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022A - 설문 문진을 통한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설문 문진을 통한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022A
KR20230143022A KR1020220041798A KR20220041798A KR20230143022A KR 20230143022 A KR20230143022 A KR 20230143022A KR 1020220041798 A KR1020220041798 A KR 1020220041798A KR 20220041798 A KR20220041798 A KR 20220041798A KR 20230143022 A KR20230143022 A KR 20230143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loss
information
diagnosis
un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훈
김성율
김동혁
이혜정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하이드로젠
주식회사 플렉싱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하이드로젠, 주식회사 플렉싱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하이드로젠
Priority to KR1020220041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3022A/ko
Publication of KR20230143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8Hair evaluation, e.g. for hair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ursing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문 문진을 통한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설문을 수행하면, 탈모 상태 대한 진단이 이루어지고, 탈모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탈모 요인을 분석하여 제시하므로써, 측정기기 등의 사용없이도 효율적으로 탈모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설문 문진을 통한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설문 문진을 통한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System for diagnose hair loss factor using questionnaire}
본 발명은 설문 문진을 통한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설문을 수행하면, 탈모 상태 대한 진단이 이루어지고, 탈모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탈모 요인을 분석하여 제시하므로써, 측정기기 등의 사용없이도 효율적으로 탈모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설문 문진을 통한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탈모는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두피의 성모가 빠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그 종류로는 대머리, 여성형 탈모, 원형 탈모증, 휴지기 탈모증 등이 있으며, 그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안드로겐 등의 호르몬 요인, 스트레스, 외상, 질환, 영양 결핍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환경적 요인, 식생활의 변화 등으로 인해, 탈모 질환을 가진 사람들의 수가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고, 미용에 대한 관심 증가로, 탈모를 관리하기 위한 기술이 널리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하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것처럼, 촬영을 통해 탈모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특허 제10-1946466호(2019. 01. 31. 등록) "탈모 진단을 위한 촬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하지만,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여 탈모를 진단하는 경우,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머리를 촬영하는 등의 과정을 수행하여야 하여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전문의에 의해 진단을 받기 전에 탈모의 요인을 알기가 어려웠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문을 수행하면, 탈모 상태 대한 진단이 이루어지고, 탈모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탈모 요인을 분석하여 제시하므로써, 측정기기 등의 사용없이도 효율적으로 탈모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설문 문진을 통한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단 결과에 따라 맞춤화된 기존 탈모 완화용 화장품을 추천하는 설문 문진을 통한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은 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에 대한 답변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탈모 상태를 진단하는 진단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진단서버는 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에 대한 답변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출력된 경우, 상기 답변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탈모 여부를 진단하는 설문진단부와, 상기 설문진단부가 탈모 상태에 있다는 판단한 경우, 상기 답변 정보를 기설정된 탈모 요인 판단기준에 따라 재분석하여, 탈모 요인별 점수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원인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탈모 요인은 유전 요인, 염증 요인, 영양 요인, 스트레스 요인 및 혈액순환 요인 및 기저질환 요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문진단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전송한, 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에 대한 답변 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정보수집모듈과, 상기 정보수집모듈에서 출력된 답변 정보를 기설정된 탈모 여부 판단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탈모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단말기에 출력하는 탈모여부판단모듈과, 상기 탈모여부판단모듈이 탈모 상태에 있다는 정보를 출력한 경우, 상기 정보수집모듈에서 출력된 답변 정보를 기설정된 항목별 판단기준에 따라 재분석하여,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을 생성하는 항목별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진단서버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진단기기로 측정하여 생성한 실측 측정 정보가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된 경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실측 측정 정보에 매칭되는 탈모 평가 세부 항복별 상태 등급을 생성하는 실측진단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진단서버는 상기 설문진단부 및 실측진단부 모두에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이 출력된 경우, 상기 설문진단부 및 실측진단부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설문진단부에서 출력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을 반영하여 상기 실측진단부에서 출력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을 수정하는 진단수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진단수정부는 설문진단부 및 실측진단부 모두에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이 출력된 경우, 설문진단부 및 실측진단부 각각에서 출력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추출모듈과, 상기 정보추출모듈에서 수집된 설문진단부가 출력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과, 실측진단부가 출력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을 비교하여 동일성을 판단하는 비교모듈과, 상기 설문진단부가 출력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과, 상기 실측진단부가 출력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의 동일성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상기 비교모듈이 판단한 경우, 상기 설문진단부에서 출력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을 반영하여 상기 실측진단부에서 출력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을 수정하는 수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진단서버는 상기 설문진단부, 실측진단부, 진단수정부 중 어느 하나에서 출력된 탈모 진단 정보에 따라 맞춤화된 탈모용 화장품 등을 추천하는 정보제공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설문진단부, 실측진단부, 진단수정부 중 어느 하나에서 출력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에 대한 정보 및 판매중인 탈모용 화장품의 정보를 비교분석하여, 사용자의 탈모 상태에 매칭되는 단일 탈모용 화장품을 추천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출력하는 단일추천모듈과, 상기 단일추천모듈이 사용자의 탈모 상태에 매칭되는 단일 탈모용 화장품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시 사용자의 탈모 상태에 매칭되는 복수 개의 탈모용 화장품들의 조합을 추전하는 정보를 상기 고객단말기에 출력하는 복합추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은 헤어 미용 전문가가 진단서버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추천자단말기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설문진단부에 의해 생성된 탈모 상태에 있다는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출력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머리를 촬영한 사진과 함께 탈모용 미용제품의 추천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머리 사진과 함께, 진단 시스템의 관리자가 운영하는 온라인쇼핑몰에서 판매중인 탈모용 미용제품에 대한 정보를 추천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추천자단말기에 제시된 탈모용 미용제품 중 특정 탈모용 미용제품의 사용을 권유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특정 탈모용 미용제품의 사용을 권유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출력하는 미용추천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진단서버는 상기 진단 시스템의 관리자가 운영하는 온라인쇼핑몰을 통한 탈모용 화장품, 탈모용 미용제품 구매를 처리하는 쇼핑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진단서버는 추천자단말기를 통해 헤어 미용 전문가가 특정 탈모용 미용제품의 사용을 권유하는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헤어 미용 전문가에 지급하여야 리워드를 산정하는 보상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보상처리부는 상기 추천자단말기를 통해 출력된 탈모용 미용제품의 사용을 권유하는 정보의 제공 횟수에 따라 상기 헤어 미용 전문가에 지급하여야할 리워드를 산정하는 제1보상모듈과, 상기 정보제공부에 의해 추천된 탈모용 미용제품의 실구매정보 및 구매한 탈모용 미용제품에 대한 평가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1보상모듈에서 산정된 리워드를 조정하는 제2보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문을 수행하면, 탈모 상태 대한 진단이 이루어지고, 탈모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탈모 요인을 분석하여 제시하므로써, 측정기기 등의 사용없이도 효율적으로 탈모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단 결과에 따라 맞춤화된 기존 탈모 완화용 화장품을 추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문진을 통한 탈모 진단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진단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의 설문진단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2의 진단수정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2의 정보제공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도 2의 보상처리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2의 원인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설문 문진을 통한 탈모 진단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문진을 통한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을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진단 시스템은 간접적으로 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에 대한 답변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1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탈모 상태를 진단하는 진단서버(1)와, 헤어 미용 전문가가 진단서버(1)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추천자단말기(200) 등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의 사용자가 상기 진단서버(1)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성으로, 간접적으로 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에 대한 답변 정보를 진단서버(1)에 전송하고, 상기 진단서버(1)에서 전송한 탈모 진단 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인터넷을 통해 진단서버(1)와 정보를 교환하는 앱(이하, '정보처리앱' 이라 함)의 탑재가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스마트 전자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추천자단말기(200)는 헤어 미용 전문가가 상기 진단서버(1)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성으로, 상기 추천자단말기(200) 역시 정보처리앱의 탑재가 가능한 스마트 전자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진단서버(1)는 간접적으로 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에 대한 답변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된 경우, 상기 답변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탈모 상태를 진단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설문진단부(11), 원인분석부(12), 실측진단부(13), 진단수정부(14), 정보제공부(15), 쇼핑처리부(16), 보상처리부(17), 저장부(18), 제어부(19) 등을 포함한다.
상기 설문진단부(11)는 간접적으로 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에 대한 답변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된 경우, 상기 답변 정보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의 탈모 여부를 진단하는 구성으로, 정보수집모듈(111), 탈모여부판단모듈 (113), 항목별판단모듈(113)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수집모듈(111)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가 전송한, 상기 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에 대한 답변 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탈모여부판단모듈(112)는 상기 정보수집모듈(111)에서 출력된 답변 정보를 기설정된 탈모 여부 판단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탈모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은 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종래의 설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예컨대, 두피, 모발, 모공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예컨대, 부모님 중에 탈모가 있느냐 여부 등), 염증(예컨대, 두피가 자주 간지럽나 여부 등), 영양(예컨대, 유산균의 섭취 여부 등), 스트레스(예컨대, 회사 업무로 스트레스를 받느냐 여부), 혈액순환(예컨대, 현기증을 자주 느끼느냐 여부 등), 기저질환(예컨대, 당뇨병을 앓느냐 여부 등), 생활습관(예컨대, 담배 피우느냐 여부 등) 등에 대한 설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탈모여부 판단기준은, 설문의 답변을 분석한 전문의의 견해에 따라 기설정될 수도 있고,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과, 상기 답변시 직접적으로 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측정 정보(모발, 두피, 모공 상태 등을 측정한 정보)를 누적 분석하여, 설문에 대한 답변과 탈모의 연관관계를 확인하여 기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설문에 대한 답변을 점수화했을 때 일정 점수 이상이면 탈모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항목별판단모듈(113)은 상기 탈모여부판단모듈(112)이 탈모 상태에 있다는 정보를 출력한 경우, 상기 정보수집모듈(111)에서 출력된 답변 정보를 기설정된 항목별 판단기준에 따라 재분석하여,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을 생성하는 구성이다. 상기 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에는 탈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뿐만 아니라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이 존재하게 되며, 예컨대, 탈모 평가 세부 항목으로 모발 상태, 두피 상태, 모공 상태가 설정되어 있고, 각각의 탈모 평가 세부 항목에 대하여 점수가 8~10일때 상태 등급이 1이고, 점수가 5~7일때 상태 등급이 2이고, 점수가 2~4일때 상태 등급이 3이고, 점수가 1일때 상태 등급이 4라고 설정되어 있는데, 상기 항목별단판모듈(113)에서 모발 상태에 점수가 4이고 두피 상태에 대한 점수가 4이고 모공 상태에 대한 점수가 4이라고 판단하였다면, 상기 항목별판단모듈(113)는 모발 상태 등급이 이고, 두피 상태 등급이 3이고, 모공 상태 등급이 3이라고 진단하게 된다.
상기 원인분석부(12)는 상기 탈모여부판단모듈(112)이 탈모 상태에 있다는 정보를 출력한 경우, 상기 정보수집모듈(111)에서 출력된 답변 정보를 기설정된 탈모 요인 판단기준에 따라 재분석하여, 탈모 요인별 점수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구성이다. 상기 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에는 탈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뿐만 아니라 탈모 요인을 확인할 수 있는 설문이 존재하므로, 상기 원인분석부(12)은 답변 정보를 분석하여 탈모 요인(예컨대, 유전, 염증, 영양 상태, 스트레스, 혈액순환, 기저질환 등)별로 탈모에 미친 영향을 점수화하여 산출하게 된다. 도 7은 원인분석부(12)에 의해 생성되어 사용자단말기(100)에 출력된 결과를 나타내는 일 예시이다.
상기 실측진단부(13)는 사용자가 진단기기(예컨대, APM PRO 200 등)를 사용하여 얻은, 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실측 측정 정보가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출력된 경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탈모 여부를 판단하고, 탈모 상태에 있다고 판단시 상기 실측 측정 정보에 매칭되는 탈모 평가 세부 항복별 상태 등급을 생성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측정 정보는 탈모 상태, 모발 상태, 두피 상태, 모공 상태에 대한 측정정보(예컨대, 상태에 따라 점수로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문진단부(11)는 진단기기의 측정없이 설문의 문항에 대한 답변만으로 기설정된 판단기준에 따라 탈모 상태 진단하고, 상기 실측진단부(13)은 진단기기를 이용하여 얻은 실측 측정 정보를 가지고 탈모 상태를 진단하므로, 진단기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최적화된 설문의 문항에 대한 답변만으로 탈모 상태를 진단받고 탈모용 화장품 등을 추천받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진단수정부(14)는 상기 설문진단부(11) 및 실측진단부(13) 모두에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이 출력된 경우, 상기 설문진단부(11) 및 실측진단부(13)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설문진단부(11)에서 출력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을 반영하여 상기 실측진단부(13)에서 출력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을 수정하는 구성으로, 복수정보모듈(141), 정보추출모듈(142), 비교모듈(143), 수정모듈(144) 등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정보모듈(141)은 설문진단부(11) 및 실측진단부(13) 모두에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이 출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구성이다.
상기 정보추출모듈(142)은 상기 복수정보모듈(141)이 설문진단부(11) 및 실측진단부(13) 모두에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이 출력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설문진단부(11) 및 실측진단부(13) 각각에서 출력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설문진단부(11) 및 실측진단부(13) 각각에서 출력된 탈모 세부 평가 항목별 상태 등급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정보제공부(15)에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비교모듈(143)은 상기 정보추출모듈(142)에서 수집된 설문진단부(11)가 출력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과, 실측진단부(13)가 출력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을 비교하여 동일성을 판단하는 구성으로, 동일성이 인정된다고 판단 시 실측진단부(13)에서 생성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이 상기 정보제공부(15)에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수정모듈(144)은 상기 설문진단부(11)가 출력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과, 상기 실측진단부(13)이 출력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의 동일성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상기 비교모듈(143)이 판단한 경우, 상기 설문진단부(11)에서 출력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을 반영하여 상기 실측진단부(13)에서 출력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을 수정하고, 수정된 탈모 평가 항목별 상태 등급을 상기 정보제공부(15)에 출력되도록 한다. 실측 측정 정보는 현재 탈모 상태를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나, 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 문항에 대한 답변 정보는 현재의 탈모 상태뿐만 아니라 탈모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습관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이를 통해 향후 변화될 탈모 상태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설문 문항에 대한 답변 정보를 분석하여 설문진단부(11)가 출력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실측 측정 정보에 따라 진단된 실측진단부(13)가 출력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을 보정하게 된다. 예컨대, 실측진단부(13)가 모발 상태 등급이 4이고, 두피 상태 등급이 2이라고 판단하였는데, 설문진단부(11)가 모발 상태 등급이 4이고, 두피 상태 등급이 4이라고 판단하였다면, 상기 수정모듈(144)은 모발 상태 등급이 4이고, 두피 상태 등급이 3이라고 보정된 정보를 상기 정보제공부(15)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제공부(15)는 상기 설문진단부(11), 실측진단부(13), 진단수정부(14) 중 어느 하나에서 출력된 탈모 진단 정보에 따라 맞춤화된 탈모용 화장품 등을 추천하는 구성으로, 단일추천모듈(151), 복합추천모듈(152), 미용추천모듈(153) 등을 포함한다.
상기 단일추천모듈(151)은 상기 설문진단부(11), 실측진단부(13), 진단수정부(14) 중 어느 하나에서 출력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저장부(18)에 저장된 판매중인 탈모용 화장품의 정보를 비교분석하여, 사용자의 탈모 상태에 매칭되는 단일 화장품을 추천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복합추천모듈(152)는 상기 단일추천모듈(151)이 사용자의 탈모 상태에 매칭되는 단일 화장품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시 사용자의 탈모 상태에 매칭되는 복수 개의 화장품들의 조합을 추전하는 정보를 상기 고객단말기(100)에 출력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상기 설분진단부(11)에서 모발 상태 등급이 3이고 두피 상태 등급이 4라고 출력되었는데, 모발 상태 등급 3를 개선할 있는 화장품 A, 두피 상태 등급 4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품 B만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일추천모듈(151)은 사용자의 탈모 상태에 매칭되는 단일 화장품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상기 복합추천모듈(152)은 사용자의 탈모 상태에 매칭되는 복수 개의 화장품들의 조합을 추전하는 정보(예컨대, 화장품 A 및 B을 조합 사용을 추전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단말기(100)에 출력한다. 탈모 상태는 개인에 따라 달라짐으로 모든 탈모 상태에 맞는 단일 화장품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을 수 있는데, 이때 즉석에서 맞춤화된 화장품을 제조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즉석 제조 화장품은 테스트를 거치지 않았고, 보존기간에 대한 담보가 없으므로, 본 발명은 기존 판매중인 화장품의 조합을 통해, 안전성 및 안정성을 보장하면서 모든 탈모 상태에 매칭되는 화장품을 추천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정보제공부(15)에 의해 제공된 화장품 정보에 포함된 URL을 클릭하여 화장품 회사 또는 진단 시스템의 관리자가 운영하는 온라인쇼핑몰에서 화장품의 구매를 수행하고 구매한 화장품을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실구매정보 및 구매한 화장품에 평가 정보는 상기 진단서버(1)에 전송되어 상기 저장부(18)에 저장되게 된다.
상기 미용추천모듈(153)은 상기 설문진단부(11)에 의해 생성된 탈모 상태에 있다는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출력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머리를 촬영한 사진과 함께 탈모용 미용제품의 추천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머리 사진과 함께, 진단 시스템의 관리자가 운영하는 온라인쇼핑몰에서 판매중인 탈모용 미용제품에 대한 정보를 추천자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추천자단말기(100)에 제시된 탈모용 미용제품 중 특정 탈모용 미용제품의 사용을 권유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특정 탈모용 미용제품의 사용을 권유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출력하는 구성이다. 사용자는 상기 정보제공부(15)에 의해 제공된 특정 탈모용 미용제품의 사용을 권유하는 정보에 포함된 URL을 클릭하여 진단 시스템의 관리자가 운영하는 온라인쇼핑몰에서 탈모용 미용제품의 구매를 수행하고 구매한 미용제품을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실구매정보 및 구매한 미용제품에 평가 정보는 상기 진단서버(1)에 전송되어 상기 저장부(18)에 저장되게 된다. 상기 진단 시스템은 탈모 상태를 완화할 수 있는 화장품을 추천할뿐만 아니라 일시적으로 탈모를 가릴 수 있는 탈모용 미용제품(예컨대, 가발, 흑체 등)을 추천하게 된다.
상기 쇼핑처리부(16)는 상기 진단 시스템의 관리자가 운영하는 온라인쇼핑몰을 통한 탈모용 화장품, 탈모용 미용제품 구매를 처리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정보처리앱 또는 상기 진단시스템의 운영자가 관리하는 홈페이지를 통해 화장품 또는 미용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상처리부(17)는 추천자단말기(200)를 통해 헤어 미용 전문가가 특정 탈모용 미용제품의 사용을 권유하는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헤어 미용 전문가에 지급하여야 리워드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제1보상모듈(171), 제2보상모듈(17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1보상모듈(171)은 상기 추천자단말기(200)를 통해 출력된 탈모용 미용제품의 사용을 권유하는 정보의 제공 횟수에 따라 기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상기 헤어 미용 전문가에 지급하여야할 리워드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정보의 제공 횟수가 많은 경우 더 많은 리워드가 지급하게 되며, 상기 진단 시스템의 관리자가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에 탈모용 미용제품을 납품할 수 있는 권리의 형태로 제공되게 된다. 예컨대, 정보 제공 회수가 많은 경우, 온라인 쇼핑몰에 더 오랜 기간 동안 탈모용 미용제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에서 더 크고 부각되는 위치에서 탈모용 미용제품을 소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보상모듈(172)은 상기 정보제공부(15)에 의해 추천된 탈모용 미용제품의 실구매정보 및 구매한 탈모용 미용제품에 대한 평가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1보상모듈(171)에서 산정된 상기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가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에 탈모용 미용제품의 납품할 수 있는 권리를 조정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헤어 미용 전문가 a와 b가 동일한 회수의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제1보상모듈(171)에 의해 동일한 권리를 부여받았는데, A의 탈모용 미용제품이 B의 탈모용 미용제품보다 높은 평점을 받을 경우, B의 탈모용 미용제품을 추천할 때보다 A의 탈모용 미용제품을 추천할 때 더 많은 실구매가 이루어진 경우, A가 B보다 더욱 유리한 입장(예컨대, A가 보다 더욱 부각되는 온라인쇼핑몰의 홈페이지의 위치에서 탈모용 미용제품을 소개할 수 있는 등)에서 온라인쇼핑몰에 탈모용 미용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8)는 상기 시스템의 운영에 필요한 정보 및 상기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19)는 상기 진단서버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진단서버 11: 설문진단부 12: 원인분석부
13: 실측진단부 14: 진단수정부 15: 정보제공부
16: 쇼핑처리부 17: 보상처리부 18: 저장부
19:: 제어부 111: 정보수집모듈 112: 탈모여부판단모듈
113: 항목별판단모듈 141: 복수정보모듈 142: 정보추출모듈
143: 비교모듈 144: 수정모듈 151: 단일추천모듈
152: 복합추천모듈 153: 미용추천모듈 171: 제1보상모듈
172: 제2보상모듈

Claims (10)

  1. 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에 대한 답변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탈모 상태를 진단하는 진단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진단서버는 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에 대한 답변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출력된 경우, 상기 답변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탈모 여부를 진단하는 설문진단부와, 상기 설문진단부가 탈모 상태에 있다는 판단한 경우, 상기 답변 정보를 기설정된 탈모 요인 판단기준에 따라 재분석하여, 탈모 요인별 점수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원인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모 요인은 유전 요인, 염증 요인, 영양 요인, 스트레스 요인 및 혈액순환 요인 및 기저질환 요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진단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전송한, 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에 대한 답변 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정보수집모듈과, 상기 정보수집모듈에서 출력된 답변 정보를 기설정된 탈모 여부 판단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탈모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단말기에 출력하는 탈모여부판단모듈과, 상기 탈모여부판단모듈이 탈모 상태에 있다는 정보를 출력한 경우, 상기 정보수집모듈에서 출력된 답변 정보를 기설정된 항목별 판단기준에 따라 재분석하여,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을 생성하는 항목별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서버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진단기기로 측정하여 생성한 실측 측정 정보가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된 경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실측 측정 정보에 매칭되는 탈모 평가 세부 항복별 상태 등급을 생성하는 실측진단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서버는 상기 설문진단부 및 실측진단부 모두에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이 출력된 경우, 상기 설문진단부 및 실측진단부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설문진단부에서 출력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을 반영하여 상기 실측진단부에서 출력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을 수정하는 진단수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수정부는 설문진단부 및 실측진단부 모두에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이 출력된 경우, 설문진단부 및 실측진단부 각각에서 출력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추출모듈과, 상기 정보추출모듈에서 수집된 설문진단부가 출력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과, 실측진단부가 출력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을 비교하여 동일성을 판단하는 비교모듈과, 상기 설문진단부가 출력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과, 상기 실측진단부가 출력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의 동일성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상기 비교모듈이 판단한 경우, 상기 설문진단부에서 출력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을 반영하여 상기 실측진단부에서 출력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을 수정하는 수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서버는 상기 설문진단부, 실측진단부, 진단수정부 중 어느 하나에서 출력된 탈모 진단 정보에 따라 맞춤화된 탈모용 화장품 등을 추천하는 정보제공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설문진단부, 실측진단부, 진단수정부 중 어느 하나에서 출력된 탈모 평가 세부 항목별 상태 등급에 대한 정보 및 판매중인 탈모용 화장품의 정보를 비교분석하여, 사용자의 탈모 상태에 매칭되는 단일 탈모용 화장품을 추천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출력하는 단일추천모듈과, 상기 단일추천모듈이 사용자의 탈모 상태에 매칭되는 단일 탈모용 화장품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시 사용자의 탈모 상태에 매칭되는 복수 개의 탈모용 화장품들의 조합을 추전하는 정보를 상기 고객단말기에 출력하는 복합추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은 헤어 미용 전문가가 진단서버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추천자단말기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설문진단부에 의해 생성된 탈모 상태에 있다는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출력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머리를 촬영한 사진과 함께 탈모용 미용제품의 추천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머리 사진과 함께, 진단 시스템의 관리자가 운영하는 온라인쇼핑몰에서 판매중인 탈모용 미용제품에 대한 정보를 추천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추천자단말기에 제시된 탈모용 미용제품 중 특정 탈모용 미용제품의 사용을 권유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특정 탈모용 미용제품의 사용을 권유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출력하는 미용추천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서버는 상기 진단 시스템의 관리자가 운영하는 온라인쇼핑몰을 통한 탈모용 화장품, 탈모용 미용제품 구매를 처리하는 쇼핑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서버는 추천자단말기를 통해 헤어 미용 전문가가 특정 탈모용 미용제품의 사용을 권유하는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헤어 미용 전문가에 지급하여야 리워드를 산정하는 보상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보상처리부는 상기 추천자단말기를 통해 출력된 탈모용 미용제품의 사용을 권유하는 정보의 제공 횟수에 따라 상기 헤어 미용 전문가에 지급하여야할 리워드를 산정하는 제1보상모듈과, 상기 정보제공부에 의해 추천된 탈모용 미용제품의 실구매정보 및 구매한 탈모용 미용제품에 대한 평가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1보상모듈에서 산정된 리워드를 조정하는 제2보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
KR1020220041798A 2022-04-04 2022-04-04 설문 문진을 통한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 KR20230143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798A KR20230143022A (ko) 2022-04-04 2022-04-04 설문 문진을 통한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798A KR20230143022A (ko) 2022-04-04 2022-04-04 설문 문진을 통한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022A true KR20230143022A (ko) 2023-10-11

Family

ID=8829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798A KR20230143022A (ko) 2022-04-04 2022-04-04 설문 문진을 통한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30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plin The value of self-stated attribute importance to overall satisfaction
Telser et al. Validity of discrete-choice experiments evidence for health risk reduction
US20130196297A1 (en) Interactive shopping - health &amp; wellness
Friedman et al. Health insurance, primary care, and preventable hospitalization of children in a large state
Feldman et al. The effects of advertising lessons from optometry
Olivera Changes in inequality and generalized trust in Europe
Parast et al. Robust estimation of the proportion of treatment effect explained by surrogate marker information
Jung et al. Agenc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home health quality after Home Health Compare
Lloyd et al. Estimation of the quality of life benefits associated with treatment for spinal muscular atrophy
US86766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effectiveness of marketing
Olsen et al. Organisational determinants of production and efficiency in general practice: a population-based study
KR20150080280A (ko) 피부 진단 및 피부 미용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5009518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ecommendations
Ki A model of an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for the banking industry
Fiorentini et al. How do hospital‐specialty characteristics influence health system responsiveness? An empirical evaluation of in‐patient care in the Italian region of Emilia‐Romagna
Aris et al. Separating algorithms from questions and causal inference with unmeasured exposures: an application to birth cohort studies of early body mass index rebound
Mukamel et al. Health care services utilization at the end of life in a managed care program integrating acute and long-term care
WO20131143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analysis and treatment of a condition
JP2022024776A (ja) 肌カウンセリングシステム
KR20230143022A (ko) 설문 문진을 통한 탈모 요인 진단 시스템
Roohan et al. Do commercial managed care members rate their health plans differently than Medicaid managed care members?
KR20230143021A (ko) 머신러닝을 활용한 두피 및 탈모 관리 시스템
Cabrieto et al. : An R Package for performing kernel change point detection on the running statistics of multivariate time series
KR20150076291A (ko) 사용자 선호도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Moran et al.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English mental health providers in achieving patient outc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