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2125A -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2125A
KR20230142125A KR1020220040953A KR20220040953A KR20230142125A KR 20230142125 A KR20230142125 A KR 20230142125A KR 1020220040953 A KR1020220040953 A KR 1020220040953A KR 20220040953 A KR20220040953 A KR 20220040953A KR 20230142125 A KR20230142125 A KR 20230142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erforated network
water
vertical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관
Original Assignee
정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관 filed Critical 정관
Priority to KR1020220040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2125A/ko
Publication of KR20230142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물을 깨끗하게 정수시킬 수 있는 정수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하우징은 하우징본체 내에 충진 된 여과재를 처리수가 통과되게 함으로써 처리수를 여과하고, 여과물은 하우징본체 하부의 침전물 배출통으로 수집하여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여과수단으로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수하우징은 상단에 뚜껑을 갖는 원통형 하우징본체;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부 주벽으로부터 내측으로 공간을 갖도록 이격 설치되는 원통형 수직타공망; 상기 수직타공망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공간을 갖도록 이격 설치되는 원판형태의 수평타공망; 상기 수직타공망의 내측 면과 수평타공망의 상측 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미세철망; 상기 수직타공망의 미세철망 내측과 수평타공망(130)의 미세철망 상측 사이의 여과공간에 충진되는 여과재; 상기 하우징본체의 하부 일측과 뚜껑의 상단 중앙에 설치되는 연결관; 상기 하우징본체의 바닥에 상광하협형 타공 형태로 형성되는 침전공; 상기 침전공의 저부로부터 하측으로 침전물수집공간을 갖도록 하우징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저부로 연결 설치되는 침전물배출통; 및 상기 침전물배출통의 바닥 일측에 설치되는 침전물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여과재는 상단 중앙 부위에서 일정 깊이로 관통 형성되는 중앙홀과; 상기 중앙홀의 내주면에는 전체 형상에서 일부만 타공망을 갖는 수직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관은 그 하단에 결합되는 연장 부위로서, 원뿔 형상의 원뿔 타공망과; 상기 원뿔 타공망의 외주연에 밀착 설치되는 원뿔미세철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관의 원뿔 형태의 연결부위가 수직관의 일정 깊이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Clean water system having fixed number housing}
본 발명은 물을 깨끗하게 정수시킬 수 있는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정수하우징은 하우징본체 내에 여과재를 충진한 다음 그 여과재를 처리수가 통과되게 함으로써 처리수를 여과하고, 그 여과재의 사용으로 인해 여과재 사이에 끼인 여과물은 하우징본체 하부의 침전물배출통으로 수집하여 제거시킬 수 있게 하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고, 빗물정수시스템은 상기 정수하우징을 여러 개 이어지도록 연결설치하고, 그 말미에 여과재만으로 여과할 수 없는 부가적 여과수단(섬유필터 및 UV램프)을 채용한 수단을 제공하는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는 물 부족 현상에 당면해 있고, 현재 세계 인구의 약 20%(약 11억명)가 깨끗한 물을 마시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국내와 같이 수처리시설이 발달 된 국가에서는 깨끗한 물을 손쉽게 쓸 수 있으나 수개월 저수조에 물을 보관하여 사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며, 동남아, 아프리카, 인도 등의 후진국가, 침수지가 많은 중국, 베트남 등 물이 부족하고 수처리시설이 발달되지 못한 국가에서는 깨끗한 물을 마시지 못해 각종 질병 등으로 고통받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또한 상수원의 공급이 어려운 산악지나 외진 곳에 동떨어져 사는 마을이나 가구 등에는 계곡물, 광천수를 이용할 수 있으나 중금속 등 오염된 광천수를 먹을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또한, 상수원의 공급은 충분하지만 물의 소비가 많은 식품공장이나 사육시설, 어류 가공공장 또는 아파트, 관공서, 학교, 기숙사, 사무실 등과 같은 인구밀집건물이나 시설 등에는 생활용수를 상수도로 이용할 경우 상수도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광천이나 상수원 대신 지하수를 이용하여 각종 생활용수로 활용할 수 있지만 산악지와 같은 경우 천공기의 이동이 어려움은 물론 공사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무분별한 지하수의 개발에 따라 지하수가 오염되었을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 본 출원인이 선 등록한 등록특허공보 제10-2315167호(명칭 : 정수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정수시스템을 통해 제안하였으나, 고도한 정수 기능과 여과 성능을 높여 초고도 개선과 살균 소독의 높은 효과를 더 필요로 하였으며, 빗물 정수 시스템으로 정수된 물은 미생물이 있어 수개월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특허정보넷 키프리스를 통해 "빗물정수"를 키워드로 하여 검색된 최근의 선행기술문헌 4건을 등재한 것으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관한 기술분야와 배경기술 및 그 발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10-2219449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10-2187983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10-2202862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상수원의 공급이 어렵거나 상수원의 사용이 부담스러울 경우 빗물을 저장한 후 이를 정수하여 생활용수나 식수로 사용함으로써 물 부족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각종 오염된 광산수나 지하수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하려는데 과제를 두고 이를 해결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우징본체 내에 충진 된 여과재를 처리수가 통과되게 함으로써 처리수를 여과하고, 여과물은 하우징본체 하부의 침전물 배출통으로 수집하여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여과수단으로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수하우징은 상단에 뚜껑을 갖는 원통형 하우징본체;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부 주벽으로부터 내측으로 공간을 갖도록 이격 설치되는 원통형 수직타공망; 상기 수직타공망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공간을 갖도록 이격 설치되는 원판형태의 수평타공망; 상기 수직타공망의 내측 면과 수평타공망의 상측 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미세철망; 상기 수직타공망의 미세철망 내측과 수평타공망(130)의 미세철망 상측 사이의 여과공간에 충진되는 여과재; 상기 하우징본체의 하부 일측과 뚜껑의 상단 중앙에 설치되는 연결관; 상기 하우징본체의 바닥에 상광하협형 타공 형태로 형성되는 침전공; 상기 침전공의 저부로부터 하측으로 침전물수집공간을 갖도록 하우징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저부로 연결 설치되는 침전물배출통; 및 상기 침전물배출통의 바닥 일측에 설치되는 침전물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여과재는 상단 중앙 부위에서 일정 깊이로 관통 형성되는 중앙홀과; 상기 중앙홀의 내주면에는 전체 형상에서 일부만 타공망을 갖는 수직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관은 그 하단에 결합되는 연장 부위로서, 원뿔 형상의 원뿔 타공망과; 상기 원뿔 타공망의 외주연에 밀착 설치되는 원뿔미세철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관의 원뿔 형태의 연결부위가 수직관의 일정 깊이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수직관은 그 외측면 상단 및 하단 둘레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보강력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하우징은 상술한 정수하우징 대신 상술한 정수하우징으로부터 수직타공망 내부에서 수평타공망의 상면 중앙에 공간을 갖도록 양측으로 이격 설치되는 원통형 내부수직타공망; 상기 수직타공망과 내부수직타공망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중간수직타공망; 상기 내부수직타공망의 외측 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미세철망; 상기 내부수직타공망의 하단을 막히도록 형성되는 수평타공망의 가림부; 상기 수직타공망의 미세철망 내측과 내부수직타공망의 미세철망 외측 사이의 여과 공간에 충진되는 여과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수직타공망과 내부수직타공망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중간수직타공망; 상기 중간수직타공망은 전체 형상에서 일부만 타공망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중간수직타공망은 상단과 하단 외측 둘레부에 여과재를 가로 질러 형성되는 고정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하우징은 상술한 정수하우징 대신 상술한 정수하우징으로부터 수직타공망과 내부수직타공망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중간수직타공망; 상기 수직타공망의 미세철망 내측과 하나 이상의 중간수직타공망과 내부수직타공망의 미세철망 외측 사이의 여과공간에 이질적으로 충진되는 여과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중간수직타공망은 전체 형상에서 일부만 타공망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하우징의 구성으로부터 여재와 침전물배출수단이 삭제된 채 내부에 중앙으로부터 이격공간을 갖고 순차적으로 확장되는 수직타공망과 그 수직타공망의 안쪽으로 순차적으로 밀착되는 섬유필터와 마이크로 필터를 포함하는 섬유필터하우징으로 구성하되, 상기 뚜껑의 상단 일측과 중심부에 각각의 연결관을 구성하고, 하나의 연결관은 투입구로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연결관은 배출구로 구성하며, 중심부의 연결관은 일정 길이로 바닥까지 연장 형성하되, 상기 섬유필터하우징은 처리수가 외측의 둘레에서부터 내측으로 여과 다음 중앙의 공간에 수집되어 배출되고, 그 여과과정 중 섬유필터를 다단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여과능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하우징의 구성으로부터 내부의 외측에 수직타공망을 갖춘 UV램프하우징로 구성하되, 상기 수직타공망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UV램프와; 상기 UV램프 외측으로 설치되는 방수석면 투명 보호관과; 상기 UV램프은 그 양측 끝단에 결합 고정되는 방수캡과; 상기 정수하우징의 내측에는 확인 점검을 위한 UV램프 확인창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UV램프하우징은 처리수가 내측 중앙으로부터 UV램프를 거쳐 외측 둘레에 수집되어 배출되고, 그 이동과정 중 수직타공망에 의해 처리수가 천천히 지연 배출되면서 UV램프의 빛을 조사받아 처리수의 살균 소독처리가 균등하고 골고루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단에 따른 정수하우징은 반영구적이며 여과재를 통과시켜 처리수를 여과시킬 수 있으며, 특히 여과재의 여과물을 침전하여 제거시킬 수 있고, 여과재를 분리해 세척(손, 세탁기, 세탁망)해서 장기간 재사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정수시스템 유지비도 절감형으로 설계한 결과 소형 태양광율(모듈1~4장)을 활용하면 유지비가 거의 들지 않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단에 따른 빗물정수시스템은 정수하우징을 여러 개 이어지도록 연결 설치하여 빗물을 고도하게 정수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여과재로 여과할 수 없는 부가적 여과수단(섬유필터 및 UV램프)을 채용하여 수질을 초고도로 개선함은 물론 살균 소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상수원의 공급이 어렵거나 상수원의 사용이 부담스러울 경우 빗물을 저장한 후 이를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하우징 갖는 빗물정수시스템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정수하여서 생활용수나 미생물이 살아 있는 식수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물 부족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각종 오염된 광산수나 지하수의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하우징으로 계곡물, 냇물, 강물, 침전물, 지하수에도 활용해서 생활용수나 식수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에 따른 실시 예들을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정수하우징의 예시도,
도 3은 도 1의 또 다른 제2 실시예,
도 4는 도 1의 또 다른 제3 실시예,
도 5의 도 1에 적용될 수 있는 섬유필터하우징을 나타낸 또 다른 제4 실시예,
도 6은 도 1에 적용될 수 있는 UV램프하우징을 나타낸 또 다른 제5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에 따른 실시 예들을 보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정수하우징(A)을 이용하여 처리대상수를 수집하는 집수조(A1); 상기 집수조(A1)의 배출구에 하나 이상으로 연결설치되는 상술한 정수하우징(A); 상기 말미의 정수하우징(A) 배출구에 연결되는 섬유필터하우징(A2); 상기 섬유필터하우징(A2)의 후부에 연결설치되는 UV램프하우징(A3);을 포함하는 빗물정수시스템으로 구성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정수하우징(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3개의 정수하우징(A)이 순차적으로 이어지게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럴 때 첫번째 정수하우징(A)은 자갈, 모래, 등을 혼합하여 비교적 큰 이물질을 여과하는 전처리하우징으로 구성하고, 두번째 정수하우징(A)은 황토볼, 활성탄, 숯 등을 혼합하여 여재로 미세한 이물질을 여과하는 중간처리하우징으로 구성하며, 세번째 정수하우징(A)은 맥반석, 제올라이트, 키토산, 석영 등을 혼합하여 수질을 개선하는 후처리하우징으로 구성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처리수를 식수로 이용할 수 있을 만큼 청정하게 여과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정수하우징(A)의 수는 처리대상물의 수질에 따라 늘리거나 줄이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처리수의 수질이 1급수 일 때에는 하나의 정수하우징(A)에 상술한 여과재(50)를 모두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고, 처리수의 수질이 4급수 일 때에는 상술한 정수하우징(A)을 4개 이상 배치하는 방식으로 채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섬유필터하우징(A2)은 내부에 마이크로섬유필터(A21)를 채용하여 여과재(50)에서 걸러내지 못하는 미세한 이물질을 음용 가능할 정도로 고도하게 여과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UV램프하우징(A3)은 내부에 UV램프(A31)를 채용하여 처리수를 살균 소독시킴으로써 여과재(50)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처리수의 수질을 고도하게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빗물정수시스템은 일정시간 동안 정수처리하는 과정과 일정시간 동안 여과재(50)의 여과물을 침전시키는 과정으로 나눠서 운영하는 방식으로 채용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말미에 처리수저장통(A4)을 구비하여 생활용수나 음용수가 필요할 때 펌프에 의해 정수처리된 처리수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정수시스템은 빗물을 대상물질로 하여 정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즉, 산물, 강물, 저수지, 지하수, 등을 대상으로 하여 생활용수나 식수를 생산해 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본체(110) 내에 여과재(150)를 충진한 다음, 그 여과재(150)를 처리수가 통과되게 함으로써 처리수를 여과하고, 그 여과재(150)의 사용으로 인해 여과재(150) 사이에 끼인 여과물은 하우징본체(110) 하부의 침전물배출통(180)으로 수집하여 제거시킬 수 있게 하는 수단을 갖춘 것을 정수하우징(A)으로 구성할 수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10) 내에 충진 된 여과재(50)를 처리수가 통과되게 함으로써 처리수를 여과하고, 여과물은 하우징본체(10) 하부의 침전물 배출통(80)으로 수집하여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여과수단으로 정수하우징(100)은 상단에 뚜껑(111)을 갖는 원통형 하우징본체(110);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내부 주벽으로부터 내측으로 공간을 갖도록 이격 설치되는 원통형 수직타공망(120); 상기 수직타공망(120)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공간을 갖도록 이격 설치되는 원판형태의 수평타공망(130); 상기 수직타공망(120)의 내측 면과 수평타공망(130)의 상측 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미세철망(140); 상기 수직타공망(120)의 미세철망(140) 내측과 수평타공망(130)의 미세철망(140) 상측 사이의 여과공간에 충진되는 여과재(150); 상기 하우징본체(10)의 하부 일측과 뚜껑(111)의 상단 중앙에 설치되는 연결관(160);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바닥에 상광하협형 타공 형태로 형성되는 침전공(170); 상기 침전공(170)의 저부로부터 하측으로 침전물수집공간을 갖도록 하우징본체(110)의 바닥으로부터 저부로 연결 설치되는 침전물배출통(180); 및 상기 침전물배출통(180)의 바닥 일측에 설치되는 침전물배출구(181);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여과재(150)는 상단 중앙 부위에서 일정 깊이로 관통 형성되는 중앙홀(151)과; 상기 중앙홀(151)의 내주면에는 전체 형상에서 일부만 타공망(153a)을 갖는 수직관(15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연결관(160)은 그 하단에 결합되는 연장 부위로서, 원뿔 형상의 원뿔 타공망(161)과; 상기 원뿔 타공망(161)의 외주연에 밀착 설치되는 원뿔미세철망(163)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관의 원뿔 형태의 연결부위가 수직관(153)의 일정 깊이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정수하우징(A)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110)의 연결관(160)을 투입구로 사용하고, 뚜껑(111)의 연결관(160)을 배출구로 사용하여 투입구로 투입되는 물이 수직타공의 외측 공간 둘레를 통해 내부의 여과재(150)를 거쳐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과 동시에 수평타공망(130)의 하측 공간를 통해 내부의 여과재(150)를 거쳐 배출구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처리수를 여과시킬 수 있다.
상기 정수하우징(A)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술한 바와 반대로 하우징본체(110)의 하부 연결관(160)을 투입구로 사용하고, 뚜껑(111)의 연결관(160)을 투입구로 사용하고, 하우징본체(110)의 연결관(160)을 배출구로 사용하여서 투입구로 투입되는 물이 여과재(150)를 거쳐 수직타공의 외측 공간의 둘레를 통해 배출구로 배출되는 동시에 수평타공망(130)의 하측 공간을 통해 수직타공의 외측 공간을 거쳐 배출구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처리수를 여과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정수하우징(A)은 처리수가 상류하여 배출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고, 하류하여 배출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하우징본체(110)의 연결관(160)을 투입구로 사용하고, 뚜껑(111)의 연결관(160)을 배출구로 채용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수하우징(A)은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로 투입되는 물이 수직타공의 외측 공간 둘레를 통해 내부의 여과재(150)를 거쳐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과 동시에 수평타공망(130)의 하측 공간를 통해 내부의 여과재(150)를 거쳐 배출구로 배출되는데, 이때 연결관(160)에 결합된 원뿔타공망(161) 및 원뿔미세철망(163)을 통과하면서 한번 더 여과되는 방식으로 처리수를 여과한다.
여기서 원할한 여과 방식을 위해서 원뿔 형태의 연결관 부위는 수직관(153)의 일정 깊이의 내측까지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관(153)은 그 외측면 상단 및 하단 둘레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보강력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지지대(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내구성을 증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지지대는 수직관 둘레부를 따라 원판형이거나 적어도 3곳 이상을 지지하면서 받쳐줄 수 있는 받침구조여도 무방하다.
즉, 상기 정수하우징(A)은 처리수가 하우징본체(110)의 내부 하부로 유입되어 중앙 상단으로 상승하는 방식으로 배출된다.
상기에서 여과재(150)는 자갈, 모래, 황토볼, 활성탄, 숯, 맥반석, 제올라이트, 키토산, 석영 등과 같은 천연광 물질 또는 인공여과재 등으로 채워질 수 있고,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갈수록 여과재(150)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처리수가 유입되어 여과재(150)를 거쳐 배출되는 과정에서 처리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여과재(150)를 거치면서 여과되어 정수처리된다.
상기에서 타공망은 비교적 큰 이물질이 걸러지게 함과 아울러 공간을 구획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미세철망(140)은 비교적 작은 이물질을 걸러지게 함과 아울러 작은 크기의 여과재(15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여과재(150)는 미세한 이물질을 걸러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침전물배출통(180)은 평상시 침전물배출구(181)에 밸브(미도시)가 폐쇄된 상태로 있다가 처리수의 여과과정 중 또는 처리수를 정수하우징(A)의 내부에 채워진 상태로 여과과정을 중단하는 침전과정을 수행할 때 여과재(150)에 걸려진 여과물이 자연침전되어 수집되고, 이렇게 수집된 침전물을 밸브로 침전물배출구(181)를 개방시켜 배출시킴으로써 여과재(150)를 교체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상광하협형 침전공(170)은 침전물의 수집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처리수의 여과과정 중 침전물배출통(180)에 수집된 침전물의 수류에 의해 침전물배출통(180) 밖으로 부상하여 딸려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하면, 여과재(150)를 이용하여 처리수를 용이하게 여과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여과재(150)의 여과물을 침전시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여과재(150)를 교체하지 않고도 정수처리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하우징(A)은 도1의 정수하우징(A)으로부터 수직타공망(120) 내부에서 수평타공망(130)의 상면 중앙에 공간을 갖도록 양측으로 이격 설치되는 원통형 내부수직타공망(121); 상기 수직타공망(120)과 내부수직타공망(121)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중간수직타공망(122); 상기 내부수직타공망(121)의 외측 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미세철망(140); 상기 내부수직타공망(121)의 하단을 막히도록 형성되는 수평타공망(130)의 가림부(31); 상기 수직타공망(120)의 미세철망(140) 내측과 내부수직타공망(121)의 미세철망(140) 외측 사이의 여과공간에 충진되는 여과재(150)로 이루어지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수직타공망(120)과 내부수직타공망(121)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중간수직타공망(122); 상기 중간수직타공망(122)은 전체 형상에서 일부만 타공망(122a)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중간수직타공망(122)은 상단과 하단 외측 둘레부에 여과재(150)를 가로 질러 형성되는 고정 지지대(19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도 1에 비해 내부에 중공의 공간을 확보되게 하는 작용이 있고, 이로 인해 도 1의 정수하우징(A)보다 처리수의 여과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하우징(A)은 도 3의 정수하우징(A)으로부터 수직타공망(120)과 내부수직타공망(121)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중간수직타공망(122); 상기 수직타공망(120)의 미세철망(140) 내측과 하나 이상의 중간수직타공망(122)과 내부수직타공망(121)의 미세철망(140) 외측 사이의 여과공간에 이질적으로 충진되는 여과재(150);로 이루어지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중간수직타공망(122)은 전체 형상에서 일부만 타공망(122a)을 갖는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도 3에 비해 처리수의 통과경로에 각기 다른 종류의 여과재(150) 또는 각기 다른 크기의 여과재(150)를 순차적으로 거치게 할 수 있는 작용이 있고, 이로 인해 도 3의 정수하우징(A)보다 여과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하우징(A)은 하우징본체(110)의 하부로부터 수직타공망(120)을 관통하여 수평타공망(130) 저부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기포공급노즐(미도시)을 부가될 수 있다. 이때, 기포공급노즐은 외부에 컴프레샤가 연결되어 기포가 공급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처리수에 기포를 공급할 수 있음으로 처리수의 수질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여과물의 침전시 여과재(150) 사이에 끼인 여과물이 여과재(150)로부터 쉽게 이탈시켜 침전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수하우징의 구성으로부터 여재(150)와 침전물배출수단이 삭제된 채 내부에 중앙으로부터 이격공간을 갖고 순차적으로 확장되는 수직타공망(120)과 그 수직타공망(120)의 안쪽으로 순차적으로 밀착되는 섬유필터(A21)와 마이크로 필터(A22)를 포함하는 섬유필터하우징(A2)으로 구성하되, 상기 뚜껑(111)의 상단 일측과 중심부에 각각의 연결관(160)(160a)을 구성하고, 하나의 연결관(160)은 투입구로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연결관(160a)은 배출구로 구성하며, 중심부의 연결관(160a)은 일정 길이로 바닥까지 연장 형성하되, 상기 섬유필터하우징(A2)은 처리수가 외측의 둘레에서부터 내측으로 여과 다음 중앙의 공간에 수집되어 배출되고, 그 여과과정 중 섬유필터(A21)를 다단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여과능력을 발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섬유필터하우징(A2)은 처리수가 외측의 둘레에서부터 내측으로 여과된 다음 중앙의 공간에 수집되어 배출되고, 그 여과과정 중 섬유필터(A21)를 다단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여과능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섬유필터(A21)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함은 물론 섬유필터하우징(A2)의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섬유필터(A21)는 외측에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공극이 좁은 형태의 섬유필터(A21)를 채용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섬유필터하우징(A2)의 구성으로부터 내부의 외측에 수직타공망(120)을 갖춘 UV램프하우징(A3)로 구성하되, 상기 수직타공망(12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UV램프(A31)와; 상기 UV램프 외측으로 설치되는 방수석면 투명 보호관(A32)과; 상기 UV램프(A31)은 그 양측 끝단에 결합 고정되는 방수캡(A33)과; 상기 정수하우징의 내측에는 확인 점검을 위한 UV램프 확인창(A34)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UV램프하우징(A3)은 처리수가 내측 중앙으로부터 UV램프(A31)를 거쳐 외측 둘레에 수집되어 배출되고, 그 이동과정 중 수직타공망(120)에 의해 처리수가 천천히 지연배출되면서 UV램프(A31)의 빛을 조사받음으로써 처리수의 살균 소독처리가 균등하고 골고루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UV램프(A31)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함은 물론 UV램프하우징(A3)의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의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으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본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일부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을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넓은 권리를 갖는 청구항부터 순서를 정하여 청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 및 하술 될 청구범위를 통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도시는 되어 있지만 설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작용효과는 도면을 통해 충분히 유추 가능할 것이다. 이에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서 언급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 기술분야의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이 기술분야의 발전은 물론 사용상의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110 : 하우징 본체
120 : 수직타공망
130 : 수평타공망
140 : 미세철망
150 : 여과재
160 : 연결관
170 : 침전공
180 : 침전배출통
181 : 침전물배출구

Claims (6)

  1. 하우징본체 내에 충진 된 여과재를 처리수가 통과되게 함으로써 처리수를 여과하고, 여과물은 하우징본체 하부의 침전물 배출통으로 수집하여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여과수단으로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수하우징은,
    상단에 뚜껑을 갖는 원통형 하우징본체;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부 주벽으로부터 내측으로 공간을 갖도록 이격 설치되는 원통형 수직타공망; 상기 수직타공망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공간을 갖도록 이격 설치되는 원판형태의 수평타공망; 상기 수직타공망의 내측 면과 수평타공망의 상측 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미세철망; 상기 수직타공망의 미세철망 내측과 수평타공망의 미세철망 상측 사이의 여과공간에 충진되는 여과재; 상기 하우징본체의 하부 일측과 뚜껑의 상단 중앙에 설치되는 연결관; 상기 하우징본체의 바닥에 상광하협형 타공 형태로 형성되는 침전공; 상기 침전공의 저부로부터 하측으로 침전물수집공간을 갖도록 하우징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저부로 연결 설치되는 침전물배출통; 및 상기 침전물배출통의 바닥 일측에 설치되는 침전물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여과재는 상단 중앙 부위에서 일정 깊이로 관통 형성되는 중앙홀과; 상기 중앙홀의 내주면에는 전체 형상에서 일부만 타공망을 갖는 수직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관은 그 하단에 결합되는 연장 부위로서, 원뿔 형상의 원뿔 타공망과; 상기 원뿔 타공망의 외주연에 밀착 설치되는 원뿔미세철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관의 원뿔 형태의 연결부위가 수직관의 일정 깊이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은 그 외측면 상단 및 하단 둘레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보강력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하우징은 상술한 정수하우징 대신 상술한 정수하우징으로부터 수직타공망 내부에서 수평타공망의 상면 중앙에 공간을 갖도록 양측으로 이격 설치되는 원통형 내부수직타공망;
    상기 수직타공망과 내부수직타공망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중간수직타공망;
    상기 내부수직타공망의 외측 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미세철망;
    상기 내부수직타공망의 하단을 막히도록 형성되는 수평타공망의 가림부;
    상기 수직타공망의 미세철망 내측과 내부수직타공망의 미세철망 외측 사이의 여과 공간에 충진되는 여과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수직타공망과 내부수직타공망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중간수직타공망;
    상기 중간수직타공망은 전체 형상에서 일부만 타공망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중간수직타공망은 상단과 하단 외측 둘레부에 여과재를 가로 질러 형성되는 고정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하우징은 상술한 정수하우징 대신 상술한 정수하우징으로부터 수직타공망과 내부수직타공망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중간수직타공망;
    상기 수직타공망의 미세철망 내측과 하나 이상의 중간수직타공망과 내부수직타공망의 미세철망 외측 사이의 여과공간에 이질적으로 충진되는 여과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중간수직타공망은 전체 형상에서 일부만 타공망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하우징의 구성으로부터 여재와 침전물배출수단이 삭제된 채 내부에 중앙으로부터 이격공간을 갖고 순차적으로 확장되는 수직타공망과 그 수직타공망의 안쪽으로 순차적으로 밀착되는 섬유필터와 마이크로 필터를 포함하는 섬유필터하우징으로 구성하되,
    상기 뚜껑의 상단 일측과 중심부에 각각의 연결관을 구성하고,
    하나의 연결관은 투입구로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연결관은 배출구로 구성하며, 중심부의 연결관은 일정 길이로 바닥까지 연장 형성하되,
    상기 섬유필터하우징은 처리수가 외측의 둘레에서부터 내측으로 여과 다음 중앙의 공간에 수집되어 배출되고, 그 여과과정 중 섬유필터를 다단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여과능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하우징의 구성으로부터 내부의 외측에 수직타공망을 갖춘 UV램프하우징로 구성하되, 상기 수직타공망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UV램프와; 상기 UV램프 외측으로 설치되는 방수석면 투명 보호관과; 상기 UV램프는 그 양측 끝단에 결합 고정되는 방수캡과;
    상기 정수하우징의 내측에는 확인 점검을 위한 UV램프 확인창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UV램프하우징은 처리수가 내측 중앙으로부터 UV램프를 거쳐 외측 둘레에 수집되어 배출되고, 그 이동과정 중 수직타공망에 의해 처리수가 천천히 지연 배출되면서 UV램프의 빛을 조사받아 처리수의 살균 소독처리가 균등하고 골고루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
KR1020220040953A 2022-04-01 2022-04-01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 KR20230142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953A KR20230142125A (ko) 2022-04-01 2022-04-01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953A KR20230142125A (ko) 2022-04-01 2022-04-01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125A true KR20230142125A (ko) 2023-10-11

Family

ID=88295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953A KR20230142125A (ko) 2022-04-01 2022-04-01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212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983B1 (ko) 2020-09-19 2020-12-08 한상관 녹조를 발생시키지 못하도록 작용하면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를 이용하여 친환경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인공양어장 기능을 발휘시켜서 어족자원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대형 빗물 저류조 역활을 수행하여 홍수 피해를 예방하여 주도록 작용함과 동시에 하천, 강에 흐르는 하천수와 호수, 댐, 저수지에 저수되어 있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작용하는 녹조 발생 방지용 친환경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공법
KR102202862B1 (ko) 2020-07-21 2021-01-14 신정훈 빗물을 중수도 수준으로 정화하여 저장하는 빗물순환 시스템
KR102219449B1 (ko) 2020-11-14 2021-02-26 한상관 친환경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어족자원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녹조 발생을 방지시켜 주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가동보를 이용하여 친환경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대형 빗물 저류조 역활을 수행하여 홍수 피해를 예방하여 줌과 동시에 하천, 강, 호수, 댐, 저수지에 저수되어 있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862B1 (ko) 2020-07-21 2021-01-14 신정훈 빗물을 중수도 수준으로 정화하여 저장하는 빗물순환 시스템
KR102187983B1 (ko) 2020-09-19 2020-12-08 한상관 녹조를 발생시키지 못하도록 작용하면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를 이용하여 친환경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인공양어장 기능을 발휘시켜서 어족자원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대형 빗물 저류조 역활을 수행하여 홍수 피해를 예방하여 주도록 작용함과 동시에 하천, 강에 흐르는 하천수와 호수, 댐, 저수지에 저수되어 있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작용하는 녹조 발생 방지용 친환경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공법
KR102219449B1 (ko) 2020-11-14 2021-02-26 한상관 친환경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어족자원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녹조 발생을 방지시켜 주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가동보를 이용하여 친환경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대형 빗물 저류조 역활을 수행하여 홍수 피해를 예방하여 줌과 동시에 하천, 강, 호수, 댐, 저수지에 저수되어 있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581020U (zh) 一种带有折叠保护层的净水器活性炭滤芯
KR102232052B1 (ko) 도로살수장치
CN103052597B (zh) 包括重力给料过滤器的水净化装置
KR100758020B1 (ko)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수처리기
KR102474756B1 (ko) 여과수단 및 세척수단을 갖는 물 정수장치
EP1494525B1 (en)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wastewater in fish farming
KR20230142125A (ko) 정수하우징을 갖는 빗물정수시스템
KR20140023032A (ko) 용수의 고형물 제거 및 정화장치
KR102315167B1 (ko) 정수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정수시스템
Vigneswaran et al. Traditional and household water purification methods of rural commun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CN209307162U (zh) 一种小型景观水体生化处理系统
CN211688680U (zh) 一种利用磁场净化不纯水的滤水器
CN211847534U (zh) 一种用于排口末端的旋流分离器
CN208995300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KR101758907B1 (ko) 우수 처리 시스템
CN113387496A (zh) 一种复合型农村污水处理过滤装置
KR101346312B1 (ko) 중력의 낙차를 이용한 정수장치 및 정수방법
CN208440414U (zh) 一种污水处理除臭过滤装置
CN102276114B (zh) 一种水处理设备
KR101289688B1 (ko) 탈부착형 여과기를 구비한 원심분리형 수처리 장치
KR101106546B1 (ko) 연못의 수질 정화장치
KR101289689B1 (ko) 원심분리와 여과기술을 이용한 고효율 인공함양수 처리장치
RU46676U1 (ru) Фильтр бытовой для очистки питьевой воды
CN216039163U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净化槽
KR200370743Y1 (ko) 정수용 전처리침전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