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210A -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210A
KR20230140210A KR1020220039083A KR20220039083A KR20230140210A KR 20230140210 A KR20230140210 A KR 20230140210A KR 1020220039083 A KR1020220039083 A KR 1020220039083A KR 20220039083 A KR20220039083 A KR 20220039083A KR 20230140210 A KR20230140210 A KR 20230140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ming
guide
decision
environmental impact
environm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좌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쉘파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쉘파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쉘파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220039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0210A/ko
Priority to US17/929,736 priority patent/US20230309436A1/en
Priority to EP22194317.8A priority patent/EP4254302A1/en
Priority to JP2022142913A priority patent/JP2023147152A/ja
Publication of KR20230140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9/00Methods for working soil
    • A01B79/005Precision agricul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9/00Methods for working soil
    • A01B79/02Methods for working soil combined with other agricultural processing, e.g. fertilising,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및 그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상 환경과 병충해 방제에 대한 영농활동의 영농 가이드에 대해 환경평가/비용평가를 반영하여 영농 가이드를 제공하고, 제공된 영농 가이드를 반영한 영농활동에 대해서 보상을 제공하며, 제공된 영농 가이드를 통해 작물의 친환경 인증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및 그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DECISION MAKING OF FARMING ACTIVITIES BASED ON LCA}
본 발명은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상 환경의 변화를 예측하는 기상 모델과 병충해의 예방 및 방제를 위한 방제 모델을 이용하여 영농의 전주기에 걸쳐 영농인에게 각 단계별로 복수의 영농 가이드를 제시하되, 각 영농 가이드에 환경 및 비용 관점의 평가 결과를 함께 제공하여 영농인으로 하여금 어느 하나의 영농 가이드를 선택하는 데 참고하도로 하고, 환경 관점의 선택을 한 영농인에게 소정의 보상을 지급함으로써 친환경 영농을 유도하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농 사업은 날씨 등의 환경이나 병충해에 대한 정보 획득을 통해 다양한 대처가 매우 중요한 데 비하여, 종래 영농 사업과 관련한 정보의 교류는 거의 없거나, 정보 교류가 있더라도 영농 사업을 함께 진행하는 마을이나 일정 범위 이내의 제한된 지역 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경향이 높다.
따라서 영농 사업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 획득은 단순히 과거에 경험적으로 획득했던 정보들을 답습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영농 사업과 관련한 상황, 날씨 등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병충해 피해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하여 영농 사업에 실패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영농 활동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85300호(선행기술1)에 영농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이 개시된다.
선행기술1은 전문화된 인터넷 웹사이트를 이용한 영농 컨설팅, 영농 의사결정 지원 정보 서비스, 농촌 지도기관 영농지도 지원 정보 서비스, 영농 정책 결정 지원 정보 서비스, 농업 기상 포털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생산된 작물에 대한 친환경작물 인증이나 영농 활동에 대해 소요 비용 및 탄소 줄이기에 따른 환경적 영향 등의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출원공개 US2021/0224927(선행기술2)은 영농 활동에 대한 탄소배출 감소량을 예측함으로써 영농 활동을 수정하도록 유도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선행기술2는 토지나 환경에 기반을 둔 적절한 탄소배출의 영농 활동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그러나 선행기술2는 영농 활동에 통해 배출되는 탄소량에 포커싱할 뿐, 탄소 배출 저감에 따른 소요비용 등은 고려 대상이 아니므로 소규모 영농 또는 집약적 영농이 이루어지는 지역(또는 국가)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선행기술 00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285300호(2021. 07. 28.) (선행기술 002) 미국특허출원공개 US2021/0224927(2021. 07. 2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상 변화와 병충해의 예상 발생 일정을 고려하여 지역 및 시기에 적합한 영농 활동의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영농인으로 하여금 단순히 경험칙에 의한 비과학적 영농에서 벗어나 보다 합리적이고 생산적인 영농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영농 활동의 가이드를 복수로 제공하되 비용과 환경 관점의 평가 결과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관점에서 영농 활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환경 관점의 영농 활동을 선택하는 사용자가 많아지도록 선택에 따른 직간접적인 보상을 영농인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상 환경의 변화를 예측하는 기상 모델(climate model)과 병충해의 예방 및 치유 레시피를 제공하는 방제 모델(pest control model)을 이용하여 영농의 전주기에 대한 영농 가이드를 복수로 생성하는 스케줄러(scheduler); 상기 복수의 상기 영농 가이드를 대상으로 환경 관점의 평가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평가기(assessor); 및 상기 평가기의 평가 결과가 포함된 영농 가이드들을 영농인의 단말에 제공하는 제공기(provider)를 포함하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을 일 실시예로 제안한다.
일 실시예의 시스템은 상기 평가가 적용된 영농 가이드 중에서 어느 한 영농 가이드가 선택되면, 상기 환경 관점의 평가 결과에 상응하는 보상을 영농인에게 제공하는 보상기(compensato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의 시스템은 상기 선택된 영농 가이드에 기초하여 농작물의 재배 환경을 제어하는 생육 제어기(growth controll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평가기는 상기 스케줄러가 생성한 복수의 상기 영농 가이드를 대상으로 비용 관점의 평가 모델을 이용하여 추가로 평가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평가기는 환경 관점의 평가 결과와 비용 관점의 비용 평가 결과 각각에 가중치를 더 입력 받고,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영농 가이드를 정렬(sorting)하여 영농인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시설에 설치된 모니터링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영농 가이드에 부합하는 영농 활동이 수행되거나 상기 생육 제어기에 의한 재배 환경의 제어가 실행되었는지 확인하는 점검기(monito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 센서는, 농작물 재배를 위한 양액의 산성도를 측정하는 pH센서, 폐양액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수질센서, 재배 시설의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는 계전센서, 물 사용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스케줄러(scheduler)가 기상 환경의 변화를 예측하는 기상 모델(climate model)과 병충해의 예방 및 치유 레시피를 제공하는 방제 모델(pest control model)을 이용하여 영농의 전주기에 대한 영농 가이드를 복수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평가기(assessor)가 상기 복수의 상기 영농 가이드를 대상으로 환경 관점의 평가 모델 및 비용 관점의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영농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제공기가 상기 평가기의 평가 결과가 포함된 영농 가이드를 영농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의 의사 결정 방법을 다른 일 실시예로 제안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보상기(compensator)가 상기 평가가 적용된 영농 가이드 중에서 어느 한 영농 가이드가 선택되면, 상기 환경 관점의 평가 결과에 상응하는 보상을 영농인에게 제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생육 제어기(growth controller)가 상기 선택된 영농 가이드에 기초하여 재배 시설의 광량, 광 파장, 온도, 습도, 환기, 양액 조성비 중 적어도 하나의 재배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평가기가 환경 관점의 평가 결과와 비용 관점의 비용 평가 결과 각각에 가중치를 더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러가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영농 가이드를 정렬(sorting)하여 영농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점검기(monitor)가 재배 시설에 설치된 모니터링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영농 가이드에 부합하는 영농 활동이 수행되거나 상기 생육 제어기에 의한 재배 환경의 제어가 실행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점검기가 확인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보상기가 기 제공된 보상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영농의 전 주기에 걸쳐 어느 특정 영농 활동에 대하여 복수의 대처 가이드를 제공하고, 친환경적인 영농 활동을 선택 및 수행한 영농인에게 소정의 보상을 지급함으로써 친환경 농경의 정착에 기여한다.
다시 말해서 영농인은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이 보상한 클린 포인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각종 구매 예산을 절감하거나 CDM 크레딧을 통해 직접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CDM 크레딧의 증서로 인해 환경 영농 실천자로 인정받으면 농산물의 가격을 높게 책정할 수 있으며, 한경 영농 실천자의 타이틀 자체가 마케팅 포인트로 작동하므로 간접적으로 영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평가기에 LCA 분석모델이 적용된 경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평가기의 평가 결과가 반영된 영농 가이드의 예시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에 가중치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6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 활동의 의사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상 환경과 병충해 방제에 대한 영농활동의 영농 가이드에 대해 환경평가/비용평가를 반영하여 영농 가이드를 제공하고, 제공된 영농 가이드를 반영한 영농활동에 대해서 보상을 제공하며, 제공된 영농 가이드를 통해 작물의 친환경 인증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및 그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은 지정된 지역의 기상 변화를 예측하는 기상 모델(climate model)과 판별된 특정 병충해의 방제 레시피를 제공하는 방제 모델(past control model)을 이용하여 영농인 단말에 작물 품종의 선정부터 수확 및 판매까지 영농의 전주기에 걸친 영농 가이드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를 포함하여 이하의 모든 실시예에서, 상기 영농 가이드라 함은 작물 품종의 선정, 종자의 선정, 재배 장소(노지 또는 그린하우스), 토양 조건의 조성, 파종 시기, 비료의 선정 및 살포 시기, 농약의 선정 및 살포 시기, 관수 시점 및 관수량, 요구 온도, 요구 습도, 수확 시기, 출하 시기, 영농 설비의 도입, 및 영농 설비의 선정 등 작물의 선택에서부터 출하되기까지 전주기의 영농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 방법 및 관련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포함하여 이하의 모든 실시예에서, 영농 설비라 함은 그린하우스, 농업용 태양광 패널, 종묘 시설, 각종 농기계, 각종 농자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된다.
상기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은 영농인에게 단순히 재배 방법만을 포함한 단일의 영농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한 영농 가이드를 복수로 제공하되 각각의 영농 가이드에는 비용 관점의 평가 결과(또는 비용 정보)와 환경 관점의 평가 결과(또는 환경 영향 지수 또는 LCA 적용 결과)를 추가로 포함시킴으로써, 영농인으로 하여금 비용 관점을 우선으로 하여 영농 방법을 선택하거나 환경 관점을 우선으로 하여 영농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은 영농인이 선택한 영농 가이드의 환경 과점 평가에 상응하는 소정의 보상을 상기 영농인에게 지급할 수도 있다.
영농인은 선택된 영농 가이드에 따라 영농 활동을 실행에 옮기거나, 별도로 구비된 생육 제어기(growth controller)는 상기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이 제공한 영농 가이드에 따라 재배 시설에 마련된 각종 생육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영농인의 영농 활동 실행 결과 또는 상기 생육 제어기에 의한 각종 생육 장치의 영농 활동 실행 결과는 상기 재배 시설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들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은 상시 점검 결과에 따라 비로서 상기 소정의 보상을 상기 영농인에게 지급할 수도 있고, 미리 지급된 보상에 대하여 페널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1>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은 스케줄러(10, scheduler), 평가기(20, assessor), 제공기(provider, 30)를 포함하며, 보상기(40, compensator), 생육 제어기(50, growth controller) 및 점검기(60, monito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스케줄러(10)는 기상 환경의 변화를 예측하는 기상 모델(11)과 병충해의 예방 및 치유 레시피를 제공하는 방제 모델(12)을 이용하여 작물 품종의 선정부터 수확 및 판매까지 영농의 전주기에 걸친 영농 가이드를 복수로 생성한다.
기상 모델(11)은 지정된 지역에 대한 과거의 시계열적 기상 정보 및 기상청 등 외부의 기상 서버(도 1에 도시)로부터 제공된 기상 예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정 지역의 기상 변화를 예측한다. 기상 변화의 예측은 주간 및/또는 월간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종래에는 체계적인 기상 예측에 의거하기 보다는 경험적으로 결정된 시점에 파종을 해왔지만, 지구의 기후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최근에는 예상치 못한 기후 이변이 자주 발행하고 있으므로 보다 과학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파종 시기나 작물 품종의 선정이 요망된다.
스케줄러(10)는 기상 모델(11)이 제공한 기상 예측을 고려하여 올해 해당 지역에서 현재 시점에서 보다 성공적인 수확이 예상되는 작물이 무엇인지 또는 영농인이 선택한 특정 작물의 파종 시점을 언제로 하면 더욱 성공적인 재배가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를 영농 가이드로 생성한다. 기상 모델(11)이 제공한 기상 예보를 이용하여 영농 가이드를 생성한 경우, 생성된 영농 가이드는 현재 시점이 9월이고 영농인이 청원 지역에 위치한 경우 청원의 9월 기상 조건에서 선택 가능한 최적의 작물은 딸기, 보리, 유채, 마늘임을 영농인에게 알려줄 수 있다.
방제 모델(12)은 재배 중인 작물에 대하여 현 시점에서 발발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병충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미리 구축하고 있거나 외부의 방제 레시피 서버(도 1에 도시)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방제 모델(12)은 재배 시설의 카메라가 촬영한 작물의 영상을 이용하여 현재 발생한 병충해의 종류 및 진행도를 직접 판별하거나 별도의 분석기(도면에 미도시)가 판별한 병충해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방제 모델(12)은 발생이 예상되는 병충해를 대비하기 위한 예방 레시피 또는 현재 발생한 병충해를 치유하기 위한 치유 레시피를 스케줄러(10)에 제공한다. 영농인은 치유 레시피 또는 방제 레시피가 포함된 영농 가이드를 참고하여 발생 가능성이 있는 병충해를 미연에 예방하거나 당장 발병한 병충해를 신속하게 치유할 수 있다. 방제 모델(12)의 레시피를 이용하여 생성된 영농 가이드의 예시로 A 병충해 예방을 위한 적정 온도 및 적정 온도 유지 기간을 들 수 있다. 또한 영농 가이드의 다른 예시로 B 병충해의 초기 단계를 치유하기 위한 농약 이름(농약 a, 농약 b, 농약 c), 적정 살포량 및 살포 시기를 들 수 있다.
평가기(20)는 스케줄러(10)가 생성한 복수의 영농 가이드들 각각을 대상으로 환경 관점의 평가 모델을 적용하고, 평가 결과를 스케줄러(10)에 제공함으로써 평가 결과가 각 영농 가이드에 추가되도록 한다.
제공기(30)는 평가기(20)의 평가 결과가 포함된 영농 가이드들을 영농인의 단말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에 있어서 환경 관점의 평가 모델이라 함은 작물 품종의 선정, 파종, 농약 살포, 비료 제공, 온도/습도 조절, 영농 설비의 도입, 및 영농 설비의 선정, 수확 및 출하 등 작물의 재배 전주기에 있어서 각 실행 단계(또는 각 실행 단계의 영농 레시피)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소정의 미리 정해진 항목 및 가중치에 의하여 평가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환경 관점의 평가 모델의 예로 전 과정 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 거시환경분석(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Technological analysis, PEST)을 들 수 있다.
LCA는 제품 또는 시스템의 모든 과정인 원료 채취, 가공, 조립, 수송, 사용, 폐기의 모든 과정에 걸쳐 에너지와 광물자원의 사용과 이로 인한 대기 및 수계, 토양으로의 환경 부하량을 정량화하고 이들이 환경이 미치는 잠재적 악영향을 평가하는 기법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영농의 전 과정(또는 전 주기)에 걸친 환경에의 악영향을 평가하는 것으로 응용된다.
LCA를 영농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작물 생산의 각 과정에 투입된 농기계, 전기, 농약, 비료, 물 등의 제조, 생산, 공급을 위해 어떠한 비환경적 원료가 사용되고 얼마만큼의 탄소가 배출되었는지 등의 평가를 내일 수 있다.
또한, LCA를 영농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어떤 작물을 선택해야 또는 언제 파종을 해야 무난한 재배로 농약이나 비료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지, 어떤 농약을 사용해야 친환경적인지, 농약을 어떠한 희석율로 사용해야 치유와 환경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물을 얼만큼 공급해야 생육과 환경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지 등의 평가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거시환경분석(PEST)은 정치, 경제, 사회, 기술, 법률 및 환경 요소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여기서 환경요소는 탄소 배출과 관련된 이슈, 탄소 배출의 지속가능성, 사회적 책임 등을 포함하여 작물의 윤리적인 시스템, 기후변화와 오염에 대한 대비, 환경관련 법률 등을 포함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평가기에 LCA 분석모델이 적용된 경우의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LCA를 적용하기 위한 평가기(20)는 평가 대상의 목표 및 범위를 결정하는(goal and scope definition) 정의 모듈(21), 평가 대상을 구성하는 전 과정의 목록을 리스팅하는(life cycle inventory, LCI) 목록 모듈(22), 리스팅된 각 과정에 대한 환경 영향 평가(life cycle impact assessment, LCIA)를 수행하는 평가 모듈(23) 및 각 평가 결과를 확인 및 검증하는 (life cycle interpretation) 해석 모듈(2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정의 모듈(21)은 상기 스케줄러(10)에서 제공되는 영농 가이드에 대하여 영농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환경영향(environmental impact)의 범위를 정의한다.
목록 모듈(22)은 상기 정의 모듈(21)에서 정의된 범위에 기초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정량적인 투입배출물 목록을 구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목록 모듈(22)은 농약과 화학비료의 경우 원제 및 유효성분별 투입량과 배출경로, 농가당 전기 및 연료별(경유, 휘발유, 등유 등) 소비량, 연료 사용(연소)시 대기배출물량, 친환경 농업자재와 유기질비료의 종류별 투입량 등 물리적인 투입배출물을 정량화하고 이를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물은 재배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데 이산화탄소 농도는 영농 활동에 있어서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탄소중립적(carbon neutral) 요소가 적용된다.
평가 모듈(23)은 상기 목록 모듈(22)에서 리스팅되는 각 목록의 정보처리를 통해 요소별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종말점(end point)에 대한 피해 수준을 평가한다.
평가 모듈(23)은 환경 영향 평가의 요소로서 탄소 배출(carbon output), 산성화(Acidification potential), 부영양화(Eutrophication potential), 광화학 오존 생성(Photochemical ozone creation potential), 인체 독성(Human toxicity, 암, 비암, 기준 오염물질), 수생 생태 독성(Aquatic ecotoxicity potential), 해양 수생 생태 독성(Marine aquatic ecotoxicity potential), 육상 생태 독성(Terrestrial ecotoxicity potential), 기후 변화(Climate change), 성층권 오존 파괴(Stratospheric ozone depletion), 광산화제 형성(Photo oxidant formation), 토지이용 영향(Impacts of land use, 토지경쟁), 자원소비(Resource consumption, 화석연료, 광물자원, 생물자원), 도시 대기 오염(Urban air pollution), 실내 공기 오염(Indoor air pollution), 지구 온난화(Global warming), 오존층 파괴(Ozone layer depletion), 쓰레기(Waste), 소음(Noise) 및 생태 독성(Ecotoxicity)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해석 모듈(24)은 목록 모듈(22) 또는 평가 모듈(23)의 수행 결과를 해석하고 상기 수행 결과에 오류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그리고, 평가 모듈(23)의 수행 결과를 수치로 산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오류 여부의 검증은 완전성 검사, 일관성 검사, 민감도 검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완전성 검사는 목록 모듈(22)과 평가 모듈(23)에서 도출된 정보가 정의 모듈(21)에서 정해진 범위에 부합되어 환경이슈가 도출되었는가를 점검한다. 만약 특정 데이터가 제외되었거나 불완전한 경우 기 정의된 범위에 부합하는지 여부에 따라 재평가 여부를 결정한다.
일관성 검사는 상기 평가 모듈(23)에서 사용된 방법, 절차, 데이터 처리가 일관성 있게 수행되었는지를 점검한다.
민감도 검사는 전과정목록 분석 모듈(22)과 평가 모듈(23)에서 수행된 민감도와 불확실성의 결과를 검토하여 입력된 데이터 값이 변경되는 경우 결과에 미치는 정도를 평가한다.
한편, 평가기(20)는 스케줄러(10)가 제공하는 복수의 영농 가이드를 대상으로 비용 관점의 평가 모델을 적용하고, 비용 관점의 평가 결과를 영농 각 영농 가이드에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농 가이드가 A 해충 방제를 위한 치유 레시피일 때, a 농약 처방에 관한 영농 가이드 1, b 농약 처방에 관한 영농 가이드 2, c 농약 처방에 관한 영농 가이드 3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평가기(20)에 의해 환경 관점의 평가 모델 외에 비용 관점의 평가 모델이 더 적용됨으로써 영농 가이드 1은 a 농약 처방, 환경 영향 지수 8 (최고점 10 중에서), 비용 지수 5 (최고점 10 중에서)을 포함하고, 영농 가이드 2는 b 농약 처방, 환경 영향 지수 4 (최고점 10 중에서), 비용 지수 9 (최고점 10 중에서)을 포함하고, 영농 가이드 3은 c 농약 처방, 환경 영향 지수 5 (최고점 10 중에서), 비용 지수 7 (최고점 10 중에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농 가이드가 B 해충 예방을 위한 치유 레시피일 때, 농약 살포를 제안하는 영농 가이드 1, 온도 조절을 제안하는 영농 가이드 2, 천적 투입을 제안하는 영농 가이드 3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평가기(20)에 의해 환경 관점의 평가 모델 외에 비용 관점의 평가 모델이 더 적용됨으로써 영농 가이드 1은 농약 처방, 환경 영향 지수 3 (최고점 10 중에서), 비용 지수 7 (최고점 10 중에서)을 포함하고, 영농 가이드 2는 온도 28도로 조절, 환경 영향 지수 8 (최고점 10 중에서), 비용 지수 4 (최고점 10 중에서)을 포함하고, 영농 가이드 3은 천적 거미 투입, 환경 영향 지수 9 (최고점 10 중에서), 비용 지수 3 (최고점 10 중에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용 관점의 평가 모델은 소요 비용을 직접비용과 간접비용으로 구분하여 평가할 수도 있다. 직접비용은 영농 가이드의 실행을 위해 직접적으로 지출되는 장비/자재 구매비용 등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종자(씨앗), 비료, 농약, 비닐, 연료 및 전기에너지 등이 포함된다. 간접비용은 영농 가이드의 실행을 위해 간접적으로 지출되는 투입인력당 인건비, 식사비, 세탁비, 세척비 및 영농 활동에 소요되는 시간 등이 포함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평가기의 평가 결과가 반영된 영농 가이드의 예시이다.
첨부된 도 4를 참고하면, 스케줄러(10)는 해충 방제를 목적으로 하는 영농 가이드를 복수로 제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해충 방제를 위한 영농 활동으로 농약 살포, 온도 조절, 천적 이용을 제시하면서 각 영농 활동마다 환경 관점의 평가 결과와 비용 관점의 평가 결과를 함께 제공한다.
영농인은 복수의 영농 가이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영농인은 환경 관점의 평가에 우선순위를 두고 영농 가이드를 선택할 수도 있고 비용 관점의 평가에 우선순위를 두고 영농 가이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병충해가 본격적인 확산 단계이고 매우 넓은 재배 면적에 이미 광범위하게 감염된 경우 영농인은 환경에 다소간에 악영향이 있더라도 넓은 면적을 커버하기 위해 비용적으로 저렴한 농약의 영농 가이드를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병해가 아직 시작 단계이고 증상이 경미한 경우, 영농인은 비용이 조금 더 비싸더라도 가급적 환경에 피해를 덜 주는 영농 가이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보상기(40)는 복수의 영농 가이드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영농 가이드에 포함된 환경 관점의 평가 결과 즉, 선택된 영농 가이드에 따른 영농 활동을 수행할 때 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상응하는 보상을 영농인에게 제공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보상기(40)는 천적 이용의 영농 활동에 대해 가장 높은 보상을 제공하고, 온도 조절의 영농 활동에 대해 다음 순위의 높은 보상을 제공하고, 농약 살포의 영농 활동에 대해서는 가장 낮은 보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보상기(40)가 영농인에게 제공하는 보상은 일종의 온라인 화폐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 또는 크레딧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상기(40)는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운영자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클린 포인트(Clean Point)를 영농인에게 제공할 수도 있으며, 객관성과 형평성을 보장하기 위해 ISO와 같은 국제표준기구에서 정한 기준에 의거하여 클린 포인트를 설정할 수도 있다.
클린 포인트는 별도의 보상 데이터베이스(도면에 미도시)에서 운영 및 관리될 수도 있으며, 일종의 영농 바우처로서 영농 활동에 필요한 물품, 기구 및 용역 서비스의 구매에 사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상기(40)는 영농인이 선택한(또는 수행한) 영농 가이드(또는 가이드에 따른 영농 활동)에 따라 클린 포인트를 차등적으로 부여할 수도 있다. 즉, 환경 관점의 평가 모델에서 높게 평가된 영농 가이드를 수행하면 낮은 등급의 영농 가이드를 수행했을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클린 포인트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보상기(40)는 국제기관이 운영하는 CDM 크레딧(Clean Development Mechanism credit)을 상기 국제기관을 중계하여 영농인에게 보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CDM 크레딧은 외부 온실가스 저감 프로젝트에 대하여 기준 전망치(BAU, Business-As -Usual)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했다는 증서로서, 영농 활동의 영농 가이드 수행에 따라 지급되는 일종의 탄소 배출권이다.
영농인이 여러 개의 영농 가이드 중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적은 것 또는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선택하거나 또는 실행까지 한 경우, 선택한 영농 가이드에 따른 작물의 재배는 그만큼 탄소배출 저감에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보상기(40)는 클린 포인트와 마찬가지로 영농인이 선택한(또는 수행한) 영농 가이드(또는 가이드에 따른 영농 활동)에 따라 CDM 크레딧을 차등적으로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농인은 본 발명의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국제기관의 크레딧 거래 서버에 접속하거나 직접 상기 크레딧 거래 서버에 접속하여 다른 주체(entity)와 크레딧을 거래하거나 현금 또는 가상화폐로 환금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실시예에서 평가기(20)에서 수행한 환경 관점의 평가와 비용 관점의 평가를 종합하면, 온도 조절이 환경과 비용면에서 가장 유리하고, 다음으로 농약 살포와 천적 이용 순으로 유리함을 알 수 있다.
영농인의 성향이나 영농 상황의 종류, 심각도 등에 따라 영농인이 용이하게 본인이 희망하는 영농 가이드를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환경 관점의 평가와 비용 관점의 평가 각각에 미리 소정의 가중치를 추가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평가기(20)는 환경 관점의 평가와 비용 관점의 평가 각각에 가중치를 더 입력 받고, 각 영농 가이드를 평가할 때 상기 입력 받은 가중치를 더 반영하여 평가 결과를 도출한다. 스케줄러(10)는 상기 가중치가 더 반영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농 가이드를 정렬(sorting)하여 영농인에게 제공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에 가중치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첨부된 도 5을 참조하면, 일례의 가중치 설정 인터페이스는 환경 관점의 평가 비율이 표시되는 환경 비율 표시창(20a)과 비용 관점의 평가 비율이 표시되는 비용 비율 표시창(20b)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환경 비율 표시창(20a)에 표시되는 비율을 조절하는 환경 비율 조절버튼(20c)과 비용 비율 표시창(20b)에 표시되는 비율을 조절하는 비용 비율 조절버튼(20d)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생육 제어기(50, growth controller)는 영농인이 스케줄러(10)가 제공한 복수의 영농 가이드들 중에서 어느 한 영농 가이드를 선택하면, 스케줄러(10)로부터 상기 선택된 영농 가이드를 제공받고, 제공된 영농 가이드에 따라 작물의 재배 환경을 조절한다. 생육 제어기(50)는 본 발명의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에 포함될 수도 있고 시스템과는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생육 제어기(50)는 본 발명의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생육 제어기(50)는 재배 시설에 설치된 조명 장치의 광량, 조명 시간, 광 파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거나, 재배 시설의 히터를 제어하여 온도를 조절하거나, 재배 시설의 가습기, 환풍기 및 환풍창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습도를 조절하거나, 관수 배관의 밸브를 제어하여 물 공급량을 조절하거나, 양액 공급기를 제어하여 양액의 조성비율 또는 농도를 조절하거나, 농약 살포기를 제어하여 농약 희석도 또는 농약 살포량을 조절한다.
마지막으로, 점검기(60)는 재배 시설에 배치된 각종 모니터링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영농 가이드 대로 영농 활동 또는 재배 환경의 제어가 실행되었는지를 점검한다.
상기 모니터링 센서는 양액이나 공급수의 산성도를 측정하는 pH센서, 폐양액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수질센서, 재배 시설의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는 계전센서, 물 사용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점검기(60)는 상기 모니터링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영농 가이드 대로 영농인이 영농 활동을 실행하였는지 또는 상기 선택된 영농 가이드에 따라 상기 생육 제어기(50)의 제어가 제대로 실행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선택된 영농 가이드 대로 영농인이 영농 활동을 실행하였는지 여부는 영농인이 작성한 전자 영농 일지의 형태로 점검기(60)에 보고될 수도 있다.
점검기(60)는 상기 판단에 따른 점검 결과를 보상기(40)로 전송하여 기존의 보상이 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보상기(40)는 영농인이 선택한 영농 가이드를 기초로 곧바로 영농인에게 보상할 수도 있지만, 스케줄러(10)가 제공한 영농인 선택의 영농 가이드와 점검기(60)가 제공한 점검 결과를 함께 반영함으로써 영농 가이드에 따라 실제 영농 활동이 실행되었는지 여부 또는 영농 가이드에 부합하는 영농 활동의 실행 정도에 따라 보상할 수도 있다. 또한 일단은 영농인이 선택한 영농 가이드를 기초로 영농인에게 선 보상하고, 점검기(60)가 제공한 점검 결과에 기초하여 선 보상을 감액하거나 기타의 페널티를 줄 수도 있다.
스케줄러(10)가 제시하는 복수의 영농 가이드들 중에서 영농인이 비용적인 측면에서 가장 저렴한 방법을 선택하지 않고 환경적인 측면을 더 고려한 가이드를 선택한 경우, 비록 단기적으로는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클린 포인트 및/또는 CDM 크레딧에 의한 보상과 그에 따른 마케팅 효과로 인해 오히려 더 나은 수익의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즉, 영농인은 첫째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이 보상한 클린 포인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각종 구매 예산을 절감하거나 CDM 크레딧을 통해 직접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둘째, CDM 크레딧의 증서로 인해 환경 영농 실천자로 인정받으면 농산물의 가격을 높게 책정할 수 있으며 셋째, 한경 영농 실천자의 타이틀 자체가 마케팅 포인트로 작동하므로 간접적으로 영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가이드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영농 활동의 의사 결정 방법의 흐름도를 표시한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의 의사 결정 방법은 영농 가이드 생성 단계(S10), 영농 가이드 평가 단계(S20), 영농 가이드 제공 단계(S50) 및 보상 단계(S60)를 포함하고, 가중치 추가 단계(S30), 영농 가이드 정렬 단계(S40), 생육 제어 단계(S70) 및 점검 단계(S8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의 영농 활동의 의사 결정 방법은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에 의해 실행된다. 상7기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은 스케줄러(scheduler), 평가기(assessor), 제공기(provide)를 포함하며, 보상기(compensator), 생육 제어기(growth controller) 및 점검기(monito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1. 영농 가이드 생성 단계(S10)
스케줄러는 기상 환경의 변화를 예측하는 기상 모델과 병충해의 예방 및 치유 레시피를 제공하는 방제 모델을 이용하여 작물 품종의 선정부터 수확 및 판매까지 영농의 전주기에 걸친 영농 가이드를 복수로 생성한다. 상기 기상 모델 및 방제 모델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평가기는 상기 스케줄러가 생성한 복수의 영농 가이드들 각각을 대상으로 환경 관점의 평가 모델을 적용하고 평가 결과를 각 영농 가이드에 추가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영농 가이드들 각각을 대상으로 비용 관점의 평가 모델을 선택적으로 더 적용하고 평가 결과를 각 영농 가이드에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환경 관점의 평가 모델 및 상기 비용 관점의 평가 모델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그것들과 동일하다.
2. 영농 가이드 평가 단계(S20)
상기 평가기는 상기 스케줄러가 생성한 복수의 영농 가이드들 각각을 대상으로 환경 관점의 평가 모델을 적용하고 평가 결과를 각 영농 가이드에 추가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영농 가이드들 각각을 대상으로 비용 관점의 평가 모델을 선택적으로 더 적용하고 평가 결과를 각 영농 가이드에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환경 관점의 평가 모델 및 상기 비용 관점의 평가 모델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그것들과 동일하다.
3. 가중치 추가 단계(S30)
영농인의 성향이나 영농 상황의 종류, 심각도 등에 따라 영농인이 용이하게 본인이 희망하는 영농 가이드를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환경 관점의 평가와 비용 관점의 평가 각각에 미리 소정의 가중치를 추가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평가기는 환경 관점의 평가와 비용 관점의 평가 각각에 가중치를 더 입력 받고, 각 영농 가이드를 평가할 때 상기 입력 받은 가중치를 더 반영하여 평가 결과를 도출한다.
4. 영농 가이드 정렬 단계(S40)
가중치가 추가로 입력된 경우, 상기 스케줄러는 가중치가 더 반영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농 가이드를 정렬(sorting)하여 영농인에게 제공한다.
별도의 가중치 입력이 없는 경우, S30 및 S40 단계를 생략하고 아래의 영농 가이드 제공 단계로 진행한다.
5. 영농 가이드 제공 단계(S50)
상기 제공기는 상기 평가기가 추가한 평가 결과가 반영된 복수의 영농 가이드들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영농인 단말에 제공한다. 영농인은 복수의 영농 가이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환경 관점의 평가에 우선순위를 두고 영농 가이드를 선택할 수도 있고 비용 관점의 평가에 우선순위를 두고 영농 가이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6. 보상 단계(S60)
상기 보상기는 복수의 영농 가이드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영농 가이드에 포함된 환경 관점의 평가 결과 즉, 선택된 영농 가이드에 따른 영농 활동을 수행할 때 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상응하는 보상을 영농인에게 제공한다. 보상의 수단으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클린 포인트 및/또는 CDM 크레딧이 이용될 수 있다.
7. 생육 제어 단계(S70)
선택 가능한 단계로서 생육 제어 단계(S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분기(分岐) ①로 진행할 경우, 생육 제어 단계(S70)에서 생육 제어기는 영농인이 상기 스케줄러가 제공한 복수의 영농 가이드들 중에서 어느 한 영농 가이드를 선택하면 상기 스케줄러로부터 상기 선택된 영농 가이드를 제공받고, 제공된 영농 가이드에 따라 재배 시설의 각종 재배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재배 환경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육 제어기는 재배 시설에 설치된 조명 장치의 광량, 조명 시간, 광 파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거나, 재배 시설의 히터를 제어하여 온도를 조절하거나, 재배 시설의 가습기, 환풍기 및 환풍창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습도를 조절하거나, 관수 배관의 밸브를 제어하여 물 공급량을 조절하거나, 양액 공급기를 제어하여 양액의 조성비율 또는 농도를 조절하거나, 농약 살포기를 제어하여 농약 희석도 또는 농약 살포량을 조절한다.
분기(分岐) ②로 진행할 경우, 영농인은 영농 가이드에 따라 손수 영농 활동을 수행한다.
8. 점검 단계(S80)
선택 가능한 단계로서 점검 단계(S8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점검 단계(S80)에서, 점검기는 재배 시설에 배치된 각종 모니터링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영농 가이드 대로 영농 활동 또는 재배 환경의 제어가 실행되었는지를 점검한다. 상기 모니터링 센서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들과 동일하다.
상기 점검기는 상기 모니터링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영농 가이드 대로 영농인이 영농 활동을 실행하였는지 또는 상기 선택된 영농 가이드에 따라 상기 생육 제어기의 제어가 제대로 실행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점검기는 상기 판단에 따른 점검 결과를 상기 보상기로 전송하여 기존의 보상이 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세부적인 보상의 조정 방법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장치 또는 시스템의 부분적 기능들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됨으로써 컴퓨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10: 스케줄러 20: 평가기
30: 제공기 40: 보상기
50: 생육 제어기 60: 점검기

Claims (19)

  1. 기상 환경의 변화를 예측하는 기상 모델(climate model)과 병충해의 예방 및 치유 레시피를 제공하는 방제 모델(pest control model)을 이용하여 영농의 전주기에 대한 영농 가이드를 복수로 생성하는 스케줄러(scheduler);
    상기 복수의 상기 영농 가이드를 대상으로 환경 관점의 평가 모델과 비용 관점의 평가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평가기(assessor); 및
    상기 평가기의 평가 결과가 포함된 영농 가이드들을 영농인의 단말에 제공하는 제공기(provider)
    를 포함하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가 적용된 영농 가이드 중에서 어느 한 영농 가이드가 선택되면, 상기 환경 관점의 평가 결과에 상응하는 보상을 영농인에게 제공하는 보상기(compensator)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영농 가이드에 기초하여 농작물의 재배 환경을 제어하는 생육 제어기(growth controller)
    를 더 포함하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육 제어기가 제어하는 재배 환경은,
    광량, 광 파장, 온도, 습도, 환기, 양액 조성비 중 적어도 하나인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기는, 환경 관점의 평가 결과와 비용 관점의 비용 평가 결과 각각에 가중치를 더 입력 받고,
    상기 제공기는,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영농 가이드를 정렬(sorting)하여 영농인 단말에 제공하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농 가이드의 대상이 되는 영농 활동은,
    작물 품종 선정, 종자 선정, 파종, 관수, 농약 살포, 비료 공급, 수확 및 출하, 영농 설비의 도입, 및 영농 설비의 선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재배 시설에 설치된 모니터링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영농 가이드에 부합하는 영농 활동이 수행되거나 상기 생육 제어기에 의한 재배 환경의 제어가 실행되었는지 확인하는 점검기(monitor)
    를 더 포함하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센서는,
    농작물 재배를 위한 양액의 산성도를 측정하는 pH센서, 폐양액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수질센서, 재배 시설의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는 계전센서, 물 사용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관점의 평가 모델은,
    탄소배출, 자원고갈, 오존층파괴, 산성화, 부영양화, 광화학산화물, 인체독성, 담수생태독성, 해수생태독성, 토양생태독성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평가하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기가 제공하는 보상은,
    CDM 크레딧(Clean Development Mechanism cred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11.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스케줄러(scheduler)가 기상 환경의 변화를 예측하는 기상 모델(climate model)과 병충해의 예방 및 치유 레시피를 제공하는 방제 모델(pest control model)을 이용하여 영농의 전주기에 대한 영농 가이드를 복수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평가기(assessor)가 상기 복수의 상기 영농 가이드를 대상으로 환경 관점의 평가 모델 및 비용 관점의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제공기(provider)가 상기 평가 결과가 포함된 영농 가이드들을 영농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의 의사 결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보상기(compensator)가 상기 평가가 적용된 영농 가이드 중에서 어느 한 영농 가이드가 선택되면, 상기 환경 관점의 평가 결과에 상응하는 보상을 영농인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의 의사 결정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생육 제어기(growth controller)가 상기 선택된 영농 가이드에 기초하여 재배 시설의 광량, 광 파장, 온도, 습도, 환기, 양액 조성비 중 적어도 하나의 재배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의 의사 결정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기가 환경 관점의 평가 결과와 비용 관점의 비용 평가 결과 각각에 가중치를 더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러가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영농 가이드를 정렬(sorting)하여 영농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의 의사 결정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농 가이드의 대상이 되는 영농 활동은,
    작물 품종 선정, 종자 선정, 파종, 관수, 농약 살포, 비료 공급, 수확 및 출하, 영농 설비의 도입, 및 영농 설비의 선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의 의사 결정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의 점검기(monitor)가 재배 시설에 설치된 모니터링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영농 가이드에 부합하는 영농 활동이 수행되거나 상기 생육 제어기에 의한 재배 환경의 제어가 실행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의 의사 결정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센서는,
    농작물 재배를 위한 양액의 산성도를 측정하는 pH센서, 폐양액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수질센서, 재배 시설의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는 계전센서, 물 사용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의 의사 결정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기가 확인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보상기가 기 제공된 보상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의 의사 결정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관점의 평가 모델은,
    탄소배출, 자원고갈, 오존층파괴, 산성화, 부영양화, 광화학산화물, 인체독성, 담수생태독성, 해수생태독성, 토양생태독성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평가하는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의 의사 결정 방법.
KR1020220039083A 2022-03-29 2022-03-29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40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083A KR20230140210A (ko) 2022-03-29 2022-03-29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및 방법
US17/929,736 US20230309436A1 (en) 2022-03-29 2022-09-05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farming activity decision-making based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P22194317.8A EP4254302A1 (en) 2022-03-29 2022-09-07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farming activity decision-making based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JP2022142913A JP2023147152A (ja) 2022-03-29 2022-09-08 環境影響評価に基づく営農活動意思決定システム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083A KR20230140210A (ko) 2022-03-29 2022-03-29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210A true KR20230140210A (ko) 2023-10-06

Family

ID=83228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083A KR20230140210A (ko) 2022-03-29 2022-03-29 환경 영향 평가에 기반한 영농 활동 의사 결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09436A1 (ko)
EP (1) EP4254302A1 (ko)
JP (1) JP2023147152A (ko)
KR (1) KR202301402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73240B (zh) * 2023-11-17 2024-02-02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碳排放成本的决策优化方法
CN117371671B (zh) * 2023-12-07 2024-03-08 杨凌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信息获取合理分配的农业咨询服务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24927A1 (en) 2017-08-08 2021-07-22 Indigo Ag, Inc. Machine learning in agricultural planting, growing, and harvesting contexts
KR102285300B1 (ko) 2019-09-06 2021-08-04 주식회사 에피넷 영농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7456B2 (en) * 2014-09-12 2020-06-02 The Climate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agricultural activities
CN113657751A (zh) * 2021-08-16 2021-11-16 农湾农业科技发展(山东)有限公司 一种智慧农业产融综合服务平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24927A1 (en) 2017-08-08 2021-07-22 Indigo Ag, Inc. Machine learning in agricultural planting, growing, and harvesting contexts
KR102285300B1 (ko) 2019-09-06 2021-08-04 주식회사 에피넷 영농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09436A1 (en) 2023-10-05
JP2023147152A (ja) 2023-10-12
EP4254302A1 (en) 202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wenberg‐DeBoer et al. Setting the record straight on precision agriculture adoption
Lubell et al. Innovation, cooperation, and the perceived benefits and costs of sustainable agriculture practices
US202303094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farming activity decision-making based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Garini et al. Drivers of adoption of agroecological practices for winegrowers and influence from policies in the province of Trento, Italy
US20050125260A1 (en) Method for quoting and contracting for management of inputs and services under a commercial service agreement, with a service loss guaranty or insurance policy and using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winton et al. Farmer decisions about adopting environmentally beneficial practices
Uthes et al. Policy relevance of three integrated assessment tools—A comparison with specific reference to agricultural policies
Antle et al. The economics of carbon sequestration in agricultural soils
Villanueva et al. Analysing the provision of agricultural public goods: The case of irrigated olive groves in southern Spain
Winans et al. Sustainable value mapping and analysis methodology: Enabling stakeholder participation to develop localized indicators mapped to broader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Böcker et al. An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of a glyphosate ban for the example of maize production
Raimondo et al. Land degradation and climate change: Global impact on wheat yields
Brown et al. The carbon footprint and economic impact of precision agriculture technology on a corn and soybean farm
Alston et al. Assessing the returns to R&D on perennial crops: the costs and benefits of Pierce's disease research in the California winegrape industry
CA3201930A1 (en) Reduction of nitrogen greenhouse gas emissions in agroecosystems for precision conservation
Diogo et al. Developing context-specific frameworks for integrated sustainability assessment of agricultural intensity change: An application for Europe
Endres Agriculture at a crossroads: energy biomass standards and a new sustainability paradigm
Annaert et al. Calculating environmental cost indicators of apple farm practices indicates large differences between growers
Prager Applying the institutions of sustainability framework to the case of agricultural soil conservation
Arriagada et al. Modeling fertilizer externalities around Palo Verde National Park, Costa Rica
Comer et al. Enabling sustainable landscape design for continual improvement of operating bioenergy supply systems
Lampkin et al. Preparing the Evidence Base for Post-Brexit agriculture in Scotland–case studies on alternative payments
Mahasuweerachai et al. Incentives for mechanized cane harvesting in Thailand: A choice experiment
Nam et al. Valuation of Climate Services for Viticulturists: Tackling fungal diseases
Kazancoglu et al. The role of agri‐food 4.0 in climate‐smart farming for controlling climate change‐related risks: A business perspective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