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6817A -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6817A
KR20230146817A KR1020220045706A KR20220045706A KR20230146817A KR 20230146817 A KR20230146817 A KR 20230146817A KR 1020220045706 A KR1020220045706 A KR 1020220045706A KR 20220045706 A KR20220045706 A KR 20220045706A KR 20230146817 A KR20230146817 A KR 20230146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dule
heat dissipation
space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민
유하나
주일
문현석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5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6817A/ko
Publication of KR20230146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2Units using UV-light emitting diodes [LED]

Abstract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살균 장치는 외부와 연통되는 하우징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우징 공간에서 유동되는 유체를 살균하는 살균 모듈;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살균 모듈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우징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고, 상기 살균 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는 방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 모듈은, 상기 살균 모듈 및 상기 유체와 직접 접촉되어, 상기 살균 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유체에 전달하게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Sterilizing apparatus and water purifier include the same}
본 발명은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수되는 물을 살균하기 위해 구비되는 부재가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는 구조의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물을 여과하는 임의의 장치를 의미한다. 음용을 위한 물의 청결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정수기는 사무실 등 공공장소뿐만 아니라 가정용으로도 구비되어 사용되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정수기는 물리적, 화학적 방법을 통해 물을 여과함이 일반적이다. 정수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필터를 구비하여, 그 내부를 유동, 통과하는 물을 다양한 방법으로 여과할 수 있다. 정수기를 통과하여 출수되는 물은, 상기 과정을 통해 이물질 등이 제거되어 음용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필터는 원수(raw water)에 혼합된 이물질 또는 미생물 등을 여과할 수 있다. 다만, 사용 환경에 따라 정수기의 미사용 등으로 인해 정수기 내부에서 여과된 물이 유동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여과된 후 정수기 내부에 정체된 물이 외기 등에 의해 오염되어 미생물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여과된 물이 출수되기 전 살균을 위한 빛 등을 조사하여, 서식하는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 출수하는 정수기가 개발, 판매되고 있다.
살균 기능을 갖춘 정수기는 빛, 구체적으로 자외선 등을 조사하여 출수되는 물에서 서식하는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즉, 상기 정수기는 물의 여과뿐만 아니라, 물의 살균을 위한 별도의 살균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살균 부재의 작동이 진행됨에 따라, 살균 부재가 과열될 가능성이 있다. 발생된 다량의 열은 살균 부재 자체를 손상시켜, 결과적으로 정수기 전체의 손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살균을 위해 구비되는 살균 부재의 경우, 냉각을 위한 구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0-0089174호는 살균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정수 등에 빛을 조사하여 정수 등을 살균하기 위한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를 냉각하기 위한 방열 패드, 방열 핀을 구비한 살균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살균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는 공기를 이용한 냉각, 즉 공냉 방식을 채택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살균유닛의 방열 핀은 공기와의 접촉을 통해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정수기 내부의 협소한 공간 및 열용량의 한계에 기인하여, 발광소자의 냉각 효율이 향상되기 어렵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262980호는 냉매 응축 성능이 향상된 물 생성 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정수 공급조에 연결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살균기를 포함하여, 정수 공급조를 통과하는 물을 살균할 수 있는 구조의 물 생성 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물 생성 장치는 자외선 살균기를 냉각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개시하지 않는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출수되는 물에서 서식하는 미생물들을 살균 제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할 뿐, 살균 제거를 위해 구비되는 구성을 냉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0-0089174호 (2020.07.24.)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262980호 (2021.06.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되는 물을 살균할 수 있는 구조의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살균을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 출수되는 물에 의해 냉각될 수 있는 구조의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살균을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 다양한 방식으로 냉각될 수 있는 구조의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살균을 위해 구비되는 구성의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의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출수되는 물의 살균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의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살균된 물이 최소한의 거리만큼 유동된 후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구조의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와 연통되는 하우징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우징 공간에서 유동되는 유체를 살균하는 살균 모듈;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살균 모듈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우징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고, 상기 살균 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는 방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 모듈은, 상기 살균 모듈 및 상기 유체와 직접 접촉되어, 상기 살균 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유체에 전달하게 구성되는, 살균 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살균 모듈은, 상기 유체를 살균하기 위한 빛(light)을 조사하게 구성되는 조사 부재; 및 상기 조사 부재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우징 공간에서 유동되는 유체에 확산시키게 구성되는 확산 부재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사 부재는 LED 모듈로 구비되고, 상기 확산 부재는, 상기 조사 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조사 부재를 지지하는 제1 확산 면; 및 상기 제1 확산 면에 대향(opposite)되게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우징 공간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2 확산 면을 포함하는, 살균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산 부재의 상기 제2 확산 면은 상기 하우징 공간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유동되는 상기 유체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살균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개방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유출구; 및 상기 유출구 및 상기 하우징 공간과 각각 연통되어, 상기 유체가 유출되는 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유동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 모듈은, 상기 하우징 유동 공간을 부분적으로 덮으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유동 공간에서 유동되는 유체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살균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열 모듈은, 상기 하우징 유동 공간에 반대되는 제1 면; 및 상기 하우징 유동 공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배치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살균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 모듈은, 그 내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살균 모듈을 수용하는 살균 모듈 실장부; 상기 살균 모듈 실장부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공간과 상기 살균 모듈 실장부를 연통하는 확산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 모듈은, 상기 살균 모듈 실장부에 수용되어, 상기 확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공간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며 상기 확산 개구부를 폐쇄하게 배치되는, 살균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열 모듈은, 상기 제2 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공간 및 상기 하우징 유동 공간과 각각 연통되고, 상기 유체가 유동되는 방열 유로 홈을 포함하는, 살균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 모듈은, 그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살균 모듈에 의해 부분적으로 폐쇄되는 확산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 개구부와 상기 방열 유로 홈은 연통되는, 살균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열 유로 홈은, 상기 확산 개구부 및 상기 방열 모듈의 외주 사이에서 연장되어, 그 연장 방향의 일 단부는 상기 확산 개구부와 연통되고, 그 연장 방향의 타 단부는 상기 하우징 유동 공간과 연통되는, 살균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 유로 홈은 복수 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방열 유로 홈은 상기 방열 모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살균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와 연통되어, 유체를 전달받는 입수부; 상기 입수부와 연통되어, 전달받은 상기 유체를 여과(filtering)하게 구성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 및 외부와 연통되어, 여과된 상기 유체를 살균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구성되는 살균 장치; 및 상기 입수부,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살균 장치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 장치는, 상기 필터부 및 외부와 연통되는 하우징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우징 공간에서 유동되는 유체를 살균하는 살균 모듈;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살균 모듈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우징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고, 상기 살균 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는 방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 모듈은, 상기 살균 모듈 및 상기 유체와 직접 접촉되어, 상기 살균 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유체에 전달하게 구성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살균된 상기 유체를 출수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 장치와 연통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살균된 상기 유체를 출수하는 출수부를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는 출수되는 물을 살균할 수 있다.
살균 장치는 살균 모듈을 포함한다. 살균 모듈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에 결합되어, 하우징부의 내부에 유입된 물에 빛 등을 조사하게 구성된다. 살균 모듈에서 조사된 빛은 유입된 물에 잔존하는 미생물 등을 제거하여, 물이 출수되기 전 살균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하우징부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유로 형성부가 수용된다. 유로 형성부는 하우징부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여과된 물은 유로 형성부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살균 모듈은 유로 형성부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유입된 물에 빛 등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여과된 물은 유로 형성부의 내부에서 유동되며 충분히 살균된 후 하우징부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기에서 출수되는 물이 살균 과정을 거치며 잔존하는 미생물 등이 제거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는 살균을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 출수되는 물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살균 모듈은 방열 부재에 수용되어 물이 유동되는 서브 공간에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방열 부재는 열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어, 살균 모듈에서 발생된 열은 방열 부재로 전달될 수 있다.
방열 부재의 면 중 서브 공간을 향하는 일 면에는 방열 유로 홈이 함몰 형성된다. 방열 유로 홈은 서브 공간과 하우징 유동 공간을 연통하여, 서브 공간에서 유동되는 물은 방열 유로 홈을 따라 진행되어 하우징부의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즉, 출수되는 물은 방열 부재와 접촉되어, 방열 부재에 전달된 열은 출수되는 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살균 모듈은 방열 부재 또는 방열 부재와 접촉되며 출수되는 물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는 살균을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 다양한 방식으로 냉각될 수 있다.
하우징부는 커버 부재와 결합된다. 커버 부재는 하우징부에 결합된 살균 모듈 및 방열 모듈을 덮으며 하우징부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부재는 살균 모듈 및 방열 모듈과 각각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 부재는 살균 모듈 또는 방열 모듈과 접촉될 수 있다.
커버 부재는 열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살균 모듈에서 발생된 열은 커버 부재에 직접 전달되거나, 방열 부재를 통해 커버 부재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살균 모듈은 커버 부재를 통해서도 방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는 살균을 위해 구비되는 구성의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살균 모듈은 하우징부의 일측에,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된 유로 형성부의 서브 공간에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이때, 살균 모듈은 방열 모듈에 수용되어, 살균 모듈에서 발생된 열의 일부는 방열 모듈로 전달될 수 있다.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살균 모듈에서 발생된 열의 다른 일부는 커버 부재에 직접 전달되거나, 방열 부재를 통해 커버 부재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살균 모듈에서 발생된 열은 커버 부재, 방열 모듈 및 방열 모듈과 접촉되는 물(즉, 서브 공간에서 유동되는 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살균 모듈이 다양한 방식으로 냉각되어, 살균 모듈의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는 출수되는 물의 살균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여과된 물이 하우징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는 하우징부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예를 들면 하측 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살균된 물이 하우징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유출구는 하우징부의 상측 단부에 인접하게, 하우징부의 외주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하우징부의 내부에 유입된 물이 하우징부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하측의 유입구에서 상측의 유출구까지 유동되어야 한다. 즉, 하우징부의 내부에 유입된 물은 하우징부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서 소정의 시간 이상 체류된다.
살균 모듈은 하우징부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살균 모듈은 빛을 조사하는 조사 부재 및 조사된 빛을 굴절시켜 다양한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확산 부재를 포함한다. 살균 모듈에서 조사된 빛은 유로를 따라 유동 중인 물 뿐만 아니라, 상기 공간에서 체류되는 물을 향해서도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살균 모듈에서 조사된 빛은 상기 공간의 다양한 위치까지 진행되며, 상기 공간에 수용된 물이 여러 부분에서 살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살균 장치를 거쳐 출수되는 물의 살균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는 살균된 물이 최소한의 거리만큼 유동된 후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부는 정수기의 외부와 직접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 하우징부에 구비되는 유출구는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사용자는 유출구를 개폐하여 여과 및 살균된 물을 출수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살균 후 출수되기까지 물이 유동되는 거리가 최소화되어, 온도의 변화 또는 살균 효과의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출수되는 물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온도 조건 및 적정한 살균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되는 물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보다 정확하게 반영되어, 사용자의 만족감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살균 장치를 도시하는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살균 장치를 도시하는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살균 장치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살균 장치에 구비되는 하우징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살균 장치에 구비되는 커버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커버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커버 부재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살균 장치에 구비되는 방열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방열 모듈을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방열 모듈의 변형 예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방열 모듈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살균 장치에 구비되는 살균 모듈과 방열 모듈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살균 장치에 구비되는 살균 모듈과 방열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체의 유로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의 냉각 효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출수되는 물의 출수 횟수에 따른 온도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연통"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통은 관로, 파이프, 배관 등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도선 부재 등에 의한 유선의 형태 또는 블루투스, Wi-Fi, RFID 등의 무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가 도시된다. 살균 장치(10)는 내부에 수용된 물 또는 출수되기 위해 유동되는 물을 살균한다. 살균 장치(10)에 의해, 출수되는 물에 잔존하는 미생물 등이 제거된 후 출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되는 물이 음용일 경우, 사용자의 안전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정수기(1)에 구비됨을 전제하여 설명된다. 대안적으로, 살균 장치(10)는 사용자가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 출수를 진행하는 임의의 장치, 예를 들면 연수기 등에 구비되어 활용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살균 장치(10)는 정수기(1)의 다른 구성과 결합, 연통되며 정수기(1)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살균 장치(10)는 외부와 직접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살균 장치(10)를 통과하며 살균된 물이 최소한의 경로를 따라 유동하여 출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되는 물의 살균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살균 장치(10)는 외부와 연통된다. 살균 장치(10)에는 정수기(1)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에 의해 여과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물은 살균 장치(10)를 통과하며 살균되어,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상기 물, 즉 살균 및 출수되는 물에 의해 냉각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의 살균을 수행하는 구성의 과열이 방지되어, 오작동 또는 파손의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나아가, 살균 장치(10)가 구비되는 정수기(1)의 오작동 또는 파손의 위험 또한 감소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살균 장치(1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유체가 물임을 전제한다. 대안적으로, 살균 장치(10)는 잔존하는 미생물 등의 살균이 요구되는 임의의 유체를 살균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살균 장치(10)는 하우징부(100), 유로 형성부(200), 커버 부재(300),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을 포함한다.
하우징부(100)는 살균 장치(10)의 몸체를 형성한다. 하우징부(100)의 내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살균 장치(10)의 다양한 구성이 실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부(100)의 상기 공간에는 유로 형성부(200) 및 살균 모듈(400)이 수용된다.
하우징부(100)는 외부와 연통된다. 후술될 필터부(20)를 통과하며 여과된 물은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살균 모듈(400)에 의해 살균된 물은 출수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하우징부(100)는 유로 형성부(2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부(100)는 그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유로 형성부(200)를 수용한다. 하우징부(100)에 수용된 유로 형성부(200)는 외부와 연통되어, 필터부(20)를 통과하며 여과된 물을 전달받을 수 있다. 유로 형성부(200)로 유입된 물은 살균 모듈(400)에 의해 살균된 후 출수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부(100)는 유로 형성부(200)를 매개로 외부와 연통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우징부(100)는 커버 부재(300)와 결합된다. 하우징부(100)와 커버 부재(300) 사이에는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이 배치된다. 따라서, 하우징부(100)와 커버 부재(300)의 결합에 의해,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이 하우징부(100)에 결합된다고 할 수 있다.
하우징부(100)는 살균 모듈(400)과 결합된다. 하우징부(100)와 결합된 살균 모듈(400)은 그 일부가 하우징부(100)의 상기 공간으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살균 모듈(400)의 상기 일부는 하우징부(100)의 상기 공간에 수용된 유로 형성부(200)의 내부로 노출된다. 결과적으로, 살균 모듈(400)에서 조사된 빛에 의해 유로 형성부(200)에 수용된 물이 살균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부(100)는 그 상측이 살균 모듈(400)과 결합된다.
하우징부(100)는 방열 모듈(500)과 결합된다. 하우징부(100)와 결합된 방열 모듈(500)은 그 일부가 하우징부(100)의 상기 공간으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살균 모듈(400)의 상기 일부 역시 하우징부(100)의 상기 공간에 수용된 유로 형성부(200)의 내부로 노출된다.
결과적으로, 유로 형성부(200)에서 유동되는 물에 의해 방열 모듈(500)이 방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살균 모듈(400)에서 발생된 열은, 방열 모듈(500)을 거쳐 유로 형성부(20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살균 모듈(400)이 유동되는 물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부(100)는 그 상측이 방열 모듈(500)과 결합된다. 이때, 방열 모듈(500)은 하우징부(100)와 살균 모듈(400) 사이에 위치된다.
하우징부(100)는 커버 부재(300)와 결합된다. 커버 부재(300)는 하우징부(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과 하우징부(10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하우징부(100)는 커버 부재(300)에 의해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과 결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부(100)와 커버 부재(300)는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부(100)와 커버 부재(300) 사이에 배치되는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 또한 하우징부(10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부(100)는 그 상측이 커버 부재(300)와 결합된다.
하우징부(100)와 상술한 커버 부재(300),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이 결합되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즉, 살균 모듈(400)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살균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서 하우징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방열 모듈(500)은 출수되는 물에 의해 냉각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서 하우징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300)는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과 함께 하우징부(100)에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부(100)는 메인 하우징(110), 서브 하우징(120) 및 유로 분할 막(130)을 포함한다.
메인 하우징(110)은 하우징부(100)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살균 장치(10)의 다른 구성이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하우징(110)의 상기 공간에는 유로 형성부(200)가 수용된다.
메인 하우징(110)은 커버 부재(300)와 결합된다. 메인 하우징(110)의 상기 공간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커버 부재(30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즉, 메인 하우징(110)의 상측 단부가 커버 부재(300)와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300)는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부(100)와 결합된다. 따라서,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 역시 메인 하우징(110)의 상측 단부와 결합됨이 이해될 것이다.
메인 하우징(110)은 서브 하우징(120)과 결합된다. 메인 하우징(110)은 서브 하우징(120)과 연통되어, 필터부(20)를 통과한 물은 서브 하우징(120)을 거쳐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된 유로 형성부(200)로 유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하우징(110)은 그 연장 방향의 타 단부, 즉 하측 단부가 서브 하우징(120)과 결합된다.
메인 하우징(110)은 서브 하우징(120), 커버 부재(300),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과 결합되고,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에 유로 형성부(200)가 수용되고, 유입된 물이 유동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하우징(110)은 그 단면이 원형이되,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기둥 형상이다.
이때, 메인 하우징(110)은 그 연장 방향, 즉 상하 방향을 따라 그 단면의 일부의 면적이 변경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하우징(110)의 상측 부분, 즉 커버 부재(300),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이 결합되는 일 단부는 유로 형성부(200)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부분보다 큰 단면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10)과 서브 하우징(120)이 결합, 연통되는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에는 유로 분할 막(130)이 배치된다. 유로 분할 막(130)은 서브 하우징(120)을 통해 유입된 물이 유로 형성부(200)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로 기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하우징(110)은 유출구(111), 하우징 공간(112), 지지부(113), 하우징 유동 공간(114), 커버 부재 결합부(115) 및 커버 부재 수용부(116)를 포함한다.
유출구(111)는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한다. 메인 하우징(110)에 수용된 유로 형성부(200)로 유입된 물은 유출구(111)를 통해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따라서, 유출구(111)는 유로 형성부(200)와 외부를 연통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유출구(111)는 살균 모듈(40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유로 형성부(200)로 유입된 물이, 살균 모듈(400)에 의해 충분히 살균된 후 출수되기 위함이다. 또한, 유출구(111)는 방열 모듈(50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유로 형성부(200)에 유입된 물이 방열 모듈(500)을 냉각하며 출수되기 위함이다.
유출구(111)는 서브 하우징(120)과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하우징(120)을 통해 유입된 물은 살균 모듈(400)에 의해 충분히 살균된 후 유출구(111)를 통해 출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출구(111)는 메인 하우징(110)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는 서브 하우징(120)에 대향되게 메인 하우징(110)의 연장 방향의 상기 일 단부, 즉 상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유출구(111)는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출구(111)는 메인 하우징(110)의 외주에 결합되어, 방사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유출구(111)의 내부에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메인 하우징(110)을 향하는 일 단부, 즉 방사상 내측 단부는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상기 중공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외측을 향하는 타 단부, 즉 방사상 외측 단부는 외부와 연통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서, 유출구(111)의 상기 타 단부는 출수부(40)와 직접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살균 과정을 거친 물이 출수되기까지 유동되는 거리가 최소화되어, 사용자는 살균 효과가 극대화된 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유출구(111)의 연장 방향의 상기 일 단부는 하우징 공간(112)과 연통된다.
하우징 공간(112)은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하우징 공간(112)은 유로 형성부(200)를 수용한다. 필터부(20)를 통과하며 여과된 물은 서브 하우징(120)을 거쳐 하우징 공간(112)에 수용된 유로 형성부(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하우징 공간(112)은 메인 하우징(1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하우징(1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기둥 형상인 바, 하우징 공간(112)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공간(112)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는 각각 개방 형성된다. 하우징 공간(112)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에는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이 노출된다. 하우징 공간(112)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서브 하우징(120)의 유입구(121)와 연통된다.
하우징 공간(112)의 상기 타 단부는 유로 분할 막(130)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획된다. 즉, 하우징 공간(112)의 상기 타 단부에는 유로 분할 막(130)이 배치되어, 하우징 공간(112)은 서브 하우징(120)의 유입구(121)와 제한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하우징 공간(112)은 유출구(111)와 연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공간(112)은 유출구(111)의 연장 방향의 상기 일 단부와 연통된다. 상기 연통은 하우징 공간(112)과 하우징 유동 공간(114)이 연통되어 달성된다.
지지부(113)는 메인 하우징(110)에 결합된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을 지지한다. 또한, 지지부(113)는 하우징 공간(112)에 수용된 유로 형성부(200)를 지지한다.
지지부(113)는 메인 하우징(110)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이 결합되는 일 단부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부(113)는 메인 하우징(110)의 상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지지부(113)는 메인 하우징(110)의 외주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된다. 지지부(113)는 메인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방사상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지지부(113)는 메인 하우징(110)의 외주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113)는 그 단면의 형상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환형(ring shape)으로 형성됨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중공을 통해, 하우징 공간(112)의 상측 단부가 개방 형성되어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이 유로 형성부(200)의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지지부(113)의 부분 중 상기 중공의 외주 부분, 즉 메인 하우징(110)의 외주 및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는 방열 모듈(500)이 안착된다. 또한, 지지부(113)의 상기 외주 부분은 하우징 공간(112)에 수용된 메인 유로 형성부(210)에 안착된다.
지지부(113)는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부(113)는 메인 하우징(110)의 상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하우징 유동 공간(114)은 하우징 공간(112)과 유출구(111)를 연통한다. 하우징 공간(112)에 수용된 유로 형성부(200) 또한 하우징 유동 공간(114)에 의해 유출구(111)와 연통될 수 있다.
하우징 유동 공간(114)은 메인 하우징(110)의 외주와 내주 사이에 형성된다. 즉,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유동 공간(114)은 하우징 공간(112) 및 이에 수용된 유로 형성부(200)를 방사상 외측에서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 유동 공간(114)의 방사상 외측에는 유출구(111)가 배치된다.
따라서, 하우징 유동 공간(114)은 방사 방향을 따라 하우징 공간(112) 및 유출구(111) 사이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우징 유동 공간(114)은 하우징 공간(112) 및 이에 수용된 유로 형성부(200)와 연통된다. 서브 하우징(120)을 통해 유입된 물은 하우징 공간(112) 및 유로 형성부(200)를 통해 하우징 유동 공간(114)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하우징 유동 공간(114)은 방열 모듈(500)에 형성된 방열 유로 홈(540)과 연통된다(도 15 내지 도 16 참조). 유로 형성부(20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방열 유로 홈(540)을 통과하여 하우징 유동 공간(114)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유로 형성부(200)의 내부의 물은 방열 모듈(500)과 접촉, 열교환되며 하우징 유동 공간(114)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하우징 유동 공간(114)은 유출구(111)와 연통된다. 하우징 유동 공간(114)으로 진입된 물은 유출구(111)를 통해 출수될 수 있다.
하우징 유동 공간(114)은 유출구(111), 하우징 공간(112), 유로 형성부(200) 및 방열 유로 홈(540)과 연통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유동 공간(114)은 하우징 공간(112) 및 이에 수용된 유로 형성부(200)의 방사상 외측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외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유동 공간(114)은 메인 하우징(110)의 외주와 유로 형성부(200) 사이에 형성된, 환형의 단면을 갖는 공간이다.
상기 실시 예에서, 하우징 유동 공간(114)의 방사상 내측은 방열 유로 홈(540)을 통해 하우징 공간(112) 및 이에 수용된 유로 형성부(200)와 연통된다. 하우징 유동 공간(114)의 방사상 외측은 유출구(111)와 연통된다.
커버 부재 결합부(115)는 메인 하우징(110)이 커버 부재(3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커버 부재 결합부(115)는 커버 부재(300)의 하우징 체결공(340)에 삽입 결합된다.
커버 부재 결합부(115)는 메인 하우징(110)의 연장 방향의 상기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에 위치된다. 커버 부재 결합부(115)는 메인 하우징(110)의 상기 일 단부의 면에서 커버 부재(30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커버 부재 결합부(115)의 내부에는 중공(도면 부호 미부여)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에는 커버 부재(300)와 메인 하우징(110)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 부재(미도시)가 관통될 수 있다.
커버 부재 결합부(115)는 하우징 체결공(340)에 삽입되어 커버 부재(300)와 메인 하우징(110)을 결합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부재 결합부(115)는 원통 형상이되, 방사상 내측을 향하는 일 측이 평면으로 형성된다.
커버 부재 결합부(115)의 형상은 커버 부재(30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커버 부재 결합부(115)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커버 부재 결합부(115)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복수 개의 하우징 체결공(34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부재 결합부(115)가 복수 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메인 하우징(110) 및 커버 부재(300)의 상대적인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하우징(110)과 커버 부재(3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부재 결합부(115)는 네 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 부재 결합부(115)는 메인 하우징(110)의 중심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커버 부재 결합부(115)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하우징 체결공(34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커버 부재 수용부(116)는 커버 부재(300)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커버 부재 수용부(116)는 메인 하우징(110)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커버 부재(300)를 향하는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 면에 형성된다.
커버 부재 수용부(116)는 메인 하우징(110)의 상기 단부 면, 즉 상측 단부 면에서 함몰 형성된다. 커버 부재 수용부(116)는 메인 하우징(110)의 상기 단부, 즉 상측 단부의 외주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커버 부재 수용부(116)는 외부와 연통된다. 커버 부재 수용부(116)의 각 측 중 커버 부재(300)를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개방 형성된다. 커버 부재(300)는 상기 일 측을 통해 커버 부재 수용부(116)에 인입될 수 있다.
커버 부재 수용부(116)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는 방열 모듈(500)이 위치된다. 방열 모듈(500)에 의해, 커버 부재 수용부(116)와 하우징 공간(112)의 임의 연통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 공간(112)에서 유동되는 물은 임의로 커버 부재 수용부(116)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커버 부재 수용부(116)는 커버 부재(300)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부재 수용부(116)는 커버 부재(300)의 형상에 상응하게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서브 하우징(120)은 하우징부(100)의 다른 부분을 형성한다. 서브 하우징(120)은 메인 하우징(110)과 결합되어, 유입된 물이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하우징(120)은 메인 하우징(11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에 결합된다.
서브 하우징(120)은 메인 하우징(11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하우징(110)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이에 따라, 서브 하우징(120) 또한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원통 또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하우징(120)은 외부와 연통된다. 필터부(20)를 통과하며 여과된 물은 서브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하우징(120)의 하측 단부가 외부와 연통된다.
서브 하우징(120)은 메인 하우징(110)과 연통된다. 서브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물(즉, 여과된 물)은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하우징(120)의 상측 단부가 메인 하우징(110)과 연통된다.
서브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은 서브 하우징(12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중공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는 개방 형성되어, 각각 메인 하우징(110) 및 외부와 연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하우징(120)은 유입구(121)를 포함한다.
유입구(121)는 서브 하우징(12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중공이 외부와 연통되는 통로이다. 유입구(121)는 서브 하우징(120)의 상기 중공 및 외부와 연통된다.
유입구(121)는 서브 하우징(12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중 메인 하우징(110)에 반대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에 위치된다. 유입구(121)는 서브 하우징(120)의 상기 일 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입구(121)는 필터부(20)와 결합, 연통될 수 있다.
유입구(121)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은 서브 하우징(12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 및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과 각각 연통된다. 필터부(20)를 통과한 물은 유입구(121)를 통해 서브 하우징(120) 및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구(121)는 서브 하우징(12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외부와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입구(121)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유입구(121)는 유출구(111)와 다른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입구(121)는 하우징부(100)의 하측 단부에 위치되고, 유출구(111)는 하우징부(100)의 상측 외주에 위치된다. 상기 배치에 의해, 유입구(121)로 유입된 물이 서브 공간(221)을 유동한 후 유출구(111)로 출수되기까지 유동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된 물이 서브 공간(221)에서 체류되며 살균 모듈(400)에 의해 살균되는 시간이 증가되어, 물의 살균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서브 하우징(120)과 메인 하우징(110) 사이에는 유로 분할 막(130)이 배치된다.
유로 분할 막(130)은 서브 하우징(120)의 상기 중공으로 유입된 물이 메인 하우징(110)의 하우징 공간(112)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유로 분할 막(130)은 메인 하우징(110)과 서브 하우징(120)이 결합되는 부분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메인 하우징(110) 및 서브 하우징(120)은 유로 분할 막(130)을 사이에 두게 배치되어, 유로 분할 막(130)과 각각 결합된다.
유로 분할 막(130)은 메인 하우징(110) 및 서브 하우징(12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로 분할 막(130)은 메인 하우징(110) 및 서브 하우징(120)의 단면의 형상에 상응하게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로 분할 막(130)은 유로 연통공(131)을 포함한다.
유로 연통공(131)은 메인 하우징(110)의 하우징 공간(112)과 서브 하우징(12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연통한다. 유로 연통공(131)은 유로 분할 막(13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로 연통공(131)은 유로 분할 막(130)의 두께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유로 연통공(131)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유로 연통공(131)은 서로 이격되어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유로 연통공(131)은 유로 분할 막(130)의 방사상 내측에, 그 외주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서브 하우징(120)의 상기 중공으로 유입된 물은 유로 연통공(131)을 통과하여 메인 하우징(110)의 하우징 공간(112)에 수용된 유로 형성부(2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 형성부(200)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flow rate)이 조정될 수 있다.
유로 형성부(200)는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의 유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유입된 물은 유로 형성부(200)를 따라 유동되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로 형성부(200)는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유로 형성부(200)는 메인 하우징(110)의 하우징 공간(112)에 수용된다.
유로 형성부(200)는 서브 하우징(12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유로 형성부(200)는 서브 하우징(120)과 연통된다. 서브 하우징(120)의 상기 중공으로 유입된 물은 하우징 공간(112)에 수용된 유로 형성부(200)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유로 형성부(200)는 살균 모듈(400)과 인접하게 위치된다. 유로 형성부(20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물은 살균 모듈(400)에서 조사된 빛 등에 의해 살균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로 형성부(200)는 그 상측 단부가 살균 모듈(40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유로 형성부(200)는 방열 모듈(500)과 인접하게 위치된다. 유로 형성부(200)에서 유동되는 물은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을 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균 모듈(400)에서 발생된 열은 방열 모듈(500)을 통해 유동되는 물로 전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살균 모듈(400)이 효과적으로 냉각되어 살균 모듈(400)의 과열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유로 형성부(20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물은 살균 모듈(400) 또는 방열 모듈(500)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살균 모듈(400)에서 발생된 열이 유동되는 물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유로 형성부(200)는 메인 하우징(110)의 하우징 유동 공간(114)과 연통된다. 유로 형성부(200)에서 유동되며 살균된 물은 하우징 유동 공간(1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연통은 방열 모듈(500)에 형성된 방열 유로 홈(540)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로 형성부(200)는 메인 유로 형성부(210), 서브 유로 형성부(220), 메인 패킹 부재(230) 및 서브 패킹 부재(240)를 포함한다.
메인 유로 형성부(210)는 유로 형성부(200)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메인 유로 형성부(210)는 하우징 공간(112)에 수용된다.
메인 유로 형성부(210)는 메인 하우징(1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유로 형성부(210)는 메인 하우징(110)의 형상과 유사하게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유로 형성부(210)는 메인 공간(211) 및 메인 유로 단부(212)를 포함한다.
메인 공간(211)은 메인 유로 형성부(2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메인 공간(211)에는 서브 유로 형성부(220)가 수용된다. 서브 유로 형성부(220)는 그 방사 방향의 외측이 메인 유로 형성부(210)에 감싸지게 배치된다.
메인 공간(211)은 서브 유로 형성부(220)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공간(211)은 메인 유로 형성부(210)가 연장되는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메인 공간(211)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는 각각 개방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메인 공간(211)은 메인 유로 형성부(21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중공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메인 공간(211)의 상기 상측 단부는 외부와 연통된다. 메인 공간(211)의 상기 상측 단부에 인접하게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이 배치된다. 메인 공간(211)의 상기 하측 단부는 외부와 연통된다. 메인 공간(211)의 상기 하측 단부는 유로 분할 막(13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메인 유로 단부(212)는 메인 유로 형성부(21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를 형성한다. 메인 유로 단부(212)는 메인 유로 형성부(210)가 메인 하우징(110)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메인 유로 단부(212)는 메인 하우징(110)의 지지부(113)를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유로 단부(212)는 지지부(113)의 하측과 접촉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메인 유로 형성부(210)의 상측 단부, 즉 메인 유로 단부(212)는 지지부(113)를 지지하고, 메인 유로 형성부(210)의 하측 단부는 유로 분할 막(130)에 의해 지지된다.
메인 유로 형성부(210)의 내부, 즉 메인 공간(211)에는 서브 유로 형성부(220)가 수용된다.
서브 유로 형성부(220)는 유로 형성부(200)의 다른 일부를 형성한다. 서브 유로 형성부(220)는 하우징 공간(112)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서브 유로 형성부(220)는 메인 공간(211)에 수용되고, 메인 공간(211)이 형성된 메인 유로 형성부(210)가 하우징 공간(112)에 수용된다.
서브 유로 형성부(220)는 메인 공간(211)에 수용되어 유입된 물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유로 형성부(22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이때, 서브 유로 형성부(220)의 단면의 직경은 메인 유로 형성부(210)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서브 유로 형성부(220)는 메인 유로 형성부(210)의 연장 길이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유로 형성부(22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즉 상측 단부(후술될 서브 유로 단부(222))는 메인 유로 단부(212)에 비해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유로 형성부(220)의 상기 상측 단부, 즉 서브 유로 단부(222)는 지지부(113)를 방사 방향에서 지지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유로 형성부(220)는 서브 공간(221) 및 서브 유로 단부(222)를 포함한다.
서브 공간(221)은 서브 유로 형성부(2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서브 공간(221)에는 여과되어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유동된다.
서브 공간(221)은 유입된 물이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공간(221)은 서브 유로 형성부(220)가 연장되는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서브 공간(221)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는 각각 개방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서브 공간(221)의 상기 상측 단부는 방열 모듈(500)에 형성된 방열 유로 홈(540)을 통해 하우징 유동 공간(114)과 연통된다. 서브 공간(221)에서 유동된 물은 살균 모듈(400)에 의해 살균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서브 공간(221)의 상기 하측 단부는 유로 분할 막(130)의 유로 연통공(131)을 통해 서브 하우징(12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과 연통된다. 이에 따라, 여과된 물은 서브 하우징(120)의 중공, 유로 연통공(131)을 차례로 통과하여 서브 공간(22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서브 유로 단부(222)는 서브 유로 형성부(22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를 형성한다. 서브 유로 단부(222)는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또한, 서브 유로 단부(222)는 방사상 내측에서 지지부(113)를 지지한다. 서브 유로 단부(222)는 메인 유로 단부(212)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된다.
이를 위해, 서브 유로 단부(222)는 메인 유로 단부(212)에 비해 커버 부재(300)를 향해 더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서브 유로 단부(222) 및 지지부(113)는 같은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은 서브 유로 단부(222) 및 지지부(113)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메인 패킹 부재(230)는 메인 하우징(110)과 서브 하우징(120)의 기밀성을 유지한다. 메인 패킹 부재(230)는 메인 하우징(110)과 서브 하우징(120)이 결합되는 부분에 위치되어, 해당 부분을 밀폐한다. 이에 따라, 메인 하우징(110)과 서브 하우징(120)은 하우징 공간(112) 및 그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서만 연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패킹 부재(230)는 메인 하우징(110)의 하측 단부 및 서브 하우징(120)의 외주 사이에 위치된다. 메인 패킹 부재(230)는 메인 하우징(110)과 서브 하우징(120)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패킹 부재(230)는 가요성(flexibl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패킹 부재(230)는 소정의 형상 변형을 통해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복원력을 다른 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패킹 부재(230)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패킹 부재(230)는 메인 하우징(110)과 서브 하우징(120)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패킹 부재(230)는 내부에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 환형(ring shape)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메인 패킹 부재(230)의 방사상 외측에는 메인 하우징(110)의 상기 하측 단부가 위치된다. 또한, 메인 패킹 부재(230)의 방사상 내측에는 서브 하우징(120)의 외주가 위치된다.
서브 패킹 부재(240)는 메인 유로 형성부(210)와 서브 하우징(120)의 기밀성을 유지한다. 서브 패킹 부재(240)는 메인 유로 형성부(210)와 서브 하우징(120)이 결합되는 부분에 위치되어, 해당 부분을 밀폐한다. 이에 따라, 메인 유로 형성부(210) 및 이에 수용된 서브 유로 형성부(220)는, 서브 공간(221)을 통해서만 서브 하우징(12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과 연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패킹 부재(240)는 메인 유로 형성부(210)의 하측 단부 및 서브 하우징(120)의 상측 면 사이에 위치된다. 서브 패킹 부재(240)는 메인 유로 형성부(210) 또는 서브 유로 형성부(220)와 서브 하우징(120)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패킹 부재(240)는 가요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패킹 부재(240)는 소정의 형상 변형을 통해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복원력을 다른 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브 패킹 부재(240)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패킹 부재(240)는 메인 유로 형성부(210) 또는 서브 유로 형성부(220)와 서브 하우징(120)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패킹 부재(240)는 내부에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서브 패킹 부재(240)는 서브 하우징(120)의 상측 면에 함몰 형성된 홈(도면 부호 미부여)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메인 유로 형성부(210)의 하측 면에 함몰 형성된 홈(도면 부호 미부여)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커버 부재(300)를 포함한다.
커버 부재(300)는 살균 장치(10)의 외형의 일부를 형성한다. 커버 부재(300)는 하우징부(100)와 결합된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을 지지하여, 이들의 요동 또는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부재(300)는 하우징부(1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커버 부재(300)는 메인 하우징(110)의 상측에 형성된 커버 부재 수용부(116)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커버 부재(300)의 다른 일부는 커버 부재 수용부(116)의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0)는 살균 모듈(400)과 접촉될 수 있다. 살균 모듈(400)에서 발생된 열은 커버 부재(3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살균 모듈(400)이 냉각되어 과열이 방지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0)는 열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살균 모듈(400)의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 부재(300)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소재 또는 알루미늄(Al)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부재(300)는 커버 몸체(310), 살빼기 홈(320), 체결 돌출부(330), 하우징 체결공(340) 및 살균 모듈 결합부(350)를 포함한다.
커버 몸체(310)는 커버 부재(3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커버 몸체(310)는 커버 부재 수용부(116)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커버 몸체(310)는 커버 부재 수용부(116)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몸체(31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원판 또는 원기둥 형상이다.
커버 몸체(310)의 외주의 일부는 커버 부재 수용부(116)를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는 메인 하우징(110)의 면에 둘러싸일 수 있다.
살빼기 홈(320)은 커버 몸체(310)의 외면에 함몰 형성된다. 살빼기 홈(320)이 형성됨에 따라, 커버 몸체(310)의 표면적이 증가되고 커버 몸체(310)의 질량이 감소될 수 있다.
살빼기 홈(320)은 커버 몸체(310)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살빼기 홈(320)은 커버 몸체(310)의 상면 또는 외주면에서 하측 또는 방사상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살빼기 홈(320)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살빼기 홈(320)은 서로 이격되어 다른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살빼기 홈(320)은 총 네 개 형성된다. 네 개의 살빼기 홈(320)은 커버 몸체(310)의 중심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커버 몸체(310)의 외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커버 몸체(310)의 외주 중 살빼기 홈(3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체결 돌출부(330)로 정의될 수 있다.
체결 돌출부(330)는 하우징 체결공(340)이 관통 형성되는 부분이다. 커버 몸체(310)의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체결 돌출부(330)는 커버 몸체(310)의 외주 중 살빼기 홈(320)이 아닌 다른 부분으로 정의된다.
체결 돌출부(33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체결 돌출부(330)는 서로 이격되어 다른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돌출부(330)는 총 네 개 형성된다. 네 개의 체결 돌출부(330)는 커버 몸체(310)의 중심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커버 몸체(310)의 외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한 체결 돌출부(330) 사이에는 살빼기 홈(320)이 위치된다. 즉, 달리 표현하면, 복수 개의 체결 돌출부(330) 및 복수 개의 살빼기 홈(320)은 커버 몸체(310)의 외주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체결 돌출부(330)의 내부에는 하우징 체결공(340)이 관통 형성된다.
하우징 체결공(340)은 메인 하우징(110)의 커버 부재 결합부(115)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하우징 체결공(340)은 체결 돌출부(33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즉, 하우징 체결공(34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는 각각 개방 형성된다.
하우징 체결공(340)은 커버 부재 결합부(115)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 결합부(115)는 원형의 단면을 갖되, 방사상 내측을 향하는 일측이 평면을 갖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 체결공(340)의 단면 역시 원형의 형상을 갖되, 방사상 내측을 향하는 일측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 체결공(340)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하우징 체결공(340)은 서로 이격되어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체결공(340)은 총 네 개 형성된다. 네 개의 하우징 체결공(340)은 커버 몸체(310)의 중심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커버 몸체(310)의 외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하우징 체결공(34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커버 부재 결합부(115)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살균 모듈 결합부(350)는 살균 모듈(400)이 커버 부재(300)에 수용되는 부분이다. 살균 모듈 결합부(350)는 살균 모듈(400)을 향하는 커버 부재(3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에 형성된다.
살균 모듈 결합부(350)는 메인 하우징(110)에 결합된 살균 모듈(400)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살균 모듈(400)은 메인 하우징(110)의 중심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살균 모듈 결합부(350) 또한 커버 몸체(310)의 하측 면의 중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살균 모듈 결합부(350)는 살균 모듈(400)을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살균 모듈 결합부(350)는 커버 몸체(310)의 하측 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살균 모듈 결합부(350)에 수용된 살균 모듈(400)은 커버 몸체(310)와 접촉되어, 살균 모듈(400)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살균 모듈 결합부(350)는 살균 모듈 수용부(351) 및 살균 모듈 체결공(352)을 포함한다.
살균 모듈 수용부(351)는 살균 모듈(400)의 조사 부재(410)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살균 모듈 수용부(351)는 커버 몸체(310)의 면 중 메인 하우징(110)을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에 형성된다.
살균 모듈 수용부(351)는 커버 몸체(310)의 상기 일 면, 즉 하측 면에 함몰 형성된다. 살균 모듈 수용부(351)의 각 측 중 메인 하우징(110)을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개방 형성되어 조사 부재(410)를 수용할 수 있다.
살균 모듈 수용부(351)는 조사 부재(410)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살균 모듈 수용부(351)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살균 모듈 수용부(351)에 수용된 조사 부재(410)는 살균 모듈 수용부(351)를 둘러싸는 각 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용된 조사 부재(410)는 살균 모듈 수용부(351)를 상측에서 둘러싸는 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사 부재(410)의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살균 모듈 수용부(351)는 살균 모듈 체결공(352)과 연통된다.
살균 모듈 체결공(352)은 살균 모듈(400)을 커버 부재(300)와 결합하는 체결 부재(미도시)가 관통되는 공간이다. 살균 모듈 체결공(352)은 커버 몸체(31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다.
살균 모듈 체결공(352)은 조사 부재(410)에 형성된 체결 관통공(411)과 같은 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살균 모듈 체결공(352)은 커버 몸체(31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살균 모듈 체결공(352)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는 각각 개방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살균 모듈 체결공(352)에 관통된 체결 부재(미도시)는 체결 관통공(411)까지 연장될 수 있다.
살균 모듈 체결공(352)은 살균 모듈 수용부(351)와 연통된다. 즉, 후술될 바와 같이, 살균 모듈 체결공(352)과 맞춰지는 체결 관통공(411)은 조사 부재(4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바, 살균 모듈 체결공(352) 또한 살균 모듈 수용부(351)의 내부에 배치됨이 이해될 것이다.
살균 모듈 체결공(352)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살균 모듈 체결공(352)은 서로 이격되어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살균 모듈 체결공(352)은 커버 몸체(310)의 중심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살균 모듈 체결공(352)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살균 모듈 수용부(351)의 각 꼭지점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살균 모듈 체결공(352)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체결 관통공(411)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살균 모듈(400)을 포함한다.
살균 모듈(400)은 필터부(20)에 의해 여과된 후 살균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살균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여과된 물의 내부에 잔류되는 미생물 등이 제거된 후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살균 모듈(400)은 하우징부(1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살균 모듈(400)은 메인 하우징(110)의 상측에 형성된 커버 부재 수용부(116)에 수용된다. 이때, 살균 모듈(400)은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 공간(112)에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살균 모듈(400)은 하우징 공간(112)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를 덮으며 커버 부재 수용부(116)에 배치된다.
살균 모듈(400)은 커버 부재(3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살균 모듈(400)은 커버 부재(300)의 하측 면에 함몰 형성된 살균 모듈 결합부(350)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살균 모듈 결합부(350)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살균 모듈(400)은 살균 모듈 체결공(352)에 관통되는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커버 부재(300)와 결합된다.
따라서, 커버 부재(300) 및 살균 모듈(400)이 하우징부(100)와 결합되면, 살균 모듈(400)은 커버 부재(300)와 하우징부(100)의 사이에 배치됨이 이해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살균 모듈(400)은 조사 부재(410), 확산 부재(420) 및 살균 패킹 부재(430)를 포함한다.
조사 부재(410)는 물에 잔류되는 미생물 등을 살균한다. 조사 부재(410)는 물에 잔류되는 미생물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사 부재(410)는 물에 빛을 조사하여 미생물 등을 제거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조사 부재(410)가 조사한 빛은 유로 형성부(200)의 내부 공간, 구체적으로 서브 공간(221)에서 유동되는 물로 전달되어, 잔류되는 미생물 등이 살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조사 부재(410)는 UV LED 램프(Ultraviolet LED lamp)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조사 부재(410)가 UV LED 램프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조사 부재(410)는 외부의 제어부(미도시)와 통전된다. 조사 부재(410)가 작동되기 위해 필요한 전원 및 제어 신호는 외부의 제어부(미도시)에서 전달될 수 있다.
조사 부재(410)는 커버 부재(3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조사 부재(410)는 살균 모듈 수용부(351)에 수용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조사 부재(410)는 커버 몸체(310)의 면 중 살균 모듈 수용부(351)를 둘러싸는 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조사 부재(410)의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조사 부재(410)는 하우징부(1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조사 부재(410)와 결합된 커버 부재(300)가 메인 하우징(110)과 결합되어 조사 부재(410)가 하우징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사 부재(410)는 체결 관통공(411)을 포함한다.
체결 관통공(411)은 조사 부재(410)와 커버 부재(300)를 결합하는 체결 부재(미도시)가 결합되는 공간이다. 체결 관통공(411)은 조사 부재(410)의 면 중 커버 몸체(310)를 향하는 일 면에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된다.
체결 관통공(411)은 살균 모듈 체결공(352)의 위치에 상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관통공(411)은 살균 모듈 체결공(352)과 같은 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 관통공(411)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체결 관통공(411)은 서로 이격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관통공(411)은 네 개 형성되어, 네 개의 체결 관통공(411)은 각각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조사 부재(410)의 각 꼭지점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체결 관통공(411)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살균 모듈 체결공(352)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조사 부재(410)가 조사한 빛은 확산 부재(420)를 통과하여 서브 공간(221)에서 유동되는 물로 진행된다.
확산 부재(420)는 조사 부재(410)에서 조사된 빛을 다양한 각도로 굴절시킨다. 확산 부재(420)를 통과한 빛은 다양한 방향을 따라 서브 공간(223)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공간(223)에서 유동되는 물에 잔존하는 미생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확산 부재(420)는 조사 부재(41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확산 부재(420)는 서브 공간(223)에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확산 부재(420)의 상측은 조사 부재(410)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확산 부재(420)의 하측은 서브 공간(223)에 노출된다.
이때, 확산 부재(420)는 메인 하우징(110)의 하우징 공간(112)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를 덮게 배치될 수 있다.
확산 부재(420)는 방열 모듈(50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확산 부재(420)는 확산 개구부(530)를 덮으며 방열 몸체(510)의 내부에 형성된 살균 모듈 실장부(520)에 수용된다.
확산 부재(420)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조사 부재(410)에서 조사된 빛이 원활하게 확산 부재(420)를 통과하여 서브 공간(223)으로 진행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확산 부재(420)는 석영(quartz) 또는 유리(glass)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확산 부재(420)는 조사 부재(410)에서 조사된 빛을 굴절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확산 부재(420)는 판 형으로 형성되되, 일 면은 편평하고 타 면은 외측으로 볼록한 볼록 렌즈의 형상이다.
도 13 내지 도 14를 더 참조하면, 편평하게 형성되는 상기 일 면은 제1 확산 면(421)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확산 면(421)은 확산 부재(420)의 면 중 조사 부재(410)를 향하는 일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 확산 면(421)은 조사 부재(410)에서 조사된 빛이 확산 부재(420)로 유입되는 면이다.
또한,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상기 타 면은 제2 확산 면(41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확산 면(412)은 확산 부재(420)의 면 중 서브 공간(223)을 향하는 타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2 확산 면(412)은 확산 부재(420)를 통과한 빛이 서브 공간(221)을 향해 유출되는 면이다.
이때, 빛은 소정의 곡률을 갖게 형성되는 제2 확산 면(412)을 통과하며 다양한 각도로 굴절되어 서브 공간(221)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공간(221)에서 유동되는 물이 효과적으로 살균될 수 있다.
살균 패킹 부재(430)는 살균 모듈(400)과 방열 모듈(500) 간의 기밀성을 유지한다. 살균 패킹 부재(430)는 확산 부재(420)의 외주와 방열 몸체(510)의 내주 사이에 위치되어, 해당 부분을 밀폐한다. 이에 따라, 서브 공간(221)과 방열 모듈(500)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살균 패킹 부재(430)는 확산 부재(420)와 방열 몸체(510) 간의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살균 패킹 부재(430)에 의해, 방열 모듈(500)에 수용된 확산 부재(420)의 임의 요동 또는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살균 패킹 부재(430)는 확산 부재(420)의 제2 확산 면(422)의 외주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살균 패킹 부재(430)의 방사상 외측에는 방열 몸체(510)의 내주면이 위치된다. 살균 패킹 부재(430)는 살균 모듈(400)과 방열 모듈(500)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살균 패킹 부재(430)는 가요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살균 패킹 부재(430)는 소정의 형상 변형을 통해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복원력을 다른 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살균 패킹 부재(430)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살균 패킹 부재(430)는 확산 부재(420)와 방열 모듈(500)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살균 패킹 부재(430)는 내부에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 환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조사 부재(410)가 UV LED 램프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여과된 물에 잔류되는 미생물의 살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다만, 조사 부재(410)의 작동이 지속됨에 따라, 조사 부재(410)에서 과다한 열이 발생될 위험 또한 배제하기 어렵다.
이에,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조사 부재(410)를 효과적으로 냉각하기 위한 방열 모듈(500)을 더 포함한다.
방열 모듈(500)은 살균 모듈(400) 및 서브 공간(221)에서 유동되는 물과 각각 열교환되게 구성된다. 살균 모듈(400), 구체적으로 조사 부재(410)에서 발생된 열은 방열 모듈(500)로 전달될 수 있다. 방열 모듈(500)로 전달된 열은 서브 공간(221)에서 유동되는 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사 부재(410)가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방열 모듈(500)은 하우징부(1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방열 모듈(500)은 하우징 공간(112)을 덮으며, 메인 하우징(11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 면에 함몰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공간은 커버 부재 수용부(116)와 연통된다.
방열 모듈(500)은 하우징부(100) 및 유로 형성부(200)에 의해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방열 모듈(500)은 그 하측 면이 지지부(113) 및 서브 유로 단부(222)에 의해 지지된다.
방열 모듈(500)은 커버 부재(300)에 덮이게 배치된다. 즉, 방열 모듈(500)의 상측은 커버 부재(300)에 의해, 방열 모듈(500)의 하측은 유로 형성부(200)에 의해 지지된다. 달리 표현하면, 커버 부재(300)는 방열 모듈(500)을 사이에 두고 유로 형성부(20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방열 모듈(500)은 살균 모듈(40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방열 모듈(500)의 내부에는 확산 부재(420)를 수용하는 중공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중공은 유로 형성부(200)를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이 개방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공에 수용된 확산 부재(420)의 제2 확산 면(422)은 서브 공간(221)에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방열 모듈(500)의 상기 중공은 확산 부재(420)에 의해 서브 공간(221)과의 연통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서브 공간(221)에서 유동되는 물은 방열 모듈(500)의 상기 중공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방열 모듈(500)은 방열 몸체(510), 살균 모듈 실장부(520), 확산 개구부(530), 방열 유로 홈(540) 및 방열 패킹 부재(550)를 포함한다.
방열 몸체(510)는 방열 모듈(500)의 외형을 형성한다. 방열 몸체(510)는 방열 모듈(500)이 하우징부(100) 및 커버 부재(3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방열 몸체(510)의 내부에는 상기 중공(즉, 후술될 살균 모듈 실장부(520))이 형성되어 확산 부재(420)가 수용될 수 있다.
방열 몸체(510)는 하우징부(100) 및 커버 부재(30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방열 몸체(51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원기둥 또는 원판 형상이다.
방열 몸체(510)는 열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살균 모듈(400)에서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받고, 전달받은 열을 서브 공간(221)에서 유동되는 물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방열 몸체(510)는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방열 몸체(510)의 오염이 방지되어, 방열 몸체(510)와 접촉되는 물의 오염 또한 방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방열 몸체(510)는 제1 면(511), 제2 면(512) 및 패킹 부재 결합부(513)를 포함한다.
제1 면(511)은 방열 몸체(510)의 높이 방향의 단부 면 중 일 단부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을 형성한다. 제1 면(511)은 커버 부재(300)의 커버 몸체(310)의 하측 면과 접촉된다.
따라서, 방열 몸체(510)로 전달된 열은 제1 면(511)과 접촉된 커버 부재(300)로도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의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면(512)은 방열 몸체(510)의 높이 방향의 단부 면 중 타 단부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을 형성한다. 제2 면(512)은 메인 하우징(110)의 상측 면에 함몰 형성된 공간, 즉 방열 몸체(510)를 수용하는 공간을 둘러싸는 하측 면에 의해 지지된다.
제2 면(512)은 서브 공간(221)에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제2 면(512)에는 방열 유로 홈(540)이 함몰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서브 공간(221)과 하우징 유동 공간(114)이 방열 유로 홈(540)을 통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패킹 부재 결합부(513)는 방열 패킹 부재(550)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패킹 부재 결합부(513)는 방열 몸체(510)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된다. 패킹 부재 결합부(513)는 방열 몸체(510)의 외주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방열 패킹 부재(550)를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살균 모듈 실장부(520)는 방열 몸체(5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살균 모듈 실장부(520)는 살균 모듈(400), 구체적으로 확산 부재(420) 및 살균 패킹 부재(430)를 수용한다.
살균 모듈 실장부(520)는 방열 몸체(510)의 제1 면(511)에서 함몰 형성된다. 살균 모듈 실장부(520)의 높이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개방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살균 모듈 실장부(520)의 높이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제2 면(512)에 의해 폐쇄되되, 제2 면(512)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확산 개구부(530)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다. 즉, 살균 모듈 실장부(520)는 확산 개구부(530)와 연통된다.
살균 모듈 실장부(520)는 확산 부재(420) 및 살균 패킹 부재(430)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살균 모듈 실장부(52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향의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살균 모듈 실장부(520)를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는 면, 즉 방열 몸체(510)의 내주면과 확산 부재(420) 사이에는 살균 패킹 부재(430)가 위치될 수 있다. 살균 모듈 실장부(520)에 수용된 확산 부재(420)는 확산 개구부(530)를 덮게 배치된다.
확산 개구부(530)는 확산 부재(420)를 통과한 빛이 서브 공간(221)으로 진행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확산 개구부(530)는 제2 면(512)에 관통 형성되어, 살균 모듈 실장부(520)와 서브 공간(221)을 연통한다. 살균 모듈 실장부(520)에 수용된 확산 부재(420)는 확산 개구부(530)를 덮게 배치되어, 확산 개구부(530)와 살균 모듈 실장부(520)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공간(221)에서 유동되는 물은 살균 모듈 실장부(520)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확산 개구부(530)는 개방 형성되어 서브 공간(221)과 살균 모듈 실장부(520)를 연통하되, 확산 부재(42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확산 개구부(53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확산 개구부(530)의 형상은 확산 부재(420)의 형상에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확산 개구부(530)는 방열 몸체(510)의 내부에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확산 개구부(530)는 방열 몸체(510)의 제2 면(512)의 중심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확산 개구부(530)는 방사상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방열 유로 홈(540)에 의해 하우징 유동 공간(114)과 연통된다.
방열 유로 홈(540)은 서브 공간(221)과 하우징 유동 공간(114)을 연통한다. 서브 공간(221)에서 유동되며 살균된 물은 방열 유로 홈(540)을 통해 하우징 유동 공간(114)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살균된 물이 방열 유로 홈(540)을 따라 유동됨에 따라, 방열 몸체(510)로 전달된 열(즉, 살균 모듈(400)에서 발생된)이 유동되는 물로 전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이 배출되는 물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방열 유로 홈(540)은 제2 면(512)에 함몰 형성된다. 방열 유로 홈(540)은 서브 공간(221)과 연통된다. 즉, 서브 공간(221)에서 유동되는 물은 방열 유로 홈(54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방열 유로 홈(540)은 확산 개구부(530)와 방열 몸체(510)의 외주 사이에서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방열 유로 홈(540)은 확산 개구부(530)의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다. 다른 표현으로, 방열 유로 홈(540)은 방열 몸체(510)의 외주에서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된다.
방열 유로 홈(54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는 확산 개구부(530) 및 외부(즉, 하우징 유동 공간(114))와 각각 연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방열 유로 홈(540)의 방사상 내측 단부는 확산 개구부(530)와, 방열 유로 홈(540)의 방사상 외측 단부는 외부와 각각 연통된다.
방열 유로 홈(540)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방열 유로 홈(540)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확산 개구부(530) 또는 서브 공간(221)과 하우징 유동 공간(114)을 각각 연통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방열 유로 홈(540)은 네 개 형성된다. 네 개의 방열 유로 홈(540)은 방열 몸체(510)의 중심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방열 유로 홈(540)은 확산 개구부(530) 또는 서브 공간(221)과 하우징 유동 공간(114)을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방열 유로 홈(540)은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방열 유로 홈(540)은 서로 직교되며 연장되는 복수 개의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방열 유로 홈(540)은 적어도 한 개의 라운드진 부분을 포함하는 곡선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방열 유로 홈(540)의 개수가 과다할 경우, 방열 유로 홈(540)을 따라 유동되는 물의 유량이 과다해질 수 있다. 상기의 경우, 물이 서브 공간(221)에서 체류되며 살균되는 시간이 감소되어, 살균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방열 유로 홈(540)의 개수가 과소할 경우, 방열 유로 홈(540)을 따라 유동되는 물의 유량이 과소해질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물이 출수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과다해져, 사용자의 만족감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방열 유로 홈(540)의 형상이 복잡하게 형성될 경우, 서브 공간(221)에서 하우징 유동 공간(114)으로 유동되기 위해 물이 진행되어야 하는 거리가 증가된다. 이에 따라, 출수되는 물과 방열 몸체(510)와의 접촉 시간이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살균 모듈(400)의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방열 유로 홈(540)의 형상이 과다하게 복잡하게 형성될 경우, 사용자가 출수를 위한 조작 후 물이 출수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과다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방열 유로 홈(540)의 개수 및 형상은 서로 상응하게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방열 유로 홈(540)의 개수 및 형상은 물이 서브 공간(221)에서 충분히 살균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물이 적정한 시간 안에 출수될 수 있는 개수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열 패킹 부재(550)는 방열 몸체(510)와 메인 하우징(110)의 기밀성을 유지한다. 방열 패킹 부재(550)는 방열 몸체(510)의 외주와 메인 하우징(110)의 내주 사이에 위치되어, 해당 부분을 밀폐한다. 이에 따라, 방열 몸체(510)의 요동 또는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방열 패킹 부재(550)는 방열 몸체(5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패킹 부재 결합부(513)에 수용된다.
방열 패킹 부재(550)는 가요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 패킹 부재(550)는 소정의 형상 변형을 통해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복원력을 다른 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방열 패킹 부재(550)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 패킹 부재(550)는 방열 몸체(510)와 메인 하우징(110)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방열 패킹 부재(550)는 내부에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 환형으로 형성된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살균 모듈(400) 및 방열 모듈(500)의 결합 관계가 도시된다.
조사 부재(410)는 확산 부재(420)의 제1 확산 면(42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조사 부재(410)에서 조사된 빛은 제1 확산 면(421)을 통해 확산 부재(420)의 내부로 진행될 수 있다.
확산 부재(420)는 확산 개구부(530)를 덮으며 방열 몸체(510)의 내부에 형성된 살균 모듈 실장부(520)에 수용된다. 이때, 확산 부재(420)와 방열 몸체(510)의 제2 면(512) 사이에는 살균 패킹 부재(430)가 배치되어, 살균 모듈 실장부(520)와 서브 공간(221)의 임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방열 몸체(510)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된 패킹 부재 결합부(513)에는 방열 패킹 부재(550)가 수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여과된 물을 살균하면서도, 살균을 위해 구비되는 살균 모듈(400)의 과열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 및 이에 따른 열의 이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살균 장치(10)의 외부에 구비되는 필터부(20)에서 여과된 물이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구체적으로, 여과된 물은 외부와 연통되는 서브 하우징(120)의 유입구(121)를 통해 서브 하우징(1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물은 유로 분할 막(130)에 관통 형성된 유로 연통공(131)을 통해 유로 형성부(200)로 유입된다. 구체적으로, 서브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서브 유로 형성부(220)의 서브 공간(221)으로 유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공간(221)은 메인 하우징(11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브 공간(221)의 상측에는 살균 모듈(400), 구체적으로 확산 부재(420)가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조사 부재(410)에서 조사된 빛은 확산 부재(420)를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되며 서브 공간(221)으로 진행된다. 이에 따라, 서브 공간(221)에서 유동되는 물은 살균 모듈(400)에서 조사된 빛에 의해 살균된다.
살균된 물은 방열 모듈(500)에 형성된 방열 유로 홈(540)을 따라 유동되며 하우징 유동 공간(114)을 거쳐 유출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방열 유로 홈(540)은 복수 개 형성되는 바, 살균된 물은 복수 개의 방열 유로 홈(540)을 따라 하우징 유동 공간(114)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분한 유량의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이때, 살균 모듈(400)에서 발생된 열은 커버 부재(300), 방열 모듈(500) 및 방열 유로 홈(540)을 따라 유동되는 물에 의해 방열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열의 흐름은 굵은 화살표로 도시된다.
조사 부재(410)에서 발생된 열은 확산 부재(420)를 통해 서브 공간(221) 및 방열 모듈(500)로 전달된다.
서브 공간(221)으로 전달된 열은 서브 공간(221)에서 유동되는 물로 전달된다. 방열 모듈(500)로 전달된 열의 일부는 방열 몸체(510)와 접촉되는 물 또는 방열 유로 홈(540)을 따라 유동되는 물로 전달된다. 방열 모듈(500)로 전달된 열의 다른 일부는 방열 몸체(510)의 제1 면(511)과 접촉되는 커버 부재(300)로 전달되어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살균 모듈(400)은 커버 부재(300), 방열 모듈(500) 및 살균 장치(1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물에 의해 각각 냉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살균 모듈(400)의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를 포함하는 정수기(1)가 개념적으로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는 살균 장치(10), 필터부(20), 입수부(30), 출수부(40) 및 프레임(50)을 포함한다. 살균 장치(10), 필터부(20), 입수부(30) 및 출수부(40)는 서로 연통된다.
입수부(30)는 수원(Source)과 연통되어 원수를 전달받는다. 입수부(30)를 통해 전달된 원수는 입수부(30)와 연통된 필터부(20)로 전달되어 여과된다. 필터부(20)는 살균 장치(10)와 연통되어, 여과된 물은 살균 장치(10)를 통과하며 살균 과정을 거친 후 출수부(40)를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이때, 출수부(40)는 외부의 용기(Container)와 연통되어, 배출된 물은 용기(Container)에 수용될 수 있다.
프레임(50)은 상술한 정수기(1)의 구성을 수용한다. 프레임(50)은 수원(Source) 및 용기(Container)와 각각 연통된다. 이때, 프레임(50)이 외부의 용기(Container)와 연통되는 형태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9의 (a)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50)의 내부에는 살균 장치(10), 필터부(20) 및 입수부(30)가 수용된다. 프레임(50)은 출수부(40)와 연통되어, 살균된 물은 출수부(40)를 통과한 후 외부의 용기(Container)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살균 장치(10)를 통과한 물이 배관 등 추가 유로를 더 유동한 후 정수기(1)의 외부로 배출됨에 이해될 것이다.
도 19의 (b)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50)은 외부의 용기(Container)와 직접 연통된다. 즉, 살균된 물은, 상술한 유출구(111)를 통과한 후 직접 외부의 용기(Container)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살균 장치(10)가 외부와 직접 연통되어, 살균 장치(10)에서 살균된 물이 바로 외부의 용기(Container)로 출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살균된 물이 출수되기까지 유동되는 경로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에 구비되는 살균 모듈(400)의 온도 변화에 대한 실험 예가 도시된다.
먼저,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기의 경우, 살균 과정이 진행되는 경과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살균을 위한 부재의 온도 또한 선형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주황색 그래프).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의 경우, 살균 과정이 진행되는 경과 시간이 증가되더라도 살균 장치(10)의 온도가 소폭 상승한 후 약 30℃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물의 살균 및 출수 과정이 연속적으로 긴 시간 동안 진행되더라도, 살균 모듈(400)의 과다한 온도 상승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열에 의한 살균 모듈(4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고, 살균 과정이 신뢰성 있게 수행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1)에서 출수되는 물의 온도 변화에 대한 실험 예가 도시된다.
출수되는 물은 냉수임을 전제하였으며, 출수되는 물의 온도가 10℃ 이하일 경우 냉수로 간주할 수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기의 경우, 1회차에 출수된 물의 온도가 약 9.7℃, 2회차에 출수된 물의 온도가 약 7℃ 정도로 상술한 냉수의 온도 기준을 만족한다(주황색 막대 그래프).
다만,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기의 경우 물의 출수 회차에 따른 온도 변화가 크므로, 사용자의 만족도 및 냉수 출수의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를 구비하는 정수기(1)의 경우, 1회차에 출수된 물의 온도가 약 8.9℃, 2회차에 출수된 물의 온도가 약 8.1℃로 역시 상술한 냉수의 온도 기준을 만족한다(파란색 막대 그래프).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를 구비하는 정수기(1)의 경우, 물의 출수 회차에 따른 온도 변화가 작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 및 냉수 출수의 신뢰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과정은 살균 모듈(400)에 의한 살균 과정 및 출수되는 냉수에 의한 살균 모듈(400)의 냉각 과정과 함께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수의 살균 효율 및 살균 모듈(400)의 냉각 효율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정수기 10: 살균 장치
20: 필터부 30: 입수부
40: 출수부 50: 프레임
100: 하우징부 110: 메인 하우징
111: 유출구 112: 하우징 공간
113: 지지부 114: 하우징 유동 공간
115: 커버 부재 결합부 116: 커버 부재 수용부
120: 서브 하우징 121: 유입구
130: 유로 분할 막 131: 유로 연통공
200: 유로 형성부 210: 메인 유로 형성부
211: 메인 공간 212: 메인 유로 단부
220: 서브 유로 형성부 221: 서브 공간
222: 서브 유로 단부 230: 메인 패킹 부재
240: 서브 패킹 부재 300: 커버 부재
310: 커버 몸체 320: 살빼기 홈
330: 체결 돌출부 340: 하우징 체결공
350: 살균 모듈 결합부 351: 살균 모듈 수용부
352: 살균 모듈 체결공 400: 살균 모듈
410: 조사 부재 411: 체결 관통공
420: 확산 부재 421: 제1 확산 면
422: 제2 확산 면 430: 살균 패킹 부재
500: 방열 모듈 510: 방열 몸체
511: 제1 면 512: 제2 면
513: 패킹 부재 결합부 520: 살균 모듈 실장부
530: 확산 개구부 540: 방열 유로 홈
550: 방열 패킹 부재 Source: 수원
Container: 용기

Claims (14)

  1. 외부와 연통되는 하우징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우징 공간에서 유동되는 유체를 살균하는 살균 모듈;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살균 모듈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우징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고, 상기 살균 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는 방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 모듈은,
    상기 살균 모듈 및 상기 유체와 직접 접촉되어, 상기 살균 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유체에 전달하게 구성되는,
    살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모듈은,
    상기 유체를 살균하기 위한 빛(light)을 조사하게 구성되는 조사 부재; 및
    상기 조사 부재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우징 공간에서 유동되는 유체에 확산시키게 구성되는 확산 부재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부재는 LED 모듈로 구비되고,
    상기 확산 부재는,
    상기 조사 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조사 부재를 지지하는 제1 확산 면; 및
    상기 제1 확산 면에 대향(opposite)되게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우징 공간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2 확산 면을 포함하는,
    살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부재의 상기 제2 확산 면은 상기 하우징 공간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유동되는 상기 유체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살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개방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유출구; 및
    상기 유출구 및 상기 하우징 공간과 각각 연통되어, 상기 유체가 유출되는 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유동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 모듈은,
    상기 하우징 유동 공간을 부분적으로 덮으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유동 공간에서 유동되는 유체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살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모듈은,
    상기 하우징 유동 공간에 반대되는 제1 면; 및
    상기 하우징 유동 공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배치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살균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모듈은,
    그 내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살균 모듈을 수용하는 살균 모듈 실장부;
    상기 살균 모듈 실장부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공간과 상기 살균 모듈 실장부를 연통하는 확산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 모듈은,
    상기 살균 모듈 실장부에 수용되어, 상기 확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공간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며 상기 확산 개구부를 폐쇄하게 배치되는,
    살균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모듈은,
    상기 제2 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공간 및 상기 하우징 유동 공간과 각각 연통되고, 상기 유체가 유동되는 방열 유로 홈을 포함하는,
    살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모듈은,
    그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살균 모듈에 의해 부분적으로 폐쇄되는 확산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 개구부와 상기 방열 유로 홈은 연통되는,
    살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유로 홈은,
    상기 확산 개구부 및 상기 방열 모듈의 외주 사이에서 연장되어, 그 연장 방향의 일 단부는 상기 확산 개구부와 연통되고, 그 연장 방향의 타 단부는 상기 하우징 유동 공간과 연통되는,
    살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유로 홈은 복수 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방열 유로 홈은 상기 방열 모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살균 장치.
  12. 외부와 연통되어, 유체를 전달받는 입수부;
    상기 입수부와 연통되어, 전달받은 상기 유체를 여과(filtering)하게 구성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 및 외부와 연통되어, 여과된 상기 유체를 살균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구성되는 살균 장치; 및
    상기 입수부,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살균 장치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 장치는,
    상기 필터부 및 외부와 연통되는 하우징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우징 공간에서 유동되는 유체를 살균하는 살균 모듈;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살균 모듈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우징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고, 상기 살균 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는 방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 모듈은,
    상기 살균 모듈 및 상기 유체와 직접 접촉되어, 상기 살균 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유체에 전달하게 구성되는,
    정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살균된 상기 유체를 출수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정수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장치와 연통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살균된 상기 유체를 출수하는 출수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220045706A 2022-04-13 2022-04-13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2301468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706A KR20230146817A (ko) 2022-04-13 2022-04-13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706A KR20230146817A (ko) 2022-04-13 2022-04-13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817A true KR20230146817A (ko) 2023-10-20

Family

ID=88514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706A KR20230146817A (ko) 2022-04-13 2022-04-13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681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174A (ko) 2019-01-16 2020-07-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살균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
KR102262980B1 (ko) 2020-11-13 2021-06-10 주식회사 피쉬 냉매 응축 성능이 향상된 물 생성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174A (ko) 2019-01-16 2020-07-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살균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
KR102262980B1 (ko) 2020-11-13 2021-06-10 주식회사 피쉬 냉매 응축 성능이 향상된 물 생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5546B1 (en) Ultraviolet sterilizer and sterilization method
US6469308B1 (en) Ultraviolet radiated water treatment tank
CN113860422B (zh) 杀菌模块、净水装置及包括净水装置的系统
JP2016511138A (ja) 発光ダイオードから放射された光による液体消毒方法及び装置
TW201604140A (zh) 用於流體處理之方法、系統及裝置
KR20170116506A (ko) 살균 모듈,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JP7084574B2 (ja) Uv殺菌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飲料水供給設備
WO2022193987A1 (zh) 上水器
KR101072592B1 (ko) 정수용 자외선 살균장치
KR20230146817A (ko)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0663165B1 (ko) 자외선 순간 살균기
US11312642B2 (en) Fluid sterilizing device
JP2014061946A (ja) 飲料水供給装置、当該飲料水供給装置に用いる供給部材および吸気装置
KR101939332B1 (ko) 살균 모듈,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0293997Y1 (ko) 정수기물 살균 유니트
WO2007086829A1 (en) Accessory for providing ultraviolet disinfection to a water dispenser
CN215975067U (zh) 一种led杀菌装置
KR102207803B1 (ko)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
KR20240033985A (ko)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N215479877U (zh) 一种流动水紫外线杀菌消毒单元
CN215194011U (zh) 紫外杀菌装置
KR20190006581A (ko) 광원 유닛 및 광원 유닛을 포함하는 유체 처리 장치
CN213924123U (zh) 杀菌装置和净水机
WO2019080129A1 (zh) 流体灭菌装置
KR20230164341A (ko) 출수부 조립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