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854A - Handle apparatus for wheel excavator - Google Patents
Handle apparatus for wheel exca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43854A KR20230143854A KR1020220043011A KR20220043011A KR20230143854A KR 20230143854 A KR20230143854 A KR 20230143854A KR 1020220043011 A KR1020220043011 A KR 1020220043011A KR 20220043011 A KR20220043011 A KR 20220043011A KR 20230143854 A KR20230143854 A KR 202301438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ring handle
- handle
- steering
- unit
- mounting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8—Spokes, e.g. resili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3—Steering inpu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굴삭 작업을 진행할 때 조향 핸들부를 스포크부의 내측으로 회전시켜 절첩하여 조향 핸들부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nd more specifically, when excavating an excavator, the steering handle is rotated and folded to the inside of the spoke part to minimize the driver's view being obscured by the steering handle,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It relates to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that can improve
일반적으로, 건설기계 또는 중장비는 토목공사나 건축공사,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기계를 총칭하는 것으로 굴삭기, 불도우저, 로우더, 지게차 등이 대표적인 건설기계에 속한다.In general, construction machinery or heavy equipment is a general term for machines used in civil engineering, building, or construction work, and representative examples of construction machinery include excavators, bulldozers, loaders, and forklifts.
그리고 굴삭기는 건축 및 토목 공사시 땅을 파거나 메우는 굴삭작업, 경토/암반 파쇄 등의 브레이커 작업, 흙다짐과 같은 컴팩터 작업, 절단 등의 크라샤 작업과 같은 다양한 작업에 사용된다. 이러한, 굴삭기는 보통 주행 동력을 얻기 위해 디젤 엔진 등의 엔진을 탑재하고 있으며, 엔진의 힘을 이용하여 유압 펌프를 구동하여 유압 모터나 유압 실린더 등의 유압 액추에이터를 작동하여 주행용 크롤러 또는 타이어의 회전이나 붐, 아암, 버켓 등을 움직이게 된다.Excavators are used for various tasks such as excavation work to dig or fill the ground during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work, breaker work such as light soil/rock crushing, compactor work such as soil compaction, and crusher work such as cutting. These excavators are usually equipped with engines such as diesel engines to obtain driving power, and use the power of the engine to drive a hydraulic pump to operate hydraulic actuators such as hydraulic motors or hydraulic cylinders to rotate the driving crawler or tires. It moves the boom, arm, bucket, etc.
또한, 굴삭기는 크게 무한궤도를 이동수단으로 사용하는 궤도식 굴삭기와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휠 굴삭기로 구분되며, 신속한 이동을 위해서 바퀴를 사용하는 휠 타입 굴삭기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휠 타입 굴삭기는 운전석의 정면 중앙부에 주행시 조향을 위한 핸들이 마련되고, 핸들의 양측으로 굴삭시 암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가 마련된다.In addition, excavators are largely divided into track-type excavators that use crawler tracks as a means of movement and wheel excavators that move using wheels. Wheel-type excavators that use wheels are often used for rapid movement. A wheel-type excavator is equipped with a handle for steering during driving in the front center of the driver's seat, and operating lever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to operate the arm during excava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휠 타입 굴삭기는, 굴착 등과 같은 굴삭 작업을 진행할 때 조향 핸들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지므로, 작업자의 굴삭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wheel-type excavator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driver's field of view is blocked by the steering wheel when performing excavation work such as excavation,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or's excavation work is difficult and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ncreases. .
또한, 종래기술의 휠 타입 굴삭기는, 조향 핸들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지므로, 운전자가 조향 핸들을 피해서 불편한 자세로 지속적인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운전자의 허리, 등, 어깨 등에 많은 통증이 발생함은 물론 작업 후 심한 피로감을 유발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in the wheel-type excavator of the prior art, the driver's field of view is blocked by the steering wheel, so as the driver avoids the steering wheel and continues to work in an uncomfortable position, a lot of pain occurs in the driver's back, shoulders, etc. Of course, there is also the problem of causing severe fatigue after work.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5-0073463호(공개일:2015년07월01일)에는 "휠 굴삭기의 핸들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Meanwhile, 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73463 (publication date: July 1, 2015) discloses “handle device for wheel excavat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굴삭 작업시에 핸들을 포크측으로 회전시켜 접을 수 있으므로, 굴삭 작업을 진행할 때 조향 핸들부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시야 확보로 굴삭 작업 중에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response to the above-mentioned need, and can be folded by rotating the handle to the fork side during excavation work, thereby preventing the driver's view from being obscured by the steering handle unit when excavating work, thereby increasing work efficienc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that can not only improve performance, but also prevent safety accidents during excavation work by ensuring stable visibility.
또한, 본 발명은 굴삭 작업을 진행할 때 조향 핸들을 접어서 운전자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에 편안하게 착석한 상태에서 허리, 등, 어깨 등에 불편함 없이 굴삭 작업이 가능하여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driver's view from being obscured by folding the steering handle when excavating, allowing the driver to perform excavation work without discomfort to the waist, back, shoulders, etc. while comfortably seated in the driver's seat, thereby reducing fatigue. There is another purpose in providing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that can be us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은, 조향을 위한 스티어링 컬럼에 결합되는 스포크부와, 상기 스포크부에 적어도 2개 이상 이격되게 구비되는 핸들장착 브라켓부와, 양단부가 상기 핸들장착 브라켓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포크부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포크부에 중첩되게 접히는 복수의 조향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oke part coupled to a steering column for steering, a handle mounting bracket part provided at least two or more spaced apart from the spoke part, and , both ends of which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handle mounting bracket part,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steering handle parts that are rotated toward the spoke part and folded to overlap the spoke par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포크부는, 상기 스티어링 컬럼에 고정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3개 돌출 형성되며, 끝단부에 상기 핸들장착 브라켓부가 구비되는 스포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oke portion includes a hub fixed to the steering column, three spokes that protrude at equal intervals based on the center of the hub, and the handle mounting bracket portion is provided at the end. Do it as
또한, 본 발명에서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은, 상기 조향 핸들부의 회전을 지지 및 가이드하도록 상기 핸들장착 브라켓부와 상기 조향 핸들부에 구비되는 핸들절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the handle mounting bracket portion and a handle folding guide portion provided on the steering handle portion to support and guide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handle por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핸들절첩 가이드부는, 상기 조향 핸들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 중심축부재와, 상기 조향 핸들부의 회전을 특정 각도로 구속하기 위한 회전각도 구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folding guide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otation support central axis member for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handle part, and a rotation angle constraint member for con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handle part at a specific angl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지지 중심축부재는, 상기 핸들장착 브라켓부와 상기 조향 핸들부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다른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조향 핸들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support central axis member is fastened to penetrate one of the handle mounting bracket part and the steering handle part and is inserted into the other to support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handle par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핸들장착 브라켓부는, 상기 회전지지 중심축부재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축체결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mounting bracke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haft fastening hole portion through which the rotation support central shaft member is fastened is form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조향 핸들부는, 상기 회전지지 중심축부재가 삽입되는 힌지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handle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a hinge groove part into which the rotation support central axis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각도 구속부재는, 상기 핸들장착 브라켓부와 상기 조향 핸들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핸들장착 브라켓부와 상기 조향 핸들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핀부재의 회전반경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angle restraining member includes a pin member provided in one of the handle mounting bracket portion and the steering handle portion, and another one of the handle mounting bracket portion and the steering handle portion so that the pin member is inserted. It is provided in one piece and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guide groove formed along the rotation radius of the pin memb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각도 구속부재는, 상기 핀부재를 상기 가이드홈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홈부에서 외측으로 관통형성되는 핀조립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angle restrain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pin assembly groove formed through the guide groove portion to the outside so that the pin member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por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은 종래기술과 달리 굴삭기를 주행할 때에는 스포크부에서 조향 핸들부를 모양을 원형으로 유지시키고, 굴삭 작업시에 조향 핸들부를 스포크부의 내측으로 회전시켜 접어 줌으로써, 굴삭 작업을 진행할 때 조향 핸들부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정적인 시야 확보로 굴삭 작업 중에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maintains the steering handle portion in a circular shape at the spoke portion when driving an excavator, and maintains the steering handle portion at the spoke portion during excavation work. By rotating and folding inward,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the driver's view from being obscured by the steering handle when excavating, and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during excavation by securing a stable field of view. It has an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에 의하면, 핸들절첩 가이드부를 이용하여 조향 핸들부의 회전반경를 180도로 제한하여 조향 핸들부의 펴진상태와 접힌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radius of the steering handle is limited to 180 degrees using the handle folding guide, which has the effect of stably maintaining the unfolded and folded states of the steering hand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에 의하면, 굴삭 작업을 진행할 때 조향 핸들부가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스포크부의 내측으로 접을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운전석에 안정되고 편안하게 착석한 상태에서 허리, 등, 어깨 등에 불편함 없이 굴삭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handle part can be folded inside the spoke part so as not to block the operator's view when performing excavation work, so that the driver can safely and comfortably sit in the driver's seat, Excavation work can be carried out without discomfort in the back or shoulders, which has the effect of reducing worker fatigu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의 접힌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절첩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조향 핸들부의 회전접촉 경사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of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for explaining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for explaining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nlarged view of main parts for explaining the handle folding guid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otational contact inclined surface of the steering handle por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의 접힌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of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to explain the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lded state of the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절첩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조향 핸들부의 회전접촉 경사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In addition, Figure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for explaining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for explaining the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for explaining the handle folding guid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This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otational contact inclined surface of the steering handle pa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100)은, 휠 타입 굴삭기의 주행시 조향을 위하여 스티어링 컬럼(10)에 탈착되며, 굴삭 작업시에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접철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스티어링 컬럼(10)은 운전석(20)의 전방에 위치하고, 운전석(20)의 양측으로 버킷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30)가 구비된다.1 to 9, the
또한, 본 실실 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100)은, 스티어링 컬럼(10)에서 기존의 핸들을 분리한 자리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어 교체를 위한 특별한 어려움이 없으며, 기준 장비에 간편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100)은, 크게 스티어링 컬럼(10)에 결합되는 스포크부(110)와, 스포크부(110)의 끝단부에 구비되는 핸들장착 브라켓부(120)와, 조향시 운전자의 파지를 위하여 핸들장착 브라켓부(120)에 결합되는 조향 핸들부(130)와, 조향 핸들부(13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핸들절첩 가이드부(14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이러한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100)은, 굴삭기를 주행할 때에는 조향 핸들부(130)가 스포크부(110)에서 원형을 이루도록 회전되고, 굴삭 작업시에 조향 핸들부(130)가 스포크부(110)측으로 회전되어 스포크부(110) 사이의 사야를 가리지 않고 개방하게 된다.In this
스포크부(110)는 조향을 위하여 스티어링 컬럼(10)에 고정되며, 조향 핸들부(130)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스포크부(110)는 볼트 등을 통해 스티어링 컬럼(10)에 고정되는 허브(111)와, 조향 핸들부(130)의 설치를 위하여 허브(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개 돌출 형성되는 스포크(113)를 포함한다.The
또한, 스포크부(110)는 금속재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며, 스포크(113)가 허브(111)에서 120도 각도를 가지도록 3개가 등간격 구비된다. 이때, 스포크부(110)는 굴삭 작업시에 작업자의 시야 가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허브(111)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고, 스포크(113)의 폭 또한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스포크부(110)의 끝단부에는 조향 핸들부(13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핸들장착 브라켓부(120)가 구비된다.At the end of the
핸들장착 브라켓부(120)는 스포크(113)에 적어도 2개 이상 이격되게 구비되며, 조향 핸들부(1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핸들장착 브라켓부(120)는 조향 핸들부(130)를 3개로 분할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3개의 스포크(113) 끝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이때, 핸들장착 브라켓부(120)는 스포크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된 후 스포크부(110)에 용접이나 볼트 등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At least two handle mounting
또한, 핸들장착 브라켓부(120)는 양 측면에 조향 핸들부(13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핸들조립 경사면(121)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핸들절첩 가이드부(140)의 조립을 위한 축체결홀부(123)가 외면에서 핸들조립 경사면(121)측으로 관통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andle mounting
이와 같이 핸들장착 브라켓부(120)의 양 측면에 핸들조립 경사면(121)을 형성하는 것은 조향 핸들부(130)를 회전하는 과정에서 핸들조립 경사면(121)에 접촉하는 조향 핸들부(130)의 힌지 접촉부위가 핸들조립 경사면(121)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조향 핸들부(130)를 스포크부(110)의 내측으로 접거나, 외측으로 펼쳐 조향 핸들부(130)를 원형으로 펼쳤을 때 핸들조립 경사면(121)에 접촉되는 조향 핸들부(130) 부위를 핸들조립 경사면(12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하여 깔끔한 마감처리가 가능하다.In this way, the formation of the handle assembly inclined
또한, 핸들장착 브라켓부(120) 중 어느 하나에는 구 형태의 핸들 손잡이(125)를 조립할 수 있도록 손잡이 체결보스(127)가 돌출 형성되고, 손잡이 체결보스(127)에 핸들 손잡이(125)를 체결하기 위한 암나사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본 실시 예에 따른 조향 핸들부(130)는 핸들절첩 가이드부(140)를 통해 양단부가 핸들장착 브라켓부(120)의 핸들조립 경사면(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3개로 분할 형성되며, 핸들장착 브라켓부(120)에서 회전되어 스포크부(110)측으로 중첩되게 접히거나, 또는 스포크부(110)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원형의 핸들 형상을 이루게 된다.The
이러한, 조향 핸들부(130)는, 양 끝단에 핸들조립 경사면(121)에 접촉되는 회전접촉 경사면(131)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조향 핸들부(130)의 양측 회전접촉 경사면(131)은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핸들절첩 가이드부(140)에서 회전하는 조향 핸들부(130)의 회전반경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This
또한, 조향 핸들부(130)는 운전시 운전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키면서, 스포크부(110)로 절첩되었을 때 시야의 가림을 줄이면서 개방감을 높일 수 있도록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특히, 조향 핸들부(130)는 핸들조립 경사면(121)에 접촉되는 회전접촉 경사면(131)이 형성되는 양 끝단부가 타원으로 형성되므로, 회전접촉 경사면(131)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조향 핸들부(130)를 회전할 때 회전접촉 경사면(131)이 핸들조립 경사면(121)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both ends of the
예를 들어 조향 핸들부(130)는 수평의 두께(T1)보다 수직의 두께(T2)가 더 두꺼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더하여, 조향 핸들부(130)는 핸들절첩 가이드부(140)의 조립을 위하여 회전접촉 경사면(131)에 힌지홈부(133)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본 실시 예에서는 조향 핸들부(130)에 힌지홈부(133)가 형성되고, 핸들장착 브라켓부(120)에 축체결홀부(123)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조향 핸들부(130)에 축체결홀부(123)를 형성하고, 핸들장착 브라켓부(120)에 힌지홈부(133)를 형성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 예에 따른 핸들절첩 가이드부(140)는 조향 핸들부(130)의 회전을 지지 및 가이드하도록 핸들장착 브라켓부(120)와 조향 핸들부(130)에 구비되며, 조향 핸들부(130)의 회전반경을 180도로 제한한다.The handle
이러한 핸들절첩 가이드부(140)는 조향 핸들부(13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축체결홀부(123)에 결합되는 회전지지 중심축부재(141)와, 조향 핸들부(130)의 회전을 특정 각도로 구속하기 위한 회전각도 구속부재(143)를 포함한다.This handle folding
회전지지 중심축부재(141)는 축체결홀부(123)와 힌지홈부(133)가 정렬된 상태에서 축체결홀부(123)에 체결됨에 따라 끝단부가 힌지홈부(133)로 삽입되어 조향 핸들부(130)의 회전을 지지한다. 이러한 회전지지 중심축부재(141)는 공구의 탈착을 위한 헤드부와 축체결홀부(123)에 나사체결되는 수나사부를 구비한다.The rotation support
회전각도 구속부재(143)는 회전지지 중심축부재(141)와 짝을 이루어 조향 핸들부(130)의 회전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조향 핸들부(130)의 회전을 특정 각도 예를 들어 180도로 구속한다.The rotation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지지 중심축부재(141)는, 조향 핸들부(130)의 회전접촉 경사면(131)에 고정되는 핀부재(143a)와, 핀부재(143a)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도록 핸들조립 경사면(121)에 형성되어 핀부재(143a)가 삽입되는 가이드홈부(143b), 핀부재(143a)를 가이드홈부(143b)로 삽입하기 위한 핀조립홈(143c)을 구비한다.To this end, the rotation support
핀부재(143a)는 별개로 형성되어 회전접촉 경사면(131)에 결합될 수도 있고, 조향 핸들부(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핀부재(143a)는 핀조립홈(143c)을 통해 가이드홈부(143b)에 삽입되며, 조향 핸들부(13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The
가이드홈부(143b)는 핀부재(143a)가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핸들장착 브라켓부(120)의 핸들조립 경사면(121)에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홈부(143b)는 핀부재(143a)의 회전반경을 따라 반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핀조립홈(143c)은 핀부재(143a)를 가이드홈부(143b)에 용이하게 삽입하면서 조향 핸들부(130)를 핸들장착 브라켓부(120)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핸들조립 경사면(121)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핀조립홈(143c)은 가이드홈부(143b)의 일측 끝단부에서 핸들장착 브라켓부(120)의 외측으로 관통형성된다.The
본 실시 예에서는 조향 핸들부(130)에 핀부재(143a)가 구비되고, 핸들장착 브라켓부(120)에 가이드홈부(143b)와 핀조립홈(143c)이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가이드홈부(143b)와 핀조립홈(143c)이 조향 핸들부(130)에 형성되고 핀부재(143a)가 핸들장착 브라켓부(120)에 구비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 예에서는 조향 핸들유닛(100)을 굴삭기에 적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굴삭기 외에 로더, 크레인 등의 중장비 등에 적용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application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의 작동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굴삭기를 주행할 때에는 조향 핸들부(130)가 원형을 이루도록 스포크부(110)의 외측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조향 핸들부(130)가 회전지지 중심축부재(141)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회전각도 구속부재(143)에 의해 외측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면서 원형을 이루게 된다.First, when driving the excavator, the
그리고 굴삭기가 작업위치에 도착하면 3개의 조향 핸들부(130)를 각각 파지하여 스포크부(110)의 내측으로 회전시키면, 조향 핸들부(130)가 핸들장착 브라켓부(120)의 회전지지 중심축부재(141)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스포크(113)에 접촉되면서 접히게 된다. 그러면 스포크부(110)의 스포크(113) 사이가 개방되어 굴삭 작업을 진행할 때 조향 핸들부(130)에 의해 작업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nd when the excavator arrives at the working position, each of the three steering handl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100)은 굴삭기를 주행할 때에는 스포크부(110)에서 조향 핸들부(130)를 펼쳐서 원형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주행시 굴삭기의 조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굴삭 작업시에 조향 핸들부(130)를 스포크부(110)의 내측으로 회전시켜 스포크(113)에 접촉하도록 접어 줄 수 있어, 굴삭 작업을 진행할 때 조향 핸들부(130)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하여 굴삭 작업시에 안정적인 시야 확보를 할 수 있어 굴삭 작업 중에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100)은 핸들절첩 가이드부(140)의 가이드홈부(143b)와 핀부재(143a)를 이용하여 조향 핸들부(130)의 회전반경를 180도로 제한할 수 있으므로, 조향 핸들부(130)의 펴진 상태와 접힌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가이드홈부(143b)를 이용하여 조향 핸들부(130)를 핸들장착 브라켓부(120)에 간편하게 조립한 후, 회전지지 중심축부재(141)를 조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100)은 굴삭 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조향 핸들부(130)를 스포크부(110)의 내측으로 회전시켜 접어줌으로써, 조향 핸들부(130)에 의해 작업자의 시야가 가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운전석에 편안하게 착석한 상태에서 허리, 등, 어깨 등에 최대한으로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면서 굴삭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의 피로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100)은 스포크부(110)의 허브(111)를 스티어링 컬럼(10)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장착된 굴삭기의 핸들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100 :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 10 : 스티어링 컬럼
20 : 운전석 20 : 조작레버
110 : 스포크부 111 : 허브
113 : 스포크 120 : 핸들장착 브라켓부
121 : 핸들조립 경사면 123 : 축체결홀부
125 : 핸들 손잡이 127 : 손잡이 체결보스
130 : 조향 핸들부 131 : 회전접촉 경사면
133 : 힌지홈부 140 : 핸들절첩 가이드부
141 : 회전지지 중심축부재 143 : 회전각도 구속부재
143a : 핀부재 143b : 가이드홈부
143c : 핀조림홈100: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10: Steering column
20: Driver's seat 20: Control lever
110: spoke part 111: hub
113: Spoke 120: Handle mounting bracket part
121: Handle assembly inclined surface 123: Shaft fastening hole
125: handle handle 127: handle fastening boss
130: Steering handle unit 131: Rotation contact inclined surface
133: Hinge groove part 140: Handle folding guide part
141: Rotation support central axis member 143: Rotation angle restraint member
143a:
143c: Pinjorim Home
Claims (7)
상기 스포크부에 적어도 2개 이상 이격되게 구비되는 핸들장착 브라켓부; 및
양단부가 상기 핸들장착 브라켓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포크부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포크부에 중첩되게 접히는 복수의 조향 핸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
Spoke portion coupled to the steering column for steering;
At least two handle mounting bracket units are provid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on the spoke unit; and
a plurality of steering handle parts, both ends of which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handle mounting bracket part, and which are rotated toward the spoke part and folded to overlap the spoke part;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comprising a.
상기 스포크부는, 상기 스티어링 컬럼에 고정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의 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3개 돌출 형성되며, 끝단부에 상기 핸들장착 브라켓부가 구비되는 스포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spoke portion includes a hub fixed to the steering column; and
Three spokes are formed to protrude at equal intervals based on the center of the hub, and the handle mounting bracket portion is provided at an end thereof;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comprising a.
상기 조향 핸들부의 회전을 지지 및 가이드하도록 상기 핸들장착 브라켓부와 상기 조향 핸들부에 구비되는 핸들절첩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handle folding guide part provided on the handle mounting bracket part and the steering handle part to support and guide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handle part;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further comprising:
상기 핸들절첩 가이드부는, 상기 조향 핸들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 중심축부재; 및
상기 조향 핸들부의 회전을 특정 각도로 구속하기 위한 회전각도 구속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
According to claim 3,
The handle folding guide unit includes a rotation support central axis member that supports rotation of the steering handle unit; and
a rotation angle constraint member for con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handle unit to a specific angle;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comprising a.
상기 회전지지 중심축부재는, 상기 핸들장착 브라켓부와 상기 조향 핸들부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다른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조향 핸들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
According to claim 4,
The rotation support central axis member is fastened to penetrate one of the handle mounting bracket portion and the steering handle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other to support rotation of the steering handle portion.
상기 핸들장착 브라켓부는, 상기 회전지지 중심축부재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축체결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향 핸들부는, 상기 회전지지 중심축부재가 삽입되는 힌지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
According to claim 4,
The handle mounting bracket portion is formed with a shaft fastening hole portion through which the rotation support central shaft member is fastened,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ring handle portion is formed with a hinge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rotation support central axis member is inserted.
상기 회전각도 구속부재는, 상기 핸들장착 브라켓부와 상기 조향 핸들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핀부재; 및
상기 핀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핸들장착 브라켓부와 상기 조향 핸들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핀부재의 회전반경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According to claim 4,
The rotation angle restraining member may include a pin member provided in one of the handle mounting bracket portion and the steering handle portion; and
a guide groove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handle mounting bracket portion and the steering handle portion so that the pin member is inserted, and formed along a rotation radius of the pin member;
A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3011A KR102713421B1 (en) | 2022-04-06 | 2022-04-06 | Handle apparatus for wheel excavator |
PCT/KR2023/004600 WO2023195772A1 (en) | 2022-04-06 | 2023-04-05 | Steering handle unit for heavy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3011A KR102713421B1 (en) | 2022-04-06 | 2022-04-06 | Handle apparatus for wheel excav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3854A true KR20230143854A (en) | 2023-10-13 |
KR102713421B1 KR102713421B1 (en) | 2024-10-07 |
Family
ID=8824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3011A KR102713421B1 (en) | 2022-04-06 | 2022-04-06 | Handle apparatus for wheel excavato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3421B1 (en) |
WO (1) | WO2023195772A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64368U (en) * | 1982-10-25 | 1984-04-2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steering wheel |
KR19980046646A (en) * | 1996-12-13 | 1998-09-15 | 김영귀 | Folding steering wheel of the car |
KR102262413B1 (en) * | 2020-05-28 | 2021-06-09 | 주식회사 코모스 | Foldable steering wheel |
KR102266551B1 (en) * | 2020-05-25 | 2021-06-18 | 주식회사 코모스 | Foldable steering wheel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760U (en) * | 1980-06-05 | 1982-01-06 | ||
KR20150073463A (en) * | 2013-12-23 | 2015-07-01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Handle apparatus for wheel excavator |
FR3057533B1 (en) * | 2016-10-17 | 2021-11-05 | Renault Sas | STEERING WHEEL FOR AUTONOMOUS MOTOR VEHICLE. |
KR20210125930A (en) * | 2020-04-09 | 2021-10-19 | 주식회사 만도 | Foldable steering wheel assembly and steer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2022
- 2022-04-06 KR KR1020220043011A patent/KR102713421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04-05 WO PCT/KR2023/004600 patent/WO2023195772A1/en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64368U (en) * | 1982-10-25 | 1984-04-2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steering wheel |
KR19980046646A (en) * | 1996-12-13 | 1998-09-15 | 김영귀 | Folding steering wheel of the car |
KR102266551B1 (en) * | 2020-05-25 | 2021-06-18 | 주식회사 코모스 | Foldable steering wheel |
KR102262413B1 (en) * | 2020-05-28 | 2021-06-09 | 주식회사 코모스 | Foldable steering whe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13421B1 (en) | 2024-10-07 |
WO2023195772A1 (en) | 2023-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560987B1 (en) | Excavating and loading machine | |
KR101846973B1 (en) | Worm drivers for excavators-type attachment | |
EP1124017B1 (en) | Hydraulically driven working machine | |
KR20230143854A (en) | Handle apparatus for wheel excavator | |
CN101426981A (en) | Arm of excavating work machine | |
KR102300610B1 (en) | Rotatable Multi Link | |
KR102354497B1 (en) | Gap adjustment for rotary quick coupler | |
JP3030396B2 (en) | Actuator for working tools such as buckets in excavator | |
JP4246359B2 (en) | Swivel construction machine | |
WO2019244617A1 (en) | Rotary working vehicle | |
JP3677905B2 (en) | Construction machine work equipment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 |
JPH0971263A (en) | Traveling operating device of crawler type traveling vehicle | |
JPH0321727A (en) | Hydraulic shovel | |
JP3654539B2 (en) | Work machine | |
KR102425356B1 (en) | Fixed block rotation prevention device for quick coupler | |
WO2014087186A1 (en) | Boom assembly for construction machines | |
JPH10331197A (en) | Backhoe | |
JP2589416Y2 (en) | Hydraulic excavator for expanding diameter tunnel construction | |
JPH09242104A (en) | Power shovel | |
JP3971210B2 (en) | Piping equipment for work tools of construction machinery | |
CN118215771A (en) | Engineering machinery | |
JP2024057331A (en) | Pedal device and work machine with the same | |
JP3389224B2 (en) | Excavator | |
JP2023112650A (en) | Construction machine | |
JP2020076270A (en) | Hydraulic shov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