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708A - 신생아 자세 유지를 위한 유모차용 보조 시트 - Google Patents

신생아 자세 유지를 위한 유모차용 보조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708A
KR20230143708A KR1020220042662A KR20220042662A KR20230143708A KR 20230143708 A KR20230143708 A KR 20230143708A KR 1020220042662 A KR1020220042662 A KR 1020220042662A KR 20220042662 A KR20220042662 A KR 20220042662A KR 20230143708 A KR20230143708 A KR 20230143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wborn
stroller
cushions
sea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래
Original Assignee
김영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래 filed Critical 김영래
Priority to KR1020220042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3708A/ko
Publication of KR20230143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70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8Lining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1Upholstery, padded or cushioned memb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생아(영유아)를 유모차에 안정적으로 눕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보조 시트에 관한 것으로, 대체로 장방형으로 형성된 머리 쿠션(10), 대체로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머리 쿠션(10)의 좌우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2개의 측부 쿠션(20,20') 및 대체로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부 쿠션(20)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연결된 다리 쿠션(3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머리 쿠션(10)과 측부 쿠션(20,20') 및 측부 쿠션(20,20')과 다리 쿠션(30) 사이는 얇게 연결부(F1,F2,F3,F4)를 이루되 상기 4개의 쿠션(10,20,20',30) 내측은 상하로 장반경(L1)을 이루고 좌우로 상기 장반경보다 짧게 단반경(L2)을 이루면서 내부가 빈 도넛 형태를 이루고, 상기 헤드 쿠션(10)과 측부 쿠션(20,20') 및 다리 쿠션(30)은 외곽이 내측보다 위로 들린 상태를 유지하여 움푹한 요람 형태를 이루어 유모차 시트 바닥 위에 깔고 그 위에 이너 시트를 다시 깔아 준 후 신생아를 눕혀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생아 자세 유지를 위한 유모차용 보조 시트{An Auxiliary seat of baby carrige for maintaining posture of newborn baby}
본 발명은 신생아(영유아)를 유모차에 안정적으로 눕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보조 시트에 관한 것이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유모차 이너 시트(라이너)는 딱딱한 시트 바닥에 아기를 눕히지 않기 위해 사용하는 것인데, 이는 머리 부분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하기 위한 헤드 쿠션부(베개)와 대체로 얇은 몸통부로 이루어져 있을 뿐이어서 체구가 작은 신생아를 눕힌 상태에서 이동할 경우 몸을 가누지 못하는 신생아가 밑(아래)으로 쏠리거나, 좌우로 몸통이 돌아가게 되거나 또는 제대로 가누지 못하는 머리가 틀어져 버리게 되는 등의 불안정하고 불안한 상태를 초래하기도 한다.
한편, 유모차는 대체로 3개월에서 4살까지 사용 가능한 디럭스형, 7개월 5살까지 사용 가능한 절충형 및 휴대용 유모차로 구분되고, 이 외에도 형태에 따라 왜건형, 다둥이용 등이 있다.
상술한 디럭스형 유모차에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하는 신생아(유아)를 태울 경우에는 디럭스 유모차의 좌석 폭이 비교적 커서 신생아의 자세가 불안정하고, 좌우로 크게 흔들리는 문제가 있으며, 이너 시트를 사용하더라도 여전히 자세가 불안정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체구가 아주 작은 신생아의 경우에는 이러한 이너 시트를 사용하더라도 디럭스 유모차에 신생아를 안정적으로 태우고 이동하기가 불안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유모차를 한 번 구입해서 신생아 때부터 5살 정도가 될 때까지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조 시트(쿠션)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이의 조건으로는 신생아의 목이 좌우로 돌아거거나 앞으로 안 구부러지게 하여야 하고, 다리는 태중의 아기처럼 다리는 어느 정도 높게 들릴 수 있도록 하며, 작은 몸통은 좌우로 안 쏠리게 해주어야 하고, 안전벨트를 채우는데 불편함이 없게 하여야 하며, 보조 시트 자체가 일체형을 이루어 쉽게 분리하고 장착할 수 있어야 하고, 계절에 따라서 뒤집어서 보온성과 통풍성을 감안하여 사용이 가능한 보조 시트를 제공함으로써 아이의 성장에 따라 다른 유모차를 구입하지 않고도 하나의 유모차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인이 검색한 바에 의하면, 특허문헌 1에는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및 유아용 베개가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2에는 영유아의 체간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영유아 지지 패드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나 형태가 너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유모차 시트 바닥 등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탈부착구가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분할형으로 이루어져 있거나 유모차 바닥 시트 내부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방식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이를 임의로 탈거할 수 없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59965호(2006.06.02.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83202호(2012.07.25.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모차 시트 바닥에 올려지는 이너 시트의 하부에 깔아서 유모차의 탑승 공간을 신생아의 체격에 적합하게 즉, 신생아의 안정적인 자세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 시트를 제공함으로써 신생아 시기에는 이너 쿠션 하부에 깔아서 사용하고, 체구가 어느 정도 커지게 되면 이를 빼내고 이너 쿠션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대의 유모차만으로도 신생아부터 5살 정도까지 계속해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이른 외출을 해야하는 신생아들의 안전한 외출을 도모할 수 있고, 아이의 생장에 따라 유모차를 오래도록 활용이 가능하며, 고가의 유모차를 다시 구입하여야 하는 부담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체로 장방형으로 형성된 머리 쿠션과, 대체로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머리 쿠션의 좌우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2개의 측부 쿠션 및 대체로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부 쿠션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연결된 다리 쿠션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머리 쿠션과 측부 쿠션 및 측부 쿠션과 다리 쿠션 사이는 얇게 연결부를 이루되 상기 4개의 쿠션 내측은 상하로 장반경을 이루고 좌우로 상기 장반경보다 짧게 단반경을 이루면서 내부가 빈 도넛 형태를 이루고, 상기 헤드 쿠션과 측부 쿠션 및 다리 쿠션은 외곽이 내측보다 위로 들린 상태를 유지하여 움푹한 요람 형태를 이루는 신생아 자세 유지를 위한 유모차용 보조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생아를 유모차에 태울 때 기존의 이너 시트만으로 잡아주지 못하는 신생아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너 시트의 쿠션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저렴한 비용의 보조 시트만을 구입하는 것에 의해 고가의 유모차를 한 번 사서 신생아 때부터 5살 정도가 될 때까지 유아의 성장상태에 맞추어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머리 쿠션의 두께는 다른 부분보다 얇게 만들어져 있어 신생아의 목이 안 구부러지게 하여 기도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두껍게 만들어진 다리 쿠션에 의해 신생아의 다리가 태중의 아기처럼 높게 들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리적으로도 안정감을 느끼도록 해줄 수 있으며, 좌우의 측부 쿠션에 의해 신생아의 작은 몸통은 좌우로 안 쏠리게 안정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고, 보조 시트는 상하로 장반경을 이루는 도넛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유모차의 어깨 벨트와 다리 벨트 사이에 끼워주는 것에 의해 별도의 탈부착구를 사용하지 않고 안치할 수 있으며, 내부가 뚫려 있어 안전벨트를 채우는데 불편함이 없고, 보조 시트를 이루는 머리 쿠션과 측부 쿠션 및 다리 쿠션이 일체형을 이루고 있어 유모차에 쉽게 분리하고 장착할 수 있고, 계절에 따라서 뒤집어서 보온성과 통풍성을 감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신생아 때부터 5살에 이르기까지 아이의 성장에 따라 다른 유모차를 구입하지 않고도 하나의 유모차만을 구입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어 유모차 구입에 소요되는 비용 부담을 덜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시트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시트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 - B선 단면도,
도 6은 유모차에 보조 시트를 안치한 상태의 실물 사진,
도 7은 보조 시트 위에 이너 시트를 안치한 상태,
도 8은 신생아를 태운 상태(벨트 착용 전),
도 9는 허리 및 다리 벨트를 채운 상태,
도 10은 어깨 벨트를 채운 상태,
도 11은 유모차 시트를 세운 상태
도 12는 도 11의 상태를 촬영한 평면사진,
도 13은 도 11의 상태를 촬영한 정면사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보조 시트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시트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보조 시트(1)는 대체로 장방형으로 형성된 머리 쿠션(10)과, 대체로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머리 쿠션(10)의 좌우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2개의 측부 쿠션(20,20') 및 대체로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부 쿠션(20)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연결된 다리 쿠션(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 쿠션(10)과 측부 쿠션(20,20') 및 측부 쿠션(20,20')과 다리 쿠션(30) 사이는 얇게 1줄 또는 2줄의 재봉선에 의해 연결부(F1,F2,F3,F4)를 이루되 상기 4개의 쿠션(10,20,20',30)은 상하로 장반경(L1)을 이루고 좌우로 상기 장반경보다 짧게 단반경(L2)을 이루면서 내부가 빈 도넛 형태를 이루고, 상기 헤드 쿠션(10)과 측부 쿠션(20,20') 및 다리 쿠션(30)은 외곽이 내측보다 위로 들린 상태를 유지하여 움푹한 요람(搖籃; cradle)과 같은 형태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 쿠션(10)과 측부 쿠션(20,20') 및 다리 쿠션(30)은 두께가 각기 다르게 제작되어 있는데, 머리 쿠션(10)은 대체로 10~15mm의 두께를 이루고 있고, 측부 쿠션(20,20')은 20~40mm의 두께를 이루고 있으며, 다리 쿠션(30)은 측부 쿠션(20,20')과 동일하거나 측부 쿠션(20,20')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약 40~50mm의 두께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 쿠션(10)은 측부 쿠션(20,20')과 다리 쿠션(30)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인 10~15mm로 이루어져 있어 신생아가 누운 상태 또는 비스듬히 누운 상태에서 신생아의 목이 앞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기도가 폐색되지 않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다리 쿠션(30)은 측부 쿠션(20,20')과 동일한 두께 또는 측부 쿠션(20,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40~50mm의 두께로 이루어져 있어 누운 상태 또는 비스듬히 앉은 상태에서 신생아의 다리가 배 부분 보다 들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신생아가 태중의 태아 자세와 같이 편안한 심리상태 및 척추가 아직 곧게 뻗지 않은 신생아에게 적합하게 구부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각 쿠션(10,20',20',30)은 통상적인 스펀지나 기타 발포체를 사용하게 되는데, 앞면과 뒷면의 커버가 이종(異種) 소재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서 보조 시트(1)를 뒤집어서 양면 사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앞,뒷면의 커버는 예를 들면 각각 면직물과 망사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의 기온이 낮은 계절에는 면직물 커버가 위쪽으로 향하도록 안치하여 사용하고, 기온이 높은 여름에는 망사, 예를 들면 트리코트 망사 커버가 위쪽으로 향하도록 안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보온성과 통풍성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4개의 쿠션(10,20,20',30) 내측의 상하 장반경(L1)은 유모차(3)의 시트 바닥(32)에 부착되어 있는 어깨 벨트(4)와 다리 벨트(6) 사이의 간격과 일치되는 규격으로 이루어져 있어 보조 시트(1)를 유모차(3)의 시트 바닥(32)에 안치한 상태에서 벨트(4,6)에 의해 상하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좌우로의 유동은 측부 쿠션(20,20')이 유모차 시트의 측벽에 접촉하면서 눌림으로써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보조 시트를 사용하여 신생아를 유모차에 태우는 상태를 첨부된 사진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는 유모차(3)의 시트 바닥(32)에 본 실시 예의 보조 시트(1)를 안치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보조 시트(1)의 머리 쿠션(10)이 상측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시트 바닥(32)에 밀착시키기 위해 밀어 넣게 되면 좌우의 측부 시트(20,20')가 시트 바닥(32)의 좌우 측면 전방으로 접혀지게 되면서 신생아가 눕혀지게 되는 공간의 좌우 폭이 좁혀지게 되는데, 이는 마치 자동차의 버킷 시트와 같이 시트의 좌우 측 지지부가 돌출되어 있어 급격한 핸들링에도 불구하고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상체가 좌우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해준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유모차(3)의 시트 바닥(32)에 부착된 어깨 벨트(4)와 허리 벨트(5) 및 다리 벨트(6)를 보조 시트(1)의 내측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측으로 인출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이너 시트(2)를 보조 시트(1) 위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벨트(4,5,6)를 이너 시트(2)의 각 절개부를 통해 바깥으로 빼서 외측으로 벌려주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생아를 이너 시트(2) 위에 눕히면 되는데, 이때 신생아의 머리는 이너 시트(2)의 머리부(2a)가 받쳐주게 되고, 다리는 두 갈래로 갈라진 다리부(2b,2c)가 받쳐주게 되며, 몸통과 엉덩이는 중간부(2d)가 받쳐주게 되는바, 이너 시트(2)의 머리부(2a)는 보조 시트(1)의 머리 쿠션(10)이 받쳐주게 됨과 동시에 머리부(2a)의 좌우 측은 전방으로 세워진 측부 쿠션(20,20')에 의해 전방으로 꺾이게 되면서 목을 가누지 못하는 신생아의 머리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 이너 시트(2)의 중간부(2d)는 보조 시트(1) 내측의 개방부를 통해 유모차(3)의 시트 바닥(3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신생아의 엉덩이와 몸통이 닿게 되는데, 이때 중간부(2d)의 좌우 양측도 측부 쿠션(20,20')에 의해 전방으로 꺾이게 되면서 신생아의 몸통이 좌우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너 시트(2)의 다리부(2b,2c)는 다리 쿠션(30)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좌우측이 측부 쿠션(20,20')에 의해 세워지게 되면서 신생아의 엉덩이와 다리도 좌우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 벨트(5)와 다리 벨트(6)를 채우고, 다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 벨트(4)를 채워주게 되면 신생아를 유모차에 움직이지 않게 태워서 요람에 넣은 것과 흡사한 상태로 안전하게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바, 마치 신생아의 머리와 몸통 및 다리가 포켓 시트에 탑승한 것과 같이 유모차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좌우로의 쏠림을 방지할 수 있고, 이너 시트(2)와 보조 시트(1)는 유모차(3)의 시트 바닥(32)에 부착된 벨트(4,5,6)에 의해 전후 또는 상하방향으로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신생아가 시트 바닥(32)의 아래 쪽으로 흘러내리게 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는 신생아가 거의 누운 상태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도 11 내지 도 13에는 유모차(3)의 시트 바닥(32) 등받이 부분을 소정 각도로 세워준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등받이를 적정한 각도로 세워주더라도 신생아는 여전히 안정적으로 유모차에 탑승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신생아가 어느 정도 성장하게 되어 머리를 가눌 수 있는 정도가 되면 보조 시트(1)를 걷어 내고 이너 시트(2)만 유모차의 시트 바닥에 깔고 사용하면 되는바, 한 대의 유모차를 구입하여 신생아에서부터 5살에 이르기까지 유모차를 새로 바꾸지 않고도 계속해서 사용이 가능하므로 또 다른 유모차를 구입해야 했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기본적인 구조나 형태는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며, 다만 보조 시트(1) 내측의 개방부에 망사나 직물로 된 지지부(40)가 부착되어 있어 유모차에서 신생아를 보조 시트(1)와 이너 시트(2)와 함께 들어 올릴 경우 망사(40)가 이너 시트(2)와 신생아를 받쳐줌으로써 밑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42,44,46은 유모차(3)의 시트 바닥(32)에 부착된 벨트(4,5,6)를 인출하기 위한 벨트 구멍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시트는 머리 쿠션과 측부 쿠션 및 다리 쿠션이 일체로 이루어져 유모차의 시트 바닥에 깔면 시트 바닥에 부착된 벨트에 의해 상하로 유동이 억제되며, 보조 시트 위에 이너 시트를 깔고 신생아를 눕힌 후 벨트를 착용하게 되면 신생아의 머리와 몸통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마치 포켓 시트에 탑승한 상태처럼 유지되게 되어 신생아 초기부터 머리를 가눌 때까지도 유모차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 유모차 사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나 사고로부터 신생아를 보호할 수 있고, 아이가 성장하게 되면 이 보조 시트만을 제거한 후 이너 시트만을 깔고 사용할 수 있으며, 더 성장하게 되면 이너 시트마저 제거한 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한 대의 유모차만으로 신생아에서부터 5상에 이르기까지 외부 활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보조 시트
2 : 이너 시트
3 : 유모차
4 : 어깨 벨트
5 : 허리 벨트
6 : 다리 벨트
10 : 머리 쿠션
20,20' : 측부 쿠션
30 : 다리 쿠션
32 : 시트 바닥
40 : 지지부
42,44,46 : 벨트 구멍
F1,F2,F3,F4 : 연결부

Claims (8)

  1. 대체로 장방형으로 형성된 머리 쿠션(10), 대체로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머리 쿠션(10)의 좌우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2개의 측부 쿠션(20,20') 및 대체로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부 쿠션(20)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연결된 다리 쿠션(3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머리 쿠션(10)과 측부 쿠션(20,20') 및 측부 쿠션(20,20')과 다리 쿠션(30) 사이는 얇게 연결부(F1,F2,F3,F4)를 이루되 상기 4개의 쿠션(10,20,20',30) 내측은 상하로 장반경을 이루고 좌우로 상기 장반경보다 짧게 단반경을 이루면서 내부가 빈 도넛 형태를 이루고, 상기 헤드 쿠션(10)과 측부 쿠션(20,20') 및 다리 쿠션(30)은 외곽이 내측보다 위로 들린 상태를 유지하여 움푹한 요람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자세 유지를 위한 유모차용 보조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머리 쿠션(10)과 측부 쿠션(20,20') 및 다리 쿠션(30)은 두께가 각기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자세 유지를 위한 유모차용 보조 시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머리 쿠션(10)은 측부 쿠션(20,20')과 다리 쿠션(30)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이루어져 신생아의 목이 앞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자세 유지를 위한 유모차용 보조 시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리 쿠션(30)은 측부 쿠션(20,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이루어져 신생아의 다리가 들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자세 유지를 위한 유모차용 보조 시트.
  5. 청구항 1 내지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쿠션(10,20',20',30)은 앞면과 뒷면의 커버가 이종 소재로 이루어져 보조 시트를 뒤집어 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자세 유지를 위한 유모차용 보조 시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앞,뒷면의 커버는 각각 면직물과 망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자세 유지를 위한 유모차용 보조 시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쿠션(10,20,20',30) 내측의 상하 장반경(L1)은 유모차(3)의 시트 바닥(32)에 부착된 어깨 벨트(4)와 다리 벨트(6) 사이의 간격과 일치되어 보조 시트가 유모차 시트 바닥에 안치된 상태에서 상기 벨트(4,6)에 의해 상하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자세 유지를 위한 유모차용 보조 시트.
  8. 청구항 1 내지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시트의 내측에는 유모차(3)에서 신생아를 보조 시트(1)와 이너 시트(2)와 함께 들어올릴 경우 이너 시트(2)와 신생아를 받쳐주어 밑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망사나 직물로 된 지지부(40)가 부착되고, 상기 지지부(40)에는 유모차(3)의 시트 바닥(32)에 부착된 벨트(4,5,6)를 인출하기 위한 벨트 구멍(42,44,4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자세 유지를 위한 유모차용 보조 시트.
KR1020220042662A 2022-04-06 2022-04-06 신생아 자세 유지를 위한 유모차용 보조 시트 KR20230143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662A KR20230143708A (ko) 2022-04-06 2022-04-06 신생아 자세 유지를 위한 유모차용 보조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662A KR20230143708A (ko) 2022-04-06 2022-04-06 신생아 자세 유지를 위한 유모차용 보조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708A true KR20230143708A (ko) 2023-10-13

Family

ID=8828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662A KR20230143708A (ko) 2022-04-06 2022-04-06 신생아 자세 유지를 위한 유모차용 보조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370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965A (ko) 2003-09-11 2006-06-02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및 유아용 베개
KR20120083202A (ko) 2011-01-17 2012-07-25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영유아 지지 패드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965A (ko) 2003-09-11 2006-06-02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및 유아용 베개
KR20120083202A (ko) 2011-01-17 2012-07-25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영유아 지지 패드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1794B1 (en) Child safety car seat, protector, protector for child-care instrument, child-care instrument and bed for a newborn
US5842739A (en) Adjustable baby head and body support
US7059000B2 (en) Portable infant cushion
US5586351A (en) Infant support pad with adjustable pillow
US5310245A (en) Cushion support apparatus for infants
TWI344348B (en) Nursery band
US4383713A (en) Orthopedic support apparatus for infants
US6877176B2 (en) Infant support system
US20040017100A1 (en) Infant support cushion with adjustable side flaps
US4717056A (en) Infant carrying apparatus
US20100051658A1 (en) Infant sling
US20080313812A1 (en) Portable Infant Support Apparatus
US11219318B2 (en) Comfort apparatus for a mother and an infant
JP2010524605A5 (ko)
US6848128B2 (en) Portable infant cushion
JP2010524605A (ja) 運搬具
US8484782B2 (en) Infant bonding lap seat
US20100288803A1 (en) Infant sleep sling
US20150121627A1 (en) Baby handling device
US20160286981A1 (en) Feeding and support pillow
US20100032460A1 (en) Infant support device
US4892357A (en) Child's portable auxiliary seat cushion with upper body support ridge
KR20230143708A (ko) 신생아 자세 유지를 위한 유모차용 보조 시트
US20080052833A1 (en) Infant support system
US20100200625A1 (en) Infant trave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