한 대안의 보체-매개 사멸 및 인간 혈청 및 혈액에서의 생존을 가능하게 한다.
3종의 주요 유전적 및 면역학적 fHBP 변이체가 기재되었다: 서브패밀리 B에 상응하는 변이체 1, 및 모두 서브패밀리 A에서 분류되는 변이체 2와 3(Seib et al., Expert Rev Vaccines. 2015;14(6):841-59). Pfizer(fHBP A 및 B) 및 Novartis(변이체 1, 2 및 3)에 의해 제공된 명명법에 추가로, fHBP는 PubMLST 데이터베이스에서 고유 ID 번호로 확인된다. fHBP 서브패밀리 A와 B 사이에 상당한 항원 가변성이 있지만, 슈퍼패밀리 내의 단백질 서열은 상이한 균주 중에서 86% 초과의 서열 동일성으로 상당히 보존된다. 엔. 메닌기티디디스에서 발견되는 각각의 고유한 fHBP는 또한 neisseria.org 또는 웹사이트 pubmlst.org/neisseria/fHBP/에 따라 fHBP 펩타이드 ID가 부여된다. 변이체 2(v.2) fHBP 단백질(균주 8047로부터 유래, fHBP ID 77) 및 변이체 3(v.3) fHBP(균주 M1239로부터 유래, fHBP ID 28)의 길이는 각각 -1 및 +7 아미노산 잔기만큼 상이하기 때문에, MC58(fHBP ID 1)로부터, v.2 및 v.3 fHBP 단백질에 대한 잔기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한 넘버링은 이들 단백질의 실제 아미노산 서열에 기반하여 넘버링이 상이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v.2 또는 v.3 fHBP 서열의 166번 위치에서 류신 잔기(L)에 대한 언급은 v.2 단백질의 165번 위치에서 그리고 v.3 단백질에서 173번 위치에서의 잔기를 지칭한다. 변이체 1, 2 및 3의 구성원은 각각 침습성 질환을 야기하는 MenB 임상 단리물의 대략 65, 25 및 10%에 존재한다. MenB 균주 전체 집단에 나타난 10종의 가장 우세한 fHBP 변이체는 미국 및 유럽 연합에서 침습성 질환을 야기하는 균주의 대략 80%를 차지한다(Bambini et al., Vaccine. 2009;27(21):2794-803; Chang, J Infect 2019;S0163-4453(19):30272-5; Lucidarme, Clin Vaccine Immunol 2010;17(6):919-29; 및 Murphy et al.,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2009;200(3):379-89; Wang et al., Vaccine. 2011;29(29-30):4739-44).
본 개시내용에 따라 사용될 fHBP는 야생형(또는 자연 발생적) 폴리펩타이드일 수 있거나 또는 아미노산 치환, 삽입 또는 결실(비-자연 발생적)에 의해 변형될 수 있고, 단, 폴리펩타이드는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라 사용될 fHBP는 지질화 또는 비-지질화된 fHBP일 수 있다. 지질화된 단백질은 보통 이들의 N-말단 서열에 지질화를 위한 특정 펩타이드 서열을 포함한다. 이 서열은 단백질의 성숙 단계 동안에 절단될 수 있다. 해당 지질화 신호 펩타이드는 각 종류의 단백질에 그리고 단백질을 생산하는 숙주 세포에 특이적이다.
ORF2086 폴리펩타이드는 지질단백질 신호 모티프를 갖는 전구체 단백질로서 엔. 메닌기티디디스에서 발현된다. 가공 동안에, 모티프는 네이세리아 외막에 단백질을 테더링하는 지질 앵커를 이용하여 공동 번역에 의해 변형된 N-말단의 시스테인 잔기를 이탈하도록 절단된다(McNeil et al. (2013) MMBR 77(2):234-252).
재조합 단백질의 지질화를 피하기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지질화 펩타이드 신호를 결실시키거나 또는 지질화 펩타이드 신호를 단백질을 생산하는 세포에 의해 인식되지 않는 다른 펩타이드 신호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10,300,122 B2호는 ORF 2086에 대한 이런 기법의 사용을 기재한다.
또한 N-말단의 시스테인에 대한 코돈 암호를 다른 아미노산에 대한 코돈 암호로 치환하거나 또는 N-말단의 시스테인에 대한 코돈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fHBP에 관해, 미국 특허 제10,300,122 B2호는 시스테인 지질화 부위의 결실(또는 메티오닌에 의한 시스테인의 치환)을 초래하는 성숙 폴리펩타이드에 대한 ORF2086 암호의 제2 5' 말단 코돈에 대한 직접적인 ATG(메티오닌) 코돈의 융합을 기재한다. 또한,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9,724,402 B2호 또는 미국 특허 제11,077,180 B2호는 비-지질화 fHBP를 얻는 것을 개시하며, 여기서, N-말단의 Cys은 Cys 잔기가 아닌 아미노산으로 치환된다.
본 개시내용에 따라 사용될 fHBP는 자연 발생적 또는 비-자연 발생적 단백질일 수 있다. 비-자연 발생적 단백질은 "인공 단백질"을 지칭하며, 자연 발생적 단백질과 반대로 자연에서 발견되지 않는 이종 구성성분을 갖는 fHBP를 포괄한다. 비-자연 발생적 단백질은 키메라 단백질 또는 돌연변이 단백질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키메라 단백질"은 각각 상이한 fHBP(예를 들어, 변이체 1, 2 또는 3)로부터 유래된 둘 이상의 상이한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단백질을 지칭하기 위한 의도이다. 돌연변이 단백질의 돌연변이는 아미노산 치환, 삽입 또는 결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돌연변이는 아미노산 치환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에 적합한 비-자연 발생적 fHBP는 여전히 fHBP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에 따라 사용될 비-자연 발생적 fHBP는 돌연변이된 fHBP일 수 있다. 돌연변이, 예컨대, 아미노산 치환은 개체 혈액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응고의 인자 H(fH)에 대한 fHBP 항원의 결합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억제하기 위해 도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면역원성 조성물에서 사용된 fHBP 항원에 대한 fH의 결합 방지는 면역계에 접근 가능한 항원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고, 해당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의 효능 및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돌연변이된 fHBP는 fH 결합 부위 내의 fHBP 에피토프에 지시된 항-fHBP 항체 레퍼토리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fH 결합 부위 밖의 fHBP 에피토프를 표적화하는 야생형(WT) fHBP 항원에 의해 유발된 항체보다는 더 큰 보호 보체 침착 활성을 초래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에 대해 고려되는 비-자연 발생적 fHBP는 상응하는 자연 발생적 fHBP 또는 개선된 열 안정성에 비해 fH에 대해 감소된 친화도를 제시할 수 있다. fH 단백질 및 열 안정성에 대한 친화도는 WO 2016/014719 A1에서(이 문헌의 실시예 1 또는 3으로서) 측정될 수 있다.
편리함 및 명확성을 위해, 달리 구체적으로 표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서열번호 6 서열의 fHBP B24(또는 엔. 메닌기티디디스 균주 MC58의 fHBP ID 1 또는 v.1 fHBP)의 천연 또는 자연 발생적, 아미노산 서열은 본 명세서의 모든 자연 발생적 및 비-자연 발생적 fHBP 아미노산 서열에 대한 참조 서열로서 선택된다. 따라서, fHBP에서 아미노산 잔기 위치를 언급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위치 번호는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잔기 번호(fHBP B24)에 상응한다. 대조적으로, 1번 위치는 시스테인인 서열번호 6에 나타낸 첫 번째 아미노산 잔기를 지칭한다. 이는 추가 아미노산이 이런 시스테인 앞에서 서열번호 6의 N-말단에 첨가되는 경우에도 여전히 사실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 내에서 사용될 fHBP A 또는 B 항원에 도입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아미노산 치환으로서의 돌연변이는 WO 2011/126863 A1, WO 2015/017817 A1, 또는 WO 2016/014719 A1에 개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은 야생형 엔. 메닌기티디디스 fHBP의 아미노산 서열이 1 내지 10개의 아미노산만큼(예를 들어, 1, 2, 3, 4, 5, 6, 7, 8, 9 또는 10개의 아미노산만큼), 10개의 아미노산 내지 15개의 아미노산, 15개의 아미노산 내지 20개의 아미노산, 20개의 아미노산 내지 30개의 아미노산, 30개의 아미노산 내지 40개의 아미노산, 또는 40개의 아미노산 내지 50개의 아미노산만큼 상이한 비-자연 발생적 fHBP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fHBP는 참조 fHBP 서열과 적어도 약 80%,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동일성(예를 들어, 상동성 백분율)은 다양한 공지된 서열 비교 도구, 예를 들어, 미국 국립 생물 정보 센터(NCBI)의 Blast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쌍별 서열 정렬을 계산하는 임의의 상동성 비교를 이용하여, 예컨대, 디폴트 파라미터를 이용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동일성은 전반적 동일성, 즉, 전체 아미노산 또는 핵산 서열에 대한 것이지만, 이의 일부에 대해서는 아닌 동일성이다. 쌍별 전역 정렬은 문헌[Needleman et al.,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1970, pages 443-53, volume 48]에 의해 정의되었다. 예를 들어, 폴리펩타이드 서열로부터 시작하고 다른 폴리펩타이드 서열을 비교할 때, EMBOSS-6.0.1 Needleman-Wunsch 알고리즘(http://emboss.sourceforge.net/apps/cvs/emboss/apps/needle.html로부터 이용 가능)은 이들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두 서열의 최적의 정렬인 "전역 정렬"을 찾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면역원성 조성물에서 사용될 fHBP 항원은 WO 2016/014719 A1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얻을 수 있다. fHBP는 생산을 위한 숙주 세포, 예를 들어, 이콜라이(E. coli) 균주에 형질감염된 재조합 발현 벡터(또는 작제물)로부터 재조합 단백질로서 얻을 수 있다. fHBP-암호화 핵산을 전달하고 발현시키기 위한 적합한 벡터는 조성이 다를 수 있다. 통합 벡터는 조건적 복제성 또는 자살 플라스미드, 박테리오파지 등일 수 있다.
작제물은, 예를 들어, 프로모터, 선택 가능한 유전자 마커(예를 들어, 항생제에 내성을 부여하는 유전자(예를 들어, 카나마이신, 에리트로마이신, 클로람페니콜 또는 젠타마이신)), 복제기점(숙주 세포, 예를 들어, 박테리아 숙주 세포에서 복제를 촉진시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벡터의 선택은 증식이 요망되는 세포 유형 및 증식의 목적과 같은 다양한 인자에 따를 것이다. 특정 벡터는 다량의 목적하는 DNA 서열을 증폭 및 제조하는 데 유용하다. 다른 벡터는 배양물에서 세포의 발현에 적합하다. 적절한 벡터의 선택은 당업계의 기술 이내에서 용이하다. 다수의 이러한 벡터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일례에서, 벡터는 선택 가능한 약물 내성 마커 및 상이한 숙주 세포에서(예를 들어, 이콜라이와 엔. 메닌기티디디스 둘 다에서) 자율 복제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에피솜 플라스미드에 기반한 발현 벡터일 수 있다. 이러한 "셔틀 벡터"의 일례는 플라스미드 pFPIO이다(Pagotto et al. (2000) Gene 244: 13-19). 벡터는 숙주 세포에서 염색체 외 유지를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숙주 세포 게놈에의 통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벡터는, 예를 들어, 문헌[Shor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1999) F. Ausubel, et al., eds., Wiley & Sons]을 포함하는 당업자에게 잘 공지된 수많은 간행물에 충분히 기재되어 있다. 벡터는 대상 fHBP를 암호화하는 핵산의 발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거나, 대상 핵산을 증식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거나, 또는 둘 다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벡터의 예는 재조합 박테리오파지 DNA, 플라스미드 DNA 또는 코스미드 DNA로부터 유래된 것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플라스미드 벡터, 예컨대, pBR322, pUC 19/18, pUC 118, 119 및 M13 mp 시리즈의 벡터가 사용될 수 있다. pET21이 또한 사용될 수 있는 발현 벡터이다. 박테리오파지 벡터는 λgtl0, λgtl l, λgtl8-23, λΖΑΡ/R 및 EMBL 시리즈의 박테리오파지 벡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될 수 있는 추가적인 벡터는 pJB8, pCV 103, pCV 107, pCV 108, pTM, pMCS, pNNL, pHSG274, COS202, COS203, pWE15, pWE16 및 charomid 9 시리즈의 벡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재조합 발현 벡터는 전사 제어 요소, 예를 들어, 프로모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fHBP를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모터는 구성적 또는 유도성 프로모터일 수 있다. 프로모터는 원핵 숙주 세포에서 또는 진핵 숙주 세포에서의 사용을 위해 개조될 수 있다.
발현 벡터는 전사 및 번역 조절 서열을 제공하고, 암호화 영역이 전사 개시 영역, 및 전사 및 번역 종결 영역의 전사 제어 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유도성 또는 구성적 발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런 제어 영역은 대상 fHBP가 유래되거나 외인성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fHBP에 대해 천연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사 및 번역 조절 서열은 프로모터 서열, 리보솜 결합 부위, 전사 개시 및 정지 서열, 번역 개시 및 정지 서열, 및 인핸서 또는 활성체 서열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모터는 구성적 또는 유도성일 수 있고, 강한 구성적 프로모터(예를 들어, T7 등)일 수 있다.
발현 벡터는 일반적으로 관심의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핵산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모터 서열 근처에 위치된 편리한 제한 부위를 갖는다. 작제물(재조합 벡터)은, 예를 들어, 관심의 폴리펩타이드를 작제물 골격에 삽입함으로써, 전형적으로 벡터 내 절단된 제한 효소 부위에 대한 DNA 결찰효소 부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목적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은 상동성 재조합 또는 부위-특이적 재조합에 의해 삽입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동성 재조합은 목적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측접한 벡터에 대한 상동성 영역을 부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반면, 부위-특이적 재조합은 부위-특이적 재조합(예를 들어, cre-lox, att 부위 등)을 용이하게 하는 서열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서열을 포함하는 핵산은, 예를 들어,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결찰에 의해, 또는 상동성 영역과 목적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일부를 둘 다 포함하는 프라이머를 이용한 중합효소 연쇄 반응에 의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발현 작제물은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현 벡터는 1개 또는 2개의 복제 시스템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발현을 위해 유기체에서, 예를 들어, 포유류 또는 곤충 세포에서 그리고 클로닝 및 증폭을 위해 원핵 숙주에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발현 작제물은 형질전환된 숙주 세포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마커 유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 유전자는 당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으며, 사용되는 숙주 세포에 따라 다를 것이다.
아미노산 치환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기법에 의해 fHBP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미노산 치환은 WO 2011/126863 A1, WO 2015/017817 A1, 또는 WO 2016/014719 A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얻을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아미노산 치환은 WO 2015/128480, WO 2010/046715, WO 2016/008960, WO 2020/030782, 또는 WO 2011/05189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얻을 수 있다.
재조합 fHBP는 당업계에 공지되고, 예를 들어, 실시예 부문에 기재된 임의의 정제 방법에 의해 배양물로부터 정제된 형태로 얻을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 및/또는 fHBP 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에서 약 2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40 ㎍/용량 내지 약 14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12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00 ㎍/용량의 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 및/또는 fHBP B는 약 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또는 약 100 ㎍/용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fHBP A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은 적어도 1종의 fHBP A 변이체 항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1종의 fHBP A 단백질은 지질화 또는 비-지질화 단백질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비-지질화 단백질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자연 발생적 또는 비-자연 발생적 fHBP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자연 발생적 fHBP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비-자연 발생적 fHBP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1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단백질일 수 있다. 적어도 1종의 fHBP A 단백질은 지질화 또는 비-지질화 단백질일 수 있고/있거나 자연 발생적 또는 비-자연 발생적 fHBP일 수 있다(비-자연 발생적 fHBP A05 단백질은 fHBP A05 또는 서열번호 1과 100% 동일하지 않다).
비-자연 발생적 fHBP A 단백질은 WO 2011/126863 A1 또는 WO 2015/017817 A1에 개시된 바와 같은 키메라 단백질 또는 WO 2016/014719 A1, WO 2011/051893, WO 2016/008960 또는 WO 2015/128480에 개시된 바와 같은 돌연변이된 fHBP A 단백질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돌연변이된 단백질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fHBP A 단백질은 돌연변이된 단백질일 수 있다. 비-자연 발생적 fHBP A 단백질은 비-지질화 단백질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비-자연 발생적, 예컨대, 돌연변이된,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fHBP A 단백질은 야생형 엔. 메닌기티디디스 fHBP A 단백질, 예컨대, fHBP A05로부터의 아미노산과 1 내지 10개의 아미노산만큼(예를 들어, 1, 2, 3, 4, 5, 6, 7, 8, 9 또는 10개의 아미노산만큼), 10개의 아미노산 내지 15개의 아미노산, 15개의 아미노산 내지 20개의 아미노산, 20개의 아미노산 내지 30개의 아미노산, 30개의 아미노산 내지 40개의 아미노산 또는 40개의 아미노산 내지 50개의 아미노산만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1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또는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돌연변이된 단백질일 수 있다. 비-자연 발생적 fHBP A05 단백질은 fHBP A05 또는 서열번호 1과 100% 동일하지 않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또는 돌연변이된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a) 115번 아미노산에서의 아스파라긴의 아미노산 치환(N115); b) 121번 아미노산에서의 아스파르트산의 아미노산 치환(D121); c) 128번 아미노산에서의 세린의 아미노산 치환(S128); d) 130번 아미노산에서의 류신의 아미노산 치환(L130); e) 131번 위치에서의 발린의 아미노산 치환(V131); f) 133번 위치에서의 글리신의 아미노산 치환(G133); g) 219번 위치에서의 리신의 아미노산 치환(K219); 및 h) 220번 위치에서의 글리신의 아미노산 치환(G2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또는 돌연변이된 fHBP A 단백질은 WO 2011/051893에서 서열번호 5로서 확인된 fHBP 서열(fHBP A19의 성숙 지질단백질 형태)의 넘버링에 대해 WO 2011/051893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음의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결실 또는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D37, K45, T56, E83, E95, E112, S122, I124, R127, T139, F141, N142, Q143, L197, D210, R212, K218, N43, N116, K119, T220 및/또는 240. 일 실시형태에서, 아미노산 결실 또는 치환은 WO 2011/051893에 개시된 바와 같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또는 돌연변이된 fHBP A 단백질은 WO 2016/008960에서 서열번호 17로서 확인된 fHBP 서열(A124 또는 변이체 3.28 또는 ID28)의 넘버링에 대해 WO 2016/008960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음의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결실 또는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S32, L126 및/또는 E243. 1, 2 또는 3개의 잔기가 결실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들은 상이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u- 126은 임의의 다른 19개의 자연 발생적 아미노산으로 치환될 수 있다. 치환이 이루어질 때, 대체 아미노산은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순한 아미노산, 예컨대, 글리신 또는 알라닌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대체 아미노산은 보존적 치환이고, 예를 들어, 다음의 4개의 그룹 내에서 이루어진다: (1) 산성, 즉, 아스파르테이트, 글루타메이트; (2) 염기성, 즉,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3) 비극성, 즉,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트립토판; 및 (4) 비하전 극성, 즉, 글리신,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시스테인, 세린, 트레오닌, 티로신. 다른 실시형태에서, 치환은 비-보존적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특정된 잔기에서의 치환은 다음과 같다: S32V; L126R; 및/또는 E243A.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또는 돌연변이된 fHBP A 단백질은 WO 2016/008960에서 서열번호 5로서 확인된 fHBP 서열(성숙 지질단백질 형태)의 넘버링에 대해 WO 2016/008960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음의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결실 또는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S32, L123 및/또는 E240. 1, 2 또는 3개의 잔기가 결실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들은 상이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u- 123은 임의의 다른 19개의 자연 발생적 아미노산으로 치환될 수 있다. 치환이 이루어질 때, 대체 아미노산은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순한 아미노산, 예컨대, 글리신 또는 알라닌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대체 아미노산은 보존적 치환이고, 예를 들어, 다음의 4개의 그룹 내에서 이루어진다: (1) 산성, 즉, 아스파르테이트, 글루타메이트; (2) 염기성, 즉,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3) 비극성, 즉,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트립토판; 및 (4) 비하전 극성, 즉, 글리신,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시스테인, 세린, 트레오닌, 티로신. 다른 실시형태에서, 치환은 비-보존적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특정된 잔기에서의 치환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S32V; L123R; 및/또는 E240A.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또는 돌연변이된 fHBP A 단백질은 WO 2015/128480에서 서열번호 5로서 확인된 fHBP 서열(fHBP A19 또는 v2.16 또는 ID16)의 넘버링에 대해 WO 2015/128480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음의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결실 또는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S32, V33, L39, L41, F69, V100, 1113, F122, L123, V124, S125, G126, L127, G128, S151, H239 및/또는 E240. 일 실시형태에서, 돌연변이를 위한 잔기는 S32, V100, L123, V124, S125, G126, L127, G128, H239 및/또는 E240일 수 있다. 이들 잔기에서의 돌연변이는 야생형 fHBP A에 비해 양호한 안정성을 갖는 단백질을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돌연변이를 위한 잔기는 S32, L123, V124, S125, G126, L127 및/또는 G128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돌연변이를 위한 잔기는 S32, L123, V124, S125, G126, L127 및/또는 G128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잔기 S32 및/또는 L123은 돌연변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32V 및/또는 L123. V100, S125 및/또는 G126 중 하나 이상이 돌연변이되는 경우, 이 트리오 외부 잔기의 돌연변이가 또한 도입될 수 있다.
명시된 잔기가 결실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이는 상이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된다. 예를 들어, Ser-32은 임의의 다른 19개의 자연 발생적 아미노산으로 치환될 수 있다. 치환이 이루어질 때, 대체 아미노산은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순한 아미노산, 예컨대, 글리신 또는 알라닌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대체 아미노산은 보존적 치환이고, 예를 들어, 다음의 4개의 그룹 내에서 이루어진다: (1) 산성, 즉, 아스파르테이트, 글루타메이트; (2) 염기성, 즉,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3) 비극성, 즉,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트립토판; 및 (4) 비하전 극성, 즉, 글리신,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시스테인, 세린, 트레오닌, 티로신. 다른 실시형태에서, 치환은 비-보존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환은 알라닌을 사용하지 않는다.
예로서, 명시된 잔기에서 치환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S32V; V33C; L39C; L41C; F69C; V100T; I113S; F122C; L123R; V124I; S125G 또는 S125T; G126D; L127I; G128A; S151C; H239R; 또는 E240H.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또는 돌연변이된 fHBP A 단백질은 WO 2015/128480에서 서열번호 17로서 확인된 fHBP 서열(A124 또는 변이체 3.28 또는 ID28)의 넘버링에 대해 WO 2015/128480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음의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결실 또는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S32, V33, L39, L41, F72, V103, T116, F125, L126, V127, S128, G129, L130, G131, S154, H242 및/또는 E243. 일 실시형태에서, 돌연변이를 위한 잔기는 S32, V103, L126, V127, S128, G129, L130, G131, H242 및/또는 E243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돌연변이를 위한 잔기는 S32, L126, V127, S128, G129, L130 및/또는 G131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잔기 S32, L126, V127, S128, G129, L130 및/또는 G131은, 예를 들어, 잔기 S32 및/또는 L126, 예를 들어, S32V 및/또는 L126R로서 돌연변이될 수 있다.
명시된 잔기가 결실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이는 상이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된다. 예를 들어, Ser-32은 임의의 다른 19개의 자연 발생적 아미노산으로 치환될 수 있다. 치환이 이루어질 때, 대체 아미노산은,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순한 아미노산, 예컨대, 글리신 또는 알라닌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대체 아미노산은 보존적 치환이고, 예를 들어, 다음의 4개의 그룹 내에서 이루어진다: (1) 산성, 즉, 아스파르테이트, 글루타메이트; (2) 염기성, 즉,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3) 비극성, 즉,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트립토판; 및 (4) 비하전 극성, 즉, 글리신,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시스테인, 세린, 트레오닌, 티로신. 다른 실시형태에서, 치환은 비-보존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환은 알라닌을 사용하지 않는다.
예로서, 명시된 잔기에서 치환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S32V; I33C; L39C; L41C; F72C; V103T; T116S; F125C; L126R; V127I; S128G 또는 S128T; G129D; L130I; G131A; S154C; H242R; E243H.
115번 아미노산에서의 아스파라긴의 아미노산 치환(N115)은 N115I 치환(I: 이소류신)일 수 있다. 비극성, 양으로 하전된 또는 방향족 측쇄를 갖는 다른 아미노산, 예컨대, 발린, 류신,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또는 트립토판이 또한 이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경우에, fHBP는 N115V 치환, N115L 치환, N115K 치환, N115R 치환, N115H 치환, N115F 치환, N115Y 치환, 또는 N115W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121번 아미노산에서의 아스파르트산의 아미노산 치환(D121)은 D121G 치환(G: 글리신)일 수 있다. 비극성, 양으로 하전된 또는 방향족 측쇄를 갖는 다른 아미노산, 예컨대, 이소류신, 발린 류신,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또는 트립토판이 또한 이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fHBP 변이체는 D121L 치환, D121I 치환, D121V 치환, D121K 치환, D121R 치환, D121H 치환, D121F 치환, D121Y 치환 또는 D121W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128번 아미노산에서의 세린 산의 아미노산 치환(S128)은 S128T 치환(T: 트레오닌)일 수 있다. 극성, 하전 또는 방향족 측쇄를 갖는 다른 아미노산, 예컨대, 메티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스파르테이트, 글루타메이트,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또는 트립토판은 또한 이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fHBP 변이체는 S128M 치환, S128N 치환, S128D 치환, S128E 치환, S128K 치환, S128R 치환, S128H 치환, S128F 치환, S128Y 치환, 또는 S128W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fHBP A는 130번 아미노산에서의 류신의 아미노산 치환(L130)을 포함할 수 있다. 130번 아미노산에서의 류신의 아미노산 치환(L130)은 L130R 치환(R: 아르기닌)일 수 있다.
fHBP A는 아미노산 131에서 발린의 아미노산 치환(V13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전 또는 방향족 측쇄를 갖는 다른 아미노산, 예컨대, 글루타메이트,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또는 트립토판은 또한 이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fHBP는 V131E 치환, V131K 치환, V131R 치환, V131H 치환, V131F 치환, V131Y 치환 또는 V131W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fHBP A는 아미노산 133에서 글리신의 아미노산 치환(G133)을 포함할 수 있다. 아미노산 133에서 글리신의 아미노산 치환(G133)은 G133D 치환(D: 아스파르트산)일 수 있다.
fHBP A는 219번 위치에서 리신의 아미노산 치환(K219)을 포함할 수 있다. 극성, 음으로 하전 또는 방향족 측쇄를 갖는 다른 아미노산, 예컨대, 글루타민, 아스파르테이트, 글루타메이트, 페닐알라닌, 티로신 또는 트립토판은 또한 이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fHBP는 K219Q 치환, K219D 치환, K219E 치환, K219F 치환, K219Y 치환 또는 K219W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아미노산 220에서 글리신산의 아미노산 치환(G220)은 G220S 치환(S: 세린)일 수 있다. 극성, 하전 또는 방향족 측쇄를 갖는 다른 아미노산, 예컨대,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스파르테이트, 글루타메이트,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또는 트립토판은 또한 이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fHBP는 G220N 치환, G220Q 치환, G220D 치환, G220E 치환, G220K 치환, G220R 치환, G220H 치환, G220F 치환, G220Y 치환 또는 G220W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130번 아미노산에서의 류신의 아미노산 치환(L130)은 L130R 치환(R: 아르기닌)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아미노산 133에서 글리신의 아미노산 치환(G133)은 G133D 치환(D: 아스파르트산)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220번 위치에서 글리신의 아미노산 치환(G220)은 G220S 치환(S: 세린)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또는 돌연변이된,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G220S, L130R 및 G133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치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G220S, L130R 및 G133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상기 적어도 3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3개의 아미노산 치환 G220S, L130R 및 G133D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또는 돌연변이된)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a) 115번 아미노산에서의 아스파라긴의 아미노산 치환(N115); b) 미노산 121에서 아스파르트산의 아미노산 치환(D121); c) 128번 아미노산에서의 세린의 아미노산 치환(S128); d) 130번 아미노산에서의 류신의 아미노산 치환(L130); e) 131번 위치에서 발린의 아미노산 치환(V131); f) 133번 위치에서 글리신의 아미노산 치환(G133); g) 219번 위치에서 리신의 아미노산 치환(K219); 및 h) 220번 위치에서 글리신의 아미노산 치환(G22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치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A 단백질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또는 돌연변이된)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N115I 치환, N115V 치환, N115L 치환, N115K 치환, N115R 치환, N115H 치환, N115F 치환, N115Y 치환, N115W 치환, D121G 치환, D121L 치환, D121I 치환, D121V 치환, D121K 치환, D121R 치환, D121H 치환, D121F 치환, D121Y 치환, D121W 치환, S128T 치환, S128M 치환, S128N 치환, S128D 치환, S128E 치환, S128K 치환, S128R 치환, S128H 치환, S128F 치환, S128Y 치환, S128W 치환, L130R 치환, V131E 치환, V131K 치환, V131R 치환, V131H 치환, V131F 치환, V131Y 치환, V131W 치환, G133D 치환, K219Q 치환, K219D 치환, K219E 치환, K219F 치환, K219Y 치환, K219W 치환, G220S 치환, G220N 치환, G220Q 치환, G220D 치환, G220E 치환, G220K 치환, G220R 치환, G220H 치환, G220F 치환, G220Y 치환 또는 G220W 치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치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A 단백질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또는 돌연변이된)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G220S, L130R 및 G133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치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A 단백질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또는 돌연변이된,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G220S, L130R 및 G133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상기 적어도 3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3개의 아미노산 치환 G220S, L130R 및 G133D만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1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고,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G220S, L130R 및 G133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비지질화 및 돌연변이된 단백질일 수 있다. 돌연변이된,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G220S, L130R 및 G133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상기 적어도 3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3개의 아미노산 치환 G220S, L130R 및 G133D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2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2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는 서열번호 2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fHBP A 단백질에 대한 mRNA 암호에 관한 것이다. mRNA는 서열번호 1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fHBP A 단백질에 대해 암호화하거나 또는 서열번호 2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fHBP A 단백질에 대한 암호화할 수 있다.
아미노산 치환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기법에 의해 fHBP A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미노산 치환은 WO 2016/014719 A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얻을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에서 약 2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40 ㎍/용량 내지 약 14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12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00 ㎍/용량의 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 및/또는 fHBP B는 약 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또는 약 100 ㎍/용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fHBP B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은 적어도 1종의 fHBP B 변이체 항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1종의 fHBP B 단백질은 지질화 또는 비-지질화 단백질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fHBP B 단백질은 비-지질화 단백질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및 fHBP B 단백질은 지질화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및 fHBP B 단백질은 비-지질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fHBP A 단백질은 지질화될 수 있고, fHBP B 단백질은 비-지질화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fHBP A 단백질은 비-지질화될 수 있고, fHBP B 단백질은 지질화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B 단백질은 자연 발생적 또는 비-자연 발생적 fHBP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B 단백질은 자연 발생적 fHBP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fHBP B 단백질은 비-자연 발생적 fHBP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및 fHBP B 단백질은 자연 발생적 fHBP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및 fHBP B 단백질은 비-자연 발생적 fHBP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fHBP A 단백질은 자연 발생적 fHBP일 수 있고, fHBP B 단백질은 비-자연 발생적 fHBP일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fHBP A 단백질은 비-자연 발생적 fHBP일 수 있고, fHBP B 단백질은 자연 발생적 fHBP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3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단백질일 수 있다. 적어도 1종의 fHBP B 단백질은 지질화 또는 비-지질화 단백질일 수 있고/있거나 자연 발생적 또는 비-자연 발생적 fHBP일 수 있다(비-자연 발생적 fHBP B01 단백질은 fHBP B01 또는 서열번호 3과 100% 동일하지 않다).
비-자연 발생적 fHBP B 단백질은 WO 2011/126863 A1 또는 WO 2015/017817 A1에 개시된 바와 같은 키메라 단백질 또는 WO 2016/014719 A1, WO 2011/051893 또는 WO 2020/030782에 개시된 바와 같은 돌연변이된 fHBP B 단백질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fHBP B 단백질은 돌연변이된 단백질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fHBP B 단백질은 돌연변이된 단백질일 수 있다. 비-자연 발생적 fHBP B 단백질은 비-지질화 단백질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fHBP B 단백질은 비-자연 발생적, 예컨대, 돌연변이된,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fHBP B 단백질은 야생형 엔. 메닌기티디디스 fHBP B 단백질, 예컨대, fHBP B01로부터의 아미노산과 1 내지 10개의 아미노산만큼(예를 들어, 1, 2, 3, 4, 5, 6, 7, 8, 9 또는 10개의 아미노산만큼), 10개의 아미노산 내지 15개의 아미노산, 15개의 아미노산 내지 20개의 아미노산, 20개의 아미노산 내지 30개의 아미노산, 30개의 아미노산 내지 40개의 아미노산 또는 40개의 아미노산 내지 50개의 아미노산만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3과 적어도 8 약 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또는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돌연변이된 단백질일 수 있다. 비-자연 발생적 fHBP B 단백질은 fHBP B01 또는 서열번호 3과 100% 동일하지 않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또는 돌연변이된,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a) 38번 아미노산에서의 글루타민의 아미노산 치환(Q38); b) 92번 아미노산에서의 글루탐산의 아미노산 치환(E92); c) 130번 아미노산에서의 아르기닌의 아미노산 치환(R130); d) 223번 아미노산에서의 세린의 아미노산 치환(S223); 및 e) 248번 아미노산에서의 히스티딘의 아미노산 치환(H248)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또는 돌연변이된 fHBP B 단백질은 WO 2011/051893에서 서열번호 4로서 확인된 fHBP 서열(fHBP B24의 성숙 지질단백질 형태)의 넘버링에 대해 WO 2011/051893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음의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결실 또는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D37, K45, T56, E83, E95, E112, K122, V124, R127, T139, F141, D142, K143, I198, S211, L213, K219, N43, D116, H119, S221 및 K241.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또는 돌연변이된 fHBP B 단백질은 WO 2020/030782에서 서열번호 2로서 확인된 fHBP 서열(fHBP B09의 성숙 지질단백질 형태)의 넘버링에 대해 WO 2020/030782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음의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E211, S216 또는 E232.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또는 돌연변이된 fHBP B 단백질은 WO 2020/030782에서 서열번호 2로서 확인된 fHBP 서열(fHBP B09의 성숙 지질단백질 형태)의 넘버링에 대해 WO 2020/030782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음의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의 다음의 아미노산 치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E211A, S216R 또는 E232A.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또는 돌연변이된 fHBP B 단백질은 WO 2020/030782에서 서열번호 6으로서 확인된 fHBP 서열(fHBP B44의 성숙 지질단백질 형태)의 넘버링에 대해 WO 2020/030782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음의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E214, S219 또는 E235.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또는 돌연변이된 fHBP B 단백질은 WO 2020/030782에서 서열번호 2로서 확인된 fHBP 서열(fHBP B44의 성숙 지질단백질 형태)의 넘버링에 대해 WO 2020/030782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음의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의 다음의 아미노산 치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E214A, S219R 또는 E235A.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또는 돌연변이된 fHBP B 단백질은 WO 2010046715에서 서열번호 1로서 확인된 fHBP 서열(fHBP 24의 성숙 지질단백질 형태)의 넘버링에 대해 WO 2010046715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음의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의 다음의 아미노산 치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03, 106, 107, 108, 109, 145, 147, 149, 150, 154, 156, 157, 180, 181, 182, 183, 184, 185, 191, 193, 194, 195, 196, 199, 262, 264, 266, 267, 268, 272, 274, 283, 285, 286, 288, 289, 302, 304 306, 311 및 313. 일 실시형태에서, 인자 H 결합 단백질에서 바뀔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은 WO 2010046715에서 서열번호 1로서 확인된 fHBP 서열의 넘버링에 관해 아미노산 번호 103, 106, 107, 108, 180, 181, 183, 184, 185, 191, 193, 195, 262, 264, 266, 272, 274, 283, 286, 304 및 306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38번 아미노산에서의 글루타민의 아미노산 치환(Q38)은 Q38R 치환(R: 아르기닌)일 수 있다. 양으로 하전된 측쇄 또는 방향족 측쇄를 갖는 다른 아미노산, 예컨대, 리신,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또는 트립토판은 또한 이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경우에, fHBP는 Q38K 치환, Q38H 치환, Q38F 치환, Q38Y 치환 또는 Q38W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92번 아미노산에서의 글루탐산의 아미노산 치환(E92)은 E92K 치환일 수 있다. 양으로 하전된 측쇄 또는 방향족 측쇄를 갖는 다른 아미노산, 예컨대,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또는 트립토판은 또한 이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fHBP 변이체는 E92R 치환, E92H 치환, E92F 치환, E92Y 치환, 또는 E92W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130번 아미노산에서의 아르기닌의 아미노산 치환(R130)은 R130G 치환(G: 글리신)일 수 있다. 음으로 하전 또는 방향족 측쇄를 갖는 다른 아미노산, 예컨대, 아스파르테이트, 글루타메이트, 페닐알라닌, 티로신 또는 트립토판은 또한 R130에서 치환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fHBP 변이체는 R130D 치환, R130E 치환, R130F 치환, R130Y 치환, 또는 R130W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223번 아미노산에서의 세린의 아미노산 치환(S223)은 S223R 치환(R: 아르기닌)일 수 있다. 양으로 하전된 측쇄 또는 방향족 측쇄를 갖는 다른 아미노산, 예컨대, 리신,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또는 트립토판은 또한 이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fHbp 변이체는 S223K 치환, S223H 치환, S223F 치환, S223Y 치환, 또는 S223W 치환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248번 아미노산에서의 히스티딘의 아미노산 치환(H248)은 H248L 치환(L: 류신)일 수 있다. 비극성, 음으로 하전 또는 방향족 측쇄를 갖는 다른 아미노산, 예컨대, 이소류신, 발린, 아스파르테이트, 글루타메이트, 페닐알라닌, 티로신 또는 트립토판은 또한 H248에서 치환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fHBP는 H248I 치환, H248V 치환, H248D 치환, H248E 치환, H248F 치환, H248Y 치환, 또는 H248W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또는 돌연변이된, fHBP B 단백질은 적어도 아미노산 치환 H248L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아미노산 치환 H248L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또는 돌연변이된)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a) 38번 아미노산에서의 글루타민의 아미노산 치환(Q38); b) 92번 아미노산에서의 글루탐산의 아미노산 치환(E92); c) 130번 아미노산에서의 아르기닌의 아미노산 치환(R130); d) 223번 아미노산에서의 세린의 아미노산 치환(S223); 및 e) 248번 아미노산에서의 히스티딘의 아미노산 치환(H248)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치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B 단백질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또는 돌연변이된)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Q38R 치환, Q38K 치환, Q38H 치환, Q38F 치환, Q38Y 치환, Q38W 치환, E92K 치환, E92R 치환, E92H 치환, E92F 치환, E92Y 치환, E92W 치환, R130G 치환, R130D 치환, R130E 치환, R130F 치환, R130Y 치환, R130W 치환, S223R 치환, S223K 치환, S223H 치환, S223F 치환, S223Y 치환, S223W 치환, H248L 치환, H248I 치환, H248V 치환, H248D 치환, H248E 치환, H248F 치환, H248Y 치환 또는 H248W 치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치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B 단백질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비-자연 발생적, 또는 돌연변이된,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적어도 아미노산 치환 H248L을 포함하는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B 단백질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아미노산 치환 H248L만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서열번호 3과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또는 적어도 약 99%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고 적어도 아미노산 치환 H248L을 포함하는 비-지질화 및 돌연변이된 단백질일 수 있다.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아미노산 치환 H248L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4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4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는 서열번호 4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fHBP B 단백질에 대한 mRNA 암호에 관한 것이다. mRNA는 서열번호 3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fHBP B 단백질에 대해 암호화하거나 또는 서열번호 4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fHBP A 단백질에 대한 암호화할 수 있다.
아미노산 치환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기법에 의해 fHBP B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미노산 치환은 WO 2016/014719 A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얻을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B 단백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에서 약 2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40 ㎍/용량 내지 약 14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12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00 ㎍/용량의 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단백질 및/또는 fHBP B는 약 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또는 약 100 ㎍/용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NadA
네이세리아 부착소 A(NadA, 이전에 GNA1994로 알려짐)는 막관통 도메인을 통해 외막에 고정된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표면-노출 삼량체 단백질이고, 상피 세포에 대한 접착 및 침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Capecchi et al., Mol. Microbiol. 2005;55:(687-98)). 다수 균주로부터의 NadA 항원의 서열이 공개되었고, 네이세리아 부착소로서 단백질의 활성은 잘 기록되었다. nadA 유전자는 수막구균 단리물의 대략 50%에 존재한다. NadA는 성장상 의존적 발현을 나타내며, 정지 성장상에서 최대 수준을 갖는다.
NadA 항원은 유전자 NMB1994로서 수막구균 혈청군 B 균주 MC58에 대한 공개된 게놈 서열에 포함된다(GenBank 수탁 번호 GI:7227256).
본 개시내용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NadA 폴리펩타이드는 야생형 폴리펩타이드일 수 있거나 또는 아미노산 치환, 삽입 또는 결실에 의해 변형될 수 있고, 단, 폴리펩타이드는 NadA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사용될 NadA 단백질은, 예를 들어 참고문헌 WO 01/64920; WO 01/64922; 또는 WO 03/020756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아미노산 결실 또는 삽입을 포함하는 N-말단 및/또는 C-말단이 절단된 NadA 또는 NadA 단백질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에서 사용될 재조합 NadA 단백질은 NadA1 변이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NadA1은 강한 hSBA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adA1은 MenB MC58 균주의 NadA 서열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NadA 단백질은 서열번호 7의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NadA 단백질은 서열번호 7로부터의 적어도 190개의 보존적 아미노산, 예를 들어, 서열번호 7로부터의 200개 이상, 210개 이상, 220개 이상, 230개 이상, 240개 이상, 250개 이상의 보존적 아미노산, 예를 들어, 서열번호 7로부터의 260개 이상, 또는 270개 이상, 또는 280개 이상, 또는 290개 이상, 또는 300개 이상, 또는 310개 이상, 또는 320개 이상, 또는 330개 이상, 또는 340개 이상, 또는 350개 이상, 또는 360개 이상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NadA 단백질은, 예를 들어, 서열번호 7의 C-말단 및/또는 N-말단으로부터 5 내지 10개의 아미노산 또는 10 내지 15, 또는 15 내지 20, 또는 25, 또는 30 또는 35, 또는 40 또는 45, 또는 50 또는 55개 아미노산이 결여될 수 있다. N-말단 잔기가 결실되는 경우에, 이러한 결실이 NadA가 인간 상피 세포에 접착되는 능력을 제거하지 않아야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NadA 단백질은 N-말단에서 신호 펩타이드를 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adA 단백질은, 예를 들어, 서열번호 7의 N-말단에서 23개의 아미노산을 결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NadA 단백질은 C-말단에서 막 고정 펩타이드를 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adA 단백질은 C-말단, 예를 들어, 서열번호 7의 C-말단에서 55개의 아미노산을 결여할 수 있다.
NadA는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형태로, 예를 들어, 삼량체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adA 단백질은 이의 C-말단의 막 앵커가 없을 수 있다(예를 들어, 균주 MC58에 대해 잔기 308 내지 362의 결실(서열번호 7)). 이콜라이에 막 앵커 도메인이 없는 NadA의 발현은 23개 아미노산 신호 펩타이드의 병행되는 제거와 함께 배양물 상청액 내로의 단백질 분비를 초래할 수 있다(예를 들어, 서열번호 7의 잔기 2 내지 24의 결실로 284개 아미노산 단백질 - 서열번호 5를 남김).
일 실시형태에서, NadA 단백질은 서열번호 5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NadA 단백질은 서열번호 5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는 서열번호 5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적어도 약 99.5%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NadA 단백질에 대한 mRNA 암호에 관한 것이다. mRNA는 서열번호 5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NadA 단백질에 대해 암호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면역원성 조성물에서 사용될 NadA 단백질은,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위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재조합 기법에 따라 얻을 수 있다. NadA 단백질은 생산을 위한 숙주 세포, 예를 들어, 이콜라이 균주에 형질감염된 재조합 발현 벡터(또는 작제물)로부터 재조합 단백질로서 얻을 수 있다. 재조합 NadA는 당업계에 공지되고, 예를 들어, 실시예 부문에 기재된 임의의 정제 방법에 의해 배양물로부터 정제된 형태로 얻을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NadA 단백질은 약 2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40 ㎍/용량 내지 약 14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12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00 ㎍/용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NadA 단백질은 약 50 ㎍/용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dOMV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은 외막 단백질 복합체(OMPC)로도 지칭되는 세정제-추출 외막 소포(dOMV)를 포함한다. 보통, 세정제-추출 외막 소포는 항원으로서 사용될 때 dOMV 또는 OMV로 지칭된다. 이들은 단백질 담체로서 사용될 때 OMPC로 지칭된다.
OMPC는 폴리리보실리비톨 포스페이트(PRP) 접합 백신 PedvaxHIB(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백신)에 대한(Einhorn et al., Lancet (London, England). 1986;2(8502):299-302; Moro et al., The Journal of pediatrics. 2015;166(4):992-7) 그리고 VAXELIS(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소아마비, B 및 H형 간염. b형 인플루엔자 백신)에 대한(Syed, Paediatric drugs. 2017;19(1):69-80) 담체 단백질 플랫폼으로서 사용된다.
dOMV는 박테리아 외막 및 잔여 지질-올리고당(LOS)에서 발견되는 통합 외막 단백질을 포함하는 거대 단백지방 소포이다(Helting, Acta Pathol Microbiol Scand C, 1981;89(2):69-78). dOMV에서 300종 초과의 단백질이 확인될 수 있다. dOMV의 총 단백질 함량의 75%는 총 단백질의 최대 50%를 나타내는 외막 단백질 포린 A(PorA) 및 포린 B(PorB)를 포함하는 10종의 가장 흔한 단백질로 나타난다.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포린 단백질(Por)은 혈청형 유형에 대한 항원 결정소이다. 표면-노출된 루프를 암호화하는 por 유전자 가변 영역(VR)에서 서열 변이로부터 초래된 각 부류 내의 두 부류의 포린, 즉, PorA 및 PorB, 및 항원적으로 별개인 변이체가 확인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면역원성 조성물에 적합한 dOMV는 다양한 MenB 균주로부터 얻을 수 있다. dOMV는 MenB 균주의 세정제-추출물로부터 단리될 수 있다. 적합한 MenB 균주는 포린 단백질, 예컨대, PorA 또는 PorB 단백질, 및, 예를 들어, PorA 단백질을 과발현시키도록 조작된 야생형 MenB 균주 또는 MenB 균주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dOMV는 PorA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dOMV는 PorA VR2 아형을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 얻을 수 있다. PorA VR2 아형은 PorA VR2 유형 P1.2, P1.4, P1.7, P1.10 또는 P1.13 단백질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dOMV는 PorA VR2 유형 P1.2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dOMV는 PorA VR2 아형 및 PorB P2.2a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 얻을 수 있다. dOMV는 PorA VR2 P1.2 및 PorB P2.2a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dOMV는 PorA VR2 아형 및 PorB P2.2a를 포함할 수 있다. dOMV는 PorA VR2 P1.2 및 PorB P2.2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dOMV는 PorA VR2 P1.2 및 PorB P2.2a 및 면역형 LOS L3,7을 포함할 수 있다. PorA 및 PorB는 dOMV의 단백질의 약 50%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dOMV는 단일 MenB 균주로부터, 또는 상이한 MenB 균주로부터 얻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MenB 균주는 PorA 단백질의 동일한 아형, 또는 상이한 PorA 단백질 아형, 또는 상이한 유형의 포어(pore) 단백질, 예컨대, PorA 및 PorB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다.
dOMV가, 찾고 있는 포린 단백질을 제시하는 사용 가능한 MenB 균주는, 예를 들어, PubMLST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https://pubmlst.org/). 예를 들어, 적합한 MenB 균주는 유행병 발병으로부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MenB 균주 내에서 선택하고, 이어서, 이러한 서브세트 내에서 관심의 포린 단백질, 예컨대 PorA VR2 P1.2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갖는 MenB 균주를 선택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선택된 균주(들)가 관심의 포린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발현시키는지의 여부가 당업계에 공지된 기법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dOMV를 얻기에 적합한 MenB 균주의 예로서, 다음을 언급할 수 있다: NG H36, BZ 232, DK 353, B6116/77, BZ 163, 0085/00, NG P20, 0046/02, M11 40123, M12 240069, N5/99, 99M 또는 M07 240677.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MenB 균주는 PorA VR2 P1.2 단백질 아형을 발현시키는 MenB 균주 99M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dOMV는 포린 A(PorA) VR2 아형 P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dOMV는 외막 단백질 포린 A(PorA) 및/또는 외막 단백질 포린 B(PorB)를 포함할 수 있다. PorA는 상기 dOMV에 존재하는 총 단백질에 대해 약 3% 내지 약 15% 범위의 양, 또는 약 5% 내지 약 9 또는 10%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PorB는 dOMV 중 존재하는 총 단백질에 대해 약 30% 내지 약 70%, 또는 약 35% 내지 약 65%, 또는 약 38% 내지 약 58%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dOMV는 적어도 데옥시콜레이트 처리 단계를 이용한 세정제-추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dOMV를 얻기 위한 적합한 방법은 Helting 등(Acta Pathol Microbiol Scand C. 1981 Apr;89(2):69-78) 또는 미국 특허 제4,695,624호의 실시예 2에 개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박테리아 배양물은 원심분리되어 펠릿을 얻을 수 있고, 이어서, 이는 가열 하에서, 예를 들어, 약 50℃ 내지 약 60℃, 또는 약 56℃ 하에서, 약 10 내지 약 20분 또는 약 15분 범위의 시간 동안 세정제, 예를 들어, 데옥시콜레이트 또는 도데실 황산나트륨(SDS)으로 추출될 수 있다. 이어서, 얻어진 물질은 원심분리될 수 있고, 펠릿은 추가로 현탁되고,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에 따라 정제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dOMV는 약 5 ㎍/용량 내지 약 400 ㎍/용량, 또는 약 10 ㎍/용량 내지 약 3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250 ㎍/용량, 또는 약 35 ㎍/용량 내지 약 2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100 ㎍/용량 내지 약 150 ㎍/용량, 또는 약 110 ㎍/용량 내지 약 125 ㎍/용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dOMV는 약 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또는 약 125 ㎍/용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추가 항원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항원의 조합보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항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추가 항원은 담체 단백질에 접합된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A, C, W135, Y 및/또는 X로부터의 당류 항원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추가 항원은 담체 단백질에 대한 MenA, MenC, MenW-135 및 MenY 협막다당의 접합체의 조합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추가 항원은 담체 단백질에 접합된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A, C, W135, Y로부터의 당류 항원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추가 항원은 담체 단백질에 대한 MenA, MenC, MenW-135 및 MenY 협막다당의 접합체의 조합일 수 있다.
상이한 캡슐 다당류에 대한 담체 단백질은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담체 단백질은 비활성화된 박테리아 독소, 예컨대,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CRM197, 파상풍 톡소이드, 백일해 톡소이드, 이콜라이 LT, 이콜라이 ST, 및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로부터의 외독소 A를 포함할 수 있다. 박테리아 외막 단백질, 예컨대, 포린, 트랜스페린 결합 단백질, 폐박리술, 폐렴구균 표면 단백질 A(PspA) 또는 폐렴구균 부착소 단백질(PsaA)이 또한 사용될 수 있었다. 다른 단백질, 예컨대, 오발부민, 열쇠구멍 삿갓조개 헤모시아닌(KLH), 소 혈청 알부민(BSA) 또는 투베르쿨린의 정제된 단백질 유도체(PPD) 가 또한 담체 단백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CRM197 단백질, 파상풍 또는 디프테리아 톡소이드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는 파상풍 톡소이드이다.
접합체는 700 kDa 내지 1400 kDa 또는 800 kDa 내지 1300 kDa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분자를 포함하는 집단일 수 있다.
각 용량 내에서, 개개 당류 항원의 양은 당류 질량으로서 측정된 1 내지 5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량당 총 40 ㎍의 당류가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 ㎍의 각 다당류 및 대략 55 ㎍의 담체 단백질, 예컨대, 파상풍 톡소이드 단백질이 투여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추가 항원은 파상풍 톡소이드 담체 단백질에 각각 접합된 MenA, MenC, MenW-135 및 MenY 협막다당의 조합일 수 있되, MenA 다당류는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자이드(ADH) 링커를 통해 파상풍 톡소이드 담체에 접합되는 한편, MenC, MenW-135 및 MenY 다당류는 각각 파상풍 톡소이드 담체(TT)에 직접 접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추가 항원은 파상풍 톡소이드 담체 단백질에 대한 MenA, MenC, MenW-135 및 MenY 협막다당의 접합체의 조합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A, C, W135 및/또는 Y로부터의 접합된 당류 항원은 WO 2018/045286 A1 또는 WO 2002/058737 A2에 개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추가 항원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MenACYW-TT 접합 백신 MENQUADFI®의 항원이다.
아쥬반트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아쥬반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아쥬반트는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또는 알루미늄 염)일 수 있다.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는 수산화알루미늄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옥시하이드록사이드 - AlOOH),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시포스페이트 - Al(OH)PO4 - 또는 오쏘포스페이트 - AlPO4), 황산알루미늄염 아쥬반트, 수산화인산 알루미늄 황산염 아쥬반트, 황산알루미늄 칼륨 아쥬반트, 수산화탄산 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마그네슘의 조합(Imject® 명반으로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는 수산화알루미늄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옥시하이드록사이드 - AlOOH),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시포스페이트 - Al(OH)PO4 - 또는 오쏘포스페이트 - AlPO4),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는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예컨대, 알루미늄 하이드록시포스페이트(Al(OH)PO4) 또는 알루미늄 오쏘포스페이트- (AlPO4)일 수 있다. 아쥬반트는 임의의 적합한 형태, 예컨대, 겔, 결정질, 비정질 등을 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는 비정질 하이드록시포스페이트 알루미늄 염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는 오쏘포스페이트 알루미늄 염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는 결정질 옥시하이드록사이드 알루미늄 염(베마이트)일 수 있다.
하이드록시포스페이트 또는 오쏘포스페이트 알루미늄 아쥬반트는 인산염의 존재 하에서 알루미늄 옥시하이드록사이드의 침전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침전 반응 동안의 반응 조건 및 반응물 농도는 염으로 하이드록실에 대한 인산염의 치환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하이드록시포스페이트 또는 오쏘포스페이트 알루미늄 아쥬반트는 0.3 내지 0.99의 PO/Al 몰비, 예를 들어, 0.8 내지 0.95(예를 들어, 0.88+0.05)의 비를 가질 수 있다.
하이드록시포스페이트 알루미늄[Al(OH)x(PO4)y] 아쥬반트[각 음이온의 원자가와 몰분율의 합계는 -3임]는 하이드록실기의 존재에 의해 AlPO4와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146 ㎝-1에서 (예를 들어, 200℃까지 가열될 때) IR 스펙트럼 밴드는 구조적 하이드록실의 존재를 나타낸다.
알루미늄 옥시하이드록사이드[AIO(OH)]는 IR 분광학에 의해, 특히 1070 ㎝-1에서 흡착 밴드 및 3090 내지 3100 ㎝-1에서 강한 숄더의 존재에 의해 Al(OH)3과 구별될 수 있다.
상이한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아쥬반트는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은 단일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즉, 이는 조성물에 존재하는 알루미늄 아쥬반트의 90% 초과, 99% 초과, 또는 심지어 99.9% 초과를 나타낼 수 있다.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는, Al3+의 농도가 약 0.5 ㎎/㎖ 내지 약 1.5 ㎎/㎖의 Al3+, 또는 약 0.8 내지 약 1.2 ㎎/㎖의 Al3+일 수 있거나 또는 약 1.00 ㎎/ml의 Al3+일 수 있도록, 존재할 수 있다.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 예컨대,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는 약 100 ㎍/용량 내지 약 1000 ㎍/용량, 또는 약 150 ㎍/용량 내지 약 900 ㎍/용량, 또는 약 200 ㎍/용량 내지 약 800 ㎍/용량, 또는 약 250 ㎍/용량 내지 약 700 ㎍/용량, 또는 약 300 ㎍/용량 내지 약 600 ㎍/용량, 또는 약 350 ㎍/용량 내지 약 550 ㎍/용량, 또는 약 400 ㎍/용량 내지 약 500 ㎍/용량, 또는 약 400 ㎍/용량 내지 약 800 ㎍/용량, 또는 약 400 ㎍/용량, 또는 약 800 ㎍/용량 범위의 양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조성물은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에 추가로(또는 대신에) 다른 아쥬반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아쥬반트는 인산칼슘 아쥬반트, MF59(4.3% w/v 스쿠알렌, 0.5% w/v Tween 80™, 0.5% w/v Span 85), CpG-함유 핵산(사이토신은 비메틸화됨), QS21, MPL, 3DMPL, 아퀼라(Aquilla)로부터의 추출물, ISCOMS, LT/CT 돌연변이체, 폴리(D,L-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PLG) 마이크로입자, Quil A, 인터류킨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험 동물의 경우, 프로인드 아쥬반트(불완전 프로인드 아쥬반트; 완전 프로인드 아쥬반트), N-아세틸-무라밀-L-트레오닐-D-이소글루타민(thr-MDP), N-아세틸-노르-무라밀-L-알라닐-D-이소글루타민(CGP 11637, 노르-MDP로 지칭됨), N-아세틸무라밀-L- 알라닐-D-이소글루타미닐-L-알라닌-2-(l'-2'-다이팔미토일-sn-글리세로-3-하이드록시포스포릴옥시)-에틸아민(CGP 19835A, MTP-PE로 지칭됨), 및 박테리아로부터 추출된 3종의 구성성분, 즉, 2% 스쿠알렌/Tween 80 에멀션 중 모노포스포릴 지질 A, 트레할로스 디마이콜레이트 및 세포벽 골격(MPL+TDM+CWS)을 포함하는 RIBI를 사용할 수 있다. 아쥬반트의 유효성은 면역원성 항원 또는 이의 항원 에피토프로 향하는 항체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조성물의 유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예시적 아쥬반트는 하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1) 수중유 에멀션 제형(무라밀 펩타이드(아래 참조) 또는 박테리아 세포벽 구성성분과 같은 다른 특정 면역자극제가 있거나 없음), 예를 들어, (a)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이용하여 서브마이크론 입자로 제형화된, 5% 스쿠알렌, 0.5% Tween 80, 및 0.5% Span 85(선택적으로 MTP-PE 포함)를 포함하는, MF59(WO 90/14837), (b) 서브마이크론 에멀션으로 미세유동화되거나 또는 더 큰 입자 크기 에멀션을 생성하도록 교반된, 10% 스쿠알란, 0.4% Tween 80, 5% pluronic-블록 중합체 L121, 및 thr-MDP를 포함하는, SAF, 및 (c) 2% 스쿠알렌, 0.2% Tween 80, 및 하나 이상의 박테리아 세포벽 구성성분, 예컨대, 모노포스포릴 지질 A(MPL), 트레할로스 디마이콜레이트(TDM), 및 세포벽 골격(CWS), 예를 들어, MPL+CWS(Detox TM)를 포함하는, RIBI 아쥬반트 시스템(RAS)(Ribi Immunochem, 몬타나주 해밀턴 소재); (2) 사포닌 아쥬반트(예컨대, QS21 또는 Stimulon™ (Cambridge Bioscience, 매사추세츠주 우스터 소재)가 사용될 수 있음) 또는 이로부터 생성된 입자, 예컨대, ISCOM(면역자극 복합체)(ISCOMS는 추가적인 세정제가 결핍될 수 있음), 예를 들어, WO 00/07621; (3) 완전 프로인드 아쥬반트(CFA) 또는 불완전 프로인드 아쥬반트(IF A); (4) 사이토카인, 예컨대, 인터류킨(예를 들어, IL-1, IL-2, IL-4, IL-5, IL-6, IL-7, IL-12 (W099/44636) 등), 인터페론(예를 들어, 감마 인터페론), 대식세포 집락 자극 인자(M-CSF), 종양 괴사 인자(TNF) 등; (5) 선택적으로 폐렴구균 당류와 함께 사용될 때 명반의 실질적인 존재 하의(예를 들어, WO 00/56358) 모노포스포릴 지질 A(MPL) 또는 3-O-탈아실화된 MPL(3dMPL), 예를 들어, GB-2220221, EP-A- 0689454; (6) 3dMPL과, 예를 들어, QS21 및/또는 수중유 에멀션의 조합, 예를 들어, EP-A-0835318, EP-A-0735898, EP-A-0761231; (7) CpG 모티프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예를 들어, WO 98/52581 참조),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CG 디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여기서, 사이토신은 비메틸화됨); (8)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에스테르(예를 들어, WO 99/52549 참조); (9) 옥토시놀과 조합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계면활성제(WO 01/21207) 또는 적어도 1종의 추가적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옥토시놀과 조합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계면활성제(WO 01/21152); (10) 사포닌 및 면역자극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예를 들어, CpG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WO 00/62800); (11) 면역자극제 및 금속 염의 입자, 예를 들어, WO 00/23105; (12) 사포닌 및 수중유 에멀션, 예를 들어, WO 99/11241; (13) 사포닌(예를 들어, QS21)+3dMPL+IM2(선택적으로+ 스테롤), 예를 들어, WO 98/57659; (14) 조성물의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면역자극제로서 작용하는 다른 물질. 무라밀 펩타이드는 N-아세틸-무라밀-L-트레오닐-D-이소글루타민 (thr-MDP), N-25 아세틸-노르무라밀-L-알라닐-D-이소글루타민(노르-MDP), N-아세틸무라밀-L-알라닐-D-이소글루타미닐-L-알라닌-2-(l'-2'-다이팔미토일-sn-글리세로-3-하이드록시포스포릴옥시)-에틸아민 MTP-PE) 등을 포함한다.
인간에 투여하기에 적합한 아쥬반트는 알루미늄 염 아쥬반트(예를 들어, 인산알루미늄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일 수 있다.
면역원성 조성물
본 명세서의 면역원성 조성물은 수막구균 항원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합물은 적어도 1종의 인자 H 결합 단백질(fHBP) A 단백질, 적어도 1종의 fHBP B 단백질, 적어도 1종의 네이세리아 부착소 A(NadA) 단백질 및 적어도 1종의 세정제-추출된 외막 소포(dOMV)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면역원성 조성물은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혈청군 B 항원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합물은 적어도 1종의 인자 H 결합 단백질(fHBP) A 단백질, 적어도 1종의 fHBP B 단백질, 적어도 1종의 네이세리아 부착소 A(NadA) 단백질 및 적어도 1종의 세정제-추출된 외막 소포(dOMV)를 포함한다. fHBP A 단백질 및/또는 fHBP B 단백질은 비-지질화될 수 있다.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1과 적어도 약 85% 동일성을 포함하는 돌연변이된 단백질일 수 있고/있거나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3과 적어도 약 85% 동일성을 포함하는 돌연변이 단백질일 수 있다.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a) 115번 아미노산에서의 아스파라긴의 아미노산 치환(N115); b) 121번 아미노산에서의 아스파르트산의 아미노산 치환(D121); c) 128번 아미노산에서의 세린의 아미노산 치환(S128); d) 130번 아미노산에서의 류신의 아미노산 치환(L130); e) 131번 위치에서 발린의 아미노산 치환(V131); f) 133번 위치에서 글리신의 아미노산 치환(G133); g) 219번 위치에서 리신의 아미노산 치환(K219); 및 h) 220번 위치에서 글리신의 아미노산 치환(G2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서열번호 2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지고/지거나,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a) 38번 아미노산에서의 글루타민의 아미노산 치환(Q38); b) 92번 아미노산에서의 글루탐산의 아미노산 치환(E92); c) 130번 아미노산에서의 아르기닌의 아미노산 치환(R130); d) 223번 아미노산에서의 세린의 아미노산 치환(S223); 및 e) 248번 아미노산에서의 히스티딘의 아미노산 치환(H248)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거나, 서열번호 4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다.
fHBP A 단백질 및/또는 fHBP B는 약 2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40 ㎍/용량 내지 약 14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12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또는 1 약 00 ㎍/용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NadA 단백질은 NadA1 단백질일 수 있거나, 서열번호 5와 적어도 약 85% 동일성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서열번호 5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다.
NadA 단백질은 약 2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40 ㎍/용량 내지 약 14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12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0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dOMV는 포린 A(PorA)를 포함할 수 있다.
dOMV는 약 5 ㎍/용량 내지 약 400 ㎍/용량, 또는 약 10 ㎍/용량 내지 약 3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250 ㎍/용량, 또는 약 35 ㎍/용량 내지 약 2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100 ㎍/용량 내지 약 150 ㎍/용량, 또는 약 110 ㎍/용량 내지 약 125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또는 약 125 ㎍/용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아쥬반트, 예를 들어,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 예를 들어, 수산화알루미늄 아쥬반트,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황산알루미늄 염 아쥬반트, 수산화인산 알루미늄 황산염 아쥬반트, 황산알루미늄 칼륨 아쥬반트, 수산화탄산 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마그네슘의 조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는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이다.
상기 조성물은 약 25 내지 약 100 ㎍/용량의 서열번호 2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약 25 내지 약 100 ㎍/용량의 서열번호 4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약 25 내지 약 100 ㎍/용량의 서열번호 5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NadA 단백질, 약 20 내지 약 150 ㎍/용량의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의 dOMV, 약 100 내지 약 600 ㎍/용량의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혈청군 A, C, W135 및/또는 Y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적어도 접합된 캡슐 당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포함하는 백신이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 또는 백신은 수막구균 감염에 대해 보호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거나 수막구균 박테리아에 대해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서열번호 2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fHBP A 단백질에 대한 mRNA 암호, 서열번호 4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fHBP B 단백질에 대한 mRNA 암호, 서열번호 5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NadA 단백질에 대한 mRNA 암호, 및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로부터의 dOMV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추가로 개시된다.
제형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포함하는 백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또는 백신 조성물은 정제, 캡슐, 분말, 에어로졸,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션과 같은 고체, 반고체, 액체 형태의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을 투여하는 전형적인 경로는, 이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경구, 국소, 경피, 흡입, 비경구, 설하, 협측, 비강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비경구는 피하 주사, 정맥내, 근육내, 피내, 흉골내 주사 또는 주입 기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백신 조성물은 경피, 피하, 피내 또는 근육내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예를 들어, 비경구 전달, 예컨대, 근육내, 진피내 또는 피하 주사를 통한 전달을 위해 제형화된 조성물을 비롯한 전달 방식에 기반하여 제형화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경로를 통해, 예컨대 점막 투여(예를 들어, 비강내 또는 설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근육내, 피하, 경피, 또는 피내 경로), 또는 경구 투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면역원성 조성물은 의도된 투여 경로에 적합하도록 적절히 제형화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은 근육내 경로, 또는 진피내 경로, 또는 피하 경로를 통해 투여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원성 조성물은 근육내 경로를 통해 투여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그 안에 포함된 활성 성분이 대상체에게 조성물을 투여할 때 생체 이용 가능하도록 제형화된다.
그러한 투여 형태를 제조하는 실제 방법은 공지되어 있거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고, 예를 들어, 문헌[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th Edition (Philadelphia College of Pharmacy and Science, 2000)]을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은 임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불활성 희석제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비히클은 생리 식염수 완충제이다.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비히클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ition), ed. A. Gennaro, 1990,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기재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은 생리학적 조건에 가깝게 만드는데 필요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보조 물질, 예를 들어, pH 조절제 및 완충제, 긴장성 조절제, 습윤제 등, 예를 들어, 아세트산나트륨, 락트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올레에이트, 인간 혈청 알부민, 필수 아미노산, 비필수 아미노산, L-아르기닌 하이드로클로레이트, 사카로스, D-트레할로스 데하이드레이트, 소르비톨,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 아미노메탄 및/또는 우레아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백신 조성물은, 예를 들어 희석제, 결합제,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액체, 예를 들어 용액, 에멀션 또는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액체는 주사에 의한 전달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주사에 의해 투여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보존제, 습윤제, 분산제, 현탁제, 완충제, 안정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등장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액체 조성물은 멸균 희석제, 예컨대, 주사용수, 식염수, 예컨대 생리 식염수, 링거액,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리드와 같은 고정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기타 용매; 벤질 알코올 또는 메틸 파라벤과 같은 항균제; 아스코르브산 또는 중아황산나트륨과 같은 항산화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과 같은 킬레이팅제;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또는 포스페이트와 같은 완충제 및 염화나트륨 또는 덱스트로스와 같은 장성 조절제; 수크로스 또는 트레할로스와 같은 동결 보호제로 작용하는 제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약 4.0 내지 약 9.0 범위의 pH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면역원성 조성물의 pH는 약 4.5 내지 약 8.5, 또는 약 4.8 내지 약 8.2,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5.2 내지 약 7.5, 또는 약 5.4 내지 약 7.0, 또는 약 5.5 내지 약 6.8, 또는 약 5.7 내지 약 6.5, 또는 약 5.8 내지 약 6.2의 범위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의 pH는 약 6.0일 수 있다. 안정적인 pH는 완충제를 사용하여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완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사용 가능한 완충제로서, 트리스(Tris) 완충제, 아세테이트 완충제, 시트레이트 완충제, 포스페이트 완충제, HEPES 완충제, 또는 히스티딘 완충제가 언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제는 약 10 mM 내지 약 300 mM 범위, 또는 약 10 mM 내지 약 250 mM 범위, 또는 약 20 mM 내지 약 250 mM 범위, 또는 약 20 mM 내지 약 150 mM 범위, 또는 약 20 mM 내지 약 130 mM, 또는 약 30 mM 내지 약 120 mM, 또는 약 40 mM 내지 약 100 mM, 또는 약 50 mM 내지 약 80 mM, 또는 약 50 mM 내지 약 60 mM의 농도, 또는 예를 들어, 약 50 mM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면역원성 조성물은 포유류, 예컨대, 인간에 대해 등장성일 수 있다.
면역원성 조성물은 또한 나트륨염, 칼슘염, 또는 마그네슘염과 같은 하나 또는 여러 종의 추가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나트륨염은 염화나트륨, 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나트륨염은 염화나트륨일 수 있다. 칼슘염은 염화칼슘염일 수 있다. 마그네슘염은 염화마그네슘염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나트륨염은 약 10 mM 내지 약 300 mM, 또는 약 30 mM 내지 약 280 mM, 또는 약 50 mM 내지 약 250 mM, 또는 약 60 mM 내지 약 220 mM, 또는 약 80 mM 내지 약 200 mM, 또는 약 100 mM 내지 약 180 mM, 또는 약 120 mM 내지 약 160 mM 범위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약 150 mM의 농도일 수 있다. 칼슘 또는 마그네슘은 약 1 mM 내지 약 15 mM, 또는 약 5 mM 내지 약 10 mM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비경구 제제는 앰플, 일회용 주사기 또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다회 용량 바이알에 밀봉될 수 있다. 주사 가능한 조성물은, 예를 들어, 멸균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은 통상적인 멸균 기법에 의해, 예를 들어, UV 또는 감마-방사선에 의해 멸균될 수 있거나, 또는 멸균 여과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액체 면역원성 조성물의 멸균 여과로부터 초래된 조성물은 패키징되고, 액체 형태로 보관되거나, 동결건조될 수 있다. 동결건조 조성물은 투여 전에 멸균 수성 담체로 재구성될 수 있다. 건조 조성물은 안정제, 예컨대, 만니톨, 수크로스, 또는 도데실 말토사이드뿐만 아니라 이들의 혼합물, 예를 들어, 락토스/수크로스 혼합물, 수크로스/만니톨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치료적 유효량으로 투여되며, 이는 사용된 특정 치료제의 활성; 치료제의 대사 안정성 및 작용 시간 길이; 환자의 연령, 체중, 전반적인 건강, 성별 및 식이요법; 투여 방식 및 시간; 배출 속도; 약물 조합; 특정 장애 또는 병태의 중증도; 및 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2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NadA 단백질, MenB 발현 PorA VR2 P1.2로부터 얻은 dOMV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NadA 단백질, MenB 발현 PorA VR2 P1.2로부터 얻은 dOMV,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약 25 내지 약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약 25 내지 약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약 25 내지 약 100 ㎍/용량의 NadA 단백질,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의 약 20 내지 약 150 ㎍/용량의 dOMV, 약 100 내지 약 800 ㎍/용량의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약 25 ㎍/용량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약 25 ㎍/용량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약 25 ㎍/용량의 NadA 단백질,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의 약 25 ㎍/용량의 dOMV, 약 100 ㎍/용량의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약 25 ㎍/용량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약 25 ㎍/용량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약 50 ㎍/용량의 NadA 단백질,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의 약 50 ㎍/용량의 dOMV, 약 400 ㎍/용량의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약 5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약 5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약 50 ㎍/용량의 NadA 단백질,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의 약 25 ㎍/용량의 dOMV, 약 400 ㎍/용량의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약 5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약 5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약 50 ㎍/용량의 NadA 단백질,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의 약 50 ㎍/용량의 dOMV, 약 400 ㎍/용량의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약 5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약 5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약 50 ㎍/용량의 NadA 단백질,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의 약 125 ㎍/용량의 dOMV, 약 400 ㎍/용량의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약 5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약 5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약 50 ㎍/용량의 NadA 단백질,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의 약 50 ㎍/용량의 dOMV, 약 200 ㎍/용량의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약 75 ㎍/용량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약 75 ㎍/용량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약 75 ㎍/용량의 NadA 단백질,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의 약 75 ㎍/용량의 dOMV, 약 300 ㎍/용량의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약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약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약 100 ㎍/용량의 NadA 단백질,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의 약 125 ㎍/용량의 dOMV, 약 400 ㎍/용량의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약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약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약 50 ㎍/용량의 NadA 단백질,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의 약 50 ㎍/용량의 dOMV, 약 400 ㎍/용량의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약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약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약 50 ㎍/용량의 NadA 단백질,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의 약 50 ㎍/용량의 dOMV, 약 800 ㎍/용량의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는 수막구균 항원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면역원성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합물은 적어도 1종의 인자 H 결합 단백질(fHBP) A 단백질, 적어도 1종의 fHBP B 단백질, 적어도 1종의 네이세리아 부착소 A(NadA) 단백질 및 적어도 1종의 세정제-추출된 외막 소포(dOMV)를 포함한다.
추가로, 용기는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약 25 내지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약 25 내지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약 25 내지 100 ㎍/용량의 NadA 단백질,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의 약 20 내지 150 ㎍/용량의 dOMV, 약 100 내지 800 ㎍/용량의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는 바이알일 수 있다. 바이알은 다회 용량 바이알일 수 있거나, 단일 용량 바이알일 수 있다. 적합한 바이알은 가장 적합한 마개 및 씰(seal)로 밀봉되는 작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용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용기는 사전 충전된 주사기일 수 있다. 사전 충전된 주사기는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액체 조성물을 보관하는 주사기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 및 플런저는 주사기 배럴에 삽입된다. 개스킷은 액체 약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액체-기밀 방식으로 주사기 배럴을 밀봉하고, 플런저는 개스킷을 미끄러진다. 다양한 유형의 사전 충전된 주사기는 당업계에서, 예를 들어, US 10,625,025에 또는 WO 2013/046855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공지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이 혼합되고 다른 백신 조성물과 함께, 예를 들어, 4가 MenACWY-접합 조성물로서 주사되는 경우에, 조성물 둘 다 단일 바이알 또는 사전 충저된 주사기인 용기에 또는 이중-챔버 주사기에 패키징될 수 있다. 순차적 또는 우회 주사기로도 알려진 이중-챔버 주사기는 격막에 의해 2개의 구획, 즉, 근위 및 원위로 분리된 단일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주사기의 플런저를 누르면 원위 구획에서 2종의 백신 조성물이 혼합된다. 다양한 유형의 이중-챔버 주사기는 당업계에서, 예를 들어, US 10,695,505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공지되어 있다. 이중-챔버 주사기는 또한 백신 조성물이 건조 형태, 예컨대, 동결건조 형태로 제형화된 경우에 사용될 수 있고, 재구성을 위해 액체 비히클과 함께 보관된다. 이러한 경우에, 건조된 백신은 1개의 챔버에 보관되고, 재구성 및 주사를 위한 액체는 두 번째 챔버에 보관된다.
제조 방법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약제학적 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백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수막구균 항원 및 선택적으로 알루미늄 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항원은 적어도 1종의 인자 H 결합 단백질(fHBP) A 단백질, 적어도 1종의 fHBP B 단백질, 적어도 1종의 네이세리아 부착소 A(NadA) 단백질, 및 적어도 1종의 세정제-추출 외막 소포(dOMV)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혼합하는 단계는 AlPO4 상에 선택적으로 흡착된 적어도 1종의 인자 H 결합 단백질(fHBP) A 단백질과 AlPO4 염 상에 선택적으로 흡착된 적어도 1종의 fHBP B 단백질의 제1 혼합물 및 AlPO4 상에 선택적으로 흡착된 적어도 1종의 NadA 단백질과 적어도 1종의 dOMV의 제2 혼합물의 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혼합하는 단계는 AlPO4 상에 흡착된 적어도 1종의 인자 H 결합 단백질(fHBP) A 단백질과 AlPO4 염 상에 흡착된 적어도 1종의 fHBP B 단백질의 제1 혼합물 및 AlPO4 상에 흡착된 적어도 1종의 NadA 단백질과 적어도 1종의 dOMV의 제2 혼합물의 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항원 fHBP A 및 B 및 NadA는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 예를 들어, AlPO4 상에 먼저 흡착되고, 이어서, dOMV와 함께 혼합될 수 있다. 혼합은 임의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 상에 흡착된 fHBP A 및 B는 적절한 완충제 중에서 함께 혼합될 수 있다.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 상에 흡착된 NadA 및 dOMV는 적절한 완충제 중에서 함께 혼합될 수 있다. 이어서, 두 혼합물은 배합되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추가 항원, 예컨대, 접합된 MenACWY 다당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과 혼합될 수 있다. 추가 항원 조성물, 예컨대, 접합된 MenACWY 다당류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투여 전에 함께 두 조성물을 혼합하는 이중 챔버 주사기를 통해, 환자에 대한 투여 직전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과 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백신은 접합된 MenACWY 다당류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백신과 공동 투여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백신과 공동 투여될 수 있는 접합된 MenACWY 다당류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백신은 파상풍 톡소이드 담체 단백질에 각각 접합된 MenA, MenC, MenW-135 및 MenY 협막다당일 수 있되, 선택적으로 MenA 다당류는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자이드(ADH) 링커를 통해 파상풍 톡소이드 담체에 접합되는 한편, MenC, MenW-135 및 MenY 다당류는 각각 파상풍 톡소이드 담체에 직접 접합된다. 공동 투여되는 접합된 MenACWY 다당류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백신은 WO 2018/045286 A1 또는 WO 2002/058737 A2에 개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공동 투여되는 접합된 MenACWY 다당류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백신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MenACYW-TT 접합 백신 MENQUADFI®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항원 및 알루미늄 염은 완충제 중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액체 또는 고체, 예를 들어, 동결건조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은 동결건조 조성물과 같은 건조 형태로 또는 WO 2009/109550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프릴링(prilling) 공정을 통해 얻은 마이크로펠릿으로서 패키징 및 보관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의 상이한 구성성분, 예를 들어, MenB 항원 및 가능하게는 추가 항원은 모두 동일한 마이크로펠릿에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의 구성성분은 각각 마이크로펠릿당 하나의 구성성분인 별개의 마이크로펠릿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구성성분 또는 구성성분들이 각각 별개의 마이크로펠릿일 수 있는 경우에 모든 구성성분 또는 이들 중 일부는 동일한 마이크로펠릿(fHBP A+B 및 NadA+dOMV, fHBP A + NadA 및 fHBP B + dOMV, fHBP B + NadA 및 fHBP A + dOMV, fHBP A + NadA + fHBP B 및 dOMV, 또는 fHBP A + dOMV + fHBP B 및 NadA 등)에서 쌍으로 또는 트리플릿(2가 또는 3가 제형)으로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상이한 구성성분 또는 상이한 구성성분 중 적어도 둘의 임의의 조합을 별개로 포함하는 상이한 마이크로펠릿은 대상체에게 투여되기 전에 혼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들은 액체 담체 중에서 재구성 전에 혼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들은 용적의 액체 담체 중에 첨가됨으로써 액체 담체 중에서 재구성 시 혼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들은 첫째로, 별개 용적의 액체 담체에 각각 별개로 첨가될 수 있고, 둘째로, 상이한 용적의 액체 담체가 그 다음에 함께 혼합되어 대상체에 투여될 최종 액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4종의 항원과 AlPO4는 동일한 용기에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아쥬반트와 항원은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별개의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투여 전에 두 조성물을 함께 혼합하는 이중 챔버 주사기를 통해 환자에 대한 투여 직전에 함께 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별개의 조성물은 적어도 2개의 별개의 투여 부위, 예컨대,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주사 부위를 통해, 별개로 투여되고, 즉, 동시에(단지 몇 초 또는 몇 분 간격, 예를 들어, 5분 미만의 시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별개의 조성물은 순차적으로, 즉,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시점, 예컨대, 적어도 5분 간격, 또는 최대 몇 시간 또는 1 또는 2일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별개의 조성물은 동일한 투여 부위, 예컨대, 동일한 주사 부위에서, 또는 상이한 투여 부위, 예컨대, 상이한 주사 부위에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의 상이한 구성성분 중 적어도 하나는 부품 키트로서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부품 키트
일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복수의 용기를 포함하는 부품 키트에 관한 것이되, 용기 각각은 적어도 2종의 수막구균 항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항원은 fHBP A 단백질, fHBP B 단백질, NadA 단백질, 및 세정제-추출 외막 소포(dOMV)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부품 키트의 항원 중 적어도 하나는 건조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항원 중 적어도 하나는 동결건조되거나 건조 마이크로펠릿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키트는 선택적으로 생리적으로 주사 가능한 비히클을 포함하는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의 상이한 항원은 제조될 수 있고, 별개의 용기 또는 바이알에 보관될 수 있다. 이어서, 이들은 개체에 투여 시 혼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항원, fHBP A, fHBP B, NadA 및 dOMV의 각각은 하나의 용기에 각각 보관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항원은 쌍으로 또는 트리플릿(2가 또는 3가 제형)으로 조합될 수 있다. 모든 유형의 조합이 생각될 수 있다: fHBP A+B 및 NadA+dOMV, fHBP A + NadA 및 fHBP B + dOMV, fHBP B + NadA 및 fHBP A + dOMV, fHBP A + NadA + fHBP B 및 dOMV, 또는 fHBP A + dOMV + fHBP B 및 NadA 등.
일 실시형태에서, fHBP A 및 B 항원은 제1 용기에 보관될 수 있고, NadA 항원은 제2 용기에 보관될 수 있으며, dOMV 항원은 제3 용기에 보관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fHBP A 및 B 항원은 제1 용기에 보관될 수 있고, NadA 항원 및 dOMV 항원은 둘 다 제2 용기에 보관될 수 있다.
항원은 액체 제형으로 또는 건조 형태로 보관될 수 있다. 건조 형태로 제형화될 때, 상이한 항원을 재현탁하고 혼합하기 위해 사용될 주사 가능한 액체 담체를 함유하도록 보충 용기가 더해질 수 있다. 적합한 주사 가능한 액체 담체는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아쥬반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아쥬반트는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 예컨대, AlPO4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부품 키트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항원 또는 복수의 추가 항원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추가 용기 또는 복수의 추가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추가 항원은 접합된 MenACWY 다당류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부품 키트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1 용기 및 접합된 MenACWY 다당류를 포함하는 제2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용도 및 치료 방법
일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의약으로서, 특히 백신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수막구균 감염에 대한,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B 감염에 대한 보호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수막구균 박테리아에 대한,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B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ST-41/44, ST-32, ST-269, ST-213, ST-35, ST-461, ST-11 및/또는 ST-461 클론 복합체로부터의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B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ST-11 클론 복합체로부터의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B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수막구균 감염에 대해 개체,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B 감염에 대해 개체를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백신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개체에서 수막구균 감염에 의해 야기되고,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B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침습성 수막구균성 질환의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백신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개체에서 수막구균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반응,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B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백신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ST-41/44, ST-32, ST-269, ST-213, ST-35, ST-461, ST-11 및/또는 ST-461 클론 복합체로부터의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B 박테리아에 대해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백신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ST-11 클론 복합체로부터의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군 B 박테리아에 대해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백신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은 개체에서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혈청군 B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관련된 개체는 포유류, 예를 들어, 인간, 및 예를 들어, 영아, 유아, 소아, 십대, 젊은 성인, 성인 및 노인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6주령 이상, 2개월령 이상, 또는 10세 이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로서, 개체는 6주령 내지 55주령 이상, 예를 들어, 2개월령 내지 55세 이상, 또는 예를 들어, 10세 내지 55세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일반적으로 유효량의 대상 면역원성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치료적 용도에 효과적인 양은, 예를 들어, 항원 조성, 투여 방식, 환자의 체중 및 일반적 건강 상태, 및 처방하는 의사의 판단에 따라 다를 것이다. 단일 또는 다회 용량의 항원 조성물은 필요하고 환자에 의해 용인되는 투약량 및 빈도, 및 투여 경로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은 2회, 3회, 2+1회, 또는 3+1회 용량의 요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면역원성 조성물은 2 또는 3회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후속 용량은 이전의 용량과 약 1, 약 2, 약 3, 약 4, 약 5, 약 6, 약 7, 약 8, 약 9, 약 10, 약 11, 약 12, 약 13, 약 14, 약 15, 약 16, 약 17, 약 18, 약 19 또는 약 20개월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후속 용량은 이전의 용량과 약 1, 약 2, 약 5, 약 6, 약 8, 약 10, 약 12, 약 14 또는 약 16개월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후속 용량은 이전의 용량과 약 1, 약 2, 약 5, 약 6 또는 약 8개월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후속 용량은 이전의 용량과 약 30일, 약 60일 또는 약 180일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다.
2회 용량 요법에서, 제2 용량은 제1 용량 후 약 1개월, 또는 제1 용량 후 약 2개월, 또는 제1 용량 후 6개월에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회 용량 요법에서, 제2 용량은 제1 용량 후 약 30일, 또는 제1 용량 후 약 60일 또는 제1 용량 후 약 180일에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2회 용량 요법은 성인 및/또는 청소년에 적합할 수 있다.
2회 용량 요법에서, 제2 용량은 제1 용량 후 약 2개월에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회 용량 요법에서, 제2 용량은 제1 용량 후 약 60일에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2회 용량 요법은 유아에 적합할 수 있다.
3회 용량 요법에서, 제2 용량은 제1 용량 후 약 1개월에 투여될 수 있고, 제3 용량은 제1 용량 후 약 6개월에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3회 용량 요법에서, 제2 용량은 제1 용량 후 약 30일에 투여될 수 있고, 제3 용량은 제1 용량 후 약 180일에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3회 용량 요법은 성인 및/또는 청소년에 적합할 수 있다.
3회 용량 요법에서, 제2 용량은 제1 용량 후 약 2개월에 투여될 수 있고, 제3 용량은 제1 용량 후 약 10개월에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3회 용량 요법에서, 제2 용량은 제1 용량 후 약 60일에 투여될 수 있고, 제3 용량은 약 12개월령에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3회 용량 요법은 영아에 적합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2 또는 3회 용량에 추가로, 제3 또는 제4 용량이 투여될 수 있다. 이런 후속 용량은 2 또는 3회 용량의 마지막 용량 후 적어도 1년, 예를 들어, 마지막 용량 후 16개월에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요법에서, 첫 번째 2 또는 3회 용량은 프라임 용량으로서 자격이 있을 수 있고, 후속 용량(+1)은 부스트 용량으로서 자격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6주령 또는 2개월령 내지 2세의 영아 및 유아는 2+1회 또는 3+1회 용량 요법을 투여 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2 내지 10세의 소아는 2회 용량 요법을 투여 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10 내지 55세의 십대 및 성인은 2+1회 용량 요법을 투여 받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육내 경로에 의한 투여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조항 및 실시형태에 따라 추가로 기재될 것이다.
실시형태 1에 따르면, 본 발명은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혈청군 B 항원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합물은 적어도 1종의 인자 H 결합 단백질(fHBP) A 단백질, 적어도 1종의 fHBP B 단백질, 적어도 1종의 네이세리아 부착소 A(NadA) 단백질 및 적어도 1종의 세정제-추출된 외막 소포(dOMV)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 2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되, 상기 fHBP A 단백질 및/또는 상기 fHBP B 단백질은 비-지질화된다.
실시형태 3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 1 또는 2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되, 상기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1과 적어도 약 85% 동일성을 포함하는 돌연변이된 단백질이고/이거나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3과 적어도 약 85% 동일성을 포함하는 돌연변이 단백질이다.
실시형태 4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되, 상기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a) 115번 아미노산에서의 아스파라긴의 아미노산 치환(N115); b) 121번 아미노산에서의 아스파르트산의 아미노산 치환(D121); c) 128번 아미노산에서의 세린의 아미노산 치환(S128); d) 130번 아미노산에서의 류신의 아미노산 치환(L130); e) 131번 위치에서 발린의 아미노산 치환(V131); f) 133번 위치에서 글리신의 아미노산 치환(G133); g) 219번 위치에서 리신의 아미노산 치환(K219); 및 h) 220번 위치에서 글리신의 아미노산 치환(G2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거나, 또는 서열번호 2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지고/지거나,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a) 38번 아미노산에서의 글루타민의 아미노산 치환(Q38); b) 92번 아미노산에서의 글루탐산의 아미노산 치환(E92); c) 130번 아미노산에서의 아르기닌의 아미노산 치환(R130); d) 223번 아미노산에서의 세린의 아미노산 치환(S223); 및 e) 248번 아미노산에서의 히스티딘의 아미노산 치환(H248)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거나, 서열번호 4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다.
실시형태 5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되, fHBP A 단백질 및/또는 fHBP B는 약 2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40 ㎍/용량 내지 약 14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12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또는 약 100 ㎍/용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실시형태 6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되, NadA 단백질은 NadA1 단백질이거나, 서열번호 5와 적어도 약 85% 동일성을 포함하거나, 서열번호 5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다.
실시형태 7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되, NadA 단백질은 약 2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40 ㎍/용량 내지 약 14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12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0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실시형태 8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되, dOMV는 포린 A(PorA)를 포함한다.
실시형태 9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되, dOMV는 약 5 ㎍/용량 내지 약 400 ㎍/용량, 또는 약 10 ㎍/용량 내지 약 3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250 ㎍/용량, 또는 약 35 ㎍/용량 내지 약 2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100 ㎍/용량 내지 약 150 ㎍/용량, 또는 약 110 ㎍/용량 내지 약 125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또는 약 125 ㎍/용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실시형태 10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아쥬반트, 선택적으로 수산화알루미늄 아쥬반트,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황산알루미늄 염 아쥬반트, 수산화인산 알루미늄 황산염 아쥬반트, 황산알루미늄 칼륨 아쥬반트, 수산화탄산 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마그네슘의 조합,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선택된,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를 더 포함하는 실시형태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 11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25 내지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25 내지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25 내지 100 ㎍/용량의 NadA 단백질,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의 20 내지 150 ㎍/용량의 dOMV, 100 내지 600 ㎍/용량의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시형태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 12에 따르면, 본 발명은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혈청군 A, C, W135 및/또는 Y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적어도 접합된 캡슐 당류를 더 포함하는 실시형태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 13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백신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 14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막구균 감염에 대한 보호에 사용하기 위한 또는 수막구균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실시형태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또는 실시형태 12에 따른 백신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 15에 있어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2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fHBP A 단백질에 대한 mRNA 암호, 서열번호 4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fHBP B 단백질에 대한 mRNA 암호, 서열번호 5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NadA 단백질에 대한 mRNA 암호, 및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로부터의 dOMV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 16에 따르면, 본 발명은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혈청군 B 항원의 조합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합물은 서열번호 1과 적어도 약 85% 동일성을 포함하고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적어도 아미노산 치환 G220S를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비-지질화 인자 H 결합 단백질(fHBP) A 단백질, 적어도 1종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적어도 1종의 네이세리아 부착소 A(NadA) 단백질, 및 적어도 1종의 세정제-추출된 외막 소포(dOMV)를 포함한다.
실시형태 17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 16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3과 적어도 약 85% 동일성을 포함하는 돌연변이된 단백질이다.
실시형태 18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 16 또는 17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아미노산 치환 H248L을 포함한다.
실시형태 19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 16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4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다.
실시형태 20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 16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아미노산 치환 L130R 및 G133D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형태 21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 16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2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다.
실시형태 22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 16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되, NadA 단백질은 NadA1 단백질이거나, 서열번호 5와 적어도 약 85% 동일성을 포함하거나, 서열번호 5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다.
실시형태 23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 16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되, dOMV는 PorA VR2 아형을 포함한다.
실시형태 24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 16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되, dOMV는 PorA VR2 P1.2를 포함한다.
실시형태 25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아쥬반트, 선택적으로 수산화알루미늄 아쥬반트,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황산알루미늄 염 아쥬반트, 수산화인산 알루미늄 황산염 아쥬반트, 황산알루미늄 칼륨 아쥬반트, 수산화탄산 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마그네슘의 조합,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선택된,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를 더 포함하는 실시형태 16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 26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 16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되, fHBP A 단백질 및/또는 fHBP B는 약 2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40 ㎍/용량 내지 약 14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12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또는 약 100 ㎍/용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고, NadA 단백질은 약 2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40 ㎍/용량 내지 약 14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12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0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고, dOMV는 약 5 ㎍/용량 내지 약 400 ㎍/용량, 또는 약 10 ㎍/용량 내지 약 3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250 ㎍/용량, 또는 약 35 ㎍/용량 내지 약 2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100 ㎍/용량 내지 약 150 ㎍/용량, 또는 약 110 ㎍/용량 내지 약 125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또는 약 125 ㎍/용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실시형태 27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25 내지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25 내지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25 내지 100 ㎍/용량의 NadA 단백질,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의 20 내지 150 ㎍/용량의 dOMV, 100 내지 600 ㎍/용량의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시형태 16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 28에 따르면, 본 발명은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혈청군 A, C, W135 및/또는 Y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적어도 접합된 캡슐 당류를 더 포함하는 실시형태 16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 29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 16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백신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 30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열번호 2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NadA 단백질 및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로부터의 dOMV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수막구균 감염 치료 또는 수막구균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반응 유도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막구균 감염을 치료하거나 수막구균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또는 모순이나 불일치가 발생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열거된 청구범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제한, 구성요소, 절, 설명적 용어 등이 동일한 기본 청구항(또는 관련되는 경우, 임의의 다른 청구항)에 의존하는 다른 청구항에 도입되는 모든 변형, 조합 및 순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성요소가 목록으로 제시되는 경우(예컨대 마쿠쉬 그룹 또는 유사한 형식), 구성요소의 각 하위 군이 또한 개시되며 임의의 구성요소(들)가 그룹에서 제거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양상이 특정 구성요소, 특징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그들은 또한 이러한 구성요소, 특징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순함을 위해 이들 실시형태는 모든 경우에 본 명세서에 그렇게 많은 단어로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형태 또는 양상은 특정 배제가 명세서에 인용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청구범위에서 명시적으로 배제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기술하고 그의 실행에 관한 추가 세부 사항을 제공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참조된 간행물 및 기타 참고 자료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서열은 참조로서 역할을 한다. 동일한 서열은 특허 문제의 목적을 위한 표준 요건에 따라 형식화된 서열목록으로 제시된다. 표준 서열목록과 서열이 상이한 경우에,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서열을 기준으로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지 않고서,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 양상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아래에 기재된다.
[실시예]
실시예 1: 항원 제시 및 면역원성 조성물
1. MenB 항원의 제조 및 정제
1.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A05(A05tmN)
비-지질화 A05tmN을 제조하기 위해, 3종의 점 돌연변이(서열번호 6에 대해 G220S, L130R 및 G133D 넘버링)을 야생형 fHBP A05 서열에 도입하고, 비-지질화 단백질을 달성하기 위해, N-말단 단부에 지질 모이어티를 고정시키는 첫 번째 시스테인을 메티오닌으로 대체하였다(비-지질화 A05tmN: 서열번호 2). A05tmN에 대한 DNA 서열을 합성하고, 이어서, 플라스미드 작제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요약하면, Xba1 및 Xho 1 부위의 DNA 서열을 A05tmN 서열의 양 단부 상에 부가하였다. 발현 플라스미드를 생성하기 위해, Xba1/Xho1 함유 플라스미드를 분해하고, 얻어진 DNA 단편을 Xba1/Xho1 분해된 pET28a(+)에 결찰시키고, Top10 적격 세포로 형질전환시켰다. 양성 클론을 Xba l/Xho l 분해에 의해 확인하였다. A05tmN 플라스미드를 이콜라이에 형질전환하였고, 콜로니 정제의 3라운드 후에 세포 은행을 제조하였다.
A05tmN에 의해 형질전환된 이콜라이 균주를 37℃에서 교반 하에 반-한정배지(semi-defined medium)에서 증폭시켰다(pH 6.8 - 용존 산소량: 20%). 이소프로필 β-D-1-티오갈락토피라노사이드(IPTG)의 첨가에 의해 항원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배양물을 비처리 벌크로서 채취하고, 박테리아 바이오매스를 원심분리에 의해 배지로부터 분리시켰다. 얻어진 펠릿을 완충제(20 mM Tris-HCl, pH 8.5) 중에서 재현탁시켰다. 균질기를 통해 재현탁된 펠릿을 처리하여 세포 파쇄액을 생성하였다. 후속적으로, 파쇄액을 원심분리시켜 펠릿 분획을 수집하였다. 파쇄액 펠릿을 완충제(20 mM Tris-HCl, pH 8.5) 중에서 재현탁시키고, pH 쇼크 처리(혼합하면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pH 12)하였다. 85% 인산을 이용하여 pH를 8.5까지 다시 낮추었다. 원심분리 후에 pH-쇼크 물질의 상청액 분획을 수집하고, 이어서, 여과시켜 여과된 상청액을 얻었다.
상청액을 pH 8.5 및 5.0 mS/㎝ 미만의 전도도로 조절하고, 포획 칼럼인 GigaCap Q-650M 상에 장입하였다. 용리 풀을 0.9 M 황산암모늄(AmS)으로 조절하고, 이어서, 중간 크로마토그래피인 Toyopearl Phenyl 600M을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하였다. 소수성 상호작용 크로마토그래피 후에, 용리된 풀을 pH 8.5 및 8.0 mS/㎝ 미만의 전도도로 조건화하고, Nuvia aPrime 4A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추가로 정제하였다. 이 다음에 5 kDa 재생 셀룰로수 접선 흐름 여과(TFF) 막, 및 0.2-㎛ 여과를 이용하는 최종 한외여과 및 정용여과가 이어진다.
A05tmN을 아세테이트 완충제(50 mM 아세트산나트륨, 150 mM NaCl, pH 6.0) 중 AlPO 4의 1.00 ㎎ Al/㎖에서 한정된 AlPO4 상에 흡착시켰다.
2.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 B01(B01smN)
비-지질화 B01smN을 제조하기 위해, 단일 점 돌연변이를 야생형 fHBP B01 서열에 도입하고, 비-지질화 단백질을 달성하기 위해 N-말단 단부에 지질 모이어티를 고정시키는 첫 번째 시스테인 잔기를 메티오닌으로 대체하였다(비-지질화 B01smN: 서열번호 4). B01smN에 대한 DNA 서열을 합성하고, 이어서, 플라스미드 작제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요약하면, Xba1 및 Xho 1 부위의 DNA 서열을 B01smN 서열의 양 단부 상에 부가하였다. 발현 플라스미드를 생성하기 위해, Xba1/Xho1 함유 플라스미드를 분해하고, 얻어진 DNA 단편을 Xba1/Xho1 분해된 pET28a(+)에 결찰시키고, Top10 적격 세포로 형질전환시켰다. 양성 클론을 Xba l/Xho l 분해에 의해 확인하였다. B01smN 플라스미드를 이콜라이에 형질전환하였고, 콜로니 정제의 3라운드 후에 세포 은행을 제조하였다.
B01smN에 의해 형질전환된 이콜라이 균주를 37℃에서 교반 하에 반-한정배지(semi-defined medium)에서 증폭시켰다(pH 6.8 - 용존 산소량: 20%). 이소프로필 β-D-1-티오갈락토피라노사이드(IPTG)의 첨가에 의해 항원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배양물을 비처리 벌크로서 채취하고, 박테리아 바이오매스를 원심분리에 의해 배지로부터 분리시켰다. 얻어진 펠릿을 완충제(20 mM Tris-HCl, pH 8.5) 중에서 재현탁시켰다. 균질기를 통해 재현탁된 펠릿을 처리하여 세포 파쇄액을 생성하였다. 후속적으로, 파쇄액을 원심분리시켜 상청액 분획을 수집하였다. 이어서, 상청액 분획을 여과시켰다.
여과된 상청액을 pH 8.5 및 5.0 mS/㎝ 미만의 전도도로 조절하고, 크로마토그래피 CaptoQ ImpRes 상에 장입하고, 결합 및 용리 방식으로 정제하였다. 이어서, CaptoQ ImpRes 용리 풀을 두 번째 크로마토그래피인 페닐 세파로스 HP 상에 장입하기 위해 1.8 M AmS로 조절한다. 용리 후에, 물질을 농축시키고, 5 kDa Ultracel TFF 막을 이용하여 아세테이트 완충제(50 mM 아세트산나트륨, 150 mM NaCl, pH 6.0)에 정용여과하고, 이어서, 0.2-㎛ 여과시켰다.
B01smN을 아세테이트 완충제(50 mM 아세트산나트륨, 150 mM NaCl, pH 6.0) 중 AlPO 4의 1.00 ㎎ Al/㎖에서 한정된 AlPO4 상에 흡착시켰다.
3. NadA
NadA의 절단된 형태를 NadA_MC58로부터 제조하였다. 절단된 NadA는 리더 서열(잔기 1 내지 23) 및 제거된 NadA_MC58(절단된 NadA: 서열번호 5)의 앵커 도메인(잔기 308 내지 362)을 갖는다. NadA_MC58의 절단된 서열에서, 리더 서열 다음의 첫 번째 아미노산은 알라닌이며, 이는 메티오닌으로 대체된다. NadA에 대한 DNA 서열을 합성하고, 이어서, 플라스미드 작제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Xba1 및 Xho 1 부위의 DNA 서열을 NadA 서열의 양 단부 상에 부가하였다. 발현 플라스미드를 생성하기 위해, Xba1/Xho1 함유 플라스미드를 분해하고, 얻어진 DNA 단편을 Xba1/Xho1 분해된 pET28a(+)에 결찰시키고, Top10 적격 세포로 형질전환시켰다. 양성 클론을 Xba l/Xho l 분해에 의해 확인하였다. NadA 플라스미드를 이콜라이에 형질전환하였고, 콜로니 정제의 3라운드 후에 세포 은행을 제조하였다.
NadA1에 의해 형질전환된 이콜라이 균주를 37℃에서 교반 하에 반-한정배지에서 증폭시켰다(pH 6.8 - 용존 산소량: 20%). 이소프로필 β-D-1-티오갈락토피라노사이드(IPTG)의 첨가에 의해 항원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배양물을 비처리 벌크로서 채취하고, 박테리아 바이오매스를 원심분리에 의해 배지로부터 분리시켰다. 얻어진 펠릿을 완충제(20 mM Tris-HCl, pH 8.5) 중에서 재현탁시켰다. 균질기를 통해 재현탁된 펠릿을 처리하여 세포 파쇄액을 생성하였다. 후속적으로, 파쇄액을 원심분리시켜 상청액 분획을 수집하였다. 이어서, 상청액 분획을 여과시켰다.
상청액 분획을 Capto DEAE 칼럼 상에 장입하였다. 500 mM AmS의 농도가 달성될 때까지 분말로 된 AmS를 이용하여 Capto DEAE 용리 분획을 조절한다. 조절된 Capto DEAE 용리 분획을 Toyopearl Butyl-650M 칼럼 상에 장입한다. Toyopearl 뷰틸-650M 용리 분획을 CHT I형 40 ㎛ 칼럼 상에 장입하였고, CHT 용리 분획을 30 kDa 재생 셀룰로스 TFF 막을 이용하여 농축시킨 후에, 50 mM 아세트산나트륨, 150 mM NaCl, pH 6.0으로 정용여과시킨다. TFF 후에, 생성물을 0.2-㎛ 여과시켜 NadA 항원을 생성한다.
NadA를 아세테이트 완충제(50 mM 아세트산나트륨, 150 mM NaCl, pH 6.0) 중 AlPO 4의 1.00 ㎎ Al/㎖에서 한정된 AlPO4 상에 흡착시켰다.
4. dOMV
dOMV를 야생형 엔. 메닌기티디디스 혈청형 B, 즉, Walter Reed Army Institute of Research(WRAIR)에 의해 제공된 균주 99M으로부터 정제하였다.
Nm B 99M을 37℃에서, CO2 5% 하에 1 g/ℓ의 효모 추출물 및 Hepes 1 M의 존재 하에 Fu 등(Biotechnology (N Y). 1995 Feb;13(2):170-4)에 그리고 US 5,494,808에 기재된 화학적 한정배지에서 배양시켰다.
습식 박테리아 펠릿을 회수하기 위해 열처리된 현탁액(2시간 동안 55℃)의 저속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배양물 채취를 수행하였다. 박테리아 외막으로부터 dOMV를 추출하고 리포올리고당을 고갈시키기 위해 세정제(데옥시콜산나트륨)로 구성된 추출 완충제를 이용하여 2개의 일련의 세정제-매개 추출 단계(15분 동안 56℃)를 수행하였다(문헌[Helting et al., Acta Pathol Microbiol Scand C. 1981 Apr;89(2):69-78]에 개시된 바와 같음). 데옥시콜산나트륨 및 EDTA는 박테리아 외막을 가용화시키고, 이어서, 그 자체를 dOMV(소포 및 미립자)로 재조직화한다. 추출 완충제 중에 현탁시킨 펠릿을 균질화시키기 위해 Ultra-Turrax(로터-스테이터 장비)를 이용함으로써 재현탁을 완료하였다. dOMV 상청액을 풀링한 후에 MgCl 2(15분 동안 37℃)의 존재 하에서 벤조나제 처리하였다.
dOMV 추출 후에, 300 kDa의 변형된 폴리에터설폰(mPES) 중 중공 섬유를 이용하여 dOMV의 농도를 수행하였다. 여러 초원심분리 단계를 사용하여 핵산, 세포액 단백질, 추출된 지질다당류 또는 완충제 구성성분과 같은 "가용성" 내용물로부터 dOMV를 분리시켰다. 이어서, 얻어진 펠릿을 몇 초 동안 최소 속력으로 Ultra-Turrax(로터-스테이터 장비)를 이용하여 추출 완충제 중에서 재현탁시켰다. 1차 재현탁 후에, 고압 균질화를 사용하여 추출 완충제 중 dOMV를 완전히 재현탁시키고, dOMV 표면에 대한 세정제의 접근성을 증가시켰다.
이어서, 0.45/0.2-㎛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필터를 이용하는 상청액의 최종 여과 전에 원심분리를 수행하였다.
5. 항원의 조합
다중성분 면역원성 조성물 중 MenB 항원은 정제된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A05 fHBP(A05tmN), 비-지질화된 돌연변이 fHBP(B01smN), NadA 및 dOMV이다. A05tmN, B01smN 및 NadA 항원을 인산알루미늄(AlPO4)에 흡착시켰다.
비히클은 아세테이트 완충제(50 mM 아세트산나트륨, 150 mM NaCl, pH 6.0) 및 AlPO4(1.00 ㎎ AL3+/㎖)로 이루어졌다.
최종 면역원성 조성물 제형을 제형화하기 위해, AlPO4, AlPO4 상에 흡착된 B01smN, AlPO4 , 상에 흡착된 A05tmN 및 아세테이트 완충제(50 mM 아세트산나트륨, 150 mM NaCl, pH 6.0)를 함께 배합하여 표적 항원 및 알루미늄 농도(B01smN의 경우 250 ㎍/㎖, A05tmN의 경우 250 ㎍/㎖ 및 AlPO4의 경우 1.00 ㎎ Al/㎖)를 달성하였다. 이하에서 시험되는 상이한 제형(F1 내지 F5)의 항원의 상이한 농도를 달성하기 위해 dOMV를 아세테이트 완충제(50 mM 아세트산나트륨, 150 mM NaCl, pH 6.0) 및 AlPO4 상에 흡착된 NadA와 배합함으로써 상이한 NadA-dOMV 조성물을 제형화하였다. fHBP 단독 제형을 담체에서 희석시켜 제형 F6을 달성하였다.
2. TRUMENBA ®
TRUMENBA®는 10 mM 히스티딘 완충제 pH 6.0 중 60 ㎍/㎖/서브패밀리로 제형화된 fHBP 서브패밀리 A(A05) 및 B(B01) 단백질, 염화나트륨(NaCl), 및 인산알루미늄(AlPO4)으로서 0.5 ㎎/㎖ 알루미늄, 및 Polysorbate 80(PS80)로 구성된 멸균 액체 현탁액 중 MenB 2가 재조합 지질화된 fHBP(rLP2086) 조성물이다.
3. BEXSERO ®
BEXSERO®는 3종의 재조합 단백질을 함유한다: 50 ㎍/0.5 ㎖ 용량의 rp287-953(NHBA 키메라), rp936-741(50 ㎍/0.5 ㎖ 용량의 비-지질화 B24를 갖는 fHBP 키메라), 및 50 ㎍/0.5 ㎖ 용량의 rp961c(NadA); 히스티딘 0.776 ㎎/0.5 ㎖ 용량, 3.125 ㎍/0.5 ㎖ 용량의 염화나트륨, 수크로스 10 ㎎/0.5 ㎖ 용량 및 물을 포함하는 완충제 중 25 ㎍/0.5 ㎖ 용량의 dOMV 및 1.5 ㎎/0.5 ㎖ 용량(예를 들어, 0.5 ㎎의 Al)의 AlOOH.
4. MENQUADFI ®
MENQUADFI®는 얻어진 ACWY 다당류 항원을 포함하고 WO 2018/045286 A1에 개시된 바와 같은 파상풍 톡소이드(TT)에 접합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백신이다. 상기 제형은 파상풍 톡소이드 단백질에 별개로 접합된 혈청군 A, C, Y, 및 W135로부터의 엔. 메닌기티디디스 협막다당을 포함한다. 표적 활성 성분 농도는 0.5 ㎖ 용량당 10 ㎍의 각 다당류 및 대략 55 ㎍의 파상풍 톡소이드 단백질이다. 항원을 30 mM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제(1.23 ㎎/용량) 및 염화나트륨(0.67%, 3.35 ㎎/용량)을 함유하는 멸균, 수용액 중에서 제형화하였다.
5. 시험 조성물
MenB 다중성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백신의 6종의 제형(F1 내지 F5, 및 MENQUADFI와 공동 투여한 F1)을 시험하였고, 다음의 연구에서 기준 조성물 BEXSERO, TRUMENBA 및 비교 2가(fHBP A 및 fHBP B) 조성물(F6)과 비교하였다. 시험한 조성물의 상이한 항원의 상이한 양을 다음의 표 1에 요약한다. F1, F2, F4 내지 F6 및 MENQUADFI와 공동 투여한 F1은 용량당 0.4 ㎎ AlPO4를 포함하는 한편, F3은 용량당 0.8 ㎎ AlPO4를 포함하였다.
실시예 2에서 투여를 위해 제형당 다음의 용적을 사용하였다:
F1: 400 ㎕
F2: 400 ㎕
F3: 800 ㎕
F4: 400 ㎕
F5: 400 ㎕
F6: 400 ㎕
F1 + MENQUADFI: 동물은 D0, D28 및 D56에 400㎕의 F1을 투여받았다. 제0일에, 이들은 또한 반대 넓적다리에 500 ㎕의 MENQUADFI를 투여받았다.
TRUMENBA: 500 ㎕
BEXSERO: 500 ㎕
실시예 2: MenB 백신 면역원성의 전임상 평가: 토끼 면역원성 연구
1. 물질 및 방법
1. 연구 설계
7마리 토끼(뉴질랜드 KBL로부터의 8주령 암컷)의 9개 그룹은 7종의 제형(실시예 1의 표 1에서 F1 내지 F6 및 F1+MENQUADFI로 지칭됨) 중 하나의 각각의 3회의 면역화를 받았거나, 또는 허가된 기준 백신 TRUMENBA 및 BEXSERO(실시예 1)는 D0, D28 및 D56에 IM 경로로 제공되었다. 제형 F1을 또한 MENQUADFI와의 공동 투여에서 시험하였다. 조성물을 첫 주사를 위해 우측 넓적다리에, 두 번째 주사를 위해 좌측 넓적다리에 그리고 마지막 주사를 위해 우측 넓적다리에 IM 경로를 통해 투여하였다. F1 + MENQUADFI를 투여 받는 그룹에 대해, 동물은 D0에 반대 넓적다리에서 IM 경로에 의해 주어진 MENQUADFI와 공동 투여하였다.
면역화 후 4, 24 및 48시간에 임상 징후 및 온도를 측정하였다. 혈액 샘플을 D0 및 두 번째 면역화 2주 후(D42에), 및 D63에 응고 활성체 및 혈청 분리기를 함유하는 관(BD Vacutainer SST II 8.5 ㎖, ref 366468A)에서 수집하였다. 혈액 세포로부터 혈액을 분리시키기 위해 관을 3500 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시켰다. 혈청을 4.5 ㎖ NUNC 관에 옮기고, +56℃에서 30분 동안 열-비활성화시켰다. ELISA, 정제 및 박테리아 사멸 분석을 위해 사용할 때까지 혈청을 -20℃에서 보관하였다.
제2 용량 후 항체 반응의 안정기는 이미 도달되었고, 따라서, 제2 용량 후에 면역원성을 분석하였다.
7 또는 18종의 MenB 균주의 패널에 대해 ELISA 및 기능성 혈청 살균 항체 활성(hSBA)에 의해 측정한 항원(Ag)-특이적 IgG 반응을 평가함으로써 D42에 시험한 조성물의 면역원성을 측정하였다. 반응자는 D0 내지 D42 사이의 hSBA의 적어도 4배 증가를 나타냈다.
양성 반응에 대한 양성 역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사전(D0): hSBA < 8 - 이후(D42): 혈청은 hSBA가 8 초과인 경우에 양성임
사전(D0): hSBA ≥ 8 - 이후(D42): 혈청은 hSBA가 D0에 비해 4배 이상으로 증가된다면 양성임.
혈청이 특정 hSBA를 유도할 수 있는 면역화된 동물의 수는 관찰된 반응자의 70%보다 더 컸다(즉, 제형당 5마리/7마리 동물).
2. ELISA에 의한 IgG 항체 역가의 결정
각 항원에 대해 일어난 특이적 IgG 반응을 D0 및 D42에 토끼 혈청에서 측정하였다. 각 면역화 그룹으로부터 수집한 개체로부터 ELISA 분석을 수행하였다.
간략하게,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탄산염 완충제 코팅 용액 중 1 ㎍/㎖의 특이적 항원의 웰당 100 ㎕로 코팅하였고 +4℃에서 밤새 유지하였다. 플레이트를 뒤집어서 코팅 용액을 제거한 후에, 플레이트를 종이 타월 상에서 탭핑하였다. 자유 부위를 150 ㎕의 완충제 1(PBS/Tween20 0.05%/탈지유 1%)로 차단하고, +37℃에서 60분의 인큐베이션 기간 후에, 플레이트를 비웠다. 혈청을 마이크로플레이트에서 100 ㎕의 용적(12배)으로 완충제 1 중에서 연속 희석시켰다. 플레이트를 90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시켰고, 이어서, 완충제 2(PBS/Tween20 0.05%)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100 ㎕의 희석된 항-토끼 IgG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37℃에서 90분의 인큐베이션 후에, 플레이트를 완충제 2로 세척하였다. 각 웰에서 100 ㎕의 테트라메틸벤지딘 기질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진행시켰다. 30분 후에 실온에서 HCl(1N)을 이용하여 반응을 화학적으로 중단시켰고, 분광광도계(Versamax 판독기 p248, Molecular Devices) 상에서 450 내지 65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로봇식 ELISA용 CODUNI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OD = 1에 상응하는 희석의 역수에 의해 임의의 ELISA 단위/㎖로 표현하였다.
3. hSBA 시험을 위한 토끼 혈청의 IgG 정제
D0, D42에 토끼 혈청에 의해 유도되는 비특이적 살균 사멸을 피하기 위해, IgG의 정제가 필요하였다. RPROTEIN A GRAVTITRAP™ 칼럼(GE healthcare GE28-9852-54) 및 Ab 완충제 키트(GE Healthcare ref 28-9030-59)를 이용하여 토끼 혈청의 정제를 수행하였다. 결합 완충제(인산나트륨 20 mM pH = 7)을 이용한 칼럼의 제1 평형화 단계 후에, 결합 완충제(V/V)를 이용하여 중성 pH로 조절한 혈청(2 ㎖)을 칼럼에 첨가하여 IgG 결합을 수행하였다. 칼럼을 결합 완충제로 세척하고, 용리 완충제(글리신 HCl 0.1M pH 2.7)로 용리시켜 IgG를 수집하였다. IgG의 활성을 보존하기 위해, 중화 완충제(Tris-HCl 1M, pH9.0)를 용리 분획에 첨가하여 최종적으로 거의 중성인 pH를 얻었다. Slide-A-Lyser G2 투석 카세트(Thermo Scientific 87730)를 이용하여 각 샘플의 투석을 수행하여 PBS 완충제 중에서 샘플을 전환시켰다. IgG 농도의 정량화를 NANODROP에 의해 행하였다.
4. hSBA 시험
보체 공급원으로서 인간 보체를 이용한 혈청 살균 항체의 측정은 수막구균성 질환에 대한 보호의 대리 마커로서 널리 허용되고 있다(Borrow et al., Vaccine. 2005;23(17-18):2222-7; Borrow et al., Vaccine. 2006;24(24):5093-107; Frasch et al., Vaccine. 2009;27 Suppl 2:B112-6; et al., J Exp Med. 1969;129(6):1307-26).
SBA 분석은 보체의 존재 하에 박테리아를 용해시키고 사멸시키는 항체의 능력을 측정한다. 보체의 공급원은 인간 보체였다(Pel Freez IgG/IgM 고갈 배치(batch) #13441). 간단히 설명하면, +56℃에서 30분 동안 혈청을 비활성화시켰고, 이어서, IgG 정제를 수행하였다. 정제된 IgG를 후속적으로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서 Ca++ 및 Mg++) + 0.2% 젤라틴을 함유하는 둘베코 PBS 완충제(희석 완충제)에서 연속해서 2배 희석시켰다(9배).
박테리아의 사전배양을 +37℃에서 18시간 동안 5% CO2에서 Mueller Hinton 한천(페트리 접시) 상에서 수행하여 박테리아의 합류성 성장이 이루어졌다. 이후에, 박테리아를 2시간 30분 동안 +37℃에서 진탕시키면서(100 rpm) λ 600 ㎚에서 약 0.20의 초기 OD로 BHI 현탁액 중에서 성장시켰다. 인큐베이션 후에, 박테리아를 5배 희석시켜 1.4.104 CFU/㎖를 얻었다. 25 ㎕의 작업 박테리아 현탁액, 50 ㎕의 사전 희석시킨 혈청 및 25 ㎕의 희석시킨 인간 보체(15% 최종 농도)를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침착시켰고, 진탕시키면서(100 rpm) 1시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Zephyr 로봇 애플리케이션은 Mueller Hinton 한천(40*40)이 있는 정사각형 플레이트 상에서 각 웰의 40 ㎕를 자동으로 침착시켰다. 한천 플레이트를 +37℃에서, 5% CO2로 10 내지 1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에, Microvision사로부터의 Cybele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웰당 콜로니의 수를 계수한다.
살균 역가는 보체 대조군 웰에 비해 박테리아의 ㎖당 콜로니 형성 단위(CFU)의 50% 감소를 초래하는 혈청 희석으로서 정의한다. SBA 역가는, 플레이트 계획에 개조된 사용자-한정 프로토콜에 의해 Soft Max Pro v6.5.1 GxP에서 4 모수 곡선을 모델링함으로써 계산한다. 모델링이 4 모수 곡선에 적합화되지 않는다면, 이어서, K50 주변의 추세 함수와 수동 판독을 적용하였고; 살균 역가는 적어도 50%의 감소를 초래하는 최종 혈청 희석 역수로서 정의한다.
양성 반응에 대한 양성 역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사전(D0): hSBA < 8 - 이후(D42): 혈청은 hSBA가 8 초과인 경우에 양성임
사전(D0): hSBA ≥ 8 - 이후(D42): 혈청은 hSBA가 D0에 비해 4배 이상으로 증가된다면 양성임.
혈청이 특정 hSBA를 유도할 수 있는 면역화된 동물의 수는 관찰된 반응자의 70%보다 더 컸다(즉, 제형당 5마리/7마리 동물).
5. MenB 균주
상이한 단리일에 지리적으로 별개인 위치로부터 단리시키고 다양한 MLST 클론 복합체를 나타낸 18종의 야생형 혈청군 B 엔. 메닌기티디디스 단리물의 세트(대부분은 최근의 임상 단리물임)를 선택하였다. 면역원성 조성물의 각 구성성분의 면역원성을 평가하고 유효범위의 크기를 평가하기 위해 MenB 균주를 선택하였다. 면역원성은 조성물의 다른 항원 중 어느 것과도 매칭되지 않으면서 조성물의 항원 중 하나에 대해 항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인식되는 MenB 균주를 이용하여 SBA로 측정하였다. 추가로, 일부 선택된 균주가 잘 설명된 fHBP 서열 다양성 및 A와 B 서브패밀리 사이의 분포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선택을 수행하였다. 유행성 특징, 예컨대, 클론 복합체(CC) 분포, 지리적 유래, 항원 출현율 및 다양성을 나타내는 MenB 균주를 이용하여 유효범위의 크기를 평가하였다.
선택된 균주의 주된 특징을 표 2에 열거한다.
클론 복합체 분포, 클론 복합체의 출현율 및 과독성, 지리적 기원, 항원 출현율 및 다양성과 같은 유행성 특징에 기반하여 18종의 균주를 선택하였고, 항원 분포에 관해 다음과 같이 특성규명한다:
- 11종의 균주는 fHBP 서브패밀리 A를 발현시킴(fHBP A05 항원에 가까운 2종으로서 균주 번호 1과 8 및 fHBP A05 항원과 별개인 9종으로서 균주 번호 2, 5, 7, 9, 10, 11, 12, 13, 14) 및
- 7종의 균주는 fHBP 서브패밀리 B를 발현시킴(fHBP B01 항원에 가까운 1종으로서 균주 번호 3 및 fHBP B01 항원과 별개인 6종으로서 균주 번호 4, 6, 15, 16, 17, 18).
- 14종의 균주는 NadA를 발현시키지 않고(유전자 부재 또는 프레임이동 NadA4/5 오프), 4종의 균주는 상동성 NadA1 변이체(3종의 균주) 또는 이종성 NadA2/3 변이체(1종의 균주) 중 하나를 발현시킴; 및
- 2종의 균주는 dOMV의 매칭된 PorA VR2 P1.2를 발현시켜, 저수준의 fHBP A를 발현시키며, 하나는 NadA 단백질(번호 5)을 발현시키지 않고, 하나는 이종성 NadA 단백질(번호 13)을 발현시킴.
2. 결과
1. ELISA 결과
D0(회색)에 풀링된 혈청으로부터 그리고 D42(청색)에 다양한 제형(F), TRUMENBA 또는 BEXSERO에 의해 면역화된 토끼로부터 수집한 개개 혈청으로부터 ELISA에 의해 총 IgG 항체를 정량화하였다.
ELISA 반응이 무엇이든, 결과는 그룹 내에서 동질적이었다(모든 p-값 ≥ 0.061). 가외치(outlier) 동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ELISA 결과는 fHBP-특이적 IgG 반응에 대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고, NadA-특이적 IgG 반응 및 dOMV-특이적 IgG 반응에 대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F1 내지 F5 제형 및 MENQUADFI와 공동 투여한 F1 제형이 4.05 내지 4.99 Log 10 범위의 Ag 특이적- IgG 역가에 의한 항체 반응을 유발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 도 1a 및 도 1b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한 제형이 무엇이든, AlPO4와 조합하여 제형화한 4종의 MenB 항원 각각의 주입은 fHBP A05 tmN, fHBP B01 smN, NadA 단백질 및 dOMV에 대해 보통 내지 높은 역가를 갖는 100%의 동물에서 항체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였다. 50 ㎍의 A05tmN 및 B01smN fHBP Ag에 의해 제조한 제형(F1 +/-MENQUADFI, F4, F5 및 F6)은 각각 4.28 Log10 내지 4.59 Log10 및 4.05 Log10 내지 4.52 Log10 범위의 평균 역가로 fHBP-특이적 IgG 반응을 유도하였다. 50 ㎍의 NadA에 의해 제조된 제형(F1 내지 F5)은 4.42 Log10 내지 4.81 Log10 범위의 평균 역가로 NadA-특이적 IgG 반응을 유도하였다. 50 ㎍의 dOMV에 의해 제조된 제형(F1 내지 F3)은 4.77 Log10 내지 4.99 Log10 범위의 평균 역가로 dOMV-특이적 IgG 반응을 유도하였다. 최종적으로, 다양한 용량의 fHBP 단백질(25 ㎍의 F2 및 100 ㎍의 F3) 또는 dOMV(25 ㎍의 F4 및 125 ㎍의 F5)에 관해, 모든 투약량에 대해 유사한 평균 역가를 측정하였다.
TRUMENBA는 각각 5.16 및 5.15 Log10의 평균 역가를 갖는 fHBP A05 tmN, fHBP B01 smN 항원에 대해 특이적 IgG를 유도할 수 있었다.
BEXSERO는 4.34 Log10의 평균 역가를 갖는 NadA 변이체 1 항원에 대해 특이적 IgG를 유도할 수 있었다.
2. 7종의 MenB 균주(번호 1 내지 6 및 18)에 대해 상이한 조성물 F1 내지 F6 또는 F1 + MENQUADFI, TRUMENBA 및 BEXSERO에 의해 얻은 hSBA 결과
실험의 첫 번째 세트에서, 상이한 조성물 F1 내지 F6 또는 F1 + MENQUADFI, TRUMENBA 및 BEXSERO를 7종의 MenB 균주(번호 1 내지 6 및 18)에 대해 분석하였다.
hSBA 결과는 6종의 제형 F1 내지 F5 및 MENQUADFI와 함께 공동 투여한 F1은 토끼에서 면역원성이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반응자의 백분율은 hSBA GMT의 4배 증가로 면역화 후 대 면역화 전에 기반하여 측정한 혈청을 갖는 동물의 백분율이며, 이는 보호 대리(surrogate of protection)를 입증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한 면역화 용량은 무엇이든(25 ㎍ F2, 50 ㎍ F1, F4, F5, F6 및 100 ㎍ F3), 돌연변이된 비-지질화 fHBP A05 tmN + NadA + dOMV와 조합된 돌연변이된 비-지질화 fHBP B01 smN은 443 내지 1147 범위의 GMT를 갖는 밀접하게 관련된 fHBP B44 변이체 균주에 대해 100%의 동물에서 D42에 살균 활성을 유도할 수 있었다.
TRUMENBA 및 BEXSERO는 각각 5773 및 646의 GMT를 갖는 밀접하게 관련된 fHBP B44 변이체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에 대해 100%의 동물에서 살균 활성을 유도할 수 있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연변이된 비-지질화 fHBP A05tmN + NadA + dOMV와 조합한 돌연변이된 비-지질화 fHBP B01 smN은 분기하는 fHBP B24 변이체를 발현시키는 제1 MenB 균주에 대해 동물의 43 내지 86%에서(도 4) 그리고 시험한 제2의 분기하는 fHBPB24 변이체 균주에 대해 동물의 86 내지 100%(도 5)에서 박테리아 활성을 유도할 수 있었고, GMT는 각각 5 내지 18 및 28 내지 219의 범위이다.
흥미롭게도, 제1 이종성 B24-변이체 균주에 대해, 제형 F3에서 돌연변이된 비-지질화 fHBP B01smN만이 86%의 동물에서 hSBA 반응을 유도하였고, GMT는 18이었다.
TRUMENBA는 2종의 B24 균주에 대해 100%의 동물에서 살균 활성을 유도할 수 있었고, GMT는 각각 44 및 143이었다. BEXSERO는 2종의 B24 균주에 대해 100%의 동물에서 살균 활성을 유도할 수 있었고, GMT는 각각 2274 및 2587이었다.
더 나아가, 25 내지 100 ㎍ B01 smN fHBP 용량 간에 유의미한 용량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모든 p-값 ≥ 0.056).
최종적으로, MENQUADFI를 제형 F1과 공동 투여하였을 때 돌연변이된 비-지질화 B01 smN 반응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50 ㎍에서 모든 MenB Ags, 모든 p 값 ≥ 0.339).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한 면역화 용량과 상관없이(25 ㎍ F2, 50 ㎍ F1, F4, F5, F6 및 100 ㎍ F3), 돌연변이된 비-지질화 fHBP B01smN + NadA + dOMV와 조합된 돌연변이된 비-지질화 fHBP A05 tmN은 밀접하게 관련된 fHBP A56 변이체 발현 균주(도 6) 및 분기하는 fHBP A22 변이체 발현 균주(도 7)에 대한 100%의 동물에서 살균 활성을 유도할 수 있었고, 기하 평균 역가(GMT)는 각각 226 내지 382 및 45 내지 108의 범위이다.
TRUMENBA는 fHBP A56 및 fHBP A22 변이체 발현 균주에 대해 100%의 동물에서 살균 활성을 유도할 수 있었고, GMT는 각각 2058 및 463이었다. BEXSERO는 fHBP A56 변이체 발현 균주에 대해 57%의 동물 및 fHBP A22 변이체 발현 균주에 대해 100%의 동물에서 살균 활성을 유도할 수 있었고, GMT는 각각 7 및 331이었다.
더 나아가, 25 내지 100 ㎍의 돌연변이된 비-지질화 A05 tmN fHBP 용량 간에 유의미한 용량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모든 p-값 ≥ 0.066).
최종적으로, MENQUADFI를 A56 균주에 대해 제형 F1과 공동 투여하였을 때 돌연변이된 비-지질화 A05 tmN 반응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값 ≥ 0.281). fHBP A22 발현 균주에 대한 hSBA의 경우, F1+MENQUADFI에 의해 얻은 역가는 F1 단독에 의해 얻은 것보다 유의미하게 더 낮았지만(p = 0.020), 2.4배 감소되었고, 이는 생물학적 관련성이 없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 ㎍의 NadA에 의해 제조된 제형(F1 내지 F5)은 상동성 NadA 변이체 1 균주에 대해 100%의 동물에서 살균 활성을 유도할 수 있었고, GMT는 217 내지 696의 범위였다.
TRUMENBA 및 BEXSERO는 상동성 NadA 변이체 1 균주에 대해 동물의 86 및 100%에서 살균 활성을 유도할 수 있었고, GMT는 각각 118 및 1191이었다.
최종적으로, MENQUADFI를 다중성분 MenB 백신과 공동 투여하였을 때 NadA 반응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값 = 0.68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25 ㎍ F4, 50 ㎍ F1, F2, F3 및 125 ㎍ F5에서 dOMV로 제조한 제형은 무엇이든, dOMV는 상동성 PorA_1.2 균주에 대해 100%의 동물에서 살균 활성을 유도할 수 있으며, GMT는 350 내지 1324의 범위이다.
TRUMENBA 및 BEXSERO는 이런 dOMV 균주에 대해 살균 활성을 유도할 수 없었다.
더 나아가, dOMV의 유의미한 용량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모든 p-값 ≥ 0.637).
fHBP A 또는 B 반응에 대해 NadA 및 dOMV 항원의 유의미한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모든 p-값 ≥ 0.208).
NadA/dOMV 항원과 조합된 fHBP 항원 용량의 유의미한 영향만이 F1(50 ㎍) 및 F3(100 ㎍) 제형 간의 NadA 특이적 hSBA 반응에 대한 것이었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F3 제형에 의해 얻은 역가는 F1 제형에 의해 얻은 역가보다 더 높았다(p = 0.004, 3.2-배수 증가). porA/dOMV-특이적 hSBA 반응에 대해 모든 제형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AlPO4와 함께 조합하여 제형화된 4종의 선택된 MenB 항원, 돌연변이된 비-지질화 fHBP A05 tmL 및 B01 smL, NadA 및 dOMV 각각의 면역원성을 입증하였다.
새로운 백신 제형에 포함된 모든 항원은 Ag-특이적 MenB 균주에 대해 hSBA에 의해 측정된 Ag-특이적 살균 항체 반응을 시작할 수 있었다. 토끼 모델에서, fHBP에 대해 유의미한 용량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유사하게, dOMV에 대해 유의미한 용량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고, 가장 저용량(25 ㎍)에서 dOMV는 강력한 hSBA 반응을 제공한다. 흥미롭게도, 제형 F3(즉, 100 ㎍의 fHBP, 50 ㎍의 NadA 및 50 ㎍/용량의 dOMV를 함유)은 가장 높은 hSBA 반응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으며, 시험한 모든 균주에 대해 동물의 71% 초과에서 양성 반응을 유도하였다. 또한, MenB-특이적 hSBA 반응에 대해 MenQuadfi 공동 투여의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모든 시험 제형에서 fHBP A05tmN 백신 Ag는 밀접하게 관련된 A56- 및 이종성 A22-변이체 균주에 대해 100%의 동물에서 hSBA 반응을 유도하였고, 기하 평균 역가(GMT)는 각각 226 내지 382 및 45 내지 108이었다. 모든 시험 제형에서 fHBP B01smN 백신 Ag는 밀접하게 관련된 B44-변이체 균주에 대해 100%의 동물에서 hSBA 반응을 유도하였고, GMT는 443 내지 1147의 범위이다. 제1 이종성 H44/76 B24-변이체 균주에 대한 hSBA 반응을 시험할 때, 제형 F3에서 fHBP B01smN만이 86% 동물에서 양성 hSBA 반응을 유도하였고, GMT는 18인 반면, 모든 다른 시험 제형은 동물의 29 내지 57%에서 hSBA 반응을 유도하였고, GMT는 5 내지 10의 범위이다. 대조적으로, 제2 이종성 B24 균주를 이용할 때, 모든 시험 제형에서 균주 03S-0291, fHBP B01smN은 동물의 86 내지 100%에서 hSBA를 유도하였고, GMT는 28 내지 219의 범위였다.
시험한 모든 제형에서 NadA 백신 Ag는 NadA1 변이체 균주에 대해 100%의 동물에서 hSBA를 유도하였고, GMT는 217 내지 696의 범위이다.
시험한 모든 제형에서 dOMV는 PorA 아형 VR2 P1.2 균주에 대해 100%의 동물에서 hSBA를 유도하였고, GMT는 350 내지 1324의 범위이다.
전반적으로, 면역원성 결과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면역원성 조성물의 6종의 제형이 토끼에서 면역원성이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새로운 백신에 포함된 모든 항원은 Ag-특이적 MenB 균주에 대해 hSBA에 의해 측정된 Ag-특이적 살균 항체 반응을 시작할 수 있었다. 토끼 모델에서, 100 ㎍의 fHBP에 의해 제조된 제형이 가장 높은 hSBA 반응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고 또한 시험한 모든 균주에 대해 동물의 70% 초과에서 반응을 유도하였지만 fHBP에 대해 유의미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유사하게, dOMV에 대해 유의미한 용량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고, 가장 낮은 dOMV 용량(25 ㎍)은 강력한 hSBA 반응을 유도하기에 충분하였다. 흥미롭게도, MenB-특이적 hSBA 반응에 대해 MENQUADFI 공동 투여의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주목할 점은, 연구 내내 동물에서 온도 증가 및 주요 소견(예컨대 홍반...)이 관찰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면역원성 결과는 개시된 면역원성 조성물의 6종의 제형이 토끼에서 면역원성이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MenB 다중성분 백신에 포함된 모든 항원은 Ag-특이적 MenB 균주에 대해 hSBA에 의해 측정된 Ag-특이적 살균 항체 반응을 시작할 수 있었다.
3. 17종의 MenB 균주(번호1 내지 17)에 대해 조성물 F1, F3, TRUMENBA 및 BEXSERO에 의해 얻은 hSBA 결과
제2 실험 세트에서, 조성물 F1, F3, TRUMENBA 및 BEXSERO에 의한 선행 실험에서 면역화 후 얻은 혈청을 11종의 추가 MenB 균주에 대해(위에 시험한 6종의 균주를 포함하는 총 17종의 MenB 균주에 대해) 분석하였다.
전체 결과를 선택한 MenB 균주의 패널에 대해 상이한 시험 조성물의 효능을 나타내는 아래의 표 3에 요약한다.
결과는 균주 번호 4 및 5가 TRUMENBA에 의해 불량하게 절단되거나 (71% 미만의 반응자) 절단되지 않았다(0% 반응자)는 것을 나타냈다. 반면 이들 균주에 대해 F1 및 F3 제형은 더 큰 정도로 또는 완전히 유효하게 작용했다.
또한, 상기 결과는 균주 번호 1, 5, 7, 8, 9 및 11이 BEXSERO에 의해 불량하게 절단되거나 절단되지 않는 반면, 이들에 대해 F1 및 F3 제형은 양호하게 또는 완전히 유효하게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목할 점은, 균주 번호 5에 대해서는 TRUMENBA 또는 BEXSERO가 전혀 유효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표 3은 MenB 균주의 17종 중 16종 및 17종 중 17종에 대해 F1 및 F3이 유효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대조적으로, TRUMENBA는 MenB 균주의 17종 중 15종에 대해 유효했고, BEXSERO는 MenB 균주의 17종 중 11종에 대해서만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한 제형 F3은 상이한 클론 복합체, ST-41/44, ST-32, ST-269, ST-213, ST-35, ST-461, ST-11 및 ST-461로부터의 모든 상이한 MenB 균주에 대해 보호를 유도할 수 있었다. 대조적으로, TRUMENBA 및 BEXSERO에 의해 유도된 유효범위는 일부 갭이 존재한다.
데이터의 결론에서, 본 개시내용의 MenB 다중성분 면역원성 조성물이 fHBP 낮은 발현자 및 분기하는 균주에 대해서조차 양호한 균주 유효범위를 제공한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F3 제형은 71% 초과의 반응자로 17/17 MenB 균주에 대해 유효하였고, F1 제형은 71% 초과의 반응자로 16/17 MenB 균주에 대해 유효하였다.
TRUMENBA는 15/17 MenB 균주에 대해 유효하였다. 유효하게 작용하지 않은 균주(0% 반응자)는 fHBP A10 발현에 대해 무효(null)였고, ST-11 클론 복합체에 속하였다. 불량하게 작용한 균주(71% 반응자)는 B24 발현 균주였다.
BEXSERO는 11/17 MenB 균주에 대해 유효하였다. 불량하게 작용하거나 작용하지 않은 6종의 균주(0 내지 57% 반응자)는 fHBP A 변이체를 발현시켰다. 이들은 순환 MenB 균주의 최대 29%를 나타낼 수 있고, 우세한 또는 고병독성 클론 복합체에 속하였다: ST-213; ST-11; ST-35; 및 ST-461.
새로 개발된 백신 조성물은 현재의 MenB 분자 역학(epidemiology)을 나타내는 18종의 균주; 즉, 가장 우세하고 고병독성인 클론 복합체(CC)로부터의 균주 그리고 가장 우세한 항원 변이체로부터의 균주에 대해 증가된 보호 범위를 제시한다.
실시예 3: MIMIC PTE 분석
1. 물질 및 방법
1. 시험 조성물 및 실험 설계
첫 연구에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백신 BEXSERO 및 TRUMENBA를 각각 20명의 공여자를 이용하여 MIMIC 성인 및 신생아 말초 조직 등가물(PTE) 배양물(아래 참조)에서 비교하였다. TRUMENBA 및 BEXSERO 백신 조성물은 실시예 1에 개시한 바와 같다.
두 번째 연구에서, MIMIC PTE 배양물(아래 참조)을 인간 용량의 10배 희석에 기반하여 1:100 내지 1:1000000의 용량 범위 곡선에서 5종의 백신 후보 제형 - F1, F2, F3; F4 및 F5(제형을 실시예 1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음) -으로 처리하였다. F1은 50 ㎍/용량의 각 구성성분 및 표준 용량의 AlPO4(0.4 ㎎/용량)를 함유하기 때문에 표준 제형으로 간주하고; F2 제형은 0.4 ㎎/용량 AlPO4에서 저용량 fHBP(25 ug/용량) 및 표준 용량의 NadA 및 dOMV(50 ㎍/용량)의 조합물이고; F3 제형은 고용량의 fHBP(100 ㎍/용량), 표준 용량의 NadA 및 dOMV(50 ㎍/용량), 및 고용량의 AlPO4(0.8 ㎎/용량)의 조합물이며; F4 제형은 표준 용량의 fHBP 및 NadA(각각 50 ㎍/용량), 저용량의 dOMV(25 ㎍/용량), 및 표준 용량의 AlPO4를 조합하고; F5 제형은 표준 용량의 fHBP 및 NadA(50 ㎍/용량), 고용량의 dOMV(125 ㎍/용량), 및 표준 용량의 AlPO4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 dOMV-기반 MenB 백신인 BEXSERO를 기준 참조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모의 또는 대조군 조성물은 무혈청 배양물 배지만을 함유하는 처리 없음 대조군이었다.
2. 성인 및 신생아 MIMIC PTE 분석
MIMIC PTE 작제물(Higbee et al., Altern Lab Anim. 2009 Sep;37 Suppl 1:19-27)을 Ma 등(Immunology, 2010, 130: 374-87)에 교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로봇 라인 상에서 조립하였다.
간단히 설명하면, 내피세포를 콜라겐 기질(Advanced Biomatrix,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소재) 꼭대기의 합류점까지 성장시켰다. 이후에, 냉동 저장액으로부터 준비한 공여자 PBMC(성인 MIMIC PTE) 또는 공여자 제대혈(신생아 MIMIC PTE)을 분석 웰에 적용하였다. 90분(성인 버전) 또는 3시간(제대혈 버전)의 인큐베이션 후에, 48시간 동안 최종 인큐베이션 단계에서 다양한 처리(실시예 1표 1)를 가하기 전에 비-이동 세포를 세척하였다. 100 ng/㎖ LPS(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Cat # L8643, Millipore Sigma, 매사추세츠주 벌링턴 소재)와 10 ㎍/㎖ R848(Cat # TLRL-R848, InvivoGen,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소재)의 혼합물을 이들 분석에서 양성 대조군(분석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48시간의 처리 기간 후에 역-이동 세포를 채취하고, 유세포분석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도에 대해 표현형으로 나타내는 한편, 동일한 시점에 채취한 배양물 상청액을 다중복합 분석에 의해 사이토카인/케모카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험의 첫 번째 시리즈에서, BEXSERO와 TRUMENBA를 함께 비교하였다. 실험의 두 번째 시리즈에서, 본 개시내용의 면역원성 조성물 F1, F2, F3, F4 및 F5를 BEXSERO와 비교하였다.
48시간의 처리 기간 후에 배양물 상청액을 채취하고, 다중복합 분석에 의해 사이토카인/케모카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동일한 시점에 채취한 세포를 유세포분석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도에 대해 표현형을 나타냈다.
3. 사이토카인/케모카인 분석
Milliplex 인간 12-플렉스 다중-사이토카인 검출 시스템(Millipore)을 이용하여 MIMIC 배양물 상청액을 분석하였다. 키트는 IL-1β, IL-6, MIP-1β 및 TNFα를 포함한다. 분석물 농도는 Bio-Plex 매니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관련 표준 곡선에 기반하여 계산하였다(Luna et al. PloS One vol. 13,6 e0197478. 6 Jun. 2018).
실행 허용 기준에 대해, 각 분석물에 대한 정량하한(LLOQ) 및 정량상한(ULOQ)은 표준 값의 5-모수 로지스틱(5PL) 곡선 적합도에 대한 각 지점의 회복(관측치/예상치*100)에 기반하여 확립하였다. 80% 내지 120%의 회복 백분율을 허용 가능한 것으로 고려하였고, 이 범위 내에 속하는 값은 표준 곡선의 하한과 상한을 정한다. 비드 계수에 대해 원 데이터 파일을 검토하였고; 영역당 최소 35개의 비드를 계수하였을 때 데이터 지점은 타당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4. 유세포분석
MIMIC® PTE-유래 세포를 PBS로 세척하였고, 세포 생존도에 대해 평가하기 위해 얼음 상에서 20분 동안 Live-Dead Aqua(InvitroGen, 캘리포니아주 칼스베드 소재)로 염색하였다. FlowJo 소프트웨어(Tree Star, 오리건주 애슐랜드 소재)를 이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유동 게이팅을 위해, 단일선을 선택한 후에 생세포를 선택하였다.
5. 데이터 분석 및 그래프 플롯팅
그래프 준비를 위해 GraphPad Prism(GraphPad Software,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소재)에 데이터를 보냈다. 사이토카인 데이터를 엑셀 데이터베이스에 보냈다. 범위 밖의 높은(>OOR) 값(곡선의 가장 높은 지점보다 더 높은 값)을 ULOQ로 대체하였고; 범위 밖의 낮은(<OOR) 값을 LLOQ(정량하한)의 1/2로 대체하였다.
6. 통계학적 분석
비열등성(non-inferiority) 모델을 이용하여 통계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세포 생존도, CD86, IL-6, IL-1b, TNF-a 및 MIP-1b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이 분석에 대한 종점으로서 사용하였다. 상이한 항원 제형 대 Bexsero® 백신에 대한 기하평균(GM)을 비교하고, δ= 2/3을 비-열등성의 척도로서 사용하였다. SA 절차, PROC TTEST를 이용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분석을 행하였고, 공개된 문헌에서 권장되는 바와 같이 GM 및 95% CI 범위를 나타내는 점도표 그래프로 나타낸다.
2. 결과
1. 성인 및 신생아 MIMIC PTE에서의 BEXSERO 및 TRUMENBA
비처리 및 처리된 성인 및 신생아 MIMIC PTE 배양물로부터의 배양물 상청액을 48시간 후에 채취하고, Millipore 커스텀 다중복합 어레이를 이용하여 사이토카인/케모카인 분비에 대해 분석하였다. 선천적 케모카인/사이토카인 IL-6, TNFα, MIP-1β 및 IL-1β를 본 분석에 포함시켰는데, 이들이 선천성 면역 활성에 중요하며 또한 면역-세포독성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얻어진 결과(도 10)는 TRUMENBA가 성인 MIMIC PTE에서 BEXSERO보다 더 강한 전염증 사이토카인 프로파일을 나타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TRUMENBA는 신생아 MIMIC PTE에서 BEXSERO보다 더 강한 전염증 사이토카인 프로파일을 나타냈다(도 11).
도 12에 제시한 바와 같은 통계학적 분석은 TRUMENBA가 대부분의 사이토카인에 대한 성인 및 신생아 플랫폼에서 BEXSERO보다 더 강한 반응을 생성하였다는 관찰을 확인하였다. 확실히, 성인 및 신생아 PTE에서 TRUMENBA보다 더 BEXSERO에 의해 촉발된 사이토카인 분비의 95% 신뢰구간에 의한 기하 평균의 포레스트 플롯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BEXSERO는 TRUMENBA보다 열등하다.
2. 성인 및 신생아 MIMIC PTE에서의 F1, F2, F3, F4, F5 및 BEXSERO
비처리 및 처리된 성인 및 신생아 MIMIC PTE 배양물로부터의 배양물 상청액을 48시간 후에 채취하고, Millipore 커스텀 다중복합 어레이를 이용하여 사이토카인/케모카인 분비에 대해 분석하였다. 선천적 케모카인/사이토카인 IL-6, TNFα, MIP-1β 및 IL-1β를 본 분석에 포함시켰는데, 이들이 선천성 면역 활성에 중요하며 또한 면역-세포독성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성인 MIMIC PTE 시스템에서(도 13a 내지 도 13d 참조), 모든 시험한 제형은 가장 높은 처리 용량(1:100, 1:1000, 1:10000)에서 모의 대조군(즉, 항원 없음)보다 약 1 log 더 높은 사이토카인 분비를 생성하였다. 거의 모든 경우에, 제형은 BEXSERO와 동일하거나 약간 더 낮은 결과를 보였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에서, 통계학적 분석은 보고한 모든 사이토카인에 대해, F1, F2, F4 및 F5 제형이 성인 MIMIC PTE에서 BEXSERO보다 더 적은 염증 반응을 생성하였다는 것을 나타냈다. F3 제형은 성인 MIMIC PTE 시스템에서 Bexsero와 유사하거나(TNF-α 또는 IL-1β) 더 적은(IL6 또는 MIP-1b)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유도하였다.
더 나아가, 모든 제형은 용량-의존적 방식으로 그리고 성인 PTE 모델에서 BEXSERO와 유사한 범위에서 면역세포독성을 나타냈다. 확실히,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생존도는 가장 낮은 처리 용량(1:100000 및 1:000000 희석)에서 거의 영향받지 않았고, 일부 시험 조건에서 가장 높은 용량(1:100 희석)에서 최대 거의 50%까지 감소되었다.
또한, 신생아 MIMIC PTE에서, F1, F2, F3, F4 및 F5 제형은 BEXSERO와 비슷한 전염증 사이토카인 프로파일을 나타냈다(도 16a 내지 도 16d). 모든 제형은 모의 조건에 대해 약 4배 내지 1 log 더 높은 사이토카인 분비를 생성하였다. F1, F2, F3 및 F4 제형은 BEXSERO와 유사하거나 더 적은 IL-6 및 TNF-α 분비를 유도하였다. F5 제형은 BEXSERO보다 약간 더 높은 전염증 사이토카인 분비를 유도하였다.
도 17a 및 도 17b에서, 통계학적 분석은 전반적으로 F1, F2 및 F3 제형이 신생아 MIMIC PTE에서 BEXSERO와 비슷한 염증 반응을 생성하였다는 것을 나타냈다. F5 제형은 신생아 MIMIC PTE에서 BEXSERO보다 약간 더 높은 염증 반응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F4 제형은 신생아 MIMIC PTE에서 BEXSERO보다 더 약한 반응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었다.
성인 MIMIC PTE 시스템과 유사하게, 모든 제형은 BEXSERO와 유사한 면역독성 프로파일을 나타냈다. 확실히,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생존도는 가장 낮은 처리 용량(1:100000 및 1000000 희석)에서 거의 영향받지 않았고, MIMIC 신생아 PTE에서의 일부 시험 조건에서 가장 높은 용량(1:100 희석)에서 거의 50%까지 감소되었다.
3. 결론
TRUMENBA는 MIMIC PTE의 성인 및 신생아 형태 둘 다에서 BEXSERO보다 더 강한 전염증 사이토카인 반응을 유도하였다.
F1, F2, F3, F4 및 F5 제형은 성인 MIMIC PTE 작제물에서 BEXSERO보다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유사한 또는 더 적은 분비를 생성하였다.
전반적으로, F5 제형은 신생아 MIMIC PTE에서 BEXSERO보다 더 많은 전염증 사이토카인을 유도한 반면, F1, F2, F3 및 F4 제형은 유사하거나 더 ?은 사이토카인 반응을 유도하였다.
F1, F2, F3, F4 및 F5 제형은 세포 생존도에 최소의 효과를 가졌고(일부 제형이 세포 생존도의 대략 40%를 유도한 경우 1:100의 희석을 제외함), BEXSERO와 유사한 경향이 있었다.
실시예 4: 일반적 결론
위에 제시한 결과로부터, 적어도 1종의 인자 H 결합 단백질(fHBP) A 단백질, 적어도 1종의 fHBP B 단백질, 적어도 1종의 네이세리아 부착소 A(NadA) 단백질, 및 적어도 1종의 세정제-추출 외막 소포(dOMV)를 포함하는 수막구균 항원의 조합을 포함하는 개시된 면역원성 조성물이 hSBA 결과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면역원서어 보호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는 백신으로서의 그리고 수막구균 감염에 대한 면역원성 보호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해당 조성물의 유용성을 확인한다.
더 나아가, 데이터는 우세한 그리고 고병독성의 MenB 균주 유효범위의 크기가 TRUMENBA 및 BEXSERO의 유효범위보다 더 크며, 상기 두 백신에 의해 남겨진 일부 갭을 채울 수 있게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최종적으로, 데이터는 해당 조성물이 양호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제시하고 TRUMENBA보다 이미 덜 반응원성인 BEXSERO와 유사하거나 이보다 덜 반응원성인 프로파일을 제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참고 문헌]
SEQUENCE LISTING <110> SANOFI PASTEUR <120> Meningococcal B Recombinant Vaccine <130> PR88967_EP_SANOFI PASTEUR <160> 7 <170> BiSSAP 1.3.6 <210> 1 <211> 261 <212> PRT <213> Neisseria meningitidis serogroup B <220> <223> fHbp A05 <400> 1 Cys Ser Ser Gly Ser Gly Ser Gly Gly Gly Gly Val Ala Ala Asp Ile 1 5 10 15 Gly Thr Gly Leu Ala Asp Ala Leu Thr Ala Pro Leu Asp His Lys Asp 20 25 30 Lys Gly Leu Lys Ser Leu Thr Leu Glu Asp Ser Ile Ser Gln Asn Gly 35 40 45 Thr Leu Thr Leu Ser Ala Gln Gly Ala Glu Lys Thr Phe Lys Val Gly 50 55 60 Asp Lys Asp Asn Ser Leu Asn Thr Gly Lys Leu Lys Asn Asp Lys Ile 65 70 75 80 Ser Arg Phe Asp Phe Val Gln Lys Ile Glu Val Asp Gly Gln Thr Ile 85 90 95 Thr Leu Ala Ser Gly Glu Phe Gln Ile Tyr Lys Gln Asp His Ser Ala 100 105 110 Val Val Ala Leu Gln Ile Glu Lys Ile Asn Asn Pro Asp Lys Ile Asp 115 120 125 Ser Leu Ile Asn Gln Arg Ser Phe Leu Val Ser Gly Leu Gly Gly Glu 130 135 140 His Thr Ala Phe Asn Gln Leu Pro Ser Gly Lys Ala Glu Tyr His Gly 145 150 155 160 Lys Ala Phe Ser Ser Asp Asp Ala Gly Gly Lys Leu Thr Tyr Thr Ile 165 170 175 Asp Phe Ala Ala Lys Gln Gly His Gly Lys Ile Glu His Leu Lys Thr 180 185 190 Pro Glu Gln Asn Val Glu Leu Ala Ser Ala Glu Leu Lys Ala Asp Glu 195 200 205 Lys Ser His Ala Val Ile Leu Gly Asp Thr Arg Tyr Gly Ser Glu Glu 210 215 220 Lys Gly Thr Tyr His Leu Ala Leu Phe Gly Asp Arg Ala Gln Glu Ile 225 230 235 240 Ala Gly Ser Ala Thr Val Lys Ile Arg Glu Lys Val His Glu Ile Gly 245 250 255 Ile Ala Gly Lys Gln 260 <210> 2 <211> 261 <212> PRT <213> Neisseria meningitidis serogroup B <220> <223> fHbp A05tmN <400> 2 Cys Ser Ser Gly Ser Gly Ser Gly Gly Gly Gly Val Ala Ala Asp Ile 1 5 10 15 Gly Thr Gly Leu Ala Asp Ala Leu Thr Ala Pro Leu Asp His Lys Asp 20 25 30 Lys Gly Leu Lys Ser Leu Thr Leu Glu Asp Ser Ile Ser Gln Asn Gly 35 40 45 Thr Leu Thr Leu Ser Ala Gln Gly Ala Glu Lys Thr Phe Lys Val Gly 50 55 60 Asp Lys Asp Asn Ser Leu Asn Thr Gly Lys Leu Lys Asn Asp Lys Ile 65 70 75 80 Ser Arg Phe Asp Phe Val Gln Lys Ile Glu Val Asp Gly Gln Thr Ile 85 90 95 Thr Leu Ala Ser Gly Glu Phe Gln Ile Tyr Lys Gln Asp His Ser Ala 100 105 110 Val Val Ala Leu Gln Ile Glu Lys Ile Asn Asn Pro Asp Lys Ile Asp 115 120 125 Ser Leu Ile Asn Gln Arg Ser Phe Arg Val Ser Asp Leu Gly Gly Glu 130 135 140 His Thr Ala Phe Asn Gln Leu Pro Ser Gly Lys Ala Glu Tyr His Gly 145 150 155 160 Lys Ala Phe Ser Ser Asp Asp Ala Gly Gly Lys Leu Thr Tyr Thr Ile 165 170 175 Asp Phe Ala Ala Lys Gln Gly His Gly Lys Ile Glu His Leu Lys Thr 180 185 190 Pro Glu Gln Asn Val Glu Leu Ala Ser Ala Glu Leu Lys Ala Asp Glu 195 200 205 Lys Ser His Ala Val Ile Leu Gly Asp Thr Arg Tyr Gly Ser Glu Glu 210 215 220 Lys Ser Thr Tyr His Leu Ala Leu Phe Gly Asp Arg Ala Gln Glu Ile 225 230 235 240 Ala Gly Ser Ala Thr Val Lys Ile Arg Glu Lys Val His Glu Ile Gly 245 250 255 Ile Ala Gly Lys Gln 260 <210> 3 <211> 260 <212> PRT <213> Neisseria meningitidis serogroup B <220> <223> fHbp B01 <400> 3 Cys Ser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Val Thr Ala Asp 1 5 10 15 Ile Gly Thr Gly Leu Ala Asp Ala Leu Thr Ala Pro Leu Asp His Lys 20 25 30 Asp Lys Gly Leu Lys Ser Leu Thr Leu Glu Asp Ser Ile Ser Gln Asn 35 40 45 Gly Thr Leu Thr Leu Ser Ala Gln Gly Ala Glu Lys Thr Tyr Gly Asn 50 55 60 Gly Asp Ser Leu Asn Thr Gly Lys Leu Lys Asn Asp Lys Val Ser Arg 65 70 75 80 Phe Asp Phe Ile Arg Gln Ile Glu Val Asp Gly Gln Leu Ile Thr Leu 85 90 95 Glu Ser Gly Glu Phe Gln Val Tyr Lys Gln Ser His Ser Ala Leu Thr 100 105 110 Ala Leu Gln Thr Glu Gln Glu Gln Asp Pro Glu His Ser Glu Lys Met 115 120 125 Val Ala Lys Arg Arg Phe Arg Ile Gly Asp Ile Ala Gly Glu His Thr 130 135 140 Ser Phe Asp Lys Leu Pro Lys Asp Val Met Ala Thr Tyr Arg Gly Thr 145 150 155 160 Ala Phe Gly Ser Asp Asp Ala Gly Gly Lys Leu Thr Tyr Thr Ile Asp 165 170 175 Phe Ala Ala Lys Gln Gly His Gly Lys Ile Glu His Leu Lys Ser Pro 180 185 190 Glu Leu Asn Val Asp Leu Ala Val Ala Tyr Ile Lys Pro Asp Glu Lys 195 200 205 His His Ala Val Ile Ser Gly Ser Val Leu Tyr Asn Gln Asp Glu Lys 210 215 220 Gly Ser Tyr Ser Leu Gly Ile Phe Gly Glu Lys Ala Gln Glu Val Ala 225 230 235 240 Gly Ser Ala Glu Val Glu Thr Ala Asn Gly Ile His His Ile Gly Leu 245 250 255 Ala Ala Lys Gln 260 <210> 4 <211> 260 <212> PRT <213> Neisseria meningitidis serogroup B <220> <223> fHbp B01smN <400> 4 Cys Ser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Val Thr Ala Asp 1 5 10 15 Ile Gly Thr Gly Leu Ala Asp Ala Leu Thr Ala Pro Leu Asp His Lys 20 25 30 Asp Lys Gly Leu Lys Ser Leu Thr Leu Glu Asp Ser Ile Ser Gln Asn 35 40 45 Gly Thr Leu Thr Leu Ser Ala Gln Gly Ala Glu Lys Thr Tyr Gly Asn 50 55 60 Gly Asp Ser Leu Asn Thr Gly Lys Leu Lys Asn Asp Lys Val Ser Arg 65 70 75 80 Phe Asp Phe Ile Arg Gln Ile Glu Val Asp Gly Gln Leu Ile Thr Leu 85 90 95 Glu Ser Gly Glu Phe Gln Val Tyr Lys Gln Ser His Ser Ala Leu Thr 100 105 110 Ala Leu Gln Thr Glu Gln Glu Gln Asp Pro Glu His Ser Glu Lys Met 115 120 125 Val Ala Lys Arg Arg Phe Arg Ile Gly Asp Ile Ala Gly Glu His Thr 130 135 140 Ser Phe Asp Lys Leu Pro Lys Asp Val Met Ala Thr Tyr Arg Gly Thr 145 150 155 160 Ala Phe Gly Ser Asp Asp Ala Gly Gly Lys Leu Thr Tyr Thr Ile Asp 165 170 175 Phe Ala Ala Lys Gln Gly His Gly Lys Ile Glu His Leu Lys Ser Pro 180 185 190 Glu Leu Asn Val Asp Leu Ala Val Ala Tyr Ile Lys Pro Asp Glu Lys 195 200 205 His His Ala Val Ile Ser Gly Ser Val Leu Tyr Asn Gln Asp Glu Lys 210 215 220 Gly Ser Tyr Ser Leu Gly Ile Phe Gly Glu Lys Ala Gln Glu Val Ala 225 230 235 240 Gly Ser Ala Glu Val Glu Thr Ala Asn Gly Ile His Leu Ile Gly Leu 245 250 255 Ala Ala Lys Gln 260 <210> 5 <211> 284 <212> PRT <213> Neisseria meningitidis serogroup B <220> <223> NadA1 C-terminally truncated <400> 5 Met Thr Ser Asp Asp Asp Val Lys Lys Ala Ala Thr Val Ala Ile Val 1 5 10 15 Ala Ala Tyr Asn Asn Gly Gln Glu Ile Asn Gly Phe Lys Ala Gly Glu 20 25 30 Thr Ile Tyr Asp Ile Gly Glu Asp Gly Thr Ile Thr Gln Lys Asp Ala 35 40 45 Thr Ala Ala Asp Val Glu Ala Asp Asp Phe Lys Gly Leu Gly Leu Lys 50 55 60 Lys Val Val Thr Asn Leu Thr Lys Thr Val Asn Glu Asn Lys Gln Asn 65 70 75 80 Val Asp Ala Lys Val Lys Ala Ala Glu Ser Glu Ile Glu Lys Leu Thr 85 90 95 Thr Lys Leu Ala Asp Thr Asp Ala Ala Leu Ala Asp Thr Asp Ala Ala 100 105 110 Leu Asp Glu Thr Thr Asn Ala Leu Asn Lys Leu Gly Glu Asn Ile Thr 115 120 125 Thr Phe Ala Glu Glu Thr Lys Thr Asn Ile Val Lys Ile Asp Glu Lys 130 135 140 Leu Glu Ala Val Ala Asp Thr Val Asp Lys His Ala Glu Ala Phe Asn 145 150 155 160 Asp Ile Ala Asp Ser Leu Asp Glu Thr Asn Thr Lys Ala Asp Glu Ala 165 170 175 Val Lys Thr Ala Asn Glu Ala Lys Gln Thr Ala Glu Glu Thr Lys Gln 180 185 190 Asn Val Asp Ala Lys Val Lys Ala Ala Glu Thr Ala Ala Gly Lys Ala 195 200 205 Glu Ala Ala Ala Gly Thr Ala Asn Thr Ala Ala Asp Lys Ala Glu Ala 210 215 220 Val Ala Ala Lys Val Thr Asp Ile Lys Ala Asp Ile Ala Thr Asn Lys 225 230 235 240 Ala Asp Ile Ala Lys Asn Ser Ala Arg Ile Asp Ser Leu Asp Lys Asn 245 250 255 Val Ala Asn Leu Arg Lys Glu Thr Arg Gln Gly Leu Ala Glu Gln Ala 260 265 270 Ala Leu Ser Gly Leu Phe Gln Pro Tyr Asn Val Gly 275 280 <210> 6 <211> 255 <212> PRT <213> Neisseria meningitidis serogroup B <220> <223> fHbp B24 <400> 6 Cys Ser Ser Gly Gly Gly Gly Val Ala Ala Asp Ile Gly Ala Gly Leu 1 5 10 15 Ala Asp Ala Leu Thr Ala Pro Leu Asp His Lys Asp Lys Gly Leu Gln 20 25 30 Ser Leu Thr Leu Asp Gln Ser Val Arg Lys Asn Glu Lys Leu Lys Leu 35 40 45 Ala Ala Gln Gly Ala Glu Lys Thr Tyr Gly Asn Gly Asp Ser Leu Asn 50 55 60 Thr Gly Lys Leu Lys Asn Asp Lys Val Ser Arg Phe Asp Phe Ile Arg 65 70 75 80 Gln Ile Glu Val Asp Gly Gln Leu Ile Thr Leu Glu Ser Gly Glu Phe 85 90 95 Gln Val Tyr Lys Gln Ser His Ser Ala Leu Thr Ala Phe Gln Thr Glu 100 105 110 Gln Ile Gln Asp Ser Glu His Ser Gly Lys Met Val Ala Lys Arg Gln 115 120 125 Phe Arg Ile Gly Asp Ile Ala Gly Glu His Thr Ser Phe Asp Lys Leu 130 135 140 Pro Glu Gly Gly Arg Ala Thr Tyr Arg Gly Thr Ala Phe Gly Ser Asp 145 150 155 160 Asp Ala Gly Gly Lys Leu Thr Tyr Thr Ile Asp Phe Ala Ala Lys Gln 165 170 175 Gly Asn Gly Lys Ile Glu His Leu Lys Ser Pro Glu Leu Asn Val Asp 180 185 190 Leu Ala Ala Ala Asp Ile Lys Pro Asp Gly Lys Arg His Ala Val Ile 195 200 205 Ser Gly Ser Val Leu Tyr Asn Gln Ala Glu Lys Gly Ser Tyr Ser Leu 210 215 220 Gly Ile Phe Gly Gly Lys Ala Gln Glu Val Ala Gly Ser Ala Glu Val 225 230 235 240 Lys Thr Val Asn Gly Ile Arg His Ile Gly Leu Ala Ala Lys Gln 245 250 255 <210> 7 <211> 362 <212> PRT <213> Neisseria meningitidis serogroup B <220> <223> NadA1 <400> 7 Met Lys His Phe Pro Ser Lys Val Leu Thr Thr Ala Ile Leu Ala Thr 1 5 10 15 Phe Cys Ser Gly Ala Leu Ala Ala Thr Ser Asp Asp Asp Val Lys Lys 20 25 30 Ala Ala Thr Val Ala Ile Val Ala Ala Tyr Asn Asn Gly Gln Glu Ile 35 40 45 Asn Gly Phe Lys Ala Gly Glu Thr Ile Tyr Asp Ile Gly Glu Asp Gly 50 55 60 Thr Ile Thr Gln Lys Asp Ala Thr Ala Ala Asp Val Glu Ala Asp Asp 65 70 75 80 Phe Lys Gly Leu Gly Leu Lys Lys Val Val Thr Asn Leu Thr Lys Thr 85 90 95 Val Asn Glu Asn Lys Gln Asn Val Asp Ala Lys Val Lys Ala Ala Glu 100 105 110 Ser Glu Ile Glu Lys Leu Thr Thr Lys Leu Ala Asp Thr Asp Ala Ala 115 120 125 Leu Ala Asp Thr Asp Ala Ala Leu Asp Glu Thr Thr Asn Ala Leu Asn 130 135 140 Lys Leu Gly Glu Asn Ile Thr Thr Phe Ala Glu Glu Thr Lys Thr Asn 145 150 155 160 Ile Val Lys Ile Asp Glu Lys Leu Glu Ala Val Ala Asp Thr Val Asp 165 170 175 Lys His Ala Glu Ala Phe Asn Asp Ile Ala Asp Ser Leu Asp Glu Thr 180 185 190 Asn Thr Lys Ala Asp Glu Ala Val Lys Thr Ala Asn Glu Ala Lys Gln 195 200 205 Thr Ala Glu Glu Thr Lys Gln Asn Val Asp Ala Lys Val Lys Ala Ala 210 215 220 Glu Thr Ala Ala Gly Lys Ala Glu Ala Ala Ala Gly Thr Ala Asn Thr 225 230 235 240 Ala Ala Asp Lys Ala Glu Ala Val Ala Ala Lys Val Thr Asp Ile Lys 245 250 255 Ala Asp Ile Ala Thr Asn Lys Ala Asp Ile Ala Lys Asn Ser Ala Arg 260 265 270 Ile Asp Ser Leu Asp Lys Asn Val Ala Asn Leu Arg Lys Glu Thr Arg 275 280 285 Gln Gly Leu Ala Glu Gln Ala Ala Leu Ser Gly Leu Phe Gln Pro Tyr 290 295 300 Asn Val Gly Arg Phe Asn Val Thr Ala Ala Val Gly Gly Tyr Lys Ser 305 310 315 320 Glu Ser Ala Val Ala Ile Gly Thr Gly Phe Arg Phe Thr Glu Asn Phe 325 330 335 Ala Ala Lys Ala Gly Val Ala Val Gly Thr Ser Ser Gly Ser Ser Ala 340 345 350 Ala Tyr His Val Gly Val Asn Tyr Glu Trp 355 360

Claims (31)

  1.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Neisseria meningitidis) 혈청군 B 항원의 조합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로서, 상기 조합은 적어도 1종의 인자 H 결합 단백질(fHBP) A 단백질, 적어도 1종의 fHBP B 단백질, 적어도 1종의 네이세리아 부착소 A(NadA) 단백질, 및 적어도 1종의 세정제-추출 외막 소포(dOMV)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HBP A 단백질 및/또는 상기 fHBP B 단백질은 비-지질화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1과 적어도 약 85% 동일성을 포함하는 돌연변이된 단백질이고/이거나 상기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3과 적어도 약 85% 동일성을 포함하는 돌연변이 단백질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a) 115번 아미노산에서의 아스파라긴의 아미노산 치환(N115); b) 121번 아미노산에서의 아스파르트산의 아미노산 치환(D121); c) 128번 아미노산에서의 세린의 아미노산 치환(S128); d) 130번 아미노산에서의 류신의 아미노산 치환(L130); e) 131번 위치에서 발린의 아미노산 치환(V131); f) 133번 위치에서 글리신의 아미노산 치환(G133); g) 219번 위치에서 리신의 아미노산 치환(K219); 및 h) 220번 위치에서 글리신의 아미노산 치환(G2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거나, 또는 서열번호 2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지고/지거나, 상기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a) 38번 아미노산에서의 글루타민의 아미노산 치환(Q38); b) 92번 아미노산에서의 글루탐산의 아미노산 치환(E92); c) 130번 아미노산에서의 아르기닌의 아미노산 치환(R130); d) 223번 아미노산에서의 세린의 아미노산 치환(S223); 및 e) 248번 아미노산에서의 히스티딘의 아미노산 치환(H248)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거나, 서열번호 4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fHBP A 단백질 및/또는 fHBP B는 약 2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40 ㎍/용량 내지 약 14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12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또는 약 100 ㎍/용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adA 단백질은 NadA1 단백질이거나, 서열번호 5와 적어도 약 85% 동일성을 포함하거나, 서열번호 5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adA 단백질은 약 2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40 ㎍/용량 내지 약 14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12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0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OMV는 포린 A(PorA)를 포함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OMV는 약 5 ㎍/용량 내지 약 400 ㎍/용량, 또는 약 10 ㎍/용량 내지 약 3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250 ㎍/용량, 또는 약 35 ㎍/용량 내지 약 2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100 ㎍/용량 내지 약 150 ㎍/용량, 또는 약 110 ㎍/용량 내지 약 125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또는 약 125 ㎍/용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쥬반트, 특히,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 특히, 수산화알루미늄 아쥬반트,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황산알루미늄 염 아쥬반트, 수산화인산 알루미늄 황산염 아쥬반트, 황산알루미늄 칼륨 아쥬반트, 수산화탄산 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마그네슘의 조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를 더 포함하며, 특히,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인,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25 내지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25 내지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25 내지 100 ㎍/용량의 NadA 단백질,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의 20 내지 150 ㎍/용량의 dOMV, 100 내지 600 ㎍/용량의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진,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혈청군 A, C, W135 및/또는 Y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적어도 접합된 캡슐 당류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백신.
  14. 제1항 내지 제12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막구균 감염에 대한 보호에 사용하기 위한 또는 수막구균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또는 백신.
  15. 서열번호 2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fHBP A 단백질에 대한 mRNA 암호, 서열번호 4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fHBP B 단백질에 대한 mRNA 암호, 서열번호 5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NadA 단백질에 대한 mRNA 암호, 및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로부터의 dOMV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진 조성물.
  16.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혈청군 B 항원의 조합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로서, 상기 조합물은 서열번호 1과 적어도 약 85% 동일성을 포함하고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적어도 아미노산 치환 G220S를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비-지질화 인자 H 결합 단백질(fHBP) A 단백질, 적어도 1종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적어도 1종의 네이세리아 부착소 A(NadA) 단백질, 및 적어도 1종의 세정제-추출된 외막 소포(dOMV)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3과 적어도 약 85% 동일성을 포함하는 돌연변이된 단백질인,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아미노산 치환 H248L을 포함하는,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4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조성물.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6의 넘버링에 기반하여 아미노산 치환 L130R 및 G133D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은 서열번호 2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조성물.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NadA 단백질은 NadA1 단백질이거나, 서열번호 5와 적어도 약 85% 동일성을 포함하거나, 서열번호 5를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조성물.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OMV는 PorA VR2 아형을 포함하는, 조성물.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dOMV는 PorA VR2 P1.2를 포함하는, 조성물.
  25. 제16항에 있어서, 아쥬반트, 특히,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 특히, 수산화알루미늄 아쥬반트,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황산알루미늄 염 아쥬반트, 수산화인산 알루미늄 황산염 아쥬반트, 황산알루미늄 칼륨 아쥬반트, 수산화탄산 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마그네슘의 조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알루미늄-기반 아쥬반트를 더 포함하며, 특히, 이는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인, 조성물.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fHBP A 단백질 및/또는 fHBP B는 약 2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40 ㎍/용량 내지 약 14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12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또는 약 100 ㎍/용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NadA 단백질은 약 2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40 ㎍/용량 내지 약 14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12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00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dOMV는 약 5 ㎍/용량 내지 약 400 ㎍/용량, 또는 약 10 ㎍/용량 내지 약 300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내지 약 250 ㎍/용량, 또는 약 35 ㎍/용량 내지 약 2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내지 약 200 ㎍/용량, 또는 약 75 ㎍/용량 내지 약 180 ㎍/용량, 또는 약 100 ㎍/용량 내지 약 150 ㎍/용량, 또는 약 110 ㎍/용량 내지 약 125 ㎍/용량, 또는 약 25 ㎍/용량, 또는 약 50 ㎍/용량, 또는 약 125 ㎍/용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27. 제16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25 내지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A 단백질,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25 내지 100 ㎍/용량의 비-지질화 fHBP B 단백질,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25 내지 100 ㎍/용량의 NadA 단백질,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 균주로부터의 20 내지 150 ㎍/용량의 dOMV, 100 내지 600 ㎍/용량의 인산알루미늄 아쥬반트, 50 mM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pH 6.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진, 조성물.
  28. 제16항에 있어서,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혈청군 A, C, W135 및/또는 Y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적어도 접합된 캡슐 당류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29. 제16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백신.
  30. 제27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백신.
  31. 수막구균 감염에 대한 보호 또는 수막구균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반응의 유도를 위한 치료 방법으로서, 서열번호 2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fHBP A 단백질에 대한 mRNA 암호, 서열번호 4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fHBP B 단백질에 대한 mRNA 암호, 서열번호 5와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적어도 약 99.5%, 또는 약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포함하는 NadA 단백질에 대한 mRNA 암호, 및 PorA VR2 P1.2를 발현시키는 MenB로부터의 dOMV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수막구균 감염에 대한 보호 또는 수막구균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반응의 유도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 방법.
KR1020237027927A 2021-02-19 2022-02-18 수막구균 b 재조합 백신 KR202301470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305211.1 2021-02-19
EP21305211 2021-02-19
US202163172885P 2021-04-09 2021-04-09
US63/172,885 2021-04-09
PCT/US2022/016894 WO2022178196A1 (en) 2021-02-19 2022-02-18 Meningococcal b recombinant vacc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075A true KR20230147075A (ko) 2023-10-20

Family

ID=8059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7927A KR20230147075A (ko) 2021-02-19 2022-02-18 수막구균 b 재조합 백신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20265805A1 (ko)
EP (1) EP4294432A1 (ko)
JP (1) JP2024507828A (ko)
KR (1) KR20230147075A (ko)
AU (1) AU2022223712A1 (ko)
CA (1) CA3211240A1 (ko)
CO (1) CO2023010612A2 (ko)
IL (1) IL305313A (ko)
MX (1) MX2023009728A (ko)
TW (1) TW202245836A (ko)
WO (1) WO20221781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9003A1 (en) 2020-11-06 2022-05-12 Sanofi Lipid nanoparticles for delivering mrna vaccines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5624A (en) 1984-05-10 1987-09-22 Merck & Co., Inc. Covalently-modified polyanionic bacterial polysaccharides, stable covalent conjugates of such polysaccharides and immunogenic proteins with bigeneric spacers, and methods of preparing such polysaccharides and conjugates and of confirming covalency
GB8815795D0 (en) 1988-07-02 1988-08-10 Bkl Extrusions Ltd Glazing bead
JPH0832638B2 (ja) 1989-05-25 1996-03-29 カイロン コーポレイション サブミクロン油滴乳剤を含んで成るアジュバント製剤
PT761231E (pt) 1992-06-25 2000-06-30 Smithkline Beecham Biolog Composicao de vacina contendo adjuvantes
EP1175912A1 (en) 1993-03-23 2002-01-30 SmithKline Beecham Biologics SA Vaccine compositions containing 3-O deacylated monophosphoryl lipid A
GB9326253D0 (en) 1993-12-23 1994-02-23 Smithkline Beecham Biolog Vaccines
US5494808A (en) 1994-09-15 1996-02-27 Merck & Co., Inc. Defined medium OMPC fermentation process
GB9513261D0 (en) 1995-06-29 1995-09-06 Smithkline Beecham Biolog Vaccines
DE69838294T2 (de) 1997-05-20 2009-08-13 Ottawa Health Research Institute, Ottaw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ukleinsäurekonstrukten
GB9712347D0 (en) 1997-06-14 1997-08-13 Smithkline Beecham Biolog Vaccine
CA2302554C (en) 1997-09-05 2007-04-10 Smithkline Beecham Biologicals S.A. Oil in water emulsions containing saponins
US6303114B1 (en) 1998-03-05 2001-10-16 The Medical College Of Ohio IL-12 enhancement of immune responses to T-independent antigens
BR9909915A (pt) 1998-04-09 2000-12-26 Smithkline Beecham Biolog Composições adjuvantes
GB9817052D0 (en) 1998-08-05 1998-09-30 Smithkline Beecham Biolog Vaccine
DE69935606T9 (de) 1998-10-16 2021-03-11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Adjuvanzsysteme und impfstoffe
MY125387A (en) 1999-03-19 2006-07-31 Smithkline Beecham Biologicals S A Vaccine
EP2322210A1 (en) 1999-04-19 2011-05-18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Adjuvant composition comprising saponin and an immunostimulatory oligonucleotide
CA2383413A1 (en) 1999-09-24 2001-03-29 Smithkline Beecham Biologicals S.A. Use of combination of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and octoxynol as adjuvant and its use in vaccines
WO2001021152A1 (en) 1999-09-24 2001-03-29 Smithkline Beecham Biologicals S.A. Adjuvant comprising a polyxyethylene alkyl ether or ester and at least one nonionic surfactant
BR0108711A (pt) 2000-02-28 2004-06-22 Chiron Spa Expressão heteróloga de proteìnas de neisseria
MXPA03006561A (es) 2001-01-23 2004-10-15 Aventis Pasteur Vacuna del conjugado proteina-polisacarido meningococico, multivalente.
GB0121591D0 (en) 2001-09-06 2001-10-24 Chiron Spa Hybrid and tandem expression of neisserial proteins
MX339524B (es) * 2001-10-11 2016-05-30 Wyeth Corp Composiciones inmunogenicas novedosas para la prevencion y tratamiento de enfermedad meningococica.
BRPI0909820A2 (pt) 2008-03-05 2015-08-11 Sanofi Pasteur Processo para estabilização de composição de vacina contra gripe, para estabilização de composição de vacina contendo adjuvante e para preparação de vacina, composições de vacina, kit de vacina e método de estocagem de uma matéria prima
GB0819633D0 (en) 2008-10-25 2008-12-03 Isis Innovation Composition
AU2016273825A1 (en) * 2009-10-27 2017-01-05 Novartis Ag Modified meningococcal fHBP polypeptides
BR112012010531A2 (pt) 2009-10-27 2019-09-24 Novartis Ag "polipeptídeos de modificação meningocócica fhbp"
JP2013521770A (ja) * 2010-03-10 2013-06-13 グラクソスミスクライン バイオロジカルズ ソシエテ アノニム ワクチン組成物
CA2790167C (en) 2010-03-30 2021-02-09 Children's Hospital & Research Center Oakland Factor h binding proteins (fhbp) with altered propert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2803239A1 (en) * 2010-06-25 2011-12-29 Novartis Ag Combinations of meningococcal factor h binding proteins
NZ607224A (en) 2010-09-10 2014-11-28 Wyeth Llc Non-lipidated variants of neisseria meningitidis orf2086 antigens
JP6042816B2 (ja) 2011-09-26 2016-12-14 テルモ株式会社 液体注入具
NZ628449A (en) 2012-03-09 2016-04-29 Pfizer Neisseria meningitidis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BR112016002150A2 (pt) 2013-08-02 2017-09-12 Children´S Hospital & Res Center At Oakland proteínas de ligação de fator h de ocorrência natural (fhbp) e métodos de uso das mesmas
HUE052293T2 (hu) 2014-02-28 2021-04-28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Módosított fHbp meningococcus-polipeptidek
EP3127572B1 (en) 2014-03-31 2021-12-22 Terumo Kabushiki Kaisha Prefilled syringe
BE1022641B1 (fr) 2014-07-17 2016-06-23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POLYPEPTIDES MENINGOCOCCIQUES fHbp MODIFIES
BR112017001417B1 (pt) * 2014-07-23 2023-11-07 Children's Hospital & Research Center At Oakland Variantes da proteína de ligação ao fator h (fhbp), composição imunogênica e uso de uma fhbp variante referência cruzada
EP3011990A1 (en) 2014-10-21 2016-04-27 Sulzer Mixpac AG Dual-chamber syringe
DK3506935T3 (en) 2016-09-02 2024-04-02 Sanofi Pasteur Inc Neisseria meningitidis-vaccine
EP3607967A1 (en) 2018-08-09 2020-02-12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Modified meningococcal fhbp polypeptides
WO2020165711A1 (en) * 2019-02-11 2020-08-20 Pfizer Inc. Neisseria meningitidis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223712A9 (en) 2024-02-22
IL305313A (en) 2023-10-01
JP2024507828A (ja) 2024-02-21
AU2022223712A1 (en) 2023-10-05
EP4294432A1 (en) 2023-12-27
WO2022178196A1 (en) 2022-08-25
MX2023009728A (es) 2023-08-30
US20220265805A1 (en) 2022-08-25
CO2023010612A2 (es) 2023-09-08
TW202245836A (zh) 2022-12-01
CA3211240A1 (en)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10600B2 (en) Neisseria meningitidis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US11472850B2 (en) Neisseria meningitidis composition and methods thereof
KR20230147075A (ko) 수막구균 b 재조합 백신
CN117120082A (zh) 重组b型脑膜炎球菌疫苗
CN118105474A (zh) 重组b型脑膜炎球菌疫苗
CN113226361A (zh) 疫苗多肽组合物及方法
WO2024030931A1 (en) Adjuvanted immunogenic composition against neisseria meningitidis b
JP2013510188A (ja) 黄色ブドウ球菌に由来する菌血症関連抗原
NZ731330B2 (en) Neisseria meningitidis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