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297A -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297A
KR20230144297A KR1020220043392A KR20220043392A KR20230144297A KR 20230144297 A KR20230144297 A KR 20230144297A KR 1020220043392 A KR1020220043392 A KR 1020220043392A KR 20220043392 A KR20220043392 A KR 20220043392A KR 20230144297 A KR20230144297 A KR 20230144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eature block
data
unit
portfol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원
Original Assignee
남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원 filed Critical 남기원
Priority to KR1020220043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4297A/ko
Publication of KR20230144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297A/ko
Priority to KR1020230157087A priority patent/KR202301593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촬영자가 미리 동일 배경에 대해 선촬영을 진행하여 특징 블록 레이어를 형성하고, 그 특징 블록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추가 촬영 대상자의 화상에 선촬영된 특정 블록 레이어가 중첩되게 촬영함으로써 모든 구성원이 한번에 촬영한 것과 같은 융합 영상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기저장한 포트폴리오 영상을 활용하여 셀카 사진을 자동 편집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및 그 방법{Camera application-based image edit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촬영자가 미리 동일 배경에 대해 선촬영을 진행하여 특징 블록 레이어를 형성하고, 그 특징 블록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추가 촬영 대상자의 화상에 선촬영된 특정 블록 레이어가 중첩되게 촬영함으로써 모든 구성원이 한번에 촬영한 것과 같은 융합 영상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기저장한 포트폴리오 영상을 활용하여 셀카 사진을 자동 편집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스마트폰에 카메라 기능이 내장되어져 있으므로 많은 유저들이 홀로 또는 친구들과 함께 셀카를 촬영하게 된다.
홀로 사진을 찍는 경우에는 어느 한 팔로 스마트폰을 파지한 상태로 사진을 찍게 되고, 친구들과 함께 사진을 찍는 경우에도 어느 한 친구가 사진촬영을 위해 빠질 수는 없으므로 이 경우에도 홀로 셀카를 찍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어느 한 유저가 스마트폰을 파지한 상태로 사진을 찍게 된다.
그러다보니, 사진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스마트폰을 조작하는 유저의 팔이 사진에 크게 나오게 되고 사진에 포함된 전체 구성원들의 촬상 퀄리티를 조악하게 한다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그렇게 촬영된 사진은 주로 상반신 위주의 사진이므로 다양한 포즈의 사진 촬영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거의 상반신 위주로 이루어진 셀카의 화상이 아닌, 전신 사진을 촬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홀로 사진을 찍거나, 또는 구성원들이 동시에 사진속에 찍히는 것은 절대 불가능하므로 구성원중 어느 한명이 촬영을 위해 희생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피사체 구성원중 어느 한명이 손바닥을 펴거나, 특정 소리를 내거나 또는 타이머를 작동시켜서 자동 촬영을 시도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가장 좋은 타이밍에 촬영을 촬영자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아니므로 촬영된 사진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상당하고, 포즈에도 제한이 있으며, 타이머가 종료되어 촬영되는 시점에 미처 포즈를 잡지 못하여 사진을 망친 경우도 허다하였다.
한편, 종래 한국특허출원 제2008-0108757호(2008.11.04)에 게시된 삼차원 개인 광고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와 방법 및 인터넷 방송 수신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효율적인 광고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해 광고 상품을 표현하는데 있어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가상객체를 추가시켜 처리하는 것으로서, 블루스크린 배경에서 촬영된 카메라 영상, 삼차원 가상 배경 영상, 광고 물품의 삼차원 광고 객체 영상, 및 광고 물품을 소개하는 이차원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상기 입력된 영상들을 가지고 가상현실 기법과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법을 이용하여 삼차원 광고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생성부; 및 상기 콘텐츠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삼차원 광고 방송 콘텐츠를 전용으로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nternet Protocol Television)방송 채널을 통해 스트리밍 전송하는 영상 전송부;를 포함하며, 블루스크린 배경에서 촬영되어 입력된 카메라 영상에서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하여 배경을 제거하고, 가상현실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거된 배경에 삼차원 가상 배경 영상을 삽입하고, 상기 삼차원 가상 배경 영상이 삽입된 영상에 광고 물품을 소개하는 이차원 영상을 배치하며, 상기 카메라 영상에서 영상 패턴을 인식하여 인식된 영상 패턴 위치에 광고 물품의 삼차원 광고 객체 영상을 매핑하여 삼차원 광고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광고 물품에 대한 상세 설명이 담긴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삼차원 광고 방송 콘텐츠와 상기 광고 물품의 삼차원 광고 객체 영상 및 상기 입력된 메타데이터를 먹싱하여 전용으로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방송 채널을 통해 스트리밍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을 이용한 서비스는 단순히 상품을 증강시켜 보여주기만 할 뿐 특정한 인터랙션이 지원되지 않고 있으며, 특히 셀프 카메라 장치의 화상 편집장치에 적용된 것이 전무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셀카 촬영시에 유저의 팔이 사진에 크게 나오게 되고 사진에 포함된 전체 구성원들의 촬상 퀄리티를 조악하게 한다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그렇게 촬영된 사진은 주로 상반신 위주의 사진이므로 다양한 포즈의 사진 촬영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촬영자가 미리 동일 배경에 대해 선촬영을 진행하여 특징 블록 레이어를 형성하고, 그 특징 블록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추가 촬영 대상자의 화상에 선촬영된 특정 블록 레이어가 중첩되게 촬영함으로써 모든 구성원이 한번에 촬영한 것과 같은 융합 영상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기저장한 포트폴리오 영상을 활용하여 셀카 사진을 자동 편집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선행 촬상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1입력부(4a)와; 상기 입력된 선행 촬상 데이터로부터 인물의 외형만을 추출하는 추출부(8)와; 상기 추출된 선행 인물 데이터를 특징 블록 레이어로 생성하는 특징 블록 레이어 생성부(10)와; 후행 촬상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2입력부(4b)와; 상기 특징 블록데이터를 후행 촬상 화면상에 노출시키는 블록 중첩 표시부(14)와; 선행 촬상데이터의 인물 데이터로 이루어진 특징 블록 레이어와, 후행 촬상레이어를 융합하는 특징 블록 융합부(16)와; 상기 융합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부(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출부(8)의 전단에는 인물의 외형을 특징 블록으로 지정하여 생성하기 위한 특징 블록 생성부(6)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출부(8)는 지정된 인물의 외형을 특징 블록으로부터 인물의 위치를 추출하고, 소정의 인물 외형 모델(shape model)을 이용하여 선행 촬상데이터중 인물 외형을 추출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특징블록 레이어 생성부(10)를 통해 인물 외형으로 이루어진 특징블록이 포함된 레이어를 저장하는 특정블록 레이어 저장부(12)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블록중첩 표시부(14)는 선행 촬상데이터에 속한 인물외형의 특징블록 좌표공간을 제 2입력부(4b)를 통해 신규로 촬상된 후행 촬상데이터 상에 정합시켜서 하나의 좌표공간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a) 유저의 카메라 앱으로 선행 촬상데이터를 입력받는 과정과; b) 추출부(8)를 이용하여 상기 선행 촬상데이터로부터 인물 외형만을 추출하는 과정과; c) 상기 추출된 선행 인물외형을 특징 블록 레이어로 생성하는 과정과; d) 유저의 카메라 앱으로 후행 촬상데이터를 입력받는 과정과; e) 상기 후행 촬상데이터상에 선행 인물외형의 특징 블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f) 상기 후행 촬상데이터상에 선행 인물외형의 특징 블록 좌표를 조절하는 과정과; g) 유저의 카메라 앱으로 최종 촬상데이터가 입력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e) 과정은 상기 선행 인물외형에 대한 특징 블록의 좌표를 레이어상에 고정시켜서 표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f) 과정은 유저가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킴으로서 촬상객체에 대한 선행 인물외형의 위치가 변경되게 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g) 과정은 선행 촬상데이터의 인물 데이터로 이루어진 특징 블록 레이어와, 후행 촬상레이어를 융합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카메라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의 사용자 촬상 화상의 특징블록 포트폴리오를 등록하는 포트폴리오 등록부(22)와; 배경 화상 또는 셀카 화상을 촬상하여 입력하는 입력부(4)와; 배경화상을 생성하는 배경화상 생성부(24)와; 상기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셀카 화상을 특징블록 포트폴리오와 비교하는 화상비교부(26)와; 상기 화상비교부(26)를 통해, 특징블록 포트폴리오 화상기준으로, 셀카 화상의 편집할 특징블록을 생성하는 특징블록 생성부(6)와; 셀카 화상의 편집할 특징블록에 대해, 특징블록 포트폴리오 화상의 편집값을 연산하는 편집값 연산부(28)와; 상기 편집값 연산부(28)에서 연산된 값으로 화상 편집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편집 데이터 생성부(30)와; 상기 화상편집 데이터 생성부(30)에서 생성된 화상편집 데이터를 원 촬상화상데이터에 정합 처리하는 화상 보정처리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트폴리오 등록부(22)의 전단에는 사용자의 좌측으로 비스듬한 화상과, 우측으로 비스듬한 화상을 등록하고, 전방으로 돌출된 좌측 혹은 우측에 해당하는 특징블록 포트폴리오를 편집 대상의 특징블록으로 생성하는 특징블록 포트폴리오 생성부(2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편집값 연산부(28)는 미리 등록된 특징블록 포트폴리오의 사용자 머리 기준으로, 사용자 몸체가 이루는 촬상 각도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셀카 화상에 대한 촬상각도를 연산함으로써 보정에 기준이 되는 특징블록 포트폴리오를 추출하는 촬상각도 분석부(54)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편집값 연산부(28)는 상기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셀카 화상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특징블록 포트폴리오와 비교하여 좌/우 보정 대상영역중 어느 영역을 보정해야 하는 지 자동으로 분석하는 좌/우 보정 대상영역 분석부(56)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편집값 연산부(28)는 상기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셀카 화상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특징블록 포트폴리오와 비교하여 보정에 적용할 특징블록 포트폴리오의 사용자 의상라인을 추출하는 의상 라인 추출부(58)와; 상기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셀카 화상데이터중 의상라인 내부에 위치한 의상 디자인과 색상을 추출하는 의상 디자인 추출부(6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a) 특징블록 포트폴리오를 등록하는 과정과; b) 셀카 촬영 객체에 포함될 배경 영상을 입력받아서 생성하는 과정과; c) 셀카 화상을 촬상하여 입력하는 과정과; d) 촬상된 셀카 화상을 기저장된 특징블록 포트폴리오와 비교하여 특정 특징블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는 과정과; e) 셀카 화상데이터에서 보정 대상영역인 특징블록을 생성하는 과정과; f) 셀카 화상의 편집할 특징블록에 대해, 대응되는 특징블록 포트폴리오 화상의 편집값을 연산하는 과정과; g) 연산된 편집값에 의해 화상 편집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h) 화상 편집데이터를 셀카 화상데이터의 특징 블록에 적용하여 보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과정은 셀카 촬영시 카메라를 파지하면서 비스듬하게 틀어지는 좌/우로 비스듬하게 선 채로 촬영한 사용자의 포트폴리오를 촬상하여 등록하고, 다수의 촬상 각도로 촬상하여 등록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과정은 셀카 촬영 객체에 포함될 배경 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과정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d) 과정은 셀카 화상분석을 통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비스듬한 특징블록 포트폴리오와, 촬상 각도가 일치되는 특징블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및 그 방법은 선행 촬상데이터에서 인물 외형을 추출하여 선행 레이어로 구성하여 활성화시키고, 후행 촬상데이터의 확보시, 선행 촬상데이터를 레이어 중첩방식으로 처리하면 두 명 이상의 유저가 촬영할 경우에도 마치 제 3자가 촬영해준 것과 같은 자연스러운 포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셀카 촬영 모드시에는 카메라를 들고 있는 팔을 포트폴리오 화상과 비교하여 매칭되는 포트폴리오를 선정하고 그 외형은 연산하여 특징블록을 생성하고 의상라인과 디자인을 적용하여 보정함으로써 1번의 촬상으로 팔을 내린 자연스러운 포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를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를 통한 화상 편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를 통한 레이어 중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를 통한 촬상각도 분석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를 통한 보정 대상영역 분석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에 포함된 편집값 연산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를 이용한 화상비교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를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를 통한 화상 편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를 통한 레이어 중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촬영자가 미리 동일 배경에 대해 선촬영을 진행하여 특징 블록 레이어를 형성하고, 그 특징 블록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추가 촬영 대상자의 화상에 선촬영된 특정 블록 레이어가 중첩되게 촬영함으로써 모든 구성원이 한번에 촬영한 것과 같은 융합 영상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기저장한 포트폴리오 영상을 활용하여 셀카 사진을 자동 편집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선행 촬상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1입력부(4a)와; 상기 입력된 선행 촬상 데이터로부터 인물의 외형만을 추출하는 추출부(8)와; 상기 추출된 선행 인물 데이터를 특징 블록 레이어로 생성하는 특징 블록 레이어 생성부(10)와; 후행 촬상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2입력부(4b)와; 상기 특징 블록데이터를 후행 촬상 화면상에 노출시키는 블록 중첩 표시부(14)와; 선행 촬상데이터의 인물 데이터로 이루어진 특징 블록 레이어와, 후행 촬상레이어를 융합하는 특징 블록 융합부(16)와; 상기 융합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추출부(8)의 전단에는 인물의 외형을 특징 블록으로 지정하여 생성하기 위한 특징 블록 생성부(6)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추출부(8)는 지정된 인물의 외형을 특징 블록으로부터 인물의 위치를 추출하고, 소정의 인물 외형 모델(shape model)을 이용하여 선행 촬상데이터중 인물 외형을 추출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PCA(Principle Component Analysis) 방식에 의해 수동으로 레벨링(labeling)된 트레이닝(training) 영상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고유 벡터(eigen vector)들로 모델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제 1입력부(4a)통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32)로부터 인물에 해당하는 특정블록(34)을 추정하고, GVF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기울기(Gradient)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GVF(Gradient Vector Flow)를 이용하여 특징블록 레이어(36)로부터 특징블록(38)으로 특정된 객체의 상기 기울기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GVF에서의 기울기 방향은 에지 밀도(Edge Density)가 강한 방향을 가리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이로인해 추출된 인물의 외형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인물의 외형이 최적화된 특징블록 레이어(36)를 생성하는 바, 본 발명에는 상기 특징블록 레이어 생성부(10)를 통해 인물 외형으로 이루어진 특징블록이 포함된 레이어를 저장하는 특정블록 레이어 저장부(12)가 더 포함된다.
이때, 상기 특정블록 레이어 저장부(12)에 저장된 특징블록 레이어(36)는 카메라의 촬상으로 인해 포착된 화면상에 상기 인물 외형이 고정되게 표시될 수 있도록 추출된 인물 외형에 대해 좌표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이용하며, 상기 특정블록 레이어 저장부(12)에 상기 특징블록 레이어(36)가 저장되는 것은 촬상 대상이 되는 객체가 포함되는 사진을 획득할 때까지 매우 짧은 시간동안만 임시적으로 저장된다.
즉, 사용자가 아닌 제 3자 예컨대, 함께 촬상객체중 어느 한 명의 사용자가 먼저 사용자의 사진을 촬상하게 되면, 선행 촬상데이터가 입력되는 바, 본 발명은 상기 추출부(8)를 이용하여 상기 선행 촬상데이터로부터 인물 외형만을 추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특징블록 생성부(6)는 상기 추출된 선행 인물외형을 특징 블록 레이어로 생성하는 바, 이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어서, 인물이 특징블록으로 포함된 특징블록 레이어를 활용하는 바, 이때의 특징블록 레이어(36)는 마치 증강현실의 레이어 정합시와 유사하게, 특징블록 레이이(36)에 포함된 인물의 좌표를 저장하고 그 인물을 레이어에 고정시킴으로써 화면의 소정 위치에 선행 촬영분의 인물이 고정되게 한다.
즉,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촬영 대상객체에 대해 좌우, 상하로 움직이게 되면, 화면에 고정된 선행 촬영분의 인물인 특징블록(38)의 위치를 변하지 않으면서, 촬영 대상객체가 화면상에서 이동되게 된다.
그러한 화면을 보면서, 촬영자가 최적의 레이어 중첩상태가 될 수 있도록 스마트폰의 카메라 방향이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유저의 카메라 앱으로 후행 촬상데이터를 입력받는 바, 상기 후행 촬상데이터상에 선행 인물외형의 특징 블록(38)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후행 촬상데이터상에 선행 인물외형의 특징 블록(38) 좌표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최적의 레이어 중첩상태가 되면, 유저가 카메라 앱으로 사진을 촬영하여 최종 촬상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블록중첩 표시부(14)는 선행 촬상데이터에 속한 인물외형의 특징블록 좌표공간을 제 2입력부(4b)를 통해 신규로 촬상된 후행 촬상데이터 상에 정합시켜서 하나의 좌표공간으로 표시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특징 블록 레이어(36)가 다른 후행 촬상 레이어(40)와 융합되어 단일의 완성된 촬상 융합데이터(44)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처음부터 메인 유저와, 촬상 동반자들이 함께 사진을 찍은 것처럼 촬상한 사진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를 통해, 적어도 2명 이상의 유저만 있다면, 별도의 셀카봉이 필요없고, 촬영을 도와주는 주변 사람이 없어도 별도의 촬영자가 촬영을 도와준 것과 같은 사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을 이용하면, 단체 사진에서 촬영자만 빠져있는 사진을 더 이상 만들지 않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에 대해 설명하면,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스마트폰 카메라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주요 구성으로, 카메라의 입력부와 표시부 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를 이용하여 유저중 어느 한 유저 즉, 그 유저를 메인 유저라고 특정하는 바, 그 메인 유저를 먼저 선촬영한다.
그러면, 상기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촬영하여 입력된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특성과 소정의 학습된 인물 외형 모델을 이용하여 인물 외형을 검색한다.
즉, 상기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상기 인물 외형 모델과 상기 입력된 영상 데이터의 특성을 이용하여 선촬영 데이터로부터 인물 외형의 컨트롤 포인트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현재 컨트롤 포인트(Current Control Point)에 대한 에너지 함수(E)의 결과값이 최소가 되는 주위 픽셀을 선택하여 새로운 컨트롤 포인트인 다음의 컨트롤 포인트(Next Control Point)로 결정할 수 있다. 즉, 픽셀에 따른 에너지 함수(E)의 결과값을 비교하여 외형을 검색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에너지 함수(E)는 촬상된 인물의 외형에 해당하는 컨트롤 포인트가 되기 위한 조건을 명시한 목적 함수이며,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 , , , 로 구성된다.
α, β, γ, κ, λ는 각 함수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낸다.
는 상기 컨트롤 포인트에 의해 표현되는 곡선이 연속성을 유지하는 지를 나타내는 함수로, 1차 미분 계수(Derivative) 값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Pi는 i번째 픽셀 정보를 나타낸다. 는 상기 컨트롤 포인트에 의해 표현되는 곡선이 굴곡(curvature) 형태로 자연스럽게 지속적으로 연결되는지를 나타내는 함수로서 2차 미분 계수값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는 상기 컨트롤 포인트에 의해 표현되는 곡선이 입력된 영상 데이터의 Edge와 비슷한지를 나타내는 함수로서 상기 GVF 상에서 제로 크로싱되는 지점과의 거리이며, 에지 밀도도 사용 가능하다.
는 상기 컨트롤 포인트에 의한 외형이 인물 외형 모델의 외형과 유사한 지를 나타내는 함수로서 상기 인물 외형 모델과의 비교값이며,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는 상기 컨트롤 포인트 주변의 색 정보가 차이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함수로서, 상기 컨트롤 포인트와 주변 픽셀들의 색 차이 분산 값의 역수로 표현되며, 색 차이의 분산 값이 클수록 경계선의 확률이 높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에 탑재된 상기 수학식을 통해 인물의 특정 외형을 추출해내는 기술들은 공지의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하지만, 선행 촬상데이터에서 인물 외형을 추출하여 선행 레이어로 구성하여 활성화시키고, 후행 촬상데이터의 확보시, 선행 촬상데이터를 이용하는 기술은 본 발명의 큰 특징중 하나이다.
이와 같이, 상기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상기 추출된 인물 외형을 이용하여 상기 인물 외형 모델을 갱신한다. 즉, 상기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상기 학습된 샘플에 의한 인물 외형 모델을 현재 형상에 맞도록 수정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검출된 컨트롤 포인트를 최적의 형태로 가정하고, 상기 인물 외형 모델을 업데이트(update)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현재 검출된 컨트롤 포인트와 상기 인물 외형 모델의 컨트롤 포인트와의 차이값을 상기 인물 외형 모델의 컨트롤 포인트에 추가할 수 있다.
상기한 인물 외형 추출을 통해, 메인 유저가 피사체가 된 선행 촬영 화상데이터를 특정 인물 블록 레이어로 생성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를 통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촬상 화상 화면상에 상기 특정 인물 블록 레이어가 표시되게 한다.
즉, 상기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증강현실 기반의 크로마키 방법이 이용되는 바, 상기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로부터 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특정 인물 블록 레이어가 레이어의 우선순위 값 기준에 따라 촬상 화상 화면상에 표시되는 중첩 레이어 처리를 수행하고, 그 처리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한다.
상기 중첩 레이어 처리는 상기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를 통해 선행 촬영된 특정 인물 블록 레이어가 입력부를 통해 촬상되어 입력된 촬상 화상 화면상에 중첩되게 처리되는 것으로, 제 3의 유저가 메인 유저를 선행 촬영하여 특정 인물 블록 레이어가 생성되면, 그 특정 인물은 메인 유저가 될 것이고, 메인 유저는 이후 후행 촬영을 통해 나머지 구성원의 사진을 본인의 촬상 레이어인 특정 인물 블록 레이어가 카메라 화면에 중첩되게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메인 유저는 본인의 외형 신체가 표시되는 특정 인물 블록이 상기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의 카메라 화면에 표시되게 되므로 상기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에 내장된 카메라 방향을 이동시키는 행위를 통해, 현재 피사체 대상에 대해 본인의 외형 신체 화상의 블록을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그 상태로 사진을 찍게 되면, 상기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의 화면상에는 마치, 메인 유저와 다른 구성원들이 모두 함께 모여서 사진을 찍은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이것은 마치, 상기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를 통해 2회 촬영을 함으로써, 다른 구성원들이 배경 레이어와 같이 취급되고, 메인 유저의 선행 촬영 레이어는 배경 레이어에 중첩되는 레이어로 처리되어 다른 구성원과 메인 유저가 함께 동시에 사진을 촬영한 것처럼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의 기능을 통해, 2인이 외딴 곳에서 사진을 촬영할 때 타이머 또는 촬상 제어인식을 통해 촬영하지 않아도 2회의 촬영을 통해 제 3자가 사진을 찍어준 것과 동일한 매우 자연스러운 촬영 컨디션의 사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중첩 레이어를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크로마키 방법에서의 중첩 레이어 처리는, 크게 영상을 정합하는 과정과; 영상을 합성하는 과정이 필수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중첩 레이어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중첩 레이어의 우선순위 지정은, 메인 유저가 다른 구성원(촬상 대상 객체중 메인 유저가 아닌 구성원을 의미함)의 앞서 서게 할 수도 있고, 뒤에 서게 할 수도 있으므로 그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우선순위이다.
각 과정의 처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상기 영상을 정합하는 단계는 선행 촬영으로 획득된 특정 인물 블록 레이어를 가상 객체로서 처리하고, 해당 화면상의 좌표공간을 부여하여 단일의 레이어로 생성한다.
그리고, 이후 후행 촬영을 통해 나머지 구성원의 사진을 본인의 촬상 레이어인 특정 인물 블록 레이어가 상기 정합된 레이어의 좌표공간을 기반으로 좌표 값을 지정하여 각 레이어의 앞, 뒤쪽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레이어를 중첩시킨다.
이때, 상기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중첩된 레이어간 우선 순위를 별도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레이어의 중첩 처리는 상기 순서가 정해진 중첩 레이어의 화상들을 합성시키기 위한 채널을 이용하며, 크게 채널을 생성하고, 레이어 마스크 생성하며, 알파 값을 설정하고, 알파채널 믹서를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증강 현실에서와 같이 레이어를 중첩시키는 원리가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에 대해 기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를 통한 촬상각도 분석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를 통한 보정 대상영역 분석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에 포함된 편집값 연산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를 이용한 화상비교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카메라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의 사용자 촬상 화상의 특징블록 포트폴리오를 등록하는 포트폴리오 등록부(22)와; 배경 화상 또는 셀카 화상을 촬상하여 입력하는 입력부(4)와; 배경화상을 생성하는 배경화상 생성부(24)와; 상기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셀카 화상을 특징블록 포트폴리오와 비교하는 화상비교부(26)와; 상기 화상비교부(26)를 통해, 특징블록 포트폴리오 화상기준으로, 셀카 화상의 편집할 특징블록을 생성하는 특징블록 생성부(6)와; 셀카 화상의 편집할 특징블록에 대해, 특징블록 포트폴리오 화상의 편집값을 연산하는 편집값 연산부(28)와; 상기 편집값 연산부(28)에서 연산된 값으로 화상 편집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편집 데이터 생성부(30)와; 상기 화상편집 데이터 생성부(30)에서 생성된 화상편집 데이터를 원 촬상화상데이터에 정합 처리하는 화상 보정처리부(3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포트폴리오 등록부(22)의 전단에는 사용자의 좌측으로 비스듬한 화상과, 우측으로 비스듬한 화상을 등록하고, 전방으로 돌출된 좌측 혹은 우측에 해당하는 특징블록 포트폴리오를 편집 대상의 특징블록으로 생성하는 특징블록 포트폴리오 생성부(20)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셀카 화상을 촬영할 때, 사진 촬영 유저의 오른팔 또는 왼팔이 올라간 상태에서 촬상되는 영역을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마치 제 3자가 촬영해준 것과 같은 자연스러운 사진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편집값 연산부(28)는 미리 등록된 특징블록 포트폴리오의 사용자 머리 기준으로, 사용자 몸체가 이루는 촬상 각도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셀카 화상에 대한 촬상각도를 연산함으로써 보정에 기준이 되는 특징블록 포트폴리오를 추출하는 촬상각도 분석부(54)가 포함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사진 화상 보정을 위한 기준 데이터로,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포트폴리오 데이터를 사용하는 바, 그 포트폴리오 데이터(46a,46b,46c)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등록된 포트폴리오 데이터와, 촬상되어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면서 매칭되는 촬상각도의 포트폴리오 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상기 편집값 연산부(28)는 상기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셀카 화상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특징블록 포트폴리오와 비교하여 좌/우 보정 대상영역중 어느 영역을 보정해야 하는 지 자동으로 분석하는 좌/우 보정 대상영역 분석부(56)가 포함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장치(2)는 사진 화상 보정을 위한 기준 데이터로,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포트폴리오 데이터를 사용하는 바, 그 포트폴리오 데이터(50a,50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등록된 포트폴리오 데이터와, 촬상되어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면서 매칭되는 보정대상 영역이 좌측인지, 우측인지를 분석하는데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집값 연산부(28)는 상기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셀카 화상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특징블록 포트폴리오와 비교하여 보정에 적용할 특징블록 포트폴리오의 사용자 의상라인을 추출하는 의상 라인 추출부(58)와; 상기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셀카 화상데이터중 의상라인 내부에 위치한 의상 디자인과 색상을 추출하는 의상 디자인 추출부(60)가 더 포함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2)는 상기 편집값 연산부(28)를 통해 의상 라인을 추출하고, 촬상된 유저의 의상 디자인과 동일한 의상 디자인을 보정영역에 적용하여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의상 라인 추출에 대한 내용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2)를 통한 인물 외형 추출과 동일한 기술을 적용하여 의상 라인을 추출해낸다.
또한, 상기 편집값 연산부(28)는 선행 촬상된 배경 데이터를 차후 화상보정시 포함될 수 있게 임시 저장하고, 차후 화상보정 처리부(32)로 인가하여 유저가 올린 팔을 자연스럽게 내려지도록 화상 레이어를 정합할 경우, 원 화상데이터에서 유저가 팔을 올린 영역을 매꿔줄 배경화상을 제공하여 정확한 보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따라서, 먼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2)는 유저가 본인의 외형을 제 3자의 도움을 통해 촬영하고 특징블록 포트폴리오로 등록하는 바, 이때 포트폴리오에 포함되는 영상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비스듬한 화상과, 다양한 촬상각도로 촬상된 화상데이터를 포트폴리오로 등록함이 바람직하다.
그 상태에서, 친구들과 함께 또는 유저 혼자 특정 배경앞에서 사진을 촬영하고자 할 경우라면, 먼저 유저는 셀카 촬영 객체에 포함될 배경 영상을 촬영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2)는 배경화상을 생성하여 배경블록 레이어로 구성한다.
그 상태에서, 유저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2)를 통해 셀카 화상을 촬상하여 입력하면, 촬상된 셀카 화상을 기저장된 특징블록 포트폴리오와 비교하여 특정 특징블록 포트폴리오를 선정한다.
즉, 상기 포트폴리오 등록부(22)에 등록된 포트폴리오는 사용자의 비스듬한 자세의 화상데이터이므로, 유사한 자세의 매칭도를 분석하여 유사한 포트폴리오를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정하고, 셀카 화상데이터에서 보정 대상영역인 특징블록을 생성한다. 이는 학습처리를 통해 보다 정확하게 특징블록을 도 8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상기 셀카 화상의 편집할 특징블록에 대해, 대응되는 특징블록 포트폴리오 화상의 편집값을 연산하고, 연산된 편집값에 의해 화상 편집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화상 편집데이터를 셀카 화상데이터의 특징 블록에 적용하여 보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4a, 4b:제 1, 2입력부, 6:특징블록 생성부,
8:추출부, 10:특징블록 레이어 생성부,
12:특징블록 레이어 저장부, 14:블록중첩 표시부,
16:특징블록 융합부, 18:표시부,
20:특징블록 포트폴리오 생성부, 22:포트폴리오 등록부,
24:배경영상 생성부, 26:화상비교부,
28:편집값 연산부, 30:화상편집 데이터 생성부,
32:화상보정 처리부.

Claims (18)

  1. 선행 촬상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1입력부(4a)와;
    상기 입력된 선행 촬상 데이터로부터 인물의 외형만을 추출하는 추출부(8)와;
    상기 추출된 선행 인물 데이터를 특징 블록 레이어로 생성하는 특징 블록 레이어 생성부(10)와;
    후행 촬상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2입력부(4b)와;
    상기 특징 블록데이터를 후행 촬상 화면상에 노출시키는 블록 중첩 표시부(14)와;
    선행 촬상데이터의 인물 데이터로 이루어진 특징 블록 레이어와, 후행 촬상레이어를 융합하는 특징 블록 융합부(16)와;
    상기 융합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부(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8)의 전단에는 인물의 외형을 특징 블록으로 지정하여 생성하기 위한 특징 블록 생성부(6)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8)는 지정된 인물의 외형을 특징 블록으로부터 인물의 위치를 추출하고, 소정의 인물 외형 모델(shape model)을 이용하여 선행 촬상데이터중 인물 외형을 추출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블록 레이어 생성부(10)를 통해 인물 외형으로 이루어진 특징블록이 포함된 레이어를 저장하는 특정블록 레이어 저장부(12)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중첩 표시부(14)는 선행 촬상데이터에 속한 인물외형의 특징블록 좌표공간을 제 2입력부(4b)를 통해 신규로 촬상된 후행 촬상데이터 상에 정합시켜서 하나의 좌표공간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6. a) 유저의 카메라 앱으로 선행 촬상데이터를 입력받는 과정과;
    b) 추출부(8)를 이용하여 상기 선행 촬상데이터로부터 인물 외형만을 추출하는 과정과;
    c) 상기 추출된 선행 인물외형을 특징 블록 레이어로 생성하는 과정과;
    d) 유저의 카메라 앱으로 후행 촬상데이터를 입력받는 과정과;
    e) 상기 후행 촬상데이터상에 선행 인물외형의 특징 블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f) 상기 후행 촬상데이터상에 선행 인물외형의 특징 블록 좌표를 조절하는 과정과;
    g) 유저의 카메라 앱으로 최종 촬상데이터가 입력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 과정은 상기 선행 인물외형에 대한 특징 블록의 좌표를 레이어상에 고정시켜서 표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f) 과정은 유저가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킴으로서 촬상객체에 대한 선행 인물외형의 위치가 변경되게 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g) 과정은 선행 촬상데이터의 인물 데이터로 이루어진 특징 블록 레이어와, 후행 촬상레이어를 융합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방법.
  10. 카메라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의 사용자 촬상 화상의 특징블록 포트폴리오를 등록하는 포트폴리오 등록부(22)와;
    배경 화상 또는 셀카 화상을 촬상하여 입력하는 입력부(4)와;
    배경화상을 생성하는 배경화상 생성부(24)와;
    상기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셀카 화상을 특징블록 포트폴리오와 비교하는 화상비교부(26)와;
    상기 화상비교부(26)를 통해, 특징블록 포트폴리오 화상기준으로, 셀카 화상의 편집할 특징블록을 생성하는 특징블록 생성부(6)와;
    셀카 화상의 편집할 특징블록에 대해, 특징블록 포트폴리오 화상의 편집값을 연산하는 편집값 연산부(28)와;
    상기 편집값 연산부(28)에서 연산된 값으로 화상 편집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편집 데이터 생성부(30)와;
    상기 화상편집 데이터 생성부(30)에서 생성된 화상편집 데이터를 원 촬상화상데이터에 정합 처리하는 화상 보정처리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폴리오 등록부(22)의 전단에는 사용자의 좌측으로 비스듬한 화상과, 우측으로 비스듬한 화상을 등록하고, 전방으로 돌출된 좌측 혹은 우측에 해당하는 특징블록 포트폴리오를 편집 대상의 특징블록으로 생성하는 특징블록 포트폴리오 생성부(2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값 연산부(28)는 미리 등록된 특징블록 포트폴리오의 사용자 머리 기준으로, 사용자 몸체가 이루는 촬상 각도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셀카 화상에 대한 촬상각도를 연산함으로써 보정에 기준이 되는 특징블록 포트폴리오를 추출하는 촬상각도 분석부(54)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값 연산부(28)는 상기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셀카 화상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특징블록 포트폴리오와 비교하여 좌/우 보정 대상영역중 어느 영역을 보정해야 하는 지 자동으로 분석하는 좌/우 보정 대상영역 분석부(56)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값 연산부(28)는 상기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셀카 화상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특징블록 포트폴리오와 비교하여 보정에 적용할 특징블록 포트폴리오의 사용자 의상라인을 추출하는 의상 라인 추출부(58)와;
    상기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셀카 화상데이터중 의상라인 내부에 위치한 의상 디자인과 색상을 추출하는 의상 디자인 추출부(6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15. a) 특징블록 포트폴리오를 등록하는 과정과;
    b) 셀카 촬영 객체에 포함될 배경 영상을 입력받아서 생성하는 과정과;
    c) 셀카 화상을 촬상하여 입력하는 과정과;
    d) 촬상된 셀카 화상을 기저장된 특징블록 포트폴리오와 비교하여 특정 특징블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는 과정과;
    e) 셀카 화상데이터에서 보정 대상영역인 특징블록을 생성하는 과정과;
    f) 셀카 화상의 편집할 특징블록에 대해, 대응되는 특징블록 포트폴리오 화상의 편집값을 연산하는 과정과;
    g) 연산된 편집값에 의해 화상 편집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h) 화상 편집데이터를 셀카 화상데이터의 특징 블록에 적용하여 보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a) 과정은 셀카 촬영시 카메라를 파지하면서 비스듬하게 틀어지는 좌/우로 비스듬하게 선 채로 촬영한 사용자의 포트폴리오를 촬상하여 등록하고, 다수의 촬상 각도로 촬상하여 등록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b) 과정은 셀카 촬영 객체에 포함될 배경 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과정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d) 과정은 셀카 화상분석을 통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비스듬한 특징블록 포트폴리오와, 촬상 각도가 일치되는 특징블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방법.
KR1020220043392A 2022-04-07 2022-04-07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144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392A KR20230144297A (ko) 2022-04-07 2022-04-07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30157087A KR20230159352A (ko) 2022-04-07 2023-11-14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392A KR20230144297A (ko) 2022-04-07 2022-04-07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7087A Division KR20230159352A (ko) 2022-04-07 2023-11-14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297A true KR20230144297A (ko) 2023-10-16

Family

ID=885064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392A KR20230144297A (ko) 2022-04-07 2022-04-07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30157087A KR20230159352A (ko) 2022-04-07 2023-11-14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7087A KR20230159352A (ko) 2022-04-07 2023-11-14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144297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352A (ko) 202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2964B2 (en) Modification of post-viewing parameters for digital images using image region or feature information
CN110738595B (zh) 图片处理方法、装置和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8582918B2 (en) Imaging device, image composition and display device, and image composition method
US9129381B2 (en) Modification of post-viewing parameters for digital images using image region or feature information
US8970717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WO2022042776A1 (zh) 一种拍摄方法及终端
US201500093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aborative digital imaging
CN112702521B (zh) 图像拍摄方法及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90087670A (ko) 촬영 정보 자동 추출 시스템 및 방법
JP2010171676A (ja) カメラ、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558428B1 (en) Inductive image editing based on learned stylistic preferences
US9881086B2 (en) Image shooting device, image shoo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8900764A (zh) 拍摄方法和电子装置以及拍摄控制方法和服务器
WO2019214574A1 (zh) 图像拍摄方法、装置及电子终端
CN108600610A (zh) 拍摄辅助方法和装置
CN112464012B (zh) 可自动筛选照片的景区自动拍照系统及景区自动拍照方法
CN114697539A (zh) 拍照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11586304B (zh) 一种基于5g及vr技术的全景摄像系统及方法
CN110581950B (zh) 相机、选择相机设置的系统和方法
CN109472230B (zh) 基于行人检测和互联网的运动员自动摄像推荐系统及方法
CN110266955A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20230144297A (ko) 카메라 앱기반 화상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JP2010087617A (ja) 撮影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
KR100422470B1 (ko) 3차원 동화상 모델 얼굴 대체 방법 및 장치
CN110177216A (zh) 图像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