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213A - 원자외선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원자외선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213A
KR20230144213A KR1020220043206A KR20220043206A KR20230144213A KR 20230144213 A KR20230144213 A KR 20230144213A KR 1020220043206 A KR1020220043206 A KR 1020220043206A KR 20220043206 A KR20220043206 A KR 20220043206A KR 20230144213 A KR20230144213 A KR 20230144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ultraviolet ray
electrodes
lamp
ray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문성학
강남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3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4213A/ko
Publication of KR20230144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73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12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Specified operating pressure or temperature
    • H01J61/16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Specified operating pressure or temperature having helium, argon, neon, krypton, or xenon as the principle constitu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형의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 상기 자외선 램프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자외선 램프와 중첩되는 복수개의 전극; 상기 복수개의 전극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전극에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전극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극 가이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전극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원자외선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는 램프를 복수개 배열하여 자외선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낮은 전압으로 대면적의 자외선 발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자외선 발생 장치{FAR ULTRAVIOLET GENERATOR}
본 발명은 램프의 길이가 증가되어도 양 전극 사이에서 걸리는 전압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원자외선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램프는 자외선을 발생시켜, 세균 및 진균 등의 살균을 목적으로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된다.
자외선 램프는 램프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필요한 시기에 간편한 조작으로 적절히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비와 유지비가 저렴하다. 또한, 자외선 램프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은 변화가 거의 없어, 지속적으로 동일한 살균력을 가진다.
자외선 램프는 램프의 내부에 제공되는 물질에 의하여 다양한 파장의 자외선(Ultraviolet rays, UV)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UV-A(315 nm ~ 400 nm), UV-B(280 nm ~ 315 nm), UV-C(100 nm ~ 280 nm)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중, UV-C에 해당되는 파장에서, 253.7nm 파장의 자외선이 가장 살균력이 우수하다. 세균 및 진균 등에 UV-C가 조사되면, 세균 및 진균 등의 DNA가 손상되어 사멸된다. 즉, 자외선은 생물의 DNA를 손상시킴으로써, 다양한 균들에 대하여 유효한 살균력을 가진다.
따라서, 자외선 램프를 이용한 살균은 열에 의한 살균, 약품에 의한 살균, 오존 등에 의한 살균, 방사선에 의한 살균 보다 효율적이다. 다만, 자외선은 생물의 DNA를 손상시킴으로써, 사람 등에게 조사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된 특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1-0044296호(공개일: 2021.04.22)에 자외선 조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는 튜브형 램프의 축방향으로 한쌍의 전극 배치되어 있고 양전극 사이는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어야 자외선이 발생 가능하다.
이는 전극 간의 간격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대면적 구동을 위해 램프 길이가 증가되면 추가적인 전극 세트를 연결하거나 새로운 모듈 세트를 부착하여 자외선 발생을 유도하여야 하고, 자외선 발생이 불균일하거나 공간적인 제약이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극을 효과적으로 설계하여 램프의 방전을 용이하게 하는 원자외선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램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램프의 사이에 양 전극을 구비하여 상기 램프의 길이가 증가하더라도 양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는 튜브형의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 상기 자외선 램프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자외선 램프와 중첩되는 복수개의 전극; 및 상기 복수개의 전극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전극에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전극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극 가이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전극 연결부 각각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자외선 램프에는 아르곤(Ar), 네온(Ne), 크세논(Xe), 크립톤(K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전 가스가 구비되고, 상기 방전 가스는 ArBr, ArCl, ArF, NeF, XeI, XeBr, XeF, KrBr, KrCl 및 Kr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는 자외선 램프의 지름이 3 ~ 2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극의 전기 저항은 10 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전극의 이격 거리는 2 ~ 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에서 상기 전극 케이스는 복수개의 전극이 도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전극 분리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극 분리 가이드는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극 연결부에는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홀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홀은 상기 전극 가이드 케이스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램프 체결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는 전극 연결부의 간격을 최소화하면서 방전을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전극 구조를 제공하여, 램프의 길이가 증가하여도 전압의 큰 증가 없이 대면적의 자외선 발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배열을 통해 램프의 장축 방향 및 단축 방향 모두에 전압의 큰 증가 없이 자외선 조사 범위를 설정할 수 있고, 램프를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자외선의 강도는 동일 용량의 하나의 램프에 비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는 공기 청정기, 공기 제균기, 공기 조화기, 기타 송풍 장치뿐만 아니라, 살균기, 세척기 등과 같이, 다양한 홈 어플라이언스에 포함되어, 공기와 사용자가 사용할 물질에 존재하는 세균을 살균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발생 장치에서 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에서 자외선 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에 램프 체결 커버가 구비된 원자외선 발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의 원자외선 강도를 분석한 결과이고, 도 5의 (b)는 램프가 1개 구비된 원자외선 발생 장치의 자외선 강도를 분석한 결과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튜브형의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
상기 자외선 램프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자외선 램프와 중첩되는 복수개의 전극;
상기 복수개의 전극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전극에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전극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극 가이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전극 연결부 각각의 사이에 구비되는 원자외선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종래의 원자외선 발생 장치는 하나의 램프 표면에 전극과 전극을 대칭으로 배열하여 방전을 유도하여 램프의 사이즈가 증가되면 전극의 간격도 멀어져 파센법칙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이 수 kV에서 수십 kV로 상당히 증가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 인버터의 허용 전압을 높이게 되어 트랜스 및 기타 부품들의 부피가 커지게 되어 제품의 사이즈가 커지고 또한 유해 전파의 발생량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는 전극 연결부의 간격을 최소화하면서 방전을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전극 구조를 제공하여, 램프의 길이가 증가하여도 전압의 큰 증가 없이 대면적의 자외선 발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배열을 통해 램프의 장축 방향 및 단축 방향 모두에 전압의 큰 증가 없이 자외선 조사 범위를 설정할 수 있고, 램프를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자외선의 강도는 동일 용량의 하나의 램프에 비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는 공기 청정기, 공기 제균기, 공기 조화기, 기타 송풍 장치뿐만 아니라, 살균기, 세척기 등과 같이, 다양한 홈 어플라이언스에 포함되어, 공기와 사용자가 사용할 물질에 존재하는 세균을 살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100)는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110), 복수개의 전극(120) 및 전극 케이스(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100)에서 자외선 램프(110)는 튜브형이고, 복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전극(120)은 상기 자외선 램프(1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자외선 램프와 중첩된다.
상기 전극 가이드 케이스(130)는 상기 전극(120)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120)에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전극 연결부(132, 134)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 연결부는 제1 전극 연결부(132) 및 제2 전극 연결부(134)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전극 연결부(132) 및 상기 제2 전극 연결부(134) 각각에는 전원이 연결될 수 있는 홀(132', 134')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연결부(132) 및 상기 제2 전극 연결부(134) 각각에 구비되는 홀(132', 134')은 일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각각의 홀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이하므로, 이를 구별하기 위해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가이드 케이스에는 상기 복수개의 전극(120)이 도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전극 분리 가이드(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상기 자외선 램프에는 아르곤(Ar), 네온(Ne), 크세논(Xe), 크립톤(K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전 가스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방전 가스는 ArBr, ArCl, ArF, NeF, XeI, XeBr, XeF, KrBr, KrCl 및 Kr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램프(110)의 지름은 3 ~ 2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램프(110)의 지름이 3 mm 미만인 경우에는 자외선 램프의 쉽게 파손되거나 제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20 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외선 램프(110)의 내부에 구비된 방전 가스를 여기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전압이 상승하여,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전극(120)의 전기 저항은 10 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120)의 전기 저항이 10 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압이 상승하여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전극(120)의 이격 거리는 2 ~ 1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전극(120)의 이격 거리가 2 mm 미만인 경우에는 인접한 전극끼리 도전되는 문제가 있고, 10 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외선 발생을 위한 전압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발생 장치에서 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자외선 램프(110)의 하부에 구비되되, 좌우측에 전극(120)이 구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전극(120)의 하부에는 전극 연결부(132, 134)가 구비되고, 상기 전극 연결부(132, 134)에는 상기 전극 연결부에 서로 다른 전원이 연결되어, 상기 전극 연결부(134, 134)의 상부에 구비된 전극(120)에 양전압 및 음전압을 각각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전극(120)의 사이, 구체적으로 전극 연결부(132, 134)의 사이에는 전극 분리 가이드(13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인접하는 전극(120)이 도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며, 이러한 전극 분리 가이드(136)의 재질로는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외선 램프(110)가 전극(120) 사이에 50% 이하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자외선 램프(110)의 길이가 증가되어도 양 전극(120) 사이에서 걸리는 전압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전압의 증가 없이 자외선 램프(110)를 복수개 배치하여 자외선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낮은 전압으로 대면적의 자외선 발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추가로, 자외선 램프(110)을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자외선의 강도는 동일 용량의 하나의 램프에 비해 자외선 강도가 면적에서 고르게 증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에서 자외선 램프(11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에서 자외선 램프(110)는 유전체(112), 상기 유전체(112)의 외면에 전극(120)이 제공되고, 상기 전극(120)와 상기 유전체(112)를 감싸는 비산방지 절연막(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체(112)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바, 튜브, 파이프 등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전체(112)는 단면이 원형, 다각형, 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전체(112)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전체(112)는 설정된 직경(d)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일정한 면적에 균일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유전체(112)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발생된 자외선이 손실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외부공간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자외선의 투과율이 높은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전체(112)는 석영(Quartz), 붕규산염(Borosilicate), 석영 또는 붕규산염이 함유된 유리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전체(112)가 석영 또는 붕규산염으로 제공될 경우 70 ~ 99%의 자외선이 외부공간으로 투과할 수 있다. 상기 유전체(112)는 상기 전극(120)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불활성 가스(116)가 여기(Excitation) 되도록 하는 용량성 결합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전체(112)는 4 ~ 7범위의 유전상수(ε)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전체(112)의 내부공간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은 상기 유전체(112)를 통과하여 외부공간으로 조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유전체(112)의 형상은 상기 내부공간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이 외부로 조사되는 면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유전체(112)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설정된 직경(d)을 가지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므로, 다수의 유전체(112)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할 경우, 일정한 면적에서 균일하게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전극(120)은 상기 전극(120)의 하부에 제공되는 전극 연결부(132, 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120)은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유전체(112)의 내부에 구비된 방전 가스(116)을 여기시키는 외부전극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전극 방식으로 상기 전극(12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필라멘트 방식의 종래 자외선 램프에서 자외선 램프의 내부에 배치된 필라멘트의 열 손실로 인하여 자외선 램프의 수명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자외선 램프(110)의 수명이 대폭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연결부(132, 134) 중 제1 전극 연결부(132)와 제2 전극 연결부(134)는 상기 유전체(112)의 외면에서 양측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연결부(132)와 상기 제2 전극 연결부(134)는 상기 유전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 연결부(132)는 상기 유전체(112)의 좌측에 제공되면, 상기 제2 전극 연결부(134)는 상기 유전체(112)의 우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연결부(132, 134)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1 전극 연결부(132)와 상기 제2 전극 연결부(134)에는 서로 다른 전극이 인가될 수 있고, 상기 제1 전극 연결부(132)와 상기 제2 전극 연결부(134)의 사이에서 전기장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장에 의해서 상기 유전체(112)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불활성 가스(116)은 상기 전기장에 의해 여기되어 원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극 연결부(132)와 상기 제2 전극 연결부(134)가 상기 유전체(112)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전극 연결부(132)와 상기 제2 전극 연결부(134)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장은 상기 유전체(112)의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게 발생될 수 있다. 균일하게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서 상기 유전체(112)의 내부에 구비된 방전 가스(116)는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전극(120)은 도전성 물질을 상기 유전체(112)의 외면에 고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120)은 전기 전도율이 우수한 은(Ag), 구리(Cu), 백금(Pt), 탄소나노튜브(CNT)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120)을 상기 유전체(112)의 외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결합제를 상기 전극(120)와 상기 유전체(112)의 외면 사이에 개입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비산방지 절연막(114)은 상기 유전체(112)를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 절연막(114)은 상기 유전체(112)를 감싸는 막 또는 필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 절연막(114)은 상기 유전체(112)을 감싸도록 제공되어, 상기 유전체(112)가 파손되었을 시 상기 유전체(112)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 절연막(114)은 상기 유전체(112)에서 발생된 자외선이 투과량의 손실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외부공간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자외선 투과량이 높은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산방지 절연막(114)은 상기 유전체(112)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이 장시간 동안에 조사되기 때문에 자외선에 강한 내성을 가지는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산방지 절연막(114)은 불소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로 제공될 수 있으며, FEP, ETFE, PFA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에 램프 체결 커버가 구비된 원자외선 발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는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110), 복수개의 전극(120) 및 전극 가이드 케이스(130)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가이드 케이스(130)는 상기 전극(120)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120)에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전극 연결부(132, 13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극 연결부는 제1 전극 연결부(132) 및 제2 전극 연결부(134)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전극 연결부(132) 및 상기 제2 전극 연결부(134) 각각에는 전원이 연결될 수 있는 홀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가이드 케이스(130)에는 상기 복수개의 전극(120)이 도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전극 분리 가이드(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자외선 발생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110)를 고정하기 위한 램프 체결 커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램프 체결 커버(140)는 램프의 안정한 고정을 위해 자외선 램프(110)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램프 체결 커버(140)가 최종적으로 합체된 형태를 우측에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의 원자외선 강도를 분석한 결과이다.
유사 입력 전압으로 자외선의 발생 광량을 측정할 시 복수개의 램프를 이용하여 대면적으로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도 5의 (a)) 및 램프 1개를 이용하는 원자외선 발생 장치(도 5의 (b))를 비교하였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는 복수개의 램프가 구비되어 자외선 강도가 중심에서 4.1 mW/cm2으로 나타났고, 원자외선 발생 장치의 외관에서의 자외선 강도 평균은 2.0 mW/cm2으로 나타나, 외관에서의 자외선 강도 편차는 0.65 mW/cm2로 나타났다.
반면, 1개의 램프를 이용한 원자외선 발생 장치는 중심에서 5.0 mW/cm2으로 나타났고, 원자외선 발생 장치의 외관에서의 자외선 강도 평균은 1.23 mW/cm2으로 나타나, 외관에서의 자외선 강도 편차는 0.85 mW/cm2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원자외선 발생 장치는 복수개의 램프가 구비되어 자외선 강도가 165%로 높은 것을 알 수 있고, 대면적 확정을 위해 전극의 길이 및 배열 수를 자유롭게 할 수 있어, 사용자 니즈(needs)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원자외선 발생 장치
110: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 120: 복수개의 전극
130: 전극 케이스 132: 제1 전극 연결부
134: 제2 전극 연결부 136: 전극 분리 가이드
140: 램프 체결 커버

Claims (10)

  1. 막대 형상의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
    상기 자외선 램프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자외선 램프와 중첩되는 복수개의 전극; 및
    상기 복수개의 전극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전극에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전극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극 가이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전극 연결부 각각의 사이에 구비되는 원자외선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에는 아르곤(Ar), 네온(Ne), 크세논(Xe), 크립톤(K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전 가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외선 발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가스는 ArBr, ArCl, ArF, NeF, XeI, XeBr, XeF, KrBr, KrCl 및 Kr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외선 발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의 지름은 3 ~ 2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외선 발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전기 저항은 10 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외선 발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극의 이격 거리는 2 ~ 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외선 발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가이드 케이스는 복수개의 전극이 도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전극 분리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외선 발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분리 가이드는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외선 발생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연결부에는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전극 가이드 케이스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외선 발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외선 발생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램프 체결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외선 발생 장치.
KR1020220043206A 2022-04-07 2022-04-07 원자외선 발생 장치 KR20230144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206A KR20230144213A (ko) 2022-04-07 2022-04-07 원자외선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206A KR20230144213A (ko) 2022-04-07 2022-04-07 원자외선 발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213A true KR20230144213A (ko) 2023-10-16

Family

ID=8850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206A KR20230144213A (ko) 2022-04-07 2022-04-07 원자외선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42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9673A (en) Ozone generator having an electrode formed of a mass of helical windings and associated method
EP2433657B1 (en) Air sterilizing assembly
US8834789B2 (en) Fluid treatment system comprising radiation source module and cooling means
JP5863061B2 (ja) 流体を紫外線光に晒すことによって流体に殺菌処理を施すための装置
KR20010015789A (ko) 오존발생기
US7794673B2 (en) Sterilizer
US5283498A (en) High-power radiator
CN112735938A (zh) 一种准分子紫外光源装置
CN102272041B (zh) 光学反应器和用于光学反应器的驱动电路
JP7155481B2 (ja) 放電ランプおよびオゾン生成方法
JP6871038B2 (ja) 放電ランプ、オゾン生成装置およびオゾン生成方法
JP7145597B2 (ja) オゾン生成装置およびエキシマランプ点灯方法
KR20230144213A (ko) 원자외선 발생 장치
CN212880333U (zh) 深紫外杀菌消毒准分子灯
JP4986509B2 (ja) 紫外連続スペクトルランプおよび点灯装置
KR20190056838A (ko) 자외선 살균 램프 및 자외선 살균 모듈
US9896335B1 (en) Multiple oxygen allotrope generator
KR20190056845A (ko) 자외선 살균 램프 및 자외선 살균 모듈
KR20060074889A (ko) 유전체 배리어 방전 램프 및 자외선 조사장치
US20080284335A1 (en) Discharge lamp
Tarasenko et al. Barrier-discharge excilamps: history, operating principle, prospects∗∗ To the radiant memory of Galina Arkad’evna Volkova (1935–2011).
CN215266190U (zh) 一种准分子紫外光源装置
KR100384373B1 (ko) 고농도 오존발생장치
Shah Spectroscopic analysis of ultraviolet lamps for disinfection of air in hospitals
KR200187879Y1 (ko) 산업용 오존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