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231A - 라인빔을 이용한 형상 프로파일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라인빔을 이용한 형상 프로파일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231A
KR20230144231A KR1020220043256A KR20220043256A KR20230144231A KR 20230144231 A KR20230144231 A KR 20230144231A KR 1020220043256 A KR1020220043256 A KR 1020220043256A KR 20220043256 A KR20220043256 A KR 20220043256A KR 20230144231 A KR20230144231 A KR 20230144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beam
biprism
measurement object
shape profile
devi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윤영
손재호
Original Assignee
(주) 인텍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텍플러스 filed Critical (주) 인텍플러스
Priority to KR1020220043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4231A/ko
Priority to PCT/KR2022/019032 priority patent/WO2023195593A1/ko
Publication of KR20230144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7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racting elements
    • G02B26/0883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racting elements the refracting element being a pr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빔을 이용한 형상 프로파일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 하우징은 내부 공간을 갖고, 한쪽 부위에 광 출력구와 광 입력구가 형성된다. 라인빔 모듈은 라인빔을 출력해서 광 출력구를 통해 측정대상물 표면으로 조사하도록 장치 하우징 내에 장착된다. 바이프리즘(bi-prism)은 출사면에 대해 광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경사진 제1,2 입사면을 갖고 광 출력구 내에 장착되며, 라인빔 모듈로부터 발산되는 라인빔을 제1,2 입사면으로 입사해서 굴절시켜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함에 따라 사이드 라인빔들을 생성해서 측정대상물 표면으로 조사한다. 카메라는 측정대상물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광 입력구를 통해 입력받도록 장치 하우징 내에 장착된다.

Description

라인빔을 이용한 형상 프로파일 측정장치{Shape profile measurement device using line beams}
본 발명은 측정대상물의 삼차원 형상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측정대상물의 삼차원 형상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접촉식 측정 방법과 비접촉식 측정 방법으로 나뉘며, 비접촉식 측정 방법 중 하나로 광삼각법이 사용되고 있다. 광삼각법은 측정대상물 표면에 임의의 정해진 각도로 광을 조사하고 다른 각도에서 표면 형상에 따라 변형된 광의 밝기를 추출하여 표면 형상 정보를 해석하는 방법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삼각법을 이용한 종래 예의 측정장치(10)는 라인빔 모듈(11)로부터 출력되는 라인빔을 측정대상물(W) 표면으로 조사하고 다른 각도에서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카메라(12)로 촬영해서 표면 형상 프로파일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전술한 측정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이미지의 A 영역에서 측정대상물(W) 표면에 입사하는 각도에 따라 특정 각도 이상에서 상이 맺히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다른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측정장치(10)는 측정대상물(W)의 갭(gap)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갭 주변 모서리 부분이 볼록 곡면진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광이 비스듬하게 조사될수록 입사각도가 감소하고, 반사되거나 산란되는 광이 카메라(12) 쪽을 향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이미지의 B 영역에서 모서리의 볼록 곡면진 부분이 이미징되지 않거나 이미징되어도 흐릿하여 모서리 경계가 모호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라인빔을 이용하여 측정대상물의 다양한 형상에 대해 정확한 형상 프로파일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인빔을 이용한 형상 프로파일 측정장치는 장치 하우징과, 라인빔 모듈과, 바이프리즘(bi-prism), 및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 하우징은 내부 공간을 갖고, 한쪽 부위에 광 출력구와 광 입력구가 형성된다. 라인빔 모듈은 라인빔을 출력해서 광 출력구를 통해 측정대상물 표면으로 조사하도록 장치 하우징 내에 장착된다. 바이프리즘은 출사면에 대해 광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경사진 제1,2 입사면을 갖고 광 출력구 내에 장착되며, 라인빔 모듈로부터 발산되는 라인빔을 제1,2 입사면으로 입사해서 굴절시켜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함에 따라 사이드 라인빔들을 생성해서 측정대상물 표면으로 조사한다. 카메라는 측정대상물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광 입력구를 통해 입력받도록 장치 하우징 내에 장착된다.
여기서, 바이프리즘은 프리즘 구동기구에 의해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정렬될 수 있다. 바이프리즘은 프리즘 구동기구에 의해 출사면과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바이프리즘은 프리즘 구동기구에 의해 라인빔 모듈과의 간격이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대상물의 다양한 형상에 대해 정확한 형상 프로파일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예에 따른 광삼각법을 이용한 측정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정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측정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빔을 이용한 형상 프로파일 측정장치에 대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바이프리즘에 의해 생성된 2개의 사이드 라인빔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바이프리즘의 정렬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바이프리즘 설계에 따른 라인빔의 경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빔을 이용한 형상 프로파일 측정장치에 대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바이프리즘에 의해 생성된 2개의 사이드 라인빔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빔을 이용한 형상 프로파일 측정장치(100)는 장치 하우징(110)과, 라인빔 모듈(120)과, 바이프리즘(bi-prism, 130), 및 카메라(140)를 포함한다.
장치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을 갖는다. 장치 하우징(110)은 라인빔 모듈(120)과 바이프리즘(130) 및 카메라(140)를 내장한다. 장치 하우징(110)은 디스플레이(150)의 화면을 노출시킨 상태로 디스플레이(150)를 장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사용자가 측정대상물(W)에 대해 측정한 값, 예컨대 갭(gap), 단차(flush) 값 등을 화면을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터치 입력 방식의 디스플레이 등을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장치 하우징(110)의 상부에 화면이 위치하도록 장치 하우징(110)에 장착될 수 있다.
장치 하우징(110)은 장치(100)의 온/오프 조작 등을 위한 조작부(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다. 장치 하우징(110)은 장치(100) 전반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60)를 내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라인빔 모듈(120), 카메라(140), 및 디스플레이(150)를 구동 제어한다.
프로세서(160)는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을 저장부에 탑재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은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갭, 단차 등의 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값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유무선 통신부를 통해 외부 PC와 통신하여 측정값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장치 하우징(110)은 하우징 본체(1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손잡이(112)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12)를 이용해 장치(100)를 핸드헬드(handheld) 형태, 즉 한 손으로 쥐고서 용이하게 측정대상물(W)의 형상 프로파일을 측정할 수 있다.
장치 하우징(110)은 프로세서(160)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70)를 내장할 수 있다. 배터리(17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장치(100)를 모바일 방식으로 휴대해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장치(100)는 배터리(170)를 내장하지 않고 전원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장치 하우징(110)은 한쪽 부위에 광 출력구(113)와 광 입력구(114)가 형성된다. 광 출력구(113)는 라인빔 모듈(120)로부터 출력되는 라인빔(L)을 통과시켜 측정대상물(W) 표면으로 조사시킨다. 광 입력구(114)는 측정대상물(W)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통과시켜 카메라(140)로 전달한다.
라인빔 모듈(120)은 라인빔(L)을 출력해서 광 출력구(113)를 통해 측정대상물(W) 표면으로 조사하도록 장치 하우징(110) 내에 장착된다. 라인빔 모듈(120)은 레이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라인빔(L)은 레이저 사양에 따른 설정 발산각으로 발산되어 측정대상물(W) 표면에 라인 형태로 조사된다.
바이프리즘(130)은 출사면(133)에 대해 광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경사진 제1,2 입사면(131, 132)을 갖고 광 출력구(113) 내에 장착된다. 바이프리즘(130)은 이등변 삼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이프리즘(130)은 밑변을 갖는 면이 출사면(133)의 역할을 하고, 이등변을 갖는 면들이 제1,2 경사면(131, 132)의 역할을 한다. 바이프리즘(130)은 출사면(133)이 제1,2 경사면(131, 132)보다 광 출력구(113)에 가깝게 배치되고, 제1,2 경사면(131, 132)이 라인빔 모듈(120)의 광축에 대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바이프리즘(130)은 라인빔 모듈(120)로부터 발산되는 라인빔(L)을 제1,2 입사면(131, 132)으로 입사해서 굴절시켜 출사면(133)으로부터 출사함에 따라 사이드 라인빔(L1)들을 생성해서 측정대상물(W) 표면으로 조사한다. 바이프리즘(130)은 제1,2 입사면(131, 132)으로 입사되는 라인빔(L)을 굴절시킴에 따라 방향을 바꿔 출사면(133)을 통해 출사함으로써 사이드 라인빔(L1)들을 생성한다. 즉, 바이프리즘(130)은 제1,2 입사면(131, 132)에 의하여 2개의 사이드 라인빔(L1)들을 생성한다. 이때, 바이프리즘(130)은 중앙 쪽 라인빔(L)도 사이드 라인빔(L1)들을 생성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사이드 라인빔(L1)들은 비교적 밝고 균일하게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라인빔 모듈(120)로부터 발산되는 라인빔(L)을 바이프리즘(130)에 의해 굴절시켜 2개의 사이드 라인빔(L1)들을 생성해서 측정대상물(W) 표면으로 조사하므로, 측정대상물(W) 표면에 입사되는 라인빔(L1)의 입사각을 다양하게 만들어줄 수 있다.
그에 따라, NA(Numerical aperture) 값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측정대상물(W)의 갭 측정시, 갭 주변 모서리 부분이 볼록 곡면진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모서리의 볼록 곡면진 부분을 이미징해서 형상 프로파일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비교 예로서, 한 쌍의 미러들이 라인빔 모듈(120)로부터 주변으로 발산되는 라인빔(L)을 반사시켜 측정대상물(W) 표면으로 조사하도록 광 출력구(113) 내에 광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어 장착되는 경우, 중앙 라인빔은 밝고 얇은 형태로 유지하나, 2개의 사이드 라인빔들은 출사 끝으로 갈수록 급격히 두꺼워지며 밝기도 약해지기 때문에, 사이드 라인빔들에 의해 측정대상물(W)의 형상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바이프리즘(130)이 라인빔 모듈(120)로부터 발산되는 라인빔(L)을 굴절시켜 비교적 밝고 균일한 2개의 사이드 라인빔(L1)들을 생성해서 측정대상물(W) 표면으로 조사하므로, 비교 예와 같이 한 쌍의 미러들을 이용하는 것보다, 측정대상물(W)의 형상 프로파일을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카메라(140)는 측정대상물(W)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광 입력구(114)를 통해 입력받도록 장치 하우징(110) 내에 장착된다. 카메라(140)는 측정대상물(W)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해서 이미지를 획득한다. 카메라(140)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는 피사체에 대한 광학적 상을 받아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미지센서는 CCD(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미지센서 등일 수 있다. 카메라(140)는 렌즈(141)를 거쳐 광을 전달받을 수 있다.
추가 양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프리즘(130)은 프리즘 구동기구(136)에 의해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바이프리즘(130)은 프리즘 구동기구(136)에 의해 출사면(133)과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바이프리즘(130)은 제1,2 입사면(131, 132)이 라인빔 모듈(120)의 라인빔(L)에 대해 정렬되어 비교적 밝고 균일한 사이드 라인빔(L1)들을 생성해서 측정대상물(W) 표면으로 조사함으로써, 측정대상물(W)의 형상 프로파일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바이프리즘(130)은 광축을 중심으로 조정되거나, 출사면(133)과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조정되므로, 2개의 미러 각도가 각각 양측에서 조정되는 방식보다, 장착 공간의 폭 및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바이프리즘(130)은 프리즘 구동기구(136)에 의해 라인빔 모듈(120)과의 간격이 정렬될 수 있다. 바이프리즘(130)이 라인빔 모듈(120)로부터 멀어질수록 측정대상물(W)에 대한 입사각이 큰 사이드 라인빔(L1)들을 만들 수 있고, 라인빔 모듈(120)로부터 가까워질수록 측정대상물(W)에 대한 입사각이 작은 사이드 라인빔(L1)들을 만들 수 있다. 바이프리즘(130)은 측정대상물(W)의 측정 조건에 따라 라인빔 모듈(120)과의 간격이 정렬됨으로써, 측정대상물(W)의 형상 프로파일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프리즘 구동기구(136)는 프로세서(160)에 의해 구동 제어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프리즘 구동기구(136)에 의해 바이프리즘(130)을 정렬할 수 있다. 프리즘 구동기구(136)는 공지의 다양한 회전 액추에이터와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프리즘(130)의 제1,2 입사면(131, 132)의 기울기가 클수록 라인빔(L)의 진행 방향이 많이 꺾이고, 바이프리즘(130)의 굴절률이 클수록 라인빔(L)의 진행 방향이 많이 꺾인다. 따라서, 바이프리즘(130)은 제1,2 입사면(131, 132)의 기울기와 굴절률에 따라 라인빔 포커스 거리(line beam focus distance)와 양 사이드 라인빔이 겹치는 구간(overlap area)이 동일한 조건을 맞추기 위해 라인빔 모듈(120)과의 간격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바이프리즘(130)이 라인빔 모듈(120)에 대해 멀게 배치되면 입사각이 큰 사이드 라인빔(L1)을 만들 수 있으며, 대신 바이프리즘(130)의 부피가 커지고 작동 거리(working distance)가 짧아진다. 반면, 바이프리즘(130)이 라인빔 모듈(120)에 대해 가깝게 배치되면 바이프리즘(130)의 부피가 작아지고 작동 거리가 길어지지만, 사이드 라인빔(L1)의 입사각을 크게 만들 수가 없다. 따라서, 바이프리즘(130)은 사용 환경에 따라 사이드 라인빔(L1)의 입사각과 작동 거리에 맞춰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장치 하우징 120..라인빔 모듈
130..바이프리즘 131..제1 입사면
132..제2 입사면 133..출사면
136..프리즘 구동기구 140..카메라
150..디스플레이 160..프로세서
170..배터리

Claims (4)

  1. 내부 공간을 갖고, 한쪽 부위에 광 출력구와 광 입력구가 형성된 장치 하우징;
    라인빔을 출력해서 상기 광 출력구를 통해 측정대상물 표면으로 조사하도록 상기 장치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라인빔 모듈;
    출사면에 대해 광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경사진 제1,2 입사면을 갖고 상기 광 출력구 내에 장착되며, 상기 라인빔 모듈로부터 발산되는 라인빔을 상기 제1,2 입사면으로 입사해서 굴절시켜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함에 따라 사이드 라인빔들을 생성해서 측정대상물 표면으로 조사하는 바이프리즘(bi-prism); 및
    측정대상물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상기 광 입력구를 통해 입력받도록 상기 장치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카메라;
    를 포함하는 라인빔을 이용한 형상 프로파일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프리즘은 프리즘 구동기구에 의해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빔을 이용한 형상 프로파일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프리즘은 프리즘 구동기구에 의해 상기 출사면과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빔을 이용한 형상 프로파일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프리즘은 프리즘 구동기구에 의해 상기 라인빔 모듈과의 간격이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빔을 이용한 형상 프로파일 측정장치.
KR1020220043256A 2022-04-07 2022-04-07 라인빔을 이용한 형상 프로파일 측정장치 KR20230144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256A KR20230144231A (ko) 2022-04-07 2022-04-07 라인빔을 이용한 형상 프로파일 측정장치
PCT/KR2022/019032 WO2023195593A1 (ko) 2022-04-07 2022-11-29 라인빔을 이용한 형상 프로파일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256A KR20230144231A (ko) 2022-04-07 2022-04-07 라인빔을 이용한 형상 프로파일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231A true KR20230144231A (ko) 2023-10-16

Family

ID=88242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256A KR20230144231A (ko) 2022-04-07 2022-04-07 라인빔을 이용한 형상 프로파일 측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4231A (ko)
WO (1) WO202319559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9487A (ja) * 2004-03-02 2005-09-15 Seiko Epson Corp 表面形状測定方法及び眼鏡レンズの特性測定方法
KR101233993B1 (ko) * 2009-09-01 2013-02-18 (주)나노인사이드 3차원 광학장치
JP2015141372A (ja) * 2014-01-30 2015-08-03 株式会社ミツトヨ 照射装置、照射方法、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KR102078376B1 (ko) * 2017-12-28 2020-02-17 (주) 유남옵틱스 라인빔 형성장치
CN112330794B (zh) * 2020-10-09 2022-06-14 同济大学 基于旋转二分棱镜的单相机图像采集系统和三维重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5593A1 (ko)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6245B2 (ja) 物体の六つの自由度を求めるための測定システム
US11467261B2 (en) Distance measuring device and moving object
JP3855756B2 (ja) 3次元色形状検出装置及び3次元スキャナー
US2016025298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n optical system outputting diffuse light and having a sensor
WO1997006406A1 (fr) Appareils de mesure de la distance et de la forme
JP2002139304A (ja) 距離測定装置、及び距離測定方法
JP6953446B2 (ja) ガラス上面の粒子検出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入射光照射方法
US6414749B1 (en) Uneven-pattern reading apparatus
CN110726382B (zh) 用于借助电磁射束检测物体表面的设备和方法
JP2015141372A (ja) 照射装置、照射方法、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US8702280B2 (en) Light source device
KR20230144231A (ko) 라인빔을 이용한 형상 프로파일 측정장치
FI12790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surface height
JP6309938B2 (ja) 3次元位置計測システム、3次元位置計測用プローブ、及びキャリブレータ
KR102482232B1 (ko) 라인빔을 이용한 형상 프로파일 측정장치
KR102249842B1 (ko) 3차원 스캐너 장치
JP2022504127A (ja) 3d検出用光学エンジンおよび3d検出デバイス
KR100876821B1 (ko) 촬영 영역 내에서 정확하게 얼굴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
JPWO2001098760A1 (ja) 検査用照明装置
CN113008787A (zh) 光源装置及光学检测系统
KR20150136036A (ko) 3차원 스캐닝 방법 및 스캐너 장치
US20180036885A1 (en) Projection apparatus, measure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roduct
KR102456998B1 (ko) 폴리곤미러 기반 미세 격자 패턴 생성 장치
JPH04110706A (ja) 三次元形状データ取込み装置
US20200309516A1 (en) Three-dimensional measuring apparatus and robo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