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776A -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776A
KR20230144776A KR1020220043882A KR20220043882A KR20230144776A KR 20230144776 A KR20230144776 A KR 20230144776A KR 1020220043882 A KR1020220043882 A KR 1020220043882A KR 20220043882 A KR20220043882 A KR 20220043882A KR 20230144776 A KR20230144776 A KR 20230144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driver
magnet
frame
pai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추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추워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추워드
Priority to KR1020220043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4776A/ko
Priority to PCT/KR2023/004627 priority patent/WO2023195784A2/ko
Publication of KR20230144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7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자기 코어를 갖는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는, N(N은 양의 정수)+2개의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 상하에 형성된 마그네트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하 진동하는 자기 회로체와; 상하단이 외부의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배치되는 N+1개의 고정 코일판과; 상기 마그네트와 마그네트 플레이트의 양단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의 각각의 일단부를 체결하고, 다수개의 브릿지를 가지며, 상기 다수개의 브릿지 각각의 단부만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여 상기 자기 회로체의 진동에너지를 외부의 프레임에 전달하는 한 쌍의 캔틸레버(Cantilev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있다.

Description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FLAT TYPE VIBRATION DRIVER HAVING MULTI CORE}
본 발명은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자기 코어를 갖는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진동 드라이버는 진동 목적물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종래에는 소위 말하는 콘(Cone)형 스피커 장치에서 진동판을 제거하고, 원형의 자석과 원형의 보이스 코일 중에서 어느 하나를 진동 목적물에 직접 부착하는 진동 드라이버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콘형 진동 드라이버는 진동 드라이버의 유니트의 사이즈가 큰 경우, 원형 구조물을 유지하기 위해서 자기체가 원형으로 커지게 되어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되고, 반응 속도가 느려져 효율적인 진동 에너지 전달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게에 비해 보빈 자체의 본딩력이 약해 장기간 사용하면 진동목적물에서 진동 드라이버가 탈락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99775에는 평판 가동 코일판과 막대형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진동목적물에 진동을 전달하는 '스틱형 진동 드라이버'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99775는 콘형 진동 드라이버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막대형 마그네트를 적용하였으나 슬림한 진동 드라이버의 체적에 의해 막대형 마그네트의 사이즈가 제한되고, 그로 인해 자기장의 크기가 작아져 충분한 자기장 에너지를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스틱형 진동 드라이버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두께가 두꺼운 막대형 마그네트를 적용하면, 무게는 물론 제조 원가가 향상되고 효율적인 진동 에너지 전달이 어려운 콘형 진동 드라이버와 동일한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진동 드라이버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186836에는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가 개시되어 있고, 이 특허는 진동 드라이버의 무게를 줄이면서 진동에너지의 반응 속도를 현저하게 개선한 장점은 있지만, 보다 고출력, 고진폭을 요하는 진동 드라이버의 개발이 필요하다.
1. 특허문헌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36137 2. 특허문헌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99775 3. 특허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18683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고진폭 고출력의 진동 드라이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입력 신호를 가장 효율적으로 진동 에너지로 변환 시킴과 동시에, 반응 속도를 개선한 진동 드라이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저대역부터 고대역까지의 전대역 입력 신호에 효율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진동 드라이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는, N(N은 양의 정수)+2개의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 상하에 형성된 마그네트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하 진동하는 자기 회로체와; 상하단이 외부의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배치되는 N+1개의 고정 코일판과; 상기 마그네트와 마그네트 플레이트의 양단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의 각각의 일단부를 체결하고, 다수개의 브릿지를 가지며, 상기 다수개의 브릿지 각각의 단부만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여 상기 자기 회로체의 진동에너지를 외부의 프레임에 전달하는 한 쌍의 캔틸레버(Cantilev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있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와 마그네트 플레이트의 극성은 교번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 코일판은 이웃하는 고정 코일판의 전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도록 코일을 권취 또는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각각은 상기 마그네트 플레이트의 양단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턱이 마련되고, 상기 마그네트 플레이트의 양단을 상기 안착턱에 의해 양단에서 맞물리게 하여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캔틸레버 각각은 평면도와 측면도 상에서 'ㄷ'자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캔틸레버 각각은 상하 및 좌우로 4개의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의 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캔틸레버의 나머지 부분은 공중 부양된 형태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상기 브릿지의 단부의 일측부에는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진동 에너지를 외부로 전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외곽 프레임과,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 각각의 중심에는 상기 고정 코일판을 고정하기 위한 상측 체결홈과 하측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코일판의 일단은 상기 상부 커버의 상측 체결홈에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단과, 타단은 상기 하부 커버의 하측 체결홈에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입력 신호를 가장 효율적으로 진동 에너지로 변환 시킴과 동시에, 반응 속도를 개선한 진동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진동 드라이버는 저대역부터 고대역까지의 전대역 입력 신호에 효율적으로 반응할 수 있고, 고진폭 고출력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의 캔틸레버와 가이드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의 자기회로와 고정 코일판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의 내부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의 외곽프레임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의 커버와 고정 코일판의 고정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의 외부 프레임과 내부 부품의 결합 구조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 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이나 지향성에 대한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를 갖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나, 이들의 파생어(예를 들어, "수평으로,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등)는, 설명되고 있는 도면과 관련 설명을 모두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상대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해야 함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한, "장착된, 부착된, 연결된, 이어진, 상호 연결된" 등의 구성 간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개별 구성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부착 혹은 연결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하게 부착, 연결, 고정된 상태뿐만 아니라, 이동 불가능한 상태까지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100)는 개략 직육면체 구조의 프레임(200) 내부에 자기회로 및 진동 구조를 이루는 부재들이 내장되는 구조를 갖을 수 있다.
프레임(100)은 사각 구조의 테두리를 이루는 외곽 프레임(201), 외곽 프레임(201)의 상하부 각각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203) 및 하부 커버(205), 그리고 상부 커버(203) 및 하부 커버(205)의 일 개구부를 덮는 상부 플레이트(207) 및 하부 플레이트(209)를 포함하여 하나의 직육면체 형상의 진동 드라이버를 구성할 수 있다.
내부에는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자기 회로에 의해 상하 진동하며 마그네트(211)와 마그네트 플레이트(213, 215)가 이루는 멀티 구조의 자기 회로체(311, 도 4 및 도 5 참조), 자기 회로체(311) 사이의 에어 공간에 배치되고 상부 및 하부 커버(203, 205)에 의해 상하 고정되는 고정 코일판(217), 자기 회로체(311)를 캔틸레버(221)에 체결하기 위한 가이드(219), 자기 회로체(311)의 상하 진동을 프레임(200)으로 전달하는 캔틸레버(Cantilever, 22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코일판(217)의 하부에는 고정 코일판(217)에 전류를 인가하고, 진동 드라이버(100)의 제어를 위한 PCB(223)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멀티 자기 회로체(311)를 구성(멀티 코어 형태)하여 고진폭 고출력의 진동 드라이버를 제안하며, 입력 신호를 가장 효율적으로 진동 에너지로 변환 시킴과 동시에 즉각적인 반응 속도를 개선하고, 또한 저역부터 고역까지의 전대역 입력 신호에 효율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멀티 코어, 진동 신호 전달 매개체의 캔틸레버의 구조를 개선시킨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3개의 마그네트(211)와 3쌍의 마그네트 플레이트(213, 215)가 이루는 3개의 자기 회로체(311)와 한 쌍의 고정 코일판(217)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보편적으로는 N(N=양의 정수)+2개의 자기 회로체(311)에서 발생한 자기장과 평면으로 권선된 N+1개의 고정 코일판(217)에 입력된 전기 신호에서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을 진동에너지로 변환하는 멀티 코어 구조의 진동 드라이버를 제안한다.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를 제안하기 위해서 자기회로의 무게 증가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그 진동 효율을 극대화하고, 진동부의 상.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캔틸레버, 고정 코일판 구조 개선 및 진동부 구성에 대한 개선이 필수적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의 캔틸레버와 가이드의 구조도이다.
(A)는 가이드(219)의 구조이고, (B)는 캔틸레버(221)의 구조이며, (C)는 가이드(219)와 캔틸레버(221)가 체결된 형태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19)는 캔틸레버(221)에 마그네트(211)와 마그네트 플레이트(213, 215)로 이루어지는 자기 회로체(311)를 고정하여 진동력을 캔틸레버(221)를 매개로 프레임(200)에 전달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가이드(219)는 좌우 한 쌍의 제1 및 제2 가이드(219a, 219b)로 이루어지고, 상면과 하면에는 캔틸레버(221)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용 돌기(219c)가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마그네트(211)와 마그네트 플레이트(213, 215)를 고정하기 위한 안착턱(219d)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턱(219d)은 마그네트(211) 및 마그네트 플레이트(213, 215)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캔틸레버(221)는 좌우 한 쌍의 제1 및 제2 캔틸레버(221a, 221b)로 이루어지고, 'ㄷ'자 구조의 바디가 연결부(221c)에 의해 연결되어 제1 및 제2 캔틸레버(221a, 221b)를 이룰 수 있다.
제1 및 제2 캔틸레버(221a, 221b)는 저면도 상 'ㄷ'자 형태이고, 측면도 상에서도 'ㄷ'자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8개의 브릿지(221h)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연결부(221c)에는 가이드(219)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나사홈(221d)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캔틸레버(221a, 221b)의 상하면에는 가이드(219)의 돌기(219c)와 대응하여 체결될 수 있는 가이드 체결홀(221e)이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221h)의 단부에는 프레임(200)과의 고정을 위한 프레임 고정홀(221g)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캔틸레버(221a, 221b)는 프레임 고정홀(221g)에 의해 프레임(200)과 고정되어 그 부분만 고정 형태로 되고, 나머지 부분은 공중 부양된 형태를 갖으며, 공중 부양된 부분이 진동을 전달할 수 있고, 진동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해 브릿지(221h) 마다 고정단의 측부에 주름부(221f)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의 자기회로와 고정 코일판의 구조도이다.
(A)는 자기 회로체(311) 구조도이고, (B)는 고정 코일판(217)이며, (C)는 자기 회로체(311)와 고정 코일판(217)의 배치 구조도이다.
자기 회로체(311)는 3개의 마그네트(211a, 211b, 211c)와 마그네트의 상하부에 결착된 3쌍의 마그네트 플레이트(213a, 213b, 213c, 215a, 215b, 215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3개의 제1 내지 제3 마그네트(211a, 211b, 211c)는 교차하여 극성이 다른 마그네트가 배열되고 각각의 마그네트는 소정 거리로 이격 배치되며, 이격 배치된 에어갭 사이에는 2개의 제1 및 제2 고정 코일판(217a, 217b)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 코어는 N+2개의 마그네트와 N+1개의 고정 코일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의 내부구조도이다.
진동 드라이버(100)는 3개의 자기 회로체(311)가 배치되고, 자기 회로체 사이에 2개의 고정 코일판(217)이 배치되며, 자기 회로체(311)은 양단에서 가이드(219)에 의해 고정되고, 가이드(219)는 캔틸레버(221)에 체결 고정된다.
제1 및 제2 고정 코일판(217a, 217b) 각각은 상하측이 상부 커버(203) 및 하부 커버(205)에 각각 고정되고,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코일이 권취 또는 인쇄되어 전류의 흐름에 따라 유도 기전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N+1개의 고정 코일판은 N+2개의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 자기회로 사이(Air Gap 사이)에 위치하고, N+1개의 고정 코일판은 외부의 프레임(200)의 하단과 상단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N+2개의 자기 회로체와 N+1개의 고정 코일판을 구비하는 멀티 코어(Multi Core)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100)의 경우, 예를 들어 3개의 자기회로와 2개의 고정 코일판을 구비하는 듀얼 코어 진동 드라이버에 있어서 가운데에 위치한 중심 자기회로의 상단 마그네트 플레이트가 N극이라고 할때, N극의 자기장 방향은 마주보고 있는 서로 다른 극성인 좌측의 S극 자기회로와 동시에 우측 S극 자기회로 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좌, 우측 자기장의 방향이 정반대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듀얼 코어 구조의 가동코일의 전류의 방향은 동일한 사양을 가진 좌측 제1 고정 코일판(217a)에 흐르게 되는 전류의 방향과 제2 고정 코일판(217b)에 흐르게 되는 전류 방향이 정반대의 방향을 가지도록하여, 코일에서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으로 인해 좌,우측 자기회로에 인가되는 진동 에너지(힘)의 방향이 동일하게 되고, 이는 진동 드라이버의 고출력, 고효율의 상,하 진동이 가능하게 된다.
N+1개의 Multi Core의 고정 코일판이 적용되는 경우, 각각의 Air Gap 사에 위치한 가동코일의 전류 방향은 이웃하는 가동코일의 전류 방향과 역방향으로 교차 반복하면서 확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의 외곽프레임의 구조도이다.
외곽 프레임(201)은 4각 형태의 바디(201a)와 고정체(201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체(201b)는 캔틸레버(221)의 브릿지(221h) 단을 외곽 프레임(201)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다.
캔틸레버(221)는 브릿지(221h) 단만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브릿지(221h) 단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공중 부양되어 있으므로, 진동에너지를 외부의 프레임(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고정체(201b)에는 캔틸레버(221)의 브릿지(221h)를 고정하기 위한 브릿지 고정홈(201c)이 형성되고, 나사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의 커버와 고정 코일판의 고정 구조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A)는 상부 커버(203)에 고정 코일판(217)의 일단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하부 커버(205)에 고정 코일판(217)의 타단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부 커버(203)와 하부 커버(205) 각각의 중심에는 고정 코일판(217)을 고정하기 위한 상측 체결홈(203a)과 하측 체결홈(205a)이 형성된다.
고정 코일판(217)의 일단은 상부 커버(203)의 상측 체결홈(203a)에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단(217c)과 타단은 하부 커버(205)의 하측 체결홈(205a)에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단(217d)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의 외부 프레임과 내부 부품의 결합 구조도이다.
도 8은 상부 커버(203)와 하부 커버(205)를 제외한 진동 드라이버(100)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자기 회로체(311), 고정 코일판(217), 가이드(219) 및 캔틸레버(221)가 배치 및 체결된 상태에서, 캔틸레버(221)의 브릿지(221h)의 단부들이 각각 상하 및 좌우로 A위치에서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들은 공중 부양된 상태로 놓인다.
이 상태에서 고정 코일판(217)이 상하 고정되고 유기 기전력에 의해 자기 회로체(311)가 상하 진동하여 그 진동에너지를 캔틸레버(221)를 매개체로 하여 프레임(200)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멀티 코어의 구조와 그 멀티 코어의 구조에 부합되는 가이드 및 캔틸레버의 적응형 구조에 의해 고출력, 고효율의 진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진동 드라이버 200 : 프레임
201 : 외곽 프레임 203 : 상부 커버
205 : 하부 커버 207 : 상부 플레이트
209 : 하부 플레이트 211 : 마그네트
213 : 상부 마그네트 플레이트 215 : 하부 마그네트 플레이트
217 : 고정 코일판 219 : 가이드
221 : 캔틸레버 311 : 자기 회로체

Claims (8)

  1. N(N은 양의 정수)+2개의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 상하에 형성된 마그네트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하 진동하는 자기 회로체와;
    상하단이 외부의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배치되는 N+1개의 고정 코일판과;
    상기 마그네트와 마그네트 플레이트의 양단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의 각각의 일단부를 체결하고, 다수개의 브릿지를 가지며, 상기 다수개의 브릿지 각각의 단부만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여 상기 자기 회로체의 진동에너지를 외부의 프레임에 전달하는 한 쌍의 캔틸레버(Cantilever);를 포함하는,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와 마그네트 플레이트의 극성은 교번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배치되는,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코일판은 이웃하는 고정 코일판의 전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각각은 상기 마그네트 플레이트의 양단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턱이 마련되고,
    상기 마그네트 플레이트의 양단을 상기 안착턱에 의해 양단에서 맞물리게 하여 고정하는,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캔틸레버 각각은 평면도와 측면도 상에서 'ㄷ'자 형상인,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캔틸레버 각각은 상하 및 좌우로 4개의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의 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캔틸레버의 나머지 부분은 공중 부양된 형태로 위치되는,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상기 브릿지의 단부의 일측부에는 주름부가 형성되는,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외곽 프레임과,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 각각의 중심에는 상기 고정 코일판을 고정하기 위한 상측 체결홈과 하측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코일판의 일단은 상기 상부 커버의 상측 체결홈에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단과, 타단은 상기 하부 커버의 하측 체결홈에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단이 형성되는,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KR1020220043882A 2022-04-08 2022-04-08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KR2023014477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882A KR20230144776A (ko) 2022-04-08 2022-04-08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PCT/KR2023/004627 WO2023195784A2 (ko) 2022-04-08 2023-04-05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882A KR20230144776A (ko) 2022-04-08 2022-04-08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776A true KR20230144776A (ko) 2023-10-17

Family

ID=88243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882A KR20230144776A (ko) 2022-04-08 2022-04-08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4776A (ko)
WO (1) WO2023195784A2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6137A (ko) 2013-05-20 2014-11-28 시노스 주식회사 진동스피커
KR20190099775A (ko) 2018-02-20 2019-08-28 김동만 스틱형 진동 드라이버
KR102186836B1 (ko) 2019-10-15 2020-12-04 (주)인오디오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267B1 (ko) * 2003-12-05 2006-05-04 신정열 다수의 코일판을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KR100453927B1 (ko) * 2004-04-23 2004-10-20 주식회사 아이티엠 이동통신단말기용 플랫패널 스피커
JP2019063695A (ja) * 2017-09-28 2019-04-25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
KR102379533B1 (ko) * 2019-12-30 2022-03-29 주식회사 엑추워드 듀얼 진동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6137A (ko) 2013-05-20 2014-11-28 시노스 주식회사 진동스피커
KR20190099775A (ko) 2018-02-20 2019-08-28 김동만 스틱형 진동 드라이버
KR102186836B1 (ko) 2019-10-15 2020-12-04 (주)인오디오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5784A2 (ko) 2023-10-12
WO2023195784A3 (ko)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1427A (en) Bone-conduction speaker
US7480392B2 (en) Plate type speaker using horizontal vibration voice coil
US6714655B2 (en) Speaker
US20200412227A1 (en) Motor
US20190222106A1 (en) Linear vibration motor
CN110099341A (zh) 扬声器
US11510008B2 (en) Stick-type vibrating driver
US9992576B2 (en) Speaker including damper having deformation prevention member
CN109040916A (zh) 用于激励器的振子组件、激励器以及屏幕发声装置
CN109040917A (zh) 激励器以及屏幕发声装置
CN109348373B (zh) 发声器件
KR101204033B1 (ko) 평면형 음향 변환 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8966093A (zh) 用于激励器的弹片、激励器以及屏幕发声装置
KR102186836B1 (ko)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JP2022524229A (ja) 平衡振動システム
CN110191404A (zh) 一种屏幕发声装置
CN110267171A (zh) 一种屏幕发声装置
US11800289B2 (en) Sound generator
KR102631328B1 (ko) 듀얼 진동 장치
US20150222995A1 (en) Hybrid speaker
KR20230144776A (ko) 멀티 코어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CN101511048B (zh) 具有新型振动系统的电声转换器及其振动系统的制造方法
JP2006246288A (ja) エキサイターおよびスピーカ
US10499158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radiating acoustic seal and stacked magnetic circuit assembly
KR20110067262A (ko) 내자형 또는 외자형의 슬림구조를 갖는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