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795A - 공항의 에어사이드에서 운행 중인 차량 및 항공기를 관제하는 관제 서버, 방법 및 관제 장치 - Google Patents

공항의 에어사이드에서 운행 중인 차량 및 항공기를 관제하는 관제 서버, 방법 및 관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795A
KR20230144795A KR1020220043924A KR20220043924A KR20230144795A KR 20230144795 A KR20230144795 A KR 20230144795A KR 1020220043924 A KR1020220043924 A KR 1020220043924A KR 20220043924 A KR20220043924 A KR 20220043924A KR 20230144795 A KR20230144795 A KR 20230144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craft
location information
airpor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수
Original Assignee
(주)네오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네오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043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4795A/ko
Publication of KR20230144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4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7/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simultaneous control of two or more different kinds of craft
    • G08G7/02Anti-collision systems

Abstract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서 운행 중인 차량 및 항공기를 관제하는 관제 서버에 있어서, 상기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서 운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차량에 설치된 관제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관제 서버와 연동하는 공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서 운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항공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공항의 에어사이드에 해당하는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항공기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항공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 위치하는 시설물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둘 이상에 기초하여 충돌 위험도를 도출하는 충돌 위험도 도출부; 및 상기 도출된 충돌 위험도에 기초하여 위험 경보를 생성하는 위험 경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항의 에어사이드에서 운행 중인 차량 및 항공기를 관제하는 관제 서버, 방법 및 관제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VECHICLES AND AIRCRAFT IN OPERATION IN AIRSIDE OF AIRPORT, AND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공항의 에어사이드에서 운행 중인 차량 및 항공기를 관제하는 관제 서버, 방법 및 관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항의 에어사이드는 활주로 등 항공기가 이착륙하는 구역으로, 공항 내에서 보안시설로 분류된다. 따라서, 항공사 및 공항 관계자를 제외한 일반인은 허가 없이 공항의 에어사이드로 출입할 수 없다.
종래에는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 운행하는 차량을 용도별로 구분하여, 구분된 차량의 용도에 따라 운행 금지 구역을 설정하였다.
한편, 일부 공항에서는 GPS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용하고 있으나, 차량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뿐이고, 차량의 충돌 위험에 대해서는 예방 및 경고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351343호 (2022. 8. 22. 등록)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717759호 (2017. 3. 13.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 운행 중인 차량 및 항공기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뿐만 아니라, 차량, 항공기 및 시설물 간의 충돌 여부를 관제할 수 있는 관제 서버, 관제 방법 및 관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항의 에어사이드에서 운행 중인 차량 및 항공기를 관제하는 관제 서버에 있어서, 상기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서 운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차량에 설치된 관제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관제 서버와 연동하는 공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서 운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항공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공항의 에어사이드에 해당하는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항공기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항공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 위치하는 시설물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둘 이상에 기초하여 충돌 위험도를 도출하는 충돌 위험도 도출부; 및 상기 도출된 충돌 위험도에 기초하여 위험 경보를 생성하는 위험 경보부를 포함하는, 관제 서버를 제공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공항의 에어사이드에서 운행 중인 차량 및 항공기를 관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항의 에어사이드에 해당하는 지도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항공기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또는 상기 항공기에 대하여 도출된 충돌 위험도에 기초하여 상기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위험 경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관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공항의 에어사이드에서 운행 중인 차량에 설치된 관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관제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하여 생성된 위험 경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서 운행 중인 항공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 위치하는 시설물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둘 이상에 기초하여 충돌 위험도가 도출되고, 상기 위험 경보는 상기 도출된 충돌 위험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인, 관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 운행 중인 차량 및 항공기의 위치 정보 및 충돌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항공기 및 시설물 간의 충돌 여부를 미리 감지할 수 있고, 충돌 위험이 예상될 경우, 해당 운행자 및 관리자에게 위험 경보를 사전에 제공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관제 서버, 관제 방법 및 관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위험 경보에 대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경로 추적 정보 및 세부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전 예약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관제 시스템(100)은 공항 데이터베이스(110), 관제 서버(120) 및 관제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위 구성 요소들(110 내지 130)은 관제 시스템(10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일 뿐이다.
도 1a의 관제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항 데이터베이스(110), 관제 서버(120) 및 관제 장치(130)는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관제 시스템(100)은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서 운행 중인 차량 및 항공기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항공기 및 시설물 간의 충돌 여부를 사전에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시스템(100)은 공항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 운행 중인 모든 차량 및 항공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관제 시스템(100)은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관제 서버(120)를 통해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부의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관제 시스템(100)은 관제 서버(120)를 통해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 차량, 항공기 및 시설물 간의 충돌 위험을 사전에 미리 감지할 수 있다.
공항 데이터베이스(110)는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서 운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항공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 공항 데이터베이스(110)는 관제 서버(120)와 연동할 수 있다.
관제 서버(120)는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서 운행 중인 차량 및 항공기를 관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 운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차량에 설치된 관제 장치(130)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관제 서버(120)는 공항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 운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항공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관제 서버(120)는 수신한 차량 및 항공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지도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공항의 에어사이드에 기초하여 내부를 관제할 수 있다.
관제 장치(130)는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서 운행 중인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장치(130)는 해당 차량의 위치 정보를 관제 서버(12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관제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제 단말(140)과 연동하여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부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관제 서버(120)는 차량에 설치된 관제 장치 및 공항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관제 단말(140)로 실시간 중계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각종 관제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각 관제 단말(140)은 각 관제 단말에 설치된 관제용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관제 서버(120)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전달 받아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부에서 담당하는 각 구역에 대해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관제 단말(140)은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부에서 각각의 기설정된 일정 구역을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제 단말(141)은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부에서 제1 구역을 담당할 수 있고, 제2 관제 단말(142)은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부에서 제2 구역을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공항의 에어사이드에 해당하는 지도 인터페이스를 관제 단말(14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관제 단말(140)을 통해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서 운행 중인 차량 또는 항공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관제 서버(120)는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차량 또는 항공기 중 어느 하나를 관제 단말(140)을 통해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차량 또는 항공기를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관제 서버(120)는 관제 단말(140)을 통해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서 운행 중인 차량 중 충돌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차량의 운행을 강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차량 중 충돌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영역의 차량을 관제 단말(140)을 통해 강제 정지하거나 강제 조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 운행 중인 차량 또는 항공기에 대하여 위험 경보가 생성된 경우, 관제 단말(140)을 통해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관제 서버(120)는 관제 단말(140)을 통해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서 일정 영역을 운행 금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지도 인터페이스 중 일정 영역을 관제 단말(140)을 통해 선택받을 수 있다. 관제 서버(120)는 선택된 일정 영역을 관제 단말(140)을 통해 운행 금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제 서버(120)는 위치 정보 수신부(210), 표시부(220), 충돌 위험도 도출부(230), 위험 경보부(240) 및 설정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위 구성 요소들(210 내지 250)은 관제 서버(12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일 뿐이다. 한편, 관제 서버(12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제 단말(140)과 연동하는 경우, 각각의 관제 단말(140) 또한 관제 서버의 기능을 대신 수행할 수 있도록 위치 정보 수신부(210), 표시부(220), 충돌 위험도 도출부(230), 위험 경보부(240) 및 설정부(250)에 해당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위치 정보 수신부(210)는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서 운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차량에 설치된 관제 장치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정보 수신부(210)는 관제 서버와 연동하는 공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서 운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항공기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실시간으로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공항의 에어사이드에 해당하는 지도 인터페이스(300) 상에 차량의 위치 정보(310) 또는 항공기의 위치 정보(320)를 실시간 움직임이 반영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인터페이스(300) 상에 표시되는 차량의 위치 정보(310) 또는 항공기의 위치 정보(320)는 차량 또는 항공기의 운행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20)는 차량의 운행 방향을 안내하는 화살표와 같은 별도의 표시를 포함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31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20)는 지도 인터페이스(300) 상에 표시된 차량 또는 항공기 중 선택된 차량의 위치 정보(310)와 함께 경로 추적 정보(310a)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선택된 차량의 위치 정보(310)와 함께 기 설정된, 일예로, 지난 12시간의 경로 추적 정보(310a)를 지도 인터페이스(3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지도 인터페이스(300) 상에 표시된 차량 또는 항공기 중 선택된 차량 또는 항공기에 대한 세부 정보를 지도 인터페이스 중 기설정된 영역에 표시되는 상세보기 윈도우(3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세부 정보는 선택된 차량 또는 항공기에 대하여 부여된 고유 번호, 충돌 위험도, 속도 정보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인터페이스(300) 상에 표시되는 차량, 항공기 및 시설물은 모두 고유 번호를 부여받을 수 있다. 표시부(220)는 지도 인터페이스(300) 상에 표시되는 차량, 항공기 및 시설물에 대해 부여된 고유 번호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세보기 윈도우(340)는 원격 제어 버튼(34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세보기 윈도우(340)에 표시되는 원격 제어 버튼(341)은 차량의 운행을 강제로 정지시킬 수 있는 원격 정지 버튼 및 차량의 운행 방향을 강제로 조향시킬 수 있는 원격 조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지도 인터페이스(300) 상에 표시된 차량 또는 항공기 중 선택된 차량(351) 또는 항공기에 대한 경로 추적 정보(351a)를 지도 인터페이스(300) 중 기설정된 영역에 표시되는 추적 윈도우(35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20)는 선택된 차량(351)에 대한 경로 추적 정보(351a)를 추적 윈도우(350)에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선택된 차량(351)의 실시간 경로 추적 정보(351a)를 추적 윈도우(35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충돌 위험도 도출부(230)는 차량의 위치 정보(310), 항공기의 위치 정보(320) 및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 위치하는 시설물의 위치 정보(330) 중 적어도 둘 이상에 기초하여 충돌 위험도를 도출할 수 있다.
충돌 위험도 도출부(230)는 차량, 항공기 또는 시설물 중 적어도 둘 이상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충돌 위험도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돌 위험도 도출부(230)는 차량의 위치 정보(310) 및 시설물의 위치 정보(320)에 기초하여 차량 및 시설물 간의 거리(a)를 산출할 수 있다. 충돌 위험도 도출부(230)는 산출된 차량 및 시설물 간의 거리(a)와 기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 산출된 거리(a)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해당 차량과 시설물 간의 충돌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충돌 위험도 도출부(230)는 판단된 충돌 위험도를 수치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충돌 위험도 도출부(230)는 차량의 위치 정보(310) 및 항공기의 위치 정보(320)에 기초하여 차량 및 항공기 간의 거리(b)를 산출할 수 있다. 충돌 위험도 도출부(230)는 산출된 차량 및 항공기 간의 거리(b)를 기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해당 차량과 항공기 간의 충돌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충돌 위험도를 수치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충돌 위험도 도출부(230)는 설정된 운행 금지 영역 및 차량 또는 항공기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충돌 위험도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돌 위험도 도출부(230)는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 미리 설정된 운행 금지 영역으로 접근하는 차량 또는 항공기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충돌 위험도를 수치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위험 경보부(240)는 도출된 충돌 위험도에 기초하여 위험 경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위험 경보부(240)는 차량 또는 항공기에 대하여 도출된 충돌 위험도 및 기설정된 임계치에 기초하여 경보음을 생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경보부(240)는 차량 또는 항공기에 대하여 도출된 충돌 위험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보음을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위험 경보부(240)는 지도 인터페이스(300) 상에 위험 경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경보부(240)는 지도 인터페이스(300) 상에 충돌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차량 또는 항공기의 위치 정보를 별도의 표시를 통해 강조할 수 있다.
위험 경보부(240)는 차량 또는 항공기에 대하여 도출된 충돌 위험도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 버튼(341)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위험 경보부(240)는 활성화된 원격 제어 버튼(341)을 통해 차량의 운행을 강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경보부(240)는 상세보기 윈도우(340)를 통해 활성화된 원격 제어 버튼(341)을 관리자가 선택한 경우, 해당 차량의 운행을 강제로 조향하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설정부(250)는 지도 인터페이스(300) 중 일정 영역을 선택 받을 수 있다. 설정부(250)는 선택된 일정 영역을 차량의 운행을 금지하는 운행 금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부(250)는 지도 인터페이스(300)의 일정 영역을 관리자가 마우스 등을 통해 선택한 경우, 선택된 영역을 운행 금지 영역으로 설정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관제 장치(130)는 송신부(410), 수신부(420), 제어부(430) 및 경보음 출력부(440) 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위 구성 요소들(410 내지 440)은 관제 장치(13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일 뿐이다.
송신부(410)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관제 서버(120)로 송신할 수 있고, 수신부(420)는 관제 서버(120)로부터 차량에 대하여 생성된 위험 경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경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충돌 위험도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고, 충돌 위험도는 차량의 위치 정보,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서 운행 중인 항공기의 위치 정보 및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 위치하는 시설물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둘 이상에 기초하여 도출될 수 있다.
제어부(430)는 관제 서버(120)로부터 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운행을 강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강제 조향 제어 신호 및 강제 정지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강제 조향 제어 신호는 차량의 운행 방향을 강제로 조향하기 위한 제어 신호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관제 서버(120)로부터 충돌 위험도에 기초하여 생성된 강제 조향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수신한 강제 조향 제어 신호에 따라 항공기 또는 시설물과의 충돌 위험을 회피할 수 있도록 차량의 운행 방향을 강제로 제어할 수 있다.
강제 정지 제어 신호는 차량의 운행에 대한 강제로 정지하기 위한 제어 신호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관제 서버(120)로부터 충돌 위험도에 기초하여 생성된 강제 정지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수신한 강제 정지 제어 신호에 따라 항공기 또는 시설물과의 충돌 위험을 회피할 수 있도록 차량의 운행을 강제로 정지할 수 있다.
경보음 출력부(440)는 수신한 위험 경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내에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경보음은 충돌 위험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음 출력부(440)는 충돌 위험이 높을수록 짧은 간격으로 경보음을 반복적으로 출력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충돌 위험이 낮을수록 넓은 간격으로 경보음을 반복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경보음 출력부(440)는 충돌 위험이 높고 낮음에 따라 상이한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고, 경보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위험 경보에 대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관제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에서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서 운행 중인 차량 및 항공기를 관제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도 5 및 도 6a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관제 서버(120)는 공항의 에어사이드에 해당하는 지도 인터페이스(60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인터페이스(600)는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 시설물 및 내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맵일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관제 서버(120)는 지도 인터페이스(600) 상에 차량의 위치 정보(610) 또는 항공기의 위치 정보(620)를 해당 차량 또는 해당 항공기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차량 또는 항공기에 부여된 고유 번호 및 차량 또는 항공기의 운행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610) 또는 항공기의 위치 정보(620)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차량의 운행 방향에 대한 정보(610a)는 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를 통해 안내될 수 있고, 차량의 고유 번호(610b)는 차량의 위치 정보(610)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지도 인터페이스(600) 상에 표시된 차량 또는 항공기 중 선택된 차량을 별도의 표시(67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선택된 차량을 표시하는 별도의 표시(670)는 지도 인터페이스(600) 상에 표시된 차량의 위치 정보(610)를 강조할 수 있는 다양한 모양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지도 인터페이스(600) 상에 표시된 차량 또는 항공기 중 선택된 차량의 경로 추적 정보(63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선택된 차량의 기설정된 시간 이내의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b를 참조하면, 단계 S530에서 관제 서버(120)는 차량 또는 항공기에 대하여 도출된 충돌 위험도에 기초하여 지도 인터페이스(600) 상에 위험 경보에 대한 정보(690, 690a)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지도 인터페이스(600) 상에 표시된 차량(610)이 운행 중 특정 차량(680)과 충돌 위험이 있는 경우, 차량(610)과 특정 차량(680) 간의 위험 경보에 대한 정보(690, 690a)를 지도 인터페이스(6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제 서버(120)는 충돌 위험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차량(610)과 특정 차량(680) 간의 사이 거리 선분(690) 및 사이 거리 정보(690a)를 지도 인터페이스(6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610)과 특정 차량(680) 간의 거리가 13m인 경우, 차량(610)과 특정 차량(680) 간의 가장 가까운 거리를 잇는 사이 거리 선분(690)을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사이 거리 선분(690)의 상부에 사이 거리 정보, 13m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120)는 상세보기 윈도우(640)를 통해 차량(610)에 대한 충돌 위험을 경고 문구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상세보기 윈도우(640)에서 선택된 차량(610)의 상태 정보(645)에 '위험! 위험! 위험!' 이란 경고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관제 서버(120)는 차량(610)과 특정 차량(680)간의 충돌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세보기 윈도우(640)를 통해 원격 제어 버튼(647)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120)는 선택된 차량(610)이 충돌 위험이 있는 경우, 선택된 차량(610)을 표시하는 별도의 표시(670)를 충돌 위험에 대하여 강조할 수 있는 색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선택된 차량(610)이 충돌 위험이 있는 경우, 선택된 차량(610)을 표시하는 별도의 표시(670)는 흰색에서 적색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30은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경로 추적 정보 및 세부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의 (a)는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서 추적 윈도우를 통해 경로 추적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이다. 도 6 및 도 7의 (a)를 참조하면, 관제 서버(120)는 지도 인터페이스(600) 상에 표시된 차량 또는 항공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S710).
관제 서버(120)는 지도 인터페이스(600) 중 기설정된 영역에 추적 윈도우(650)를 표시할 수 있다(S720). 예를 들어, 추적 윈도우(650)는 지도 인터페이스(600)의 우측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
관제 서버(120)는 선택된 차량 또는 항공기에 대한 경로 추적 정보(630)를 추적 윈도우(65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S730).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선택된 차량에 대한 위치 정보(610), 고유 번호(610b) 및 경로 추적 정보(630)를 추적 윈도우(650)를 통해 확대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선택된 차량의 경로 추적 정보(630)를 실시간으로 추적 윈도우(650)를 통해 안내할 수 있다.
도 7의 (b)는 지도 인터페이스(600) 상에서 상세보기 윈도우(640)를 통해 세부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이다. 도 6 및 도 7의 (b)를 참조하면, 관제 서버(120)는 지도 인터페이스(600) 상에 표시된 차량 또는 항공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S740).
관제 서버(120)는 지도 인터페이스(600) 중 기설정된 영역에 상세보기 윈도우(640)를 표시할 수 있다(S750). 예를 들어, 상세보기 윈도우(640)는 지도 인터페이스(600)의 좌측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
관제 서버(120)는 선택된 차량 또는 항공기에 대한 세부 정보를 상세보기 윈도우(6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S760). 여기서, 상세보기 윈도우(640)는 선택된 차량 또는 항공기의 고유 번호(641), 종류(642), 속도 정보(643), 방향 정보(644) 및 상태에 대한 정보(645)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645)는 선택된 차량이 운행 금지 영역으로 진입하거나, 차량 경로를 이탈한 경우, 메시지 또는 경고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세보기 윈도우(640)는 경로 버튼(6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제 서버(120)는 경로 버튼(646)이 선택된 경우, 지도 인터페이스(600) 상에 선택된 차량 또는 항공기에 대한 기설정된 시간 이내의 경로 추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선택된 차량에 대하여 경로 버튼(646)이 선택된 경우, 해당 차량의 경로 추적 정보(630)를 지도 인터페이스(6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세보기 윈도우(640)는 원격 제어 버튼(6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제 서버(120)는 특정 차량에 대하여 위험 경보가 발생한 경우, 원격 제어 버튼(647)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활성화된 원격 제어 버튼(647)이 선택된 경우, 해당 차량의 운행을 강제로 제어시킬 수 있다.
한편, 관제 방법은 지도 인터페이스(600) 중 일정 영역을 운행 금지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지도 인터페이스(600) 중 일정 영역(660)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일예로, 관리자는 지도 인터페이스(600) 중 운행 금지 영역으로 설정하기 원하는 일정 영역(660)을 마우스 등을 통해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이 후, 관제 서버(120)는 선택된 일정 영역(660)을 차량의 운행을 금지하는 운행 금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선택된 일정 영역(660)이 운행 금지 영역으로 설정된 경우, 해당 일정 영역(660)을 별도의 표시를 통해 강조할 수 있다. 일예로, 관제 서버(120)는 해당 일정 영역(660)을 색을 통해 구분시키거나, 테두리를 통해 구분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관제 서버(120)는 특정 항공기(821)가 착륙하는 과정에서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 운행 중인 차량과의 충돌 여부를 사전에 감지하고, 충돌 위험이 있는 차량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운행 금지 영역으로 진입한 특정 차량(810)에 설치된 관제 장치로 위험 경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해당 차량(810)은 위험 경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차량(810)이 출력된 경보음을 무시하고, 운행 금지 영역으로 진입하여, 착륙중인 특정 항공기(821)를 향하고 있는 경우, 관제 서버(120)는 해당 상황을 추적 윈도우(820)를 통해 경고 지역으로 자동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120)는 상세보기 윈도우(830)에서 상태 정보(831)에 특정 차량(810)에 대한 경고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관제 서버(120)는 착륙중인 특정 항공기(821)와 운행 금지 영역으로 진입한 특정 차량(810) 간의 거리(a)를 도출할 수 있고, 도출된 거리(a)가 제1 임계치 미만인 경우, 충돌 위험도를 도출할 수 있다. 관제 서버(120)는 도출된 충돌 위험도가 제2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세보기 윈도우(830)에서 원격 제어 버튼(832)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관제 서버(120)는 활성화된 원격 제어 버튼(832)이 선택된 경우, 특정 차량(810)의 운행을 강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특정 차량(810)의 운행 방향을 강제로 조향시킬 수 있고, 다른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특정 차량(810)의 운행을 강제로 정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전 예약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관제 서버(120)는 특정 항공기(910)와 관련하여 사전 예약된 특정 차량(920)에 대하여 안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특정 항공기(910)가 게이트에 도착한 경우, 특정 항공기(910)에 대하여 사전 예약된 특정 차량(920)에게 특정 항공기(910)의 도착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20)는 특정 차량(920)에게 예정된 특정 항공기(910)의 이름, 도착 시간 및 도착 장소를 포함하는 도착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관제 서버(120)는 특정 차량(920)에게 특정 항공기(910)가 도착하는 시간 및 장소에 기초하여 서비스 시간을 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차량(920)이 특정 항공기(910)에 대한 서비스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관제 시스템
110: 공항 데이터베이스
120: 관제 서버
130: 관제 장치
140: 관제 단말
210: 위치 정보 수신부
220: 표시부
230: 충돌 위험도 도출부
240: 위험 경보부
250: 설정부

Claims (20)

  1. 공항의 에어사이드에서 운행 중인 차량 및 항공기를 관제하는 관제 서버에 있어서,
    상기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서 운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차량에 설치된 관제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관제 서버와 연동하는 공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서 운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항공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공항의 에어사이드에 해당하는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항공기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항공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 위치하는 시설물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둘 이상에 기초하여 충돌 위험도를 도출하는 충돌 위험도 도출부; 및
    상기 도출된 충돌 위험도에 기초하여 위험 경보를 생성하는 위험 경보부
    를 포함하는, 관제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차량 또는 항공기 중 선택된 차량 또는 항공기에 대한 세부 정보를 상기 지도 인터페이스 중 기설정된 영역에 표시되는 상세보기 윈도우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세부 정보는 상기 선택된 차량 또는 항공기에 대하여 부여된 고유 번호, 상기 충돌 위험도, 속도 정보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관제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차량 또는 항공기 중 선택된 차량 또는 항공기에 대한 경로 추적 정보를 상기 지도 인터페이스 중 기설정된 영역에 표시되는 추적 윈도우를 통해 표시하는 것인, 관제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경보부는,
    상기 차량 또는 상기 항공기에 대하여 도출된 충돌 위험도 및 기설정된 임계치에 기초하여 경보음을 생성시키고, 상기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위험 경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인, 관제 서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보기 윈도우는 원격 제어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위험 경보부는,
    상기 차량 또는 상기 항공기에 대하여 도출된 충돌 위험도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제어 버튼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활성화된 원격 제어 버튼을 통해 상기 차량의 운행을 강제 제어하는 것인, 관제 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위험도 도출부는,
    상기 차량, 상기 항공기 또는 상기 시설물 중 적어도 둘 이상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충돌 위험도를 도출하는 것인, 관제 서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차량의 위치 정보 또는 항공기의 위치 정보는, 상기 차량 또는 상기 항공기의 운행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관제 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인터페이스 중 일정 영역을 선택 받고, 상기 선택된 일정 영역을 상기 차량의 운행을 금지하는 운행 금지 영역으로 설정하는 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관제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위험도 도출부는,
    상기 설정된 운행 금지 영역 및 상기 차량 또는 상기 항공기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충돌 위험도를 도출하는 것인, 관제 서버.
  10. 공항의 에어사이드에서 운행 중인 차량 및 항공기를 관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항의 에어사이드에 해당하는 지도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항공기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또는 상기 항공기에 대하여 도출된 충돌 위험도에 기초하여 상기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위험 경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관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항공기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또는 상기 항공기에 대해 부여된 고유 번호 및 상기 차량 또는 상기 항공기의 운행 방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인, 관제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차량 또는 항공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지도 인터페이스 중 기설정된 영역에 추적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차량 또는 항공기에 대한 경로 추적 정보를 상기 추적 윈도우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관제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차량 또는 항공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지도 인터페이스 중 기설정된 영역에 상세보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차량 또는 항공기에 대한 세부 정보를 상기 상세보기 윈도우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세보기 윈도우는 상기 선택된 차량 또는 항공기의 종류, 속도 정보 및 상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것인, 관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보기 윈도우는 경로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항공기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경로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선택된 차량 또는 항공기에 대한 기설정된 시간 이내의 경로 추적 정보를 표시하는 것인, 관제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보기 윈도우는 원격 제어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또는 상기 항공기에 대하여 도출된 충돌 위험도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제어 버튼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관제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인터페이스 중 일정 영역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일정 영역을 상기 차량의 운행을 금지하는 운행 금지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관제 방법.
  17. 공항의 에어사이드에서 운행 중인 차량에 설치된 관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관제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하여 생성된 위험 경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서 운행 중인 항공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공항의 에어사이드 내에 위치하는 시설물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둘 이상에 기초하여 충돌 위험도가 도출되고,
    상기 위험 경보는 상기 도출된 충돌 위험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인, 관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의 운행을 강제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관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차량의 운행 방향에 대한 강제 조향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차량의 운행에 대한 강제 정지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것인, 관제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위험 경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에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보음은 상기 충돌 위험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로 구분되는 것인, 관제 장치.
KR1020220043924A 2022-04-08 2022-04-08 공항의 에어사이드에서 운행 중인 차량 및 항공기를 관제하는 관제 서버, 방법 및 관제 장치 KR20230144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924A KR20230144795A (ko) 2022-04-08 2022-04-08 공항의 에어사이드에서 운행 중인 차량 및 항공기를 관제하는 관제 서버, 방법 및 관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924A KR20230144795A (ko) 2022-04-08 2022-04-08 공항의 에어사이드에서 운행 중인 차량 및 항공기를 관제하는 관제 서버, 방법 및 관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795A true KR20230144795A (ko) 2023-10-17

Family

ID=88557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924A KR20230144795A (ko) 2022-04-08 2022-04-08 공항의 에어사이드에서 운행 중인 차량 및 항공기를 관제하는 관제 서버, 방법 및 관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479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343B1 (ko) 1996-02-29 2005-09-09 오슬로 루프트하픈 에이/에스 공항지상교통안내및제어시스템
KR101717759B1 (ko) 2016-06-07 2017-03-27 (주)투캔즈 비행장 관제와 비행기 조종 훈련용 통합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343B1 (ko) 1996-02-29 2005-09-09 오슬로 루프트하픈 에이/에스 공항지상교통안내및제어시스템
KR101717759B1 (ko) 2016-06-07 2017-03-27 (주)투캔즈 비행장 관제와 비행기 조종 훈련용 통합 시뮬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60995B (zh) 用于防止跑道侵入的显示系统和方法
US79636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ircraft runway guidance
US6917306B2 (en) Radio linke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6708091B2 (en) Automated terrain awareness and avoidance system
US5724040A (en) Aircraft wake vortex hazard warning apparatus
US9074891B2 (en) High integrity, surface guidance system for aircraft electric taxi
US9646504B2 (en) Flight deck displays to enable visual separation standard
JP2019026261A (ja) 衝突緩和システムにおけるマルチモーダル切り替え
Schönefeld et al. Runway incursion prevention systems: A review of runway incursion avoidance and alerting system approaches
US20070268175A1 (en)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a collision avoidance system to enhance pilot awareness
US20060259232A1 (en) System for monitoring vehicle and airplane traffic on airport runways
US200801833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restricted area alerts
US86005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object threat level
CN110491177B (zh) Tcas特定目标指定及告警系统
US201000048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olving traffic conflicts in take-off and landing
EP37030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recapture path for an aircraft
EP386294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210287560A1 (en)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assist-to-land and emergency land functions
CN105938661A (zh) 增强型飞行器自动制动系统、相关程序产品以及相关过程
KR20230144795A (ko) 공항의 에어사이드에서 운행 중인 차량 및 항공기를 관제하는 관제 서버, 방법 및 관제 장치
EP35730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loss of separation events
US119228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in mixed airspace
KR102415979B1 (ko) 주의 선박의 안전거리 침입 경고 방법
CN111667724B (zh) 一种tcas与航空器监视应用系统的集成方法
KR102639020B1 (ko) 공항의 에어사이드에서 운행 중인 지상조업차량 및 항공기를 관제하는 관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