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6847A -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6847A
KR20230136847A KR1020220034377A KR20220034377A KR20230136847A KR 20230136847 A KR20230136847 A KR 20230136847A KR 1020220034377 A KR1020220034377 A KR 1020220034377A KR 20220034377 A KR20220034377 A KR 20220034377A KR 20230136847 A KR20230136847 A KR 20230136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lectrode unit
measuring device
electrocardiogram
electrocardiogram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준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컬에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컬에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컬에이아이
Priority to KR1020220034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6847A/ko
Publication of KR20230136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maintaining contact between the body and the electrodes by the action of the subjects, e.g. by placing the body on the electrodes or by grasping the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1Furniture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는,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구조물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되, 상기 구조물에 앉거나 누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심장근육 수축 및 확장에 따른 활동전류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전극유닛; 상기 복수 개의 전극유닛에 의해 측정된 활동전류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는 의자나 침대 등과 같은 가구나 마사지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므로, 개발 및 상용화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장소에 구애 없이 심전도 측정이 가능해지므로 활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전극유닛을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심전도 측정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Detachabl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심장근육에서 발생하는 전기 흐름을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의자나 침대 등과 같은 가구나 마사지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장소에 구애 없이 간편하게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심전도란 심장 근육에서 발생하는 전기 흐름을 기록으로 남긴 것으로서, 심장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이를 통해 제때 알맞은 치료 받을 수 있도록 돕는 유용한 도구이다.
심장 질환은 특별한 증상 없이 갑자기 찾아와 사망까지 이르게 해 '침묵의 살인자'라고 불리는바, 평소에 심장에 이상이 없는지 자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일상적으로 심전도를 체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임에도 일반인들은 1년에 한 번 건강검진을 통해 측정하는 것이 심전도 모니터링의 전부이며, 가슴 통증이 나타나는 심각한 상태까지 이르게 되어서야 병원을 찾아 심전도를 측정하므로 심장질환을 사전에 예방 및 치료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웨어러블 기기의 발전으로 심전도를 보다 쉽고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생겼으나,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측정한 심전도는 1 리드 혹은 2 리드만 측정되므로 병원에서 측정하는 12 리드 심전도 기록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는 팔목에 착용하는 경우가 많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크게 영향을 받아 여러가지 노이즈가 섞여 들어가 심전도를 정확하게 기록하지 못할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심전도 기계를 사용하려면 의료기기 인허가를 받아야한다. 예를 들어 안마의자에 심전도 전극을 장착하여 심전도가 측정되는 심전도 안마의자를 제작하는 경우 해당 심전도 안마의자를 인허가 받더라도 상기 안마의자가 새로 개발되거나 수정이 되면 다시 처음부터 인허가를 받아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심전도 안마의자를 구입한 사용자는 상기 심전도 안마의자에서만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즉, 소파나 침대 등과 같은 일반 가구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심전도를 측정하지 못하고 상기 심전도 안마의자에서만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심전도 측정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56421호)가 제안된바 있으나, 종래의 휴대용 심전도 측정장치는 의자나 침대를 사용하는 도중에는 사용할 수가 없고 반드시 서 있는 상태에서만 심전도 측정이 가능하므로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KR 10-0356421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의자나 침대 등과 같은 가구나 마사지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개발 및 상용화가 용이하며, 장소에 구애 없이 간편하게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어 심전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는,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구조물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되, 상기 구조물에 앉거나 누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심장근육 수축 및 확장에 따른 활동전류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전극유닛; 상기 복수 개의 전극유닛에 의해 측정된 활동전류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전극유닛 및 심전도 측정부가 고정결합되는 시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시트는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구조물에 씌워지는 커버로 적용된다.
상기 전극유닛과 상기 심전도 측정부는 전선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전선은 전체 또는 일부가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선의 중단이 감겨지는 권취릴을 더 포함한다.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횡단면이 오목한 철판 구조로 형성되어, 볼록한 일면이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충돌되었을 때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을 둘러싸도록 원형으로 말리는 밴드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극유닛은 상기 밴드강판 중 사용자의 피부와 접하는 면에 부착된다.
상기 밴드강판의 표면은 실리콘으로 코팅된다.
상기 전극유닛은, 사용자의 왼손에 접촉되는 제1 전극유닛과, 사용자의 오른손에 접촉되는 제2 전극유닛과, 사용자의 왼발에 접촉되는 제3 전극유닛과, 사용자의 오른발에 접촉되는 제4 전극유닛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전극유닛에는 왼손형상이 표시되고, 상기 제2 전극유닛에는 오른손형상이 표시되며, 상기 제3 전극유닛에는 왼발형상이 표시되고, 상기 제4 전극유닛에는 오른발형상이 표시된다.
사용자의 손발에 착용되는 왼손장갑과 오른손장갑과 왼발양말과 오른발양말이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전극유닛은 상기 왼손장갑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왼쪽손목에 접촉되고, 상기 제2 전극유닛은 상기 오른손장갑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오른쪽손목에 접촉되며, 상기 제3 전극유닛은 상기 왼발양말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왼쪽발목에 접촉되고, 상기 제4 전극유닛은 상기 오른발양말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오른쪽발목에 접촉된다.
상기 전극유닛은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을 둘러싸는 스트랩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측에는 암벨크로테이프와 수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다.
상기 전극유닛은 상기 구조물 중 사용자의 손과 발이 위치하는 커버와 손잡이와 발걸이 중 하나 이상의 지점에 결합된다.
상기 구조물은 사용자의 손과 발을 가압하는 에어포켓을 구비하는 안마의자이고, 상기 전극유닛은 상기 에어포켓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는 의자나 침대 등과 같은 가구나 마사지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므로, 개발 및 상용화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장소에 구애 없이 심전도 측정이 가능해지므로 활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전극유닛을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심전도 측정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전극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전선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전극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제3 실시예에 포함되는 밴드강판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제3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제5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제6 실시예에 포함되는 장갑 및 양말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전극유닛의 단면도이다.
심전도(心電圖)란 심장근육의 수축 확장에 따른 활동 전류를 측정하여 그래프 등의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심장근육이 수축 이완할 때 발생되는 활동전위는 심장으로부터 온 몸으로 퍼지는 전류를 일으키며, 이 전류는 몸의 위치에 따라 전위차를 발생시키는데 이 전위차는 인체의 피부에 부착된 표면전극(surface electrode)을 통해 검출하여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심전도는 심장의 이상유무 확인에 이용되며, 협심증, 심근경색, 부정맥 등 심장질환계의 질환을 측정하는 데에는 기본적인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심장질환은 생활 중 급작스럽게 발현 및 악화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심장질환 환자뿐만 아니라 일반인 역시 자신의 심전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는 사용자가 병원에 내방하지 아니하고서도 자신의 심전도를 스스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심전도 측정장치의 일종으로서, 특정 안마의자나 안마베드에 고정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평소에 앉거나 누울 때 사용하는 구조물 즉, 침대나 의자와 같은 가구나 안마의자 등과 같은 가전제품 등(이하 '구조물'이라 약칭함)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활용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는,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구조물(1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되 상기 구조물(10)에 앉거나 누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심장근육 수축 및 확장에 따른 활동전류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전극유닛(100)과, 상기 복수 개의 전극유닛(100)에 의해 측정된 활동전류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극유닛(100)과 상기 심전도 측정부(200)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300)에 의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전극유닛(100)의 저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110)이 구비되는바,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의자(10)에 전극유닛(100)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의자(10)에 전극유닛(100)이 부착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양손 및 양다리가 각각 서로 다른 전극유닛(100)에 접촉되도록 의자(10)에 앉음으로써, 간편하게 자신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전극유닛(100)의 저면에 구비되는 접착층(110)은 상기 전극유닛(100)을 의자(10)에 완전히 고착시키도록 접착력이 매우 높은 물질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떼었다 붙이는 과정을 반복하더라도 접착력이 일정수준 이상 유지되는 물질로 제작되므로, 사용자는 의자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상기 전극유닛(100)을 의자에 붙여 심전도를 측정하고 침대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상기 전극유닛(100)을 침대에 붙여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 즉, 하루 중 많은 시간동안 심전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심전도를 측정할 때에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손과 발에 전극을 부착함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전극유닛(100)을 구조물에 결합시킬 때에는 상기 구조물(10) 중 사용자의 손과 발이 위치하는 커버나 손잡이, 발걸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지점에 전극유닛(100)을 결합시킴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구조물(10)이 사용자의 손과 발을 가압하는 에어포켓(미도시)을 구비하는 안마의자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전극유닛(100)은 사용자의 손과 발을 가압하는 에어포켓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전극유닛(100)의 결합위치는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이나 심전도 측정방식 등 여러가지 조건에 맞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전선(3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는 전극유닛(100)이 부착되는 구조물(10)의 종류에 따라 상기 각 전극유닛(100) 간의 이격거리 및 심전도 측정부(200)와 전극유닛(100) 간의 이격거리가 상이해지므로, 상기 전극유닛(100)과 측정부를 연결하는 전선(300)의 길이는 충분하게 길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선(300)이 길게 설정되면, 심전도 측정부(200)와 전극유닛(100) 간의 이격거리가 짧은 경우 상기 전선(300)이 뭉치거나 꼬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선(30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길이가 증감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전선(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또는 일부가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선(300)이 나선형으로 감겨지면, 상기 전선(300)의 길이방향 양단 간의 거리가 멀어질 때 나선형으로 감겨진 부위가 펴지고 전선(300)의 길이방향 양단 간의 거리가 가까워질 때 펴졌던 부위가 다시 나선형으로 감겨져 전체 길이가 짧아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전선(300)이 나선형으로 감기는 구조는 종래의 유선전화기 등에 널리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전선(300)이 나선형으로 감겼을 때의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전선(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권취릴(310)에 중단이 감겨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권취릴(310)은 상기 전선(300)을 감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 롤러(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는바, 상기 전선(300)은 최대한 짧은 상태를 유지하며,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권취릴(310)로부터 풀려나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권취릴(310)은 줄자나 차량용 충전케이블 등에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 권취릴(310)의 내부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전선(300)의 길이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면, 전선(300)의 최대 신장길이를 길게 유지하면서 심전도 측정부(200)와 전극유닛(100) 간의 거리가 짧아졌을 때 전선(300)이 뭉치거나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전극유닛(10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는 상기 전극유닛(100)이 구조물(10)의 표면에 직접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유닛(100) 및 심전도 측정부(200)가 고정결합되는 시트(500)에 결합되며 상기 시트(500)가 구조물(10)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극유닛(100)과 심전도 측정부(200)가 시트(5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면,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를 '심전도 측정을 구비하는 시트(500)'로 인허가를 받은 후, 상기 시트(500)를 다양한 형상의 의자커버나 침대커버로 제작함으로써 별도의 인허가 없이 다양한 종류의 제품으로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시트(500)를 한 장의 직물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 상기 시트(500)를 다양한 형상의 구조물(10) 위에 덮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구조물(10)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심전도 측정부(200) 및 다수 개의 전극유닛(100)이 한 장의 시트(500)에 결합되면, 사용자는 전극유닛(100) 및 심전도 측정부(200)를 구조물(10)에 일일히 부착시킬 필요 없이 상기 시트(500)를 구조물(10)에 씌우는 작업만으로 심전도 측정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해진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심전도 측정부(200) 및 전극유닛(100)을 구조물(10)에 직접 부착하였다가 떼어내는 경우, 부착부위에 접착물질이 남아 끈적하거나 부착부위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구조물(10) 위에 시트(500)를 덮어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구조물(10) 훼손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일부를 전극유닛(100)에 밀착시켰을 때 상기 전극유닛(100)이 사용자의 피부에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극유닛(100) 중 접착층(110)이 구비된 반대측 면(도 8에서는 상면)에는 도전성 점착겔(120)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점착겔(120)은 접착층(110)보다는 접착력이 작은 물질로 이루어지는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었다가 떼어졌을 때 사용자의 피부에 잔여물이 남지 아니하여 불쾌감을 유발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제3 실시예에 포함되는 밴드강판(400)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제3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는 상기 전극유닛(100)이 원터치 방식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횡단면이 오목한 철판 구조를 갖는 밴드강판(400)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전극유닛(100)은 상기 밴드강판(400) 중 볼록한 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강판(400)은 두께가 매우 얇은 강판으로 제작되는바, 볼록한 일면이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충돌되었을 때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을 둘러싸도록 원형으로 말리는 특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밴드강판(400)은 아동용 시계줄이나 장난감 팔찌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상세 구성 및 기능은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90427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전극유닛(100)이 밴드강판(400)에 부착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강판(400)을 시트(500)에 결합시킨 후 사용자가 자신의 팔목이나 발목을 상기 밴드강판(400)에 부딪힘으로써, 상기 밴드강판(400)이 자신의 팔목이나 발목을 감도록 할 수 있다. 밴드강판(400)이 자신의 팔목이나 발목에 감기면, 상기 강판 중 사용자의 피부와 접하는 면에 결합된 전극유닛(100)이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되므로, 사용자가 손발을 어느 정도 움직이더라도 심전도가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밴드강판(400)이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으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상해를 줄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밴드강판(400)의 표면은 실리콘으로 코팅됨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는 구성의 단순화를 위해 상기 심전도 측정부(200)가 어느 하나의 전극유닛(100)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심전도 측정부(200)가 어느 하나의 전극유닛(100)과 일체로 결합되면, 구조물(10)에 상기 심전도 측정부(200)를 부착시키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해질 뿐만 아니라, 전선(300)의 개수를 줄이고 전선(300)의 배열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때, 상기 심전도 측정부(200)의 장착위치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제5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는 사용자의 양손과 양발에 전극유닛(100)이 각각 접촉될 수 있도록 전극유닛(100)이 4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극유닛(100)은, 사용자의 왼손에 접촉되는 제1 전극유닛(100a)과, 사용자의 오른손에 접촉되는 제2 전극유닛(100b)과, 사용자의 왼발에 접촉되는 제3 전극유닛(100c)과, 사용자의 오른발에 접촉되는 제4 전극유닛(100d)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손과 발을 전극유닛(100)의 정확한 지점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극유닛(100a)에는 왼손형상이 표시되고, 상기 제2 전극유닛(100b)에는 오른손형상이 표시되며, 상기 제3 전극유닛(100c)에는 왼발형상이 표시되고, 상기 제4 전극유닛(100d)에는 오른발형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전극유닛(100)에 양손과 양발의 형상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해당 손발 표시에 자신의 손과 발을 일치시켜 부착함으로써 심전도 측정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제6 실시예에 포함되는 장갑(140) 및 양말(15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는 사용자가 손과 발을 어느 정도 움직이더라도 전극유닛(100)이 손과 발에 안정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발에 착용되는 왼손장갑(140)과 오른손장갑(140)과 왼발양말(150)과 오른발양말(150)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전극유닛(100)은 해당 장갑(140)이나 해당 양말(15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극유닛(100a)은 상기 왼손장갑(140)의 손목 부위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왼쪽손목에 접촉되고, 상기 제2 전극유닛(100b)은 상기 오른손장갑(140)의 손복 부위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오른쪽손목에 접촉되며, 상기 제3 전극유닛(100c)은 상기 왼발양말(150)의 발목 부위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왼쪽발목에 접촉되고, 상기 제4 전극유닛(100d)은 상기 오른발양말(150)의 발목 부위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오른쪽발목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갑(140) 및 양말(150)을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가 답답함을 느끼지 아니하도록, 상기 장갑(140) 및 양말(150)은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극유닛(100)이 결합되는 장갑(140) 및 양말(150)이 구비되면, 사용자가 손과 발을 어느 정도 움직이더라도 상기 전극유닛(100)이 사용자의 손목과 발목에 안정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정상적인 심전도 측정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수면 중에는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손과 발을 움직이므로 심전도 측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장갑(140)과 양말(150)을 이용하면 수면 중에도 심전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전극유닛(100)을 사용자의 손목과 발목에 더욱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극유닛(100)은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을 둘러싸는 스트랩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측에는 암벨크로테이프(132)와 수벨크로테이프(13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트랩 형상의 전극유닛(100) 양측에 암벨크로테이프(132)와 수벨크로테이프(134)가 구비되면, 사용자는 장갑(140)과 양말(150)을 착용한 후 암벨크로테이프(132)아 수벨크로테이프(134)를 타이트하게 당겨 부착함으로써, 상기 전극유닛(100)을 자신의 손목이나 발목에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바, 보다 정확한 심전도 측정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극유닛(100)을 사용자의 손목 및 발목에 밀착시키기 위한 착탈수단(130)이 암벨크로테이프(132)와 수벨크로테이프(134)로 구성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착탈수단(130)은 전극유닛(100)을 사용자의 손목 및 발목에 밀착 및 분리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도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유닛(100)에 착탈수단(130)이 추가되는 경우, 상기 전극유닛(100)은 장갑(140)이나 양말(150)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자의 손목이나 발목을 감는 구조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전극유닛 110 : 접착층
120 : 도전성 점착겔 130 : 착탈수단
140 : 장갑 150 : 양말
200 : 심전도 측정부 300 : 전선
310 : 권취릴 400 : 밴드강판
500 : 시트

Claims (14)

  1.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구조물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되, 상기 구조물에 앉거나 누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심장근육 수축 및 확장에 따른 활동전류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전극유닛;
    상기 복수 개의 전극유닛에 의해 측정된 활동전류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전극유닛 및 심전도 측정부가 고정결합되는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구조물에 씌워지는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유닛과 상기 심전도 측정부는 전선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전체 또는 일부가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중단이 감겨지는 권취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횡단면이 오목한 철판 구조로 형성되어, 볼록한 일면이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충돌되었을 때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을 둘러싸도록 원형으로 말리는 밴드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극유닛은 상기 밴드강판 중 사용자의 피부와 접하는 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강판의 표면은 실리콘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유닛은, 사용자의 왼손에 접촉되는 제1 전극유닛과, 사용자의 오른손에 접촉되는 제2 전극유닛과, 사용자의 왼발에 접촉되는 제3 전극유닛과, 사용자의 오른발에 접촉되는 제4 전극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유닛에는 왼손형상이 표시되고, 상기 제2 전극유닛에는 오른손형상이 표시되며, 상기 제3 전극유닛에는 왼발형상이 표시되고, 상기 제4 전극유닛에는 오른발형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발에 착용되는 왼손장갑과 오른손장갑과 왼발양말과 오른발양말이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전극유닛은 상기 왼손장갑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왼쪽손목에 접촉되고, 상기 제2 전극유닛은 상기 오른손장갑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오른쪽손목에 접촉되며, 상기 제3 전극유닛은 상기 왼발양말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왼쪽발목에 접촉되고, 상기 제4 전극유닛은 상기 오른발양말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오른쪽발목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유닛은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을 둘러싸는 스트랩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측에는 암벨크로테이프와 수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유닛은 상기 구조물 중 사용자의 손과 발이 위치하는 커버와 손잡이와 발걸이 중 하나 이상의 지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사용자의 손과 발을 가압하는 에어포켓을 구비하는 안마의자이고, 상기 전극유닛은 상기 에어포켓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KR1020220034377A 2022-03-20 2022-03-20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KR20230136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377A KR20230136847A (ko) 2022-03-20 2022-03-20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377A KR20230136847A (ko) 2022-03-20 2022-03-20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847A true KR20230136847A (ko) 2023-09-27

Family

ID=8818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377A KR20230136847A (ko) 2022-03-20 2022-03-20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68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24352A1 (en) * 2018-11-29 2022-01-27 Ts Tech Co., Ltd. Sensor unit, and seat equipped with sensor un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421B1 (ko) 2000-06-12 2002-10-18 주식회사 바이오넷 휴대형 심전도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421B1 (ko) 2000-06-12 2002-10-18 주식회사 바이오넷 휴대형 심전도 측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24352A1 (en) * 2018-11-29 2022-01-27 Ts Tech Co., Ltd. Sensor unit, and seat equipped with sensor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3708B2 (en) Ambulatory electrocardiographic monitor with jumpered sensing electrode
US8613709B2 (en) Ambulatory electrocardiographic monitor for providing ease of use in women
US8527028B2 (en) Harness with sensors
US20070173892A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easuring of physiological parameters
RU2530562C2 (ru) Электродная накладка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2005046215A (ja) 携帯型心電計
KR20030081188A (ko) 신체조성 측정장치
JP7433668B2 (ja) 浮腫治療およびその監視
JP7453701B2 (ja) 身体部分の周囲を測定する装置および方法
WO2021143945A1 (zh) 便携式12导联心电信号采集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30136847A (ko) 착탈식 심전도 측정장치
WO2021247449A1 (en) Device and method to measure meridian impedances
CN219290440U (zh) 一种便携式人体静电消除器
WO2023032847A1 (ja) 心電検査方法
KR200458596Y1 (ko) 스마트 메디칼 장갑 시스템
CN210990264U (zh) 标准化心电采集胸带
Kirchner et al. Passive capacitive ECG sensing: Assessment of signal quality during different types of body movement
KR101842915B1 (ko) 웨어러블 생체리듬 측정장치
Oksa et al. Intermittently increased repetitive work intensity and neuromuscular function in the cold
JP6321093B2 (ja) 足指間パッド
JP3197953U (ja) ブルートゥースのマッサージ機能を具備する装着型電子器具
WO2007000957A1 (ja) サポータ付治療具
JP6363467B2 (ja) 生体電位計測装置
JP6445303B2 (ja) 生体電位計測装置
PT117127B (pt) Dispositivo para deteção e previsão de sintomas de esgotamen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