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939A -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 - Google Patents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939A
KR20230140939A KR1020220039817A KR20220039817A KR20230140939A KR 20230140939 A KR20230140939 A KR 20230140939A KR 1020220039817 A KR1020220039817 A KR 1020220039817A KR 20220039817 A KR20220039817 A KR 20220039817A KR 20230140939 A KR20230140939 A KR 20230140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wnership
creative work
tokens
genuin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현
신광호
송명석
Original Assignee
(주) 모로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모로보기 filed Critical (주) 모로보기
Priority to KR1020220039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0939A/ko
Publication of KR20230140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93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에서, 창작물 관리 서버가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창작물을 나타내는 고유 파일 및 창작물의 소유권을 분할하는 분할 개수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창작물에 상응하는 고유한 토큰 ID를 갖고 창작물의 창작자의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분할 개수의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블록체인 상에 생성하고, 분할 개수의 절반보다 큰 개수에 상응하는 제1 개수를 결정하고, 분할 개수에서 제1 개수를 차감한 개수를 제2 개수로 결정하고, 분할 개수의 대체 불가능 토큰들 중에서 제1 개수의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일괄 판매만 허용되는 진품 소유권 토큰들로 결정하고, 제2 개수의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분할 판매 가능한 분할 소유권 토큰들로 결정하고, 제1 개수의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에 대한 일괄 판매를 등록하고,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제1 개수의 진품 소유권 토큰들에 대한 일괄 매수 요청에 기초하여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 중의 하나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진품 소유권 매수자로 결정하고,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창작물에 대한 제1 개수의 진품 소유권 토큰들을 일괄적으로 창작자의 주소로부터 진품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METHOD OF TRADING CREATIVE WORK BASED ON NON-FUNGIBLE TOKEN}
본 발명은 창작물의 거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사용하여 창작물을 거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사용자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거래 내역이 네트워크 구성원들 사이에 공유되어 저장되는 디지털 원장(ledger)을 나타낸다.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거래 내역은 과반수가 넘는 사용자들의 합의를 통해 확정되고 확정된 거래 내역은 하나의 블록으로 묶여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블록체인에 연결된 블록에 포함되는 거래 내역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해당 블록 및 해당 블록 이후에 연결된 모든 블록들에 대해 다시 과반수가 넘는 사용자들의 합의를 얻어야 하므로,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위조 또는 변조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에 저장된 거래 내역은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은 매우 높다.
따라서 최근에는 인터넷 상거래 분야, 금융 서비스 분야 등과 같이 사용자들 사이의 거래를 다루는 산업 분야에서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거래 내역을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블록체인 시스템은 자산을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통해 생성되는 토큰(token) 형태로 관리한다.
토큰은 동일한 타입의 다른 토큰과 교환이 가능한 대체 가능 토큰(Fungible Token)과 토큰마다 고유한 ID를 갖고 있어서 다른 토큰과 교환이 불가능한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체 불가능 토큰은 다른 토큰과 교환이 불가능하다는 고유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특정 자산의 소유권을 안전하게 보장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대체 불가능 토큰을 사용하여 특정 자산을 안전하게 거래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사용하여 창작물을 다양한 방식으로 거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에서, 창작물 관리 서버가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창작물을 나타내는 고유 파일 및 상기 창작물의 소유권을 분할하는 분할 개수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사용하여 상기 창작물에 상응하는 고유한 토큰 ID를 갖고 상기 창작물의 창작자의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상기 분할 개수의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들을 블록체인 상에 생성하고,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분할 개수의 절반보다 큰 개수에 상응하는 제1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분할 개수에서 상기 제1 개수를 차감한 개수를 제2 개수로 결정하고, 상기 분할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 중에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일괄 판매만 허용되는 진품 소유권 토큰들로 결정하고, 상기 제2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분할 판매 가능한 분할 소유권 토큰들로 결정하고,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에 대한 일괄 판매를 등록하고,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에 대한 일괄 매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 중의 하나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진품 소유권 매수자로 결정하고,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을 일괄적으로 상기 창작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전송하고,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은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 중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개별 판매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에 대한 개별 매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분할 소유권 매수자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2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 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창작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 중의 적어도 일부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는 상기 분할 개수의 절반보다 큰 최소의 자연수를 상기 제1 개수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청은 상기 분할 개수의 절반보다 크고 상기 분할 개수보다 작은 값을 갖는 진품 소유권 개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는 상기 진품 소유권 개수를 상기 제1 개수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에 대한 일괄 판매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에 대한 진품 소유권 경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진품 소유권 경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에 대한 온라인 경매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에 대한 일괄 판매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에 대한 제1 판매 가격을 포함하는 진품 소유권 지정가 판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진품 소유권 지정가 판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를 상기 제1 판매 가격에 일괄 판매하기 위한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 중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개별 판매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의 매각 개수를 포함하는 분할 소유권 경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분할 소유권 경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매각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에 대한 온라인 경매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 중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개별 판매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의 매각 개수 및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 하나에 대한 제2 판매 가격을 포함하는 분할 소유권 지정가 판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분할 소유권 지정가 판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매각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 각각을 상기 제2 판매 가격에 개별 판매하기 위한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은,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창작물을 활용하여 제조되는 2차 가공물의 판매에 대한 허가 요청을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을 소유하고 있는 진품 소유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진품 소유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에 대한 승인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진품 소유자의 전자지갑 및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은,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진품 소유자 단말기와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 금액에 대한 상기 진품 소유자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배당 총액의 비율에 상응하는 배당률에 대해 전자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진품 소유자의 전자지갑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하는 단계는,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 금액 중에서 상기 진품 소유자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배당 총액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진품 소유자가 소유하고 있는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의 개수,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이 소유하고 있는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의 개수, 및 상기 배당 총액에 기초하여 상기 진품 소유자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에 대한 배당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진품 소유자에 대해 결정된 상기 배당금을 상기 진품 소유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에 대해 결정된 상기 배당금을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은,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창작자가 현재 소유하고 있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의 개수 및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의 개수에 무관하게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 금액 중의 다른 일부를 상기 창작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은 창작물에 대한 창작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창작물의 소유권을 상기 창작물에 대한 수익 권한만을 갖는 분할 소유권과 상기 창작물에 대한 수익 권한뿐만 아니라 상기 창작물에 대한 관리 권한 및 상기 창작물의 활용 방법 결정 권한도 독점적으로 갖는 진품 소유권으로 구분하여 분할 판매할 수 있으므로, 상기 창작물의 소유권은 사용자들 사이에서 안전하면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자유롭게 거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 기반 창작물 거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 기반 창작물 거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시스템(10)은 블록체인 상에 생성되는 대체 불가능 토큰을 사용하여 그래픽 이미지, 애니메이션 등과 같이 디지털로 창작되는 디지털 컨텐츠 및 미술품, 공예품 등과 같이 실물로 창작되는 실물 컨텐츠를 다양한 방식으로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시스템(10)은 창작물 관리 서버(100), 파일 시스템(110), 메인넷(Mainnet)(200), 창작자 단말기(300), 및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을 포함한다.
창작자 단말기(300)는 디지털 컨텐츠 또는 실물 컨텐츠와 같은 창작물을 창작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창작자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기를 나타내고,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은 상기 창작자에 의해 창작된 상기 창작물을 구매하고자 하는 복수의 구매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기들을 나타낸다.
도 1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시스템(10)은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창작자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시스템(10)은 복수의 창작자 단말기(300)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창작자 단말기(300) 및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 각각은 특정 종류의 단말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마트폰,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이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전자 통신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자와 상기 구매자 사이에서 상기 창작물의 거래를 중개하는 운영자에 의해 운영된다.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메인넷(200)에 연결되어 메인넷(200)의 노드로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메인넷(200)의 복수의 노드들 사이에 공유되는 블록체인(210)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블록체인(2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넷(200)은 이더리움(Ethereum) 네트워크에 상응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창작물 별로 고유한 토큰 ID를 갖는 대체 불가능 토큰을 발행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SC)(220)를 작성하여 메인넷(200)의 블록체인(210)에 미리 배포(deploy)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창작자는 상기 창작물을 창작하는 경우, 창작물 관리 서버(100)를 통해 상기 창작물을 상기 복수의 구매자들에게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창작자는 상기 창작물의 소유권을 분할하여 판매할 수 있으며, 상기 창작자는 상기 창작물의 소유권의 분할 개수를 직접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창작물의 소유권은 상기 창작물에 대한 수익 권한만을 갖는 분할 소유권과 상기 창작물에 대한 수익 권한뿐만 아니라 상기 창작물에 대한 관리 권한 및 상기 창작물의 활용 방법 결정 권한도 독점적으로 갖는 진품 소유권으로 구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은 도 1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시스템(1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시스템(10)의 구성 및 동작과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시스템(10)에 의해 수행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창작물을 창작하여 창작물 관리 서버(100)를 통해 상기 창작물을 판매하고자 하는 상기 창작자는 창작자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창작물을 나타내는 고유 파일(U_F) 및 상기 창작물의 소유권을 분할하는 분할 개수(D_N)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R_REQ)을 창작물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이 디지털 컨텐츠인 경우, 고유 파일(U_F)은 상기 창작물의 원본 파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이 실물 컨텐츠인 경우, 고유 파일(U_F)은 상기 창작물을 대표하기 위해 촬영된 상기 창작물에 대한 이미지 파일일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창작물의 고유 파일(U_F) 및 상기 창작물의 소유권을 분할하는 분할 개수(D_N)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R_REQ)을 수신하는 경우(단계 S100), 블록체인(210)에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220)를 사용하여 상기 창작물에 상응하는 고유한 토큰 ID를 갖고 상기 창작자의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분할 개수(D_N)의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블록체인(210) 상에 생성할 수 있다(단계 S200).
따라서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등록 요청(R_REQ)에 응답하여 창작물 관리 서버(100)에 의해 블록체인(210) 상에 생성되는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 각각의 최초 소유자는 상기 창작자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창작물 관리 서버(100)에 의해 블록체인(210)에 배포되는 스마트 컨트랙트(220)는 ERC-1155 토큰 표준을 따라 작성된 스마트 컨트랙트일 수 있다.
한편,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등록 요청(R_REQ)에 응답하여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생성하는 경우, 등록 요청(R_REQ)에 포함되는 상기 창작물의 고유 파일(U_F)을 블록체인(210)의 외부에 존재하는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하고, 상기 창작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M_D)를 생성한 후, 메타데이터(M_D)를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 시스템(110)은 분산형 파일 시스템(InterPlanetary File System; IPFS)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등록 요청(R_REQ)은 상기 창작물의 고유 파일(U_F) 및 상기 창작물의 소유권을 분할하는 분할 개수(D_N) 이외에 상기 창작물의 명칭, 상기 창작물에 대한 설명, 및 상기 창작자의 전자서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등록 요청(R_REQ)에 응답하여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생성할 때, 등록 요청(R_REQ)에 포함되는 상기 창작물의 고유 파일(U_F)을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하고, 고유 파일(U_F)에 대한 해시값을 계산한 후, 상기 창작물의 명칭, 상기 창작물에 대한 설명, 상기 창작자의 주소, 상기 창작자의 전자서명, 상기 해시값, 및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된 고유 파일(U_F)에 대한 경로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M_D)를 생성하여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된 메타데이터(M_D)에 대한 경로와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상기 토큰 ID를 서로 연관시켜 블록체인(2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물의 고유 파일(U_F) 및 메타데이터(M_D)에 포함되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창작물에 대한 메타데이터(M_D)는 상기 창작자의 주소를 포함하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창작자가 상기 창작물에 대한 모든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판매하여 상기 창작자가 소유하는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이 0개가 되는 경우에도,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에 상응하는 상기 창작물을 창작한 사람은 상기 창작자라는 정보는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과 연결되는 메타데이터(M_D)에 지속적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창작물의 고유 파일(U_F)의 크기는 블록체인(210)의 한 블록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므로, 상기 창작물의 고유 파일(U_F)과 상기 창작물에 대한 메타데이터(M_D)를 블록체인(210)에 저장하는 경우, 저장에 많은 시간 및 많은 비용(gas)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작물 거래 시스템(10)에 포함되는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물의 고유 파일(U_F)과 상기 창작물에 대한 메타데이터(M_D)는 블록체인(210)의 외부에 존재하는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하고,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된 메타데이터(M_D)에 대한 경로와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상기 토큰 ID를 서로 연관시켜 블록체인(210)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고유 파일(U_F) 및 메타데이터(M_D)는 블록체인(210) 외부에 존재하는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되므로, 창작물 거래 시스템(10)에 포함되는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고유 파일(U_F) 및 메타데이터(M_D)의 저장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고유 파일(U_F) 및 메타데이터(M_D)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으면서도,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된 메타데이터(M_D)에 대한 경로와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상기 토큰 ID는 서로 연관되어 블록체인(210)에 저장되므로, 블록체인(210)에 생성된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과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된 메타데이터(M_D) 사이의 연결을 명확하게 보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된 메타데이터(M_D)의 내용이 변경됨으로써 블록체인(210)에 생성되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과 상기 창작물의 고유 파일(U_F) 사이의 연결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메타데이터(M_D)에 포함되는 정보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블록체인(210)에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메타데이터(M_D)에 포함되는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된 고유 파일(U_F)에 대한 경로를 블록체인(210)에 추가로 저장함으로써 블록체인(210)에 생성된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과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된 고유 파일(U_F) 사이의 연결을 보다 강화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창작물 관리 서버(100)가 등록 요청(R_REQ)에 응답하여 상기 창작물에 대한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생성한 이후,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진품 소유권 토큰들 및 분할 소유권 토큰들로 구분할 수 있다(단계 S300).
구체적으로,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분할 개수(D_N)의 절반보다 큰 개수에 상응하는 제1 개수를 결정하고, 분할 개수(D_N)에서 상기 제1 개수를 차감한 개수를 제2 개수로 결정한 후,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 중에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진품 소유권 토큰들로 결정하고,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 중에서 나머지 상기 제2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분할 소유권 토큰들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은 분할해서 판매할 수 없고 일괄 판매만 허용되고, 상기 제2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은 분할 판매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분할 개수(D_N)의 절반보다 큰 최소의 자연수를 상기 제1 개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 개수(D_N)가 100인 경우,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제1 개수는 51로 결정하고, 상기 제2 개수는 49개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창작자가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 중에서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로 분류할 개수를 직접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등록 요청(R_REQ)은 분할 개수(D_N)의 절반보다 크고 분할 개수(D_N)보다 작은 값을 갖는 진품 소유권 개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등록 요청(R_REQ)에 포함되는 상기 진품 소유권 개수를 상기 제1 개수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를 소유하는 사람은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진품 소유권을 갖는 진품 소유자에 상응하고,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2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 중에서 1개 이상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을 소유하는 사람은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분할 소유권을 갖는 분할 소유자에 상응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분할 소유자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수익 권한만을 갖는 데에 반해,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진품 소유자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수익 권한뿐만 아니라 상기 창작물에 대한 관리 권한 및 상기 창작물의 활용 방법 결정 권한도 독점적으로 갖는다.
창작물 관리 서버(100)가 등록 요청(R_REQ)에 응답하여 상기 창작물에 대한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및 상기 제2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로 구분한 이후, 상기 창작자는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및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을 사용하여 상기 창작물의 소유권을 분할하여 판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진품 소유권의 판매를 위해,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에 대한 일괄 판매를 등록하고(단계 S400),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에 대한 일괄 매수 요청에 기초하여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 중의 하나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진품 소유권 매수자로 결정할 수 있다(단계 S500).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시스템(10)은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을 사용하여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진품 소유권을 경매 방식 또는 지정가 방식으로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진품 소유권을 경매 방식으로 판매하기 위해, 창작자 단말기(300)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에 대한 진품 소유권 경매 요청(GA_REQ)을 창작물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창작물에 대한 진품 소유권 경매 요청(GA_REQ)을 수신하는 경우, 진품 소유권 경매 요청(GA_REQ)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에 대한 온라인 경매를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에 대해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이 응찰할 수 있는 입찰 화면을 게시함으로써 상기 온라인 경매를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경매가 개시되는 경우,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로부터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에 대한 진품 소유권 입찰 금액(GP)을 포함하는 진품 소유권 경매 응찰 신호(GA_RES)를 수신하고,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 중에서 가장 높은 진품 소유권 입찰 금액(GP)을 포함하는 진품 소유권 경매 응찰 신호(GA_RES)를 전송한 구매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진품 소유권 경매 응찰 신호(GA_RES)는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에 대한 상기 일괄 매수 요청에 상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가 결정되는 경우,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의 구매자 단말기(400)가 전송한 진품 소유권 입찰 금액(GP)을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고, 블록체인(210)에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220)를 사용하여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를 일괄적으로 상기 창작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600).
또한,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블록체인(210)에 저장할 수 있다(단계 S700).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진품 소유권을 지정가 방식으로 판매하기 위해, 창작자 단말기(300)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에 대한 제1 판매 가격(PR1)을 포함하는 진품 소유권 지정가 판매 요청(GS_REQ)을 창작물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에 대한 제1 판매 가격(PR1)을 포함하는 진품 소유권 지정가 판매 요청(GS_REQ)을 수신하는 경우, 진품 소유권 지정가 판매 요청(GS_REQ)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를 제1 판매 가격(PR1)에 일괄 판매하기 위한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후,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로부터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를 제1 판매 가격(PR1)에 매수하기를 요청하는 진품 소유권 지정가 매수 요청 신호(GS_RES)를 수신하고,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 중에서 진품 소유권 지정가 매수 요청 신호(GS_RES)를 최초로 전송한 구매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진품 소유권 지정가 매수 요청 신호(GS_RES)는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에 대한 상기 일괄 매수 요청에 상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가 결정되는 경우,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제1 판매 가격(PR1)에 상응하는 금액을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고, 블록체인(210)에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220)를 사용하여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를 일괄적으로 상기 창작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600).
또한,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블록체인(210)에 저장할 수 있다(단계 S7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를 일괄적으로 상기 창작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전송하는 동작(단계 S600) 및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블록체인(210)에 저장하는 동작(단계 S700)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ERC-1155 토큰 표준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220)에 구현되는 TransferSingle 이벤트 또는 TransferBatch 이벤트를 사용하여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를 일괄적으로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이전하는 동작 및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블록체인(210)에 저장하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창작물이 미술품, 공예품 등과 같은 실물 컨텐츠인 경우,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후, 상기 창작자는 상기 실물 컨텐츠를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에게 이전해야 하며,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는 상기 실물 컨텐츠를 직접 소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분할 소유권의 판매를 위해,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제2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 중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개별 판매를 등록하고(단계 S800),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에 대한 개별 매수 요청에 기초하여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 중의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분할 소유권 매수자로 결정할 수 있다(단계 S900).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시스템(10)은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을 사용하여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분할 소유권을 경매 방식 또는 지정가 방식으로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분할 소유권을 경매 방식으로 판매하기 위해, 창작자 단말기(300)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2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 중에서 경매를 통해 판매하고자 하는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의 개수에 상응하는 매각 개수(A_N)를 포함하는 분할 소유권 경매 요청(DA_REQ)을 창작물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의 매각 개수(A_N)를 포함하는 분할 소유권 경매 요청(DA_REQ)을 수신하는 경우, 분할 소유권 경매 요청(DA_REQ)에 응답하여 매각 개수(A_N)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에 대한 온라인 경매를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매각 개수(A_N)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에 대해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이 응찰할 수 있는 입찰 화면을 게시함으로써 상기 온라인 경매를 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분할 소유권 경매 요청(DA_REQ)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창작물에 대해 생성된 상기 제2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 중에서 상기 창작자의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의 개수를 조회할 수 있다.
상기 조회된 개수가 매각 개수(A_N)보다 적은 경우, 상기 창작자가 현재 소유하고 있는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을 경매를 통해 매각하고자 요청한 것이므로,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경매 불가 메시지를 창작자 단말기(300)에 전송하고 매각 개수(A_N)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에 대한 경매를 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조회된 개수가 매각 개수(A_N)보다 많거나 같은 경우,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매각 개수(A_N)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에 대한 온라인 경매를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경매가 개시되는 경우,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로부터 매각 개수(A_N)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에 대한 분할 소유권 입찰 금액(DP)을 포함하는 분할 소유권 경매 응찰 신호(DA_RES)를 수신하고,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 중에서 가장 높은 분할 소유권 입찰 금액(DP)을 포함하는 분할 소유권 경매 응찰 신호(DA_RES)를 전송한 구매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분할 소유권 경매 응찰 신호(DA_RES)는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에 대한 상기 개별 매수 요청에 상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가 결정되는 경우,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의 구매자 단말기(400)가 전송한 분할 소유권 입찰 금액(DP)을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고, 블록체인(210)에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220)를 사용하여 상기 창작물에 대한 매각 개수(A_N)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을 상기 창작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1000).
또한,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매각 개수(A_N)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블록체인(210)에 저장할 수 있다(단계 S1100).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분할 소유권을 지정가 방식으로 판매하기 위해, 창작자 단말기(300)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2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 중에서 지정가 방식으로 판매하고자 하는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의 개수에 상응하는 매각 개수(A_N) 및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 하나에 대한 제2 판매 가격(PR2)을 포함하는 분할 소유권 지정가 판매 요청(DS_REQ)을 창작물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의 매각 개수(A_N) 및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 하나에 대한 제2 판매 가격(PR2)을 포함하는 분할 소유권 지정가 판매 요청(DS_REQ)을 수신하는 경우, 분할 소유권 지정가 판매 요청(DS_REQ)에 응답하여 매각 개수(A_N)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 각각을 제2 판매 가격(PR2)에 개별 판매하기 위한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후,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로부터 제2 판매 가격(PR2)에 매수하고자 하는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의 개수에 상응하는 구매 개수(B_N)를 포함하는 분할 소유권 지정가 매수 요청 신호(DS_RES)를 수신하고, 매각 개수(A_N)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이 모두 판매될 때까지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 중에서 분할 소유권 지정가 매수 요청 신호(DS_RES)를 전송한 순서대로 해당 구매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구매 개수(B_N)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을 매수할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분할 소유권 지정가 매수 요청 신호(DS_RES)는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에 대한 상기 개별 매수 요청에 상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가 결정되는 경우,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의 구매자 단말기(400)가 전송한 분할 소유권 지정가 매수 요청 신호(DS_RES)에 포함되는 구매 개수(B_N)와 제2 판매 가격(PR2)을 곱한 금액을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고, 블록체인(210)에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220)를 사용하여 상기 창작물에 대한 구매 개수(B_N)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을 상기 창작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1000).
또한,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구매 개수(B_N)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블록체인(210)에 저장할 수 있다(단계 S11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구매 개수(B_N)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을 상기 창작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전송하는 동작(단계 S1000) 및 상기 창작물에 대한 구매 개수(B_N)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블록체인(210)에 저장하는 동작(단계 S1100)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ERC-1155 토큰 표준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220)에 구현되는 TransferSingle 이벤트 또는 TransferBatch 이벤트를 사용하여 상기 창작물에 대한 구매 개수(B_N)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을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이전하는 동작 및 상기 창작물에 대한 구매 개수(B_N)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블록체인(210)에 저장하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창작물이 미술품, 공예품 등과 같은 실물 컨텐츠인 경우에도, 상기 창작자는 상기 실물 컨텐츠를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에게 이전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창작자가 지속적으로 상기 실물 컨텐츠를 직접 소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을 소유하고 있는 상기 진품 소유자는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를 일괄적으로 다른 구매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상기 창작물이 미술품, 공예품 등과 같은 실물 컨텐츠인 경우, 상기 진품 소유자가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를 일괄적으로 다른 구매자에게 판매하면, 상기 진품 소유자는 상기 실물 컨텐츠를 상기 다른 구매자에게 이전해야 한다.
또한,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상기 분할 소유자는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소유하고 있는 1개 이상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을 개별적으로 다른 구매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시스템(10) 및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은 상기 창작물의 소유권을 상기 창작물에 상응하는 고유한 토큰 ID를 갖는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사용하여 관리하므로, 상기 창작자는 선택에 따라 상기 창작물의 소유권을 원하는 개수로 분할하여 판매할 수 있고, 상기 창작물의 소유권은 사용자들 사이에서 안전하면서도 자유롭게 거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시스템(10) 및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은 상기 창작물에 대한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분할 판매는 금지되고 일괄 판매만 허용되는 분할 개수(D_N)의 절반보다 큰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과 분할 판매가 허용되는 분할 개수(D_N)의 절반보다 작은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로 구분하고,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을 상기 진품 소유자로 정의하고,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사람을 상기 분할 소유자로 정의하며, 상기 창작물이 미술품, 공예품 등과 같은 실물 컨텐츠인 경우, 상기 진품 소유자가 상기 실물 컨텐츠를 직접 소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권한을 독점적으로 부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시스템(10) 및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은 실물 컨텐츠의 거래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은 도 1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시스템(1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은 도 2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에서 일부 단계(S1200)를 더 포함한다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도 2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과 동일하다.
도 1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시스템(10)에 의해 수행되는 도 2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에 대해서는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도 2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과 중복되는 단계들(S100~S11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 1 및 3을 참조하여 창작물을 활용하여 제조되는 2차 가공물의 판매와 관련되는 단계(S1200)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물을 활용하여 제조되는 2차 가공물의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를 소유하고 있는 상기 진품 소유자 및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상기 분할 소유자에게 배당할 수 있다(단계 S1200).
예를 들어, 상기 창작물이 그래픽 이미지인 경우, 상기 2차 가공물은 상기 창작물이 인쇄된 머그잔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창작물이 실물 회화 작품인 경우, 상기 2차 가공물은 상기 창작물이 인쇄된 달력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물을 활용하여 제조되는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에 대한 요청을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에 대한 허가 요청(MS_REQ)을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를 소유하고 있는 상기 진품 소유자의 진품 소유자 단말기(5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진품 소유자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분할 소유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를 허용할지 또는 거절할지 여부를 단독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진품 소유자가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를 허용하는 경우, 진품 소유자 단말기(500)는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에 대한 승인(MS_APPR)을 창작물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진품 소유자 단말기(500)로부터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에 대한 승인(MS_APPR)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2차 가공물에 대한 이미지, 상기 2차 가공물에 대한 설명, 및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 금액을 창작물 관리 서버(100)의 상품 판매 페이지에 업로드함으로써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를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2차 가공물의 구매를 원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2차 가공물에 대한 구매 요청(B_REQ)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600)와 상기 2차 가공물에 대한 구매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 상기 2차 가공물에 대한 구매 요청(B_REQ)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600)가 상기 2차 가공물을 상기 판매 가격에 구매하기로 하는 전자 계약을 체결하고, 전자 계약서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기(600) 사이에 상기 구매 계약이 체결되는 경우,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구매 계약에 상응하는 상기 판매 금액을 사용자 단말기(600)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창작물 관리 서버(100)의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된 상기 2차 가공물에 대한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창작물의 사용에 대한 대가로서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를 소유하고 있는 상기 진품 소유자의 전자지갑 및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할 수 있다.
이하, 창작물 관리 서버(100)가 상기 2차 가공물의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진품 소유자의 전자지갑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2차 가공물에 대한 상기 판매 금액 중에서 상기 진품 소유자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배당 총액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진품 소유자 단말기(500)와 상기 창작물을 활용하여 제조되는 상기 2차 가공물의 상기 판매 금액에 대한 상기 진품 소유자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상기 배당 총액의 비율에 상응하는 배당률에 대해 전자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등록 요청(R_REQ)에 응답하여 상기 창작물에 상응하는 고유한 토큰 ID를 갖는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블록체인(210) 상에 생성할 때, 창작자 단말기(300)와 상기 창작물을 활용하여 제조되는 상기 2차 가공물에 대한 상기 배당률에 대해 전자 계약을 미리 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2차 가공물에 대한 상기 판매 금액에 상기 체결된 전자 계약에 따른 상기 배당률을 곱한 금액을 상기 배당 총액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진품 소유자가 소유하고 있는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의 개수,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이 소유하고 있는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의 개수, 및 상기 배당 총액에 기초하여 상기 진품 소유자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에 대한 배당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분할 개수(D_N)에 대한 상기 진품 소유자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이 소유하고 있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의 비율에 상응하는 지분율을 상기 진품 소유자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에 대해 결정한 후, 상기 배당 총액에 상기 진품 소유자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에 대해 결정된 상기 지분율을 곱한 금액을 상기 진품 소유자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에 대한 상기 배당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진품 소유자에 대해 결정된 상기 배당금을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진품 소유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에 대해 결정된 상기 배당금을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창작물에 대한 메타데이터(M_D)는 상기 창작자의 주소를 포함하므로, 상기 창작자가 상기 창작물에 대한 모든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및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을 판매하여 상기 창작자가 소유하는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 및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이 0개가 되는 경우에도,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에 상응하는 상기 창작물을 창작한 사람은 상기 창작자라는 정보는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과 연결되는 메타데이터(M_D)에 지속적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라서,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자가 현재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 또는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지 또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및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을 모두 판매하여 현재 소유하고 있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 및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이 0개 인지 여부에 무관하게, 상기 창작자에게도 상기 2차 가공물에 대한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배당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자가 현재 소유하고 있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의 개수 및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의 개수에 무관하게, 상기 창작물을 활용하여 제조되는 상기 2차 가공물이 판매될 때마다 상기 2차 가공물에 대한 상기 판매 금액 중의 다른 일부를 상기 창작물에 대한 창작 대가로서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창작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물을 활용하여 제조되는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에 대한 허가 요청(MS_REQ)을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를 소유하고 있는 상기 진품 소유자의 진품 소유자 단말기(500)에 전송하고, 진품 소유자 단말기(500)로부터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에 대한 승인(MS_APPR)을 수신하는 경우에 한해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를 하며, 상기 2차 가공물에 대한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를 소유하고 있는 상기 진품 소유자 및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에게 배당하고, 상기 2차 가공물에 대한 상기 판매 금액 중의 다른 일부를 상기 창작물에 대한 창작 대가로서 상기 창작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시스템(10)에 따르면,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진품 소유자는 상기 창작물을 직접 소장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진품 소유자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도 상기 창작물의 활용에 대한 대가를 분배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창작물에 대한 진품 소유권 및 분할 소유권의 거래는 보다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체 불가능 토큰을 사용하여 창작물을 안전하면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거래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시스템
100: 창작물 관리 서버 110: 파일 시스템
200: 메인넷 210: 블록체인
220: 스마트 컨트랙트 300: 창작자 단말기
400: 구매자 단말기 500: 진품 소유자 단말기
6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12)

  1. 창작물 관리 서버가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창작물을 나타내는 고유 파일 및 상기 창작물의 소유권을 분할하는 분할 개수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사용하여 상기 창작물에 상응하는 고유한 토큰 ID를 갖고 상기 창작물의 창작자의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상기 분할 개수의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들을 블록체인 상에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분할 개수의 절반보다 큰 개수에 상응하는 제1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분할 개수에서 상기 제1 개수를 차감한 개수를 제2 개수로 결정하고, 상기 분할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 중에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일괄 판매만 허용되는 진품 소유권 토큰들로 결정하고, 상기 제2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분할 판매 가능한 분할 소유권 토큰들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에 대한 일괄 판매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에 대한 일괄 매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 중의 하나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진품 소유권 매수자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을 일괄적으로 상기 창작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진품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 중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개별 판매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에 대한 개별 매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분할 소유권 매수자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제2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 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창작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 중의 적어도 일부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분할 소유권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는 상기 분할 개수의 절반보다 큰 최소의 자연수를 상기 제1 개수로 결정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청은 상기 분할 개수의 절반보다 크고 상기 분할 개수보다 작은 값을 갖는 진품 소유권 개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는 상기 진품 소유권 개수를 상기 제1 개수로 결정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에 대한 일괄 판매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에 대한 진품 소유권 경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진품 소유권 경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에 대한 온라인 경매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에 대한 일괄 판매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에 대한 제1 판매 가격을 포함하는 진품 소유권 지정가 판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진품 소유권 지정가 판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 전체를 상기 제1 판매 가격에 일괄 판매하기 위한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 중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개별 판매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의 매각 개수를 포함하는 분할 소유권 경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분할 소유권 경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매각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에 대한 온라인 경매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 중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개별 판매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의 매각 개수 및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 하나에 대한 제2 판매 가격을 포함하는 분할 소유권 지정가 판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분할 소유권 지정가 판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매각 개수의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들 각각을 상기 제2 판매 가격에 개별 판매하기 위한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창작물을 활용하여 제조되는 2차 가공물의 판매에 대한 허가 요청을 상기 제1 개수의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들을 소유하고 있는 진품 소유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진품 소유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에 대한 승인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진품 소유자의 전자지갑 및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진품 소유자 단말기와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 금액에 대한 상기 진품 소유자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배당 총액의 비율에 상응하는 배당률에 대해 전자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진품 소유자의 전자지갑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하는 단계는,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 금액 중에서 상기 진품 소유자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배당 총액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진품 소유자가 소유하고 있는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의 개수,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이 소유하고 있는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의 개수, 및 상기 배당 총액에 기초하여 상기 진품 소유자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에 대한 배당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진품 소유자에 대해 결정된 상기 배당금을 상기 진품 소유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에 대해 결정된 상기 배당금을 상기 복수의 분할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가 상기 창작자가 현재 소유하고 있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진품 소유권 토큰의 개수 및 상기 분할 소유권 토큰의 개수에 무관하게 상기 2차 가공물의 판매 금액 중의 다른 일부를 상기 창작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
KR1020220039817A 2022-03-30 2022-03-30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 KR20230140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817A KR20230140939A (ko) 2022-03-30 2022-03-30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817A KR20230140939A (ko) 2022-03-30 2022-03-30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939A true KR20230140939A (ko) 2023-10-10

Family

ID=88292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817A KR20230140939A (ko) 2022-03-30 2022-03-30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09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025B1 (ko)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US20210166203A1 (en) System and process for tokenization of digital media
CN109155035B (zh) 用于使用区块链在点对点分布式账簿上有效转移实体的方法及系统
US116879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okenization of modifiable game assets on a distributed blockchain
US11170457B2 (en) Transaction management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exploitation right management
CN107209823A (zh) 3d打印中的数字权利管理
EP3958502A1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KR10209329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KR20200062640A (ko) 블록체인 기반 미술작품 거래정보 관리 방법 및 블록체인의 노드 장치
KR20200011853A (ko) 블록체인 기반 창작물 크라우드 펀딩 및 유통 시스템과 이를 사용한 창작물 크라우드 펀딩 및 유통 방법
US20230088936A1 (en) Physical Storage Vault for Physical Items of Digital Twin NFTs
US202202844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ransfer of ownership of tokens between users on a decentralized database
US201402226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Limited Edition Digital Artwork
JP2023033581A (ja) サーバ、真贋判定システム、及びデータ構造
US20120016761A1 (en) Techniques For Provisioning Content
JP2023075576A (ja) 取引システム及び取引方法
JP6313532B1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商取引管理装置、デジタルコンテンツ商取引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30140939A (ko)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창작물 거래 방법
WO2023007867A1 (ja) チケット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WO2018092443A1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商取引管理装置、デジタルコンテンツ商取引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M626968U (zh) 非同質化代幣管理系統
CN111709838A (zh) 基于知识产权标准化数字资产的交易方法及相关设备
KR20230116172A (ko) Nft 구매 대행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KR102638698B1 (ko) 블록체인 기반 리셀 상품 거래 방법
KR102647753B1 (ko) 디지털 컨텐츠의 다운로드 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 기반 서비스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