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8721A - Anode Material for Lithium Battery Capable of Controlling Dendritic Growth of Lithium,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Lithium Battery Comprising Same - Google Patents

Anode Material for Lithium Battery Capable of Controlling Dendritic Growth of Lithium,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Lithium Battery Compri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8721A
KR20230138721A KR1020220036682A KR20220036682A KR20230138721A KR 20230138721 A KR20230138721 A KR 20230138721A KR 1020220036682 A KR1020220036682 A KR 1020220036682A KR 20220036682 A KR20220036682 A KR 20220036682A KR 20230138721 A KR20230138721 A KR 20230138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mlgm
negative electrode
lithium battery
z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6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원일
정대엽
장원준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36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8721A/en
Publication of KR20230138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721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21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vapour deposition
    • H01M4/0428Chemical vapour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저항성(lithiophobic) 멤브레인 및 리튬친화적(lithiophilic) 촉매를 이용하여 리튬의 증착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리튬 덴드라이트의 성장을 제어할 수 있는 리튬 전지용 음극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튬의 전착/탈리가 리튬저항성 멤브레인과 집전체 사이의 공간에서 일어나도록 제어하고, 리튬이 분리막을 향해 증착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음극 표면에서 성장하는 리튬 덴드라이트로 인한 성능 저하 및 내부 단락 문제를 방지하고 불활성 리튬(dead Li)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사이클 수명 및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리튬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that can control the growth of lithium dendrites by controlling the deposition position and direction of lithium using a lithiophobic membrane and a lithium-philic cataly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lectrodeposition/desorption of lithium can be controlled to occur in the space between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and the current collector, and lithium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posited toward the separator. Therefor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performance degradation and internal short circuit problems caused by lithium dendrites growing on the cathode surface and suppress the formation of inert lithium (dead Li), thereby producing a lithium battery with excellent cycle life and stability. It can be manufactured.

Description

리튬 덴드라이트의 성장을 제어할 수 있는 리튬 전지용 음극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Anode Material for Lithium Battery Capable of Controlling Dendritic Growth of Lithium,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Lithium Battery Comprising Same}Anode material for lithium battery capable of controlling the growth of lithium dendrite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thium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ode Material for Lithium Battery Capable of Controlling Dendritic Growth of Lithium,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Lithium Battery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리튬 덴드라이트의 성장을 제어할 수 있는 리튬 전지용 음극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튬저항성 멤브레인 및 리튬친화적 촉매를 이용하여 리튬의 증착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리튬 덴드라이트의 성장을 제어할 수 있는 리튬 전지용 음극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capable of controlling the growth of lithium dendrites,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lithium battery contain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deposition location of lithium using a lithium-resistant membrane and a lithium-friendly cataly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capable of controlling the growth of lithium dendrites by controlling its direc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lithium battery containing the same.

최근, 전기 자동차 및 이동식 전자기기의 수요 증대에 따라 고성능 이차전지 및 관련 소재의 개발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음극재로서 흑연 대신 실리콘, 리튬 금속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의 용량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as demand for electric vehicles and mobile electronic devices increases, the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secondary batteries and related materials is progressing at a rapid pace. For example,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to improve the capacity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batteries by using materials such as silicon and lithium metal instead of graphite as anode materials.

리튬 금속은 에너지 밀도가 대량 3,860mAh/g로 높고 표준 수소 전극(SHE)에 대한 전기화학적 전위가 -3.040V로 낮아, 이차전지의 음극에 적용할 경우 전지의 용량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리튬 금속을 실제로 전지의 음극에 적용하면 사이클 수명(cycle lifetime)이 짧고 전지 내부 단락으로 인한 위험성이 있어 실제 상용화에는 한계가 있었다.Lithium metal has a high energy density of 3,860 mAh/g and a low electrochemical potential of -3.040 V relative to a standard hydrogen electrode (SHE), so when applied to the negative electrode of a secondary battery, battery capacity can be greatly improved. However, when lithium metal is actually applied to the negative electrode of a battery, the cycle lifetime is short and there is a risk of short circuit inside the battery, so there are limits to its actual commercialization.

이와 같은 리튬 금속 음극의 문제점은 사이클 반복 시 리튬의 불균일한 전착/탈리(plating/stripping)와 관련이 있다. 구체적으로, 리튬의 핵 생성이 집전체에 형성되는 생성된 고체-전해질 계면(solid-electrolyte interphase, SEI)의 결함 부위에 국부적으로 발생하여 균일한 증착이 어렵고, 리튬 이온이 특정 부위에 집중되어 반대편 양극 방향으로 뾰족한 팁(tip) 형태의 리튬 덴드라이트(Li dendrite)가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리튬 덴드라이트의 축적은 전지에서 음극과 양극의 단락을 유발하여 전지의 용량 손실(capacity-fading) 또는 폭발을 야기할 수 있다. This problem with lithium metal anodes is related to uneven plating/stripping of lithium during repeated cycles. Specifically, lithium nucleation occurs locally at the defect site of the solid-electrolyte interphase (SEI) formed on the current collector, making uniform deposition difficult, and lithium ions are concentrated at specific sites to form lithium ions on the opposite side. A sharp tip-shaped lithium dendrite grows in the direction of the anode. The accumulation of these lithium dendrites can cause a short circuit between the cathode and anode in the battery, causing capacity-fading or explosion of the battery.

이러한 리튬 덴드라이트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기술로서, 가장 일반적으로는 리튬 금속 상에 인공 SEI, 고분자막, 2차원 소재 등의 박막으로 보호막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5801호에서는 음극 표면에서 리튬이 균일하게 증착되도록 조절하기 위해 리튬 금속 음극의 일면 또는 양면에 질화리튬 보호막을 형성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보호막을 도입하는 경우 고속 작동 시 이온 전도도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보호막의 성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As a technology to suppress such lithium dendrite growth, the most common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to form a protective film on lithium metal with a thin film such as artificial SEI, polymer film, or two-dimensional material. For exampl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65801 discloses a technology for forming a lithium nitride protective film on one or both sides of a lithium metal cathode to control uniform deposition of lithium on the cathode surface. However, when a protective film is introduced in this way, there is a problem that ion conductivity decreases rapidly during high-speed opera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protective film may gradually deteriorate.

리튬 덴드라이트 성장을 억제하는 또 다른 기술로서, 음극을 다공성 구조로 제작하고 리튬 증착을 전극의 내부 공간으로 제한하는 방법이 있다.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53043호에서는 다공성 구조체로 이루어진 음극에 전자전도 다공성 구조 및 이온전도 다공성 구조를 도입하여 다공성 구조 내에서 리튬의 전착/탈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고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리튬 금속의 체적 용량(volumetric capacity)이 설계된 전극의 한정된 공간으로 제한되며, 불균일한 리튬 전착/탈리 및 SEI 발달에 따라 리튬 덴드라이트가 기공 바깥으로 돌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Another technique for suppressing lithium dendrite growth is to manufacture the cathode with a porous structure and limit lithium deposition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electrode. In relation to thi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53043 states that by introducing an electron-conducting porous structure and an ion-conducting porous structure into a cathode made of a porou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electrodeposition/desorption of lithium within the porous structure. I'm doing it. However, in this cas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volumetric capacity of lithium metal was limited to the limited space of the designed electrode, and lithium dendrites could protrude out of the pores due to uneven lithium deposition/desorption and SEI development.

이에 따라, 전지의 사이클 반복 및 리튬의 과증착 시에도 리튬 덴드라이트의 성장으로 인한 내부 단락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internal short circuits due to the growth of lithium dendrites even during repeated battery cycles and over-deposition of lithium.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튬 덴드라이트의 성장을 제어할 수 있는 리튬 전지용 음극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such problems is to provide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 batteries that can control the growth of lithium dendrit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리튬 전지용 음극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node material for the lithium batter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리튬 전지용 음극재를 포함하는 고성능의 리튬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performanc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an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홀(hole)을 갖는 리튬저항성(lithiophobic) 멤브레인, 및 상기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리튬친화적(lithiophilic) 촉매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용 음극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comprising a lithiophobic membran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a plurality of lithium-philic catalysts formed on one side of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provides.

본 발명에서, 상기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은 2차원 나노탄소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may be made of a two-dimensional nanocarbon material.

본 발명에서, 상기 홀의 입경은 50 내지 1,000nm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hole may be 50 to 1,000 nm.

본 발명에서, 상기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에서 홀의 밀도는 0.1 내지 1 hole/㎛2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nsity of holes in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may be 0.1 to 1 hole/㎛ 2 .

본 발명에서, 상기 리튬친화적 촉매는 산화아연(ZnO), 산화니켈(NiO) 및 산화구리(CuO)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산화물; 또는 은(Ag), 금(Au), 백금(Pt) 및 아연(Z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is one or more metal oxid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zinc oxide (ZnO), nickel oxide (NiO), and copper oxide (CuO);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one or more met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Ag), gold (Au), platinum (Pt), and zinc (Zn).

본 발명에서, 상기 리튬친화적 촉매는 로드(rod), 스피어(sphere), 플레이트(plate), 플레이크(flake), 튜브(tube) 및 와이어(wir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has one or more three-dimensional shap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od, sphere, plate, flake, tube, and wire. You can have it.

본 발명에서, 상기 리튬친화적 촉매는 집전체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may be arranged to face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본 발명에서, 상기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의 리튬 환원에 대한 에너지 장벽은, 리튬친화적 촉매의 리튬 환원에 대한 에너지 장벽의 2배 이상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y barrier for lithium reduction of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may be more than twice the energy barrier for lithium reduction of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리튬 전지용 음극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node material for the lithium battery.

본 발명의 리튬 전지용 음극재 제조방법은, 마스킹(masking)된 기판에 리튬저항성 물질을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마스킹을 제거하여 복수개의 홀(hole)을 갖는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의 일면에 수열합성(hydrothermal method)을 통해 복수개의 리튬친화적 촉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rowing a lithium resistance material on a masked substrate; removing the masking to form a lithium-resistant membran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it may include forming a plurality of lithium-friendly catalysts on one side of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through hydrothermal method.

본 발명에서, 상기 마스킹은 기판 상에 마스킹 입자 분산액을 코팅하여 수행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king can be performed by coating a dispersion of masking particles on a substrate.

본 발명에서, 상기 리튬저항성 물질의 성장은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growth of the lithium-resistant material can be performed through a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process.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리튬저항성 멤브레인 형성 단계 후,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의 양면 중 리튬친화적 촉매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fter the step of forming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forming a protective layer on both sides of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is formed.

본 발명에서, 상기 수열합성은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을 금속 이온 수용액에 침지시킨 후 50 내지 100℃에서 12 내지 60시간 동안 열처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othermal synthesis can be performed by immersing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in an aqueous metal ion solution and then heat treating it at 50 to 100°C for 12 to 60 hours.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리튬 전지용 음극재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an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본 발명에서, 상기 리튬 전지는 양극; 복수개의 홀(hole)을 갖는 리튬저항성(lithiophobic) 멤브레인, 및 상기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리튬친화적(lithiophilic) 촉매를 포함하는 음극재를 포함하는 음극; 및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thium battery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A cathode comprising a lithiophobic membran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a cathode material including a plurality of lithiophilic catalyst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and an electrolyte.

본 발명에서, 상기 리튬 전지는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thium battery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or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본 발명에 따르면, 리튬 이온이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에 형성된 홀(hole)을 통해 이동하여 리튬친화적 촉매 측에서 집전체 방향으로 리튬을 형성하므로, 리튬의 전착/탈리가 리튬저항성 멤브레인과 집전체 사이의 공간에서 일어나고, 리튬이 분리막을 향해 증착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이용하면 음극 표면에서 성장하는 리튬 덴드라이트로 인한 성능 저하 및 내부 단락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불활성 리튬(dead Li)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사이클 수명 및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리튬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극재는 리튬저항성 멤브레인 하부에 리튬이 계속 증착되는 경우 멤브레인이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용량적 한계가 매우 뛰어나다는 점에서 특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thium ions mov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to form lithium from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side to the current collector, so that electrodeposition/desorption of lithium occurs in the space between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and the current collector. This occurs and can lead to lithium not being deposited toward the separator. Accordingl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ance degradation and internal short circuit problems caused by lithium dendrites growing on the cathode surface can be prevented and the formation of inert lithium (dead Li) can be suppressed, resulting in excellent cycle life and stability. Lithium batteries can be manufactured. In addition, the anod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ecial advantage in that it has a very excellent capacity limit because it ha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membrane to move when lithium continues to be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음극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음극재를 전지에 적용하였을 때 리튬 이온의 이동, 리튬의 형성 및 리튬의 전착/탈리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음극재의 리튬저항성 멤브레인 표면 및 리튬친화적 촉매에서 리튬 증착에 대한 자유에너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음극재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MLGM-ZnO 음극재의 탑뷰 주사전자현미경(Top-view SEM) 이미지 및 조립체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MLGM-ZnO 음극재의 단면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MLGM-ZnO 음극재의 X선 회절(XRD) 패턴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MLGM-ZnO 음극재의 라만 분광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전지의 리튬 형성(formation) 공정에서 MLGM-ZnO 음극의 전압-용량 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저밀도 홀 또는 고밀도 홀을 갖는 MLGM-ZnO 음극에 대한 전기 포텐셜 프로파일의 유한요소분석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bare SUS, MLGM 및 MLGM-ZnO 음극을 갖는 전지의 연속적인 전압-시간 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a, 12b 및 12c는 각각 bare SUS, MLGM 및 MLGM-ZnO 음극을 갖는 전지에 대한 10, 50 및 100번째 사이클에서의 전압 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bare SUS, MLGM 및 MLGM-ZnO 음극을 갖는 전지의 리튬의 전착/탈리 시 쿨롱 효율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bare SUS, MLGM 및 MLGM-ZnO 음극을 갖는 전지에 대해 50 사이클 전후에 수행한 나이퀴스트 플롯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MLGM-ZnO 전극을 갖는 대칭형 셀의 연속 전압-시간 프로파일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MLGM-ZnO 전극의 리튬 완전 탈리 시 전압-용량 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리튬 탈리 후 MLGM 및 MLGM-ZnO 음극 표면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리튬 전착 후 MLGM 및 MLGM-ZnO 음극 표면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리튬 탈리 후 MLGM-ZnO 음극의 단면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리튬 전착 후 MLGM-ZnO 음극의 단면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리튬 전착 후 MLGM-ZnO 음극의 단면 SEM-EDS 맵핑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리튬 전착 후 MLGM-ZnO 음극의 단면 SEM-EDS 맵핑에 대한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리튬 탈리 후 MLGM-ZnO 음극 단면의 T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리튬 탈리 후 MLGM-ZnO 음극 및 SEI 단면의 TEM-EDS 맵핑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는 리튬 전착된 MLGM-ZnO 음극의 C 1s 및 Li 1s 영역에 대한 XPS 깊이 프로파일링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6은 리튬 전착된 MLGM-ZnO 음극의 Zn 2p 영역에 대한 XPS 깊이 프로파일링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은 리튬 전착된 MLGM 음극의 C 1s 및 Li 1s 영역에 대한 XPS 깊이 프로파일링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8은 MLGM 또는 MLGM-ZnO 음극을 갖는 전지에 대해 30 사이클 후의 XRD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9는 MLGM 또는 MLGM-ZnO 음극을 갖는 전지에 대해 30 사이클 후의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0은 MLGM-ZnO 음극에 대해 0.5 내지 5mA/cm2 범위의 전류 밀도에서 10 사이클에 대한 전압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1은 bare SUS, MLGM 또는 MLGM-ZnO 음극을 갖는 반쪽 전지에 대해 1mAh/cm2, 5mA/cm2 조건에서 측정한 갈바노스태틱 사이클링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2는 MLGM-ZnO 음극을 갖는 전지에 대해 5mAh/cm2, 10mA/cm2 조건에서 측정한 갈바노스태틱 사이클링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movement of lithium ions, the formation of lithium, and the electrodeposition/desorption process of lithium when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attery.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the free energy for lithium deposition on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surface of the anode material and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chematically show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top-view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 of the MLGM-ZnO anode material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hotograph of the assembly.
Figure 6 shows a cross-sectional SEM image of the MLGM-ZnO anode material.
Figure 7 shows the X-ray diffraction (XRD) pattern results of the MLGM-ZnO anode material.
Figure 8 shows the results of Raman spectroscopy of the MLGM-ZnO cathode material.
Figure 9 shows the voltage-capacity profile of the MLGM-ZnO anode during the lithium formation process of a battery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the results of finite element analysis simulation of the electric potential profile for the MLGM-ZnO cathode with low-density holes or high-density holes.
Figure 11 shows continuous voltage-time profiles of cells with bare SUS, MLGM, and MLGM-ZnO cathodes.
Figures 12a, 12b, and 12c show voltage profiles at the 10th, 50th, and 100th cycles for cells with bare SUS, MLGM, and MLGM-ZnO cathodes, respectively.
Figure 13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coulombic efficiency during electrodeposition/desorption of lithium in batteries with bare SUS, MLGM, and MLGM-ZnO anodes.
Figure 14 shows Nyquist plot results performed before and after 50 cycles for batteries with bare SUS, MLGM, and MLGM-ZnO cathodes.
Figure 15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continuous voltage-time profile of a symmetrical cell with MLGM-ZnO electrodes.
Figure 16 shows the voltage-capacitance profile upon complete desorption of lithium from the MLGM-ZnO electrode.
Figure 17 shows SEM images of the MLGM and MLGM-ZnO cathode surfaces after lithium desorption.
Figure 18 shows SEM images of the MLGM and MLGM-ZnO cathode surfaces after lithium electrodeposition.
Figure 19 shows a cross-sectional SEM image of the MLGM-ZnO cathode after lithium desorption.
Figure 20 shows a cross-sectional SEM image of the MLGM-ZnO cathode after lithium electrodeposition.
Figure 21 shows a cross-sectional SEM-EDS mapping image of the MLGM-ZnO cathode after lithium electrodeposition.
Figure 22 shows the spectrum for cross-sectional SEM-EDS mapping of the MLGM-ZnO cathode after lithium electrodeposition.
Figure 23 shows a TEM imag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LGM-ZnO cathode after lithium desorption.
Figure 24 shows a TEM-EDS mapping image of the MLGM-ZnO cathode and SEI cross section after lithium desorption.
Figure 25 shows the XPS depth profiling results for the C 1s and Li 1s regions of the lithium electrodeposited MLGM-ZnO anode.
Figure 26 shows the XPS depth profiling results for the Zn 2p region of the lithium electrodeposited MLGM-ZnO cathode.
Figure 27 shows the XPS depth profiling results for the C 1s and Li 1s regions of the lithium electrodeposited MLGM cathode.
Figure 28 shows XRD patterns after 30 cycles for cells with MLGM or MLGM-ZnO cathodes.
Figure 29 shows Raman spectra after 30 cycles for cells with MLGM or MLGM-ZnO cathodes.
Figure 30 shows voltage measurement results for 10 cycles at current densities ranging from 0.5 to 5 mA/cm 2 for the MLGM-ZnO cathode.
Figure 31 shows the results of galvanostatic cycling measured under conditions of 1 mAh/cm 2 and 5 mA/cm 2 for a half cell with bare SUS, MLGM, or MLGM-ZnO cathode.
Figure 32 shows the results of galvanostatic cycling measured under conditions of 5 mAh/cm 2 and 10 mA/cm 2 for a battery with an MLGM-ZnO cathode.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 general, the nomenclature used herein is well known and commonly used in the art.

본 발명은 리튬 덴드라이트의 성장을 제어할 수 있는 리튬 전지용 음극재에 관한 것으로, 리튬저항성(lithiophobic) 멤브레인 및 리튬친화적(lithiophilic) 촉매를 포함하여 리튬의 위치선택적 및 방향선택적 증착을 유도할 수 있는 음극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 batteries that can control the growth of lithium dendrites, and includes a lithiophobic membrane and a lithium-philic catalyst that can induce site-selective and direction-selective deposition of lithium. It is about cathode materials.

본 발명의 리튬 전지용 음극재는 복수개의 홀(hole)을 갖는 리튬저항성(lithiophobic) 멤브레인, 및 상기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리튬친화적(lithiophilic)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thiophobic membran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a plurality of lithium-philic catalysts formed on one side of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음극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극재는 복수개의 홀을 갖는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의 일면에 로드(rod) 형태의 리튬친화적 촉매가 복수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전지에 적용 시 리튬친화적 촉매가 집전체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th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lithium-friendly catalysts in the form of rods are formed on one side of a lithium-resistant membran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when applied to a battery,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acts as a current collector. It can be arranged to be located in any direc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음극재를 전지에 적용하였을 때 리튬 이온의 이동, 리튬의 형성 및 리튬의 전착/탈리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구조체에서,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에 형성된 홀(hole)을 통해 이동한 리튬 이온이 리튬친화적 촉매 측에서 리튬을 형성할 수 있고, 리튬의 전착/탈리(Li plating/stripping)가 집전체 방향(즉, 카운터 전극(counter electrode)의 반대 방향)으로 진행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음극재는 리튬이 리튬친화적 촉매 측에 증착될수록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이 들어올려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용량적 한계가 매우 우수하다는 점에서 특장점이 있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movement of lithium ions, the formation of lithium, and the electrodeposition/desorption process of lithium when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attery. I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lithium ions moving through holes formed in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can form lithium on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side, and electrodeposition/stripping of lithium occurs i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Li plating/stripping). That is, it proceed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unter electrode. In addition, the anod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can be lifted as lithium is deposited on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side, so it has a special advantage in that the capacity limit is very excellent.

도 3은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의 표면 및 리튬친화적 촉매에서 리튬 증착에 대한 자유에너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리튬친화적 촉매의 표면은 리튬 환원에 대한 에너지 장벽이 낮아 촉매가 형성된 부분에서 리튬 핵 생성 및 증착이 우선적으로 일어나고, 리튬저항성 멤브레인 표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장벽으로 인해 리튬 증착이 제한된다.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the free energy for lithium deposition on the surface of a lithium-resistant membrane and a lithium-friendly cataly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has a low energy barrier for lithium reduction, so lithium nucleation and deposition preferentially occur in the area where the catalyst is formed, and lithium deposition is limited on the surface of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due to the high energy barrier.

본 발명에서,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의 리튬 환원에 대한 에너지 장벽은, 리튬친화적 촉매의 리튬 환원에 대한 에너지 장벽의 2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리튬친화적 촉매의 표면에 리튬 증착이 우선적으로 일어나도록 설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y barrier for lithium reduction of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may be at least two times, preferably at least three times, the energy barrier for lithium reduction of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Under these conditions,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can be designed so that lithium deposition occurs preferentially on the surface.

본 발명에서, 상기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은 층 구조 형성이 가능한 리튬저항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튬저항성 물질은 그래핀과 같은 2차원 나노탄소 소재일 수 있다. 리튬저항성 물질의 도입에 따라, 본 발명의 음극재의 표면, 즉 양극 방향의 면에서 리튬의 증착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may be made of a lithium-resistant material capable of forming a layer structure. For example, the lithium-resistant material may be a two-dimensional nanocarbon material such as graphene. By introducing a lithium-resistant material, deposition of lithium can be controlled so that it does not occur on the surface of the anod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on the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anode.

본 발명에서, 상기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에 형성된 홀(hole)은 리튬 이온이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홀은 마이크로 또는 나노 스케일의 입경, 구체적으로는 50 내지 1,000nm,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nm의 입경을 가질 수 있으며, 멤브레인에서 홀의 밀도는 0.1 내지 1hole/㎛2 ,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7holes/㎛2 일 수 있다. 상기 홀을 통해 리튬 이온이 리튬저항성 멤브레인 하부로 이동하여, 멤브레인과 집전체 사이에 존재하는 리튬친화적 촉매에서 리튬의 증착이 우선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holes formed in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serve as a passage through which lithium ions move. The holes may have a micro or nanoscale particle size, specifically 50 to 1,000 nm, preferably 100 to 500 nm, and the density of holes in the membrane is 0.1 to 1 hole/㎛ 2 , preferably 0.3 to 0.7 holes. It may be / ㎛2 . Lithium ions move to the bottom of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through the hole, and lithium deposition can be preferentially performed on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existing between the membrane and the current collector.

본 발명에서,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의 일면에 리튬친화적 촉매가 형성된다. 종래 리튬친화적 물질은 음극 표면에 코팅되어 리튬이 균일하게 증착되도록 제어하는 역할로 이용되었으나, 이 경우 리튬의 전착/탈리가 반복되면 음극 표면에 형성되는 고체-전해질 계면(SEI)에 의해 리튬이 국부적으로 성장할 수 있고, 리튬의 성장 방향이 분리막을 향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사이클 수명을 확보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의 일면에 리튬친화적 촉매를 형성하고 상기 촉매면을 집전체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리튬의 전착/탈리가 리튬저항성 멤브레인과 집전체 사이에서 진행되도록 제어하였으며, 이에 따라 리튬 덴드라이트 형성으로 인한 분리막 파괴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lithium-friendly catalyst is formed on one side of a lithium-resistant membrane. Conventionally, lithium-friendly materials wer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cathode and used to control the uniform deposition of lithium. However, in this case, when electrodeposition/desorption of lithium is repeated, lithium is localized by the solid-electrolyte interface (SEI)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thode. However, because the growth direction of lithium is toward the separator,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long-term cycle life could not be secur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lithium-friendly catalyst on one side of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and placing the catalyst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the electrodeposition/desorption of lithium is controlled to proceed between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and the current collector, and thus lithium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problem of separation membrane destruction caused by dendrite form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리튬친화적 촉매는 리튬 이온과 반응하여 리튬 금속의 석출이 용이한 물질, 예를 들어 산화아연(ZnO), 산화니켈(NiO), 산화구리(CuO) 등의 금속산화물이나, 은(Ag), 금(Au), 백금(Pt), 아연(Zn)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리튬친화적 촉매로서 산화아연을 이용하는 경우, 전기화학적 성능이 우수한 음극재를 제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is a material that reacts with lithium ions and easily deposits lithium metal, for example, metal oxides such as zinc oxide (ZnO), nickel oxide (NiO), and copper oxide (CuO), or silver. It may include metals such as (Ag), gold (Au), platinum (Pt), and zinc (Zn). Preferably, when zinc oxide is used as a lithium-friendly catalyst,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with excellent electrochemical performance can be manufactured.

본 발명에서, 상기 리튬친화적 촉매는 3차원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튬저항성 멤브레인 아래에 전해질 침투 및 리튬 전착(Li plating)을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튬친화적 촉매는 로드(rod), 스피어(sphere), 플레이트(plate), 플레이크(flake), 튜브(tube), 와이어(wire)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로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리튬저항성 멤브레인과 집전체 사이에 리튬 수용을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may be in a three-dimensional form. Accordingly, sufficient space for electrolyte penetration and lithium plating can be secured under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For example,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may have the shape of a rod, sphere, plate, flake, tube, wire, etc., preferably, a rod. It may be in the form.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because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maintained while securing sufficient space between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and the current collector to accommodate lithium.

본 발명의 음극재는, 복수개의 홀(hole)을 갖는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을 형성한 후, 그 일면에 리튬친화적 촉매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The anod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forming a lithium-resistant membrane with a plurality of holes and then forming a lithium-friendly catalyst on one surfac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음극재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극재는 기판을 마스킹(masking)한 후 리튬저항성 물질을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마스킹을 제거하여 복수개의 홀(hole)을 갖는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의 일면에 수열합성(hydrothermal method)을 통해 리튬친화적 촉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Figure 4 schematically show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4, the cathod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masking a substrate and then growing a lithium resistance material; removing the masking to form a lithium-resistant membran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forming a lithium-friendly catalyst on one side of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through hydrothermal method.

본 발명에서, 상기 기판으로는 금속 호일(metal foil), 예를 들어 니켈 호일, 구리 호일과 같은 CVD용 촉매 금속 호일을 이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al foil, for example, a catalyst metal foil for CVD such as nickel foil or copper foil, can be used as the substrate.

본 발명에서, 상기 마스킹은 기판 상에 마스킹 입자를 분산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스킹 입자로는 실리카 스피어(silica sphere)를 이용할 수 있으며, 마스킹 입자의 분산은 기판 상에 마스킹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코팅하고 열처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마스킹 입자 분산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홀의 밀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05 내지 0.2g/mL 농도의 분산액을 사용하여 저밀도 홀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king can be performed by dispersing masking particles on the substrate. For example, silica spheres can be used as the masking particles, and dispersion of the masking particles can be performed by coating a dispersion containing masking particles on a substrate and heat treating it. At this time, the density of the holes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masking particle dispersion. For example, low-density holes can be formed using a dispersion with a concentration of 0.05 to 0.2 g/mL.

본 발명에서, 리튬저항성 물질의 성장은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공정, 즉 고온 조건에서 리튬저항성 물질의 원료 기체가 촉매 금속 기판과 반응하는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튬저항성 물질로서 그래핀을 이용하는 경우 800 내지 1,200℃의 온도에서 탄소 공급원인 메탄(CH4) 가스를 반응시켜 그래핀을 성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을 마스킹한 후 화학기상증착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마스킹된 부분에 홀이 형성된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wth of the lithium-resistant material can be performed through a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process, that is, a process in which the raw material gas of the lithium-resistant material reacts with the catalytic metal substrate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For example, when graphene is used as a lithium-resistant material, graphene can be grown by reacting methane (CH 4 ) gas, a carbon source, at a temperature of 800 to 1,200°C. By performing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fter masking the substrate in this way, a lithium resistance membrane with holes formed in the masked portion can be formed.

본 발명에서, 마스킹은 산 처리로 제거할 수 있으며, 기판은 식각액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마스킹 입자를 제거한 뒤, 형성된 멤브레인의 일면에 보호층을 형성한 다음 기판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으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등의 고분자층을 이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king can be removed by acid treatment, and the substrate can be removed by using an etchant. At this time, after removing the masking particles, a protective layer can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ormed membrane, and then the substrate can be removed. As the protective layer, a polymer layer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ethylene oxide (PEO), or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can be used.

본 발명에서, 상기 리튬친화적 촉매는 수열합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열합성으로 리튬친화적 촉매를 성장시키고 특히 로드(rod) 형태의 촉매를 형성하는 경우, 리튬친화적 촉매에 O 공공(vacancies) 및 Zn 격자간(interstitials)과 같은 선천적 결함이 존재하여 우수한 전기 전도도를 나타낼 수 있다는 면에서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can be formed through hydrothermal synthesis. In this way, when growing a lithium-friendly catalyst through hydrothermal synthesis and especially forming a rod-shaped catalyst, innate defects such as O vacancies and Zn interstitials exist in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resulting in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It is desirable in that it can represent .

구체적으로, 상기 수열합성은 일면에 보호층이 형성된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을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침지시키고,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 70 내지 80℃에서 12 내지 60시간, 바람직하게 30 내지 50시간 동안 열처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수열합성에 이용되는 수용액은 금속 전구체 및 아민 화합물의 혼합 수용액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hydrothermal synthesis involves immersing a lithium-resistant membrane with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one side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metal ions, at 50 to 100°C, preferably 70 to 80°C, for 12 to 60 hours, preferably 30 to 50 hours. This can be performed by heat treatment. At this time, the aqueous solution used for hydrothermal synthesis may be a mixed aqueous solution of a metal precursor and an amine compound.

본 발명을 이용하면,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에 형성된 홀(hole)을 통해 이동한 리튬 이온이 리튬친화적 촉매 측에서 리튬을 형성하게 되므로, 리튬의 전착/탈리의 위치 및 방향을 집전체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음극 표면에서 성장하는 리튬 덴드라이트로 인한 성능 저하 및 내부 단락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불활성 리튬(dead Li)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사이클 수명 및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리튬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튬저항성 멤브레인 및 집전체 사이의 공간에 리튬이 계속 증착되는 경우 멤브레인이 들어올려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용량적 한계가 매우 뛰어나다.Using the present invention, lithium ions that mov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form lithium on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side, so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lithium deposition/desorption can be guided toward the current collector. . Therefore, performance degradation and internal short circuit problems caused by lithium dendrites growing on the cathode surface can be prevented and the formation of inert lithium (dead Li) can be suppressed,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lithium batteries with excellent cycle life and stability. there i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lithium continues to be deposited in the space between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and the current collector, the membrane has a structure that can be lifted, so the capacity limit is very excellent.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리튬 전지의 음극, 및 상기 음극을 이용한 리튬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battery and a lithium battery using the negative electrode.

본 발명에서, 상기 음극은 복수개의 홀을 갖는 리튬저항성 멤브레인 및 상기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리튬친화적 촉매를 포함하는 음극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리튬친화적 촉매가 형성된 면이 음극의 집전체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구조에서, 리튬친화적 촉매 면에서 리튬이 형성되어 리튬 금속 전지의 음극으로 사용 가능하며, 리튬의 전착/탈리가 리튬저항성 멤브레인과 집전체 사이의 공간에서 일어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hode may include a cathode material including a lithium-resistant membran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a plurality of lithium-friendly catalysts formed on one side of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wherein the side on which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is formed It i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of the negative electrode. In the above structure, lithium is formed on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surface and can be used as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metal battery, and electrodeposition/desorption of lithium occurs in the space between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and the current collector.

본 발명에서, 상기 음극 집전체로는 스테인리스 금속(SUS), 구리(Cu), 알루미늄(Al), 니켈(Ni)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tainless steel metal (SUS), copper (Cu), aluminum (Al), nickel (Ni), etc. can be used as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본 발명의 리튬 전지는 리튬을 이용한 이차전지(rechargeable battery)의 일종으로, 리튬 금속 전지(lithium metal battery)를 의미할 수 있다. The lithium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ype of secondary battery (rechargeable battery) using lithium, and may refer to a lithium metal battery.

리튬 이온 전지(lithium ion battery)의 경우, 음극재로 이용되는 흑연이나 실리콘의 이론 용량이 낮아 전지의 에너지 밀도 향상에 한계가 있었다. 반면 리튬 금속은 이론 용량이 매우 높으면서 산화환원전위 및 밀도가 낮은 특성이 있어, 음극에 리튬 금속을 적용하는 경우 전지의 무게를 낮추면서 용량은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리튬 금속 전지의 경우 반복된 전기화학적 충/방전 과정에서 리튬 금속 표면에 수지상의 리튬인 리튬 덴드라이트가 성장하여 분리막이 파괴되고 양극과의 접촉이 발생하여 내부 단락을 일으킨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리튬 덴드라이트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튬 금속층 상에 보호막을 도입하는 경우 사이클이 진행될수록 보호막의 성능이 감소하고 균일성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단순히 음극에 리튬친화적 물질을 도입하여 리튬 증착의 균일성을 조절하거나 다공성 구조를 통해 리튬 증착을 음극 내부로 유도하는 방법은 리튬의 용량이 허용 가능한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더 이상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In the case of lithium ion batteries, there was a limit to improving the energy density of the battery due to the low theoretical capacity of graphite or silicon used as anode materials. On the other hand, lithium metal has the characteristics of very high theoretical capacity but low redox potential and density, so applying lithium metal to the negative electrode has the advantage of lowering the weight of the battery while improving capacity. However, in the case of lithium metal batteries, there was a fatal disadvantage in that lithium dendrites, which are dendritic lithium, grow on the surface of the lithium metal during repeated electrochemical charging/discharging, destroying the separator and causing contact with the anode, causing an internal short circuit. .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se lithium dendrites, when a protective film is introduced on the lithium metal layer, the performance of the protective film decreases as the cycle progresses a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uniformity. Simply introducing a lithium-friendly material to the cathode Methods of controlling the uniformity of deposition or directing lithium deposition into the cathode through a porous structure have the limitation that they are no longer effective when the capacity of lithium exceeds the allowable range.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음극에서 리튬의 성장과 전착/탈리가 집전체 방향으로 일어나도록 하여 분리막 방향으로 리튬 덴드라이트가 성장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전지의 내부 단락을 방지하고 사이클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극재를 리튬 금속 전지에 적용하면 리튬 금속으로 인한 고용량 특성을 발휘하면서 안정성 및 수명이 우수한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는 음극 제조 시 리튬 금속을 직접적으로 도입하지 않고, 리튬 이온이 집전체 측에 리튬 금속 형태로 석출되고 방전 시 석출층이 없어지는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무음극형(anode-free) 리튬 금속 전지의 일종으로, 초경량, 초소형 전지의 개발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of lithium dendrites growing in the direction of the separator by allowing the growth and deposition/desorption of lithium in the negative electrode to occur i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thereby preventing internal short circuit of the battery and improving cycle life. . Therefore, by applying the anod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lithium metal batter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with excellent stability and lifespan while exhibiting high capacity characteristics due to lithium metal. In addition, the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ode-free lithium that does not directly introduce lithium metal when manufacturing the anode, but uses a mechanism in which lithium ions are deposited in the form of lithium metal on the current collector side and the precipitate layer disappears during discharge. It is a type of metal battery and can be preferably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ultra-light and ultra-small batteries.

본 발명의 리튬 전지는 양극(cathode), 음극(anode) 및 전해질(electrolyte)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조에 따라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separator)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thium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thode, a cathode, and an electrolyte, and depending on its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or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 및 양극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양극 소재는 리튬 금속 전지에 적용 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양극 집전체는 알루미늄(Al), 니켈(Ni), 스테인리스 금속(SUS), 구리(Cu) 등일 수 있고,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금속 산화물, 망간계 스피넬 활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도전재, 결착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positive electrod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pplicable to a lithium metal battery. For example,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aluminum (Al), nickel (Ni), stainless steel metal (SUS), copper (Cu), etc., and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be lithium metal oxide, manganese-based spinel active material, or a mixture thereof. It may include,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a binder, etc.

상기 전해질은 리튬 메탈 전지에 적용 가능한 리튬염 용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튬염은 LiPF6, LiF, LiCl, LiI, LiNO3, LiBF4, Li(CF3)2PF4, LiCH3CO2, LiCF3CO2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electrolyte may be a lithium salt solution applicable to lithium metal batteries. For example, the lithium salt may include LiPF 6 , LiF, LiCl, LiI, LiNO 3 , LiBF 4 , Li(CF 3 ) 2 PF 4 , LiCH 3 CO 2 , LiCF 3 CO 2, etc., but is limited thereto. It doesn't work.

상기 분리막은 이온 투과도가 높은 절연성의 박막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 중합체, 프로필렌 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소재의 다공성 필름이나, 다공성 섬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separator may be an insulating thin film with high ion permeability, for example, the porousness of polyolefin-based polymer materials such as ethylene polymer, propylene polymer, ethylene/butene copolymer, ethylene/hexene copolymer, and ethylene/methacrylate copolymer. Films, porous fibers, etc. may be used.

본 발명의 리튬 전지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배치하여 조립체를 형성한 후, 상기 조립체를 전지 케이스에 넣고 전해질을 주입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립체를 적층하고 이를 전해질에 함침시킨 후 전지 케이스에 넣고 밀봉하여 전지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lithium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forming an assembly by placing a separator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then placing the assembly into a battery case and injecting electrolyte.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a battery by stacking the above assemblies, impregnating them with electrolyte, then placing them in a battery case and sealing them.

본 발명의 리튬 전지는 용량, 안정성 및 사이클 수명이 모두 우수하므로, 소형 전자기기 뿐만 아니라 전기자동차와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도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The lithium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capacity, stability, and cycle life, so it can be effectively applied not only to small electronic devices but also to medium-to-large devices such as electric vehicles.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실험방법과 조성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below. However, these examples show some experimental methods and compositions to illustrative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제조예 1: MLGM-ZnO 음극재 제조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MLGM-ZnO anode material

Ni 호일 상에 다층 그래핀 메쉬(multilayer graphene mesh, MLGM)를 성장시킨 후, 일면에 산화아연 로드(ZnO)를 형성하여 음극재를 제조하였다.A cathode material was manufactured by growing a multilayer graphene mesh (MLGM) on Ni foil and then forming a zinc oxide rod (ZnO) on one side.

먼저, 니켈 호일(MTI Korea)을 초음파 배스(ultrasonic bath)에서 아세톤, 메탄올 및 탈이온수로 각각 5분 동안 세척하고, 질소 가스로 블로잉(blowing) 하였다. Stober 방법으로 제조한 실리카 스피어를 에탄올에 용해시켜 0.101g/mL 농도의 현탁액을 준비한 후, 니켈 호일 상에 상기 현탁액을 500rpm으로 10초, 1,000rpm으로 25초 동안 스핀 코팅하여 실리카 스피어(평균 입경 ~280nm)를 분산시켰다.First, the nickel foil (MTI Korea) was washed with acetone, methanol, and deionized water in an ultrasonic bath for 5 minutes each, and then blown with nitrogen gas. Silica spheres prepared by the Stober method were dissolved in ethanol to prepare a suspension with a concentration of 0.101 g/mL, and then the suspension was spin-coated on nickel foil for 10 seconds at 500 rpm and 25 seconds at 1,000 rpm to form silica spheres (average particle diameter ~ 280 nm) was dispersed.

다음으로, 실리카 스피어가 분산된 니켈 호일을 CVD 석영관 반응기 챔버에 로딩하고, 5×10-3 torr 이하의 압력 조건에서 배기(evacuation)시킨 후 1,000℃로 가열하였다. 반응기 압력을 10% H2 가스유량 52sccm 조건으로 대기압까지 증가시키고 30분 동안 유지하여 니켈 호일 내에 실리카 스피어가 파묻히도록 하였다.Next, the nickel foil in which the silica spheres were dispersed was loaded into the CVD quartz tube reactor chamber, evacuated under pressure conditions of 5×10 -3 torr or less, and then heated to 1,000°C. The reactor pressure was increased to atmospheric pressure under the condition of 10% H 2 gas flow rate of 52 sccm and maintained for 30 minutes to allow the silica spheres to be buried in the nickel foil.

열처리 후, 반응기 내에 15sccm의 CH4를 도입하여 그래핀 성장을 개시하였다. 전구체 기체 혼합물에 2분간 노출시킨 후, 반응기를 다시 배기시키고 실온으로 즉시 냉각시켰다. CVD 성장 후, 10% HF 수용액에 샘플을 1분 동안 침지시켜 내장된 실리카 스피어를 제거하여 다층 그래핀 메쉬(MLGM)를 형성하였다.After heat treatment, 15 sccm of CH 4 was introduced into the reactor to initiate graphene growth. After exposure to the precursor gas mixture for 2 minutes, the reactor was evacuated again and immediately cooled to room temperature. After CVD growth, the sample was immersed in 10% HF aqueous solution for 1 minute to remove embedded silica spheres to form a multilayer graphene mesh (MLGM).

니켈 호일 상에 남은 MLGM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보호층으로 코팅한 후, 식각액(UN2796 sulfuric acid, Transene Company, Inc.)에 24시간 동안 침지시켜 니켈 호일이 완전히 식각되고 용액 상에 부유하는 MLGM/PMMA 시트만 남도록 하였다.The MLGM remaining on the nickel foil was coated with a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rotective layer and then immersed in an etching solution (UN2796 sulfuric acid, Transene Company, Inc.) for 24 hours to completely etch the nickel foil and suspend it in the solution. Only the MLGM/PMMA sheet was left.

MLGM/PMMA 시트를 0.025M의 질산아연 6수화물(zinc nitrate hexahydrate (Zn(NO3)2·6H2O), Sigma-Aldrich) 및 0.025M의 헥사메틸렌테트라아민(hexamethylenetetramine (C6H12N4), Sigma-Aldrich)으로 이루어진 용액으로 이동시키고, 75℃에서 36시간 동안 수열합성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MLGM 및 수열 용액의 계면에서 ZnO 로드를 성장시킴으로써 MLGM-ZnO 음극재를 제조하였다.MLGM/PMMA sheets were coated with 0.025M zinc nitrate hexahydrate (Zn(NO 3 ) 2 ·6H 2 O), Sigma-Aldrich and 0.025M hexamethylenetetramine (C 6 H 12 N 4 ), Sigma-Aldrich), and hydrothermal synthesis was performed at 75°C for 36 hours. Through this, MLGM-ZnO anode material was manufactured by growing ZnO rods at the interface of MLGM and hydrothermal solution.

도 5는 제조된 MLGM-ZnO 음극재의 탑뷰 주사전자현미경(Top-view SEM) 이미지 및 조립체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단면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MLGM에 평균 입경이 250nm이고 밀도가 대략 0.5holes/㎛2 인 홀이 형성되고, MLGM의 일면에 평균 입경이 2㎛이고 길이가 12㎛인 ZnO 로드가 성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gure 5 shows a top-view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 of the manufactured MLGM-ZnO anode material and a photograph of the assembly, and Figure 6 shows a cross-sectional SEM image. Referring to Figures 5 and 6, holes with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50 nm and a density of approximately 0.5 holes/㎛ 2 were formed in the MLGM, and ZnO rods with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 ㎛ and a length of 12 ㎛ were grown on one side of the MLGM. You can check it.

도 7 및 8은 각각 MLGM-ZnO 음극재의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패턴 및 라만 분광법(Raman spectroscopy)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이들을 참조하면 MLGM 상에 ZnO 로드가 성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gures 7 and 8 show the X-ray diffraction (XRD) pattern and Raman spectroscopy results of the MLGM-ZnO cathode material, respectively. Referring to thes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ZnO rod was successfully formed on the MLGM. there is.

제조예 2: 반쪽 전지 제조Preparation Example 2: Half cell preparation

제조예 1의 MLGM-ZnO 음극재를 전극으로 이용하여 반쪽 전지를 조립하였다.A half-cell was assembled using the MLGM-ZnO negative electrode material of Preparation Example 1 as an electrode.

먼저, PMMA 코팅된 MLGM-ZnO를 용액에서 탈이온수로 조심스럽게 옮기고, SUS 호일 상으로 전사하였다. 그 후 아세톤 용액으로 PMMA층을 제거하고, 질소 가스 블로잉을 통해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First, the PMMA-coated MLGM-ZnO was carefully transferred from the solution to deionized water and transferred onto SUS foil. Afterwards, the PMMA layer was removed with an acetone solution, washed by nitrogen gas blowing, and dried.

아르곤 충진된 글로브 박스에서, carbonate/fluoroethylene carbonate (DMC/FEC, 4:1vol.%)을 용매로 하는 1.0M의 LiPF6 전해질 및 카운터 전극인 리튬 금속과 함께, 제조예 1의 음극재를 도입한 코인형 반쪽전지(CR2032)를 조립하였다. In an argon-filled glove box, th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of Preparation Example 1 was introduced along with 1.0M LiPF 6 electrolyte using carbonate/fluoroethylene carbonate (DMC/FEC, 4:1 vol.%) as a solvent and lithium metal as a counter electrode. A coin-type half cell (CR2032) was assembled.

이와 같이 MLGM-ZnO를 도입한 전지에서, ZnO는 Li+ 이온과 용이하게 반응하며, 아래 식과 같이 리튬화를 통해 LiZn 합금을 생성하는 리튬친화적 특성을 나타낸다. In a battery incorporating MLGM-ZnO, ZnO easily reacts with Li + ions and exhibits lithium-friendly characteristics that generate LiZn alloy through lithiation as shown in the formula below.

Li++ ZnO → Li2O + Zn ; Li + Zn → LiZnLi + + ZnO → Li 2 O + Zn ; Li + Zn → LiZn

도 9는 상기 전지의 리튬 형성(formation) 공정에서 MLGM-ZnO 음극의 전압-용량 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0.4V에서 ZnO의 리튬화(lithiation)에 상응하는 평탄부(plateau)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9 shows the voltage-capacity profile of the MLGM-ZnO anode in the lithium formation process of the battery. 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a plateau corresponding to lithiation of ZnO appears at 0.4V.

실험예 1: 리튬 전착 시 MLGM-ZnO 음극재의 유한요소분석 시뮬레이션Experimental Example 1: Finite element analysis simulation of MLGM-ZnO anode material during lithium electrodeposition

도 10은 저밀도 홀 또는 고밀도 홀을 갖는 MLGM-ZnO 음극에 있어서, 리튬 전착(Li plating) 시 전해질에서 MLGM-ZnO 음극의 전기 포텐셜 프로파일의 유한요소분석(finite element analysis, FEA)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0 shows the results of finite element analysis (FEA) simulation of the electrical potential profile of the MLGM-ZnO cathode in the electrolyte during lithium electrodeposition (Li plating) in the MLGM-ZnO cathode having low-density holes or high-density holes. .

도 10의 저밀도 홀(좌측) 및 고밀도 홀(우측)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면, 홀 사이의 간격(gap)이 절반이 될 정도로 홀 밀도가 증가하더라도 그래핀/전해질 및 ZnO/전해질 계면에서 측정된 전위 구배(potential gradient)는 상대적인 차이가 0.01% 이하로 매우 근접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계면 사이의 전위 구배가 홀 밀도(hole density)의 변화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Comparing the simulation results for low-density holes (left) and high-density holes (right) in FIG. 10, even if the hole density increases to the point where the gap between holes is halved, measurements at the graphene/electrolyte and ZnO/electrolyte interfaces The resulting potential gradients were very close, with a relative difference of less than 0.01%.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potential gradient between the interface was almost unaffected by changes in hole density.

실험예 2: MLGM-ZnO 음극의 전기화학적 성능 및 사이클 수명 평가Experimental Example 2: Electrochemical performance and cycle life evaluation of MLGM-ZnO cathode

제조예 2의 반쪽 전지를 이용하여 MLGM-ZnO 음극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MLGM-ZnO 음극 대신 bare SUS 또는 MLGM 코팅된 SUS 호일을 이용한 reference cell을 제작하고 이에 대해서도 실험을 수행하였다.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MLGM-ZnO anode was evaluated using the half cell of Preparation Example 2. For comparison, a reference cell using bare SUS or MLGM-coated SUS foil instead of the MLGM-ZnO cathode was fabricated and experiments were also performed on it.

도 11은 상기 세가지 유형의 셀에 대한 연속적인 전압-시간 프로파일(continuous voltage-time profiles)을 나타낸 것이며, 도 12a, 12b 및 12c는 각각 bare SUS, MLGM 및 MLGM-ZnO 음극을 갖는 셀에 대한 10, 50 및 100번째 사이클에서의 전압 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전압-시간 프로파일은 전류밀도 0.5mA/cm2, 500 사이클 동안 전착/용출(deposition/dissolution) capacity 1mAh/cm2 조건에서 기록하였다.Figure 11 shows the continuous voltage-time profiles for the three types of cells, and Figures 12a, 12b, and 12c are 10 for cells with bare SUS, MLGM, and MLGM-ZnO cathodes, respectively. , showing the voltage profiles at the 50th and 100th cycles. The voltage-time profile was recorded under the conditions of a current density of 0.5 mA/cm 2 and a deposition/dissolution capacity of 1 mAh/cm 2 for 500 cycles.

실험 결과, 도 11의 붉은 선 및 도 12a로부터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bare SUS 호일 음극을 이용한 셀은 리튬 덴드라이트 형성에 의한 용량 감소가 일어났으며, 135번째 사이클에서 전지 성능의 급격한 저하가 나타났다.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as can be seen from the red line in FIG. 11 and FIG. 12a, the cell using the bare SUS foil anode experienced a decrease in capacity due to lithium dendrite formation, and a rapid decrease in battery performance occurred at the 135th cycle.

한편, 도 11의 오렌지색 선 및 도 12b를 참조하면, bare SUS에 비해 MLGM의 과전위가 낮은 결과(50번째 사이클에서 bare SUS의 경우 50mV, MLGM의 경우 40mV), 및 사이클 수명이 약 170 사이클로 증가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MLGM이 리튬 덴드라이트의 반복 형성과 관련된 문제를 완화시키는 보호막 역할을 하고 과전위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MLGM을 적용한 경우에도 150 사이클 후 용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는바, 사이클 수명이 획기적으로 연장되는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Meanwhile, referring to the orange line in Figure 11 and Figure 12b, the overpotential of MLGM is lower than that of bare SUS (50 mV for bare SUS and 40 mV for MLGM at the 50th cycle), and the cycle life is increased to about 170 cycles. The results have appeare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MLGM acts as a protective layer that alleviates problems related to the repeated formation of lithium dendrites and suppresses overpotentials. However, even when MLGM was applied, the capacity decreased sharply after 150 cycles, and the cycle life was not dramatically extended.

그러나, 도 11의 푸른 선 및 도 12c를 참조하면, MLGM-ZnO 음극은 과전위가 10mV 미만이며 충전/방전 용량이 1mAh/cm2 이상으로, 상기 reference cell들에 비해 훨씬 우수한 성능이 나타났다. 특히, 500 사이클 이상에서도 유의적인 전압 변동 및 과전위 증가 없이 성능이 유지되었다.However, referring to the blue line in FIG. 11 and FIG. 12C, the MLGM-ZnO cathode had an overpotential of less than 10 mV and a charge/discharge capacity of more than 1 mAh/cm 2 , showing much better performance than the reference cells. In particular, performance was maintained without significant voltage fluctuations or overpotential increases even over 500 cycles.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MLGM-ZnO 구조체를 이용한 경우 리튬 덴드라이트 형성에 의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셀의 사이클 수명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rom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MLGM-ZnO structure was used,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lithium dendrite formation could be prevented and the cycle life of the cell could be significantly improved.

실험예 3: MLGM-ZnO 음극의 쿨롱 효율 및 전하 전달 저항 측정Experimental Example 3: Measurement of Coulombic Efficiency and Charge Transfer Resistance of MLGM-ZnO Cathode

제조예 2의 반쪽 전지를 이용하여 MLGM-ZnO 음극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MLGM-ZnO 음극 대신 bare SUS 또는 MLGM 코팅된 SUS 호일을 이용한 reference cell을 제작하고 이에 대해서도 실험을 수행하였다.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MLGM-ZnO anode was evaluated using the half cell of Preparation Example 2. For comparison, a reference cell using bare SUS or MLGM-coated SUS foil instead of the MLGM-ZnO cathode was fabricated and experiments were also performed on it.

도 13은 리튬의 전착/탈리 시 각 셀의 쿨롱 효율(CE)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MLGM-ZnO 셀의 쿨롱 효율은 거의 100%로 가장 높았으며, 500 사이클 후에도 유지되었다. 반대로, bare SUS 및 MLGM 음극은 각각 20 사이클 및 74 사이클 내에 90% 이하로 떨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Figure 13 shows the Coulombic efficiency (CE) measurement results of each cell during electrodeposition/desorption of lithium. The Coulombic efficiency of the MLGM-ZnO cell was the highest at almost 100% and was maintained even after 500 cycles. In contrast, the bare SUS and MLGM cathodes fell below 90% within 20 and 74 cycles, respectively.

도 14는 1mA/cm2에서 각 셀에 대한 50 사이클 전후의 나이퀴스트 플롯을 나타낸 것이다. 사이클 동안 전하 전달 저항(Rct)의 변화를 EIS로 측정하였으며, 전극 임피던스는 0V (vs. Li+/Li)에서 100kHz 내지 0.1Hz의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프리퀀시 범위를 고려하여, 나이퀴스트 플롯에서 반원의 지름으로부터 Rct를 추산하였다. Figure 14 shows a Nyquist plot before and after 50 cycles for each cell at 1 mA/cm 2 . The change in charge transfer resistance (R ct ) during the cycle was measured by EIS, and electrode impedance was measured in the range of 100 kHz to 0.1 Hz at 0 V (vs. Li + /Li). Considering the frequency range, R ct was estimated from the diameter of the semicircle in the Nyquist plot.

도 14 내 삽입된 그래프는 사이클 전 나이퀴스트 플롯 결과로서, MLGM-ZnO가 가장 작은 지름(Rct 값 60Ω에 상응)을 나타내고, bare SUS가 가장 큰 지름(Rct 값 180Ω에 상응)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전기화학적 반응의 운동 장벽이 SUS, 그래핀 및 ZnO 순으로 높은 것을 나타내고, 이는 리튬친화적 ZnO가 리튬 전착/탈리 시 열역학적으로 가장 유리한 계면을 제공한다는 사실과 일치한다. The inserted graph in Figure 14 is the result of the Nyquist plot before the cycle, with MLGM-ZnO showing the smallest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R ct value of 60Ω) and bare SUS showing the largest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R ct value of 180Ω). . These results show that the kinetic barrier for electrochemical reaction is higher in that order, SUS, graphene, and ZnO,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fact that lithium-friendly ZnO provides the most thermodynamically favorable interface for lithium deposition/desorption.

50 사이클 후의 결과를 참조하면, bare SUS 및 MLGM 전극을 구비한 셀은 사이클 시 불안정하고 두꺼운 SEI 층의 형성으로 인해 Rct의 상당한 증가를 보였다. 반면, MLGM-ZnO의 경우 Rct의 변화가 작았으며, 이를 통해 MLGM-ZnO가 안정한 계면을 유지하여 장기간 사이클에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the results after 50 cycles, cells with bare SUS and MLGM electrode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R ct due to the formation of an unstable and thick SEI layer upon cycl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LGM-ZnO, the change in R ct was small, which confirmed that MLGM-ZnO maintains a stable interface and is advantageous for long-term cycling.

실험예 4: MLGM-ZnO 음극에서 리튬 탈리 시 전압 프로파일 측정Experimental Example 4: Measurement of voltage profile upon lithium desorption from MLGM-ZnO cathode

제조예 1의 MLGM-ZnO 음극에 대해, 리튬 탈리 시 전압-시간 및 전압-용량의 프로파일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었다.For the MLGM-ZnO anode of Preparation Example 1, the voltage-time and voltage-capacity profiles upon lithium desorption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s 15 and 16.

도 15는 MLGM-ZnO 전극을 갖는 대칭형 셀의 연속 전압-시간 프로파일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16은 MLGM-ZnO의 리튬 완전 탈리 시 전압-용량 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에서, A 영역은 리튬 탈리에 대응되며, B 영역은 형성 공정에서 축적된 리튬에 대한 것이다.Figure 15 shows an enlarged continuous voltage-time profile of a symmetrical cell with an MLGM-ZnO electrode, and Figure 16 shows a voltage-capacity profile upon complete desorption of lithium from MLGM-ZnO. In Figure 16, area A corresponds to lithium desorption, and area B is for lithium accumulated in the formation process.

도 15 및 16에 따르면, 전압-시간 프로파일에서 분극(polarization)이 나타나고, 리튬의 완전 탈리 시 전압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음극재를 적용한 전지에서 단락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According to Figures 15 and 16, polarization appears in the voltage-time profil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voltage increases upon complete desorption of lithium.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a short circuit did not occur in a battery using th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실험예 5: SEM 이미지 비교를 통한 음극에서의 리튬 전착/탈리 거동 분석Experimental Example 5: Analysis of lithium deposition/desorption behavior on the cathode through SEM image comparison

음극 구조가 리튬 전착 및 탈리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이클 후 반쪽전지에서 분리한 MLGM 및 MLGM-ZnO 음극에 대해 전자현미경 분석을 수행하였다. To analyze how the cathode structure affects lithium deposition and desorption behavior, electron microscopy analysis was performed on MLGM and MLGM-ZnO cathodes separated from half-cells after cycling.

도 17은 리튬 탈리(Li stripping) 후 MLGM 및 MLGM-ZnO 표면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며, 도 18은 리튬 전착(Li plating) 후 MLGM 및 MLGM-ZnO의 표면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7 shows SEM images of the surfaces of MLGM and MLGM-ZnO after Li stripping, and Figure 18 shows SEM images of the surfaces of MLGM and MLGM-ZnO after Li plating.

도 17 및 도 18로부터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MLGM 음극은 리튬 탈리 및 전착 시 거친 표면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표면 조도 증가는 불균일하고 두꺼운 SEI 층의 형성, 크랙 생성 및 리튬 덴드라이트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반면, MLGM-ZnO 음극은 리튬의 탈리 또는 전착과 관계없이 사이클링 후에도 상부 표면이 매우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로부터, MLGM-ZnO의 경우 표면에 균일하고 얇은 SEI 층이 형성되고 덴드라이트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Figures 17 and 18, the MLGM cathode exhibited a rough surface during lithium desorption and electrodeposition, and this increase in surface roughness is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a non-uniform and thick SEI layer, crack generation, and lithium dendrite growth. . On the other hand, the top surface of the MLGM-ZnO cathode remained very flat even after cycling, regardless of lithium desorption or electrodeposition. From this,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case of MLGM-ZnO, a uniform and thin SEI layer was formed on the surface and no dendrites existed.

한편, 도 19는 리튬 탈리(Li stripping) 후 MLGM-ZnO 단면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며, 도 20은 리튬 전착 후 MLGM-ZnO의 단면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단면 SEM 이미지를 참조하면, Li 전착 후 리튬이 MLGM 아래에만 주로 전착되어 475㎛에 달하는 두꺼운 리튬 층을 균일하게 형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Figure 19 shows a cross-sectional SEM image of MLGM-ZnO after lithium stripping, and Figure 20 shows a cross-sectional SEM image of MLGM-ZnO after lithium electrodeposition. Referring to the cross-sectional SEM image, it can be seen that after Li electrodeposition, lithium was mainly deposited only under the MLGM, uniformly forming a thick lithium layer of up to 475㎛.

실험예 6: EDS 이미지 비교를 통한 음극에서의 리튬 전착/탈리 거동 분석Experimental Example 6: Analysis of lithium deposition/desorption behavior at the cathode through EDS image comparison

음극 구조가 리튬 전착 및 탈리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이클 후 반쪽전지에서 분리한 MLGM 및 MLGM-ZnO 음극에 대해 전자현미경 분석을 수행하였다. To analyze how the cathode structure affects lithium deposition and desorption behavior, electron microscopy analysis was performed on MLGM and MLGM-ZnO cathodes separated from half-cells after cycling.

도 21은 리튬 전착 후 MLGM-ZnO의 단면 SEM-EDS 맵핑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 도 22는 이에 대한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21 shows a cross-sectional SEM-EDS mapping image of MLGM-ZnO after lithium electrodeposition, and Figure 22 shows the spectrum thereof.

이를 참조하면, 반복된 리튬 전착/탈리 사이클 동안 LiZn 합금 형성 및 용해로 인하여 ZnO의 구조가 점차적으로 붕괴되는 결과가 나타났으나, ZnO의 리튬친화적 표면은 유지되어 리튬 증착이 우선적으로 일어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the structure of ZnO gradually collapsed due to LiZn alloy formation and dissolution during repeated lithium deposition/desorption cycles, but the lithium-friendly surface of ZnO was maintained, resulting in preferential lithium deposition. there is.

도 23은 리튬 탈리 후 MLGM-ZnO 단면의 T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 도 24는 MLGM-ZnO 음극 및 SEI 단면의 TEM-EDS 맵핑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리튬 탈리 후 FIB (focused ion beam)로 절단된 MLGM-ZnO 전극의 TEM 및 STEM-EDS 분석 결과, MLGM 하부에서 SEI 층의 불규칙한 형태가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gure 23 shows a TEM image of the cross section of MLGM-ZnO after lithium desorption, and Figure 24 shows a TEM-EDS mapping imag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LGM-ZnO cathode and SEI. Referring to this, as a result of TEM and STEM-EDS analysis of the MLGM-ZnO electrode cut with a focused ion beam (FIB) after lithium desorp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rregular shape of the SEI layer is observed at the bottom of the MLGM.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MLGM-ZnO 구조체의 경우 표면은 리튬의 전착/탈리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리튬이 MLGM 하부의 ZnO에 우선적으로 전착되어, 리튬 덴드라이트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the MLGM-ZnO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is not affected by electrodeposition/desorption of lithium, and lithium is preferentially electrodeposited on the ZnO at the bottom of the MLGM, preventing the formation of lithium dendrites. Confirmed.

실험예 7: MLGM-ZnO 음극의 XPS 분석Experimental Example 7: XPS analysis of MLGM-ZnO cathode

사이클 후 리튬 전착된 MLGM-ZnO 음극의 깊이 프로파일링 분석을 위하여, 아르곤 이온 에칭 후 Nexsa (Thermo Fisher Scientific Inc.)를 이용하여 XPS 스펙트럼 분석을 수행하였다. For depth profiling analysis of the lithium electrodeposited MLGM-ZnO cathode after cycling, XPS spectr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Nexsa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after argon ion etching.

도 25는 사이클 후 리튬 전착된 MLGM-ZnO 음극의 C-1s 및 Li-1s 영역에 대한 XPS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XPS 스펙트럼에서, 아르곤 이온 에칭을 0 내지 5회 수행하여 스퍼터 에칭 횟수에 대한 함수로 나타내었다. Figure 25 shows XPS spectra for the C-1s and Li-1s regions of the lithium electrodeposited MLGM-ZnO cathode after cycling. In the XPS spectra, 0 to 5 argon ion etches were performed and plotted as a function of the number of sputter etches.

MLGM-ZnO 음극의 상부 표면에서 얻은 C-1s 스펙트럼의 디콘볼루션은 SEI 층에서 주로 나타나는 피크인 sp3 C-C, C-O 및 C=O 결합에 상응하는 세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또한, Li-1s 스펙트럼에서도 주요 SEI 성분인 Li2CO3에 상응하는 하나의 가우시안 피크가 관찰되었다.Deconvolution of the C-1s spectrum obtaine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MLGM-ZnO cathode showed three peaks corresponding to sp 3 CC, CO, and C=O bonds, which are the peaks that mainly appear in the SEI layer. Additionally, one Gaussian peak corresponding to Li 2 CO 3 , the main SEI component, was observed in the Li-1s spectrum.

그러나, 몇번의 아르곤 이온 에칭 사이클 후에는 결합 에너지가 낮은 영역(C-1s 및 Li-1s 스펙트럼에 대해 각각 ~283eV 및 ~54.5eV)에서 새로운 피크가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피크들은 그래핀(또는 그래파이트)의 sp2 C-C 및 전착된 리튬 금속 층의 Li0에 할당되는 것이다. 또한, 이들은 식각 횟수가 5회로 상승함에 따라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전자현미경 분석 결과와 같이 리튬저항성 MLGM 표면에 얇은 SEI 층이 형성되고, 리튬친화적 ZnO로 코팅된 MLGM 하부에 리튬이 증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However, after several argon ion etching cycles, new peaks were observed in the low binding energy region (~283 eV and ~54.5 eV for C-1s and Li-1s spectra, respectively), and these peaks were associated with graphene (or graphite). is assigned to sp 2 CC and Li 0 of the electrodeposited lithium metal layer. Additionally, they appeared stronger as the number of etchings increased to 5.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a thin SEI layer wa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ithium-resistant MLGM and that lithium was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MLGM coated with lithium-friendly ZnO, as shown in the electron microscope analysis results.

도 26은 리튬 전착 후 MLGM-ZnO의 Zn 2p 영역에 대한 XPS 스펙트럼으로서, 5회의 아르곤 이온 에칭 전후의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Zn 2p 피크의 스펙트럼 영역에서, 표면에서는 Zn 2p 피크가 나타나지 않고 몇번의 에칭 사이클 후에 나타나기 시작하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MLGM 멤브레인 아래에 Zn 금속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Zn 2p3/2 피크로부터, MLGM의 하부에는 ZnO 및 LiZn 합금이 공존하여 이온화된 Zn 및 순수(pure) Zn에 상응하는 두가지 성분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Figure 26 is an XPS spectrum of the Zn 2p region of MLGM-ZnO after lithium electrodeposition, showing the spectrum before and after five argon ion etchings. In the spectral region of the Zn 2p peak, it was confirmed that the Zn 2p peak did not appear on the surface and began to appear after several etching cycles.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Zn metal exists under the MLGM membrane. In addition, from the Zn 2p 3/2 peak, it was confirmed that ZnO and LiZn alloy coexist in the lower part of the MLGM, resulting in the presence of two components corresponding to ionized Zn and pure Zn.

MLGM-ZnO 음극과의 비교를 위하여, 리튬 전착 후 MLGM 음극에 대해서도 C 1s 및 Li 1s에 대한 XPS 깊이 프로파일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MLGM 음극에 대해 아르곤 이온 에칭을 0 내지 50회 수행하고, XPS 깊이 프로파일링 결과를 도 27에 나타내었다.For comparison with the MLGM-ZnO cathode, XPS depth profile analysis for C 1s and Li 1s was also performed on the MLGM cathode after lithium electrodeposition. Specifically, argon ion etching was performed 0 to 50 times on the MLGM cathode, and the XPS depth profiling results are shown in FIG. 27.

도 27을 참조하면, MLGM 음극에서는 20회의 아르곤 에칭 후 Li0로부터 기인한 피크가 관찰되었는 반면, sp2 C-C는 50회의 아르곤 이온 에칭 사이클 후에도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50회 에칭 사이클까지 Li0 피크의 면적 비율은 20% 미만으로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Referring to FIG. 27, in the MLGM cathode, a peak resulting from Li 0 was observed after 20 argon etching cycles, while sp 2 CC did not appear even after 50 argon ion etching cycles. In addition, the area ratio of the Li 0 peak was found to be low, less than 20%, even after 50 etching cycles.

이러한 결과로부터, MLGM 상에 형성된 두껍고 불규칙한 SEI 층이 형성되었고, SEI 층 사이에 리튬 금속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a thick and irregular SEI layer was formed on the MLGM and that lithium metal existed between the SEI layers.

실험예 8: MLGM-ZnO 음극의 XRD 및 라만 스펙트럼 분석Experimental Example 8: XRD and Raman spectrum analysis of MLGM-ZnO cathode

MLGM 또는 MLGM-ZnO 음극을 갖는 전지에 대하여, 30 사이클 후 XRD 분석 및 라만 분광법을 수행하였다. XRD 분석에는 D8 ADVANCE (BRUKER Co.)를 이용하였으며, 라만 분광법에는 MonoRa 750i (Dongwoo Optron Co.)를 이용하였다.For cells with MLGM or MLGM-ZnO cathodes, XRD analysis and Raman spectroscopy were performed after 30 cycles. D8 ADVANCE (BRUKER Co.) was used for XRD analysis, and MonoRa 750i (Dongwoo Optron Co.) was used for Raman spectroscopy.

도 28 및 29는 각각 상기 XRD 패턴 및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8의 XRD 패턴에서, 그래파이트 및 SUS에서 기인한 회절 피크는 각각 붉은색 및 녹색 점으로 표시하였다.Figures 28 and 29 show the XRD pattern and Raman spectrum, respectively. In the XRD pattern of Figure 28, diffraction peaks resulting from graphite and SUS are indicated by red and green dots, respectively.

도 28 및 29를 참조하면, MLGM 음극에 비해 MLGM-ZnO 음극의 XRD 패턴 및 라만 스펙트럼에서 다층 그래핀에 상응하는 강하고 뚜렷한 피크들이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MLGM-ZnO 음극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Figures 28 and 29, strong and distinct peaks corresponding to multilayer graphene appeared in the XRD pattern and Raman spectrum of the MLGM-ZnO cathode compared to the MLGM cathode,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MLGM-ZnO cathode. .

실험예 9: MLGM-ZnO 음극에 대한 고속 조건에서의 성능 분석Experimental Example 9: Performance analysis under high-speed conditions for MLGM-ZnO cathode

고속 작동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전류 밀도를 5에서 10mA/cm2까지 증가시키면서 사이클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To test the applicability for high-speed operation, cycle tests were performed while increasing the current density from 5 to 10 mA/cm 2 .

도 30은 MLGM-ZnO 전극에 대해 0.5 내지 5mA/cm2 범위의 전류 밀도에서 10 사이클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각 사이클의 탈리/전착 공정에서 면적 용량은 1mAh/cm2로 하였다. MLGM-ZnO 음극 셀의 경우 전류 밀도의 증가에 따라 과전위가 증가하였으나, 5mA/cm2의 전류밀도에서도 15mV 미만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전류 밀도가 0.5mA/cm2로 감소한 경우, 1.8mV의 초기 값으로 회복되었다. Figure 30 shows measurement results for 10 cycles at a current density ranging from 0.5 to 5 mA/cm 2 for the MLGM-ZnO electrode, and the area capacity in the desorption/electrodeposition process of each cycle was 1 mAh/cm 2 . In the case of the MLGM-ZnO cathode cell, the overpotential increased as the current density increased, but it was low at less than 15mV even at a current density of 5mA/cm 2 . Additionally, when the current density was reduced to 0.5mA/cm 2 , it recovered to the initial value of 1.8mV.

도 31은 bare SUS, MLGM 또는 MLGM-ZnO 음극을 갖는 반쪽 전지의 갈바노스태틱 사이클링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31 shows the results of galvanostatic cycling of a half cell with bare SUS, MLGM, or MLGM-ZnO cathode.

도 31을 참조하면, MLGM-ZnO 셀을 bare SUS 및 MLGM 셀과 비교하였을 때 5mA/cm2의 높은 전류밀도에서 MLGM-ZnO 셀의 고출력 특성(rate capability)이 매우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상기 bare SUS 및 MLGM 셀은 사이클에 따라 초기에 과전위가 저하되고 이후에 증가되는 현상, 소위 necking 거동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초기 단계에서 리튬 덴드라이트의 연속적인 성장에 기인하여 SEI가 안정화되다가 이후 SEI가 축적됨을 의미한다. 또한, bare SUS 및 MLGM 음극 셀의 경우 5mA/cm2에서 각각 75 및 123 사이클 후 과전위의 증가가 나타났고, 이후 102 및 155 사이클 후 더이상 전지 구동이 불가능하였다.Referring to Figure 31, when comparing the MLGM-ZnO cell with bare SUS and MLGM cell, it can be seen that the high output characteristic (rate capability) of the MLGM-ZnO cell is very clearly displayed at a high current density of 5 mA/cm 2 . On the other hand, the bare SUS and MLGM cells showed so-called necking behavior, in which the overpotential initially decreased and then increased depending on the cycle, and this was due to the continuous growth of lithium dendrites in the initial stage, where the SEI stabilized and then This means that SEI is accumulated thereaft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bare SUS and MLGM cathode cells, an increase in overpotential was observed after 75 and 123 cycles, respectively, at 5 mA/cm 2 , and the battery operation was no longer possible after 102 and 155 cycles.

도 32는 5mAh/cm2의 탈리/전착 커패시티, 10mA/cm2 전류 밀도 조건에서 측정한 MLGM-ZnO 셀의 갈바노스태틱 사이클링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32 shows the results of galvanostatic cycling of the MLGM-ZnO cell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of a desorption/deposition capacity of 5 mAh/cm 2 and a current density of 10 mA/cm 2 .

도 32를 참조하면, MLGM-ZnO 음극을 갖는 셀은 5mA/cm2에서 250 사이클까지 과전위가 10mV에서 20mV로 미미하게 증가한 안정적인 사이클 특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전하 용량을 5mAh/cm2 로 증가시키고 전류 밀도를 10mA/cm2 로 증가시킨 가혹한 사이클 조건에서도 360 사이클까지 400mV 미만의 낮은 과전위를 유지하였다.Referring to FIG. 32, it can be seen that the cell with the MLGM-ZnO cathode shows stable cycle characteristics with the overpotential slightly increasing from 10mV to 20mV from 5mA/cm 2 to 250 cycles. Moreover, even under harsh cycling conditions where the charge capacity was increased to 5 mAh/cm 2 and the current density was increased to 10 mA/cm 2 , a low overpotential of less than 400 mV was maintained until 360 cycles.

이와 같이 MLGM-ZnO 음극은 다양한 전류 밀도 및 용량에서 장기간 사이클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로부터 MLGM-ZnO 음극에서 균일한 리튬 증착/용해가 일어나 우수한 사이클 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In this way, the MLGM-ZnO cathode showed long-term cycle stability at various current densities and capacities, and from this, it was confirmed that uniform lithium deposition/dissolution occurred on the MLGM-ZnO cathode, thereby achieving excellent cycle efficiency.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형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As the specific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se specific description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 Accordingly,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15)

복수개의 홀(hole)을 갖는 리튬저항성(lithiophobic) 멤브레인, 및
상기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리튬친화적(lithiophilic) 촉매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용 음극재.
A lithiophobic membran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comprising a plurality of lithium-friendly (lithiophilic) catalysts formed on one side of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이 2차원 나노탄소 물질로 이루어진, 리튬 전지용 음극재.
According to claim 1,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wherein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is made of a two-dimensional nanocarbon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입경이 50 내지 1,000nm인, 리튬 전지용 음극재.
According to claim 1,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wherein the hole particle size is 50 to 1,000 n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에서 홀의 밀도가 0.1 내지 1 hole/㎛2인, 리튬 전지용 음극재.
According to claim 1,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wherein the lithium resistance membrane has a hole density of 0.1 to 1 hole/㎛ 2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친화적 촉매가, 산화아연(ZnO), 산화니켈(NiO) 및 산화구리(CuO)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산화물; 또는 은(Ag), 금(Au), 백금(Pt) 및 아연(Z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리튬 전지용 음극재.
According to claim 1,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may include at least one metal ox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zinc oxide (ZnO), nickel oxide (NiO), and copper oxide (CuO); Or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Ag), gold (Au), platinum (Pt), and zinc (Z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친화적 촉매가, 로드(rod), 스피어(sphere), 플레이트(plate), 플레이크(flake), 튜브(tube) 및 와이어(wir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3차원 형상을 갖는, 리튬 전지용 음극재.
According to claim 1,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has one or more three-dimensional shap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ods, spheres, plates, flakes, tubes, and wires. Anode material for batteri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친화적 촉매가 집전체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리튬 전지용 음극재.
According to claim 1,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wherein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is disposed toward the current coll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의 리튬 환원에 대한 에너지 장벽이, 리튬친화적 촉매의 리튬 환원에 대한 에너지 장벽의 2배 이상인, 리튬 전지용 음극재.
According to claim 1,
An an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wherein the energy barrier for lithium reduction of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is more than twice the energy barrier for lithium reduction of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마스킹(masking)된 기판에 리튬저항성 물질을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마스킹을 제거하여 복수개의 홀(hole)을 갖는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의 일면에 수열합성(hydrothermal method)을 통해 복수개의 리튬친화적 촉매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용 음극재의 제조방법.
Growing a lithium-resistant material on a masked substrate;
removing the masking to form a lithium-resistant membran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Forming a plurality of lithium-friendly catalysts on one side of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through hydrothermal method.
A method of producing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including.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이 기판 상에 마스킹 입자 분산액을 코팅하여 수행되는, 리튬 전지용 음극재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use 9,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wherein the masking is performed by coating a dispersion of masking particles on a substra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저항성 물질의 성장이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공정을 통해 수행되는, 리튬 전지용 음극재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use 9,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in which the growth of the lithium resistant material is performed through a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proces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저항성 멤브레인 형성 단계 후,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의 양면 중 리튬친화적 촉매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튬 전지용 음극재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use 9,
After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forming step,
A method of producing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further comprising forming a protective layer on one of both sides of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lithium-friendly catalyst is form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열합성이 리튬저항성 멤브레인을 금속 이온 수용액에 침지시킨 후 50 내지 100℃에서 12 내지 60시간 동안 열처리함으로써 수행되는, 리튬 전지용 음극재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use 9,
A method of producing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wherein the hydrothermal synthesis is performed by immersing the lithium-resistant membrane in an aqueous metal ion solution and then heat-treating it at 50 to 100 ° C. for 12 to 60 hours.
양극,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음극재를 포함하는 음극,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전지.
A lithium battery comprising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containing th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of any one of claims 1 to 8, and an electrolyt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전지가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리튬 전지.
According to claim 14,
A lithium battery, wherein the lithium battery further includes a separator between an anode and a cathode.
KR1020220036682A 2022-03-24 2022-03-24 Anode Material for Lithium Battery Capable of Controlling Dendritic Growth of Lithium,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Lithium Battery Comprising Same KR2023013872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682A KR20230138721A (en) 2022-03-24 2022-03-24 Anode Material for Lithium Battery Capable of Controlling Dendritic Growth of Lithium,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Lithium Battery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682A KR20230138721A (en) 2022-03-24 2022-03-24 Anode Material for Lithium Battery Capable of Controlling Dendritic Growth of Lithium,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Lithium Battery Compris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721A true KR20230138721A (en) 2023-10-05

Family

ID=8829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682A KR20230138721A (en) 2022-03-24 2022-03-24 Anode Material for Lithium Battery Capable of Controlling Dendritic Growth of Lithium,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Lithium Battery Compris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872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o et al. Recent developments and insights into the understanding of Na metal anodes for Na-metal batteries
US11631860B2 (en) Anodes for lithium-based energy storage devices
KR101103841B1 (en) Metal ions-assisted electroless etching method for the bundle type silicon nano-rod composite and its application as anode material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Liu et al. Preparation of 3D nanoporous copper-supported cuprous oxide for high-performance lithium ion battery anodes
JP6280865B2 (en) Lithium ion battery with interpenetrating electrodes
Lu et al. Lithiophilic NiO hexagonal plates decorated Ni collector guiding uniform lithium plating for stable lithium metal anode
JP2018120866A (en) Porous silicon-based anode active material,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097244B1 (en)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battery and lithium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hen et al. Robust α-Fe 2 O 3 nanorod arrays with optimized interstices as high-performance 3D anodes for high-rate lithium ion batteries
EP3561915A1 (en) Lithium metal anode,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node
Wang et al. High-performance Si-based 3D Cu nanostructured electrode assembly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Hu et al. A substrate-influenced three-dimensional unoriented dispersion pathway for dendrite-free lithium metal anodes
EP4173058A1 (en) Anodes for lithium-based energy storage devices
CN115064700A (en) Negative current collector of non-negative lithium metal battery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Javadian et al. Pulsed current electrodeposition parameters to control the Sn particle size to enhanc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as anode material in lithium ion batteries
Chang et al. Morphological and chemical mapping of columnar lithium metal
Wang et al. Local confinement and alloy/dealloy activation of Sn–Cu nanoarrays for high-performance lithium-ion battery
KR102238898B1 (en) Protection of lithium-dendrite growth by functionalized carbon nanodot additives
Zhang et al. ZIF‐Derived Co3O4 Nanoflake Arrays Decorated Nickel Foams as Stable Hosts for Dendrite‐Free Li Metal Anodes
KR20190141990A (en) Li/carbon cloth complex electrod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190108316A (en) Method for a porous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or lithium metal battery using hydrogen bubble as a template a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nufactured thereby
Lahiri et al. Electrochemical synthesis of battery electrode materials from ionic liquids
US20240106010A1 (en) Artificial Solid-Electrolyte Interphase Layer Material and Uses Thereof
KR20230138721A (en) Anode Material for Lithium Battery Capable of Controlling Dendritic Growth of Lithium,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Lithium Battery Comprising Same
KR20200006612A (en) Method for a porous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or lithium metal battery using hydrogen bubble as a template a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nufactured there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