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475A -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475A
KR20230139475A KR1020220037839A KR20220037839A KR20230139475A KR 20230139475 A KR20230139475 A KR 20230139475A KR 1020220037839 A KR1020220037839 A KR 1020220037839A KR 20220037839 A KR20220037839 A KR 20220037839A KR 20230139475 A KR20230139475 A KR 20230139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water
pumping
oil
pipe
cont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열
박원석
김국진
강연화
Original Assignee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filed Critical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Priority to KR1020220037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475A/ko
Publication of KR20230139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47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1/00Pumps using positively or negatively pressurised fluid medium acting directly on the liquid to be pumped
    • F04F1/06Pumps using positively or negatively pressurised fluid medium acting directly on the liquid to be pumped the fluid medium acting on the surface of the liquid to be pumped
    • F04F1/08Pumps using positively or negatively pressurised fluid medium acting directly on the liquid to be pumped the fluid medium acting on the surface of the liquid to be pumped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iquids from great depths, e.g. in w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양수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수장치는, 내부에 소수성 흡수부재가 선택적으로 배치되고, 측부 또는 하부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1 망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망 구조를 통해 접촉하는 지하수 또는 유류가 내부로 유입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내부에 유입된 지하수 또는 유류를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흡입하는 벤츄리부;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제1 관; 및 상기 제1 관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기반으로 발생되는 상기 벤츄리 효과에 따라 상기 벤츄리부에 흡입된 지하수 또는 유류를 배출하는 제2 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및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PUMPING POLLUTNAT AND POLLUTED GROUNDWATER}
본 발명은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심도의 지하수 또는 오염된 지하수에 대한 양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소수성 흡수부재의 선택적 적용이 가능하여 유류 회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공업용 등의 용수 및 농어촌의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지반에 관정(管井)을 뚫고, 관정의 상부에 케이싱을 설치하며, 상기 케이싱을 관통하여 관정의 내부에 양수관을 삽입한 다음 펌프를 사용하여 지하수를 양수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따라서, 암반 사이에 흐르고 있는 지하수는 암반공을 통하여 관정에 모이게 되고, 상기 관정에 모인 지하수는 수중모터펌프의 작동에 의해 강제 흡입된 후 양수관을 따라 송수배관으로 공급된다.
한편, 오염된 지하수의 양수를 위해 펌프를 이용하기도 하나, 심도가 일정 이상(약 10m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일반 펌프로는 양수가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하수 양수용의 블레이드 펌프와 같은 고비용의 관정용 펌프를 이용하지만, 오염된 지하수 내에 유기물에 의한 막힘, 부품의 침수 등으로 해당 펌프가 쉽게 고장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심도에서 지하수 오염물질 또는 오염된 지하수에 대한 양수가 가능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오염물질에 의해 제품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의 장치가 필요하다.
한편, 특허등록공보 제10-1429471호와 같이 토양 오염물질을 약품과 물 등의 액체로 세정하는 지중고압분사장비(PMI-system)를 사용하는 경우 지중고압분사장비로 천공된 빈 공간과 지중에는 오염물질, 정화약액 등을 포함하는 지하수가 발생하며, 비중이 물보다 작은 유류 등의 오염물질의 경우에는, 물(또는 약품, 지하수)의 상부에 부유하는 유류를 효과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장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특허공개공보 제10-2003-0070451호와 같이 과거에는 단순 진공압을 이용하여 유류를 흡수하였으나, 이러한 유류회수장치는 효율이 떨어져 충분한 양의 유류를 적은 시간 동안에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지하수 오염물질 또는 오염된 지하수에 대한 양수장치는 필요에 따라 상술한 유류 회수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으나, 아직까지 이러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양수장치는 전무한 실정이다.
다만, 상술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기 공개된 기술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KR 10-1429471 B KR 10-2003-0070451 A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심도의 지하수 오염물질 또는 오염된 지하수에 대한 양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소수성 흡수부재의 선택적 적용이 가능하여 유류 회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류 회수 기능 시에 물의 상부에 떠있는 연료계 탄화수소화합물이나 유기용매와 같은 비수용성 액상 오염물질(NAPL: Nonaqueous Phase Liquid) 등의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유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회수할 수 있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류 회수 기능 시에 소수성 흡수부재를 이용하여 유류만을 보다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벤츄리 효과를 활용하여 지하수 또는 유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양수 또는 회수할 수 있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는, 내부에 소수성 흡수부재가 선택적으로 배치되고, 측부 또는 하부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1 망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망 구조를 통해 접촉하는 지하수 또는 유류가 내부로 유입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내부에 유입된 지하수 또는 유류를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흡입하는 벤츄리부;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제1 관; 및 상기 제1 관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기반으로 발생되는 상기 벤츄리 효과에 따라 상기 벤츄리부에 흡입된 오염 지하수 또는 유류를 배출하는 제2 관;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는 유입된 오염 지하수 또는 유류를 상기 벤츄리부로 전달하는 통로인 제1 홀과,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 홀의 하부에 배치된 제2 망 구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망 구조는 이물질에 대해 1차 필터링하면서 오염 지하수 또는 유류를 상기 접촉부의 내부로 유입하고, 상기 제2 망 구조는 상기 접촉부의 내부로 유입된 지하수 또는 유류를 이물질에 대해 2차 필터링하며, 상기 제1 홀에는 상기 2차 필터링된 지하수 또는 유류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흡수부재는 유류 회수 기능이 수행될 경우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벤츄리부는, 상단 통로가 상기 제1 관의 하단 통로에 연결되는 제1 내부관; 하단 통로가 지하수 또는 유류가 전달되는 상기 접촉부의 제1 홀에 연결되고, 상단 통로가 상기 제2 관의 하단 통로에 연결되는 제2 내부관; 및 상기 제2 내부관에 대해 이격되어 둘러싸는 형상을 포함하되, 상단 부위가 상기 제2 내부관에 연결되며, 하단 부위 중 일부가 상기 제1 내부관의 하단 통로에 연결되는 제3 내부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관은, 상기 제1 관에 연결된 상단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2 내부관의 방향으로 절곡된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제2 내부관을 향해 연장된 제3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부분의 단부 통로가 상기 제3 내부관의 하단 부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내부관은 하단 및 상단 사이의 중단 통로나 상단 통로가 하단 통로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내부관은 큰 직경을 가지는 상대적으로 상부 위치인 제1 부위와,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대적으로 하부 위치인 제2 부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내부관은 상기 상단 부위가 상기 제2 내부관의 상기 제1 부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내부관은 상기 상단 부위에서 상기 하단 부위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내부관은 상기 하단 부위와 상기 상단 부위의 사이는 상기 제1 내부관의 상기 제3 부분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내부관은 큰 직경을 가지는 상대적으로 상부 위치인 제1 부위와,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대적으로 하부 위치인 제2 부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내부관은 상기 제2 내부관의 상기 제2 부위에 대해 이격되어 상기 제2 부위를 둘러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양수장치는 지중의 관정에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는 상기 관정의 내부 벽면에 접촉하며, 상기 접촉부 및 벤츄리부를 상기 관정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면서 상기 접촉부 및 벤츄리부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관정벽면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정벽면 가이드는, 상기 벤츄리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회전가능한 축; 및 상기 축에 연결되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는 상기 접촉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공기가 주입되는 부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력부는 주입되는 공기량에 따라 지하수 또는 유류에 대한 상기 접촉부의 접촉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부력부는 상기 접촉부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흡수부재는 공극을 포함하는 폴리머 스펀지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력생성부와, 상기 압축공기를 기반으로 지하수 또는 유류를 흡수하여 배출하는 양수장치를 포함하는 양수시스템으로서, 상기 양수장치는, 내부에 소수성 흡수부재가 선택적으로 배치되고, 측부 또는 하부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1 망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망 구조를 통해 접촉하는 지하수 또는 유류가 내부로 유입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내부에 유입된 지하수 또는 유류를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흡입하는 벤츄리부;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제1 관; 및 상기 제1 관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기반으로 발생되는 상기 벤츄리 효과에 따라 상기 벤츄리부에 흡입된 지하수 또는 유류를 배출하는 제2 관;을 포함한다.
상기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는 지중에 삽입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지중에 삽입되어 상기 양수장치를 향하여 약품을 분사하는 지중 주입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심도의 지하수 또는 오염된 지하수에 대한 양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소수성 흡수부재의 선택적 적용이 가능하여 유류 회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류 회수 기능 시에 물의 상부에 떠있는 연료계 탄화수소화합물이나 유기용매와 같은 비수용성 액상 오염물질(NAPL: Nonaqueous Phase Liquid) 등의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유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회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류 회수 기능 시에 초소수성 흡수부재를 채용함으로써 친수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내면서 동시에 소수성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출을 위한 관 내부의 직경을 달리하여 벤츄리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작은 압력으로도 지하수 또는 유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양수 또는 회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시스템(10)에 대한 간략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오염 지하수에 대한 양수 기능을 수행하는 양수장치(100A)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유류 회수 기능을 수행하는 양수장치(100B)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양수장치(100)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양수장치(100)가 관정(W)에 삽입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5는 양수장치(100)가 관정(W)에 삽입된 경우에 대한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시스템(10)을 나타낸다.
도 6은 기액분리부(500)의 구성 및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시스템(10)을 적용한 일 예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상술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수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시스템(10)에 대한 간략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시스템(10)은 양수장치(100), 압력생성부(200), 밸브(300), 제어부(400), 기액분리부(500), 기상처리부(600) 및 유류저장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양수장치(100)는 다양한 심도의 지하수 오염물질 또는 오염된 지하수에 대한 양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물론, 양수장치(100)는 소수성 흡수(吸收)부재의 선택적 적용이 가능하여 유류 회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양수장치(100)는 지중에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오염 지하수에 대한 양수 기능을 수행하는 양수장치(100A)의 구성도를 나타내며, 도 3은 유류 회수 기능을 수행하는 양수장치(100B)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양수장치(100)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양수장치(100)가 관정(W)에 삽입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 5는 양수장치(100)가 관정(W)에 삽입된 경우에 대한 양수시스템(10)을 나타낸다. 다만, 도 5에서, 밸브(300) 및 제어부(400)의 구성은 생략하였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양수장치(100)는 접촉부(110), 벤츄리부(120), 연결부(130), 제1 관(140), 제2 관(150) 및 관정벽면 가이드(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110)는 지하수 또는 유류를 추출하도록 지하수 또는 유류와 접촉하는 구성으로서, 그 제1 하우징(111)의 내부에 소수성 흡수부재(114)가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접촉부(110)는 제1 하우징(111)의 측부 또는 하부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망 구조(11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접촉부(110)는 지하수 또는 유류와 접촉하되, 해당 망 구조(113)를 통해 이물질이 1차 필터링된 지하수 또는 유류가 그 제1 하우징(1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지하수에 대한 양수 기능을 수행할 경우, 접촉부(110)가 지하수와 접촉하면서 그 제1 하우징(111) 내부로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유류 회수 기능을 수행할 경우, 접촉부(110)가 유류와 접촉하면서 그 제1 하우징(111) 내부로 유류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1차 필터링되면서 유입된 지하수 또는 유류는 제1 홀(112)로 전달되기 전에 이물질이 2차 필터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망 구조(113)는 제1 하우징(111)의 측부 또는 하부 외에도 제1 하우징(111)의 내부, 즉 제1 홀(112)의 하부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편의상, 제1 하우징(111)의 측부 또는 하부의 망 구조(113)는 "제1 망 구조"라 지칭할 수 있고, 제1 홀(112)의 하부에 배치된 망 구조(113)는 "제2 망 구조"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11)은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111)의 상부는 그 내부에 유입된 지하수 또는 유류를 벤츄리부(120)로 전달하기 위한 통로인 제1 홀(112)을 포함한다.
특히, 유류 회수 기능을 수행할 경우, 접촉부(110)의 내부에 소수성 흡수부재(114)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접촉부(110)의 유류와 접촉하는 소수성 흡수부재(114)를 통하여 물의 흡수는 최대한 배제하고 접촉한 유류를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류는 기름 성분을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소수성 흡수부재(114)는 물의 흡수를 막고 유류를 흡수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소수성 흡수부재(114)는 초소수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초소수성 소재는 담체(Supporting material)로서 대량으로 공급이 용이하고 흡수에 유리한 높은 공극과 표면 특성을 가지는 폴리머 스폰지(polymer sponge)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이러한 소수성 흡수부재(114)의 선택적 배치를 위해, 제1 하우징(111)은 나사 방식 등에 의해 개방 또는 닫힘의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유류 회수 기능 수행을 위해, 제1 하우징(111)을 개방한 후 흡수부재(114)를 그 내부에 배치하고 제1 하우징(111)을 닫을 수 있다.
일례로, 제1 하우징(111)은 몸체 및 몸체를 덮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몸체와 덮개는 나사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즉, 몸체는 망 구조(113)를 포함하고, 몸체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지하수 또는 유류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몸체의 상부는 개방되고,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소수성 흡수부재(114)를 내부에 배치하거나 내부에 배치된 소수성 흡수부재(114)를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덮개는 바디의 상부를 커버하는 구성으로서, 제1 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벤츄리부(120)는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접촉부(110)의 제1 하우징(111) 내부에 유입된 지하수 또는 유류를 흡입하여 제2 관(150)으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이때, 벤츄리 효과란, 관로 내에서 보다 직경이 작은 좁은 부분을 지날 때, 유체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유속이 빨라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벤츄리부(120)는 제2 하우징(121) 내에 제1 내지 제3 내부관(122, 123, 124)을 포함하며, 특히 제2 및 제3 내부관(123, 124)은 벤츄리 효과를 유도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다.
제1 내부관(122)은 일단(즉, 상단)이 제1 관(140)에 연결된다. 또한, 제1 내부관(122)은 그 일단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과, 제1 부분에서 제2 내부관(124)의 방향으로 절곡된 제2 부분과, 제2 부분에서 제2 내부관(124)을 향해 연장된 제3 부분을 포함한다. 이때, 제1 내부관(122)의 타단(즉, 제3 부분의 단부)은 제3 내부관(124)의 타단에 연결된다.
제2 내부관(123)은 그 일단(즉, 하단)이 접촉부(110)의 제1 홀(112)에 연결되며, 그 타단(즉, 상단)이 제2 관(150)의 하단에 연결된다. 이때, 제2 내부관(123)은 상단이 하단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또한, 제2 내부관(123)의 하단과 상단 사이의 부위(즉, 중단)도 마찬가지로 하단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제3 내부관(124)은 제2 내부관(123)의 작은 직경 부위에서 이격되어 해당 부위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진다. 이때, 제3 내부관(124)은 일단(상단 부위)이 제2 내부관(123)의 큰 직경의 부위에 연결되며, 타단(하단 부위)의 일부가 제1 내부관(122)의 제3 부분의 단부에 연결된다. 특히, 제3 내부관(124)은 일단이 타단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제3 내부관(124)은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내부관(124)에서, 일단과 타단의 사이는 제1 내부관(122)의 제3 부분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한편, 제1 관(140)을 통해 압력생성부(200)로부터 압축공기가 주입되는데, 주입된 압축공기는 제1 관(140)에 연결된 벤츄리부(120)의 제1 내부관(122)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술한 제3 내부관(124) 및 제2 내부관(123)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제2 내부관(123)과 제3 내부관(124)을 차례로 통과하는 압축공기에 의해 벤츄리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접촉부(110)에 유입된 지하수 또는 유류에도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른 벤츄리 효과가 발생한다. 이러한 벤츄리 효과에 의해 해당 지하수 또는 유류는 제1 홀(112)을 통해 제2 내부관(123)으로 흡입되면서 제2 관(15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벤츄리부(120)는 제1 관(140)과 제1 내부관(122)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125)와, 제2 관(150)과 제2 내부관(123)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및 제2 연결부(125, 126)는 투터치 피팅의 나사 체결 방식으로 각 관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물론, 제1 연결부(125)는 제1 관(140)과 제1 내부관(122) 간의 통로 연결을 위한 관통홀을 포함하며, 제2 연결부(126)는 제2 관(150)과 제2 내부관(123) 간의 통로 연결을 위한 관통홀을 포함한다.
한편, 벤츄리부(120)의 하부는 제3 연결부(130)를 통해 접촉부(110)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제3 연결부(130)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접촉부(110)의 제1 하우징(111)과 벤츄리부(120)의 제2 하우징(121)을 연결할 수 있다. 물론, 제3 연결부(130)는 접촉부(110)의 제1 홀(112)과 벤츄리부(120)의 제1 내부관(122) 간의 통로 연결을 위한 관통홀을 포함한다.
관정벽면 가이드(160)는 양수장치(100)가 삽입되는 관정(well, W)의 내부 벽면을 따라 양수장치(1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일례로, 관정벽면 가이드(160)는 롤러 또는 바퀴 형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관정벽면 가이드(160)는 제2 하우징(121)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161)와, 고정부(161)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회전가능한 축(162)과, 축(162)에 연결되는 바퀴(163)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바퀴(163)는 관정(W)의 벽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관정벽면 가이드(160)는 관정(W)의 형태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관정벽면 가이드(160)는 관정(W)의 내부 벽면을 따라 제2 하우징(12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수장치(100)가 관정(W)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할 경우, 관정벽면 가이드(160)는 양수장치(100)의 접촉부(110) 및 벤츄리부(120)를 관정(W)의 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유지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관정벽면 가이드(160)는 접촉부(110) 및 벤츄리부(120)가 관정(W)의 벽면이 닿지 않도록 하여, 양수장치(100)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양수장치(100)에 전해지는 충격의 발생이 현저히 줄어들어 양수장치(100)의 고장이나 흠집, 균열 등의 손상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따르면, 지하수 양수 기능 또는 유류 회수 기능의 수행을 위해, 양수장치(100)는 관정(W)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유류 회수 기능의 수행을 위해, 양수장치(100)는 부력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부력부(170)는 공기가 주입되어 부력을 형성한다. 일례로, 부력부(170)는 접촉부(110)의 제1 하우징(111)의 하부에 위치하고, 주입구(171)를 통해 컴프레서 등 공기주입장치와 연결되어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부력부(170)는 접촉부(110)의 무게를 지탱하고, 부력부(170)에 가해지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지하수 또는 유류에 대해 접촉하는 접촉부(1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부력부(170)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접촉부(110)가 관정(W) 내의 지하수 또는 유류의 수면 주변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력부(170)는 제3 연결부(160)를 관통하는 공기주입관(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기주입관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컴프레서 등 공기주입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주입구(171)로 주입하여 부력부(170)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공기주입관은 부력부(170) 내부의 공기를 추출하여 부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부력부(170)의 상부는 제4 연결부(180)를 통해 접촉부(110)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제4 연결부(180)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접촉부(110)의 제1 하우징(111)과 부력부(170)를 연결할 수 있다. 물론, 유류 회수 기능의 수행 등의 필요에 따라, 제4 연결부(140)는 접촉부(110)의 제1 하우징(111)의 하부에 나사 체결 방식 등으로 결합되어, 부력부(170)를 연결할 수 있다. 일례로, 접촉부(110)의 제1 하우징(111)과 부력부(170)는 동일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유류 회수 기능을 수행할 경우, 양수장치(100B)는 수위측정센서(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위측정센서(190)는 접촉부(110)의 상부(가령, 덮개)를 관통하거나 제3 연결부(13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위측정센서(190)는 양수장치(100)의 수위 또는 양수장치(100)가 삽입되는 관정(W)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압력생성부(200)는 압력을 생성하여 제1 관(140)에 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압력생성부(100)는 컴프레서(compressor)일 수 있다. 압력생성부(200)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는 제1 관(140)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제1 관(140)의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300)가 제1 관(1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30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자동으로 개폐되는 경우, 밸브(300)는 전동식(Electric motor) 밸브, 공압식(Pneumatic), 유압식(Hydraulic), 또는 자기식(Solenoid) 밸브일 수 있으며,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그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도 6은 기액분리부(500)의 구성 및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기액분리부(500)는 액체와 기체를 분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양수장치(100)에서의 배출 압력에 따라 배출(이동)되는 지하수 또는 유류의 액체가 기액분리부(500)로 유입되는데, 이러한 액체의 유입 과정에서 VOCs 가스 등의 유해 기체도 함께 유입된다. 이때, 기액분리부(500)는 유입된 액체 및 기체를 저장하면서, 액체와 기체를 분리하며, 분리된 액체를 유류저장부(700)로 전달하고 분리된 기체를 기상처리부(600)로 전달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액분리부(500)는 액체 및 기체를 저장하는 탱크(501)와, 탱크(501)에 채워진 액체의 양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탱크(501)의 측부에 구비된 투명한 창(502)과, 양수장치(100)에서 배출되는 액체 및 기체가 유입되도록 제2 관(150)에 연결된 유입구(503)와, 유입구(503)에 연결되고 유입구(503)로 유입된 액체 및 기체가 탱크(501) 내부로 전달되기 위한 통로를 구비한 유입관(504)과, 탱크(501)의 상부에 구비되어 탱크(501)의 상부에 채워진 기체를 배출하는 제1 배출구(506)와, 탱크(501)의 하부에 구비되어 탱크(501)의 하부에 채워진 액체를 배출하는 제2 배출구(507)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입구(503), 제1 배출구(506) 및 제2 배출구(507)에는 그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미도시)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밸브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자동으로 개폐되는 경우, 밸브는 전동식(Electric motor) 밸브, 공압식(Pneumatic), 유압식(Hydraulic), 또는 자기식(Solenoid) 밸브일 수 있으며,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그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양수장치(100)가 복수개가 구비된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 유입구(503)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양수장치(100)에 대해 하나의 유입구(503)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양수장치(100)에서 배출되는 액체 및 기체는 각 유입구(503)로 분리되어 탱크(501)로 유입될 수 있다. 다만, 다수개의 유입구(503) 중에 양수장치(100)가 연결되지 않은 유입구(503)는 밸브에 의해 그 통로가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기상처리부(600)는 제1 배출구(506)를 통해 기액분리부(500)에서 배출된 기체를 처리하는 구성이다. 일례로, 기상처리부(600)는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기액분리부(500)에서 배출된 VOCs 가스 등의 기체는 활성탄에 흡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상처리부(600)는 기액분리부(500)에서 배출된 기체를 처리하거나 필터링하는 다른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유류저장부(700)는 제2 배출구(507)를 통해 기액분리부(500)에서 배출된 액체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구성이다. 일례로, 유류저장부(700)는 추출된 기름, 물 및 기상이 저장되는 제1 탱크(미도시), 제1 탱크(미도시)로부터 유류를 재분리하는 유수분리장치(미도시) 및 분리된 유류를 저장하는 제2 탱크(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수분리장치는 액체 상태의 유류와 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즉, 유수분리장치는 기액분리부(500)에서 배출된 액체(가령, 유류와 물의 혼합액)의 상층부에 부유하는 유류만 분리해낼 수 있다.
한편, 유류는 토양 오염물질일 수 있다. 토양 오염물질인 유류는 지하까지 내려가 지하수층에 들어갈 수 있다. 유류는 지하수층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접촉부(110)는 지하수층의 상부까지 내려갈 수 있다. 지하수층의 유류는 접촉부(110)의 소수성 흡수부재(114)를 통하여 흡수되고, 제1 홀(112)를 거쳐 벤추리부(120)의 제1 내부관(123)으로 흡수될 수 있다. 유류가 흡수되기 위한 동력은 압력생성부(200)에서부터 형성된 압력일 수 있다. 압력생성부(200)는 제2 및 제3 내부관(123, 124)의 구조를 통하여 벤츄리 효과를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유류는 제1 홀(112), 제2 내부관(123) 및 제2 관(150)을 통하여 기액분리부(500)까지 이동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압력을 사용하더라도, 제2 및 제3 내부관(123, 124)의 구조에 의해 발생되는 벤츄리 효과에 따라 유류를 더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한편, 소수성 흡수부재(114)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소수성 흡수부재(114)는 물의 흡수를 막고 NAPL 등을 포함하는 유류를 흡수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소수성 흡수부재(114)는 초소수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초소수성 소재는 담체(Supporting material)로서 대량으로 공급이 용이하고 흡수에 유리한 높은 공극과 표면 특성을 가지는 폴리머 스폰지(polymer sponge)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머 스폰지(polymer sponge)의 종류는 PU(polyurethane), 멜라민, PVA(polyvinyl alcohol), silicone sponge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NAPL 분리소재의 표면은 초소수성(superhydrophobic)인 특성을 가지며 이로 인해 오염된 지하수 중에서 수분과 NAPL을 분리할 수 있으며 공극안에 NAPL을 높은 효율로 흡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수시스템(10)을 적용한 일 예를 나타낸다. 다만, 도 7에서, 양수장치(100) 외에 다른 구성, 즉 압력생성부(200), 밸브(300), 제어부(400), 기액분리부(500), 기상처리부(600) 및 유류저장부(700)는 생략하였다.
도 7에 따르면, 양수시스템(10)은 지중 주입 장치(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지중 주입 장치(800)는 패킹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토양 오염구간의 지중에 설치되어 지중에서 약품을 고압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지중 주입 장치(800)는 토양 오염물질의 오염구간을 고려하여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지하수 또는 유류가 추출관정의 양수장치(100)로 모이도록 복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양수장치(100)는 지중 주입 장치(800)로부터 지중에서 분사된 약품 및 유류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회수할 수 있다.
일례로, 지중 주입 장치(800)의 위치를 이동하면서 오염 구간의 지하수 또는 유류를 양수장치(100)를 향하여 밀어낼 수 있다. 지중 주입 장치(800)는 최초 오염 구간과 이격된 제1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지중 주입 장치(800)는 노즐을 통하여 약품과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지중 주입 장치(800)의 수평 노즐은 약품과 공기를 교차하여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고압 분사하여, 오염 구간의 지하수 또는 유류를 양수장치(100)가 있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또한, 지중 주입 장치(800)의 수직 노즐은 물과 공기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아래를 향하여 고압 분사하여 지중 주입 장치(8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지중 주입 장치(800)는 제1차 주입 위치와 밀어내진 오염 구간 사이의 제2차 주입 위치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중 주입 장치(800)는 제2차 주입 위치에서 양수장치(100)가 있는 방향으로 오염 구간의 지하수 또는 유류를 밀어낼 수 있으며, 이때의 밀어내는 방식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심도의 지하수 또는 오염된 지하수에 대한 양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소수성 흡수부재의 선택적 적용이 가능하여 유류 회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류 회수 기능 시에 물의 상부에 떠있는 연료계 탄화수소화합물이나 유기용매와 같은 비수용성 액상 오염물질(NAPL: Nonaqueous Phase Liquid) 등의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유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회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류 회수 기능 시에 초소수성 흡수부재를 채용함으로써 친수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내면서 동시에 소수성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출을 위한 관 내부의 직경을 달리하여 벤츄리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작은 압력으로도 지하수 또는 유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양수 또는 회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는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는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10: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시스템
100: 양수장치 110: 접촉부
111: 제1 하우징 112: 제1 홀
113: 망 구조 114: 소수성 흡수부재
120: 벤츄리부 121: 제2 하우징
122, 123, 124: 내부관 125, 126, 130, 180: 연결부
140: 제1 관 150: 제2 관
160: 관정벽면 가이드 200: 압력생성부
300: 밸브 400: 제어부
500: 기액분리부 501: 탱크
502: 창 503: 유입구
504: 유입관 506, 507: 배출구
600: 기상처리부 700: 유류저장부
800: 고압 지중 주입 장치 W: 관정

Claims (20)

  1. 내부에 소수성 흡수부재가 선택적으로 배치되고, 측부 또는 하부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1 망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망 구조를 통해 접촉하는 지하수 또는 유류가 내부로 유입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내부에 유입된 지하수 또는 유류를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흡입하는 벤츄리부;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제1 관; 및
    상기 제1 관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기반으로 발생되는 상기 벤츄리 효과에 따라 상기 벤츄리부에 흡입된 지하수 또는 유류를 배출하는 제2 관;
    을 포함하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유입된 지하수 또는 유류를 상기 벤츄리부로 전달하는 통로인 제1 홀과,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 홀의 하부에 배치된 제2 망 구조를 각각 포함하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망 구조는 이물질에 대해 1차 필터링하면서 지하수 또는 유류를 상기 접촉부의 내부로 유입하고,
    상기 제2 망 구조는 상기 접촉부의 내부로 유입된 지하수 또는 유류를 이물질에 대해 2차 필터링하며,
    상기 제1 홀에는 상기 2차 필터링된 지하수 또는 유류가 전달되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흡수부재는 유류 회수 기능이 수행될 경우에 배치되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부는,
    상단 통로가 상기 제1 관의 하단 통로에 연결되는 제1 내부관;
    하단 통로가 지하수 또는 유류가 전달되는 상기 접촉부의 제1 홀에 연결되고, 상단 통로가 상기 제2 관의 하단 통로에 연결되는 제2 내부관; 및
    상기 제2 내부관에 대해 이격되어 둘러싸는 형상을 포함하되, 상단 부위가 상기 제2 내부관에 연결되며, 하단 부위 중 일부가 상기 제1 내부관의 하단 통로에 연결되는 제3 내부관;
    을 포함하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관은,
    상기 제1 관에 연결된 상단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2 내부관의 방향으로 절곡된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제2 내부관을 향해 연장된 제3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부분의 단부 통로가 상기 제3 내부관의 하단 부위에 연결되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관은 하단 및 상단 사이의 중단 통로나 상단 통로가 하단 통로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관은 큰 직경을 가지는 상대적으로 상부 위치인 제1 부위와,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대적으로 하부 위치인 제2 부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내부관은 상기 상단 부위가 상기 제2 내부관의 상기 제1 부위에 연결되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내부관은 상기 상단 부위에서 상기 하단 부위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내부관의 상기 하단 부위와 상기 상단 부위의 사이는 상기 제1 내부관의 상기 제3 부분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관은 큰 직경을 가지는 상대적으로 상부 위치인 제1 부위와,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대적으로 하부 위치인 제2 부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내부관은 상기 제2 내부관의 상기 제2 부위에 대해 이격되어 상기 제2 부위를 둘러싸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지중의 관정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정의 내부 벽면에 접촉하며, 상기 접촉부 및 벤츄리부를 상기 관정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면서 상기 접촉부 및 벤츄리부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관정벽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정벽면 가이드는,
    상기 벤츄리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회전가능한 축; 및
    상기 축에 연결되는 바퀴;
    를 포함하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공기가 주입되는 부력부를 더 포함하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주입되는 공기량에 따라 지하수 또는 유류에 대한 상기 접촉부의 접촉 위치를 변경하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상기 접촉부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하도록 구현된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흡수부재는 공극을 포함하는 폴리머 스펀지로 구현된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19.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력생성부와, 상기 압축공기를 기반으로 지하수 또는 유류를 흡수하여 배출하는 양수장치를 포함하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시스템으로서,
    상기 양수장치는,
    내부에 소수성 흡수부재가 선택적으로 배치되고, 측부 또는 하부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1 망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망 구조를 통해 접촉하는 지하수 또는 유류가 내부로 유입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내부에 유입된 지하수 또는 유류를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흡입하는 벤츄리부;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제1 관; 및
    상기 제1 관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기반으로 발생되는 상기 벤츄리 효과에 따라 상기 벤츄리부에 흡입된 지하수 또는 유류를 배출하는 제2 관;
    을 포함하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양수장치는 지중에 삽입되며,
    상기 지중에 삽입되어 상기 양수장치를 향하여 약품을 분사하는 지중 주입 장치를 더 포함하는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시스템.
KR1020220037839A 2022-03-28 2022-03-28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및 시스템 KR202301394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839A KR20230139475A (ko) 2022-03-28 2022-03-28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839A KR20230139475A (ko) 2022-03-28 2022-03-28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475A true KR20230139475A (ko) 2023-10-05

Family

ID=88294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839A KR20230139475A (ko) 2022-03-28 2022-03-28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47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451A (ko) 2002-02-25 2003-08-30 주식회사 에코솔루션 토양 및 지하수의 복원을 위한 유기화합물 추출장치
KR101429471B1 (ko) 2013-02-19 2014-08-13 이종열 토양정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451A (ko) 2002-02-25 2003-08-30 주식회사 에코솔루션 토양 및 지하수의 복원을 위한 유기화합물 추출장치
KR101429471B1 (ko) 2013-02-19 2014-08-13 이종열 토양정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2941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al of sand from gas
US46258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y of water-immiscible liquids from water-bearing formations
JPH03202586A (ja) 土壌汚染物質の二相真空抽出方法及び装置
KR101271727B1 (ko) 수평 주입정과 수평 추출정을 포함하는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및 그 오염 토양 정화 방법
CN206578131U (zh) 土壤地下水修复系统
US5326458A (en) Liquid skimming system
KR101557473B1 (ko) 지하수 지열 굴착공 토사 슬러리 배출 장치 및 방법
JP4657008B2 (ja) 汚染地盤浄化システムおよび汚染地盤の浄化方法
KR101720098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오염 지하수 정화 장치
KR100835723B1 (ko)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오염물질 제거장치 및제거방법
KR20230139475A (ko) 지하수 오염물질 및 오염 지하수 양수장치 및 시스템
KR101205123B1 (ko) 계면활성제 거품을 이용한 회분식 오염토양 정화처리장치
JP3546199B2 (ja) トンネル坑内の換気装置
CN111530910B (zh) 一种化工污染的深层土壤修复装置
KR102352211B1 (ko) 오염된 심도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정화제 분사가 가능한 토양정화용 듀얼 팩커장치
KR20140005763U (ko) 유류저장탱크의 슬러지 제거장치
JPH07284753A (ja) 地下汚染物質の除去方法および地下汚染物質の除去装置
KR102441014B1 (ko) 유류회수장치
JP2000202426A (ja) 地下汚染物質の有害ガス吸引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746382B1 (ko) 수평 관정을 이용한 토양 내 기체 주입-추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20256B1 (ko) 오염물질이 불규칙하게 분포된 지중의 오염 토양 및지하수 복원장치
US11492889B2 (en) Active oil phase recovery device for remediation wells
KR102453331B1 (ko) 지중고압분사장치를 포함하는 유류회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류회수방법
CN111744943A (zh) 一种大口径药剂注入井及其有机物污染地下水原位修复设备及工艺
KR200265499Y1 (ko) 지중에 분포된 기액상의 오염 물질 추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