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802A - Exposure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wiring pattern - Google Patents

Exposure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wiring patter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802A
KR20230137802A KR1020220098302A KR20220098302A KR20230137802A KR 20230137802 A KR20230137802 A KR 20230137802A KR 1020220098302 A KR1020220098302 A KR 1020220098302A KR 20220098302 A KR20220098302 A KR 20220098302A KR 20230137802 A KR20230137802 A KR 20230137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pattern
exposure
region
wir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3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타카시 오쿠야마
토루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크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크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크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30137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8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491Information management, e.g. software; Active and passive control, e.g. details of controlling exposure processes or exposure tool monitoring processes
    • G03F7/70508Data handling in all parts of the microlithographic apparatus, e.g. handling pattern data for addressable masks or data transfer to or from different components within the exposur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216Mask projection systems
    • G03F7/70283Mask effects on the imaging process
    • G03F7/70291Addressable masks, e.g. spatial light modulators [SLMs], digital micro-mirror devices [DMDs] or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tterning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25Imaging strategies, e.g. for increasing throughput or resolution, printing product fields larger than the image field or compensating lithography- or non-lithography errors, e.g. proximity correction, mix-and-match, stitching or double patter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3Process monitoring, e.g. flow or thickness monito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76Production flow monitoring, e.g. for increasing throughp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3Redistribution layers [RDL] for bonding areas
    • H01L2224/0231Manufacturing methods of the redistribution layers
    • H01L2224/02317Manufacturing methods of the redistribution layers by local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3Redistribution layers [RDL] for bonding areas
    • H01L2224/0237Disposition of the redistribution layers
    • H01L2224/02373Layout of the redistribution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3Redistribution layers [RDL] for bonding areas
    • H01L2224/0237Disposition of the redistribution layers
    • H01L2224/02379Fan-out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과제] 반도체 패키지 제조 프로세스 등에 있어서, 스루풋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배선의 패터닝을 실시한다.
[해결수단] FO-WLP의 노광 프로세스에 있어서, 임시의 기판(B)에 배치된 반도체칩(SC) 간의 기준위치에 대한 위치편차량을 측정한다. 영역 내 배선 패턴(AD)의 형성 위치 보정에 따라서, 영역 외 배선 패턴(BD)에 대한 형성 위치의 보정 및 스케일링 보정을 실시하는 것과 함께, 원호상의 보충 배선 패턴(CD)을 생성한다. 그리고, 보정 후의 영역 내 배선 패턴(AD), 영역 외 배선 패턴(BD), 생성된 원호상의 보충 배선 패턴(CD)을 래스터 데이터로서 합성한다.
[Problem] In a semiconductor package manufacturing process, etc., patterning of wiring is performed to suppress throughput degradation.
[Solution] In the FO-WLP exposure process, the amount of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s (SC) placed on the temporary substrate (B)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i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formation position correction of the in-area wiring pattern AD, the formation position correction and scaling correction for the out-of-area wiring pattern BD are performed, and an arc-shaped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D is generated. Then, the corrected intra-area wiring pattern (AD), out-of-region wiring pattern (BD), and the generated arc-shaped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D) are synthesized as raster data.

Description

노광 장치 및 배선 패턴의 작성 방법{EXPOSURE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WIRING PATTERN}Exposure device and wiring pattern creation method {EXPOSURE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WIRING PATTERN}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배선의 패터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이퍼 레벨에서 반도체를 패키징하는 기술(Wafer-Level-Package, 이하 'WLP')에 있어서의 배선의 패터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atterning of wir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semiconductor package, and in particular, to the patterning of wires in a technology for packaging semiconductors at the wafer level (Wafer-Level-Package, hereinafter 'WLP'). .

WLP에서는, 임시(假, temporary)의 지지 기판에 반도체칩(이하, 'IC', '다이'라고도 한다)이나 수동 부품 등의 전자 컴포넌트를 배치하고, 수지로 봉지(封止)한 후, RDL(Re Distribution Layer) 배선을 실시한다. 그 후, 다이싱(Dicing)에 의해 반도체 패키지를 얻는다(이러한 프로세스를, 몰드퍼스트(Mold-first)(칩퍼스트(Chip-first))형 WLP라고 한다).In WLP,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semiconductor chip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IC" or "die") and passive components are placed on a temporary support substrate, sealed with resin, and then placed on an RDL. (Re Distribution Layer) Perform wiring. After that, a semiconductor package is obtained by dicing (this process is called Mold-first (Chip-first) type WLP).

예를 들면, 칩 사이즈의 범위 내에서, 다이의 I/O 단자를 메인보드 탑재 가능한 BGA(Ball Grid Array)의 배치 개소까지 배선하는 FI(Fan-In)-WLP, 다이 주위를 수지로 의사적(擬似的)으로 확장해 RDL 배선을 실시하는 FO(Fan-Out)-WLP가 알려져 있다. FO-WLP에서는, 복수의 반도체칩을 패키지화(Multi Chip FO-WLP)함으로써, 반도체칩, 수동 부품 등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를 집적해 모듈화시킨 SiP(System in Package)를 실현할 수 있다.For example, within the range of the chip size, FI (Fan-In)-WLP, which wires the I/O terminal of the die to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BGA (Ball Grid Array) that can be mounted on the motherboard, simulated the surrounding die with resin. FO (Fan-Out)-WLP, which extends to RDL wiring, is known. In FO-WLP, by packaging multiple semiconductor chips (Multi Chip FO-WLP),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iP (System in Package) that integrates and modularizes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semiconductor chips and passive components.

몰드퍼스트형 WLP에서는, 개개의 반도체칩 등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설계 상의 위치에 대해 랜덤한 위치편차가 생기고 있다. 그 때문에, CAD/CAM 포맷에 의해 작성된 배선 패턴 데이터를, 위치편차에 따라 보정할 필요가 있다.In the mold-first type WLP, random positional deviations occur in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etc., with respect to the positions on the reference desig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rrect wiring pattern data created in CAD/CAM format according to positional deviation.

예를 들면, 위치 어긋난 반도체칩에 맞춰 외부 전극과 접속시키는 배선 패턴을, 설계 정보에 포함되는 넷리스트(Netlist)에 근거해 구하고, 배선 패턴 데이터를 생성한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반도체칩 사이즈 등에 따라 정해진 영역(존)에 대해서 정해지는 배선 패턴을, 재변환(재샘플링)한다(특허문헌 2 참조).For example, a wiring pattern for connecting external electrodes to a misaligned semiconductor chip is obtained based on a netlist included in the design information, and wiring pattern data is generated (see Patent Document 1). Additionally, the wiring pattern determined for the area (zon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miconductor chip size, etc. is reconverted (resampled) (see Patent Document 2).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577914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5779145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5767255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No. 5767255

개개의 반도체칩의 위치편차는, 노광 전에 실시되는 카메라 촬영 등에 의해 계측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계측 후에 배선 패턴을 재설계하는 작업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특히, 기판의 다층화, FO-WLP에 의한 SiP의 요구가 높아져 감에 따라, 배선 패턴의 데이터 보정 처리에 다대(多大)한 시간을 필요로 하고, 스루풋(throughput)에 영향을 준다. The positional deviation of each semiconductor chip needs to be measured by camera photography performed before exposure. Therefore, redesigning the wiring pattern after measurement takes time. In particular, as the demand for SiP by multilayering of substrates and FO-WLP increases, data correction processing of wiring patterns requires a large amount of time, affecting throughput.

따라서, 반도체 패키지 제조 프로세스 등에 있어서, 스루풋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배선의 패터닝이 요구된다.Therefore, in semiconductor package manufacturing processes, etc., patterning of wiring that can suppress throughput degradation is required.

본 발명의 노광 장치는, WLP 등 반도체 패키지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RDL 배선 등의 배선의 패터닝을 실현 가능하다. 예를 들면, FI-WLP, FO-WLP, 멀티칩 FO-WLP 등에 의한 SiP에서의 노광 프로세스에 대해서 적용할 수 있다. RDL 배선의 패터닝으로서는, 1층 혹은 다층의 RDL에 대해서 배선의 패터닝도 가능하다.The exposur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patterning of wiring such as RDL wiring in a semiconductor package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WLP. For example, it can be applied to SiP exposure processes using FI-WLP, FO-WLP, multi-chip FO-WLP, etc. As for patterning the RDL wiring, it is also possible to pattern the wiring for a single-layer or multi-layer RDL.

본 발명의 노광 장치는, 지지 기판에 배치되는 다이(반도체칩)의 사이즈 또는 다이 보다 큰 사이즈의 배선 영역에 형성되는 영역 내 배선 패턴과, 상기 영역 내 배선 패턴과 설계 상 연결되어 있고, 다이와 이웃하는 다이 또는 전자 컴포넌트와 접속하는 영역 외 배선 패턴에 근거하여, 배선 패터닝을 실시할 수 있다. 배선 패턴은, 예를 들면, CAD/CAM 포맷 형식에 의해 미리 벡터 데이터로서 작성되어, 노광 장치에 입력된다.The exposur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be connected to a wiring pattern within a region formed in a wiring region of a size larger than the die (semiconductor chip) or the die disposed on a support substrate, and to be connected to the wiring pattern within the region by design, and adjacent to the die. Wiring patterning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wiring pattern outside the area connecting the die or electronic component. The wiring pattern is created in advance as vector data in, for example, CAD/CAM format and input into the exposure apparatus.

지지 기판은, 임시의 기판으로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면 무방하고, 웨이퍼상(구형상(矩形狀) 패널도 여기에서는 포함한다) 등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이를 배열 가능하면 무방하다. 예를 들면, 몰드로 다이를 봉지한 의사(擬似) 웨이퍼 등을, 임시의 지지 기판으로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이 사이즈 보다 큰 배선 영역으로서, 다이의 구형(矩形) 형상에 맞춰 스케일링(scaling)(확대)시킨 구형(矩形) 영역으로서 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혹은, 그 이외의 형상 영역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다이를 포함한 영역의 구성이면 무방하다. 전자 컴포넌트로서는, 외부 전극, 수동 부품 등이 포함되고, 다이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요소로서 정의할 수 있다.The support substrate may be configured as a temporary substrate, and its shape is not limited, such as wafer-shaped (here, spherical panels are also included), as long as the dies can be arrang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pseudo wafer in which a die is sealed with a mold as a temporary support substrate. In addition, as a wiring area larger than the die size, it is possible to define it as a spherical area scaled (enlarged) to match the spherical shape of the die, or it is also possible to set it as an area of a shape other than that. , any configuration of the area including the die may be sufficient. Electronic components include external electrodes, passive components, etc., and can be defined as elements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die.

영역 내 배선 패턴으로서는, 예를 들면, FO-WLP에 있어서 수지 등에 의해 확장된 영역에 대한 RDL 배선, FI-WLP에서의 RDL 배선 등이 포함된다. 영역 외 배선 패턴으로서, 예를 들면, FO-WLP의 경우, 이웃하는 다이 각각에서 확장 영역에 형성된 영역 내 배선 패턴을 접속시키는 배선 패턴이 포함된다. 또한, 확장 영역에 형성된 영역 내 배선 패턴을, 외부 전극 등의 전자 컴포넌트와 접속시키는 배선 패턴도 포함된다. 한편, 배선 패턴으로서는, 1개의 배선 혹은 복수의 배선으로 이루어진 패턴 모두 구성 가능하다. 예를 들면, FO-WLP의 경우, 이웃하는 다이 간을 접속하는 배선 패턴으로서, 영역 내 배선 패턴 및 영역 외 배선 패턴이, 복수의 배선을 늘어놓은 배선군(配線群)으로서 구성 가능하다.The intra-region wiring pattern includes, for example, RDL wiring for an area expanded by resin or the like in FO-WLP, RDL wiring in FI-WLP, etc. The out-of-area wiring pattern, for example, in the case of FO-WLP, includes a wiring pattern that connects the in-area wiring pattern formed in the extended region in each neighboring die. Additionally, a wiring pattern that connects a wiring pattern within the area formed in the expanded region to an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n external electrode is also included. Meanwhile, as a wiring pattern, either a single wiring pattern or a pattern consisting of multiple wiring lines can be configur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FO-WLP, as a wiring pattern connecting adjacent dies, an intra-region wiring pattern and an out-of-region wiring pattern can be configured as a wiring group in which a plurality of wirings are arranged.

본 발명의 노광 장치는, 이러한 영역 내 배선 패턴과 영역 외 배선 패턴을, 래스터 데이터로 변환해, 노광 데이터에 생성하는 노광 데이터 생성부를 갖춘다. 노광 데이터는, 노광 장치의 광변조소자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로서 구성하면 무방하다. 예를 들면, DMD 등 광변조소자 어레이를 갖춘 노광 장치인 경우, 마이크로미러 등의 광변조소자를 ON/OFF 제어하는 노광 데이터를 생성 가능하다. 노광 데이터 생성부는, 영역 내 배선 패턴과 영역 외 배선 패턴을, 다른 패턴(다른 배선 패턴, 배선 이외의 패턴 등)과 포함시킨 전체적인 패턴 데이터를 래스터 데이터로 변환해, 노광 데이터로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노광 데이터 생성부는, 영역 내 배선 패턴과 영역 외 배선 패턴을 다른 패턴과 구별해서, 래스터 변환하여 노광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영역 내 배선 패턴을 다른 패턴에 포함시키는 한편, 영역 외 배선 패턴을 별개의 데이터로서 래스터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exposur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n exposure data generation unit that converts the wiring pattern within the region and the wiring pattern outside the region into raster data and generates exposure data. The exposure data may be configured as data capable of driving the optical modulation element of the exposure apparatu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exposure device equipped with an optical modulation element array such as a DMD, it is possible to generate exposure data that controls ON/OFF of an optical modulation element such as a micromirror. The exposure data generation unit can convert the overall pattern data including the wiring pattern within the region and the wiring pattern outside the region with other patterns (other wiring patterns, patterns other than wiring, etc.) into raster data and generate it as exposure data. . Alternatively, the exposure data generation unit may distinguish the in-area wiring pattern and the out-of-area wiring pattern from other patterns and generate exposure data by raster conversion, while including the in-area wiring pattern in other patterns and out-of-area wiring patterns. It is also possible to convert patterns into raster data as separate data.

또한, 본 발명의 노광 장치는, 다이의 기준위치에 대한 위치편차를 계측하는 위치편차 계측부를 갖춘다. 기준위치는, 예를 들면, 설계 상 정해진 다이의 대표적인 위치(예를 들면, 중심위치) 등을 기준위치로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측부는, 예를 들면, 위치편차의 정도(위치편차량)를 측정 가능하다. 위치편차량으로서는, 지지 기판을 스테이지 등에 설치했을 때 측정되는 좌표와 설계 상 좌표와의 차이를 측정 가능하고, 또한, 다이의 중심위치에 대한 회전차이 등을 위치편차로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exposur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position deviation measurement unit that measures the position deviation of the di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As for the reference posi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et a representative position (eg, center position) of the die determined by design as the reference position. The measurement unit can, for example, measure the degree of position deviation (position deviation amount). As the amount of positional devia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ordinates measured when the support substrate is installed on a stage and the designed coordinates, and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the rotational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die as the positional deviation.

본 발명에서는, 노광 데이터 생성부가, 다이의 위치편차에 따라 영역 내 배선 패턴의 형성 위치가 보정된 것에 의해 단부끼리 떨어진 상태에 있는, 영역 내 배선 패턴과 영역 외 배선 패턴을 접속시키는 보충 배선 패턴을 생성한다. 영역 외 배선 패턴은, 다이의 위치편차에 따라 형성 위치, 배선 형상 등을 보정해도 좋고, 형성 위치를 보정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보충 배선 패턴은, 영역 내 배선 패턴의 보정된 형성 위치에 따라서 그 형상, 길이, 선폭(線幅) 등을 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osure data generation unit corrects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intra-region wiring pattern according to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die, and creates a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that connects the in-region wiring pattern and the out-of-region wiring pattern whose end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Create. For the out-of-area wiring pattern, the formation position, wiring shape, etc. may be corrected according to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die, or the formation position may not be correct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hape, length, line width, etc. of the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according to the corrected formation position of the wiring pattern within the area.

노광 데이터 생성부는, 예를 들면, 래스터 변환 회로를 포함한 회로로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위치편차 보정 처리 등을 실시하는 회로, 데이터 합성 처리를 실시하는 회로 등을 포함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또한, 노광 데이터 생성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 그 사양, 양태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역 내 배선 패턴, 영역 외 배선 패턴, 보충 배선 패턴의 생성 처리의 방식은 다양하다. 예를 들면, 노광 데이터 생성부는, 형성 위치를 보정한 영역 내 배선 패턴, 영역 외 배선 패턴을, CAD/CAM 포맷의 데이터(벡터 데이터)로부터 래스터 데이터로 따로따로 변환하는 한편, 보충 배선 패턴을 래스터 데이터로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보충 배선 패턴을 벡터 데이터로서 생성해, 래스터 데이터로 변환해도 무방하다.The exposure data generation unit can be configured as a circuit including, for example, a raster conversion circuit, and may also include a circuit that performs a position deviation correction process, a circuit that performs a data synthesis process, etc. Additionally, the exposure data generation unit is not limited to specifications and aspects such as hardware, software, and firmware.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generating and processing intra-area wiring patterns, out-of-area wiring patterns, and supplementary wiring patterns. For example, the exposure data generation unit separately converts the wiring pattern within the area and the wiring pattern outside the area with the formation position corrected from CAD/CAM format data (vector data) into raster data, while converting the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into raster data. It is possible to create it as data. Alternatively, the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may be generated as vector data and converted to raster data.

영역 내 배선 패턴의 형성 위치 보정, 및, 보정된 영역 내 배선 패턴, 영역 외 배선 패턴의 래스터 데이터로의 변환, 보충 배선 패턴의 생성은, 다이의 위치편차 계측에 따라 실행하면 무방하다. 또한, 영역 내 배선 패턴의 래스터 데이터 변환 처리는, 미리 노광 개시 전에 정형(定型)의 노광용 래스터 데이터로서 작성하고, 보정 처리를 수반해 래스터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광 데이터 생성부는, 영역 내 배선 패턴을 포함하는 블록을 정하고, 입력되는 블록의 위치 좌표 데이터에 근거한 정형의 노광용 래스터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Correction of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intra-region wiring pattern, conversion of the corrected intra-region wiring pattern and out-of-region wiring pattern into raster data, and generation of a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die. Additionally, the raster data conversion process for the wiring pattern within the area can be done in advance by creating standard exposure raster data before starting exposure and performing raster conversion with correction processing. For example, the exposure data generation unit is capable of determining a block containing a wiring pattern within a region and creating raster data for exposure in a regular form based on the positional coordinate data of the input block.

영역 외 배선 패턴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래스터 변환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광 데이터 생성부는, 영역 외 배선 패턴에 대해, 형성 위치가 보정된 영역 내 배선 패턴에 따라서, 패턴 형성 위치의 보정 및 스케일링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의 스케일링 보정에는, 배선 길이방향에 따른 스케일링(축소 또는 확대)이 포함된다. 그리고, 노광 장치는, 보충 배선 패턴의 생성에 따라, 영역 내 배선 패턴, 영역 외 배선 패턴, 보충 배선 패턴을 합성한 노광 데이터에 근거하여, 노광 동작을 실행한다.Raster conversion processing can be similarly performed on out-of-area wiring patterns. For example, the exposure data generation unit may perform pattern formation position correction and scaling correction for the out-of-area wiring pattern according to the in-area wiring pattern whose formation position has been corrected. The scaling correction here includes scaling (reduction or enlargem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ing. Then, the exposure device performs an exposure operation based on exposure data that synthesizes the in-region wiring pattern, the out-of-region wiring pattern, and the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보충 배선 패턴의 배선폭, 형상 등은 다양하다. 예를 들면, 노광 데이터 생성부는, 원호상(圓弧狀) 패턴을 보충 배선 패턴으로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의 원호상 패턴에는, 엄밀하게 곡률반경이 일정한 원호 뿐만 아니라, 대체로 원호상인 패턴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영역 내 배선 패턴 및 영역 외 배선 패턴이, 복수의 배선을 늘어놓은 배선군으로서 구성되는 경우, 배선폭, 배선 간격, 전체의 배선폭 등이 전체적으로 변화없이 유지되는 것을 고려한 경우, 노광 데이터 생성부는, 원호상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The wiring width and shape of the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vary. For example, the exposure data generation unit can form an arc-shaped pattern as a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The arc-shaped pattern here includes not only arcs with a strictly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but also patterns that are generally arc-shaped. For example, when the wiring pattern within the area and the wiring pattern outside the area are composed of a wiring group in which a plurality of wirings are lined up, and when considering that the wiring width, wiring spacing, and overall wiring width are maintained without change as a whole, exposure The data generation unit may generate an arc-shaped pattern.

노광 데이터 생성부는, 원상(圓狀) 패턴의 일부를 추출함으로써, 원호상의 보충 배선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상 패턴의 데이터를, 로트가 변경될 때 등의 타이밍에 메모리에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고, 노광 데이터 생성부는, 마스킹 처리에 의해서, 원상 패턴으로부터 원호상의 보충 배선 패턴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웃하는 다이 간을 접속하는 배선 패턴으로서, 영역 내 배선 패턴 및 영역 외 배선 패턴이, 복수의 배선을 늘어놓은 배선군으로서 구성되는 경우, 배선폭, 배선 간 간격이 영역 내 배선 패턴 및 영역 외 배선 패턴과 같은 동심원상(同心圓狀)의 배선 패턴을, 미리 작성해 노광 개시 전에 메모리에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exposure data generation unit can generate an arc-shaped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by extracting a part of the circular patter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tore the data of the original pattern in memory at a timing such as when a lot is changed, and the exposure data generation unit can generate an arc-shaped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from the original pattern through masking processing. do. For example, as a wiring pattern connecting adjacent dies, when the intra-region wiring pattern and the out-of-region wiring pattern are composed of a wiring group in which a plurality of wirings are lined up, the wiring width and the inter-wiring spacing are set to the intra-region wiring pattern. It is possible to create a concentric circular wiring pattern in advance, such as an out-of-area wiring pattern, and store it in memory before starting exposure.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인 배선 패턴의 작성 방법은, 지지 기판에 배치되는 다이의 사이즈 또는 다이 보다 큰 사이즈의 배선 영역에 형성되는 영역 내 배선 패턴과, 상기 영역 내 배선 패턴과 설계 상 연결되어 있고, 다이와 이웃하는 다이 또는 전자 컴포넌트와 접속하는 영역 외 배선 패턴을, 래스터 데이터로 변환해, 노광 데이터를 생성하고, 다이의 기준위치에 대한 위치편차를 계측하고, 다이의 위치편차에 따라 영역 내 배선 패턴의 형성 위치가 보정된 것에 의해 단부끼리 떨어진 상태에 있는, 영역 내 배선 패턴과 영역 외 배선 패턴을 접속시키는 보충 배선 패턴을 생성한다. 다이의 기준위치에 대한 위치편차는, 노광 장치에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보충 배선 패턴은, 벡터 데이터 혹은 래스터 데이터로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FO(Fan-Out)-WLP(Wafer-Level Package)에서의 노광 프로세스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배선 패턴의 작성 방법에 의해 작성된 배선 패턴에 근거해, 노광 장치에 의한 노광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래스터 데이터로의 변환, 노광 데이터의 생성에 관해서는, 상술한 것처럼, 다양한 데이터 처리 수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 method for creating a wiring pattern, which is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ing pattern within a region formed in a wiring region of a size larger than the die or the die disposed on a support substrate, and a wiring pattern within the region being connected by design, Out-of-area wiring patterns connecting the die and neighboring dies or electronic components are converted into raster data, exposure data is generated,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die relative to the reference position is measured, and the in-area wiring patter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e positional deviation. By correcting the formation position, a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is created that connects the in-region wiring pattern and the out-of-region wiring pattern whose end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di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can be measured with an exposure device. Additionally, the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an be created as vector data or raster data. For example, in the exposure process in FO (Fan-Out)-WLP (Wafer-Level Package), an exposure operation is performed by an exposure device based on a wiring pattern created by the wiring pattern cre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Regarding conversion to raster data and generation of exposure data, it is possible to apply various data processing technique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패키지 제조 프로세스 등에 있어서, 스루풋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배선의 패터닝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miconductor package manufacturing process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perform patterning of wiring that can suppress a decrease in throughput.

[도 1] 본 실시 형태인 노광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 몰드퍼스트형의 FO-WLP에 있어서 지지 기판(임시의 기판)에 탑재된 반도체칩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반도체칩의 위치편차에 근거한 배선 패턴의 형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웨이퍼 레벨에서의 노광 프로세스에 있어서, 얼라인먼트 조정을 수반하는 배선 패턴의 데이터 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영역 내 배선 패턴, 영역 외 배선 패턴, 보충 배선 패턴, 템플릿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기판에 있어서의 영역 내 배선 패턴의 패턴 형성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보충 배선 패턴(CD)의 생성 수법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보충 배선 패턴(CD)의 생성 수법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영역 외 배선 패턴(BD)에 대한 패턴 형성 위치의 보정 및 스케일링 보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영역 내 배선 패턴, 영역 외 배선 패턴, 보충 배선 패턴을 합성한 배선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A block diagram of the exposure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 2] A diagram showing a part of a semiconductor chip mounted on a support substrate (temporary substrate) in a mold-first type FO-WLP.
[Figure 3] A diagram showing the formation of a wiring pattern based on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semiconductor chip.
[FIG. 4]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data processing of a wiring pattern involving alignment adjustment in the exposure process at the wafer level.
[FIG. 5] A diagram showing an in-area wiring pattern, an out-of-area wiring pattern, a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and a template pattern.
[FIG. 6] A diagram showing the pattern formation position of the wiring pattern within a region on the substrate.
[FIG. 7] A diagram showing part of a method for generating a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D).
[FIG. 8] A diagram showing part of a method for generating a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D).
[FIG. 9] A diagram showing correc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position and scaling correction for the out-of-area wiring pattern BD.
[FIG. 10] A diagram showing a wiring pattern that combines an in-area wiring pattern, an out-of-area wiring pattern, and a supplemental wiring patter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Below,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실시 형태인 노광 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xposure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노광 장치(10)는, 기판(B)으로 광을 조사함으로써 회로 패턴을 형성 가능하고, 여기에서는, 복수의 노광 헤드(15)를 갖춘 마스크리스(Maskless) 노광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도 1에서는, 1개의 노광 헤드 만 도시). 기판(B)은, 묘화 테이블(12)에 탑재되고, 테이블 구동 기구(13)에 의해 주주사방향(主走査方向)(X방향), 부주사방향(副走査方向)(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묘화 테이블(12) 상에는, X-Y좌표계가 규정된다.The exposure apparatus 10 can form a circuit pattern by irradiating light to the substrate B, and is configured here as a maskless exposure apparatu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exposure heads 15 (in FIG. 1 , only one exposure head is shown). The substrate B is mounted on the drawing table 12 and can be moved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direction) and the sub-scanning direction (Y direction) by the table driving mechanism 13. do. On the drawing table 12, an X-Y coordinate system is defined.

노광 헤드(15)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16)와 함께, 조명 광학계 및 결상 광학계(도시하지 않음)를 갖춘다. 노광 장치(10)에 구비된 광원(20)(레이저, 방전 램프 등)으로부터 방사된 광은, 조명 광학계를 통해서 DMD(16)로 인도된다.The exposure head 15 is equipped with a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16, an illumination optical system, and an imaging optical system (not shown).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20 (laser, discharge lamp, etc.) provided in the exposure apparatus 10 is guided to the DMD 16 through an illumination optical system.

DMD(16)는, 미소(微小)한 구형상(矩形狀) 마이크로미러(여기에서는 수㎛~수십㎛)를 매트릭스상(matrix shape)으로 2차원 배열시킨 광변조소자 어레이이며, 각 마이크로미러는, 노광 데이터에 따라서, 광원(20)으로부터의 빔을 기판(B)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 자세(ON 상태), 노광면 밖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 자세(OFF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자세로 선택적으로 위치 결정된다.The DMD (16) is an optical modulation element array in which tiny spherical micromirrors (here, several micrometers to tens of micrometers) are arranged two-dimensionally in a matrix shape, and each micromirror is , depending on the exposure data, either a first posture (ON state) that reflects the beam from the light source 20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B, or a second posture (OFF state) that reflects the beam in a direction outside the exposure surface. The position is selectively determined.

모든 마이크로미러가 ON 상태인 경우에 규정되는 구형상(矩形狀) 투영 에리어(이하, '노광 에리어'라고 한다)는, 묘화 테이블(12)의 주주사방향(X방향)에 따른 이동에 수반해, 기판(B)을 상대 이동해 간다. 단, 여기에서는 노광 에리어가 주주사방향(X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미소(微小)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노광 헤드(15)가 설치되어 있다.The spherical projection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exposure area') defined when all micromirrors are in the ON state is accompanied by movement along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drawing table 12, The substrate (B) is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However, here, the exposure head 15 is installed so that the exposure area is inclined by a predetermined micro angle with respect to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direction).

ON 상태의 마이크로미러에 의해 반사된 광은, 기판(B) 상에서의 노광 에리어의 상대 위치에 따른 패턴광으로서, 기판(B)의 노광면 상에 결상(結像)된다. 묘화 테이블(12)이 일정 속도로 이동하면서 패턴광을 투영하는 노광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기판(B) 전체로의 묘화(描畵)가 실시된다. 여기에서는, 소정의 피치로 다중 노광(오버랩 노광)이 실시된다.The light reflected by the micromirror in the ON state is patterned light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exposure area on the substrate B, and is imaged on the exposure surface of the substrate B. By carrying out an exposure operation in which pattern light is projected while the drawing table 12 moves at a constant speed, drawing on the entire substrate B is performed. Here, multiple exposure (overlap exposure) is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pitch.

외부의 워크스테이션이나 서버(도시하지 않음) 등과 접속하는 컨트롤러(30)는, 노광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고, 광원 구동부(21) 등 각 회로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노광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은, 미리 컨트롤러(30) 내의 ROM(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되어 있다. 워크스테이션 등으로부터 노광 장치(10)에 입력되는 묘화 데이터(패턴 데이터)는, CAD/CAM 포맷으로서 구성되는 벡터 데이터(좌표 데이터)이며, 벡터 데이터 처리 회로(31)로 입력된다.The controller 30, which is connected to an external workstation or server (not show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xposure apparatus 10 and outputs control signals to each circuit, such as the light source driver 21. The program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xposure apparatus 10 is stored in advance in ROM (not shown) in the controller 30. Drawing data (pattern data) input to the exposure apparatus 10 from a workstation or the like is vector data (coordinate data) configured in CAD/CAM format, and is input to the vector data processing circuit 31.

노광 장치(10)에서는, 벡터 데이터 처리 회로(31)에 입력되는 묘화 데이터에 대해, 일부의 정형 패턴에 대해서는 래스터 데이터(이하, '노광용 정형 래스터 데이터'라고 한다)가 작성되어, 노광 개시 전에 메모리(39)에 저장된다. 그 이외의 묘화 데이터(벡터 데이터)는, 래스터 변환 회로(26)에 의해 래스터 데이터에 변환된 후, 합성 회로(40)로 보내진다.In the exposure apparatus 10, raster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andardized raster data for exposure') is created for some standard patterns in response to the drawing data input to the vector data processing circuit 31, and stored in memory before starting exposure. It is stored in (39). Other drawing data (vector data) is converted to raster data by the raster conversion circuit 26 and then sent to the synthesis circuit 40.

보정 회로(33)는, 얼라인먼트 조정한 다음에 래스터 데이터로의 변환을 필요로 하는 정형 패턴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는 래스터 데이터 변환 처리 회로이며, 메모리(39)에 저장되어 있는 노광용 정형 래스터 데이터에 근거한 래스터 데이터를, 합성 회로(40)로 출력한다. 마스크 처리 회로(3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모리(41)에 저장되어 있는 템플릿 데이터에 대해서 마스크 처리를 실시한 후, 래스터 데이터(이하, '보충 래스터 데이터'라고 한다)를 합성 회로(40)로 출력한다.The correction circuit 33 is a raster data conversion processing circuit targeting standardized pattern data that needs to be converted to raster data after alignment adjustment, and is a raster data conversion circuit based on the standardized raster data for exposure stored in the memory 39. Data is output to the synthesis circuit 40.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ask processing circuit 34 performs mask processing on the template data stored in the memory 41, and then converts the raster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pplementary raster data') into the synthesis circuit 40. Output as

합성 회로(40)는, 보정 회로(33)로부터 출력되는 래스터 데이터를 래스터 변환 회로(26)로부터 출력되는 래스터 데이터와 합성하는 것과 함께, 마스크 처리 회로(34)로부터 출력되는 보충 래스터 데이터를 합성한다. 정형 래스터 데이터 및 보충 래스터 데이터는, 노광 동작시의 노광 에리어의 위치에 따라 합성된다. DMD 구동 회로(35)는, 합성에 의해 얻어진 노광 데이터에 근거해 DMD(16)를 구동 제어하고, 이에 따라 다중 노광 동작이 실행된다.The synthesis circuit 40 combines the raster data output from the correction circuit 33 with the raster data output from the raster conversion circuit 26, and synthesizes supplementary raster data output from the mask processing circuit 34. . Standard raster data and supplementary raster data are synthesiz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exposure area during the exposure operation. The DMD drive circuit 35 controls the drive of the DMD 16 based on exposure data obtained by synthesis, and multiple exposure operations are performed accordingly.

카메라(38)는, 묘화 테이블(12) 상에 설치된 기판(B)을 촬상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얼라인먼트 조정시에 사용된다. 카메라(38)에서의 상(像) 배율, AF 처리, 조임 조정 등의 노출 제어는, 카메라 제어부(36)에 의해 실행된다. 계측 회로(37)는, 카메라(38)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얼라인먼트 마크 등 특징점의 위치를 검출한다. 컨트롤러(30)는, 검출된 특징점의 위치와, 설계 상의 기준위치와의 차(差)인 위치편차량에 근거해, 묘화 데이터에 대한 얼라인먼트 조정을 실시한다.The camera 38 is installed to capture images of the substrate B installed on the drawing table 12, and is used when adjusting alignment. Exposure control, such as image magnification, AF processing, and aperture adjustment, in the camera 38 is performed by the camera control unit 36. The measurement circuit 37 detects the positions of feature points such as alignment marks based on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38. The controller 30 performs alignment adjustment for the drawing data based on the amount of positional deviation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feature point and the design reference position.

도 2는, 몰드퍼스트형의 FO-WLP에 있어서 지지 기판(임시의 기판)(B)에 탑재된 반도체칩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는, 반도체칩(SC)의 설계 상에서의 배치(여기에서는 4개)와, 수지에 매설된 상태로 지지 기판(B)에 배치된 반도체칩(SC)을 비교해 나타내고 있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a portion of a semiconductor chip mounted on a support substrate (temporary substrate) B in the mold-first type FO-WLP. In FIG. 2, the arrangement of the semiconductor chips SC (here, four) on the design is shown in comparison with the semiconductor chips SC placed on the support substrate B in a resin-embedded state.

FO-WLP에서는, 반도체칩(SC)의 칩 사이즈 보다 큰 배선 영역(D)을 규정하고, 반도체칩(SC) 주위에 수지에 의해 의사적(擬似的)으로 확장된 칩 영역(이하, '확장 영역'이라고 한다)(MD)에 대해서, 칩 단자와 접속하는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소형화의 반도체칩(SC)에 대해서도 BGA의 I/O 단자 피치와 마찬가지의 피치를 실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배선 설계 룰에 제한되지 않는 고 밀도의 배선 패턴을 반도체칩(SC) 간에 형성 가능하게 되고, 멀티칩 탑재로 보다 소형화된 SiP를 실현할 수 있다.In FO-WLP, a wiring area (D) larger than the chip size of the semiconductor chip (SC) is defined, and a chip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expansion') is pseudo-expanded by resin around the semiconductor chip (SC). For (MD) (referred to as 'region'), it is possible to form a wiring pattern that connects to the chip terminal. 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realize a pitch similar to the I/O terminal pitch of the BGA even for a miniaturized semiconductor chip (SC). In addition, high-density wiring patterns that are not limited by wiring design rules can be formed between semiconductor chips (SC), and a more compact SiP can be realized by mounting multichips.

반도체칩(SC)은, 수지의 연전성(延展性) 때문에, 설계 상의 기준위치에 대해, 개개로 랜덤한 위치편차량을 가진다. 따라서, 수지 부분(M)에 대해서 설계 상의 배선 패턴 데이터를 보정하지 않으면, 인접하는 반도체칩(SC) 간에 비접속 상태나 단락(短絡) 상태 등이 생긴다. 그 때문에, 노광 동작 전에 얼라인먼트 조정을 실시해 묘화 데이터의 보정이 실시된다.The semiconductor chip (SC) has an individual random positional deviation amount with respect to the design reference position due to the malleability of the resin. Therefore, if the design wiring pattern data for the resin portion M is not corrected, a non-connected state or a short-circuit state occurs between adjacent semiconductor chips SC. Therefore, alignment adjustment is performed before exposure operation to correct drawing data.

도 3은, 반도체칩의 위치편차에 근거한 배선 패턴의 형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FO-WLP 프로세스에서의 웨이퍼 레벨에서의 RDL 배선에 있어서, 이웃하는 반도체칩 간을 접속시키는 배선 패턴을, 반도체칩(SC)과 확장 영역(MD) 내에 형성되는 배선 패턴(팬아웃 배선 패턴이라고도 부른다. 이하, '영역 내 배선 패턴'이라고 한다)(AD)과, 배선 영역(D)의 외부에 형성되는 배선 패턴(이하, '영역 외 배선 패턴'이라고 한다)(BD)의 2개로 그룹 분할한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formation of a wiring pattern based on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semiconductor chip. In this embodiment, in the RDL wiring at the wafer level in the FO-WLP process, the wiring pattern connecting adjacent semiconductor chips is a wiring pattern (fan) formed within the semiconductor chip SC and the expansion area MD. It is also called an out wiring pattern. A wiring pattern formed outside the wiring area (D)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area wiring pattern') (AD) and a wiring pattern (hereinafter referred to as 'out-of-area wiring pattern') (BD). Divide into two groups.

확장 영역(MD) 내의 영역 내 배선 패턴(AD)에 관해서는, 반도체칩(SC)의 위치편차에 따라 패턴 형성 위치를 보정한다(부호(P') 참조). 그리고, 영역 외 배선 패턴(BD)에 대해서, 영역 내 배선 패턴(AD)의 보정 후의 형성 위치에 근거해, 형성 위치 등을 보정한다(부호(P") 참조).Regarding the interconnection pattern AD within the extended area MD, the pattern formation position is corrected according to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semiconductor chip SC (see symbol P'). Then, for the out-of-area wiring pattern BD, the formation position etc. are corrected based on the corrected formation position of the in-area wiring pattern AD (see symbol P").

게다가, 형성 위치 보정에 의해 단부가 서로 이간하는 상태가 된 영역 내 배선 패턴(AD), 영역 외 배선 패턴(BD)의 단부끼리 접속시키는 배선 패턴(이하, '보충 배선 패턴'이라고 한다)(CD)을 생성해, 보강한다. 이러한 배선 패턴의 합성이, 반도체칩과 외부 전극, 수동 부품 등의 전자 컴포넌트와의 사이의 접속에 대해서도 실시된다. 이하, 도 4~도 10을 이용해 상술한다.In addition, a wiring patter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pplemental wiring pattern') connecting the ends of the in-area wiring pattern (AD) and the out-of-area wiring pattern (BD) whose end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due to formation position correction (CD) ) is created and reinforced. The synthesis of such wiring patterns is also performed for connections between semiconductor chips and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external electrodes and passive components.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FIGS. 4 to 10.

도 4는, 웨이퍼 레벨에서의 노광 프로세스에 있어서, 얼라인먼트 조정을 수반하는 배선 패턴의 데이터 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영역 내 배선 패턴(AD), 영역 외 배선 패턴(BD), 보충 배선 패턴(CD), 템플릿 패턴(C0)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어느 특정 반도체칩 간을 접속시키는 배선 패턴의 데이터 처리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data processing of a wiring pattern involving alignment adjustment in an exposure process at the wafer level.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intra-area wiring pattern (AD), an out-of-region wiring pattern (BD), a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D), and a template pattern (C0). Below, for ease of explanation, data processing of wiring patterns that connect specific semiconductor chips will be mainly described.

CAD/CAM 포맷 데이터의 묘화 데이터가 워크스테이션 등으로부터 노광 장치(10)에 대해서 입력되면, 영역 내 배선 패턴(AD)의 데이터와, 영역 외 배선 패턴(BD)의 데이터가 특정되어, 추출된다(S101). 영역 내 배선 패턴(AD)은, 설계 데이터로서, 단자로부터 늘어나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늘어선 배선군으로서 구성되고, 각 배선의 선폭(W), 이웃하는 배선 간의 거리 간격(피치)(M)이 동일하다. 여기에서는, 5개의 배선 패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When drawing data of CAD/CAM format data is input to the exposure apparatus 10 from a workstation or the like, the data of the in-area wiring pattern (AD) and the data of the out-of-area wiring pattern (BD) are specified and extracted ( S101). The area wiring pattern (AD) is design data and consists of a group of wires extending from a terminal and lined up in parallel at equal intervals, and the line width (W) of each wire and the distance interval (pitch) (M) between neighboring wires are the same. do. Here, it is configured as five wiring patterns.

영역 외 배선 패턴(BD)은, 설계 상 데이터로서, 영역 내 배선 패턴(AD)과 같은 선폭(W), 서로의 배선 거리 간격(M), 전체의 배선폭(L), 같은 배선 수(5개)의 배선군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설계 상에서의 영역 내 배선 패턴(AD) 및 영역 외 배선 패턴(BD)은, FO-WLP에서 규정되는 배선 영역(D)을 넘어 일직선상으로 늘어나는 배선군으로서 구성된다(도 3 참조).The out-of-area wiring pattern (BD) is design data that has the same line width (W), interconnection distance spacing (M), overall wiring width (L), and the same number of lines (5) as the in-area wiring pattern (AD). It is composed of several wiring groups. In the design, the in-area wiring pattern (AD) and out-of-area wiring pattern (BD) are configured as a group of wirings that extend in a straight line beyond the wiring area (D) defined in FO-WLP (see FIG. 3).

여기에서는, 영역 내 배선 패턴(AD) 및 영역 외 배선 패턴(BD)을 각각 포위하는 블록(BL1, BL2)을 규정한다. 노광 프로세스에 있어서 노광 장치(10)에 대해서 입력되는 기판 전체의 묘화 데이터에는, 영역 내 배선 패턴(AD)을 포위하는 블록(BL1)의 패턴 데이터가 포함된다. 한편, 영역 외 배선 패턴(BD)을 포위하는 블록(BL2)의 패턴 데이터는, 묘화 데이터와는 별도로 입력된다. 또한, 블록(BL1), 블록(BL2)의 좌표 데이터(여기에서는, 블록 단점(端点)의 위치 좌표 데이터)가 별도 입력된다.Here, blocks BL1 and BL2 are defined that surround the in-area wiring pattern AD and the out-of-area wiring pattern BD, respectively. The drawing data of the entire substrate input to the exposure apparatus 10 in the exposure process includes pattern data of the block BL1 surrounding the intra-region wiring pattern AD. On the other hand, the pattern data of the block BL2 surrounding the out-of-area wiring pattern BD is input separately from the drawing data. Additionally, coordinate data of blocks BL1 and BL2 (here, position coordinate data of block end points) is input separately.

한편, 노광 장치(10)의 메모리(41)에는, 상술한 보충 배선 패턴(도 3 참조)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原型)이 되는 템플릿 패턴(C0)이, 래스터 데이터로서 보존, 등록되어 있다. 템플릿 패턴(C0)은, 영역 내 배선 패턴(AD) 및 영역 외 배선 패턴(BD)의 배선 수(5개)에 맞춰, 5개의 동심원상의 배선 패턴으로서 구성된다.Meanwhile, in the memory 41 of the exposure apparatus 10, the template pattern C0, which serves as a prototype for forming the above-described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see FIG. 3), is stored and registered as raster data. The template pattern C0 is composed of five concentric wiring patterns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wirings (5) of the in-area wiring pattern AD and the out-of-region wiring pattern BD.

템플릿 패턴(C0)의 전체의 배선폭(l), 각 배선폭(w), 배선 거리 간격(m)은, 영역 내 배선 패턴(AD) 및 영역 외 배선 패턴(BD)에 대해 정해진 전체의 배선폭(L), 각 배선폭(W), 배선 거리 간격(M)과 동일하다. 템플릿 패턴(C0)의 데이터는, 예를 들면, 로트 마다 노광 장치(10)에 입력, 보존된다.The overall wiring width (l), each wiring width (w), and wiring distance interval (m) of the template pattern (C0) are determined for the wiring pattern within the area (AD) and the wiring pattern outside the region (BD). It is the same as the width (L), each wiring width (W), and the wiring distance interval (M). The data of the template pattern C0 is input to and stored in the exposure apparatus 10 for each lot, for example.

도 5에는, 템플릿 패턴(C0)의 일부를 추출해 보충 배선 패턴(CD)을 생성하기 위한 마스크 패턴(MD)을 나타내고 있다. 마스크 패턴(MD)은, 중심(D)을 템플릿 패턴(C0)의 중심(C)에 일치시켰을 때에 템플릿 패턴(C0) 전체를 커버하는 사이즈를 가지고, 중심(D)으로부터 소정의 각도α로 둘러싸인 영역 이외의 영역(MA)을 마스킹하는, 즉, 데이터 무효로 하는 래스터 데이터로서 구성된다.FIG. 5 shows a mask pattern (MD) for generating a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D) by extracting a part of the template pattern (C0). The mask pattern (MD) has a size that covers the entire template pattern (C0) when the center (D) is aligned with the center (C) of the template pattern (C0), and is surrounded by a predetermined angle α from the center (D). It is configured as raster data that masks areas (MA) other than the area, that is, invalidates the data.

노광 장치(10)에서는, 상술한 입력되는 묘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처리와 병행해서, 카메라 주사에 의한 얼라인먼트 계측이 실시된다. 이에 따라, 기판(B)에서의 각 반도체칩의 (설계 상에서의) 기준위치에 대한 위치편차량이 측정된다(S102).In the exposure apparatus 10, alignment measurement by camera scanning is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data processing for the input drawing data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amount of positional deviation of each semiconductor chip on the substrate B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on the design) is measured (S102).

위치편차량의 산출 수법으로서, 예를 들면, 반도체칩의 단자(접속패드) 등을 특징점으로서 화상 처리에 의해 추출해, 템플릿 매칭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반도체칩에 설치된 얼라인먼트 마크를 계측해도 무방하다. 반도체칩의 위치편차량은, 주주사방향(X방향), 부주사방향(Y방향)의 기준위치에 대한 편차량, 및 칩 중심위치에 대한 회전편차량(각도(θ))으로서 구해진다.As a method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positional devia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extract terminals (connection pads) of a semiconductor chip as feature points through image processing and perform template matching. Alternatively, it is okay to measure the alignment mark installed on the semiconductor chip. The positional deviation amount of the semiconductor chip is obtained as the deviation amount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direction) and the sub-scanning direction (Y direction), and the rotational deviation amount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chip center position.

도 6은, 기판(B)에 있어서의 영역 내 배선 패턴(AD)의 패턴 형성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영역 내 배선 패턴(AD)의 패턴 형성 위치는, 검출된 각 반도체칩(SC)의 위치편차량에 근거해 보정된다. 반도체칩(SC) 자신은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기판(B) 상에서 배선 영역(D)의 경계 라인(D'L)을 규정한 경우, 그 경계 라인(D'L)에 대해서 영역 내 배선 패턴(AD)의 배선군이 수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X, Y의 위치 및 회전 각도를 보정하는 처리가 실행된다(S103).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pattern formation position of the wiring pattern AD within a region on the substrate B. As shown in FIG. 6, the pattern formation position of the wiring pattern AD within the area is corrected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al deviation amount of each semiconductor chip SC. Since the semiconductor chip (SC) itself is not deformed, when the boundary line (D'L) of the wiring region (D) is defined on the substrate (B), the wiring pattern ( Processing to correct the positions and rotation angles of X and Y is performed so that the wiring group (AD) remains vertical (S103).

여기에서는, 영역 내 배선 패턴(AD)을 포위하는 블록(BL1)의 패턴 데이터가, 반복 노광에 사용되는 정형 패턴으로서 취급되고, 상술한 각 반도체칩(SC)의 위치편차량에 근거하여, 보정된 노광용 정형 래스터 데이터가 합성 회로(40)에 출력된다.Here, the pattern data of the block BL1 surrounding the wiring pattern AD in the area is treated as a regular pattern used for repeated exposure, and is corrected based on the amount of positional deviation of each semiconductor chip SC described above. The standardized raster data for exposure is output to the synthesis circuit 40.

그런데, 블록(BL2)에 포함되는 영역 외 배선 패턴(BD)과, 블록(BL1)에 포함되는 영역 내 배선 패턴(AD)과의 사이에서는, 선폭(W), 전체의 배선폭(L), 배선 거리 간격(M)이 동일하다. 또한, 템플릿 패턴(C0)의 전체의 배선폭(l), 각 배선폭(w), 배선 거리 간격(m)도, 전체의 배선폭(L), 각 배선폭(W), 배선 거리 간격(M)과 동일하다.However, between the out-of-area wiring pattern BD included in the block BL2 and the in-area wiring pattern AD included in the block BL1, the line width W, the overall wiring width L, The wiring distance spacing (M) is the same. In addition, the overall wiring width (l), each wiring width (w), and the wiring distance interval (m) of the template pattern (C0) are also shown as the overall wiring width (L), each wiring width (W), and the wiring distance interval ( Same as M).

그래서, 도 5에 도시하는 템플릿 패턴(C0)의 일부를 추출함으로써, 원호상의 보충 배선 패턴(CD)(도 3 참조)을 생성하는 것과 함께, 블록(BL2)의 영역 외 배선 패턴(BD)의 형성 위치를 보정하고, 길이방향에 따라서 스케일링 보정한다. 이에 따라, 각각 위치편차가 있는 반도체칩 간을 접속시키는 배선 패턴을 형성한다.Therefore, by extracting part of the template pattern C0 shown in FIG. 5, an arc-shaped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D (see FIG. 3) is generated, and the wiring pattern BD outside the area of the block BL2 is created. The formation position is corrected, and scaling is corr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ly, a wiring pattern is formed to connect semiconductor chips each having a positional deviation.

우선, 도 7~도 8을 이용해, 보충 배선 패턴(CD)의 생성 수법에 대해 설명한다. 일방의 반도체칩(SC)의 접속 블록(B1)의 단점(端点)을 A1, B1, 이웃하는 반도체칩의 접속 블록(B1)의 단점을 A2, B2로 했을 경우, 블록 단점의 거리 간격이 최단이 되는 2점을 구한다. 도 7에서는, 최단 거리 간격(K)을 만들어 내는 단점으로서 단점 A1, A2가 특정된다. 이러한 단점 A1, A2를, 배치기준점으로 한다.First, a method for generating a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D) will be explained using FIGS. 7 to 8. When the end points of the connection block B1 of one semiconductor chip (SC) are set to A1 and B1, and the end points of the connection block B1 of the neighboring semiconductor chip are set to A2 and B2, the distance interval between the block end points is the shortest. Find 2 points. In Figure 7, the shortcomings A1 and A2 are specified as the shortcomings that create the shortest distance interval K. These shortcomings A1 and A2 are used as placement reference points.

그리고, 배치기준점(A1, A2)의 중점(A0)을 중심으로 하는 원(원호)(CA)과, 배치기준점(A1, A2)을 중심으로 해서 블록 단점 B1, B2를 각각 통과하는 원(원호)(CB1, CB2)을 규정하고, 교점(C1, C2)을 구한다. 블록 단점(A1), 교점(C1), 블록 단점(A2), 교점(C2)을 잇는 것에 의해 규정되는 구형 영역(G)이, 영역 외 배선 패턴(BD)을 형성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주어진다. 구형 영역(G)은, 이웃하는 반도체칩의 배선 영역 각각에 대해 한 점에서 접하는 영역이 된다.In addition, a circle (circular arc) (CA) centered on the midpoint (A0) of the placement reference points (A1, A2) and a circle (circular arc) passing through the block endpoints B1 and B2, respectively, centered on the placement reference points (A1, A2). )(CB1, CB2) are defined, and the intersection points (C1, C2) are obtained. A rectangular region G defined by connecting the block end point A1, the intersection point C1, the block end point A2, and the intersection point C2 is given as an area for forming the out-of-area wiring pattern BD. The rectangular region G is an area that touches each wiring region of a neighboring semiconductor chip at one point.

도 8에서는, 템플릿 패턴(C0), 마스크 데이터(MD)를 배치기준점(A1, A2)에 중첩한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마스크 데이터(MD)의 중심(D)을 블록 단점(A1)에 중첩했을 때, 블록 단점(A1)과 블록 단점(B1)을 잇는 직선(G1), 블록 단점(A1)과 교점(C1)을 잇는 직선(G2)으로 둘러싸이는, 협각α의 영역(MG) 이외의 영역(MA)을, 마스킹 영역(MA)으로서 정한다.FIG. 8 shows a diagram in which the template pattern C0 and mask data MD are overlapped with the arrangement reference points A1 and A2. When the center (D) of the mask data (MD) is overlapped with the block edge (A1), the straight line (G1) connecting the block edge (A1) and the block edge (B1) and the intersection point (C1) with the block edge (A1) are drawn. The area MA other than the area MG of the included angle α, surrounded by the connecting straight line G2, is defined as the masking area MA.

그리고, 마스킹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협각α의 영역(MG)에 들어가는 보충 배선 패턴(CD)이 생성된다(S104). 구체적으로는, 래스터 데이터인 템플릿 패턴(C0)의 영역(MA)의 데이터를 무효로 해서, 보충 배선 패턴(CD)의 래스터 데이터를 합성 회로(40)로 출력한다.Then, by performing masking processing, a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D that enters the area MG of the included angle α is generated (S104). Specifically, the data in the area MA of the template pattern C0, which is raster data, is invalidated, and the raster data of the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D is output to the synthesis circuit 40.

보충 배선 패턴(CD)은, 영역 내 배선 패턴(AD)의 보정된 형성 위치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템플릿 패턴(C0)의 최내측 배선까지의 지름방향 거리 간격(t)(도 5 참조)은, 영역 내 배선 패턴(AD)에서 보충 배선 패턴(CD)으로의 이어짐이, 직선에서 원으로의 연속적인 연결이 되도록, 정해져 있다.The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D is formed at a position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corrected formation position of the intra-region wiring pattern AD. The radial distance interval (t) to the innermost wiring of the template pattern (C0) (see FIG. 5) is such that the connection from the intra-area wiring pattern (AD) to the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D) is a straight line to a circle. It is decided that there will be a positive connection.

타방의 반도체칩(SC)측에 관해서도, 블록 단점(A2)을 배치기준점으로 해서, 마찬가지의 마스킹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보충 배선 패턴(CD)이 추출된다. 보충 배선 패턴(CD)의 형상은, 마스킹 처리되지 않는 영역(MG)의 범위, 즉, 배치 기준위치(A1, A2)의 위치에 따른다.As for the other semiconductor chip SC side, the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D is extracted by performing similar masking processing using the block end point A2 as an arrangement reference point. The shape of the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D depends on the range of the unmasked area MG, that is, the position of the arrangement reference positions A1 and A2.

도 9는, 영역 외 배선 패턴(BD)에 대한 패턴 형성 위치의 보정 및 스케일링 보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블록 단점(A1), 교점(C1), 블록 단점(A2), 교점(C2)을 잇는 것에 의해 규정되는 구형 영역(G)에 맞춰, 블록(BL2)(도 5 참조)의 패턴 데이터의 형성 위치가 보정되는 것과 함께, 스케일링 보정이 실시된다(S105).FIG. 9 is a diagram showing correc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position and scaling correction for the out-of-area wiring pattern BD.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pattern data of the block BL2 (see FIG. 5) according to the rectangular area G defined by connecting the block edge A1, the intersection point C1, the block edge A2, and the intersection point C2. is corrected, and scaling correction is performed (S105).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하는 블록(BL2)의 2개의 단점(b1, b3)이, 블록(BL1, BL1')의 단점(A1, A2)과 일치하도록, 패턴 형성 위치를 회전시키는 것과 함께, 블록 길이(E)를 E'로 변경하는 스케일링 보정을 실시한다. 이러한 보정 처리는, 벡터 데이터로 행해진다. 이상의 영역 내 배선 패턴(AD), 영역 외 배선 패턴(BD)에 대한 보정, 및 보충 배선 패턴(CD)의 생성은, 반도체칩끼리 접속시키는 배선 패턴 각각에 대해 행해진다.Specifically, the pattern formation position is rotated so that the two end points b1 and b3 of the block BL2 shown in FIG. 5 coincide with the end points A1 and A2 of the blocks BL1 and BL1'. , perform scaling correction to change the block length (E) to E'. This correction process is performed with vector data. Correction for the above-described in-area wiring pattern (AD), out-of-area wiring pattern (BD), and generation of the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D) are performed for each wiring pattern that connects semiconductor chips.

영역 내 배선 패턴(AD), 영역 외 배선 패턴(BD)은, 각각의 보정 처리를 거쳐 래스터 데이터로 변환되고, 래스터 데이터로 변환된 기판 전체의 묘화 데이터에 합성된다. 그리고, 마스킹 처리에 의해 생성된 보충 배선 패턴의 래스터 데이터가 묘화 데이터에 합성된다(S106). 데이터 합성에 의해 얻어진 노광 데이터에 의해, 노광 동작이 실시된다(S107).The in-area wiring pattern (AD) and out-of-area wiring pattern (BD) are converted into raster data through respective correction processes, and are synthesized into the drawing data of the entire substrate converted into raster data. Then, the raster data of the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generated by the masking process is synthesized into the drawing data (S106). An exposure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exposure data obtained by data synthesis (S107).

도 10은, 영역 내 배선 패턴(AD), 영역 외 배선 패턴(BD), 보충 배선 패턴(CD)을 합성한 배선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이웃하는 반도체칩(SC)에 걸쳐, 선폭(W), 전체의 배선폭(L), 배선 거리 간격(M)이 변화하지 않는 배선 패턴(DD)이 형성된다.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wiring pattern that is a combination of an intra-area wiring pattern (AD), an out-of-region wiring pattern (BD), and a supplemental wiring pattern (CD). As shown in FIG. 10, a wiring pattern DD is formed across neighboring semiconductor chips SC in which the line width W, the overall wiring width L, and the wiring distance interval M do not change.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FO-WLP의 노광 프로세스에 있어서, 임시의 기판(B)에 배치된 반도체칩(SC) 간의 기준위치에 대한 위치편차량을 측정한다. 입력된 묘화 데이터에 근거해, 칩 사이즈 보다 큰 배선 영역(D) 중에서 칩 주위의 확장 영역(MD)에 형성되는, 팬아웃 배선의 영역 내 배선 패턴(AD)과, 배선 영역(D)과의 사이의 수지에 형성되는 영역 외 배선 패턴(BD)으로 분류된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 the FO-WLP exposure process, the amount of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s SC placed on the temporary substrate B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is measured. Based on the input drawing data, the wiring pattern (AD) in the area of the fan-out wiring formed in the extended area (MD) around the chip among the wiring area (D) larger than the chip size and the wiring area (D) It is classified as a wiring pattern (BD) outside the area formed on the resin between the regions.

영역 내 배선 패턴(AD)의 형성 위치 보정에 따라서, 영역 외 배선 패턴(BD)에 대한 형성 위치의 보정 및 스케일링 보정을 실시하는 것과 함께, 원호상의 보충 배선 패턴(CD)을 생성한다. 그리고, 보정 후의 영역 내 배선 패턴(AD), 영역 외 배선 패턴(BD), 생성된 원호상의 보충 배선 패턴(CD)을 래스터 데이터로서 합성한다.In accordance with the formation position correction of the in-area wiring pattern AD, the formation position correction and scaling correction for the out-of-area wiring pattern BD are performed, and an arc-shaped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D is generated. Then, the corrected intra-area wiring pattern (AD), out-of-region wiring pattern (BD), and the generated arc-shaped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D) are synthesized as raster data.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벡터 데이터인 묘화 데이터의 입력으로부터 래스터 데이터로의 변환 처리, 그리고 노광 동작이라고 하는 일련의 노광 프로세스에 따라서, RDL 배선 패턴의 보정을 실시하고 있다. 벡터 데이터에서 배선 패턴을 재설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스루풋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correction of the RDL wiring pattern is performed according to a series of exposure processes, such as conversion processing from the input of drawing data as vector data to raster data, and exposure operation. Since the wiring pattern is not redesigned in vector data, the effect on throughput can be suppressed.

특히, 원호상의 보충 배선 패턴(CD)을 생성함으로써, 패턴 형성 위치의 보정에 의해 따로따로 떨어진 상태가 되어 버리는 영역 내 배선 패턴(AD), 영역 외 배선 패턴(BD)을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특히, 선폭(W), 전체의 배선폭(L), 배선 거리 간격(M)이 변경되지 않고 양 칩 사이를 접속시키기 때문에, 임피던스의 변화 등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particular, by creating an arc-shaped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D),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connect the in-area wiring pattern (AD) and the out-of-area wiring pattern (BD), which had become separate due to correc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position. In particular, since the line width (W), overall wiring width (L), and wiring distance interval (M) are connected between the two chips without changing, changes in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hanges in impedance can be suppressed.

보충 배선 패턴(CD)을 동심원상의 템플릿 패턴(C0)에 근거해 작성하기 때문에, 위치편차량이 개개로 다른 반도체칩(SC)에 대해서 적절한 보충 배선 패턴(CD)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FO-WLP의 노광 프로세스에 있어서, 반도체칩 간을 접속시키는 배선 패턴은, 통상, 복수의 배선 패턴이 늘어서는 배선군이 되지만, 마스킹 처리 만으로 배선 양단부를 스무스하게 연결해,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마스킹 처리 자체는 처리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스루풋 저하의 큰 영향이 되지 않는다.Since the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D) is created based on the concentric template pattern (C0), an appropriate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D) can be created for the semiconductor chips (SC) with different positional deviation amounts. Additionally, in the FO-WLP exposure process, the wiring pattern that connects semiconductor chips usually becomes a wiring group with a plurality of wiring patterns lined up, but both ends of the wiring can be smoothly connected and reinforced only by masking. Additionally, since the masking process itself has a fast processing speed, it does not significantly reduce throughput.

원호상 이외의 보충 배선 패턴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무방하고, 다양한 형상의 보충 배선 패턴을 미리 준비, 보존해, 적절한 형상의 보충 배선 패턴을 적용시켜, 떨어진 상태가 되어 버리는 배선 단부를 이어 맞추도록 해도 무방하다. 또한, 영역 외 배선 패턴(BD)에 대해서는, 형성 위치를 회전시키지 않고, 스케일링 보정만 실시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FO-WLP의 노광 프로세스 뿐만이 아니라, FI-WLP의 노광 프로세스에 적용해도 무방하다. 게다가, 레이저 스캔에 의한 노광 장치에 대해서 상술한 노광 프로세스를 적용해도 무방하다.It may be possible to create a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other than an arc shape. Supplementary wiring patterns of various shapes can be prepared and stored in advance, and a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of an appropriate shape can be applied to connect the ends of the wiring that have become separated. It is okay to do so. Additionally, for the out-of-area wiring pattern BD, it is acceptable to perform only scaling correction without rotating the formation position. It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exposure process of FO-WLP but also to the exposure process of FI-WLP.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xposure process may be applied to an exposure device by laser scanning.

10: 노광 장치
26: 래스터 변환 회로
33: 보정 회로
37: 계측 회로
38: 카메라
40: 합성 회로
AD: 영역 내 배선 패턴
BD: 영역 외 배선 패턴
CD: 보충 배선 패턴
10: Exposure device
26: Raster conversion circuit
33: correction circuit
37: Measurement circuit
38: Camera
40: synthesis circuit
AD: Wiring pattern within area
BD: Out-of-zone wiring pattern
CD: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laims (9)

지지 기판에 배치되는 다이의 사이즈 또는 상기 다이 보다 큰 사이즈의 배선 영역에 형성되는 영역 내 배선 패턴과, 상기 영역 내 배선 패턴과 설계 상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다이와 이웃하는 다이 또는 전자 컴포넌트와 접속하는 영역 외 배선 패턴을, 래스터 데이터로 변환해, 노광 데이터를 생성하는 노광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다이의 기준위치에 대한 위치편차를 계측하는 위치편차 계측부
를 갖추고,
상기 노광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다이의 위치편차에 따라 영역 내 배선 패턴의 형성 위치가 보정된 것에 의해 단부끼리 떨어진 상태에 있는, 영역 내 배선 패턴과 영역 외 배선 패턴을 접속시키는 보충 배선 패턴을 생성하고,
영역 내 배선 패턴, 영역 외 배선 패턴, 보충 배선 패턴을 합성한 노광 데이터에 근거하여, 노광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
A wiring pattern within a region formed in a wiring region of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die placed on a support substrate or the die, and a region connected by design to the wiring pattern within the region and connected to a die or electronic component adjacent to the die. An exposure data generation unit that converts an external wiring pattern into raster data and generates exposure data,
Position deviation measurement unit that measures the position deviation of the di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Equipped with
The exposure data generation unit generates a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connecting an in-region wiring pattern and an out-of-region wiring pattern whose ends are spaced apart by correcting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in-region wiring pattern according to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die, and ,
An exposur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n exposure operation is performed based on exposure data combining an in-region wiring pattern, an out-of-region wiring pattern, and a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데이터 생성부가,
보충 배선 패턴으로서, 원호상(圓弧狀)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xposure data generation unit,
An exposure device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n arc-shaped pattern as a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데이터 생성부가,
원상(圓狀) 패턴의 일부를 추출함으로써, 원호상의 보충 배선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exposure data generation unit,
An exposure apparatu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n arc-shaped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by extracting part of a circular patter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데이터 생성부가,
마스킹 처리에 의해서, 원호상의 보충 배선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exposure data generation unit,
An exposure apparatu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n arc-shaped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through masking proces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데이터 생성부가,
영역 외 배선 패턴에 대해, 형성 위치가 보정된 영역 내 배선 패턴에 따라서, 패턴 형성 위치의 보정 및 스케일링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exposure data generation unit,
An exposure apparatu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correction and scaling correction of a pattern formation position for an out-of-area wiring pattern according to an in-area wiring pattern whose formation position has been corrected.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역 내 배선 패턴 및 영역 외 배선 패턴이, 복수의 배선을 늘어놓은 배선군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 exposur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region wiring pattern and the out-of-region wiring pattern are configured as a wiring group in which a plurality of wirings are lined up.
제1항에 있어서,
FO(Fan-Out)-WLP(Wafer-Level Package)에서의 노광 프로세스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exposure device characterized by being used in the exposure process in a Fan-Out (FO)-WLP (Wafer-Level Package).
지지 기판에 배치되는 다이의 사이즈 또는 상기 다이 보다 큰 사이즈의 배선 영역에 형성되는 영역 내 배선 패턴과, 상기 영역 내 배선 패턴과 설계 상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다이와 이웃하는 다이 또는 전자 컴포넌트와 접속하는 영역 외 배선 패턴을, 래스터 데이터로 변환해, 노광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다이의 기준위치에 대한 위치편차를 계측하고,
상기 다이의 위치편차에 따라 영역 내 배선 패턴의 형성 위치가 보정된 것에 의해 단부끼리 떨어진 상태에 있는, 영역 내 배선 패턴과 영역 외 배선 패턴을 접속시키는 보충 배선 패턴을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패턴의 작성 방법.
A wiring pattern within a region formed in a wiring region of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die placed on a support substrate or the die, and a region connected by design to the wiring pattern within the region and connected to a die or electronic component adjacent to the die. Convert external wiring patterns into raster data and generate exposure data,
Measure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di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By correcting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intra-region wiring pattern according to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die, creating a supplementary wiring pattern that connects the in-region wiring pattern and the out-of-region wiring pattern whose end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method of creating a wiring pattern characterized by:
FO(Fan-Out)-WLP(Wafer-Level Package)에서의 노광 프로세스에 있어서, 제8항에 기재된 배선 패턴의 작성 방법에 근거해 작성된 배선 패턴에 의해 노광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An exposur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n an exposure process in a Fan-Out (FO)-WLP (Wafer-Level Package), an exposure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a wiring pattern created based on the wiring pattern creation method described in claim 8. .
KR1020220098302A 2022-03-22 2022-08-08 Exposure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wiring pattern KR2023013780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45514 2022-03-22
JP2022045514A JP2023139799A (en) 2022-03-22 2022-03-22 Exposure equipment and creation method of wiring patter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802A true KR20230137802A (en) 2023-10-05

Family

ID=8811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302A KR20230137802A (en) 2022-03-22 2022-08-08 Exposure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wiring pattern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139799A (en)
KR (1) KR20230137802A (en)
CN (1) CN116819893A (en)
TW (1) TW202338505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7255U (en) 1980-10-08 1982-04-22
JPS5779145U (en) 1980-10-28 1982-05-15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7255U (en) 1980-10-08 1982-04-22
JPS5779145U (en) 1980-10-28 1982-05-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39799A (en) 2023-10-04
TW202338505A (en) 2023-10-01
CN116819893A (en) 2023-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46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ment optimization for multiple layers
JP5637771B2 (en) Direct drawing method and direct drawing apparatus
KR102504473B1 (en) Exposure apparatus, alignment method of the exposure apparatus, and program
JP2008003504A (en) Drawing system
JP6730851B2 (en) Determination method, formation method, program, and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JP5449702B2 (en) Exposure system capable of correcting drawing data
TWI742485B (en) Shift control method in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US6854105B2 (en) Chip arrangement determining apparatus and method
US20220012405A1 (en) Adaptive Routing for Correcting Die Placement Errors
KR20230137802A (en) Exposure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wiring pattern
US10269662B2 (en) Scanning methods for focus control for lithographic processing of reconstituted wafers
JPH04252016A (en) Pattern drawing method
CN113161227B (en) Fan-out packag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maskless photoetching and rewiring method
JPH06333793A (en) Aligner
JP3127851B2 (en) Overlay exposure method
JP2009105296A (en) Exposure method for dummy chip
JP2004297012A (en) Electron beam exposing apparatus, electron beam exposing method and electron beam exposing system
JP3351389B2 (en) Electron beam exposure apparatus and electron beam exposure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