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387A - 보육기 - Google Patents

보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387A
KR20230145387A KR1020237030439A KR20237030439A KR20230145387A KR 20230145387 A KR20230145387 A KR 20230145387A KR 1020237030439 A KR1020237030439 A KR 1020237030439A KR 20237030439 A KR20237030439 A KR 20237030439A KR 20230145387 A KR20230145387 A KR 20230145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lifting frame
hood
lifting
incub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수
함백기
Original Assignee
제이더블유중외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더블유중외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더블유중외제약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45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1/00Baby-incubators; Couve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1/00Baby-incubators; Couveuses
    • A61G11/001Baby-incubators; Couveuses with height-adjustable elements
    • A61G11/003Baby-incubators; Couveuses with height-adjustable elements height-adjustable he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10Type of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육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상부에 아기가 뉘여지도록 바닥판이 구비된 몸체와; 하부가 상기 몸체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에 연결되고,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승하강하도록 구성되는 승강프레임과; 승강프레임의 움직임에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승강프레임이 승하강함에 따라 따라 승하강하는 히터와; 승강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승강프레임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승하강함으로써, 몸체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후드; 승강프레임 및 후드를 승하강시키는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승강프레임이 승하강하는 것에 연동하여, 히터가 소정 각도로 틸팅하도록 하는 틸팅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육기
본 발명은 히터와 후드를 포함하는 보육기에 관한 것이다.
보육기(incubator)는 미숙아나 이상이 있는 신생아를 격리하여 보온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미숙아 간호를 위한 보육기(incubator)는 외부 환경과의 접근 여부에 따라 클로즈드 케어(closed care)와 오픈 케어(open care)로 분류된다. 클로즈드 케어는 일반적으로 보육기라 칭하며, 미숙아 주위에 후드를 설치하여 미숙아에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제공하며, 오픈 케어는 일반적으로 워머라 칭하며, 보육기와 같은 후드 없이 미숙아 상부에 히터를 설치하고, 그 히터의 복사열로 미숙아에게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보육기와 워머는 각각 별도로 제조되어 왔다. 따라서, 클로즈드 케어에서 오픈 케어로 바꾸고자 할 경우, 보육기에서 별도의 워머로 미숙아를 이동시킴으로써, 미숙아 주위의 온도조건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주위 환경에 의해 감염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클로즈드 케어와 오픈 케어의 병행이 가능한 보육기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 지고 있다. 이러한 보육기는, 유아를 재우는 평평한 표면과, 이를 둘러싼 가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유아를 따뜻한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오버헤드식 복사 가열기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보육기에 관한 종래 기술로, 등록특허 제 10-1314189호에서는, 후드 및 히터를 포함하는 보육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보육기의 경우, 클로즈드 케어에서는 히터의 전원이 차단되어 보육기 모드에서 격실 내부의 습기가 발생하여 사용자의 격실 내 감시를 위한 시야 확보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히터의 각도가 고정되어 있어, 클로즈드 케어와 오픈 케어 간의 변환 시, 열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등록특허 제 10-1314189호
본 발명의 보육기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히터와 후드가 동시에 작동하면서, 히터가 일정한 높이에서 몸체 쪽을 향하여 기울어 지게 함으로써, 클로즈드 케어와 오픈 케어 간의 열손실을 최소화 하는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클로즈드 케어 상태에서도 히터를 구동시킴으로써, 몸체 주변의 습기를 제거하는 보육기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육기에 있어서, 상부에 아기가 뉘여지도록 바닥판이 구비된 몸체와; 하부가 상기 몸체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에 연결되고,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승하강하도록 구성되는 승강프레임과; 승강프레임의 움직임에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승강프레임이 승하강함에 따라 승하강하는 히터와; 승강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승강프레임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승하강함으로써, 몸체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후드; 승강프레임 및 후드를 승하강시키는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승강프레임이 승하강하는 것에 연동하여, 히터가 소정 각도로 틸팅하도록 하는 틸팅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육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히터가 일정한 높이에서 몸체 쪽을 향하여 틸팅 됨으로써, 클로즈드 케어와 오픈 케어 간의 변환 시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오픈 케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보육기 내부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제 1 관점에 있어서, 상기 틸팅 수단은, 고정프레임을 통해, 히터를 승강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힌지축과 고정프레임 일측에 형성되며, 힌지축의 승하강 이동 및 틸팅을 안내하기 위한 틸팅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관점에 의하면, 히터의 승강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틸팅 가이드 홈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승강프레임의 승강 시에 히터가 연동하여 승강하면서 소정 각도로 틸팅하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제 2 관점에 있어서는, 상기 틸팅 가이드홈은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승강홈과 승강홈으로부터, 상기 몸체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틸팅홈으로 구성된다. 틸팅 가이드홈을 상기한 간단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히터 승강 시의 틸팅 동작을 용이하게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제 3 관점에 있어서는, 후드는 승강프레임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승강프레임 및 후드의 승강 시에, 후드의 승강 속도가 승강프레임의 승강 속도보다 빠르게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히터와 후드가 동시에 승강할 때에, 히터의 틸팅 동작으로 인해 히터와 후드가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제4 관점에 있어서는, 상기 틸팅 가이드 홈은, 승강프레임 및 후드의 상승 시에, 후드의 위치가 히터의 위치보다 높아지는 지점부터 히터가 몸체 방향으로 틸팅되도록, 승강홈과 틸팅홈이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히터와 후드가 동시에 승강할 때에, 히터의 틸팅 동작으로 인해 히터와 후드가 서로 충돌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제5 관점에 있어서는, 후드가 닫혀 있는 클로즈드 케어 상태에서는, 히터는 몸체의 측방인 제1 위치에 위치하고, 후드가 열려있는 오픈 케어 상태에서는, 히터는, 몸체의 상방이고 또한 히터의 열 방사부가 상기 몸체를 향해 경사지도록 하는 제2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클로즈드 케어 상태에서는 히터가 몸체의 측면에 위치하게 되어, 히터 가동 시에 몸체 주변의 습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오픈 케어 상태에서는 후드가 개방된 몸체 내부의 공기를 가열시켜 몸체 내부의 환경이, 미숙아에게 적합한 환경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제6 관점에 있어서는, 상기 히터는, 제1 위치에서는 제1온도로 동작하고, 제2 위치에서는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로 동작한다. 히터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습기 제거에 적합한 온도로 히터를 제어하면 되므로,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와 같이 고온으로 히터를 구동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제7 관점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 기구는, 구동원과, 승강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 나사축과, 나사축에 나사식 장착된 제1 너트를 구비하고, 구동원에 의해 제1 너트와 제1 나사축이 상대 회전함으로써, 제1 나사축을 진퇴 구동시켜,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킨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동력 전달 구조를 통해 효율적으로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제8 관점에 있어서는, 후드에 연결되고, 승강프레임에 수용되는 가이드 블록을 더 구비하고, 고정프레임 및 상기 승강프레임은, 후드에 연결된 가이드블록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후드가 상승할 때에 미리 정해진 고정프레임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까지 후드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오픈 케어 시에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클로즈드 케어 시에 보육기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제9 관점에 있어서는, 일단이 가이드 블록에 상대 회전 불가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나사축의 내부에 나사식 장착된 제2 나사축을 더 구비하고, 제1 나사축이 회전함에 따라 제1 나사축과 제2 나사축이 상대 회전함으로써, 제2 나사축을 진퇴 구동시켜 가이드 블록에 장착된 후드를 승강시킨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동력 전달 구조를 통해, 후드와 승강프레임의 승강 동작을 서로 연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제10 관점에 있어서는 히터가 고정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틸팅 수단은, 승강프레임이 승하강하는 것에 연동하여 히터가 상방과 하방 사이에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히터를 상방과 하방 사이에서 승강시키는 것과 더불어 소정 각도로 틸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제11 관점에 있어서는, 틸팅 수단이, 히터로부터 연장되고, 히터의 회동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만곡된 형상의 이동 가이드 홈을 구비한 회전블록,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며 회전 블록을 고정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축, 승강프레임이 승하강하는 것에 연동하여 승하강 이동하는 이송블록, 이송블록의 일측에 형성되며 이동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이동 가이드 축을 포함시켜, 상기 제10 관점에 따른 회동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제12 관점에 있어서는, 승강프레임은 승강프레임이 승하강함에 따라 연동하여 승하강하는 구동블록을 구비하고, 고정프레임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고정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방의 이송블록과 하방의 구동블록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제13 관점에 있어서는, 후드가 닫혀 있는 클로즈드 케어 상태에서는, 히터는 몸체의 측방이고 히터의 열 방사부가 몸체와는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3 위치에 위치하고, 후드가 열려있는 오픈 케어 상태에서는, 히터는, 몸체의 상방이고 또한 히터의 열 방사부가 몸체를 향해 경사지도록 하는 제4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제14 관점에 있어서는, 히터는, 제3 위치에서는 동작을 정지하고, 제4 위치에서는 소정의 온도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제15 관점에 있어서는, 복수의 위치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복수의 위치 감지 센서는 히터가 상기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에 있을 때 구동블록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제16 관점에 있어서는, 복수의 위치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히터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육기는, 구동 기구에 의해, 보육기의 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후드의 동작과 히터의 틸팅 동작을 서로 연동시킴으로써, 클로즈드 케어에서 오픈 케어로 전환 시에, 몸체가 개방되는 것과 거의 동시에 히터가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여 워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클로즈드 케어에서 오픈 케어로 전환 시에 미숙아에게 주위의 온도조건의 급격히 변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오픈 케어에서 클로즈드 케어로 전환 시에는, 히터가 워머 자세로부터 후퇴하는 것과 거의 동시에 몸체를 폐쇄할 수 있어, 미숙아가 주위 환경에 의해 감염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클로즈드 케어 시에 히터는 몸체의 측방으로 하강하게 되는바, 전체적인 보육기의 사이즈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육기는 클로즈드 케어와 오픈 케어 간의 변환 시 히터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 온도 제어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모드 변환 시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클로즈드 케어에서도 히터의 작동을 유지시킴으로써 몸체 주위의 습기 제거를 통해 사용자의 몸체 내 감시를 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케어 상태에 있는 보육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케어 상태에 있는 보육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즈드 케어 상태에 있는 보육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즈드 케어 상태에 있는 보육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및 승강프레임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및 승강프레임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및 히터의 승강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연결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후측면부분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및 승강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및 히터의 승강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후측면 부분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로즈드 케어 상태에 있는 보육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픈 케어 상태에 있는 보육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드 및 히터의 승강 구조를 나태내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몸체
11: 차륜
12: 주 기둥
13: 대차
20: 기대
21-1: 좌측 벽부
21-2: 우측 벽부
22: 두측 벽부
23: 족측 벽부
30: 고정프레임
31: 수평 베이스 부재
32: 가이드홈
40: 승강프레임
50: 후드
51: 후드연결부
60: 히터
61: 히터연결부
61a: 히터 고정 블록
61b: 히터 힌지 브라켓
62a, 62b: 힌지 축
70: 틸팅 가이드부
71: 틸팅 가이드홈
71a: 승강홈
71b: 틸팅홈
80: 모터
81: 제 1 연결가이드
82: 제 2 연결가이드
83: 제1 너트
84: 제 1 나사축
85: 제 2 나사축
86: 후드 가이드 블록
100: 회전블록
101: 회동축
102: 이동 가이드 홈
103: 이동 가이드 축
104: 이송블록
105: 가이드축
106: 구동블록
107a: 하측 위치 센서
107b: 상측 위치 센서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제1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1. 보육기 전체의 개략적인 구성」, 「2. 고정프레임, 승강프레임, 및 히터 틸팅 구조의 구성」, 「3. 후드 및 히터의 동작」으로 항목을 분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보육기 전체의 개략적인 구성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육기의 기본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육기의 몸체(10)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륜(11)과 주 기둥(12)이 각각 장착되어 있는 대차(13; trolley)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륜(11)은 대차(13)의 4 코너의 아래쪽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주 기둥(12)은, 대차(13) 상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주 기둥(12) 상에는 보육기 기대(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육기 기대(20; 基臺; base) 상에는, 편평한 용기 형상을 가지는 바닥판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바닥판 상에는, 신생아 등의 아기를 그 위에 눕힐 수 있는 매트리스를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보육기 기대(20)에는, 아기의 머리 측의 벽부를 일반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두측 벽부(22)와, 아기의 다리 측의 벽부를 일반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족측 벽부(23)와, 아기의 좌측의 벽부를 일반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좌측 벽부(21-1)와, 아기의 우측의 벽부를 일반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우측 벽부(21-2)가, 평면적으로 볼 때 전체로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 되도록,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벽부 각각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BS 수지 등의 플라스틱을 재료로서 사용한 플라스틱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로부터 벽부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벽부의 각각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10)의 상방에는 벽부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후드(50)가 구비된다. 후드(50)는 후드연결부(51)와 후드 가이드 블록(86)에 을 통해 후술하는 승강프레임(40)에 연결되어, 승강프레임(40)이 승강함에 따라 승강하여 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육기의 케어 상태를 오픈 케어와 클로즈드 케어로 전환할 수 있다. 후드(50)는 개방된 보육기의 상부를 외부 환경과 격리시킬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후드(50)는 클로즈드 케어 상태에서, 사용자가 몸체(10) 내의 바닥판에 놓인 미숙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벽부와 마찬가지로 투명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오픈 케어 시에 몸체(10) 내부의 미숙아가 놓여 있는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히터(60)가 구비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히터(60)는 승강프레임(40)의 승강에 따라 승강하여, 클로즈드 케어 시의 대기 위치(제1 위치)와 오픈 케어시 의 워머 위치(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워머 위치에서 히터(60)는, 그 열 방사부가 몸체(10) 내부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틸팅되어, 몸체(10) 내부의 격리 공간의 온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히터(60)는 몸체(10)를 향해 열을 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일반 원적외선 방출 전기식 히터일 수 있다.
2. 고정프레임, 승강프레임, 및 히터 틸팅 구조의 구성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육기에 설치된 고정프레임(30), 승강프레임(40) 및 히터(60)의 틸팅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육기의 일 구성요소인 고정프레임(3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다각형 실린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고정프레임(30)은 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수평 베이스 부재(31)에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안정성을 갖추기 위하여, 2개의 수직한 고정프레임(30) 부재가 서로 이격된 채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부재는 하나만 설치해도 좋고 혹은 3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승강프레임(40)은, 바람직하게는 고정프레임(30)과 같이 중공의 다각형 실린더 형태를 가진다. 승강프레임(40)은, 고정프레임(30) 내부의 중공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40)은 후드(50) 및 히터(60)와 연결되어, 승강프레임(40)의 승강 동작과 연동하여 히터(60)와 후드(50)가 승강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프레임(30)과 승강프레임(40)에는, 후드(50)의 후드연결부(51)에 연결된 후드 가이드 블록(86)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프레임(40)에는 후술하는 틸팅 가이드홈(71)이 형성된 틸팅 가이드부(70)가 구비되어, 히터(60)의 틸팅 동작을 안내한다.
승강프레임(40)의 하방에는 승강프레임(40)을 승강시키는 동력원으로서 모터(80)가 구비된다. 모터(80)의 상방에는, 상단에 제1 너트(83)가 고정된 형태로 구비되고,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갖는 제1 연결 가이드(81)가 회전 불가한 고정 상태로 구비된다.
제1 연결 가이드(81) 내부에는, 그 일단이 모터(80)의 출력축과 연결되고, 제1 연결 가이드(81) 내부에 수용되는 제2 연결 가이드(82)가 구비된다. 제2 연결 가이드(82)의 타단은 제1 나사축(84)의 하단과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80)의 출력축이 회전하면, 그에 따라 제2 연결 가이드(82) 및 제1 나사축(84)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1 나사축(84)은 중공의 원통형 실린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그 외주면 및 내주면에 모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나사축(84)의 상단은 승강 프레임(4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나사산이 형성된 외주면은 제1 연결 가이드(81)의 제1 너트(83)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가이드(81)의 제1 너트(83)는 회전 이동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모터(80)의 출력축이 회전하면, 제1 너트(83)에 나사 결합된 제1 나사축(84)은 축방향으로 직선 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1 나사축(84)에 연결된 승강프레임(40)을 승강 구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나사축(84)에 내부에는, 제2 나사축(85)이 삽입된다. 제2 나사축(85)의 상단은 후드(50)를 승강프레임(40)에 연결하기 위한 후드 가이드 블록(86)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2 나사축(85)의 외주면에는 나사 산이 형성되어, 제1 나사축(84)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 산과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후드 가이드 블록(8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40)과 마찬가지로 단면이 다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승강 프레임(40) 내부에 수용 시에 회전 불가한 상태로 수용되게 된다. 따라서, 후드 가이드 블록(86)에 고정 연결된 제2 나사축(85)도 회전 불가한 상태로 승강프레임(40) 내에 유지된다. 따라서, 제2 나사축(85)의 회전 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모터(80)의 출력축이 회전함에 따라, 제1 나사축(84)이 회전하면, 제2 나사축(85)은 축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승강프레임(40)의 승강 구동에 연동하여, 제2 나사축(85)에 연결된 후드(50)를 승강 구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나사축(84)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제2 나사축(8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형태를 적절히 제한함으로써, 동일한 구동원인 모터의 출력축에 회전에 따라 승강프레임(40)의 승강 속도와 후드(50)의 승강 속도를 상이하게 할 수 있다. 히터(60)와 후드(50)가 동시에 승강할 때에, 후술하는 히터(60)의 틸팅 동작으로 인해 히터(60)와 후드(50)가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후드(50)의 승강 속도가 승강프레임(40)의 승강 속도보다 빠르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히터(60)는, 히터 힌지 브라켓(61b)과, 히터 고정 블록(61a)을 통해, 고정프레임(30)의 내부에 수용된 승강프레임(40)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히터(60)의 일측면에는 히터 힌지 브라켓(61b)이 구비된다. 히터 힌지 브라켓(61b)은, 히터(6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2개의 힌지 축(62a, 62b)이 형성되고, 그 중 1개의 힌지 축(62a)은, 고정프레임(30)의 측면에 구비된 틸팅 가이드부(70)에 형성된 틸팅 가이드홈(71)을 통과하여 내부의 승강 프레임(40)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른 1개의 힌지축(62b)은 히터 고정 블록(61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히터 고정 블록(61a)은 틸팅 가이드부(70)의 일측에, 틸팅 가이드홈(71)의 승강홈(71a)과 나란히 형성된 가이드 홈을 통과하여, 내부의 승강프레임(40)에 고정 연결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 가이드홈(71)은 승강홈(71a) 및 틸팅홈(71b)으로 구성된다. 승강홈(71a)은 고정프레임(3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연장되고, 틸팅홈(71b)은 승강홈(71a)으로부터, 몸체(10)를 향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승강프레임(40)의 상승에 따라 히터(60)가 상승하면, 승강 프레임(40)에 직접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힌지 축(62a)은 승강홈(71a)을 타고 길이 방향으로 승강하다가, 틸팅홈(71b)에 의해 사면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힌지 축(62a)의 방향 전환에 의해 히터(60)는 히터 고정 블록(61a)에 연결된 힌지 축(62b)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 결과 몸체(10)를 향하는 방향으로 틸팅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틸팅 가이드홈(71)은, 승강프레임(40) 및 후드(50)의 상승 시에, 후드(50)의 위치가 히터(60)의 위치보다 높아지는 지점부터 히터(60)가 몸체(10) 방향으로 틸팅되도록, 승강홈(71a)과 틸팅홈(71b)이 구성된다. 이를 통해, 히터(60)와 후드(50)가 동시에 승강할 때에, 히터(60)의 틸팅 동작으로 인해 히터(60)와 후드(60)가 서로 충돌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3. 후드 및 히터의 동작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육기에 있어서, 후드(50) 및 히터(60)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오픈 케어 상태에 있는 경우의 보육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클로즈드 케어 상태에 있는 경우의 보육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클로즈드 케어 상태에 있을 때에는, 승강프레임(40)은 하사점까지 내려간 상태로 고정프레임(30)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한 위치에서, 승강프레임(40)에 연결된 후드(50)는 몸체(10)의 상부 개방면을 덮어 내부 공간을 격리시킨다.
한편, 이 상태에서 히터(60)는 몸체(10)의 측방인 제1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해당 위치에서 히터(60)는 제1 온도로 동작하여, 몸체(10)와 후드(50)에 형성되는 습기들을 제거할 수 있다.
외부 입력 장치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오픈 케어 상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보육기의 모터(80)가 구동을 시작한다. 모터(80)의 출력축이 회전함에 따라, 출력축에 연결된 제2 연결 가이드(82) 및 제2 연결 가이드(82)에 연결된 제1 나사축(84)이 회전한다. 제1 나사축(84)과 제1 너트(83)의 상대 회전에 따라 제1 나사축(84)은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승강프레임(40)도 상승하게 된다. 그에 따라 승강프레임(40)에 연결된 히터(60)도 상승하게 된다. 히터(60)는 2개의 힌지 축(62a, 62b)이 승강홈(71a)을 따라 이동할 때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방의 힌지 축(62a)이 틸팅홈(71b)을 따라 이동을 개시하면, 히터(60)가, 하방의 힌지 축(62b)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틸팅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40) 및 후드(50)의 상승 시에, 후드(50)의 위치가 히터(60)의 위치보다 높아지는 지점부터 히터(60)가 몸체(10) 방향으로 틸팅되도록, 승강홈(71a)과 틸팅홈(71b)이 구성되므로, 후드(50)의 하방에서 히터(60)의 틸팅 동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제1 나사축(84)과 제2 나사축(85)의 상대 회전에 따라 제2 나사축(85)도 제1 나사축(84)과 연동하여 축방향으로 직선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후드연결부(51)와 후드 가이드 블록(86)을 통해 제2 나사축(85)에 장착된 후드(50)도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드(50)의 상승 속도는 승강프레임(40)의 상승 속도보다 빠르고, 후드(50)의 높이가, 히터(60)의 높이 보다 높아진 상태에서 히터(60)의 틸팅 동작이 이루어지는바, 후드(50)와 히터(60)의 동반 상승 시에, 히터(60)의 틸팅 동작에 의해 히터(60)가 후드(50)와 충돌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히터(60)는 제2 위치(워머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로 동작하여, 후드(50)가 개방된 상태의 몸체(10) 내부의 공간의 온도를 조절한다.
본원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한 동작에 의한 오픈 케어 상태의 보육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50)는 상승하여, 보육기의 몸체(10)는 상방이 개방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히터(60)는 후드(50)의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열 방사면이 몸체(1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워머 위치(제2 위치)에 위치한다. 후드(5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통상의 워머로서 기능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육기에 의하면, 아기가 누워있는 방향을 향해 히터(60)가 틸팅됨으로써, 보육기 이외의 공간으로 열이 발산되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시켜주게 된다.
이러한 오픈 케어 상태에서, 외부 입력 장치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클로즈드 케어 상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전술한 과정이 역으로 진행되어 다시 클로즈드 케어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한편, 오픈 케어에서 클로즈드 케어로 전환된 상태에서 몸체(10)의 습기를 제거하여 사용자가 몸체(10) 내를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동 온도 제어 장치를 구비하여, 클로즈드 케어에서도 히터(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자동 온도 제어 장치는, 도시되지 않은 접촉 센서 등을 이용하여, 히터(60)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히터의 위치에 따라 히터(60)의 작동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육기의 기본 구조는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 설명된 보육기의 기본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1. 고정프레임, 승강프레임, 및 히터 틸팅 구조의 구성」, 「2. 후드 및 히터의 동작」으로 항목을 분류하여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고,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1. 고정프레임, 승강프레임 및 히터 틸팅 구조의 구성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육기에 설치된 고정프레임(30), 승강프레임(40) 및 히터(60)의 틸팅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프레임(3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다각형 실린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고정프레임(30)은 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수평 베이스 부재(31)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을 갖추기 위하여, 2개의 수직한 고정프레임(30) 부재가 서로 이격된 채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부재는 하나만 설치해도 좋고 혹은 3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승강프레임(40)은, 바람직하게는 고정프레임(30과 같이 중공의 다각형 실린더 형태를 가진다. 승강프레임(40)은, 고정프레임(30) 내부의 중공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승강프레임(40)의 하방에는 승강프레임(40)을 승하강시키는 동력원으로서, 모터(80)가 구비된다. 한편, 승강프레임(40)을 승하강시키는 동력원 및 동력전달구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승강프레임(40)의 상방에는, 후드연결부(51)를 통해 후드(50)가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승강프레임(40)이 승하강할 때에, 승강프레임(40)과 연동하여 승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승강프레임(40)의 하방에는 승강프레임(40)의 승하강과 연동하여 승하강하는 구동블록(106)이 구비된다. 구동블록(106)은 승강프레임(4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블록(106)은, 처음부터 승강프레임(40)과 함께 일체로 거동한다. 또는 구동블록(106)은 승강프레임(40)에 대해서 일정 범위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도 된다. 이 경우, 승강프레임(40)이 일정 높이까지 승강할 때까지는 구동블록(106)은 정지하여 있고, 일정 높이를 초과하여 승강하는 경우, 승강프레임(40)과 함께 일체로 거동되게 된다. 따라서, 구동블록(106)과 승강프레임(40)이 상대 이동하는 범위를 조절하는 경우, 승강프레임(40)과 연동하여 승하강하는 후드(50)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블록(106)과 연동하여 승하강하게 되는 히터(60) 사이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동블록(106)의 상방에는 이송블록(104)이 구비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이송블록(104)은 고정프레임(30)의 외주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때 고정프레임(30)의 각 측면과 대향하는 복수의 이송블록(104a, 104b)이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송블록(104)의 측면에는 이동 가이드 축(103)이 돌출 연장되어 후술하는 회전블록(100)과 연결된다.
구동블록(106)과 이송블록(104) 사이에는 가이드축(105a, 105b, 105c)이 구비된다. 안정적인 구동을 보장하기 위한 측면에서 가이드축(105a, 105b, 105c)은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서 도시된 예에서 가이드축(105a, 105b, 105c)은 이송블록(104)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동블록(106)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13에서 도시된 예와 같이 가이드축(105a, 105b, 105c)이 이송블록(104)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구동블록(106)이 상승함에 따라 이송블록(104)의 하면과 일체로 구성된 가이드축(105a, 105b, 105c)과 맞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블록(106)이 더욱 상승하게 되면, 구동블록(103)이 가이드축(105a, 105b, 105c)을 통해 이송블록(104)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한편, 히터(60)는 히터(6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회전블록(100)을 통해 고정프레임(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블록(100)은 고정프레임(3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연장되는 회동축(10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회전블록(100)에는 회동축(101) 주위로 만곡하게 형성된 이동 가이드 홈(102)이 형성된다. 이동 가이드 홈(102)에는 이송블록(104)의 이동 가이드 축(103)이 삽입된다. 한편, 이송블록(104)이 승강프레임(40)의 승강과 연동하여 승강하게 되면 이동 가이드 축(103)도 그에 따라 승강한다. 따라서, 이동 가이드 축(103)의 승강 시, 이동 가이드 홈(102)이 이동 가이드 축(103)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 블록(100)이 회동축(101)을 중심으로 강제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고정프레임(30)에는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측 위치 센서(107b) 및 하측 위치 센서(107a)가 구비된다. 하측 위치 센서(107a)와 상측 위치 센서(107b)는 각각 해당 위치에서 구동블록(106)의 존재 및 이동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2. 후드 및 히터의 동작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육기에 있어서, 후드(50) 및 히터(60)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클로즈드 케어 상태에 있는 보육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오픈 케어 상태에 있는 보육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클로즈드 케어 상태에 있을 때에는 승강프레임(40)은 하사점까지 내려간 상태에서 고정프레임(30)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한 위치에서 승강프레임(40)에 연결된 후드(50)는 몸체(10)의 상부 개방면을 덮어 내부 공간을 격리시킨다.
한편, 이 상태에서 히터(60)는 몸체(10)의 측방인 제3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3 위치에서 히터(60)의 열 방사부(60a)는 몸체(10)와는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히터(60)의 열기에 부상을 입지 않도록 제3 위치에서는 히터(60)의 동작을 OFF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위치에서 구동블록(106)은 하측 위치 센서(107a)와 대향하는 위치에 존재하는바, 하측 위치 센서(107a)에서 구동블록(106)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보육기가 클로즈드 케어 상태에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히터(60)의 회동 이동 시에 몸체(10)와 저촉되지 않도록, 제3 위치에서 히터(60)는 몸체(10)의 상부 개방면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입력 장치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오픈 케어 상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보육기의 모터(80)가 구동을 시작한다. 모터(80)가 구동함에 따라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40)이 상승하게 되고, 승강프레임(40)과 연결된 후드(50)도 상승하여 몸체(10)의 상부 개방면이 개방된다. 한편 승강프레임(40)이 상승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블록(106)도 이와 연동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 때 하측 위치 센서(107a)가 구동블록(106)가 이동하기 시작한 것을 감지함으로써, 클로즈드 케어에서 오픈 케어로 전환이 시작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블록(106)이 상승함에 따라 이송블록(104)과 연결된 가이드축(105a, 105b, 105c)의 하단과 맞닿게 되고, 가이드축(105a, 105b, 105c)의 하단이 구동블록(106)의 상단과 맞닿은 후에는, 승강프레임(40)의 상승과 함께 구동블록(106)이 더욱 상승함에 따라 이송블록(104)도 상방으로 밀어 올려져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블록(104)이 승강프레임(40)의 승강과 연동하여 승강하게 되면 이동 가이드 축(103)도 그에 따라 승강한다. 따라서, 이동 가이드 축(103)의 승강 시 이동 가이드 홈(102)이 이동 가이드 축(103)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 블록(100)이 회동축(101)을 중심으로 강제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클로즈드 케어 상태에서 오픈 케어로 전환될 때에, 후드(50)와 히터(60)가 서로 저촉되지 않도록 후드(50)의 상승 타이밍과 히터(60)의 회동 타이밍이 적절히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블록(106)과 승강프레임(40)이 상대 이동하는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후드(50)의 상승 타이밍과 히터(60)의 회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승강프레임(40)이 상사점에 도달하면, 히터(60)는 제4 위치에 도달하게 되고, 이 때 히터(60)의 열 방사부(60a)는 몸체(10)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히터(60)가 제4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열 방사부(60a)는 소정의 온도로 동작하여, 후드(50)가 개방된 상태의 몸체(10) 내부의 공간의 온도를 조절한다. 한편, 제4 위치에서 구동블록(106)은 상측 위치 센서(107b)와 대향하는 위치에 존재하는바, 상측 위치 센서(107b)에서 구동블록(106)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보육기가 오픈 케어 상태에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위치 센서(107b)가 구동블록(106)의 존재를 검출해 내었을 때 곧바로 히터(60)가 소정의 온도로 동작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2에서는 상기한 동작에 의한 오픈 케어 상태의 보육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50)는 상승하여 보육기의 몸체(10)는 상방이 개방된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히터(60)는 후드(50)의 하방에 위치하며, 또한 열 방사면이 몸체(1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워머 위치(제4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육기에 의하면 아기가 누워있는 방향을 향해 히터(60)가 틸팅됨으로써 보육기 이외의 공간으로 열이 발산되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시켜주게 된다.
이러한 오픈 케어 상태에서, 외부 입력 장치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클로즈드 케어 상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전술한 과정이 역으로 진행되어 다시 클로즈드 케어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승강프레임(40)과 히터(60)가 직접 연결되어 있어, 승강프레임(40)이 승하강할 때에 히터(60)도 일체로 승하강하도록 하고 있는 것과 달리, 제2 실시예의 경우, 승강프레임(40)이 승하강할 때에, 히터(60)가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이동함으로써 히터(60)의 승하강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나, 제2 실시예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승강프레임(40)이 승하강함에 따라 후드(50)의 승하강 동작 및 히터(60)의 승하강과 틸팅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본 발명의 보육기는, 구동 기구에 의해, 보육기의 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후드의 동작과 히터의 틸팅 동작을 서로 연동시킴으로써, 클로즈드 케어에서 오픈 케어로 전환 시에, 몸체가 개방되는 것과 거의 동시에 히터가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여 워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클로즈드 케어에서 오픈 케어로 전환 시에 미숙아에게 주위의 온도조건의 급격히 변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오픈 케어에서 클로즈드 케어로 전환 시에는, 히터가 워머 자세로부터 후퇴하는 것과 거의 동시에 몸체를 폐쇄할 수 있어, 미숙아가 주위 환경에 의해 감염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클로즈드 케어 시에 히터는 몸체의 측방으로 하강하게 되는바, 전체적인 보육기의 사이즈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육기는 클로즈드 케어와 오픈 케어 간의 변환 시 히터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 온도 제어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모드 변환 시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클로즈드 케어에서도 히터의 작동을 유지시킴으로써 몸체 주위의 습기 제거를 통해 사용자의 몸체 내 감시를 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6)

  1. 보육기에 있어서,
    상부에 아기가 뉘여지도록 바닥판이 구비된 몸체와;
    하부가 상기 몸체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승하강하도록 구성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움직임에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이 승하강함에 따라 승하강하는 히터와;
    상기 승강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승강프레임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승하강함으로써, 상기 몸체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후드와;
    상기 승강프레임 및 상기 후드를 승하강시키는 구동 기구와,
    상기 승강프레임이 승하강하는 것에 연동하여 상기 히터가 소정 각도로 틸팅하도록 하는 틸팅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육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 수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을 통해, 상기 히터를 상기 승강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힌지축,
    상기 고정프레임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의 승하강 이동 및 틸팅을 안내하기 위한 틸팅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육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틸팅 가이드홈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승강홈과 상기 승강홈으로부터, 상기 몸체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틸팅홈으로 구성되는, 보육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틸팅 가이드홈은, 상기 승강프레임 및 상기 후드의 상승 시에, 상기 후드의 위치가 상기 히터의 위치보다 높아지는 지점부터 상기 히터가 상기 몸체 방향으로 틸팅되도록, 상기 승강홈과 상기 틸팅홈이 구성되는, 보육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상기 승강프레임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승강프레임 및 상기 후드의 승강 시에, 상기 후드의 승강 속도가 상기 승강프레임의 승강 속도보다 빠르게 구성되는, 보육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드가 닫혀 있는 클로즈드 케어 상태에서는, 상기 히터는 상기 몸체의 측방인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후드가 열려있는 오픈 케어 상태에서는, 상기 히터는, 상기 몸체의 상방이고 또한 상기 히터의 열 방사부가 상기 몸체를 향해 경사지도록 하는 제2 위치에 위치하는, 보육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제1 온도로 동작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로 동작하는, 보육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구동원과,
    상기 승강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나사식 장착된 제1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원에 의해 상기 제1 너트와 상기 제1 나사축이 상대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나사축을 진퇴 구동시켜, 상기 승강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보육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후드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프레임에 수용되는 가이드 블록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프레임 및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블록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일단이 상기 가이드 블록에 상대 회전 불가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나사축의 내부에 나사식 장착된 제2 나사축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제1 나사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나사축과 상기 제2 나사축이 상대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나사축을 진퇴 구동시켜 상기 가이드 블록에 장착된 상기 후드를 승강시키는, 보육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틸팅 수단은, 상기 승강프레임이 승하강하는 것에 연동하여 상기 히터가 상방과 하방 사이에서 회동되도록 하는, 보육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틸팅 수단은,
    상기 히터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히터의 회동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만곡된 형상의 이동 가이드 홈을 구비한 회전블록,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 블록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축,
    상기 승강프레임이 승하강하는 것에 연동하여 승하강 이동하는 이송블록,
    상기 이송블록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이동 가이드 축을 포함하는, 보육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승강프레임이 승하강함에 따라 연동하여 승하강하는 구동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방의 상기 이송블록과 하방의 상기 구동블록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축을 포함하는, 보육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후드가 닫혀 있는 클로즈드 케어 상태에서는, 상기 히터는 상기 몸체의 측방이고 상기 히터의 열 방사부가 상기 몸체와는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3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후드가 열려있는 오픈 케어 상태에서는, 상기 히터는, 상기 몸체의 상방이고 또한 상기 히터의 열 방사부가 상기 몸체를 향해 경사지도록 하는 제4 위치에 위치하는, 보육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제3 위치에서는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제4 위치에서는 소정의 온도로 동작하는, 보육기.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복수의 위치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감지 센서는, 상기 히터가 상기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구동블록의 위치를 감지하는, 보육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치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히터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보육기.
KR1020237030439A 2021-03-24 2021-07-05 보육기 KR202301453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PCT/KR2021/003666 2021-03-24
KR2021003666 2021-03-24
PCT/KR2021/008471 WO2022203126A1 (ko) 2021-03-24 2021-07-05 보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387A true KR20230145387A (ko) 2023-10-17

Family

ID=83395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439A KR20230145387A (ko) 2021-03-24 2021-07-05 보육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173187A1 (ko)
EP (1) EP4316445A1 (ko)
JP (1) JP2024511146A (ko)
KR (1) KR20230145387A (ko)
CN (1) CN117042735A (ko)
AU (1) AU2021435617A1 (ko)
BR (1) BR112023018912A2 (ko)
WO (1) WO202220312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89B1 (ko) 2013-03-20 2013-10-02 제이더블유중외메디칼 주식회사 후드 및 히터 승강 방식의 보육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3020A (en) * 1999-05-21 2000-05-16 Datex-Ohmeda, Inc. Heater door safety interlock for infant warming apparatus
US6231499B1 (en) * 1999-05-21 2001-05-15 Datex-Ohmeda, Inc. Lift mechanism for infant care apparatus canopy
US6447442B1 (en) * 1999-12-11 2002-09-10 Datex-Ohmeda, Inc. Infant care apparatus canopy force limiting device
JP5297879B2 (ja) * 2009-05-08 2013-09-25 アトムメディカル株式会社 児ケア用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89B1 (ko) 2013-03-20 2013-10-02 제이더블유중외메디칼 주식회사 후드 및 히터 승강 방식의 보육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16445A1 (en) 2024-02-07
WO2022203126A1 (ko) 2022-09-29
CN117042735A (zh) 2023-11-10
US20240173187A1 (en) 2024-05-30
JP2024511146A (ja) 2024-03-12
BR112023018912A2 (pt) 2023-10-10
AU2021435617A1 (en)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78285C (en) Infant care apparatus with fixed overhead heater
EP2179718B1 (en) Incubator with adjustable treatment door
JP5328848B2 (ja) 幼児ケア器械を安全に作動させ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EP1053736B1 (en) Heater door mechanism for infant warming apparatus
US8409073B2 (en) Incubator
CN204708425U (zh) 婴儿床
US6659935B2 (en) Lifting apparatus for patient support surface
US6905457B2 (en) Radiant field management for infant care apparatus
KR20230145387A (ko) 보육기
JP5960527B2 (ja) 保育器
CN109837211A (zh) 一种生物医药高效培养箱
CA2488286A1 (en) Movable canopy for infant care apparatus
CN204708428U (zh) 婴儿床
CN204708427U (zh) 婴儿床
CN204708429U (zh) 婴儿床
CN114534821B (zh) 一种带有便于玻璃门启闭结构的超净工作台
CN210932417U (zh) 一种新生儿暖箱
CN216603381U (zh) 多功能婴儿暖箱
CN220070021U (zh) 一种电控升降内科护理床
CN218650876U (zh) 一种智能型除螨衣柜
CN204708426U (zh) 婴儿床
KR102679440B1 (ko) 보육기
CN213190769U (zh) 能平移出婴儿放置垫的婴儿培养箱
JP2004141557A (ja) 手指乾燥器
BRPI1106266A2 (pt) equipamento hospitalar, que opera como incubadora ou berÇo aquecido, dotado de um sistema de posicionamento de aqueced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