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700A -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 - Google Patents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700A
KR20230139700A KR1020220038361A KR20220038361A KR20230139700A KR 20230139700 A KR20230139700 A KR 20230139700A KR 1020220038361 A KR1020220038361 A KR 1020220038361A KR 20220038361 A KR20220038361 A KR 20220038361A KR 20230139700 A KR20230139700 A KR 20230139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quarium
plant cultivation
module
air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원
Original Assignee
이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원 filed Critical 이주원
Priority to KR1020220038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700A/ko
Priority to PCT/KR2022/011148 priority patent/WO2023191193A1/ko
Publication of KR20230139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2Transparent tops, e.g. with lighting means under the tabl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가 개시된다. 개시된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는 탁자 상판에 수족관이 부설되어 있는 탁자본체; 상기 탁자 상판 일측부에 상부로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수족관의 물을 공급하여 식물을 재배가능하도록 구성된 식물재배모듈; 상기 식물재배모듈의 측부에 구성되며 상기 수족관의 물을 상부에서 하부로 흘러내려 물에 먼지가 달라붙어 제거되는 방식으로 먼지포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정화모듈; 상기 식물재배모듈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수족관의 물을 공급받아 상기 식물재배모듈 및 상기 공기정화모듈에 물을 공급하는 상부 물분배수조부; 상기 수족관의 내부와 상기 상부 물분배수조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족관의 물을 펌핑하여 상기 상부 물분배수조부로 공급하는 물이송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Table equipped with an aquarium with air purification and plant cultivation functions}
본 발명은 물건을 올려 놓기 위한 탁자본체에 수족관이 설치된 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족관의 물을 이용하여 실내 먼지의 포집을 통한 공기정화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형태의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건의 올려 사용하는 탁자 본연의 기능 뿐 아니라, 관상어를 기르고 관찰할 수 있는 수족관 기능을 겸하도록 수족관이 탁자에 설치된 형태의 탁자가 있다.
이러한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에 대해 등록실용신안 20-0167486호, 등록실용신안 20-0262555호, 등록특허 10-1002517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는 단순히 탁자 본연 기능 외에 수족관 기능만을 할 뿐이어서, 식물을 기를 경우, 별도의 선반을 식탁에 설치하고 화분을 놓아 주어야 하며, 식물은 사용자가 직접 화분에 물을 주는 등의 관리를 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는 별도의 공기정화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것이어서, 공기청정기를 실내에 별도로 구비해야 하여 실내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별도의 전력이 필요하여 전기사용료 등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167486호 등록실용신안 20-0262555호 등록특허 10-100251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에 식물재배모듈 및 공기정화모듈이 일체화되도록 구성되어, 수족관 기능은 물론, 식물재배 기능과 공기정화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의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를 제공할 뿐 아니라, 이 식물재배모듈과 공기정화모듈은 수족관의 물을 이용하여 식물재배와 먼지포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수족관 물의 활용도를 높이고 수족관 물의 교체주기를 늘여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는 탁자 상판에 수족관이 부설되어 있는 탁자본체; 상기 탁자 상판 일측부에 상부로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수족관의 물을 공급하여 식물을 재배가능하도록 구성된 식물재배모듈; 상기 식물재배모듈의 측부에 구성되며 상기 수족관의 물을 상부에서 하부로 흘러내려 물에 먼지가 달라붙어 제거되는 방식으로 먼지포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정화모듈; 상기 식물재배모듈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수족관의 물을 공급받아 상기 식물재배모듈 및 상기 공기정화모듈에 물을 공급하는 상부 물분배수조부; 상기 수족관의 내부와 상기 상부 물분배수조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족관의 물을 펌핑하여 상기 상부 물분배수조부로 공급하는 물이송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탁자 본체는 상단에 상기 탁자 상판이 결합되고 하단 모서리에 탁자 다리가 결합되며, 내부 중앙에는 상기 수족관이 삽입고정되는 안착부를 구비한 수족관 고정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족관 고정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식물재배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식물재배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제1배출수와 상기 공기정화모듈에서 배출되는 제2배출수를 수집하고 정화시켜 상기 수족관으로 재공급하여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여과순환수조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모듈은, 측부가 개방된 사각함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물재배모듈의 측면에 구성되며, 내벽면에는 상기 상부 물분배수조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흘러내려 공기 중 먼지를 포집시키는 습식 먼지포집면을 구비한 정화모듈본체; 상기 정화모듈본체의 개방된 측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설치되며,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통기공을 구비한 커버패널; 상기 정화모듈본체의 내측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상부 물분배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먼지포집면으로 안내하는 물 가이드수단; 상기 정화모듈본체의 내부 하측에 구성되며 상기 습식 먼지포집면을 타고 흘러내린 물이 수집되며, 수집된 물에서 먼지를 여과한 후 상기 여과순환수조로 공급하는 먼지여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식물재배모듈은, 상기 탁자 상판 일측부에 결합되며 전방이 개방된 사각 박스형태로 이루어진 재배하우징과, 상기 재배하우징에 상하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설치된 선반패널로 이루어진 포트 선반부; 상기 선반패널 상단으로 설치되며 내부에는 식물을 재배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식물재배포트; 상기 식물재배포트의 저면 및 상기 선반패널을 관통하게 설치되며, 상기 식물재배포트의 저면으로부터 상부로 소정높이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물분배수조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식물재배포트에 소정 수위 이상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소정 수위를 초과하여 공급되는 물은 하방으로 배수되어 아래쪽에 위치한 식물재배포트로 배출되어 물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월류형 물배수관;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이송수단은 상기 수족관의 물에 잠기도록 구성되어 수족관의 물을 펌핑하는 수중펌프와, 하단은 수중펌프와 연결되고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단부는 펌핑된 수족관의 물을 상기 상부 물분배수조부로 배출되게 하는 물 이송배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포트 선반부는 상기 선반패널의 전단에 상기 물 이송배관부가 삽입결합되는 관 끼움부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트 선반부의 개방된 전방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에서 상기 포트 선반부의 내부를 투시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투명커버가 더 구성되며, 상기 포트 선반부에는 외부 공기를 상기 포트 선반부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여 상기 식물재배포트에서 재배되는 식물에 공기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외기공급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준의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에 비해, 식물재배모듈이 일체로 구비되어 식물재배기능을 통해 식물을 재배하고 재배되는 식물을 관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기정화모듈을 통해 공기정화기능도 구비하여 별도의 공기정화기를 실내에 구비할 필요 없이 탁자하나로 실내공기를 정화할 수 있어 공간사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단순히 탁자에 식물재배모듈과 공기정화모듈이 일체형으로 부설된 형태를 가지는 것만이 아니라, 식물재배모듈과 공기정화모듈이 수족관의 물을 이용하여 동작되는 것으로서, 식물재배모듈은 수족관의 물 즉, 수족관의 관상어가 배설하는 배설물과 잉여먹이의 영양성분이 함유된 수족관 물이 공급되어 아쿠아 포닉스 방식의 식물재배가 가능하여 수족관의 관상어 배설물을 청소할 필요가 없이 수족관에 물보충만 해주면 되기에 수족관 관리가 매우 편리해질뿐 아니라, 수족관의 물을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공기의 먼지가 물에 달라붙는 방식의 먼지포집이 이루어지게 하여 실내공기를 정화할 수 있어 수족관 물의 활용도를 높이고 실내공기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의 제1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수족관을 구비한 탁장를 다른 방향에서 절단한 제2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상부여과조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탁자 본체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는 탁자본체(10), 수족관(20), 식물재배모듈(30), 공기정화모듈(50), 상부 물분배수조부(60), 물이송수단(70), 여과순환수조(8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탁자본체(10)는 탁자상판(11)과, 상단에 탁자상판(11)이 결합되고 내측 중앙부에 수족관(20)이 삽입 안착되는 안착부(15)가 구비된 수족관 고정하우징(12)과, 이 고정하우징(12)의 하단 모서리에 고정설치되는 탁자 다리(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탁자상판(11)의 중앙부에는 안착부(15)에 삽입된 수족관(20)을 투시하는 유리판 등의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투명판(14)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탁자상판(11)은 수족관 고정하우징(12)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가 이루어지되, 하나의 일체형 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로 분리되어 식물재배모듈(30)이 설치되지 않는 영역에 설치되어 물건을 올려 사용하는 탁자기능을 하도록 구성된 탁자테이블판(11a)과, 탁자테이블판(11a)의 측부에 구성되고 수족관 고정하우징(12)의 일측부을 덮도록 결합되며 식물재재모듈(30)을 지지하는 모듈지지판(11b)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수족관(20)은 유리재질로 구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형태로 이루어어지며, 안착부(15)의 저부로 삽입안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수족관(20) 내부에는 수족관 물이 채워지고 내부에 채워진 물에 금붕어 등의 관상어를 넣어 수족관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며, 수족관(20) 내의 관상어는 투명판(14)을 통해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식물재배모듈(30)은 탁자 상판(11)의 일측부에 상부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다단으로 식물을 재배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수족관(20) 내의 물을 식물재배모듈(30)의 상부로 끌어올려 다단으로 재배되는 식물의 상부부터 하부로 순차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식물재배모듈(30)은 아쿠아 포닉스(aquaponics) 형태의 식물재배 즉 수족관(20)에 관상어 먹이를 주고, 그 관상어의 배설물과 잉여 먹이를 포함하는 수족관의 물이 공급되어져 식물의 영양원과 수분으로 제공되는 형태의 식물재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포트 선반부(31), 식물재배포트(32), 월류형 물배수관(3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포트선반부(31)는 탁자 상판 일측부에 결합설치되며, 전방이 개방된 사각 박스형태로 이루어진 재배하우징(31a)과, 이 재배하우징(31a) 내부에 상하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선반패널(31b)로 이루어진다.
식물재배포트(32)는 내부에 식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며, 각 선반패널(31b)의 상단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월류형 물 배수관(35)은 식물재배포트(32)와 선반패널(31b)을 관통하게 설치되며 식물재배포트(32)의 저면으로부터 상부로 소정높이로 구성되어 상부에서 배수되어 공급되는 물이 식물재배포트(32)에 포트에 소정 수위 이상으로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소정 수를 초과하여 공급되는 물은 하방으로 배수되어 아래쪽에 위치한 식물재배포트(32)로 배수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식물재배포트(32)에 소정수위로 수족관 물이 수용되게 하며, 식물재배포트(32) 내의 재배식물은 수족관 물에 함유된 물고기의 배설물과 잉여 양분을 영양원으로 하여 식물재배가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정화모듈(50)은 식물재배모듈(30)의 양측부에 구성되어 수족관의 물을 공급받아 수족관의 물을 상부에서 하부로 흘러내려 물에 먼지가 달라붙어 제거되는 방식으로 먼지를 포집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공기정화모듈(50)은 정화모듈본체(51), 커버패널(53), 물가이드수단(55), 먼지여과부(5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정화모듈본체(51)는 측부가 개방된 사각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식물재배모듈(30)의 측면에 구성되며 내벽면에는 상부 물분배수조부(60)에서 공급된 물이 흘러내려 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시키는 습식 먼지포집면(52)이 구성된다.
커버패널(53)은 정화모듈본체(51)의 개방된 측면을 덮도록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수의 통기공(53a)이 형성된 타공판으로 이루어진다.
실내 공기는 통기공(53a)을 통해 정화모듈본체(51) 내부로 유입이 이루어지고, 습식 먼지포집면(52)을 흐르는 물에 먼지가 달라붙어 먼지포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가이드수단(55)은, 정화모듈본체(51)의 내측 상단부에 구성되며 상부 물분배수조부(60)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습식 먼지포집면(52)의 상단부 측으로 월류되어 습식 먼지포집면(52)을 타고 흐르도록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먼지여과부(56)는 정화모듈본체(51)의 내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습식 먼지포집면(52)을 타고 흘러내린 물이 유입되어 수집이 이루어지고, 수집된 물에서 먼지를 여과한 후 여과순환수조(80)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먼지여과부(56)의 하부에는 수집된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재(57)가 구성되어 습식 먼지포집면(52)을 타고 흘러내린 물이 필터부재(57)에 의해 여과되고, 먼지여과부(56)의 저면에는 여과된 물을 여과순환수조(80)의 측부로 배수시키는 하부 배수유로(38)가 관통형성된다.
상부 물분배수조부(60)는 식물재배모듈(30)의 상단에 설치되며, 물이송수단(70)에 의해 수족관(20) 내의 물을 공급받아 식물재배모듈(30)과 공기정화모듈(50)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물분배수조부(60)의 하단에는 수족관(2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최상단의 식물재배포트(32)로 배수시키는 제1물공급유로(63)가 구성되고, 상부 물분배수조부(60)의 양측부에는 정화모듈본체(51)의 상단과 연결되어 수족관(2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물 가이드수단(55)으로 배수시키는 제2물공급유로(64)가 구성된다.
물이송수단(70)은 수족관(20)의 내부와 상부 물분배수조부(60)을 연결하여 수족관(20)의 물을 펌핑에 의해 상부 물분배수조부(60)로 이송하여 공급시키는 구성으로서, 수족관(20) 내부의 물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수중펌프(71)와, 하단은 수중펌프(71)에 연결되고,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상부 물분배수조부(60)로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안내관(73a)을 구비한 물이송배관부(73)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물이송배관부(73)는 다단으로 배치된 선반패널(53)의 각각의 선단에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선반패널(53)의 전단에는 홈형태의 관끼움부(33)가 구성되고, 이 관끼움부(33)에 물이송배관부(73)가 삽입결합되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각각의 선반패널(53)에 끼움결합되어 물이송배관부(73)가 관끼움부(3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리브(74)가 더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부 물분배수조부(60)의 내측에 물이송수단(70)에 의해 수족관(2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에서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 상부 물분배수조부(60)로 오버플로우되게 하여 공급하는 상부여과조(65)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의 (a)와 같이, 상부여과조(65)는 배수안내관(73a)의 하부에 배치되어 배수안내관(73a)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족관의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여과조(65)의 저부에는 다공질 여과부재(66)가 삽입설치되어 상부 여과조(65)로 유입된 물은 다공질 여과부재(66)에 의해 입자가 큰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이 걸러지고, 걸러진 물은 상부 여과조(65)를 넘쳐서 상부 물분배수조부(60)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다만, 다공질 여과부재(66)는 상부 여과조(65)의 하단에 삽입설치되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여과조(65)의 저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배수안내관(73a)의 말단이 다공질 여과부재(66)를 관통하여 상부 여과조(65)의 저부로 수족관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여과조(65)로 유입된 물은 다공질 여과부재(66)를 통과하면서 입자가 큰 덩어리 진 형태의 이물질이 걸리지고, 이물질이 걸리진 물이 상부 물분배수조부(60)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질 여과부재(66)는 수족관의 물에 존재하는 덩어리진 관상어 배설물을 걸러주는 기능을 하며, 배설물이 물에 녹아 용해된 용해물은 다공질 여과부재(66)를 통과하여 식물재배모듈(30)로 공급됨으로써 식물재배의 영양분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과순환수조(75)는 수족관 고정하우징(12) 내부의 일측부에 구성되며 식물재배모듈(30)과 양측의 공기정화모듈(5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식물재배모듈(30)로부터 하부로 배출되는 제1배출수와, 공기정화모듈(50)로부터 하부로 배출되는 제2배출수를 수집하고, 수집된 물을 정화시켜 수족관(20)으로 재공급하여 수족관(20)의 물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여과순환수조(75)의 내부에는 길이방향 측부에서 중앙부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소정간격으로 높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월류판(76a,76b)이 구성되고, 중앙부에는 측부로 유입되어 월류판(76a,76b)을 타고 넘쳐 흐르는 물이 집수되는 중앙집수부(77)가 구성되며, 중앙집수부(77)의 전면벽부에는 중앙집수부(77)에 집수된 물을 수족관(20) 측으로 배수시켜 수족관(20) 측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회수유로(78)가 구성된다.
아울러, 여과순환수조(75)에는 월류판(76a,76b)에 의해 구획된 공간 저부와 중앙집수부(77)의 저부에 각각 유입된 물에 포함된 먼지, 이물질등을 흡착포집하는 이물흡착부재(76c)가 구성된다. 여기서 이물흡착부재(76c)는 숯, 현무암과 같이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흡착시키는 흡착기공이 형성된 이물흡착 광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물흡착부재(76c)는 이물흡착 광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여타의 흡착필터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여과순환수조(75)는 길이방향 중앙부로 형성된 중앙집수부(77)에 식물재배모듈(30)로부터 하부로 배출되는 제1배출수가 직접 배수되어 집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길이방향 양측부로 공기정화모듈(50)로부터 하부로 배출되는 제2배출수가 집수되고, 집수된 제2배출수가 이물흡착부재(76c)에 물에 포함된 먼지가 흡착제거되면서 월류판(76a,76b)을 월류하여 중앙집수부(77)로 집수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배출수와 제2배출수는 회수유로(78)를 통해 수족관(20)으로 배수되어 회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수족관(20) 내의 수족관 물은 물이송수단(70)에 의해 상부여과조(65)로 유입되어, 상부여과조(65)에서 덩어리진 큰 입자의 관상어 배설물이 걸러져서 상부 물분배수조부(60)로 공급된다.
다음으로, 상부 물분배수조부(60)에 공급된 수족관 물은 제1물공급유로(63)를 통해 식물재배모듈(30)로 공급되어 수족관 물을 이용하여 아쿠아 포닉스 방식의 식물재배가 이루어지며, 제2물공급유로(64)를 통해 공기정화모듈(50)로 공급되어 수족관 물을 이용하여 실내 먼지의 포집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물공급유로(63)를 통해 배수되는 수족관 물은 최상측의 식물재배포트(32)로 배수되어, 최상측의 식물재배포트(32)에 소정 수위로 채워진 후, 월류형 물배수관(35)을 통해 아래측의 식물재배포트(32)로 배수되어 하측의 식물재배포트(32)에 소정수위로 채워진 후, 월류형 물배수관(35)을 통해 그 다음 아래 측의 식물재배포트(32)로 배수되고 같은 원리로 소정수위가 채워진 후 여과순환수조(75)로 배수되어 집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물공급유로(63)를 통해 배수되는 수족관 물은 물가이드수단(55)으로 유입되어 먼지포집면(52)을 타고 상부에서 하부로 흘러내리게 되며, 이때, 먼지포집면(52)을 타고 흐르는 수족관 물에 공기 중의 먼지가 달라붙어 공기중의 미세먼지 제거가 이루어지게 되며, 먼지포집면(52)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은 먼지여과부(56)로 유입되어, 물에 포함된 먼지입자가 여과된 후 하부 배수유로(58)를 통해 여과순환수조(75)로 배수되어 집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식물재배모듈(30)로부터 배수되는 제1배출수와 공기정화모듈(50)로부터 배수되는 제2배출수는 여과순환수조(75)로 배수되고, 물에 포함된 이물질의 흡착여과가 이루어진 후, 여과된 물은 회수유로(78)를 통해 수족관(20)으로 회수되어 수족관 물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탁자에 수족관(20)이 부설되어 탁자로서 사용하는 것에 외에 수족관으로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족관의 물을 식물재배모듈(30)에 공급하여 아쿠아 포닉스 방식의 식물 재배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고, 또한 수족관 물을 공기정화모듈(50)에 공급하여 수족관 물을 이용한 습식 먼지 포집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탁자 본연의 기능 뿐 아니라, 수족관 기능은 물론, 식물재배, 공기정화까지 다기능을 하는 탁자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탁자 본체는 수족관 고정하우징(12)의 둘레저면과 안착부(15)의 측벽 상부에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져 수족관(20) 및 투명판(14)에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로방지홀(16)이 구성되며, 고정하우징(12)의 측벽과 안착부(15)의 측면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고정하우징(12)과 안착부(15)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안착부(15)의 측벽의 휨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블록(17)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의 포트 선반부(31)는 재배하우징(31a)의 개방된 전방부를 개폐하며, 외부에서 식물재배포트(32)에서 재배되는 식물을 관찰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투명도어를 더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포트 선반부(31)에는 재배하우징(31a)의 일측부에 외부공기를 재배하우징(31a)의 내부로 공급하여 식물재배포트(32)에서 재배되는 식물에 공기를 공급하는 팬모터로 이루어진 외기공급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재배하우징(31a)의 내측에는 식물의 재배를 위한 빛을 제공하는 LED발광부가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탁자본체
11…탁자상판
11a…탁자테이블판
11b…모듈지지판
12…수족관 고정하우징
13…탁자 다리
14…투명판
15…안착부
16…결로방지홀
17…보강블록
20…수족관
30…식물재배모듈
31…포트 선반부
31a…재배하우징
31b…선반패널
32…식물재배포트
33…관끼움부
35…월류형 물배수관
50…공기정화모듈
51…정화모듈본체
52…습식 먼지 포집면
53…커버패널
55…물 가이드수단
56…먼지여과부
57…필터부재
58…하부 배수유로
60…상부 물분배수조부
63…제1물공급유로
64…제2물공급유로
65…상부여과조
66…여과부재
70…물이송수단
71…수중펌프
73…물 이송배관부
73a…배수안내관
74…이탈방지리브
75…여과순환수조
76a, 76b…월류판
76c…이물 흡착 부재
77…중앙집수부
78…회수유로

Claims (6)

  1. 탁자 상판에 수족관이 부설되어 있는 탁자본체;
    상기 탁자 상판 일측부에 상부로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수족관의 물을 공급하여 식물을 재배가능하도록 구성된 식물재배모듈;
    상기 식물재배모듈의 측부에 구성되며 상기 수족관의 물을 상부에서 하부로 흘러내려 물에 먼지가 달라붙어 제거되는 방식으로 먼지포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정화모듈;
    상기 식물재배모듈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수족관의 물을 공급받아 상기 식물재배모듈 및 상기 공기정화모듈에 물을 공급하는 상부 물분배수조부;
    상기 수족관의 내부와 상기 상부 물분배수조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족관의 물을 펌핑하여 상기 상부 물분배수조부로 공급하는 물이송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탁자 본체는 상단에 상기 탁자 상판이 결합되고 하단 모서리에 탁자 다리가 결합되며, 내부 중앙에는 상기 수족관이 삽입고정되는 안착부를 구비한 수족관 고정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족관 고정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식물재배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식물재배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제1배출수와 상기 공기정화모듈에서 배출되는 제2배출수를 수집하고 정화시켜 상기 수족관으로 재공급하여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여과순환수조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모듈은,
    측부가 개방된 사각함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물재배모듈의 측면에 구성되며, 내벽면에는 상기 상부 물분배수조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흘러내려 공기 중 먼지를 포집시키는 습식 먼지포집면을 구비한 정화모듈본체;
    상기 정화모듈본체의 개방된 측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설치되며,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통기공을 구비한 커버패널;
    상기 정화모듈본체의 내측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상부 물분배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먼지포집면으로 안내하는 물 가이드수단;
    상기 정화모듈본체의 내부 하측에 구성되며 상기 습식 먼지포집면을 타고 흘러내린 물이 수집되며, 수집된 물에서 먼지를 여과한 후 상기 여과순환수조로 공급하는 먼지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모듈은,
    상기 탁자 상판 일측부에 결합되며 전방이 개방된 사각 박스형태로 이루어진 재배하우징과, 상기 재배하우징에 상하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설치된 선반패널로 이루어진 포트 선반부;
    상기 선반패널 상단으로 설치되며 내부에는 식물을 재배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식물재배포트;
    상기 식물재배포트의 저면 및 상기 선반패널을 관통하게 설치되며, 상기 식물재배포트의 저면으로부터 상부로 소정높이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물분배수조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식물재배포트에 소정 수위 이상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소정 수위를 초과하여 공급되는 물은 하방으로 배수되어 아래쪽에 위치한 식물재배포트로 배출되어 물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월류형 물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이송수단은 상기 수족관의 물에 잠기도록 구성되어 수족관의 물을 펌핑하는 수중펌프와, 하단은 수중펌프와 연결되고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단부는 펌핑된 수족관의 물을 상기 상부 물분배수조부로 배출되게 하는 물 이송배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포트 선반부는 상기 선반패널의 전단에 상기 물 이송배관부가 삽입결합되는 관 끼움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선반부의 개방된 전방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에서 상기 포트 선반부의 내부를 투시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투명커버가 더 구성되며,
    상기 포트 선반부에는 외부 공기를 상기 포트 선반부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여 상기 식물재배포트에서 재배되는 식물에 공기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외기공급수단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



KR1020220038361A 2022-03-28 2022-03-28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 KR20230139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361A KR20230139700A (ko) 2022-03-28 2022-03-28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
PCT/KR2022/011148 WO2023191193A1 (ko) 2022-03-28 2022-07-28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361A KR20230139700A (ko) 2022-03-28 2022-03-28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700A true KR20230139700A (ko) 2023-10-05

Family

ID=88202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361A KR20230139700A (ko) 2022-03-28 2022-03-28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9700A (ko)
WO (1) WO202319119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486Y1 (ko) 1999-08-18 2000-02-15 김연수 어항이 부설된 테이블
KR200262555Y1 (ko) 2001-11-10 2002-03-18 이상석 어항이 부설된 식탁
KR101002517B1 (ko) 2008-06-16 2010-12-17 최동희 어항이 부설된 식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947Y1 (ko) * 2005-05-03 2005-07-18 오현철 어항이 구비된 실내조경물
KR101222546B1 (ko) * 2012-07-23 2013-02-06 주식회사 이케이 식물공장구조물
KR20160097826A (ko) * 2015-02-10 2016-08-18 이진우 복수개의 식물재배 모듈이 구비된 식물재배시스템
CN204670635U (zh) * 2015-05-27 2015-09-30 傅映霞 一种鱼缸式办公桌
KR101816243B1 (ko) * 2016-10-05 2018-01-08 고정호 수경재배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486Y1 (ko) 1999-08-18 2000-02-15 김연수 어항이 부설된 테이블
KR200262555Y1 (ko) 2001-11-10 2002-03-18 이상석 어항이 부설된 식탁
KR101002517B1 (ko) 2008-06-16 2010-12-17 최동희 어항이 부설된 식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193A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002Y1 (ko)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0464819Y1 (ko) 실내녹화 겸 공기청정장치
CN103209581A (zh) 竖直壁用花盆及用于竖直壁用花盆的多过滤器和花盆支承框架
KR101724042B1 (ko)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
KR101460596B1 (ko) 공기정화용 식물포트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시스템
KR102340390B1 (ko) 휘발성유기화합물제거 기능을 가진 친환경 공기청정시스템
CN106305569B (zh) 自洁净内循环控温型养殖系统
KR101317471B1 (ko) 버티칼 가든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203762066U (zh) 一种自供氧观赏鱼缸
KR101058492B1 (ko) 활어수족관의 살균정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활어수족관
CN212581719U (zh) 一种小型家庭式生活污水处理装置
KR20230139700A (ko) 공기정화 및 식물재배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구비한 탁자
KR102067030B1 (ko) 식생블록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111517567A (zh) 一种具有自动清堵功能的生态环境修复系统及修复方法
KR100810996B1 (ko) 정수장치를 구비한 어항
CN110089479A (zh) 一种水产品循环水培养实验室养殖装置
CN210460087U (zh) 一种带有雨水收集系统的遮阳棚
CN113994913A (zh) 太阳能货柜养殖装置
KR101488108B1 (ko) 바이오필터화분 수분공급장치
CN217242159U (zh) 一种循环净化式水族箱
KR20130014153A (ko) 수족관
CN220694181U (zh) 一种增氧底滤缸
CN214709430U (zh) 一种河蟹立体养殖及无土栽培一体化系统
CN214709431U (zh) 一种用于河蟹立体养殖及无土栽培联合作业系统的作业平台
CN214853717U (zh) 一体式底滤鱼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