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900A -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디바이스의 리슨 모드 전력 소비의 감소 - Google Patents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디바이스의 리슨 모드 전력 소비의 감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900A
KR20230141900A KR1020237032127A KR20237032127A KR20230141900A KR 20230141900 A KR20230141900 A KR 20230141900A KR 1020237032127 A KR1020237032127 A KR 1020237032127A KR 20237032127 A KR20237032127 A KR 20237032127A KR 20230141900 A KR20230141900 A KR 20230141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ate
wlan device
preamble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2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우멘 차크라보르티
쉬베탄크 키쇼르쿠마르 미스트리
경완 남
밍-퉈 친
제임스 마이클 가드너
아르빈드 케르티
차오 청 황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4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90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스테이션 (STA) 이 리슨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들,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을 제공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리슨 모드에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STA 는, 패킷들에 대해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과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것 사이에서 교번할 수도 있다. STA 가 리슨 모드에서 패킷들에 대해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있을 때, STA 는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을 파워-온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STA 가 리슨 모드에서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있지 않을 때, STA 는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을 파워-오프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리슨 모드의 파워-온 상태 동안, STA 는 무선 채널 상으로 송신된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할 수도 있다.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STA 는 리슨 모드로부터, 패킷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신 모드로 스위칭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디바이스의 리슨 모드 전력 소비의 감소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특허출원은 "REDUCING LISTEN MODE POWER CONSUMPTION OF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EVICE" 의 명칭으로 2021년 3월 26일자로 출원되고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 정규특허출원 제17/214,481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선출원의 개시는 본 특허출원의 부분으로 고려되고, 참조에 의해 통합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의 분야에 관한 것이고, 리슨 (listen)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는, 무선 스테이션들 (STA들) 로서 또한 지칭될 수도 있는 다중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의한 사용을 위해 공유 무선 통신 매체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AP들) 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패밀리의 표준들에 부합하는 WLAN 의 기본 빌딩 블록은 기본 서비스 세트 (BSS) 이고, 이는 AP 에 의해 관리된다. 각각의 BSS 는, AP 에 의해 통지되는 서비스 세트 식별자 (SSID) 에 의해 식별된다. AP 는 AP 의 무선 범위 내의 다른 STA들로 하여금 WLAN 과의 통신 링크를 확립 또는 유지할 수 있게 하도록 비컨 프레임들을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한다.
WLAN 에서, STA 는 패킷들 또는 다른 정보에 대해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STA 가 무선 채널 상에서 패킷을 검출하면, STA 는 패킷을 수신하고, 패킷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STA 가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패킷을 검출하고,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함에 따라, STA 는 다양한 모드들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TA 는,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할 때 리슨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STA 는, 패킷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할 때 수신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STA 가 무선 채널 상으로의 통신들을 예상하고 있지 않을 경우, STA 는,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리소스들을 소비하지 않는 슬립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각각은 수개의 혁신적 양태들을 가지며, 이들 양태들 중 어떠한 단일 양태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람직한 속성들을 유일하게 책임지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주제의 하나의 혁신적 양태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에서의 제 1 액세스 포인트 (AP) 의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 방법은 제 1 WLAN 디바이스의 리슨 모드 동안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제 1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 방법은, 파워-온 상태 동안, 제 2 WLAN 디바이스로부터 패킷의 프리앰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주제의 다른 혁신적 양태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는, 제 1 WLAN 디바이스의 리슨 모드 동안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제 1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는, 파워-온 상태 동안, 제 2 WLAN 디바이스로부터 패킷의 프리앰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주제의 다른 혁신적 양태는, 제 1 WLAN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 1 WLAN 디바이스로 하여금 WLAN 에서의 통신을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동작들은 제 1 WLAN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1 WLAN 디바이스의 리슨 모드 동안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제 1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게 할 수도 있다. 동작들은 제 1 WLAN 디바이스로 하여금, 파워-온 상태 동안, 제 2 WLAN 디바이스로부터 패킷의 프리앰블 정보를 획득하게 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주제의 다른 혁신적 양태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는, 제 1 WLAN 디바이스의 리슨 모드 동안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제 1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는, 파워-온 상태 동안, 제 2 WLAN 디바이스로부터 패킷의 프리앰블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주제의 양태들은 상기 언급된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시스템, 또는 다른 수단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주제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상세들이 첨부 도면들 및 하기의 설명에 기재된다. 다른 특징들, 양태들, 및 이점들은 그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다음의 도면들의 상대적인 치수들은, 스케일링하도록 묘화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도 1 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시스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 는, 무선 채널 상으로 패킷들을 모니터링하고 프로세싱할 때 모드들과 전력 상태들 사이에서 교번하는 예시적인 스테이션 (STA) 을 예시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 은, 무선 채널 상으로 비컨 프레임들에 대해 모니터링할 때 모드들과 전력 상태들 사이에서 교번하는 예시적인 STA 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 는, STA 의 전력 상태들을 제어할 수도 있는 전력 상태 제어기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STA 를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 는, 물리 계층 (PHY)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 (PPDU들) 에 대해 모니터링할 때 파워-온 상태와 파워-오프 상태 사이에서 교번하는 리슨 모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 은 리슨 모드에서 PPDU 의 패킷 프리앰블을 검출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 타이밍, 및 전력 상태들을 도시한다.
도 7 은, STA 의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포함하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8 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9a 는 예시적인 액세스 포인트 (AP) 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9b 는 예시적인 STA 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0 은 본 개시의 양태들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다양한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 및 지정들은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나타낸다.
다음의 설명은 본 개시의 혁신적 양태들을 설명할 목적들을 위한 특정 양태들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의 교시들이 다수의 상이한 방식들로 적용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의 예들은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표준들에 따른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통신에 기초한다. 하지만, 설명된 양태들은 IEEE 802.11 표준들, Bluetooth® 표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 (GSM), GSM/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GPRS), 강화된 데이터 GSM 환경 (EDGE), TETRA (Terrestrial Trunked Radio), 광대역 CDMA (W-CDMA), EV-DO (Evolution Data Optimized), 1xEV-DO, EV-DO Rev A, EV-DO Rev B, 고속 패킷 액세스 (HSPA),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 (HSDPA),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HSUPA), 진화된 고속 패킷 액세스 (HSPA+), 롱 텀 에볼루션 (LTE), AMPS 중 하나 이상에 따른 무선 주파수 (RF) 신호들, 또는 3G, 4G, 5G, 6G 또는 이들의 추가 구현 기술을 활용하는 시스템과 같은 무선, 셀룰러 또는 사물 인터넷 (IoT)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공지된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홈, 아파트, 비즈니스, 또는 다른 타입의 환경에서의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는 2개 이상의 WLAN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WLAN 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 (AP들) 및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들 (STA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AP 는, WLAN 에서 분배 시스템 액세스 기능을 수행하는 STA 의 타입이다. 간략화를 위해, 본 개시는, AP 또는 STA 로서 동작할 수 있는 WLAN 디바이스들을 지칭한다. AP 는, AP 의 커버리지 영역에 위치되는 STA들에 무선 액세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STA들은 모바일 폰들, 랩탑들, 게이밍 시스템들 (가상 및 증강 현실 시스템들 (VR 및 AR, 또는 집합적으로, XR) 을 포함함), 엔터테인먼트 시스템들, 스마트 기기들, 웨어러블들, 및 IoT 디바이스들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WLAN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AP들은 1 초과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접속성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P 는 (2.4 GHz 주파수 대역과 같은) 제 1 주파수 대역 상에서 제 1 기본 서비스 세트 (BSS) 를 동작시키고, (5 GHz 주파수 대역과 같은)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 제 2 BSS 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간략화를 위해, 제 1 및 제 2 BSS들은, 각각, AP 의 제 1 주파수 대역 및 AP 의 제 2 주파수 대역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WLAN 에서, STA 는 리슨 모드, 수신 모드 및 슬립 모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동작 모드들을 활용할 수도 있다. 리슨 모드에서, STA 는 패킷들에 대해 무선 채널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리슨 모드에서 무선 채널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STA 는 무선 채널 상에서 패킷들을 검출하는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STA 가 패킷을 검출하면, STA 는 검출된 패킷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수신 모드에 진입할 수도 있다. 수신 모드에서 패킷을 프로세싱하는 동안, STA 은 전력을 지속적으로 소비할 수도 있다. STA 가 상대적으로 긴 지속기간 동안 통신들을 예상하고 있지 않으면, STA 는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중단하는 슬립 모드에 진입할 수도 있다. 슬립 모드에서, STA 는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중지하기 때문에 전력을 절약할 수도 있다. STA 는 슬립 모드에 진입하기 전에 AP 에게 통지할 수도 있어서, AP 는, STA 가 슬립 모드에 있는 동안 STA 에게 패킷들을 송신하지 않는다. AP 는, STA 가 슬립 모드를 빠져나간 이후에 STA 로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재개할 수도 있다. 슬립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은, 패킷 전달을 위한 더 높은 레이턴시들을 야기할 수도 있어서, STA 는 다수의 상황들에서 슬립 모드를 회피할 수도 있다. 슬립 모드를 회피하기 위해, STA들은,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에 지속적으로 전력공급하는 리슨 모드에서 상당한 시간을 소비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STA 가 패킷들에 대해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있을 때 전력을 절약하기 위한 기법들에 관련된다. 일부 양태들은, 더 구체적으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리슨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STA 에 관련된다. 리슨 모드에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STA 는, 패킷들에 대해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과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것 사이에서 교번할 수도 있다. STA 가 리슨 모드에서 패킷들에 대해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있을 때, STA 는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을 파워-온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STA 가 리슨 모드에서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있지 않을 때, STA 는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을 파워-오프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STA 의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은 RF 프론트 엔드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ADC), 및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는,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듀티 사이클에 기초하여 파워-온 상태와 파워-오프 상태 사이에서 교번할 수도 있다. 리슨 모드의 파워-온 상태 동안, STA 는 무선 채널 상으로 송신된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할 수도 있다.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STA 는 리슨 모드로부터 수신 모드로 스위칭할 수도 있다. 수신 모드에서, STA 는, 패킷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하기 위해 파워-온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리슨 모드에서, STA 는, 무선 채널 상으로 수신된 정보에 대해 자기상관을 수행함으로써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TA 는 물리 계층 (PHY)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PDU) 의 레거시 숏 트레이닝 필드 (L-STF) 및 레거시 롱 트레이닝 필드 (L-LTF) 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해 자기상관을 수행할 수도 있다. 리슨 모드에서, STA 의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은, STA 로 하여금 자기상관을 수행하게 하는 지속기간 동안 파워-온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STA 가 패킷 프리앰블을 검출하지 못하면, STA 는 리슨 모드의 파워-오프 상태로 스위칭할 수도 있다. 하지만, STA 가 패킷 프리앰블을 검출하면, STA 는 파워-온 상태로 유지되고, 패킷을 프로세싱하는 수신 모드에 진입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파워-온 상태로 자기상관을 수행하는데 소비되는 시간의 지속기간은,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패킷과 연관된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 (RSSI), (신호 대 노이즈 (SNR) 비 또는 채널 혼잡과 같은) 채널 조건 메트릭들, 또는 다른 적합한 메트릭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는, 무선 채널 상으로 수신된 정보에 대해 매치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TA 는 PPDU 의 L-STF 및 L-LTF 의 심볼들을 검출하기 위해 매치 필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STA 는, 프리앰블을 검출하지 못하면, 리슨 모드의 파워-오프 상태에 진입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주제의 특정 구현들은 다음의 잠재적인 이점들 중 하나 이상을 실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리슨 모드에서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종래의 기법들은, 무선 채널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때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에 지속적으로 전력공급하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는 리슨 모드에서 패킷 프리앰블에 대해 무선 채널을 간헐적으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무선 채널을 간헐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STA 는 리슨 모드 동안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냉각 팬을 포함하지 않는 STA 에 대해,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은 STA 로 하여금 더 낮은 온도들에서 동작할 수 있게 한다. 배터리 전력으로 동작하는 STA 에 대해,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은 STA 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미래의 IEEE 802.11 표준들과 같은) 미래의 무선 표준들이 패킷 프리앰블을 변경함에 따라 STA 의 전력 소비를 추가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패킷 프리앰블에 대한 미래의 수정들에 기초하여, STA 의 일부 구현들은, 무선 채널을 간헐적으로 모니터링할 때 파워-오프 상태에서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할 수도 있다. WLAN들이 통상적으로 다중의 STA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전력 절약이 상당할 수 있다.
도 1 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의 시스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는 Wi-Fi 네트워크 (및 이하, WLAN (100) 으로서 지칭될 것임) 와 같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의 일 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WLAN (100) 은 (802.11aa, 802.11ah, 802.11ad, 802.11aq, 802.11ay, 802.11ax, 802.11az, 802.11ba 및 802.11be 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IEEE 802.11-2016 사양 또는 그 개정안들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표준들의 IEEE 802.11 패밀리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WLAN (100) 은, 액세스 포인트 (AP) (102) 및 AP (102) 와 무선 연관을 갖는 다중의 스테이션들 (STA들) (104) 과 같은 다수의 WLAN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오직 하나의 AP (102) 만이 도시되지만, WLAN (100) 은 또한 다중의 AP들 (102) 을 포함할 수 있다. IEEE 802.11-2016 표준은 STA 를 어드레싱가능한 유닛으로서 정의한다. AP 는, 적어도 하나의 STA 를 포함하고 그리고 연관된 STA들이 (도시되지 않은 다른 네트워크와 같은) 분배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무선 매체 (WM) 를 통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엔티티이다. 따라서, AP 는 STA 및 분배 시스템 액세스 기능부 (DSAF) 를 포함한다. 도 1 의 예에서, AP (102) 는 다른 네트워크 (140) 로의 접속성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도시 안됨) 에 접속될 수도 있다. AP (102) 의 DSAF 는 STA들 (104) 과 다른 네트워크 (140) 사이의 액세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AP (102) 가 인프라구조 모드를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설명되지만, 일부 구현들에서, AP (102) 는 AP 로서 동작하고 있는 전통적인 STA 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P (102) 는 피어-투-피어 모드 또는 독립 모드로 동작 가능한 STA 일 수도 있다. 일부 다른 예들에서, AP (102) 는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AP (SoftAP) 일 수도 있다.
STA들 (104) 의 각각은 또한, 다른 가능성들 중에서도, 이동국 (MS), 모바일 디바이스, 모바일 핸드셋, 무선 핸드셋, 액세스 단말기 (AT), 사용자 장비 (UE), 가입자국 (SS), 또는 가입자 유닛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STA들 (104) 은, 다른 가능성들 중에서도, 모바일 폰들,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PDA들), 다른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넷북들, 노트북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랩탑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TV들, 컴퓨터 모니터들, 내비게이션 시스템들 등등), 뮤직 또는 다른 오디오 또는 스테레오 디바이스들, 원격 제어 디바이스들 ("원격기기들"), 프린터들, 주방 또는 다른 가전 제품들, (예를 들어, 수동 키리스 엔트리 및 스타트 (PKES) 시스템들을 위한) 키 포브들과 같은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단일의 AP (102) 및 연관된 세트의 STA들 (104) 은, 개별 AP (102) 에 의해 관리되는 기본 서비스 세트 (BSS)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 은, WLAN (100) 의 기본 서비스 영역 (BSA) 을 나타낼 수도 있는 AP (102) 의 예시적인 커버리지 영역 (108) 을 추가로 도시한다. BSS 는 서비스 세트 식별자 (SSID) 에 의해 사용자들에 대해 뿐 아니라, AP (102) 의 미디어 액세스 제어 (MAC) 어드레스일 수도 있는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 (BSSID) 에 의해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해 식별될 수도 있다. AP (102) 는, AP (102) 와, 통신 링크 (106) 를 유지하도록 또는 개별 통신 링크 (106) (이하, "Wi-Fi 링크" 로서 또한 지칭됨) 를 확립하도록 AP (102) 의 무선 범위 내의 임의의 STA들 (104) 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BSSID 를 포함한 비컨들을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한다. 예를 들어, 비컨들은 개별 AP (102) 에 의해 사용된 프라이머리 채널의 식별 뿐 아니라 AP 와의 타이밍 동기화를 확립 또는 유지하기 위한 타이밍 동기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AP (102) 는 개별 통신 링크들 (106) 을 통해 WLAN 에서의 다양한 STA들 (104) 에 (네트워크 (140) 와 같은) 외부 네트워크들로의 액세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AP (102) 와 통신 링크 (106) 를 확립하기 위해, STA들 (104) 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들 (예를 들어, 2.4 GHz, 5 GHz, 6 GHz 또는 60 GHz 대역들) 에서의 주파수 채널들 상에서 수동 또는 능동 스캐닝 동작들 ("스캔들") 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수동 스캐닝을 수행하기 위해, STA (104) 는, (하나의 시간 단위 (TU) 가 1024 마이크로초 (μs) 와 동일할 수도 있는 시간 단위들 (TU들) 로 측정되는) 타겟 비컨 송신 시간 (TBTT) 으로서 지칭되는 주기적 시간 인터벌로 개별 AP들 (102) 에 의해 송신되는 비컨들을 리스닝한다. 능동 스캐닝을 수행하기 위해, STA (104) 는 스캐닝될 각각의 채널 상에서 프로브 요청들을 생성하고 순차적으로 송신하며 AP들 (102) 로부터의 프로브 응답들을 리스닝한다. 각각의 STA (104) 는, 수동 또는 능동 스캔들을 통해 획득된 스캐닝 정보에 기초하여 연관시킬 AP (102) 를 식별 또는 선택하고, 선택된 AP (102) 와 통신 링크 (106) 를 확립하기 위해 인증 및 연관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P (102) 는, AP (102) 가 STA (104) 를 추적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관 동작들의 정점에서 연관 식별자 (AID) 를 STA (104) 에 배정할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들의 증가하는 편재성의 결과로서, STA (104) 는 STA 의 범위 내의 다수의 BSS들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다중의 접속된 BSS들을 포함하는 확장형 서비스 세트 (ESS) 를 함께 형성하는 다중의 AP들 (102) 중에서 선택하기 위한 기회를 가질 수도 있다. WLAN (100) 과 연관된 확장된 네트워크 스테이션은, 다중의 AP들 (102) 로 하여금 그러한 ESS 에서 접속되게 할 수도 있는 유선 또는 무선 분배 시스템에 접속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STA (104) 는 1 초과의 AP (102) 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상이한 송신들에 대해 상이한 시간들에서 상이한 AP들 (102) 과 연관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AP (102) 와의 연관 이후, STA (104) 는 또한, 연관시킬 더 적합한 AP (102) 를 찾기 위해 그 주변들을 주기적으로 스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 연관된 AP (102) 에 대해 이동하고 있는 STA (104) 는, 더 큰 RSSI 또는 감소된 트래픽 부하와 같은 더 바람직한 네트워크 특성들을 갖는 다른 AP (102) 를 찾기 위해 "로밍" 스캔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STA들 (104) 은 STA들 (104) 자체 이외의 다른 장비 또는 AP들 (102) 없이 네트워크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애드 혹 네트워크 (또는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 이다. 애드 혹 네트워크들은 대안적으로, 메시 네트워크들 또는 피어-투-피어 (P2P) 네트워크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애드혹 네트워크들은 WLAN (100) 과 같은 더 큰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한 구현들에서, STA들 (104) 은 통신 링크들 (106) 을 사용하여 AP (102) 를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할 수도 있지만, STA들 (104) 은 또한 직접 무선 링크들 (107) 을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2개의 STA들 (104) 은, STA들 (104) 양자 모두가 동일한 AP (102) 와 연관되고 그에 의해 서빙되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직접 통신 링크 (107) 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그러한 애드 혹 시스템에서, STA들 (104) 중 하나 이상은 BSS 에서 AP (102) 에 의해 채워지는 역할을 가정할 수도 있다. 그러한 STA (104) 는 그룹 소유자 (GO) 로서 지칭될 수도 있고,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송신들을 조정할 수도 있다. 직접 무선 링크들 (107) 의 예들은 Wi-Fi 직접 접속부들, Wi-Fi 터널링된 직접 링크 셋업 (TDLS) 링크를 사용함으로써 확립된 접속부들, 및 다른 P2P 그룹 접속부들을 포함한다.
AP들 (102) 및 STA들 (104) 은 (802.11aa, 802.11ah, 802.11aq, 802.11ad, 802.11ay, 802.11ax, 802.11az, 802.11ba 및 802.11be 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IEEE 802.11-2016 사양 또는 그 개정안들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표준들의 IEEE 802.11 패밀리에 따라 (개별 통신 링크들 (106) 을 통해) 기능 및 통신할 수도 있다. 이들 표준들은 PHY 및 매체 액세스 제어 (MAC) 계층들에 대한 WLAN 무선 및 기저대역 프로토콜들을 정의한다. AP들 (102) 및 STA들 (104) 은 물리 계층 수렴 프로토콜 (PLCP)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 (PPDU들) 의 형태로 서로로의 및 로부터의 무선 통신물들 (이하, "Wi-Fi 통신물들" 로서 또한 지칭됨) 을 송신 및 수신한다.
주파수 대역들의 각각은 다중의 서브대역들 또는 주파수 채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1n, 802.11ac, 802.11ax 및 802.11be 표준 개정안들에 부합하는 PPDU들은 2.4 및 5 GHz 대역들 상으로 송신될 수도 있고, 이들 각각은 다중의 20 MHz 채널들로 분할된다. 그에 따라, 이들 PPDU들은 20 MHz 의 최소 대역폭을 갖는 물리 채널 상으로 송신되지만, 더 큰 채널들이 채널 본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1n, 802.11ac, 802.11ax, 및 802.11be 표준 개정안들에 부합하는 PPDU들은, 인접하게 할당되거나 비-인접하게 할당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20 MHz 채널들을 함께 본딩함으로써 40 MHz, 80 MHz, 80+80 MHz, 160 MHz, 160+160 MHz 또는 320 MHz 의 대역폭들을 갖는 물리 채널들 상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1n 은 2개까지의 채널들 (결합된 40 MHz 대역폭의 경우) 의 사용을 기술하고, HT (High Throughput) 송신 포맷을 정의하였다. IEEE 802.11ac 는 8개까지의 채널들 (최대 결합된 160 MHz 대역폭의 경우) 의 사용을 설명하고, VHT (Very High Throughput) 송신 포맷을 정의하였다. IEEE 802.11ax 는 또한, 결합된 160 MHz 까지의 대역폭 (각각 20 MHz 폭의 8개까지의 채널들의 조합일 수도 있음) 을 지원한다. IEEE 802.11be 는 결합된 320 MHz 까지의 대역폭 (각각 20 MHz 폭의 16개까지의 채널들의 조합일 수도 있음) 을 지원할 수도 있다.
WLAN (100) 에서의 AP들 (102) 및 STA들 (104) 은 비허가 스펙트럼 상으로 PPDU들을 송신할 수도 있으며, 이는 2.4 GHz 대역, 5 GHz 대역, 60 GHz 대역, 및 900 MHz 대역과 같은, Wi-Fi 기술에 의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하는 스펙트럼의 부분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AP들 (102) 및 STA들 (104) 의 일부 구현들은 또한, 허가 및 비허가 통신들 양자 모두를 지원할 수도 있는 6 GHz 대역과 같은 다른 주파수 대역들에서 통신할 수도 있다. AP들 (102) 및 STA들 (104) 은 또한 공유된 허가 주파수 대역들과 같은 다른 주파수 대역들 상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다중의 오퍼레이터들은 동일하거나 중첩하는 주파수 대역 또는 대역들에서 동작하기 위한 허가를 가질 수도 있다.
각각의 PPDU 는, PLCP 서비스 데이터 유닛 (PSDU) 의 형태로 PHY 프리앰블, PHY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이다. 예를 들어, PSDU 는 PHY 프리앰블 및 헤더 (PLCP 프리앰블 및 헤더로서 지칭될 수도 있음)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 (MPDU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PHY 프리앰블 및 헤더에 제공된 정보는 PSDU 에서의 후속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해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PPDU들이 본딩된 채널 상으로 송신되는 사례들에 있어서, 프리앰블 및 헤더 필드들은 다중의 컴포넌트 채널들의 각각에서 복제되고 송신될 수도 있다. PHY 프리앰블은, 다른 용도들 중에서도, 패킷 검출, 자동 이득 제어 및 채널 추정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PHY 헤더의 포맷, 코딩, 및 PHY 헤더에서 제공된 정보는 페이로드를 송신하는데 사용될 특정 IEEE 802.11 프로토콜에 기초하며, 통상적으로, BSS 그리고 BSS 컬러 및 STA ID 와 같은 어드레싱 정보를 포함하는 (SIG-A 및 SIG-B 필드들과 같은) 시그널링 필드들을 포함한다.
도 2 는, 무선 채널 (211) 상으로 패킷들에 대해 모니터링할 때 모드들과 전력 상태들 사이에서 교번하는 예시적인 STA (201) 를 예시한 다이어그램 (200) 을 도시한다. STA (201) 는, AP (202) 에 의해 송신된 패킷들에 대해 무선 채널 (211) 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AP (202) 는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된 AP (102) 의 일 예이다. STA (201) 는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된 STA (104) 의 일 예이다. STA (201) 는 수신 모드와 리슨 모드 사이에서 교번할 수도 있다. 모드 그래프 (205) 는 수신 모드 (206) 와 리슨 모드 (208) 사이에서 교번하는 STA (201) 의 일 예를 도시한다. 수신 모드 (206) 에서, STA (201) 의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은, 무선 채널 (211) 상으로 수신된 패킷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파워-온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201) 의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은 RF 프론트 엔드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ADC, 및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슨 모드 (208) 에서, STA (201) 는 패킷에 대해 무선 채널 (211) 을 간헐적으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TA (201) 는, AP (202) 에 의해 송신된 패킷과 같은 패킷에 대해 무선 채널 (211) 을 모니터링하는 것과 모니터링하지 않는 것 사이에서 교번할 수도 있다. 리슨 모드 (208) 에서 무선 채널 (211) 을 모니터링할 때, STA (201) 는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을 파워-온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리슨 모드 (208) 에서 무선 채널 (211) 을 모니터링하지 않을 때, STA (201) 는, 도 4 내지 도 6 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을 파워-오프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슨 모드 (208) 에서, STA (201) 는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RF 프론트 엔드, ADC, 및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할 수도 있다.
전력 상태 그래프 (213) 는 파워-온 상태와 파워-오프 상태 사이에서 교번하는 STA (201) 의 일 예를 도시한다. 파워-온 상태와 파워-오프 상태 사이에서 교번하는 것은 또한, 전력 상태들 사이의 토글링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타임라인 (209) 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진행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 (202) 는 무선 채널 (211) 상으로 제 1 패킷 (203) 을 송신할 수도 있다. STA (201) 는 (시간 = 0 에서) 수신 모드 (206) 에 진입하여, 제 1 패킷 (203) 을 수신하고 프로세싱을 시작할 수도 있다. 수신 모드 (206) 에서, STA (201) 의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은 제 1 패킷 (203) 을 수신 및 프로세싱하기 위해 파워-온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전력 상태 그래프 (213) 의 세그먼트 (212) 참조). 제 1 패킷 (203) 을 수신한 이후, STA (201) 는 리슨 모드 (208) 로 스위칭할 수도 있다.
STA (201) 는, 패킷에 대해 무선 채널 (211) 을 간헐적으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는 리슨 모드 (208) 에 (시간 = 7 에서) 진입할 수도 있다. 리슨 모드 (208) 에서 무선 채널 (211) 을 모니터링할 때, STA (201) 는 (전력 상태 그래프 (213) 의 세그먼트 (214) 에서와 같이)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을 파워-온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TA (201) 는 파워-온 상태에 진입하기 위해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리슨 모드 (208) 에서 무선 채널 (211) 을 모니터링하지 않을 때, STA 는 (전력 상태 그래프 (213) 의 세그먼트 (215) 에서와 같이)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을 파워-오프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TA (201) 는, 도 4 내지 도 6 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파워-오프 상태에 진입하기 위해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중지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파워-온 상태의 지속기간은 파워-오프 시간 상태의 지속기간과 대략 동일할 수도 있다. 전력 상태 그래프 (213) 는, 단일 시간 단위 동안 지속되는 파워-오프 상태 및 단일 시간 단위 동안 지속되는 파워-온 상태를 도시한다. 하지만, 파워-온 상태 및 파워-오프 상태는 임의의 적합한 지속기간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파워-온 상태의 지속기간은 파워-오프 시간 상태의 지속기간과는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파워-오프 상태는 단일 시간 단위 동안 지속될 수도 있고, 파워-온 상태는 1과 1/2 시간 단위 동안 지속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201) 는, 구성된 듀티 사이클에 기초하여 파워-온 상태와 파워-오프 상태 사이에서 교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파워-온 상태의 지속기간이 파워-오프 시간 상태의 지속기간과 동일한 경우, 듀티 사이클은 50% 듀티 사이클일 수도 있다. 추가적인 듀티 사이클들이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 2 패킷 (204) 을 검출한 이후, STA (201) 는 수신 모드 (206) 로 트랜지션할 수도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 (202) 는 (시간 = 16 에서) 무선 채널 (211) 상으로 제 2 패킷 (204) 을 송신할 수도 있다. STA (201) 는 제 2 패킷 (204) 을 검출하고, 리슨 모드 (208) 로부터 수신 모드 (206) 로 변경할 수도 있다. 리슨 모드 (208) 로부터 수신 모드 (206) 로의 트랜지션은 도 5 및 도 6 에서 더 설명된다. 수신 모드 (206) 에 있는 동안,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은 제 2 패킷 (204) 을 수신 및 프로세싱하기 위해 파워-온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전력 상태 그래프 (205) 의 세그먼트 (216) 참조). STA (201) 는, 제 2 패킷 (204) 의 프로세싱이 완료될 때까지 수신 모드 (206) 로 유지될 수도 있다. 그 다음, STA (201) 는 리슨 모드로 트랜지션할 수도 있고 (도시 안됨), 프로세스는 그에 따라 계속 반복될 수도 있다.
도 3 은, 무선 채널 (211) 상으로 비컨 프레임들에 대해 모니터링할 때 모드들과 전력 상태들 사이에서 교번하는 예시적인 STA (201) 를 예시한 다이어그램 (300) 을 도시한다. STA (201) 는, AP (202) 로부터의 비컨 프레임들에 대해 무선 채널 (211) 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STA (201) 는 리슨 모드, 수신 모드 및 슬립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도 있다. 모드 그래프 (305) 는, 리슨 모드 (208), 수신 모드 (206) 및 슬립 모드 (304)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STA (201) 의 일 예를 도시한다. 슬립 모드 (304) 에서, STA (201) 는,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중단하는 파워-오프 상태에 진입할 수도 있다. STA (201) 는, AP (202) 가 무선 채널 (211) 상으로 비컨 프레임들을 브로드캐스팅하는 시간 인터벌에 기초하여 슬립 모드 (304) 에 대한 지속기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시간 인터벌은 (제 1 비컨 프레임 (303) 과 같은) 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전달 트래픽 인터벌 메시지 (DTIM) 에 표시될 수도 있다. AP (202) 는 비컨 프레임들 사이에서 슬립 모드 (304) 에 진입하고, 다음 비컨 프레임을 검출하기 위해 제시간에 리슨 모드 (208) 로 "웨이크 업"할 수도 있다. 비컨 프레임이 리슨 모드 (208) 동안 검출되면, STA (201) 는, 비컨 프레임을 프로세싱하는 수신 모드 (206) 에 진입할 수도 있다.
전력 상태 그래프 (313) 는 파워-온 상태와 파워-오프 상태 사이에서 교번하는 STA (201) 의 일 예를 도시한다. 타임라인 (309) 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진행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STA (201) 는, STA (201) 가 비컨 프레임에 대해 무선 채널을 간헐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리슨 모드 (208) 에 진입할 수도 있다. 리슨 모드 (208) 에서, STA (201) 는 파워-온 상태와 파워-오프 상태 사이에서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을 교번할 수도 있다. 파워-온 상태 동안, STA (201) 는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제공하고, 무선 채널 (211) 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파워-오프 상태 동안, STA (201) 는, 도 4 내지 도 6 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중지하고, 무선 채널 (211) 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중지할 수도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 (202) 는 무선 채널 (211) 상으로 제 1 비컨 프레임 (303) 을 송신할 수도 있다. STA (201) 은 제 1 비컨 프레임 (303) 을 검출하고, 수신 모드 (206) 에 진입할 수도 있다. 수신 모드 (206) 동안, STA (201) 는 제 1 비컨 프레임 (303) 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파워-온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A (201) 는 슬립 모드 (304) 에 진입할 수도 있다. 슬립 모드 (304) 동안, STA (201) 는 그의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을 파워-오프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슬립 모드 (304) 의 지속기간은, AP (202) 가 무선 채널 (211) 상으로 비컨 프레임들을 브로드캐스팅하는 시간 인터벌에 의존할 수도 있다. STA (201) 는 슬립 모드 (304) 로부터 웨이크-업하고, 리슨 모드 (208) 에 진입할 수도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 (202) 는 제 2 비컨 프레임 (312) 을 송신할 수도 있다. STA (201) 는 제 2 비컨 프레임 (312) 을 검출하고, STA (201) 가 제 2 비컨 프레임 (312) 을 프로세싱할 수도 있는 수신 모드 (206) 에 진입할 수도 있다.
도 4 는, STA (201) 의 전력 상태들을 제어할 수도 있는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STA (201) 를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STA (201) 는 전력 상태 제어기 (404), RF 프론트 엔드 (406), ADC (408) 및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 (41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 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RF 프론트 엔드 (406), ADC (408), 및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 (410) 은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는 RF 프론트 엔드 (406), ADC (408) 및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 (410) 과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도 있다. RF 프론트 엔드 (406) 는 저잡음 증폭기와 같은 RF 증폭기 (RFA) (416) 를 포함할 수도 있다. RF 프론트 엔드 (406) 는 또한, 믹서 (414), 필터 (412), 및 합성기 및 위상 록 루프 (PLL) (41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ADC (408) 는 아날로그 무선 정보를, 패킷과 연관된 디지털 정보로 변환할 수도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 (410) 은 다양한 필터들 및 디지털 프로세싱 컴포넌트들, 예컨대, 기저대역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디지털 정보를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슨 모드 동안,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 (410) 은 패킷 프리앰블을 검출하기 위해 자기상관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 (410) 은, 도 5 및 도 6 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패킷 프리앰블의 STF 를 검출하기 위해 자기상관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리슨 모드 동안,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은, 디지털 정보에서 패킷 프리앰블을 검출하기 위해 매치 필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는, STA 의 동작 모드들에 기초하여 파워-온 및 파워-오프 상태들로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201) 가 리슨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는 RF 프론트 엔드 (406) 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파워-오프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는 RF 프론트 엔드 (406) 의 RFA (416) 를 파워-오프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201) 가 리슨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는 ADC (408) 또는 그의 컴포넌트들 (도시 안됨) 중 하나 이상을 파워-오프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201) 가 리슨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는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 (410) 또는 그의 컴포넌트들 (도시 안됨) 중 하나 이상을 파워-오프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는, RF 프론트 엔드 (406) 의 합성기 및 PLL (418) 에 전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FA (416), 믹서 (414) 및 필터 (412) 가 파워-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합성기 및 PLL (418) 은 파워-온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는 또한, 리슨 모드 동안 RFA (416) 또는 다른 컴포넌트들이 파워-오프 상태에 있더라도,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 (410) 의 특정 필터들 및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슬립 모드 동안,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는 RF 프론트 엔드 (406) 의 모든 컴포넌트들, ADC (408) 및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 (410) 의 모든 컴포넌트들을 파워-오프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수신 모드 동안,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는 RF 프론트 엔드 (406) 의 모든 컴포넌트들, ADC (408) 및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 (410) 의 모든 컴포넌트들을 파워-온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 는, PPDU들에 대해 모니터링할 때 파워-온 상태와 파워-오프 상태 사이에서 교번하는 리슨 모드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201) 는 리슨 모드에서 레거시 PPDU (502) 를 검출 및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레거시 PPDU (502) 는, L-STF (504), L-LTF (506) 및 레거시 신호 (L-SIG) 필드 (508) 를 포함하는 프리앰블을 포함할 수도 있다. 레거시 PPDU (502) 는 또한, 데이터 필드 (5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201) 는 리슨 모드에서 믹싱 모드 PPDU (511) 를 검출 및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믹싱 모드 PPDU (511) 는 레거시 프리앰블, 및 또한, HT 프리앰블, VHT 프리앰블 및 EHT (Extremely High Throughput) 프리앰블 중 하나 이상과 같은 하나 이상의 차세대 프리앰블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에서, 믹싱 모드 PPDU (511) 는 레거시 프리앰블 및 HT 프리앰블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고, L-STF (512), L-LTF (514), L-SIG (516), HT-SIG (518), HT-STF (520), HT-LTF들 (522) 및 데이터 필드 (526) 를 포함할 수도 있다. PPDU 가 무선 채널 상으로 송신될 때, (L-STF (504) 또는 L-STF (512) 와 같은) L-STF 의 송신 및 (L-LTF (506) 또는 L-LTF (514) 와 같은) 다른 필드들의 송신은, IEEE 802.11 표준에 의해 정의되는 특정 지속기간들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STF (504) 및 L-STF (512) 의 송신은 각각, 대략 8 μs 의 지속기간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L-STF (504) 및 L-STF (512) 는 각각, 도 6 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8 μs 에 걸쳐 10회 반복되는 STF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L-LTF (506) 및 L-LTF (514) 는 각각, 대략 8 μs 의 지속기간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L-LTF (506) 및 L-LTF (514) 는 각각, 도 6 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8 μs 에 걸쳐 송신된 구성 정보와 같은 LTF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A (201) 는, 레거시 PPDU (502) 가 무선 채널 상으로 송신될 때 리슨 모드로 동작하고 있을 수도 있다. 레거시 PPDU (502) 의 송신은 리슨 모드 동안 임의의 시간에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L-STF (504) 의 수신은, STA (201) 가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있는 동안 (파워-온 상태) 또는 STA 가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있지 않는 동안 (파워-오프 상태) 발생할 수도 있다. L-STF (504) 를 미싱 (missing)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STA (201) 는, L-STF (504) 의 8 μs 송신 내에서 L-STF (504) 의 검출을 인에이블하는 듀티 사이클을 사용하여 모니터링하는 것 (파워-온 상태) 과 모니터링하지 않는 것 (파워-오프 상태) 사이에서 교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들에서, STA (201) 는 적어도 2개의 전력-상태 사이클들 (도 6 에서 추가로 설명됨) 에서 자기상관을 통해 L-STF (504) 를 검출 가능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전력-상태 사이클은 듀티 사이클에 기초한 지속기간을 갖는 파워-온 상태 및 파워-오프 상태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L-STF (504) 를 검출하기 위한 전력-상태 사이클들의 수는 레거시 PPDU (502) 와 연관된 RSSI 에 의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SSI 가 제 1 RSSI 임계치보다 큰 경우, STA (201) 는 2개의 전력-상태 사이클들에서 L-STF (504) 를 검출할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 1 RSSI 임계치는 대략 -85dBm 일 수도 있다. STA (201) 는, RSSI 가 대략 -85dBm 미만일 경우에 더 많은 전력 상태 사이클들에서 L-STF (504) 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L-STF (504) 를 검출하기 위한 전력-상태 사이클들의 수는 또한, (신호 대 노이즈 비 또는 채널 혼잡과 같은) 채널 조건 메트릭들 또는 다른 적합한 메트릭들에 의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TA (201) 는, 신호 대 노이즈 비 (SNR) 가 SNR 임계치 미만일 경우에 2개의 전력-상태 사이클들에서 그리고 SNR 이 SNR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 더 많은 전력-상태 사이클들에서 L-STF (504) 를 검출할 수도 있다. 패킷 프리앰블을 검출하는 것에 관한 추가적인 상세들은 도 6 의 설명에서 제공된다.
전력 그래프 (531) 는, L-STF (504) 또는 L-STF (512) 를 검출하기 위해 파워-온 상태와 파워-오프 상태 사이에서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STA (201) 를 도시한다. STA (201) 는 듀티 사이클에 기초하여 파워-온 상태와 파워-오프 상태 사이에서 교번할 수도 있다. 전력 그래프 (531) 에 따르면, STA (201) 는 리슨 모드 (208) 의 제 1 파워-온 상태 (537) 에서 동작하고 있을 수도 있다. 타이밍 라인 (534) 은, STA (201) 가 제 1 파워-온 상태 (537) 동안 L-STF (504) 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 제 1 파워-온 상태 (537) 동안, STA (201) 는, L-STF (504) (또는 L-STF (512)) 가 수신될 때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다음의 예가 레거시 PPDU (502) 의 L-STF (504) 를 수신하는 것을 설명하지만, 유사한 단계들이, 믹싱 모드 PPDU (511) 의 L-STF (512) 를 수신하기 위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도 6 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STA (201) 가 L-STF (504) 에서 STF 정보의 적어도 2회 반복들을 검출하기에 파워-온 상태에서 충분한 시간을 갖는다면, STA (201) 는 L-STF (504) 를 검출할 수도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A (201) 는, (예컨대, 자기상관을 통해 STF 정보의 2회 반복들을 검출함으로써) L-STF (504) 를 검출하기 위해 제 1 파워-온 상태 (537) 에서 충분한 시간을 갖지 않고도 L-STF (504) 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L-STF (504) 를 검출하지 않았으면, STA (201) 는 듀티 사이클에 따라 파워-오프 상태 (538) 로 스위칭할 수도 있고, 따라서, STA (201) 는 다음 파워-온 상태까지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중지할 수도 있다. 제 2 파워-온 상태 (540) 동안, STA (201) 는 (L-STF (504) 와 같은) 프리앰블 정보에 대해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동작들을 재개할 수도 있다. 제 2 파워-온 상태 (540) 에서, STA (201) 는 (예컨대, 자기상관을 통해 STF 정보의 2회 반복들을 검출함으로써) L-STF (504) 를 검출할 수도 있다. L-STF (504) 를 검출한 이후, STA (201) 는 수신 모드 (206) 로 스위칭하여 레거시 PPDU (502) 를 파워-온 상태로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201) 는, 임의의 적합한 수의 파워-온 상태들에서 L-STF (504) 의 STF 정보의 임의의 적합한 수의 반복들을 검출함으로써 L-STF (504) 를 검출할 수도 있다. L-STF (504) 를 검출하기 위한 STF 의 반복들의 수 및 파워-온 상태들의 수는 (자기상관과 같은) 특정 패킷 검출 기법에 의존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201) 는 (레거시 PPDU (502) 또는 믹싱 모드 PPDU (511) 와 같은) 패킷과 연관된 RSSI 에 의존하여 리슨 모드 동안 파워-온 상태와 파워-오프 상태 사이에서 교번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SSI 가 (-85dBM 과 같은) RSSI 임계치보다 크면, STA (201) 는 리슨 모드 동안 파워-온 상태와 파워-오프 상태 사이에서 교번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RSSI 가 (-60dBM 과 같은) 제 1 RSSI 임계치보다 작고 (-85dBM 과 같은) 제 2 RSSI 임계치보다 크면, STA (201) 는 리슨 모드 동안 파워-온 상태와 파워-오프 상태 사이에서 교번할 수도 있다. 하지만, RSSI 가 제 2 RSSI 임계치 (-85dBM) 보다 작으면, STA (201) 는 리슨 모드 전반에 걸쳐 파워-온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도 6 은 리슨 모드에서 PPDU (600) 의 패킷 프리앰블 (602) 을 검출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 타이밍, 및 전력 상태들을 도시한다. 패킷 프리앰블 (602) 은 L-STF (604), L-LTF (606) 및 (패킷 페이로드와 같은) 다른 정보 (603) 를 포함할 수도 있다. PPDU 가 무선 채널 상으로 송신될 때, 특정 필드들의 송신은, IEEE 802.11 표준과 같은 기술 표준에 의해 정의되는 특정 지속기간들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STF (604) 의 송신은 대략 8 μs 의 지속기간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L-STF (604) 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8 μs 에 걸쳐 10회 반복되는 (OFDM 심볼과 같은) STF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L-LTF (606) 의 송신은 대략 8 μs 의 지속기간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L-LTF (606) 는, 사이클릭 프리픽스 (605), OFDM 심볼 (C1) (607) 및 OFDM 심볼 (C2) (609) 을 포함하는 LTF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LTF 정보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8 μs 에 걸쳐 송신될 수도 있다.
리슨 모드에서, STA (201) 는 PPDU (600) 에 대해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과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것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도 있다.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radio) 및 데이터 경로 세틀링 (settling) 동작을 포함할 수도 있다. 라디오 및 데이터 경로 세틀링 동작은 파워-오프 상태 이후 (RF 프론트 엔드 (406) 와 같은) RF 프론트 엔드를 파워-업할 수도 있다. 라디오 및 데이터 경로 세틀링 동작은 또한, RF 프론트 엔드에서의 라디오 및 데이터 경로들이 세틀링되게 하고 그리고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추가적인 동작들을 수행할 준비가 되게 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 동작들은 또한, (예컨대, L-STF (604) 에 포함된 STF 정보의 반복들을 검출함으로써) PPDU (600) 의 L-STF (604) 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기상관 동작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지 않기 위한 동작들은,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을 파워-오프 상태로 구성하기 위한 동작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슨 모드에서, STA (201) 는, 패킷 프리앰블 (602) 의 L-STF (604) 와 같은 패킷 프리앰블이 검출될 때까지,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과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것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도 있다. STA (201) 가 L-STF (604) 를 검출하면, STA (201) 는 L-LTF (606) 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준비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이들 동작들은 이득 변경 동작 및 개략적 (coarse) 타이밍 동작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득 변경 동작은,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PPDU (600) 와 연관된 수신 신호의 강도 또는 진폭을 개선하기 위해 (RFA (416) 와 같은) RF 프론트 엔드에서의 증폭기의 이득을 변경할 수도 있다. 개략적 타이밍 동작은 이득 변경 동작에 뒤따를 수도 있다. 개략적 타이밍 동작은, L-LTF (606) 의 심볼 경계에 프레임을 정렬시키기 위해 RF 프론트 엔드 (406) 의 개략적 타이밍을 조정할 수도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동작 시퀀스 (620) 는 리슨 모드에 대한 동작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동작 시퀀스 (620) 는 PPDU (600) 에 대해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동작들로 시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시퀀스 (620) 는 제 1 라디오 및 데이터 경로 세틀링 동작 (610) 및 제 1 자기상관 동작 (612) 으로 시작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201) 는, (제 1 자기상관 동작 (612) 과 같은) 자기상관 동작이 L-STF (604) 를 수신한 이후에 개시되면 L-STF (604) 를 검출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예에서, 타이밍 라인 (630) 은, STA (201) 가 L-STF (604) 를 수신하기 전에 제 1 자기상관 동작 (612) 을 개시하였음을 표시한다. 따라서, 도 6 에 도시된 예에서, STA (201) 는 L-STF (604) 를 검출하지 않았다. 동작 시퀀스 (620) 는, STA (201) 가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중지하는 동작으로 계속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시퀀스 (620) 는,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중단하기 위해 파워-오프 동작 (618) 을 수행할 수도 있다. 파워-오프 동작 (618) 이후, STA (201) 는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재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TA (201) 는 제 2 라디오 및 데이터 경로 세틀링 동작 (611) 및 제 2 자기상관 동작 (613) 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동작 시퀀스 (620) 에서, STA (201) 는, L-STF (604) 를 수신한 이후 제 2 자기상관 동작 (613) 을 수행함으로써 L-STF (604) 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 2 자기상관 동작 (613) 은 L-STF (604) 에서 STF 정보의 2회 반복들을 검출할 수도 있다. L-STF (604) 를 검출한 이후, STA (201) 는 L-LTF (606) 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준비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동작 시퀀스 (620) 에서, STA (201) 는 L-LTF (606) 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준비하기 위해 이득 변경 동작 (614) 및 개략적 타이밍 동작 (616) 을 수행할 수도 있다. L-LTF (606) 를 준비한 이후, STA (201) 는 수신 모드로 스위칭할 수도 있다. 수신 모드에서, STA (201) 는 L-LTF (606) 및 PPDU (600) 의 나머지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리슨 및 수신 모드들의 동작들은 연관된 전력 상태들을 가질 수도 있다. 리슨 모드에서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할 때, STA (201) 의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는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을 파워-온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STA (201) 가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중지할 때,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는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을 파워-오프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전력 그래프 (608) 는, 리슨 및 수신 모드들에서 수행되는 동작들과 연관된 전력 상태들을 도시한다. 동작 시퀀스 (62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슨 모드는 제 1 라디오 및 데이터 경로 세틀링 동작 (61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는, 전력 그래프 (60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라디오 및 데이터 경로 세틀링 동작 (610) 에 대해 파워-온 상태에 진입하기 위해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는, 전력 그래프 (60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자기상관 동작 (612) 에 대해 파워-온 상태로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을 유지할 수도 있다.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한 이후, STA (201) 는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중지할 수도 있다.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중지하기 위해,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는 파워-오프 동작 (618) 을 수행할 수도 있다. 파워-오프 동작 (618) 에 대해,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는, 전력 그래프 (60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오프 상태에 진입하기 위해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중지할 수도 있다. STA (201) 는, 제 2 라디오 및 데이터 경로 세틀링 동작 (611) 을 수행함으로써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재개할 수도 있다. 제 2 라디오 및 데이터 경로 세틀링 동작 (611) 에 대해,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는 파워-온 상태에 진입하기 위해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는, 전력 그래프 (60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자기상관 동작 (613), 이득 변경 동작 (614) 및 개략적 타이밍 동작 (616) 에 대해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을 파워-온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전력 그래프 (60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 검출 컴포넌트들은 수신 모드 전반에 걸쳐 파워-온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리슨 모드에서의 동작들은 PPDU 와 관련된 타이밍 양태들을 수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PDU 는 IEEE 802.11 표준에서 정의된 하나 이상의 송신 시간들을 가질 수도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L-STF (604) 는 8 μs 로 송신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리슨 모드 동작들은 8 μs 내에서 L-STF (604) 를 검출할 수 있다. 리슨 모드 동작들은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동작들,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지 않기 위한 동작들, L-LTF 를 준비하기 위한 동작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동작들은 제 1 라디오 및 데이터 경로 세틀링 동작 (610) 및 제 1 자기상관 동작 (612)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 1 라디오 및 데이터 경로 세틀링 동작 (610) 은 1.2 μs 의 지속기간을 가질 수도 있고, 제 1 자기상관 동작 (612) 은 1.6 μs 의 지속기간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지속기간은 2.8 μs (1.2 μs + 1.6 μs) 일 수도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A (201) 는 파워-오프 동작 (618) 을 수행함으로써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중지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201) 는, 동작 시퀀스 (62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4 μs 동안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중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동작들 및 모니터링하지 않기 위한 동작들의 지속기간은 5.2 μs (2.4 μs + 2.8 μs) 일 수도 있다. 이 예에서, 리슨 모드에 대한 듀티 사이클은 46% (2.4/5.2) 일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L-STF (604) 를 검출한 이후, STA (201) 는 L-LTF (606) 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준비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TA (201) 는 L-LTF (606) 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준비하기 위해 이득 변경 동작 (614) 및 개략적 타이밍 동작 (616) 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동작 시퀀스 (62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득 변경 동작 (614) 은 1.2 μs 의 지속기간을 가질 수도 있고, 개략적 타이밍 동작 (616) 은 1.6 μs 의 지속기간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L-LTF (606) 를 준비하기 위한 동작들은 2.8 μs (1.2 μs + 1.6 μs) 의 지속기간을 가질 수도 있다. 모니터링하기 위한 (2.8 μs), 모니터링하지 않기 위한 (2.4 μs) 및 L-LTF (606) 를 준비하기 위한 (2.8 μs) 총 지속기간은 8 μs (2.8 μs + 2.4 μs + 2.8 μs = 8 μs) 일 수도 있다. 리슨 모드 동작들의 총 지속기간이 8 μs 이기 때문에, STA (201) 는 그의 8 μs 송신 시간 내에서 L-STF (604) 를 검출할 수도 있다.
리슨 모드의 다른 타이밍 양태는,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할 때 L-STF 를 검출하는 것에 관련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201) 는, 예컨대, L-STF 와 연관된 STF 정보의 반복들을 검출함으로써, L-STF 를 검출하기 위해 자기상관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자기상관을 통해 STF 정보의 일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지속기간이 존재할 수도 있다. 검출 지속기간은, 자기상관 동작에 얼마나 늦게 L-STF 가 수신되고 여전히 검출될 수도 있는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A (201) 는 (STF 정보의 1회 반복의 일부와 같은) L-STF (604) 의 일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지속기간 (625) 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검출 지속기간 (625) 은 0.4 μs 일 수도 있다. 도 6 에서, 도달 기한 (624) 은, L-STF (604) 가 제 1 자기상관 동작 (612) 에 도달하고 그에 의해 검출될 수도 있는 가장 늦은 시간을 표시한다. 도 6 에서, 타이밍 라인 (630) 은, L-STF (604) 가 도달 기한 (624) 이후에 도달하여, L-STF (604) 가 검출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L-STF (604) 가 도달 기한 (624) 이전에 도달하였으면, STA (201) 는 L-STF (604) 를 검출하였을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검출 지속기간 (625) 은, STA (201) 가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얼마나 오래 중지하는지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검출 지속기간 (625) 이 더 길었다면, 파워-오프 동작 (618) 의 지속기간은, STA (201) 가 8 μs 내에서 L-STF (604) 를 검출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단축될 수도 있다.
리슨 모드의 다른 타이밍 양태는 개략적 타이밍에 관련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201) 는 L-LTF 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준비로 개략적 타이밍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A (201) 는 L-LTF (606) 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준비로 개략적 타이밍 동작 (616) 을 수행할 수도 있다. 개략적 타이밍 기한은, STA (201) 가 개략적 타이밍 동작을 완료하고 여전히 L-LTF 를 프로세싱할 준비가 될 수도 있는 가장 늦은 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개략적 타이밍 동작이 개략적 타이밍 기한까지 완료되지 않으면, STA (201) 는 L-LTF 를 프로세싱하지 못할 수도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라인 (627) 은, STA (201) 가 L-STF (606) 를 수신할 때를 표시한다. 개략적 타이밍 기한 (626) 은, STA (201) 가 개략적 타이밍 동작 (616) 을 완료하고 여전히 L-LTF (606) 를 프로세싱할 수도 있는 가장 늦은 시간을 표시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개략적 타이밍 기한은, L-LTF 가 수신된 이후 0.4 μs 일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개략적 타이밍 기한은, STA (201) 가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얼마나 오래 중지할 수도 있는지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개략적 타이밍 기한 (626) 이 더 짧았다면, 파워-오프 동작 (618) 의 지속기간은, STA (201) 가 8 μs 내에서 L-STF (604) 를 검출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단축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201) 는 리슨 모드에서 파워-온 상태에 있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TA (201) 는 파워-온 상태에서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시간을 감소시킨다.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동작들은 (라디오 및 데이터 경로 세틀링 동작 (610) 과 같은) 라디오 및 데이터 경로 세틀링 동작 및 (제 1 자기상관 동작 (612) 과 같은) 자기상관 동작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자기상관 동작은 매치 필터링 동작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STF 를 검출하기 위해 자기상관을 사용하는 대신, STA (201) 는 L-STF 를 검출하기 위해 매치 필터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매치 필터링 동작은 L-STF 를 검출하기 위해 패턴 매칭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치 필터링 동작은, 패턴 매칭을 사용하여 STF 정보의 단일 반복을 검출함으로써 L-STF 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매치 필터링 동작은 (자기상관 동작의 일부 구현들에 대한 1.6 μs 와 비교하여) 1 μs 의 지속기간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201) 는, 라디오 및 데이터 경로 세틀링 동작 및 매치 필터링 동작 양자 모두를 수행함으로써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매치 필터링 동작 (1 μs) 과 라디오 및 데이터 경로 세틀링 동작 (1.2 μs) 을 위한 결합된 지속시간은 2.2 μs 일 수도 있다. 따라서,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지속기간은 2.2 μs 일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201) 는 또한, 1 μs 매치 필터링 동작을 사용하여 (개략적 타이밍 동작 (616) 과 같은) 개략적 타이밍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STA (201) 가 (동작 (616) 과 같은) 개략적 타이밍 동작을 위해 1 μs 매치 필터링 동작을 사용할 때, STA (201) 는 3.6 μs 동안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중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무선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동작들 및 모니터링하지 않기 위한 동작들의 지속기간은 5.8 μs (3.6 μs + 2.2 μs) 일 수도 있다. 이 예에서, 리슨 모드에 대한 듀티 사이클은 62% (3.6/5.8) 일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패킷은 임의의 적합한 지속기간의 L-STF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패킷은, 8 μs 보다 긴 L-STF 를 갖는 그린필드 프리앰블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린필드 프리앰블은 IEEE 802.11be 표준에서 정의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그린필드 프리앰블은, 10 μs 이상의 지속기간을 갖는 L-STF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201) 는, 도 6 에 설명된 바와 같이, 2.2 μs 동안 파워-온 상태에서 동작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10 μs 의 L-STF 및 2.2 μs 의 파워-온 상태 동작들이 주어지면, STA 는 3.6 μs 동안 파워-오프 상태로 유지되고, 10 μs 내에서 L-STF (604) 를 여전히 검출할 수 있다. 10 μs L-STF 및 도 6 에 도시된 파워-온 상태 동작들의 타이밍이 주어지면, STA (201) 는 62% 의 듀티 사이클을 달성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듀티 사이클은, L-STF 의 지속기간 및 L-STF 를 검출하기 위한 동작들의 속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할 수도 있다.
도 7 은, STA 의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포함하는 WLAN 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프로세스 (700) 를 도시한다. 프로세스 (700) 는, 도 8 및 도 10 을 각각 참조하여 설명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 (800) 또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프로세스 (700) 는, 도 1, 도 2, 도 3 및 도 9b 를 참조하여 설명된 STA들 (104, 201 및 904) 중 하나와 같은 STA 로서 또는 그 내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710 에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는 제 1 WLAN 디바이스의 리슨 모드 동안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제 1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할 수도 있다.
블록 720 에서, 그 장치는, 파워-온 상태 동안, 제 2 WLAN 디바이스로부터 패킷의 프리앰블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8 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디바이스 (800) 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일부 구현들에 있어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 (800) 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STA들 (104) 또는 STA (201) 중 하나와 같은 STA 에서의 사용을 위한 디바이스의 일 예일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 있어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 (800) 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AP (102) 와 같은 AP 에서의 사용을 위한 디바이스의 일 예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800) 는 일반적으로, 장치 또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800) 는 (예를 들어, 무선 패킷들의 형태의) 무선 통신물들을 송신 (또는 송신을 위해 출력) 및 수신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 (800) 는, 미래의 802.11 표준들에 추가하여, 802.11ah, 802.11ad, 802.11ay, 802.11ax, 802.11az, 802.11ba 및 802.11be 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IEEE 802.11-2016 사양 또는 그 개정안들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IEEE 802.11 표준에 부합하는 PPDU들 및 MPDU들의 형태로 패킷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800) 는 칩, 시스템 온 칩 (SoC), 칩셋, 패키지, 또는 하나 이상의 모뎀들 (802), 예를 들어, Wi-Fi (IEEE 802.11 호환) 모뎀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모뎀들 (802) (집합적으로, "모뎀 (802)") 은 WWAN 모뎀 (예를 들어, 3GPP 4G LTE 또는 5G 호환 모뎀) 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들에 있어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 (800) 는 또한, 하나 이상의 라디오들 (804) (집합적으로, "라디오 (804)") 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들에 있어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 (800) 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프로세싱 블록들 또는 프로세싱 엘리먼트들 (집합적으로, "프로세서 (806)")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 블록들 또는 엘리먼트들 (집합적으로, "메모리 (808)") 을 더 포함한다.
모뎀 (802) 은, 다른 가능성들 중에서도, 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와 같은 지능형 하드웨어 블록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모뎀 (802) 은 일반적으로, PHY 계층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모뎀 (802) 은 패킷들을 변조하고, 변조된 패킷들을 무선 매체 상으로의 송신을 위해 라디오 (804) 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모뎀 (802) 은 라디오 (804) 에 의해 수신된 변조된 패킷들을 획득하고 패킷들을 복조하여 복조된 패킷들을 제공하도록 유사하게 구성된다. 변조기 및 복조기에 부가하여, 모뎀 (802) 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DSP) 회로부, 자동 이득 제어 (AGC), 코더, 디코더, 멀티플렉서 및 디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모드에 있는 동안, 프로세서 (806) 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는,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비트들을 제공하는 코더에 제공된다. 인코딩된 비트들은 (선택된 MCS 를 사용하여) 변조 콘스텔레이션에서의 포인트들에 맵핑되어, 변조된 심볼들을 제공한다. 변조된 심볼들은 공간 스트림들의 수 (NSS) 또는 공간-시간 스트림들의 수 (NSTS) 에 맵핑될 수도 있다. 개별 공간 또는 공간-시간 스트림들에서의 변조된 심볼들은 멀티플렉싱되고, 인버스 고속 푸리에 변환 (IFFT) 블록을 통해 변환되고, 후속하여, Tx 윈도잉 및 필터링을 위해 DSP 회로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디지털 신호들은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DAC) 에 제공될 수도 있다. 결과적인 아날로그 신호들은 주파수 업컨버터, 및 궁극적으로, 라디오 (804) 에 제공될 수도 있다. 빔포밍을 수반하는 구현들에 있어서, 개별 공간 스트림들에서의 변조된 심볼들은 IFFT 블록으로의 그들의 제공 전에 스티어링 매트릭스를 통해 프리코딩된다.
수신 모드에 있는 동안, 라디오 (804) 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들은, 예를 들어, 신호의 존재를 검출하고 초기 타이밍 및 주파수 오프셋들을 추정함으로써 수신된 신호를 포착하도록 구성되는 DSP 회로부에 제공된다. DSP 회로부는, 예를 들어, 채널 (협대역) 필터링, (I/Q 불균형을 정정하는 것과 같은) 아날로그 손상 컨디셔닝, 및 궁극적으로 협대역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디지털 이득을 적용하는 것을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들을 디지털적으로 컨디셔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DSP 회로부의 출력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수신된 트레이닝 필드들에서 디지털 신호들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사용하여 적절한 이득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AGC 에 공급될 수도 있다. DSP 회로부의 출력은 또한, 신호로부터 변조된 심볼들을 추출하고, 예를 들어, 각각의 공간 스트림에서 각각의 서브캐리어의 각각의 비트 포지션에 대한 로그 가능성 비율들 (LLR들) 을 컴퓨팅하도록 구성되는 복조기와 커플링된다. 복조기는, 디코딩된 비트들을 제공하기 위해 LLR들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디코더와 커플링된다. 모든 공간 스트림들로부터의 디코딩된 비트들은 디멀티플렉싱을 위해 디멀티플렉서에 공급된다. 디멀티플렉싱된 비트들은 디스크램블링되고, 프로세싱, 평가 또는 해석을 위해 MAC 계층 (프로세서 (806)) 에 제공될 수도 있다.
라디오 (804) 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들로 결합될 수도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주파수 (RF) 송신기 (또는 "송신기 체인") 및 적어도 하나의 RF 수신기 (또는 "수신기 체인")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F 송신기들 및 수신기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전력 증폭기 (PA)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잡음 증폭기 (LNA) 를 포함하는 다양한 DSP 회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RF 송신기들 및 수신기들은, 차례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들에 있어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 (800) 는 다중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은 대응하는 송신 체인을 가짐) 및 다중의 수신 안테나들 (각각은 대응하는 수신 체인을 가짐) 을 포함하거나 이들과 커플링될 수 있다. 모뎀 (802) 으로부터 출력된 심볼들은 라디오 (804) 에 제공되고, 이 라디오는, 커플링된 안테나들을 통해 심볼들을 송신한다. 유사하게, 안테나들을 통해 수신된 심볼들은 라디오 (804) 에 의해 획득되고, 이 라디오는, 그 심볼들을 모뎀 (802) 에 제공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라디오 (804)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인터페이스들" 로서도 또한 지칭될 수도 있음) 을 형성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806) 는, 예를 들어, 프로세싱 코어, 프로세싱 블록, 중앙 프로세싱 유닛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와 같은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지능형 하드웨어 블록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806) 는 라디오 (804) 및 모뎀 (802) 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프로세싱하고, 무선 매체를 통한 송신을 위해 모뎀 (802) 및 라디오 (804) 를 통해 출력될 정보를 프로세싱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806) 는 MPDU들, 프레임들 또는 패킷들의 생성 및 송신에 관련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평면 및 MAC 계층을 구현할 수도 있다. MAC 계층은, 다른 동작들 또는 기법들 중에서도, 프레임들의 코딩 및 디코딩, 공간 멀티플렉싱, 공간-시간 블록 코딩 (STBC), 빔포밍, 및 OFDMA 리소스 할당을 수행하거나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들에 있어서, 프로세서 (806) 는 일반적으로, 모뎀으로 하여금 상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모뎀 (802) 을 제어할 수도 있다.
메모리 (808) 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 (ROM), 또는 이들의 조합들과 같은 유형의 저장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808) 는 또한, 프로세서 (806) 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로 하여금 MPDU들, 프레임들 또는 패킷들의 생성, 송신, 수신 및 해석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소프트웨어 (SW)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컴포넌트들의 다양한 기능들,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동작, 프로세스 또는 알고리즘의 다양한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의 하나 이상의 모듈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 (800) 는 전력 상태 제어기 (도시 안됨)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 상태 제어기는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된 전력 상태 제어기 (404) 와 유사할 수도 있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들 중 임의의 동작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전력 상태 제어기는 프로세서 (806) 및 메모리 (808) 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 (808) 는, 전력 상태 제어기의 기능성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세서 (806) 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기능성들 중 임의의 기능성은 하드웨어에서 또는 프로세서 (806) 상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 (800) 의 프로세서 (806) 및 메모리 (808) 는 프로세싱 시스템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입력들을 수신하고 입력들을 프로세싱하여 출력들의 세트 (예를 들어, STA들 (104) 중 하나 또는 AP들 (102) 중 하나의 다른 시스템들 또는 컴포넌트들로 전달될 수도 있음) 를 생성하는 시스템 또는 일련의 머신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프로세싱 시스템은 프로세서 (806), 메모리 (808), 및 모뎀 (802) 과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 (800) 의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 (104) 의 프로세싱 시스템은 STA (104) 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인터페이싱할 수도 있고, (입력들 또는 신호들과 같은) 다른 컴포넌트들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프로세싱하고, 정보를 다른 컴포넌트들에 출력하는 등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 (800) 와 같은) STA (104) 의 칩 또는 모뎀은 프로세싱 시스템 및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은 정보를 수신 또는 획득하기 위한 제 1 인터페이스, 및 정보를 출력, 송신 또는 제공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1 인터페이스는, STA (104) 가 정보 또는 신호 입력들을 수신할 수도 있고 그리고 정보가 프로세싱 시스템에 전달될 수도 있도록, 칩 또는 모뎀의 프로세싱 시스템과 수신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2 인터페이스는, STA (104) 가 칩 또는 모뎀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도록, 칩 또는 모뎀의 프로세싱 시스템과 송신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지칭할 수도 있다. 당업자는 제 2 인터페이스가 또한 정보 또는 신호 입력들을 획득 또는 수신할 수도 있고 그리고 제 1 인터페이스가 또한 정보를 출력, 송신 또는 제공할 수도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AP (102) 의 프로세싱 시스템은 AP (102) 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인터페이싱할 수도 있고, (입력들 또는 신호들과 같은) 다른 컴포넌트들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프로세싱하고, 정보를 다른 컴포넌트들에 출력하는 등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 (800) 와 같은) AP (102) 의 칩 또는 모뎀은 프로세싱 시스템, 정보를 수신 또는 획득하기 위한 제 1 인터페이스, 및 정보를 출력, 송신 또는 제공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1 인터페이스는, AP (102) 가 정보 또는 신호 입력들을 수신할 수도 있고 그리고 정보가 프로세싱 시스템에 전달될 수도 있도록, 칩 또는 모뎀의 프로세싱 시스템과 수신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2 인터페이스는, AP (102) 가 칩 또는 모뎀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도록, 칩 또는 모뎀의 프로세싱 시스템과 송신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지칭할 수도 있다. 당업자는 제 2 인터페이스가 또한 정보 또는 신호 입력들을 획득 또는 수신할 수도 있고 그리고 제 1 인터페이스가 또한 정보를 출력, 송신 또는 제공할 수도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도 9a 는 예시적인 AP (902) 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AP (902) 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AP (102) 의 예시적인 구현일 수 있다. AP (902) 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910)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 (910) 는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 (800) 의 예시적인 구현일 수도 있다. AP (902) 는 또한, 무선 통신물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 (910) 와 커플링된 다중의 안테나들 (920) 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들에 있어서, AP (902) 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910) 와 커플링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930),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930) 와 커플링된 메모리 (940) 를 추가로 포함한다. AP (902) 는, AP (902) 로 하여금 인터넷을 포함한 외부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를 획득하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 또는 백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950) 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외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950) 는 유선 (예를 들어, 이더넷)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WWAN 인터페이스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컴포넌트들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 상으로 그 컴포넌트들 중 다른 것들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AP (902) 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910),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930), 메모리 (940), 및 안테나들 (920) 및 외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950) 의 적어도 일부분들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도 9b 는 예시적인 STA (904) 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STA (904) 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STA (104) 또는 STA (201) 의 예시적인 구현일 수 있다. STA (904) 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915)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 (915) 는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 (800) 의 예시적인 구현일 수도 있다. STA (904) 는 또한, 무선 통신물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 (915) 와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925) 을 포함할 수도 있다. STA (904) 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915) 와 커플링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935),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935) 와 커플링된 메모리 (945) 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 있어서, STA (904) 는 (터치스크린 또는 키패드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UI) (955) 및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UI (955) 와 통합될 수도 있는 디스플레이 (965) 를 더 포함한다. 일부 구현들에 있어서, STA (904) 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 가속도계들, 온도 센서들, 압력 센서들, 또는 고도 센서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들 (975)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컴포넌트들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 상으로 그 컴포넌트들 중 다른 것들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STA (904) 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915),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935), 메모리 (945), 및 안테나들 (925), UI (955) 및 디스플레이 (965) 의 적어도 일부분들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도 10 은 본 개시의 양태들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AP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AP들 중 임의의 AP 를 포함함), 범위 확장기 (range extender), 스테이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STA들 중 임의의 STA 를 포함함) 또는 다른 전자 시스템들 중 하나일 수도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프로세서 (1002) (가능하게는, 다중의 프로세서들, 다중의 코어들, 다중의 노드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멀티-스레딩을 구현하는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또한 메모리 (1006) 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1006) 는 시스템 메모리,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가능한 실현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프로세서 (1002) 및 메모리 (1006) 는 프로세싱 시스템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또한, (PCI, ISA, PCI-익스프레스, HyperTransport®, InfiniBand®, NuBus®, AHB, AXI 등과 같은) 버스 (1010), 및 (WLAN 인터페이스, Bluetooth® 인터페이스, WiMAX® 인터페이스, ZigBee® 인터페이스, 무선 USB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이더넷 인터페이스, 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1004) ("인터페이스들"로서 또한 지칭될 수도 있음) 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다중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지원할 수도 있으며 - 이들의 각각은 전자 디바이스 (1000) 를 상이한 통신 네트워크에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된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들을 구현할 수도 있는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는 프로세서 (1002) 및 메모리 (1006) 내에 분산될 수도 있다.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는 본 개시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위치 인식 스티어링 동작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1004) 은 RF 프론트 엔드 (406), ADC (408) 및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 (41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은 또한 전력 상태 제어기 (404)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1006) 는, 도 1 내지 도 10 에서 설명된 구현들의 기능성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세서 (1002) 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기능성들 중 임의의 기능성은 하드웨어에서 또는 프로세서 (1002) 상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능성은 주문형 집적 회로로, 프로세서 (1002) 에서 구현되는 로직으로, 주변 디바이스 또는 카드 상의 코-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추가로, 실현들은 (비디오 카드들, 오디오 카드들, 추가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주변 디바이스들 등과 같이) 도 10 에 예시되지 않은 더 적거나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1002), 메모리 (1006),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004) 는 버스 (1010) 에 커플링된다. 버스 (1010) 에 커플링되는 것으로서 예시되지만, 메모리 (1006) 는 프로세서 (1002)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0 및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동작들은 예시적인 구현들을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해 의도된 예들이며, 잠재적인 구현들을 제한하거나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아야 한다. 일부 구현들은 추가적인 동작들, 더 적은 동작들, 병렬로 또는 상이한 순서로의 동작들, 및 일부 동작들을 상이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
전술한 개시는 예시 및 설명을 제공하지만,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양태들을 제한하거나 또는 완전한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수정들 및 변형들이 상기 개시의 관점에서 행해질 수도 있거나 또는 양태들의 실시로부터 취득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이 다양한 예들의 관점에서 설명되었지만, 예들 중 임의의 예로부터의 양태들의 임의의 조합은 또한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다. 본 개시의 예들은 교육학적 목적들을 위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른 예들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예들은 다음의 구현 옵션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조항 1. 본 개시에서 설명된 주제의 하나의 혁신적 양태는, WLAN 에서의 제 1 AP 의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 방법은 제 1 WLAN 디바이스의 리슨 모드 동안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제 1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 방법은, 파워-온 상태 동안, 제 2 WLAN 디바이스로부터 패킷의 프리앰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조항 2. 조항 1 의 방법은,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하기 위해 프리앰블 정보에 대해 자기상관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조항 3. 조항 1 내지 조항 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제 1 WLAN 디바이스는, 프리앰블 정보에 대해 자기상관을 수행하기 위해 파워-온 상태로 유지된다. 그 방법은, 자기상관에 기초하여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리슨 모드 동안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 방법은 패킷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신 모드를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조항 4. 조항 1 내지 조항 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패킷의 프리앰블은 프리앰블 정보의 다수의 반복들을 포함한다. 그 방법은 프리앰블 정보의 반복들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함으로써 프리앰블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조항 5. 조항 1 내지 조항 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프리앰블 정보의 반복들의 수는 STF 정보의 반복들의 수를 포함한다.
조항 6. 조항 1 내지 조항 5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파워-오프 상태의 지속기간 및 파워-온 상태의 지속기간은, 프리앰블 정보의 반복들의 수 및 패킷의 프리앰블의 검출을 위한 시간의 지속기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조항 7. 조항 1 내지 조항 6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단계는 듀티 사이클에 따라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항 8. 조항 1 내지 조항 7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제 1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단계는, RSSI 가 RSSI 임계치보다 클 때 수행된다.
조항 9. 조항 1 내지 조항 8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제 1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단계는, RSSI 가 제 1 RSSI 임계치보다 크고 제 2 RSSI 임계치보다 작을 때 수행된다.
조항 10. 조항 1 내지 조항 9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제 1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RF 프론트 엔드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ADC, 및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11. 조항 1 내지 조항 1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은,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하기 위해 프리앰블 정보에 대해 매치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조항 12. 조항 1 내지 조항 1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제 1 WLAN 디바이스는, 패킷의 프리앰블에 대해 매치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파워-온 상태로 유지된다.
조항 13. 본 개시에서 설명된 주제의 다른 혁신적 양태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는, 제 1 WLAN 디바이스의 리슨 모드 동안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제 1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는, 파워-온 상태 동안, 제 2 WLAN 디바이스로부터 패킷의 프리앰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조항 14. 조항 13 의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추가로,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하기 위해 프리앰블 정보에 대해 자기상관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조항 15. 조항 13 내지 조항 1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추가로, 자기상관에 기초한 패킷의 프리앰블의 검출에 응답하여, 리슨 모드 동안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제 1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의 교번을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추가로, 패킷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신 모드를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조항 16. 조항 13 내지 조항 15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에 있어서, 패킷의 프리앰블은 프리앰블 정보의 다수의 반복들을 포함하고, 프리앰블의 검출은 프리앰블 정보의 반복들 중 하나 이상의 검출을 포함한다.
조항 17. 조항 13 내지 조항 16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에 있어서, 프리앰블 정보의 반복들의 수는 STF 정보의 반복들의 수를 포함한다.
조항 18. 조항 13 내지 조항 17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에 있어서, 파워-오프 상태의 지속기간 및 파워-온 상태의 지속기간은, 프리앰블 정보의 반복들의 수 및 패킷의 프리앰블의 검출을 위한 시간의 지속기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조항 19. 조항 13 내지 조항 18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에 있어서,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의 교번은 듀티 사이클에 따른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의 교번을 포함한다.
조항 20. 조항 13 내지 조항 19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는 추가로, 패킷과 연관된 RSSI 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의 제 1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의 교번은, RSSI 가 RSSI 임계치보다 큰 것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조항 21. 조항 13 내지 조항 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는 추가로, 패킷과 연관된 RSSI 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의 제 1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의 교번은, RSSI 가 제 1 RSSI 임계치보다 크고 제 2 RSSI 임계치보다 작은 것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조항 22. 조항 13 내지 조항 2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에 있어서, 제 1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RF 프론트 엔드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ADC, 및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23. 조항 13 내지 조항 2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추가로,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하기 위해 프리앰블 정보의 하나 이상의 필드들에 대해 매치 필터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조항 24. 본 개시에서 설명된 주제의 다른 혁신적 양태는, 제 1 WLAN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 1 WLAN 디바이스로 하여금 WLAN 에서의 통신을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동작들은 제 1 WLAN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1 WLAN 디바이스의 리슨 모드 동안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제 1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게 할 수도 있다. 동작들은 제 1 WLAN 디바이스로 하여금, 파워-온 상태 동안, 제 2 WLAN 디바이스로부터 패킷의 프리앰블 정보를 획득하게 할 수도 있다.
조항 25. 조항 1 내지 조항 12 및 조항 2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그 명령들은 추가로, 제 1 WLAN 디바이스로 하여금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하기 위해 프리앰블 정보에 대해 자기상관을 수행하게 한다.
조항 26. 조항 1 내지 조항 12 및 조항 24 내지 조항 25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제 1 WLAN 디바이스는, 프리앰블 정보에 대해 자기상관을 수행하기 위해 파워-온 상태로 유지된다. 그 명령들은 추가로, 제 1 WLAN 디바이스로 하여금, 자기상관에 기초하여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리슨 모드 동안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것을 중단하게 하고, 그리고 패킷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신 모드를 개시하게 한다.
조항 27. 조항 1 내지 조항 12 및 조항 24 내지 조항 26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프리앰블 정보는 심볼의 반복들의 수를 포함한다. 그 명령들은 추가로, 제 1 WLAN 디바이스로 하여금 심볼의 반복들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함으로써 프리앰블 정보를 검출하게 한다.
조항 28. 본 개시에서 설명된 주제의 다른 혁신적 양태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는, 제 1 WLAN 디바이스의 리슨 모드 동안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제 1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는, 파워-온 상태 동안, 제 2 WLAN 디바이스로부터 패킷의 프리앰블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조항 29. 조항 1 내지 조항 12 및 조항 28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는,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하기 위해 프리앰블 정보에 대해 자기상관을 수행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조항 30. 조항 1 내지 조항 12 및 조항 28 내지 조항 29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에 있어서, 제 1 WLAN 디바이스는, 프리앰블 정보에 대해 자기상관을 수행하기 위해 파워-온 상태로 유지된다. 그 장치는, 자기상관에 기초하여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리슨 모드 동안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것을 중단하는 수단, 및 패킷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신 모드를 개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주제의 다른 혁신적 양태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스테이션의 장치 또는 AP 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상기 언급된 방법들 또는 특징들 중 임의의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아이템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를 지칭하는 어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여 그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는 a, b, c, a-b, a-c, b-c, 및 a-b-c 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현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프로세스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대체가능성은 일반적으로 기능성의 관점에서 설명되었으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프로세스들에서 예시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에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양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하드웨어 및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는 범용 싱글- 또는 멀티-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어플리케이션 특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기타 다른 구성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 있어서, 특정 프로세스들 및 방법들은, 주어진 기능에 특정한 회로부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양태들에 있어서, 설명된 기능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들 및 이들의 그 구조적 균등물들을 포함하여, 하드웨어, 디지털 전자 회로부,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주제의 구현들은 또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서, 즉,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해 또는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저장 매체 상에서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의 하나 이상의 모듈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된다면, 그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으로 저장 또는 송신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상주할 수도 있는 프로세서 실행가능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일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전송하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 및 컴퓨터 저장 매체들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들일 수도 있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임의의 커넥션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컴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Blu-RayTM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동작들은 코드들 및 명령들 중 하나 또는 그 임의의 조합 또는 그 세트로서 머신 판독가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상주할 수도 있으며, 이 매체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통합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구현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자명할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일탈함없이 다른 구현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 명세서에 나타낸 구현들로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개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받아야 한다.
부가적으로, 당업자는, 용어들 "상위" 및 "하위" 가 종종 도면들을 설명하는 것의 용이를 위해 사용되고 적절히 배향된 페이지 상에서의 도면의 배향에 대응하는 상대적 포지션들을 표시하며 그리고 구현될 때 임의의 디바이스의 적절한 배향을 반영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별도의 구현들의 컨텍스트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정 특징들은 또한 단일 구현에서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반면, 단일 구현의 컨텍스트에 있어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또한, 다중의 구현들에서 별개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하위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비록 특징들이 특정 조합들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설명되고 심지어 그와 같이 초기에 청구될 수도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그 조합으로부터 삭제될 수 있으며, 청구된 조합은 하위조합 또는 하위조합의 변형예로 유도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동작들이 도면들에 있어서 특정 순서로 도시되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들을 달성하기 위해,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 순서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어야 하거나 또는 모든 예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추가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플로우 다이어그램의 형태로 개략적으로 도시할 수도 있다. 하지만, 도시되지 않은 다른 동작들은 개략적으로 예시된 예시적인 프로세스들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추가 동작들이 예시된 동작들 중 임의의 동작들 이전에, 그 이후에, 그와 동시에, 또는 그들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상황들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설명된 구현들에 있어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구현들에서 요구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지 않아야 하며,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의 소프트웨어 제품들로 패키징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다른 구현들은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청구항들에 기재된 액션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한 결과들을 여전히 달성할 수 있다.

Claims (30)

  1. 제 1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WLAN 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의 리슨 (listen) 모드 동안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단계; 및
    상기 파워-온 상태 동안, 제 2 WLAN 디바이스로부터 패킷의 프리앰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WLAN 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프리앰블 정보에 대해 자기상관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WLAN 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는, 상기 프리앰블 정보에 대해 상기 자기상관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파워-온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자기상관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의 상기 프리앰블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리슨 모드 동안 상기 파워-오프 상태와 상기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상기 WLAN 디바이스의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신 모드를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WLAN 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의 프리앰블은 상기 프리앰블 정보의 다수의 반복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앰블 정보의 상기 반복들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프리앰블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WLAN 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정보의 상기 반복들의 수는 숏 트레이닝 필드 (STF) 정보의 반복들의 수를 포함하는, WLAN 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오프 상태의 지속기간 및 상기 파워-온 상태의 지속기간은, 상기 프리앰블 정보의 상기 반복들의 수 및 상기 패킷의 상기 프리앰블의 검출을 위한 시간의 지속기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WLAN 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오프 상태와 상기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단계는 듀티 사이클에 따라 상기 파워-오프 상태와 상기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WLAN 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오프 상태와 상기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의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단계는,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 (RSSI) 가 RSSI 임계치보다 클 때 수행되는, WLAN 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오프 상태와 상기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의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단계는, RSSI 가 제 1 RSSI 임계치보다 크고 제 2 RSSI 임계치보다 작을 때 수행되는, WLAN 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의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무선 주파수 (RF) 프론트 엔드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ADC); 및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WLAN 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프리앰블 정보에 대해 매치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WLAN 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는, 상기 패킷의 상기 프리앰블에 대해 상기 매치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파워-온 상태로 유지되는, WLAN 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3.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로서,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의 리슨 모드 동안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파워-온 상태 동안, 제 2 WLAN 디바이스로부터 패킷의 프리앰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프리앰블 정보에 대해 자기상관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자기상관에 기초한 상기 패킷의 상기 프리앰블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리슨 모드 동안 상기 파워-오프 상태와 상기 파워-온 상태 사이의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의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의 교번을 중단하고; 그리고
    상기 패킷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신 모드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의 프리앰블은 상기 프리앰블 정보의 다수의 반복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앰블의 검출은 상기 프리앰블 정보의 상기 반복들 중 하나 이상의 검출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정보의 상기 반복들의 수는 숏 트레이닝 필드 (STF) 정보의 반복들의 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오프 상태의 지속기간 및 상기 파워-온 상태의 지속기간은, 상기 프리앰블 정보의 상기 반복들의 수 및 상기 패킷의 상기 프리앰블의 검출을 위한 시간의 지속기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오프 상태와 상기 파워-온 상태 사이의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의 교번은 듀티 사이클에 따른 상기 파워-오프 상태와 상기 파워-온 상태 사이의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의 교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추가로,
    상기 패킷과 연관된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 (RSSI) 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워-오프 상태와 상기 파워-온 상태 사이의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의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의 교번은, 상기 RSSI 가 RSSI 임계치보다 큰 것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추가로,
    상기 패킷과 연관된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 (RSSI) 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워-오프 상태와 상기 파워-온 상태 사이의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의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의 교번은, 상기 RSSI 가 제 1 RSSI 임계치보다 크고 제 2 RSSI 임계치보다 작은 것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의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무선 주파수 (RF) 프론트 엔드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ADC); 및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프리앰블 정보의 하나 이상의 필드들에 대해 매치 필터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
  24. 명령들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제 1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의 리슨 모드 동안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파워-온 상태 동안, 제 2 WLAN 디바이스로부터 패킷의 프리앰블 정보를 획득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프리앰블 정보에 대해 자기상관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는, 상기 프리앰블 정보에 대해 상기 자기상관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파워-온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자기상관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의 상기 프리앰블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리슨 모드 동안 상기 파워-오프 상태와 상기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상기 WLAN 디바이스의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것을 중단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패킷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신 모드를 개시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정보는 심볼의 반복들의 수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심볼의 상기 반복들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프리앰블 정보를 검출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8.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로서,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의 리슨 모드 동안 파워-오프 상태와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수단; 및
    상기 파워-온 상태 동안, 제 2 WLAN 디바이스로부터 패킷의 프리앰블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의 프리앰블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프리앰블 정보에 대해 자기상관을 수행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WLAN 디바이스는, 상기 프리앰블 정보에 대해 상기 자기상관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파워-온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자기상관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의 상기 프리앰블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리슨 모드 동안 상기 파워-오프 상태와 상기 파워-온 상태 사이에서 상기 WLAN 디바이스의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교번하는 것을 중단하는 수단, 및
    상기 패킷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신 모드를 개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WLAN 디바이스의 장치.
KR1020237032127A 2021-03-26 2022-02-23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디바이스의 리슨 모드 전력 소비의 감소 KR202301419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14,481 2021-03-26
US17/214,481 US11690015B2 (en) 2021-03-26 2021-03-26 Reducing listen mode power consumption of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evice
PCT/US2022/017586 WO2022203797A1 (en) 2021-03-26 2022-02-23 Reducing listen mode power consumption of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900A true KR20230141900A (ko) 2023-10-10

Family

ID=8073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2127A KR20230141900A (ko) 2021-03-26 2022-02-23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디바이스의 리슨 모드 전력 소비의 감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690015B2 (ko)
EP (1) EP4316012A1 (ko)
JP (1) JP2024510041A (ko)
KR (1) KR20230141900A (ko)
CN (1) CN116998191A (ko)
BR (1) BR112023018717A2 (ko)
TW (1) TW202241178A (ko)
WO (1) WO202220379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6674B1 (en) * 1996-02-23 2001-05-22 Teletransactions, Inc. Transceiver control with sleep mode operation
US20020181546A1 (en) * 2001-03-23 2002-12-05 Odenwalder Joseph P. Preamble channels
US20070070929A1 (en) * 2005-09-28 2007-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negotiating relay station capability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395844A (zh) * 2006-03-03 2009-03-25 高通股份有限公司 无线网络中站的待机时间改进
CN101512973A (zh) * 2006-08-29 2009-08-19 高通股份有限公司 在多个无线局域网中同时操作
EP2012436B1 (en) * 2007-07-05 2016-03-30 Sequans Communications Method for switching a component to an operation mod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090062B2 (en) 2008-09-16 2012-01-03 Redpine Signals, Inc. Process for packet detection
TWI610583B (zh) * 2012-03-06 2018-01-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在無線區域網路中省電方法及裝置
JP6373415B2 (ja) * 2014-06-02 2018-08-1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lanにおけるパワーセーブモードベースの動作方法及び装置
US20180014216A1 (en) * 2016-07-11 2018-01-11 Qualcomm Incorporated Low power and long range preambles f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10459103B1 (en) * 2016-09-29 2019-10-29 Amazon Technologies, Inc. Magnetic entry portal identification system
US10292104B2 (en) 2017-08-21 2019-05-14 Redpine Signals, Inc. Quick decision preamble detector with hierarchical processing
US10856222B2 (en) * 2017-09-11 2020-12-01 Qualcomm Incorporated Preambles for wake-up receivers
CN107734620B (zh) * 2017-11-29 2021-03-12 新华三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唤醒方法、装置及无线接入设备
WO2019118953A1 (en) 2017-12-15 2019-06-20 Redpine Signals, Inc Power-save system for detection of bluetooth long range packets
US20190190765A1 (en) 2017-12-15 2019-06-20 Redpine Signals, Inc. Controller for detection of Bluetooth Low Energy Packets
CN112352454A (zh) * 2018-09-04 2021-02-09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占空比低功耗多用户传输的通信装置和通信方法
US10470121B1 (en) * 2018-12-10 2019-11-05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Energy-efficient idle listening schemes
US10892914B2 (en) 2018-12-27 2021-01-12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98191A (zh) 2023-11-03
US11690015B2 (en) 2023-06-27
BR112023018717A2 (pt) 2023-10-24
WO2022203797A1 (en) 2022-09-29
TW202241178A (zh) 2022-10-16
JP2024510041A (ja) 2024-03-05
EP4316012A1 (en) 2024-02-07
US20220312330A1 (en) 2022-09-29
US20240015658A1 (en)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1239B2 (en) Physical (PHY) layer control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communication
CN114097298A (zh) 用于无线局域网(wlan)中的多链路通信的信令
US20210282119A1 (en) Group data transmissions for multi-link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11337183B2 (en) Aggregated control informa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102036B2 (en) Preamble design for wake-up signals
US11805558B2 (en) Synchronized channel access coexistence
US20210297209A1 (en) Multi-generation communic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KR102378708B1 (ko) 무선랜에서 스테이션의 동작방법
WO2021162945A1 (en) Power saving mechanisms for software enabled access point (softap)
US11690015B2 (en) Reducing listen mode power consumption of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evice
US20240137860A1 (en) Power save protocols for multi-link devices
WO2024086417A1 (en) Power save protocols for multi-link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