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165A - 취득 키트 - Google Patents

취득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165A
KR20230145165A KR1020237031197A KR20237031197A KR20230145165A KR 20230145165 A KR20230145165 A KR 20230145165A KR 1020237031197 A KR1020237031197 A KR 1020237031197A KR 20237031197 A KR20237031197 A KR 20237031197A KR 20230145165 A KR20230145165 A KR 20230145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mobile phone
spacer
acquisi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1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또마 펠리사르
세드릭 랑송
루이-샤를 루아쟁
필리쁘 살라
Original Assignee
덴탈 모니터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탈 모니터링 filed Critical 덴탈 모니터링
Publication of KR20230145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5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dentification means for the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6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optical, e.g. for light supply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4Fastening element for attaching accessories to the outside of an endoscope, e.g. clips, clamp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2Devices for opening or enlarging the visual field, e.g. of a tub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52Evaluating soft tissue within the mouth, e.g. gums or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2Mouth, e.g., oral cavity; tongue; Lips; Tee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02Mechanical elements; Supports f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62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removing stray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72Handhe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01J3/50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3/508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measuring the colour of tee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14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for taking photographs during medical ope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득 키트에 관한 것으로, 이는 ㆍ 이동 전화(12); ㆍ 이동 전화 홀더(14)를 포함하고, 이동 전화 홀더는 - 사용자의 입으로 삽입되도록 의도된 구강 개구(Oo) 및 취득 개구(Oa')를 통해 개방되는 스페이서(24), 및 - 스페이서(24)에 체결되고, 스페이서(24)와 함께 구강 개구(Oo) 및 어댑터 개구(Oa)를 통해 개방되는 챔버(28)를 정의하는 어댑터(26)를 포함하고, 어댑터는 베이스(50)를 포함하고, 베이스에는 취득 위치에서 이동 전화가 견고하게, 그러나,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취득 위치에서, 이동 전화의 대물 렌즈(16)는 어댑터 개구(Oa) 및 취득 개구(Oa')를 통해 구강 개구(Oo)에 대한 적어도 부분적인 시야를 갖는다. 상기 키트에서, 이동 전화는 베이스(50)에 클램핑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어댑터(26)는 베이스(5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스페이서(24)가 견고하게 부착되는 플레이트(80)를 갖는다.

Description

취득 키트
본 발명은 취득 키트, 특히 국제 출원 PCT/EP2015/074896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의 구현을 위한, 특히 치과 사진을 취득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PCT/EP2015/074897은 그 입을 폐쇄 또는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자 치아의 구강외 사진을 휴대폰에 의해 취득하기 위한 취득 키트를 설명한다.
이러한 취득 키트에 대해 다음과 같은 지속적인 요구가 있다:
- 소형화,
- 저렴한 생산,
- 바람직하게는, 재사용 가능성,
- 취급이 용이하고, 사용자 입 내의 서비스 위치에 놓이는 것,
- 최적의 위생 상태에서, 그 입을 개방 또는 폐쇄한 상태에서 교합 또는 측방향 시야에서 사용자 자신이 휴대폰을 사용하여 직접 2D 또는 3D 데이터를 쉽게 취득할 수 있게 하는 것.
치아와 관련된 2D 또는 3D 데이터는 특히 구강외 이미지 또는 3차원 디지털 모델일 수 있다.
키트는 사용자의 각각의 치아, 특히 입 뒤쪽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 취득을 허용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요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족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취득 키트를 제안한다:
- 휴대폰으로서,
- 전면,
- 스크린을 갖는 후면, 및
- 휴대폰의 두께를 정의하고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측면 에지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전면에 위치된 2D 및/또는 3D 데이터 취득 렌즈가 제공되는, 상기 휴대폰;
- 휴대폰 홀더로서,
- 사용자의 입에 삽입되도록 의도된 구강 개구 및 취득 개구를 통해 개방되는 스페이서, 및
-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관형 형상이며, 스페이서에 부착되고 스페이서와 함께 구강 개구 및 어댑터 개구를 통해 개방되는 챔버를 정의하는, 어댑터로서, 어댑터 개구는 취득 개구와 일치할 수 있고, 어댑터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렌즈가 어댑터 개구 및 취득 개구를 통해 구강 개구의 적어도 부분적인 시야를 갖는 취득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제거 가능하게, 휴대폰이 이 베이스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상기 휴대폰 홀더를 포함한다.
수년간의 연구 이후에, 본 발명자는 이러한 취득 키트의 많은 유리한 특징을 발견했다.
이러한 취득 키트는 특히 다음의 바람직한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개선하는 데 특히 유리한 제1 주 양태에 따르면,
- 휴대폰은 후면 면적의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바람직하게는 2% 미만이 어댑터에 의해 가려지는 방식으로 베이스에 부착되고;
- 휴대폰 후면이 어댑터와 접촉하지 않거나 휴대폰 후면과 어댑터 사이의 접촉 표면 면적이 상기 후면의 면적의 40%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을 나타내고;
- 휴대폰은 클램핑 방향으로 클램핑되고, 바람직하게는 휴대폰의 길이 또는 폭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바람직하게는 휴대폰의 전면에 평행하게, 어댑터의 베이스에 대해 클램핑되고;
- 휴대폰은 복수의 클램핑 지점에서 베이스에 대해 클램핑되며, 클램핑 방향에 수직으로 측정된, 바람직하게는 휴대폰의 길이 방향으로 측정된 클램핑 지점 사이의 최대 거리가 1cm 초과, 바람직하게는 2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3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4 cm 초과 및/또는 10 cm 미만이고;
- 어댑터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 및/또는 베이스에 대해 휴대폰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조오를 포함하고;
- 어댑터 개구는 휴대폰이 어댑터에 클램핑되는 클램핑 구역에 대해 측방향으로 오프셋되고,
측방향 오프셋은 클램핑 방향에 수직인 오프셋 방향으로 그리고 휴대폰 전면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어댑터 개구의 중심 위치와 클램핑 구역의 중심의 위치 사이에서 0이 아닌 거리에 있고;
- 측방향 오프셋은 3cm를 초과하고 10cm 미만이다.
휴대폰 조립에 특히 유리한 제2 주 양태에 따르면,
- 어댑터, 특히 베이스는 그 사이에 휴대폰이 클램핑 방향으로 클램핑되는 제1 및 제2 조오를 포함하고;
- 클램핑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휴대폰의 길이 방향에 수직이고/거나 휴대폰의 폭 방향에 수직이고/거나 휴대폰의 2개의 코너를 연결하는 대각선을 따르며;
- 어댑터에는 클램핑 방향에 수직인 이동을 제한하는 어떠한 정지부도 없고;
- 제1 조오 및/또는 제2 조오는 휴대폰의 측면 에지를 수용하는 크래들 형상을 갖고;
- 제1 조오 및/또는 제2 조오는 베이스 상에서 증분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 어댑터는
- "분리 이동"이라고 지칭되는 휴대폰에서 멀어지는 제1 조오 및/또는 제2 조오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1 비활성화 가능한 복귀 방지 시스템, 및
- 상기 분리 이동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제1 조오 및/또는 제2 조오에 각각 작용하는 탄성 부재, 예를 들어 스프링을 포함하고;
- 제1 복귀 방지 시스템은
- 래칫 휠의 회전이 제1 조오 및/또는 제2 조오가 베이스에 대해 이동하게 하도록 제1 조오 및/또는 제2 조오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래칫 휠,
- 래칫 휠에 맞물린 제1 비활성화 가능 폴, 및
- 래칫 휠에 대해 제1 폴을 탄성적으로 미는 제1 탄성 부재, 예를 들어 스프링을 포함하고;
- 제1 조오 및/또는 제2 조오는 제1 랙을 포함하고, 어댑터는 계단형 휠을 포함하고, 계단형 휠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계단형 휠은
- 래칫 휠, 및
- 래칫 휠과 동축인 피니언을 포함하고, 피니언은 피니언의 회전이 각각 제1 조오 및/또는 제2 조오를 구동하는 방식으로 제1 랙과 상호작용하고;
- 제1 조오 및/또는 제2 조오는 휴대폰에 지지되는 탄성 변형 패드를 포함하고, 패드의 변형성은 래칫 휠과 제1 폴의 상호작용에 의해 정의된 2개의 연속적인 인덱싱된 위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허용한다.
임의의 휴대폰 사용에 특히 유리한 제3 주 양태에 따르면:
- 어댑터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플레이트는 베이스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플레이트에는 스페이서가 예를 들어 클램핑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또는 예를 들어 일체형 조립체를 형성하여 제거 불가능하게, 견고하게 부착되고;
- 스페이서는 바람직하게는 클립핑에 의해 베이스에 장착되고;
-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전적으로 단일 활주 방향으로만 베이스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 바람직하게는, 휴대폰은 클램핑 방향으로 베이스에 클램핑되고;
- 활주 방향은 클램핑 방향에 평행하고;
- 어댑터는 베이스에 대한 위치에서 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로킹하기 위한 비활성화 가능 로킹 장치를 포함하고;
- 플레이트는 베이스에서 증분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 어댑터는 베이스에 대한 플레이트의 복귀 이동을 방지하는 제2 비활성화 가능한 복귀 방지 시스템을 포함하고;
- 제2 복귀 방지 시스템은
- 제2 랙,
- 제2 랙에 맞물리는 제2 비활성화 가능 폴, 및
- 제2 랙에 대해 제2 폴을 탄성적으로 미는 제2 탄성 부재, 예를 들어 스프링을 포함하고;
- 취득 개구는 휴대폰이 어댑터에 클램핑되는 클램핑 구역에 대해 측방향으로 오프셋되고,
측방향 오프셋은 클램핑 방향에 수직인 오프셋 방향으로 그리고 휴대폰 전면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취득 개구의 중심 위치와 클램핑 구역의 중심의 위치 사이에서 0이 아닌 거리에 있고;
- 측방향 오프셋은 1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2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3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4 cm 초과 및/또는 10 cm 미만이다.
위생 개선에 특히 유리한 제4 주 양태에 따르면,
- 스페이서는 베이스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어댑터는 스페이서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 어댑터가 스페이서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경우 바람직하게는 어댑터는 어댑터 부착 부분을 포함하고 스페이서는 상기 취득 위치에서 어댑터를 스페이서에 부착하기 위해 어댑터 부착 부분과 상호작용하는 스페이서 부착 부분을 포함하며, 스페이서 부착 부분은 어댑터 부착 부분에 결합될 때 및/또는 그로부터 결합 해제될 때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 및/또는 상기 결합 해제 동안, 스페이서 부착 부분의 표면 상의 어떠한 지점도 1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0.5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0.2 mm 초과로 이동하지 않고;
- 스페이서 부착 부분은 리세스 및/또는 스페이서 재료의 비드에 의해 형성되며;
- 스페이서 부착 부분과 취득 개구 사이의 거리는 3cm 미만, 바람직하게는 2cm 미만, 바람직하게는 1cm 미만, 바람직하게는 0.5cm 미만이다.
환경 보호의 측면에서 특히 유리한 제5 주 양태에 따르면,
- 스페이서는 생분해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섬유질 재료,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스 기반의, 바람직하게는 카드보드로 제조된다.
위생 및 순응도를 개선하는 데 특히 유리한 제6 주 양태에 따르면,
- 스페이서 및/또는 어댑터,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의 병리학 및/또는 치과 치료 전문가 및/또는 치과 치료 전문가 그룹과 관련된 개인화 마크를 보유하며;
- 개인화 마크는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의 병리학 및/또는 치과 치료 전문가 및/또는 치과 치료 전문가 그룹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 개인화 마크는 하나 이상의 클립(들), 나사(들), Velcro® 유형의 후크 앤 루프 테이프(들), 탄성 밴드(들), 자석(들), 후크(들), 볼트(들), 스트랩(들), 흡입 컵(들) 또는 접착 재료에 의해 부착되거나, 새겨지거나, 각인되고;
- 개인화 마크는 제거 가능하거나 지울 수 있고;
- 개인화 마크는 스티커 또는 자석 또는 클립-온 토큰에 의해 보유되고;
- 개인화 마크는 디자인 또는 상표 또는 3차원 형상을 묘사하고;
- 개인화 마크는 스페이서 및/또는 이를 보유하는 어댑터의 컬러 및/또는 재료와 각각 다른 컬러 및/또는 재료이고;
- 개인화 마크는 스페이서에 보유되고, 스페이서는 바람직하게는 섬유질 재료, 바람직하게는 카드보드이다.
위생을 개선하고 환경 보호에 특히 유리한 제7 주 양태에 따르면,
- 어댑터는 스페이서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 취득 키트는, 어댑터에 부착된 스페이서에 추가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이 다른 스페이서는 어댑터에 조립될 수 있고 어댑터에 부착된 스페이서와는 상이하며;
- 상기 다른 스페이서는 상이한 개인화 마크를 보유하고 및/또는 상이한 구강 개구를 갖고 및/또는 상이한 길이를 갖는다는 점에서 어댑터에 부착된 스페이서와 다르며;
-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른 스페이서는 상이한 개인화 마크를 보유하거나 및/또는 상이한 구강 개구를 갖는다는 점에서 어댑터에 부착된 스페이서와 다르지만,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이는 유리하게는, 사용되는 스페이서에 무관하게 휴대폰의 동일한 취득 구성을 허용한다.
취득 개선에 특히 유리한 제8 주 양태에 따르면,
- 상기 취득 위치에서, 휴대폰의 렌즈 및 플래시는 어댑터 개구의 반대쪽 및/또는 취득 개구의 반대쪽에 있고;
- 구강 개구와 어댑터 개구가 유체 연통하고, 상기 챔버는 비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 상기 챔버는 어떠한 인공 광원도 포함하지 않고;
- 취득 키트에는 구강 개구를 조명하는 플래시만이 포함되고, 달리 말해서, 플래시가 구강 개구를 조명하는 유일한 인공 광원이고;
- 어댑터 개구 및/또는 취득 개구의 최소 치수, 예를 들어 직사각형 개구의 폭은 1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2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3 cm 초과 및/또는 5 cm 미만, 바람직하게는 4cm 미만이고;
- 어댑터 개구 및/또는 취득 개구, 예를 들어 직사각형 개구의 대각선의 최대 치수는 2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3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4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5 cm 초과 및/또는 10 cm 미만, 바람직하게는 9 cm 미만, 바람직하게는 8 cm 미만, 바람직하게는 7 cm 미만, 바람직하게는 6 cm 미만이고;
- 어댑터 개구 및/또는 취득 개구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그 코너는 바람직하게는 둥글어서 세정을 용이하게 하고;
- 어댑터 개구 및 취득 개구는 어댑터 개구의 면적을 기준으로 서로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바람직하게는 1% 미만만큼 상이한 면적을 갖고;
-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개구와 취득 개구의 면적은 동일하고, 상기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일치하며;
- 어댑터 개구의 면적이 구강 개구의 면적보다 더 작거나 더 크고;
- 어댑터 개구와 구강 개구는 어댑터 개구의 면적을 기준으로 서로 30% 미만, 20% 미만, 및/또는 5% 초과, 바람직하게는 10% 초과로 다른 면적을 갖고;
- 키트는 어댑터 개구의 면적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초과 및/또는 30% 미만만큼 더 큰 면적을 갖는 제1 구강 개구를 포함하는 제1 스페이서, 및 어댑터 개구의 면적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초과 및/또는 30% 미만만큼 더 작은 면적을 갖는 제2 구강 개구를 포함하는 제2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스페이서 각각은 어댑터 상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 제1 및 제2 스페이서는 각각 어댑터에 끼워넣어지는 제1 및 제2 발부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끼움 발부는 동일한 형상을 갖고;
- 키트는 제1 및 제2 스페이서에 추가하여, 어댑터 개구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을 갖는 제3 구강 개구를 포함하는 제3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제3 스페이서는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끼움 발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3 끼움 발부를 포함한다.
취득한 데이터의 정확도를 개선하는 데 특히 유리한 제9 주 양태에 따르면,
- 휴대폰의 취득 구성에서, 렌즈에 의해 보이는 시야에서 스페이서의 표현은 상기 시야의 표면적의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을 점유하고;
- 취득 구성은 휴대폰의 디폴트 구성이거나 사용자가 선택하는 미리 결정된 구성이거나 취득 키트의 사용을 위해 특별히 휴대폰에 의해 결정되는 구성이고;
- 취득 키트의 사용을 위해 휴대폰에 의해 결정된 구성은 스페이서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 챔버는 일반적으로 관형이며 직선 형상이고; 이러한 형상은 유리하게
- 여러 개의 치아를 동시에 볼 수 있는 큰 구강 개구,
- 카메라가 휴대폰 주변부에 있는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작은 어댑터 개구, 및
- 상기 시야의 표면적의 작은 부분을 점유하는 렌즈에 의해 보이는 시야에서의 스페이서의 표현을 허용하고;
- 챔버는 구강 개구를 향해 발산하는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발산 세그먼트는 어댑터 개구로부터 5cm 미만, 바람직하게는 3cm 미만, 바람직하게는 1cm 미만에서 시작하고,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개구 또는 취득 개구에서 시작하며;
- 상기 발산 세그먼트는 챔버를 따라 3cm 초과, 바람직하게는 4cm 초과, 바람직하게는 4cm 초과 및/또는 10cm 미만으로 연장되며;
- 챔버는 구강 개구를 향해 수렴하는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렴 세그먼트는 구강 개구로부터 5cm 미만, 바람직하게는 3cm 미만, 바람직하게는 2cm 미만, 바람직하게는 1cm 미만에서 종료되고, 상기 수렴 세그먼트는 바람직하게는 구강 개구까지 연장되고;
- 어댑터 개구의 축을 따라 측정된 챔버의 길이는 3cm 초과, 바람직하게는 5cm 초과 및/또는 25cm 미만, 바람직하게는 15cm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대폰 홀더는 이 휴대폰의 디폴트 구성에서 이 휴대폰의 렌즈에 의해 보이는 시야에서 스페이서의 표현이 상기 시야의 표면적의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을 점유하도록 형상화된다.
일 실시예에서, 취득 구성은 상기 취득 구성에서 휴대폰의 렌즈에 의해 보이는 시야에서 스페이서의 표현이 상기 시야의 표면적의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을 점유하도록 미리 결정된다. 이 미리 결정된 취득 구성은 휴대폰에 프로그램된다. 사용자 또는 휴대폰은 예를 들어 사용된 스페이서에 따라 이를 선택할 수 있다.
위생 개선에 특히 유리한 제10 주 양태에 따르면,
- 어댑터는 스페이서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취득 개구와 렌즈 사이의 거리는 3cm 미만, 바람직하게는 2cm 미만, 바람직하게는 1cm 미만, 바람직하게는 0.5cm 미만이고;
- 스페이서는 어댑터에 의해 정의된 상보적인 형상의 하우징에 수용된, 바람직하게는 끼워넣어진 일 단부를 갖고, 상기 단부는 상기 하우징을 위한 보호 라이닝을 정의하고;
- 라이닝의 벽은 연속적이고, 달리 말해서, 어떠한 관통 구멍도 갖지 않는다.
취득 개선에 특히 유리한 제11 주 양태에 따르면,
- 구강 개구는 부분적으로 그 중심을 통과하는 평면 외부에서 연장되고 구강 개구의 중심과 취득 개구의 중심을 연결하는 축에 수직이고;
- 스페이서는
- 구강 개구를 정의하는,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관형 형상인 본체, 및
- 본체로부터 외향 연장되고 사용자의 입술과 치아 사이에 삽입되도록 형상화되는 원위 플랜지를 갖고;
- 원위 플랜지는 5 mm 초과 및 12 mm 미만의 거리만큼 상기 평면으로부터 분리된 측방향 단부를 갖고;
- 원위 플랜지의 2개의 측방향 단부는 동일한 거리만큼 상기 평면으로부터 분리되며;
- 구강 개구는 서비스 위치에서 수직 축에 대한 곡률을 갖고, 상기 곡률의 반경은 20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30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40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45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47 mm 초과이고, 및/또는 8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7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6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58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55 mm 미만이고;
- 구강 개구는 전적으로 상기 수직 축에 대해서만 곡률을 가지며;
- 원위 플랜지의 측방향 단부 사이의 거리와 상기 측방향 단부와 상기 평면 사이의 상기 거리 사이의 비율은 5 내지 8이고;
- 원위 플랜지는 구강 개구의 연장부에 놓이고;
- 스페이서 길이의 70% 초과, 80% 초과, 90% 초과, 95% 초과, 99% 초과, 바람직하게는 100%에 걸쳐 연장되는 스페이서의 세그먼트에서, 스페이서는 어떠한 돌출 코너 에지도 없는 및/또는 어떠한 오목한 코너 에지도 없는 외부 표면을 가지며, 스페이서의 길이는 취득 개구와 구강 개구의 중심을 연결하는 축을 따라 측정되며, 스페이서의 세그먼트는 상기 축에 수직인 2개의 평면에 의해 구분된 스페이서의 일부이고;
- 상기 세그먼트에서, 스페이서는 90°보다 더 큰 경사의 단절을 표시하는 어떠한 돌출 코너 에지도 없고 및/또는 90°보다 더 큰 경사의 단절을 표시하는 어떠한 오목한 코너 에지도 없는 외부 표면을 갖고;
- 스페이서의 외부 표면은 원위 플랜지와 본체(40) 사이의 전이 구역의 임의의 지점에서 1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1.5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2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3 mm 초과 및/또는 4cm 미만의 곡률 반경을 갖고;
- 원위 플랜지는 중단되거나 3 mm 초과, 5 mm 초과, 심지어 10 mm 초과, 또는 심지어 15 mm 초과, 및/또는 5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mm 미만의 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5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4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3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2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 mm 미만의 높이를 갖고;
- 상기 중단 또는 상기 높이 감소는 서비스 위치에서 입술 소대를 중심으로 하고, 예를 들어, 그 앞니의 이미지를 취득하기 위해 사용자가 취득 키트를 그들의 전방에 보유하고 있을 때;
- 원위 플랜지는 구강 개구와 접경하고, 달리 말해서 구강 개구 주변부로 연장되고;
- 원위 플랜지는 편평하고;
- 원위 플랜지는 어댑터 개구와 구강 개구의 중심을 연결하는 챔버의 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 원위 플랜지는 구강 개구의 연장부에 놓이고;
- 원위 플랜지의 최대 높이는 1 mm 초과, 2 mm 초과, 3 mm 초과 및/또는 10 mm, 8 mm 또는 6 mm 미만이고;
- 원위 플랜지는 0.5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1 mm 초과 및/또는 6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4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3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2 mm 미만의 두께를 갖고;
- 원위 플랜지는 서비스 위치에서 사용자 입술의 압력 하에서 이동하거나 변형되지 않는 방식으로 본체에 견고하게 부착되며; 달리 말해서, 원위 플랜지는 본체에 탄성적으로 부착되지 않고;
- 본체는 변형 불가능하며, 특히 서비스 위치에서 사용자의 입술 압력 하에서 변형되지 않고;
- 본체와 원위 플랜지는 변형 불가능한 일체형 조립체를 형성하고;
- 상기 챔버는 구강 개구를 향해 발산되는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발산 세그먼트는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개구로부터 5cm 미만에서 시작하고 바람직하게는 구강 개구에서 종료되며;
- 상기 발산 세그먼트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벽에 의해 정의된다.
당연히, 선택적이든 아니든, 위의 주 양태를 정의하는 특징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조합된다.
INPI는 위의 주 양태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다음 문서를 인용했다:
- US2020060623A1, 또는 SAYANI;
- KR101584737B1, 또는 YOO;
- US 2018/303580, 또는 SALAH;
- US20190167115A1 또는 DORODVAND;
- WO2017105392A1, 또는 CHEN;
- WO2016185463A1, 또는 HEFEZ;
- EP 3 714 764, 또는 OKIYAMA;
- CN 212 086 241U, 또는 FOSHAN;
- US 2014/339278, 또는 DITORE;
- US 2013/148273, 또는 TSAI;
- GB 2 438 662, 또는 LELAND;
- WO2021173867, 또는 OREN;
- WO2021058930 또는 CHAMBERS; 및
- US 2020/315434, 또는 KOPELMAN.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취득 키트에 의해 2D 또는 3D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선택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용 가능한 스페이서에 보유된 개인화 마크 및/또는 사용자의 형태에 기초하여 이용 가능한 스페이서 세트로부터 스페이서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단계;
b) 특히 휴대폰을 어댑터에 부착하고 선택적으로 스페이서를 어댑터에 부착함으로써 취득 키트를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조립하는 단계;
c)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입술과 치아 사이에 스페이서의 플랜지를 삽입함으로써 사용자의 구강 개구를 정의하는 스페이서의 단부를 사용자가 사용자의 입으로 삽입하는 단계;
d)사용자가 상기 데이터를 취득할 구강 개구 반대쪽 치아를 위치설정하는 단계;
e) 상기 2D 또는 3D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폰을 활성화하는 단계;
f)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에 대한 회전 및/또는 아래에서 위로 회전에 의해 구강 개구의 위치를 수정한 다음 단계 e)로 복귀하는 단계;
g) 선택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취득 키트를 분해하는 단계;
h) 선택적으로, 스페이서를 또는 심지어 단지 스페이서만을 세정 및/또는 소독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단계 d)에서, 스페이서는 치은 상에 또는 치아 상에, 또는 치아에 착용된 임의의 교정 장치 상에 놓이지 않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입술과 볼의 내부 표면에만 접촉한다.
원위 플랜지는 특히 치아로부터 1 mm 초과, 2 mm 초과, 3 mm 초과 및/또는 1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8 mm 미만일 수 있다.
단계 f)에서 회전은 서비스 위치에서 수직 축을 중심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단계 e)가 사용자에 대면하여 수행될 때, 회전 정도는 바람직하게는 10° 초과, 20° 초과, 30° 초과, 40° 초과, 50° 초과, 및/또는 90° 미만이다.
단계 f)에서 회전은 서비스 위치에서 수평축을 중심으로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e) 단계가 사용자에 대면하여 수행될 때, 회전 정도는 바람직하게는 10° 초과, 20° 초과 및/또는 60° 미만이며, 광축은 수평이다.
e) 및 f)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사용자는 따라서 서로 다른 배향으로 서로 다른 치아에서 2D 또는 3D 데이터를 취득한다.
정의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키트를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사람을 의미하며, 그 사람이 아픈지 여부, 또는 이 사람이 치료를 받고 있는지 여부에 무관하다. 본 발명에 따른 키트는 인간 이외의 동물에 사용될 수 있다.
"치과 치료 전문가"란 치과의사, 치열 교정 전문의 또는 교정 기공소를 의미한다.
"휴대폰" 또는 "이동 전화"는 iPhone®과 같은 디바이스이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 중량이 500g 미만이며, 비디오나 사진을 찍을 수 있게 하는 렌즈가 있는 카메라 또는 심지어 3차원 디지털 모델을 취득할 수 있게 하는 스캐너가 있다. 휴대폰은 또한 휴대폰에서 500km를 초과하여 떨어져 위치된 다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휴대폰의 "디폴트 구성"은 처음 사용되기 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이 휴대폰의 모든 설정으로 구성된다.
"이미지"는 사진과 같은 2차원 이미지를 의미한다. 이미지는 픽셀로 구성된다.
"비디오"는 사진 세트로 고려된다.
"모델"은 3차원 디지털 모델을 의미한다. 모델은 복셀 세트로 구성된다.
휴대폰은 "구강외" 데이터, 즉, 휴대폰 렌즈를 사용자의 입에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휴대폰으로 취득한 "2D 데이터"는 이미지이며, 특히 통상적으로 사진과 비디오이다. 휴대폰이 취득한 "3D 데이터"는 모든 3차원 공간의 좌표를 제공하는 데이터이다. "3D 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3차원 디지털 모델이다.
"견인기" 또는 "치과용 견인기"는 입술을 뒤로 말기 위한 디바이스이다.
이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및/또는 우측 플랜지와 좌측 플랜지를 포함하며 견인기 개구 주위로 연장되고 치아와 입술 사이에 삽입되도록 의도된다. 서비스 위치에서, 사용자의 입술은 견인기 개구를 통해 치아가 가시적이도록 이러한 플랜지에 놓인다. 따라서, 견인기는 입술에 방해 받지 않고 치아를 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치아는 견인기 상에 놓이지 않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견인기에 대해 머리를 돌려 견인기 개구를 통해 가시적인 치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그 치열궁 사이의 거리를 수정할 수 있다. 특히, 견인기는 두 턱을 이격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치아를 가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견인기는 견인기 개구를 통해 가시적인 치아를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상부 및 하부 입술을 탄성적으로 이격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견인기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사이 및/또는 우측 플랜지와 좌측 플랜지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도록 구성된다.
견인기는 예를 들어 PCT/EP2015/074896, US 6 923 761 또는 US 2004/0209225에 설명되어 있다.
한 부분을 다른 부분에 "부착"한다는 것은 이러한 부분 중 하나의 임의의 이동이 결국 다른 부분의 이동을 야기하도록 이 2개의 부분 사이에 물리적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병진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또는 볼 조인트를 통해 또 다른 부분에 장착된 부분은 이 다른 부분에 "부착"된 것이다. 부착은 2개의 부분이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손으로 분해하도록 설계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영구적"이거나 "제거 가능하게" 수행될 수 있다. 부착은 서로 부착된 2개의 부분 사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강성적이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요소와 일체로 형성된 요소는 이 다른 요소에 "부착" 된 것으로 고려된다.
힘의 작용 하에 그 상대 위치가 수정될 수 있고 이 힘이 중단되면 그 초기 상대 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2개의 부분은 서로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표면의 "코너 에지"는 이 표면 상의 라인이며, 이 라인은 길이가 1cm보다 더 크고, 최대 경사의 라인이, "경사 단절"이라고도 지칭되는, 45°를 초과하는 큰 경사 변화를 갖는 지점으로 이루어진다. 확장하면, 이는 또한 코너 에지의 각도가 45°보다 더 큰 것 또는 표면이 45°보다 더 큰 경사의 단절을 갖는 것을 말한다. 코너 에지는 리세스를 정의할 때 오목하다. 예를 들어, 도 15는 최대 경사 G의 라인이 라인 A 상의 임의의 지점 MA에서 θ의 경사 단절을 갖는 표면 S1을 도시한다. 각도 θ가 라인 A의 모든 지점에 대해 45°보다 더 큰 경우, 라인 A는 코너 에지이다. 실제로, 최대 경사의 라인상에서 3 mm의 거리로 분리된 두 지점 M1과 M2 사이의 경사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3 mm의 거리는 상기 라인을 따라 측정된다.
"조립된 위치"는 휴대폰이 키트의 어댑터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스페이서는 어댑터에 견고하게 부착된 위치이다.
"취득 위치"는 휴대폰의 렌즈가 어댑터 개구 및 취득 개구를 통해 구강 개구의 적어도 부분적, 바람직하게는 전체 시야를 갖는 조립된 위치이다.
"서비스 위치"는 취득 위치에서 키트의 스페이서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위치이다.
"입 폐쇄" 위치는 사용자의 상부 및 하부 치아가 접촉하는 교합 위치이다.
"입 개방" 위치는 입을 완전히 개방한 위치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수평", "수직", "하단", "상단", "상부", "하부", "우측" 또는 "좌측"과 같이 공간에서 위치 또는 배향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한정 용어는 명확성을 위해 사용자가 그 머리를 곧게 펴고 그 입술을 스페이서의 구강 개구 주위에 놓은 상태에서 본 서비스 위치를 참조하여 정의된다.
예를 들어, 수직 축은 서비스 위치에서 수직인 축이다.
원위 플랜지의 측방향 단부(우측 및 좌측)는 서비스 위치에서 사용자의 우측과 좌측으로 가장 먼 원위 플랜지의 지점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한정 용어 "외부" 및 "내부"는 체적 외부의 요소, 예를 들어 챔버 외부 또는 폐쇄 윤곽 외부를 지정하기 위해 체적 또는 폐쇄 윤곽을 참조한다. 예를 들어, 관형 본체의 외부 표면은 관형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이다.
형용사 "제1" 및 "제2"는 순수히 명확성을 위해 사용된다.
명확성을 위해, 서비스 위치에서 구강 개구의 일반적 평면에 수평 및 수직으로 연장하는 축 또는 방향을 Xi로 참조하고, "i"는 이 축 또는 이 방향과 관련된 부분을 지칭하는 지표이다. 서비스 위치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축 또는 방향은 Zi로 참조되며, "i"는 이 축 또는 이 방향과 관련된 부분을 지칭하는 지표이다. 서비스 위치에서 축 Xi 및 Zi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축 또는 방향은 Yi로 참조되며, "i"는 이 축 또는 이 방향과 관련된 부분을 지칭하는 지표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대해, 축 Xi, Yi 및 Zi는 각각 전후, 좌우 및 수직 축이다.
개구의 축은 개구의 일반적 평면에 수직인 그 중심을 통과하는 축이다.
상기 제1 및 제2 직선에 각각 수직인 제1 및 제2 평면이 서로 수직일 때 제1 및 제2 직선은 서로 수직이라 지칭된다.
"포함하다(include, comprise)" 및 "가지다"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광범위하게 해석되며 어떠한 제한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판독하고 첨부 도면을 연구하면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도 1은 조립된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키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도 2는 도 1의 키트의 스페이서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3] 도 3은 도 1의 키트에 대해, 중간 위치(도 3c)를 통과하여 함께 이동된 위치(도 3a)로부터 이격된 위치(도 3b)로의 제1 조오의 분리 이동을 도시한다.
[도 4] 도 4는 전방(도 4a), 측면(도 4b) 및 도 4b의 BB를 따른 단면(도 4c)에서 본, 제1 조오의 중간 위치에서 제1 조오의 이동을 보여주기 위해 부분적으로 분해된 도 1의 키트의 어댑터를 도시한다.
[도 5] 도 5는 전방(도 5a), 측면(도 5b) 및 도 5b에 도시된 BB를 따른 단면(도 5c)에서 본, 도 4의 부분적으로 분해된 어댑터를 함께 이동된 위치에서 도시한다.
[도 6] 도 6은 휴대폰이 없는 상태(도 6a) 및 휴대폰이 있는 상태로(도 6b) 전방에서 본, 베이스 상의 플레이트의 이동을 도시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분해된 도 1의 키트의 어댑터를 도시하며, 어댑터 개구는 하단 위치에 있다.
[도 7] 도 7은 휴대폰이 없는 상태(도 7a) 및 휴대폰이 있는 상태(도 7b)로 전방에서 본 도 6의 부분적으로 분해된 어댑터를 도시하며, 어댑터 개구는 도 7b(취득 위치)에서 휴대폰의 렌즈 반대쪽 상단 위치에 있다.
[도 8] 도 8은 도 1의 키트의 홀더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9] 도 9는 측면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 도 10은 측면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 도 11은 측면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키트의 스페이서의 상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 도 12는 사용자가 전방(도 12a) 및 측면(도 12b)에서 본, 서비스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 도 13은 휴대폰의 렌즈를 통해 본 시야를 도시한다.
[도 14] 도 14는 도 1의 키트의 어댑터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5] 도 15는 코너 에지의 정의를 도시한다.
[도 16] 도 16은 위(도 16a)와 전방(도 16b)에서 본 제1 스페이서와, 위(도 16c)와 전방(도 16d)에서 본, 동일한 취득 키트의 제2 스페이서를 도시한다.
다양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를 사용하여 지정된다.
도면은 예시 목적으로 제공된다. 도면은 제한적이지 않다.
도 1에 도시된 키트(10)는 휴대폰(12)과 홀더(14)를 포함한다.
휴대폰
종래의 임의의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다.
휴대폰(12)은 통상적으로 카메라를 포함하는 통상적으로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의 개인용 디바이스이다.
휴대폰은 전형적으로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6) 및 바람직하게는 플래시(18)가 장착된 전면(121),
- 스크린(20)을 갖는 후면(122), 및
- 전화기의 두께를 정의하고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측면 에지(22)를 갖는다.
전면 및 후면은 통상적으로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고 평행하며 동일한 치수를 갖는다. 그 길이 L12은 전형적으로 8 내지 20cm이다. 그 폭 l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 4 내지 10cm이다.
휴대폰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4 mm에서 15 mm 사이이다.
스크린(20)은 실질적으로 후면 전체를 덮는다. 이는 사용자를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특히, 이는 사용자가 렌즈(16)가 "보는 것", 즉, 렌즈에 의해 보이는 "시야"를 시각화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크린(20)은 터치 감지식이고, 휴대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렌즈(16)는 통상적으로 전면에 수직인 광축 X16을 가지며, 2D 또는 심지어 3D 데이터의 취득을 허용한다. 특히, 컬러 사진 및/또는 적외선 사진을 취득할 수 있게 한다. 적외선 사진은 뛰어난 대비로 치아를 보여줄 수 있게 하여 유리하다.
렌즈(16)는 전형적으로 1 mm 초과 및 15 mm 미만의 직경을 갖는다.
이는 때로는 휴대폰의 중심에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전면의 한 측면에 근접하게, 예를 들어 전면의 짧은 측면으로부터 3cm 미만에, 통상적으로 이 측면을 따라 중간에, 또는 전면의 코너에, 예를 들어, 전면의 코너로부터 1cm 미만에 위치한다.
휴대폰(12)은 전면 상에 몇 개의 렌즈, 예를 들어 2개, 2개 초과, 3개 초과 또는 4개 초과의 렌즈(16) 및/또는 8개 미만 또는 6개 미만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18)는 렌즈(16)에 근접하게, 바람직하게는 렌즈(16)로부터 4cm 미만, 3cm 미만, 2cm 미만 또는 1cm 미만 및/또는 1 mm 초과로 존재할 수 있다. 휴대폰(12)은 전면 상에 여러 개의 플래시, 예를 들어 2개 초과, 3개 초과 또는 4개 초과의 플래시 및/또는 8개 미만 또는 6개 미만의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휴대폰은 예를 들어 키트를 조립하거나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자에게 지시하기 위해,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특정 사진을 찍기 위해 홀더에 제공되어야 하는 위치 및/또는 배향을 알려 주기 위해 동작 중에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휴대폰(12)은 홀더(14)에 바람직하게는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홀더
홀더(14)는 이중 목적을 갖는다. 이는 동시적으로
- 사용자의 입술을 뒤로 밀어 이들을 치아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고,
- 치아와 관련하여 휴대폰의 위치설정 및 배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스페이서(24)와 어댑터(26)를 포함한다.
조립된 위치에서, 스페이서(24)와 어댑터(26)는 함께, 바람직하게는 전적으로, 휴대폰(12)의 렌즈(16) 반대쪽에, 구강 개구(Oo) 및 어댑터 개구(Oa)를 통해 개방되는 챔버(28)(도 3 참조)를 정의한다.
챔버(28)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관형이고, 바람직하게는 축 X28에 대해 직선적이다.
어댑터 개구의 축 Xa를 따라 측정된 챔버(28)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3cm 초과, 바람직하게는 5cm 초과 및/또는 25cm 미만, 바람직하게는 20cm 미만, 바람직하게는 15c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cm 미만, 바람직하게는 8 cm 미만, 바람직하게는 7 cm 미만이다.
챔버(28)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조립된 위치에서 일정하다.
바람직하게는, 챔버(28)는 구강 개구(Oo)와 어댑터 개구(Oa)를 통해서만 외부로 개방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휴대폰(12)은 어댑터 개구(Oa)를 폐쇄한다. 유리하게는, 외부 환경의 광 레벨은 휴대폰에 의한 데이터(이미지 또는 3D 모델) 취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홀더는 임의의 인공 조명 수단을 포함하지 않으며, 구강 개구의 조명은 바람직하게는 전적으로 휴대폰(12)의 플래시에 의해서만 보장된다.
스페이서(24)에 의해 정의된 구강 개구는 수직 평면(Po)에서 연장될 수 있고, 그 중심 Co를 통과하며, 바람직하게는 구강 개구(Oo)와 취득 개구(Oa')의 중심을 연결하는 축 X24에 수직이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개구는 스페이서의 본체(40)의 반대쪽 측면, 즉, 서비스 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측면에서 평면(Po) 외부로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구강 개구(Oa)는 서비스 위치에서 치아에 근접하게 되는 방식으로 서비스 위치에서 수직 축(Zo) 주위로, 바람직하게는 전적으로 수직 축(Zo) 주위로 만곡된다.
원위 플랜지(46),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24)는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위치에서 시상 평면과 일치하는 수직 평면에 대해 대칭성이다. 축 Zo는 바람직하게는 이 수직 평면에 포함되고 축 X24에 수직이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상기 수직 평면의 구역에서 수직 축(Zo) 주위의 곡률 반경은 20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30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40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45 mm 초과 및/또는 8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7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6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55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50 mm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곡률 반경은 원위 플랜지를 따라, 즉, 도 16a 및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원위 플랜지를 가로질러,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으로 변하거나 심지어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47 mm와 58 mm 사이의 곡률 반경이 특히 적합하다.
위에서 볼 때, 치열궁의 치아는 넓어지는 C와 같이, 입의 뒤쪽을 향한 방향으로 그 반경이 상당히 증가하는 곡률을 가지고 있다. 구강 개구의 곡률이 치아의 곡률을 따르는 경우, 홀더는 서비스 위치에서 특히 안정적이지만 이 안정성은 사용자 주위로의 회전을 방해한다. 더욱이, 이는 사용자가 이러한 회전을 수행할 때, 구강 개구가 치아에서 멀리 이동하게 한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구강 개구의 곡률은 원위 플랜지(46)가 치아를 따르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강 개구의 곡률은 2D 또는 3D 데이터의 구강외 취득과 관련하여 몇 가지 추가 이점을 제공한다.
2D 또는 3D 데이터, 그리고, 특히 어금니 또는 소구치를 향한 사진(측방향 보기 위치)을 취득하기 위해 키트가 사용자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배향될 때, 이러한 곡률은 입술이 원위 플랜지 위에 와서 구강 개구를 차단하는 위험을 특히 제한하는 것으로 테스트에서 나타났다. 사용자의 우측 또는 좌측의 이들 위치에서, 이 곡률은 또한 예를 들어 치열 교정 장치의 부착과 함께 스페이서가 인접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곡률은 또한 구강 개구가 앞니에 대면하도록 되돌려질 때 스페이서가 볼을 핀칭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 곡률은 측방향 보기 위치에서 입술을 당기는 것을 제한하여 쾌적함을 개선시키고 따라서 임의의 치열 교정 치료에 대한 순응도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테스트에서 나타났다.
"만곡"은 호를 따르는 것, 즉, "C"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을 따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일반적인 형상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곡률은 오목한 코너 에지를 생성하지 않도록 경사가 단절되지 않고 연속적이다.
어댑터 개구(Oa)는 어댑터(26) 및/또는 스페이서(24)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개구(Oa)는 어댑터(26)에 의해 정의되고 스페이서(24)는 취득 개구(Oa')를 정의한다(도 2 참조).
구강 개구의 면적은 바람직하게는 500 mm2 초과, 바람직하게는 800 mm2 초과, 바람직하게는 1000 mm2 초과, 바람직하게는 1100 mm2 초과, 바람직하게는 1200 mm2 초과, 바람직하게는 1300 mm2 초과, 및/또는 2000 mm2 미만, 바람직하게는 1800 mm2 미만, 바람직하게는 1600 mm2 미만, 바람직하게는 1500 mm2 미만, 바람직하게는 1400 mm2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구강 개구는 취득 개구를 통해 휴대폰의 렌즈가 여러 개의 치아, 바람직하게는 2개 초과, 3개 초과, 4개 초과, 5개 초과 및/또는 32개 미만의 치아를 볼 수 있는 방식으로 형상화된다.
구강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타원형이고, 수직 방향의 그 높이 보다 수평 방향의 길이가 더 크다.
구강 개구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50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60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70 mm 초과 및/또는 10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90 mm 미만이다.
구강 개구의 높이는 서비스 위치에서 사용자의 입이 폐쇄되게 하도록 적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20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25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30 mm 초과 및/또는 5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40 mm 미만이다.
취득 개구의 면적은 바람직하게는 500 mm2 초과, 바람직하게는 800 mm2 초과, 바람직하게는 1000 mm2 초과, 바람직하게는 1100 mm2 초과, 바람직하게는 1200 mm2 초과, 바람직하게는 1300 mm2 초과, 바람직하게는 1400 mm2 초과, 바람직하게는 1500 mm2 초과, 바람직하게는 1600 mm2 초과 및/또는 2000 mm2 미만, 바람직하게는 1900 mm2 미만, 바람직하게는 1800 mm2 미만, 바람직하게는 1700 mm2 미만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페이서(24)는 전적으로 구강 개구(Oo) 및 취득 개구(Oa')를 통해서만 개방되는 관형 본체의 형상을 갖는다.
구강 개구(Oo)와 취득 개구(Oa')는 동축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도 9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위치에서 스페이서(24)의 취득 개구(Oa')와 어댑터 개구(Oa) 사이의 거리 d는 3cm 미만, 바람직하게는 2cm 미만, 바람직하게는 1cm 미만, 바람직하게는 0.5cm 미만, 바람직하게는 0.2cm 미만,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0이다. 거리 d는 도 14에도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의 취득 개구(Oa')와 어댑터 개구(Oa)는 동일 평면상에 있다. 유리하게는, 스페이서(24)는 사용자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 특히 침으로부터 어댑터를 보호하는 라이닝을 형성한다. 이는 위생을 개선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의 취득 개구(Oa')와 어댑터 개구(Oa)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다. 이들은 동축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24)의 일 단부(23)는 바람직하게는 상보적인 형상의 하우징(25)에 수용되고, 바람직하게는 끼워넣어진다. 하우징(25)은 어댑터 개구(Oa)를 정의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24)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이 하우징을 통과한다.
스페이서(24)의 적어도 상기 단부, 바람직하게는 전체 스페이서(24)는 강성 벽에 의해 정의되며, 즉, 스페이서는 구강 개구와 취득 개구를 통해서만 외부로 개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어댑터(26) 및 스페이서(24)는 일체형 조립체를 형성하고, 어댑터(26)는 스페이서(24)에 영구적으로 견고하게 부착되거나 심지어 스페이서와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어댑터(26)는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24)에 제거 가능하게 견고하게 부착된다.
유리하게는, 어댑터(26)는 여러 스페이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는, 스페이서(24)는 어댑터와 독립적으로 세정 또는 멸균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 스페이서(24)는 바람직하게는 오토클레이빙을 견딜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오토클레이브 또는 식기세정기에서 견딜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는 분해되지 않고 50회를 초과하여 멸균될 수 있다. 표준 EN 556에 규정된 무균 보증 수준(SAL)에 따라 세균을 분리할 확률이 1/백만 미만일 때 무균이 달성된 것으로 고려된다.
바람직하게는, 어댑터(2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2726 및 스페이서(2724) 부착 부분을 갖는 클립에 의해 스페이서(24)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어댑터 및 스페이서 부착 부분은 서로 상호작용하여 스페이서에 대한 어댑터의 해제 가능한 부착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들은 어댑터를 스페이서에 부착하거나 분리하기 위해 각각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부착 부분(2724)은 스페이서(24) 상에 고정되고, 달리 말해서, 어댑터 부착 부분과의 조립 및 분해 중에 이동하도록 설계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부착 부분(2724)은 어댑터 부착 부분과의 조립 및 분해 중에 변형되지 않는다. 이는 어댑터 부착 부분(2726)에 결합 및/또는 결합 해제될 때 그 형상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이는 재료 비드 또는 블라인드 리세스에 의해 챔버(28)의 범위를 한정하는 스페이서(24)의 벽에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 부착 부분은 조립 및 분해 중에 그 표면의 한 지점이 1 mm을 초과하여 이동하지 않을 때 그 형상을 유지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부착 부분의 표면 상의 어떤 지점도 조립 및 분해 중에 0.5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0.2 mm 초과로 이동하지 않는다.
"수동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 스페이서 부착 부분(2724)의 고정 특성은 유리하게는 스페이서(24) 멸균 동작 동안 그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 특징은 예를 들어, 스페이서(24)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어댑터(26)가 멸균될 필요가 없을 때 특히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부착 부분(2726)은 어댑터의 잔여 부분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 재료의 비드에 후킹되거나 스페이서(24)의 리세스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도록 적응된 클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 부착 부분(2726)은 또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어댑터의 일부, 예를 들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의 비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댑터는 조립 중에 스페이서 본체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각각의 리세스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도록 배열된 하나 이상의 비드, 예를 들어 4개의 비드를 보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부착 부분(2724)과 어댑터 부착 부분(2726)은 강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즉, 엘라스토머와 같은 탄성 재료와 달리 손으로 가압할 때 변형 가능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이 재료는 70 쇼어 D 초과 및/또는 100 쇼어 D 미만의 경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키트,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스페이서(24)는 바람직하게는 어댑터(26) 및/또는 스페이서(24)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개인화 마크(39)를 보유한 개인화 피스를 보유한다.
개인화 마크(39)는 사용자 및/또는 치과 치료 전문가의 사무실 및/또는 회사, 예를 들어 치과 치료 전문가 그룹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식별자는 특정적이고, 즉,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한다. 달리 말해서, 이는 해당 사용자에게만 사용된다.
개인화 마크(39)는 또한 사용자의 병리학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화 마크(39), 특히 개인화 피스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를 담당하는 치과 치료 전문가, 예를 들어 이전에 사용자의 입에 능동 또는 수동 치열 교정 장치를 장착한 치열 교정 전문의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어댑터(26) 및/또는 스페이서(24)에 바람직하게는 부착되고, 바람직하게는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개인화 피스는 임의의 알려진 수단, 특히 하나 이상의 클립(들), 나사(들), Velcro® 유형의 후크 앤 루프 테이프(들), 탄성 밴드(들), 자석(들), 후크(들), 볼트(들), 스트랩(들), 흡입 컵(들) 또는 접착 재료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개인화 마크는 또한 스페이서 또는 어댑터,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에 새겨지거나 각인될 수 있다.
각인은 특히 카드보드 스페이서 상에 예를 들어 펜, 예를 들어 지울 수 없는 마커에 의해, 또는 패드 인쇄에 의해 새겨질 수 있다.
식별자는 예를 들어 컬러, 영숫자 문자, 기하학적 또는 비기하학적 패턴 또는 특정 미세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개인화 마크(39)는 예를 들어 보석과 같은 미학적 묘사 또는 예를 들어 연재 만화 캐릭터를 묘사하는 재미있는 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인화 마크(39)는 스페이서(24) 및/또는 이를 보유하는 어댑터(26)의 컬러 또는 재료 각각과 다른 컬러 또는 재료이다.
개인화 마크(39)는 스페이서(24) 및/또는 이를 보유하는 어댑터(26)의 표면적의 예를 들어 0.1% 초과, 0.5% 초과, 1% 초과, 3% 초과 및/또는 90% 미만, 50% 미만, 20% 미만, 10% 미만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키트는 도 8에서 241 및 242로 참조되는 여러 제거 가능한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이는 어댑터(26)에 조립될 수 있고 서로 다른 구강 개구 및/또는 개인화 마크, 특히 개인화 피스를 갖는다. 유리하게는, 어댑터(26)는 여러 다른 사람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각각의 사람은 그들에게 특정한 스페이서(24)를 사용한다.
유리하게는, 사용자는 키트를 더 쉽게 소지하고, 이는 사용자가 키트를 사용하는 것을 조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취득 키트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치료에 대한 순응도가 이에 의해 개선된다.
또한, 어댑터는 예를 들어 동일한 가족의 어린이에게 각각 할당된 여러 스페이서에 사용될 수 있다.
스페이서
스페이서(24)는 어댑터(26)에 부착된 휴대폰과 구강 개구(Oo) 사이의 간격 및 구강 개구에 대한 휴대폰의 배향을 정의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서비스 위치에서, 렌즈(16)를 통해 휴대폰(12)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사용자 치아의 이미지 또는 3D 모델)는 사용자의 치아로부터 미리 결정된 배향으로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취득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24)는 이 간격 및 이 배향이 일정하도록 구성된다.
스페이서(24)는 수평 평면 및/또는 수직 평면에 대해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24)는 구강 개구(Oo) 및 취득 개구(Oa')를 통해 그 단부에서 개방되는 본체(40)를 포함한다.
본체(40)는 바람직하게는 단면이 일정하거나 가변적이며 바람직하게는 구강 개구(Oo) 및 취득 개구(Oa')의 중심을 통해 그 단부에서 개방되는, 축 X24와 실질적으로 직선인 튜브의 일반적인 형상을 갖는다. 스페이서(24)는 특히 원통형 튜브,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예를 들어 직사각형, 단면 또는 테이퍼형 튜브의 일반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24)의 단면, 즉, 축 X24에 수직인 단면 평면에서의 단면은 바람직하게는 튜브를 따라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일반적인 형상, 예를 들어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 또는 둥근 형상을 갖는다.
스페이서(24)는 바람직하게는 휴대폰(12)의 어떠한 줌 사용도 없을 때, 렌즈(16)에 의해 보이는 시야에서 스페이서(24)의 표현(도 9 및 도 10에서 렌즈(16)로부터 발산되는 2개의 점선으로 도시됨)은 상기 시야의 표면적의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을 점유하도록 형상화된다. 달리 말해서, 휴대폰(12)에 의해 취득된 이미지에서 스페이서(24)의 표현은 제한된 표면적을 차지한다.
도 13은 이러한 시야의 예를 제공한다. 스페이서의 표현은 회색 영역이다.
이에 의해, 유리하게는, 치아를 나타내는 사용 가능한 구역의 정밀도가 개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야에서 스페이서(24)의 표현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적으로 구강 개구(Oo)로부터 5cm, 3cm, 2cm, 1cm 미만으로만 연장되는 스페이서의 부분(42)을 도시한다.
이에 의해, 유리하게는 치아에 대한 초점이 개선된다.
렌즈(16)에 의해 보여지는 시야에서 스페이서(24)의 표현이 점유하는 표면적을 제한하기 위해, 스페이서(24)의 길이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스페이서(24)는 초점 형성이 가능하도록 최소 크기를 가져야 한다.
"취득 구성"은 휴대폰의 렌즈(16)에 의한 2D 또는 3D 데이터의 취득을 결정하는 휴대폰의 모든 설정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취득 구성은 휴대폰(12)의 디폴트 구성이다.
렌즈(16)에 의해 보이는 시야에서 스페이서(24)의 표현이 점유하는 표면적을 제한하기 위해, 스페이서(24)의 길이를 제한하는 것에 대안적으로 또는 그에 추가하여, 구체적으로 취득 키트의 사용에 적응된 취득 구성에 따라 휴대폰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취득 구성은 바람직하게는 휴대폰 자체에 의해, 달리 말해서, 자동으로 정의된다.
바람직하게는, 취득 구성은 휴대폰의 줌을 조절함으로써 취득된다. 바람직하게는, 줌은 이러한 목적을 위한 사용자 개입 없이 휴대폰에 의해 조절된다. 예를 들어, 취득 키트를 사용하기 위해 휴대폰에 로딩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줌을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취득 구성, 바람직하게는 줌은 스페이서에 따라, 예를 들어 그 형상, 길이 또는 폭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된다. 일 실시예에서, 스페이서는 예를 들어 스페이서 상에 위치된 마크를 판독함으로써 또는 취득 위치에서 스페이서의 일부를 보여주는 렌즈에 의해 보이는 시야의 분석에 의해 휴대폰에 의해 인식된다.
일 실시예에서, 취득 구성, 바람직하게는 줌은 예를 들어 초점 형성을 달성하기 위해 서비스 위치에서 측정된 거리의 함수로서 자동으로 정의된다.
렌즈(16)에 의해 보이는 시야에서 스페이서(24)의 표현이 점유하는 표면적을 제한하기 위해, 스페이서(24)의 길이를 제한하고 취득 구성, 특히 휴대폰의 줌을 조절하는 것에 대안적으로 또는 그에 추가하여, 챔버(28)의 형상, 특히 스페이서(24)의 형상에 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챔버(28)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스페이서(24)는 바람직하게는 구강 개구(Oa)를 향해 바람직하게는 규칙적으로 발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4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산 세그먼트(44)는 취득 개구(Oa')로부터 5cm 미만, 3cm 미만, 1cm 미만,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개구(Oa)로부터 5cm 미만, 3cm 미만, 1cm 미만에서 시작한다.
바람직하게는, 발산 세그먼트(44)는 취득 개구(Oa'),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개구(Oa)를 정의한다.
바람직하게는, 발산은 취득 구성에서, 예를 들어 휴대폰(12)의 디폴트 구성에서 발산 세그먼트가 취득 위치에서 렌즈(16)에 비가시적이기에 충분하다.
공간 요건을 제한하기 위해, 챔버(28),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24)는 바람직하게는 구강 개구(Oa)를 향해 바람직하게는 규칙적으로 수렴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45)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렴 세그먼트는 구강 개구로부터 5cm 미만, 3cm 미만, 1cm 미만에서 종료되고, 바람직하게는 구강 개구를 정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페이서(24)는 상기 발산 세그먼트(44) 및 상기 수렴 세그먼트(45)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렌즈(16)에 의해 보여지는 시야에서 스페이서(24)의 표현이 감소될 수 있고, 이는 휴대폰(12)에 의한 초점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렌즈(16)에 의해 보이는 시야에서 가시적인 스페이서(24)의 구역에서, 스페이서(24)는 회색 컬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회색 컬러는 RGB(적색, 녹색, 청색) 코드에서 적색, 녹색 및 청색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값을 포함하고, 적색, 녹색과 청색에 대한 값 사이의 최대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미만 5,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0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값은 50 내지 21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90,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70,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60이다. 예를 들어, 회색은 (120, 120, 120) 또는 (150, 150, 150)에 가까울 수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는 이에 의해 사실적인 컬러 사진에서 치아의 컬러 분석이 용이해지고 개선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취득된 사진은 비색 분석에 매우 적합하다.
이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본 발명자는 회색이 취득 동안 컬러를 변경하지 않는 중립적인 컬러라는 사실로 이 결과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휴대폰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설정은 특히 백색 균형을 이동시켜 사진의 컬러를 수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X24를 따라 측정된 스페이서(24)의 길이 L24는 바람직하게는 3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4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5cm 초과, 및/또는 25cm 미만, 바람직하게는 20cm 미만, 바람직하게는 15c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cm 미만, 바람직하게는 8cm 미만, 바람직하게는 7cm 미만이다.
스페이서(24)의 본체(40)의 폭(l24), 즉, 축 X24를 따른 모든 횡방향 평면을 고려한 횡방향 평면에서의 그 최대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2cm 초과 및/또는 10cm 미만이다.
스페이서(24)의 본체(40)의 높이(h24), 즉, 축 X24를 따른 모든 횡방향 평면을 고려할 때 횡방향 평면에서의 그 최소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2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4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6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7 cm 초과 및/또는 10 cm 미만, 바람직하게는 9 cm 미만이다.
스페이서(24)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입술과 치아 사이에 삽입되도록 적응된 본체(40)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구강 개구(Oa)의 주변부에서 외향 연장되는 원위 플랜지(46)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구강 개구(Oa)를 차단하지 않도록 입술이 멀리 이동될 수 있다. 더욱이, 원위 플랜지(46)는 스페이서(24)를 사용자의 입에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원위 플랜지(46)는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24)의 본체(40)와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며, 이는 제조 비용을 제한하고 코너 에지의 수를 제한한다. 이에 의해, 위생이 개선된다.
원위 플랜지(46)는 본체(40) 상에 오버몰딩될 수 있다.
이는 최적의 쾌적함을 위해 엘라스토머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위 플랜지(46)는 편평하고, 즉,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두께의 칼날 형상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원위 플랜지(46)는 구강 개구(Oa)의 축 X24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즉, 축 X24에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된다. 유리하게는, 스페이서(24)가 수평으로 유지될 때 인체 공학적으로 휴대폰(12)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플랜지는 구강 개구의 연장부에 놓이게 된다. 구강 개구가 만곡될 때, 따라서 축 X24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원위 플랜지(46)는 본체(40)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사용자 입술의 우측 및 좌측 접합부에 놓이도록 의도되고 각각 우측(46d) 및 좌측(46g) 측방향 단부를 정의하는 우측 부분 및 좌측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우측 및 좌측 부분은 입 뒤쪽의 치아, 특히 어금니 사진을 취득하기 위해 홀더가 사용자 주위에서 사용자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할 때 입술이 빠져나갈 위험을 효과적으로 제한한다.
우측(46d)과 좌측(46g) 측방향 단부 사이의 거리(l46)는 바람직하게는 40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50 mm 초과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8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70 mm 미만이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치수는 서비스 위치에서 스페이서가 사용자의 우측 및 좌측으로 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허용할 뿐만 아니라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턱을 사용자의 상부 및 하부 치아가 접촉하는 교합 위치로 함께 모으는 것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구강 개구는 우측(46d) 및 좌측(46g) 측방향 단부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 d46만큼,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거리 d46만큼 평면(Po)으로부터 분리되는 방식으로 만곡된다. 거리 d46는 5 mm를 초과하고 12 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우측(46d)과 좌측(46g) 측방향 단부를 연결하는 현선은 평면(Po)에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원위 플랜지의 측방향 단부 사이의 거리와 상기 측방향 단부와 평면(Po) 사이의 거리 사이의 비율 l46/d46는 5 내지 8이다. 취득 키트가 여러 다른 스페이서를 포함할 때, 상기 스페이서는 바람직하게는 다른 비율을 갖는다.
원위 플랜지(46)는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중단되거나, 사용자의 상부 및 하부 치열궁 상의 입술 소대를 자유롭게 남겨두는 방식으로 노치를 포함할 수 있다. 중단 또는 노치는 또한 스페이서(24)가 사용자의 입 내에서 이동, 특히 측방향 시야에서 사진 또는 3D 모델을 취득하기 위한 치열궁 주위에서의 회전을 허용한다.
노치는 예를 들어 삼각형이거나, 둥글거나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단 또는 노치의 길이 d46는 바람직하게는 3 mm 초과, 5 mm 초과, 심지어 10 mm 초과, 또는 심지어 15 mm 초과 및/또는 5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mm 미만이다(도 2).
원위 플랜지(46)의 최대 높이 h46는 바람직하게는 1 mm 초과, 2 mm 초과, 3 mm 초과 및/또는 10 mm, 8 mm 또는 6 mm 미만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플랜지(46)와 본체(40) 사이의 전이 구역(47)에서, 스페이서(24)의 외부 표면(49)은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지점에서 1 mm 초과, 1.5 mm 초과, 2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3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5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7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9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10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20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30 mm 초과, 및/또는 4cm 미만의 곡률 반경 R을 갖는다(도 11). 유리하게는, 따라서 전이 구역은 임의의 오목한 코너 에지를 정의하지 않으며, 이는 세정을 용이하게 하고 위생을 더욱 개선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 벽의 두께는 적어도 원위 플랜지(46)를 보유하는 부분에서,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다. 특히, 챔버(28)는 구강 개구(Oo)를 향해 발산되는 세그먼트(44)를 포함하고, 상기 발산 세그먼트는 어댑터 개구(Oa)로부터 5cm 미만에서 시작하여 어댑터 개구(Oa)에서 종료된다.
발산 세그먼트는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의 벽의 일부에 의해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원위 플랜지(46)는 제거 가능하다. 특히, 이는 치과 견인기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체(40), 바람직하게는 전체 스페이서(24)는 불투명 재료로 제조된다. 유리하게는, 외부 환경은 휴대폰(12)에 의한 치아 조명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체(40)는 또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한다.
본체(40) 및/또는 원위 플랜지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또는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강성 재료 또는 예를 들어 카드보드와 같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40), 바람직하게는 전체 스페이서(24)는 바람직하게는 유럽 표준 EN13432에 따라 재활용 가능한, 바람직하게는 생분해성 재료로 제조되며, 6개월 후 잔류물은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바람직하게는 1%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중량 백분율로서 스페이서(24)의 50%, 70%, 80% 또는 90% 초과가 생분해성이다.
재료는 특히 섬유질 재료,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스 기반, 바람직하게는 카드보드일 수 있다.
스페이서는 일회용거나 사용후 버릴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24)는 일체형이다. 이에 의해, 유리하게는 그 제조 비용이 제한된다.
어댑터
특히, 도 14에 도시된 어댑터(26)는 휴대폰을 홀더(14)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고 휴대폰(12)의 렌즈(16)가 어댑터 개구(Oa) 및 스페이서의 취득 개구(Oa')를 통해 구강 개구(Oa)를 볼 수 있게 하는 취득 위치에 위치설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어댑터(26)는 이 위치가 수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휴대폰(12)은 예를 들어 어댑터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휴대폰(12), 조오, 하나 이상의 흡입 컵 또는 하나 이상의 자석을 클램핑하는 위치에서 로킹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탄성 밴드, 하나 이상의 후크 앤 루프 테이프, 하나 이상의 클립, 하나 이상의 나사, 플랩으로 어댑터(26)에 부착될 수 있다.
플랩은 임의의 수단으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클립(들), 나사(들), Velcro® 유형의 후크 앤 루프 테이프(들), 탄성 밴드(들), 자석(들), 후크(들), 볼트(들), 스트랩(들), 흡입 컵(들), 특히 미세 흡입 컵(들) 또는 나노 흡입 컵(들), 또는 예를 들어 겔과 같은 접착 재료에 의해 이동 전화를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휴대폰에 대해 유지될 수 있다.
휴대폰은 또한 어댑터 베이스에 부착된 쉘, 커버 또는 케이스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케이스에는 바람직하게는 수평 또는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커버 또는 케이스의 형상은 렌즈(16)가 커버 또는 케이스 외부를 볼 수 있게 하고, 바람직하게는 커버 또는 케이스 외부에서 스크린이 가시적인 상태로 남겨둔다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케이스, 커버 또는 쉘은 임의의 수단에 의해, 예를 들어 형상의 상보성 또는 하나 이상의 클립(들), 나사(들), Velcro® 유형의 후크 앤 루프 테이프(들), 탄성 밴드(들), 자석(들), 후크(들), 볼트(들), 스트랩(들), 흡입 컵(들), 특히 미세 흡입 컵 또는 나노 흡입 컵(들), 또는 접착 재료, 예를 들어 겔에 의해 베이스에 부착될 수 있다. 케이스 또는 커버는 베이스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댑터는 휴대폰을 부착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이고,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스트랩을 포함한다.
이 예의 목록은 제한적이지 않다.
스크린(20)의 "가려지지 않은" 표면은 어댑터(26)에 의해 덮이지 않은 표면이다. 예를 들어, 투명 스트랩과 같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된 어댑터(26)의 일부가 스크린의 표면을 덮는 경우, 이 표면은 "가려지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어댑터(26)는 바람직하게는 조립 위치에서 휴대폰의 스크린(20) 표면의 80% 초과, 바람직하게는 90% 초과, 바람직하게는 95% 초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100%를 가려지지 않은 상태로 남겨두도록 구성된다.
조립된 위치에서 휴대폰(12)과 접촉하는 어댑터(26)의 표면은 "접촉 표면"으로 지칭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표면의 70% 초과, 80% 초과, 바람직하게는 90% 초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100%가 휴대폰의 전면(121)의 측면 에지(22)와 접촉하고, 바람직하게는 휴대폰의 측면 에지(22)와 접촉한다.
접촉 표면의 일부는 휴대폰의 후면 또는 스크린(20)과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표면의 이 부분의 면적은 상기 후면 면적의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바람직하게는 2% 미만을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0이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표면의 이 부분의 면적은 상기 스크린(20) 면적의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바람직하게는 2% 미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표면은 후면(122)의 한쪽 에지로부터 후면(122)의 반대쪽 에지까지 스크린(20)을 가로지르지 않는다. 특히, 접촉 표면은 스크린을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조립된 위치에서, 휴대폰은, 어댑터(26)의 수용면에 대해 휴대폰을 누르기 위해 스트랩 또는 플랩이 후면을 지탱할 때의 경우와 같이 휴대폰은 어댑터(26)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다.
스크린(20)의 "가시적" 표면은 이를 통해 스크린을 볼 수 있도록 어댑터(26)에 의해 덮이지 않거나 어댑터의 투명한 부분에 의해 덮이는 표면이다. 예를 들어, 투명 스트랩과 같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된 어댑터(26)의 일부가 스크린의 표면을 덮는 경우, 이 표면은 따라서 "가시적" 인 것으로 고려된다.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상기 어댑터(26)의 상기 부분을 통해 스크린과의 촉각적 소통이 가능하다.
"비가시적"인 스크린(20)의 표면은 "가려진"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어댑터(26)는 바람직하게는 조립 위치에서 휴대폰의 스크린(20) 표면의 80% 초과, 바람직하게는 90% 초과, 바람직하게는 95% 초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100%를 가시적인 상태로 남겨두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스크린(20)은 치아를 완벽하게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전체 터치 감지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에 유리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어댑터(26)는 상이한 휴대폰, 특히 상이한 치수를 갖는 휴대폰의 부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휴대폰(12)은 클램핑에 의해 어댑터(26) 상에 유지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어댑터(26)는 베이스(50), 제1 조오(521) 및 제1 조오 반대쪽의 제2 조오(522)를 포함하며, 적어도 제1 조오는 제1 조오가 제2 조오로부터 각각 최소 및 최대 거리에 있는 함께 이동된 위치와 이격된 위치 사이에서 베이스(5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조오만이 베이스(5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조오는 베이스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리하게는, 조오를 함께 이동시킨 다음 이들을 제 위치에 로킹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단순화되고 더 소형화된다.
소형화의 측면에서 절감은 전화기의 전면에 위치된 휴대폰의 렌즈의 사용을 허용해야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키트에 특히 유리하다.
제2 조오의 고정 특성은 또한 2개의 조오가 휴대폰을 클램핑하기 위해 함께 이동되기 전에 그 영구적인 위치에 휴대폰을 위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의해, 특히 조오를 함께 이동시키는 동안 휴대폰을 유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휴대폰을 부착하는 동작이 상당히 단순화된다.
이는 또한 불안정화를 방지한다.
이격된 위치에서, 제1 및 제2 조오 사이의 최대 거리 d52는 바람직하게는 5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7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9 cm 초과 및/또는 25cm 미만, 바람직하게는 15cm 미만이다(도 3).
함께 이동된 위치에서, 제1 및 제2 조오 사이의 최소 거리 d52는 바람직하게는 2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3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5 cm 초과 및/또는 10cm 미만, 바람직하게는 8cm 미만이다.
제2 조오를 향한 제1 조오의 이동, 또는 "접근 이동"은 일반적으로 함께 이동된 위치와 이격된 위치 사이의 중간인 조립 위치를 초래하며, 여기서 제1 및 제2 조오는 바람직하게는 휴대폰의 측면 에지(22)를 가압함으로써 휴대폰(12)을 파지 및 클램핑한다.
제1 조오(521)는 바람직하게는 제2 조오에 대해 클램핑 방향(Z52)으로,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위치에서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도록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조오(521)는 클램핑 방향으로 제2 조오(522)에 대해 탄성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어댑터(26)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재, 바람직하게는 스프링(56), 바람직하게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며, 이는 함께 이동된 위치를 향한 제1 조오(521)의 추력에 대항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도 4에서, 스프링(56)은 베이스(50)의 하우징에 배열되어 수직으로 연장된다. 하우징의 단부 벽과 제1 조오(521) 사이에서 압축된다. 어댑터(26)는 그 각각의 하우징의 단부 벽과 제1 조오(521)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압축된 각각의 하우징에 배열된 여러 개의 스프링(56)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불안정성의 위험이 감소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어댑터(26)는 제1 및 제2 조오(521 및 522)의 폭을 가로지르는 중간 지점에서 클램핑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일 스프링(56), 바람직하게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소형화가 유리하게 개선된다.
제2 조오(522)는 베이스(50) 상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베이스(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조오를 포함한다(도 4에서 제2 조오는 베이스(50)로부터 제거됨).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도에서, 제1 및 제2 조오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1 및 제2 조오는 Y52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조립된 위치에서 휴대폰(12)을 수용하는 트로프 또는 "크래들 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따라서 제1 및 제2 조오는 휴대폰을 클램핑할 뿐만 아니라 또한 형상의 상보성에 의해 휴대폰을 유지한다. 이에 의해, 휴대폰(12)의 보유가 개선된다. 트로프 형상은 또한 Y52 방향에 평행하게 제1 및 제2 조오 사이에서 휴대폰의 활주를 촉진한다. 이러한 활주는 광축 X16이 어댑터 개구(Oa)의 축 Xa를 함유하는 수직 평면에 있도록 렌즈(16)를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50)는 바람직하게는 편평하고 바람직하게는 수직인 수용면(54)을 포함하고, 조립된 위치에서 그 위에 휴대폰이 놓인다. 이 편평한 표면은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매트(58)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제2 조오까지 연장된다. 유리하게는, 휴대폰이 수용면(54)에 놓여진다는 사실은 특히 제1 및 제2 조오 사이의 활주를 제한함으로써 휴대폰을 보유하는 데 기여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조오 사이에 배치된 휴대폰(12)의 이동은 어떠한 정지부에 의해서도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임의의 길이의 휴대폰을 제자리에 놓을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제1 조오(521)는 베이스(50) 상에서 증분적으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어댑터(26)는 제1 조오의 분리 이동, 즉, 접근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1 비활성화 가능한 복귀 방지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1 복귀 방지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 비활성화 가능한 방식으로 베이스(50) 상에서 축 X6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폴(62),
- 래칫 휠(64)의 회전이 제1 조오가 클램핑 방향 Z52에 평행하게 이동하게 하도록 베이스(50) 상에서 축 X6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폴(62)과 상호작용하고, 제1 조오(521)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래칫 휠(64), 및
- 래칫 휠(64)이 접근 이동을 야기하는 회전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하는 방식으로 래칫 휠(64)의 톱니에 대해 제1 폴(62)을 탄성적으로 미는 제1 스프링(66)을 포함한다.
"인덱싱된 위치"로 지칭되는, 클램핑 방향(Z52)으로의 병진 이동 동안의 제1 조오의 연속적인 위치는 래칫 휠(64)의 연속적인 톱니 사이의 제1 폴(62)의 탄성 침투에 의해 표시된다.
래칫 휠(64)과 제1 조오(521)의 결합은 랙 및 피니언 조립체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조오(521)에는 클램핑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랙(68)이 제공되고, 어댑터(26)는 베이스(50) 상에서 축 X6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계단형 휠(70)을 포함하며, 이는
- 래칫 휠(64), 및
- 피니언(72)의 회전이 제1 조오가 클램핑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게 하는 방식으로 제1 랙(68)과 상호작용하는, 래칫 휠(64)과 동축인 피니언(72)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계단형 휠은 특히 소형이고 제1 조오의 증분적이고 잘 제어된 이동을 허용한다.
어댑터(26)는 바람직하게는 제1 푸시 버튼(74)을 포함하고, 이 버튼의 누름은 제1 복귀 방지 시스템이 비활성화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폴(62)은 푸시 버튼의 작동(푸시 버튼을 누름으로써)이 제1 폴(62)을 래칫 휠로부터 분리시키는 방식으로 제1 푸시 버튼(74)에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푸시 버튼(74) 및 제1 폴(62)은 각각 축 X6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커(76)의 일 단부에 있다. 따라서, 제1 푸시 버튼(74)의 누름은 로커(76)가 회전하고 래칫 휠(64)의 톱니로부터 제1 폴(62)이 분리되며, 즉, 제1 복귀 방지 시스템이 비활성화되게 한다. 버튼의 누름이 중단될 때, 이는 제1 스프링(66)의 작용 및 래칫 휠(64)의 톱니 사이의 제1 폴(62)의 맞물림 하에서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유발한다.
따라서, 제1 복귀 방지 시스템은 베이스(50) 상의 제1 조오(521)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제 위치에 선택적으로 로킹하기 위한 로킹 장치를 형성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조오(521)는 제2 조오로부터 탄성적으로 멀리 이동하는 방식으로 베이스(5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복귀 방지 시스템을 비활성화하면 이격된 위치로 탄성 복귀가 발생한다.
유리하게는, 이격된 위치로의 제1 조오(521)의 탄성 복귀는 어댑터(26) 상에서의 휴대폰(12)의 장착을 상당히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조오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1 및 제2 조오는 조립된 위치에서 휴대폰(12)을 보유하는 엘라스토머로 제조된 패드(78)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패드(78)는 제1 조오가 베이스(50) 상에서 증분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패드(78)가 휴대폰을 클램핑하기 시작할 때, 패드의 탄성 변형은 다음 인덱싱된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휴대폰의 클램핑은 휴대폰을 손상시키지 않고 휴대폰을 효과적으로 클램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패드(78)는 또한 충격 및 진동에 대해 휴대폰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휴대폰(12)이 제1 및 제2 조오에 의해 클램핑되는 클램핑 구역(71)은 전적으로 패드(78)에 의해서 정의된다.
클램핑 구역(71)은 클램핑 지점들의 세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각각의 지점에서 어댑터는 "클램핑" 힘이라고 지칭되는 압축력을 휴대폰(12)에 인가한다. 휴대폰의 길이 L2의 방향으로 측정된 클램핑 지점 사이의 최대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cm 초과, 바람직하게는 2cm 초과, 3cm 초과, 및/또는 20 c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cm 미만, 바람직하게는 8 cm 미만, 바람직하게는 6 cm 미만, 바람직하게는 5 cm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 클램핑 구역(즉, 조오에 의해 정의된 클램핑 구역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기본 클램핑 구역은 1cm 초과, 바람직하게는 2cm 초과, 3cm 초과, 및/또는 20c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cm 미만, 바람직하게는 8cm 미만, 바람직하게는 6cm 미만, 바람직하게는 5cm 미만의 전체 길이 L52를 갖는다. "전체 길이"는 방향 Y52에서 기본 클램핑 구역의 두 지점 사이의 최대 거리를 의미한다. 특히, 기본 클램핑 구역이 이 두 지점 사이에서 국지적으로 중단되는 경우 전체 길이는 변경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체 길이 L52는 클램핑 지점 사이의 최대 거리이다.
유리하게는, 어댑터(26)에 대한 휴대폰(12)의 부착은 특히 안정적이다. 따라서, 휴대폰을 잡고 키트를 취급할 수 있으며, 이는 휴대폰의 렌즈(16)를 통한 데이터 취득을 용이하게 한다.
제1 조오 및/또는 제2 조오의 기본 클램핑 구역은 바람직하게는 휴대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26)는 어댑터 개구(Oa)를 정의하고 베이스(50)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병진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수직 활주 방향(Z80)에 평행하게, 바람직하게는 전적으로 활주 방향 Z80에 평행하게 장착된 플레이트(80)를 더 포함한다.
활주는 예를 들어 베이스(50)에 형성된 레일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플레이트(80)에 의해 보유되는 슬라이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불안정성의 위험을 제한하기 위해 각각의 평행 레일에 활주 방식으로 장착된 여러 슬라이더에 의해 활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렌즈(16)에 대한 어댑터 개구(Oa)의 위치가 수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50) 상에서 이동하는 플레이트(80)의 능력은 베이스(50) 상에서 이동하는 제1 조오의 능력과 무관하고, 보다 일반적으로는 어댑터(26) 상의 휴대폰(12)의 위치와 무관하다.
휴대폰(12)은 제1 및 제2 조오 사이에서 제거 가능하게 클램핑함으로써 플레이트(80)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어댑터 개구(Oa)에 대한 휴대폰(12)의 위치는 렌즈(16)가 어댑터 개구(Oa) 반대쪽에,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개구(Oa)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위치할 때까지 제1 및 제2 조오 사이에서 활주함으로써 수평으로 그리고 베이스(50) 상의 플레이트(80)를 활주시킴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어댑터 개구(Oa)는 적어도 렌즈(16)의 중심 위치에서 플래시(18)가 어댑터 개구(Oa)를 향하게 하도록 하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플래시(18)는 휴대폰(12)에 의한 2D 또는 3D 데이터의 취득 동안 치아를 조명할 수 있다.
플레이트(80)는 바람직하게 베이스(50) 상에서 증분적으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달리 말해서, 적어도 한 방향으로, 증분,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증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리하게는, 휴대폰에 대한 어댑터 개구(Oa)의 위치 조절이 용이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어댑터(26)는 베이스(50)에 대한 위치에서 플레이트(80)를 선택적으로 로킹하기 위한 비활성화 가능 로킹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50)는 제2 랙(82)을 포함하고 플레이트(80)는
- 제2 랙(82)의 톱니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플레이트(80) 상에, 축 X8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폴(84),
- 제2 랙(82)을 따라 플레이트(80)를 위치설정하기 위한 인덱싱된 위치를 정의하는 방식으로 제2 랙(82)의 톱니에 대해 제2 폴(84)을 탄성적으로 미는 제2 스프링(86)을 포함한다. 이들 연속적인 인덱싱된 위치는 제2 랙(82)의 연속적인 톱니 사이의 제2 폴(84)의 탄성 침투에 의해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랙(82) 및 제2 폴(84)은 플레이트(80)가 한 방향으로만, 즉, 도 6 및 도 7에서 위쪽 방향으로만 병진 이동하게 하는 방식으로 형상화된다.
따라서, 제2 랙(82) 및 제2 폴(84)은 이 경우에는 하향 이동인, 베이스(50)에 대한 플레이트(80)의 복귀 이동을 방지하는 제2 비활성화 가능한 복귀 방지 시스템을 정의한다.
어댑터(26)는 제2 푸시 버튼(9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버튼의 누름은 제2 복귀 방지 시스템이 비활성화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폴(84)은 작동(제2 푸시 버튼(94)의 누름에 의함)이 제2 폴(84)을 제2 랙(82)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식으로 제2 푸시 버튼(94)에 결합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푸시 버튼(94) 및 제2 폴(84)은 각각 축 X8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커(96)의 일 단부에 있다. 따라서, 제2 푸시 버튼(94)의 누름은 로커(96)가 회전하고 제2 랙(82)의 치아로부터 제2 폴(84)이 분리되게 하며, 즉, 제2 복귀 방지 시스템이 비활성화되게 한다. 버튼의 누름이 중단될 때, 이는 제2 스프링(86)의 작용 및 제2 랙(82)의 톱니 사이의 제2 폴(84)의 맞물림 하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유발한다.
따라서, 제2 복귀 방지 시스템은 베이스(50) 상에서 플레이트(80)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제 위치에 선택적으로 로킹하기 위한 로킹 장치를 형성한다.
물론, 동등한 방식으로, 제2 랙(82)은 플레이트(80) 상에 있고 제2 폴(84)은 베이스(5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어댑터 상에 형성된 참조 마크는 베이스(50)에 대한 휴대폰(12) 및/또는 베이스(50)에 대한 플레이트(80)의 가능한 위치를 예를 들어 휴대폰의 유형 또는 브랜드에 따라 나타낸다. 참조 마크는 예를 들어 휴대폰 브랜드와 연관된 화살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80)는 제1 참조 마크를 포함하고 베이스는 그 반대쪽에 제1 참조 마크가 위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참조 마크를 포함하거나, 동등하게 베이스(50)는 제1 참조 마크를 포함하고 플레이트(80)는 반대쪽에 제1 참조 마크가 위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참조 마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참조 마크는 휴대폰 브랜드에 대응한다. 달리 말해서, 휴대폰을 홀더에 올바르게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이 휴대폰의 브랜드에 대응하는 제2 참조 마크 반대쪽에 제1 참조 마크를 위치시키기만 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취득 개구(Oa')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2)이 어댑터(26)에 클램핑되는 클램핑 구역에 대해 측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측방향 오프셋은 어댑터(26)를 전방에서, 즉, 취득 개구(Oa')의 축에 평행하게 바라봄으로써 결정된다(도 6b). 도 6b에서, 수직 평면 P1 및 P2는 클램핑 구역을 구분한다.
오프셋 방향(Y)은 휴대폰 전면의 평면에 평행한 수평 방향이다.
오프셋 방향(Y)에서, 취득 개구(Oa')의 중심(Ca')과 클램핑 구역의 중심(Cs) 각각의 위치 pa' 및 ps가 식별될 수 있다. 측방향 오프셋은 오프셋 방향(Y)에서 거리 d l 로 측정된다(도 6b).
바람직하게는, 측방향 오프셋은 일정하다.
바람직하게는, 측방향 오프셋은 1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1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3 cm 초과, 또는 심지어 4 cm 초과, 또는 5 cm 초과 및/또는 10 cm 미만이다.
유리하게는, 측방향 오프셋은 취득 개구(Oa')가 렌즈(16)를 향하도록 위치되고 렌즈(16)가 전면의 에지에 매우 근접하더라도 휴대폰이 어댑터(26)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부착은 취득 개구 또는 어댑터 개구가 휴대폰(12)의 측방향 에지에 근접하면서 클램핑 구역이 휴대폰(12)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중간에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특히 효과적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은 그 2개의 큰 측면을 통해 클램핑되고 이미지 또는 3D 모델의 취득을 위해 수평으로 유지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측방향 오프셋은 바람직하게는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중간에 클램핑하여 키트를 균형화할 뿐만 아니라, 또한 휴대폰의 길이 방향에서 렌즈(16)의 구역 내에 있는, 즉, 휴대폰 상부 부분에 있는, 휴대폰의 버튼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동작
키트가 동작하는 방식이 앞의 설명에 바로 이어진다.
처음에, 키트는 분해된 위치에 있다. 적용 가능한 경우, 사용자는 개인화 마크(39)에 따라 여러 스페이서 중에서 스페이서(24)를 선택한다.
사용자는 스페이서(24)를 어댑터(26)에 클립핑하고 구강 개구(Oa) 반대쪽에 있는 스페이서(24)의 단부를 어댑터에 의해 정의된 상보적인 형상의 하우징에 삽입한다.
클립핑은 스페이서(24)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리세스에 어댑터의 클로를 후킹함으로써 달성된다.
클립핑 후, 스페이서는 이 하우징에 의해 정의된 어댑터 개구(Oa)까지 실질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서비스 위치에 있을 때 이 하우징을 정의하는 벽과 호흡하는 공기 사이의 접촉을 제한하는 라이닝을 정의한다.
제1 및 제2 조오가 서로 너무 가까워 휴대폰을 제자리에 배치할 수 없다면, 사용자는 래칫 휠(64)로부터 제1 폴(62)을 분리하기 위해 제1 푸시 버튼(74)을 누른다. 압축 스프링(56)의 작용 하에, 제1 조오(521)는 제2 조오로부터 멀리 이동하고 이격된 위치에 도달한다. 그 후, 사용자는 제1 푸시 버튼(74)을 누르는 것을 멈춘다.
따라서, 제1 및 제2 조오 사이의 거리 d52는 휴대폰(12)의 폭보다 더 크다. 그 후, 사용자는 휴대폰(12)을 매트(58) 위에 배치하고 제2 조오(522) 상에 놓은 다음 어댑터 개구(Oa)가 렌즈(16)와 실질적으로 일직선이 될 때까지, 즉, 렌즈(16)의 위 또는 아래에 있게 될 때까지, 제2 조오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어댑터 개구에 대한 제1 및 제2 조오의 측방향 오프셋은 휴대폰 길이의 중간으로부터 멀리 클램핑을 실질적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이 위치를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제1 조오를 휴대폰의 측면 에지에 접촉하여 제2 조오와 함께 휴대폰을 파지할 때까지 뒤로 민다.
따라서, 조오가 서로를 향해 이동할 때, 제1 랙(68)은 피니언(72)을 구동하고, 따라서 계단형 휠(70) 및 래칫 휠(64)을 구동한다. 제1 스프링(66)에 의해 밀려지는 제1 폴(62)은 래칫 휠(64)과 맞물려 제1 및 제2 조오의 임의의 분리 이동을 방지한다. 또한, 이는 제1 조오의 증분 이동, 달리 말해서, "증분" 이동을 허용한다.
제1 조오가 휴대폰의 측면 에지에 접촉할 때, 휴대폰의 반작용이 접근 이동의 지속을 방해한다. 그러나, 패드(78)의 변형이 제1 조오가 적어도 다음 노치까지 밀리는 것을 허용한다(제1 폴(62)이 래칫 휠의 다음 톱니와 맞물림).
따라서, 휴대폰(12)은 베이스(50)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제1 및 제2 조오 사이에 클램핑된다. 스크린(20)은 완전히 가려지지 않는다.
그 후, 사용자는 어댑터 개구가 실질적으로 렌즈(16)에 반대쪽에 있도록 베이스(50) 상의 플레이트(80)의 수직 위치를 조절한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서, 제2 스프링(86)에 의해 밀려지는 제2 폴(84)은 제2 랙(82)의 톱니와 맞물리고 플레이트(80)의 임의의 하향 이동을 방지한다. 이는 플레이트(80)의 증분 이동을 허용한다.
플레이트(80)가 너무 높으면, 사용자는 제2 푸시 버튼(94)을 눌러 제2 랙(82)으로부터 제2 폴(84)을 분리한다. 그 후, 사용자는 플레이트(80)를 낮출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푸시 버튼(94)을 해제하자마자, 폴은 제2 스프링(86)의 작용 하에 제2 랙(82)과 다시 맞물린다.
일단 어댑터 개구(Oa)가 렌즈(16), 바람직하게는 플래시의 실질적으로 반대쪽에 있게 되면, 키트는 취득 위치에서 사용할 준비가 된다.
그 후, 사용자는 휴대폰을 활성화하여 이미지 또는 3D 모델을 취득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완전히 가려지지 않은 스크린(20)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그 입술과 치아 사이에 원위 플랜지(46)를 삽입하고 데이터를 취득하려는 치아, 바람직하게는 사진을 찍거나 스캔을 취득하려는 치아에 대면하여 구강 개구를 위치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비스 위치에 있게 된다. 사용자는 휴대폰에서 셔터 릴리즈를 누름으로써, 이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 후, 사용자는 다른 치아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 구강 개구를 이동한다.
스페이서는 사용자의 턱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는 사용자가 입을 개방하거나 입을 폐쇄하고 입술이 뒤로 밀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치아를 보여주는 사진을 특히 취득할 수 있게 한다.
키트 자체를 회전시키면, 사용자는 예를 들어 치열궁이나 입 뒤쪽의 치아 사진을 찍기 위해 휴대폰이 그 입의 다양한 구역을 볼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적어도 정면 시야, 우측 시야 및 좌측 시야에서 2D 또는 3D 데이터를 취득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입을 개방한 시야 및 적어도 하나의 입을 폐쇄한 시야에서, 바람직하게는 각각 정면, 우측 및 좌측 시야에서 2D 또는 3D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 후, 사용자는 스페이서(24)를 그 입에서 떼고 휴대폰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 래칫 휠(64)로부터 제1 폴(62)을 분리하기 위해 제1 푸시 버튼(74)을 누르기만 하면 된다. 스프링(56)의 작용하에, 제1 조오(521)가 제2 조오에서 멀리 이동하여 이격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휴대폰(12)을 꺼낼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휴대폰(12)을 사용하여 취득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및/또는 이를 송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클로(38)를 분리하기 위해 스페이서를 충분히 세게 당겨 어댑터(26)로부터 스페이서(24)를 분리한다.
일반적으로, 스페이서만 세정 또는 멸균하면 된다. 유리하게는, 이는 그 동작이 이러한 동작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어떠한 이동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먼지가 포집될 가능성이 있는 어떠한 오목한 코너 에지도 없다. 따라서, 세정 또는 멸균이 더 효과적이다.
당연히, 동작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폰을 부착하기 전이나 후에 어댑터에 스페이서를 부착할 수 있다. 스페이서는 휴대폰 이전에 또는 그 이후에 제거될 수 있다.
이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히 PCT/EP2015/074896에 설명된 방법의 구현을 위해 어금니의 전정 표면을 보여주는 것을 비롯한 사진 또는 3D 모델의 취득을 상당히 용이하게 한다. 이는 매우 위생적인 조건에서 전형적으로 전문 인력, 특히 치과의사 또는 치열 교정 전문의 없이도 1분 이내에 신속하게 취득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어디에서나 간단하게, 특히 의료, 치과 또는 치열 교정 사무실을 방문하지 않고, 휴대폰을 사용하여 사용자 자신이나 친구 또는 친척에 의해 취득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을 고정하기 위해 바닥에 놓는 도구, 특히 삼각대를 사용하지 않고 취득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이 키트는 그 두께에 무관하게 손상 위험 없이 휴대폰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게 한다.
당연히, 본 발명은 설명되고 예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들은 순수히 예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특히, 스페이서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조오는 이동 가능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제1 조오와 같이 베이스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조오(521)는 제2 조오에 탄성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으로 베이스(5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 후, 제1 복귀 방지 시스템은 이러한 접근을 방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그 비활성화는 함께 이동된 위치로의 탄성 복귀를 야기한다.

Claims (11)

  1. 취득 키트로서,
    - 휴대폰(12)으로서,
    - 전면(121),
    - 스크린(20)이 있는 후면(122), 및
    - 상기 휴대폰의 두께를 정의하고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연결하는 측면 에지(22)를 갖고;
    상기 휴대폰은 2D 및/또는 3D 데이터 취득 렌즈(16)가 제공되는, 상기 휴대폰;
    - 휴대폰 홀더(14)로서,
    - 스페이서(24)로서,
    - 사용자의 입에 삽입되도록 의도된 구강 개구(Oo) 및 취득 개구(Oa')를 통해 개방되는 일반적으로 관형 형상의 본체(40), 및
    - 상기 본체로부터 외향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의 입술과 치아 사이에 삽입되도록 형상화되는 원위 플랜지를 포함하는, 스페이서(24); 및
    - 상기 스페이서(24)에 부착되고 상기 스페이서(24)와 함께 상기 구강 개구(Oo) 및 어댑터 개구(Oa)를 통해 개방되는 챔버(28)를 정의하는 어댑터(26)로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렌즈(16)가 상기 어댑터 개구(Oa) 및 상기 취득 개구(Oa')를 통해 상기 구강 개구(Oo)에 대한 적어도 부분적인 시야를 갖는 취득 위치에서, 상기 휴대폰이 견고하게, 바람직하게는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베이스(50)를 포함하는, 상기 어댑터(26)를 포함하는, 상기 휴대폰 홀더(14)를 포함하고,
    상기 키트에서, 상기 휴대폰은 상기 베이스(50)에 클램핑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어댑터(26)는 상기 베이스(5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스페이서(24)가 견고하게 부착되는 플레이트(80)를 갖는, 취득 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80)는 전적으로 상기 휴대폰이 상기 베이스(50)에 클램핑되는 클램핑 방향(Z52)에 평행한 활주 방향(Z80)을 따라서만 상기 베이스(50)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취득 키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6)는 상기 베이스(50)에 대한 위치에서 상기 플레이트(80)를 선택적으로 로킹하기 위한 비활성화 가능 로킹 장치를 갖는, 취득 키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80)는 베이스(50) 상에서 증분적으로 이동 가능한, 취득 키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6)는 베이스(80)에 대한 상기 플레이트(80)의 복귀 이동을 방지하는 비활성화 가능한 복귀 방지 시스템(82, 84, 86)을 갖는, 취득 키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방지 시스템(82, 84, 86)은
    - 랙(82),
    - 상기 랙(82)에 맞물리는 비활성화 가능 폴(84), 및
    - 상기 폴(84)을 상기 랙(82)에 대해 탄성적으로 추진(push)하는 탄성 부재(86)를 갖는, 취득 키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개구(Oa')는 상기 휴대폰(12)이 상기 어댑터(26)에 클램핑되는 상기 클램핑 구역에 대해 측방향으로 오프셋되고,
    측방향 오프셋이 상기 클램핑 방향(Z52)에 수직인 오프셋 방향(Y)을 따라, 그리고, 상기 휴대폰(12)의 상기 전면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상기 취득 개구(Oa')의 중심 위치(Ca')와 상기 클램핑 구역의 중심 위치(Cs) 사이의 0이 아닌 거리(d 1 )인, 취득 키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오프셋은 3cm 초과 및 10cm 미만인, 취득 키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80)와 상기 스페이서는 일체형 조립체를 형성하는, 취득 키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플랜지는 상기 본체(40)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취득 키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6)는 상기 스페이서(24)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취득 키트.
KR1020237031197A 2021-02-17 2022-02-16 취득 키트 KR202301451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101508A FR3119762B1 (fr) 2021-02-17 2021-02-17 KIT d’acquisition
FRFR2101508 2021-02-17
PCT/EP2022/053850 WO2022175344A1 (fr) 2021-02-17 2022-02-16 Kit d'acqui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165A true KR20230145165A (ko) 2023-10-17

Family

ID=76730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1197A KR20230145165A (ko) 2021-02-17 2022-02-16 취득 키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126153A1 (ko)
EP (1) EP4294247A1 (ko)
JP (1) JP2024508262A (ko)
KR (1) KR20230145165A (ko)
CN (1) CN117119944A (ko)
AU (1) AU2022223196A1 (ko)
FR (1) FR3119762B1 (ko)
WO (1) WO202217534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496995S1 (en) 2002-12-06 2004-10-05 Discus Dental Impressions, Inc. Combined dental lip and tongue retractor
EP1459698B1 (de) 2003-03-17 2005-12-21 KerrHawe SA Wangen-und Lippenabhalter für die Dentalmedizin
GB2438662A (en) 2006-06-01 2007-12-05 Northstar Systems Corp Adjustable hold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8638557B2 (en) * 2011-12-07 2014-01-28 Wen-Feng Tsai Mobi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20140339278A1 (en) * 2013-05-16 2014-11-20 Brian Ditore Adjus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mountable to a cart handle
CA2986363C (en) 2015-05-19 2021-10-26 Tyto Car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throat imaging
KR101584737B1 (ko) * 2015-08-06 2016-01-21 유대현 스마트폰 부착형 구강 촬영 보조 장치
BR112018011448B1 (pt) 2015-12-14 2024-01-30 Colgate-Palmolive Company Gabaritos para câmara portátil compreendendo lente e fonte de luz e método para capturar imagens de dentes usando câmera portátil
GB2560661A (en) 2016-08-09 2018-09-19 Onaria Tech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n image of the teeth and gums
EP3391810A1 (fr) 2017-04-19 2018-10-24 Dental Monitoring Dispositif de prise de vues dentaire
KR20200103676A (ko) 2017-12-28 2020-09-02 아이리스 가부시키가이샤 구내 촬영 장치, 의료 장치 및 프로그램
US10463307B2 (en) * 2018-01-12 2019-11-05 The Aga Khan University Anatomical-imaging communication device
AU2020254822A1 (en) 2019-04-05 2021-10-07 Align Technology, Inc. Intraoral scanner sleeve authentication and identification
GB2587382B (en) 2019-09-26 2021-12-22 Onaria Tech Ltd Mouthpiece and attachment
AU2021227914A1 (en) 2020-02-26 2022-09-22 Get-Gri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dental monitoring
CN212086241U (zh) * 2020-05-11 2020-12-04 佛山市南海祥旺光学电子制品有限公司 手机摄影连接装置及手机摄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119762B1 (fr) 2023-06-16
FR3119762A1 (fr) 2022-08-19
AU2022223196A1 (en) 2023-09-07
CN117119944A (zh) 2023-11-24
WO2022175344A1 (fr) 2022-08-25
EP4294247A1 (fr) 2023-12-27
US20240126153A1 (en) 2024-04-18
JP2024508262A (ja) 202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4451B2 (en) Systems for tracking progress of an orthodontic procedure
US20210401281A1 (en) Articulated dental photography kit
JP3036751U (ja) 人工歯及び歯冠修復材色調マッチング補助具
US20150238287A1 (en) Novel dental scanner device and system and methods of use
US20220338723A1 (en) Smartphone dental imaging attachment apparatus
EP2465464A3 (en) A method for preparing a physical plaster model
CA2950090A1 (en) Novel dental scanner device and system and methods of use
US20230190109A1 (en) Intraoral scanner
USD497426S1 (en) Intraoral device adapter
CN109330730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口腔健康检查服务器
KR20230145165A (ko) 취득 키트
KR20230145164A (ko) 취득 키트
KR20230145163A (ko) 취득 키트
AU2014225481B2 (en) Device and system for dental applications and method relating thereto
CN116963658A (zh) 用于在嘴闭合或张开时自主成像的牙科牵开器
JP7289582B1 (ja) 口腔内撮影補助具
KR20210056117A (ko) 치아 투명 교정기용 보관파우치
Sandler et al. Clinical photography in an orthodontic practice environment part 2
US20240164629A1 (en) Kit for acquiring a dental representation
WO2022232108A1 (en) Smartphone dental imaging attachment apparatus
EP4329577A1 (en) Smartphone dental imaging attachment apparatus
FR3119759A1 (fr) KIT d’acquisition
FR3119754A1 (fr) KIT d’acquisition
FR3119755A1 (fr) KIT d’acquisition
FR3119760A1 (fr) KIT d’acqui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