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8018A - 각 대역 이중 업링크(ul)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에 대한 송신기(tx) 전력의 이용 - Google Patents

각 대역 이중 업링크(ul)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에 대한 송신기(tx) 전력의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8018A
KR20230138018A KR1020237030146A KR20237030146A KR20230138018A KR 20230138018 A KR20230138018 A KR 20230138018A KR 1020237030146 A KR1020237030146 A KR 1020237030146A KR 20237030146 A KR20237030146 A KR 20237030146A KR 20230138018 A KR20230138018 A KR 20230138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ower
radio
maximum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마사 우메다
페트리 주하니 바센카리
테로 헨토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230138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6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distributing total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UE에 의해 사용되는 라디오 대역 조합(band combination, 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UE 가용력의 표시에 기초하여 UE가 라디오 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UE가 라디오 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의 최대 전력의 합에 기초하여 총 UE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각 대역 이중 업링크(UL)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에 대한 송신기(TX) 전력의 이용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21년 3월 31일에 "EXPLOITATION OF TRANSMITTER (TX) POWER FOR EACH BAND DUAL UP-LINK (UL) CARRIER AGGREGATION (CA)"이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7/301,37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의 계속 출원이며, 이의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설명은 무선 통신 노드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은 고정된 또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과 같은 둘 이상의 노드들 또는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설비일 수 있다. 신호들은 유선 또는 무선 캐리어들을 통해 캐리될 수 있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일 예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표준화되고 있는 아키텍처이다. 이 분야에서의 최근 개발은 보통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라디오 액세스 기술의 LTE(long-term evolution)로 지칭된다. E-UTRA(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는 모바일 네트워크들에 대한 3GPP의 LTE(Long Term Evolution) 업그레이드 경로의 에어 인터페이스이다. LTE에서, 기지국들 또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들 ― 인핸스드 노드 AP(eNB)로 지칭됨 ― 은 커버리지 영역 또는 셀 내의 무선 액세스를 제공한다. LTE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들 또는 모바일 스테이션들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들로 지칭된다. LTE는 많은 개선 또는 개발을 포함하였다. LTE의 양태들은 또한 계속 개선되고 있다.
5G NR(New Radio) 개발은 3G 및 4G 무선 네트워크들의 초기의 진전과 유사하게, 5G의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한 계속된 모바일 광대역 진전 프로세스의 일부이다. 5G는 또한, 모바일 광대역에 더하여 새롭게 생겨나는 용례들을 목표로 한다. 5G의 목적은 무선 성능에서의 상당한 개선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새로운 레벨들의 데이터 레이트, 레이턴시, 신뢰성, 및 보안을 포함할 수 있다. 5G NR은 또한, 대규모 IoT(Internet of Things)를 효율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스케일링될 수 있고, 새로운 타입들의 미션 크리티컬 서비스들(mission-critical services)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ultra 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디바이스들은 높은 신뢰성 및 매우 낮은 레이턴시를 요구할 수 있다.
일반적인 양태에서, 디바이스, 시스템,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방법은 사용자 장비(UE)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두 개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을 포함하는 라디오 대역 조합(band combination, BC)에 대한 대역별 전력 분류(power class, PC)에 기초한 최대 전력에 대한 지원을 표시하는 단계 및 업링크 전력 제어에서,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에 대한 대역별 PC에 따라 최대 UE 송신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구현예들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CA)이 UE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라디오 BC는 둘 이상의 업링크 CA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방법은 UE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에 대한 대역별 PC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역별 기반으로 최대 전력에 대한 지원을 표시하는 단계는 UE가 각 업링크 대역에서 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라디오 대역이 두 개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을 포함한다면, 조합된 전력은 연관된 라디오 대역에 대한 PC로 제한될 수 있다.
일반적인 양태에서, 디바이스, 시스템,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방법은 사용자 장비(UE)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UE에 의해 사용되는 라디오 대역 조합(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capability)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UE 가용력의 표시에 기초하여 UE가 라디오 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UE가 라디오 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의 최대 전력의 합에 기초하여 총 UE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구현예들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는 UE에 의해 업링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이 지원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라디오 BC는 둘 이상의 업링크 CA를 지원할 수 있다.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는 UE가 각 업링크 대역에서 풀 전력(full power)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는 UE가 각 업링크 대역에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는 UE가 각 업링크 대역에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는 UE가 각 업링크 대역에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방법은 UE로부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에 대한 대역별 PC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라디오 BC에 대한 대응하는 대역과 연관된 최대 전력 분류에 기초하여 각 대역에 대한 최대 허용 UE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및 업링크 전력 제어에서, 라디오 BC에 대한 BC별 전력 분류를 고려하지 않고 각 대역에 대한 최대 UE 송신 전력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UE에 의해 사용되는 라디오 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는 UE 전력 가용력 리포트에 포함될 수 있고, 그리고 UE 전력 가용력 리포트가 UE에 의해 사용되는 라디오 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업링크 전력 제어는 디폴트 전력 제어에 기초한다. 라디오 대역이 두 개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을 포함한다면, 조합된 전력은 연관된 라디오 대역에 대한 PC로 제한될 수 있다.
본 방법은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의 최대 전력의 합에서, 대응하는 대역 구성 내의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intra band)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를 뺀 것과 동일한 델타 값으로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UL CA에 대한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로 대체함으로써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이용해 하한 공식을 결정하기 위해 공식에서 합 대신에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대체함으로써 UL 대역간 CA에 대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예의 세부사항들은 첨부 도면들 및 아래의 설명에서 제시된다. 다른 특징들은 설명 및 도면들로부터, 그리고 청구항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호 흐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호 흐름의 다른 블록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up-link, UL)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UL)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UL)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테이션 또는 무선 노드(예를 들어, AP, BS, gNB, RAN 노드, 릴레이 노드, UE 또는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노드, 네트워크 엔티티, DU, CU-CP, CU-CP, … 또는 다른 노드)의 블록도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130)의 블록도이다. 도 1의 무선 네트워크(130)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들(131, 132, 133 및 135) ―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MS)들 또는 사용자 장비(UE)들로도 지칭될 수 있음 ― 은 기지국(BS)(134) ― 액세스 포인트(AP), 인핸스드 노드 B(eNB), BS, 차세대 노드 B(gNB), 차세대 인핸스드 노드 B(ng-eNB), 또는 네트워크 노드로도 지칭될 수 있음 ― 과 연결(및 통신)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 및 사용자 장비(UE)라는 용어들은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BS는 또한, RAN(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거나 RAN 노드로 지칭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분할된 BS의 경우에 중앙집중 유닛(centralized unit, CU) 및/또는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과 같은) BS의 일부분 또는 RAN 노드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BS(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AP), 기지국(BS) 또는 (e)노드 B(eNB), BS, RAN 노드)의 기능들의 적어도 일부는 또한, 원격 라디오 헤드와 같은 송수신기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노드, 서버 또는 호스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BS(또는 AP)(134)는 사용자 디바이스들(또는 UE들)(131, 132, 133 및 135)을 포함하는 셀(136) 내의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단지 네 개의 사용자 디바이스들(또는 UE들)이 BS(134)에 연결되거나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수의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BS(134)는 또한, S1 인터페이스 또는 NG 인터페이스(151)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150)에 연결된다. 이는 무선 네트워크의 단지 단순한 일례이고, 다른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예를 들어, BS(134)과 같은)은 무선 네트워크 내의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 노드의 예이다. BS(또는 RAN 노드)는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AP), gNB, eNB, 또는 이의 일부분(이를테면, 분할된 BS 또는 분할된 gNB의 경우에 중앙집중 유닛(CU) 및/또는 분산 유닛(DU)), 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또는 대안적으로 이로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S(또는 gNB)는 gNB-분산 유닛(gNB-DU)과 같은 분산 유닛(DU) 네트워크 엔티티, 및 다수의 DU들을 제어할 수 있는 중앙 유닛(CU)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예를 들어, 중앙 유닛(CU)은 gNB-중앙집중(또는 중앙) 유닛-제어 평면(control plane)(gNB-CU-CP)과 같은 제어 평면 엔티티, 및 gNB-중앙집중(또는 중앙) 유닛-사용자 평면(user plane)(gNB-CU-UP)과 같은 사용자 평면 엔티티로 분할 또는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U 서브 엔티티들(gNB-CU-CP, gNB-CU-UP)은 상이한 논리적 엔티티들 또는 상이한 소프트웨어 엔티티들(예를 들어, 통신하는 개별 또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엔티티들)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은 클라우드 등에서 동일한 하드웨어 또는 서버 상에서 실행 또는 제공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상이한 시스템들, 하드웨어 또는 서버들 상에서 실행되거나 물리적으로 별개인 상이한 하드웨어, 시스템들 또는 서버들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gNB/BS의 분할 구성에서, gNB 기능은 DU 및 CU로 분할될 수 있다. 분산 유닛(DU)은 하나 이상의 UE와의 무선 통신을 제공 또는 수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DU들은 하나 이상의 셀을 제공할 수 있고, UE가 데이터를 발신 또는 수신할 수 있게 하는 것과 같이, 무선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해 UE들이 DU와 통신하고/하거나 DU에 대한 연결을 수립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중앙집중(또는 중앙) 유닛(CU)은 예를 들어, DU에 배타적으로 할당된 기능들을 제외하고,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의 gNB 제어, 이동성 제어,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공유, 포지셔닝, 세션 관리 등과 같은 제어 기능들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연결된 DU에 대한 제어 기능들 및/또는 데이터 평면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CU는 프론트-홀(Fs) 인터페이스를 통해 DU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예를 들어, CU는 하나 이상의 DU과 통신한다).
예시적인 예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BS 노드(예를 들어, BS, eNB, gNB, CU/DU, …) 또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는 모바일 텔레통신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RAN(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UE가 네트워크 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BS 또는 RAN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RAN(RAN 노드들, 예를 들어, BS들 또는 gNB들)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UE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각 RAN 노드(예를 들어, BS, eNB, gNB, CU/DU, …) 또는 BS는 예를 들어, UE들이 RAN 노드를 통해 네트워크에 무선 액세스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UE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각 RAN 노드 또는 BS는 예를 들어, UE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RAN 노드에 무선 연결을 수립하고 UE들 중 하나 이상에 데이터를 발신하고/하거나 이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것과 같은 무선 통신 서비스들을 수행 또는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에 대한 연결을 수립한 후에, RAN 노드(예를 들어, BS, eNB, gNB, CU/DU, …)는 네트워크 또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UE에 포워딩할 수 있고/있거나, UE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포워딩할 수 있다. RAN 노드들(예를 들어, BS, eNB, gNB, CU/DU, …)은 예를 들어, UE들에 제어 정보(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와 같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것, UE들에 전달될 데이터가 있을 때 UE들을 페이징하는 것, 셀들 사이의 UE의 핸드오버를 보조하는 것, UE(들)로부터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UE(들)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자원들을 스케줄링하는 것, 하나 이상의 UE를 구성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발신하는 것 등과 같은 매우 다양한 다른 무선 기능들 또는 서비스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은 RAN 노드 또는 BS가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능의 몇몇 예들이다. 기지국은 또한, IAB(통합 액세스 및 백홀) 노드(릴레이 노드로도 알려짐)의 DU(분산 유닛) 부분일 수 있다. DU는 IAB 노드에 대한 액세스 링크 연결(들)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 디바이스(사용자 단말, 사용자 장비(UE), 모바일 단말, 핸드헬드 무선 디바이스 등)는 다음의 타입들의 디바이스들: 예들로서, 모바일 스테이션(MS), 모바일 폰, 셀 폰, 스마트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핸드셋, 무선 모뎀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알람 또는 측정 디바이스 등), 랩톱 및/또는 터치 스크린 컴퓨터, 태블릿, 패블릿, 게임 콘솔, 노트북, 차량, 센서,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가입자 식별 모듈(SIM)(유니버셜 SIM으로 지칭될 수 있음)과 함께 또는 이것 없이 동작하는 무선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또한, 거의 배타적인 업링크 전용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음), 이의 예는 네트워크에 이미지들 또는 비디오 클립들을 로딩하는 카메라 또는 비디오 카메라이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또한, IAB(통합 액세스 및 백홀) 노드(릴레이 노드로도 알려짐)의 MT(모바일 단말) 부분일 수 있다. MT는 IAB 노드에 대한 백홀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예시적인 예로서) LTE에서, 코어 네트워크(150)는 EPC(Evolved Packet Core)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는 BS들 사이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이동성/핸드오버를 핸들링 또는 보조할 수 있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BS들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들 또는 인터넷 사이에서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포워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및 다른 제어 기능들 또는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5G(NR(New Radio)로 지칭될 수 있음)와 같은 다른 타입들의 무선 네트워크들은 또한,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5G/NR에서 5GC로 지칭될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예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 또는 기법들은 다양한 타입들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또는 데이터 서비스 타입들에 적용될 수 있거나, 상이한 데이터 서비스 타입들일 수 있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적용될 수 있다. New Radio(5G) 개발은 예를 들어, 머신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s, MTC), 인핸스드 머신 타입 통신(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eMTC), 대규모 MTC(massive MTC, mMTC), IoT(Internet of Things), 및/또는 협대역 IoT 사용자 디바이스들, 인핸스드 모바일 광대역(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및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URLLC)과 같은 다수의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다수의 상이한 데이터 서비스 타입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이들 뉴 5G(NR) ― 관련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다수는 일반적으로 이전의 무선 네트워크들보다 더 높은 성능을 요구할 수 있다.
IoT는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 연결성을 가질 수 있는 계속 늘어나는 객체들 ― 이들 객체들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정보를 발신하고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 ― 의 그룹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센서 타입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디바이스들은 물리적 조건 또는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벤트가 발생할 때, 서버 또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리포트를 발신할 수 있다. 머신 타입 통신(MTC, 또는 머신 투 머신 통신)은 예를 들어, 인간의 개입으로 또는 인간의 개입 없이, 지능형 머신들 사이의 완전 자동 데이터 생성, 교환, 처리 및 작동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인핸스드 모바일 광대역(eMBB)은 LTE에서 현재 이용가능한 것보다 훨씬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지원할 수 있다.초고신뢰 저지연 통신(URLLC)은 새로운 데이터 서비스 타입, 또는 새로운 사용 시나리오이며, 이는 New Radio(5G) 시스템들에 대해 지원될 수 있다.
이는 산업 자동화, 자율 주행, 차량 안전, e-헬스 서비스 등과 같은 새로운 애플리케이션들 및 서비스들이 떠오를 수 있게 한다. 3GPP는 예시적인 예로서 10-5의 블록 에러 레이트(block error rate, BLER) 및 최대 1 ms U-평면(사용자/데이터 평면) 레이턴시에 대응하는 신뢰성을 갖는 연결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URLLC 사용자 디바이스들/UE들은 (동시 고신뢰성에 대한 요구사항을 갖거나 갖지 않고) 낮은 레이턴시뿐만 아니라 다른 타입들의 사용자 디바이스들/UE들보다 상당히 더 낮은 블록 에러 레이트를 요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URLLC UE(또는 UE 상의 URLLC 애플리케이션)는 eMBB UE(또는 UE 상에서 실행되는 eMBB 애플리케이션)에 비해, 훨씬 더 짧은 레이턴시를 요구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LTE, LTE-A, 5G(NR(New Radio)), cmWave, 및/또는 mmWave 대역 네트워크, IoT, MTC, eMTC, mMTC, eMBB, URLLC 등, 또는 임의의 다른 무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기술과 같은 다양한 무선 기술들 또는 무선 네트워크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들 예시적인 네트워크들, 기술들 또는 데이터 서비스 타입들은 단지 예시적인 예들로서 제공된다.
초기에, LTE 사양에 전력 분류 3(23dBm, 이하 PC3로 지칭함)가 포함되었다. 이후에, 단일 대역 동작을 위한 많은 TDD 대역들에 전력 분류 2(26dBm, 이하 PC2로 지칭함)가 도입되었다. 3GPP에서 단일 대역에 대한 PC2에 대한 사양이 안정적으로 되는 것에 대응하여, PC2를 대역간 CA, 이중 연결성 등과 같은 대역 조합들에 적용하는 것이 시작되었다. 이중 연결성은 또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의 일반화로서 생성되었고, CA의 대부분의 양태들(이를테면, UL 전력)은 또한 DC를 적용할 수 있다(이 이중 연결성은 때때로 일반적으로 다중 연결성으로 지칭된다). PC2에 대한 요구는 원래 메인 대역들이 TDD 대역들인 오퍼레이터들로부터 나왔다. 이제, UE가 훨씬 더 높은 전력으로 송신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용량을 개선하는 것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더 많은 오퍼레이터들이 자신들의 동작 대역들에 대해 PC2를 가질 것을 요청해왔다.
현재 표준들은 특정 경우들에서 UE가 전체 UE 하드웨어 가용력을 이용하는 것을 PC가 제한할 수 있도록 전력 분류(PC)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현재 사양들은 업링크(UL) 대역간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 동안 최대 가능한 전력으로 송신하기 위해 UE의 하드웨어 가용력을 제한한다. 표 1은 UL 대역간 CA에 대한 예시적인 표준 UE PC2를 예시한다. 표 1은 캐리어 x 및 y로부터의 전력의 합이 26dBm보다 크더라도(이를테면 케이스 b와 케이스 c 둘 모두에 대해 27.8dBm 그리고 케이스 d에 대해 29dBm), 총 전력은 26dBm인 UL 대역간 CA에 대한 UE 전력 분류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UE 전력 분류 UL 대역간 CA NR 캐리어 x 전력 분류 NR 캐리어 y 전력 분류
케이스 a 26dBm 23dBm 23dBm
케이스 b 26dBm 23dBm 26dBm
케이스 c 26dBm 26dBm 23dBm
케이스 d 26dBm 26dBm 26dBm
상기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UE의 가용력에 기초하여 UE의 대역별 UL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알 수 있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UE는 PC와 연관된 가용력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리포트할 수 있고, UE가 각 UL 대역에서 풀 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사용된 대역 구성에 대한 PC와 연관된 리포트된 UE 가용력에 기초하여 UE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UE가 각 UL 대역에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필드가 UE 가용력 리포트에 추가될 수 있다. 해당 필드가 UE 가용력 리포트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네트워크는 UE가 각 UL 대역에서 풀 전력으로 동시에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것(그리고/또는 현재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서 간주할 수 있다.
UE 관점에서, UE가 UL CA(및 MR-DC) 대역 구성에 대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이 문헌에서 때때로 UE 가용력 fullPowerUL-CA로 라벨링됨)는 것을 UE가 자신의 UE 가용력에서 네트워크에 표시하지 않고/않거나, UE가 PC를 리포트하지 않는다면, 디폴트 (대역 구성별) PC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폴트 (대역 구성별) PC(예를 들어, NR RRC에서, UE 가용력 BandCombination:: powerClass-v1530 또는 BandCombination:: ue PowerClass-v1610)가 적용될 수 있다. UE가 UL CA(및 MR-DC) 대역 구성에 대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예를 들어, fullPowerUL-CA)는 것을 UE가 자신의 UE 가용력에서 네트워크에 표시하지 않고 UE가 UL CA 대역 구성에 대한 PC를 리포트한다면, 리포트된 PC가 적용될 수 있다. UE가 UL CA(및 MR-DC) 대역 구성에 대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예를 들어, fullPowerUL-CA)는 것을 UE가 자신의 UE 가용력에서 네트워크에 표시한다면, UE 표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PC와 연관된 리포트된 대역별 가용력에 기초하여 UE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네트워크 관점에서, UE가 UL CA(및 MR-DC) 대역 구성에 대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예를 들어, fullPowerUL-CA)는 것을 표시하는 필드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네트워크는 UE의 PC가 디폴트라고 간주한다. 예를 들어, UL CA에 대한 PC가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면, PC3 또는 PC. 이에 따라, 네트워크는 UL CA에 대한 총 전력 내의 각 대역에 대한 전력 할당량을 고려함으로써 UE의 대역들의 전력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UE가 UL CA(및 MR-DC) 대역 구성에 대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예를 들어, fullPowerUL-CA)는 것을 표시하는 필드가 존재한다면, 네트워크는 시그널링되는 경우 UL CA에 대한 BC별 PC를 무시하고 대역별 PC만을 이용할 수 있고, BC별 전력 배당과 독립적으로 UE의 대역들의 전력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UE가 UL CA(및 MR-DC) 대역 구성에 대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예를 들어, fullPowerUL-CA)는 것을 표시하는 필드가 존재한다면, UL CA에 대한 PC는 단일 대역 동작에 적용가능한 바와 같은 각 대역의 각 PC들의 합으로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UE는 UL CA 대역 구성의 UE 가용력 내의 각 대역의 추가적인 PC들을 리포트할 수 있고, 전력을 제한할 수 있는 임의의 레거시(대역별 또는 BC별) PC 시그널링을 오버라이드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한 해결책들의 일부 장점들은 예시적인 구현예들이 UL CA뿐만 아니라 MR-DC에 이를 적용하도록 스케일링될 수 있다는 것일 수 있다. 네트워크는 UL CA/MR-DC의 커버리지 및 용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UE의 실제 디바이스 가용력의 최대 사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새로운 PC가 도입될 때마다 새롭게 정의된 PC들에 대한 네트워크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필요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은 UE의 전력 가용력을 최대화하여 UE/칩셋 벤더들에게 UE 설계에 있어서의 자유를 제공할 수 있다. 더 양호한 하드웨어 설계를 갖는 UE들은 네트워크 내에서 UL 대역간 CA 모드 동안 UE가 달성가능한 전력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UL 대역간 CA에 대한 개별 NR 대역들의 전력 분류들을 표시하기 위한 기법들의 도입은 네트워크가 UL 대역간 CA에 대한 대역별 달성가능한 최대 전력을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구현예들은 네트워크가 개별 전력에 기초하여 스케줄링을 최적화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호 흐름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흐름은 UE(205)와 네트워크 디바이스(210) 사이의 통신을 포함한다. UE(205)는 UE 가용력 리포트를 네트워크 디바이스(210)에 통신한다(215)(예를 들어, 메시지 또는 신호들). 예를 들어, UE 가용력 리포트는 전력 분류(PC)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PC 정보는 대역별 P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 정보는 각 대역(예를 들어, 대역 A, 대역 B, 및/또는 기타)에 대한 PC(예를 들어, PC2, PC3, 및/또는 기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C 정보는 UL CA에 대한 대역 조합(BC)별 P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 정보는 BC별 PC(예를 들어, PC2, PC3, 및/또는 기타)를 포함할 수 있다. PC 정보가 BC별 PC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BC별 디폴트 PC는 PC3일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에 따르면, PC 정보는 UE(205)가 각 UL 대역에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필드는 UE(205)가 UL CA(및 MR-DC) 대역 구성에 대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때때로 fullPowerUL-CA로 라벨링됨).
이 필드가 포함된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210)는 UL 전력을 각 대역에 대해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220).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210)는 개별 대역들 및/또는 이 대역 조합의 대역내 CA에 대해 UE(205)가 지원하는 각 NR 대역 및/또는 대역내 NR CA 전력 분류들의 합으로서 UE(205) 전력 분류를 결정할 수 있다. 대역이 두 개 이상의 UL 구성요소 캐리어들을 포함한다면, 조합된 전력은 연관된 대역에 대한 PC로 제한된다. 이 필드가 없다면, 이 대역 조합(BC)의 전력 분류는 예를 들어, 3GPP TS 38.101-1 및 3GPP TS 38.101-3에 규정된 바와 같은 리포트된 전력 분류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210)는 대역별 CA 전력을 UE(205)에 시그널링하는 것을 통신한다(225)(예를 들어, 메시지 또는 신호들). 대역별 CA 전력은 PC 정보로서 통신되는 BC별 PC(예를 들어, PC2, PC3, 및/또는 기타)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UE(205) 전력 분류는 개별 대역들 및/또는 이 대역 조합의 대역내 CA에 대해 UE(205)가 지원하는 각 NR 대역 및/또는 대역내 NR CA 전력 분류들의 합일 수 있다. 그 후, UE(205)는 각 대역에 독립적인 최대 UL CA 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다(230). 최대 UL CA 전력은 연관된 대역에 대한 UE 리포트된 PC일 수 있다. 대역이 두 개 이상의 UL 구성요소 캐리어들을 포함한다면(예를 들어, 대역내 CA), 조합된 전력은 연관된 대역에 대한 UE 리포트된 PC로 제한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호 흐름의 다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흐름은 UE(205)와 네트워크 디바이스(210) 사이의 통신을 포함한다. 신호 흐름은 UE 가용력 리포트를 시그널링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210)는 UE 가용력 문의를 통신한다(310)(예를 들어, 메시지 또는 신호들). UE 가용력 문의는 UE 가용력 정보에 대한 요청일 수 있다. UE 가용력 문의는 UE(205)가 라디오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될 때(305) 통신될 수 있다. UE 가용력 문의는 초기 RRC 등록 프로세스 동안에 그리고/또는 RRC 연결 상태 동안 임의의 시간에 통신되는 RRC 메시지일 수 있다. UE 가용력 문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210)가 UE에 의해 지원되는 지원 CA 대역 구성들 및 비 CA 대역들을 요청하는 구성요소 캐리어의 최대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UE(205)는 적어도, 지원되는 대역들 및 대역 조합들(BC)을 포함하는 UE 가용력을 컴파일링(또는 생성)할 수 있다. UE 가용력은 적어도, 전력 가용력을 포함하는 RF 가용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가용력은 대역 가용력 또는 대역 조합 가용력일 수 있다. 전력 가용력은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전력 분류(PC) 정보 또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 또는 이중 연결(DC) 대역 조합에 대한 전력 분류(PC)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UE(205)는 UE 가용력 문의에 응답하여 UE 가용력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210)에 통신한다(320)(예를 들어, 메시지 또는 신호들). 그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UE 가용력에 기초하여 UE 전력 분류(PC)를 결정한다(325). 위에서 더 상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210)는 대역 구성의 개별 대역들 및/또는 대역내 CA에 대해 UE(205)가 지원하는 각 NR 대역 및/또는 대역내 NR CA 전력 분류들의 합으로서 UE(205) 전력 분류를 결정할 수 있다. 대역이 두 개 이상의 UL 구성요소 캐리어들을 포함한다면, 조합된 전력은 연관된 대역에 대한 PC로 제한된다. 이 필드가 없다면, 이 대역 구성(BC)의 전력 분류는 예를 들어, 3GPP TS 38.101-1 및 3GPP TS 38.101-3에 규정된 바와 같은 리포트된 전력 분류일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up-link, UL)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405에서, 업링크(UL)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 전력 가용력 리포트가 수신된다. 예를 들어, UE는 UE 가용력 리포트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통신할 수 있다(예를 들어, 메시지 또는 신호). UE 가용력 리포트는 전력 분류(PC)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PC 정보는 대역별 PC를 포함할 수 있다. PC 정보는 각 대역(예를 들어, 대역 A, 대역 B, 및/또는 기타)에 대한 PC(예를 들어, PC2, PC3, 및/또는 기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C 정보는 UL CA에 대한 대역 조합(BC)별 PC를 포함할 수 있다. PC 정보는 BC별 PC(예를 들어, PC2, PC3, 및/또는 기타)를 포함할 수 있다. PC 정보가 BC별 PC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BC별 디폴트 PC는 PC3일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에 따르면, PC 정보는 UE가 각 UL 대역에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필드는 UE가 UL CA(및 MR-DC) 대역 구성에 대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때때로 fullPowerUL-CA로 라벨링됨).
단계 S410에서, UE가 각 UL 대역에서 풀 전력에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예를 들어, fullPowerUL-CA)는 것을 표시하는 필드를 리포트가 포함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UE가 각 UL 대역에서 풀 전력에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필드를 리포트가 포함하지 않는다면, 처리는 단계 S415로 계속된다. 그렇지 않고, UE가 각 UL 대역에서 풀 전력에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필드를 리포트가 포함한다면, 처리는 단계 S425로 계속된다.
단계 S415에서, 총 업링크 전력과 UL CA에 대한 PC 내의 각 대역에 대한 UL 전력 배당량 둘 모두에 기초하여 UL 전력이 제어된다. 예를 들어, UL 전력은 대역별 UL 전력 배당량을 갖는 PC(예를 들어, PC2 또는 PC3)와 연관된 최대 UE 전력일 수 있으며, 여기서 대역별 UL 전력들 중 단지 하나만이 최대일 수 있다. 대역별 UL 전력들 둘 모두는 UL CA에 대한 PC가 CA 내의 대역별 PC들의 합과 동일할 때에만 최대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UL 전력은 PC의 선형 값일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PC는 표준에 기초할 수 있다. 그 후, 단계 S420에서, 총 UL 전력과 각 대역에 대한 UL 전력에 기초하여 UL 전력을 제어할 것이 UE에 시그널링된다. 예를 들어, UE 전력 제어가 UE에 (예를 들어, 메시지 또는 신호로) 통신된다.
단계 S425에서, UL 전력은 각 대역에 대해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예를 들어,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는 개별 대역들 및/또는 이 대역 조합의 대역내 CA에 대해 UE가 지원하는 각 NR 대역 및/또는 대역내 NR CA 전력 분류들의 합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는 전술한 합에서, 대역 구성 내의 각 NR 대역 및/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최대치를 뺀 것과 연관된 동일한 델타 값으로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의 완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3GPP TS 38.101-1 또는 3GPP TS 38.101-3에 규정된 최대 출력 전력을 사용하여(또는 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UL CA에 대한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로 대체함으로써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킨다.
UE는 각 대역에 독립적인 최대 UL CA 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최대 UL CA 전력은 연관된 대역에 대한 UE 리포트된 PC일 수 있다. 대역이 두 개 이상의 UL 구성요소 캐리어들을 포함한다면(예를 들어, 대역내 CA), 조합된 전력은 연관된 대역에 대한 UE 리포트된 PC로 제한될 수 있다. 그 후, 단계 S430에서, UL 전력을 각 대역에 대해 독립적으로 제어할 것이 UE에 시그널링된다. 예를 들어, 각 대역에 대한 최대 UL CA 전력이 전력 배당량을 고려하지 않고 (예를 들어, 메시지 또는 신호로) UE에 통신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상한을 결정하기 위해 공식에서 전술한 합은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로 대체되는 한편,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결정하기 위해 공식에서 UL CA에 대한 각 NR 대역 및/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최대치는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로 대체된다. 달리 말하면,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이용해 하한 공식을 결정하기 위해 공식에서 합 대신에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대체함으로써 UL 대역간 CA에 대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킨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상한을 결정하기 위해 공식에서 전술한 합은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로 대체되는 한편,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상한을 결정하기 위해 공식에서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는 유지된다. 달리 말하면,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이용해 하한 공식을 결정하기 위해 공식에서 합 대신에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대체함으로써 UL 대역간 CA에 대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킨다.
예시적인 구현예들은 수학적으로 예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어그리게이트된 서빙 셀들에서 동일한 슬롯 심볼 패턴이 사용될 때 동작 대역별 하나의 서빙 셀 c를 갖는 업링크 대역간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에 대해,
PCMAX _L = MIN {10log10∑ MIN [ pEMAX,c/ (ΔtC,c), pPowerClass,c/(MAX(mprc,a-mprc)·ΔtC,c ·ΔtIB,c·ΔtRxSRS,c) , pPowerClass,c/pmprc], PEMAX,CA, PPowerClass,CA - ΔTFull },
PCMAX _H = MIN{10 log10 ∑ pEMAX,c , PEMAX,CA, PPowerClass,CA}일 수 있으며,
여기서
pEMAX,c는 서빙 셀 c에 대해 IE P-Max로 주어지는 pEMAX,c의 선형 값이며;
pPowerClass,c는 공차를 고려하지 않고 3GPP TS38.101-1의 표 6.2.1-1에 규정된 서빙 셀 c에 대한 최대 UE 전력의 선형 값이며;
fullPowerUL -CA의 필드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PPowerClass,CA는 3GPP TS38.101-1의 표 6.2A.1.3-1에 규정된 공차를 고려하지 않고 3GPP TS38.101-1의 표 6.2A.1.3-1에 규정된 최대 UE 전력이며;
PPowerClass,CA는 PPowerClass,CA의 선형 값이며;
fullPowerUL -CA의 필드가 존재한다면, PPowerClass,CA = ∑ pPowerClass,c이며;
ΔtFull은 ΔtFull = ∑ pPowerClass,c - MAX(pPowerClass,c)로서 정의된 ΔTFull의 선형 값이다. ΔTFullfullPowerUL -CA의 필드가 존재한다면 적용된다.
예 1.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의 블록도이다. 동작 S505는 사용자 장비(UE)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두 개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을 포함하는 라디오 대역 조합(BC)에 대한 대역별 전력 분류(PC)에 기초한 최대 전력에 대한 지원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동작 S510는 업링크 전력 제어에서,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에 대한 대역별 PC에 따라 최대 UE 송신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 2. 예 1에 있어서, 업링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이 UE에 의해 지원되는 것인, 방법.
예 3. 예 2에 있어서, 라디오 BC는 둘 이상의 업링크 CA를 지원하는 것인, 방법.
예 4. 예 1 내지 예 3에 있어서, UE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에 대한 대역별 PC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 5. 예 1 내지 예 4에 있어서, 대역별 기반으로 최대 전력에 대한 지원을 표시하는 단계는 UE가 각 업링크 대역에서 최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방법.
예 6. 예 1 내지 예 5에 있어서, 라디오 대역이 두 개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을 포함한다면, 조합된 전력은 연관된 라디오 대역에 대한 PC로 제한되는 것인, 방법.
예 7.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의 블록도이다. 동작 705는 사용자 장비(UE)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UE에 의해 사용되는 라디오 대역 조합(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동작 710은 UE 가용력의 표시에 기초하여 UE가 라디오 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동작 715는 UE가 라디오 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의 최대 전력의 합에 기초하여 총 UE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 8. 예 7에 있어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는 UE에 의해 업링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이 지원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방법.
예 9. 예 7 및 예 8에 있어서, 라디오 BC는 둘 이상의 업링크 CA를 지원하는 것인, 방법.
예 10. 예 7 내지 예 9에 있어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는 UE가 각 업링크 대역에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방법.
예 11. 예 7 내지 예 10에 있어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는 UE가 각 업링크 대역에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방법.
예 12. 예 7 내지 예 11에 있어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는 UE가 각 업링크 대역에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방법.
예 13. 예 7 내지 예 12에 있어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는 UE가 각 업링크 대역에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방법.
예 14. 예 7 내지 예 13에 있어서, UE로부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에 대한 대역별 PC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 15. 예 7 내지 예 14에 있어서, 라디오 BC에 대한 대응하는 대역과 연관된 최대 전력 분류에 기초하여 각 대역에 대한 최대 허용 UE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및 업링크 전력 제어에서, 라디오 BC에 대한 BC별 전력 분류를 고려하지 않고 각 대역에 대한 최대 UE 송신 전력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 16. 예 7 내지 예 15에 있어서, UE에 의해 사용되는 라디오 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는 UE 전력 가용력 리포트에 포함되고, 그리고 UE 전력 가용력 리포트가 UE에 의해 사용되는 라디오 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업링크 전력 제어는 디폴트 전력 제어에 기초하는 것인, 방법.
예 17. 예 7 내지 예 16에 있어서, 라디오 대역이 두 개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을 포함한다면, 조합된 전력은 연관된 라디오 대역에 대한 PC로 제한되는 것인, 방법.
예 18. 예 7 내지 예 17에 있어서,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의 최대 전력의 합에서, 대응하는 대역 구성 내의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를 뺀 것과 동일한 델타 값으로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 19. 예 7 내지 예 18에 있어서,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UL CA에 대한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로 대체함으로써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 20. 예 7 내지 예 19에 있어서,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이용해 하한 공식을 결정하기 위해 공식에서 합 대신에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대체함으로써 UL 대역간 CA에 대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 21. 명령어들을 저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명령어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예 1-2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것인,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예 22. 예 1-2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예 23.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세서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예 1-2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것인, 장치.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테이션(700) 또는 무선 노드 또는 네트워크 노드(700)의 블록도이다. 무선 노드 또는 무선 스테이션 또는 네트워크 노드(700)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예를 들어, AP, BS, gNB, RAN 노드, 릴레이 노드, UE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 네트워크 노드, 네트워크 엔티티, DU, CU-CP, CU-UP, …또는 다른 노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스테이션(70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 개의) 라디오 주파수(RF) 또는 무선 송수신기(702A, 702B)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각 무선 송수신기는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 및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한다. 무선 스테이션은 또한, 명령어들 또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 또는 제어 유닛/엔티티(제어기)(704), 및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706)를 포함한다.
프로세서(704)는 또한, 판단 또는 결정을 행하고, 송신을 위한 프레임들, 패킷들 또는 메시지들을 생성하고, 추가 처리를 위해 수신된 프레임들 또는 메시지들을 디코딩하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른 태스크들 또는 기능들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대역 프로세서일 수 있는 프로세서(704)는 무선 송수신기(702)(702A 또는 702B)를 통한 송신을 위한 메시지들, 패킷들, 프레임들 또는 다른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704)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신호들 또는 메시지들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무선 송수신기(702)에 의해 하향 변환된 후에)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신호들 또는 메시지들의 수신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704)는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태스크들 및 기능들, 이를테면 위에서 설명된 태스크들 또는 방법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래밍가능하고 메모리에 또는 다른 컴퓨터 매체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또는 다른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프로세서(704)는 예를 들어, 하드웨어,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실행하는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용어를 사용하면, 프로세서(704)와 송수신기(702)는 함께, 예를 들어, 무선 송신기/수신기 시스템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제어기(또는 프로세서)(708)는 소프트웨어 및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고, 무선 스테이션(700)에 대한 전체 제어를 제공할 수 있고, 입력/출력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키패드)을 제어하는 것과 같은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시스템들에 대한 제어를 제공할 수 있고/있거나, 예를 들어, 이메일 프로그램, 오디오/비디오 애플리케이션들, 워드 프로세서, IP 전화(Voice over IP)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와 같은 무선 스테이션(700) 상에 제공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제어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704), 또는 다른 제어기 또는 프로세서가 위에서 설명된 기능들 또는 태스크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RF 또는 무선 송수신기(들)(702A/702B)는 신호들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고/하거나 신호들 또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발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704)(그리고 가능하게는 송수신기들(702A/702B))는 신호들 또는 데이터를 수신, 발신, 브로드캐스팅 또는 송신하도록 RF 또는 무선 송수신기(702A 또는 702B)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예로서 주어진 시스템에 제한되지 않지만, 당업자는 본 해결책을 다른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할 수 있다. 적합한 통신 시스템의 다른 예는 5G 시스템이다. 5G에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LTE 어드밴스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매우 유사할 것으로 가정된다. 5G는 더 작은 스테이션들과 협력하여 동작하고 아마도 더 양호한 커버리지 및 향상된 데이터 레이트들을 위해 다양한 라디오 기술들을 또한 채용하는 매크로 사이트들을 포함하여, LTE(소위 소형 셀 개념)보다 더 많은 기지국들 또는 노드들인 다중 입력-다중 출력(MIMO) 안테나들을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
미래의 네트워크들은 네트워크 노드 기능들을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함께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링크될 수 있는 "빌딩 블록들" 또는 엔티티들로 가상화하는 것을 제안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개념인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를 이용할 가능성이 가장 클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가상화된 네트워크 기능(virtualized network function, VNF)은 맞춤형 하드웨어 대신에 표준 또는 일반 유형 서버들을 사용하여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가상 머신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또는 데이터 스토리지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라디오 통신에서, 이는 노드 동작들이 원격 라디오 헤드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서버, 호스트 또는 노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노드 동작들이 복수의 서버들, 노드들 또는 호스트들 사이에 분산될 것이 또한 가능하다. 코어 네트워크 동작들과 기지국 동작들 사이의 작업의 분산은 LTE의 작업과 상이할 수 있거나 심지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법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부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에서,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에 의한 실행을 위해 또는 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정보 캐리어에, 예를 들어, 머신 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에, 또는 전파된 신호에 유형적으로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또한, 비일시적인 매체일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기법들의 실시예들은 또한, 일시적인 신호들 또는 매체들을 통해 제공되는 실시예들, 및/또는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들), 어느 하나의 유선 네트워크들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들을 통해 다운로드가능한 프로그램들 및/또는 소프트웨어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머신 타입 통신(MTC)을 통해, 그리고 또한 IOT(Internet of Things)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소스 코드 형태, 객체 코드 형태, 또는 일부 중간 형태일 수 있고, 이는 프로그램을 캐리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엔티티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는 캐리어, 배포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일부 부류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캐리어들은 예를 들어, 기록 매체, 컴퓨터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광전 및/또는 전기 캐리어 신호, 텔레통신 신호, 및 소프트웨어 배포 패키지를 포함한다. 필요한 처리 전력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은 단일 전자 디지털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거나 다수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법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사이버물리 시스템(cyber-physical system, CPS)(물리적 엔티티들을 제어하는 계산 요소들을 협력하는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CPS는 상이한 위치들에서 물리적 객체들에 임베딩된 대량의 상호연결된 ICT 디바이스들(센서들, 액추에이터들, 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의 구현 및 이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논의되고 있는 물리적 시스템이 내재하는 이동성을 갖는 모바일 사이버 물리 시스템들은 사이버 물리 시스템들의 하위 카테고리이다. 모바일 물리 시스템들의 예들은 사람 또는 동물에 의해 수송되는 모바일 로봇들 및 전자 기기들을 포함한다. 스마트폰의 인기의 상승은 모바일 사이버 물리 시스템들의 영역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법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들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링되거나 해석된 언어들을 포함하여,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이의 다른 유닛 또는 부분으로서를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디플로이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또는 하나의 사이트에서의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연결되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실행되도록 디플로이될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은 입력 데이터에 대해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부분들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은 또한, 특수 목적 논리 회로부, 예를 들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장치는 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과 특수 목적 마이크로 프로세서들 둘 모두,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 칩 또는 칩셋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모두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또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 예를 들어, 자기, 광자기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둘 모두를 위해 동작가능하게 결합될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EPROM,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자기 디스크들, 예를 들어, 내부 하드 디스크들 또는 탈착식 디스크들; 광자기 디스크들; 및 CD ROM 및 DVD-ROM 디스크들을 포함하여, 모든 형태들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부에 의해 보완될 수 있거나, 특수 목적 논리 회로부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예를 들어, CRT(cathode ray tub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 및 사용자가 컴퓨터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키보드 및 포인팅 디바이스, 예를 들어, 마우스 또는 트랙볼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컴퓨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종류들의 디바이스들이 또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은 임의의 형태의 감각 피드백, 예를 들어,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또는 촉각 피드백일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은 음향, 음성, 또는 촉각 입력을 포함하여, 임의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로서 백 엔드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미들웨어 구성요소,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거나, 사용자가 실시예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프론트 엔드 구성요소,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웹 브라우저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 또는 이와 같은 백 엔드, 미들웨어, 또는 프론트 엔드 구성요소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구성요소들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임의의 형태 또는 매체,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연결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들은 근거리 네트워크(LAN) 및 광역 네트워크(WAN), 예를 들어, 인터넷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특정 특징들이 예시되었지만, 이제 많은 수정, 치환, 변경 및 등가물들이 당업자들에게 구상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진정한 사상 내에 속하는 모든 상기와 같은 수정 및 변경을 커버하도록 의도된 것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80)

  1.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두 개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을 포함하는 라디오 대역 조합(band combination, BC)에 대한 대역별 전력 분류(power class, PC)에 기초한 최대 전력에 대한 지원을 표시하는 단계; 및
    업링크 전력 제어에서,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에 대한 상기 대역별 PC에 따라 최대 UE 송신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업링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CA)이 상기 UE에 의해 지원되는 것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BC는 둘 이상의 업링크 CA를 지원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에 대한 상기 대역별 PC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역별 기반으로 상기 최대 전력에 대한 지원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UE가 각 업링크 대역에서 최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디오 대역이 두 개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을 포함한다면, 상기 조합된 전력은 연관된 라디오 대역에 대한 상기 PC로 제한되는 것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의 최대 전력의 합에서, 대응하는 대역 구성 내의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intra band)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를 뺀 것과 동일한 델타 값으로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상기 UL CA에 대한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로 대체함으로써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이용해 하한 공식을 결정하기 위해 공식에서 합 대신에 상기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대체함으로써 UL 대역간(inter-band) CA에 대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UE)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상기 UE에 의해 사용되는 라디오 대역 조합(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capability)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UE 가용력의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UE가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UE가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의 최대 전력의 합에 기초하여 총 UE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는 상기 UE에 의해 업링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이 지원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BC는 둘 이상의 업링크 CA를 지원하는 것인,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는 상기 UE가 각 업링크 대역에서 풀 전력(full power)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로부터,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에 대한 대역별 전력 분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대응하는 대역과 연관된 최대 전력 분류에 기초하여 각 대역에 대한 최대 허용 UE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및
    업링크 전력 제어에서,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BC별 전력 분류를 고려하지 않고 각 대역에 대한 상기 최대 UE 송신 전력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상기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상기 UE 가용력의 표시는 UE 전력 가용력 리포트에 포함되고, 그리고
    상기 UE 전력 가용력 리포트가 상기 UE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상기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상기 UE 가용력의 표시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업링크 전력 제어는 디폴트 전력 제어에 기초하는 것인, 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디오 대역이 두 개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을 포함한다면, 상기 조합된 전력은 연관된 라디오 대역에 대한 전력 분류로 제한되는 것인, 방법.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의 최대 전력의 상기 합에서, 대응하는 대역 구성 내의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를 뺀 것과 동일한 델타 값으로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상기 UL CA에 대한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로 대체함으로써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0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이용해 하한 공식을 결정하기 위해 공식에서 상기 합 대신에 상기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대체함으로써 UL 대역간 CA에 대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명령어들을 저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사용자 장비(UE)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상기 UE에 의해 사용되는 라디오 대역 조합(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를 수신하게 하도록;
    상기 UE 가용력의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UE가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도록; 그리고
    상기 UE가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의 최대 전력의 합에 기초하여 총 UE 송신 전력을 결정하게 하도록 구성된 것인,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2. 제21항에 있어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는 상기 UE에 의해 업링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이 지원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상기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상기 UE 가용력의 표시는 UE 전력 가용력 리포트에 포함되고, 그리고
    상기 UE 전력 가용력 리포트가 상기 UE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상기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상기 UE 가용력의 표시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업링크 전력 제어는 디폴트 전력 제어에 기초하는 것인,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BC는 둘 이상의 업링크 CA를 지원하는 것인,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는 상기 UE가 각 업링크 대역에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6.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기 UE로부터,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에 대한 대역별 전력 분류를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7.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대응하는 대역과 연관된 최대 전력 분류에 기초하여 각 대역에 대한 최대 허용 UE 송신 전력을 계산하게 하도록; 그리고
    업링크 전력 제어에서,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BC별 전력 분류를 고려하지 않고 각 대역에 대한 상기 최대 UE 송신 전력을 적용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8. 제2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디오 대역이 두 개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을 포함한다면, 상기 조합된 전력은 연관된 라디오 대역에 대한 전력 분류로 제한되는 것인,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9. 제2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의 최대 전력의 상기 합에서, 대응하는 대역 구성 내의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를 뺀 것과 동일한 델타 값으로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0. 제2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상기 UL CA에 대한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로 대체함으로써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1. 제2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기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이용해 하한 공식을 결정하기 위해 공식에서 상기 합 대신에 상기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대체함으로써 UL 대역간 CA에 대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2. 장치로서,
    사용자 장비(UE)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상기 UE에 의해 사용되는 라디오 대역 조합(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UE 가용력의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UE가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UE가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의 최대 전력의 합에 기초하여 총 UE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는 상기 UE에 의해 업링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이 지원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BC는 둘 이상의 업링크 CA를 지원하는 것인, 장치.
  35.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는 상기 UE가 각 업링크 대역에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장치.
  36. 제32항 내지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UE로부터,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에 대한 대역별 전력 분류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37. 제32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대응하는 대역과 연관된 최대 전력 분류에 기초하여 각 대역에 대한 최대 허용 UE 송신 전력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 및
    업링크 전력 제어에서,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BC별 전력 분류를 고려하지 않고 각 대역에 대한 상기 최대 UE 송신 전력을 적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38. 제32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상기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상기 UE 가용력의 표시는 UE 전력 가용력 리포트에 포함되고, 그리고
    상기 UE 전력 가용력 리포트가 상기 UE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상기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상기 UE 가용력의 표시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업링크 전력 제어는 디폴트 전력 제어에 기초하는 것인, 장치.
  39. 제32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디오 대역이 두 개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을 포함한다면, 상기 조합된 전력은 연관된 라디오 대역에 대한 전력 분류로 제한되는 것인, 장치.
  40. 제32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의 최대 전력의 상기 합에서, 대응하는 대역 구성 내의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를 뺀 것과 동일한 델타 값으로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41. 제32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상기 UL CA에 대한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로 대체함으로써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42. 제32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이용해 하한 공식을 결정하기 위해 공식에서 상기 합 대신에 상기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대체함으로써 UL 대역간 CA에 대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43.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사용자 장비(UE)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상기 UE에 의해 사용되는 라디오 대역 조합(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를 수신하게 하도록;
    상기 UE 가용력의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UE가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도록; 그리고
    상기 UE가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의 최대 전력의 합에 기초하여 총 UE 송신 전력을 결정하게 하도록 구성된 것인,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는 상기 UE에 의해 업링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이 지원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장치.
  45.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상기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상기 UE 가용력의 표시는 UE 전력 가용력 리포트에 포함되고, 그리고
    상기 UE 전력 가용력 리포트가 상기 UE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상기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상기 UE 가용력의 표시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업링크 전력 제어는 디폴트 전력 제어에 기초하는 것인, 장치.
  46. 제43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BC는 둘 이상의 업링크 CA를 지원하는 것인, 장치.
  47. 제43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역별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UE 가용력의 표시는 상기 UE가 각 업링크 대역에서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장치.
  48. 제43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UE로부터,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에 대한 대역별 전력 분류를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장치.
  49. 제43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대응하는 대역과 연관된 최대 전력 분류에 기초하여 각 대역에 대한 최대 허용 UE 송신 전력을 계산하게 하도록; 그리고
    업링크 전력 제어에서, 상기 라디오 BC에 대한 BC별 전력 분류를 고려하지 않고 각 대역에 대한 상기 최대 UE 송신 전력을 적용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장치.
  50. 제43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디오 대역이 두 개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을 포함한다면, 상기 조합된 전력은 연관된 라디오 대역에 대한 전력 분류로 제한되는 것인, 장치.
  51. 제43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의 최대 전력의 상기 합에서, 대응하는 대역 구성 내의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를 뺀 것과 동일한 델타 값으로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장치.
  52. 제43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상기 UL CA에 대한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로 대체함으로써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장치.
  53. 제43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이용해 하한 공식을 결정하기 위해 공식에서 상기 합 대신에 상기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대체함으로써 UL 대역간 CA에 대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장치.
  54. 명령어들을 저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사용자 장비(UE)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두 개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을 포함하는 라디오 대역 조합(BC)에 대한 대역별 전력 분류(PC)에 기초한 최대 전력에 대한 지원을 표시하게 하도록; 그리고
    업링크 전력 제어에서,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에 대한 상기 대역별 PC에 따라 최대 UE 송신을 적용하게 하도록 구성된 것인,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55. 제54항에 있어서, 업링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이 상기 UE에 의해 지원되는 것인,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BC는 둘 이상의 업링크 CA를 지원하는 것인,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57. 제54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기 UE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에 대한 상기 대역별 PC를 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58. 제54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역별 기반으로 상기 최대 전력에 대한 지원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UE가 각 업링크 대역에서 최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59. 제54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디오 대역이 두 개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을 포함한다면, 상기 조합된 전력은 연관된 라디오 대역에 대한 상기 PC로 제한되는 것인,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60. 제54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의 최대 전력의 합에서, 대응하는 대역 구성 내의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를 뺀 것과 동일한 델타 값으로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61. 제54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상기 UL CA에 대한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로 대체함으로써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62. 제54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기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이용해 하한 공식을 결정하기 위해 공식에서 합 대신에 상기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대체함으로써 UL 대역간 CA에 대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63. 장치로서,
    사용자 장비(UE)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두 개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을 포함하는 라디오 대역 조합(BC)에 대한 대역별 전력 분류(PC)에 기초한 최대 전력에 대한 지원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 및
    업링크 전력 제어에서,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에 대한 상기 대역별 PC에 따라 최대 UE 송신을 적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64. 제63항에 있어서, 업링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이 상기 UE에 의해 지원되는 것인, 장치.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BC는 둘 이상의 업링크 CA를 지원하는 것인, 장치.
  66. 제63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에 대한 상기 대역별 PC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67. 제63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역별 기반으로 상기 최대 전력에 대한 지원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UE가 각 업링크 대역에서 최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장치.
  68. 제63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디오 대역이 두 개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을 포함한다면, 상기 조합된 전력은 연관된 라디오 대역에 대한 상기 PC로 제한되는 것인, 장치.
  69. 제63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의 최대 전력의 합에서, 대응하는 대역 구성 내의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를 뺀 것과 동일한 델타 값으로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70. 제63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상기 UL CA에 대한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로 대체함으로써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71. 제63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이용해 하한 공식을 결정하기 위해 공식에서 합 대신에 상기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대체함으로써 UL 대역간 CA에 대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72.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사용자 장비(UE)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두 개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을 포함하는 라디오 대역 조합(BC)에 대한 대역별 전력 분류(PC)에 기초한 최대 전력에 대한 지원을 표시하게 하도록; 그리고
    업링크 전력 제어에서,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에 대한 상기 대역별 PC에 따라 최대 UE 송신을 적용하게 하도록 구성된 것인, 장치.
  73. 제72항에 있어서, 업링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이 상기 UE에 의해 지원되는 것인, 장치.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BC는 둘 이상의 업링크 CA를 지원하는 것인, 장치.
  75. 제72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UE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에 대한 상기 대역별 PC를 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장치.
  76. 제72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역별 기반으로 상기 최대 전력에 대한 지원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UE가 각 업링크 대역에서 최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장치.
  77. 제72항 내지 제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디오 대역이 두 개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을 포함한다면, 상기 조합된 전력은 연관된 라디오 대역에 대한 상기 PC로 제한되는 것인, 장치.
  78. 제72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라디오 BC에서의 각 대역의 최대 전력의 합에서, 대응하는 대역 구성 내의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를 뺀 것과 동일한 델타 값으로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장치.
  79. 제72항 내지 제7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상기 UL CA에 대한 각 NR 대역 또는 대역내 NR CA UE 전력 분류들 중 하나의 최대치로 대체함으로써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장치.
  80. 제72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이용해 하한 공식을 결정하기 위해 공식에서 합 대신에 상기 UL CA에 대한 UL 전력 분류를 대체함으로써 UL 대역간 CA에 대한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완화시키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장치.
KR1020237030146A 2021-03-31 2022-03-29 각 대역 이중 업링크(ul)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에 대한 송신기(tx) 전력의 이용 KR202301380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301,370 2021-03-31
US17/301,370 US11924769B2 (en) 2021-03-31 2021-03-31 Exploitation of transmitter (TX) power for each band dual up-link (UL) carrier aggregation (CA)
PCT/US2022/071423 WO2022213075A1 (en) 2021-03-31 2022-03-29 Exploitation of transmitter (tx) power for each band dual up-link (ul) carrier aggregation (c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018A true KR20230138018A (ko) 2023-10-05

Family

ID=8134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146A KR20230138018A (ko) 2021-03-31 2022-03-29 각 대역 이중 업링크(ul)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에 대한 송신기(tx) 전력의 이용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11924769B2 (ko)
EP (1) EP4316035A1 (ko)
JP (1) JP2024512538A (ko)
KR (1) KR20230138018A (ko)
CN (1) CN116982356A (ko)
AU (1) AU2022246953A1 (ko)
BR (1) BR112023019575A2 (ko)
CA (1) CA3213781A1 (ko)
CL (1) CL2023002689A1 (ko)
CO (1) CO2023014662A2 (ko)
WO (1) WO202221307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0441B (zh) * 2012-06-14 2015-07-0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td-scdma小区的载波间功率分配方法和系统
EP3509362A1 (en) 2014-01-29 2019-07-1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Uplink 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JP2017175174A (ja) 2014-08-08 2017-09-28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WO2016072382A1 (ja) 2014-11-06 2016-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単位シフトレジスタ回路、シフトレジスタ回路、単位シフトレジスタ回路の制御方法及び表示装置
CN107925870B (zh) * 2015-08-13 2021-11-05 苹果公司 用户设备能力报告的方法、装置和介质
WO2017135573A1 (ko) 2016-02-02 2017-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무선 접속 기술에 기반한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531397B2 (en) 2017-10-02 2020-01-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for uplink signal and a user equipment performing the method
US10681652B2 (en) * 2017-11-28 2020-06-0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dual radio access technology (RAT) communication
US10931430B2 (en) * 2018-02-25 2021-02-2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preemption in carrier aggregation/multi-connectivity mode
PE20201437A1 (es) * 2018-04-05 2020-12-09 Ntt Docomo Inc Equipo de usuario y aparato de estacion de base
WO2019215858A1 (ja) 2018-05-09 2019-11-14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装置及びユーザ装置
US20210153143A1 (en) * 2019-11-19 2021-05-20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and configuration of maximum transmit power using virtual ports
US11096100B1 (en) * 2020-07-22 2021-08-17 Sprint Spectrum L.P. Use of power headroom on first air interface as basis to dynamically control handover threshold with respect to second ai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13781A1 (en) 2022-10-06
US20240179634A1 (en) 2024-05-30
EP4316035A1 (en) 2024-02-07
AU2022246953A1 (en) 2023-10-19
CO2023014662A2 (es) 2023-11-10
CN116982356A (zh) 2023-10-31
CL2023002689A1 (es) 2024-03-22
BR112023019575A2 (pt) 2023-11-14
US11924769B2 (en) 2024-03-05
US20220322238A1 (en) 2022-10-06
JP2024512538A (ja) 2024-03-19
WO2022213075A1 (en)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95649B (zh) 用於無線網路之網路切片特定接取阻擋技術
US10701751B2 (en) Signaling for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y dual connectivity in wireless network
US10779215B2 (en) RF power control for dual connectivity
TWI763563B (zh) 一種在非啟動狀態下進行小資料傳送之方法及使用者裝置
WO2021097698A1 (zh) 一种上行接入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1203263A1 (en) Ue uplink panel selection framework
EP3542571A1 (en) Handling ue context upon inactivity
WO2023151888A1 (en) Configuration enhancements for l1/l2 mobility
EP3925130B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230403591A1 (en) Group based beam reporting
US11696145B2 (en) Registered and unregistered operation for shared band wireless nodes within wireless networks
US11224044B1 (en) Partial spectrum evacuation in citizens broadband radio service (CBRS) networks
US11924769B2 (en) Exploitation of transmitter (TX) power for each band dual up-link (UL) carrier aggregation (CA)
CN113348712B (zh) Mimo层数自适应调整方法及相关产品
WO20130673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an enhanced access channel according to control information on a paging channel
US20210051593A1 (en) Panel activation at a user equipment
WO2023201747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ower saving in wireless networks
US20240015759A1 (en) Adaptive Configuration for Monitoring a Downlink Control Channel
US20220394771A1 (en) Spectrum extension for initial access
US2024013791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multi-usim behaviour of user equipment
WO2019028838A1 (en) NETWORK TRENCH-SPECIFIC PAGING CYCLES FOR WIRELESS NETWORKS
US20230217539A1 (en) Method for frequency adjustment, terminal, and storage medium
WO2023046306A1 (en) Conditional device paging in discontinuous reception (drx)
WO2024022687A1 (en) Inter cell beam management
WO2022063636A1 (en) Additional data capacity via use of candidate secondary cells for wireless commun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