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698A - 회전에 의해 헤드부가 승강하는 내용물 용기 - Google Patents

회전에 의해 헤드부가 승강하는 내용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698A
KR20230145698A KR1020220044380A KR20220044380A KR20230145698A KR 20230145698 A KR20230145698 A KR 20230145698A KR 1020220044380 A KR1020220044380 A KR 1020220044380A KR 20220044380 A KR20220044380 A KR 20220044380A KR 20230145698 A KR20230145698 A KR 20230145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ssembly
inner container
assembly
outer contai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1431B1 (ko
Inventor
정효선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220044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431B1/ko
Priority to PCT/KR2023/003727 priority patent/WO2023200132A1/ko
Publication of KR20230145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4Cartridges, i.e. containers specially designed for easy attachment to or easy removal from the rest of the spr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1053Actuation means combined with means, other than pressure, for automatically opening a valve during actuation; combined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removing closures or covers from the discharge nozzle during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05Dispensers provided with a replaceable cartridge, recharge or pouch located within the dispenser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고, 가압에 의해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내용기 조립체; 및 상기 내용기 조립체를 수용하는 외용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용기 조립체는, 상기 내용기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용기; 상기 외용기와 상기 내용기 조립체를 연결하되, 회전 시 상기 외용기를 따라 승강함으로써 상기 내용기 조립체를 승강시키는 연결부; 및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부를 승강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에 의해 헤드부가 승강하는 내용물 용기{CONTAINER IN WHICH THE HEAD PART IS RAISED AND LOWERED BY ROTATION}
본 발명은 회전에 의해 헤드부가 승강하는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기의 외용기로부터의 분리 및 리필이 용이하며 가압 제한 구조가 개선된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내용물 용기는 수용되는 내용물의 제형, 사용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액상, 겔상, 크림상의 제형을 갖는 내용물의 경우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펌프 용기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펌프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부; 가압에 의해 압축 및 압축 해제되며 내용물을 이동시키는 펌프 조립체; 및 펌프 조립체를 가압하고,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헤드부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펌프 용기의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더라도 헤드부가 가압되어 내용물이 토출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고, 헤드부가 항상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용기의 디자인 설계에도 제한이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펌프 용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전에 의해 헤드부가 승강하는 용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승강형 용기는 헤드부의 특정 영역을 가압할 경우에는 가압 제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헤드부가 부분적으로 하강함에 따라 내용물이 일부 토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승강형 용기는 구조가 복잡하여 내용기를 리필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되기 어렵고, 리필 구성이 적용되더라도 내용기 리필을 위한 조작 과정이 복잡하고, 조립 공정이 까다로워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에 의해 헤드부가 승강하되, 내용기의 외용기로부터의 분리 및 리필이 용이하고, 가압 제한 구조가 개선된 내용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고, 가압에 의해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내용기 조립체; 및 상기 내용기 조립체를 수용하는 외용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용기 조립체는, 상기 내용기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용기; 상기 외용기와 상기 내용기 조립체를 연결하되, 회전 시 상기 외용기를 따라 승강함으로써 상기 내용기 조립체를 승강시키는 연결부; 및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부를 승강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기 조립체는, 상면이 상기 외용기 조립체의 상면과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다가,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면, 상기 상면이 상기 외용기 조립체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기 조립체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날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의 상단 내주면을 따라 상기 날개부의 하단에 접하는 제 1 제한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기 조립체는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날개부와 대응하는 각도로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용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가이드 홈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 2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 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 2 가이드 홈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외용기를 따라서 승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 홈은 상기 외용기의 횡단면에 대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이드 홈은 상기 회전부의 횡단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기 조립체는, 상기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용기; 가압에 의해 상기 내용물을 이동시키는 펌프 조립체; 및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와 상기 펌프 조립체 사이에, 상기 헤드부의 가압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 조립체는, 가압에 의해 압축 및 압축 해제되며 상기 내용물을 이동시키는 펌프부; 및 상기 펌프부를 상기 외용기 조립체와 연결하는 언더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더캡의 외측에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접하는 언더컷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더컷을 파지하며 상기 내용기 조립체를 상기 외용기 조립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기 조립체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에 의해 내용기 조립체가 승강함에 따라, 내용기 조립체를 외용기로부터의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외용기 조립체를 유지하면서 내용기 조립체 전체를 새로운 내용기 조립체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의 리필이 용이하고 외용기 조립체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내용기 조립체가 전체적으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내용기 조립체를 간편하게 분리 배출할 수 있으므로, 재활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가 하강하여 가압이 제한된 상태에서는, 헤드부의 어느 영역을 가압하더라도 하강이 제한되게 되어, 헤드부가 부분적으로 눌려 내용물이 토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과 운반 과정에서 헤드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헤드부의 불필요한 간섭과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기 조립체와 외용기 조립체가 서로 간의 상대 회전 위치와 무관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무방향성 체결 구조에 의해 제품의 생산 및 조립 공정이 간편해지고, 내용기 조립체의 리필 과정에서 내용기 조립체와 외용기 조립체의 상대 회전 위치를 세밀하게 정렬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리필이 편리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용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내용기 조립체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방향성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돌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전체적인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용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내용기 조립체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내용물 용기(1000)는 내용기 조립체(100) 및 외용기 조립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용기 조립체(100)는 내용물을 수용하고,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또한 내용기 조립체(100)는 외용기 조립체(200)를 따라서 승강할 수 있다. 내용기 조립체(100)가 외용기 조립체(200)를 따라서 승강함에 따라, 내용기 조립체(100)의 가압이 가능해지거나, 내용기 조립체(100)의 가압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내용기 조립체(100)는 승강에 의해 전체적으로 외용기 조립체(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용기 조립체(200)를 유지하면서 내용기 조립체(100) 전체를 새로운 내용기 조립체(100)로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내용기 조립체(100)의 리필이 용이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용기 조립체(100)는 전체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기 조립체(100)는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금속 재질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플라스틱 재질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스타이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케톤(POK),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에틸렌테리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 다양한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공지된 플라스틱 재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용기 조립체(100)를 외용기 조립체(200)로부터 분리한 다음, 간편하게 분리 배출할 수 있어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고, 재활용률 및 패키지 재사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용기 조립체(100)는 승강에 의해 외용기 조립체(200) 내부로 삽입되거나(도 1의 (a) 참조) 외용기 조립체(20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도 1의 (b) 참조).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내용기 조립체(100)는 상면이 외용기 조립체(200)의 상면과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다가, (회전부(230)가 회전되면 상승하여) 상면이 외용기 조립체(200)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내용기 조립체(100)가 외용기 조립체(200) 내부로 삽입될 경우 내용기 조립체(100)의 가압이 방지될 수 있고, 내용기 조립체(100)가 외용기 조립체(200) 외부로 돌출될 경우 내용기 조립체(100)의 가압이 허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용기 조립체(100)가 외용기 조립체(200)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내용기 조립체(100)를 상방 가압하거나 외용기 조립체(200)를 하방 가압하면 내용기 조립체(100)와 외용기 조립체(20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용물이 소진된 내용기 조립체(100)를 새로운 내용기 조립체(100)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용기 조립체(100)는 내용기(110), 펌프 조립체(120) 및 헤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용기(110)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내용물은, 예를 들어 액상, 겔상 또는 분말 상의 화장료, 의약품, 의약외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은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미백 에센스, 톤업크림,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 선밀크, 비비크림, 베이스, 파운데이션, CC크림, 컨실러, 블러셔, 쉐딩,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아이크림, 프라이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내용기(110)는 원통형의 보틀(Bottle)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튜브(Tube), 병(Jar), 디스펜서(Dispenser), 컴팩트(Compact) 등의 형태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펌프 조립체(120)는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 조립체(120)는 내용기(110)에 결합되어, 내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펌프 조립체(120)는 외용기 조립체(200)와 결합되어, 외용기 조립체(200)에 의해 승강할 수 있다. 펌프 조립체(120)의 승강에 의해, 내용기(110) 및 헤드부(130)가 함께 승강하여, 내용기 조립체(100)가 전체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펌프 조립체(120)와 내용기(110)의 결합 및 펌프 조립체(120)와 외용기 조립체(200)의 결합에는 나사 결합, 끼움 결합, 걸림 결합, 끼워맞춤 결합, 걸어맞춤 결합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결합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펌프 조립체(120)는 펌프부(121) 및 언더캡(122)을 포함할 수 있다.
펌프부(121)는 가압에 의해 압축 및 압축 해제되며 내용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부(121)는 상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실린더; 적어도 일부가 실린더 내에 삽입되어 실린더의 상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하는 실링부;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실린더에 밀착하며 승강하는 실캡; 실캡에 의해 둘러싸이고 실린더에 대해 승강하는 피스톤 로드; 피스톤 로드에 결합하며 피스톤 로드와 함께 승강하는 스템; 및 실링부와 스템 사이에 구비되어 실링부에서 스템을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펌프부(121)는, 예를 들어 에어리스(airless) 타입, 딥튜브(dip tube) 타입, 스프레이(spray) 타입 등 공지된 모든 타입의 펌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펌프부(121)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는, 마루와 골이 반복 형성되되, 측면이 밀폐된 벨로우즈 타입 스프링일 수 있다. 이 경우, 스템의 상단에는 탄성 부재의 상단을 지지하는 스템 날개가 외측으로 형성될 수 있고, 스템 날개의 외측 단부에는 탄성 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하방 절곡부가 하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의 상면에는 탄성 부재의 하단이 삽입되어 탄성 부재의 하단과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템 날개와 실링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탄성 부재의 압축 및 압축 해제 시의 내압 변화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펌프부(121)는 전체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부(121)는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금속 재질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펌프부(121)에 포함되는 탄성 부재 역시 금속 재질이 아닌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용기 조립체(100)를 폐기할 때 펌프부(121)만을 분리하여 폐기하지 않아도 되므로, 재활용률 및 패키지 재사용률이 향상될 수 있다.
언더캡(122)은 펌프부(121)를 외용기 조립체(200)와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더캡(122)은 내측으로 내용기(110) 및/또는 펌프부(121)와 결합할 수 있고, 외측으로 외용기 조립체(200)(특히 연결부(220))와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언더캡(122)은 펌프 조립체(120)와 외용기 조립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용기 조립체(200)의 적어도 일부(특히, 연결부(220))로부터 펌프 조립체(120)가 하강하는 것은 제한하되, 상승하는 것은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기 조립체(100)는 외용기 조립체(200)(특히, 회전부(230))의 회전 조작 시 외용기 조립체(200)(특히, 연결부(220))에 의해 상승할 수 있고, 이후 내용기 조립체(100)를 상방 가압하거나 외용기 조립체(200)를 하방 가압하면 내용기 조립체(100)와 외용기 조립체(200)의 분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언더캡(122) 에는 언더컷(122-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언더컷(122-1)은, 예를 들어 외용기 조립체(200)의 일측(특히, 연결부(220)의 내측 상단)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230)의 회전에 의해) 외용기 조립체(200)의 적어도 일부(특히, 연결부(220))가 상승하면, 외용기 조립체(200)의 일측(특히 연결부(220)의 제 1 영역(221)의 상단)이 언더컷(122-1)을 가압하여 언더캡(122)이 함께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언더캡(122)의 상승에 의해 내용기 조립체(100)가 전체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언더캡(122)이 상승한 상태에서 내용기 조립체(100)를 상방 가압하거나 외용기 조립체(200)를 하방 가압할 경우에는, 언더컷(122-1)의 상승이 제한되지 않으므로 외용기 조립체(200)가 상승하여 내용기 조립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언더컷(122-1)이 외용기 조립체(200)(특히 연결부(220)) 일측에 끼워지며 언더캡(122)과 외용기 조립체(200)(특히 연결부(220))가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결합 방식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언더캡(122)의 외주면, 특히 언더캡(122)에서 언더컷(122-1)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언더캡(122)이 외용기 조립체(200)(특히 연결부(220))와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외에도 나사 결합, 걸림 결합, 걸어맞춤 결합 등 다양한 공지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결합 방식이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언더캡(122)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내용기 조립체(100)의 분리 시 사용자가 파지부를 파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더컷(122-1)이 파지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언더컷(122-1)을 파지하여 내용기 조립체(100)를 상방 가압하거나 외용기 조립체(200)를 하방 가압함으로서, 내용기 조립체(100)를 외용기 조립체(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언더캡(122)의 외측에 형성되는 끼움 홈이 파지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고, 파지부로서 언더캡(122)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파지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다양한 구성이 부가적으로/대안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헤드부(130)는 펌프 조립체(120)를 가압하고,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가압을 전달받아 펌프 조립체(120)를 가압할 수 있고, 펌프 조립체(120)에 의해 이동된 내용물은, 예를 들어 유입 홀(131)을 통해 헤드부(130)로 유입된 후 노즐부(13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헤드부(130)에는 날개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133)는 외용기 조립체(200)의 적어도 일부(특히, 제 1 제한 돌기(232))와 접하며 헤드부(130)의 하강을 제한함으로써 헤드부(130)의 가압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부(133)는 헤드부(130)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날개부(133)는 헤드부(13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날개부(133)는 헤드부(130)의 둘레를 따라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부(130)의 둘레를 따라서 모든 영역이 전체적으로 외용기 조립체(200)의 일측(특히, 제 1 제한 돌기(232))에 접하게 되어, 어느 부위를 가압하더라도 헤드부(130)가 하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가압 제한 상태에서 헤드부(130)의 특정 부위를 가압할 경우 헤드부(130)가 부분적으로 하강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날개부(133)는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 구조에 의해, 헤드부(130)의 승강 과정에서의 날개부(133)와 외용기 조립체(200)(특히, 회전부(230)) 사이의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다. 마찰력 감소에 의해 내용기 조립체(100)의 승강이 자연스러워지고, 사용감이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노즐부(132)는 날개부(133)와 대응하는 각도로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용기 조립체(100)가 외용기 조립체(200)에 완전히 삽입되어 날개부(133)가 외용기 조립체(200)의 일측(특히, 제 1 제한 돌기(232)이 접할 때, 노즐부(132) 또한 날개부(133)와 함께 외용기 조립체(200)의 일측(특히, 제 1 제한 돌기(232))에 접할 수 있고, 외용기 조립체(200)에는 노즐부(132)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를 경우, 내용기 조립체(100)와 외용기 조립체(200)를 체결할 때, 날개부(133)와 노즐부(132)는 항상 동시에 외용기 조립체(200)의 일측(특히, 제 1 제한 돌기(232))에 접하게 되므로, 노즐부(132)의 위치가 내용기 조립체(100)의 삽입 깊이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즉, 내용기 조립체(100)와 외용기 조립체(200)에 무방향성 체결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헤드부(13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제한 돌기(13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제한 돌기(134)는 헤드부(130)의 승강 경로를 가이드 하거나, 헤드부(130)의 가압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제한 돌기(134)는 헤드부(130)의 승강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 경우, 펌프 조립체(120), 특히 언더캡(122)에는 제 2 제한 돌기(134)의 승강 경로를 형성하는 제 1 이동 홈(122-2)이 형성될 수 있다(도 6의 (a) 참조). 제 1 이동 홈(122-2)은 펌프 조립체(120)의 횡단면에 수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헤드부(130)가 가압되면, 제 2 제한 돌기(134)가 제 1 이동 홈(122-2)을 따라서 이동하여, 헤드부(130)의 승강 경로가 가이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제한 돌기(134)는 헤드부(130)의 가압을 제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헤드부(130)를 회전 조작하여 제 2 제한 돌기(134)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헤드부(130)의 가압 제한 여부의 조절이 가능해질 있다. 이 경우, 펌프 조립체(120`), 특히 언더캡(122`)에는 제 2 제한 돌기(134)의 승강 경로를 형성하는 제 1 이동 홈(122-2) 및 제 2 제한 돌기(134)의 회전 경로를 형성하는 제 2 이동 홈(122-3)이 구비될 수 있다(도 6의 (b) 참조). 이때 제 1 이동 홈(122-2)은 펌프 조립체(120)의 횡단면에 수직할 수 있고, 제 2 이동 홈(122-3)은 펌프 조립체(120)의 횡단면에 평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2 제한 돌기(134)가 제 1 이동 홈(122-2)의 상부에 위치할 때 헤드부(130)의 가압이 허용되고, 제 2 이동 홈(122-3)의 상부에 위치할 때 헤드부(130)의 가압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헤드부(130)는 펌프 조립체(120`)에 대한 제 1 회전 범위에서 가압이 허용되고, 제 2 회전 범위에서 가압이 제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헤드부(130)가 제 1 회전 범위에 있을 때, 제 2 제한 돌기(134)가 제 1 이동 홈(122-2)을 따라 승강 가능하여 헤드부(130)의 하강이 허용됨으로써, 헤드부(130)의 가압이 허용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30)가 제 2 회전 범위에 있을 때, 제 2 제한 돌기(134)의 하단이 제 2 이동 홈(122-3)의 하단에 접하며 헤드부(130)의 하강이 제한됨으로써, 헤드부(130)의 가압이 제한될 수 있다. 즉, 헤드부(130)가 제 2 회전 범위에 있도록 함으로써 헤드부(130)의 의도치 않은 가압에 의한 내용물 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용기 조립체(100)의 최초 사용 전까지는 헤드부(130)의 가압이 제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헤드부(130)와 펌프 조립체(120) 사이에는 스토퍼(14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140)는 헤드부(130)의 하단 및 펌프 조립체(120)의 일측(특히, 언더컷(122-1)의 상단)에 각각 접하며, 헤드부(130)의 의도치 않은 가압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140)는, 예를 들어 내용기 조립체(100)의 최초 제공 시에 부착되어 있다가, 내용기 조립체(100)를 외용기 조립체(200)에 결합하기 직전에 제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헤드부(130)와 내용기(110) 사이에 스토퍼(140)가 구비될 경우, 제 2 이동 홈(122-3)은 구비되지 않을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양자가 모두 구비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외용기 조립체(200)는 내측으로 내용기 조립체(10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외용기 조립체(200)는 적어도 일부가 회전되며 내용기 조립체(1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외용기 조립체(200)는 외용기(210), 연결부(220) 및 회전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용기(210)는 내용기 조립체(100)의 적어도 일부, 특히 내용기(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기(110)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내용기(110)의 단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연결부(220)는 외용기(210)와 내용기 조립체(100)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220)는 내측으로 펌프 조립체(120)의 언더캡(122)과 결합하고, 외측으로 외용기(210)와 결합하여, 외용기(210)와 내용기 조립체(10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20)는 (회전부(230)의 회전 시) 외용기(210)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연결부(220)의 승강에 의해 연결부(220)와 연결된 펌프 조립체(120)도 함께 승강할 수 있다. 즉, 연결부(220)의 승강에 의해 내용기 조립체(100)가 승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220)는 하측의 제 1 영역(221)이 상측의 제 2 영역(222)에 비해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영역(221)의 상단이 언더컷(122-1)의 하단에 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220)의 내측, 특히 제 2 영역(222)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22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언더컷(122-1)은 하단이 제 1 영역의 상단에 접하고, 상단이 걸림 돌기(222-1)에 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결부(220)와 내용기 조립체(1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걸림 돌기(222-1)는 외력의 작용에 따라 외측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더컷(122-1)이 상측으로 가압되며 걸림 돌기(222-1)에 외력을 가하면, 걸림 돌기(222-1)가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이에 따라 언더컷(122-1)이 상승하게 될 수 있다. 즉, 언더컷(122-1)의 하강은 제 1 영역에 의해 제한되지만, 언더컷(122-1)의 상승은 걸림 돌기(222-1)의 탄성 변형에 의해 부분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회전부(230)의 회전 조작 시 언더컷(122-1)이 연결부(220)에 의해 상승하여, 내용기 조립체(100)가 외용기 조립체(200)로부터 상승할 수 있다. 이후 내용기 조립체(100)를 상방 가압하거나 외용기 조립체(200)를 하방 가압하면 걸림 돌기(222-1)가 탄성 변형되며 언더컷(122-1)이 상승하여, 내용기 조립체(100)와 외용기 조립체(200)의 분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220)와 언더캡(122)의 결합을 위해, 연결부(220)에는 언더캡(122)의 끼움 홈에 끼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결합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나사 결합, 걸림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회전부(230)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하며 내용기 조립체(1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230)는 회전에 조작에 의해 연결부(220)를 승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연결부(220)와 연결된 내용기 조립체(100)가 승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230)는 외용기(210) 및/또는 연결부(220)의 외측에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전달받고, 연결부(2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외용기(2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 홈(211)이 구비되고, 회전부(2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가이드 홈(231)이 구비되며, 연결부(220)에는 제 1 가이드 홈(211) 및 제 2 가이드 홈(231)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221-1)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230)의 회전 시, 가이드 돌기(221-1)가 제 1 가이드 홈(211) 및 제 2 가이드 홈(231)을 따라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연결부(220)가 외용기(210)를 따라서 승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부(230)가 회전하면, 제 2 가이드 홈(231)이 회전하며 가이드 돌기(221-1)를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여 가이드 돌기(221-1)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가이드 돌기(221-1)는 제 1 가이드 홈(211)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21-1)가 제 1 가이드 홈(211)을 따라 이동하면 연결부(220)가 외용기(210)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가이드 홈(211)은 외용기(210)의 횡단면에 대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2 가이드 홈(231)은 회전부(230)의 횡단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부(230)의 회전 시 가이드 돌기(221-1)가 제 1 가이드 홈(211)을 따라서 나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연결부(220) 및 내용기 조립체(100)가 회전 승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 1 가이드 홈(211)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2 가이드 홈(231)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회전부(230)의 상단 내주면을 따라 제 1 제한 돌기(232)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제한 돌기(232)는 내용기 조립체(100)의 적어도 일부, 특히 헤드부(130)의 날개부(133)의 하단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기 조립체(100)의 상면이 외용기 조립체(200)의 상면과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내용기 조립체(100)의 가압이 방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제한 돌기(232)는 회전부(230)의 상단 내주면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날개부(133)와 전체적으로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기 조립체(100)의 상면이 외용기 조립체(200)의 상면과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여 제 1 제한 돌기(232)와 날개부(133)가 서로 접하는 상태에서는, 헤드부(130)의 어느 영역을 가압하더라도 제 1 제한 돌기(232)와 날개부(133)에 의해 헤드부(130)의 가압이 제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제한 돌기(232)는 회전부(230)의 내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경사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고, 날개부(133) 및/또는 노즐부(132)와 대응하여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어떠한 형상에 따르더라도 제 1 제한 돌기(232)는 날개부(133) 및/또는 노즐부(132)의 일측에 접하며 헤드부(130)의 가압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제한 돌기(232)의 일 영역에는 삽입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부는 제 1 제한 돌기(232)의 일 영역이 상하로 관통되거나 하측으로 함몰됨으로써 형성되고, 삽입부에는 내용기 조립체(100)의 노즐부(132)가 삽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제한 돌기(232)의 일 영역에는 삽입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 1 제한 돌기(232)는 회전부(230)의 상단 내주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끊김 없이 연결될 수 있다. 제 1 제한 돌기(232)는 날개부(133) 및 노즐부(132)와 전체적으로 접하며, 날개부(133) 및 노즐부(132)의 하강을 모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하강 방지는 헤드부(130)와 회전부(230)의 서로 간의 상대 회전 위치와 무관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이를 통해 헤드부(130)와 회전부(230)의 무방향성 체결 구조, 즉 내용기 조립체(100)와 외용기 조립체(200)의 무방향성 체결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무방향성 체결 구조에 의해 제품의 생산 및 조립 공정이 간편해지고, 내용기 조립체(100)의 리필 과정에서 내용기 조립체(100)와 외용기 조립체(200)의 상대 회전 위치를 세밀하게 정렬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리필이 편리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따른 내용물 용기(1000)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방향성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내용기 조립체(100)가 외용기 조립체(20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헤드부(130)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날개부(133)가 회전부(23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1 제한 돌기(232)와 접하게 된다. 이때, 날개부(133)는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와 동시에 노즐부(132) 또한 날개부(133)와 대응하는 각도로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날개부(133)가 제 1 제한 돌기(232)와 접하는 상태에서는 노즐부(132) 또한 이와 동일하게 제 1 제한 돌기(232)와 접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 1 제한 돌기(232)에는 노즐부(132)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기 조립체(100)가 외용기 조립체(2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내용기 조립체(100)를 외용기 조립체(200)에 삽입할 경우, 날개부(133)와 노즐부(132)가 항상 동시에 제 1 제한 돌기(232)에 접하게 되므로, 노즐부(132)의 위치가 내용기 조립체(100)의 삽입 깊이 및/또는 제 1 제한 돌기(232)에 의한 하강 방지 여부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즉, 내용기 조립체(100)와 외용기 조립체(200)에 무방향성 체결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무방향성 체결 구조에 의해 제품의 생산 및 조립 공정, 내용기 조립체(100)의 리필 과정에서 내용기 조립체(100)와 외용기 조립체(200)의 상대 회전 위치를 세밀하게 정렬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생산성이 증가하고 리필이 편리해질 수 있다.
도 7에 따른 무방향성 체결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돌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회전부(230)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내었다.
도 8을 참조하면, 회전부(230)가 회전되면, 회전부(230)의 횡단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가이드 홈(231)이 회전하며 가이드 돌기(221-1)를 회전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돌기(221-1)는 외용기(210)의 횡단면에 대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가이드 홈(211)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21-1)가 제 1 가이드 홈(211)을 따라서 이동함에 따라, 연결부(220)는 외용기(210)를 따라서 회전 승강할 수 있다. 연결부(220)의 승강에 의해 연결부(220)와 결합된 내용기 조립체(100) 또한 승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헤드부(130)가 외용기 조립체(200)로부터 돌출되거나 외용기 조립체(20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8에 따른 헤드부의 돌출 동작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전체적인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전부(23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부(230)에 의해 연결부(220)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연결부(220)와 결합된 펌프 조립체(120)가 상승하여, 내용기 조립체(100)가 상승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용기 조립체(100)가 외용기 조립체(2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 1 제한 돌기(232)에 의한 헤드부(130)의 가압 제한이 해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부(130)를 가압함으로써 펌프 조립체(120)를 압축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내용물을 노즐부(132) 외측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후, 내용기 조립체(100)가 외용기 조립체(200)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내용기 조립체(100)를 상방 가압하거나 외용기 조립체(200)를 하방 가압하면 내용기 조립체(100)와 외용기 조립체(20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내용기 조립체(100)의 언더컷(122-1)을 파지함으로써 내용기 조립체(100)와 외용기 조립체(200)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용기 조립체(200)를 유지하면서 내용물이 소진된 내용기 조립체(100)만을 새로운 내용기 조립체(100)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용기 조립체(100)의 리필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9에 따른 사용 방식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내용기 조립체 110: 내용기
120, 120`: 펌프 조립체 121: 펌프부
122, 122`: 언더캡 122-1: 언더컷
122-2: 제 1 이동 홈 122-3: 제 2 이동 홈
130: 헤드부 131: 유입 홀
132: 노즐부 133: 날개부
134: 제 2 제한 돌기 140: 스토퍼
200: 외용기 조립체 210: 외용기
211: 제 1 가이드 홈 220: 연결부
221: 제 1 영역 221-1: 가이드 돌기
222: 제 2 영역 222-1: 걸림 돌기
230: 회전부 231: 제 2 가이드 홈
232: 제 1 제한 돌기 1000: 내용물 용기

Claims (14)

  1. 내용물 용기로서,
    내용물을 수용하고, 가압에 의해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내용기 조립체; 및
    상기 내용기 조립체를 수용하는 외용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용기 조립체는, 상기 내용기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용기; 상기 외용기와 상기 내용기 조립체를 연결하되, 회전 시 상기 외용기를 따라 승강함으로써 상기 내용기 조립체를 승강시키는 연결부; 및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부를 승강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 조립체는, 상면이 상기 외용기 조립체의 상면과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다가,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면, 상기 상면이 상기 외용기 조립체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내용물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 조립체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날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의 상단 내주면을 따라 상기 날개부의 하단에 접하는 제 1 제한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내용물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내용물 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 조립체는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날개부와 대응하는 각도로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내용물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가이드 홈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 2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는, 내용물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 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 2 가이드 홈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외용기를 따라서 승강하는, 내용물 용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홈은 상기 외용기의 횡단면에 대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이드 홈은 상기 회전부의 횡단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내용물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 조립체는, 상기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용기; 가압에 의해 상기 내용물을 이동시키는 펌프 조립체; 및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펌프 조립체 사이에, 상기 헤드부의 가압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내용물 용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조립체는, 가압에 의해 압축 및 압축 해제되며 상기 내용물을 이동시키는 펌프부; 및 상기 펌프부를 상기 외용기 조립체와 연결하는 언더캡을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캡의 외측에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접하는 언더컷이 형성되는, 내용물 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을 파지하며 상기 내용기 조립체를 상기 외용기 조립체로부터 분리하는, 내용물 용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 조립체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내용물 용기.
KR1020220044380A 2022-04-11 2022-04-11 회전에 의해 헤드부가 승강하는 내용물 용기 KR102631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380A KR102631431B1 (ko) 2022-04-11 2022-04-11 회전에 의해 헤드부가 승강하는 내용물 용기
PCT/KR2023/003727 WO2023200132A1 (ko) 2022-04-11 2023-03-21 회전에 의해 헤드부가 승강하는 내용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380A KR102631431B1 (ko) 2022-04-11 2022-04-11 회전에 의해 헤드부가 승강하는 내용물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698A true KR20230145698A (ko) 2023-10-18
KR102631431B1 KR102631431B1 (ko) 2024-01-31

Family

ID=8832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380A KR102631431B1 (ko) 2022-04-11 2022-04-11 회전에 의해 헤드부가 승강하는 내용물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31431B1 (ko)
WO (1) WO202320013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2054A (ja) * 2000-11-30 2001-07-17 Kao Corp ポンプ容器
KR200347811Y1 (ko) * 2003-12-05 2004-04-17 주식회사 태평양 출몰식 화장품 용기
KR101666683B1 (ko) * 2015-09-18 2016-10-17 (주)연우 버튼 출몰식 디스펜서 용기
KR20170136686A (ko) * 2016-06-01 2017-12-12 펌텍코리아 (주) 생산성과 밀폐력이 향상된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154B1 (ko) * 2018-12-17 2019-04-05 (주)네스필러피케이지 노즐 출몰식 디스펜서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2054A (ja) * 2000-11-30 2001-07-17 Kao Corp ポンプ容器
KR200347811Y1 (ko) * 2003-12-05 2004-04-17 주식회사 태평양 출몰식 화장품 용기
KR101666683B1 (ko) * 2015-09-18 2016-10-17 (주)연우 버튼 출몰식 디스펜서 용기
KR20170136686A (ko) * 2016-06-01 2017-12-12 펌텍코리아 (주) 생산성과 밀폐력이 향상된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00132A1 (ko) 2023-10-19
KR102631431B1 (ko) 202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071807B (zh) 内容物排出容器
KR102292686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EP3205228A1 (en) Two-liquid mixing container provided with pressing pocket
KR102171859B1 (ko) 버튼 출몰식 화장품 용기
EP3015020A1 (en) Extrusion type cosmetic container
CN104603019A (zh) 用于自动填充和固定量分配的注射器式容器盖
CN114786530B (zh) 双重容器
KR102122160B1 (ko)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KR102265177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2196810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2631431B1 (ko) 회전에 의해 헤드부가 승강하는 내용물 용기
KR102338935B1 (ko) 오토 드롭퍼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102295985B1 (ko) 내용물 토출 용기
KR20230079759A (ko) 내용물 용기
KR102548563B1 (ko) 승하강안내수단을 갖는 리필형 화장품 용기
KR102104248B1 (ko) 회전 개폐형 화장품 용기
KR20210158272A (ko) 내용물 용기
US10737870B2 (en) Container for discharging liquid
KR20230102162A (ko) 내용물 용기
KR20240007536A (ko) 내용물 용기
KR102135610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2137560B1 (ko) 버튼 출몰식 용기
KR20230157665A (ko) 내용물 용기
KR102643868B1 (ko) 내용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