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761A -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761A
KR20230143761A KR1020220042779A KR20220042779A KR20230143761A KR 20230143761 A KR20230143761 A KR 20230143761A KR 1020220042779 A KR1020220042779 A KR 1020220042779A KR 20220042779 A KR20220042779 A KR 20220042779A KR 20230143761 A KR20230143761 A KR 20230143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fashion
clothing
fashion show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민
Original Assignee
에이아이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아이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아이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3761A/ko
Publication of KR20230143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7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VR 실행 앱을 통해 VR 형태의 패션쇼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VR 콘텐츠 제공 서버; 상기 VR 실행 앱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패션쇼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HMD; 및 상기 패션쇼 영상 콘텐츠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VR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패션쇼 영상 콘텐츠는, 패션쇼 동영상 생성에 필요한 패션쇼 구성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정보 입력 화면, 및 상기 정보 입력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패션쇼 동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패션쇼 동영상은 가상의 패션쇼 무대를 배경으로 패션모델 아바타가 패션쇼를 진행하는 3D 애니메이션 형태로 제공되는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FASHION SHOW BASED AVATAR}
본 발명은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패션쇼는 패션 디자이너가 다가오는 시즌을 위해 자신이 디자인한 일련의 의류를 공개하는 행사를 의미하고, 주로 최신 패션 트렌드에 민감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다.
한편, 패션쇼 행사의 직접 참관이 어려운 소비자를 위해 패션쇼 행사의 촬영 영상이 제공된다.
하지만, 종래 패션쇼 행사의 촬영 영상은 패션쇼 구성, 예를 들어 패션모델, 의류, 패션쇼 무대 등을 소비자 선택에 따라 변경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패션쇼 행사는 하나의 의류 브랜드에 한정하여 진행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6971호(2006.04.03, 네트워크를 통한 패션정보서비스 제공장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VR 형태의 패션쇼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되 사용자 선택에 따라 패션쇼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VR 실행 앱을 통해 VR 형태의 패션쇼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VR 콘텐츠 제공 서버; 상기 VR 실행 앱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패션쇼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HMD; 및 상기 패션쇼 영상 콘텐츠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VR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패션쇼 영상 콘텐츠는, 패션쇼 동영상 생성에 필요한 패션쇼 구성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정보 입력 화면, 및 상기 정보 입력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패션쇼 동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패션쇼 동영상은 가상의 패션쇼 무대를 배경으로 패션모델 아바타가 패션쇼를 진행하는 3D 애니메이션 형태로 제공되는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VR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패션쇼 동영상을 구성할 패션모델 아바타, 의류 및 패션쇼 무대의 3D 모델링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VR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패션쇼 동영상을 구성할 패션모델 아바타, 의류 및 패션쇼 무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정보 입력 화면에 복수의 의류 브랜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의류 브랜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의류 브랜드 아이콘을 포함하는 의류 브랜드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의류 브랜드가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거하고 패션모델 아바타 카테고리, 의류 카테고리 및 패션쇼 무대 카테고리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패션모델 아바타 카테고리, 의류 카테고리 및 패션쇼 무대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패션모델 아바타 카테고리 아이콘, 의류 카테고리 아이콘 및 패션쇼 무대 카테고리 아이콘을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션모델 아바타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거하고 패션모델 아바타를 선택할 수 있는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패션모델 아바타에 대응하는 패션모델 아바타 아이콘을 포함하는 패션모델 아바타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의류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거하고 복수의 의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는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의류에 대응하는 복수의 의류 아이콘을 포함하는 의류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션쇼 무대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거하고 복수의 패션쇼 무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3-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3-3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패션쇼 무대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션쇼 무대 아이콘을 포함하는 패션쇼 무대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3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각 클릭 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정보 입력 화면으로 변환시켜주는 컨펌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펌 아이콘은 상기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3-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이 완료된 경우에만 클릭할 수 있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VR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패션쇼 무대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여 패션쇼 무대를 보여주는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초기 화면을 생성하는 패션쇼 동영상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클릭 시 상기 HMD에 디스플레이 된 상기 정보 입력 화면을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초기 화면으로 변환시켜주는 패션쇼 동영상 시작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션쇼 동영상 시작 아이콘은 상기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이 모두 완료된 경우에만 클릭할 수 있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의류 브랜드에서 판매하는 의류의 의류 아이콘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의류 브랜드에서 판매하는 의류를 착용할 수 있는 성별의 패션모델 아바타 아이콘만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의류 브랜드는 남성 의류와 여성 의류를 모두 판매하는 의류 브랜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남성 의류와 여성 의류를 모두 판매하는 의류 브랜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성별의 패션모델 아바타가 착용할 수 없는 의류의 의류 아이콘을 클릭할 수 없도록 잠금 표시하고, 상기 의류 카테고리 아이콘은 상기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이 완료된 경우에만 클릭할 수 있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VR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패션쇼 동영상에 표시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하단에 표시되는 메뉴 아이콘, 상기 메뉴 아이콘의 클릭 시 상기 메뉴 아이콘의 상측에 표시되되 싱글 모드 아이콘 및 듀얼 모드 아이콘을 포함하는 메뉴 팝업 창, 및 상기 싱글 모드 아이콘 또는 상기 듀얼 모드 아이콘의 클릭 시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일측에 표시되되 의류 선택 아이콘을 포함하는 의류 팝업 창을 포함하고, 상기 의류 팝업 창은 상기 싱글 모드 아이콘의 클릭 시에는 1개 표시되되, 상기 듀얼 모드 아이콘의 클릭 시에는 2개 표시되고, 상기 의류 선택 아이콘은 상기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의류에 대응하고, 상기 패션쇼 동영상 생성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패션모델 아바타의 3D 모델링 데이터와 상기 의류 선택 아이콘을 통해 선택된 의류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여 패션쇼 무대에 패션모델 아바타가 출연하는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후속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후속 영상에는 상기 싱글 모드 아이콘을 통해 의류 선택 시 1명의 패션모델 아바타가 출연하되, 상기 듀얼 모드 아이콘을 통해 의류 선택 시에는 2명의 패션모델 아바타가 출연하고,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후속 영상은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초기 화면에서 상기 의류 선택 아이콘의 클릭에 의해 의류 선택이 완료된 경우에만 재생되고,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후속 영상의 재생 중에 패션모델 아바타가 착용한 의류는 상기 의류 선택 아이콘의 클릭에 의해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VR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VR 형태의 패션쇼 영상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고, HMD를 통해 패션쇼 영상 콘텐츠의 정보 입력 화면을 보면서 VR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함으로써 패션쇼 동영상의 구성, 예를 들어 패션모델 아바타, 의류, 패션쇼 무대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의류 브랜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패션쇼 동영상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의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VR 콘텐츠 제공 서버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패션쇼 영상 콘텐츠의 시작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1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정보 입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패션쇼 동영상의 초기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 내지 도 16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패션쇼 동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볼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모듈", "~부" 등은 컴퓨터 관련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부분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10)은 VR 콘텐츠 제공 서버(100), 사용자 단말기(200), HMD(300) 및 VR 컨트롤러(400)를 포함할 수 있다.
VR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VR 실행 앱을 통해 VR 실행 앱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200)에 VR 형태의 패션쇼 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패션쇼 영상 콘텐츠는 정보 입력 화면 및 패션쇼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입력 화면은 VR 실행 앱을 통해 패션쇼 영상 콘텐츠가 실행되면 패션쇼 동영상에 앞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 정보 입력 화면에는 패션쇼 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패션쇼 구성 정보, 예를 들어 패션모델 아바타, 의류, 패션쇼 무대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정보 입력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패션쇼 동영상이 입력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어 정보 입력 화면을 대체하여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특히, 패션쇼 동영상은 실제 촬영 영상이 아닌 가상의 패션쇼 무대를 배경으로 패션모델 아바타가 패션쇼를 진행하는 3D 애니메이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VR 실행 앱의 설치 및 구동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PC)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유무선 통신망, 예를 들어 인터넷 망을 통해 VR 콘텐츠 제공 서버(1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고, HMD(300) 및 VR 컨트롤러(400)와도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HMD(Head Mounted Display)(3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패션쇼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VR 컨트롤러(400)는 사용자가 HMD(300)에 디스플레이 된 패션쇼 영상 콘텐츠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VR 컨트롤러(400)를 들고 있는 손을 움직이면 패션쇼 영상 콘텐츠의 화면에 표시된 커서(cursor) 또는 레이저 빔 형태의 마킹 표시가 이에 상응하게 움직일 수 있고, 해당 마킹 표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특정 아이콘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VR 컨트롤러(400)에 구비된 버튼을 누르면 해당 아이콘이 클릭 내지 활성화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VR 콘텐츠 제공 서버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VR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10),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20), 패션쇼 동영상 생성부(130)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0)에는 패션쇼 동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데이터베이스(110)에는 패션쇼 동영상을 구성할 패션모델 아바타, 의류 및 패션쇼 무대의 3D 모델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20)는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패션쇼 동영상을 구성할 패션모델 아바타, 의류 및 패션쇼 무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패션쇼 동영상 생성부(130)는 패션쇼 동영상의 초기 화면과 후속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먼저, 패션쇼 동영상 생성부(13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패션쇼 부대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로딩하여 패션모델 아바타가 출연하지 않은 상태의 패션쇼 무대를 보여주는 패션쇼 동영상의 초기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패션쇼 동영상의 초기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40)에 의해 패션쇼 동영상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패션모델 아바타가 착용할 의류 등을 선택할 수 있다. 패션쇼 동영상을 구성할 의류는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미 선택된 상태이지만, 이와 같이 선택된 의류가 복수인 경우에 어느 의류를 먼저 패션모델 아바타에 착용시킬 것인지 결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패션쇼 동영상 생성부(13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패션모델 아바타의 3D 모델링 데이터와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4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의류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로딩하여 패션쇼 무대에 패션모델 아바타가 출연하여 패션쇼를 진행하는 패션쇼 동영상의 후속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40)는 패션쇼 동영상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40)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것처럼 패션쇼 동영상의 초기 화면에서 패션모델 아바타가 착용할 의류 등을 선택할 수 있게 서비스할 수 있고, 패션쇼 진행 중 패션모델 아바타가 착용한 의류나 카메라 뷰를 변경할 수 있게 서비스할 수도 있으며, 패션쇼 동영상의 일시 정지 등과 같은 조작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VR 콘텐츠 제공 서버(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10),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20), 패션쇼 동영상 생성부(130)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40)는 서버 기판에 실장되는 CPU, IC칩, 메모리, LTE모뎀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패션쇼 영상 콘텐츠의 시작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1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정보 입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20)는 의류 브랜드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21), 카테고리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22), 패션모델 아바타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23), 의류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24) 및 패션쇼 무대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VR 실행 앱을 통해 패션쇼 영상 콘텐츠가 실행되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시작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 사용자가 시작 화면의 하단에 표시된 VR 콘텐츠 시작 아이콘을 클릭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정보 입력 화면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의류 브랜드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21)는 복수의 의류 브랜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서비스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의류 브랜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의류 브랜드 아이콘(121a, 121b, 121c)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의류 브랜드 아이콘(121a, 121b, 121c) 중 하나를 클릭함으로써 의류 브랜드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의류 브랜드 아이콘(121a, 121b, 121c)의 상단에는 클릭 시 해당 의류 브랜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보여주는 예를 들어 돋보기 모양의 서브 아이콘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의류 브랜드는 남성 의류와 여성 의류 중 하나만을 판매하는 의류 브랜드를 포함할 수 있지만, 남성 의류와 여성 의류를 모두 판매하는 의류 브랜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고리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22)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의류 브랜드가 선택되면, 패션모델 아바타 카테고리, 의류 카테고리 및 패션쇼 무대 카테고리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서비스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거하고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패션모델 아바타 카테고리, 의류 카테고리 및 패션쇼 무대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패션모델 아바타 카테고리 아이콘(122a), 의류 카테고리 아이콘(122b) 및 패션쇼 무대 카테고리 아이콘(122c)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패션모델 아바타 카테고리 아이콘(122a), 의류 카테고리 아이콘(122b) 및 패션쇼 무대 카테고리 아이콘(122c) 중 하나를 클릭함으로써 패션모델 아바타, 의류 또는 패션쇼 무대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정보 입력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클릭 시 정보 입력 화면을 패션쇼 동영상의 초기 화면으로 변환시켜주는 패션쇼 동영상 시작 아이콘(122d)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패션쇼 동영상 시작 아이콘(122d)은 패션모델 아바타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23), 의류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24) 및 패션쇼 무대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2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이 모두 완료된 경우에만 클릭할 수 있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패션모델 아바타, 의류 및 패션쇼 무대의 선택이 모두 완료된 후에야 비로소 패션쇼 동영상의 생성 내지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클릭 시 의류 브랜드를 다시 선택할 수 있도록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정보 입력 화면으로 변환시켜주는 백 아이콘(122e)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패션모델 아바타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23)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션모델 아바타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여성 또는 남성 패션모델 아바타를 선택할 수 있는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거하고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여성 또는 남성 패션모델 아바타에 대응하는 패션모델 아바타 아이콘(123a, 123b)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패션모델 아바타 아이콘(123a, 123b)를 클릭함으로써 패션모델 아바타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의류 브랜드에서 판매하는 의류를 착용할 수 있는 성별의 패션모델 아바타 아이콘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의류 브랜드가 여성 의류만을 판매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여성 패션모델 아바타 아이콘(123a)만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의류 브랜드가 여성 의류와 남성 의류 모두 판매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여성 패션모델 아바타 아이콘(123a)과 남성 패션모델 아바타 아이콘(123b)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여성 패션모델 아바타 아이콘(123a)과 남성 패션모델 아바타 아이콘(123b) 중 하나를 클릭할 수 있다.
또한,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클릭 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정보 입력 화면으로 변환시켜주는 컨펌 아이콘(123c)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컨펌 아이콘(123c)은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이 완료된 경우에만 클릭할 수 있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패션모델 아바타 아이콘(123a, 123b)의 상단에는 클릭 시 해당 패션모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보여주는 예를 들어 돋보기 모양의 서브 아이콘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의류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24)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의류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복수의 의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는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거하고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의류에 대응하는 복수의 의류 아이콘(124a, 124b, 124c, 124d, 124e, 124f, 124g, 124h)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의류 아이콘(124a, 124b, 124c, 124d, 124e, 124f, 124g, 124h)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클릭함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류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의류 브랜드에서 판매하는 의류의 의류 아이콘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클릭 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정보 입력 화면으로 변환시켜주는 컨펌 아이콘(124i)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컨펌 아이콘(124i)은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이 완료된 경우에만 클릭할 수 있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클릭 시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의류 아이콘(124a, 124b, 124c, 124d, 124e, 124f, 124g, 124h) 전부를 선택할 수 있는 전부 선택 아이콘(124j)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의류 아이콘(124a, 124b, 124c, 124d, 124e, 124f, 124g, 124h)의 상단에는 클릭 시 해당 의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보여주는 예를 들어 돋보기 모양의 서브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의류 브랜드가 남성 의류와 여성 의류를 모두 판매하는 의류 브랜드인 경우,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성별의 패션모델 아바타가 착용할 수 없는 의류의 의류 아이콘을 클릭할 수 없도록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해당 의류 아이콘(124e, 124f, 124g, 124h)에 예를 들어 자물쇠 모양의 잠금 표시를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의류 선택 전에 패션모델 아바타 선택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의류 카테고리 아이콘(122b)은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이 완료된 경우에만 클릭할 수 있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패션모델 아바타 카테고리, 의류 카테고리 및 패션쇼 무대 카테고리의 순서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션쇼 무대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25)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션쇼 무대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복수의 패션쇼 무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3-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거하고 제3-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3-3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패션쇼 무대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션쇼 무대 아이콘(125a, 125b, 125c)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패션쇼 무대 아이콘(125a, 125b, 125c) 중 하나를 클릭함으로써 패션쇼 무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3-3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클릭 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정보 입력 화면으로 변환시켜주는 컨펌 아이콘(125d)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컨펌 아이콘(125d)은 제3-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이 완료된 경우에만 클릭할 수 있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패션쇼 무대 아이콘(125a, 125b, 125c)의 상단에는 클릭 시 해당 패션쇼 무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보여주는 예를 들어 돋보기 모양의 서브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2는 패션쇼 동영상의 초기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패션쇼 동영상의 초기 화면은 패션쇼 동영상 시작 아이콘(122d)의 클릭에 의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패션쇼 동영상의 초기 화면에는 패션모델 아바타가 출연하지 않은 상태의 패션쇼 무대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패션쇼 동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140)에 의해 생성되어 패션쇼 동영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 아이콘(141), 메뉴 팝업 창(142) 및 의류 팝업 창(143)을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 뷰 팝업 창(144)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메뉴 아이콘(141)은 패션쇼 동영상의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HMD(3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아래를 바라보면 메뉴 아이콘(141)을 확인할 수 있다.
메뉴 팝업 창(142)은 메뉴 아이콘(141)의 클릭 시 메뉴 아이콘(141)의 상측에 표시될 수 있다.
메뉴 팝업 창(142)은 싱글 모드 아이콘(142a) 및 듀얼 모드 아이콘(142b)을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 뷰 아이콘(142c), 일시정지 아이콘(142d), 리플레이 아이콘(142e) 및 복귀 아이콘(142f)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싱글 모드 아이콘(142a), 듀얼 모드 아이콘(142b), 카메라 뷰 아이콘(142c), 일시정지 아이콘(142d), 리플레이 아이콘(142e) 및 복귀 아이콘(142f)은 수평 방향으로 일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패션쇼 무대에 출연하는 패션모델 아바타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싱글 모드 아이콘(142a)의 클릭 시에는 패션쇼 동영상의 일측, 예를 들어 좌측에 1개의 의류 팝업 창(143)이 표시되는 반면, 듀얼 모드 아이콘(142b)의 클릭 시에는 패션쇼 동영상의 일측, 예를 들어 좌측에 2개의 의류 팝업 창(143)이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 뷰 아이콘(142c)의 클릭 시에는 패션쇼 동영상의 타측, 예를 들어 우측에 카메라 뷰 팝업 창(144)이 표시될 수 있다.
일시정지 아이콘(142d)의 클릭 시에는 패션쇼 동영상이 일시 정지되거나 재생될 수 있다.
리플레이 아이콘(142e)의 클릭 시 패션쇼 동영상이 다시 재생될 수 있다.
복귀 아이콘(142f)의 클릭 시에는 사용자가 의류 브랜드의 선택부터 패션쇼 동영상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 입력을 처음부터 다시 할 수 있도록 패션쇼 동영상 화면이 종료되고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정보 입력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의류 팝업 창(143)은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복수의 의류에 대응하는 복수의 의류 선택 아이콘(143a, 143b, 143c, 143d, 143e, 143f, 143g, 143h)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선택 아이콘(143a, 143b, 143c, 143d, 143e, 143f, 143g, 143h)의 클릭에 의해 패션모델 아바타가 착용하는 의류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싱글 모드 아이콘(142a)의 클릭에 의해 1개의 의류 팝업 창(143)이 표시된 상태에서 복수의 의류 선택 아이콘(143a, 143b, 143c, 143d) 중 하나가 클릭되면, 1명의 패션모델 아바타가 출연하는 패션쇼 동영상의 후속 영상이 재생될 수 있고, 패션쇼 동영상의 후속 영상의 재생 중에 복수의 의류 선택 아이콘(143a, 143b, 143c, 143d) 중 다른 하나가 클릭되면 패션모델 아바타가 착용한 의류가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듀얼 모드 아이콘(142b)의 클릭에 의해 2개의 의류 팝업 창(143)이 표시된 상태에서 2개의 의류 팝업 창(143)을 통한 의류 선택이 모두 완료되고 일시정지 아이콘(142d)이 클릭되면, 2명의 패션모델 아바타가 출연하는 패션쇼 동영상의 후속 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이 경우, 2명의 패션모델 아바타가 착용할 의류는 2개의 의류 팝업 창(143)에 의해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고, 패션쇼 동영상의 후속 영상의 재생 중에 의류 변경은 못하도록 의류 팝업 창(143)에는 예를 들어 자물쇠 모양의 잠금 표시가 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의류 선택 아이콘(143a, 143b, 143c, 143d, 143e, 143f, 143g, 143h)은 상하 방향으로 일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패션쇼 무대에 출연하는 패션모델 아바타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카메라 뷰 팝업 창(144)은 복수의 카메라 뷰 아이콘(144a, 144b, 144c, 144d)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 뷰 아이콘(144a, 144b, 144c, 144d)은 사용자가 패션모델 아바타를 바라보는 위치를 변화시켜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뷰 아이콘(144a)은 클릭 시 사용자의 위치를 패션쇼 무대의 끝으로 이동시켜줄 수 있고, 제2 카메라 뷰 아이콘(144b)은 클릭 시 사용자의 위치를 패션쇼 무대의 좌측으로 이동시켜줄 수 있고, 제3 카메라 뷰 아이콘(144c)은 클릭 시 사용자의 위치를 패션쇼 무대의 우측으로 이동시켜줄 수 있고, 제4 카메라 뷰 아이콘(144d)은 클릭 시 사용자의 위치를 패션모델 아바타의 앞으로 이동시켜줄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제4 카메라 뷰 아이콘(144d)을 클릭함으로써 패션모델 아바타를 클로즈업한 것과 같은 디스플레이 효과를 느낄 수 있고, 그 결과 패션모델 아바타가 착용한 의류를 보다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
100: VR 콘텐츠 제공 서버
110: 데이터베이스
120: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
121: 의류 브랜드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
122: 카테고리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
123: 패션모델 아바타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
124: 의류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
125: 패션쇼 무대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
130: 패션쇼 동영상 생성부
140: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
200: 사용자 단말기
300: HMD
400: VR 컨트롤러

Claims (10)

  1. VR 실행 앱을 통해 VR 형태의 패션쇼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VR 콘텐츠 제공 서버;
    상기 VR 실행 앱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패션쇼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HMD; 및
    상기 패션쇼 영상 콘텐츠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VR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패션쇼 영상 콘텐츠는, 패션쇼 동영상 생성에 필요한 패션쇼 구성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정보 입력 화면, 및 상기 정보 입력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패션쇼 동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패션쇼 동영상은 가상의 패션쇼 무대를 배경으로 패션모델 아바타가 패션쇼를 진행하는 3D 애니메이션 형태로 제공되는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R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패션쇼 동영상을 구성할 패션모델 아바타, 의류 및 패션쇼 무대의 3D 모델링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VR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패션쇼 동영상을 구성할 패션모델 아바타, 의류 및 패션쇼 무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정보 입력 화면에 복수의 의류 브랜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의류 브랜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의류 브랜드 아이콘을 포함하는 의류 브랜드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의류 브랜드가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거하고 패션모델 아바타 카테고리, 의류 카테고리 및 패션쇼 무대 카테고리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패션모델 아바타 카테고리, 의류 카테고리 및 패션쇼 무대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패션모델 아바타 카테고리 아이콘, 의류 카테고리 아이콘 및 패션쇼 무대 카테고리 아이콘을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션모델 아바타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거하고 패션모델 아바타를 선택할 수 있는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패션모델 아바타에 대응하는 패션모델 아바타 아이콘을 포함하는 패션모델 아바타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의류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거하고 복수의 의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는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의류에 대응하는 복수의 의류 아이콘을 포함하는 의류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션쇼 무대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거하고 복수의 패션쇼 무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3-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3-3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패션쇼 무대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션쇼 무대 아이콘을 포함하는 패션쇼 무대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를 포함하는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3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각 클릭 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정보 입력 화면으로 변환시켜주는 컨펌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펌 아이콘은 상기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3-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이 완료된 경우에만 클릭할 수 있도록 활성화되는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VR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패션쇼 무대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여 패션쇼 무대를 보여주는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초기 화면을 생성하는 패션쇼 동영상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클릭 시 상기 HMD에 디스플레이 된 상기 정보 입력 화면을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초기 화면으로 변환시켜주는 패션쇼 동영상 시작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션쇼 동영상 시작 아이콘은 상기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이 모두 완료된 경우에만 클릭할 수 있도록 활성화되는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의류 브랜드에서 판매하는 의류의 의류 아이콘만을 포함하는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의류 브랜드에서 판매하는 의류를 착용할 수 있는 성별의 패션모델 아바타 아이콘만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의류 브랜드는 남성 의류와 여성 의류를 모두 판매하는 의류 브랜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남성 의류와 여성 의류를 모두 판매하는 의류 브랜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성별의 패션모델 아바타가 착용할 수 없는 의류의 의류 아이콘을 클릭할 수 없도록 잠금 표시하고,
    상기 의류 카테고리 아이콘은 상기 제3-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이 완료된 경우에만 클릭할 수 있도록 활성화되는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VR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패션쇼 동영상에 표시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하단에 표시되는 메뉴 아이콘, 상기 메뉴 아이콘의 클릭 시 상기 메뉴 아이콘의 상측에 표시되되 싱글 모드 아이콘 및 듀얼 모드 아이콘을 포함하는 메뉴 팝업 창, 및 상기 싱글 모드 아이콘 또는 상기 듀얼 모드 아이콘의 클릭 시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일측에 표시되되 의류 선택 아이콘을 포함하는 의류 팝업 창을 포함하고,
    상기 의류 팝업 창은 상기 싱글 모드 아이콘의 클릭 시에는 1개 표시되되, 상기 듀얼 모드 아이콘의 클릭 시에는 2개 표시되고,
    상기 의류 선택 아이콘은 상기 제3-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의류에 대응하고,
    상기 패션쇼 동영상 생성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패션모델 아바타의 3D 모델링 데이터와 상기 의류 선택 아이콘을 통해 선택된 의류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여 패션쇼 무대에 패션모델 아바타가 출연하는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후속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후속 영상에는 상기 싱글 모드 아이콘을 통해 의류 선택 시 1명의 패션모델 아바타가 출연하되, 상기 듀얼 모드 아이콘을 통해 의류 선택 시에는 2명의 패션모델 아바타가 출연하고,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후속 영상은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초기 화면에서 상기 의류 선택 아이콘의 클릭에 의해 의류 선택이 완료된 경우에만 재생되고,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후속 영상의 재생 중에 패션모델 아바타가 착용한 의류는 상기 의류 선택 아이콘의 클릭에 의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
KR1020220042779A 2022-04-06 2022-04-06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 KR202301437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779A KR20230143761A (ko) 2022-04-06 2022-04-06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779A KR20230143761A (ko) 2022-04-06 2022-04-06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761A true KR20230143761A (ko) 2023-10-13

Family

ID=8828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779A KR20230143761A (ko) 2022-04-06 2022-04-06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376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971B1 (ko) 2001-06-21 2006-04-03 주식회사 삼테크아이앤씨 네트워크를 통한 패션정보서비스 제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971B1 (ko) 2001-06-21 2006-04-03 주식회사 삼테크아이앤씨 네트워크를 통한 패션정보서비스 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8066B2 (en) Method for serving interactive content to a user
US826448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8999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managing, and displaying an interactive display for 3D digital collectibles
US116052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managing, and displaying limited edition, serialized 3D digital collectibles with visual indicators of rarity classifications
JP7208549B2 (ja) 仮想空間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35539A (ko) 게임기반 장면 생성
US20100085355A1 (en) Image Generat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US202203508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managing, and displaying user owned collections of 3d digital collectibles
Villar Learning Blender
US10777009B2 (en) Dynamically forming an immersive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a consumer and a remote agent
US8954862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viewing of a four dimensional model requiring decision by the collaborators
TW202009682A (zh) 基於擴增實境的互動方法及裝置
US200902012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computer animatio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eaturing storyboards
WO2024077909A1 (zh) 基于视频的交互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2203190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customized characters and selectively displaying them in an augmented or virtual reality display
KR102391719B1 (ko) 다이나믹 디지털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법,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와 시스템
CN114730231A (zh) 用于虚拟试戴物品的技术
KR20230143761A (ko) 아바타 기반 vr 패션쇼 제공 시스템
CA3092884A1 (en) A media content planning system
KR100816783B1 (ko) 3차원 그래픽 표시 시스템 및 표시장치와, 전자 메시지전송 시스템 및 표시장치
KR100804472B1 (ko) 사용자 생성 아이템 판매 시스템 및 방법
JP2007026088A (ja) モデル生成装置
US20220172636A1 (en) Terminal and system for learning artist's style
Shim Augmented reality-guided online shopping mobile application
Lo ARSpectator—Enriching On-Site Sports Spectating with Augmented Re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