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509A -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509A
KR20230137509A KR1020220034479A KR20220034479A KR20230137509A KR 20230137509 A KR20230137509 A KR 20230137509A KR 1020220034479 A KR1020220034479 A KR 1020220034479A KR 20220034479 A KR20220034479 A KR 20220034479A KR 20230137509 A KR20230137509 A KR 20230137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oromandibular joint
unit
evaluation
user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지헌
임현은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34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7509A/ko
Publication of KR20230137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6Mand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ome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ursing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은, 사용자의 턱관절을 평가하여 턱관절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교정 운동 설정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턱관절 평가 장치; 및 상기 턱관절 평가 장치에 의해 생성된 교정 운동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턱관절 교정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턱관절 운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턱관절 평가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가이드 선을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가이드 선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턱관절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부; 상기 움직임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턱관절을 평가하기 위한 턱관절 평가부; 및 상기 턱관절 평가부의 평가 결과를 기초로, 상기 교정 운동 설정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설정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TEMPOROMANDIBULAR JOINT EXERCISE DEVICE USING OPTICAL EVALU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 특히 광학식 평가를 이용하여 턱관절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턱관절은 하악골(턱뼈)과 측두골(머리뼈) 사이에 위치하며, 하악골과 측두골을 서로 연결하는 관절이다. 턱관절은 양쪽 귀 바로 앞쪽에 위치한다. 턱관절은 모든 턱 운동의 중심축으로 작용하며, 턱근육과 인대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하악골와 측두골 사이에는 관절원판이 존재하며, 이 관절원판은 뼈와 뼈가 직접 만나 움직일 때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을 방지하는 완충(쿠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근육과 인대, 디스크, 턱뼈가 함께 어우러져 개구(입 벌리기)와, 저작(씹는 행위), 말하기, 삼키기 등의 복합적인 활동을 담당한다. 이때, 다양한 원인에 따라 턱관절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턱관절 운동시 통증이 생기는 것을 턱관절 장애 또는 악관절 장애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측두하악관절(temporomandibular joint)는 턱관절로 지칭되고 있다. 측두하악관절은 측두골(temporal bone)과 하악골(mandible)사이의 윤활막성관절이다. 미 국립 치과 및 두개안면 연구기관(National Institute of Dental and Craniofacial Research)에 따르면, 턱관절 장애의 유명률은 5%에서 12%로 확인되고 있다. 특히, 젊은 사람에게 더 높으며 여성은 남성의 두배의 유병률을 갖는다. 통증은 턱관절 장애의 주요 증상들 중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턱관절 장애를 갖는 사람이 입을 벌리는 경우, 앞쪽으로 탈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관절면이 튀어나온 영역을 지날 때 충돌로 인해 발생된다.
측두뼈와 하악뼈의 충돌로 인해 발생된 손상은 염증을 유발하고 통증이 동반된다. 부정교합, 생활습관에 기인하는 여러 가지 문제, 그리고, 주변 근육의 이상 기능과 연축은 턱관절 장애의 대표적인 원인들이다.
현재 턱관절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서, 진통제, 온열치료, 생활 습관 개선 그리고 수술적 요법 등이 실시되고 있다. 이때, 턱관절 치료를 위해서는 하악뼈의 움직임과 턱관절의 회전 및 이동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중요하다.
특히, 턱관절은 양쪽 두 관절들 중 한쪽이 우세하게 침범(35.3%~85.7%)하는 경우, 이에 대해 정확한 평가 후 문제가 되는 관절에 대한 교정 운동 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광학식 턱관절 평가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턱관절 통증 완화책의 경우, 턱관절의 동작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턱관절 통증 완화를 위해, 보존적 치료 방법 만이 제시되고, 턱관절 주변의 근육에 대한 운동 장치의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68972호 '턱관절 교정 및 코골이 완화기구'(2022.02.24.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00791호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2022.01.04.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턱관절의 상태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턱관절의 상태를 기초로,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턱관절의 양쪽 관절들 중 어느 한 쪽이 우세하게 침범된 경우, 정확한 평가를 통해 해당하는 일측의 턱관절에 대한 집중적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턱관절 주변 근육을 운동시킬 수 있는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은, 사용자의 턱관절을 평가하여 턱관절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교정 운동 설정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턱관절 평가 장치; 및 상기 턱관절 평가 장치에 의해 생성된 교정 운동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턱관절 교정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턱관절 운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턱관절 평가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가이드 선을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가이드 선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턱관절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부; 상기 움직임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턱관절을 평가하기 위한 턱관절 평가부; 및 상기 턱관절 평가부의 평가 결과를 기초로, 상기 교정 운동 설정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설정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이 벌어지는 제1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제1 동작 감지부; 상기 사용자의 입이 다물어지는 제2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제2 동작 감지부; 및 상기 제1 동작 및 상기 제2 동작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는 동안, 측두뼈 및 하악뼈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턱관절 평가부는, 상기 감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하악뼈의 최대 이동량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부; 상기 최대 이동량을 기준 이동량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 및 상기 최대 이동량이 상기 기준 이동량 이상인 경우, 턱관절 장애인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설정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개인 평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감지 데이터, 상기 평가 결과 및 상기 개인 평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교정 운동 설정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인 평가 정보는, 통증 정보, 연발음 정보, 장애 부위 정보 및 개선 동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턱관절 운동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측두뼈 측에 결합되는 제1 교정부; 상기 사용자의 하악뼈 측에 결합되는 제2 교정부; 및 상기 제1 교정부 및 상기 제2 교정부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턱관절 운동 장치의 좌측부 및 우측부 중에서 장애가 발생된 측면에서 상기 제1 교정부 및 상기 제2 교정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는, 교정하고자 하는 동작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는, 제1 연결점에서 상기 제1 교정부와 결합하고, 제2 연결점에서 상기 제2 교정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1 연결점은, 상기 제2 연결점보다 상기 사용자의 전방을 향하여 앞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동작을 교정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는 직선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동작을 교정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는 곡선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은 턱관절의 상태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은 턱관절의 상태를 기초로,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은 턱관절의 양쪽 관절들 중 어느 한 쪽이 우세하게 침범된 경우, 정확한 평가를 통해 해당하는 일측의 턱관절에 대한 집중적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은 주변 근육을 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운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평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평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 정보 생성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운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운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밖에 당업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기재한다. 다만,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표현 여부에 불구하고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운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턱관절 운동 시스템(10)은 광학식 평가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턱관절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턱관절 상태에 따라 턱관절 교정 운동을 위한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10)은 사용자 턱관절 상태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턱관절 교정 운동을 적절히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턱관절 운동 시스템(10)은 턱관절 평가 장치(100) 및 턱관절 운동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턱관절 평가 장치(100)는 사용자의 턱관절을 평가하여 턱관절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교정 운동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턱관절 평가 장치(100)는 광학식 평가를 통해 사용자의 턱관절을 평가할 수 있다. 즉, 턱관절 평가 장치(100)는 사용자의 턱관절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바탕으로 턱관절을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턱관절 평가 장치(100)는 평가 결과를 기초로 턱관절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턱관절 평가 장치(100)는 턱관절 운동 장치(200)의 사용 설정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교정 운동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교정 운동 설정 정보는, 교정받고자 하는 턱관절의 위치(예컨대, 좌측 턱관절 또는 우측 턱관절), 교정받고자 하는 동작, 턱관절의 크기, 입을 벌리거나 닫을 때 측두뼈 및 하악뼈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턱관절 평가 장치(100)는 카메라(camera)가 구비된 스마트 장치(smart device) 또는 컴퓨팅 장치(computing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에서 턱관절 평가 장치(100)가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턱관절 운동 장치(200)는 턱관절 평가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교정 운동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턱관절 교정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턱관절 운동 장치(200)는 교정 운동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턱관절 운동 장치(200)는 교정 운동 설정 정보에 포함된 교정 위치, 교정 동작, 사용자의 특성 등에 기초하여 초기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턱관절 운동 장치(200)는 상하측 마우스피스(mouthpiece) 구조와 연결 구조체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내용은 도 7 및 도 8에서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평가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턱관절 평가 장치(100)는 촬영부(110), 표시부(120), 움직임 감지부(130), 턱관절 평가부(140) 및 설정 정보 생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10)는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할 수 있다. 예컨대, 촬영부(110)는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하여 사용자 얼굴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촬영부(110)는 카메라 장치(camera device) 또는 3차원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얼굴의 특징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가이드 선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20)는 촬영부(110)가 촬영하는 사용자의 정면 모습이 나타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을 통해 정면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정면 모습과 함께 가이드 선을 표시할 수 있다. 가이드 선은 사용자 얼굴 세로 중앙선으로서, 화면상에서 기 설정된 선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부(120)는 사용자의 얼굴의 형상(예컨대, 코, 입술, 인중, 치아 등)으로부터 도출된 얼굴의 세로 중앙선을 가이드 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2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display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표시장치(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라즈마 표시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130)는 표시부(120)에 표시된 가이드 선을 기초로, 사용자의 턱관절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움직임 감지부(130)는 사용자의 얼굴이 가이드 선을 기준으로 고정된 상태에서의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동작은 입을 벌리는 동작이고, 제2 동작은 입을 다무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130)는 제1 동작 및 제2 동작 동안, 사용자의 턱관절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움직임 감지부(130)는 턱관절 움직임 감지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턱관절 평가부(140)는 움직임 감지부(130)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턱관절을 평가할 수 있다.
예컨대, 턱관절 평가부(140)는 움직임 감지부(130)로부터 생성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턱관절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턱관절 평가부(140)는 턱관절 움직임으로부터 턱관절 장애 여부등을 판단할 수 있다.
설정 정보 생성부(150)는 턱관절 평가부(140)의 평가 결과를 기초로, 교정 운동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설정 정보 생성부(150)는 교정이 필요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우측 턱관절 및 좌측 턱관절 중 적어도 하나에 장애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설정 정보 생성부(150)는 대응하는 턱관절에 교정이 필요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정보 생성부(150)는 교정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설정 정보 생성부(150)는 턱관절 장애의 종류에 따라 제1 동작 및 제2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교정이 필요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정보 생성부(150)는 사용자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설정 정보 생성부(150)는 사용자의 측두뼈 및 하악뼈의 크기, 입을 벌릴 때 또는 다물 때의 측두뼈 및 하악뼈 사이의 거리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설정 정보 생성부(150)는 결정된 사항들을 기초로 교정 운동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교정 운동 설정 정보는, 교정받고자 하는 턱관절의 위치(예컨대, 좌측 턱관절 또는 우측 턱관절), 교정받고자 하는 동작, 턱관절의 크기, 입을 벌리거나 닫을 때 측두뼈 및 하악뼈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평가 장치(100)에 의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된 표시부(120)가 도시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부(120)는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가이드 선(GL)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 선(GL)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 선(GL)은 고정된 수직선으로 설정될 수 있고, 안면의 형상에 따라 추출된 안면의 중앙선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선(GL)은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된 2개의 스티커 마커들에 의해 설정되는 중앙선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 선(GL)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표시부(120)는 촬영부(110)가 촬영하는 사용자의 정면 모습이 나타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을 통해 정면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촬영부(110)를 응시하면서,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입이 불편하지 않는 범위로 최대한 열고, 가볍에 어금니가 닫는 정도로 입을 닫는 동작을 편안함을 느끼는 속도로 8회 반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움직임 감지부(130)는 제1 동작 및 제2 동작 동안, 좌측 거리(LD) 및 우측 거리(RD)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거리(LD)는 가이드 선(GL)으로부터 사용자의 좌측 턱관절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우측 거리(RD)는 가이드 선(GL)으로부터 사용자의 우측 턱관절까지의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턱관절 평가부(140)는 움직임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좌측 거리(LD) 및 우측 거리(RD)로부터 최대값을 추출하고,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턱관절 평가부(140)는 산출된 비율이 기준값 이상이거나, 이하인 경우, 대응하는 턱관절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턱관절에서 일측의 턱관절의 가동범위가 다른 일측의 가동범위의 기준 범위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 턱관절 장애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감지부(1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움직임 감지부(130)는 제1 동작 감지부(131), 제2 동작 감지부(132) 및 데이터 생성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작 감지부(131)는 사용자의 입이 벌어지는 제1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동작 감지부(131)는 사용자가 입을 벌리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션 감지 기능 등을 해당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동작 감지부(131)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1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동작 감지부(132)는 사용자의 입이 다물어지는 제2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동작 감지부(132)는 사용자가 입을 다무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션 감지 기능 등을 해당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동작 감지부(132)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1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133)는 제1 동작 및 제2 동작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는 동안, 측두뼈 및 하악뼈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생성부(133)는 제1 동작 및 제2 동작 동안, 좌측 거리(LD) 및 우측 거리(RD)를 감지하고, 좌측 거리(LD) 및 우측 거리(RD)를 나타내는 감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평가부(1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턱관절 평가부(140)는 추출부(141), 비교부(142) 및 판단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부(141)는 감지 데이터를 기초로, 하악뼈의 최대 이동량을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부(141)는 감지 데이터로부터 좌측 거리(LD) 및 우측 거리(RD)를 확인하고, 하악뼈의 최대 이동량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최대 이동량은, 가이드 선(GL)으로부터의 턱관절의 최대 수평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부(141)는 사용자의 턱의 최대 이동량을 추출할 수 있다.
비교부(142)는 최대 이동량을 기준 이동량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이동량은, 기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준 이동량은 5mm 내지 6mm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기준 이동량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값이거나, 턱관절 장애를 결정하기 위한 함수에 의해 도출된 값일 수 있다.
판단부(143)는 최대 이동량이 기준 이동량 이상인 경우, 턱관절 장애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판단부(143)는 최대 이동량이 기준 이동량이 이상인 경우, 해당 턱관절의 가동 범위가 기준 범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턱관절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143)는 사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 중에서, 어느 턱관절에 장애가 발생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 정보 생성부(15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설정 정보 생성부(150)는 데이터 입력부(151) 및 정보 생성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151)는 사용자로부터 개인 평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개인 평가 정보는, 통증 정보, 연발음 정보, 장애 부위 정보 및 개선 동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증 정보는, 턱관절에 통증이 발생하지는지 여부, 제1 동작 및 제2 동작 중 어느 동작에서 통증이 발생하지는지 여부, 통증이 발생하는 횟수, 통증의 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발음 정보는, 턱관절에 연발음(Clicking sound)가 발생하는지 여부, 제1 동작 및 제2 동작 중 어느 동작에서 연발음이 발생하는지 여부, 연발음의 횟수, 연발음의 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애 부위 정보는, 좌측 및 우측 중에서 장애(예컨대, 통증, 연발음 등)가 발생한 부위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개선 동작 정보는, 교정 운동을 통해 개선하고자 하는 동작(예컨대, 제1 동작 또는 제2 동작)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생성부(152)는 감지 데이터, 평가 결과 및 개인 평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교정 운동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교정 운동 설정 정보는, 교정받고자 하는 턱관절의 위치(예컨대, 좌측 턱관절 또는 우측 턱관절), 교정받고자 하는 동작(예컨대, 제1 동작 및 제2 동작), 턱관절의 크기, 입을 벌리거나 닫을 때 측두뼈 및 하악뼈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운동 장치(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턱관절 운동 장치(200)는 제1 교정부(210), 제2 교정부(220) 및 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 동작(입을 벌리는 동작)에서 사용되는 턱관절 운동 장치(200)의 측면이 도시된다.
제1 교정부(210)는 사용자의 측두뼈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교정부(220)는 사용자의 하악뼈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교정부(210) 및 제2 교정부(220)는 마우스피스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교정부(210) 및 제2 교정부(220)는 의료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콘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연결부(230)는 제1 교정부(210) 및 제2 교정부(2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30)는 연결부(230)는, 제1 교정부(210) 및 제2 교정부(2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230)는 턱관절 운동 장치(200)의 좌측부 및 우측부 중에서 장애가 발생된 측면에서 제1 교정부(210) 및 제2 교정부(220)를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우측 턱관절을 교정하는 경우, 연결부(230)는 제1 교정부(210) 및 제2 교정부(22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좌측 턱관절을 교정하는 경우, 연결부(230)는 제1 교정부(210) 및 제2 교정부(22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230)는, 교정하고자 하는 동작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동작을 교정하는 경우, 연결부(230)는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연결부(23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연결부(230)는, 제1 연결점(P1)에서 제1 교정부(210)와 결합하고, 제2 연결점(P2)에서 제2 교정부(220)와 결합할 수 있다. 제1 연결점(P1)은, 제2 연결점(P2)보다 사용자의 전방을 향하여 앞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을 다물었을 때, 제1 연결점(P1) 및 제2 연결점(P2) 사이의 수평거리는 제1 거리(D1)로 정의되며, 교정 운동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입을 벌렸을 때, 제1 연결점(P1) 및 제2 연결점(P2) 사이의 수직거리는 제2 거리(D2)로 정의되며, 교정 운동 설정 정보를 기초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동작을 수행할 때, 턱관절 운동 장치(200)는 입을 벌릴 때 하악골에 대하여 전하방으로 견인력을 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운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턱관절 운동 장치(200)는 제1 교정부(210), 제2 교정부(220) 및 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제2 동작(입을 닫는 동작)에서 사용되는 턱관절 운동 장치(200)의 측면이 도시된다.
제1 교정부(210)는 사용자의 측두뼈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교정부(220)는 사용자의 하악뼈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교정부(210) 및 제2 교정부(220)는 마우스피스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교정부(210) 및 제2 교정부(220)는 의료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콘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연결부(230)는 제1 교정부(210) 및 제2 교정부(2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30)는 연결부(230)는, 제1 교정부(210) 및 제2 교정부(2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230)는 턱관절 운동 장치(200)의 좌측부 및 우측부 중에서 장애가 발생된 측면에서 제1 교정부(210) 및 제2 교정부(220)를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우측 턱관절을 교정하는 경우, 연결부(230)는 제1 교정부(210) 및 제2 교정부(22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좌측 턱관절을 교정하는 경우, 연결부(230)는 제1 교정부(210) 및 제2 교정부(22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230)는, 교정하고자 하는 동작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동작을 교정하는 경우, 연결부(230)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연결부(23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입을 닫을 때, 제1 교정부(210) 및 제2 교정부(220)의 간격이 좁아지며, 연결부(230)의 탄성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력은 하악뼈를 아래로 내리는 견인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연결부(230)는, 제1 연결점(P1)에서 제1 교정부(210)와 결합하고, 제2 연결점(P2)에서 제2 교정부(220)와 결합할 수 있다. 제1 연결점(P1)은, 제2 연결점(P2)보다 사용자의 전방을 향하여 앞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230)의 위치로 인하여, 탄성력은 제2 교정부(220)를 후방으로 미는 견인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 동작을 수행할 때, 턱관절 운동 장치(200)는 입을 다물 때, 하악골에 대하여 후하방으로 견인력을 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을 통하여, 본 발명의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은 턱관절의 상태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은 턱관절의 상태를 기초로,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은 턱관절의 양쪽 관절들 중 어느 한 쪽이 우세하게 침범된 경우, 정확한 평가를 통해 해당하는 일측의 턱관절에 대한 집중적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은 주변 근육을 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또는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또는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장치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이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이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이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이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 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턱관절 운동 시스템
100: 턱관절 평가 장치
110: 촬영부
120: 표시부
130: 움직임 감지부
140: 턱관절 평가부
150: 설정 정보 생성부
200: 턱관절 운동 장치
210: 제1 교정부
220: 제2 교정부
230: 연결부

Claims (10)

  1. 사용자의 턱관절을 평가하여 턱관절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교정 운동 설정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턱관절 평가 장치; 및
    상기 턱관절 평가 장치에 의해 생성된 교정 운동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턱관절 교정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턱관절 운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턱관절 평가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가이드 선을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가이드 선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턱관절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부;
    상기 움직임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턱관절을 평가하기 위한 턱관절 평가부; 및
    상기 턱관절 평가부의 평가 결과를 기초로, 상기 교정 운동 설정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설정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이 벌어지는 제1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제1 동작 감지부;
    상기 사용자의 입이 다물어지는 제2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제2 동작 감지부; 및
    상기 제1 동작 및 상기 제2 동작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는 동안, 측두뼈 및 하악뼈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턱관절 평가부는,
    상기 감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하악뼈의 최대 이동량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부;
    상기 최대 이동량을 기준 이동량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 및
    상기 최대 이동량이 상기 기준 이동량 이상인 경우, 턱관절 장애인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개인 평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감지 데이터, 상기 평가 결과 및 상기 개인 평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교정 운동 설정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평가 정보는, 통증 정보, 연발음 정보, 장애 부위 정보 및 개선 동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턱관절 운동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측두뼈 측에 결합되는 제1 교정부;
    상기 사용자의 하악뼈 측에 결합되는 제2 교정부; 및
    상기 제1 교정부 및 상기 제2 교정부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턱관절 운동 장치의 좌측부 및 우측부 중에서 장애가 발생된 측면에서 상기 제1 교정부 및 상기 제2 교정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교정하고자 하는 동작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제1 연결점에서 상기 제1 교정부와 결합하고, 제2 연결점에서 상기 제2 교정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1 연결점은, 상기 제2 연결점보다 상기 사용자의 전방을 향하여 앞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을 교정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는 직선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동작을 교정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는 곡선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
KR1020220034479A 2022-03-21 2022-03-21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 KR20230137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479A KR20230137509A (ko) 2022-03-21 2022-03-21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479A KR20230137509A (ko) 2022-03-21 2022-03-21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509A true KR20230137509A (ko) 2023-10-05

Family

ID=88294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479A KR20230137509A (ko) 2022-03-21 2022-03-21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750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791A (ko) 2020-06-26 2022-01-04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KR102368972B1 (ko) 2021-11-30 2022-03-02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턱관절 교정 및 코골이 완화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791A (ko) 2020-06-26 2022-01-04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KR102368972B1 (ko) 2021-11-30 2022-03-02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턱관절 교정 및 코골이 완화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2634B2 (en) Augmented reality dental design method and system
Visscher et al. Kinematics of the human mandible for different head postures
Farella et al. The curve of Spee and craniofacial morpholog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Gadotti et al. Preliminary rapport on head posture and muscle activity in subjects with class I and II
Macari et al. New insights on age‐related association between nasopharyngeal airway clearance and facial morphology
Al-Hiyali et al. The impact of orthognathic surgery on facial expressions
Hopper et al. Counterclockwise craniofacial distraction osteogenesis for tracheostomy-dependent children with Treacher Collins syndrome
Nooreyazdan et al. Modeling facial movement: II. A dynamic analysis of differences caused by orthognathic surgery
Alhammadi et al. Three‐dimensional assessment of condylar position and joint spaces after maxillary first premolar extraction in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Wong et al. Analysis of esthetic smiles by using computer vision techniques
Sheikhi et al. Length and anatomic routes of the greater palatine canal as observed by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KR102388337B1 (ko)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
Adly et al. Assessment of early orthodontic treatment on functional shifts by telemonitoring mandibular movements using a smart phone
Ploder et al. Skeletal-versus soft-tissue-based cephalometric analyses: is the correlation reproducible?
KR20230137509A (ko) 광학식 평가를 이용한 턱관절 운동 시스템
Yashiro et al. Influence of balancing‐side occlusal interference on smoothness of working‐side condylar movement and intra‐articular space in chewing efforts
Lin et al. A novel three-dimensional smile analysis based on dynamic evaluation of facial curve contour
Karacay et al. Evaluation of hyoid bone movements in subjects with open bite: a study with real-time balanced turbo field echo cine-magnetic resonance imaging
Koak et al. A study on the mandibular movement of anterior openbite patients
Pinheiro et al. A computational method for recording and analysis of mandibular movements
CN201398960Y (zh) 一种面瘫神经功能检测装置
Restrepo et al. Palate morphology of bruxist children with mixed dentition. A pilot study
Almeida et al. Comparison reproducibility between the facebow and a new technique based on a spirit level device
Celebi et al. Effects of rapid maxillary expansion on head posture, postural stability, and fall risk
Fındık et al. Evaluation of lip force in patients with unilateral and bilateral cleft l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