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395A -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 - Google Patents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395A
KR20230143395A KR1020220042214A KR20220042214A KR20230143395A KR 20230143395 A KR20230143395 A KR 20230143395A KR 1020220042214 A KR1020220042214 A KR 1020220042214A KR 20220042214 A KR20220042214 A KR 20220042214A KR 20230143395 A KR20230143395 A KR 20230143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nostic
letters
hangul
learner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환
이수란
Original Assignee
최영환
이수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환, 이수란 filed Critical 최영환
Priority to KR1020220042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3395A/ko
Publication of KR20230143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3/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3/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 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능력에 대한 진단 평가 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 능력에 따라 유아나 예비 초등학교 학생,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 그리고 한글을 완성도 있게 학습한 고학년이나 일반인 등으로 한글 능력을 구분하여 진단평가하도록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의 한글 습득 정도를 진단평가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의 학습 능력에 대한 진단평가를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진단기재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기재부(20)는, 한글을 배우기 시작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제시된 그림과 대비되는 자음과 모음에 대한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진단기재부(21);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낱말을 구성하는 음절 글자에 대한 자음과 모음의 결합에 따른 읽기, 쓰기, 그리고 무의미한 글자의 읽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진단기재부(23); 및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다양한 글자에 대한 읽기, 쓰기를 보다 많은 수로 기재하면서, 초성, 중성 받침 중에서 생략된 단어를 그림에서 연상하여 기재하는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진단기재부(25);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진단기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BOOK AND METHOD FOR DIAGNOSTIC EVALUATION OF KOREAN PROFICIENCY}
본 발명은 한글 능력에 대한 진단 평가 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 능력에 따라 유아나 예비 초등학교 학생,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 그리고 한글을 완성도 있게 학습한 고학년이나 일반인 등으로 한글 능력을 구분하여 진단평가하도록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글은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발음이 쉬워서 읽기가 편한 언어에 속한다. 그래서 처음 한글을 배우는 학습자는 자음과 모음을 시작으로 하여 쉽게 학습을 시작하게 된다. 그러면서 점차 복잡한 글자나 서로 유사한 글자들을 대상으로 학습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유사한 글자들을 혼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로 인해서 원래의 단어와 다른 글자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중모음이나 이중자음(쌍자음 포함) 등과 같이 다변화되는 한글 구조에 대해서 쉽게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하지만 학습자가 어느 정도의 한글 학습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알기 쉽지 않기 때문에 무작정 학습하게 되며 이로 인해서 한글 학습 흥미를 잃어버릴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글 능력에 따른 진단평가를 이룰 수 있어 학습자의 보다 정확한 한글 능력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요구되는 것이다.
공개특허번호 제10-2022-0015074호(2022년 02월 08일 공개) 공개특허번호 제10-2009-0031708호(2009년 03월 27일 공개) 공개특허번호 제10-2000-0051881호(2000년 08월 16일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글을 학습하는 학습자에 대해 한글 능력 정도를 구분하여 한글 능력 정도를 능력에 맞게 진단평가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한글 능력을 진단평가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학습자가 초등학교 입학하기 전인 유아기나 예비초등학교 진학생을 대상으로 하거나, 초등학교에 입학한 저학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거나, 나아가 한글을 어느 정도 학습한 고학년생이나 외국인 등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등, 한글 학습 정도에 따른 한글 능력 진단평가를 대상별로 구분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글 글자나 문자만을 제시하거나, 그림과 함께 제시하여 진단평가하며, 단어의 글자를 생략하거나 그림과 단어를 연결시키거나 유사한 단어를 제시하는 등 다양한 한글 능력 평가 방법을 제시하여 여러 방향에서의 한글능력 진단평가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글의 글자나 문자의 예시로 제시함에 있어서 사전적으로나 상식적으로 의미를 알 수 있는 단어를 제시하면서 함께 무의미한 글자도 함께 제시함으로서 유의미한 글자뿐만 아니라 무의미한 글자에 대한 읽기와 쓰기도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의 한글 습득 정도를 진단평가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의 학습 능력에 대한 진단평가를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진단기재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기재부(20)는, 한글을 배우기 시작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제시된 그림과 대비되는 자음과 모음에 대한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진단기재부(21);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낱말을 구성하는 음절 글자에 대한 자음과 모음의 결합에 따른 읽기, 쓰기, 그리고 무의미한 글자의 읽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진단기재부(23); 및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다양한 글자에 대한 읽기, 쓰기를 보다 많은 수로 기재하면서, 초성, 중성 받침 중에서 생략된 단어를 그림에서 연상하여 기재하는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진단기재부(25);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진단기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는, 제시된 그림과 관련된 단어에 대한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간편기재부(211);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자음과 모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기본기재부(212); 및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받침, 이중 자모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심층기재부(21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학년진단기재부(23)는, 제시되는 그림 없이 문자만으로 하여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 하나씩에 대한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간편기재부(231);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기본 자음과 모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기본기재부(232); 및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받침, 이중 모음과 자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심층기재부(23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완료진단기재부(25)는,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한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간편기재부(251);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자음과 모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기본기재부(252);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받침을 포함한 글자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받침기재부(254); 및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이중 자음과 모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심층기재부(255);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아정밀기본기재부(212)는,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모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기본모음기재부(2121); 및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자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기본자음기재부(2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아정밀심층기재부(213)는,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받침을 포함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심층받침기재부(2131);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이중모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심층이중모음기재부(2132); 및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이중자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심층이중자음기재부(2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학년정밀기본기재부(232)는,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기본 모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기본모음기재부(2321); 및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기본 자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기본자음기재부(2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학년정밀심층기재부(233)는,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받침을 포함한 글자에 대해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심층받침기재부(2331);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이중 모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심층이중모음기재부(2332); 및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이중 자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심층이중자음기재부(2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료정밀기본기재부(252)는,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모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기본모음기재부(2521); 및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자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기본자음기재부(25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료정밀심층기재부(255)는,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이중 모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심층이중모음기재부(2551); 및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이중 자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심층이중자음기재부(25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이미지부(31); 의미를 갖는 문자가 표시되는 의미글자부(33); 및 의미를 갖지 않는 문자가 표시되는 무의미문자부(35)를 포함하고, 의미글자부(33) 다음으로 무의미문자부(35)가 위치되는 선의미후무의미글자배치부(43); 및 무의미문자부(35) 다음으로 의미글자부(33)가 위치되는 선무의미후의미글자배치부(4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글자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의미글자부(33) 및 무의미문자부(35) 중 어느 하나 다음으로 이미지부(31)가 위치되는 선문자표시부(41); 및 이미지부(31) 다음으로 의미글자부(33) 및 무의미문자부(35) 중 어느 하나가 위치되는 선그림표시부(4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문자표시부(41) 및 선그림표시부(42)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는, 표시된 문자의 초성을 생략한 초성생략부(45); 표시된 문자의 중성을 생략한 중성생략부(46); 및 표시된 문자의 받침을 생략한 받침생략부(47);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생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단기재부(20)에 기재된 내용에 대해서 학습자에 대한 한글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한 진단평가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평가부(50)는, 상기 진단기재부(20)의 유아진단기재부(2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 내용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대비되는 자음과 모음에 대한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진단평가부(51); 상기 진단기재부(20)의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 내용에 대하여, 낱말을 구성하는 음절 글자에 대한 자음과 모음의 다양한 결합에 따른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진단평가부(53); 및 상기 진단기재부(20)의 완료진단기재부(25)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 내용에 대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에 대한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진단평가부(55);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진단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의 한글 습득 정도를 진단평가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방법에 있어서, 진단기재부(20)를 통하여 학습자가 기재하고, 진단기재부(20)에 기재된 내용에 대하여 진단평가부(50)를 통하여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를 수행하되, 상기 진단기재부(20)의 유아진단기재부(21)에 한글을 배우기 시작하는 학습자가 기재하고 기재된 내용으로 하여 제시된 그림과 대비되는 자음과 모음에 대한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는 유아진단평가단계(S1); 상기 진단기재부(20)의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 대해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낱말을 구성하는 음절 글자에 대한 자음과 모음의 결합에 따른 읽기, 쓰기, 그리고 무의미한 글자의 읽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는 저학년진단평가단계(S3); 및 상기 진단기재부(20)의 완료진단기재부(25)에 대해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다양한 글자에 대한 읽기, 쓰기를 보다 많은 수로 기재하면서, 초성, 중성 받침 중에서 생략된 단어를 그림에서 연상하여 기재하는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는 완료진단평가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아진단평가단계(S1)는,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의 유아간편기재부(21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관련된 단어에 대한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는 유아간편진단평가단계(S11);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의 유아정밀기본기재부(212)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자음과 모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기본진단평가단계(S12); 및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의 유아정밀심층기재부(213)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받침, 이중 자모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심층진단평가단계(S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학년진단평가단계(S3)는, 상기 저학년진단기재부(23)의 저학년간편기재부(23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제시되는 그림 없이 문자만으로 하여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 하나씩에 대한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간편진단평가단계(S31); 상기 저학년진단기재부(23)의 저학년정밀기본기재부(232)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기본 자음과 모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기본진단평가단계(S32); 및 상기 저학년진단기재부(23)의 저학년정밀심층기재부(233)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받침, 이중 모음과 자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심층진단평가단계(S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료진단평가단계(S5)는, 상기 완료진단기재부(25)의 완료간편기재부(25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한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간편진단평가단계(S51); 상기 완료진단기재부(25)의 완료정밀기본기재부(252)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자음과 모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기본진단평가단계(S52); 상기 완료진단기재부(25)의 완료정밀받침기재부(254)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받침을 포함한 글자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받침진단평가단계(S54); 및 상기 완료진단기재부(25)의 완료정밀심층기재부(255)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이중 자음과 모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심층진단평가단계(S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아정밀기본진단평가단계(S12)는, 상기 유아정밀기본기재부(212)의 유아정밀기본모음기재부(212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모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기본모음진단평가단계(S121); 및 상기 유아정밀기본기재부(212)의 유아정밀기본자음기재부(2122)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자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기본자음진단평가단계(S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아정밀심층진단평가단계(S13)는, 상기 유아정밀심층기재부(213)의 유아정밀심층받침기재부(213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받침을 포함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심층받침진단평가단계(S131); 상기 유아정밀심층기재부(213)의 유아정밀심층이중모음기재부(2132)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이중모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심층이중모음진단평가단계(S132); 및 상기 유아정밀심층기재부(213)의 유아정밀심층이중자음기재부(2133)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이중자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심층이중자음진단평가단계(S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학년정밀기본진단평가단계(S32)는, 상기 저학년정밀기본기재부(232)의 저학년정밀기본모음기재부(232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기본 모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기본모음진단평가단계(S321); 및 상기 저학년정밀기본기재부(232)의 저학년정밀기본자음기재부(2322)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기본 자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기본자음진단평가단계(S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학년정밀심층진단평가단계(S33)는, 상기 저학년정밀심층기재부(233)의 저학년정밀심층받침기재부(233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받침을 포함한 글자에 대해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심층받침진단평가단계(S331); 상기 저학년정밀심층기재부(233)의 저학년정밀심층이중모음기재부(2332)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이중 모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심층이중모음진단평가단계(S332); 및 상기 저학년정밀심층기재부(233)의 저학년정밀심층이중자음기재부(2333)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이중 자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심층이중자음진단평가단계(S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료정밀기본진단평가단계(S52)는, 상기 완료정밀기본기재부(252)의 완료정밀기본모음기재부(252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모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기본모음진단평가단계(S521); 및 상기 완료정밀기본기재부(252)의 완료정밀기본자음기재부(2522)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자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기본자음진단평가단계(S5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료정밀심층진단평가단계(S55)는, 상기 완료정밀심층기재부(255)의 완료정밀심층이중모음기재부(255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이중 모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심층이중모음진단평가단계(S551); 및 상기 완료정밀심층기재부(255)의 완료정밀심층이중자음기재부(2552)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이중 자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심층이중자음진단평가단계(S5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한글을 학습하는 학습자에 대해 한글 능력 정도를 구분하여 한글 능력 정도를 능력에 맞게 진단평가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한글 능력을 진단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학습자가 초등학교 입학하기 전인 유아기나 예비초등학교 진학생을 대상으로 하거나, 초등학교에 입학한 저학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거나, 나아가 한글을 어느 정도 학습한 고학년생이나 외국인 등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등, 한글 학습 정도에 따른 한글 능력 진단평가를 대상별로 구분하여 수행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한글 글자나 문자만을 제시하거나, 그림과 함께 제시하여 진단평가하며, 단어의 글자를 생략하거나 그림과 단어를 연결시키거나 유사한 단어를 제시하는 등 다양한 한글 능력 평가 방법을 제시하여 여러 방향에서의 한글능력 진단평가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한글의 글자나 문자의 예시로 제시함에 있어서 사전적으로나 상식적으로 의미를 알 수 있는 단어를 제시하면서 함께 무의미한 글자도 함께 제시함으로서 유의미한 글자뿐만 아니라 무의미한 글자에 대한 읽기와 쓰기도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 중에서 전면부분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유아진단기재부 중에서 서두부분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 중에서, 유아진단기재부의 유아간편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유아진단기재부 중에서, 유아정밀기본기재부의 유아정밀기본모음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유아진단기재부 중에서, 유아정밀기본기재부의 유아정밀기본자음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유아진단기재부 중에서, 유아정밀심층기재부의 유아정밀심층받침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유아진단기재부 중에서, 유아정밀심층기재부의 유아정밀심층이중모음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유아진단기재부 중에서, 유아정밀심층기재부의 유아정밀심층이중자음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저학년진단기재부 중에서 서두부분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 중에서, 저학년진단기재부의 저학년간편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저학년진단기재부 중에서, 저학년정밀기본기재부의 저학년정밀기본모음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저학년진단기재부 중에서, 저학년정밀기본기재부의 저학년정밀기본자음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저학년진단기재부 중에서, 저학년정밀심층기재부의 저학년정밀심층받침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저학년진단기재부 중에서, 저학년정밀심층기재부의 저학년정밀심층이중모음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저학년진단기재부 중에서, 저학년정밀심층기재부의 저학년정밀심층이중자음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완료진단기재부 중에서 서두부분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 중에서, 완료진단기재부의 완료간편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완료진단기재부 중에서, 완료정밀기본기재부의 완료정밀기본모음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완료진단기재부 중에서, 완료정밀기본기재부의 완료정밀기본모음기재부에 있어서 중성생략부를 보인 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완료진단기재부 중에서, 완료정밀기본기재부의 완료정밀기본자음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완료진단기재부 중에서, 완료정밀기본기재부의 완료정밀기본자음기재부에 있어서 초성생략부를 보인 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완료진단기재부 중에서, 완료정밀받침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완료진단기재부 중에서, 완료정밀받침기재부에 있어서 받침생략부를 보인 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완료진단기재부 중에서, 완료정밀심층기재부의 완료정밀심층이중모음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게 되는 진단기재부의 완료진단기재부 중에서, 완료정밀심층기재부의 완료정밀심층이중자음기재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한 내용에 대한 진단평가를 수행할 수 있게 구비된 진단평가부 중에서 전면부분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한 내용에 대한 진단평가를 수행하게 되는 진단평가부 중에서, 유아진단기재부에 기재한 내용에 대한 진단평가를 수행하게 되는 유아진단평가부의 서두부분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한 내용에 대한 진단평가를 수행하게 되는 진단평가부 중에서, 유아진단기재부의 유아간편기재부에 기재한 내용에 대한 진단평가를 수행하게 되는 내용을 설명하는 부분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한 내용에 대한 진단평가를 수행하게 되는 진단평가부 중에서, 유아진단기재부의 유아정밀기본모음기재부에 기재한 내용에 대한 진단평가를 수행하게 되는 내용을 설명하는 부분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한 내용에 대한 진단평가를 수행하게 되는 진단평가부 중에서, 유아진단기재부의 유아정밀기본자음기재부와 유아정밀심층받침기재부에 기재한 내용에 대한 진단평가를 수행하게 되는 내용을 설명하는 부분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한 내용에 대한 진단평가를 수행하게 되는 진단평가부 중에서, 저학년진단기재부에 기재한 내용에 대한 진단평가를 수행하게 되는 저학년진단평가부의 서두부분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한 내용에 대한 진단평가를 수행하게 되는 진단평가부 중에서, 완료진단기재부에 기재한 내용에 대한 진단평가를 수행하게 되는 완료진단평가부의 서두부분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방법에 대해서 저학년진단평가단계 및 완료진단평가단계에 대한 상세 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34 등에서와 같이,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의 한글 습득 정도를 진단평가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은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와 같이, 학습자의 학습 능력에 대한 진단평가를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진단기재부(20)를 포함하고, 이러한 진단기재부(20)에 기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한글능력에 대한 진단평가를 수행하게 되는 진단평가부(50)를 구비한 것이다.
이에 진단기재부(20)는 유아, 예비초등학생, 초등학교 저학년생, 고학년생, 그리고 그 이상의 학생들로부터 일반인 등으로 하는 학습자가 기재할 수 있는 것으로, 대체로 서책이나 노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진단평가부(50)는 이러한 학생들의 학습자와 함께 하면서 진단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학부모, 선생님, 선임자 등이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발명에 따른 진단기재부(20)와 진단평가부(50) 등을 포함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은 교재, 서책이나 노트 등을 비롯하여 휴대폰, 단말기, 컴퓨터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진단기재부(20)나 진단평가부(50) 등을 포함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등은 낱장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근래에 주로 사용되는 스마트폰이나 휴대용 단말기, 테블릿PC, 컴퓨터 등에 표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는 등, 실시되는 양태에 따라 선택되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 등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학습자가 학습능력 진단평가를 위해 기재하게 되는 상기 진단기재부(20)는, 도 2 내지 도 8 등에서와 같이 한글을 배우기 시작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제시된 그림과 대비되는 자음과 모음에 대한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진단기재부(21)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아진단기재부(21)를 통한 한글능력 진단평가에는 아직 정규 과정에 속하지 않지만 기초 자음과 모음에 대한 학습,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단어를 학습한 유아나 예비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기재부인 것이다.
다음으로 진단기재부(20)는, 도 9 내지 도 15 등에서와 같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낱말을 구성하는 음절 글자에 대한 자음과 모음의 결합에 따른 읽기, 쓰기, 그리고 무의미한 글자의 읽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진단기재부(23)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저학년진단기재부(23)를 통한 한글능력 진단평가에는 어느 정도 기초적인 한글 학습을 이루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기재부인 것이다. 유아진단기재부(21)에서의 학습에 대한 것보다 많은 양의 단어나 지문 등을 적용하면서, 무의미한 글자에 대한 읽기, 그리고 제시되는 글을 받아쓰는 쓰기 등에 대한 한글능력 진단평가를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진단기재부(20)는, 도 16 내지 도 25 등에서와 같이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다양한 글자에 대한 읽기, 쓰기를 보다 많은 수로 기재하면서, 초성, 중성 받침 중에서 생략된 단어를 그림에서 연상하여 기재하는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진단기재부(25)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완료진단기재부(25)는 어느 정도 수준이상으로 한글 교육을 받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기재부인 것이다. 즉 초등학교 고학년 이상의 학생, 외국인 등 성인 등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이미지부(31)에 제시되는 그림과 관련되는 문자를 기재하되, 초성, 중성, 받침 등이 생략된 글자를 연상하여 기재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읽기와 받아쓰기 등의 읽기, 쓰기 등에 대한 사항에서도 좀더 복잡하고 다양한 내용으로 보다 많은 양으로 기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층적으로 한글능력 진단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한글학습 능력에 대한 진단 평가시, 진단 평가 대상이 이제 막 한글을 접하여 학습하기 시작하는 시기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진단평가를 '유아진단평가'라 정하고, 이후 어느 정도 기본적인 한글 학습을 이룸으로서 기본적인 한글 능력을 습득한 학습자에 대한 진단평가를 '저학년진단평가'라 정하며, 나아가 고학년생과 같이 어느 정도 수준 이상으로 한글 능력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에 대한 진단평가를 '완료진단평가'라고 정한 것이다. 이처럼 한글 학습 정도에 따라 3단계로 하여 한글 학습 능력을 구분하여 진단평가함으로써, 단일로 진단평가하는 것보다 좀더 각 한글 능력단계별로 구분되게 진단평가 함으로서 좀더 면밀히 한글 학습자들에 대한 진단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울러 이처럼 구분되게 진단평가하는 '유아진단평가', '저학년진단평가' 및 '완료진단평가' 등에 관련하여 사용되는 후속되는 관련 용어들도, 이러한 3단계로 구분되는 용어로 연관되게 명명하여 사용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해서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의 한글 습득 정도를 진단평가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방법을 수행하는 것으로, 진단기재부(20)를 통하여 학습자가 기재하고, 진단기재부(20)에 기재된 내용에 대하여 진단평가부(50)를 통하여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한글능력 진단평가방법의 세부 단계를 살펴보면, 상기 진단기재부(20)의 유아진단기재부(21)에 한글을 배우기 시작하는 학습자가 기재하고 기재된 내용으로 하여 제시된 그림과 대비되는 자음과 모음에 대한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는 유아진단평가단계(S1)를 수행하는 것이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아진단기재부(21)에 대한 유아진단평가단계(S1)를 수행함으로써 한글능력 진단평가에는 아직 정규 과정에 속하지 않지만 기초 자음과 모음에 대한 학습,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단어를 학습한 유아나 예비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단평가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글능력 진단평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단기재부(20)의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 대해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낱말을 구성하는 음절 글자에 대한 자음과 모음의 결합에 따른 읽기, 쓰기, 그리고 무의미한 글자의 읽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는 저학년진단평가단계(S3)를 수행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 대한 저학년진단평가단계(S3)를 수행함으로써 한글능력 진단평가에는 어느 정도 기초적인 한글 학습을 이루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진단평가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한글능력 진단평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단기재부(20)의 완료진단기재부(25)에 대해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다양한 글자에 대한 읽기, 쓰기를 보다 많은 수로 기재하면서, 초성, 중성 받침 중에서 생략된 단어를 그림에서 연상하여 기재하는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는 완료진단평가단계(S5)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완료진단기재부(25)에 대한 완료진단평가단계(S5)를 수행함으로써 어느 정도 수준이상으로 한글 교육을 받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진단평가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즉 초등학교 고학년 이상의 학생, 외국인 등 성인 등을 대상으로 하여 한글능력 진단평가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로써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사항에 대해서 한글능력 진단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기재부(20)에 있어서 학습자가 학습하게 되는 대상을 그림으로 표시하고 이러한 그림에 맞는 글자를 읽거나 쓰거나, 선으로 잇는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의 한글능력에 대한 진단평가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도 3 내지 도 9 등을 비롯하여 다수의 도면의 예시에서와 같이 예로 보이는 그림인 이미지가 표시되는 이미지부(31)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미지와 연관되는 글자로서 의미를 갖는 문자가 표시되는 의미글자부(33)를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의미글자부(33)와 대응되는 구성으로써, 의미를 갖지 않는 문자가 표시되는 무의미문자부(35)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는 이미지부(31)의 그림을 보고, 제시되는 글자가 해당 그림과 관련되는 의미글자를 인식하는지, 또는 제시된 글자가 무의미문자인지 여부에 대해서 기재하게 될 것이다.
즉 제시된 이미지와 관련되는 글자인지에 대해서 읽거나 구분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 진단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해서, 도 3 등의 예에서와 같이 의미글자부(33) 및 무의미문자부(35) 중 어느 하나 다음으로 이미지부(31)가 위치되는 선문자표시부(41)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선문자표시부(41)의 경우, 이미지 보다 읽고 써야하는 글자가 먼저 나오도록 함으로써, 그림을 보고 글자를 유추하지 않도록 하여, 순수하게 문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학습여부를 살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림에 앞서서 제시되는 문자를 모두 읽은 다음에, 이후에 제시되는 그림과 연관되는 글자를 찾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 도 5 등에서와 같이 이미지부(31) 다음으로 의미글자부(33) 및 무의미문자부(35) 중 어느 하나가 위치되는 선그림표시부(42)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그림과 연관되는 글자에 대한 학습 능력에 대해 살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선문자표시부(41) 및 선그림표시부(42)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표시부에는 의미글자부(33) 다음으로 무의미문자부(35)가 위치되는 선의미후무의미글자배치부(43)를 구비하는 것이다. 즉 도 3의 '카레', 도 5의 '나비' 등은 의미글자부(33)가 선단에 위치되고, 후단으로 무의미문자부(35)인 '커훠', '너디' 등이 표시되는 것이다. 이러한 선의미후무의미글자배치부(43)의 경우 제시되는 이미지와 연관되는 글자를 찾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선문자표시부(41) 및 선그림표시부(42)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표시부에는 무의미문자부(35) 다음으로 의미글자부(33)가 위치되는 선무의미후의미글자배치부(44)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도 3의 '여우', 도 4의 '요요' 등에서와 같이 익히 경험하였을 의미글자부(33)를 후단으로 위치되게 하고, 반면 무의미문자부(35)인 '야쇼', '으오', '요오' 등과 같이 무의미한 글자를 앞서 배치함으로써, 학습자는 무의미한 글자를 먼저 읽고 난 후 후단의 의미글자를 읽기 때문에 보다 명확하게 의미글자에 대한 학습 여부를 살필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선문자표시부(41) 및 선그림표시부(42)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에 대해서, 도 21에서와 같이 표시된 문자의 초성을 생략한 초성생략부(45)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시된 이미지부(31)의 그림과 관련되는 문자를 생각하되, 초성이 생략되고 중성, 나아가 중성과 받침 등만 제시된 예시로 해당 글자를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선문자표시부(41) 및 선그림표시부(42)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에 대해서, 도 19의 예에서와 같이 표시된 문자의 중성을 생략한 중성생략부(46)를 구비한 것이다. 도 19의 예에서는 중성에 대한 학습이 좀더 쉽도록 하기 위해서 초성을 'ㅇ'으로만 마련함을 예로 하였으며, 기타 다른 초성을 구비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따라서 제시된 이미지부(31)의 그림과 연관되는 글자를 생각하되 중성이 생략된 상태를 예로 하여 보다 손쉽게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선문자표시부(41) 및 선그림표시부(42)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에 대해서, 도 23에서와 같이 표시된 문자의 받침을 생략한 받침생략부(47)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도 23의 예에서와 같이 제시된 이미지부(31)의 그림과 연관되는 글자로써 제시된 받침이 생략된 글자 예시를 보면서 글자를 연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에 있어서 학습자가 기재하는 진단기재부(20)에 더하여 학부모, 교사, 기타 지도자, 나아가 학습자 자신 등과 같은 진단평가자가 진단평가시 이용하게 되는 진단평가부(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즉 도 26 내지 도 32 등에서와 같이, 상기 진단기재부(20)에 기재된 내용에 대해서 학습자에 대한 한글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한 진단평가부(5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처럼 진단기재부(20) 및 진단평가부(50)를 통하여 학습자가 기재함에 따라 한글능력을 진단 평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진단평가부(50)는, 상기 진단기재부(20)의 유아진단기재부(2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 내용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대비되는 자음과 모음에 대한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진단평가부(51)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28 내지 도 30 등에서처럼 이러한 유아진단평가부(51)를 통하여 유아나 예비 초등학생, 더불어 외국인 등이 처음 한글을 교육받는 경우에 적용하여 한글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진단평가부(50)는, 상기 진단기재부(20)의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 내용에 대하여, 낱말을 구성하는 음절 글자에 대한 자음과 모음의 다양한 결합에 따른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진단평가부(53)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저학년진단평가부(53)를 통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한글능력에 대한 진단평가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첨부된 도 31의 예에서는 저학년진단평가부(53)의 서두부분만 표시됨을 보이고 있으나, 도 28 내지 도 30 등의 예에서처럼 유아진단평가부(51)에서와 같이 진단기재부(20)의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 대한 진단평가를 수행하는 영역을 포함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진단평가부(50)는, 상기 진단기재부(20)의 완료진단기재부(25)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 내용에 대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에 대한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진단평가부(55)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완료진단평가부(55)를 통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이상의 학생, 일반인, 외국인의 경우에도 한글학습을 어느 정도 완성한 외국인 등을 대상으로 하여 한글능력에 대한 진단평가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첨부된 도 32의 예에서는 완료진단평가부(55)의 서두부분만 표시됨을 보이고 있으나, 도 28 내지 도 30 등의 예에서처럼 유아진단평가부(51)에서와 같이 진단기재부(20)의 완료진단기재부(25)에 대한 진단평가를 수행하는 영역을 포함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학습자가 진단기재부(20)에 과정별로 맞는 기재부란에 기재하며, 이를 토대로 하여 진단평가자가 진단기재부(20)에 기재된 내용에 대해서 진단평가부(50)를 통하여 학습자에 대한 한글능력 진단평가를 수행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에 대한 세부 구성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이에 진단기재부(20)는 유아나 예비 초등학교학생으로 하는 학습자를 대상이 되는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는, 도 3에서와 같이 제시된 그림과 관련된 단어에 대한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간편기재부(211)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아진단평가단계(S1)는, 이러한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의 유아간편기재부(21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관련된 단어에 대한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는 유아간편진단평가단계(S11)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아간편기재부(211) 및 유아간편진단평가단계(S11)에서는 의미글자부(33) 및 무의미문자부(35) 등에 유의미글자, 무의미문자 등이 표기되는 것이다. 그리고 후단의 이미지부(31)에 유의미글자와 관련되는 이미지가 구비되는 선문자표시부(41)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무의미문자부(35)가 먼저 나와 무의미한 글자를 읽기한 다음에, 유의미 글자를 읽기는 선무의미후의미글자배치부(44)가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무의미한 글자라도 읽기를 실시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단어가 아닌 한글 자음과 모음으로 조합되는 문자를 익히는 것이며, 이러한 한글능력에 대한 진단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에 대한 상세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도 4 및 도 5 등에서와 같이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자음과 모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기본기재부(212)를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상기 유아정밀기본기재부(212)는, 도 4에서와 같이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모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기본모음기재부(2121)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아정밀기본모음기재부(2121)는, 선그림표시부(42)의 예를 보인 것으로, 앞서 그림이 표시되는 이미지부(31)가 제시되고 다음으로 그림과 관련된 모음에 대한 단어나 문자가 오거나 또는 의미글자부(33)나 무의미문자부(35) 등이 제시되어, 그림과 관련되는 모음에 대한 문자인지 아닌지 여부를 함께 학습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아정밀기본기재부(212)는, 도 5에서와 같이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자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기본자음기재부(2122)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아정밀기본모음기재부(2121)는, 선그림표시부(42)의 예를 보인 것으로, 앞서 그림이 표시되는 이미지부(31)가 제시되고 다음으로 그림과 관련된 자음에 대한 단어나 문자가 오거나 또는 의미글자부(33)나 무의미문자부(35) 등이 제시되어, 그림과 관련되는 자음에 대한 문자인지 아닌지 여부를 함께 학습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유아정밀기본기재부(212)에 대한 상기 유아진단평가단계(S1)를 살펴보면, 진단평가부(50)의 유아진단평가부(51)와 함께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의 유아정밀기본기재부(212)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자음과 모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기본진단평가단계(S12)를 수행한다.
특히 상기 유아정밀기본진단평가단계(S12)는, 상기 유아정밀기본기재부(212)의 유아정밀기본모음기재부(212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모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기본모음진단평가단계(S121)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먼저 제시되는 이미지부(31) 그림과 관련되는 모음의 문자에 대한 학습능력을 진단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유아정밀기본진단평가단계(S12)는, 상기 유아정밀기본기재부(212)의 유아정밀기본자음기재부(2122)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자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기본자음진단평가단계(S122)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로써 먼저 제시되는 이미지부(31)의 그림과 관련되는 자음의 문자에 대한 학습능력을 진단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는, 도 6 내지 도 8 등의 예에서와 같이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받침, 이중 자모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심층기재부(213)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아정밀심층기재부(213)는 유아나 에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좀더 쉬운 단어들에 대해서 그림과 함께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유아정밀심층기재부(213)에서는 받침, 이중모음 및 이중자음 등과 같이 좀더 어려운 한글에 대해서 정밀 학습진단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상기 유아정밀심층기재부(213)의 상세 구성으로, 도 6에서와 같이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받침을 포함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심층받침기재부(2131)를 포함하는 것이다. 유아나 예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쉬운 단어 위주의 한글 받침 학습능력에 대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유아정밀심층기재부(213)의 상세 구성으로, 도 7에서와 같이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이중모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심층이중모음기재부(2132)를 포함하는 것이다. 유아나 예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이중모음의 단어들에 대한 한글 진단평가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유아정밀심층기재부(213)의 세부 구성으로, 도 8에서와 같이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이중자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심층이중자음기재부(2133)를 포함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유아나 예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이중 자음(쌍자음 포함)에 대한 한글 학습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도 7을 비롯한 본 발명에서 이중모음에 대한 표기는 '복잡한 모음'으로 표시함을 예로 한 것이다. 또한 도 8을 비롯한 본 발명에서 이중자음에 대한 표기는 '복잡한 자음'으로 표시함을 예로 한 것이다.
다음으로는 이상에서의 유아진단기재부(21)의 세부 요소들에 의한 진단평가방법에 대한 것으로, 상기 유아진단평가단계(S1)의 세부 단계로,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의 유아정밀심층기재부(213)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받침, 이중 자모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심층진단평가단계(S13)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상기 유아정밀심층진단평가단계(S13)의 세부 단계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기 유아정밀심층기재부(213)의 유아정밀심층받침기재부(213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받침을 포함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심층받침진단평가단계(S131)를 수행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아나 예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한글의 받침에 대한 학습 능력 진단평가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유아정밀심층진단평가단계(S13)의 세부 단계로써, 상기 유아정밀심층기재부(213)의 유아정밀심층이중모음기재부(2132)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이중모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심층이중모음진단평가단계(S132)를 수행하는 것이다. 즉 유아나 예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이중 모음에 대한 한글 능력 진단평가를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유아정밀심층진단평가단계(S13)의 세부 단계로, 상기 유아정밀심층기재부(213)의 유아정밀심층이중자음기재부(2133)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이중자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심층이중자음진단평가단계(S133)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로써 유아나 예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이중 자음에 대한 한글능력 진단평가를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한글을 정식 교육과정인 초등학교의 수업으로 한글수업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특히 한글 학습을 시작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 등, 그리고 성인이라도 외국인 등 한글학습을 시작하는 초기의 학생 등으로 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진단평가수단 및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경우 대부분 어느 정도 쉬운 단어에 대한 한글 학습이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대부분의 물건들에 대한 그림을 분별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제시되는 그림 이미지를 보고 정확한 한글을 인지하는지 살필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서 설명하였던 유아진단기재부(21)에서의 유아나 예비 초등학생들에 대한 진단평가에서보다, 좀더 난이도가 있으면서 많은 양의 학습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한글의 읽기뿐만 아니라 받아쓰기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또는 특별히 의미가 있지 않은 글자, 즉 무의미문자에 대한 읽기 학습에 대한 평가도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대한 수단 및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즉 상기 저학년진단기재부(23)의 세부 구성으로써, 도 10의 예시에서와 같이 제시되는 그림 없이 문자만으로 하여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 하나씩에 대한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간편기재부(231)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저학년진단평가단계(S3)의 세부 단계로, 상기 저학년진단기재부(23)의 저학년간편기재부(23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제시되는 그림 없이 문자만으로 하여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 하나씩에 대한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간편진단평가단계(S31)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저학년간편기재부(231) 및 이를 이용한 저학년간편진단평가단계(S31)에 의하여, 한글에 대한 읽기 및 쓰기에 대한 간편 진단평가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저학년진단기재부(23)의 세부 구성을 보면, 도 11 및 도 12 등에서와 같이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기본 자음과 모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기본기재부(232)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저학년진단평가단계(S3)의 세부 단계로, 상기 저학년진단기재부(23)의 저학년정밀기본기재부(232)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기본 자음과 모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기본진단평가단계(S32)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처럼 저학년정밀기본기재부(232) 및 이를 이용한 저학년정밀기본진단평가단계(S32)에 의하여 저학년 초등학생, 그리고 그 이상의 상급 학생이나 또는 성인이라도 한글을 시작한 초기의 학습자에 대한 한글 능력 진단평가를 수행하는 것이다. 대체로 읽기와 쓰기 등에 대해 수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저학년정밀기본기재부(232)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도 11에서와 같이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기본 모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기본모음기재부(2321)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저학년정밀기본진단평가단계(S32)는, 이러한 상기 저학년정밀기본기재부(232)의 저학년정밀기본모음기재부(232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기본 모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기본모음진단평가단계(S321)를 수행하는 것이다.
즉 제시되는 이미지부(31)의 그림과 관련되는 단어로써,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를 연결하거나, 모음으로 이루어지는 무의미문자를 읽거나, 나아가 모음에 대한 받아쓰기에 대한 진단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에 상기 저학년정밀기본기재부(232)의 세부 구성으로, 도 12에서와 같이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기본 자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기본자음기재부(2322)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저학년정밀기본진단평가단계(S32)의 세부 단계로, 이러한 상기 저학년정밀기본기재부(232)의 저학년정밀기본자음기재부(2322)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기본 자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기본자음진단평가단계(S322)를 수행하는 것이다.
즉 제시되는 이미지부(31)의 그림과 관련되는 단어로써, 자음과 관련되는 단어를 연결하거나, 자음으로 이루어지는 무의미문자를 읽거나, 나아가 자음에 대한 받아쓰기에 대한 진단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15 등에서와 같이 상기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 대한 세부 구성으로,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받침, 이중 모음과 자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심층기재부(233)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저학년진단평가단계(S3)의 세부 단계로, 상기 저학년진단기재부(23)의 저학년정밀심층기재부(233)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받침, 이중 모음과 자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심층진단평가단계(S33)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저학년정밀심층기재부(233) 및 이에 대한 저학년정밀심층진단평가단계(S33)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받침에 대한 한글 학습과, 더불어, 이중모음, 및 이중자음 등에 대한 학습을 진단평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저학년정밀심층기재부(233)에는, 도 13에서와 같이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받침을 포함한 글자에 대해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심층받침기재부(2331)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저학년정밀심층진단평가단계(S33)의 세부 단계에서는, 상기 저학년정밀심층기재부(233)의 저학년정밀심층받침기재부(233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받침을 포함한 글자에 대해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심층받침진단평가단계(S331)를 수행하는 것이다. 즉 제시되는 이미지부(31)의 그림을 보면서 받침이 있는 단어의 첫 글자에 해당하는 것과 연결하는 것이며, 아울러 받침 글자의 무의미문자를 읽거나 받침이 있는 글자를 받아쓰기 등에 대한 진단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저학년정밀심층기재부(233)의 세부 구성으로, 도 14에서와 같이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이중 모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심층이중모음기재부(2332)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저학년정밀심층진단평가단계(S33)의 세부 단계로, 상기 저학년정밀심층기재부(233)의 저학년정밀심층이중모음기재부(2332)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이중 모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심층이중모음진단평가단계(S332)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저학년정밀심층이중모음기재부(2332) 및 저학년정밀심층이중모음진단평가단계(S332)에 의하면 제시되는 이미지부(31)의 그림을 보면서 이중모음에 대한 단어의 첫 글자에 해당하는 것과 연결하는 것이며, 아울러 이중모음의 글자에 대한 무의미문자를 읽거나 이중모음 글자를 받아쓰기 등에 대한 진단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저학년정밀심층기재부(233)의 세부 구성으로, 도 15의 예에서와 같이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이중 자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심층이중자음기재부(2333)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저학년정밀심층진단평가단계(S33)의 세부 단계로, 상기 저학년정밀심층기재부(233)의 저학년정밀심층이중자음기재부(2333)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이중 자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심층이중자음진단평가단계(S333)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저학년정밀심층이중자음기재부(2333) 및 저학년정밀심층이중자음진단평가단계(S333) 등에 의해서 제시되는 이미지부(31)의 그림을 보면서 이중자음(그림 예에서는 쌍자음을 보인 것임)에 대한 단어의 첫 글자에 해당하는 것과 연결하는 것이며, 아울러 이중자음의 글자에 대한 무의미문자를 읽거나 이중자음 글자를 받아쓰기 등에 대한 진단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에 있어서, 유아나 예비 초등학생 등 한글의 기초를 습득한 학습자에 대한 진단평가 과정, 그리고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과 같이 어느 정도 초급의 한글학습을 이룬 학습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 과정 등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다음으로는 어느 정도 한글 학습을 수행하여 한글에 대해 전반적으로 지식을 습득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진단기재부(20)의 완료진단기재부(25) 및 진단평가부(50) 등을 통하여 한글능력 진단평가에 대한 것으로, 대체로 초등학교 고학년 이상의 학생, 일반 성인, 특히 외국인 등으로서 한글 능력이 어느 정도 갖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를 수행하게 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즉 도 16 내지 도 25 등에서와 같이 마련되는 상기 완료진단기재부(25)의 세부 구성으로, 우선 도 17에서와 같이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한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간편기재부(251)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완료진단평가단계(S5)의 세부 단계로, 이러한 상기 완료진단기재부(25)의 완료간편기재부(25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한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간편진단평가단계(S51)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완료간편기재부(251) 및 완료간편진단평가단계(S51) 등에서는, 앞서 수행한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좀더 복잡하면서 다양한 한글 글자들을 제시하여 읽기 및 받아쓰기 등에 대한 진단평가가 수행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완료진단기재부(25)의 세부 구성으로, 도 18 내지 도 21 등에서와 같이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자음과 모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기본기재부(252)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완료진단평가단계(S5)의 세부 단계로, 상기 완료진단기재부(25)의 완료정밀기본기재부(252)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자음과 모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기본진단평가단계(S52)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완료정밀기본기재부(252) 및 완료정밀기본진단평가단계(S52) 등을 통하여, 이전 과정에서보다 많은 수로 예시를 제시하여 다양한 한글글자에 대한 그림과의 연결, 무의미 글자에 대한 읽기, 받아쓰기 등의 과정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초성이나 중성, 나아가 받침 등을 생략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관되는 단어를 유추하는 과정을 통하여 숙지하고 있는 한글글자에 대한 진단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이러한 상기 완료정밀기본기재부(252)의 세부 구성으로는, 도 18 및 도 19 등에서와 같이,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모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기본모음기재부(2521)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완료정밀기본진단평가단계(S52)의 세부 단계로, 상기 완료정밀기본기재부(252)의 완료정밀기본모음기재부(252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모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기본모음진단평가단계(S521)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완료정밀기본모음기재부(2521) 및 완료정밀기본모음진단평가단계(S521) 등에 의하여, 모음 위주로 제시되는 이미지부(31)의 그림과 관련하여 중성인 모음에 대한 단어 글자를 찾아 연결하는 것으로, 대체로 중성 모음을 쉽게 연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초성의 자음은 'ㅇ'으로 하는 예시들을 제시한 것이다. 기타 다른 초성 자음에 대한 평가도 수행할 수 있도록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무의미문자부(35)를 제시하여 무의미한 글자를 읽는 한글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특히 도 19의 예에서 보면 새로운 이미지부(31)의 그림과 연상되는 중성 모음에 대한 유추를 위해, 중성 모음이 생략된 중성생략부(46)를 예로 하였으며, 이러한 중성생략부(46)의 초성 자음에는 쉽게 중성 모음을 연상할 수 있도록 'ㅇ' 자음을 예로 하여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모음에 대한 받아쓰기의 한글 진단평가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완료정밀기본기재부(252)의 세부 구성으로, 도 20, 도 21 등에서와 같이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자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기본자음기재부(2522)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완료정밀기본진단평가단계(S52)의 세부 단계로, 이러한 상기 완료정밀기본기재부(252)의 완료정밀기본자음기재부(2522)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자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기본자음진단평가단계(S522)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완료정밀기본자음기재부(2522) 및 완료정밀기본자음진단평가단계(S522) 등에서는 이미지부(31)에서 제시되는 그림과 관련되는 단어로써 첫 글자의 자음에 대한 그림을 연결하는 것이며, 이후 무의미문자부(35)의 글자에 대한 읽기를 수행하게 된다. 도 21의 경우 이미지부(31)의 그림과 관련되는 자음의 단어를 연상하는 것으로, 초성이 생략된 초성생략부(45)의 관련된 자음을 포함한 단어를 찾게 된다. 이에 초성생략부(45)는 좀더 자음에 대한 학습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중성이 기본적이고 비교적 쉬운 모음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자음에 대한 받아쓰기 학습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완료진단기재부(25)의 세부 구성으로, 도 22 및 도 23 등에서와 같이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받침을 포함한 글자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받침기재부(25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완료진단평가단계(S5)의 세부 단계로, 상기 완료진단기재부(25)의 완료정밀받침기재부(254)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받침을 포함한 글자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받침진단평가단계(S54)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완료정밀받침기재부(254) 및 완료정밀받침진단평가단계(S54) 등에서는 이미지부(31)에서 제시되는 그림과 관련되는 단어로써 받침이 있는 글자에 대한 그림을 연결하는 것이며, 이후 무의미문자부(35)의 받침이 있는 글자에 대한 읽기를 수행하게 된다. 도 23의 경우 이미지부(31)의 그림과 관련되는 받침이 생략된 단어를 연상하는 것으로, 받침이 생략된 받침생략부(47)의 관련된 받침을 포함한 단어를 찾게 된다. 이에 받침생략부(47)는 좀더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비교적 쉬운 단어들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받침이 있는 글자에 대한 받아쓰기 학습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완료진단기재부(25)의 세부 구성으로, 도 24 및 도 25 등에서와 같이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이중 자음과 모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심층기재부(255)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완료진단평가단계(S5)의 세부 단계로, 상기 완료진단기재부(25)의 완료정밀심층기재부(255)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이중 자음과 모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심층진단평가단계(S55)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완료정밀심층기재부(255) 및 완료정밀심층진단평가단계(S55) 등에서는 이전에서의 이중모음, 이중 자음에 대한 학습진단에서보다 복잡한 단어나 의미 등에 대해서 살필 수 있도록 마련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상기 완료정밀심층기재부(255)의 세부 구성으로, 도 24에서와 같이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이중 모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심층이중모음기재부(2551)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완료정밀심층진단평가단계(S55)의 세부 단계로, 상기 완료정밀심층기재부(255)의 완료정밀심층이중모음기재부(255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이중 모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심층이중모음진단평가단계(S551)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완료정밀심층이중모음기재부(2551) 및 완료정밀심층이중모음진단평가단계(S551)에서는 다양한 영역의 그림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부(31)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제시된 이중 모음의 단어의 앞글자와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다음으로 무의미문자부(35)에서 이중모음 글자를 읽게 된다.
기타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완료진단기재부(25)의 다른 부분에서와 같이, 중성의 이중 모음이 생략된 단어를 연상하거나 이중모음에 대한 글자들에 대해 받아쓰기 등의 진단과정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완료정밀심층기재부(255)의 세부 구성으로는, 도 25에서와 같이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이중 자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심층이중자음기재부(2552)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완료정밀심층진단평가단계(S55)의 세부 단계로, 상기 완료정밀심층기재부(255)의 완료정밀심층이중자음기재부(2552)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내용에 대해서,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이중 자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심층이중자음진단평가단계(S552)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완료정밀심층이중자음기재부(2552) 및 완료정밀심층이중자음진단평가단계(S552) 등에서는, 다양한 영역의 그림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부(31)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제시된 이중 자음의 단어의 앞글자와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다음으로 무의미문자부(35)에서 이중자음 글자를 읽게 된다.
기타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완료진단기재부(25)의 다른 부분에서와 같이, 중성의 이중 자음이 생략된 단어를 연상하거나 이중자음에 대한 글자들에 대해 받아쓰기 등의 진단과정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 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글자 읽기 진단에 초점(무의미 글자 읽기에 의한 한글능력 중점 진단평가)
글자를 먼저 배치하고 이후 이미지를 제기함으로써 글자를 하나씩, 하나씩 읽은 후 이미지 그림과 관련되는 단어 글자를 찾게 된다.
한글을 읽고 쓰는 능력을 점검할 때 중요한 것으로, 의미가 아닌 글자에 대한 소리와 문자의 대응으로, 먼저 글자를 하나씩 읽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 문항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학부모용 수단에서도 ‘여우’ 그림과 ‘글자 ’여우‘를 연결하는 것보다는 의미글자부(33) 및 무의미문자부(35)를 포함하여 글자하나씩 제대로 읽는지 확인하여 개별 음절별 평가를 하고 이후 이미지부(31)를 제시하는 선문자표시부(41)를 구비하는 것으로, 유아나 예비 초등학생 등과 같이 처음 한글 학습을 하는 학습자들에게는 특히 그림 먼저 보면 이 평가가 곤란할 수 있기 때문에 선문자표시부(41)에 의한 학습진단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3에서와 같이 제시된 경우, '여우'를 먼저 제시하는 선의미후무의미글자배치부로 구성하면 '여우'를 먼저 읽게 되고, 그러면 글자 '야', '쇼'는 읽지 않게 될 가능성이 상당하다. 이런 경우 '야', '쇼'의 초성 중성을 읽는 능력을 진단할 수 없게 된다.
반면에 도 3에서와 같이 선무의미후의미글자배치부(44)로 제시하면 '야, 쇼'와 더불어' 여, 우' 등을 모두 읽은 후 후단의 이미지부(31)의 그림을 생각하게 되므로 글자 네 개를 모두 읽을 수 있는지 진단할 수 있게 된다.
2) 학습자 흥미를 위한 그림 배치(무의미 글자 확인을 위한 유의미 단어의 부분 적용)
한글을 읽을 수 있는 능력은 그림이나 의미와 관련되는 글자에 대해서, 글자와 함께 그림을 제시하는 것으로, 글자만 제시하게 되면 의미의 개입과 관련한 실제 읽기가 아닌 단이 글자를 외워서 읽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흥미를 고려하면서 유의미한 그림을 제공함으로써, 그림과 관련되는 글자를 연상하게 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무의미 글자도 제시함으로써 학습능력 진단평가를 보다 정밀하게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처럼 의미가 있는 그림의 경우에도 글자 모두를 담기보다는 첫 글자만 읽고 연결하도록 하여 최대한 글자만 읽는 능력을 점검하는 것이다.
3) 단어의 의도적 선별(1음절 단어 선정, 첫째 음절만 제시 등)
유의미 단어의 경우에도 최대한 글자 읽기와 쓰기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단어를 선별한 것이다.
이러한 그림에서 중성 모음의 경우 ‘이, 오, 요’와 같이 1음절 단어를, 초성의 경우 ‘무, 보, 나, 구’와 ‘때, 뼈, 씨’와 같이 1음절 단어를, 받침의 경우 ‘공, 집, 눈, 물’과 같은 1음절 단어를 제공하여 의미의 개입을 최소화하도록 구비한 것이다. 예를 들면 ‘구두’를 제공하면 ‘구’와 ‘두’를 나눠서 읽을 수 있어야 제대로 한글을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는 것인데, 그림 ‘구두’를 제공하면서 ‘구두’를 글자로 주면 ‘구’자만 알아도 ‘두’를 읽거나, ‘두’자만 알아도 ‘구’를 추론하게 되어 진정한 읽기 능력을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복수 글자의 경우 하나의 글자만 제시하고 나머지는 생략함으로써 그림과 관련되는 단어 글자에 대한 진단이 좀더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4) 초성, 중성 및 받침의 분리에 따른 평가 요소의 초점화
- 초성의 분리 평가
첨부된 도면의 예시에서와 같이 읽기에서 초성을 평가할 때 중성을 제시하면서 초성을 생략하는 초성생략부(45)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중성을 'ㅓ', 'ㅗ', 'ㅣ', 'ㅏ', 'ㅜ' 등으로 쉬운 모음으로 고정하여 초성에 대한 평가 요소를 초점화하고 평가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 중성의 분리 평가
중성의 경우에도 도 19에서와 같이 중성생략부(46)에서처럼 'ㅇ'으로 하여 초성의 자리를 고정하고 중성만 다르게 하여 평가를 하게 된다. 최대한 초성을 배제하여야 중성을 제대로 읽을 수 있으므로 초성 자리에 자음이 없는 ‘ㅇ’만 나오는 단어를 제시하여 중성을 평가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 받침의 분리 평가
도 23에서와 같이 받침을 평가할 때에도 초성과 중성을 제시하여 고정하고 받침만 연상하여 진정한 반침 읽기 능력을 평가하게 되는 것이다. ‘공, 곰’에서 초성은 ‘ㄱ’, 중성은 ‘ㅗ’로 동일하게 하여 받침만 다르게 하여 받침을 제대로 아는지 평가할 수 있다. ‘짐, 집’, ‘문, 물’의 경우도 이와 같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20 : 진단기재부 21 : 유아진단기재부
211 : 유아간편기재부 212 : 유아정밀기본기재부
213 : 유아정밀심층기재부 23 : 저학년진단기재부
231 : 저학년간편기재부 232 : 저학년정밀기본기재부
233 : 저학년정밀심층기재부 25 : 완료진단기재부
251 : 완료간편기재부 252 : 완료정밀기본기재부
254 : 완료정밀받침기재부 255 : 완료정밀심층기재부
50 : 진단평가부 51 : 유아진단평가부
53 : 저학년진단평가부 55 : 완료진단평가부

Claims (5)

  1.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의 한글 습득 정도를 진단평가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에 있어서,
    학습자의 학습 능력에 대한 진단평가를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진단기재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기재부(20)는,
    한글을 배우기 시작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제시된 그림과 대비되는 자음과 모음에 대한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진단기재부(21);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낱말을 구성하는 음절 글자에 대한 자음과 모음의 결합에 따른 읽기, 쓰기, 그리고 무의미한 글자의 읽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진단기재부(23); 및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다양한 글자에 대한 읽기, 쓰기를 보다 많은 수로 기재하면서, 초성, 중성 받침 중에서 생략된 단어를 그림에서 연상하여 기재하는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진단기재부(25);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진단기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는,
    제시된 그림과 관련된 단어에 대한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간편기재부(211);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자음과 모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기본기재부(212); 및
    제시된 그림과 관련하여 연관되는 것으로 받침, 이중 자모음에 대한 글자나 단어를 찾아 읽는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정밀심층기재부(21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학년진단기재부(23)는,
    제시되는 그림 없이 문자만으로 하여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 하나씩에 대한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간편기재부(231);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기본 자음과 모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기본기재부(232); 및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로써 받침, 이중 모음과 자음에 대한 글자 하나씩에 대해서,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와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정밀심층기재부(23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완료진단기재부(25)는,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한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간편기재부(251);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자음과 모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기본기재부(252);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받침을 포함한 글자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받침기재부(254); 및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로써 이중 자음과 모음에 대한 유의미글자 및 무의미문자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연결하기에 더하여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정밀심층기재부(255);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3. 제 1항에 있어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이미지부(31);
    의미를 갖는 문자가 표시되는 의미글자부(33); 및
    의미를 갖지 않는 문자가 표시되는 무의미문자부(35)를 포함하고,
    의미글자부(33) 다음으로 무의미문자부(35)가 위치되는 선의미후무의미글자배치부(43); 및
    무의미문자부(35) 다음으로 의미글자부(33)가 위치되는 선무의미후의미글자배치부(4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글자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기재부(20)에 기재된 내용에 대해서 학습자에 대한 한글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한 진단평가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평가부(50)는,
    상기 진단기재부(20)의 유아진단기재부(21)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 내용에 대하여, 제시된 그림과 대비되는 자음과 모음에 대한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유아진단평가부(51);
    상기 진단기재부(20)의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 내용에 대하여, 낱말을 구성하는 음절 글자에 대한 자음과 모음의 다양한 결합에 따른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저학년진단평가부(53); 및
    상기 진단기재부(20)의 완료진단기재부(25)에 기재된 학습자의 기재 내용에 대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글자에 대한 읽기, 쓰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기재하기 위한 완료진단평가부(55);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진단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5.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의 한글 습득 정도를 진단평가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방법에 있어서,
    진단기재부(20)를 통하여 학습자가 기재하고, 진단기재부(20)에 기재된 내용에 대하여 진단평가부(50)를 통하여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를 수행하되,
    상기 진단기재부(20)의 유아진단기재부(21)에 한글을 배우기 시작하는 학습자가 기재하고 기재된 내용으로 하여 제시된 그림과 대비되는 자음과 모음에 대한 읽기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는 유아진단평가단계(S1);
    상기 진단기재부(20)의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 대해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낱말을 구성하는 음절 글자에 대한 자음과 모음의 결합에 따른 읽기, 쓰기, 그리고 무의미한 글자의 읽기에 대한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는 저학년진단평가단계(S3); 및
    상기 진단기재부(20)의 완료진단기재부(25)에 대해 한글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유아진단기재부(21) 및 저학년진단기재부(23)에서보다 다양한 글자에 대한 읽기, 쓰기를 보다 많은 수로 기재하면서, 초성, 중성 받침 중에서 생략된 단어를 그림에서 연상하여 기재하는 학습 능력을 진단평가하는 완료진단평가단계(S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능력 진단평가방법.
KR1020220042214A 2022-04-05 2022-04-05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 KR20230143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214A KR20230143395A (ko) 2022-04-05 2022-04-05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214A KR20230143395A (ko) 2022-04-05 2022-04-05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395A true KR20230143395A (ko) 2023-10-12

Family

ID=8829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214A KR20230143395A (ko) 2022-04-05 2022-04-05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339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881A (ko) 1999-01-27 2000-08-16 이훈 전화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31708A (ko) 2009-03-03 2009-03-27 김주형 영어단어 발음 학습방법 및 평가방법과 이를 이용한 학습매체
KR20220015074A (ko) 2020-07-30 2022-02-08 주식회사 에이치투케이 강화학습 기반의 유아 한글 수준별 진단 평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881A (ko) 1999-01-27 2000-08-16 이훈 전화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31708A (ko) 2009-03-03 2009-03-27 김주형 영어단어 발음 학습방법 및 평가방법과 이를 이용한 학습매체
KR20220015074A (ko) 2020-07-30 2022-02-08 주식회사 에이치투케이 강화학습 기반의 유아 한글 수준별 진단 평가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mamori et al. Using cluster analysis to uncover L2 learner differences in strategy use, will to learn, and achievement over time
US6077080A (en) Alphabet image reading method
CA2249646C (en) Application of multi-media technology to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assessment tools
US200600402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US20080206724A1 (en) Vowel based method of teaching the reading of English
US20200027368A1 (en) Symbol Manipulation Educational System and Method
Ma A contextualised study of EFL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approaches: Framework, learner approach and degree of success
Frederickson Curriculum-based assessment: broadening the base
Casbergue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literacy as a microcosm of shifting perspectives
Maclatchy Bexley reading study
Provost et al. Informal reading inventories: Creating teacher-designed literature-based assessments
Bhide et al. Improving Hindi decoding skills via a mobile game
CA3101211A1 (en) Symbol manipulation educational system and method
Malik et al. Evaluation of phonics content in PTB primary grade text books and assessment schemes: Scope for technology-enhanced language learning (TELL) and assessment tools
KR20230143395A (ko) 한글능력 진단평가수단 및 진단평가방법
Lesnussa et al. The Use of Pictures in Teaching Descriptive Text to Improve Students’ Writing Skill
Akyüz et al. Kendiliğinden ortaya çıkan okuryazarlık becerilerinin okul öncesi dönemdeki gelişimi: 36-71 aylık Türk çocukları örneklemi
Aram et al. Parents' Beliefs Regarding Their Children's Early Literacy Surrounding a Writing Interaction and Their Relations to Children's Early Literacy Skills
Roepke Assessing phonological processing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Mayadi et al. An Investigation of the English Vocabulary Knowledge of Lower Secondary Students: A Case Study of a Malaysian School
Ju Elementary mandarin immersion students learning alphabetic pinyin and using pinyin to learn chinese characters
Field Cyril Weir and cognitive validity
McKee Reading programs in grades IV through VIII
Bock The Need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Know the Signs and Symptoms of Dyslexia
Han et al. Inclusive Design of a Tool to Screen Literacy of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