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792A -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792A
KR20230143792A KR1020220042853A KR20220042853A KR20230143792A KR 20230143792 A KR20230143792 A KR 20230143792A KR 1020220042853 A KR1020220042853 A KR 1020220042853A KR 20220042853 A KR20220042853 A KR 20220042853A KR 20230143792 A KR20230143792 A KR 20230143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or
locking
rod
rotatio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규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진
Priority to KR1020220042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3792A/ko
Publication of KR20230143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7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도어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단부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1회전축과, 도어와 교차되게 배치되어 상단부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2회전축과, 하단부에서 상승위치와 하강위치 사이를 왕복이동 가능한 로드를 구비하는 핸들부; 상기 로드보다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로드와 일부 중첩되게 배치되는 잠금위치와 상기 로드와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는 열림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부; 상기 로킹부에 결합되고, 상기 로킹부를 상기 잠금위치와 상기 열림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가 상기 상승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로킹부가 상기 잠금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아 도어의 잠금이 유지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로킹부가 상기 열림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회전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DOOR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험 구역이나 보안 구역과 같은 평상시 접근을 허용하지 않는 장소의 도어에 사용되는 보안성이 우수한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험 구역이나 보안 구역과 같은 평상시 접근을 허용하지 않는 장소는 보통 도어와 같은 구조물과 잠금장치를 통하여 접근을 차단한다. 이러한 장소는 한정된 사람만이 출입이 가능하도록 제한되어 도어는 비교적 견고한 잠금장치로 시건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어 잠금장치는 통상적으로 큰 자물쇠와 키가 여러개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 키를 가지고 다니는 번거러움이 있고 키를 분실할 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큰 자물쇠와 키를 사용하면 보관이나 운반 역시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357호(2006.02.02 등록, 고안의 명칭 : 지하 시설 출입문 잠금장치)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키 없이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의 잠금을 유지 및 해제할 수 있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도어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단부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1회전축과, 도어와 교차되게 배치되어 상단부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2회전축과, 하단부에서 상승위치와 하강위치 사이를 왕복이동 가능한 로드를 구비하는 핸들부; 상기 로드보다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로드와 일부 중첩되게 배치되는 잠금위치와 상기 로드와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는 열림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부; 상기 로킹부에 결합되고, 상기 로킹부를 상기 잠금위치와 상기 열림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가 상기 상승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로킹부가 상기 잠금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아 도어의 잠금이 유지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로킹부가 상기 열림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회전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도어의 바깥 공간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태그부와, 상기 태그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정보를 읽고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그부는 RFID, NFC 및 블루투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도어 안쪽 공간에 설치되고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고, 도어 안쪽 공간에 있는 관리자가 도어 바깥 공간에 있는 출입자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 발생기를 사용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 설치되는 LED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어 상기 로킹부가 상기 열림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LED 램프가 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LED 램프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LED 램프의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 설치되고, 키가 삽입되는 키접속부; 및 상기 핸들부 내부에서 상기 로드와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키접속부가 회전되면 상기 키접속부와 연동되어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로드를 상기 상승위치와 상기 하강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키는 캠부;를 포함하고, 상기 캠부에 의해 상기 로드가 상기 하강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로킹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하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저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플런저와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의 운동에 따라 상기 잠금위치와 상기 열림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에 따르면,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부를 구동시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별도의 키를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어 분실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키를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어 분실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에 따르면, 도어 안쪽 공간에서 출입이 인가된 출입자에게만 선택적으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보안 유지가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에 따르면, 출입자가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인지 모르고 도어 안쪽으로 못들어오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에 따르면, 도어 바깥 공간에서 인가된 신호를 가지고 있는 출입자만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보안 유지가 더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에 따르면, 관리책임자의 경우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아도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비상상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 잠금장치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도어 잠금장치의 핸들부가 회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도어 잠금장치의 구동부가 구동되어 로킹부가 잠금위치와 열림위치에 배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도어 잠금장치의 캠부에 의해 로드가 상승위치와 하강위치에 배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 잠금장치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도어 잠금장치의 핸들부가 회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도어 잠금장치의 구동부가 구동되어 로킹부가 잠금위치와 열림위치에 배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도어 잠금장치의 캠부에 의해 로드가 상승위치와 하강위치에 배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어 잠금장치는(100)는 바디부(110), 핸들부(120), 로킹부(130), 구동부(140), 제어부(미도시), 키접속부(161), 캠부(162)를 포함한다.
바디부(110)는 도어에 고정 설치되고, 결합홀(111)과 커버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바디부(110)의 전단면에는 결합홀(111)에 삽입되는 샤프트(11) 등과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핸들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바디부(110)의 후단면에는 로킹부(130)와 구동부(140)가 배치될 수 있고, 로킹부(130)와 구동부(140)는 커버부(112)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핸들부(120)는 바디부(110)에 결합되고, 제1회전축(A1), 제2회전축(A2), 로드(121)를 구비한다. 그리고, 핸들부(120)는 'L'자형으로 형성되어 핸들부(120)의 하부는 바디부(110)의 후단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회전축(A1)은 도어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핸들부(120) 상단부의 회전중심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회전축(A1)은 샤프트(11)에 삽입되어 도어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핀(12)일 수 있다. 즉, 핸들부(120)는 핀(1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회전축(A2)은 도어와 교차되게 배치되어 핸들부(120) 상단부의 회전중심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회전축(A2)은 샤프트(11)와 커버부(112)를 결합시키는 부시(13)일 수 있다. 즉, 핸들부(120)는 부시(13)를 중심으로 샤프트(1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로드(121)는 핸들부(120) 하단부에서 상승위치(P1)와 하강위치(P2) 사이를 왕복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상승위치(P1)는 로드(121)가 핸들부(120)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위치이고, 하강위치(P2)는 로드(121)가 핸들부(120)의 하단부에서 돌출되지 않게 배치되는 위치이다. 로드(121)는 평상시에 상승위치(P1)에 배치되어 있으며, 캠부(162)에 의해 하강위치(P2)에 배치될 수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로킹부(130)는 바디부(110)의 후단면에서 로드(121)보다 전방에 설치되고, 로드(121)와 일부 중첩되게 배치되는 잠금위치(P3)와 로드(121)와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는 열림위치(P4)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로킹부(130)는 후술하는 구동부(140)에 의해 잠금위치(P3) 또는 열림위치(P4)에 배치되도록 이동되는데, 이때, 로드(121)가 상승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구동부(140)에 의해 로킹부(130)가 잠금위치(P3)에 배치되면 핸들부(120)는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아 도어의 잠금이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핸들부(120)가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되려고 할 때, 핸들부(120)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로드(121)의 이동을 로드(121)와 일부 중첩되게 배치되는 로킹부(130)가 막으면서 핸들부(120)는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로드(121)가 상승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구동부(140)에 의해 로킹부(130)가 열림위치(P4)에 배치되면 핸들부(120)는 제1회전축(A1) 및 제2회전축(A2)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회전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
구체적으로, 핸들부(120)가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되려고 할 때, 핸들부(120)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로드(121)는 로킹부(130)의 방해없이 회전되고, 이후 핸들부(120)는 제2회전축(A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
따라서, 로드(121)가 상승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로킹부(130)는 잠금위치(P3) 또는 열림위치(P4)에 배치되어 도어의 잠금을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구동부(140)는 로킹부(130)에 결합되어 로킹부(130)를 잠금위치(P3)와 열림위치(P4)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키고, 플런저(142), 스프링(143), 코일(144)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플런저(142)는 로킹부(130)에 구비된 '+'자 형태로 형성된 수용홈(13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로드부(121)는 상승위치(P1)에 배치된 상태이고, 로킹부(130)는 잠금위치(P3)에 배치된 상태로 도어는 잠금상태이다.
이후, 도 4의 (b)를 참조하면, 후술하는 제어부(미도시)에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면 코일(142)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플런저(142)가 상승하면서 플런저(142)와 결합된 로킹부(130)도 상승할 수 있다. 이때, 로킹부(130)가 상승하면서 잠금위치(P3)에 배치되어 있던 로킹부(130)가 열림위치(P4)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플런저(142)는 스르핑(14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로킹부(130) 역시 잠금위치(P3)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구동부(140)는 솔레노이드(141)를 포함하고 솔레노이드(141)에 의해 로킹부(130)를 잠금위치(P3)와 열림위치(P4)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킴으로써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부(140)를 구동시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별도의 키를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어 분실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구동부(140)를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고 태그부(151), 리더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부(151)는 도어 바깥 공간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태그부(151)는 외부로부터 RFID, NFC 및 블루투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리더부(152)는 태그부(151)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정보를 읽고 구동부(140)를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태그부(151)와 리더부(152)는 도어 바깥 공간으로부터 인가된 RFID, NFC 및 블루투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구동부(140)를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어 도어 안쪽 공간에서 관리자가 없거나, 관리자가 출입자를 확인하지 못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도어 바깥 공간의 출입자가 도어의 잠금을 해제 할 수 있다.
따라서, 태그부(151)와 리더부(152)를 포함하여 도어 바깥 공간에서 인가된 신호를 가지고 있는 출입자만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보안 유지가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어 잠금장치(100)는 LED 램프(171)와 확산판(172)을 포함할 수 있다. LED 램프(171)는 핸들부(110)에 설치되고, 태그부(151)와 리더부(152)에 의해 구동부(140)가 구동되어 로킹부(130)가 열림위치(P4)에 배치되면 온(ON)될 수 있다. 그리고, 확산판(172)은 LED 램프(171) 전방에 설치되고, LED 램프(171)의 빛을 확산시킬 수 있다.
도어 바깥 공간에서 출입자가 태그부(151)에 인가된 신호를 주면 제어부(미도시)에 있는 PCB 기판(미도시) 등에 의해 구동부(140)가 구동되어 로킹부(130)가 열림위치(P4)에 배치되고, LED 램프(171)가 온되면서 LED 램프(171)에서 발산하는 빛에 의해 출입자가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확산판(172)에 의해 LED 램프(171)의 빛을 확산되어 출입자가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것을 더 잘 확인할 수 있다.
키접속부(161)는 핸들부(120)에 설치되고, 키가 삽입될 수 있다. 캠부(162)는 핸들부(120) 내부에서 로드(121)와 결합되어 설치되고, 조인트(16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캠부(162)는 키접속부(161)가 회전되면 키접속부(161)와 함께 회전되면서 로드(121)를 상승위치(P1)와 하강위치(P3)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를 참조하면, 캠부(162)는 로드(121)에 구비된 삽입홀(122)에 조인트(163)가 삽입되어 로드(121)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로킹부(130)는 잠금위치(P3)에 배치된 상태이고, 로드(121)는 상승위치(P1)에 배치된 상태로 도어는 잠금상태이다.
이와 같이 로킹부(130)가 잠금위치(P3)에 배치되고, 로드(121)가 상승위치(P1)에 배치되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구동부(140)를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로킹부(130)를 열림위치(P1)로 이동시켜야한다. 하지만, 만약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지 못하는 상황이거나 제어부(미도시) 또는 구동부(140) 중 하나라도 고장이 발생된다면, 도어는 잠금을 해제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때, 도 5의 (b)를 참조하면, 키접속부(161)에 삽입되는 키에 의해 키접속부(161)가 회전되면서 캠부(162)가 키접속부(16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조인트(163)도 캠부(162)와 함께 회전되어 하강하게 되면서 로드부(121)도 조인트(163)와 함께 하강하여 로드부(121)가 하강위치(P2)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로킹부(130)가 잠금위치(P3)에 있더라도 로드(121)가 로킹부(130)와 중첩되지 않게 되어, 핸들부(120)가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로드(121)도 로킹부(130)의 방해없이 회전될 수 있다.
즉, 캠부(162)에 의해 로드(121)가 하강위치(P2)에 배치되면, 로킹부(130)가 배치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핸들부(120)는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키를 가지고 있는 관리책임자의 경우 캠부(162)를 회전시킴으로써, 로드(121)가 캠부(162)에 의해 하강위치에 배치되어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구동부(140)를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아도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미도시)는 신호 발생기(2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 1과 같은 부재번호로 표기된 구성요소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의 기술적 특징과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신호 발생기(251)는 도어 안쪽 공간에 설치되고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안쪽 공간에 있는 관리자가 도어 바깥 공간에 있는 출입자를 확인하고 신호 발생기(251)를 사용하여 구동부(140)를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후, 구동부(140)가 구동되어 로킹부(130)가 열림위치(P4)로 배치되면서 출입자가 핸들부(120)를 제1회전축(A1) 및 제2회전축(A2)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회전시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고 도어의 안쪽으로 출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호 발생기(251)는 도어 안쪽 공간에서 관리자가 도어 바깥 공간에 있는 출입자를 확인하고 출입이 허락된 출입자에게만 로킹부(130)를 열림위치(P4)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발생기(251)는 도어 안쪽 공간에서 선택적으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보안 유지가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신호 발생기(251)에 의해 구동부(140)가 구동되어 로킹부(130)가 열림위치(P4)에 배치되면 온(ON)될 수 있다.
도어 안쪽 공간에서 관리자가 도어 바깥 공간에 있는 출입자를 확인하고 신호 발생기(251)를 사용할 때, 출입자는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인지 모를 수도 있다. 이 경우, 시간이 지나 신호 발생기(251)에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로킹부(130)는 다시 잠금위치(P3)로 배치되면서 도어가 잠금 상태가 되어 출입이 허락된 출입자가 도어 안쪽으로 못 들어올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예방하기 위하여, 신호 발생기(251)에 의해 구동부(140)가 구동되어 로킹부(130)가 열림위치(P4)에 배치되면 LED 램프(171)가 온되면서 LED 램프(171)에서 발산하는 빛에 의해 출입자가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부를 구동시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별도의 키를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어 분실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는, 신호 발생기(251)를 포함함으로써, 도어 안쪽 공간에서 출입이 인가된 출입자에게만 선택적으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보안 유지가 강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는, LED 램프와 확산판을 포함함으로써, 출입자가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인지 모르고 도어 안쪽으로 못들어오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는, 태그부와 리더부를 포함함으로써, 도어 바깥 공간에서 인가된 신호를 가지고 있는 출입자만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보안 유지가 더 강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는, 키접속부와 캠부를 포함함으로써, 관리책임자의 경우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아도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비상상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도어 잠금장치
110 : 바디부
120 : 핸들부
130 : 로킹부
140 : 구동부

Claims (8)

  1.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도어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단부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1회전축과, 도어와 교차되게 배치되어 상단부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2회전축과, 하단부에서 상승위치와 하강위치 사이를 왕복이동 가능한 로드를 구비하는 핸들부;
    상기 로드보다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로드와 일부 중첩되게 배치되는 잠금위치와 상기 로드와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는 열림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부;
    상기 로킹부에 결합되고, 상기 로킹부를 상기 잠금위치와 상기 열림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가 상기 상승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로킹부가 상기 잠금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아 도어의 잠금이 유지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로킹부가 상기 열림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회전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도어의 바깥 공간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태그부와,
    상기 태그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정보를 읽고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부는 RFID, NFC 및 블루투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도어 안쪽 공간에 설치되고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고,
    도어 안쪽 공간에 있는 관리자가 도어 바깥 공간에 있는 출입자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 발생기를 사용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 설치되는 LED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어 상기 로킹부가 상기 열림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LED 램프가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LED 램프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LED 램프의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 설치되고, 키가 삽입되는 키접속부; 및
    상기 핸들부 내부에서 상기 로드와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키접속부가 회전되면 상기 키접속부와 연동되어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로드를 상기 상승위치와 상기 하강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키는 캠부;를 포함하고,
    상기 캠부에 의해 상기 로드가 상기 하강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로킹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따라 상하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저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플런저와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의 운동에 따라 상기 잠금위치와 상기 열림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KR1020220042853A 2022-04-06 2022-04-06 도어 잠금장치 KR20230143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853A KR20230143792A (ko) 2022-04-06 2022-04-06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853A KR20230143792A (ko) 2022-04-06 2022-04-06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792A true KR20230143792A (ko) 2023-10-13

Family

ID=8828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853A KR20230143792A (ko) 2022-04-06 2022-04-06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379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357Y1 (ko) 2005-11-21 2006-02-08 이관하 지하 시설 출입문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357Y1 (ko) 2005-11-21 2006-02-08 이관하 지하 시설 출입문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9959B2 (en) Locking device with configurable electrical connector key and internal circuit board for electronic door locks
US6564601B2 (en) Electromechanical cylinder plug
US20080127686A1 (en) Door locking apparatus
US20040055346A1 (en) Manipulationproof electromagnet arrangement, an electronic locking cylinder and a method for preventing manipulation of an electromagnet arrangment
JPH0227506B2 (ko)
JP2006511738A (ja) 施錠装置
US11158146B2 (en) Interior door handle emergency lockdown apparatus, system, mobile application, and method thereof
CA2920552C (en) Locking device with configurable electrical connector key and internal circuit board for electronic door locks
JPH08226263A (ja) カードキーを用いる施錠装置
JP5230866B2 (ja) ドアノブ装置
KR20230143792A (ko) 도어 잠금장치
JP4487458B2 (ja) 住宅用ドア自動開閉システム
CN214532359U (zh) 智能物联网把手锁
KR101043933B1 (ko) 도어 잠금장치
KR200407876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US11649656B2 (en) Smart deadlock system
CN214273240U (zh) 智能物联网盒式锁
KR102380172B1 (ko)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
KR100734030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CN211422382U (zh) 智能安全门
CN114868161A (zh) 具有机电钥匙的智能锁
KR100389060B1 (ko) 모티스 록킹 장치
EP3263810B1 (en) History management system of electronic locking apparatus
KR200210922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JPH0583245U (ja) 電気扉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