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2214A -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 - Google Patents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42214A KR20230142214A KR1020220041178A KR20220041178A KR20230142214A KR 20230142214 A KR20230142214 A KR 20230142214A KR 1020220041178 A KR1020220041178 A KR 1020220041178A KR 20220041178 A KR20220041178 A KR 20220041178A KR 20230142214 A KR20230142214 A KR 202301422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ise
- user
- module
- noise canceling
- leve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7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5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3
- 210000004761 scalp Anatomy 0.000 description 2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01000004384 Alopec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3676 hair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08000024963 hair lo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08000022249 Sleep-Wake Transit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1061 fore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06010022437 insom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08000013738 Sleep Initiation and Maintenanc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06010041235 Snor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6010006514 brux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19116 sleep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2925 sleep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YJPIGAIKUZMOQA-UHFFFAOYSA-N Melatonin Natural products COC1=CC=C2N(C(C)=O)C=C(CCN)C2=C1 YJPIGAIKUZMOQ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60003987 melatonin Drugs 0.000 description 3
- DRLFMBDRBRZALE-UHFFFAOYSA-N melatonin Chemical compound COC1=CC=C2NC=C(CCNC(C)=O)C2=C1 DRLFMBDRBRZAL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374 sebum Anatomy 0.000 description 3
- 102000018997 Growth Hormon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51696 Growth Hormo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UCTWMZQNUQWSLP-UHFFFAOYSA-N adrenaline Chemical compound CNCC(O)C1=CC=C(O)C(O)=C1 UCTWMZQNUQWSL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2 growth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58 preventing hair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60 skin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2874 Acne Vulgar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904 Skin odour abnormal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3 Steam injection (oil indus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0496 acn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7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60 com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916 die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28 die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70 groo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8 hair col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27 ski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59 skin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22 sleep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38 stress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 G10K11/17813—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the acoustic paths, e.g. estimating, calibrating or testing of transfer functions or cross-term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5—Methods, e.g. algorithms; Devices
- G10K11/17857—Geometric disposition, e.g. placement of microphone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7—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 G10K11/17885—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additionally using a desired external signal, e.g. pass-through audio such as music or speech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Rooms, e.g. ANC inside a room, office, concert hall or automobile cabin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26—Feedback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27—Feedforward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31—Hardware, e.g. architecture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1—Headrests, seats or the like, for personal ANC system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50—Miscellaneous
- G10K2210/503—Diagnostics; Stability; Alarms; Failsaf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침대 프레임; 및 상기 침대 프레임이나 매트리스에 거치되는 복수의 부착물에 내장되는 노이즈 캔슬링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노이즈 발생 위치에 대응하여 수행하는 노이즈 캔슬링 동작과 지정된 위치로의 강제 노이즈 발생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누웠을 때 빠르게 수면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사용자가 수면 상태에 있을 때 지정된 수면 자세로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에 거치된 장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나 노이즈 캔슬링에 의해 지정된 수면 자세를 유도하며, 옆 사람이나 주변의 다방향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한 수면 방해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20대와 30대 직장인 중 약 90%가 외모가 경쟁력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대인관계, 자신감 및 자기만족을 위해 외모를 관리하는 남성들이 늘면서 그루밍(grooming)족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이 외모가 자기표현의 중요한 수단이 되면서 헤어스타일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진 시대가 됨에 따라 남성들의 외모 걱정 1순위는 탈모로 조사되었으며, 또한 간헐적인 다이어트로 인한 불규칙한 생활습관과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해 여성에게도 탈모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탈모 예방은 여성에도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이러한 탈모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지만, 알려진 원인 중 하나로서 스트레스 호르몬인 아드레날린이 과다 분비되어 혈관 벽에 붙으면서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관이 수축되면서 모발에 영양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머리카락이 얇아지고 힘이 없어지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탈모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받지 않아야 되겠지만 이는 사실상 쉽지 않으므로 다른 탈모 예방 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탈모의 형태는 남성인지 여성인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M자형 탈모, O자형 탈모, U자형 탈모, 및 복합형 탈모 등이 있다.
따라서 가능한 한 이러한 탈모 형태를 고려하여 헤어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탈모를 예방하거나 지연시키는 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사람은 일생동안 평균적으로 약 26년에 달하는 시간을 자면서 보내게 되는데, 이 시간 동안 얼마나 양질의 수면을 취하는지가 피부 건강은 물론 삶의 질을 결정한다고 알려져 있다.
예컨대 수면 중 분비되는 멜라토닌 호르몬이 활성 산소를 제거함으로써 신체 회복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또한 멜라토닌은 신체 회복뿐 아니라 피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여 밤사이 피부가 맑고 투명해지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성장 호르몬은 성장기에는 신체의 발육을 담당하고, 성인 이후에는 지방 분해, 근골격 강화 등 여러 신체 회복 기능을 수행하며, 밤사이 분비된 성장호르몬은 낮 동안 손상된 피부 조직을 재생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오후 10시에서 새벽 3시 사이는 피부 재생의 황금 시간대라고 불리며, 각질 세포의 분열과 혈액순환이 활발하게 이뤄져 피부 재생에 효과적인 시간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숙면을 위해서는 규칙적인 수면 시간이 가장 중요하며, 이는 우리 몸에 생체 시계가 존재하여 신체 리듬에 맞춰 활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잠을 잘 때에는 되도록 빛을 차단하여 뇌가 수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가령 주위가 밝을 경우에 멜라토닌의 분비량이 감소하여 수면 유도 및 항산화 작용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아울러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예 : 외부 노이즈, 옆 사람이나 자신이 발생하는 노이즈(즉, 코고는 소리, 이가는 소리, 숨소리 등))에 의해서도 깊은 잠을 방해하여 수면의 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에 따라 자신이 편한 자세로만 수면을 취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편향적인 수면 자세는 신체에 불균형을 발생시킴으로써 수면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헤어와 피부는 외모 관리의 가장 중요한 대상이며, 수면은 상기 헤어와 피부 및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상기 헤어, 피부, 건강 및 수면과의 관계에 대해서 많이 알고 있으나, 이들을 모두 관리하기에는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많은 부담이 되기 때문에 사실상 시간과 경제적인 여유가 있는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우선순위에 따라 어느 한 가지 관리에 집중 투자하는 소극적인 관리만 수행하고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상기 헤어, 피부, 건강관리의 효과가 크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면 케어(예 : 주변 노이즈 제거, 수면 유도, 지정된 수면 자세 유도 등)를 수행하면서, 상호간에 연관 관계가 있는 헤어 관리(케어)와 피부 관리(케어)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외모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면서, 오히려 외모 관리 효과는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2177364호(2020.11.05 등록, 발명의 명칭: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의 헤어 관리 장치는 모자와 같이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헤어 관리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사용 시간에 비례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부담을 주고 누울 수 없기 때문에 자세에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헤어 관리 중 얼굴 피부 관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침대에 거치된 장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나 노이즈 캔슬링에 의해 지정된 수면 자세를 유도하며, 옆 사람이나 주변의 다방향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한 수면 방해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는, 침대 프레임; 및 상기 침대 프레임이나 매트리스에 거치되는 복수의 부착물에 내장되는 노이즈 캔슬링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노이즈 발생 위치에 대응하여 수행하는 노이즈 캔슬링 동작과 지정된 위치로의 강제 노이즈 발생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누웠을 때 빠르게 수면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사용자가 수면 상태에 있을 때 지정된 수면 자세로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은, 상기 매트리스 상이나 상기 매트리스 주변에 배치되어 연동되는 헤어 관리 장치, 및 다른 노이즈 캔슬링 모듈과 서로 연동하여 수면 관리에 필요한 지정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면 상태나 수면 자세 검출, 수면하는 인원수 검출, 노이즈 발생 위치와 방향 검출, 지정된 위치에 대한 노이즈 캔슬링, 및 지정된 위치에 대한 노이즈 강제 발생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은, 복수의 마이크 모듈; 복수의 스피커 모듈; 및 상기 마이크 모듈과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여, 노이즈가 발생된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노이즈를 캔슬링시키기 위한 노이즈 상쇄 신호를 생성하며, 수면 유도나 수면 자세의 변경을 유도하기 위한 노이즈를 강제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은, 사용자의 수면 상태로서, 수면 위치와 수면 자세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및 서로 연동하는 다른 노이즈 캔슬링 모듈과 통신하거나, 상기 헤어 관리 장치와 서로 연동하여 수면 관리에 필요한 지정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은, 노이즈 발생 위치의 검출, 지정된 위치에 대한 노이즈 캔슬링, 및 지정된 위치에 대한 노이즈 강제 발생 동작을 위하여, 교정기와 연동하여, 노이즈 감지 범위의 초기화 설정 및 노이즈 상쇄신호 레벨 설정을 위한 초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교정기는, 마이크 모듈, 컨트롤러, 스피커 모듈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의 컨트롤러의 원격 제어에 따라, 마이크 모듈과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여, 초기화에 필요한 노이즈를 강제 발생 시키거나 노이즈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노이즈 정보를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에 전달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은, 노이즈 발생 감지 범위의 설정 초기화를 위하여, 컨트롤러가 스피커 모듈을 통해 교정기의 위치 및 노이즈 레벨 지정을 안내하거나 원격 제어하며, 상기 안내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 놓여 있는 교정기에서 발생된 노이즈의 레벨을, 상기 컨트롤러가 사용자의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마이크 모듈을 통해서 각기 검출하며,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교정기가 놓인 위치별 및 출력 노이즈 레벨별, 및 각 마이크 모듈에서 검출된 노이즈 레벨의 상대적 차이 데이터를 산출하여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이즈 발생 감지 범위를 설정하는 초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은, 노이즈 캔슬링을 위한 노이즈 상쇄신호 레벨의 초기화를 위하여, 컨트롤러가 스피커 모듈을 통해 교정기의 위치 및 강제로 발생할 노이즈의 종류와 노이즈 레벨 지정을 안내하거나 원격 제어하며, 상기 컨트롤러가 각 스피커 모듈을 통해 각기 지정된 레벨의 노이즈 상쇄 신호를 발생하며, 이 때 교정기가 검출하는 노이즈 레벨을 전달받고,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교정기로부터 전달받은 노이즈 레벨이 최소가 되도록, 복수의 스피커 모듈에서 출력하는 노이즈 상쇄 신호의 레벨을 각기 조정하며, 상기 교정기의 위치별, 복수의 스피커 모듈에서 출력하는 노이즈 상쇄 신호의 레벨을 각기 조정하는 과정을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실행하여 상기 교정기에서 검출되는 노이즈 레벨이 최소가 되는 각 스피커 모듈의 레벨을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이즈 캔슬링을 위한 노이즈 상쇄신호 레벨의 초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은,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 위치 및 누운 자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누운 자세가 지정된 자세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스피커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향하여, 숙면을 유도하기 위하여 지정된 노이즈를 지정된 레벨로 출력하며, 상기 검출된 누운 자세가 지정된 자세가 아닌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스피커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향하여, 자세 변경을 위해 지정된 노이즈를 지정된 레벨로 출력하되, 상기 자세 변경을 위해 지정된 노이즈의 레벨은 상기 숙면을 유도하기 위하여 지정된 노이즈의 레벨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은, 노이즈 감지 범위 내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노이즈가 발생될 경우, 컨트롤러를 통해 노이즈 발생 위치로부터 노이즈를 발생하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제1 협조 제어 동작으로서, 스피커 모듈을 통해 노이즈를 발생하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향하여, 자세 변경을 위해 지정된 노이즈를 강제 생성하여 지정된 레벨로 출력하며, 또한 제2 협조 제어 동작으로서, 스피커 모듈을 통해 노이즈를 발생하지 않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향하여 노이즈 캔슬링을 수행하되, 상기 협조 제어 동작은,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노이즈 캔슬링 장치를 통하여, 자세 변경을 위해 지정된 노이즈를 강제 생성하여 지정된 레벨로 출력하는 동작, 및 노이즈 캔슬링 동작을, 각기 다른 사용자를 향하여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협조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침대에 거치된 장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나 노이즈 캔슬링에 의해 지정된 수면 자세를 유도하며, 옆 사람이나 주변의 다방향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한 수면 방해를 방지하거나 감소시켜 수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모 관리에 소요되는 사용자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면서 오히려 외모 관리와 건강 관리 효과는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면 자세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와 스탠드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를 보인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노이즈 캔슬링 모듈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7과 도 8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노이즈 캔슬링 모듈의 초기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 내지 도 1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노이즈 캔슬링 모듈의 노이즈 캔슬링 동작 및 노이즈 강제 발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와 스탠드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를 보인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노이즈 캔슬링 모듈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7과 도 8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노이즈 캔슬링 모듈의 초기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 내지 도 1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노이즈 캔슬링 모듈의 노이즈 캔슬링 동작 및 노이즈 강제 발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는, 사용자가 누워 있을 때 머리와 얼굴의 윗부분에서 빛이 조사(출력)되게 하여, 이 때 조사(출력)되는 빛에 의해 사용자의 수면 케어(수면 관리), 헤어 케어(헤어 관리), 및 이마를 포함한 얼굴의 피부 케어(피부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는 수면 케어 모드, 헤어 케어 모드, 및 피부 케어 모드를 동시에 수행하거나, 또는 어느 한 가지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 케어 모드는 사용자가 수면 중 상태에 있을 때에도 수행할 수 있으며, 반드시 수면 중 상태에 있을 때 수행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한다.
상기 수면 케어 모드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전면을 향하여 사용자가 누웠을 때 수면을 유도하여 깊은 잠에 빠질 수 있도록 하는 모드이다.
또한 상기 수면 케어 모드에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빠르게 수면하도록 유도하는 수면 유도 모드, 및 사용자가 수면 상태에 있을 때 지정된 자세로 전환하도록 유도하는 수면 자세 유도 모드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수면 유도 모드 및 상기 수면 자세 유도 모드는, 사용자의 수면 상태에 대응하여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기능과 강제 노이즈 발생 기능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수행된다.
본 실시 예는 상기 수면 유도 모드 및 상기 수면 자세 유도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매트리스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와 스탠드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도 2 참조).
여기서 상기 매트리스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와 스탠드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는, 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을 포함(즉, 내장 또는 외장)하고, 상기 헤어 관리 장치와 서로 연동하여 수면 관리에 필요한 지정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면 상태(또는 수면 자세) 검출, 노이즈 발생 위치(좌표, 방향) 검출, 노이즈 캔슬링, 및 노이즈 강제 발생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헤어 케어 모드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전면을 향하여 사용자가 누웠을 때 윗머리 부분과 뒷머리 부분에 빛을 조사(출력)하여 탈모 케어, 진정 케드, 및 두피 케어 등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또한 상기 피부 케어 모드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전면을 향하여 사용자가 누웠을 때 얼굴(예 : 왼쪽 볼, 오른쪽 볼, 이마, 코, 입 주변 등)의 피지 개선 케어, 진정 케어, 및 여드름 케어 등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광원은 파장이 다른 복수의 색상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LED), 근적외선다이오드(NIR), 및 레이저다이오드(LD) 등을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 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구성과 동작, 매트리스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와 스탠드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와 스탠드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리스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와 상기 스탠드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는, 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을 포함함으로써, 옆 사람이나 주변 등 다방향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다방향에서 노이즈(예 : 수면 유도에 필요한 화이트 노이즈, 음악, 명상 강의 등)를 강제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은 매트리스에 내장되거나, 침대 프레임에 내장(또는 외장)될 수도 있다.
아울러 만약 상기 침대 프레임의 형태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헤드를 포함하거나 추가 기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침대헤드 및 추가 기둥에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은 침대 프레임이나 매트리스 상에 거치(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은 침대 프레임의 헤드 부분 또는 다리 부분에 내장되거나 거치(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의 거치에 용이한 형태(또는 타입)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가령 상술한 헤어 관리 장치 형태, 스탠드 타입, 및 매트리스 타입 이외에도 침대 장식물(즉, 기둥과 같은 침대 부착물) 형태나 베개 형태 등,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은, 복수의 마이크 모듈(410) 및 복수의 스피커 모듈(430)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 모듈(410)과 상기 스피커 모듈(430)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420)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 모듈(410)과 상기 스피커 모듈(430)은, 각기 하나씩의 마이크 모듈과 스피커 모듈이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정된 위치(예 : 침대나 매트리스의 4방향 모서리 부분, 침대헤드 부분, 기둥 부분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420)는 상기 마이크 모듈(410)과 상기 스피커 모듈(430)을 통해 노이즈가 발생된 지점(위치)의 좌표(예 : 침대 또는 매트리스 상의 좌표)를 검출하고, 노이즈 상쇄 신호를 생성하며, 노이즈(예 : 수면 유도에 필요한 화이트 노이즈, 음악, 명상 강의 등)를 강제 생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은, 센서 모듈(440)과 통신 모듈(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440)은 카메라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및 압력(무게)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수면 상태(예 : 수면 위치, 수면 자세 등)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450)은 다른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과 통신하거나, 상기 헤어 관리 장치와 서로 연동하여 수면 관리에 필요한 지정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면 상태(또는 수면 자세) 검출, 노이즈 발생 위치(좌표, 방향) 검출, 노이즈 캔슬링, 및 노이즈 강제 발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지원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420)는 침대(또는 매트리스)에서 자고 있는 수면 인원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수면 자세를 검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헤어 관리 장치와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의 센서 모듈(440)에는 일부 중복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는 상기 헤어 관리 장치와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사용자의 수면 상태(또는 수면 자세) 검출, 노이즈 발생 위치(좌표, 방향) 검출, 노이즈 캔슬링, 및 노이즈 강제 발생 기능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420)가 노이즈가 발생된 지점(위치)의 좌표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노이즈 감지 범위(예 : 침대 또는 매트리스 상의 범위)의 초기화 설정이 필요하며(도 9 및 도 10 참조), 이를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정기는,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마이크 모듈(410), 컨트롤러(420), 스피커 모듈(430) 및 통신 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의 컨트롤러(420)의 원격 제어에 따라, 마이크 모듈과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여, 노이즈를 강제 발생 시키거나 주변 노이즈를 감지(검출)하고, 상기 감지된 주변 노이즈 정보를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의 컨트롤러(420)에 전달하여 초기화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이즈 캔슬링, 및 노이즈 강제 발생 기능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의 초기화 동작, 노이즈 캔슬링 동작, 및 노이즈 강제 발생 동작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술한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을 포함함으로써, 헤어 관리 장치가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수행하게 지원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는, 카메라부(110), 명령 입력부(120), 저장부(130), 센서부(140), 제어부(150), 통신부(160), 분사부(170), 온도 조절부(180), 음향 출력부(190), 광출력부 수용부(200), 및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을 포함한다.
상기 광출력부 수용부(200)는, 제1 광출력부(210), 제2 광출력부(220), 제3 광출력부(230), 제1 기구부(240), 및 제2 기구부(250)를 포함한다(도 6 내지 도 8 참조).
상기 카메라부(110)는 장치의 앞에 누워있는 사용자의 헤어(또는 두피) 및 얼굴 피부를 촬영하여 상기 제어부(15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어부(150)가 사용자별 헤어(또는 두피) 및 얼굴 피부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이미지 센서로서 상기 센서부(140)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된 정보를 상기 통신부(160)를 통해 지정된 서버(예 : 케어 분석 서버)(미도시)에 전달하여 사용자별 헤어(또는 두피) 및 얼굴 피부의 상태를 분석하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50) 또는 서버(예 : 케어 분석 서버)(미도시)는 상기 카메라부(110) 및 상기 센서부(140)를 통해 검출된 정보들을 조합하여, 헤어(또는 두피)의 젖은 상태, 마른 상태, 헤어 굵기, 헤어 갯수, 지성 or 건성 상태, 헤어 색상, 머리 온도, 피지 정도, 및 탈모 형태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또는 이미지 센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광출력부(210 ~ 230)의 복수의 광원들 사이의 미리 지정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헤어 관리를 시작하기 전과 헤어 관리를 종료한 후에 촬영된 헤어(또는 두피) 및 얼굴의 피부 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효과를 산출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제어부(150)는 헤어 굵기, 헤어 갯수, 지성 or 건성 상태, 피지 정도, 및 탈모 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헤어 관리 효과 또는 얼굴의 피부 상태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명령 입력부(120)는 사용자 인식이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나 명령(예 : 터치 명령, 음성 명령, 리모콘 명령)을 입력받는다.
예컨대 상기 명령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터치, 음성, 지문, 및 리모콘(예 : 전용 리모콘, 스마트폰에 설치된 리모콘 앱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리모콘 등) 등을 통해 전원 온/오프, 동작 모드, 및 상태 안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0)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및 사용자별 사용기록 및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센서부(140)는 온도(예 : 머리와 얼굴의 온도 검출), 습도(예 : 헤어의 물기 검출), 조도(예 : 장치 주변의 밝기 검출), 및 가스(헤어 냄새 검출)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140)는 사용자의 터치, 사용자의 음성, 및 사용자의 지문 등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예시한 정보들(예 : 온도, 습도, 조도, 가스, 터치, 음성, 지문 등)을 검출하는 센서들은 단지 하나의 예시를 위한 것이며, 이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140)의 센서들은 상기 제1 내지 제3 광출력부(210 ~ 230)에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거나, 베개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베개에 센서부(140)가 포함될 경우에는 상기 통신부(160)를 통해 센싱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10), 명령 입력부(120), 저장부(130), 센서부(140), 통신부(160), 분사부(170), 온도 조절부(180), 음향 출력부(190), 및 광출력부 수용부(20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명령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정보(예 : 터치, 음성, 리모콘 등)나 명령을 처리하여 사용자를 인식하거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별 장치 사용 시간 및 관리 부위(예 : 좌측 볼, 우측 볼, 이마, 윗머리, 뒷머리 등)별 관리 정보를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관리 부위별 관리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누워서 케어(관리)를 받던 사용자의 자세가 변화되더라도 관리 부위별 관리 시간을 일정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부(140)나 상기 카메라부(110)를 통해 검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헤어(또는 두피)와 얼굴 피부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부(140)나 상기 카메라부(110)를 통해 검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160)를 통해 지정된 서버(예 : 케어 분석 서버)와 통신하여 원격으로 사용자별 헤어(또는 두피)와 얼굴 피부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별 헤어(또는 두피, 얼굴)의 상태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내지 제3 광출력부(210 ~ 230)의 광원을 사용자별로 맞춤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 상기 제1 내지 제3 광출력부(210 ~ 230)를 제어하되, 사용자의 수면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부(110)와 상기 센서부(140)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눈에 안대를 착용하였는지 감지하고, 사용자의 눈에 안대를 착용하였을 때 얼굴에 빛을 조사(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강제 피부 케어 모드 진행 명령을 입력하였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눈에 안대를 착용하지 않았더라도 얼굴에 빛을 조사(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 상기 제1 내지 제3 광출력부(210 ~ 230)를 제어하되, 사용자의 수면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부(110)와 상기 센서부(140)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머리 위치와 머리 사이즈 및 얼굴이 향하는 방향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 및 머리 위치에 대응하는 광원을 통해서만 빛(조명)이 조사(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160)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를 휴대단말기(예 : 스마트폰), 인터넷공유기, 서버(예 : 케어 분석 서버), IoT(Internet of Things) 조명, IoT 가습기, IoT TV, 및 스마트워치 등과 통신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60)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예 : WiFi, 블루투스, NFC, 적외선(IR) 등) 및 원거리 무선통신방식(예 : GSM, LTE 등의 이동통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60)를 통해 상기 제어부(150)는 구동 프로그램(또는 구동 알고리즘)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또한 동작정보나 상태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 및 상기 서버에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IoT 조명, IoT 가습기, 및 IoT TV 등 IoT 기능이 있는 장치들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60)는 상기 유무선 방식으로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와 통신하여 수면 관리에 필요한 지정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면 상태(또는 수면 자세) 검출, 노이즈 발생 위치(좌표, 방향) 검출, 노이즈 캔슬링, 및 노이즈 강제 발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지원한다.
상기 분사부(170)는 수면 유도, 헤어 케어, 및 피부 케어에 도움을 주는 물질(예 : 향기, 탈취제, 영양제, 미스트, 산소(O2), 바람 등)을 분사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분사부(170)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수면 유도, 헤어 케어, 및 피부 케어에 도움을 주는 물질(예 : 향기, 탈취제, 영양제, 미스트, 바람 등)을 분사할 수 있는 분사 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별 헤어 상태나 피부 상태에 따라 분사 물질의 종류와 양을 별도로 설정하여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부(180)는 상기 분사부(170)를 통해 분사되는 미스트(mist)나 바람(에어)의 온도를 지정된 온도 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온도를 조절한다.
예컨대 상기 온도 조절부(180)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스팀 분사, 팬(FAN), 히터, 냉각 펌프(예 : 냉각수 순환), 및 열전소자 등을 적용하여 상기 분사부(170)를 통해 분사되는 미스트(mist)나 바람(에어)의 온도를 지정된 온도(예 : 주변 온도와 같은 온도, 주변보다 낮은 온도, 사용자의 체온과 같은 온도 등)로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온도 조절부(180)는 헤어 케어나 피부 케어 시 일정한 온도와 가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헤어 케어 효과와 피부 케어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수면 상태에 있는 사용자가 상기 분사되는 미스트(mist)나 바람(에어)에 의해 수면이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190)는 수면 유도에 도움을 주는 음악이나 화이트노이즈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별 수면 유도에 도움을 주는 음악이나 화이트노이즈를 별도로 설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광출력부 수용부(200)는 복수의 광출력부(예 : 제1 내지 제3 광출력부)(210 ~ 230)를 각기 수용하는 복수의 바디(body)(예 : 제1 내지 제3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광출력부(210)가 수용되는 제1 바디는 상기 제2 광출력부(210)가 수용되는 제2 바디의 일 측(예 : 하부)에 탈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광출력부(210)가 수용되는 제3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의 타 측(예 : 상부)에 탈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결합(탈부착)시키는 부재를 제1 기구부(240),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3 바디를 결합(탈부착)시키는 부재를 제2 기구부(250)라고 기재한다.
예컨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결합(탈부착)시키는 제1 기구부(240)는 나사 결합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3 바디를 결합(탈부착)시키는 제2 기구부(250)는 개폐 가능한 형태,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도 6 참조), 및 폴딩 가능한 형태(도 7, 도 8 참조)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폐 가능한 형태,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도 6 참조), 및 폴딩 가능한 형태(도 7, 도 8 참조)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는 상기 제2 기구부(250)는 상기 제어부(150)가 전동 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사용자가 매뉴얼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광출력부(210 ~ 230)는 각기 복수의 광원(예 : LED, LD, NIR 등)이 미리 지정된 간격으로 배열된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광원은 엘이디(LED) 타입의 광원을 포함하며, 각 광원에서 발생하는 광의 파장 영역은 다르게 형성되며, 또한 각 광원의 발광 색상도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광의 파장과 색상 등의 광 종류가 다른 복수의 광원이 미리 지정된 간격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광출력부(210 ~ 230)는 사용자별 헤어(또는 두피)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의 파장, 색상, 및 에너지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탈모 치료, 모발 성장, 및 혈액 순환 등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전체의 머리(또는 두피) 영역 중 선택적으로 지정된 위치에만 광을 조사하거나, 영역별로 조사되는 광의 에너지 크기를 다르게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광원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상기 제1 내지 제3 광출력부(210 ~ 230)는, 장치의 동작 모드나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전광판으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정보 출력 수단이나 상태 출력 수단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시간 정보, 동작모드 정보, 취침시간 정보, 헤어/피부상태 정보, 및 안내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광출력부(210 ~ 230)는 각기 영역을 설정하여 해당 영역별로 광원의 온오프와 광 출력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광출력부(210)의 바디가 상기 제2 광출력부(220)의 바디에 부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1 광출력부(210)를 해당 모드(예 : 헤어 케어 모드)에서 자동으로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3 광출력부(230)의 바디가 언폴딩되거나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3 광출력부(210)를 해당 모드(예 : 헤어 케어 모드)에서 자동으로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예 : 산소 공급 모듈, 수분 공급 모듈, 바람 공급 모듈, 향기 공급 모듈, 카메라 모듈 등)이 추가로 부착될 경우, 해당하는 기능 모듈의 부착을 감지하여 미리 지정된 모드에서 자동으로 제어한다.
이 때 상기 제1 광출력부(210)가 부착되거나, 상기 제3 광출력부(230)의 바디가 언폴딩되거나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광출력부(210)나 상기 제3 광출력부(23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활성화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좌우 방향으로는 베개의 길이에 대응하여 직사각형 형태이면서 상하 방향으로는 돔(dome) 형태로 형성되며, 누워있는 사용자의 머리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헤어(두피) 및 얼굴 피부에 광을 조사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제3 광출력부(23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제2 광출력부(220)가 수용된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이 때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베개가 덮고 있는 제1 광출력부(210)에 대응하는 위치(즉, 사용자의 뒷머리에 대응하는 위치)의 베개에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광출력부(210)에서 조사(출력)되는 빛이 사용자의 뒷머리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도 7 참조). 아울러 상기 제2 광출력부(220)의 바디의 하부가 넓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받침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 7은 상기 제3 광출력부(230)의 바디가 폴딩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8은 상기 제3 광출력부(230)의 바디가 언폴딩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광출력부(210)의 바디가 상기 제2 광출력부(220)의 바디의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3 광출력부(230)의 바디가 상기 제2 광출력부(220)의 바디의 상부에 폴딩(언폴딩) 가능한 형태로 부착된다. 아울러 상기 제2 광출력부(220)의 바디의 하부 양측 끝에는 받침대(260)가 부착된다.
이 때 베개(310)가 덮고 있는 제1 광출력부(210)에 대응하는 위치(즉, 사용자의 뒷머리에 대응하는 위치)의 베개에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광출력부(210)에서 조사(출력)되는 빛이 사용자의 뒷머리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광출력부(210 ~ 230)의 외측 전면(즉, 사용자의 헤어 및 얼굴 피부에 광이 조사되는 면)에는 투과형 패널(예 : 적외선이 투과되는 패널)이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투과형 패널은 케어(예 : 헤어 케어, 얼굴 피부 케어)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광원(예 : LED)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있다가, 케어(예 : 헤어 케어, 얼굴 필부 케어) 기능을 사용할 경우만 광원이 점등되어 패널(예 : 적외선이 투과되는 패널)을 통과하여 광(빛)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실시 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동작(또는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광출력부(예 : 제2 광출력부)의 광원을 제어하여 시계 정보를 표시한다.
이 때 표시되는 시계 정보의 형태나 색상은 디폴트로 지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시계 정보는 현재 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지만,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권장(또는 평균) 수면 시작 시간까지의 남은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목적이다. 예컨대 사용자의 권장(또는 평균) 수면 시작 시간이 오후 12시이고, 현재 시간이 오후 11시 30분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권장(또는 평균) 수면 시작 시간까지의 남은 시간이 30분 전이라는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수면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헤어 관리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 수가 1인 인지 체크하고, 만약 사용자 수가 1인인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의 권장(또는 평균) 수면 시작 시간까지의 남은 시간을 표시한다. 그러나 헤어 관리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 수가 2인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를 인식(예 : 현재 시간대에 주로 이용하는 사용자를 인식, 싸인 방식으로 사용자를 인식, 또는 기타 지정된 방식으로 사용자를 인식)한 후, 그 인식한 해당 사용자의 권장(또는 평균) 수면 시작 시간까지의 남은 시간을 표시한다.
참고로 상기 싸인 방식으로 사용자를 인식하는 방법은 상기 센서부(140)를 통해 사용자가 헤어 관리 장치의 지정된 위치(예 : 제2 광출력부의 전면)에 터치한 상태에서 입력되는 싸인을 감지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방법이다. 아울러 상기 기타 지정된 방식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거나,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거나,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방법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광출력부(220)를 통해 표시하는 시계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권장(또는 평균) 수면 시작 시간까지의 남은 시간 카운트 정지 명령이 입력되거나, 수면 유도 모드나 수면 중 케어 모드(즉, 사용자가 헤어 관리 장치의 전면 방향으로 누웠을 때 자동으로 개시되는 수면 유도 모드나 수면 중 케어 모드)가 개시되기 전까지 계속 출력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권장(또는 평균) 수면 시작 시간까지의 남은 시간 카운트 정지 명령이 입력되거나, 수면 유도 모드나 수면 중 케어 모드(즉, 사용자가 헤어 관리 장치의 전면 방향으로 누웠을 때 자동으로 개시되는 수면 유도 모드나 수면 중 케어 모드)가 개시될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별 지정된 수면 케어 동작, 헤어 케어 동작, 및 피부 케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수면 유도 모드나 수면 중 케어 모드(즉, 사용자가 헤어 관리 장치의 전면 방향으로 누웠을 때 자동으로 개시되는 수면 유도 모드나 수면 중 케어 모드)가 개시될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헤어 관리 장치의 전면 방향으로 누움에 따라 수면 유도 모드나 수면 중 헤어(두피) 케어 모드가 개시될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불면증 해소를 위한 수면(또는 깊은잠) 유도 동작을 개시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50)는 불면증 해소를 위한 수면(또는 깊은잠) 유도 동작으로서, IoT 조명(예 : 헤어 관리 장치가 있는 실내 IoT 조명)의 밝기 제어 신호(즉, 실내 IoT 조명의 밝기를 서서히 어둡게 하는 디밍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지정된 음악(또는 화이트노이즈 등의 음향)이나 향기 등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별 설정된 수면 중 헤어(두피) 케어 모드가 있는지 체크한다.
만약 사용자별 설정된 수면 중 헤어(두피) 케어 모드가 있을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설정된 헤어(두피) 케어 모드에 대응하는 조명 파장 및 조명 패턴(예 : 조명의 세기, 영역, 시간 등을 제어하는 패턴)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별 수면 중 헤어(두피) 케어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가령, 헤어 관리 장치를 구입하여 처음으로 사용하는 경우, 새로운 사용자가 추가로 헤어 관리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등), 사용자별 수면 중 헤어(두피) 케어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동작(즉, 헤어(두피)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에 기초하여 헤어(두피)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에 기초하여 헤어(두피) 케어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별 수면 중 헤어(두피) 케어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설정된 헤어(두피) 케어 모드에 대응하는 조명 파장 및 조명 패턴(예 : 조명의 세기, 영역, 시간 등을 제어하는 패턴)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헤어 관리 장치의 전면 방향으로 누워있는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 및 머리 위치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별 수면 중 헤어(두피) 케어 모드가 개시되어 해당하는 헤어(두피) 케어 모드에 대응하는 조명 파장 및 조명 패턴(예 : 조명의 세기, 영역, 시간 등을 제어하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할 때, 상기 누워있는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 및 머리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여 광(조명)을 조사(출력)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누웠을 때 가만히 고정된 상태로 있는 것이 아니라, 반듯이 눕기도 하고, 좌로 돌아 눕거나, 우로 돌아 눕기도 하기 때문에 이러한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 및 머리 위치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광(조명)을 조사(출력)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만약 전체 광원을 턴온시켜 광을 조사할 경우에는 굳이 상기 사용자의 머리 위치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않아도 되지만, 이럴 경우에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게 되며 사용자의 얼굴에도 과도한 빛이 조사됨으로써 수면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실시 예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 위치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광(조명)을 조사(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헤어 관리 장치의 전면 방향으로 누움에 따라 수면 유도 모드나 수면 중 피부(즉, 얼굴 피부) 케어 모드가 개시될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불면증 해소를 위한 수면(또는 깊은잠) 유도 동작을 개시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50)는 불면증 해소를 위한 수면(또는 깊은잠) 유도 동작으로서, IoT 조명(예 : 헤어 관리 장치가 있는 실내 IoT 조명)의 밝기 제어 신호(즉, 실내 IoT 조명의 밝기를 서서히 어둡게 하는 디밍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지정된 음악(또는 화이트노이즈 등의 음향)이나 향기 등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피부 케어를 실시하기 전 사용자의 얼굴에 안대가 착용되어 있는지, 안대 착용 여부를 체크한다. 만약 사용자의 얼굴에 안대가 착용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안대 착용 권고 안내를 출력한다.
상기 안대 착용 권고 안내는 상기 음향 출력부(19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안대 착용 여부의 체크와 안대 착용 권고 안내는 미리 지정된 횟수나 지정된 시간 동안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안대 착용 여부를 체크한 결과, 사용자가 안대를 착용하였거나, 안대를 착용하지 않았더라도 미리 지정된 횟수나 지정된 시간 동안 안대 착용 권고 안내를 반복하여 출력하였을 경우, 사용자로부터 강제 피부 케어 모드 진행 명령이 입력되는지 체크한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강제 피부 케어 모드 진행 명령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수면 중 피부 케어 모드의 진행을 종료한다.
그러나 사용자로부터 강제 피부 케어 모드 진행 명령이 입력될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제3 광출력부(230)가 오픈 상태인지 체크한다.
참고로 상기 제3 광출력부(230)는 슬라이딩 방식이나 폴딩(또는 언폴딩) 방식으로 개방(오픈)되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3 광출력부(230)는 형태상(또는 배치 구조상) 사용자의 얼굴 상부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여 빛(광)을 조사하기 때문에 만약 상기 제3 광출력부(230)가 개방(오픈)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사실상 피부 관리를 수행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에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3 광출력부(230)가 개방(오픈)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3 광출력부 개방(오픈) 권고 안내를 상기 음향 출력부(190)를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제3 광출력부(230)를 자동으로 개방(오픈)(예 : 자동으로 슬라이딩, 또는 자동으로 언폴딩)시킨다.
상기 제3 광출력부의 오픈 상태 체크와 상기 제3 광출력부의 오픈 권고 안내는 미리 지정된 횟수나 지정된 시간 동안 반복될 수 있으며, 만약 사용자로부터 강제 피부 케어 모드 진행 명령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수면 중 피부 케어 모드의 진행을 종료한다.
반면에 상기 제3 광출력부(230)가 오픈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별 설정된 수면 중 피부 케어 모드가 있는지 체크한다.
만약 사용자별 설정된 피부 케어 모드가 있을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설정된 피부(예 : 이마, 얼굴 등) 케어 모드에 대응하는 조명 파장 및 조명 패턴(예 : 조명의 세기, 영역, 시간 등을 제어하는 패턴)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별 수면 중 피부 케어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가령, 헤어 관리 장치를 구입하여 처음으로 사용하는 경우, 새로운 사용자가 추가로 헤어 관리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등), 사용자별 수면 중 피부 케어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동작(즉, 피부(예 : 이마, 얼굴)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에 기초하여 피부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에 기초하여 피부 케어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별 수면 중 피부 케어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설정된 피부 케어 모드에 대응하는 조명 파장 및 조명 패턴(예 : 조명의 세기, 영역, 시간 등을 제어하는 패턴)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헤어 관리 장치의 전면 방향으로 누워있는 사용자의 이마 및 얼굴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누워있는 사용자의 이마 및 얼굴의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여 광(조명)을 조사(출력)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누웠을 때 가만히 고정된 상태로 있는 것이 아니라, 반듯이 눕기도 하고, 좌로 돌아 눕거나, 우로 돌아 눕기도 하기 때문에 이러한 사용자의 얼굴의 위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광(조명)을 조사(출력)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가령 상기 피부 케어 모드가 얼굴 전체를 20분 동안 관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사용자가 반듯이 누워있을 경우에는 20분 동안 빛을 조사하면 피부 케어 모드가 종료되지만, 만약 사용자가 반듯이 10분간 누워 있다가 우측으로 돌아누울 경우에는 좌측 얼굴만 10분 동안 추가로 빛을 조사하였다가 조사를 중지하고, 다시 사용자가 좌측으로 돌아누울 경우에 우측 얼굴만 10분 동안 추가로 빛을 조사한 후 피부 케어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는 사용자가 누워 있을 때 대부분 수면 상태에서 케어(예 : 헤어 케어, 피부 케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불규칙적으로 사용자의 수면 자세가 변하는 것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수면 중 케어(예 : 헤어 케어, 피부 케어)를 수행한다.
이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사용자의 수면 자세가 변하는 것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수면 중 케어(예 : 헤어 케어, 피부 케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면 중 케어(예 : 헤어 케어, 피부 케어) 모드가 작동할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부분별 케어 시간 카운트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부분별 케어 시간 카운트는, 헤어 케어 모드에서 윗머리 케어 시간 카운트, 및 뒷머리 케어 시간 카운트를 포함하고, 피부 케어 모드에서 얼굴 전체 케어 시간 카운트, 왼쪽 볼 케어 시간 카운트, 오른쪽 볼 케어 시간 카운트, 및 이마 케어 시간 카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케어(예 : 헤어 케어, 피부 케어) 모드 작동 중 머리 위치 및 얼굴 방향의 변화(또는 이동)을 감지한다.
상기 머리 위치 및 얼굴 방향의 변화(또는 이동)을 감지한 결과, 머리 및 얼굴이 계속 케어 가능한 위치(또는 방향)으로 변화(또는 이동)된 경우, 해당하는 케어 모드 작동을 계속한다.
그런데 상기 머리 위치 및 얼굴 방향의 변화(또는 이동)을 감지한 결과, 머리 및 얼굴의 일부만 계속 케어 가능한 위치(또는 방향)으로 변화(또는 이동)된 경우(일부 계속 케어 불가능), 상기 제어부(150)는 케어 가능한 부분만 케어 모드 작동을 계속하고, 케어 불가능한 부분은 케어 시간 카운트를 정지한다.
가령, 사용자가 어느 일 측으로 돌아누울 경우, 뒷머리에 대한 헤어 케어는 수행하지 못하고 윗머리에 대한 헤어 케어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일 측 볼에 대한 피부 케어는 수행하지 못하고 타 측 볼에 대한 피부 케어만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50)는 케어 가능한 부분만 케어 모드 작동을 계속하면서 부분별 케어 시간 카운트를 수행하고, 케어 불가능한 부분은 부분별 케어 시간 카운트를 정지한다.
한편 그런데 상기 머리 위치 및 얼굴 방향의 변화(또는 이동)을 감지한 결과, 머리 및 얼굴 전부가 계속 케어 불가능한 위치(또는 방향)으로 변화(또는 이동)된 경우(전부 계속 케어 불가능), 상기 제어부(150)는 케어 모드 작동을 정지하고 케어 시간 카운트도 정지한다.
가령, 사용자가 얼굴을 베개로 향하여 엎드리거나 베개 밖으로 벗어나는 경우(즉, 헤어 케어 장치의 빛 조사 범위 밖으로 벗어나는 경우), 피부 케어 모드 작동을 정지하고 피부 케어 시간 카운트를 정지하며, 이와 마찬가지로 헤어 케어 모드 작동을 정지하고 헤어 케어 시간 카운트도 정지한다.
상기 과정은 부분별 지정된 케어 시간 카운트가 완료되기 전까지 계속해서 반복 수행되며, 부분별 지정된 케어 시간 카운트가 완료되면 종료된다.
이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를 통해 헤어 케어 및 피부 케어를 수행할 경우 지정된 주기나 매회 작동 시 케어 상태에 효과가 있는지 체크하여 자동으로 조명 파장 및 조명 패턴(예 : 조명의 세기, 영역, 시간 등을 제어하는 패턴)을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자동 케어(예 : 헤어 케어, 피부 케어) 모드 설정 상태인 경우, 케어(예 : 헤어 케어, 피부 케어) 모드가 개시되면, 이전의 최종 케어 상태(즉, 헤어나 피부의 최종 케어 상태)와 케어 개시 전 현재의 상태(헤어나 피부의 현재 상태)를 비교한다.
이 때 상기 케어 상태의 비교는 외부의 서버(미도시)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110)나 상기 센서부(140)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자신이 직접 육안으로 비교할 수도 있다.
상기 케어 상태를 비교한 결과, 케어 상태에 효과(또는 개선)가 있을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해당 케어 모드별 조명 파장 및 조명 패턴(예 : 조명의 세기, 영역, 시간 등을 제어하는 패턴)을 그대로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케어 상태를 비교한 결과, 케어 상태에 효과(또는 개선)가 없을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해당 케어 모드별 조명 파장 및 조명 패턴(예 : 조명의 세기, 영역, 시간 등을 제어하는 패턴)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헤어 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헤어 관리 시 불면증 해소를 위한 수면이나 깊은 잠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며, 수면 중에도 사용자의 수면 자세의 변화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헤어 관리와 얼굴 피부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모 관리에 소요되는 사용자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면서 오히려 외모 관리 효과는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의 초기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의 노이즈 캔슬링 동작 및 노이즈 강제 발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의 컨트롤러(420)가 노이즈가 발생된 지점(위치)의 좌표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노이즈 감지 범위(예 : 침대 또는 매트리스 상의 범위)의 초기화 설정이 필요하다.
도 9를 참조하면,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의 노이즈 감지 범위를 초기화 설정할 경우(ST1-1의 예), 컨트롤러(420)가 스피커 모듈(430)을 통해 교정기의 위치 및 노이즈 레벨 지정을 안내한다(ST1-2).
예컨대, 상기 컨트롤러(420)가 지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스피커 모듈(430)을 통해 상기 교정기를 매트리스의 지정된 위치(예 : 모서리)에 위치시키도록 안내하면, 사용자가 상기 교정기를 매트리스의 지정된 위치(예 : 모서리)에 위치시키고, 또한 상기 컨트롤러(420)가 원격 제어를 통해 지정된 위치(예 : 모서리)에 위치된 교정기에서 출력할 노이즈의 레벨을 원격으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420)는 상기 안내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 놓여 있는 교정기에서 발생된 노이즈의 레벨을, 침대(또는 매트리스)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마이크 모듈(410)을 통해서 각기 검출한다(ST1-3).
이 때 상기 교정기의 위치 지정과 상기 교정기에서 출력할 노이즈의 레벨을 조정하고, 상기 교정기에서 출력하는 노이즈의 레벨을 복수의 마이크 모듈(410)을 통해서 각기 검출하는 과정(ST1-2 ~ ST1-3)은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실행하여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420)는 상기 교정기가 놓인 위치별(및 출력 노이즈 레벨별), 각 마이크 모듈(410)에서 검출된 노이즈 레벨의 상대적 차이 데이터를 산출하여 저장해 두고,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이즈 발생 감지 범위를 설정한다(ST1-4).
예컨대 상기 교정기가 동일한 레벨의 노이즈를 출력한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교정기가 놓인 위치에 따라 각 마이크 모듈(410)에서 검출되는 노이즈 레벨에 상대적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420)는 각 마이크 모듈(410)에서 검출된 노이즈 레벨의 상대적 차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이즈 발생 감지 범위 내에서의 노이즈 발생 위치(좌표)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의 노이즈 상쇄신호 레벨의 초기화를 설정할 경우(ST2-1의 예), 컨트롤러(420)가 스피커 모듈(430)을 통해 교정기의 위치 및 강제로 발생할 노이즈(즉, 노이즈 캔슬링 교정을 위해 강제로 발생할 노이즈)의 종류와 레벨을 지정하도록 안내 한다(ST2-2).
예컨대, 상기 컨트롤러(420)가 지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스피커 모듈(430)을 통해, 상기 교정기를 매트리스의 지정된 위치(예 : 모서리)에 위치시키도록 안내하면, 사용자가 상기 교정기를 매트리스의 지정된 위치(예 : 모서리)에 위치시키고, 또한 상기 컨트롤러(420)가 원격 제어를 통해 지정된 위치(예 : 모서리)에 위치된 교정기에서 출력할 노이즈(즉, 노이즈 캔슬링 교정을 위해 강제로 발생할 노이즈)의 종류와 레벨을 원격으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420)는 각 스피커 모듈(430)을 통해 각기 지정된 레벨의 노이즈 상쇄 신호를 발생한다(ST2-3).
예컨대 상기 교정기가 우측 상부 모서리에 위치되어 노이즈(즉, 노이즈 캔슬링 교정을 위해 강제로 발생할 노이즈)를 발생한다고 가정할 때, 상기 컨트롤러(420)가 복수의 스피커 모듈(430)에서 동일한 노이즈 상쇄 신호를 각기 다른 레벨로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교정기가 놓인 위치에서 노이즈 캔슬링이 되게 한다(즉, 상기 교정기의 마이크 모듈에서 노이즈가 검출되지 않게 하거나, 레벨이 감소된 노이즈가 검출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교정기가 노이즈 레벨을 검출하여(즉, 지정된 위치에 놓여 있는 교정기가 내부에 내장된 마이크 모듈을 통해 노이즈 레벨을 검출하여), 노이즈 캔슬링 모듈(400)의 컨트롤러(420)에 전달한다(ST2-4).
이에 상기 컨트롤러(420)는 상기 교정기로부터 전달받은 노이즈 레벨이 최소가 되도록(즉, 상기 교정기가 놓여 있는 위치에서 정확히 노이즈 캔슬링이 수행될 수 있도록), 복수의 스피커 모듈(430)에서 출력하는 노이즈 상쇄 신호의 레벨을 각기 조정한다(ST2-5).
이 때 상기 교정기의 위치 지정과 상기 교정기에서 출력할 노이즈의 종류와 레벨을 조정하고, 각 스피커 모듈(430)에서 출력할 노이즈 상쇄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교정기에서 검출되는 노이즈 레벨이 최소가 되도록(즉, 상기 교정기가 놓여 있는 위치에서 정확히 노이즈 캔슬링이 수행될 수 있도록), 복수의 스피커 모듈(430)에서 출력하는 노이즈 상쇄 신호의 레벨을 각기 조정하는 과정(ST2-2 ~ ST2-5)을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실행한다.
상기와 같이 교정기의 위치별, 복수의 스피커 모듈(430)에서 출력하는 노이즈 상쇄 신호의 레벨을 각기 조정하는 과정(ST2-2 ~ ST2-5)을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실행하여 상기 교정기에서 검출되는 노이즈 레벨이 최소가 되는 각 스피커 모듈(430)의 레벨이 검출되면, 상기 컨트롤러(420)는 교정기가 놓인 위치별 노이즈 레벨(즉, 교정기가 있는 위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레벨)에 대응하는 각 스피커 모듈(430)의 레벨을 룩업 테이블 형태로 설정 저장한다(ST2-6).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420)는 노이즈 발생 감지 범위 내에서의 노이즈 발생 위치(좌표)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검출한 위치(좌표)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대하여 노이즈 캔슬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는 단순히 노이즈 캔슬링(즉, 원하지 않는 노이즈의 제거)에 그치지 않고, 원하는 노이즈(예 : 수면 유도에 필요한 화이트 노이즈, 음악, 명상 강의 등)를 강제 발생시킬 수도 있다(도 11 참조).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420)는 노이즈(즉, 원하지 않는 노이즈) 신호가 입력될 경우(ST3-1), 해당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검출하고(ST3-2), 상기 검출된 신호를 증폭한 후 이를 반전시킨 노이즈 상쇄 신호를 생성한다(ST3-3).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목적으로 하는 원 신호(즉, 원하는 노이즈(예 : 수면 유도에 필요한 화이트 노이즈, 음악, 명상 강의 등))와 상기 생성한 노이즈 상쇄 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한다(ST3-4).
이에 따라 상기 노이즈(즉, 원하지 않는 노이즈)가 상쇄되어(ST3-5), 원 신호(즉, 원하는 노이즈)만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원하는 노이즈(예 : 수면 유도에 필요한 화이트 노이즈, 음악, 명상 강의 등)를 강제 발생시켜 침대(매트리스)에 누워 있는 사용자의 수면 자세를 바른 자세(지정된 자세)로 유도하고, 또한 깊은 잠을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발생한 노이즈(예 : 코고는 소리, 이가는 소리, 숨소리 등)를 제거하는 노이즈 캔슬링을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컨트롤러(420)는 사용자의 위치(즉, 머리 위치) 및 누운 자세(도 1 참조, 옆으로 누운 자세, 엎드린 자세, 정면으로 누운 자세 등)를 검출한다(ST4-1).
예컨대 상기 컨트롤러(420)는 노이즈 캔슬링 모듈의 센서 모듈(440) 또는 헤어 관리 장치의 카메라부(110)와 센서부(140)를 통해 침대(또는 매트리스) 상의 사용자의 위치(즉, 머리 위치) 및 누운 자세(도 1 참조, 옆으로 누운 자세, 엎드린 자세, 정면으로 누운 자세 등)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된 누운 자세가 지정된 자세(예 : 정면으로 누운 바른 자세)인 경우(ST4-2의 예)(예 : 도 1의 (d) 참조), 상기 컨트롤러(420)는 스피커 모듈(430)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즉, 머리 위치)를 향하여 지정된 레벨의 원 신호(즉, 숙면을 유도하기 위하여 지정된 노이즈)를 출력한다(ST4-3).
그런데 상기 검출된 누운 자세가 지정된 자세(예 : 정면으로 누운 바른 자세)가 아닌 경우(ST4-2의 아니오)(예 : 도 1의 (a) 내지 (c) 참조), 상기 컨트롤러(420)는 스피커 모듈(430)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즉, 머리 위치)를 향하여 지정된 레벨의 원 신호(즉, 자세 변경을 위해 지정된 노이즈)를 출력한다(ST4-4).
예컨대 도 1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어느 한 쪽 방향으로 누울 경우, 한 쪽 귀만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즉, 머리 위치)를 향하여 지정된 레벨의 원 신호(즉, 자세 변경을 위해 지정된 노이즈)를 출력할 경우, 수면하는 동안에 한 쪽 귀로만 노이즈가 크게 들리기 때문에 무의식중에 몸을 틀어 수면 자세를 변경하려고 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 때 상기 자세 변경을 위해 지정된 노이즈의 레벨은 상기 숙면을 유도하기 위하여 지정된 노이즈의 레벨보다 더 크게 설정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수면 중 노이즈(예 : 코고는 소리, 이가는 소리, 숨소리 등)가 검출될 경우(ST4-5의 예), 상기 컨트롤러(420)는 노이즈 상쇄 신호를 출력하는 노이즈 캔슬링 동작과 함께 상기 원 신호(상기 자세 변경을 위해 지정된 노이즈, or 숙면을 유도하기 위하여 지정된 노이즈) 출력 동작을 함께 실행한다(ST4-6).
이에 따라 수면에 불필요한 노이즈는 제거하여 깊은 수면을 유도하고, 수면 중 지정된 자세(예 : 정면을 향하는 바른 자세, 또는 필요에 따라 옆 방향으로 누운 자세 등)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원하는 노이즈(예 : 수면 유도에 필요한 화이트 노이즈, 음악, 명상 강의 등)의 강제 발생 동작과 노이즈 캔슬링 동작을 동시(또는 순차로)에 동작시켜, 한 침대(매트리스)에 누워 있는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가 다른 사용자가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해 수면을 방해 받지 않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한 침대(또는 매트리스)에 누워있는 복수의 인원(사용자)이 검출된 상태이고(ST5-1), 노이즈 감지 범위 내에서 노이즈(예 : 코고는 소리, 이가는 소리, 숨소리 등)가 발생될 경우(ST5-2의 예), 컨트롤러(420)는 노이즈 발생 위치(즉, 복수의 인원 중 노이즈를 발생하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검출한다(ST5-3).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420)는, 제1 협조 제어 동작으로서, 스피커 모듈(430)을 통해 노이즈 발생 위치(즉, 노이즈를 발생하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향하여 지정된 레벨의 원 신호(즉, 자세 변경을 위해 지정된 노이즈)를 출력한다(ST5-4). 즉, 사용자(즉, 노이즈를 발생하는 사용자)가 자세를 바꾸게 하여, 이 자세 변경 과정에서 자연히 노이즈를 발생하지 않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420)는, 제2 협조 제어 동작으로서, 스피커 모듈(430)을 통해 노이즈 발생이 없는 위치(즉, 노이즈를 발생하지 않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향하여 노이즈 캔슬링을 수행한다(ST5-5).
여기서 상기 협조 제어 동작이란, 스탠드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를 통해서 제1 협조 제어 동작(즉, 노이즈 발생 위치를 향하여 지정된 레벨의 원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고, 매트리스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또는 헤어 관리 장치)를 통해서는 제2 협조 제어 동작(즉, 노이즈 발생이 없는 위치를 향하여 노이즈 캔슬링을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한 침대(또는 매트리스)에 누워있는 복수의 인원에 대하여 동시에 각기 다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가 협조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이는 상기 매트리스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 스탠드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 및 상기 헤어 관리 장치가 서로 연동하도록 구현되었기에 가능한 동작이다.
한편 상기 노이즈가 감소하지 않을 경우(ST5-6의 아니오), 상기 제1 협조 제어 동작과 제2 협조 제어 동작을 반복해서 수행하며(ST5-3 ~ ST5-5), 이 과정에서 상기 노이즈가 감소될 경우(ST5-6의 예), 상기 컨트롤러(420)는 상기 감소되는 노이즈(즉, 노이즈 레벨)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노이즈 캔슬링 및 원 신호의 출력 조정을 수행한다(ST5-7).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는 노이즈의 종류와 레벨에 대응하여, 노이즈를 발생하는 사용자에게는 자세 변경을 유도하여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도록 유도하고, 노이즈에 영향을 받는 사용자에게는 노이즈 캔슬링을 수행함으로써, 한 침대에서 수면하고 있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수면의 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는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 자체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노이즈 캔슬링 기능과 강제 노이즈 발생 기능을 이용하여, 한 침대(또는 매트리스)에 누워 있는 사용자들이 자세를 변경하도록 유도하거나,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고 깊이 수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임에 유의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헤어 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지정된 수면 자세를 유도하며, 옆 사람이나 주변의 다방향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한 수면 방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10 : 카메라부 120 : 명령 입력부
130 : 저장부 140 : 센서부
150 : 제어부 160 : 통신부
170 : 분사부 180 : 온도 조절부
190 : 음향 출력부 200 : 광출력부 수용부
210 : 제1 광출력부 220 : 제2 광출력부
230 : 제3 광출력부 240 : 제1 기구부
250 : 제2 기구부 400 : 노이즈 캔슬링 모듈
410 : 마이크 모듈 420 : 컨트롤러
430 : 스피커 모듈 440 : 센서 모듈
450 : 통신 모듈
130 : 저장부 140 : 센서부
150 : 제어부 160 : 통신부
170 : 분사부 180 : 온도 조절부
190 : 음향 출력부 200 : 광출력부 수용부
210 : 제1 광출력부 220 : 제2 광출력부
230 : 제3 광출력부 240 : 제1 기구부
250 : 제2 기구부 400 : 노이즈 캔슬링 모듈
410 : 마이크 모듈 420 : 컨트롤러
430 : 스피커 모듈 440 : 센서 모듈
450 : 통신 모듈
Claims (10)
- 침대 프레임; 및
상기 침대 프레임이나 매트리스에 거치되는 복수의 부착물에 내장되는 노이즈 캔슬링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노이즈 발생 위치에 대응하여 수행하는 노이즈 캔슬링 동작과 지정된 위치로의 강제 노이즈 발생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누웠을 때 빠르게 수면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사용자가 수면 상태에 있을 때 지정된 수면 자세로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은,
상기 매트리스 상이나 상기 매트리스 주변에 배치되어 연동되는 헤어 관리 장치, 및 다른 노이즈 캔슬링 모듈과 서로 연동하여 수면 관리에 필요한 지정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면 상태나 수면 자세 검출, 수면하는 인원수 검출, 노이즈 발생 위치와 방향 검출, 지정된 위치에 대한 노이즈 캔슬링, 및 지정된 위치에 대한 노이즈 강제 발생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은,
복수의 마이크 모듈;
복수의 스피커 모듈; 및
상기 마이크 모듈과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여, 노이즈가 발생된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노이즈를 캔슬링시키기 위한 노이즈 상쇄 신호를 생성하며, 수면 유도나 수면 자세의 변경을 유도하기 위한 노이즈를 강제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은,
사용자의 수면 상태로서, 수면 위치와 수면 자세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및
서로 연동하는 다른 노이즈 캔슬링 모듈과 통신하거나, 상기 헤어 관리 장치와 서로 연동하여 수면 관리에 필요한 지정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은,
노이즈 발생 위치의 검출, 지정된 위치에 대한 노이즈 캔슬링, 및 지정된 위치에 대한 노이즈 강제 발생 동작을 위하여,
교정기와 연동하여, 노이즈 감지 범위의 초기화 설정 및 노이즈 상쇄신호 레벨 설정을 위한 초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기는,
마이크 모듈, 컨트롤러, 스피커 모듈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의 컨트롤러의 원격 제어에 따라, 마이크 모듈과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여, 초기화에 필요한 노이즈를 강제 발생 시키거나 노이즈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노이즈 정보를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에 전달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은,
노이즈 발생 감지 범위의 설정 초기화를 위하여,
컨트롤러가 스피커 모듈을 통해 교정기의 위치 및 노이즈 레벨 지정을 안내하거나 원격 제어하며,
상기 안내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 놓여 있는 교정기에서 발생된 노이즈의 레벨을, 상기 컨트롤러가 사용자의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마이크 모듈을 통해서 각기 검출하며,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교정기가 놓인 위치별 및 출력 노이즈 레벨별, 및 각 마이크 모듈에서 검출된 노이즈 레벨의 상대적 차이 데이터를 산출하여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이즈 발생 감지 범위를 설정하는 초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은,
노이즈 캔슬링을 위한 노이즈 상쇄신호 레벨의 초기화를 위하여,
컨트롤러가 스피커 모듈을 통해 교정기의 위치 및 강제로 발생할 노이즈의 종류와 노이즈 레벨 지정을 안내하거나 원격 제어하며,
상기 컨트롤러가 각 스피커 모듈을 통해 각기 지정된 레벨의 노이즈 상쇄 신호를 발생하며, 이 때 교정기가 검출하는 노이즈 레벨을 전달받고,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교정기로부터 전달받은 노이즈 레벨이 최소가 되도록, 복수의 스피커 모듈에서 출력하는 노이즈 상쇄 신호의 레벨을 각기 조정하며,
상기 교정기의 위치별, 복수의 스피커 모듈에서 출력하는 노이즈 상쇄 신호의 레벨을 각기 조정하는 과정을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실행하여 상기 교정기에서 검출되는 노이즈 레벨이 최소가 되는 각 스피커 모듈의 레벨을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이즈 캔슬링을 위한 노이즈 상쇄신호 레벨의 초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은,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 위치 및 누운 자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누운 자세가 지정된 자세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스피커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향하여, 숙면을 유도하기 위하여 지정된 노이즈를 지정된 레벨로 출력하며,
상기 검출된 누운 자세가 지정된 자세가 아닌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스피커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향하여, 자세 변경을 위해 지정된 노이즈를 지정된 레벨로 출력하되,
상기 자세 변경을 위해 지정된 노이즈의 레벨은 상기 숙면을 유도하기 위하여 지정된 노이즈의 레벨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캔슬링 모듈은,
노이즈 감지 범위 내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노이즈가 발생될 경우, 컨트롤러를 통해 노이즈 발생 위치로부터 노이즈를 발생하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제1 협조 제어 동작으로서, 스피커 모듈을 통해 노이즈를 발생하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향하여, 자세 변경을 위해 지정된 노이즈를 강제 생성하여 지정된 레벨로 출력하며, 또한 제2 협조 제어 동작으로서, 스피커 모듈을 통해 노이즈를 발생하지 않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향하여 노이즈 캔슬링을 수행하되,
상기 협조 제어 동작은,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노이즈 캔슬링 장치를 통하여, 자세 변경을 위해 지정된 노이즈를 강제 생성하여 지정된 레벨로 출력하는 동작, 및 노이즈 캔슬링 동작을, 각기 다른 사용자를 향하여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협조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1178A KR20230142214A (ko) | 2022-04-01 | 2022-04-01 |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1178A KR20230142214A (ko) | 2022-04-01 | 2022-04-01 |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2214A true KR20230142214A (ko) | 2023-10-11 |
Family
ID=88295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1178A KR20230142214A (ko) | 2022-04-01 | 2022-04-01 |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42214A (ko) |
-
2022
- 2022-04-01 KR KR1020220041178A patent/KR2023014221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87321B1 (ko) | 수면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면 관리 시스템 | |
JP6559666B2 (ja) | 光線療法を提供し、概日リズムを修正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JP5941979B2 (ja) | 個人用アラームシステム | |
JP5654482B2 (ja) | 光線療法を施す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US9669235B2 (en) | Phototherapy system that adapts to the position of an infant in neonatal care | |
US2016015848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ight therapy and modifying circadian rhythm | |
TW201446302A (zh) | 醫療設備、系統及方法 | |
CN109661300A (zh) | 具有自适应照明和操作方法的梳理系统 | |
KR20140006458A (ko) | 발광다이오드 감성 조명장치 | |
KR20220011608A (ko) | 머리 착용형 전자 장치 | |
KR20200081881A (ko) | 헤어 관리 장치 세트 | |
KR20200081885A (ko) | 헤어 상태 분석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 |
KR20200081876A (ko) | 헤어 관리 장치 | |
KR20230142214A (ko) | 침대 거치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 | |
KR20240024418A (ko) | 매트리스 타입 다방향 노이즈 캔슬링 장치 | |
JP2013236812A (ja) | 光照射装置 | |
KR20230041883A (ko) | 피부 케어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 |
KR20230041884A (ko) | 기능 모듈 탈부착형 헤어 관리 장치 | |
KR20230041882A (ko) | 수면 케어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 |
KR102226320B1 (ko) | 두피 케어용 광 출력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 |
KR20210025571A (ko) | 두피 케어용 광 출력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 |
KR102332933B1 (ko) | 두부 마사지 모듈이 구비된 안마 의자 | |
EP3730175B1 (en) | Ventilation therapy device system | |
KR101868742B1 (ko) | 사용자 수면상태를 고려한 알람장치 | |
KR20200081884A (ko) |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