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2922A -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 - Google Patents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2922A
KR20230142922A KR1020220041564A KR20220041564A KR20230142922A KR 20230142922 A KR20230142922 A KR 20230142922A KR 1020220041564 A KR1020220041564 A KR 1020220041564A KR 20220041564 A KR20220041564 A KR 20220041564A KR 20230142922 A KR20230142922 A KR 20230142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evacuation
elevator
coupled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선
김민형
Original Assignee
김동선
김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선, 김민형 filed Critical 김동선
Priority to KR1020220041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2922A/ko
Publication of KR20230142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92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26Positively-acting devices, e.g. latches,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B66B9/02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by rack and pinion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각층 대피공간에 인접하여 외벽에 설치되고, 인접한 대피공간으로 수평이동 대피수단과, 유독연기 및 화염으로부터 대피자 보호수단과, 추락 방지장치 등을 구비하면서, 대피공간의 대피자들을 안전하게 탑승한 후 신속하게 하강하여 지면으로 피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외기에 노출된 승강로(1)와; 승강체를 수직승강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반(46)과; 승강로의 일 외벽 면에 고정 설치되는 부라켓(26)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부(2)와;
대피자 보호 난간대(43)와, 공기 분사장치(42)를 구비한 승강체(4); 랙과 치합된 피니언(51)과 이중 웜기어열을 구비한 승강구동부(5)와; 승강체 하부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장치(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량칸막이 및 하향식피난기구의 취약성을 극복하며, 각층 대피공간에서 구조를 기다리는 가족단위 대피자들을 동시에 탑승시켜서 신속히 하강하여 지면으로 대피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 { Elevator for multiple people evacuation }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법령에 의하면 고층건물에는 승용승강기 외 화재발생시 소화 및 구조활동에 적합하게 제작된 비상용 승강기 및 대피자의 피난활동에 사용할 목적으로 제작된 피난용 승강기를 구비토록하고 있다.
이러한 비상용 및 피난용 승강기는 목적에는 다소차이가 나지만 승강로 , 카, 가이드레일,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권상기, 균형추, 조속기와 연결된 비상정지장치, 제어반 등으로 주요구성이 이루어지며, 건물내부에 기계실과, 내화구조 의 승강로와, 일정한 넓이(6㎡)에 바닥과 벽은 내화구조로 하며 실내에 접한 부분은 불연자재로 마감되고 예비전원으로 작동되는 조명기기와 갑종 방화문을 구비한 승강장 등을 요구함으로써,
승강로와 승강장 등으로 인해서 건물내부의 면적 중 일정한 면적을 차지함은 물론 승강기 설치에 고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화재예방, 소방시설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고층건물에는 로프, 속도조절기구, 밸트, 보호대 등으로 구성되며 완강기와 유사한 다수인 피난기, 그리고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승강 구조로서 스프링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에 의해 대피자의 몸무게에 의해 하강하고, 대피자가 피난기에서 내리면 스프링의 힘에 이해 상승하는 것으로서 한사람이 탑승하여 1개 층씩 하강하는 승강식피난기 등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피난기들은 화재발생 층에서 아래층으로 대피 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화재가 발생한 바로 위층 세대들에 있는 대피자들이 피난기를 이용하여 화염이나 유독연기가 발생하는 화재발생 층으로 대피하기가 곤란하고, 한사람씩 대피를 하는 과정에서 피난기 통로를 통해 올라오는 유독연기에 장시간 노출되면서 대피를 기다려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설작업용 리프트는 동력을 사용하여 건물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 승강로탑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운반구를 매달아 사람 또는 화물을 운반하는 기계장치로서, 승강기와 주요구조 및 기계장치는 유사한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승강기와 리프트는 동력전달 방식에 있어서 승강기의 경우, 카를 승강시키는데 와이어 로프식 권상기를 주로 사용하고, 리프트는 랙 및 피니언기어 방식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비상정지장치는 조속기의 로프에 연결된 인상봉에 결합된 쐐기형상의 롤러뭉치와, 분리된 쐐기형상의 롤러뭉치 사이에 삽입된 가이드바, 승강기의 카에 결합된 U형상의 스프링쐐기 등이 결합된 구조이며,
승강기의 카가 일정속도 이상 낙하 시 분리된 쐐기롤러뭉치들이 조속기에 의해 당겨져서 U형상의 스프링쐐기에 삽입되고 이로 인하여 분리된 쐐기롤러뭉치가 가이드 바를 양방향에서 압착함으로서 이때 발생된 마찰력으로 카의 추락을 방지 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고, 리프트의 경우 원심력을 이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낙하방지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화재에 취약한 고층아파트의 경우, 화재발생시 유독연기의 굴뚝 역할을 하는 승강로 및 계단을 이용한 피난은 어려운 점이 있어 승용 승강기 외 별도의 비상용승강기 또는 피난용 승강기를 설치하게엔 한정된 면적에서 승강장과 승강로 등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크고, 설치 및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요구되어 통상적으로 각층 세대들은 하방피난구를 이용하여 바로 아래층 세대로 대피를 선호하거나 자체 대피공간으로 피신하여 구조를 기다리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은 화재가 발생한 세대는 하방피난구를 이용하여 밑층으로 신속히 대피할 수 있으나, 화재가 발생한 바로 위층들은 하방피난구를 이용한 대피가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오직 대피공간으로 피신한 후 구조를 기다려야하는 한계점 노출과, 화재발생 후 출동한 소방서 사다리차의 도착 설치에서 대피자들을 구조까지 장시간이 소요되어 구조시간이 지연되면 유독연기 흡입가능성 증대와 화염에 의한 피해발생이 우려되어 신속한 구조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면 최단시간 내에 화재발생 층 및 위험지역 각층 세대에 신속히 접근하여 대피자 들을 지면으로 안전하게 대피시키는 승강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각층 대피공간에 인접하고 외기에 노출되며 건물내부 면적과 관계없는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고; 화재발생시 각층 대피공간에서 동일 층의 인접한 세대의 대피공간으로 신속히 수평이동 하는 대피수단을 제공하며;
대피자들이 탑승하여 하강 시에 승강로를 타고 상승하는 고열의 연기 및 화염으로부터 대피자를 보호하면서 유독연기 흡입을 방지하는 대피자 안전수단 제공과;
상승 시 구조인원 탑승, 하강 시에 가족단위 탑승 능력 및 승강구동부의 기능상실에 따른 추락방지 기능을 구비; 하면서,
대피자의 호출 또는 구조인원(방화복착용 중앙방제실 인원 및 소방관)의 제어반 조작으로 구조대상 대피공간 위치에 정확히 정지, 대기한 후, 대피공간에서 대기한 대피자들이 안전하게 탑승한 후, 신속하게 하강하여 지면으로 피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각층 대피공간에 인접하고 외기에 노출된 내화구조 벽면으로 이루어진 승강로(1)와;
리니어인코더와 로터리인코더의 데이터를 수신 처리하여 승강기를 수직승강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반(46)과;
체결볼트에 의해 승강로의 일 외벽 면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는 부라켓(26)에 결합되고, 리니어인코더(25)를 구비하고 한 개 이상의 빗변가이드 레일랙(30,300)과 수직가이드레일랙(20)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가이드레일부(2)와;
가이드레일부에 결합되며, 랙과 치합된 피니언(51)과, 두 개의 웜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어(571,581,591)를 포함한 이중 웜기어열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면서 가이드롤러불럭과 일체화된 승강구동부(5)와;
화염과 고열 연기로부터 탑승 대피자를 보호하는 발판(45) 및 대피자 보호 난간대(43)와, 골격에 결합되는 가이드롤러불럭과, 손잡이(44), 유독연기 차단과 탑승 대피자에게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 분사장치(42)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며 승강구동부(5)에 결합되는 승강체(4);
승강체 하부에 설치되며, 승강구동부의 기능 상실로 일정속도 이상으로 하강 시 제어반의 신호에 의해 스테핑 모터(66)의 작동 정지와 라쳇불럭 기능을 활성화시켜서 추락하는 승강체를 정지시키고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추락방지장치(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 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법령에서 제시한 경량칸막이 및 하향식피난기구의 취약성을 극복하고, 노약자를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으며, 소방사다리로 구조가 어려운 고층에 위치한 대피자의 구조가 용이하고, 하강 시 각층 대피공간에서 구조를 기다리는 가족단위 대피자(4-5인)들을 동시에 탑승시켜서 신속히 하강하여 지면으로 대피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의 일부분을 절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의 가이드레일부가 2개의 빗변가이드레일랙의 조합으로 승강체와 승강구동부 및 추락방지장치와 결합됨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의 가이드레일부가 고층아파트 승강로의 일 외 벽면에 설치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의 승강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1은 도3에서 도시된 승강구동부의 가이드롤러불럭 일 부분을 절개하여 표시한 부분 단면도.
도 3-2는 도3에서 도시된 승강구동부의 요부인 기어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의 추락방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1은 도4에서 도시된 추락방지장치의 구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가 화재발생 시 고층아파트의 임의의 층에 정지하여 임의의 층 세대의 대피공간에서 인접세대의 대피공간으로 대피하는 통로를 형성함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강로 11,111 : 대피공간
12 : 방화문
2 : 가이드레일부 20 : 수직 가이드레일랙
21,31,211 : V형상 가이드홈
22 : 쐐기형상 홈 24 : 기어 치형
25 : 리니어 인코더 26 : 부라켓
27 : 쐐기형 체결홈 28 : 쐐기형 조임판
3 : 연결봉 30,300 : 빗변가이드레일랙
31,32 : 돌기 핀 310 : 체결용 암나사
4 : 승강체
42 : 공기분사장치 43 : 대피자 보호 난간대
431 : 차단막 44 : 손잡이
45: 발판 451 : 틈새 메움 부재
46 : 제어반
5 : 승강구동부 50 : 케이스
501 : 가이드롤러 불럭 502 :가이드롤러
51 : 피니언 511 : 피니언 축
52 : 로터리인코더 53 : 감속기어
54 : 감속기어 축 55 : 웜휠
56 : 베어링 57,58 : 웜
571, 581,591 : 평기어 59 : 모터
592 : 수동조작 축
6 : 추락방지장치
60 : 케이스 600 : 위치센서
61 : 스크루 바 611 : 기어
612 : 나사부 62 : 암나사슬라이더불럭
621 : 가이드롤러불럭 63 : 압축스프링
64 : 암나사 슬라이더 65 : 간격
66 : 스테핑 모터 67 : 암나사 슬라이더 홈
68 : 라쳇불럭 슬라이더 681 : 걸쇠
682 : 라쳇불럭 슬라이더 홈 69 : 피니언기어
691 : 베벨기어 692 : 카프링
7 : 수평거리 71 : 수선
72 : 기울기각도 73 : 수직거리 변위량
74 : 수평거리 변위량 8 : 전원 및 공기공급관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의 일부분을 절개한 사시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의 가이드레일부가 두개의 빗변가이드레일랙의 조합으로 승강체와 승강구동부 및 추락방지장치와 결합됨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의 가이드레일부가 고층아파트 승강로의 일 외 벽면에 설치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의 승강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1은 도3에서 도시된 승강구동부의 가이드롤러불럭 일 부분을 절개하여 표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3-2는 도3에서 도시된 승강구동부의 요부인 기어열 구성도 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의 추락방지장치의 구성을 도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1은 도4에서 도시된 추락방지장치의 구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가 화재발생 시 고층아파트의 임의의 층에 정지하여 임의의 층 세대의 대피공간에서 인접세대의 대피공간으로 대피하는 통로를 형성함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가 설치되는 승강로(1)는,
외기노출과 옥외탈출이 가능한 공간으로서 고층건축물의 각층의 대피공간에 인접한 내화구조의 외 벽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고층아파트의 경우,
도2와 도5에서 되된바와 같이, 각층 대피공간(11)과 인접세대 대피공간(111) 사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각층의 대피공간(11,111)은, 방화문(12)으로 거실과 구획되고 외기에 접하는 구조로서 대피자의 구조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은 범위에서 실외기 설치 공간이기도하며, 대피공간과 승강로의 경계를 이루는 내화구조의 벽면의 유무와 관계없이, 대피자가 대피공간에서 안전하게 구조를 기다리다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가 도착 정지하면 탑승이 가능하도록 개폐가 가능한 난간대 또는 방화문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는,
도 1과 도1-1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승강로(1)의 일 외 벽면에 체결볼트로 결합 설치되는 부라켓(26)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부(2)와;
가이드레일부에 결합되어 승강체를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구동부(5)와;
가이드레일부 및 승강구동부에 결합되는 승강체(4); 승강체 하부에 설치되고 빗변가이드레일랙(30,300)에 결합되어 승강구동부의 피니언 회전속도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추락방지장치(6); 승강구동부와 추락방지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반(4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부(2)는
건축물의 외 벽체에서, 피니언과 랙이 결합하여 치합 상태를 유지한 체로 승강체의 수직승강주행을 보장하는 것으로서, 체결볼트로 승강로의 일 외벽면에 결합 설치된 부라켓(26)에 결합되며, 리니어인코더(25)와, 수직가이드레일랙(20)과 1개 이상의 빗변가이드레일랙(30,300)의 조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라켓(26)은, 도3-1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결합볼트가 헐거워지더라도 수직가이드레일랙이 부라켓에서 분리 이탈됨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제고시키는 쐐기형 체결홈(27)과 쐐기형 조임판(28)을 구비하며,
불규칙한 콘크리트 표면을 가상의 정확한 수직평면으로 전환함과, 정확한 가이드레일의 결합위치를 형성함에 그 목적을 두고, 내화구조의 외벽에 매립된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라켓은 리니어인코더와 전원 및 공기 공급관이 결합되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빗변 또는 수직가이드레일랙(20)은, 도1,도1-1,도3-1,도3-2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승강체를 수직으로 상승 하강시키는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수직으로 부라켓에 결합 설치되며,
양 측면에 가이드롤러(502)가 삽입되어 홈을 따라서 주행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V형상 가이드 홈(21,211)과, 부라켓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쐐기형상의 홈(22)이 형성되고, 밑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용 암나사가, 상면에는 기어치형(24)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V형상 가이드 홈(21,211)은 홈에 삽입된 가이드롤러(502)의 회전이동을 안내하고, 가이드레일랙과 피니언의 치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체가 랙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기능을 구현한다.
상기 리니어인코더(25)는 부라켓에 설치되며, 승강구동부의 케이스의 일면에 결합된 포터인터럽터와 더불어 승강체의 상승 및 하강방향과, 정확한 층수 인식, 정지위치를 포함한 승강체의 기동위치를 인식하기 위해서 총 256가지의 경우의 수를 표시할 수 있는 8 비트신호 생성용 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빗면가이드레일랙(30,300)은, 도 1과 도1-1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수직가이드레일랙과 함께 승강체의 안정적인 주행안내와, 브레이크 기능 구현을 위해서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직가이드레일랙과 동일하게 양 측면에 쐐기형상 홈과, V 형상 가이드 홈(31)이 형성되고, 수평거리(7)를 발생시키기 위해 일정한 기울기각도(72)로 기울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빗변가이드레일랙은 설치현장의 필요에 따라 상면에 기어치형(24)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직가이드레일랙의 경우, 주행 시 수직거리 변위량은 존재하나 수평거리 변위량이 발생할 수 없는 상태인 반면, 빗면가이드레일랙은, 도4-1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빗변가이드레일랙에서 주행은 수평거리 변위량(74)과 수직거리 변위량(73)이 동시에 생성된다는 점이, 브레이크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이점이 본 발명에 따른 추략방지장치의 작동 원리가 된다. 즉 수평거리 변위량을 조절하면 수직으로 움직이는 승강체의 정지 및 정지 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가이드레일부를 구성하는 수직가이드레일랙과 빗변가이드레일랙의 조합은, 건축물의 층수와 승강로의 폭, 탑승자 수(탑승가능무게)에 따라, 빗변가이드레일랙과 수직가이드레일랙의 결합; 등변사다리꼴을 이루는 2개의 빗변가이드레일랙과 중심부에 한 개의 수직가이드레일랙을 추가한 결합; 등변사다리꼴을 이루는 2개의 빗변가이드레일랙의 결합;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조합 중 두 개의 빗변가이드레일랙 사용한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의 경우 중량물을 옮기는 건설용 리프트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체(4)는, 도 1과 도1-1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하부에 가이드롤러불럭을 구비하고, 승강구동부의 돌기 핀(31)과 체결용 암나사(310)에 결합되거나, 돌기핀(31,32)을 연결하는 연결봉(3)으로 승강구동부에 결합되는 골격과;
골격상단부에 결합되고 상부로 올려 개방이 가능하며, 탑승자를 보호하는 수평이동 통로 역할을 하면서, 하강 시 탑승공간을 형성하면서 화염과 고온의 연기로부터 탑승한 대피자를 보호하기 위한 차단막(431)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 대피자 보호 난간대(43)와;
대피자가 손으로 잡거나 대피자 추락방지를 위해서 착용한 안전벨트의 후크를 걸 수 있도록 골격에 형성된 손잡이(44); 골격 상부에 설치되는 공기분사장치(42)와; 골격하부에 설치되는 발판(4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45)은 상승하는 화염과 고온의 연기로부터 탑승한 대피자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대피자의 안전한 탑승을 위해 발판테두리에 부착된 발광 LED와; 발판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발판모서리부위와 외벽면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로 고열연기 및 화염이 침투함을 방지하기 위한 틈새 메움 부재(451)를 구비한다.
상기 틈새 메움 부재는 방화 코팅된 실리카 천을 이용한다.
상기 승강체의 공기분사장치(42)는 대피자 들의 피난이 완료될 때까지의 장시간 동안, 승강체가 수직승강기동 중에도 고압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승강기가 구비한 비상용 공기통 이외에, 중앙공기탱크에 연결되며 가이드레일부의 1/2에 해당되는 길이까지는 강관으로, 나머지 1/2 길이는 강관과 승강체를 연결하는 고무호스로 형성된 공기공급관(8)과;
골격의 상단에 설치되며, 탑승자 얼굴주변에 신선한 공기로 유독연기 차단막을 형성하여 대피자의 호흡기를 보호하는 것으로, 화재 발생 시에만 작동되는 제어밸브와 분사량조절기와 분사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구동부(5)는, 도 3, 도3-1, 도3-2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케이스(50)와 결합되어 일체화된 가이드롤러불럭(501)과; 케이스에 결합되어 제어반의 신호를 받아 구동되는 모터(59)와; 랙에 치합되는 피니언(51)과; 일부가 케이스에 수납된 피니언 축(511)에 결합 및 치합된 감속기어(53)들; 감속피니언기어 축(54)에 결합되는 이중 웜휠(55)들과, 평기어(571,581)를 구비하고 웜휠에 각각 치합되는 웜(57,58)으로 구성된 이중 웜기어 열;
모터의 회전력을 웜에 전달하면서 동시에 동일회전 방향을 갖도록 평기어(571,581)에 치합되는 평기어(59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모터(59)는 승강체에 별도로 설치된 배터리의 비상전원과, 전원공급선(8)을 이용하여 무정전 전원장치의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반을 통해서 작동된다.
상기 이중의 웜기어 열은, 모터의 회전력이 발생된 경우에만 승강기동력을 발생시키고, 브레이크 기능도 동시에 구현하며,
승강체가 기동 중 정지 시 웜휠의 이빨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분산시켜 기어이빨의 파손과 브레이크 기능 상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모터 축에 결합되는 평기어(591)의 축이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수동조작 축(592)을 구비하여 정전 등 모터가 기능을 상실할 경우 탑승자가 수동으로 회전 시켜서 하강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추락방지장치(6)의 작동원리와 구성은, 도 4와, 도 4-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추락방지장치의 작동원리는, 수직상태의 가이드레일랙은 수평거리의 변위량 자체가 없는 반면, 일정한 기울기각도(72)를 가진 빗변가이드레일랙(30,300)은 일정한 수평거리(7)를 가진다. 또한 빗변가이드레일랙을 주행 중, 임의의 위치는 수평거리 변위량 (74)값에 대응하는 수직거리 변위량(73)을 갖는다.
따라서 빗면가이드레일랙에서, 수평거리 변위량 발생을 차단하면 수직거리 변위량의 발생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정지 상태 유지가 가능하여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톱니가 형성된 라쳇블럭슬라이더(68)에 의한 스크루바의 자유로운 좌우수평이동은, 빗변가이드레일랙과 케이스(60)슬라이더홈에 결합된 암나사슬라이더불럭의 움직임을 원활히 할 수 있는바, 이는 빗변가이드레일랙에서 부드러운 가이드 주행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승강기가 수직상승 시에는 라쳇불럭이 락이 안 된 상태에서 스크루바에 일체화된 기어(611)가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위치인식센서(600)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크루바의 회전을 제어하면서 상승하면 부드러운 상승주행이 가능하고,
승강기가 하강 시에는 라쳇불럭슬라이더가 자동으로 락 상태로 전환되어 스크루바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피니언의 회전속도에 비례한 스크루바의 회전 변위량을 제어하면 승강기의 원활한 하강주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스크루바의 회전을 정지시키면 간격(65)의 기능 구현에 의해 승강기가 일정거리를 하강한 후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의 원리를 이용한 스크루바의 회전제어, 라쳇불럭 및 간격(65) 기능들을 이용하는 추락방지장치의 구성은, 제어반의 신호를 받아 구동되는 스테핑모터(66)와; 슬라이더 홈과 라쳇불럭슬라이더 홈(682)을 구비하고 승강체 하부에 설치되는 케이스(60)와; 기어(611)와 우 또는 좌나사부(612)가 형성되는 스크루 바(61);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스크루바의 일 측에 결합되고, 걸쇠(681)를 구비하며 라쳇불럭슬라이더홈(682)에 결합되는 라쳇불럭슬라이더(68);
빗변가이드레일랙과 케이스의 슬라이드 홈에 각각 결합되어 승강체가 수직으로 승강 기동 시, 동시에 빗변가이드레일랙에서 주행과 케이스 슬라이더홈에서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롤러불럭(621)과 압축 스프링(63)을 구비하고, 중심부에 암나사슬라이더홈(67)이 형성된 암나사슬라이더불럭(62)과;
암나사슬라이이더 홈에 삽입되어 양측 압축스프링의 지지를 받으며 스크루바의 나사부(612)와 결합되어 스크루바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수평이동이 가능하며, 간격(65)을 구비한 암나사슬라이더(64)와;
모터의 회전력을 스크루바에 전달하는 기어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나사슬라이더불럭(62)은 빗변가이드레일랙과 동일한 기울기각도를 가지는 가이드롤러불럭(621)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추락방지장치의 주요기능을 구현하는 간격(65)은, 암나사슬라이더 홈(67)의 폭 길이와 양쪽에서 스프링지지를 받는 암나사슬라이더(64)의 두께의 길이 차이로 생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간격(65)은 제어반의 제어신호로 스테핑 모터와 연동된 스크루바가 회전정지 시에 바로 암나사슬라이더가 정지 상태로 전환되고,
암나사슬라이더불럭은 스프링의 압력을 받으면서 간격의 길이만큼 수평이동을 함과 동시에 간격에 대응되는 완충수직거리 만큼 하강을 한 후에 정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피니언의 회전속도와 스크루바의 회전속도의 비례관계가 일시적으로 불일치하여 발생되는 충격도 흡수하여 원활한 주행을 보장한다.
상기 스크루바에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열은,
도 1-1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두 개의 추락방지장치가 결합되어 하나의 장치처럼 구동 시, 좌 또는 우나사가 형성된 두 개의 스크루바에 동일한 회전방향과 동일한 회전속도를 전달해주기 위해서 장폭의 피니언 기어(69)와 카프링(692)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장폭의 피니언기어(69)는 스크루바의 기어가 좌우 수평이동 중에도 회전력을 전달받기위해서 치폭의 길이가 큰 특징을 갖는다.
상기 제어반(46)은, 승강체에 설치되며,
피니언 축에 결합된 로터리인코더(52)의 데이터와, 리니어인코더의 데이터, 스크루바에 형성된 기어(611)의 위치센서(600)의 데이터 들을 처리하여 승강기의 하강속도(피니언의 회전속도)의 이상 유무, 정확한 주행위치 확인은 물론, 스크루 바의 회전변위량 값을 계산하여 승강구동부의 모터와 추락방지장치의 스테핑 모터, 그리고 걸쇠(681)의 작동 등을 제어한다.
그리고 각층 각 세대의 대피공간에 설치되는 승강기 호출 인터폰과 중앙방제실과 승강기를 연동시키는 기능을 구현함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3)

  1. 승강로(1)와; 승강체를 수직승강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반(46)과;
    승강로의 일 외벽 면에 고정 설치되는 부라켓(26)에 결합되고, 한 개 이상의 빗변가이드레일랙(30,300)과 수직가이드레일랙(20)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가이드레일부(2)와;
    가이드레일부에 결합되고, 랙과 치합된 피니언(51)과 두 개의 웜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평기어(571,581,591)를 포함한 이중 웜기어열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고, 가이드롤러불럭과 일체화된 승강구동부(5)와;
    화염과 고열 연기로부터 탑승 대피자를 보호하는 발판(45) 및 대피자 보호 난간대(43)와, 골격에 결합되는 가이드롤러불럭과, 손잡이(44), 공기 분사장치(42)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며 승강구동부(5)에 결합되는 승강체(4);
    승강체 하부에 설치되며, 승강구동부의 기능 상실로 하강하는 승강기를 정지시키고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추락방지장치(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장치(6)는 승강체의 골격하부 설치되는 케이스(60)와;
    제어반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스테핑모터(66)와; 기어(611)와,
    우 또는 좌나사부(612)와 위치센서(600)를 구비한 스크루 바(61);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스크루바의 일 끝단에 결합되고 라쳇불럭슬라이더홈에 삽입되며 걸쇠(681)를 구비하며 톱니가 형성된 라쳇불럭슬라이더(68);
    중심부에 암나사슬라이더 홈(67)이 형성되고, 빗변가이드레일랙과 케이스 슬라이더 홈에 각각 결합되어 승강체가 수직으로 승강 기동 시, 동시에 빗변주행과 좌우로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롤러불럭(621)과 압축스프링(63)을 구비한 암나사슬라이더불럭(62)과;
    암나사슬라이이더 홈에 삽입되고, 스크루바의 나사부(612)와 결합되는 암나사슬라이더(64)와; 기어(611)와 모터를 연결하여 동일한 회전방향과 동일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열;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부(2)는 승강로의 일 외벽면에 설치되는 부라켓(26)에 결합되며, 리니어인코더(25)를 구비하고;
    양 측면에 V형상의 가이드홈(21,211)과 쐐기형상 홈(22)이 형성되고, 상면은 기어치형(24)이 형성된 수직가이드레일랙(20)과; 한개 이상의 빗변가이드레일랙(30,300);의 조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
KR1020220041564A 2022-04-04 2022-04-04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 KR202301429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564A KR20230142922A (ko) 2022-04-04 2022-04-04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564A KR20230142922A (ko) 2022-04-04 2022-04-04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922A true KR20230142922A (ko) 2023-10-11

Family

ID=88295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564A KR20230142922A (ko) 2022-04-04 2022-04-04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29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44639A1 (en) Building escape railing system
US7191873B2 (e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CN101249300A (zh) 用于高层建筑的升降机逃生救生系统
KR100701790B1 (ko) 고층건물의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장치
CN210103213U (zh) 一种电梯逃生结构
KR200450338Y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JP2008510564A (ja) 救命装備
KR101934979B1 (ko) 소방용 무인 인명구조장치
US6318503B1 (en) Exterior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on a multi-storied building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101119886B1 (ko)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1771711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KR20070024457A (ko) 고층 소방, 구조 및 건설 장비
KR101049008B1 (ko)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
WO2021101414A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й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здания
KR20230142922A (ko) 다수인 피난용 승강기
KR101771712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RU273794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енной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RU2651656C1 (ru) Устройство экстренной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WO1991018820A1 (en) Lifting system installed in building which makes emergency stair unnecessary
RU88274U1 (ru) Пожарно-спас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KR102512299B1 (ko) 고층 건축물의 대피 장치
KR20070087319A (ko) 비상 승강장치
JP2011144039A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KR101771709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