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783B1 - 3차원 그래픽 표시 시스템 및 표시장치와, 전자 메시지전송 시스템 및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그래픽 표시 시스템 및 표시장치와, 전자 메시지전송 시스템 및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783B1
KR100816783B1 KR1020067003145A KR20067003145A KR100816783B1 KR 100816783 B1 KR100816783 B1 KR 100816783B1 KR 1020067003145 A KR1020067003145 A KR 1020067003145A KR 20067003145 A KR20067003145 A KR 20067003145A KR 100816783 B1 KR100816783 B1 KR 100816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graphic
animation
data
electronic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3495A (ko
Inventor
모토야스 타나카
요시오 쿠니요시
토모아키 니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메가 칩스
가부시키가이샤 아크로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메가 칩스, 가부시키가이샤 아크로디아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메가 칩스
Publication of KR20060103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3D 공간(200)내에 제1의 공간(202)과 제2의 공간(203)이 설정된다. 3D 오브젝(210)은, 제2의 공간(203)에서 위치 P1에서 위치 P2까지 애니메이션하고, 또한, 축소하면서 위치 P2에서 위치 P3까지 애니메이션 한다. 제1의 공간(202)과 제2의 공간(203)과의 거리는 매우 크게 설정된다. 재생측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정의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3D 공간(200)내에서 오프셋시킨다. 시점(201)에서 3D 그래픽을 관찰하면, 오프셋의 전후에 있어서, 제2의 공간(203)상에서의 애니메이션에 큰 변화가 없고, 최종적인 위치 P3이 크게 이동한다.
Figure R1020067003145
3D 공간, 시점, 제1의 공간, 제2의 공간

Description

3차원 그래픽 표시 시스템 및 표시장치와, 전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표시장치{3D GRAPHIC DISPLAY SYSTEM AN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MESSAGE TRANSFER SYSTEM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3D 그래픽 데이터의 제작 및 재생 기술에 관한 것이다.
3D(3차원)그래픽을 사용한 전자우편 시스템이 존재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34614호 공보 혹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34614호 공보에는, 3D 데이터를 사용한 전자우편의 송수신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또한, 3D 그래픽의 애니메이션을 전자우편 콘텐츠로서 이용하는 시스템도 존재한다. 전자우편을 수신한 단말에 있어서 3D 그래픽의 애니메이션을 재생시킴으로써, 여러가지 취향을 응축시킨 부가가치가 높은 전자 메시지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예를들면, 수신 단말에 있어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고정 위치에서 재생시키는 것은, 기술적인 문제는 그다지 없다. 송신 단말은, 수신 단말에 있어서 재생시키는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면 된다. 수신 단말에 있어서는,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재생시키는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특정한다. 그리고, 수신 단말은, 특정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고정 위치에서 재생시키면 된다.
그러나,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의 재생 위치를 리얼 타임으로 변경하려고 하면, 몇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들면, 텍스트 문장의 일부에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이 매립되어 있는 전자우편을 생각한다. 이 경우, 수신 단말에 있어서는, 텍스트 문장을 순서대로 표시한 후,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표시하게 되지만, 그 표시 위치는 여러가지 위치가 된다. 즉,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도록 하는 위치가 줄 머리에 있을 경우, 줄의 중간에 있을 경우, 줄 끝에 있을 경우, 1행째에 있을 경우, 문말에 있을 경우등 여러가지이다.
여기에서, 도 12에서 나타낸 것 같은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조작할 경우를 설명한다. 이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은, 별모양의 3D 오브젝(81)이, 도면의 궤적(82)을 그리이면서, 최종적으로, 표시장치(디스플레이)(70)의 중앙부근으로 이동하도록 정의된 것이다.
예를 들면 텍스트 문장 안에 매립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의 표시 위치가 정확히 표시장치(70)의 중앙이면, 도 12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애니메이션을 이동하면 된다. 그러나,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표시하고자 하는 위치(정확하게는, 최종적으로 이동시키고 싶은 위치)가 줄 머리일 경우, 즉, 표시장치(70)의 좌측일 경우에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전체적으로 좌측으로 오프셋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전체를 오프셋했을 경우, 3D 오브젝(81)이 궤적(82m)을 그리는 도중에, 표시장치(70)의 묘화 에리어를 벗어난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14에 나타낸 것 같은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미리 준비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즉, 3D 오브젝(81)이 애니메이션하는 궤적으로서, 공통의 궤적(82a)과, 최종적으로, 표시장치(70)상의 여러가지 위치로 이동하는 복수의 궤적(82b)을 준비하는 방법이다. 도면에서는, 가령 3개의 궤적(82b)을 표시하고 있지만, 표시장치(70)전체를 커버하도록 다수의 궤적(82b)에 대응한 애니메이션 정의 데이터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3D 오브젝(81)의 애니메이션을 표시장치(70)의 화면내에 넣으면서, 최종적으로 여러가지 위치로 이동하는 3D 그래픽을 재생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다수의 애니메이션 정의 데이터를 준비할 필요가 있어, 데이터량이 매우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른 해결 방법으로서, 도 15에서 나타내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은 3D 그래픽 데이터를 하나 준비하면 된다. 그리고,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의 재생시에, 동적으로, 궤적(82)을 조작하여 궤적(82t)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데이터량을 크게 하는 않고, 최종적으로 여러가지 위치로 이동하는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재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재생할 때, 동적으로 그 애니메이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3D엔진의 아키텍처가, 동적으로 데이터구조를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환경에 의존한다는 제약이 있다. 또한 동적으로 데이터구조를 조작할 수 있는 3D엔진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3D엔진에 비해 연산 처리의 부하가 높다는 문제도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3D 그래픽을 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오브젝을 3D 공간내에서 애니메이션 시키는 3D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3D 그래픽 데이터를 기초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생성 수단에 의해 3D 그래픽 데이터가 정의되는 3D 공간내에는, 제1의 공간과 제2의 공간이 설정되고, 3D 그래픽 데이터는, 오브젝이 제2의 공간내를 애니메이션 한 후, 제2의 공간으로부터 제1의 공간상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정의된 데이터로서, 제1의 공간이 근거리 측이 되고, 제2의 공간이 원거리 측이 되는 시점에서 오브젝을 묘화하는 데이터이며, 표시 수단은, 표시장치상에 있어서의 오브젝의 최종적인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과, 3D 그래픽 데이터에 의해 정의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3D 공간내에서 오프셋하여 평행이동시킴으로써, 소정의 위치가 최종적인 표시 위치에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의 공간에 있어서의 애니메이션을 그다지 변화시키지 않고, 최종적인 이동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에 대하여 오프셋 조작을 하는 것 만으로, 오브젝을 여러가지 종점위치로 애니메이션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오브젝은, 3D 오브젝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3D 오브젝을 원하는 종점위치로 애니메이션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오브젝이 제2의 공간으로부터 제1의 공간상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시점으로부터 관찰한 오브젝의 사이즈가 변화되지 않도록, 3D 그래픽 데이터는, 오브젝을 축소하면서 이동시키도록 정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이 평면내를 애니메이션하고 있는 것과 같은 유사적인 표시 효과를 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량을 크게 하지 않고, 또한 연산 부하를 크게 하지 않고, 최종적으로 여러가지 위치로 이동가능한 3D 오브젝을 표시장치의 묘화 에리어내에서 애니메이션 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명백하게 된다.
도 1은 3D 그래픽 데이터의 제작, 배포, 이용에 관계되는 시스템의 전체도,
도 2는 3D 그래픽 데이터를 제작하는 컴퓨터의 기능 블럭도,
도 3은 3D 그래픽 데이터를 제작할 때 컴퓨터상에서 정의되는 가상적인 3D 공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3D모델 데이터(3D 오브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3D 공간내에서 정의된 3D 그래픽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시점위치로부터 관찰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의 모양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휴대전화장치의 기능 블럭도,
도 8은 송신측의 휴대전화 장치로 입력된 3D 그래픽 메일의 내용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수신측의 휴대전화 장치로 오프셋시키는 모양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시점위치로부터 관찰한 오프셋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의 모양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수신측의 휴대전화 장치에 표시되는 3D 그래픽 메일의 내용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종래의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종래의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오프셋시켰을 경우의 표시 내용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복수의 애니메이션에 대응한 복수의 애니메이션 정의 데이터를 가지는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동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3D 그래픽 데이터의 제작에서 공급까지의 흐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3D(3차원) 그래픽 애니메이션의 제작에서 공급까지의 일련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콘텐츠 제작 회사(1)에 있어서, CG크리에이터가 컴퓨터(2)를 이용하여, 3D 그래픽 데이터(253)(도 2참조)를 제작한다. 콘텐츠 제작 회사(1)에서 제작된 3D 그래픽 데이터(253)는, 휴대전화회사(3)에 공급된다. 휴대전화회사(3)는, 판매하는 휴대전화장치(4)에, 콘텐츠 제작 회사(1)로부터의 공급 받은 3D 그래픽 데이터(253)를 입력한다(휴대전화장치(4)에 탑재되는 3D 그래픽 데이터를 3D 그래픽 데이터(51)라고 한다.). 또한 휴대전화회사(3)에 있어서, 3D 그래픽 데이터(51)를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3D엔진(52) 및 3D메일 프로그램(53)이 휴대전화장치(4)에 삽입된다.
3D 그래픽 데이터(51), 3D엔진(52), 3D메일 프로그램(53)이 탑재된 휴대전화장치(4)는, 휴대전화회사(3)에 의해 시장에 판매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구입한 휴대전화장치(4)를 이용하여 3D 그래픽 메일의 교환을 행하는 것이다. 3D 그래픽 메일은, 전화 회선망이나 인터넷 등으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5)를 통해 송수신된다.
혹은, 콘텐츠 제작 회사(1)에 있어서 제작된 3D 그래픽 데이터(253)가,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매체에 격납되어 휴대전화장치(4)의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형태라도 좋다. 혹은, 3D 그래픽 데이터(253)가 네트워크(5)에 접속된 서버에 격납되어, 휴대전화장치(4)의 사용자가 다운로드하여 취득하는 형태라도 좋다.
(콘텐츠의 제작)
도 2는, 콘텐츠 제작 회사(1)에 있어서 CG크리에이터가 사용하는 컴퓨터(2)의 기능 블럭도이다. 컴퓨터(2)는, CPU(21), RAM(22), 키보드, 마우스 등을 구비 하는 조작부(23), 액정 모니터 등의 표시부(24),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장치(25)를 구비하고 있다. 컴퓨터(2)는, 예를들면, PC이다. 혹은, 컴퓨터 그래픽을 제작하는 전용 컴퓨터가 이용된다.
기억장치(25)에는, 3D모델 데이터나 애니메이션 정의 데이터를 제작하기 위한 3D 그래픽 제작 프로그램(251), 3D 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3D엔진(252)이 격납되어 있다. 또한 기억장치(25)에는, 제작된 3D 그래픽 데이터(253)가 격납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3D 그래픽 데이터라 함은, 3D모델 데이터와 애니메이션 정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3D모델 데이터는, 3D의 오브젝을 정의한 데이터로서, 애니메이션 정의 데이터는, 3D모델 데이터에 움직임이나 변형을 주기 위한 데이터이다. 즉, 3D모델 데이터에 의해, 표시하도록 하는 3D 오브젝의 입체적 형상, 크기, 색등이 정의되며, 애니메이션 정의 데이터는, 3D모델 데이터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3D 오브젝을 회전시키거나, 확대시키거나, 이동시키거나, 변형시키거나 하기 위한 처리를 정의한 데이터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처리의 내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컴퓨터(2)내에서 3D 그래픽 제작 프로그램(251)을 이용하여 3D 그래픽 데이터(253)를 제작하는 경우에 정의되는 가상적인 3D 공간(200)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3D 공간(200)내에는, 제1의 공간(202)과 제2의 공간(203)이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의 공간(202)과 제2의 공간(203)은, 서로 평행한 평면으로 하고 있다. 단, 제1의 공간(202)과 제2의 공간(203)이 3D 공간이어도 좋다.
3D 그래픽 제작 프로그램(251)은, 또한 3D 공간(200)내에 시점(201)을 설정 한다. 3D 공간(200)내에 있어서 제작된 3D 그래픽 데이터(253)는, 실제로는, 시점(201)부터 관찰한 2D그래픽으로서 표시장치에 묘화된다. 시점(201)은, 카메라 위치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도면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3D 공간(200)내에 있어서, 시점(201)과 제1의 공간(202)과의 거리 a는, 시점(201)과 제2의 공간(203)과의 거리 b보다 짧도록 설정되고 있다. 즉, 시점(201)에 대하여 근거리 측에 제1의 공간(202)이 설정되고, 원거리 측에 제2의 공간(203)이 설정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3D 공간(200)내에 있어서, 시점(201)과 제1의 공간(202)과의 거리 a는, 시점(201)과 제2의 공간(203)과의 거리 b보다 충분히 짧도록 설정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a:b=1:100이 되도록 설정되고 있다.
도 4는, 3D 공간(200)내에서 정의되는 3D 오브젝(210)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3D 오브젝(210)은, 3D모델 데이터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에서는, 3D 오브젝(210)은, 입체적인 별모양의 3D 그래픽이다.
도 5는, 도 4에서 나타낸 3D 오브젝(210)에 움직임을 주는 애니메이션 정의 데이터의 내용을, 그 애니메이션 동작을 통해서 나타낸 것이다. 이 애니메이션 정의 데이터는, 3D 오브젝(210)을, 우선, 제2의 공간(203)내에서 도면의 궤적(211)을 따라 애니메이션 시키도록 정의한 것이다. 즉, 3D 오브젝(210)은, 위치 P1으로 표시된 후, 궤적(211)을 따라 위치 P2까지 이동한다. 또한, 이 애니메이션 정의 데이터는, 3D 오브젝(210)이 제2의 공간(203)내에서 궤적(211)을 따라 애니메이션 한 후, 궤적(212)을 따라 제1의 공간(202)으로 이동하도록 정의한 것이다. 즉, 3D 오 브젝(210)은, 위치 P2에서 위치 P3을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3D 오브젝(210)은, 제1의 공간(202)내의 위치 P3(여기에서는, 제1의 공간(202)의 대략 중앙위치로 한다.)에서 애니메이션 동작을 끝내는 것이다.
또한 3D 오브젝(210)이 위치 P2에서 위치 P3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시점(201)에서 본 3D 오브젝(210)의 크기가 변화되지 않도록, 3D 오브젝(210)의 크기가 점차로 축소되도록 애니메이션 정의 데이터에 정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a:b=1:100이므로, 제1의 공간(202)에 있어서 최종적으로 3D 오브젝(210)을 표시하고자 하는 사이즈의 100배 사이즈로 제2의 공간(203)내에 3D 오브젝(210)을 표시한다(도 5에 있어서는, a:b의 비를 정확하게 나타내지 않고 있지만, 실제로는, 제2의 공간(203)상에서는, 제1의 공간(202)상에 비해 3D 오브젝(210)의 사이즈는 100배다.). 그리고, 3D 오브젝(210)이 궤적(212)상에서 시점(201)에서의 거리가 c(a <c <b)의 위치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3D 오브젝(210)의 사이즈는, 제1의 공간(202)에 있어서의 사이즈의 c/a배로 정의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애니메이션 정의 데이터에 의해, 3D 오브젝(210)이 애니메이션의 동작을 행하면, 시점(201)에서 관찰한 3D 오브젝(210)의 모양은, 도 6과 같이 된다. 즉, 위치 P1→P2→P3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3D 오브젝(210)의 사이즈는 일정하며, 궤적(211)을 그린 후, 위치 P2에서 위치 P3으로 이동한다. 이 위치 P2로부터 위치 P3으로의 이동이 궤적(212)의 투영에 대응하고 있는 것이다.
콘텐츠 제작 회사(1)에 있어서, 이상에서 설명 한 것 같은 3D모델 데이터 및 애니메이션 정의 데이터로 구성되는 3D 그래픽 데이터(253)가 제작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이 데이터는, 3D 그래픽 데이터(51)로서 휴대전화장치(4)에 입력된다. 휴대전화장치(4)를 구입한 사용자는, 이 3D 그래픽 데이터(51)를 이용해서 3D 그래픽 메일의 교환을 행하는 것이다.
{3D 그래픽 메일의 교환}
다음에 3D 그래픽 메일의 교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3D 그래픽 데이터(51), 3D엔진(52), 3D메일 프로그램(53)이 탑재된 휴대전화장치(4, 4)사이에서 3D 그래픽 메일을 교환할 경우를 설명한다.
도 7은, 휴대전화장치(4)의 기능 블럭도이다. 휴대전화장치(4)는, 휴대전화장치(4)의 전체제어를 행하는 CPU(41), 각종의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버퍼 영역으로서 사용되는 RAM(42), 십자 커서, 영숫자 버튼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43), 전화번호나 메일 표시 외에, 각종의 정보표시를 행하는 표시부(44), 음성통신이나 데이터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처리부(45),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전파의 송수신을 행하는 안테나(46), 기억 장치(47), 마이크(48), 스피커(49)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44)로서는, 예를들면, 액정표시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기억장치(47)로서는, 예를들면, 플래시 메모리등의 ROM가 이용된다. 기억장치(47)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장치(4)의 출하시에, 3D 그래픽 데이터(51), 3D엔진(52), 3D메일 프로그램(53)이 격납되어 있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장치(4)에 착탈가능한 기억매체를 통해, 이들 데이터가 제공되어도 좋고, 이들 데이터를 인터넷상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취득하는 형태라도 좋다.
송신측의 휴대전화장치(4)에서는, 3D메일 프로그램(53)을 이용하여, 3D 그래픽 메일의 입력 조작이 행해진다. 여기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3D 그래픽 메일의 입력 조작이 행해질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조작부(43)를 조작하여, 우선, 텍스트 문자의 입력을 행한다. 예를들면, 「오늘은 정말 즐거웠다」라는 문자를 입력한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조작부(43)를 조작하여,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의 지정 조작을 행한다. 여기에서는, 별모양의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어,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별모양의 3D 오브젝(210)이 입력한 텍스트 문자에 계속해서 표시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는, 「또 놀러 갑시다. 그럼 이만」이라는 텍스트 문자를 입력한다. 그리고, 마지막에, 다시, 별모양의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의 지정 조작을 행한다. 이에 따라 문말에 별모양의 3D 오브젝(210)이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같은 별모양의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지정했지만, 기억장치(47)내에는, 여러가지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에 대응한 3D 그래픽 데이터(51)가 준비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들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송신측의 휴대전화장치(4)에 있어서, 도 8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3D 그래픽 메일이 작성되면, 다음에 이 3D 그래픽 메일이 송신된다. 이 송신되는 메일의 데이터에는, 텍스트 문자의 데이터와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지정하는 데이터(즉, 3D 그래픽 데이터(51)를 지정하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송신측과 수신측이 같은 3D 그래픽 데이터(51)를 가지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3D 그래픽 데이터(51) 그 자체를 송신할 필요는 없고, 어느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이용할지를 지정하는 데이터만 송신된다. 단, 송신측에서 수신측에 3D 그래픽 데이터(51)를 송신하는 방법이라도 상관없다.
수신측의 휴대전화장치(4)에 있어서는, 수신한 메일의 데이터로부터, 텍스트 문자의 데이터와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3D 메일 프로그램(53)은,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3D 그래픽 메일을 재생하는 것이다.
3D 그래픽 메일의 재생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수신한 3D 그래픽 메일은, 텍스트 문장 안에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이 매립된 것이다. 그리고,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의 표시 위치(정확하게는, 최종적인 표시 위치)는, 여러가지이다. 거기에서, 재생측의 휴대전화장치(4)에서는,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전체적으로 오프셋함으로써, 3D 오브젝(210)의 최종적인 이동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것이다.
도 9는, 디폴트 상태에 있어서의 3D 그래픽 애니메이션(도면에서는 굵은선으로 나타낸다)과 오프셋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도에서는 쇄선으로 나타낸다)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폴트 상태의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은, 도 5에서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3D 오브젝(210)이 위치 P1에서 궤적(211)을 그려서 위치 P2로 이동하고, 위치 P2로부터 궤적(212)을 그려서 위치 P3로 이동한다. 오프셋된 애니메이션은, 이 디폴트 애니메이션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3D 공간(200)내에서 평행 이동시키고, 3D 오브젝(210)의 최종적인 이동 위치가 위치 P3’이 되도록 한 것이다. 즉, 3D 오브젝(210)은 위치 P1’에서 최초에 표시되어, 궤적(211m)을 따라 위치 P2’까 지 이동하고, 위치 P2’로부터 궤적(212m)을 따라 위치 P3’까지 이동한다.
이와 같이, 3D 그래픽 데이터(51)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전체적으로 3D 공간(200)내에서 오프셋시키는 처리는, 3D 그래픽 데이터(51)의 데이터구조를 조작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재생 소프트웨어측에서 제어가능하다. 즉, 3D엔진(52) 혹은 3D메일 프로그램(53)의 처리에 의해,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의 전체 동작을 오프셋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하여, 오프셋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시점(201)에서 관찰한 그래픽을 도 10에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표시부(44)에 묘화되는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은, 위치 P1’로부터 위치 P2’에 이르는 궤적은, 도 6에서 나타낸 위치 P1로부터 위치 P2에 이르는 궤적과 근사하고, 위치 P2’로부터 위치 P3’에 이르는 궤적이 위치 P2로부터 위치 P3에 이르는 궤적과 크게 다르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전체가 같은 거리만큼 오프셋되어 있는 셈이지만, 시점(201)에서 본 제2의 공간(203)이 매우 먼 쪽에 설정되고 있기 때문에, 제2의 공간(203) 상에 있어서의 오프셋의 거리는, 제1의 공간(202)상에 투영시켰을 경우, 매우 짧은 거리가 되기 때문이다. 예를들면,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a:b=1:100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2의 공간(203)상에 있어서의 오프셋의 거리는, 제1의 공간(202)상에서는 100분의 1로 축소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의 공간(202)상에 있어서 위치 P3을 위치 P3’으로 크게 이동시킨다고 해도, 제2의 공간(203)상에 있어서의 애니메이션의 동작에 그다지 변화를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서, 수신한 3D 그래픽 메일의 재생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3D메일 프로그램(53)은, 우선, 순서대로 텍스트 문자를 표시한다. 여기에서는, 「오늘은 정말 즐거웠다」라는 문자가 표시된다(도 11(a)). 다음에 3D메일 프로그램(53)은,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판독하면, 기억장치(47)로부터 대응하는 3D 그래픽 데이터(51)을 판독하여,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의 재생을 행한다(도 11(b), (c)). 여기에서는, 별모양의 3D 오브젝(210)을 최종적으로, 1행째의 줄 끝(표시부(44)의 오른쪽 상부)에 표시하고자 하므로, 3D 그래픽 데이터(51)로 정의되어 있는 애니메이션의 최종적인 위치 P3이, 표시부(44)의 오른쪽 상부에 일치하도록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오프셋시키면서 재생한다. 이 경우에도, 제2의 공간(203)상에 있어서의 애니메이션 동작은 크게 변화되지 않으므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별모양의 3D 오브젝(210)은, 표시부(44)의 묘화 에리어를 벗어나지 않고 애니메이션 하며(도 11(b)), 최종적으로, 표시부(44)의 오른쪽 상부로 이동한다(도 11(c)).
계속해서, 3D메일 프로그램(53)은, 「또한 놀러 갑시다. 그럼 이만」이라는 텍스트 문자를 표시한다(도 11(d)). 다음에 3D메일 프로그램(53)은,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판독하면, 기억장치(47)로부터 대응하는 3D 그래픽 데이터(51)를 판독하고, 다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의 재생을 행한다(도 11(e),(f)). 여기에서는, 별모양의 3D 오브젝(210)을 최종적으로, 3행째의 행 가운에(표시부(44)의 중앙 상부)에 표시하고자 하므로, 3D 그래픽 데이터(51)로 정의되어 있는 애니메이션의 최종적인 위치 P3이, 표시부(44)의 중앙 상부에 일치하도 록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오프셋시키면서 재생한다. 이 경우에도, 제2의 공간(203)상에 있어서의 애니메이션 동작은 크게 변화되지 않으므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별모양의 3D 오브젝(210)은, 표시부(44)의 묘화 에리어를 벗어 나지 않고 애니메이션 하여(도 11 (e)), 최종적으로, 표시부(44)의 중앙상부로 이동한다 (도 11(f)).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신측에 있어서, 3D 오브젝(210)을 묘화 에리어내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최종적으로 여러가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수신측에 있어서는,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오프셋 조작하는 처리를 행할 뿐이므로, 처리의 부하가 작아, 리얼 타임으로 최종적인 이동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오프셋시키는 처리는, 일반적인 3D엔진이면, 3D 그래픽 데이터의 데이터구조를 조작할 필요가 없고, 재생 처리시에 어플리케이션측에서 조작가능하므로, 환경에 의존하지 않고, 범용적으로 이용 가능한 기술이다.
{변형예}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은, 3D 오브젝이 애니메이션을 행할 경우를 설명했지만, 2D 오브젝이 3D 공간내를 애니메이션 하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은, 3D 오브젝(210)이 제2의 공간(203)내에서 애니메이션 한 후, 제1의 공간(202)을 향해서 이동하고, 제1의 공간(202)에 도달한 지점이 최종적인 이동 위치 P3이었다. 이것은 일례이며, 3D 오브젝(210)이 제2의 공간(203)내를 애니메이션 한 후, 제1의 공간(202)으로 이동하고, 또한, 제1의 공간(202)내에서 애니메이션 한 후, 최종적인 위치 P3으로 이동하는 것이라도 좋다. 단, 제1의 공간(202)내에서 애니메이션 시켰을 경우에는, 오프셋했을 때, 애니메이션이 묘화 에리어로부터 벗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다지 큰 움직임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은, 3D 오브젝(210)이 최종적인 위치 P3으로 이동하고, 애니메이션을 종료할 경우를 설명했다. 이것은 일례이며, 3D 오브젝이, 최종적인 위치 P3으로 이동한 후에도, 작은 움직임의 애니메이션을 속행하는 것이라도 좋다. 예를들면, 조금씩 흔들리는 움직임이나, 작은 변형을 반복하는 애니메이션이 속행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신측의 단말은, 텍스트 문장 안에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매립하여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텍스트 문장의 표시 양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의 전자우편과 마찬가지로, 텍스트 데이터를 그대로 표시하도록 해도 좋고, 텍스트 문장에 관해서도 3D문자로 치환하여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3D메일 프로그램(53)은, 단독으로, 3D메일을 작성 혹은 재생시키는 기능을 갖춘 프로그램이라도 좋고, 휴대전화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표준의 메일 프로그램에 애드인 되는 타입의 부가 프로그램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송신측의 휴대전화장치(4)가 재생시키는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지정하는 것이었다. 이 이외의 방법으로서, 송신측은 텍스트 문장만으로 이루어지는 전자우편을 송신하고, 수신측에 있어서, 텍스트 문장 안의 키워드를 검출하여, 이 키워드에 대응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재생시키는 형태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측의 휴대전화장치에, 소정의 키워드와 3D 그래픽 데이터를 대응하게 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갖도록 하면 된다. 예를들면, 「즐겁다」, 「기쁘다」등의 키워드에 별모양의 3D 오브젝이 애니메이션하는 3D 그래픽 데이터를 대응해 두면, 수신한 메일의 텍스트 문장 안에 이들의 키워드가 존재하고 있을 경우, 수신측만의 처리로, 키워드를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수신 단말은, 수신한 전자우편의 텍스트 문장으로부터 3D 그래픽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키워드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3D 그래픽 데이터를 3D 그래픽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고, 텍스트 문장 안에 있어서의 키워드 부분에 대해서는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으로 치환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텍스트 문장 안의 어느 장소에 키워드가 존재할지는 메일을 표시시킬 때까지 판명되지 않지만, 텍스트 문장을 표시시키면서, 리얼 타임으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의 최종적인 이동 위치를 결정하고,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오프셋 시킴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3D 오브젝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 양태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명기한 부분을 제외하고는, 그 상세한 설명의 기재로써 제약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하는 범위에 있어서 넓게 구성하고자 하는 것 이다.

Claims (20)

  1. 3D 그래픽을 표시장치(44)에 표시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서,
    오브젝(210)을 3D 공간(200)내에서 애니메이션시키는 3D 그래픽 데이터(253, 51)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2)과,
    상기 3D 그래픽 데이터(253, 51)에 의거하여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상기 표시장치(44)에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 수단(4)을 구비하고,
    상기 생성 수단(2)에 의해 상기 3D 그래픽 데이터(253, 51)가 정의되는 3D 공간(200)내에는, 제1의 공간(202)과 제2의 공간(203)이 설정되고, 상기 3D 그래픽 데이터(253, 51)는, 상기 오브젝(210)이 상기 제2의 공간(203)내를 애니메이션한 후, 상기 제2의 공간(203)에서 상기 제1의 공간(202)상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정의된 데이터로서, 상기 제1의 공간(202)이 근거리 측이 되고, 상기 제2의 공간(203)이 원거리 측이 되는 시점(201)에서 상기 오브젝(210)을 묘화하는 데이터이며,
    상기 표시 수단(4)는,
    상기 표시장치(44)상에 있어서의 상기 오브젝(210)의 최종적인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3D 그래픽 데이터(253, 51)에 의해 정의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3D 공간(200)내에서 전체적으로 일정간격으로 오프셋시킴으로써, 상기 소정의 위치가 상기 최종적인 표시 위치에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그래픽 표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210)은, 3D 오브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그래픽 표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공간(202)과 상기 제2의 공간(203)은, 서로 평행한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그래픽 표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210)이 상기 제2의 공간(203)에서 상기 제1의 공간(202)상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시점(201)에서 관찰한 상기 오브젝(210)의 사이즈가 변화되지 않도록, 상기 3D 그래픽 데이터(253, 51)는, 상기 오브젝(210)을 축소하면서 이동시키도록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그래픽 표시 시스템.
  5. 3D 그래픽 데이터(51)에 의거하여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상기 3D 그래픽 데이터(51)는, 제1의 공간(202) 및 제2의 공간(203)이 설정된 3D 공간(200)내에서, 오브젝(210)이 상기 제2의 공간(203)내를 애니메이션한 후, 상기 제2의 공간(203)에서 상기 제1의 공간(202)상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정의하는 데이터로서, 상기 제1의 공간(202)이 근거리 측이 되고, 상기 제2의 공간(203)이 원거리 측이 되는 시점(201)에서 상기 오브젝(210)을 묘화한 데이터이며,
    상기 오브젝(210)의 최종적인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3D 그래픽 데이터(51)에 의해 정의되는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3D 공간(200)내에서 전체적으로 일정간격으로 오프셋시킴으로써, 상기 소정의 위치가 상기 최종적인 표시 위치에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그래픽 표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210)은, 3D 오브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그래픽 표시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공간(202)과 상기 제2의 공간(203)은, 서로 평행한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그래픽 표시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210)이 상기 제2의 공간(203)에서 상기 제1의 공간(202)상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시점(201)에서 관찰한 상기 오브젝(210)의 사이즈가 변화되지 않도록, 상기 3D 그래픽 데이터(51)는, 상기 오브젝(210)을 축소하면서 이동시키도록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그래픽 표시장치.
  9. 3D 그래픽 데이터(51)에 의해 정의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전자 메시지의 일부로서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으로서,
    텍스트 문장의 일부에 상기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의 삽입 위치가 지정된 전자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단말과,
    상기 전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텍스트 문장 및 상기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수신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3D 그래픽 데이터(51)는, 제1의 공간(202) 및 제2의 공간(203)이 설정된 3D 공간(200)내에서, 오브젝(210)이 상기 제2의 공간(203)내를 애니메이션 한 후, 상기 제2의 공간(203)에서 상기 제1의 공간(202)상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정의하는 데이터로서, 상기 제1의 공간(202)이 근거리 측이 되고, 상기 제2의 공간(203)이 원거리 측이 되는 시점(201)에서 상기 오브젝(210)을 묘화한 데이터이며,
    상기 수신 단말은,
    상기 수신 단말이 구비하는 표시장치(44)에 상기 전자 메시지에 기록된 텍스트 문장을 선두부터 순서대로 판독해서 소정의 양태로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재생할 때는, 이미 표시한 텍스트 문장에 계속되는 위치를 상기 오브젝(210)의 최종적인 표시 위치로서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3D 공간(200)내에서 전체적으로 일정간격으로 오프셋시킴으로써, 상기 소정의 위치가 상기 최종적인 표시 위치에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10. 3D 그래픽 데이터(51)에 의해 정의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전자 메시지의 일부로서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으로서,
    전자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단말과,
    상기 전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텍스트 문장 및 상기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수신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3D 그래픽 데이터(51)는, 제1의 공간(202) 및 제2의 공간(203)이 설정된 3D 공간(200)내에서, 오브젝(210)이 상기 제2의 공간(203)내를 애니메이션 한 후, 상기 제2의 공간(203)에서 상기 제1의 공간(202)상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정의하는 데이터로서, 상기 제1의 공간(202)이 근거리 측이 되고, 상기 제2의 공간(203)이 원거리 측이 되는 시점(201)에서 상기 오브젝(210)을 묘화한 데이터이며,
    상기 수신 단말은,
    소정의 키워드와 대응되는 상기 3D 그래픽 데이터(51)를 축적하는 3D 그래픽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전자 메시지의 텍스트 문장으로부터 상기 3D 그래픽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수단과,
    추출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3D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3D 그래픽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텍스트 문장의 키워드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원래의 텍스트 문장을 표시하고,
    상기 텍스트 문장의 키워드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치환하여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이미 표시한 텍스트 문장에 계속되는 위치를 상기 오브젝(210)의 최종적인 표시 위치로서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3D 공간(200)내에서 전체적으로 일정간격으로 오프셋시킴으로써, 상기 소정의 위치가 상기 최종적인 표시 위치에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메시지는, 전자우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210)은, 3D 오브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13.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공간(202)과 상기 제2의 공간(203)은, 서로 평행한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14.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210)이 상기 제2의 공간(203)에서 상기 제1의 공간(202)상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시점(201)에서 관찰한 상기 오브젝(210)의 크기가 변화되지 않도록, 상기 3D 그래픽 데이터(51)는, 상기 오브젝(210)을 축소하면서 이동시키도록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15. 3D 그래픽 데이터(51)에 의해 정의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전자 메시지의 일부로서 표시하는 장치로서,
    텍스트 문장의 일부에 상기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의 삽입 위치가 지정된 전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텍스트 문장 및 상기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3D 그래픽 데이터(51)는, 제1의 공간(202) 및 제2의 공간(203)이 설정된 3D공간(200)내에서, 오브젝(210)이 상기 제2의 공간(203)내를 애니메이션 한 후, 상기 제2의 공간(203)에서 상기 제1의 공간(202)상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정의하는 데이터로서, 상기 제1의 공간(202)이 근거리 측이 되고, 상기 제2의 공간(203)이 원거리 측이 되는 시점(201)에서 상기 오브젝(210)을 묘화한 데이터이며,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전자 메시지에 기록된 텍스트 문장을 선두부터 순서대로 판독해서 소정의 양태로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재생할 때는, 이미 표시한 텍스트 문장에 계속되는 위치를 상기 오브젝의 최종적인 표시 위치로서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3D 공간(200)내에서 전체적으로 일정간격으로 오프셋시킴으로써, 상기 소정의 위치가 상기 최종적인 표시 위치에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시지 표시장치.
  16. 3D 그래픽 데이터(51)에 의해 정의된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전자 메시지의 일부로서 표시하는 장치로서,
    상기 3D 그래픽 데이터(51)는, 제1의 공간(202) 및 제2의 공간(203)이 설정된 3D공간(200)내에서, 오브젝(210)이 상기 제2의 공간(203)내를 애니메이션 한 후 상기 제2의 공간(203)에서 상기 제1의 공간(202)상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정의하는 데이터로서, 상기 제1의 공간(202)이 근거리 측이 되고, 상기 제2의 공간(203)이 원거리 측이 되는 시점(201)에서 상기 오브젝(210)을 묘화한 데이터이며,
    소정의 키워드와 대응된 상기 3D 그래픽 데이터(51)를 축적하는 3D 그래픽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전자 메시지의 텍스트 문장으로부터 상기 3D 그래픽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수단과,
    추출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3D 그래픽 데이터(51)를 상기 3D 그래픽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텍스트 문장의 키워드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원래의 텍스트 문장을 표시하고, 상기 텍스트 문장의 키워드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치환하여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이미 표시한 텍스트 문장에 계속되는 위치를 상기 오브젝(210)의 최종적인 표시 위치로서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3D 공간(200)내에서 전체적으로 일정간격으로 오프셋시킴으로써, 상기 소정의 위치가 상기 최종적인 표시 위치에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시지 표시장치.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메시지는, 전자우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시지 표시장치.
  18.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210)은, 3D 오브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시지 표시장치.
  19.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공간(202)과 상기 제2의 공간(203)은, 서로 평행한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시지 표시장치.
  20.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210)이 상기 제2의 공간(203)에서 상기 제1의 공간(202)상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시점(201)에서 관찰한 상기 오브젝(210)의 크기가 변화되지 않도록, 상기 3D 그래픽 데이터(51)는, 상기 오브젝(210)을 축소하면서 이동시키도록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시지 표시장치.
KR1020067003145A 2005-02-16 2005-07-20 3차원 그래픽 표시 시스템 및 표시장치와, 전자 메시지전송 시스템 및 표시장치 KR100816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38898A JP4603902B2 (ja) 2005-02-16 2005-02-16 3dグラフィック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装置並びに電子メッセージ転送システムおよび表示装置
JPJP-P-2005-00038898 2005-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495A KR20060103495A (ko) 2006-10-02
KR100816783B1 true KR100816783B1 (ko) 2008-03-25

Family

ID=36916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145A KR100816783B1 (ko) 2005-02-16 2005-07-20 3차원 그래픽 표시 시스템 및 표시장치와, 전자 메시지전송 시스템 및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03902B2 (ko)
KR (1) KR100816783B1 (ko)
CN (1) CN101147173B (ko)
WO (1) WO20060878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79744A1 (en) * 2007-09-21 2009-03-26 Microsoft Corporation Animating objects using a declarative animation scheme
KR101246844B1 (ko) * 2011-05-12 2013-03-25 빅시스템즈 주식회사 3d 입체 관제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0285A (ja) * 1998-03-04 1999-09-17 Ntt Data Corp 3次元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2270A (ja) * 1994-04-08 1995-10-27 Sony Corp 画像生成方法および装置
JP3315363B2 (ja) * 1998-03-18 2002-08-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動画像再生品質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2207671A (ja) * 2001-01-05 2002-07-26 Nec Saitama Ltd 携帯電話機及び電子メール文章送信/再生方法
JP3780512B2 (ja) * 2002-07-30 2006-05-31 株式会社光栄 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ゲーム装置
JP2004070685A (ja) * 2002-08-07 2004-03-04 Hudson Soft Co Ltd 電子装置、および似顔絵付き電子メールの受信再生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0285A (ja) * 1998-03-04 1999-09-17 Ntt Data Corp 3次元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47173A (zh) 2008-03-19
WO2006087834A1 (ja) 2006-08-24
CN101147173B (zh) 2010-05-12
JP4603902B2 (ja) 2010-12-22
KR20060103495A (ko) 2006-10-02
JP2006227781A (ja) 200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11435B (zh) 动画处理方法和装置
EP2127341B1 (en) A communication network and devices for text to speech and text to facial animation conversion
CN101013507B (zh) 三维处理装置、信息终端和三维处理方法
US20110302513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lexible modification of user interfaces
JP2004198872A (ja) 端末装置およびサーバ
JP2004172671A (ja) 動画像加工方法及び装置
US20100231590A1 (en) Creating and modifying 3d object textures
CN111530086B (zh) 一种生成游戏角色的表情的方法和装置
WO2004023824A1 (ja) 立体視可能なコンテンツ作成および編集を容易に行なうことのできる装置
CN111530088B (zh) 一种生成游戏角色的实时表情图片的方法和装置
CN110996150A (zh) 视频融合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080094400A1 (en) Content 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 Application
KR100816783B1 (ko) 3차원 그래픽 표시 시스템 및 표시장치와, 전자 메시지전송 시스템 및 표시장치
CN111530087B (zh) 一种在游戏中生成实时表情包的方法和装置
US8587601B1 (en) Sharing of three dimensional objects
JP4630531B2 (ja) 3d文字メールシステム
KR100643415B1 (ko) 이동 단말기의 3차원 아바타 메신저 시스템
EP1316921A1 (en) A method for creating photo-realistic animation that expresses a plurality of expressions
JP2007026088A (ja) モデル生成装置
WO2021208330A1 (zh) 一种生成游戏角色的表情的方法和装置
JP4859148B2 (ja) 3d文字メールシステム
JP4421266B2 (ja) 3d文字メールシステム
CN116962337A (zh) 一种消息处理方法及相关产品
JP5281041B2 (ja) 3d文字メールシステム
JP2013033316A (ja) Cgキャラクタ生成装置及びcgキャラクタ生成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