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286A - Printer driving module - Google Patents

Printer driving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286A
KR20230139286A KR1020220124784A KR20220124784A KR20230139286A KR 20230139286 A KR20230139286 A KR 20230139286A KR 1020220124784 A KR1020220124784 A KR 1020220124784A KR 20220124784 A KR20220124784 A KR 20220124784A KR 20230139286 A KR20230139286 A KR 20230139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module
block
nail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7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20124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286A/en
Publication of KR20230139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286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029/005Printing or stamping devices for applying images or ornaments to n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프린터 모듈이 탈착 가능한 프린터 구동 모듈이 개시된다.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은: 상기 프린터 모듈이 안착되는 프린터안착홈을 상부에 형성하는 프린터데크; 및 상기 프린터 모듈이 상기 프린터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린터 모듈의 양측에 구비된 탈착홈을 가압하여 상기 프린터 모듈을 고정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탈착바;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rinter driving module in which a printer module is detachable is disclosed. The printer driving module includes: a printer deck forming a printer seating groove on an upper portion of which the printer module is seated; and a detachable bar forming a locking step for fixing the printer module by pressing detachment groov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rinter module while the printer module is seated in the printer mounting groove.

Description

프린터 구동 모듈{PRINTER DRIVING MODULE}Printer driving module {PRINTER DRIVING MODULE}

본 개시는 프린터 구동 모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프린터 모듈이 탈착 가능한 프린터 구동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printer driving modu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printer driving module in which the printer module is detachable.

일반적으로 알려진 프린터의 기능은 종이, 직물 등에 원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The generally known function of a printer is a device that prints desired images on paper, fabric, etc.

과거에는 비교적 크기가 큰 프린터를 사무공간, 집 등에 배치하고 사무용으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휴대성이 강조되는 특정 목적의 제품들이 요구되고, 일 예로 사진 출력 목적의 프린터 등과 같은 소형화된 프린터들이 출시되고 있다. In the past, relatively large printers were placed in office spaces, homes, etc. and used for office purposes, but recently, products for specific purposes that emphasize portability have been required, and miniaturized printers, such as printers for photo printing purposes, have been released. there is.

다만 소형화된 프린터들은 대체로 특정 목적에 국한하여 출시되므로, 다양한 프린팅 대상물에 폭넓게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However, since miniaturized printers are generally released for specific purposes, there are limits to their widespread application to various printing objects.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성이 있는 프린터라고 하더라도, 종이, 직물 등 비교적 평평한 곳에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목적인 경우, 피부, 네일 등과 같이 표면에 변화가 있는 프린팅 대상물에는 제대로 디자인이 프린팅되지 않아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For example, even if the printer is portable enough for the user to carry around, if the purpose is to print a design on a relatively flat surface such as paper or fabric, the design will not be printed properly on printing objects with changes in the surface such as skin, nails, etc., so it cannot be used. There are limits to this.

따라서, 손쉽게 네일 아트를 할 수 있으면서 다른 프린팅대상물인 피부 등에도 프린팅을 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device that can easily perform nail art and also print on other printing objects such as skin.

미국 특허출원번호 17-198942 (2021.03.11)US Patent Application No. 17-198942 (2021.03.11)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성이 우수하고 종이, 피부, 등의 다양한 프린팅대상물에 원하는 디자인을 손쉽게 프린팅할 수 있는 프린터 모듈이 장착되어 사용자의 네일에도 디자인을 빠르고 정확하게 프린팅할 수 있도록 만드는 프린터 구동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be equipped with a printer module that is highly portable and can easily print the desired design on various printing objects such as paper, skin, etc., so that the design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printed on the user's nail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rinter driving module that makes it possible.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disclosure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 모듈이 탈착 가능한 프린터 구동 모듈은: 상기 프린터 모듈이 안착되는 프린터안착홈을 상부에 형성하는 프린터데크; 및 상기 프린터 모듈이 상기 프린터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린터 모듈의 양측에 구비된 탈착홈을 가압하여 상기 프린터 모듈을 고정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탈착바;를 포함할 수 있다. A printer driving module in which a printer module is detach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printer deck forming a printer seating groove on an upper portion of which the printer module is mounted; and a detachable bar forming a locking step for fixing the printer module by pressing detachment groov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rinter module while the printer module is seated in the printer mounting groove.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탈착바는, 하부가 상기 프린터안착홈과 연결되고, 양측 및 상부가 상기 프린터안착홈과 절개되어 자유단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ower part of the detachable bar may be connected to the printer seating groove, and both sides and the upper portion may be cut into the printer seating groove to form a free end.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턱이 상기 탈착홈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탈착바의 상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상기 탈착홈에서 이탈되고, 상기 프린터 모듈은, 상기 걸림턱이 상기 탈착홈에서 이탈하는 경우,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과 분리 가능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ocking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detachment groove by a force that presses the upper part of the detachment bar downward while the locking protrusion is pressing the detachment groove, and the printer module When the locking step is separated from the detachment groove, it may be separable from the printer driving module.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전면부에 절개부가 형성된 데크케이싱; 및 상기 데크케이싱에 결합되고, 상기 프린터데크와 상기 데크케이싱 사이에 위치하고, 전면부에는 상기 절개부에 연결되는 홀더장착부를 형성하는 데크상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장착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을 고정하는 네일 홀더 모듈이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eck casing having a cutout formed on the front portion; And a deck top plate coupled to the deck casing, located between the printer deck and the deck casing, and forming a holder moun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utout portion at the front portion, wherei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includes a user's finger or A nail holder module that secures the toe may be combined.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데크상판은, 상기 홀더장착부의 측면에 제1 방향(X)으로 배치되는 결합바; 상기 결합바에 연결되며, 상기 홀더장착부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양측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면 형성되는 걸림블록; 및 상기 홀더장착부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홀더안착판;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ck top plate includes a coupling bar disposed on a side of the holder mounting portion in a first direction (X); A locking block connected to the coupling bar, protruding inward from the holder mounting portion, and having slopes formed on both sides in opposite directions; and a holder mounting plate formed on an inner end of the holder mounting portion.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린터데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결합블록; 상기 결합블록과 결합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프린터데크를 제1 방향(X)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유닛; 및 상기 제1 이동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프린터데크를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coupling block disposed below the printer deck; A moving block coupled to the coupling block; A first moving unit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and moving the printer deck in a first direction (X); and a second mov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unit and moving the printer deck in the second direction (Y).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린터데크는, 상기 제1 이동유닛 및 상기 제2 이동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inter deck may move together with the moving block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unit and the second moving uni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데크상판과 상기 프린터데크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데크상판의 상단부에 형성된 패널안착부에 안착되고, 제2 방향(Y)으로 형성된 한 쌍의 이동홀을 구비하는 가이드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린터데크는, 상기 이동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이동핀을 하부에 형성하는,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guide is disposed between the deck top plate and the printer deck, is seated on a panel seating portion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deck top plate, and has a pair of moving holes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Y). It further includes a panel; wherein the printer deck has a pair of moving pins inserted into the moving hole at the bottom,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패널의 양측단에 형성된 패널피스; 및 상기 패널안착부의 양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패널피스가 삽입되는 패널고정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피스의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는, 상기 패널고정홀의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panel pieces formed on both ends of the guide panel; and panel fixing hol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panel mounting portion and into which the panel piece is inserted, wherein the length of the panel piece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panel fixing hole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It can be shor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패널의 상기 제2 방향의 길이는, 상기 패널안착부의 상기 제2 방향의 길이에 대응되고, 상기 가이드패널의 상기 제1 방향의 크기는, 상기 패널안착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ength of the guide panel in the second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panel seating portion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ize of the guide panel in the first direction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panel seating portion. It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in the first direction.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패널은, 상기 프린터데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프린터데크와 함께 상기 패널안착부 내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프린터데크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프린터데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이동홀에 삽입된 상기 이동핀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상기 프린터데크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printer deck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guide panel guides the movement of the printer deck while moving within the panel seating portion together with the printer deck, and the printer When the deck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movement of the printer deck can be guided by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pin inserted into the movement hole.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이동유닛은: 상기 제2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제2 리니어빔에 연결되는 제1 링크피스가 형성된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하부에서 제2 리니어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2 기어조립체에 맞물려 연결되는 제1 랙기어; 상기 제1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베이스판; 상기 제1 바디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베이스판에 결합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이동블록을 연결하는 제1 기어조립체; 및 상기 제1 바디의 측부에서 제1 방향(X)으로 배치되는 제1 리니어빔;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moving unit includes: a first body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and having a first link piece connected to the second linear beam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a first rack gear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inear beam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ody and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assembly; a first base plat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ody; a first motor coupled to the first base plate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a first gear assembly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connecting the drive shaft of the first motor and the moving block; and a first linear beam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X) at the side of the first body.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린터데크는, 상기 제1 모터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이동블록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inter deck ma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together with the moving block when the first motor is driven.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블록은: 상부에는 상기 프린터데크의 결합블록에 연결되는 링크블록이 형성된 블록바디; 상기 블록바디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리니어빔에 연결되는 블록링크피스; 및 상기 블록바디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어조립체에 맞물려 배치되는 블록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ving block includes: a block body formed at the top with a link block connected to a coupling block of the printer deck; A block link piec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block body and connected to the first linear beam; and a block rack gear disposed below the block body and engaged with the first gear assembly.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이동유닛은, 상기 데크케이싱의 내부 하단면에 배치되고, 제2 방향(Y)으로 바디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에서 상기 바디관통홀을 따라 배치되는 제2 리니어빔;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모터; 및 상기 제2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제1 이동유닛을 연결하는 제2 기어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cond moving unit includes: a second body disposed on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deck casing and having a body through hole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Y); a second linear beam disposed along the body through hole in the second body; a second motor disposed below the second body; and a second gear assembly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body and connecting the drive shaft of the second motor and the first moving uni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린터데크는, 상기 제2 모터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이동블록 및 상기 제1 이동유닛과 함께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inter deck may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together with the moving block and the first moving unit when the second motor is driven.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solutions obtainable from this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solutions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will be understandable.

본 개시에 따른 프린터 모듈이 탈착 가능한 프린터 구동 모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inter driving module in which the print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removabl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한 휴대성이 우수하고 종이, 피부, 등의 다양한 프린팅대상물에 원하는 디자인을 손쉽게 프린팅할 수 있는 프린터 모듈이 장착되어 사용자의 네일에도 디자인을 빠르고 정확하게 프린팅할 수 있도록 만드는 프린터 구동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A printer that has excellent portabilit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equipped with a printer module that can easily print a desired design on various printing objects such as paper, skin, etc., allowing the design to be printed quickly and accurately even on the user's nails. A driving module can be provided.

본 개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실시예(들)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하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에서 홀더 케이싱을 제거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에서 홀더 케이싱을 제거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의 이동수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하측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의 이동수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측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구동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구동 모듈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데크케이싱과 데크하판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이동부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이동부재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이동부재 및 이동블록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이동블록과 프린터데크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네일 홀더 모듈 및 프린터 구동 모듈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네일 홀더 모듈 및 프린터 구동 모듈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모듈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장치리드와 장치케이싱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동작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하측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하면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제1 롤러의 회전 수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는 엔코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구동 모듈과 프린터 모듈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네일에 프린터 모듈이 네일 아트를 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모듈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기초하여 프린팅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하여 네일 프린팅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here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collectively refer to like elements. In the following examples,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embodiments. However, it will be clear that such embodimen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nail hold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nail hold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nail hold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nail hold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5 is a bottom view for explaining a nail hold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to expla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holder casing is removed from the nail hold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7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older casing is removed from a nail hold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8 is a lower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moving means of the nail hold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9 is a top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moving means of the nail hold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0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a nail hold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rinter driving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2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a printer driving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deck casing and the lower deck plat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moving memb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moving memb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moving member and the moving block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a moving block and a printer deck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8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mbined structure of a nail holder module and a printer drive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mbined state of a nail holder module and a printer drive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0 is a perspective view to explain a print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1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a print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2 is an exploded view to explain the coupling structure of a device lead and a device casing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ng memb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rint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5 is a bottom view for explaining a print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ncoder module that generates pul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first roll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mbined structure of a printer driving module and a print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rinter module performs nail art on the nails of a user's fingers or to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rinting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3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by which a printer module determines the width of a user's fingers or to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3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performing nail printing by determining the location and size of a printing area based o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3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obtaining estimated length information of a user's nail through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3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width of a user's fingers or to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 네일 아트 장치를 구성하는 프린터 구동 모듈 및 프린터 모듈의 다양한 실시예(들)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nail holder module, the printer drive module, and the printer module constituting the nail 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not included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The same reference number will be assigned and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purpose and eff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echnical configuration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개시의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in this disclosure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is disclosure,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본 개시의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considering the ease of prepara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가 될 수도 있다. 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 본 개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at is,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clear from context to indicate a singular form, the singular in this disclosure and claims should generally be construed to mean “one or more.”

본 개시에서, "포함하는",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 “comprising,” “includes,”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개시에서 "또는"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의미의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의미의 "또는"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rm “or” should be understood not as “or” in the exclusive sense but as “or” in the connotative sense. That is,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clear from context, “X utilizes A or B” is intended to mean one of the natural implicit substitutions. That is, either X uses A; X uses B; Or, if X uses both A and B, “X uses A or B” can apply to either of these cases. Additionally, the term “and/or” as used in this disclosure should be understood to refer to and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related listed item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overly interpreted unless specifically defined.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개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disclosure of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disclosure.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하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ail hold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nail hold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some nail holder modul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nail hold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nail hold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ure 5 is a nail hold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is is a bottom view for explanation.

그리고,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에서 홀더 케이싱을 제거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에서 홀더 케이싱을 제거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의 이동수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하측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의 이동수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측 사시도이다. An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older casing is removed from the nail hold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ure 7 is a structure in which the holder casing is removed from the nail hold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a side view for explanation, and FIG. 8 is a lower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moving means of the nail hold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9 is the structure of the moving means of the nail hold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is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to explain.

또한,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Additionally, Figure 10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a nail hold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100)은 사용자의 네일(nail)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홀더 케이싱(110) 및 홀더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5, a nail holder module 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device for fixing a user's nail, and includes a holder casing 110 and a holder portion 170. can do.

홀더 케이싱(110)은 네일 홀더 모듈(100)의 전반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홀더 케이싱(110)의 전면부에는 관통된 개구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holder casing 110 may form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nail holder module 100, and a penetrating opening hole 112 may be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holder casing 110.

개구홀(112)의 상단부는 상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는 아치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홀(112)로는 네일 아트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네일이 투입될 수 있으며, 이때 아치부(113)가 사용자의 손가락의 상부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이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An arch portion 113 having an upward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hole 112. The user's nails who wish to do nail art can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hole 112, and at this time, since the arch portion 113 has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user's fingers, it can reduce the discomfort felt by the user's fingers. You can.

홀더 케이싱(110)의 상부 일측, 구체적으로는 개구홀(112)에 인접하여 하방향으로 한 쌍의 케이싱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 케이싱(110)의 상부 타측에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119)가 형성될 수 있다. A pair of casing grooves 114 may be formed downward on one upper side of the holder casing 110, specifically adjacent to the opening hole 112. Additionally, an opening 119 with an open top may be formed on the other upper side of the holder casing 110.

홀더 케이싱(110)의 측부에는 사이드홈(111), 홈확장부(111a) 및 고정홈(111b)이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홈(111)은 홀더 케이싱(110)의 외측면에 제1 방향(X)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홈확장부(111a)는 사이드홈(111)의 단부에 연결되고 사이드홈(111)의 입구가 홀더 케이싱(110)의 후면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홈(111b)은 홈확장부(111a)에 형성될 수 있다.A side groove 111, a groove extension 111a, and a fixing groove 111b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holder casing 110. The side groove 111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er casing 110 in the first direction (X). In addition, the groove expansion portion 111a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ide groove 111, and the entrance of the side groove 111 may be formed to gradually become wider toward the rear of the holder casing 110. Additionally, the fixing groove 111b may be formed in the groove expansion portion 111a.

여기서 사이드홈(111)은 이하 검토할 프린터 구동 모듈(200)의 결합바(222)가 삽입될 수 있는 부분일 수 있다. 이때 홈확장부(111a)는 사이드홈(111)의 입구를 확장하여 결합바(222)가 원활하게 사이드홈(111)의 입구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홈(111b)에는 이하 검토할 프린터 구동 모듈(200)의 걸림블록(223)이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결합바(222)가 사이드홈(111)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걸림블록(223)이 고정홈(111b)에 끼워지며 네일 홀더 모듈(100)을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결합하게 된다. Here, the side groove 111 may be a portion into which the coupling bar 222 of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which will be examined below, can be inserted. At this time, the groove expansion portion 111a can expand the entrance of the side groove 111 so that the coupling bar 222 can smoothly enter the entrance of the side groove 111. Additionally, the fixing groove 111b may be a part into which the locking block 223 of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which will be examined below, is inserted. That is, when the coupling bar 222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side groove 111, the locking block 223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1b and the nail holder module 100 is coupled to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

도 5 및 도 7을 참고하면, 홀더 케이싱(110)의 하부에는 홀더하판(116)이 장착될 수 있다. 홀더하판(116)의 양측부에는 이하 검토할 제2 스프링(162)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피스(117)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스프링 지지피스(117)가 제2 스프링(162)의 일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5 and 7, a holder lower plate 116 may be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holder casing 110. Spring support pieces 117 that support one end of the second spring 162, which will be discussed below,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on both sides of the holder lower plate 116.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spring support piece 117 supports one end of the second spring 162.

그리고 홀더하판(116)에는 이하 검토할 홀더기어(164)를 고정하는 기어 고정피스(118)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을 참고하면, 기어 고정피스(118)에 홀더기어(164)가 결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Additionally, a gear fixing piece 118 that secures the holder gear 164, which will be discussed below,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on the holder lower plate 116. Referring to Figure 9, it can be seen that the holder gear 164 is coupled to the gear fixing piece 118.

홀더부(170)는 홀더 케이싱(110)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네일을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부(170)는 안착블록(150), 제1 홀더블록(120), 제2 홀더블록(130) 및 이동수단(16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older portion 170 is disposed in the holder casing 110 and can secure the user's nails. Specifically, the holder unit 170 may include a seating block 150, a first holder block 120, a second holder block 130, and a moving means 160.

제1 홀더블록(120)은 케이싱홈(114)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홀더블록(120)은 제1 상단블록(121)과 제1 상단블록(121)의 양측 하단에 연결되는 제1 사이드블록(1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사이드블록(122)이 한 쌍의 케이싱홈(114)에 각각 삽입되고, 제1 상단블록(121)은 홀더 케이싱(110)의 상부에 대해 약간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holder block 120 may be inserted into and placed in the casing groove 114. Specifically, the first holder block 120 may include a first top block 121 and a first side block 122 connected to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first top block 121. A pair of first side blocks 122 are each inserted into a pair of casing grooves 114, and the first top block 121 may be arranged to be slightly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holder casing 110.

안착블록(150)은 개구홀(112)을 관통하며 홀더 케이싱(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안착블록(150)은 안착부(151), 투입부(152), 블록이동홈(153) 및 누름홈(15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ating block 150 passes through the opening hole 112 and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lder casing 110. The seating block 150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151, an input portion 152, a block movement groove 153, and a pressing groove 155.

안착부(151)는 홀더 케이싱(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51)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하부가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하부에 대응되게 곡면 형상이므로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은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다. The seating portion 151 is disposed inside the holder casing 110 and may have a curved surface form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seating portion 151 may be a part where the lower part of the user's finger or toe is seated, and has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finger or toe, so the user's finger or toe can be comfortably seated.

투입부(152)는 안착부(151)에 연결되고 개구홀(112)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투입부(152)는 안착부(151)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투입부(152)의 부드러운 곡면을 따라 안착부(151)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input unit 152 may be connected to the seating unit 151 and placed in the opening hole 112. In addition, the input unit 152 may form a curved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seating unit 151, so that the user's fingers or toes can be inserted into the seating unit 151 along the smooth curved surface of the input unit 152. am.

블록이동홈(153)은 안착부(151)의 측부에서 제2 방향(Y)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블록이동홈(153)에는 이하 검토할 제2 홀더블록(130)을 구성하는 제2 링크블록(13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이동수단(160)의 작동에 따라 제2 홀더블록(130)은 블록이동홈(153)을 따라 제2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한쌍의 제2 홀더블록(130)은 서로 멀어지거나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block movement groove 153 may be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Y) on th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151, and the block movement groove 153 includes a second link constituting the second holder block 130 to be examined below. Block 132 may be placed.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ving means 160, the second holder block 130 can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Y) along the block movement groove 153. That is, the pair of second holder blocks 130 may move away from each other or move closer to each other.

도 7을 참고하면, 누름홈(155)은 안착부(151)의 측부에서 제1 홀더블록(120)을 구성하는 제1 사이드블록(12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사용자가 제1 상단블록(121)을 누르면 제1 사이드블록(122)이 함께 눌러지며 누름홈(155)을 하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안착블록(150) 전체가 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pressing groove 155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ide block 122 constituting the first holder block 120 on th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151.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top block 121, the first side block 122 is pressed together and the pressing groove 155 is pressed downward. Accordingly, the entire seating block 150 can move downward.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2 홀더블록(130)은 홀더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개방부(119)의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홀더블록(130)은 제2 상단블록(131), 제2 링크블록(132), 제2 신장블록(133) 및 제2 하단블록(134)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6 and 7 , a pair of second holder blocks 13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119 inside the holder casing 110 . Specifically, the second holder block 130 may include a second upper block 131, a second link block 132, a second extension block 133, and a second lower block 134.

제2 상단블록(131)은 개방부(119)의 상부에서 제1 방향(X)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링크블록(132)은 제2 상단블록(131)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링크블록(132)은 블록이동홈(153)을 관통하며 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top block 131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X) at the top of the opening 119, and the second link block 132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top block 131. At this time, the second link block 132 may be disposed downward while penetrating the block movement groove 153.

그리고 제2 신장블록(133)은 제2 상단블록(131)의 일단에 연결되고, 홀더 케이싱(110)의 후면부 방향으로 신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제2 신장블록(133)의 상단에는 광 반사 플레이트(14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홀더 케이싱(110)의 후면부에서 개방부(119)의 내측면에는 제2 방향(Y)으로 블록지지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블록지지부(115)의 상단에는 제2 신장블록(133)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으며, 제2 홀더블록(130)의 이동시 제2 신장블록(133)의 단부는 블록지지부(115)의 상단을 따라 지지되며 이동할 수 있다. And the second extension block 133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upper block 131 and may be arranged to extend toward the rear of the holder casing 110. A light reflection plate 140 may be disposed on the top of the second extension block 133. Meanwhile, a block support portion 115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119 at the rear portion of the holder casing 110 in the second direction (Y). The end of the second elongation block 133 may be seated on the top of the block support unit 115, and when the second holder block 130 is moved, the end of the second elongation block 133 may be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block support part 115. It is supported and can move along.

여기서 도 1을 참고하면, 제2 홀더블록(130)은 개방부(119)의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2 신장블록(133)도 각각 한 쌍이 배치되어 있고, 광 반사 플레이트(140) 또한 개방부(119)의 상부에서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광 반사 플레이트(140)는 이하 검토할 감지센서(364)와 연동되며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되는 삽입체(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광 반사 플레이트(140)는 반사판일 수 있고, 감지센서(364)는 광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 감지센서(364)가 빛을 쏘면, 한 쌍의 광 반사 플레이트(140)에 반사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확인할 수 있다. Here, referring to FIG. 1, since a pair of second holder blocks 13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portion 119, a pair of second kidney blocks 133 are also disposed on each side, and the light reflection plate 140 Additionally, they may be arranged in pair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t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119. The pair of light reflection plates 140 are linked with the detection sensor 364, which will be discussed below, and can check the width of the insert (the user's finger or toe) inserted in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ight reflection plate 140 may be a reflector, and the detection sensor 364 may be an optical sensor. In this case, when the detection sensor 364 emits light, the width of the user's fingers or toe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signal reflected by the pair of light reflection plates 140.

제2 하단블록(134)은 도 6을 참고하면, 제2 링크블록(132)의 하단에 연결되고, 안착블록(1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하단블록(134)은 이동수단(160)에 연동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second lower block 134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nk block 132 and may be placed below the seating block 150. At this time, the second lower block 134 may be linked to the moving means 160.

도 6 내지 도 9을 참고하면, 이동수단(160)은 홀더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안착블록(1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홀더블록(120)과 제2 홀더블록(130)간에 연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홀더블록(120)을 하방향으로 누르면, 제1 홀더블록(120)이 이동수단(160)을 작동시키고, 이동수단(160)은 한 쌍의 제2 홀더블록(130)을 개방부(119)의 내부에서 블록이동홈(153)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2 홀더블록(130)은 개방부(119)의 양측부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6 to 9, the moving means 16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ating block 150 inside the holder casing 110, and the first holder block 120 and the second holder block 130 ) can be linked. 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holder block 120 downward, the first holder block 120 operates the moving means 160, and the moving means 160 opens the pair of second holder blocks 130. Inside the unit 119, they can be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long the block movement groove 153. That is, the pair of second holder blocks 130 can move away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opening portion 119.

구체적으로 이동수단(160)은 제1 경사부(167), 제2 경사부(168), 랙기어블록(166), 홀더기어(164), 가이드홈(165) 및 가이드빔(169)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oving means 160 includes a first inclined portion 167, a second inclined portion 168, a rack gear block 166, a holder gear 164, a guide groove 165, and a guide beam 169. can do.

도 8을 참고하면, 제1 경사부(167)는 안착블록(150)의 하단부에 소정의 경사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경사부(168)는 제2 하단블록(134)에 제1 경사부(167)에 대향되는 경사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first inclined portion 167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clined angle at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block 150.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68 may be formed on the second lower block 134 at an inclination angle opposite to the first inclined portion 167.

제2 홀더블록(130)은 홀더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안착블록(150)의 하단에는 한 쌍의 제1 경사부(167)가 형성되고, 제2 하단블록(134)에도 한 쌍의 제1 경사부(167)에 각각 접촉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경사부(168)가 형성될 수 있다. Since a pair of second holder blocks 130 are disposed on both sides inside the holder casing 110, a pair of first inclined portions 167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ating block 150, and the second bottom block A pair of second inclined portions 168 each in contact with the pair of first inclined portions 167 may also be formed at 134 .

사용자가 제1 홀더블록(120)을 하방향으로 누르면, 제1 홀더블록(120)이 누름홈(155)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안착블록(15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holder block 120 downward, the first holder block 120 presses the pressing groove 155, and thus the seating block 150 moves downward.

이 경우 안착블록(150)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경사부(167)가 한 쌍의 제2 경사부(168)를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한 쌍의 제2 경사부(168)는 서로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In this case, the pair of first inclined portions 167 formed on the seating block 150 move downward along the pair of second inclined portions 168, and at the same time, the pair of second inclined portions 168 They are pushed outward, away from each other.

그리고 한 쌍의 제2 경사부(168)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하단블록(134)(또는 한 쌍의 제2 홀더블록(130))이 서로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And a pair of second bottom blocks 134 (or a pair of second holder blocks 130), each of which is formed with a pair of second inclined portions 168, are spread outwardly away from each other.

한편, 안착블록(150)의 하단면과 홀더하판(116)의 상단면 사이에는 제1 스프링(16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프링(161)은 안착블록(150)이 하방향으로 눌렸을 때, 누르는 가압력이 사라지면 안착블록(150)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안착블록(150)이 다시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a first spring 16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block 15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lower plate 116. When the seating block 150 is pressed downward, the first spring 161 provides a restoring force to the seating block 150 when the pressing force disappears, allowing the seating block 150 to move upward again. .

여기서 홀더하판(116)에는 안착블록(150)이 하방향 눌러지는 범위를 제한하는 리미트블록(163)이 배치될 수 있다. Here, a limit block 163 may be disposed on the holder lower plate 116 to limit the range in which the seating block 150 is pressed downward.

제2 스프링(162)은 제2 하단블록(134)에 형성되는 스프링수용홈(134a)과 홀더하판(116)의 측부에 형성되는 스프링 지지피스(11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프링(162)은 한 쌍의 제2 하단블록(134)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spring 16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pring receiving groove 134a formed in the second lower block 134 and the spring support piece 117 formed on the side of the holder lower plate 116. The second spring 162 may be disposed on each of the pair of second lower blocks 134.

한 쌍의 제2 스프링(162)은, 안착블록(150)이 눌려 한 쌍의 제2 경사부(168)에 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한 쌍의 제1 경사부(167)와 한 쌍의 제2 홀더블록(130)이 외측 방향으로 밀렸을 때, 이후 누르는 힘이 사라지면, 한 쌍의 제2 하단블록(134)(또는 제2 홀더블록(130))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The pair of second springs 162 are moved downwardly to the pair of second inclined portions 168 by pressing the seating block 150, thereby forming a pair of first inclined portions 167 and a pair of second inclined portions 168. 2 When the holder block 130 is pushed outward, when the pressing force disappears, a restoring force is provided to the pair of second lower blocks 134 (or the second holder block 130) in an inward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Allow it to be moved to .

랙기어블록(166)은 제2 하단블록(134)에서 제2 방향(Y)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8을 참고하면, 한 쌍의 제2 하단블록(134)에 배치되는 한 쌍의 랙기어블록(166)은 홀더기어(164)를 중심으로하여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The rack gear block 166 may be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Y) in the second lower block 134.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8, a pair of rack gear blocks 166 disposed on a pair of second lower blocks 134 may b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with the holder gear 164 as the center.

그리고 홀더기어(164)는 홀더하판(116)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기어 고정피스(1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랙기어블록(166)과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holder gear 164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gear fixing piece 118 protruding upward from the holder lower plate 116 and may be disposed in engagement with the rack gear block 166.

안착블록(150)이 눌리면, 한 쌍의 제1 경사부(167)의 하강에 따라 제2 경사부(168)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2 하단블록(134)이 서로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한 쌍의 랙기어블록(166)은 홀더기어(164)와 맞물린 상태에서 서로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seating block 150 is pressed, the pair of second lower blocks 134, each formed with a second inclined portion 168, move in an outward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s the pair of first inclined portions 167 descend. At this time, the pair of rack gear blocks 166 move in an outward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holder gear 164.

이후 안착블록(150)을 누르는 힘이 없어지면, 제2 스프링(162)이 제2 하단블록(134)에 복원력을 제공하고, 한 쌍의 랙기어블록(166)은 홀더기어(164)와 맞물린 상태로 서로 가까워지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Afterwards, when the force pressing the seating block 150 disappears, the second spring 162 provides restoring force to the second lower block 134, and the pair of rack gear blocks 166 are engaged with the holder gear 164. They move in an inward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한편,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가이드홈(165)은 랙기어블록(166)의 하단에 제2 방향(Y)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빔(169)은 홀더하판(116)에 제2 방향(Y)으로 배치될 수 있다. 랙기어블록(166)이 이동할 때 가이드홈(165)에 가이드빔(169)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랙기어블록(166)의 제2 방향(Y)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guide groove 165 may be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Y) at the bottom of the rack gear block 166, and the guide beam 169 is attached to the holder lower plate 116. It may be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Y). Since the guide beam 169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65 when the rack gear block 166 moves, it guides the movement of the rack gear block 166 in the second direction (Y).

도 10를 참고하면, 상술한 제1 홀더블록(120)이 홀더 케이싱(110)의 케이싱홈(114)에 삽입되고, 안측블록의 누름홈(155)에 결합되는 구조, 제2 홀더블록(130)이 안착블록(150)의 블록이동홈(153)에 삽입되며 배치되는 구조, 안착블록(150)과 홀더하판(116)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161) 배치구조, 제2 홀더블록(13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162)의 배치 구조와 제2 홀더블록(130)을 이동시키는 랙기어블록(166) 및 홀더기어(164) 배치구조 및 제2 홀더블록(13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65)과 가이드빔(169) 배치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0, the above-described first holder block 120 is inserted into the casing groove 114 of the holder casing 110 and is coupled to the pressing groove 155 of the inner block, the second holder block 130 ) is inserted into and arranged in the block movement groove 153 of the seating block 150,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spring 161 disposed between the seating block 150 and the holder lower plate 116, and the second holder block ( 130),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econd spring 162 that provides restoring force,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rack gear block 166 and holder gear 164 that moves the second holder block 130, and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econd holder block 130.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guide groove 165 and guide beam 169, which guide the direction of movement, can be confirmed.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100)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작동방식을 살펴보도록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nail holder module 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s described above, and the oper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below.

사용자가 네일 홀더 모듈(100)에 손가락을 투입하기 위해 우선 제1 홀더블록(120)을 누른다. In order to insert a finger in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the user first presses the first holder block 120.

제1 홀더블록(120)을 누르면, 제1 사이드블록(122)의 하단부가 누름홈(155)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안착블록(15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first holder block 120 is pressed, the lower end of the first side block 122 presses the pressing groove 155, and thus the seating block 150 moves downward.

안착블록(150)의 하단에는 제1 경사부(167)가 형성되어 있고, 제1 경사부(167)는 맞닿아 있는 제2 경사부(168)를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경사부(168)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홀더블록(130)이 개방부(119)의 내부에서 서로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한다.A first inclined portion 167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ating block 150,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167 pushes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68 that is in contact with it. Accordingly, the pair of second holder blocks 130, each of which is formed with a second inclined portion 168, moves outwardly away from each other inside the opening portion 119.

이때 안착블록(150)은 하방향으로 내려가 있어 개구홀(112)은 크기가 넓어진 상태이고, 한 쌍의 제2 홀더블록(130)이 서로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이므로, 개방부(119)의 내부는 비교적 넓어진 상태이다. At this time, the seating block 150 is lowered so that the opening hole 112 is enlarged, and since the pair of second holder blocks 130 are moved outward and away from each other, the opening 119 The interior is relatively wide.

이후 사용자는 개구홀(112)로 손가락을 넣으면, 손가락은 개방부(119) 내부까지 투입되고 안착블록(150)의 안착부(151)에 안착된 상태에 있게 된다. Afterwards, when the user inserts his or her finger into the opening hole 112, the finger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portion 119 and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51 of the seating block 150.

이제 사용자는 누르고 있던 제1 홀더블록(120)에서 힘을 빼면, 제1 스프링(161)의 복원력에 의해 안착블록(150)은 다시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한 쌍의 제2 스프링(162)이 한 쌍의 제2 홀더블록(130)을 서로 가까워지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Now, when the user releases the force from the first holder block 120 that was being pressed, the seating block 150 moves upward again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spring 161, and at the same time, the pair of second springs 162 This pair of second holder blocks 130 are moved inward to become closer to each other.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은 개방부(119)의 내부에서는 한 쌍의 제2 홀더블록(130)에 의해 손가락의 양측부가 고정되고, 개구홀(112)에서는 안착블록(150)이 상방향으로 이동했으므로, 손가락의 하부는 안착부(151), 손가락의 상부는 아치부(113)에 의해 각각 고정된다. Finally, both sides of the user's fingers are fixed by a pair of second holder blocks 130 inside the opening 119, and the seating block 150 moves upward in the opening hole 112. , the lower part of the finger is fixed by the seating part 151, and the upper part of the finger is fixed by the arch part 113.

상술한 작동방식을 통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100)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ethod, the nail holder module 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stably fix the user's finger.

이하 설명하는 프린터 구동 모듈(200) 및 프린터 모듈(300)을 포함하여 네일 아트 장치(400)를 구성할 수 있다. The nail art device 4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and the printer module 3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한편, 도 1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구동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구동 모듈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1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데크케이싱과 데크하판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Meanwhile,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rinter driving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2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printer driving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13 is This is a perspective view to explain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deck casing and the lower deck plat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그리고, 도 1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이동부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이동부재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이동부재 및 이동블록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이동블록과 프린터데크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Additionally,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oving member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oving member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moving member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moving member and the moving block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moving block and the printer deck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또한, 도 1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네일 홀더 모듈 및 프린터 구동 모듈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네일 홀더 모듈 및 프린터 구동 모듈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Additionally,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ined structure of a nail holder module and a printer driving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19 is a combined structure of a nail holder module and a printer driving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is is a perspective view to explain the condition.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구동 모듈(200)은 전면부에는 네일 홀더 모듈(100)이 장착되고, 상부에는 프린터 모듈(300)이 배치되는 장치로서, 데크케이싱(210), 데크상판(220), 가이드패널(230), 프린터데크(240), 이동부재(270) 및 이동블록(26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1 to 13,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device in which a nail holder module 100 is mounted on the front part and a printer module 300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It may include a deck casing 210, a deck top plate 220, a guide panel 230, a printer deck 240, a moving member 270, and a moving block 260.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네일 홀더 모듈(100) 및 프린터 구동 모듈(200)을 포함하여 데크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eck devic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nail holder module 100 and a printer driving module 200.

데크케이싱(210)은 프린터 구동 모듈(200)의 전반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전면부에는 네일 홀더 모듈(100)이 투입될 수 있는 절개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절개부(211)는 사각 단면 형상일 수 있으나, 네일 홀더 모듈(10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deck casing 210 can form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and a cutout 211 into which the nail holder module 100 can be inserted can be formed in the front part.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cutout portion 211 may have a square cross-sectional shape, but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nail holder module 100.

도 13을 참고하면, 데크케이싱(210)의 하부에는 데크하판(214)이 결합될 수 있다. 데크케이싱(210)의 하부에는 이동부재(27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17)와 이동부재(270)를 제어하는 제어기판(216)이 배치될 수 있으며, 데크하판(214)은 데크케이싱(210)의 하부를 개폐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a lower deck plate 214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deck casing 210. A battery 217 that supplies power to the moving member 270 and a control board 216 that controls the moving member 27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deck casing 210, and the lower deck plate 214 is the deck casing. The lower part of (210) can be opened and closed.

이때 데크케이싱(210)의 하단에는 제1 마그네틱(215a)이 배치될 수 있으며, 데크하판(214)에는 마그네틱 수용홈(214a)이 형성되고, 마그네틱 수용홈(214a)에는 제1 마그네틱(215a)에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 마그네틱(215b)이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magnetic (215a)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deck casing (210), the magnetic receiving groove (214a) is formed in the lower deck plate (214), and the first magnetic (215a) is formed in the magnetic receiving groove (214a). A second magnet 215b that is magnetically coupled may be disposed.

데크상판(220)은 데크케이싱(2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전면부에는 절개부(211)에 연결되는 홀더장착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홀더장착부(221)는 네일 홀더 모듈(100)이 장착되는 공간일 수 있으며, 네일 홀더 모듈(100)의 홀더 케이싱 외관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The deck top plate 220 may be coupled to the deck casing 210, and a holder mounting portion 221 connected to the cutout portion 211 may be formed on the front portio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221 may be a space where the nail holder module 100 is mounted, and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rior of the holder casing of the nail holder module 100.

데크상판(220)은 프린터데크(240)와 데크케이싱(2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deck top plate 220 may be located between the printer deck 240 and the deck casing 210.

홀더장착부(221)에는 결합바(222) 및 걸림블록(223)이 배치될 수 있다. 결합바(222)는 홀더장착부(221)의 내측면에 제1 방향(X)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블록(223)은 결합바(222)의 단부에 연결되고, 홀더장착부(22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걸림블록(223)의 양측면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A coupling bar 222 and a locking block 223 may be disposed o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221. The coupling bar 222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mounting portion 221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locking block 223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upling bar 222 and may be arranged to protrud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holder mounting portion 221. Both sides of the stopping block 223 may be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바(222)는 네일 홀더 모듈(100)의 홀더 케이싱(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사이드홈(111)에 끼워질 수 있으며, 걸림블록(223)은 고정홈(111b)에 삽입될 수 있으며, 걸림블록(223)의 돌출된 양측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사면을 따라 고정홈(111b)에 삽입 또는 분리가 원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bar 222 can be inserted into the side groove 111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er casing 110 of the nail holder module 100, and the locking block 223 has a fixing groove 111b. It can be inserted into, and the protruding both sides of the locking block 223 may have slopes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insertion into or separation from the fixing groove 111b along the slope can be smooth.

여기서 고정홈(111b)은 걸림블록(223)의 돌출된 양측 경사면에 대응하여 함몰된 양측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Here, the fixing groove 111b may form recessed inclined surfaces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inclined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locking block 223.

그리고 홀더장착부(221)의 내측 단부에는 네일 홀더 모듈(100)의 홀더 케이싱(110)에 형성된 블록지지부(115)가 안착되는 홀더안착판(228)이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holder mounting plate 228 on which the block support portion 115 formed on the holder casing 110 of the nail holder module 100 is seated may be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holder mounting portion 221.

상술한 결합바(222), 걸림블록(223) 및 홀더안착판(228)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네일 홀더 모듈(100)은 홀더장착부(22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As the above-described coupling bar 222, locking block 223, and holder seating plate 228 are formed, the nail holder module 100 can be firmly fixed to the holder mounting portion 221.

또한 도 12를 참고하면, 데크상판(220)에는 가이드패널(230)이 배치되는 패널안착부(22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패널안착부(229)의 양측단에는 패널고정홀(229a)이 형성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ure 12, a panel seating portion 229 on which the guide panel 230 is disposed may be formed on the deck top plate 220. At this time, panel fixing holes 229a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anel seating portion 229.

가이드패널(230)은 데크상판(220)과 프린터데크(240) 사이에 배치되되 데크상판(220)의 상단부에 형성된 패널안착부(229)에 안착될 수 있으며, 제2 방향(Y)으로 형성된 한 쌍의 이동홀(23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고하면, 가이드패널(230)의 양측단에는 패널피스(233)가 형성될 수 있으며, 패널피스(233)가 패널고정홀(229a)에 삽입될 수 있다. The guide panel 230 is disposed between the deck top plate 220 and the printer deck 240, and can be seated on the panel seating portion 229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deck top plate 220, and is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Y). A pair of moving holes 231 may be provided. Also, referring to FIG. 12, panel pieces 233 may be formed on both ends of the guide panel 230, and the panel pieces 233 may be inserted into the panel fixing hole 229a.

패널피스(233)의 제1 방향(X)으로 형성된 길이는, 패널고정홀(229a)의 제1 방향(X)으로 형성된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패널(230)의 제2 방향(Y)의 길이는 패널안착부(229)의 제2 방향(Y)의 길이에 대응(동일하거나 약간 큼)되고, 가이드패널(230)의 제1 방향의 크기는 패널안착부(229)의 제1 방향(X)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panel piece 233 in the first direction (X)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anel fixing hole 229a in the first direction (X).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guide panel 230 in the second direction (Y) corresponds to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panel seating portion 229 in the second direction (Y), and the first length of the guide panel 230 The size of the direction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direction (X) of the panel seating portion 229.

본 개시에서, 가이드패널(230)은 프린터데크(240)가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는 경우 프린터데크(240)와 함께 패널안착부(229) 내에서 이동하면서 프린터데크(2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널피스(233) 및 패널고정홀(229a)의 제1 방향 길이 차이와 가이드패널(230)과 패널안착부(229)의 제1 방향(X)의 크기 차이 때문에 가이드패널(230)은 패널안착부(229) 내에서 제1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패널(230)과 패널안착부(229)의 제2 방향(Y)의 크기 차이가 없기 때문에 가이드패널(230)은 제1 방향(X)으로 이동할 때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printer deck 24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X), the guide panel 230 moves within the panel seating portion 229 together with the printer deck 240 and moves the printer deck 240. can guide you. Specifically, due to the difference in length of the panel piece 233 and the panel fixing hole 229a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ize difference in the first direction (X) of the guide panel 230 and the panel seating portion 229, the guide panel 230 Can move in the first direction (X) within the panel seating portion 229. Additionally, since there is no size difference between the guide panel 230 and the panel mounting portion 229 in the second direction (Y), the guide panel 230 can move stably when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X).

본 개시에서, 가이드패널(230)은 프린터데크(240)가 제2 방향(Y)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홀(231)에 삽입된 이동핀(244)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프린터데크(2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패널(230)과 패널안착부(229)의 제2 방향(Y)의 크기 차이가 없기 때문에 가이드패널(230)은 패널안착부(229)내에서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이동핀(244)이 이동홀(231) 내에서 제2 방향(Y)으로 이동하여 프린터데크(2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printer deck 24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Y), the guide panel 230 guides the movement of the moving pin 244 inserted into the moving hole 231 to move the printer deck 240. can guide the movement of Specifically, since there is no difference in size between the guide panel 230 and the panel seating portion 229 in the second direction (Y), the guide panel 230 may be fixed within the panel seating portion 229, and the movable pin (244)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printer deck 240 by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Y) within the movement hole 231.

프린터데크(240)는 데크상판(220)에 배치될 수 있고, 하부에는 이동홀(231)에 삽입되는 한 쌍의 이동핀(244)이 형성될 수 있다. 프린터데크(240)는 이동블록(26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블록(260)이 이동부재(270)에 의해 이동되면, 한 쌍의 이동핀(244) 각각은 한 쌍의 이동홀(231) 각각을 따라 제2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printer deck 240 may be placed on the deck top plate 220, and a pair of moving pins 244 inserted into the moving hole 231 may be formed at the bottom. The printer deck 240 can be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260, and when the moving block 260 is moved by the moving member 270, each of the pair of moving pins 244 is connected to the pair of moving holes 231. It is possible to move along each of them in the second direction (Y).

이러한 프린터데크(240)는 프린터안착홈(241), 탈착바(242), 핀홀(245) 및 결합블록(24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린터안착홈(241)은 프린터데크(240)의 상부에 형성되고 이하 검토할 프린터 모듈(300)이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This printer deck 240 may include a printer seating groove 241, a detachable bar 242, a pinhole 245, and a coupling block 243. The printer seating groove 241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printer deck 240 and may be a portion where the printer module 300, which will be discussed below, is seated.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프린터안착홈(241)은 하방향으로 함몰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모듈(300)의 하부 형상이 볼록한 곡면으로 이뤄진 곡면부(314)를 형성하고 있어,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 모듈(300)의 하부 형상이 변경되면 프린터안착홈(241)의 형상도 이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inter seating groove 241 may be formed as a downwardly depressed curved surface. This is because the lower shape of the printer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ms a curved portion 314 made of a convex curve, so it can be form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is. Therefore, when the shape of the lower part of the printer module 300 changes, the shape of the printer seating groove 241 may also change correspondingly.

탈착바(242)는 프린터안착홈(241)에 배치되고, 이하 검토할 프린터 모듈(300)을 프린터안착홈(241)에 고정할 수 있다. 탈착바(242)의 하부는 프린터안착홈(241)에 연결되어 있으며, 탈착바(242)의 양측과 상부는 프린터안착홈(241)과 절개되어 있어 자유단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탈착바(242)의 일면에는 걸림턱(24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 검토할 프린터 모듈(300)에 마련된 탈착홈(315)이 걸림턱(242a)에 걸리며 프린터 모듈(300)이 프린터안착홈(241)에 고정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프린터 모듈(300)이 프린터안착홈(241)에 안착된 상태에서, 걸림턱(242a)은 프린터 모듈(300)의 양측에 구비된 탈착홈(315)을 가압하여 프린터 모듈(300)을 고정할 수 있다. The detachable bar 242 is disposed in the printer seating groove 241, and the printer module 300, which will be examined below, can be fixed to the printer seating groove 241. The lower part of the detachable bar 242 is connected to the printer seating groove 241, and both sides and the upper part of the detachable bar 242 are cut into the printer seating groove 241 to form a free end. In addition, a locking protrusion 242a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etachable bar 242, and the detachment groove 315 provided in the printer module 300, which will be examined below, is caught on the locking protrusion 242a, and the printer module 300 is connected to the printer. It can be fixed to the seating groove 241. More specifically, with the printer module 300 seated in the printer seating groove 241, the locking protrusion 242a presses the detachment grooves 315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rinter module 300 to attach the printer module 300. ) can be fixed.

프린터안착홈(241)에서 프린터 모듈(300)을 분리할 때는 자유단인 탈착바(242)의 상단을 하방향으로 누르면, 프린터 모듈(300)의 탈착홈(315)이 걸림턱(242a)에서 분리되며 프린터안착홈(241)에서 프린터 모듈(30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걸림턱(242a)은 걸림턱(242a)이 프린터 모듈(300)의 탈착홈(315)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탈착바(242)의 상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탈착홈(315)에서 이탈될 수 있다. 프린터 모듈(300)은 걸림턱(242a)이 탈착홈(315)에서 이탈하는 경우 프린터 구동 모듈(200)과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탈착바(242)의 상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프린터 구동 모듈(200)과 프린터 모듈(300)을 분리할 수 있다. When separating the printer module 300 from the printer mounting groove 241, press the top of the free end detachment bar 242 downward, so that the detachment groove 315 of the printer module 300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 242a. It is separated and the printer module 300 can be separated from the printer seating groove 241. Specifically, the locking protrusion 242a is formed by a force that presses the upper part of the detachment bar 242 downward while the locking protrusion 242a is pressing the detachment groove 315 of the printer module 300. It can be deviated from (315). The printer module 300 may be separated from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when the locking step 242a is separated from the detachment groove 315. That is, the user can separate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and the printer module 300 by pressing the upper part of the detachable bar 242 in a downward direction.

그리고 핀홀(245)은 프린터안착홈(241)에 형성되고, 프린터 모듈(300)과 신호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핀(2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검토할 프린터 모듈(300)의 하부에는 인터페이스부(363)가 배치될 수 있으며, 프린터안착홈(241)에 프린터 모듈(300)이 안착되면 인터페이스부(363)와 커넥터핀(250)이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inhole 245 is formed in the printer seating groove 241, and a connector pin 250 that is signally connected to the printer module 300 can be disposed. An interface unit 363 may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printer module 300, which will be reviewed below, and when the printer module 300 is seated in the printer seating groove 241, the interface unit 363 and the connector pin 250 are coupled. It can be.

결합블록(243)은 도 17을 참고하면, 프린터데크(24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동블록(260)에 형성되는 링크블록(26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프린터데크(240)의 상부에는 체결홀(24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홀(243a)을 통해 볼트 등의 체결구(미도시)로 프린터데크(240)의 결합블록(243)과 이동블록(260)의 링크블록(264)을 결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the coupling block 243 may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printer deck 240 and may be coupled to the link block 264 formed on the moving block 260. At this time, a fastening hole 243a may b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printer deck 240, and the coupling block 243 of the printer deck 240 may be moved with a fastener such as a bolt (not shown) through the fastening hole 243a. The link block 264 of the block 260 can be combined.

도 12, 도 14 내지 도 17를 참고하면, 이동부재(270)는 데크케이싱(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프린터데크(2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2 and 14 to 17 , the moving member 270 may be disposed inside the deck casing 210 and may move the printer deck 240.

이동부재(270)는 제1 이동유닛(280) 및 제2 이동유닛(29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member 270 may include a first moving unit 280 and a second moving unit 290.

본 개시에서, 프린터데크(240)는 제1 이동유닛(280) 및 제2 이동유닛(290)의 이동에 따라 이동블록(26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유닛(280)은 이동블록(26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프린터데크(240)를 제1 방향(X)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이동유닛(290)은 제1 이동유닛(28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프린터데크(240)를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inter deck 240 may move together with the moving block 26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unit 280 and the second moving unit 290. For example, the first moving unit 280 may be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260 and may move the printer deck 240 in the first direction (X). The second moving unit 29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unit 280 and may move the printer deck 240 in the second direction (Y).

구체적으로 제2 이동유닛(290)은 제2 바디(291), 제2 리니어빔(292), 제2 모터(293), 제2 기어조립체(294) 및 제2 사이드판(297)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moving unit 290 may include a second body 291, a second linear beam 292, a second motor 293, a second gear assembly 294, and a second side plate 297. You can.

제2 바디(291)는 데크케이싱(210)의 내부 하단에 볼트(B)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방향(Y)으로 바디관통홀(295)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body 291 may be fixed to the inner bottom of the deck casing 210 with a bolt (B), and a body through hole 295 may be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Y).

제2 리니어빔(292)은 제2 바디(291)에서 바디관통홀(295)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linear beam 292 may be disposed along the body penetration hole 295 in the second body 291.

제2 모터(293)는 제2 바디(29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모터(293)의 구동축은 제2 바디(291)를 관통하며 상부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motor 293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91, and the drive shaft of the second motor 293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e second body 291 and extend upward.

제2 기어조립체(294)는 제2 바디(29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모터(293)의 구동축과 제1 이동유닛(280)을 연결할 수 있다. The second gear assembly 294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body 291 and may connect the drive shaft of the second motor 293 and the first movement unit 280.

구체적으로 제2 기어조립체(294)는 제2 모터(293)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2-1 기어(294a), 제2-1 기어(294a)와 맞물려 배치되는 제2-2 감속기어(294b), 제2-2 감속기어(294b)와 맞물려 배치되는 제2-3 감속기어(294c), 제2-3 감속기어(294c)와 맞물려 배치되는 제2-4 기어(294d)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감속기어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고 원주방향으로 기어이가 많이 형성된 하단기어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고 원주방향으로 기어이가 적게 형성된 상단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gear assembly 294 includes a 2-1 gear 294a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second motor 293, and a 2-2 reduction gear 294b disposed in mesh with the 2-1 gear 294a. ), a 2-3 reduction gear (294c) disposed in engagement with the 2-2 reduction gear (294b), and a 2-4 gear (294d) disposed in engagement with the 2-3 reduction gear (294c). there is. The above-described reduction gear may be composed of a lower gear that is relatively large in diameter and has many gear tee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n upper gear that is relatively small in diameter and has few gear tee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2 모터(293)의 회전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제2 기어조립체(294)는 복수개의 감속기어를 서로 맞물리게 배치하여 제2 모터(293)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제1 이동유닛(280)으로 전달할 수 있다. Because the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motor 293 is fast, the second gear assembly 294 arranges a plurality of reduction gears to mesh with each other to reduce the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motor 293 and transmit it to the first movement unit 280. You can.

제2 모터(293)의 구동에 따라 제1 이동유닛(280)은 제2 리니어빔(292)을 따라 제2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다. As the second motor 293 is driven, the first movement unit 280 may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Y) along the second linear beam 292.

또한 제2 사이드판(297)은 제2 바디(291)의 측부에 제2 방향(Y)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바디(291)상에서 제2 리니어빔(292)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cond side plate 297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econd body 291 in the second direction (Y). Specifically, it may be placed on the second body 29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linear beam 292.

제1 이동유닛(280)은 제1 바디(281), 제1 랙기어(283), 기어판(284), 제1 모터(285), 제1 기어조립체(287), 제1 리니어빔(288) 및 제1 사이드판(28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moving unit 280 includes a first body 281, a first rack gear 283, a gear plate 284, a first motor 285, a first gear assembly 287, and a first linear beam (288). ) and a first side plate 286.

제1 바디(281)는 제2 바디(29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제2 리니어빔(292)에 연결되는 제1 링크피스(28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피스(282)는 제1 바디(281)의 하부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 제2 리니어빔(292)에 연결되며 제1 바디(281)가 제2 리니어빔(292)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body 28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body 291, and a first link piece 282 connected to the second linear beam 292 may be formed at the lower part. A plurality of first link pieces 282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ody 281, and ea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near beam 292, and the first body 281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near beam 292. It can be moved stab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 랙기어(283)는 제1 바디(281)의 하부에서 제2 리니어빔(29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기어조립체(294)에 맞물려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기어조립체(294)의 제2-4 기어(294d)와 제1 랙기어(283)가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모터(293)가 회전하면 제2 기어조립체(294)에서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제1 랙기어(283)에 전달하고, 제1 바디(281)가 제2 리니어빔(29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The first rack gear 283 may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inear beam 292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ody 281 and may be engaged and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assembly 294. Specifically, the 2-4th gear 294d of the second gear assembly 294 and the first rack gear 283 may be engaged. Accordingly, when the second motor 293 rotates, the rotation speed is reduced in the second gear assembly 294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rack gear 283, and the first body 281 uses the second linear beam 292. You can move along.

기어판(284)은 제1 바디(281)의 하부에 볼트(B)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The gear plate 284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ody 281 by fastening bolts (B).

그리고 제1 모터(285)는 제1 바디(281)의 하부에서 기어판(28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모터(285)의 구동축은 기어판(284)을 관통하며 제1 바디(281)의 상부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And the first motor 285 may be coupled to the gear plate 284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ody 281. At this time, the drive shaft of the first motor 285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e gear plate 284 and exten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body 281.

제1 기어조립체(287)는 제1 바디(28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모터(285)의 구동축과 이동블록(260)을 연결할 수 있다. The first gear assembly 287 may be disposed on the top of the first body 281 and may connect the drive shaft of the first motor 285 and the moving block 260.

구체적으로 제1 기어조립체(287)는 제1 모터(285)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1-1 기어(287a), 제1-1 기어(287a)와 맞물려 배치되는 제1-2 감속기어(287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제1-2 감속기어(287b)의 하단기어(287b-1)는 제1 바디(281)에 형성된 기어수용홈(281a)과 기어판(284)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2 감속기어(287b)의 상단기어(287b-2)는 제1 바디(281)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gear assembly 287 includes a 1-1 gear (287a)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first motor 285, and a 1-2 reduction gear (287b) disposed in mesh with the 1-1 gear (287a). ) may include.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S. 15 and 16, the lower gear (287b-1) of the 1-2 reduction gear (287b) is between the gear receiving groove (281a) formed in the first body (281) and the gear plate (284). It can be arranged, and the top gear (287b-2) of the 1-2 reduction gear (287b) can be arranged to penetrate the first body (281).

또한 제2 기어조립체(294)는 제1-2 감속기어(287b)의 상단기어(287b-2)와 맞물려 배치되는 제1-3 감속기어(287c), 제1-3 감속기어(287c)와 맞물려 배치되는 제1-4 감속기어(287d) 및, 제1-4 감속기어(287d)와 맞물려 배치되는 제1-5 기어(287e)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gear assembly 294 includes a 1-3 reduction gear 287c, a 1-3 reduction gear 287c, and It may include a 1-4th reduction gear 287d disposed in mesh, and a 1-5th gear 287e disposed in mesh with the 1-4th reduction gear 287d.

상술한 감속기어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고 원주방향으로 기어이가 많이 형성된 하단기어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고 원주방향으로 기어이가 적게 형성된 상단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reduction gear may be composed of a lower gear that is relatively large in diameter and has many gear tee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n upper gear that is relatively small in diameter and has few gear tee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1 기어조립체(287) 또한 제1 모터(285)의 회전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복수개의 감속기어를 서로 맞물리게 배치하여 제1 모터(285)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이동블록(260)에 전달할 수 있다. In the first gear assembly 287, sin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motor 285 is high, a plurality of reduction gears are arranged to mesh with each other to redu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motor 285 and transmit it to the moving block 260. .

제1 리니어빔(288)은 제1 바디(281)의 측부에서 제1 방향(X)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바디(281)의 양측부에 제1 리니어빔(288)이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이동블록(260)의 이동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The first linear beam 288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body 281 in the first direction (X).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air of first linear beams 288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281. This is to ensure the movement stability of the moving block 260.

제1 모터(285)의 구동에 따라 이동블록(260)은 제1 리니어빔(288)을 따라 제1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터데크(240)는 이동블록(260)과 함께 제1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다. As the first motor 285 is driven, the moving block 260 ma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X) along the first linear beam 288. In this case, the printer deck 240 can move in the first direction (X) together with the moving block 260.

또한 도 14를 참고하면, 제1 사이드판(286)은 제1 바디(281)의 하단에 연결되고, 제2 사이드판(297) 방향으로 절곡되며 제2 사이드판(297)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Also, referring to FIG. 14, the first side plate 286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body 281,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297, and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side plate 297. You can.

제1 사이드판(286)은 제2 사이드판(297)의 하단에 배치되며 제1 바디(28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바디(281)의 일측은 제1 링크피스(282)에 의해 제2 리니어빔(292)에 연결되어 있고, 제1 바디(281)의 타측부는 제1 사이드판(286)이 제2 사이드판(297)의 하단으로 절곡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바디(281)는 제2 이동유닛(29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2 기어조립체(294)와 제1 랙기어(283)간의 맞물림이 유지될 수 있어 제2 모터(293)의 회전력은 제1 랙기어(283)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The first side plate 286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side plate 297 and can prevent the first body 281 from being separated. That is, one side of the first body 281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near beam 292 by the first link piece 282,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281 is the first side plate 286. 2 Since it is bent and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ide plate 297, the first body 281 does not separate from the second moving unit 290. Accordingly, engagement between the second gear assembly 294 and the first rack gear 283 can be maintained,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motor 293 can be stably transmitted to the first rack gear 283.

이동블록(260)은 이동부재(270)와 상기 프린터데크(240)를 연결하고, 상기 이동부재(270)의 동작에 따라 상기 프린터데크(2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The moving block 260 connects the moving member 270 and the printer deck 240, and can move the printer deck 24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ving member 270.

구체적으로 이동블록(260)은 블록바디(261), 링크블록(264), 블록랙기어(263) 및 블록링크피스(262)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oving block 260 may include a block body 261, a link block 264, a block rack gear 263, and a block link piece 262.

블록바디(261)는 판 형상일 수 있으며, 블록바디(261)의 상부에는 링크블록(264)이 배치될 수 있다. 링크블록(264)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데크(24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블록(243)과 체결될 수 있다.The block body 261 may have a plate shape, and a link block 264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lock body 261. The link block 264 may be fastened to the coupling block 243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printer deck 240 as described above.

블록링크피스(262)는 블록바디(261)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 리니어빔(288)에 연결될 수 있다. 블록링크피스(262)에는 관통된 홀이 형성되고, 관통된 홀로 제1 리니어빔(288)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리니어빔(288)은 제1 바디(281)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 쌍의 제1 리니어빔(288)에 연결되는 블록링크피스(262)도 블록바디(261)의 하부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이동안정성을 위함이다. The block link piece 262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block body 26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linear beam 288.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lock link piece 262, and the first linear beam 288 can be inserted and dis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linear beam 288 may be arranged as a pair on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281, and accordingly, the block link piece 262 connected to the pair of first linear beams 288 ) may also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block body 261. This is for movement stability.

블록랙기어(263)는 블록바디(26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기어조립체(287)의 제1-5 기어(287e)에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블록랙기어(263)는 제1 리니어빔(288)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모터(285)가 회전하면 제1 기어조립체(287)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블록바디(261)를 제1 리니어빔(288)의 길이방향, 즉 제1 방향(X)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block rack gear 263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lock body 261 and may be disposed in engagement with the 1st-5th gears 287e of the first gear assembly 287. The block rack gear 263 may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inear beam 288, and when the first motor 285 rotates,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by the first gear assembly 287 to form the block body 261. Can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inear beam 288, that is, in the first direction (X).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구동 모듈(200)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작동방식을 살펴보도록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s described above, and the oper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8 및 도 19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네일 홀더 모듈(100)에 손가락을 고정하고, 네일 홀더 모듈(100)을 홀더장착부(221)에 장착한다. 이때 네일 홀더 모듈(100)의 사이드홈(111)을 따라 결합바(222)가 삽입되고, 고정홈(111b)에는 걸림블록(223)이 끼워지며 네일 홀더 모듈(100)은 홀더장착부(221)에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S. 18 and 19, the user fixes his or her finger on the nail holder module 100 and mounts the nail holder module 100 o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221. At this time, the coupling bar 222 is inserted along the side groove 111 of the nail holder module 100, the locking block 223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1b, and the nail holder module 100 is connected to the holder mounting portion 221. is fixed to

그리고 사용자는 프린터데크(240)의 상부에 프린터 모듈(300;도 28 참고)를 안착시킨다. 프린터 모듈(300)의 하부는 탈착바(242)에 의해 고정된다. Then, the user places the printer module 300 (see Figure 28) on the upper part of the printer deck 240. The lower part of the printer module 300 is fixed by a detachable bar 242.

이후 사용자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배치될 수 있는 동작버튼 또는 단말기에 설치된 앱 등을 통해 이동부재(270)를 작동시킨다. Afterward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user operates the moving member 270 through an operation button that can be placed on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or an app installed on the terminal.

프린터 구동 모듈(200)은 프린터 모듈(300)을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키고 싶을 때는 제2 모터(293)를 구동하여 제1 이동유닛(280)과 이동블록(260)을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킨다. 프린터데크(240)는 이동블록(26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프린터데크(240)도 제2 방향(Y)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프린터데크(240)는 이동블록(260) 및 제1 이동유닛(280)과 함께 제2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wants to move the printer module 300 in the second direction (Y), it drives the second motor 293 to move the first moving unit 280 and the moving block 260 in the second direction. Move it to (Y). Since the printer deck 240 is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260, the printer deck 240 also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Y). In this case, the printer deck 240 can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Y) together with the moving block 260 and the first moving unit 280.

이때 프린터데크(240)의 이동핀(244)은 가이드패널(230)의 이동홀(231)을 따라 이동하며, 프린터데크(240)가 정확하게 제2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moving pin 244 of the printer deck 240 moves along the moving hole 231 of the guide panel 230, allowing the printer deck 240 to move accurately in the second direction (Y).

만약, 사용자가 프린터데크(240) 및 프린터 모듈(300)의 위치를 제1 방향(X)을 따라 변경하고 싶으면, 프린터 구동 모듈(200)은 제1 모터(285)를 구동한다. 제1 모터(285)를 구동하면 이동블록(260)은 제1 방향(X)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프린터데크(240) 및 프린터 모듈(300)도 제1 방향(X)으로 이동한다.If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positions of the printer deck 240 and the printer module 300 along the first direction (X),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drives the first motor 285. When the first motor 285 is driven, the moving block 26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thus the printer deck 240 and the printer module 300 als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X).

이때 프린터데크(240)의 이동핀(244)이 가이드패널(230)의 이동홀(231)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프린터데크(240)의 이동시 가이드패널(230)도 함께 제1 방향(X)으로 이동하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moving pin 244 of the printer deck 240 is inserted into the moving hole 231 of the guide panel 230, when the printer deck 240 moves, the guide panel 230 also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X). It moves.

이와 같이 제1 방향(X) 또는 제2 방향(Y)으로 프린터데크(240)를 이동시키면서 네일 위치에 프린터 모듈(300)을 정확히 일치시키거나 또는 네일상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디자인을 프린팅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design can be printed by accurately matching the printer module 300 to the nail position while moving the printer deck 240 in the first direction (X) or the second direction (Y) or by changing the position on the nail. .

한편, 도 2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모듈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2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장치리드와 장치케이싱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2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동작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하측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하면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제1 롤러의 회전 수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는 엔코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Meanwhile,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rint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1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print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22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print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device lead and the device casing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memb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24 is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rinter module according to , and Figure 25 is a bottom view for explaining the printer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ncoder module that generates pul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first roll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그리고, 도 2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네일 아트 장치를 구성하는 프린터 구동 모듈과 프린터 모듈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의 네일에 프린터 모듈이 모양을 프린팅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And, Figure 2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printer driving module and the printer module constituting the nail art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ure 2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ser's fing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is is a perspective view to explain how the printer module prints a shape on a nail.

도 20 내지 도 26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모듈(300)은 장치케이싱(310), 장치프레임(350), 장치리드(320) 및 동작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20 to 26, the printer module 3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device casing 310, a device frame 350, a device lead 320, and an operating member 330. there is.

장치케이싱(310)은 내부에는 일정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잉크부재(340)의 프린팅부(341)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317)가 형성될 수 있다. 장치케이싱(310)의 측면에는 고정구홀(3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장치케이싱(310)의 측면 하부에는 탈착홈(315)이 형성될 수 있다. 탈착홈(315)은 프린터데크(240)에 형성된 탈착바(242)에 결합될 수 있다. The device casing 310 may have a certain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n opening 317 may be formed at the bottom to expose the printing portion 341 of the ink member 340. A fixture hole 311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device casing 310, and a detachment groove 315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evice casing 310. The detachment groove 315 may be coupled to the detachment bar 242 formed on the printer deck 24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장치케이싱(310)의 하부 둘레에는 볼록한 곡면으로 이뤄진 곡면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곡면부(314)는 이에 대응되게 하방향으로 함몰된 곡면을 형성하는 프린터안착홈(241)에 안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curved portion 314 made of a convex curve may be formed a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casing 310. The curved portion 314 may be seated in the printer seating groove 241, which forms a downwardly depressed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hereto.

장치케이싱(310)의 하단에는 제1 롤러(381) 및 제2 롤러(38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롤러(381)는 회전축(381a)에 의해 장치케이싱(310)의 하단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롤러(382)는 회전축(382a)에 의해 장치케이싱(310)의 하단에서 개구부(317)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A first roller 381 and a second roller 382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device casing 310. The first roller 381 may be rotatably disposed at the bottom center of the device casing 310 by the rotation shaft 381a, and the second roller 382 is rotatably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device casing 310 by the rotation shaft 382a. A pair may be rotatab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317.

제1 롤러(381)는 프린터 모듈(300)이 인쇄 매체에 접한 상태에서 움직이는 경우 프린터 모듈(300)의 움직임을 보조할 수도 있고, 프린터 모듈(300)이 이동한 거리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감지센서(364) 및 프린팅부(341)와 동일 수직 선 상에 중심 축(L)이 배치되도록 제1 롤러(381)가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roller 381 may assist the movement of the printer module 300 when the printer module 300 moves while in contact with the printing medium, and may be used to calculate the distance the printer module 300 has moved. . Accordingly, the first roller 381 may be positioned so that the central axis L is dispos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detection sensor 364 and the printing unit 341.

제2 롤러(382)는 프린터 모듈(300)이 인쇄 매체에 접한 상태에서 움직이는 경우 프린터 모듈(300)의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롤러일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317)의 양측에 제2 롤러(382)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롤러(381) 및 제2 롤러(382)가 배치되는 경우 프린터 모듈(300)이 인쇄 매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다. 제1 롤러(381) 및 제2 롤러(382)의 재질은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재질일 수 있다. 사용자가 종이, 피부 등에 프린터 모듈(300)을 누르고 디자인을 프린팅할 때, 제1 롤러(381) 및 제2 롤러(382)가 재질적 특성상 눌려지며 회전하고 잉크부재(340)의 프린팅부(341)가 종이, 피부 등의 프린팅대상물에 접촉되며 디자인을 프린팅할 수 있다. The second roller 382 may be a roller to assist the movement of the printer module 300 when the printer module 300 moves while in contact with the printing medium. Accordingly, the second roller 382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317.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roller 381 and the second roller 382 are disposed, the printer module 300 can move smoothly in the second direction (Y) on the printing medium. The first roller 381 and the second roller 382 may be made of rubber, silicone, urethane, etc. When a user presses the printer module 300 on paper, skin, etc. and prints a design, the first roller 381 and the second roller 382 are pressed and rotate due to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the printing unit 341 of the ink member 340 ) is in contact with a printing object such as paper or skin, and the design can be printed.

사용자가 프린터 모듈(300)을 누르지 않으면, 제1 롤러(381) 및 제2 롤러(382)는 눌려진 상태가 아닌 원통 형상을 유지하고, 잉크부재(340)의 프린팅부(341)는 종이, 피부 등의 프린팅대상물로부터 떨어져 있게 되므로, 디자인이 프린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f the user does not press the printer module 300, the first roller 381 and the second roller 382 maintain their cylindrical shape rather than being pressed, and the printing portion 341 of the ink member 340 is printed on paper or skin. Since it is kept away from printing objects such as the lik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sign from being printed.

도 26을 참조하면, 제1 롤러(381)는 제1 롤러(381)의 회전 수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는 엔코더 모듈(36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장치케이싱(3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6, the first roller 381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encoder module 365, which generates pul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first roller 381, and is mounted inside the device casing 310. It can be.

엔코더 모듈(365)은 프린터 모듈(300)이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인치(inch))만큼 이동할 때 제1 롤러(381)가 회전하는 회전 수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600개)의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The encoder module 365 has a preset number (e.g., , 600) pulses can be generated.

제어부(360)는 엔코더 모듈(365)이 생성한 펄스를 이용하여 프린터 모듈(300)의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360)는 엔코더 모듈(365)에서 생성한 펄스의 개수를 확인하여 프린터 모듈(300)이 이동한 거리를 인식할 수 있고, 이동한 거리에 따라 디자인을 프린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60)는 펄스 1개당 동기하여 600DPI(Dots Per Inch)로 프린팅을 수행하도록 프린터 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ntrol unit 360 can calculate the moving distance of the printer module 300 using the pulse generated by the encoder module 365. That is, the control unit 360 can recognize the distance the printer module 300 has moved by checking the number of pulses generated by the encoder module 365, and print a design according to the distance mov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60 may control the printer module 300 to perform printing at 600DPI (Dots Per Inch)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puls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프린터 모듈(300)이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장착된 경우, 프린터 모듈(300)의 제1 롤러(381)는 프린터 구동 모듈(200)의 가이드패널(230)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롤러(381)는 프린터 구동 모듈(200)의 프린터데크(240)가 제2 방향(Y)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패널(23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즉, 프린터 모듈(300)이 프린터 구동 모듈(200) 상에서 움직이는 경우 제1 롤러(381)가 가이드패널(230)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제1 롤러(381)가 회전하는 경우 엔코더 모듈(365)은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엔코더 모듈(365)이 생성한 펄스를 분석하여 프린터 모듈(300)이 프린터 구동 모듈(200) 상에서 이동한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60)는 프린터 모듈(300)이 프린터 구동 모듈(200) 상에서 움직인 거리에 따라 디자인을 프린팅하도록 프린터 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printer module 300 is mounted on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the first roller 381 of the printer module 300 may contact the guide panel 230 of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Accordingly, the first roller 381 may be rotated by the guide panel 230 when the printer deck 240 of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Y). That is, when the printer module 300 moves on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the first roller 381 can be rotated by the guide panel 230, and when the first roller 381 rotates, the encoder module 365 ) can generate a pulse. The control unit 360 may analyze the pulse generated by the encoder module 365 and calculate the distance the printer module 300 has moved on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360 may control the printer module 300 to print a design according to the distance the printer module 300 moves on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한편, 프린터 모듈(300)은 프린터 구동 모듈(200)과 별개로 프린터 구동 모듈(200)과 분리된 상태에서 인쇄 매체(예를 들어, 종이 등)에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터 모듈(300)의 제1 롤러(381)는 인쇄 매체와 접하게 된다. 그리고, 프린터 모듈(300)이 인쇄 매체 상에서 움직이는 경우 제1 롤러(381)는 인쇄 매체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제1 롤러(381)가 회전하는 경우 엔코더 모듈(365)은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엔코더 모듈(365)이 생성한 펄스를 분석하여 프린터 모듈(300)이 인쇄 매체 상에서 움직인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60)는 프린터 모듈(300)이 인쇄 매체 상에서 움직인 거리에 따라 디자인을 프린팅하도록 프린터 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inter module 300 may perform printing on a printing medium (eg, paper, etc.) in a separate state from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In this case, the first roller 381 of the printer module 3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inting medium. And, when the printer module 300 moves on the printing medium, the first roller 381 can be rotated by the printing medium, and when the first roller 381 rotates, the encoder module 365 can generate a pulse. there is. The control unit 360 may calculate the distance that the printer module 300 moves on the printing medium by analyzing the pulse generated by the encoder module 365.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360 may control the printer module 300 to print a design according to the distance the printer module 300 moves on the printing medium.

한편, 도 24를 참조하면, 제1 롤러(381)의 중심 축(L)은 감지센서(364) 및 프린팅부(341)와 동일 선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제1 롤러(381)의 중심 축(L)이 감지센서(364) 및 프린팅부(341)와 동일 수직 선 상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린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롤러(381)의 중심 축(L)은 감지센서(364) 및 프린팅부(341)와 동일 수직 선 상에 존재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장치프레임(350)은 장치케이싱(3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장치프레임(350)에는 잉크부재(34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351)가 형성될 수 있다. 잉크부재(340)는 수용부(351)에 배치되고, 잉크부재(340)의 하단에 형성된 프린팅부(341)는 장치케이싱(310)의 개구부(317)를 통해 장치케이싱(310)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24, the central axis (L) of the first roller 381 may exist on the same line as the detection sensor 364 and the printing unit 341. If the central axis (L) of the first roller 381 is not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detection sensor 364 and the printing unit 341, printing may not be performed properly. Therefore, it is most appropriate for the central axis L of the first roller 381 to be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detection sensor 364 and the printing unit 341. The device frame 350 may be placed inside the device casing 310, and a receiving portion 351 in which the ink member 340 can be accommodated may be formed in the device frame 350. The ink member 340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portion 351, and the printing portion 341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k member 340 is transmitted to the lower part of the device casing 310 through the opening 317 of the device casing 310. may be exposed.

또한 장치프레임(350)의 둘레에는 잉크부재(3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6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0)는 인터페이스부(363)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363)와 커넥터핀(250)이 연결되면 프린터데크(240)에 프린터 모듈(300)이 안착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Additionally, a control unit 36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nk member 340 may be disposed around the device frame 350.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360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363, and when the interface unit 363 and the connector pin 250 are connected,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printer module 300 is seated on the printer deck 240.

제어부(360)는 감지센서(364)와 연결될 수 있으며, 감지센서(364)와 광 반사 플레이트(140)간의 센싱을 통해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되는 삽입체(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확인하면, 이를 연산하여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센서(364)는 장치케이싱(310)의 하부 즉, 하단 중앙부에서 제1 롤러(381)와 개구부(317) 사이에 배치되고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되는 삽입체(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값을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60 may be connected to the detection sensor 364, and detects the insertion material (the user's finger or toe) inserted in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through sensing between the detection sensor 364 and the light reflection plate 140. Once the width is confirme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it and control printing the design on the user's nail. Here, the detection sensor 364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ller 381 and the opening 317 at the lower part of the device casing 310, that is, the lower central part, and is inserted in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the user's finger). Alternatively, a sensing value can be generated to determine the width of the toe.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네일 프린팅을 진행할 프린팅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이용하여 프린팅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도 30 및 도 33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후술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60 determines the size of the printing area where nail printing will be performed based on the estimated length information of the user's nai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printing area using the width of the finger or toe. You can decide.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0 and 33.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감지센서(364)는 광센서일 수 있으며, 광 반사 플레이트(140)는 반사판일 수 있다. 이 경우 감지센서가 빛을 쏘았을 때 광 반사 플레이트(140)에서 반사되는 범위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확인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ection sensor 364 may be an optical sensor, and the light reflection plate 140 may be a reflector.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user's fingers or toes can be confirmed by checking the range reflected from the light reflection plate 140 when the detection sensor emits light.

장치프레임(350)의 측면에는 고정구(359)가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구(359)가 고정구홀(311)에 삽입되며 장치프레임(350)이 장치케이싱(3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구홀(311)에서 고정구(359)를 눌러 빼면, 장치프레임(350)을 장치케이싱(310)에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A fixture 359 may be placed on the side of the device frame 350, the fixture 359 may be inserted into the fixture hole 311, and the device frame 350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device casing 310. The user can simply separate the device frame 350 from the device casing 310 by pressing and removing the fixture 359 from the fixture hole 311.

장치리드(320)는 장치케이싱(3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장치리드(320)상에는 버튼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device lead 32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device casing 310, and a button hole 321 may be formed on the device lead 320.

장치리드(320)의 내측면에는 소정 각도로 절곡된 절곡 부위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리드탈착블록(327)이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에에서는 90도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리드탈착블록(327)은 장치프레임(350)의 상단에 형성된 리드고정홈(352)에 삽입되며 장치리드(320)와 장치프레임(35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리드탈착블록(327)의 절곡 부위가 리드고정홈(352)의 연장부(352a)로 삽입되며 장치리드(320)와 장치프레임(350)을 결합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lead removable blocks 327 including bent portion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vice lead 320.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can be bent at a 90 degree angle. The lead detachment block 327 is inserted into the lead fixing groove 352 formed at the top of the device frame 350 and can couple the device lead 320 and the device frame 350. At this time, the bent portion of the lead removable block 327 is inserted into the extension portion 352a of the lead fixing groove 352, and the device lead 320 and the device frame 350 can be combined.

동작부재(330)는 장치리드(3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동작부재(330)는 베이스판(331), 버튼블록(332), 승강블록(333), 누름돌기(334), 결합유닛(335) 및 리드탈착부(33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erating member 3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device lead 320, and the operating member 330 includes a base plate 331, a button block 332, an elevating block 333, a pressing protrusion 334, and a coupling member. It may include a unit 335 and a lead removable unit 336.

베이스판(331)은 장치리드(320)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으며, 베이스판(331)의 일측 상부에는 버튼블록(332)이 배치될 수 있다. The base plate 33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hape of the device lead 320, and a button block 332 may be placed on one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331.

승강블록(333)은 베이스판(331)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승강블록(333)의 단부(333a)는 베이스판(33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승강블록(333) 사이에는 버튼블록(332)이 배치될 수 있으며, 승강블록(333)과 버튼블록(332)의 내측부(332b)와 외측부(332a)는 각각 베이스판(331)으로부터 절개되어 있어 버튼블록(332)과 승강블록(333)은 자유단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버튼블록(332)을 누르면 버튼블록(332)은 승강블록(333)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lifting blocks 333 may be arranged as a pair on the base plate 331, and the end 333a of the lifting blocks 333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plate 331. And a button block 33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lifting blocks 333, and the inner portion 332b and the outer portion 332a of the lifting block 333 and the button block 332 are each formed by the base plate 331. Since it is cut from, the button block 332 and the lifting block 333 can form free ends.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block 332, the button block 332 can mov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by the lifting block 333.

누름돌기(334)는 승강블록(333)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장치프레임(350)의 상단부에는 돌기홈(35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홈(353)의 내부에는 동작버튼(361)이 배치될 수 있다. The pressing protrusion 334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lifting block 333. At this time, a protruding groove 353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device frame 350, and an operation button 361 may be placed inside the protruding groove 353.

사용자가 버튼블록(332)을 누르면 승강블록(333)에 의해 하강하고, 이때 승강블록(333)의 하단에 형성된 누름돌기(334)가 돌기홈(353)의 내부에서 동작버튼(361)을 누르게 된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block 332, it is lowered by the lifting block 333, and at this time, the pressing protrusion 334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ifting block 333 presses the operation button 361 inside the protruding groove 353. do.

동작버튼(361)이 눌러지면 제어부(360)가 사전에 입력되어 있는 프린팅 디자인을 선택하고 잉크부재(340)가 디자인을 프린팅하도록 제어한다. 디자인은 종이, 피부 등에 프린팅될 수 있거나 또는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프린터 모듈(300)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네일에 프린팅될 수 있다. When the operation button 361 is pressed, the control unit 360 selects a pre-entered printing design and controls the ink member 340 to print the design. The design can be printed on paper, skin, etc., or on nails when the printer module 300 is coupled to the printer drive module 200.

리드탈착부(336)는 베이스판(331)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탈착부(336)는 손잡이판(336a), 신장판(3360b) 및 연결판(336c)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ead removable portion 336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331. The lead removable portion 336 may include a handle plate 336a, an extension plate 3360b, and a connection plate 336c.

연결판(336c)은 베이스판(331)과 손잡이판(336a)을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판(336c)의 양측면과 베이스판(331)간에는 절개 부위(336d)가 형성될 수 있다. 신장판(3360b)은 연결판(336c)상에서 장치프레임(350)에 격벽(354a)으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판삽입홈(354)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late 336c can connect the base plate 331 and the handle plate 336a, and a cut portion 336d can be formed betwee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late 336c and the base plate 331. The extension plate 3360b may be arranged to protrude from the connection plate 336c in the direction of the plate insertion groove 354, which is separated from the device frame 350 by a partition 354a.

여기서 장치리드(320)의 후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리드홈(3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리드홈(322)에는 관통된 리드홀(322a)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a lead groove 322 recessed in the inward direction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device lead 320, and a lead hole 322a penetrating may be formed in the lead groove 322.

사용자가 장치리드(320)의 내부에 동작부재(330)를 결합할 때는, 동작부재(330)를 장치리드(320)의 내부로 밀어넣으면, 리드탈착부(336)의 손잡이판(336a)이 리드홀(322a)에 끼워지며 동작부재(330)를 장치리드(320)의 내부에 결합시키기 된다. When the user couples the operating member 330 to the inside of the device lead 320, when the operating member 330 is pushed into the inside of the device lead 320, the handle plate 336a of the lead removable portion 336 is opened. It is inserted into the lead hole 322a and couples the operating member 330 to the inside of the device lead 320.

이때 손잡이판(336a)이 리드홀(322a)에 끼워지기 위해서 연결판(336c)이 약간 휘어지게 된다. 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handle plate 336a to be inserted into the lead hole 322a, the connection plate 336c is slightly bent.

반대로 사용자가 장치리드(320)의 내부에서 동작부재(330)를 분리할 때는 손잡이판(336a)을 리드홀(322a)의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연결판(336c)이 약간 휘어지면서 장치리드(320)의 내부에서 동작부재(330)를 분리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user separates the operating member 330 from the inside of the device lead 320, if the handle plate 336a is pushed into the lead hole 322a, the connection plate 336c is slightly bent and the device lead 320 ) The operating member 330 can be separated from the inside.

신장판(3360b)은 장치리드(320)에 형성된 리드탈착블록(327)을 장치프레임(350)에 형성된 리드고정홈(352)에 삽입하면, 판삽입홈(354)에 삽입될 수 있다. The extension plate 3360b can be inserted into the plate insertion groove 354 by inserting the lead removable block 327 formed on the device lead 320 into the lead fixing groove 352 formed on the device frame 350.

한편, 결합유닛(335)은 장치리드(320)의 내부에 베이스판(331)을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유닛(335)은 결합볼트(335a), 와셔(335b) 및 탄성체(335c)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판(331)에는 복수개의 볼트홀(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으며, 볼트홀에 와셔(335b) 및 결합볼트(335a)를 삽입하고 장치리드(320)의 내부에 나사산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upling unit 335 can fix the base plate 331 to the inside of the device lead 320. This coupling unit 335 may include a coupling bolt 335a, a washer 335b, and an elastic body 335c. A plurality of bolt holes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base plate 331, and a washer 335b and a coupling bolt 335a may be inserted into the bolt hole and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device lead 320 in a threaded manner. there is.

이때 결합볼트(335a)의 외측 둘레에는 탄성체(335c)가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체(335c)는 장치리드(320)와 베이스판(331)에 각각 미는 힘을 인가하여 장치리드(320)와 베이스판(331)이 단단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an elastic body 335c may be dispos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bolt 335a, and the elastic body 335c applies a pushing force to the device lead 320 and the base plate 331, respectively, to connect the device lead 320 and the base. The plate 331 can be tightly coupled.

결합유닛(335)에 의해 장치리드(320)와 베이스판(331)이 단단히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가 버튼블록(332)을 눌렀을 때, 베이스판(331)이 움직이지 않고 버튼블록(332), 승강블록(333) 및 누름돌기(334)만이 하방향으로 눌리게 된다. As the device lead 320 and the base plate 331 are tightly coupled by the coupling unit 335,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block 332, the base plate 331 does not move and the button block 332 is raised and lowered. Only the block 333 and the pressing projection 334 are pressed downward.

본 개시의 실시예 따른 프린터 모듈(300)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작동방식을 살펴보도록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printer modul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s described above, and the oper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below.

일 작동방식으로는, 사용자가 종이, 피부 등 프린팅대상물에 디자인을 프린팅하고자 할 때, 우선 버튼블록(332)을 누른다. 버튼블록(332)을 누르면 잉크부재(340)가 동작하거나 또는 버튼블록(332)을 누르면 기 입력된 다수의 디자인 중 특정 디자인을 변경, 선택할 수 있다. In one operation, when a user wants to print a design on a printing object such as paper or skin, he or she first presses the button block 332. When the button block 332 is pressed, the ink member 340 operates, or when the button block 332 is pressed, a specific design can be changed or selected from among a number of designs that have already been input.

다음 사용자는 프린터 모듈(300)을 프린팅대상물에 눌러 이동시킨다. 이때 제1 롤러(381) 및 제2 롤러(382)가 눌려지면 이동하게 되므로, 잉크부재(340)의 프린팅부(341)는 프린팅대상물에 접촉하게 된다. Next, the user moves the printer module 300 by pressing it on the printing object.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roller 381 and the second roller 382 move when pressed, the printing portion 341 of the ink member 3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inting object.

잉크부재(340)의 프린팅부(3410는 종이, 피부 등의 프린팅대상물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며 선택된 디자인을 프린팅하게 된다. The printing unit 3410 of the ink member 340 moves while in contact with a printing object such as paper or skin and prints the selected design.

다른 작동방식으로는, 도 27 및 도 28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손가락의 네일에 디자인을 프린팅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자인이 잘 프린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의 네일을 잘 고정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손가락의 네일 위치에 정확하게 디자인이 프린팅될 수 있어야 한다. In another operation, referring to Figures 27 and 28, the user can print a design on the nail of the finger. In this case, in order for the design to be printed well, the nail of the finger must be well fixed and the design must be printed accurately at the position of the nail of the finger.

이를 위해 우선 사용자는 프린터 구동 모듈(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프린터데크(240)에 프린터 모듈(300)을 고정한다. 탈착바(242)의 걸림턱(242a)은 프린터 모듈(300)의 탈착홈(315)에 끼워지며 프린터 모듈(300)을 프린터데크(240) 상부에 고정한다. To this end, the user first fixes the printer module 300 to the printer deck 240 placed on top of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The locking protrusion 242a of the detachable bar 242 is inserted into the detachable groove 315 of the printer module 300 and fixes the printer module 300 to the upper part of the printer deck 240.

그리고 사용자는 네일 홀더 모듈(100)에 손가락을 투입하고 고정한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네일 홀더 모듈(100)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의 투입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가 있을 수 있다. 이 표시는 숫자, 눈금 등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는 지시선(도 33의 E)의 위치까지 손가락을 투입할 수 있다. Then, the user inserts his or her finger in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and fixes i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nail holder module 100 may have a mark that allows the user to check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finger. These marks may be numbers, tick marks, etc.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can insert a finger up to the position of the indicator line (E in FIG. 33).

네일 홀더 모듈(100)에 손가락을 고정하는 방법은 상술한 설명을 참고한다. For information on how to secure a finger 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refer to the above description.

다음으로, 네일 홀더 모듈(100)을 프린터 구동 모듈(200)의 홀더장착부(221)에 밀어서 장착한다. 장착방식은 상술한 설명을 참고하도록 한다. Next, the nail holder module 100 is pushed and mounted o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221 of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Please refer to the above description for the installation method.

이후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버튼블록(332) 또는 단말기 앱 등을 통해 제1 이동유닛(280)을 작동하면, 프린터데크(240)가 제2 방향(Y)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프린터 모듈(300)의 하단에 배치된 감지센서(364)가 한 쌍의 광 반사 플레이트(140)와 연동되며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되는 삽입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자동으로 확인하게 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first moving unit 280 is operated through the button block 332 or a terminal app, the printer deck 24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Y). And the detection sensor 364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printer module 300 is linked with a pair of light reflection plates 140 and an insert (for example, the user's finger or toe) is inserted in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 is automatically checked.

구체적으로 우선 프린터데크(240)가 한번 제2 방향(Y)의 좌우로 이동한다. 첫 번째 이동은 프린터데크(240)에 결합되어 있는 프린터 모듈(300)의 감지센서(364)가 한 쌍의 광 반사 플레이트(140)와 반응하며 네일 홀더 모듈에 삽입되는 삽입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센서(364)는 광센서일 수 있고, 광 반사 플레이트(140)는 반사판일 수 있으며, 감지센서(364)가 빛을 쏘았을 때, 한 쌍의 광 반사 플레이트(140)에 반사되는 신호를 통해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확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first, the printer deck 240 moves once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second direction (Y). The first movement occurs when the detection sensor 364 of the printer module 300 coupled to the printer deck 240 reacts with a pair of light reflection plates 140 and an insert inserted into the nail holder module (e.g., This is an operation to check the width of the user's fingers or toes. As described above, the detection sensor 364 may be an optical sensor, and the light reflection plate 140 may be a reflector, and when the detection sensor 364 emits light, it is transmitted to a pair of light reflection plates 140. You can check the width of your fingers or toes through the reflected signal.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확인한 다음, 프린터데크(240)는 두 번째 제2 방향(Y)의 좌우이동을 한다. 두 번째 이동은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동작이다. 이때 디자인은 사용자가 버튼블록(332)을 눌러 변경,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 앱 등을 이용하여 변경, 선택할 수도 있다. After checking the width of the user's fingers or toes, the printer deck 240 moves left and right in the second direction (Y). The second move involves printing a design on the user's nails. At this time, the user can change or select the design by pressing the button block 332. Alternatively, you can change or select it using a terminal app.

좀더 구체적으로, 첫 번째 제2 방향(Y)의 좌우 이동을 통해 확인한 삽입체의 너비에 기초하여 제어부(360)는 프린팅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360)는 통신부(362)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팅 영역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60)는 두 번째 이동을 통해 위치와 크기가 결정된 프린팅 영역 상에 디자인을 프린팅할 수 있다. 이는 도 30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후술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60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area based on the width of the insert confirmed through left and right movement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Y).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60 may determine the size of the printing area based on the estimated length information of the user's nail obtain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62. Then, the control unit 360 can print the design on the printing area whose location and size are determined through the second movement.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0 to 33.

프린터데크(240)의 제2 방향(Y) 이동에 따라 잉크부재(340)의 프린팅부(341)는 네일의 표면을 지나가면서 선택된 디자인을 프린팅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네일 아트를 실행할 수 있다. As the printer deck 24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Y), the printing unit 341 of the ink member 340 passes over the surface of the nail and prints the selected design. You can perform nail art in this way.

한편, 만약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하여 네일의 위치와 잉크부재(340)의 프린팅부(341)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네일 홀더 모듈(100)에 투입한 손가락의 깊이를 스스로 조절할 수다. Meanwhile, if the position of the nail and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part 341 of the ink member 340 do not match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X), the user must determine the depth of the finger inserted in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You can control it yourself.

한편, 사용자의 손가락의 크기가 긴 경우, 제어부(360)는 프린터 모듈(300)의 두 번째 제2 방향(Y)의 좌우 이동 후에 제2 이동유닛(290)을 작동하여 프린터데크(240) 및 프린터 모듈(300)의 위치를 제1 방향(X)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60)는 프린터 모듈(300)을 세 번째 제2 방향(Y)의 좌우 이동을 통해 두번째 이동으로 그리지 못한 디자인을 마자 프린팅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60)는 통신부(362)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네일의 추정 세로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이와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세로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제2 이동유닛(290)이 작동하고, 프린터데크(240) 및 가이드패널(230)의 위치가 제1 방향(X)으로 이동된 후 프린팅을 마자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네일의 세로 길이가 긴 경우에도 디자인이 제대로 프린팅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user's finger is long, the control unit 360 operates the second movement unit 290 after the second left or right movement of the printer module 300 in the second direction (Y) to move the printer deck 240 and The position of the printer module 300 may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X).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60 can immediately print a design that was not drawn in the second movement by moving the printer module 300 left and right in the second direction (Y) for the third time. Here, the control unit 360 may perform this operation when the estimated vertical length of the user's nail exceeds a preset length based on the estimated length information of the user's nail obtain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62. That i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estimated vertical length of the user's nail exceeds the preset length, the second moving unit 290 operates, and the positions of the printer deck 240 and guide panel 230 are adjusted to the first After moving in the direction (X), printing can immediately proceed. This allows the design to be printed properly even when the user's nails are long.

사용자의 네일은 손가락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가락 등 다른 부위에도 적용될 수 있다. Although the description of the user's nails is limited to the fingers,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applied to other parts such as toes.

도 2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9와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28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Figure 2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rinting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relation to FIG. 29 , contents that overlap with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S. 1 to 28 will not be described again, and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ifferences below.

도 29를 참조하면, 프린팅 모듈(300)은 제어부(360), 통신부(362), 인터페이스부(363) 및 감지센서(3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프린터 모듈(30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프린터 모듈(30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9, the printing module 3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360, a communication unit 362, an interface unit 363, and a detection sensor 364.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9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the printer module 300, so the printer module 300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may have more or less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

제어부(360)는 프린터 모듈(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프린터 모듈(300)의 구성 요소들을 통해 입출력되는 신호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적절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6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inter module 300. The control unit 360 can provide an appropriate function by processing signals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components of the printer module 300 or by running a program stored in a storage unit (not shown).

제어부(36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상용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6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 (GPUGP: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ntrol unit 360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cores and may be any of various commercial processor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60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processor, a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GPUGP), and a tensor processing unit (TPU). ), etc. may be includ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통신부(362)는 프린터 모듈(300)과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프린터 모듈(300)을 통해 네일 아트를 진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362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printer module 300 and the user terminal. Here, the user terminal is a terminal owned by a user who wants to perform nail art through the printer module 300, such as a mobile phone, smart phone, laptop computer, slate PC, or tablet PC. (tablet PC), ultrabook, wearable device (eg, watch type terminal (smartwatch), glass type terminal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etc. may be included.

통신부(362)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362 uses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CDMA2000), and EV-DO (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ideband CDMA (W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LTE-A)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uilt according to (Evolution-Advanced), etc.).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통신부(362)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and WiMAX (Worldwide). There may b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and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However, the communication unit 362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더불어, 통신부(362)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통신부(362)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362)는 근거리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62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short range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362 includ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Wireless-Fidelity (Wi-Fi). ),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ies can be used to perform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362 may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wireless area networks. Local area wireless networks may b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본 개시에서 프린터 모듈(300)은 통신부(36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다양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근거리 통신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inter module 300 can receive various signals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62. In this case,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be used.

예를 들어, 제어부(360)는 통신부(36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 및 프린팅 할 이미지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되는 통신 기술은 근거리 통신 기술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6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estimated length of the user's nail and image data related to the image to be print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62. Here,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used may be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한편, 프린터 모듈(300)은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탈착 가능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프린터 모듈(300)은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구비된 프린터데크에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Meanwhile, the printer module 300 may refer to a device that is detachable from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More specifically, the printer module 300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e from the printer deck provided in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한편, 프린터 모듈(300)은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게 구동 제어 신호를 인터페이스부(363)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즉, 프린터 모듈(300)의 하부에 배치된 인터페이스부(363)에 커넥터핀(250)이 결합되는 경우, 프린터 구동 모듈(200)이 프린터 모듈(300)로부터 구동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Meanwhile, the printer module 300 may transmit a driving control signal to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363. That is, when the connector pin 250 is coupled to the interface unit 363 disposed below the printer module 300, the printer drive module 200 can receive a drive control signal from the printer module 300.

인터페이스부(363)는 외부 기기와 프린터 모듈(300) 사이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363)는 데이터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린터 모듈(300)의 인터페이스부(363)에 프린터 구동 모듈(200)의 커넥터핀(250)이 연결되는 경우, 프린터 모듈(300)은 프린터 구동 모듈(200)과 관련된 적절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363 may serve as a passageway between an external device and the printer module 300. This interface unit 363 may include a data port. When the connector pin 250 of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363 of the printer module 300, the printer module 300 can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

예를 들어, 프린터 모듈(300)의 제어부(360)는 1차적으로 프린터 모듈(300)을 가로 방향인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구동 제어 신호는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되는 삽입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하기 위해 프린터 구동 모듈(200)을 움직이는 구동 제어 신호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60 of the printer module 300 primarily sends a first drive control signal to the printer drive module 200 to move the printer module 300 in the horizontal second direction (Y). Can be transmitted. The first drive control signal may be a drive control signal that moves the printer drive module 200 to determine the width of an insert (eg, a user's finger or toe) inserted in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한편, 프린터 모듈(300)의 제어부(360)는 2차적으로 프린터 모듈(300)을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 제어 신호를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제2 구동 제어 신호는 프린팅 영역 내에 디자인(이미지)을 프린팅하기 위해 프린팅 구동 모듈(200)을 움직이는 구동 제어 신호일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360 of the printer module 300 may secondarily transmit a second drive control signal to the printer drive module 200 to move the printer module 300 in the second direction (Y). The second drive control signal may be a drive control signal that moves the printing drive module 200 to print a design (image) within the printing area.

프린터 구동 모듈(200)은 제1 구동 제어 신호 또는 제2 구동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프린터데크(240)의 위치를 이동시켜 프린터 모듈(300)을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When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receives the first driving control signal or the second driving control signal, it can move the printer module 300 in the second direction (Y) 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printer deck 240. .

한편, 제어부(360)는 제2 구동 제어 신호를 인터페이스부(363)를 통해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전달하는 것과 연동하여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프린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네일 상에 디자인이 프린팅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360 may print an image corresponding to image data in conjunction with transmitting the second drive control signal to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363. This may result in a design being printed on the user's nails.

감지센서(364)는 빛을 쏜 후에 반사되는 빛의 양 또는 빛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센싱 값을 센싱하는 센서일 수 있다.The detection sensor 364 may be a sensor that senses a sensing valu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after emitting light or the intensity of light.

도 6을 참조하면, 네일 홀더 모듈(100)은 한쌍의 제2 홀더블록(130)에 한쌍의 광 반사 플레이트(140)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nail holder module 100 may include a pair of second holder blocks 130 and a pair of light reflection plates 140.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프린터 구동 모듈(200)은 네일 홀더 모듈(100)을 장착할 수 있는 홀더장착부(221)를 구비할 수 있다. And referring to FIG. 11,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may be provided with a holder mounting portion 221 on which the nail holder module 100 can be mounted.

사용자는 손가락을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한 후에 홀더장착부(221)에 네일 홀더 모듈(100)을 장착시킬 수 있다. 네일 홀더 모듈(100)이 장착된 상태에서 프린터 구동 모듈(200)이 제1 구동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프린터 모듈(300)을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터 모듈(300)의 하면에 구비된 감지센서(364)는 한쌍의 광 반사 플레이트(140)에서 반사된 빛을 통해 변화하는 센싱 값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린터 모듈(300)의 제어부(360)는 센싱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네일 홀더 모듈에 삽입되는 삽입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60)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이용하여 프린팅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도 30 및 도 33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후술한다. The user can insert the finger in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and then mount the nail holder module 100 o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221. When the nail holder module 100 is mounted,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may move the printer module 300 in the second direction (Y) based on the first driving control signal. In this case, the detection sensor 364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printer module 300 can detect changes in the sensing value through light reflected from the pair of light reflection plates 140.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360 of the printer module 300 may determine the width of an insert (eg, a user's finger or toe) inserted into the nail holder module based on a change in the sensing value.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360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printing area using the width of the user's fingers or toes.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0 and 33.

도 3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모듈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0과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29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FIG. 3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by which a printer module determines the width of a user's fingers or to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ontents that overlap with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S. 1 to 29 in relation to FIG. 30 will not be described again, and will be described below focusing on differences.

도 30을 참조하면, 제어부(360)는 통신부(36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 및 프린팅할 이미지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10). Referring to FIG. 30, the control unit 360 may receive estimated length information of the user's nail and image data related to the image to be print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62 (S110).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네일이 포함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가 분석하여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 The estimated length information of the user's nail may b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analyzing an image containing the user's nail captured by a camera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구체적으로, 추정 길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네일이 포함된 이미지(또는 프리뷰 이미지) 상에 표시되는 두 개의 가로선 및 두 개의 세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추정 너비에 대한 정보와 추정 세로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정 너비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측정되는 네일의 가로 방향 길이 즉 네일의 폭을 의미할 수 있고, 추정 세로 길이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측정되는 네일의 세로 방향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2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후술한다. Specifically, the estimated length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estimated width and estimated vertical length calculated based on the positions of two horizontal lines and two vertical lines displayed on the image (or preview image) containing the nail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length. Here, the estimated width may me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nail, that is, the width of the nail, measur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the estimated vertical length may me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nail measur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2.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네일에 디자인할 이미지의 크기와 네일 상에서 이미지의 프린팅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터 모듈(300)의 통신부(362)가 수신하는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지의 프린팅 위치와 이미지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user can input the size of the image to be designed on his or her nail and the printing position of the image on the nail through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image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362 of the printer module 300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printing position and size of the image.

제어부(360)는 단계(S110)에서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 및 프린팅 할 이미지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인터페이스부(363)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S120).When receiving the estimated length information of the user's nail and image data related to the image to be printed in step S110, the control unit 360 sends a first drive control signal to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363. Can be transmitted (S120).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60)는 이미지 데이터 및 추정 길이 정보를 수신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인터페이스부(363)를 통해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전달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 unit 360 sends a first drive control signal to the printer drive module 2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363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after receiving the image data and estimated length information. It can be delivered.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60)는, 동작버튼(361)을 누르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 unit 360 may transmit the first drive control signal to the printer drive module 200 based on the input of the user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361.

다만,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only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제어부(360)는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전달한 후에 제1 구동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프린터 구동 모듈(200)이 움직이는 경우 감지센서(364)를 통해 획득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네일 홀더 모듈에 삽입되는 삽입체의 너비를 결정할 수 있다(S130). 여기서, 네일 홀더 모듈에 삽입되는 삽입체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일 수 있다. 즉, 제어부(360)는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된 삽입체인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감지센서(364)를 통해 획득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After transmitting the first drive control signal to the printer drive module 200, the control unit 360 transmits the first drive control signal to the printer drive module 200 and then moves the printer drive module 200 based on the first drive control signal based on the sensing value obtain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364. Thus, the width of the insert inserted into the nail holder module can be determined (S130). Here, the insert inserted into the nail holder module may be the user's finger or toe. That is, the control unit 360 may determine the width of the user's finger or toe, which is an insert inserted in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based on the sensing value obtain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364.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인터페이스부(363)를 통해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전달할 수 있다. 프린터 구동 모듈(200)이 제1 구동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프린터 모듈(300)을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프린터 모듈(200)에 구비된 감지센서(364)는 센싱 값을 획득할 수 있다. 프린터 모듈(200)의 제어부(360)는 감지센서(364)로부터 획득된 센싱 값이 기 설정된 임계 값 이상 변화하는 두 시점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두 시점은 한쌍의 광 반사 플레이트(140) 각각이 위치하는 지점에 감지센서(364)가 위치하는 시점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60)는 두 시점에 의해 산출된 시간 정보인 프린터 모듈(300)이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가로방향 일 말단에서 가로방향 타 말단으로 이동 시 소요되는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60 may transmit the first drive control signal to the printer drive module 2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363. When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moves the printer module 300 in the second direction (Y) based on the first driving control signal, the detection sensor 364 provided in the printer module 200 obtains a sensing value. can do. The control unit 360 of the printer module 200 may recognize two points in time when the sensing value obtained from the detection sensor 364 changes by more than a preset threshold. Here, the two viewpoints may be related to the viewpoint at which the detection sensor 364 is located at each of the pair of light reflection plates 14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60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time required when the printer module 300 moves from one end of the finger or to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other end of the finger or toe, which is time information calculated from two viewpoints. .

한편, 제어부(360)는 프린터 모듈의 이동 속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린터 모듈의 이동 속도 정보는 프린터 구동 모듈(200)이 프린터 모듈을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속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프린터 모듈의 이동 속도 정보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360 can check the movement speed information of the printer module. Here, the movement speed information of the printer module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speed at which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moves the printer module in the second direction (Y). The movement speed information of the printer modul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제어부(360)는 저장부에 저장된 이동 속도 정보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60)는 이동 속도에 소요 시간을 곱해서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36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된 삽입체)의 너비를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60 may determine the width of the user's fingers or toes based on the movement speed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For example, the controller 360 may calculate the width of the user's fingers or toes by multiplying the movement speed by the time required. However,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width of the finger or to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the control unit 360 determines the width of the user's finger or toe (insert inserted in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through various methods. can be decided.

도 3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센서(364)를 통해 센싱된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된 삽입체의 너비를 결정하는 경우 네일 아트 장치(400)는 별도의 카메라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프린팅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때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된 삽입체의 너비를 이용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1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in FIG. 30, when determining the width of the insert inserted in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based on the change in the value sens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364, the nail art device 400 uses a separate camera. There is no need to prepare it. This is because the width of the insert inserted in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can be used whe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area.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with reference to FIG. 31.

도 3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기초하여 프린팅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하여 네일 프린팅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1과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30과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고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FIG. 3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performing nail printing by determining the location and size of a printing area based o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relation to FIG. 31 , the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at of FIGS. 1 to 30 will not be described again and will be described below focusing on the differences.

도 31을 참조하면, 제어부(360)는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된 삽입체의 너비 및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프린팅 할 프린팅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S140). 여기서, 프린팅 영역은 네일 아트 디자인과 관련된 이미지를 프린팅할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프린팅 영역은 프린터 모듈(300)이 실제로 프린팅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1, the control unit 360 may determine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printing area to print the image based on the width of the insert inserted in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and the estimated length information of the user's nail ( S140). Here, the printing area may refer to an area where an image related to the nail art design will be printed. In other words, the printing area may mean an area where the printer module 300 actually prints.

본 개시에서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네일이 포함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산출되는 네일의 추정 너비에 대한 정보와 네일의 추정 세로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정 너비와 추정 세로 길이를 산출하는 방법은 도 32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후술한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estimated length information of the nail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estimated width of the nail and information about the estimated vertical length of the nail calculated by analyzing an image containing the user's nail captured by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estimated width and estimated heigh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2.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60)는 네일의 추정 세로 길이에 대한 정보와 네일의 추정 너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팅 영역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 unit 360 may determine the size of the printing area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estimated vertical length of the nail and information about the estimated width of the nail.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네일의 추정 세로 길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팅 영역의 세로 길이를 결정할 수 있고, 네일의 추정 너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팅 영역의 가로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60 may determine the vertical length of the printing area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estimated vertical length of the nail, and determin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rinting area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estimated width of the nail.

본 개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네일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결정된 사용자의 네일의 크기에 기초하여 프린팅 영역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네일 아트 장치(400)는 네일 아트를 수행할 프린팅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카메라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size of the user's nail may be determined u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Additionally, the size of the printing area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of the user's nail determined in the user terminal. Accordingly, the nail art device 400 does not need to be equipped with a camera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printing area where nail art will be performed.

한편, 제어부(360)는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된 삽입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에 기초하여 프린팅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60)는 프린팅 영역의 세로 중심 선의 위치를 조절하여 프린팅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세로 중심 선은 프린팅 영역의 중심점을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일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360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area based on the width of the insert (eg, the user's finger or toe) inserted in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Here, the control unit 360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area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printing area. Here, the vertical center line may be an imaginary line that vertically crosses the center point of the printing area.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프린팅 영역의 세로 중심 선의 위치가 센싱 값이 기 설정된 임계 값 이상 변화하는 두 시점 중 최초 시점에 대응하는 지점으로부터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된 삽입체의 너비의 절반만큼 제2 방향(Y)으로 이동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프린팅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60 determines the width of the insert inserted in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from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of the two points in time when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printing area changes by more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area may be determined to be placed at a position moved by half in the second direction (Y).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린팅 영역의 위치가 결정되는 경우, 프린팅 영역의 중심을 세로 방향으로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 선은,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된 삽입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중심을 세로 방향으로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과 일치할 수 있다. When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area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virtual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rinting area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n insert inserted in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e.g., the user's finger or toe). ) may coincide with an imaginary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vertical direction.

만약, 기 설정된 위치에 프린팅 영역을 배치시킨다면 네일 아트를 위한 이미지가 제대로 프린팅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삽입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고,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크기는 사용자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다만, 본 개시와 같이 중심 선의 위치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If the printing area is placed at a preset location, the image for nail art may not be printed properly. This is because the insertion location of the user's finger or toe may change, and the size of the finger or toe varies depending on the user. However, this problem can be solved when the position of the center line is determined based on the width of the user's fingers or toes, as in the present disclosure.

한편, 제어부(360)는 단계(S140)에서 프린팅 영역의 크기 및 위치가 결정된 경우, 프린팅 영역 내에 이미지를 프린팅하기 위해 프린터 구동 모듈을 움직이는 제2 구동 제어 신호를 인터페이스부(363)를 통해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구동 제어 신호가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전달되는 것과 연동하여 제어부(360)는 통신부(362)를 통해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대한 프린팅을 수행하도록 프린터 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 구동 모듈(200)이 제2 구동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프린터 모듈(300)을 움직일 수 있고, 프린터 모듈(300)은 제2 방향(Y)으로 움직이면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프린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프린터 모듈(300)이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프린팅할 때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한 이미지의 크기 및 이미지의 위치에 기초하여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printing area are determined in step S140, the control unit 360 drives the print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363 by sending a second drive control signal that moves the printer driving module to print an image in the printing area.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dule 200. Here,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drive control signal being transmitted to the printer drive module 200, the control unit 360 operates the printer module 300 to prin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62.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can move the printer module 300 based on the second driving control signal, and the printer module 300 can prin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while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Y). It becomes possible. Here, when the printer module 300 prints an image corresponding to image data, printing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image input to the user terminal.

도 3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와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31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고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FIG. 3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obtaining estimated length information of a user's nail through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relation to FIG. 32 , contents that overlap with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S. 1 to 31 will not be described again and will be described below focusing on differences.

도 3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네일이 포함된 이미지를 자신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U)는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U)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네일이 포함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생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2, a user can capture an image including finger or toe nails through a user terminal owned by the user.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U) can obtain information on the estimated length of the nail. Here, the estimated nail length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analyzing an image containing the user's nails captured by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U).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U)는 카메라를 활성화시키고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U)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네일이 포함된 이미지(또는 프리뷰 이미지)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네일이 포함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에는 두 개의 세로선(L1, L2) 및 두 개의 가로선(L3, L4)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n application for obtaining estimated nail length information is executed, the user terminal (U) may activate the camera and capture an image through the camera. The user terminal (U) may display on the screen an image (or preview image) including the nail of the user's finger or toe captured through a camera. Here, two vertical lines (L1, L2) and two horizontal lines (L3, L4)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where the image containing the nail is displayed.

본 개시에서 두 개의 세로선(L1, L2) 각각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이미지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가로선(L3, L4) 각각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이미지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each of the two vertical lines L1 and L2 may be able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Additionally, each of the two horizontal lines L3 and L4 may be able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사용자는 자신의 네일이 포함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에서 두 개의 세로선(L1, L2)과 두 개의 가로선(L3, L4)의 위치를 변경시켜 자신의 네일의 말단 부분에 위치시킬 수 있다. The user can change the positions of the two vertical lines (L1, L2) and the two horizontal lines (L3, L4) on the screen where the image containing the user's nail is displayed and place them at the distal end of the user's nail.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네일의 가로 방향 일 말단 부분에 두 개의 세로선(L1, L2) 중 어느 하나(L1)를 배치시키고, 네일의 가로 방향 타 말단 부분에 두 개의 세로선(L1, L2) 중 다른 하나(L2)를 배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네일의 세로 방향 일 말단 부분에 두 개의 가로선(L3, L4) 중 어느 하나(L3)를 배치시키고, 네일의 세로 방향 타 말단 부분에 두 개의 가로선(L3, L4) 중 다른 하나(L4)를 배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측정 버튼을 클릭하면 사용자 단말기(U)는 두 개의 세로선(L1, L2) 및 두 개의 가로선(L3, L4)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user places one of the two vertical lines (L1, L2) on one horizontal end of the nail, and the other of the two vertical lines (L1, L2) on the other horizontal end of the nail. (L2) can be placed. Then, the user places one of the two horizontal lines (L3, L4) (L3) on one vertical end of the nail, and the other of the two horizontal lines (L3, L4) on the other vertical end of the nail ( L4) can be placed. Then, when the user clicks the measurement button, the user terminal (U) can obtain information on the estimated length of the user's nail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two vertical lines (L1, L2) and the two horizontal lines (L3, L4).

좀더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U)는 두 개의 가로선(L3, L4)의 위치에 기초하여 추정 세로 길이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고, 두 개의 세로선(L1, L2)의 위치에 기초하여 추정 너비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정 너비는 두 개의 세로선(L1, L2) 사이의 제1 거리(X1)와 카메라와 네일 사이의 제2 거리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고, 추정 세로 길이는 두 개의 가로선(L3, L4) 사이의 제3 거리(Y1)와 상기 제2 거리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거리는 사용자 단말기(U)에 구비된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해 산출되거나 이미지를 분석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ore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U) may calculate information about the estimated vertical length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two horizontal lines (L3, L4) and the estimated width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two vertical lines (L1, L2). Information about can be calculated. Here, the estimated width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first distance (X1) between two vertical lines (L1, L2) and the second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nail, and the estimated vertical length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two horizontal lines (L3, L4) It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third distance Y1 and the second distance. Here, the second distance may be calculated through an infrared sensor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U) or by analyzing the imag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도 3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네일의 크기를 산출하고, 프린터 모듈(300)은 통신부(362)를 통해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를 수신하기 때문에 네일 아트 장치(400)는 별도의 카메라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As described above in FIG. 32, the size of the user's nail is calculated by analyzing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the printer module 300 receives the estimated nail length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62, so that the nail art device (400) does not require a separate camera.

도 3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과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3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고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FIG. 3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width of a user's fingers or to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relation to FIG. 33 , content that overlaps with what w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S. 1 to 32 will not be described again and will be described below focusing on the differences.

도 33을 참조하면, 네일 홀더 모듈(100)에 구비된 한쌍의 제2 홀더블록(130)에 한쌍의 광 반사 플레이트(140)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을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한 상태에서 네일 홀더 모듈(100)을 네일 구동 모듈(200)에 구비된 홀더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지시선(E) 위치에 네일의 세로 방향의 일 말단(손가락 부분의 말단)이 오도록 네일을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린팅이 수행되는 경우, 프린팅 모듈(300)은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프린터 구동 모듈(200)이 1차적으로 프린터 모듈(300)을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프린터 구동 모듈(200)이 1차적으로 프린터 모듈(300)을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프린터 모듈(300)의 제어부(360)는 감지센서(364)를 통해 획득되는 센싱 값(S)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센싱 값(S)이 기 설정된 임계 값(V) 이상 변화하는 두 시점(t1, t2)을 인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3, a pair of light reflection plates 140 may be disposed on a pair of second holder blocks 130 provided in the nail holder module 100. The user can mount the nail holder module 100 on the holder mounting unit provided in the nail drive module 200 while inserting his or her finger or toe in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Here, the user can insert the nail so that one end (the end of the fin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nail is at the position of the indicator line (E). And, when printing is performed, the printing module 300 may transmit a first drive control signal to the printer drive module 200. As a result,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can primarily move the printer module 300 in the second direction (Y). While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primarily moves the printer module 300 in the second direction (Y), the control unit 360 of the printer module 300 detects the sensing value (S) obtain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364. ) changes can be detected. The control unit 360 may recognize two times (t1, t2) when the sensing value (S) changes by more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V).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센싱 값(S)이 기 설정된 값(V) 이상 상승했다가 감소하는 제1 시점(t1)과 제1 시점(t1) 이후에 센싱 값(S)이 기 설정된 값(V) 이상 다시 상승하는 제2 시점(t2)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60)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을 이용하여 프린팅 모듈(300)이 이동하는데 소요된 시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을 이용하여 인식된 시간 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된 프린터 모듈의 이동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된 삽입체)의 너비(d)를 산출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60 sets the sensing value (S) to a preset value (V) at a first time point (t1) when the sensing value (S) increases above the preset value (V) and then decreases, and after the first time point (t1), the sensing value (S) increases to a preset value (V).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second time point (t2) when (V) rises again.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360 may recognize information on the time it takes for the printing module 300 to move using the first time point t1 and the second time point t2. The control unit 360 controls the user's finger or toe (nail holder module 100)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recognized using the first time point (t1) and the second time point (t2) and the movement speed information of the printer modu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 can be calculated.

한편, 제어부(360)는 프린팅 영역(R)의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린팅 영역(R)의 크기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인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프린팅 영역(R)의 위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d)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360 can determine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printing area R. Here, the size of the printing area R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estimated length information of the user's nail, which i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dditionally, the location of the printing area (R)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width (d) of the user's fingers or toes.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프린팅 영역(R)의 위치를 결정할 때 프린팅 영역의 세로 중심 선(C)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프린팅 영역(R)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area R, the control unit 360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area R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center line C of the printing area.

좀더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프린팅 영역의 세로 중심 선(C)의 위치가 두 시점(t1, t2) 중 최초 시점인 제1 시점(t1)에 대응하는 지점으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d)의 절반만큼 제2 방향(Y)으로 이동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프린팅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60 determines that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center line (C) of the printing area is the width of the user's finger or toe from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time point (t1), which is the first of the two time points (t1, t2).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area may be determined to be positioned at a position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Y) by half of (d).

한편, 프린터 모듈(300)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를 수신하여 프린팅 영역을 결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네일이 세로 방향으로 길더라도 네일 아트 프린팅이 제대로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printer module 300 receives estimated nail length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determines the printing area, nail art printing can be properly performed even if the user's nails ar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지시선(E) 위치에 네일의 세로 방향 일 말단(손가락과 연결되는 부분)이 오도록 네일을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린터 모듈(300)은 네일 프린팅 영역에 프린팅이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터 구동 모듈이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으로 프린터 모듈(3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네일이 세로 방향으로 길더라도 네일 프린팅이 제대로 수행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user can insert the nail so that one vertical end of the nail (the part connected to the finger) is at the position of the indicator line (E). Additionally, the printer module 300 can perform printing in the nail printing area. In this case, the printer driving module may move the printer module 300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second direction (Y). Therefore, nail printing can be performed properly even if the user's nails ar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종래의 네일 아트 장치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네일 아트 장치의 내부로 넣으면, 네일 아트 장치의 내부에 카메라가 배치되어 있다. Meanwhile, in a conventional nail art device, when a user inserts a finger into the nail art device, a camera is placed inside the nail art device.

사용자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통해 네일이 제대로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네일 아트 장치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네일에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방식으로 구동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경우, 카메라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네일 아트 장치의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가 있다. Users can confirm that the nail has been properly inserted through the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and the nail art device operates by printing designs on the nail using the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However, in the case of this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ice of the nail art device is expensive because a camera is absolutely necessary.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100)은 사용자의 네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프린터 모듈(300)에 장착된 감지센서(364)와 광 반사 플레이트(140)의 연동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된 삽입체)의 너비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네일 프린팅을 진행할 프린팅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네일 아트 장치에 비해 카메라가 필요없어, 제품 가격이 절감되고 상용성이 개선된 특징이 있다. The nail holder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capable of stably fixing the user's nails, and allows the user to The width of the finger or toe (insert inserted in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can be accurately confirmed. And, using this, the printing area where nail printing will be performed can be determined. Accordingly, compared to conventional nail art devices, there is no need for a camera, which reduces product cost and improves usability.

또한 종래의 네일 아트 장치는 프린터가 내장되어 있어 별도로 활용이 불가하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모듈(300)은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장착했을 때는 네일 아트 장치(400)로 사용할 수 있고,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결합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핸드 헬드 프린터(hand-held printer)와 같이 활용할 수 있다. 즉 네일 아트뿐만 아니라 종이, 직물 등에도 디자인 프린팅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피부에 사용하는 경우 타투 등의 디자인 프린팅이 가능하여, 종래에 비해 프린터 모듈(300) 자체의 활용성도 개선된 특징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nail art device has a built-in printer and cannot be used separately, but the printer modul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used as the nail art device 400 when mounted on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And, when used independently without being combined with the printer driving module 200, it can be used like a hand-held printer. In other words, designs can be printed not only on nail art, but also on paper, fabric, etc., and when used on the user's skin, designs such as tattoos can be printed, so the usability of the printer module 300 itself has been improved compared to the prior art.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인쇄 시작 점을 기 설정된 지점으로 고정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되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고 네일의 중심 부분을 기점으로 네일 프린팅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가 존재하지 않지만 네일 프린팅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start point is not fixed to a preset point, so it is not affected even if the size of the user's finger or toe actually inserted into the nail holder module 100 changes. Nail printing can be done starting from the center of the nail. Therefore, nail printing can be performed precisely even though there is no camera.

본 개시에서 네일 홀더 모듈, 프린터 구동 모듈 및 프린터 모듈은 상기 설명된 몇몇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몇몇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nail holder module, printer drive module, and printer modul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some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several embodiments may be modifi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all or all of the embodiments. Some of them may be selectively combined.

100:네일 홀더 모듈
110:홀더 케이싱 111:사이드홈
111a:홈확장부 112:개구홀
113:아치부 114:케이싱홈
115:블록지지부 116:홀더하판
117:스프링 지지피스 118;기어 고정피스
120:제1 홀더블록 121:제1 상단블록
122:제1 사이드블록 130:제2 홀더블록
131:제2 상단블록 132:제2 링크블록
133:제2 신장블록 134:제2 하단블록
140:광 반사 플레이트 150:안착블록
151:안착부 152:투입부
153:블록이동홈 160:이동수단
161:제1 스프링 162:제2 스프링
163:리미트블록 164:홀더기어
165:가이드홈 166:랙기어블록
167:제1 경사부 168:제2 경사부
169:가이드빔 170:홀더부
200:프린터 구동 모듈
210:데크케이싱 214:데크하판
220:데크상판 221:홀더장착부
222:결합바 223:걸림블록
228:홀더안착판 229:패널안착부
230:가이드패널 231;이동홀
240:프린터데크 241:프린터안착홈
242:탈착바 243:결합블록
244:이동핀 250:커넥터핀
260:이동블록 261:블록바디
262:블록링크피스 263:블록랙기어
264:링크블록 270:이동부재
280:제1 이동유닛 281:제1 바디
282:제1 링크피스 283:제1 랙기어
284:기어판 285:제1 모터
286:제1 사이드판 287:제1 기어조립체
288:제1 리니어빔 290:제2 이동유닛
291:제2 바디 292:제2 리니어빔
293:제2 모터 294:제2 기어조립체
295:바디관통홀 297:제2 사이드판
300:프린터 모듈
310:장치케이싱 311:고정핀홀
315:탈착홈 317:개구부
320:장치리드 321:버튼홀
322:리드홈 322a:리드홀
327:리드탈착블록 330:동작부재
331:베이스판 332:버튼블록
333:승강블록 334:누름돌기
335:결합유닛 335a:결합볼트
335b:와셔 335c:탄성체
336:리드탈착부 336a:손잡이판
336b:신장판 336c:연결판
340:잉크부재 350:장치프레임
351:수용부 352:리드고정홈
353:돌기홈 354:판삽입홈
359:고정구 360:제어부
361:동작버튼 363:인터페이스부
364:감지센서 365: 엔코더 모듈
381:제1 롤러 382:제2 롤러
400:네일 아트 장치
100: Nail holder module
110: Holder casing 111: Side groove
111a: Home extension 112: Opening hole
113: Arch part 114: Casing groove
115: Block support 116: Holder bottom plate
117: Spring support piece 118; Gear fixing piece
120: First holder block 121: First upper block
122: First side block 130: Second holder block
131: Second top block 132: Second link block
133: Second kidney block 134: Second bottom block
140: Light reflection plate 150: Seating block
151: Seating part 152: Input part
153: Block mobile home 160: Means of transportation
161: 1st spring 162: 2nd spring
163: Limit block 164: Holder gear
165: Guide groove 166: Rack gear block
167: first inclined portion 168: second inclined portion
169: Guide beam 170: Holder part
200:Printer driving module
210: Deck casing 214: Deck bottom plate
220: Deck top 221: Holder mounting part
222: Combination bar 223: Locking block
228: Holder seating plate 229: Panel seating portion
230: Guide panel 231; Moving hole
240: Printer deck 241: Printer seating groove
242: Detachment bar 243: Combination block
244: Moving pin 250: Connector pin
260: Moving block 261: Block body
262: Block link piece 263: Block rack gear
264: Link block 270: Moving member
280: first mobile unit 281: first body
282: 1st link piece 283: 1st rack gear
284: Gear plate 285: First motor
286: First side plate 287: First gear assembly
288: 1st linear beam 290: 2nd mobile unit
291: Second body 292: Second linear beam
293: Second motor 294: Second gear assembly
295: Body through hole 297: Second side plate
300:Printer module
310: Device casing 311: Fixing pin hole
315: Removal groove 317: Opening
320: Device lead 321: Button hole
322: Lead groove 322a: Lead hole
327: Lead detachment block 330: Operation member
331: Base plate 332: Button block
333: Elevating block 334: Pressing projection
335: Coupling unit 335a: Coupling bolt
335b: Washer 335c: Elastic body
336: Lead removable part 336a: Handle plate
336b: Kidney plate 336c: Connection plate
340: Ink member 350: Device frame
351: Receiving part 352: Lead fixing groove
353: Projection groove 354: Plate insertion groove
359: Fixture 360: Control unit
361: Operation button 363: Interface unit
364: Detection sensor 365: Encoder module
381: first roller 382: second roller
400: Nail art device

Claims (1)

프린터 모듈이 탈착 가능한 프린터 구동 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은:
상기 프린터 모듈이 안착되는 프린터안착홈을 상부에 형성하는 프린터데크; 및
상기 프린터 모듈이 상기 프린터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린터 모듈의 양측에 구비된 탈착홈을 가압하여 상기 프린터 모듈을 고정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탈착바;
를 포함하는,
프린터 구동 모듈.
In the printer driving module in which the printer module is detachable, the printer driving module:
A printer deck forming a printer seating groove on the upper portion where the printer module is seated; and
A detachment bar forming a locking step for fixing the printer module by pressing detachment groov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rinter module while the printer module is seated in the printer mounting groove;
Including,
Printer drive module.
KR1020220124784A 2022-03-25 2022-09-29 Printer driving module KR202301392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784A KR20230139286A (en) 2022-03-25 2022-09-29 Printer driving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039A KR102451389B1 (en) 2022-03-25 2022-03-25 Printer driving module
KR1020220124784A KR20230139286A (en) 2022-03-25 2022-09-29 Printer driving modu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039A Division KR102451389B1 (en) 2022-03-25 2022-03-25 Printer driving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286A true KR20230139286A (en) 2023-10-05

Family

ID=835992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039A KR102451389B1 (en) 2022-03-25 2022-03-25 Printer driving module
KR1020220124784A KR20230139286A (en) 2022-03-25 2022-09-29 Printer driving modul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039A KR102451389B1 (en) 2022-03-25 2022-03-25 Printer driving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5138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2072S1 (en) * 2021-08-04 2023-03-28 Xiamen Iprt Technology Co., Ltd. Label printer
CN116489954B (en) * 2023-04-27 2024-02-13 泗洪步鑫电机制造有限公司 Motor drive equipment convenient to effective maintenance
USD1011418S1 (en) * 2023-07-11 2024-01-16 Guangzhou Sanshu Technology Co., Ltd Multifunction prin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22299B2 (en) * 2017-06-29 2022-02-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Nail prin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nail printing device
KR102213364B1 (en) * 2019-04-01 2021-02-09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Nail printer
JP7243415B2 (en) * 2019-04-25 2023-03-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NAIL PRINT FORMING METHOD AND NAIL PRINTING DEVICE
JP7120266B2 (en) * 2020-03-13 2022-08-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Printing device and adjus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389B1 (en)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39286A (en) Printer driving module
KR20230137218A (en) Nail holder module
KR20230139284A (en) Printer module
KR20230137219A (en) Nail art apparatus
JP5348168B2 (en) Nail printing device
US8646898B2 (en) Nail print apparatus
US20160253646A1 (en) Printer-drawer integrated apparatus and a point of sale system
US9199386B2 (en) Cutting data generator, cutt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utting data generating program
US20170060062A1 (en) Key switch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11026103B (en) Handle assembly and remote controller
KR20230137222A (en) Nail printing technique through detachable printer module on a printer driving module
US20130180373A1 (en) Cutting plotter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7040655B2 (en) Image forming device
JP7375966B2 (en) printing device
CN109557671B (en) Wearable equipment
JP6958336B2 (en) Drawing system, drawing device and terminal device
KR101405844B1 (en) Portable wireless multi-function apparatus
JP2001242958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7081101B2 (en) Print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of the printing device
CN216562864U (en) Key structure, terminal protective sleeve and terminal equipment
JP2024043240A (en) Control device, print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05028729A (en) Printer, portable terminal part in printer, printer device part in printer and printing method
CN219706492U (en) Printer with a printer body
JP2007182011A (en) Image forming apparatus
TW201722517A (en) Combination computing device and game controller with flexible bridge s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