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6959A -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6959A
KR20230136959A KR1020220034483A KR20220034483A KR20230136959A KR 20230136959 A KR20230136959 A KR 20230136959A KR 1020220034483 A KR1020220034483 A KR 1020220034483A KR 20220034483 A KR20220034483 A KR 20220034483A KR 20230136959 A KR20230136959 A KR 20230136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portion
power cable
conductor
ground wir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석
양훈철
고현진
박경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4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6959A/ko
Publication of KR20230136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95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23Parallel wires, incorporated in a flat insulating profi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09Details relating to the conductive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01B9/028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with screen grounding means, e.g. drain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 배선용 전력 케이블의 특징을 가지면서 AV 기기에 사용이 가능한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은 플랫 케이블 형태의 파워 케이블을 형성함으로써, 전계 집중도, 정전용량 및 자기장 방사량의 측면에서 매우 향상된 효과가 있는 동시에, 전계 집중도 감소 및 도체 부식 방지에 따른 음질 장수명화를 기대할 수 있고, 낮은 정전용량 및 고차폐구조에 의해 우수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자기장 방사가 적어 주변 AV 기기를 노이즈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 및 그의 제조방법 {POWER CABLE FOR AV DEVIC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 배선용 전력 케이블의 특징을 가지면서 AV 기기에 사용이 가능한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케이블은 보호 필름(절연층)이나 외장 내에 하나 이상의 전선이나 광섬유의 묶음이 절연된 상태로 내장된다. 이러한 전선은 높은 전도도, 적은 전기저항, 및 높은 견인강도가 요구되므로, 구리선을 수개 혹은 수십개를 모아 꼬은 동연선의 형태를 사용하거나, 중심부에 강철선을 삽입하고 그 둘레에 알루미늄선을 사용한 강심 알루미늄선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의 전선 관련 규격을 살펴보면, 사용재료의 분류에 따라 폴리염화비닐 전선류는 IEC 60227, 고무 전선류는 IEC 60245, 폴리에틸렌 등 전선류는 IEC 60502, 도체 관련으로는 IEC 60228, 및 시험방법 관련으로는 IEC 60811로 규정하고 있다.
케이블은 용도에 따라 전력용 케이블과 정보 통신분야의 제어용 케이블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 전력용 케이블은 IEC 60227, IEC 60245에 의한 원형 케이블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원형 케이블의 형태로 제조된 전력 케이블은 일반적인 전기동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원형 형태의 연합으로 전자기적 특성에 불리하며, 별도의 차폐층 없이 제조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AV 제품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29759호(2020. 11. 18. 공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체를 분할하여 플랫하게 배치한 케이블을 구성함으로써, 일반적인 배선용 전력 케이블의 특징을 살리면서 AV 기기에 적용이 가능한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제1 코어부; 상기 제1 코어부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되, 상기 제1 코어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코어부; 및 상기 제1 코어부 및 상기 제2 코어부를 일체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시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부 및 상기 제2 코어부 각각은, 복수개의 도체선; 상기 복수개의 도체선을 각각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반도전층; 상기 반도전층이 형성된 복수개의 도체선을 일체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차폐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코어부 및 상기 제2 코어부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도체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접지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연층은, 상기 복수개의 도체선과 상기 접지선을 일체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코어부의 접지선 및 상기 제2 코어부의 접지선은 서로 인접하게 마주보는 형태가 되도록 각각의 절연층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연층은, 상기 복수의 도체부 및 접지선을 일체로 둘러싸되, 상기 접지선에서 두 접지선이 마주보는 위치에 해당하는 일부는 제외하고 둘러싸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코어부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되, 상기 제1 코어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코어부 및 상기 제2 코어부를 일체로 둘러싸는 형태로 시스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 각각은, 복수개의 도체선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도체선을 각각 둘러싸는 형태로 반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전층이 형성된 복수개의 도체선을 일체로 둘러싸는 형태로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층을 둘러싸는 형태로 차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도체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접지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도체선과 상기 접지선을 일체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지선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코어부의 접지선 및 상기 제2 코어부의 접지선은 서로 인접하게 마주보는 형태가 되도록 각각의 절연층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도체부 및 접지선을 일체로 둘러싸되, 상기 접지선에서 두 접지선이 마주보는 위치에 해당하는 일부는 제외하고 둘러싸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랫 케이블 형태의 파워 케이블을 형성함으로써, 전계 집중도, 정전용량, 및 자기장 방사량의 측면에서 매우 향상된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전계 집중도 감소 및 도체 부식 방지에 따른 음질 장수명화를 기대할 수 있고, 낮은 정전용량 및 고차폐구조에 의해 우수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자기장 방사가 적어 주변 AV 기기를 노이즈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과 일반적인 원형 케이블의 기능 비교를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코어부 및 제2 코어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제1 엘리먼트 (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전선”의 의미와 동일하여, 상기 용어 “케이블” 및 “전선”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고, 따라서 이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피커 케이블”은, 스피커를 앰프 또는 마이크 등의 다른 기기와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케이블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원형 케이블 또는 플랫 케이블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10)은 제1 코어부(100), 제2 코어부(200), 및 시스층(300)을 포함한다.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10)은 양극 및 음극의 전극을 필요로 하는 파워 케이블일 수 있다.
제1 코어부(100) 및 제2 코어부(200)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다만, 제1 코어부(100)는 양극과 음극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제2 코어부(200)는 양극과 음극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차이가 있다.
제1 코어부(100)는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는 통상의 도체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도체선(110), 접지선(120), 반도전층(130), 절연층(140), 및 차폐층(150)을 포함한다.
도체선(110)은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는 통상의 도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두께는 1 SQ(Square)일 수 있다.
여기서, 도체는 전기 전도도가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면, 도체는 구리, 구리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납땜성을 고려하여 무산소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체선(110)의 단면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도 예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원형으로 형성한다. 하지만, 도체선(110)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그 용도에 따라 그 단면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체선(110)은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모서리가 특정 곡률반경으로 라운드 처리된 평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도체선(110)은 복수개의 소선이 꼬여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소선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구리, 알루미늄, 또는 다른 금속이 도금된 구리 합금일 수 있으나, 구리 또는 다른 금속이 도금된 구리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선이 구리일 경우, 산소의 함유량이 없는 무산소동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산소동선을 사용할 경우, 전기적 전송률을 높일 수 있고, 잡음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무산소동선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도체 변색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음질이 악화되는 단점이 있다.
소선이 다른 금속이 도금된 구리 합금일 경우, 전술한 무산소 동선의 외주면에 은도금층을 형성한 은도금 무산소 동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은도금층을 무산소 동선에 형성하는 경우, 도체의 산화를 억제하여 도체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음역에서 풍부한 음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은도금선이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저음역에서 음색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은, 무산소 동선과 은도금 무산소 동선을 복합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체 자체의 산화 방지와 높은 도전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도체 내부 변색을 방지함으로써, 저음역대에서 고음역대까지의 넓은 범위에서의 풍부한 음역대에서 잡음이 없는 고품질의 음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도체선(110)은 통상의 케이블에 사용되는 도체를 3분할하여 플랫하게 배치하는 형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3분할된 도체가 서로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접지선(120)은 도체선(11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되, 접지 역할을 하는 도체에 해당한다. 접지선(120)은 복수의 도체선(110)과 마찬가지로 도체선(110)의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접지선(120)은 도체선(110)과 마찬가지로 그 두께가 1 SQ일 수 있다.
반도전층(130)은 도체선(110) 각각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체선(110)이 3개이면, 3개의 도체선(110)을 각각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3개의 도체선(110)을 각각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반도전층(130)은 카본압출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카본압출층은 내식성이 우수한 소재로, 도체선(110)을 보호하여 음질 수명이 증가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절연층(140)은 반도전층(130)에 의해 감싸진 복수개의 도체선(110) 및 접지선(120)을 일체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절연층(140)은 압출성, 단가 등을 고려하여 PVC를 적용할 수 있으나, 환경을 고려하여 TPE 등의 할로겐 프리 절연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연층(140)은 상기 복수개의 도체선(110) 및 접지선(120)을 일체로 둘러싸되, 상기 접지선(120)에서 두 접지선(120, 220)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해당하는 일부는 제외하고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층(150)은 절연층(140)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의 도체선(110), 접지선(120), 반도전층(130), 및 절연층(140)을 모두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차폐층(150)은 구리 마일러(Cu Mylar)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어부(200)는 제1 코어부(100)와 그 구조가 동일하다. 다만, 제1 코어부(100)와 제2 코어부(200)는 양극과 음극 중 서로 다른 극에 연결되도록 구성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2 코어부(200)는 복수개의 도체선(210), 접지선(220), 반도전층(230), 절연층(240), 및 차폐층(250)으로 구성된다. 도체선(210), 접지선(220), 반도전층(230), 절연층(240), 및 차폐층(250)은 제1 코어부(10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시스층(300)은 제1 코어부(100), 및 제2 코어부(200)를 일체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 구성 즉, 제1 코어부(100) 및 제2 코어부(200)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시스층(300)이 형성될 때, 제1 코어부(100) 및 제2 코어부(200)는 서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플랫 형태가 된다. 다만, 제1 코어부(100)의 접지선(120)과 제2 코어부(200)의 접지선(220)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시스층(300)을 형성한다.
시스층(300)은, 내부 구성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므로, 통상의 케이블 시스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시스용 조성물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케이블 최외곽을 형성하는 층에 요구되는 물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 수지 및 기타 추가적인 수지들을 단독 또는 혼합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고분자 수지 이외에도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함되는 기타 첨가제 등의 종류 및 혼합 함량은, 요구되는 물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 및 채용될 수 있다.
시스층(300)은 압출성, 단가 및 인쇄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PVC를 사용할 수 있지만, 환경을 고려하여 TPE(Thermo Plastic Elastomer)를 사용할 수 있다. TPE는 고무와 플라스틱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고무보다는 단단하고, 플라스틱보다는 말랑거리고 부드러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에,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10)의 최외곽 층에 TPE를 사용하면, 플랫 케이블의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스층(300)에는 할로겐 프리 자켓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금속을 부식시키는 가소제 및 다이옥신 등이 새어나오지 않아 도체선(110) 및 차폐층(150)을 보호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과 일반적인 원형 케이블의 기능 비교를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형태인 원형 케이블 대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10)의 개선된 성능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a는, 원형 케이블과 본 발명의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10)의 전계집중도를 비교한 결과를 보인 것이다. (a)는 원형 케이블의 전계집중도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본 발명의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10)의 전계집중도를 나타낸 것이다.
전계집중도의 비교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10)은 종래의 원형 케이블 대비 접촉 면적의 감소로 인해, 전계 집중도가 완화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류 밀도는 적색 0.5 A/mm2에서 청색 0 A/mm2까지로 나타난다. 전계 집중도 완화는 케이블의 수명과 연관되는 중요한 지표로, 전계 집중도가 완화될수록 케이블의 수명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2b는 원형 케이블과 본 발명의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10)의 정전용량(Capacitance)의 실제 측정 결과를 비교한 것이다. (a)는 원형 케이블의 정전용량을 나타낸 것이고, (b)는 본 발명의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10)의 정전용량을 나타낸 것이다. (a)의 원형 케이블은 106.7 pF/m의 정전용량을 나타낸 반면, (b)의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10)은 36.7 pF/m의 정전용량을 나타낸다.
즉, 원형 케이블 대비 본 발명의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10)은 정전용량이 A와 같이 65.6%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케이블의 정전용량은 음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정전용량이 낮을수록 저신호 영역에서의 음질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2c는, 원형 케이블과 본 발명의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10)의 자기장 세기를 측정한 결과를 비교한 것이다. (a)는 원형 케이블의 자기장 세기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본 발명의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10)의 자기장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장 세기는 적색 3.0 A/mm에서 청색 0 A/mm까지로 나타난다.
도 2d는 원형 케이블과 본 발명의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10)의 자기장 세기의 비교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B는 원형 케이블의 케이블 표면에서의 거리 대비 자기장 세기를 기록한 그래프이고, C는 본 발명의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10)의 케이블 표면에서의 거리 대비 자기장 세기를 기록한 그래프이다.
두 그래프를 비교해 살펴보면, 케이블 표면에서의 거리가 약 10㎜ 이상인 지점부터는 B와 C 그래프에서 나타내는 자기장의 세기가 서로 유사하다.
하지만, 케이블 표면에서의 거리가 0㎜부터 5㎜ 지점까지 비교하면, B 그래프의 자기장 세기 대비 C 그래프의 자기장 세기는 91% 감소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차폐/노이즈 차단과 관련된 것으로, 원형 케이블에 비하여 본 발명의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10)이 노이즈 차단 효과가 큼을 실험적으로 알 수 있다.
이러한 개선된 성능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구분 원형 케이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
케이블의 구조 IEC 60227 3C Х1.5SQ 6C Х 1SQ + 2G Х 1SQ
전계 집중도 1.24 0.29
정전용량(Capacitance) 106.7 pF/m 36.7 pF/m
자기장 방사율 < 0.4 A/mm < 0.05 A/mm
상기 표 1을 통해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10)은 전계 집중도, 정전용량 및 자기장 방사율에서 모두 향상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AV 기기에 많이 사용되는 IEC 60227 원형 케이블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10)의 향상된 효능을 살펴보면, 전계 집중도는 1/4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정전용량은 1/3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외부로의 자기장 방사량은 90% 저감되었다.
이러한 향상된 효능을 보임은 물론, 플랫 케이블 구조에 의해 유연성이 향상되고, 굽힘 반경 감소에 따라 설치 편의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극 및 제2 코어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10)은 제1 코어부(100) 및 제2 코어부(200)를 포함하는 구조이며, 제1 코어부(100) 및 제2 코어부(200)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나, 이하에서는 제1 코어부(100)를 형성하는 예를 예시한다.
복수의 도체선(110)을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의 수평 방향으로 배치한다(S410). 여기서, 복수의 도체선(110)은 3개일 수 있으며, 3개의 도체선(110)은 기존 원형 케이블에서 하나로 구성될 도체를 3분할하여 구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각 상에 접속되는 도체 사이즈는 1 SQ일 수 있다.
복수의 도체선(110) 각각은 반도전층(130)에 의해 감싸진다(S420). 복수의 도체선(110)은 반도전층(130)에 의해 서로 간섭되지 않게 절연된다.
반도전층(130)에 의해 감싸진 복수의 도체선(110)의 측부에는 복수의 도체선(110)과 동일한 형상의 접지선(120)이 배치된다(S430). 이때, 접지선(120)은 반도전층(130)에 의해 감싸지지 않는다.
반도전층(130)에 의해 감싸진 복수의 도체선(110)과 접지선(120)은 절연층(140)에 의해 일체로 둘러싸여진다(S440). 이때, 절연층(140)은 복수의 도체선(110) 및 접지선(120)을 일체로 둘러싸되, 접지선(120)에서 제2 코어부(200)에 위치한 접지선(220)이 마주보는 위치에 해당하는 일부는 제외하고 둘러싸는 형태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후, 절연층(140)의 상부에는 다시 차폐층이 형성된다(S450). 결과적으로, 차폐층(150)은 복수의 도체선(110), 반도전층(130), 접지선(120), 절연층(140)을 모두 내부에 수용하는 형태가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도 3에서 설명한 절차에 의해, 제1 코어부(100) 및 제2 코어부(200)를 형성한다(S510 및 S520). 제1 코어부(100) 및 제2 코어부(200)는 동일한 형상,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플랫 형태의 제1 코어부(100) 및 제2 코어부(200)를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되, 제1 코어부(100)에 위치한 접지선(120)과 제2 코어부(200)에 위치한 접지선(220)이 서로 인접하게 마주보는 형태가 되도록 배치된다. 이후, 제1 코어부(100) 및 제2 코어부(200)를 일체로 둘러싸는 형태로 시스층(300)을 형성한다(S530).
결과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플랫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도체선(110, 210)과 접지선(120, 220)을 포함하는 제1 코어부(100) 및 제2 코어부(200) 또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플랫 형태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하나의 케이블 내에 양극을 모두 구비한 플랫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1 코어부
110 : 도체선
120 : 접지선
130 : 반도전층
140 : 절연층
150 : 차폐층
200 : 제2 코어부
210 : 도체선
220 : 접지선
230 : 반도전층
240 : 절연층
250 : 차폐층
300 : 시스층

Claims (10)

  1. 제1 코어부;
    상기 제1 코어부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되, 상기 제1 코어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코어부; 및
    상기 제1 코어부 및 상기 제2 코어부를 일체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시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부 및 상기 제2 코어부 각각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도체선;
    상기 복수개의 도체선을 각각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반도전층;
    상기 반도전층이 형성된 복수개의 도체선을 일체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차폐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부 및 상기 제2 코어부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도체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접지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복수개의 도체선과 상기 접지선을 일체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부의 접지선 및 상기 제2 코어부의 접지선은 서로 인접하게 마주보는 형태가 되도록 각각의 절연층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복수의 도체부 및 접지선을 일체로 둘러싸되, 상기 접지선에서 두 접지선이 마주보는 위치에 해당하는 일부는 제외하고 둘러싸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
  6. 제1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코어부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되, 상기 제1 코어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코어부 및 상기 제2 코어부를 일체로 둘러싸는 형태로 시스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 각각은,
    복수개의 도체선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도체선을 각각 둘러싸는 형태로 반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전층이 형성된 복수개의 도체선을 일체로 둘러싸는 형태로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층을 둘러싸는 형태로 차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도체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접지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도체선과 상기 접지선을 일체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코어부의 접지선 및 상기 제2 코어부의 접지선은 서로 인접하게 마주보는 형태가 되도록 각각의 절연층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도체부 및 접지선을 일체로 둘러싸되, 상기 접지선에서 두 접지선이 마주보는 위치에 해당하는 일부는 제외하고 둘러싸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의 제조방법.
KR1020220034483A 2022-03-21 2022-03-21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136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483A KR20230136959A (ko) 2022-03-21 2022-03-21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483A KR20230136959A (ko) 2022-03-21 2022-03-21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959A true KR20230136959A (ko) 2023-10-04

Family

ID=8829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483A KR20230136959A (ko) 2022-03-21 2022-03-21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695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759A (ko) 2019-05-10 2020-11-18 블루메탈(주) 고차폐성 및 고절연성을 갖는 오디오케이블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오디오케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759A (ko) 2019-05-10 2020-11-18 블루메탈(주) 고차폐성 및 고절연성을 갖는 오디오케이블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오디오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7534B2 (en) Double-laterally-wound two-core parallel extrafine coaxial cable
CA1106009A (en) Multi-pair flat telephone cable with improved characteristics
US8658900B2 (en) Metal sheathed cable assembly
EP0811992A2 (en) Cable with dual layer jacket
US20060254805A1 (en) Low profile high speed transmission cable
US20060254801A1 (en) Shielded electrical transmission cable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JPS6147017A (ja) 三重同軸ケーブル
US20130284488A1 (en) Stranded electrical insulated wire conductor
US20030106704A1 (en) Electrical cable apparatus
JP4044805B2 (ja) フラットシールドケーブル
KR101852205B1 (ko) 절연 전선, 동축 케이블 및 다심 케이블
JP2018088364A (ja) 耐水性難燃ノンハロゲンシース高圧ケーブル
JP2006331758A (ja) 電磁遮蔽ケーブル
CN202307284U (zh) 一种高压电缆
KR20230136959A (ko) Av 기기용 전력 케이블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6066135A (ja) 多心ケーブル
US20030141099A1 (en) Flat shield cable
JP4086243B2 (ja) ツイストペアケーブル
JP4729751B2 (ja) 同軸ケーブル
JP2017103117A (ja) 送電ケーブル
JP2006139923A (ja) 電磁遮蔽ケーブル
CN211455364U (zh) 一种硅橡胶绝缘仪表电缆
KR102505579B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및 이를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EP3731242B1 (en) Cable
KR20190104121A (ko) 다수의 도체그룹을 갖는 전력케이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