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172A -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 - Google Patents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172A
KR20230139172A KR1020220037495A KR20220037495A KR20230139172A KR 20230139172 A KR20230139172 A KR 20230139172A KR 1020220037495 A KR1020220037495 A KR 1020220037495A KR 20220037495 A KR20220037495 A KR 20220037495A KR 20230139172 A KR20230139172 A KR 20230139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marine
support beam
traction
install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신택
Original Assignee
형제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형제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형제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7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172A/ko
Publication of KR20230139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트롤리 및 크레인에 연결 설치되는 리프트 아암; 상기 리프트 아암에 매달려 수중의 매트 포설 영역에 투입되는 견인 빔; 및 상기 견인 빔의 양측에 결합되어, 매트 권취과정에서 상기 견인 빔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견인 빔은 상기 매트의 양측부를 각각 권취하는 좌측 서포트 빔과 우측 서포트 빔;과 상기 좌측 서포트 빔의 내측단부와 상기 우측 서포트 빔의 내측 단부에 각각 양측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매트의 중앙부를 권취하는 센터 웨이트 빔;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매트가 수중에서 풀리는 전개 과정에서 견인력 및 인장력이 매트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하므로서 매트가 해저 지면상에서 매트의 적층이나 중첩 현상 없이 전개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OCEAN MAT SPREADING APPARATU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트 중앙의 회전 견인성이 증가되어 들뜸 현상 없이 평탄도를 유지하게 되므로서 매트 전개 작업 효율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는 통상적으로 수중의 연약한 지반에서 등대 설치공사나 방파제 또는 방조제 등을 축조하기 위한 특수장비이다.
해안 지역은 조수간만의 차가 심하기 때문에 해수의 흐름이나 파랑에 의하여 세굴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며, 해저 지반내 토립자들이 불필요하게 부상하며 기반 강도를 저해하기 때문에 부직포를 포함하는 해양용 매트를 설치하여야 한다.
잘 알려진 선행기술의 하나로서, 2007년에 공개된 한국특허등록 제10-0719069호(2007년05월 16일자 공고)에는 저면매트 부설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면매트 부설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저면매트 부설방법은 시공 저면매트의 부설면적에 따라 결정되는 규격으로 상기 저면매트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저면매트의 수중에서의 부설위치를 표시하는 부표를 설치하는 단계와, 세팅 바지(barge)선 상에서 상기 저면매트를 회전유닛에 의하여 회전지지되는 저면 매트롤대에 일정 속도로 감는 단계 및 상기 저면매트를 수중 저면에 일정 길이로 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면 매트롤대는 파이프(steel pipe)라는 원통형 구조로 구성되며, 이는 매트의 권취성에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저면 매트롤대는 수중에서 매트가 풀리는 과정에서 견인력 및 인장력이 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전달되지 못하여 매트 혹은 부직포의 들뜸이나 중첩등의 문제점이 빈발하는 실정이다.
또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잠수부 작업자가 별도의 수작업을 통해서 매트를 펼치거나 관리해야 하므로서 작업공정이 복잡해지고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부차적인 문제도 빈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른 방식의 종래기술로서 2013년에 공개된 한국특허등록 제10-1332725호(2013년 11월 25일자 공고)에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는 수면에 부유하는 바지선 등의 부체 상면에 적재함과 상부 롤러, 유도 롤러 및 구동 롤러가 탑재되어 구성되며, 적재함에 지그재그(zigzag)로 적층 적재된 매트가 상기 다수의 로울러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안정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술한 선행기술은 비록 부유하는 바지선 상에서 매트의 권취 및 전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으나, 여전히 수중에서 매트가 풀리는 과정에서 견인력 및 인장력이 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전달되지 못하여 매트 혹은 부직포의 파단이나 굴곡 적층등의 시공불량의 문제점이 빈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 한국특허등록 제10-0719069호(2007년05월 10일자 등록) - 한국특허등록 제10-1332725호(2013년 11월 19일자 등록)
본 발명은 수중에서 매트가 수중에서 풀리는 전개 과정에서 견인력 및 인장력이 매트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하므로서 부직포가 해저 지면상에서 매트의 적층이나 중첩 현상 없이 전개될 수 있는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트의 전개 과정에서 별도의 수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 품질 및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개시된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발명의 한 특징은, 수면에 부유하는 부체에 설치되어 부체가 이동하면서 해양용 매트를 해저면에 설치하는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에 있어서, 트롤리 및 크레인에 연결 설치되는 리프트 아암; 상기 리프트 아암에 매달려 수중의 매트 포설 영역에 투입되는 견인 빔; 및 상기 견인 빔의 양측에 결합되어, 매트 권취과정에서 상기 견인 빔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견인 빔은 상기 매트의 양측부를 각각 권취하는 좌측 서포트 빔과 우측 서포트 빔; 및 상기 좌측 서포트 빔의 내측단부와 상기 우측 서포트 빔의 내측 단부에 각각 양측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매트의 중앙부를 권취하는 센터 웨이트 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특징은, 서포트 빔이 H-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서포트 빔의 내측 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센터 웨이트 빔이 H-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서포트 빔의 중심축과 상기 센터 웨이트 빔의 중심축이 매트 전개 과정에서 서로 상이한 높이를 형성하는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서포트 빔에 대해 상기 센터 웨이트 빔의 중심축이 편심되게 설치되는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는, 매트 양측을 풀어주는 서포트 빔과 매트 중앙을 풀어주는 센터 웨이트 빔이 서로 상이한 각도의 견인 각도 구조로 배설되어 수중에서 매트 양측과 중앙을 고르게 펼치며 매트 전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는, 매트 전개 작업시 매트 양측을 풀어주는 서포트 빔과 매트 중앙을 풀어주는 센터 웨이트 빔이 미리 설정된 경사의 편심 상태로 회전하게 되므로서 매트의 파단이나 굴곡 적층, 중첩 현상이 제거되며, 시공 품질 및 작업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의 리프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의 견인빔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센터 빔 일측에 표기한 A-A선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그라우팅 보강방법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의 리프터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의 견인빔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센터 빔 일측에 표기한 A-A선 단면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는 수면에 부유하는 부체, 예를 들면 바지선이나 시공용 부유체에 설치되며, 상기 부체가 해수면을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부체의 속도에 의존하여 매트 전개 과정에서 견인력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개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아암은 트롤리 및 크레인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크레인 및 트롤리는 상기 부체에 구비될 수 있다.
개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 빔은 상기 리프트 아암에 매달려 수중의 매트 포설 영역에 투입되는 조립체를 구성한다.
상기 견인 빔은 상기 매트의 양측부를 각각 권취하는 좌측 서포트 빔과 우측 서포트 빔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견인 빔은 상기 좌측 서포트 빔의 내측단부와 상기 우측 서포트 빔의 내측 단부에 각각 양측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매트의 중앙부를 권취하는 센터 웨이트 빔;을 구비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유닛을 상기 견인 빔의 양측에 결합되어, 매트 권취과정에서 상기 견인 빔을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 유닛은 체인과 구동 모터를 통하여 상기 견인 빔의 외측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서포트 빔이 H-빔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빔은 4개의 H-빔을 일체로 결합시켜 4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서포트 빔의 내측 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센터 웨이트 빔이 H-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 웨이트 빔은 4개의 H-빔을 일체로 결합시켜 4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포트 빔의 중심축과 상기 센터 웨이트 빔의 중심축이 매트 전개 과정에서 서로 상이한 높이를 형성하게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센터 웨이트 빔의 중심축이 상기 서포트 빔에 대해 편심되게 설치되며, 이 경우 상기 서포트 빔의 중심축과 상기 센터 웨이트 빔의 중심축은 미리 설정된 경사 각도로 휘어진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는 매트 양측을 풀어주는 서포트 빔과 매트 중앙을 풀어주는 센터 웨이트 빔이 서로 상이한 각도의 견인 각도 구조로 배설되어 수중에서 매트 양측과 중앙을 고르게 펼치며 매트 전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는 매트 전개 작업시 매트 양측을 풀어주는 서포트 빔과 매트 중앙을 풀어주는 센터 웨이트 빔이 미리 설정된 경사의 편심 상태로 회전하게 되므로서 매트의 파단이나 굴곡 적층, 중첩 현상이 제거되며, 시공 품질 및 작업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수면에 부유하는 부체에 설치되어 부체가 이동하면서 해양용 매트를 해저면에 설치하는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에 있어서,
    트롤리 및 크레인에 연결 설치되는 리프트 아암;
    상기 리프트 아암에 매달려 수중의 매트 포설 영역에 투입되는 견인 빔; 및
    상기 견인 빔의 양측에 결합되어, 매트 권취과정에서 상기 견인 빔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견인 빔은,
    상기 매트의 양측부를 각각 권취하는 좌측 서포트 빔과 우측 서포트 빔;
    상기 좌측 서포트 빔의 내측단부와 상기 우측 서포트 빔의 내측 단부에 각각 양측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매트의 중앙부를 권취하는 센터 웨이트 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빔이 H-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빔의 내측 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센터 웨이트 빔이 H-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빔의 중심축과 상기 센터 웨이트 빔의 중심축이 매트 전개 과정에서 서로 상이한 높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빔에 대해 상기 센터 웨이트 빔의 중심축이 편심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
KR1020220037495A 2022-03-25 2022-03-25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 KR20230139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495A KR20230139172A (ko) 2022-03-25 2022-03-25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495A KR20230139172A (ko) 2022-03-25 2022-03-25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172A true KR20230139172A (ko) 2023-10-05

Family

ID=8829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495A KR20230139172A (ko) 2022-03-25 2022-03-25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17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069B1 (ko) 2006-10-18 2007-05-16 주식회사 세일종합기술공사 저면매트 부설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면매트 부설설비
KR101332725B1 (ko) 2013-02-13 2013-11-25 주식회사 대양컨설턴트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069B1 (ko) 2006-10-18 2007-05-16 주식회사 세일종합기술공사 저면매트 부설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면매트 부설설비
KR101332725B1 (ko) 2013-02-13 2013-11-25 주식회사 대양컨설턴트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397B1 (ko) 해안 윈드 터빈을 견인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086267B (zh) 一种轻便型防污屏其布设施工方法
NO154607B (no) Marin konstruksjon.
CN105040637A (zh) 一种柔性浮式防波堤的安装工艺
WO2012060070A1 (ja) 水流発電設備
KR20230139172A (ko)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
CN106628024B (zh) 一种水上打桩作业平台
JP5255078B2 (ja) 中層浮魚礁の回収方法
CN108005047A (zh) 防涌潮的打桩机
KR20160098478A (ko) 새들 및 후크 시스템
KR101332725B1 (ko) 해양용 매트 설치 장치
KR200266873Y1 (ko) 물양장 구축을 위한 수중 기초사석 고르기 장치
JP2010070025A (ja) 作業船の鉛直動揺低減構造および作業船の鉛直動揺低減方法
KR101358312B1 (ko) 선박
CN112278156A (zh) 一种船舶定位机构
JPH09195281A (ja) 海上におけるケーソンの据付方法
CN107059825B (zh) 一种水上作业平台定位方法
CN218343688U (zh) 一种水上施工船舶的定位桩构造
KR20240016608A (ko) 와이어 겸용 가이드 로프를 가지는 대빗 시스템
KR102192138B1 (ko) 부유식 수상구조물의 수위조절시스템
US4016393A (en) System for laying pipe
CN115285653B (zh) 大节段钢箱梁远洋运输装置及方法
CN219750087U (zh) 一种安装有双吊钩甲板起重机的海上光伏打桩船
CN214823953U (zh) 一种应用于绞吸挖泥工程的浮筒装置
KR20220026931A (ko) 부유식 안벽 계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