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711A -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 Google Patents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711A
KR20230140711A KR1020220039297A KR20220039297A KR20230140711A KR 20230140711 A KR20230140711 A KR 20230140711A KR 1020220039297 A KR1020220039297 A KR 1020220039297A KR 20220039297 A KR20220039297 A KR 20220039297A KR 20230140711 A KR20230140711 A KR 20230140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body
harness
pet
body portion
p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설화
Original Assignee
최설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설화 filed Critical 최설화
Priority to KR1020220039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0711A/ko
Publication of KR20230140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2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5Quick-couplings, safety-couplings or shock-absorbing devices between leash and coll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6Leads or collars, e.g. for dogs with light-emitting or ornament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9Leads or collars, e.g. for dogs with electric-shock, sound, magnetic- or radio-waves emit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아지의 몸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된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후방측이 결합되며 전방측에 견인줄이 결합되는 체결부가 구비되어 전방측이 상기 안착부에 결합된 부위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캐릭터몸체부를 포함하는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Harness for pets having a rotatable character body}
본 발명은 하네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게하는 하네스를 착용한 애완동물의 견인줄에 급격하게 장력이 가하여지는 경우 애완동물의 몸에 걸리는 급격한 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주변에 재미 및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은 인간이 주로 즐거움을 누리기 위한 대상으로 사육하는 동물로서, 개와 고양이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최근 들어, 핵가족화 등으로 인하여 독신자, 노인 또는 어린이의 정서를 위하여 각종 애완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근래에 들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결과 애완동물 병원, 애완용품점, 애완동물 미용점 등이 호황을 누리고 있다.
심지어, 애완동물은 가족의 구성원으로 동일하게 대접받으며 실내에서 함께 생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외출 시에는 애완동물을 친구처럼 함께 데리고 외출을 하는 등 인간과 애완동물의 친근감은 그 어느 때보다 가까운 실정이다.
최근에는 애완동물을 다른 애완동물과 차별되도록 옷, 모자, 신발 등으로 애완동물을 장식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고, 이에 소유자는 자신의 애완동물을 다른 애완동물 보다 예쁘게 장식시키기 위하여 상당한 비용을 지불하면서 애완동물을 치장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애완동물이 증가함에 따라 애완동물이 주변에 끼치는 폐해 또한 증가하고 있는 바, 그러한 폐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출 시 애완동물의 활동영역을 주인 근방으로 제한하도록 목줄이나 어깨끈과 같은 하네스 등의 착용이 강제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하네스는 단순히 애완동물의 활동영역을 제한하는 기능만 구비하고 있어 단조로운 느낌이 있었으며 애완동물의 몸에 급격한 부하를 가하는 경우도 있었다.
최근에는 목줄이나 하네스에 엘이디를 장착하여 디자인의 변경을 가져오는 제품들도 출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하네스 등이 경우에도 발광패턴이 일정하게 한정되는 문제점 및 여전히 상황에 따라서 애완동물의 몸에 급격한 부하 등이 가하여지는 점을 해소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001] 등록특허 제10-206943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견인줄을 체결하고 애완동물지에 착용한 후 애완동물이 갑자기 달려나가는 경우 애완동물의 몸체에 급작스럽게 부하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 사람들에게 재미 및 호기심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아지의 몸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된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후방측이 결합되며 전방측에 견인줄이 결합되는 체결부가 구비되어 전방측이 상기 안착부에 결합된 부위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캐릭터몸체부를 포함하는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몸체부의 회동 영역을 제한하도록 외력이 적용 시 기 설정 길이까지 신장되었다가 외력이 미작용 시에는 최초 상태로 복귀되도록 함과 동시에 일단부가 상기 캐릭터몸체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는 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부는 외력이 작용 시 신장되었다가 외력이 제거 시 최초 길이로 돌아가는 탄성암부와, 상기 탄성암부의 신장 길이를 제한하는 신장제한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의하면, 하네스와 연결된 견인줄에 급격한 장력이 발생하더라도 캐릭터몸체부의 암부에 걸리는 탄성을 이용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애완동물의 목 부분에 급작스럽게 부하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의하면, 캐릭터몸체부의 회동 시 소정 램프빛이나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하네스의 역할과 더불어 주변 호기심 및 재미를 불러일으킴은 물론 안전성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가 작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적용되는 암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암부가 신장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와 주요 구성들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상기 도 6에 도시된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적용된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있어서 견인줄이 잡아당겨져 캐릭터몸체부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요부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안착부(110)와, 캐릭터몸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110)는 기 공지된 하네스에 적용된 구성으로서, 강아지(1)나 고양이 등 애완동물의 뒷목 등 부분에 설치되는 구성을 이루며 상기 안착부(110)는 별도의 결합밴드(112, 114)에 의하여 애완동물의 목 뒤 등 부분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몸체부(150)는 상기 안착부(110) 상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캐릭터몸체부(150)는 외관이 봉제인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110)에 후방측(B)이 결합되며 전방측이 상기 안착부(110)에 결합된 후방측 부위(B)를 기준으로 캐릭터몸체부(150)가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캐릭터몸체부(150)와 안착부(110)는 일체화된 형태로 봉제결합되거나 또는 단추방식, 후크방식이나 지퍼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캐릭터몸체부(150)의 후방측이 상기 안착부(110)에 착탈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릭터몸체부(150)의 전방 단부에는 페이스부(15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캐릭터몸체부(150)의 전방과 후방측으로는 각각 암부(160)와 풋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암부(160)와 풋부(170)는 상기 캐릭터몸체부(150)의 전방과 후방측으로 각각 양측 대칭으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암부(160)는 상기 캐릭터몸체부(150)의 회동 영역을 제한하도록 외력이 적용 시 기 설정 길이까지만 신장되었다가 외력이 미작용 시에는 최초 상태로 복귀되도록 함과 동시에 일단부가 상기 캐릭터몸체부(15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안착부(110)에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몸체부(150)의 전방측에 견인줄(10)이 결합되는 체결부(153)가 구비된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견인줄(10) 단부에는 별도의 락킹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락킹부가 상기 체결부(153)에 착탈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가 작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최초 상태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애완동물의 목 뒤 등쪽에 안착부(110)와, 상기 안착부(110)에 눕혀진 상태로 캐릭터몸체부(150)가 설치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153)에 견인줄(10)을 체결한 후, 견인줄(10)의 자유단 단부를 주인이 잡고 산책 등 외출을 하게 된다.
한편, 애완동물이 갑자기 뛰거나 견인줄(10)에 장력이 가하여지도록 주인과 상당한 거리 떨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캐릭터몸체부(150)가 견인줄(10)에 의하여 상측으로 들리는 상태 즉, 상기 안착부(110)에 캐릭터몸체부(150)가 결합된 부위(B)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캐릭터몸체부(150)의 암부(160)가 탄성적으로 신장되어 애완동물의 신체에 급작스럽게 장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측 충격 완충 효과를 가져옴으로써 애완동물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캐릭터몸체부의 회동 동작에 따라 주변 사람들에게 재미 및 호기심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적용되는 암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암부가 신장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암부(260)는 외력이 작용 시 신장되었다가 외력이 제거 시 최초 길이로 돌아가는 탄성암부(264)와, 상기 탄성암부(264)의 신장 길이를 제한하는 신장제한암부(262)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암부(264)는 소정 탄성밴드 등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신장제한암부(262)는 상기 탄성암부(264) 외측으로 직물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탄성암부(264)는 늘어짐 및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하여 견인줄(10)에 장력이 가하여지는 경우 상당 길이로 늘어질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신장제한암부(262)를 통하여 일정 한도 이상으로 상기 탄성암부(264)가 늘어나 복원력이 상실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와 주요 구성들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도 6에 도시된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적용된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안착부(110)에 후방측이 고정되며 전방측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릭터몸체부(150)가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릭터몸체부(150) 내부에 전지부(180), 램프부(182), 스피커부(184), 제어부(186)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램프부(182)는 상기 캐릭터몸체부(150)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페이스부(152)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부(182)는 상기 페이스부(152) 또는 상기 캐릭터몸체부(150)에 투명재질을 적용하거나 또는 램프부(182)를 외부에 배치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안착부(110)와 상기 캐릭터몸체부(150)는 각각 최초 위치인 상기 캐릭터몸체부(150)와 안착부(110)가 맞붙은 상태에서는 서로 접촉한 상태를 이루는 제1접촉부(158)와 제2접촉부(118)가 구비되며, 상기 제1접촉부(158)와 제2접촉부(118)는 상기 캐릭터몸체부(150)가 견인줄(10)에 장력이 가하여 상부로 회동 시 서로 분리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접촉부(158)와 제2접촉부(118)가 서로 분리 시에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램프부(182)가 점등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스피커부(184)를 통하여 소정 저장된 음향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어부(18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블루투스모듈(19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루투스모듈(198)이 구비된 경우에는 외부에서 스마트폰 등을 이용 사용자가 임의로 본인의 음성을 이용한 문구를 저장하거나 또는 램프부의 점등 형태를 설정하여 외부로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캐릭터몸체부(150)를 이용한 효과 이외에 특정 소리나 램프 빛을 이용 애완동물의 훈련이나 외부 관심을 이끄는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있어서 견인줄이 잡아당겨져 캐릭터몸체부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캐릭터몸체부(150)와 안착부(110)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보조암부(360)가 상기 캐릭터몸체부(150)의 후방측 중앙부에 구비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보조암부(360)가 상기 캐릭터몸체부(150)가 상측으로 회동 후, 견인줄에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는 다시 최초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구성을 이루며, 상기 보조암부(360)는 탄성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캐릭터몸체부(150) 내측에는 캐릭터몸체부(15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내부에 상하 회동동작이 용이하도록 소정 강직성을 가지는 뼈대부(미도시)가 추가 삽입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안착부
150: 캐릭터몸체부
160: 암부
170: 풋부

Claims (3)

  1. 강아지 몸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된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후방측이 결합되며 전방측에 견인줄이 결합되는 체결부가 구비되어 전방측이 상기 안착부에 결합된 부위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캐릭터몸체부를 포함하는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몸체부의 회동 영역을 제한하도록 외력이 적용 시 기 설정 길이까지 신장되었다가 외력이 미작용 시에는 최초 상태로 복귀되도록 함과 동시에 일단부가 상기 캐릭터몸체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는 암부를 더 포함하는,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외력이 작용 시 신장되었다가 외력이 제거 시 최초 길이로 돌아가는 탄성암부와,
    상기 탄성암부의 신장 길이를 제한하는 신장제한암부를 포함하는,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KR1020220039297A 2022-03-30 2022-03-30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KR20230140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297A KR20230140711A (ko) 2022-03-30 2022-03-30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297A KR20230140711A (ko) 2022-03-30 2022-03-30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711A true KR20230140711A (ko) 2023-10-10

Family

ID=88292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297A KR20230140711A (ko) 2022-03-30 2022-03-30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071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433B1 (ko) 2018-03-02 2020-02-24 유남석 애완동물용 하네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433B1 (ko) 2018-03-02 2020-02-24 유남석 애완동물용 하네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310B2 (en) Tether device, system, and method
ES2539960T3 (es) Prenda aplicadora de presión para animales
KR20190104678A (ko) 애완동물용 하네스
US20080092825A1 (en) Child Safety Device
US8020521B2 (en) Attractant enhanced apparatus for cats
ES1072900U (es) Correa para mascotas.
US6450126B1 (en) Body mountable bird perch
US20220312731A1 (en) Removable garment for an animal
KR20230140711A (ko) 회동 가능한 캐릭터몸체부를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US20150250146A1 (en) Dog harness with a safety attachment
KR20210040660A (ko) 반려동물용 리드줄
KR20200076372A (ko) 양면 사용 가능한 애완동물용 하네스
JP3138623U (ja) 鳥用オムツ
ES2843516T3 (es) Correa de mascotas
CN206314397U (zh) 宠物牵引器
JP2536705Y2 (ja) ペット用レインコート
US11985955B2 (en) Animal play protective glove device
JP3095361U (ja) 愛犬散歩用引きヒモを安定させる首輪補助器具
US20160374315A1 (en) Animal training device and method
KR20180003432U (ko)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
KR200324236Y1 (ko) 휴대손잡이가 부설된 애완동물의 옷
Evans Stamping, Shouting and Singing Home
KR20220087331A (ko) 변형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의류
Le Guin Wonderful Alexander and the Catwings
JP2006006114A (ja) 拘束機能を有したペット用胴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